KR20050035142A -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5142A
KR20050035142A KR1020047005258A KR20047005258A KR20050035142A KR 20050035142 A KR20050035142 A KR 20050035142A KR 1020047005258 A KR1020047005258 A KR 1020047005258A KR 20047005258 A KR20047005258 A KR 20047005258A KR 20050035142 A KR20050035142 A KR 20050035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roliferative response
receptor ligand
licorice
response recep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에다쯔마사
쯔까가와미스즈
기따하라미끼오
나까가와가꾸
기따무라시로
우에다야스요시
구로다민페이
미마끼요시히로
사시다유따까
Original Assignee
카네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네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카네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35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14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C07D311/06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1Aromat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6Heterocyclic compounds
    • A23K20/121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or sulfur as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61K31/37Coumarins, e.g. psoral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ycology (AREA)
  • Diabetes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Immu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의 개선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제공할 의도이다. 프레닐플라보노이드, 프레닐플라보노이드 이외의 플라보놀 유도체, 프로닐플라보노이드 이외의 칼콘 유도체, 또는 의약상 또는 음식상 허용되는 그 염, 배당체 및 에스테르화체를 함유하는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상기 리간드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상기 리간드제를 함유하는 식물 유래의 추출물; 및 이같은 추출물의 제조 방법.

Description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및 그 제조 방법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LIGAND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및 그 제조 방법, 나아가서는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의 개선,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2형 당뇨병, 고인슐린혈증, 지질대사이상, 비만, 고혈압, 동맥경화성 질환) 의 예방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PPAR) 는, 지질대사를 유지하는 유전자군의 발현제어를 담당하는 전사제어인자로서 동정된 핵내 수용체 패밀리에 속하는 리간드 의존성 전사제어인자이다. 포유동물에서는 PPARα, PPARδ(PPARβ, NUC-1, FAAR), PPARγ의 3 가지 서브타입의 존재가 알려져 있으며, PPARα는 주로 간장에서, PPARδ는 보편적으로 발현되고 있다. PPARγ에는 PPARγ1 과 PPARγ2 의 2 가지 아이소폼이 존재하고 있으며, PPARγ1 은 지방조직 외에 면역계 장기나 부신, 소장에서 발현되고 있다. PPARγ2 는 지방조직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고 있으며, 지방 세포의 분화ㆍ성숙을 제어하는 마스터 레귤레이터이다 (Teruo KAWADA, IGAKU NO AYUMI, 184, 519 ∼ 523, 1998).
PPARγ리간드로는, 합성화합물에서는 트로글리타존, 피오글리타존, 로시글리타존 등의 티아졸리딘 유도체가 알려져 있다. 천연 화합물에서는 15-데옥시-Δ12,14-프로스타글란딘J2 나 Δ12-프로스타글란딘J2 등의 아라키돈산 대사물, ω-3 다가불포화지방산, α-리놀렌산,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도코사헥사엔산 (DHA) 등의 불포화 지방산, 9-히드록시옥타데카디엔산이나 13-히드록시옥타데카디엔산 등의 에이코사노이드류 등이 알려져 있다 (J. Auwerx, Diabetologia, 42, 1033 ∼ 1049, 1999).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55538 호에는 공액 트리엔 구조 또는 공액 테트라엔 구조를 갖는 탄소수 10 ∼ 26 의 공액 불포화 지방산이 개시되어 있다. 또, 플라보노이드에서는 플라본 유도체인 크리신 (chrysin) 및 아피게닌 (apigenin), 플라보놀 유도체인 켐페롤 (kaempferol) 이 PPARγ리간드인 것이 보고되어 있다 (Y.C. Liang, 등, FEBS Letters, 496, 12 ∼ 18, 2001). 플라보노이드는 식물에 널리 함유되어 있는 성분이며, 항산화 작용을 갖고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정한 식물에만 함유되어 있는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PPARγ리간드인 것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PPARγ리간드인 티아졸리딘 유도체는, 그 아고니스트 활성과 혈당강하 작용이 상관되기 때문에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과의 관련이 주목받게 되어, 2형 당뇨병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 NIDDM) 에 대한 인슐린 저항성 개선약으로서 개발되었다. 즉, PPARγ리간드인 티아졸리딘 유도체는 PPARγ를 활성화함으로써 전구지방세포로부터 분화된 정상기능을 갖는 소형지방세포를 증가시켜, 인슐린 저항성을 야기하는 TNFα나 유리지방산의 생산이나 분비가 항진되고 있는 비대지방세포를 아포토시스에 의해 감소시킴으로써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한다 (A. Okuno, 등,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101, 1354 ∼ 1361, 1998). 또, PPARγ리간드는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킨다는 점에서 2형 당뇨병뿐만 아니라 고인슐린혈증, 지질대사이상, 비만 (특히 내장지방형 비만), 고혈압, 동맥경화성 질환과 같은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R.A. DeFronzo & E. Ferrannini, Diabetes Care, 14, 173 ∼ 194, 1991) 의 예방ㆍ개선에도 효과적이다.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과 동일한 병태개념으로서, 신드롬 X (G. M. Reaven, Diabetes, 37, 1595 ∼ 1607, 1988), 죽음의 사중주 (N. M. Kaplan,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49, 1514 ∼ 1520, 1989), 내장지방 증후군 (Y. Matsuzawa, Diabetes/Metabolism Reviews, 13, 3 ∼ 13, 1997) 을 들 수 있다.
또한, PPARγ리간드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억제하는 것 (C. Jiang, 등, Nature, 391, 82 ∼ 86, 1998), 아포토시스를 유도하여 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한다는 점 (Y. Tsubouchi, 등,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70, 400 ∼ 405, 2000) 에서 염증이나 암의 예방ㆍ개선에도 효과적이다.
(발명의 요약)
상기한 것을 감안하면, PPARγ리간드는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여 2형 당뇨병을 비롯해 고인슐린혈증, 지질대사이상, 비만 (특히 내장지방형 비만), 고혈압, 동맥경화성 질환 등의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을 예방 및/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천연물로부터 발견한 PPAR 리간드제, 및 그 간편하고 효율적인 제조 방법, 또한 그것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의 개선,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식경험이 있는 천연물로부터 PPARγ리간드 활성을 갖는 것을 탐색한 결과, 감초 (licorice) 를 비롯한 식물의 추출물에 PPARγ리간드 활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 본 발명자들은 그 활성성분을 예의탐색한 결과, 그 추출물 중의 특성 성분이 PPARγ리간드 활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감초로부터 이들 성분을 추출하는데는 유기용매, 바람직하게는 지방산 에스테르나 수용성 유기용매, 그 중에서도 수용성 유기용매를 사용하면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제 1 발명은, 프레닐플라보노이드,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아닌 칼콘 유도체,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아닌 플라보놀 유도체, 의약상 또는 음식상 허용되는 이들의 염, 배당체 (glycoside) 및/또는 에스테르화체로 이루어지는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에 관한 것이다.
제 2 발명은, 프레닐플라보노이드,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아닌 칼콘 유도체,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아닌 플라보놀 유도체, 의약상 또는 음식상 허용되는 이들의 염, 배당체 및/또는 에스테르화체로 이루어지는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를 함유하는 식물 유래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제 3 발명은,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영역에 결합하는 능력을 갖는 프레닐플라보노이드,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아닌 칼콘 유도체,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아닌 플라보놀 유도체, 의약상 또는 음식상 허용되는 이들의 염, 배당체 및/또는 에스테르화체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의 개선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 4 발명은,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영역에 결합하는 능력을 갖는 프레닐플라보노이드,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아닌 칼콘 유도체,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아닌 플라보놀 유도체, 의약상 또는 음식상 허용되는 이들의 염, 배당체 및/또는 에스테르화체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암의 예방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 5 발명은, 전표면적에서 차지하는 껍질 면적의 비율이 3 할 이상인 감초에서 추출하는, 상기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 6 발명은, 감초를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수용성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상기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 7 발명은, 함수율이 30 용량% 이하인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감초에서 추출하는, 상기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개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PPAR 리간드제 (바람직하게는 PPARγ리간드제) 는 PPAR 리간드 활성 (바람직하게는 PPARγ리간드 활성) 을 갖는 화합물, 즉 PPAR (바람직하게는 PPARγ) 의 리간드 결합영역에 결합하는 능력을 갖는 화합물이다. PPARγ리간드 활성은 예를 들어 PPARγ리간드 결합영역과 GAL4 와의 융합단백에 대한 결합을 루시페라제의 발현으로 평가하는 리포터 에세이 (B. M. Forman, 등, Cell, 83, 803 ∼ 812, 1995) 나 PPARγ리간드 결합영역을 포함하는 단백을 사용한 컴페티션 바인딩 에세이 (S. A. Kliewer, 등, Cell, 83, 813 ∼ 819, 1995)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이들 에세이에서, 샘플의 활성은 일반적으로 용매 대조와 비교하여 용매 대조보다도 높은 활성을 나타내며, 또한 용량 의존성이 인정되는 샘플을「PPARγ리간드 활성 있음」이라고 평가한다.
본 발명의 PPAR 리간드제, 바람직하게는 PPARγ리간드제는, 프레닐플라보노이드,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아닌 칼콘 유도체,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아닌 플라보놀 유도체, 의약상 또는 음식상 허용되는 이들의 염, 배당체 및 에스테르화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이다.
의약상 또는 음식상 허용되는 염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등을 들 수 있다.
의약상 또는 음식상 허용되는 배당체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글루코스, 갈락토스 등의 단당의 배당체, 또는 이당이나 올리고당의 배당체 등을 들 수 있다.
의약상 또는 음식상 허용되는 에스테르화체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세트산 에스테르, 프로피온산 에스테르, 인산 에스테르, 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 중 적어도 1 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기 때문에, 당뇨병을 비롯하여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또는 개선제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PPAR 리간드제인 프레닐플라보노이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아릴쿠마린 유도체, 이소플라브-3-엔 유도체, 이소플라반 유도체, 이소플라바논 유도체, 이소플라본 유도체, 플라보놀 유도체, 플라바논 유도체, 칼콘 유도체,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프레닐플라보노이드는, 플라보노이드의 측쇄에 하기 (A) 또는 (B) 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갖고 있는 화합물로 한다:(A) 프레닐기, (B) 프레닐기가 그것과 인접한 수산기와 결합하여 [-CH=CHC(CH3)2O-]가 되어 6원 고리를 형성한 구조. 플라보노이드는, 2 개의 페닐기가 3 개의 탄소원자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 물질군의 총칭이며, 예를 들어 플라본, 플라보놀, 플라바논, 플라바노놀, 이소플라본, 이소플라보놀, 이소플라바논, 이소플라반, 이소플라브-3-엔, 3-아릴쿠마린, 칼콘, 디히드로칼콘, 디벤조일메탄, 쿠메스탄, 프테로카르판, 카테킨, 안토시아니딘 등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프레닐플라보노이드인 3-아릴쿠마린 유도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기의 화학식 (1) 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글리시쿠마린 (glycycoumarin), 글리시린 (glycyrin), 간카오닌 W (gancaonin W), 글리아스페린 L (glyasperin L), 칸조놀 W (kanzonol W) 등 표 1 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화합물의 염, 배당체, 에스테르화체 등의 유도체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글리시쿠마린 또는 글리시린이 보다 바람직하다.
