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992B1 -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992B1
KR100883992B1 KR1020060109551A KR20060109551A KR100883992B1 KR 100883992 B1 KR100883992 B1 KR 100883992B1 KR 1020060109551 A KR1020060109551 A KR 1020060109551A KR 20060109551 A KR20060109551 A KR 20060109551A KR 100883992 B1 KR100883992 B1 KR 100883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hopi
prevention
compoun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1441A (ko
Inventor
정태숙
이우송
박호용
박용대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09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992B1/ko
Publication of KR20080041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8Zanthoxylum, e.g.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Abstract

본 발명은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초피나무 지상부 또는 열매껍질에서 추출한 초피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심장질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은 아실-코에이:콜레스테롤 아실전이효소 (acyl-CoA:cholestyerol acyltransferase)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콜레스테릴 에스테르의 합성 및 축적에 의해 유발되는 고지혈증, 동맥경화, 관상동맥 심장병 및 심근경색 등과 같은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초피 추출물, 산스울계 화합물, 아실-코에이:콜레스테롤 아실전이효소, 심혈관계 질환

Description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of Zanthoxylum piperitum DC or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본 발명은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피나무 지상부 또는 열매껍질에서 추출한 초피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심장질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성인병 증가와 아울러 동맥경화증 등 혈관장애질환이 많이 증가하고 있다. 동맥경화증은 동맥이 비후되고 경화되어 탄력을 잃고 약해진 것으로서, 노화와 더불어 발생하는 주요 질환 중의 하나이다. 동맥경화는 뇌동맥 또는 관상동맥에서 일어나기 쉬운데, 뇌동맥경화증의 경우에는 두통, 현기증, 정신장애를 나타내고 뇌연화증의 원인이 되며 관상동맥경화증의 경우에는 심장부에 동통과 부정맥을 일으켜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로 인해 고혈압, 심장병, 뇌일혈 등이 유발되어, 동맥경화증으로 인한 질병이 현대 사회에 있어, 특히 50~60대의 남성들에게 가장 큰 사망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심혈관계 질환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으면 발병하는 것으로,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콜레스테롤 및 지방의 섭취를 줄이는 식이요법을 시행하거나 지질대사와 관련된 효소를 저해함으로써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억제해야 한다. 따라서,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을 목적으로 혈중 총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출 수 있는 약물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그 결과, 인체 내에서 콜레스테롤의 생합성을 저해하는 물질들이 다수 개발되어 상품화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들에 의한 부작용들이 보고되면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보다 선택적으로 혈중 콜레스테롤만을 조절할 수 있는 화합물을 찾기 위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행해지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아실-코에이:콜레스테롤 아실전이효소(acyl-CoA:cholesterol acyltransferase; ACAT)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ACAT는 일반적으로 콜레스테롤을 에스테르화하는 효소로서, 그 작용 기작은 크게 체내의 세 부위(장, 간, 및 혈관벽 세포)에서 일어난다.
첫째, 장에서 ACAT는 섭취된 콜레스테롤을 에스테르의 형태로 바꾸어 장내로 흡수되는 것을 촉진시킨다. 둘째, 외부로부터 흡수되거나 체내에서 생합성된 콜레스테롤은 간에서 VLDL(very low-density lipoprotein)이라는 운반체 안에 축적된 후 혈관을 통해 신체 각 기관으로 공급되는데, 이때 ACAT에 의하여 콜레스테롤이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형태로 전환됨으로써 운반체 내에 콜레스테롤 축적이 가능하 게 된다. 셋째, 동맥 혈관벽을 이루는 세포내에서 ACAT는 콜레스테롤을 그의 에스테르 형태로 전환시켜 세포내에 콜레스테롤이 축적되는 것을 촉진시키는데, 이는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또한, ACAT 활성에 의해 거품세포가 콜레스테롤로부터 유도된 다량의 콜레스테릴 에스테르를 포함하기 때문에, 실험적, 임상적인 측면에서 대식세포와 평활근세포로부터 유도된 거품세포의 형성은 매우 중요하다. 혈관벽 내의 거품세포의 증식은 ACAT 활성 증가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강력한 항동맥경화제로써 ACAT 저해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ACAT의 활성을 억제하는 약물은 첫째, 장내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억제하여 체내로 유입되는 콜레스테롤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둘째, 간에서 혈관 내로 콜레스테롤이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떨어뜨릴 수 있고, 셋째, 혈관벽 세포에 콜레스테롤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직접적으로 동맥경화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 보고된 ACAT 활성 저해제는 쥐간 마이크로좀 ACAT 또는 쥐간 대식세포(J774) ACAT에 대한 활성 저해제가 있다. 인간의 ACAT는 인간 ACAT-1 및 인간 ACAT-2가 있는데, 인간 ACAT-1(50 kDa)은 성인의 간, 부신, 대식세포, 신장에서 주로 작용하며, 인간 ACAT-2(46 kDa)는 소장에서 작용한다(Rudel, L. L. et al., Curr. Opin. Lipidol 12: 121-127, 2001). 인간 ACAT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은 음식으로부터 유입되는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억제하고, 혈관내벽에 콜레스테릴 에스 테르의 축적을 억제하는 기작을 통해 고콜레스테롤증, 콜레스테롤 결석 또는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제의 표적이 되고 있다