(1)
[R1 ∼ R7 중 하나 이상은 프레닐기, 또는 인접하는 2 개의 R 이 -CH=CHC(CH3)2O- 인 6원 고리를 형성한 구조이며, 그 외는 H, OH 또는 OCH3 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프레닐플라보노이드인 이소플라브-3-엔 유도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기 화학식 (2) 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데히드로글리아스페린 C (dehydroglyasperin C), 데히드로글리아스페린 D (dehydroglyasperin D), 글라브렌 (glabrene), RL-S 등 표 2 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화합물의 염, 배당체, 에스테르화체 등의 유도체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데히드로글리아스페린 C, 데히드로글리아스페린 D 또는 글라브렌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데히드로글리아스페린 D 는 본 발명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신규 화합물이다.
(2)
[R1 ∼ R7 중 하나 이상은 프레닐기, 또는 인접하는 2 개의 R 이 -CH=CHC(CH3)2O- 인 6원 고리를 형성한 구조이며, 그 외는 H, OH 또는 OCH3 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프레닐플라보노이드인 이소플라반 유도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화학식 (3) 으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글리아스페린 C (glyasperin C), 글리아스페린 D (glyasperin D), 글리아스페린 I (glyasperin I), 리코리시딘 (licoricidin), 리코리소플라반 A (licorisoflavan A) 등 표 3 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화합물의 염, 배당체, 에스테르화체 등의 유도체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글리아스페린 D, 글라브리딘 (glabridin), 히스파글라브리딘 B (hispaglabridin B), 4'-O-메틸글라브리딘 (4'-O-methylglabridin) 또는 3'-히드록시-4'-O-메틸글라브리딘 (3'-hydroxy-4'-O-methylglabridin) 이 보다 바람직하다.
(3)
[R1 ∼ R7 중 하나 이상은 프레닐기, 또는 인접하는 2 개의 R 이 -CH=CHC(CH3)2O- 인 6원 고리를 형성한 구조이며, 그 외는 H, OH 또는 OCH3 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프레닐플라보노이드인 이소플라바논 유도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기 화학식 (4) 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글리아스페린 B (glyasperin B), 글리아스페린 K (glyasperin K), 칸조놀 G (kanzonol G), 3'-프레닐-키에비톤 (3'-prenyl-kievitone), 글리아스페린 F (glyasperin F) 등 표 4 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화합물의 염, 배당체, 에스테르화체 등의 유도체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글리아스페린 B 또는 글리시르이소플라바논 (glycyrrhisoflavanone) 이 바람직하다.
(4)
[R1 ∼ R8 중 하나 이상은 프레닐기, 또는 인접하는 2 개의 R 이 -CH=CHC(CH3)2O- 인 6원 고리를 형성한 구조이며, 그 외는 H, OH 또는 OCH3 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프레닐플라보노이드인 이소플라본 유도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기 화학식 (5) 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와이테온 (wighteone), 간카오닌 A (gancaonin A), 간카오닌 B (gancaonin B), 간카오닌 G (gancaonin G), 간카오닌 N (gancaonin N) 등 표 5 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화합물의 염, 배당체, 에스테르화체 등의 유도체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글리우랄린 B (glyurallin B), 루피와이테온 (lupiwighteone), 세미리코이소플라본 B (semilicoisoflavone B) 또는 글리시르이소플라본 (glycyrrhisoflavone) 이 보다 바람직하다.
(5)
[R1 ∼ R9 중 하나 이상은 프레닐기, 또는 인접하는 2 개의 R 이 -CH=CHC(CH3)2O- 인 6원 고리를 형성한 구조이며, 그 외는 H, OH 또는 OCH3 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프레닐플라보노이드인 플라보놀 유도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기 화학식 (6) 으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리코플라보놀 (licoflavonol), 간카오닌 P (gancaonin P), 토파졸린 (topazolin), 글리아스페린 A (glyasperin A), 이소리코플라보놀 (isolicoflavonol) 등 표 6 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화합물의 염, 배당체, 에스테르화체 등의 유도체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소리코플라보놀, 리코플라보놀 또는 토파졸린이 보다 바람직하다.
(6)
[R1 은 OH 또는 OCH3 이고, R2 ∼ R9 중 하나 이상은 프레닐기, 또는 인접하는 2 개의 R 이 -CH=CHC(CH3)2O- 인 6원 고리를 형성한 구조이며, 그 외는 H, OH 또는 OCH 3 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프레닐플라보노이드인 플라바논 유도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기 화학식 (7) 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6-프레닐피노셈브린 (6-prenylpinocembrin), 6-프레닐나린게닌 (6-prenylnaringenin), 6-프레닐에리오딕티올 (6-prenyleriodictyol), 시노플라바논 B (sinoflavanone B), 파라토카르핀 L (paratocarpin L) 등 표 7 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화합물의 염, 배당체, 에스테르화체 등의 유도체도 포함된다. 그 중에서도 글라브롤 (glabrol) 이 보다 바람직하다.
(7)
[R1 ∼ R8 중 하나 이상은 프레닐기, 또는 인접하는 2 개의 R 이 -CH=CHC(CH3)2O- 인 6원 고리를 형성한 구조이며, 그 외는 H, OH 또는 OCH3 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프레닐플라보노이드인 칼콘 유도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기 화학식 (8) 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리코칼콘 C (licochalcone C), 리코칼콘 D (licochalcone D), 글리인플라닌 G (glyinflanin G), 칸조놀 B (kanzonol B), 칸조놀 C (kanzonol C) 등 표 8 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화합물의 염, 배당체, 에스테르화제 등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리코칼콘 C 가 보다 바람직하다.
(8)
[R1 ∼ R9 중 하나 이상은 프레닐기, 또는 인접하는 2 개의 R 이 -CH=CHC(CH3)2O- 인 6원 고리를 형성한 구조이며, 그 외는 H, OH 또는 OCH3 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프레닐플라보노이드인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기 화학식 (9) 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글리시르디온 A (glycyrdione A), 글리시르디온 B (glycyrdione B), 글리시르디온 C (glycyrdione C), 글리인플라닌 B (glyinflanin B), 글리인플라닌 D (glyinflanin D) 등 표 9 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화합물의 염, 배당체, 에스테르화체 등의 유도체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글리시르디온 A 또는 글리시르디온 C 가 보다 바람직하다.
(9)
[R1 ∼ R7 중 하나 이상은 프레닐기, 또는 인접하는 2 개의 R 이 -CH=CHC(CH3)2O- 인 6원 고리를 형성한 구조이며, 그 외는 H, OH 또는 OCH3 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아닌 칼콘 유도체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에치나틴 (echinatin), 이소리퀴리티게닌 (isoliquiritigenin), 리코칼콘 A (licochalcone A), 리코칼콘 B (licochalcone B) 를 들 수 있다. 또, 이들 화합물의 염, 배당체, 에스테르화체 등의 유도체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아닌 플라보놀 유도체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켐페롤 3-O-메틸에스테르 (kaempferol 3-O-methylester) 를 들 수 있다. 또, 이들 화합물의 염, 배당체, 에스테르화체 등의 유도체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들 화합물의 명칭은 히라가 다카오 및 가지야마 기이치로의 보고 (메이지약과대학 연구보고서, 27, 9 ∼ 57, 1997) 및 T. Nomura & T. Fukai 의 보고 (Fortschritte der Chemie organischer Naturstoffe, 73, 1 ∼ 158, 1998) 를 참조하였다.
본 발명의 PPAR 리간드제는, 상기 화합물이라면 식물 등의 천연 유래, 화학합성 또는 배양세포 등에 의해 생합성한 화합물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지만, 식경험이 있는 천연 유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화합물을 얻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식경험이 있는 콩과의 감초로부터 얻을 수 있고, 다른 식물로부터 얻을 수도 있다. 다른 식물로는 PPAR 리간드제, 바람직하게는 PPARγ리간드제를 함유하는 식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콩과의 식물 외에 예를 들어 뽕나무과, 두충과, 삼과, 쐐기풀과 등의 식물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PPAR 리간드제의 제조 방법에 관해 감초에서 얻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는데, 반드시 감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할 수 있는 감초는, 콩과 감초속 (Glycyrrhiza 속) 인 식물이면 되고, 예를 들어 글리시르리자ㆍ우랄렌시스 (Glycyrrhiza uralensis Fisch. et DC;동북감초), G. 인플라타 (G. inflata BAT.;창과감초), G. 글라브라 (G. glabra L.;유럽감초), G. 글라브라 (G. glabra L. var glandu rifera Regel et Herder;시베리아감초), G. 에치나타 (G. echinata L.;중국감초), G. 팔리디플로라 (G. pallidiflora Maxim;개감초) 나 기타 동속 식물 (Leguminosae) 을 들 수 있다. 산지로는 예를 들어 신강산, 동북산, 서북산, 몽골산, 러시아산, 아프가니스탄산, 이란산, 터키산 등이 있다. 그 중에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PPAR 리간드 활성성분의 함량이 높은 G. 우랄렌시스 (산지:동북산, 서북산, 몽골산, 신강산 등), G. 글라브라 (산지:러시아산, 아프가니스탄산, 이란산, 터키산), G. 인플라타 (산지:신강산 등) 가 바람직하며, 특히 G. 우랄렌시스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초의 뿌리, 뿌리줄기 (根莖) 또는 기는줄기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이들은 미분쇄품, 분쇄품, 절단품 또는 상기 감초의 주피 (周皮) 가 사용된다. 여기에서 미분쇄품이란 이른바 분말 또는 분말에 가까운 것을 말하며, 분쇄품이란 실이나 섬유, 또는 솜같은 형태의 것 (예를 들어 길이 5 ㎜ 정도에서 10 ㎝ 정도인 것) 을 말한다. 또, 절단품이란 감초의 뿌리, 뿌리줄기 또는 기는줄기 등을 절단한 것 (예를 들어 길이는 보통 1 ∼ 10 ㎝ 정도, 바람직하게는 약 1 ∼ 5 ㎝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4 ㎝ 정도이고, 두께는 보통 약 3 ㎝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2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 이하인 정도로 어슷 썬 것) 이며, 보통 원주형 또는 그것과 본질적으로 유사한 형태이다. 미분쇄품, 분쇄품, 절단품은 통상의 기기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미분쇄품은 예를 들어 마스콜로더 (masscolloider) 식 분쇄기, 돌절구식 분쇄기 등에 의해 분말 또는 분말에 가까운 것으로서 얻을 수 있으며, 분쇄품은 예를 들어 해머 밀식 분쇄기 등으로 얻을 수 있다. 또, 절단품은 상기 감초의 뿌리 등을 통상의 재단기로 상기 길이로 절단하여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감초는 그 종류, 산지, 채취시기 등에 따라 유효성분의 조성이나 함유량이 다소 상이하므로, 미리 실험에 의해 유효성분을 많이 함유한다고 확인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법으로는, 상기 감초로부터,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는데, 미리 감초를 물 등으로 추출한 수추출 잔사, 또는 그 잔사를 건조시킨 것으로부터,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유기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의약품이나 식품, 식품첨가물 등의 제조, 가공에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한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아세톤, 탄소수 1 ∼ 4 의 1가 알코올, 글리세린, 지방족 에스테르, 디에틸 에테르, 시클로헥산, 이산화탄소,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고, 또 이들 용매 중 적어도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용매로는, 아세트산 에틸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나 탄소수 1 ∼ 4 의 1가 알코올, 아세톤,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수용성 유기용매가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성 유기용매가 있다.
추출 후에는 활성탄이나 수지 등에 의한 흡착 처리 및/또는 분별 등에 의해 정제하여 추출물 중의 활성 성분의 함유량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로 얻은 것을 실리카 겔, ODS, 이온교환 수지 등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목적 화합물을 농축, 분획 또는 단리할 수 있다.
물론 기타 화학합성을 이용하여 이들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의 PPAR 리간드제를 함유하는 감초 추출물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으로서, 감초를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수용성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방법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수용성 유기용매로 추출한 감초 추출물은 양호한 PPAR 리간드 활성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수용성 유기용매의 사용은 효율적으로 PPAR 리간드 활성물질을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감초로부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수용성 유기용매로 목적 물질을 추출할 때에는, 감초의 미분쇄품, 분쇄품, 절단품 또는 주피 등을 그대로 추출해도 상관은 없지만,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미리 감초를 다른 용매 (예를 들어 물, 알칼리성 수용액 등) 로 전추출한 후의 감소 전추출 잔사로부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수용성 유기용매로 추출함으로써 불순물 등을 제거할 수도 있다.
감초를 다른 용매 (물, 알칼리성 수용액 등) 로 전추출한 후에는 일반적인 분리조작 (예를 들어 가압 여과, 감압 여과, 필터프레스, 원심분리, 침강 등) 에 의해 추출액과 감초 추출 잔사를 분리하여 감초 전추출 잔사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분리조작에서는, 필요에 따라 활성탄, 활성백토 등의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여과보조제나 흡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감초 전추출 잔사는 그대로 또는 일반적인 건조조작 (예를 들어 정치건조, 교반건조, 혼합건조, 유동건조, 기류건조, 분무건조, 동결건조, 동결농축 등) 에 의해, 사용한 다른 용매 (물, 알칼리성 수용액 등) 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한 후, 지방족 에스테르 또는 수용성 유기용매에 의한 추출에 사용된다.
본 추출법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수용성 유기용매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세트산 에틸 등의 아세트산 에스테르, 탄소수 1 ∼ 4 의 1가 알코올, 아세톤,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또는 이들 혼합물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 에틸 등의 아세트산 에스테르, 탄소수 1 ∼ 4 의 1가 알코올,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 에틸, 에탄올,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특히 용매의 인체에 대한 안전성의 관점에서는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후술할 글리시르리진 등의 수용성 불순물의 혼입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탄소수 2 ∼ 4 의 1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아세톤이 바람직하며, 특히 지방산 에스테르나 아세톤이 바람직하고, 아세트산 에스테르나 아세톤이 더욱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아세트산 에틸이나 아세톤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말할 필요도 없이 악영향이 없는 범위에서 다른 용매를 공존시키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감초 추출물 중의 유효성분 함량을 높이고 또한 글리시르리진 등의 수용성 불순물의 함량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글리시르리진은 의약으로서도 이용되고 있으나, 혈압상승 작용, 심근장해, 수혈증 (이상, Harders, H. & Rausch-Stroomann, J. G., Munch. Med. Wschr. 95, 580(1953)), 저칼륨혈증, 혈장레닌활성 감소, 위성 알도스테론증, 사지이완성 마비 (이상, Conn, J. W., Rovner, D. R. & Cohen, E. L., J. Am. Med. Assoc. 205, 492(1968)), 요중 알도스테론배설 감소, 종양, 두통, 기면상태 (이상, Epstein, M.T., 등, Brit. Med. J., 1, 488(1977)) 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또 자당의 150 배의 당도가 있다. 글리시르리진의 혼입은, 감초 추출물이 가진 여러 가지 효과를 저해하거나 부작용이나 강한 감도 때문에 식품 등으로서 이용하기에 불리하다.
얻어지는 감초 추출물 중의 유효성분 함량을 높이고 또한 글리시르리진 등의 수용성 불순물 함량을 낮게 억제하기 위해서는, 유기용매에 의한 추출 시에 공존시키는 수분 함량을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최대한 마른 감초를 사용하고, 또한 물을 함유하지 않는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그러나, 감초는 말할 것도 없이 식물체이며, 최대한 마른 감초를 얻기 위해서는 통상 사용되고 있는 것 같이 태양에 말리는 것 등으로는 충분하다고 할 수 없어, 건조기 등의 사용이 필요해진다. 이는 공업적 규모에서의 생산상 큰 난점이 된다.
또, 물을 함유하지 않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였다고 해도 사용하는 감초나 작업환경으로부터의 수분의 혼입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수분함량이 증가한 유기용매로서 회수된다. 이것을 그대로 리사이클하는 것은 어려우며, 유기용매를 쓰고 버리거나 또는 무수화를 위한 특수하고 고가인 정밀설비가 필요해져, 어느 경우이든 제조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유효성분 함량이 높고 수용성 불순물 함량이 낮은 고품질의 감초 추출물을 매우 간편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면, 매우 큰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이 예의검토한 결과, 상기 고품질의 감초 추출물을 얻기 위해서는 감초의 형태로서, 전표면적에서 차지하는 껍질 면적의 비율이 높은 것, 통상 3 할 이상, 바람직하게는 5 할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 할 이상, 특히 8 할 이상, 그 중에서도 9 할 이상인 것 (구체적으로는 상기 절단품이나 주피 (주피를 주로 하는 것을 포함)) 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 상기 감초의 형태를 사용하면 물을 함유한 수용성 유기용매를 사용한 경우에도 고품질의 감초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절단품이나 주피 (주피를 주로 하는 것을 포함) 중, 가공이 보다 용이한 절단품의 사용이 보다 바람직하고, 절단품의 경우, 전표면적에서 차지하는 껍질 면적의 비율이 통상 5 할 이상, 바람직하게는 7 할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 할 이상, 특히 9 할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특히 상기 수용성 유기용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 4 의 1가 알코올,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경우에 그 효과가 최대한으로 발휘된다.
사용하는 유기용매의 함수율로는, 보통 약 30 용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20 용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용량% 이하, 특히 약 8 용량% 이하인 것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실용성의 관점에서 보통 약 3 용량%, 바람직하게는 약 4 용량% 이다.
이로써 유효성분 함량이 높고 수용성 불순물 함량이 낮은 고품질의 감초 추출물을 적절하게 취득할 수 있다. 얻어지는 추출물 중 글리시르리진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로 최소화할 수 있다. 또, (감초를 특별히 건조하는 것이 아니라) 추출용매로서 저렴한 함수 수용성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고품질의 추출물을 적절하게 취득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에스테르 또는 수용성 유기용매에 의한 추출은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추출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계의 고화온도에서 비점 사이, 일반적으로 -20 ∼ 100℃, 보통 1 ∼ 80℃, 바람직하게는 20 ∼ 60℃ 에서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다.
추출 조작은 상기 감초 또는 감초 전추출 잔사에 대하여 예를 들어 1 ∼ 20 배 용량, 바람직하게는 2 ∼ 10 배 용량의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수용성 유기용매를 사용하고, 예를 들어 0.1 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0.2 시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시간 이상 추출하면 된다. 보통 1 회당 추출시간은 1 ∼ 10 시간 정도로 적절하게 실시한다.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1 일 정도지만, 더 장시간 해도 된다. 추출은 필요에 따라 1 회 또는 복수 회 실시해도 되며, 또 사용하는 용매를 적절히 조합해도 된다. 추출시의 압력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압 ∼ 가압된 상태 (1 ∼ 수 기압) 가 사용될 수 있는데, 원한다면 감압으로 할 수도 있다. 환류 하, 또 약간 가압된 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후에는 일반적인 분리조작 (예를 들어 가압 여과, 감압 여과, 원심 분리, 침강 등) 에 의해, 추출액과 감초 추출 잔사를 분리하여 소망에 따라 상기 용매로 세정하여 감초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분리조작에서는 필요에 따라 활성탄, 활성백토, 수지 등의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여과보조제나 흡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감초 추출액은 일반적인 용매 제거 조작 (예를 들어 상압 농축, 감압 농축, 분무 건조, 동결 건조, 동결 농축 등) 에 의해 사용한 용매를 제거하여, 용매가 제거된 감초 추출물을 취득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추출 후에는 활성탄이나 수지 등에 의한 흡착 처리 및/또는 분별 등에 의해 정제하여 추출물 중 활성 성분의 함유량을 높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활성 성분의 안정성의 면에서, 상기 일련의 조작, 그 중에서도 용매에 의한 추출, 또는 용매에 의한 추출 및 그 후의 조작 (추출액의 분리, 용매제거, 활성탄이나 수지 등에 의한 흡착 처리 및/또는 분별 등) 은 질소가스 등을 사용하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 등의 탈산소 분위기 하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를 억제할 목적으로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나트륨, 아스코르브산팔미트산에스테르, 아스코르브산스테아르산에스테르, 토코페롤 등의 항산화제의 공존 하에 실시할 수 있다.
용매를 제거한 후에 얻어지는 감초 추출물은 일반적으로 갈색 (예를 들어 황갈색 ∼ 흑갈색) 이다.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감초 추출물의, 감초에 대한 추출물 건체 (dry weight) 의 중량비 (건체 기준) 는 보통 약 0.01 이상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 중의 글리시르리진 함량은 건체 기준으로 보통 0.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3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이하, 그 중에서도 0.1 중량% 이하로 저함량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 중 글리시르리진 함량이 건체 기준으로 0.001 ∼ 0.5 중량% 인 경우, 상기 부작용이나 이용상 불리한 점에 대한 사실상 문제는 없다.
추출물 중의 글리시르리진 함량은 예를 들어 시약으로서 시판하는 글리시르리진 또는 글리시르리진산염을 표준 물질로 하여 HPLC 등의 분석에 의해 정량할 수 있다. 또, 추출물 중 PPAR 리간드제 성분의 함량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PPAR 리간드제를 표준 물질로 하여 HPLC 등의 분석에 의해 정량할 수 있다. 표준 물질로서의 PPAR 리간드제는 감초 등의 식물에서 단리한 화합물을 사용해도 되고, 또는 화학합성한 화합물을 사용해도 된다. 추출물 중 PPAR 리간드제 성분의 총량은, 정량한 PPAR 리간드제 성분 함량의 총합으로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중에 함유되는 PPAR 리간드제 성분의 총량은, 건체 기준으로 보통 0.5 중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중량% 이상이다. 특히 탄소수 1 ∼ 4 의 1가 알코올로 추출한 경우에는 보통 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중량% 이상이며, 유효성분이 효율적으로 회수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추출물 중에 함유되는 PPAR 리간드제 성분의 총량은 건체 기준으로 보통 최대 50 중량% 이하인데, 추출 후에 활성탄이나 수지 등에 의한 흡착 처리 및/또는 분별 등에 의해 정제하여 함유량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주요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글리시쿠마린, 글리시린, 데히드로글리아스페린 C, 데히드로글리아스페린 D, 글리아스페린 B 및 글리아스페린 D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을, 추출물 중, 건체 기준으로 보통 0.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글리시쿠마린, 글리시린, 데히드로글리아스페린 C, 데히드로글리아스페린 D, 글리아스페린 B 및 글리아스페린 D 를, 추출물 중, 건체 기준으로 각각 0.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 함유하고 있다. 이들 성분은 감초 중에서도 특히 G. 우랄렌시스의 추출물에 많이 함유된다.
또, 예를 들어 글리시르이소플라바논, 글리시르이소플라본, 글리우랄린 B, 세미리코이소플라본 B 및 이소리퀴리티게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을, 추출물 중, 건체 기준으로 보통 0.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 이상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르이소플라바논, 글리시르이소플라본, 글리우랄린 B, 세미리코이소플라본 B 및 이소리퀴리티게닌을, 추출물 중, 건체 기준으로 각각 0.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 이상 함유하고 있다.
또, 예를 들어 글라브렌, 글라브리딘, 글라브롤, 3'-히드록시-4'-O-메틸글라브리딘, 4'-O-메틸글라브리딘 및 히스파글라브리딘 B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을, 추출물 중, 건체 기준으로 0.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글라브렌, 글라브리딘, 글라브롤, 3'-히드록시-4'-O-메틸글라브리딘, 4'-O-메틸글라브리딘 및 히스파글라브리딘 B 를, 추출물 중, 건체 기준으로 각각 0.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 함유하고 있다. 이들 성분은 감초 중에서도 특히 G. 글라브라의 추출물에 많이 함유된다.
또, 예를 들어 리코칼콘 A, 리코칼콘 B, 리코칼콘 C, 글리시르디온 A 및 글리시르디온 C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을, 추출물 중, 건체 기준으로 0.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리코칼콘 A, 리코칼콘 B, 리코칼콘 C, 글리시르디온 A 및 글리시르디온 C 를, 추출물 중, 건체 기준으로 각각 0.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 함유하고 있다. 이들 성분은 감초 중에서도 특히 G. 인플라타의 추출물에 많이 함유된다.
본 발명의 인슐린 저항성의 개선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본 발명의 염증 또는 암의 예방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PPAR 리간드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즉, 프레닐플라보노이드,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아닌 칼콘 유도체,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아닌 플라보놀 유도체, 의약상 또는 음식상 허용되는 이들의 염, 배당체 및 에스테르화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상기한 것과 마찬가지로, 프레닐플라보노이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아릴쿠마린 유도체, 이소플라브-3-엔 유도체, 이소플라반 유도체, 이소플라바논 유도체, 이소플라본 유도체, 플라보놀 유도체, 플라바논 유도체, 칼콘 유도체,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화합물은, 순수한 화합물을 사용하면 되고, 또한 의약품이나 식품으로서 부적당한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는 한, 반정제 또는 조정제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추출물을 그대로 사용해도 되고, 또는 그것을 추가로 정제한 것이어도 된다. 그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보건기능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영양기능 식품) 이나 건강식품, 영양보조식품 등의 음식품, 의약품, 의약부외품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체에 투여해도 되며, 개, 고양이, 소, 말, 돼지, 닭, 양, 염소, 생쥐, 쥐 등의 가축이나 애완동물에 투여해도 된다.
음식품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그대로 직접 섭취할 수 있고, 또 공지의 담체나 조제 등을 사용하여 캡슐제, 정제, 과립제, 산제 등 복용하기 쉬운 형태로 성형하여 섭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PPAR 리간드제 이외의 제제소재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적절히 첨가혼합해도 된다. 이러한 것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부형제, 붕괴제, 활택제, 결합제, 산화방지제, 착색제, 응집방지제, 흡수촉진제, 안정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성형제에서의 본 발명의 PPAR 리간드제의 함유량은 0.1 ∼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 90 중량% 가 좋다. 그리고, 음식물 재료에 혼합하여 추잉 검, 초컬릿, 사탕, 젤리, 비스킷, 크래커 등의 과자류, 아이스크림, 빙과 등의 냉과류, 차, 청량음료, 영양 드링크, 미용 드링크 등의 음료, 우동, 중화면, 스파게티, 즉석면 등의 면류, 가마보코, 관모양 어육, 다진 어육 등의 연제품, 드레싱, 마요네즈, 소스 등의 조미료, 마가린, 버터, 샐러드유 등의 유지류, 빵, 햄, 스프, 레토르트식품, 냉동식품 등 모든 음식물에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음식용 조성물을 섭취하는 경우, 그 섭취량은 본 발명의 PPAR 리간드제로서 성인 1 인 1 일당 0.1 ∼ 3,000 ㎎/㎏ 체중, 바람직하게는 1 ∼ 300 ㎎/㎏ 체중이 좋다. 또, 가축이나 애완동물용 사료나 애완동물식품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섭취량은 본 발명의 PPAR 리간드제로서 1 일당 0.1 ∼ 3,000 ㎎/㎏ 체중이 바람직하다.
의약품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그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캡슐제, 정제, 과립제, 산제, 주사제, 좌제, 첩부제 등을 들 수 있다. 제제화에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다른 제제 소재, 예를 들어 부형제, 붕괴제, 활택제, 결합제, 산화방지제, 착색제, 응집방지제, 흡수촉진제, 용해보조제, 안정화제 등을 적절히 첨가하여 조제할 수 있다. 이들 제제의 투여량으로는, 본 발명의 PPAR 리간드제로서 성인 1 인 1 일당 0.1 ∼ 3,000 ㎎/㎏ 체중, 바람직하게는 1 ∼ 300 ㎎/㎏ 체중을 1 회 내지 수 회로 나누어 투여한다. 또 가축이나 애완동물용 의약품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투여량은 본 발명의 PPAR 리간드제로서 1 일당 0.1 ∼ 3,000 ㎎/㎏ 체중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정제, 캡슐제 또는 산제의 형태이고, 또한 PPAR 리간드제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추출물을 1 제당 0.1 ㎎ ∼ 1,000 ㎎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PPAR 리간드제는 식물 유래의 추출물 성분 및 그 유연 화합물이고, 독성이 낮다고 생각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은 당도 등이 장해가 되는 식품에도 첨가할 수 있다. 또, 종래 보고되어 있는 PPARγ리간드인 고도 불포화 지방산류에 비하여 안정성이 높고, 식품이나 의약 조성물에 적합한 형상이라는 점도 우수하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감초로부터의 화합물 추출, 단리 (1)
감초 (G. 우랄렌시스:동북감초) 의 미분쇄품 1.2 ㎏ 을 아세트산 에틸 5.5 ℓ에 담가 실온ㆍ차광으로 7 일간 추출한 후 여과에 의해 추출액을 얻었다. 그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고 용매를 제거하여 추출물 74.0 g 을 얻었다. 그 추출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500 ㎖) 에 제공하여 클로로포름:메탄올 = 19:1 (v/v) 로 용출한 분획을 얻었다. 그 용출분획을 감압 농축하고 용매를 제거하여 조 분획 55.4 g 을 얻었다. 그 조분획으로부터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ODS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ODS 칼럼을 장착한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겔 여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분취 박상 크로마토그래피를 반복함으로써 정제하여 화합물 1 (225 ㎎), 화합물 2 (80.7 ㎎), 화합물 3 (19.6 ㎎), 화합물 4 (22.2 ㎎), 화합물 5 (3.9 ㎎), 화합물 6 (72.8 ㎎), 화합물 7 (28.3 ㎎), 화합물 8 (12.1 ㎎), 화합물 9 (6.8 ㎎), 화합물 10 (8.5 ㎎), 화합물 11 (58.7 ㎎), 화합물 12 (10.2 ㎎) 를 얻었다.
구조 해석 결과, 화합물 1 ∼ 3 및 5 ∼ 12 는 이미 알려져 있는 화합물이며, 각각 화합물 1 은 글리시쿠마린 (glycycoumarin), 화합물 2 는 글리시린 (glycyrin), 화합물 3 은 글리우랄린 B (glyurallin B), 화합물 5 는 에치나틴 (echinatin), 화합물 6 은 이소리코플라보놀 (isolicoflavonol), 화합물 7 은 데히드로글리아스페린 C (dehydroglyasperin C), 화합물 8 은 글리아스페린 B (glyasperin B), 화합물 9 는 글리시르이소플라바논 (glycyrrhisoflavanone), 화합물 10 은 루피와이테온 (lupiwighteone), 화합물 11 은 글리아스페린 D (glyasperin D), 화합물 12 는 세미리코이소플라본 B (semilicoisoflavone B) 로 동정되었다. 또, 이들 화합물의 구조 동정에 있어서, 화합물 1 은 S. Demizu, 등, 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36, 3474 ∼ 3479 (1988), 화합물 2 는 T. Kinoshita, 등, 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26, 135 ∼ 140 (1978), 화합물 3 및 7 은 M. Shibano, 등, Heterocycles, 45, 2053 ∼ 2060 (1997), 화합물 5 는 K. Kajiyama, 등, Phytochemistry, 31, 3229 ∼ 3232 (1992), 화합물 6 및 9 는 T. Hatano, 등, 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36, 2090 ∼ 2097 (1988), 화합물 8 및 11 은 L. Zeng, 등, Heterocycles, 34, 575 ∼ 587 (1992), 화합물 10 은 Y. Hashidoko, 등, Agricultural and Biological Chemistry, 50, 1797 ∼ 1807 (1986), 화합물 12 는 F. Kiuchi, 등, Heterocycles, 31, 629 ∼ 636 (1990) 에 기재된 스펙트럼 데이터를 참고로 하였다.
화합물 4 는 신규 화합물이며, 이차원 NMR (1H-1H COSY, HMQC, HMBC, PHNOESY) 을 중심으로 한 스펙트럼 해석에 의해 그 구조를 3-(2',4'-디히드록시페닐)-6-(3",3"-디메틸알릴)-5,7-디메톡시-2H-크로멘으로 결정하고, 데히드로글리아스페린 D (dehydroglyasperin D) 라 명명하였다,
화합물 4 의 성상 및 스펙트럼 데이터를 이하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감초로부터의 화합물 추출, 단리 (2)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감초 (G. 우랄렌시스) 의 미분쇄품으로부터 에탄올 추출하고 각종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여 화합물 13 ∼ 17 을 얻었다. 구조 해석 결과, 화합물 13 은 이소리퀴리티게닌 (isoliquiritigenin), 화합물 14 는 켐페롤 3-O-메틸에스테르 (kaempferol 3-O-methylester), 화합물 15 는 리코플라보놀 (licoflavonol), 화합물 16 은 토파졸린 (topazolin), 화합물 17 은 글리시르이소플라본 (glycyrrisoflavone) 으로 동정되었다.
(실시예 3) 감초로부터의 화합물 추출, 단리 (3)
실시예 1 또는 2 와 동일하게 감초 (G. 글라브라) 의 미분쇄품으로부터 에탄올 추출하여 화합물 18 ∼ 23 을, 감초 (G. 인플라타) 의 미분쇄품으로부터 에탄올 추출하여 화합물 24 ∼ 28 을 얻었다. 구조 해석 결과, 화합물 18 은 글라브리딘 (glabridin), 화합물 19 는 글라브렌 (glabrene), 화합물 20 은 히스파글라브리딘 B (hispaglabridin B), 화합물 21 은 4'-O-메틸글라브리딘 (4'-O-methylglabridin), 화합물 22 는 3'-히드록시-4'-O-메틸글라브리딘 (3'-hydroxy-4'-O-methylglabridin), 화합물 23 은 글라브롤 (glabrol), 화합물 24 는 리코칼콘 A (licochalcone A), 화합물 25 는 리코칼콘 B (licochalcone B), 화합물 26 은 리코칼콘 C (licochalcone C), 화합물 27 은 글리시르디온 A (glycyrdione A), 화합물 28 은 글리시르디온 C (glycyrdione C) 로 동정되었다,
화합물 1 ∼ 28 의 구조식을 표 10 ∼ 13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PPARγ리간드 활성의 측정
CV-1 세포 (수컷 아프리카 긴꼬리원숭이 신장 유래 배양세포) 를 96 웰 배양 플레이트에 6 ×103 세포/웰이 되도록 넣고 37℃, 5% CO2 조건하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배지에는 10% FBS (소태아 혈청), 10 ㎖/ℓ페니실린ㆍ스트렙토마이신 용액 (각각 5,000 IU/㎖, 5,000 ㎍/㎖, GIBCO 사), 37 ㎎/ℓ아스코르브산 (와코쥰야쿠공업주식회사) 을 함유하는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GIBCO 사) 을 사용하였다. 세포를 OPTI-MEM (GIBCO 사) 으로 세정한 후 pM-mPPARγ와 4 ×UASg-luc 를 리포펙토아민ㆍ플러스 (GIBCO 사) 를 사용하여 트랜스펙션하였다. 또, pM-mPPARγ는 효모 유래 전사 인자 GAL4 유전자 (아미노산 배열 1 ∼ 147) 와 마우스 PPARγ리간드 결합부위 유전자 (아미노산 배열 174 ∼ 475) 를 결합한 키메라단백 발현용 플라스미드이며, 4 ×UASg-luc 는 루시페라제 유전자의 상류에 GAL4 의 응답배열 (UASg) 을 4 회 도입한 리포터ㆍ플라스미드였다. 트랜스펙션의 약 24 시간 후 샘플을 포함하는 배지로 교환하여 24 시간 배양하였다 (n=4). 샘플은 디메틸술폭시드 (DMSO) 에 용해한 것을, 무처치 대조로는 DMSO 를 사용하여 배지에 1/1,000 량 첨가하였다. 세포를 Ca, Mg 함유 인산완충 생리식염수 (PBS+) 로 세정한 후 루크라이트 (Packard 사) 를 첨가하여, 톱 카운트ㆍ마이크로플레이트 신틸레이션/루미네센스 카운터 (Packard 사) 로 루시페라제의 발광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군과 마찬가지로, 대조군으로서 pM-mPPARγ대신에 pM (PPARγ리간드 결합부위 유전자를 제거한 플라스미드)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샘플에 관하여, 측정군 및 대조군의 발광강도의 평균값 (n=4) 의 비 (측정군/대조군) 를 산출하고 무처치 대조에 대한 비활성을 샘플의 PPARγ리간드 활성으로 하였다.
실시예 1 ∼ 3 에서 얻은 화합물 1 ∼ 28 의 PPARγ리간드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4 ∼ 17 에 나타내었다. 또, 비교화합물로서 감초의 성분인 글리시르리진 (글리시르리진산: glycyrrhizic acid:와코쥰야쿠공업주식회사), 글리시르레틴산 (glcyrrhetinic acid:와쿠쥰야쿠공업주식회사), 쿠에르세틴 (quercetin:Sigma 사) 의 PPARγ리간드 활성을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로서 트로글리타존 (산쿄주식회사) 을 사용하여 각 화합물의 PPARγ리간드 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1 ∼ 19, 21 ∼ 24, 26 및 27 에서, 트로글리타존 0.5 μM 보다도 강한 PPARγ리간드 활성이 인정되었다. 화합물 20, 25 및 28 에서는 트로글리타존 0.5 μM 보다도 약간 약하지만 PPARγ리간드 활성이 인정되었다. 그러나, 감초의 주요 성분이고 친수성 성분인 글리시르리진, 글리시르리진의 당 잔기가 가수분해된 글리시르레틴산, 및 쿠에르세틴 (화합물 6 의 프레닐기가 OH 기로 치환된 플라보놀 유도체) 에는 PPARγ리간드 활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또, 쿠에르세틴에 PPARγ리간드 활성이 없는 것은 문헌정보 (Liang, Y. C., 등, FEBS Letters, 496, 12 ∼ 18, 2001) 와도 일치하였다.
(실시예 5) 2형 당뇨병 모델ㆍ마우스에 대한 효과
유전적으로 비만을 나타내며 2형 당뇨병을 발증하는 모델 동물인 KK-Ay 마우스를 사용하여 화합물 2 의 당뇨병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였다. 양성 대조로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약ㆍ2형 당뇨병 치료약인 피오글리타존을 사용하였다.
KK-Ay 마우스 (♀, 15 주령) 를 3 군 (각 군 5 마리) 으로 나누어 분말 CE-2 (니혼크레아) 를 기본 사료로 하여 무첨가군 (대조군), 피오글리타존 첨가군, 화합물 2 첨가군을 자유 섭취하게 하였다. 피오글리타존은 액토스정 30 (1 정 중에 피오글리타존 30 ㎎ 을 함유, 다케다약품공업주식회사) 을 마노막자사발을 이용해 분쇄하여 피오글리타존 첨가량이 0.02% 가 되도록 기본 사료에 첨가하였다. 화합물 2 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조제한 것을 첨가량 0.1% 가 되도록 기본 사료에 첨가하였다. 투여 전일 및 투여 후 4일째에 마우스 미정맥으로부터 소량 채혈하여 간이식 혈당측정기 글루테스트에이스 (주식회사산와화학연구소) 를 사용하여 혈당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8 에 나타내었다.
먹이에 혼합한 투여를 1 주간 한 후, 마우스를 하룻밤 굶겨 당부하시험을 행하였다. 즉, 굶긴 마우스에게 0.5%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CMC-Na) 용액에 현탁한 피오글리타존을 20 ㎎/㎏, 또는 화합물 2 를 100 ㎎/㎏ 으로 강제 경구투여하였다. 무첨가군 (대조군) 은 0.5% CMC-Na 용액을 5 ㎖/㎏ 으로 투여하였다. 투여 30 분 후에 마우스에게 40% 수크로스 용액을 2 g/㎏ 으로 부하하였다. 당부하 전, 당부하 후 30 분, 1 시간, 2 시간째에 마우스 미정맥에서 소량 채혈하여 간이식 혈당측정기 글루테스트에이스 (주식회사산와화학연구소) 를 사용하여 혈당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9 에 나타내었다.
표 18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오글리타존과 마찬가지로 화합물 2 를 첨가한 먹이를 준 마우스의 혈당치 (평균 ±SE, n=5) 는 투여 4 일째에 통계적 유의하게 혈당값을 저하시켰다. 또, 표 19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합물 2 는 피오글리타존과 마찬가지로 당부하 후의 급격한 혈당치의 상승을 통계적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화합물 2 는 혈당 저하 작용 및 혈당 상승 억제 작용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어, 피오글리타존과 마찬가지로 인슐린 저항성 개선작용이 있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실시예 6)
감초 (G. 우랄렌시스:동북감초) 의 미분쇄품 (주식회사가네카산스파이스) 500 g 에 에탄올 (99.5 용량%) 5 ㎏ 을 첨가하여 25℃ 에서 5 시간 추출한 후, 잔사를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이 추출액으로부터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황갈색 ∼ 흑갈색의 감초 추출물 45 g 을 얻었다. 이 감초 추출물은 양호한 PPARγ리간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감초 추출물에 함유되는 PPARγ리간드 활성 성분 및 글리시르리진의 함량을 표 20 에 나타내었다.
또, 이들 활성성분과 글리시르리진의 함량은 하기 조건의 HPLC 분석에 의해 구하였다.
(글리시르리진 분석 조건)
칼럼;J' sphere ODS-H80 (와이엠씨) 4.6 ㎜ (내경) ×250 ㎜ (길이), 칼럼 온도;40℃, 이동상;아세토니트릴:10 mM 인산 수용액=33:67 (v/v), 유속 ; 1 ㎖/분, 검출 파장;254 ㎚, 글리시르리진의 유지 시간;27.1 분.
(활성성분 분석 조건)
칼럼;J' sphere ODS-H80 (와이엠씨) 4.6 ㎜ (내경) ×250 ㎜ (길이), 칼럼 온도;40℃, 이동상;10 mM 인산 수용액에 대하여 아세토니트릴의 비율을 분석 개시 15 분까지 35% 로 일정하게 하고, 15 분 이후 65 분 후에 70% 가 되도록 일정 비율로 상승시키고, 65 분 이후 70 분까지 70% 로 일정하게 하는 그라디엔트 조건, 유속 ; 1 ㎖/분, 검출 파장;254 ㎚. 각 성분의 유지 시간은 리코칼콘 B 가 5.2 분, 글리시르이소플라바논이 13.3 분, 이소리퀴리티게닌이 14.7 분, 글리시쿠마린이 32.7 분, 세미리코이소플라본 B 가 34.2 분, 글라브렌이 35.9 분, 글리시르이소플라본이 36.3 분, 데히드로글리아스페린 C 가 37.2 분, 리코칼콘 C 가 39.1 분, 리코칼콘 A 가 40.2 분, 글라브리딘이 44.7 분, 글리시린이 48.1 분, 글리아스페린 B 가 51.1 분, 글라브롤이 51.8 분, 글리아스페린 D 가 52.7 분, 글리시르디온 A 가 53.4 분, 3'-히드록시-4'-O-메틸글라브리딘이 53.5 분, 데히드로글리아스페린 D 가 55.2 분, 글리우랄린 B 가 58.7 분, 4'-O-메틸글라브리딘이 59.8 분, 글리시르디온 C 가 63.0 분, 히스파글라브리딘 B 가 74.1 분.
(실시예 7)
에탄올로 추출하는 대신 아세톤으로 추출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감초 추출물 18 g 을 얻었다. 얻어진 감초 추출물은 양호한 PPARγ리간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 이 감초 추출물에 함유되는 활성 성분 및 글리시르리진의 함량을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조사하여 표 21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에탄올로 추출하는 대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감초 추출물 18 g 을 얻었다. 얻어진 감초 추출물은 양호한 PPARγ리간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 이 감초 추출물에 함유되는 활성 성분 및 글리시르리진의 함량을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조사하여 표 22 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에탄올로 추출하는 대신 물로 추출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감초 추출물을 얻었다. 이 감초 추출물은 PPARγ리간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실시예 9)
감초 (G. 우랄렌시스;동북감초) 의 미분쇄품 (주식회사가네카산스파이스) 500 g 에 5 ㎏ 의 물을 첨가하여 60℃ 에서 1 일 추출한 후, 여과하여 잔사를 얻고 그것을 감압건조시켰다. 얻어진 전추출 잔사에 에탄올 (99.5 용량%) 2.5 ㎏ 을 가하여 25℃ 에서 5 시간 추출한 후, 잔사를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이 추출액으로부터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황갈색 ∼ 흑갈색의 감초 추출물 47 g 을 얻었다. 이 감초 추출물은 양호한 PPARγ리간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감초 추출물에 함유되는 PPARγ리간드 활성 성분 및 글리시르리진의 함량을 표 23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감초 (G. 우랄렌시스;동북감초) 의 절단품 (감초의 전표면적에서 차지하는 껍질 표면적의 비율이 약 8 할) 으로부터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99.5 및 95.0 용량% 의 에탄올 (함수율은 0.5 및 5.0 용량%) 로 추출하여 감초 추출물 각각 25.8 g, 29.5 g 을 얻었다. 이들 감초 추출물은 양호한 PPARγ리간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감초 추출물에 함유되는 PPARγ리간드 활성 성분 및 글리시르리진의 함량을 표 24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감초 (G. 글라브라) 의 미분쇄품으로부터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감초 추출물을 얻었다. 얻어진 감초 추출물은 양호한 PPARγ리간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 이 감초 추출물에 함유되는 활성 성분 및 글리시르리진의 함량을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조사하여 표 25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감초 (G. 인플라타) 의 미분쇄품으로부터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감초 추출물을 얻었다. 얻어진 감초 추출물은 양호한 PPARγ리간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 이 감초 추출물에 함유되는 활성 성분 및 글리시르리진의 함량을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조사하여 표 26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3)
실시예 6 에서 얻어진 감초 추출물에 옥수수전분, 젖당, 카르복실메틸셀룰로스,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혼합하고, 또한 폴리비닐피롤리돈의 수용액을 결합제로서 첨가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과립화하였다. 여기에 탈크를 넣어 혼합한 후 타정하여 하기 조성의 정제를 얻었다.
감초 추출물 10 중량부
옥수수 전분 25 중량부
젖당 15 중량부
카르복실메틸셀룰로스 10 중량부
스테아르산마그네슘 3 중량부
폴리비닐피롤리돈 5 중량부
탈크 10 중량부
본 발명에 의하면,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PPAR) 리간드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슐린 저항성의 개선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또는 개선제로서 유용하다.

Claims (69)

  1. 프레닐플라보노이드, 및 의약상 또는 음식상 허용되는 그 염, 배당체 (glycoside) 및 에스테르화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으로 이루어지는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3-아릴쿠마린 유도체, 이소플라브-3-엔 유도체, 이소플라반 유도체, 이소플라바논 유도체, 이소플라본 유도체, 플라보놀 유도체, 플라바논 유도체, 칼콘 유도체 및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인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화학식 (1) 로 나타내는 3-아릴쿠마린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1)
    [R1 ∼ R7 중 하나 이상은 프레닐기, 또는 인접하는 2 개의 R 이 -CH=CHC(CH3)2O- 인 6원 고리를 형성한 구조이며, 그 외는 H, OH 또는 OCH3 이다].
  4. 제 3 항에 있어서, 화학식 (1) 로 나타내는 3-아릴쿠마린 유도체가 글리시쿠마린 또는 글리시린인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화학식 (2) 로 나타내는 이소플라브-3-엔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2)
    [R1 ∼ R7 중 하나 이상은 프레닐기, 또는 인접하는 2 개의 R 이 -CH=CHC(CH3)2O- 인 6원 고리를 형성한 구조이며, 그 외는 H, OH 또는 OCH3 이다].
  6. 제 5 항에 있어서, 화학식 (2) 로 나타내는 이소플라브-3-엔 유도체가, 데히드로글리아스페린 D, 데히드로글리아스페린 C 또는 글라브렌인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화학식 (3) 으로 나타내는 이소플라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3)
    [R1 ∼ R7 중 하나 이상은 프레닐기, 또는 인접하는 2 개의 R 이 -CH=CHC(CH3)2O- 인 6원 고리를 형성한 구조이며, 그 외는 H, OH 또는 OCH3 이다].
  8. 제 7 항에 있어서, 화학식 (3) 으로 나타내는 이소플라반 유도체가, 글리아스페린 D, 글라브리딘, 히스파글라브리딘 B, 4'-O-메틸글라브리딘 또는 3'-히드록시-4'-O-메틸글라브리딘인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화학식 (4) 로 나타내는 이소플라바논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4)
    [R1 ∼ R8 중 하나 이상은 프레닐기, 또는 인접하는 2 개의 R 이 -CH=CHC(CH3)2O- 인 6원 고리를 형성한 구조이며, 그 외는 H, OH 또는 OCH3 이다].
  10. 제 9 항에 있어서, 화학식 (4) 로 나타내는 이소플라바논 유도체가, 글리아스페린 B 또는 글리시르이소플라바논인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화학식 (5) 로 나타내는 이소플라본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5)
    [R1 ∼ R9 중 하나 이상은 프레닐기, 또는 인접하는 2 개의 R 이 -CH=CHC(CH3)2O- 인 6원 고리를 형성한 구조이며, 그 외는 H, OH 또는 OCH3 이다].
  12. 제 11 항에 있어서, 화학식 (5) 로 나타내는 이소플라본 유도체가, 글리우랄린 B, 루피와이테온, 세미리코이소플라본 B 또는 글리시르이소플라본인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화학식 (6) 으로 나타내는 플라보놀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6)
    [R1 은 OH 또는 OCH3 이고, R2 ∼ R9 중 하나 이상은 프레닐기, 또는 인접하는 2 개의 R 이 -CH=CHC(CH3)2O- 인 6원 고리를 형성한 구조이며, 그 외는 H, OH 또는 OCH 3 이다].
  14. 제 13 항에 있어서, 화학식 (6) 으로 나타내는 플라보놀 유도체가, 이소리코플라보놀, 리코플라보놀 또는 토파졸린인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화학식 (7) 로 나타내는 플라바논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7)
    [R1 ∼ R8 중 하나 이상은 프레닐기, 또는 인접하는 2 개의 R 이 -CH=CHC(CH3)2O- 인 6원 고리를 형성한 구조이며, 그 외는 H, OH 또는 OCH3 이다].
  16. 제 15 항에 있어서, 화학식 (7) 로 나타내는 플라바논 유도체가, 글라브롤인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화학식 (8) 로 나타내는 칼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8)
    [R1 ∼ R9 중 하나 이상은 프레닐기, 또는 인접하는 2 개의 R 이 -CH=CHC(CH3)2O- 인 6원 고리를 형성한 구조이며, 그 외는 H, OH 또는 OCH3 이다].
  18. 제 17 항에 있어서, 화학식 (8) 로 나타내는 칼콘 유도체가, 리코칼콘 C 인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화학식 (9) 로 나타내는 디벤조일메탄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9)
    [R1 ∼ R7 중 하나 이상은 프레닐기, 또는 인접하는 2 개의 R 이 -CH=CHC(CH3)2O- 인 6원 고리를 형성한 구조이며, 그 외는 H, OH 또는 OCH3 이다].
  20. 제 19 항에 있어서, 화학식 (9) 로 나타내는 디벤조일메탄 유도체가, 글리시르디온 A 또는 글리시르디온 C 인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21.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아닌 칼콘 유도체, 및 의약상 또는 음식상 허용되는 그 염, 배당체 및 에스테르화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으로 이루어지는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22. 제 21 항에 있어서,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아닌 칼콘 유도체가, 에치나틴, 이소리퀴리티게닌, 리코칼콘 A 또는 리코칼콘 B 인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23.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아닌 플라보놀 유도체, 및 의약상 또는 음식상 허용되는 그 염, 배당체 및 에스테르화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으로 이루어지는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24. 제 23 항에 있어서, 프레닐플라보노이드가 아닌 플라보놀 유도체가, 켐페롤 3-O-메틸에스테르인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가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γ인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26. 식: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27.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유래 추출물.
  28. 제 27 항에 있어서, 유기용매로 추출된 추출물.
  29. 제 27 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 추출물 중에,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를, 건체 (dry weight) 기준으로 5 중량% 이상 함유하는 추출물.
  30. 제 27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물 중에, 글리시쿠마린, 글리시린, 데히드로글리아스페린 C, 데히드로글리아스페린 D, 글리아스페린 B 및 글리아스페린 D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을, 건체 기준으로 0.5 중량% 이상 함유하는 추출물.
  31. 제 27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물 중에, 글리시쿠마린, 글리시린, 데히드로글리아스페린 C, 데히드로글리아스페린 D, 글리아스페린 B 및 글리아스페린 D 를, 건체 기준으로 각각 0.5 중량% 이상 함유하는 추출물.
  32. 제 27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물 중에, 글리시르이소플라바논, 글리시르이소플라본, 글리우랄린 B, 세미리코이소플라본 B 및 이소리퀴리티게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을, 건체 기준으로 0.01 중량% 이상 함유하는 추출물.
  33. 제 27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물 중에, 글리시르이소플라바논, 글리시르이소플라본, 글리우랄린 B, 세미리코이소플라본 B 및 이소리퀴리티게닌을, 건체 기준으로 각각 0.01 중량% 이상 함유하는 추출물.
  34. 제 27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물 중에, 글라브렌, 글라브리딘, 글라브롤, 3'-히드록시-4'-O-메틸글라브리딘, 4'-O-메틸글라브리딘 및 히스파글라브리딘 B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을, 건체 기준으로 0.5 중량% 이상 함유하는 추출물.
  35. 제 27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물 중에, 글라브렌, 글라브리딘, 글라브롤, 3'-히드록시-4'-O-메틸글라브리딘, 4'-O-메틸글라브리딘 및 히스파글라브리딘 B 를, 건체 기준으로 각각 0.5 중량% 이상 함유하는 추출물.
  36. 제 27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물 중에, 리코칼콘 A, 리코칼콘 B, 리코칼콘 C, 글리시르디온 A 및 글리시르디온 C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을, 건체 기준으로 0.5 중량% 이상 함유하는 추출물.
  37. 제 27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물 중에, 리코칼콘 A, 리코칼콘 B, 리코칼콘 C, 글리시르디온 A 및 글리시르디온 C 를, 건체 기준으로 각각 0.5 중량% 이상 함유하는 추출물.
  38. 제 27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리시르리진 함량이 건체 기준으로 0.001 중량% 이상 0.5 중량% 이하인 추출물.
  39. 제 27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초 (licorice) 유래인 추출물.
  40. 제 39 항에 있어서, 감초가, 글리시르리자ㆍ우랄렌시스, 글리시르리자ㆍ글라브라, 글리시르리자ㆍ인플라타 및 글리시르리자ㆍ에치나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추출물.
  41. 제 39 항에 있어서, 감초가 글리시르리자ㆍ우랄렌시스인 추출물.
  42. 제 39 항에 있어서, 감초가 글리시르리자ㆍ글라브라인 추출물.
  43. 제 39 항에 있어서, 감초가 글리시르리자ㆍ인플라타인 추출물.
  44.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영역에 결합하는 능력을 갖는 프레닐플라보노이드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 저항성의 개선,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
  45. 제 44 항에 있어서,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은, 고인슐린혈증, 당뇨병, 지질대사이상, 비만, 고혈압 및 동맥경화성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증상 또는 질환인 조성물.
  46. 제 45 항에 있어서, 증상 또는 질환이 당뇨병인 조성물.
  47.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영역에 결합하는 능력을 갖는 프레닐플라보노이드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또는 암의 예방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
  48.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 저항성의 개선,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
  49. 제 48 항에 있어서,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은, 고인슐린혈증, 당뇨병, 지질대사이상, 비만, 고혈압 및 동맥경화성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증상 또는 질환인 조성물.
  50. 제 49 항에 있어서, 증상 또는 질환이 당뇨병인 조성물.
  51.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또는 암의 예방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
  52. 제 44 항 내지 제 5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의 리간드 결합영역에 결합하는 능력을 갖는 프레닐플라보노이드 또는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로서, 제 27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53. 제 44 항 내지 제 5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식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4. 제 44 항 내지 제 5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5. 제 44 항 내지 제 5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축 또는 애완동물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6. 제 44 항 내지 제 5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제, 캡슐제, 과립제 또는 산제의 형태인 조성물.
  57. 제 56 항에 있어서, 제 27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추출물을 1 제당 0.1 ㎎ ∼ 1,000 ㎎ 함유하는 조성물.
  58. 전표면적에서 차지하는 껍질 면적의 비율이 3 할 이상인 감초에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39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59. 제 58 항에 있어서, 감초가 절단품 또는 주피 (周皮)) 인 제조 방법.
  60. 제 58 항에 있어서, 감초가 절단품인 제조 방법.
  61. 감초를 지방산 에스테르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39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62. 제 61 항에 있어서, 지방산 에스테르가 아세트산 에틸인 제조 방법.
  63. 감초를 수용성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39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64. 제 63 항에 있어서, 수용성 유기용매가 탄소수 1 ∼ 4 의 1가 알코올,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제조 방법.
  65. 제 63 항에 있어서, 수용성 유기용매가 에탄올,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제조 방법.
  66. 제 63 항에 있어서, 수용성 유기용매가 에탄올인 제조 방법.
  67. 함수율이 30 용량% 이하인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감초에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39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68. 제 58 항 내지 제 6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 후, 흡착 처리 및/또는 분별에 의해 정제하는 조작을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 방법.
  69. 제 58 항 내지 제 6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초로부터의 추출, 및/또는 그 후의 조작을 탈산소 분위기하에서 행하는 제조 방법.
KR1020047005258A 2001-10-11 2002-10-11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351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13816 2001-10-11
JPJP-P-2001-00313816 2001-10-11
JP2002006304 2002-01-15
JPJP-P-2002-00006304 2002-01-15
JPJP-P-2002-00042466 2002-02-20
JP2002042466 2002-02-20
JP2002226486 2002-08-02
JPJP-P-2002-00226486 2002-08-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142A true KR20050035142A (ko) 2005-04-15

Family

ID=27482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258A KR20050035142A (ko) 2001-10-11 2002-10-11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7524975B2 (ko)
EP (1) EP1440688A4 (ko)
JP (1) JPWO2003037316A1 (ko)
KR (1) KR20050035142A (ko)
CN (1) CN1599602A (ko)
CA (1) CA2460134A1 (ko)
IL (1) IL160964A0 (ko)
NO (1) NO20041921L (ko)
WO (1) WO200303731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624B1 (ko) * 2009-06-17 2011-05-1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디디에이에이치를 활성화시키는 감초 유래의 칼콘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췌장 베타세포 사멸 및 당뇨병성 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04263A1 (ko) * 2016-06-29 2018-01-04 주식회사 글라세움 광학 활성 피라노크로메닐페놀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WO2022031092A1 (ko) * 2020-08-05 2022-02-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Gancaonin 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416037A (en) * 2002-02-20 2004-09-01 Kanegafuchi Chemical Ind Process for producing hydrophobic glycyrrhiza extract with high qualities
TW200427410A (en) * 2003-01-24 2004-12-16 Kaneka Corp Processed fat compositions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lifestyle-related diseases
KR20060005408A (ko) * 2003-05-02 2006-01-17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치료제
TW200513194A (en) * 2003-07-31 2005-04-16 Kaneka Corp Fat and oil processed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or amelioration of life-style related disease
US20070128236A1 (en) * 2003-10-24 2007-06-07 Native Fire Actives Pty Ltd. Extraction process
DE10357452A1 (de) * 2003-12-03 2005-06-30 Beiersdorf Ag Kosmet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Licochalcon A oder einem Extrakt aus Radix Glycyrrhizae inflatae, enthaltend Licochalcon A, und organischen Verdicker
US8017634B2 (en) * 2003-12-29 2011-09-13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Compositions for treating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disorders
EP1708689A2 (en) * 2003-12-29 2006-10-11 The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Compositions for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disorders
EA011305B1 (ru) 2004-01-08 2009-02-27 Жанфит Производные 1,3-дифенилпроп-2-ен-1-она,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е
WO2005074906A1 (ja) * 2004-02-06 2005-08-18 Takara Bio Inc. 治療剤
JP2005320281A (ja) * 2004-05-10 2005-11-17 Shiratori Pharmaceutical Co Ltd インスリン分泌促進剤及び飲食品
TW200612902A (en) * 2004-05-13 2006-05-01 Kaneka Corp Inhibiting agents for lipase or cholesterol esterase, and absorption suppressing agents for neutral fat, cholesterol, or cholesterol ester
US20060003410A1 (en) * 2004-06-10 2006-01-05 Lee-Ming Chuang Prostaglandin reductase
CA2574898C (en) * 2004-07-23 2011-12-20 Tsung-Chung Lin Immune modulation and anti-allergy activities of zingiber zerumbet
JP5473191B2 (ja) * 2004-11-08 2014-04-16 アークレイ株式会社 ペルオキシソーム増殖剤応答性受容体(ppar)活性化剤、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医薬、サプリメント、機能性食品および食品添加物
US20080188549A1 (en) * 2005-02-09 2008-08-07 Kaneka Corporatio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 and Insulin Resistance Syndrome
US20090041876A1 (en) * 2005-03-30 2009-02-12 Kaneka Corporation Oil/fat-containing composition for suppression of carcinogenesis
WO2006138418A2 (en) 2005-06-14 2006-12-28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Improvement of cognitive performance with sirtuin activators
JP2008543901A (ja) * 2005-06-24 2008-12-04 ディーエスエム アイピー アセッツ ビー.ブイ. グルコース代謝障害の処置のための医薬品
US20070149466A1 (en) * 2005-07-07 2007-06-28 Michael Milburn Methods and related compositions for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insulin resistance disorders, and mitochondrial-associated disorders
JP2007063161A (ja) * 2005-08-30 2007-03-15 Kaneka Corp 急性相反応タンパク質転写抑制活性剤。
JP2007119429A (ja) * 2005-10-31 2007-05-17 Ichimaru Pharcos Co Ltd ペルオキシソーム増殖剤応答性受容体活性化剤
JP4954531B2 (ja) * 2005-10-31 2012-06-20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ペルオキシソーム増殖剤応答性受容体活性化剤
JP4732854B2 (ja) * 2005-10-31 2011-07-27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ペルオキシソーム増殖剤応答性受容体活性化剤
KR20070052211A (ko) * 2005-11-16 2007-05-21 주식회사 엠디바이오알파 글라브리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질환 증후군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WO2007060992A1 (ja) * 2005-11-25 2007-05-31 Kaneka Corporation 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もしくはインスリン抵抗性症候群の予防または改善剤
JP5246833B2 (ja) * 2005-12-16 2013-07-24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アディポネクチン産生増強剤
JP5246834B2 (ja) * 2005-12-27 2013-07-24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アディポネクチン産生強化剤
JP5158742B2 (ja) * 2006-11-10 2013-03-06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炎症性インターロイキン産生抑制剤
NZ580963A (en) * 2007-04-11 2012-08-31 Omeros Corp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addictions
US20160331729A9 (en) 2007-04-11 2016-11-17 Omeros Corpor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addictions
US11241420B2 (en) 2007-04-11 2022-02-08 Omeros Corpor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addictions
US8877266B2 (en) 2007-05-02 2014-11-04 Tom's Of Maine, Inc. Supercritical CO2 liquorice extract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isolates and products made there from
US8236360B2 (en) * 2007-05-02 2012-08-07 Tom's Of Maine, Inc. Supercritical CO2 liquorice extract and products made there from
US20080274063A1 (en) * 2007-05-02 2008-11-06 Chantal Bergeron Supercritical CO2 liquorice extract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isolates and products made there from
US20080286254A1 (en) * 2007-05-17 2008-11-20 Kaneka Corporation Composition comprising licorice polyphenol
JP2009001523A (ja) * 2007-06-22 2009-01-08 Maruzen Pharmaceut Co Ltd 抗男性ホルモン剤、育毛剤及び頭髪化粧料
JP5364580B2 (ja) 2007-08-22 2013-12-11 株式会社カネカ 還元型補酵素q10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安定化方法
WO2009026657A1 (en) * 2007-08-29 2009-03-05 The University Of Sydney Flavonoid ppar agonists
CN101434592B (zh) * 2008-12-19 2014-06-25 沈阳药科大学 朝鲜槐中提取的黄酮类化合物
KR101052594B1 (ko) 2009-03-10 2011-07-2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디아실 코에이: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 저해활성을 갖는감초 추출물, 이의 용매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SG185397A1 (en) 2010-05-17 2012-12-28 Genfit Improved preparation of chalcone derivatives
RU2016124136A (ru) 2010-08-18 2018-12-03 СЭМЬЮМЕД, ЭлЭлСи Дикетоны и гидроксикетоны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атора сигнального пути катенина
JP6010281B2 (ja) * 2011-03-03 2016-10-19 株式会社カネカ 筋肉増量剤
US10894070B2 (en) 2011-04-01 2021-01-19 James Zhou Drug compound for the control of blood glucose, blood lipids and weight
KR101060942B1 (ko) * 2011-04-21 2011-08-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리코찰콘 a의 신규 용도
US10071945B2 (en) 2011-06-15 2018-09-1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uclear receptor modulators and their use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ancer
TWI417088B (zh) * 2011-08-10 2013-12-01 Univ Kaohsiung Medical 用於治療糖尿病及新陳代謝疾病的組合物及其製備方法
JP6036193B2 (ja) * 2012-11-09 2016-11-30 国立大学法人富山大学 インフラマソーム活性制御剤
DK2968249T3 (en) 2013-02-22 2019-03-04 Samumed Llc GAMMA DIKETONS AS WNT / BETA-CATENIN SIGNAL ROAD ACTIVATORS
CN103565800B (zh) * 2013-10-30 2015-06-17 中国农业大学 甘草香豆素在制备用于预防/治疗酒精性肝损伤的产品中的应用
KR102344479B1 (ko) * 2013-12-24 2021-12-29 주식회사 글라세움 피라노크로메닐페놀 유도체, 및 대사증후군 또는 염증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6289218B2 (ja) * 2014-03-31 2018-03-07 大阪瓦斯株式会社 PPARα活性組成物の活性化方法
US10045540B2 (en) 2014-04-01 2018-08-14 Fayetteville State University Pest control composition
LT3206686T (lt) 2014-08-20 2020-01-10 Samumed, Llc Gama-diketonai, skirti senėjančios odos ir raukšlių gydymui ir profilaktikai
CN105232501B (zh) * 2015-11-17 2019-01-08 北京大学 刺甘草査尔酮的用途
CN105582005B (zh) * 2015-12-11 2018-06-19 北京大学 甘草中一类异戊烯基异黄酮类化合物的医药用途
CN105963291B (zh) * 2016-06-02 2019-05-24 上海中医药大学 异补骨脂二氢黄酮及其类似物的医药用途
CN106580951B (zh) * 2016-11-17 2019-07-30 珠海雅光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黄烷酮化合物的新用途
CN108997296B (zh) * 2018-08-18 2022-02-18 内蒙古大学 几种异戊烯基二氢茋和异戊烯基黄酮的结构和用途
CN110872267B (zh) * 2018-08-30 2022-07-08 复旦大学 一种从构树中提取的化合物及其在制备蛋白酪氨酸磷酸酶1b抑制剂中的用途
CN110872306B (zh) * 2018-08-30 2022-03-22 复旦大学 一种从藤构中提取的化合物及其在制药中的用途
CN109223762A (zh) * 2018-09-26 2019-01-18 兰州大学第医院 光甘草素在制备抗癌药物中的应用
CN109232603B (zh) * 2018-10-29 2020-12-22 陕西师范大学 一种光甘草定的合成方法
WO2020153413A1 (ja) * 2019-01-22 2020-07-30 株式会社 沖縄リサーチセンター PPARγ活性化用組成物及び糖取込み促進能向上用組成物
CN110772504B (zh) * 2019-02-27 2021-06-22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五医学中心 刺甘草查尔酮作为抑制剂的用途
CN110025603A (zh) * 2019-05-15 2019-07-19 大连天星本草生物科技有限公司 补骨脂查尔酮类化合物在制备治疗肥胖症的药物中的应用
CN111714489A (zh) * 2019-12-10 2020-09-29 德萌达生物医药科技(杭州)有限公司 对肿瘤具有杀伤作用的双拓扑异构酶抑制剂及其制备方法
CN112047916A (zh) * 2020-09-21 2020-12-08 苏州昊帆生物股份有限公司 异甘草黄酮醇的合成方法
CN112791081A (zh) * 2021-01-26 2021-05-14 云南农业大学 怀特酮在制备肺癌治疗药物中的应用
CN113332294A (zh) * 2021-05-25 2021-09-03 成都中医药大学 一种中药甘草抗肿瘤活性成分配伍组合物
CN114031625B (zh) * 2021-11-22 2023-05-30 兰州大学 甘草中具有抗结直肠癌活性的化合物制备及其应用
CN117603175A (zh) * 2023-11-27 2024-02-27 南开大学 一种苯并吡喃结构的查尔酮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9025A (en) * 1988-11-25 1992-04-28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Therapeutic agent for penal disorders
JP2753719B2 (ja) 1988-12-15 1998-05-20 日本油脂株式会社 リポソーム製剤の製造法
JPH0368157A (ja) * 1989-08-05 1991-03-25 Mitsubishi Electric Corp 高周波用厚膜集積回路装置
JPH0368517A (ja) * 1989-08-08 1991-03-25 Tsumura & Co アルドースリダクターゼ阻害剤
JPH04297418A (ja) * 1991-02-07 1992-10-21 Sumitomo Metal Ind Ltd 血小板凝集抑制剤および白血球活性化抑制剤
EP0499015A1 (en) 1991-02-15 1992-08-19 Fockerman, Jasmine Benzopyran phenol derivates for use as antibacterial, antiviral or immunostimulating agents
JP3052104B2 (ja) * 1992-11-19 2000-06-12 丸善製薬株式会社 皮膚化粧料
JPH07165588A (ja) * 1993-12-13 1995-06-27 Tsumura & Co 脳機能改善剤
JPH0873337A (ja) 1994-09-07 1996-03-19 Ogawa Koryo Kk 外用剤組成物
US6251400B1 (en) * 1997-09-26 2001-06-26 Kgk Synergize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ment of neoplastic diseases and hypercholesterolemia with citrus limonoids and flavonoids and tocotrienols
JP3069686B2 (ja) 1997-12-08 2000-07-24 農林水産省四国農業試験場長 フラバノン類含有組成物
EP1057825A4 (en) * 1998-01-27 2001-10-24 Shionogi & Co ISOFLAVANE DERIVATIVES AND IMMUNOSTIMUL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3648587B2 (ja) * 1998-03-04 2005-05-18 サンスター株式会社 歯周病予防又は歯周病進行予防食品組成物
JP3542284B2 (ja) * 1998-09-08 2004-07-14 シマノ シンガポール ピーティーイー.リミテッド. 釣り用リール
JP2982872B1 (ja) * 1998-09-10 1999-11-29 有限会社松川化学 痩身用皮膚外用剤
KR20000019716A (ko) 1998-09-15 2000-04-15 박호군 바이오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혈당 강하용 조성물
JP4418550B2 (ja) 1999-02-17 2010-02-17 丸善製薬株式会社 疎水性甘草エキス含有組成物
JP2000355538A (ja) 1999-04-15 2000-12-26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ペルオキシゾーム活性化剤応答性受容体アゴニスト
IL150260A0 (en) 2000-01-28 2002-12-01 Novo Nordisk As Propionic acid derivative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and obesity
KR100472694B1 (ko) 2000-12-30 2005-03-0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플라바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혈중 지질 농도 관련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624B1 (ko) * 2009-06-17 2011-05-1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디디에이에이치를 활성화시키는 감초 유래의 칼콘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췌장 베타세포 사멸 및 당뇨병성 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04263A1 (ko) * 2016-06-29 2018-01-04 주식회사 글라세움 광학 활성 피라노크로메닐페놀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US11332475B2 (en) 2016-06-29 2022-05-17 Glaceum, Inc. Optically active pyranochromenyl phenol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me
WO2022031092A1 (ko) * 2020-08-05 2022-02-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Gancaonin 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60964A0 (en) 2004-08-31
NO20041921L (no) 2004-07-06
US20090036519A1 (en) 2009-02-05
CA2460134A1 (en) 2003-05-08
JPWO2003037316A1 (ja) 2005-02-17
EP1440688A4 (en) 2005-11-30
US7524975B2 (en) 2009-04-28
EP1440688A1 (en) 2004-07-28
US7888388B2 (en) 2011-02-15
NO20041921D0 (no) 2004-05-10
WO2003037316A1 (fr) 2003-05-08
CN1599602A (zh) 2005-03-23
US20050014819A1 (en) 200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35142A (ko) 페록시좀 증식제 응답성 수용체 리간드제 및 그 제조 방법
Muñoz-Bernal et al. Cardioprotective effect of red wine and grape pomace
JP4719372B2 (ja) Ppar依存的遺伝子転写活性化剤
KR20170132705A (ko)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07060992A1 (ja) 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もしくはインスリン抵抗性症候群の予防または改善剤
EP2163252A1 (en) Composition containing licorice-derived polyphenol
CA2910250C (en) A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and rhizoma coptidis and use thereof for treating colitis
KR100883992B1 (ko)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080188549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 and Insulin Resistance Syndrome
JP2004161656A (ja) ペルオキシソーム増殖剤応答性受容体リガンド剤
KR20210130588A (ko)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WO2017082479A1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070049811A (ko) 신규한 카테콜릭 잔톤 계열 화합물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카테콜릭 잔톤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6273788A (ja) Pparリガンド活性を有する植物由来の組成物
RU2317077C2 (ru) Лиганд рецептора, активируемого пролифератором пероксисом,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JP7185990B2 (ja) アディポネクチン分泌促進剤、脂肪前駆細胞分化促進剤並びにそれらを含む医薬組成物、食品及び飼料
KR20110122961A (ko) 헴프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7022917A (ja) Pparリガンド活性を有する植物由来の組成物
JPWO2004045632A1 (ja) ペルオキシソーム増殖剤応答性受容体リガンド剤
KR100991398B1 (ko) 쇠꼬리산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조성물
WO2020153413A1 (ja) PPARγ活性化用組成物及び糖取込み促進能向上用組成物
JP2005320292A (ja) ペルオキシソーム増殖剤応答性受容体リガンド剤
JPWO2002080904A1 (ja) 肝機能保護または改善剤
KR101059308B1 (ko) 불가사리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0215544A (ja) 血管新生抑制剤、これを含有する医薬、血管新生抑制剤を産生させる整腸剤、並びに、血管新生抑制剤の投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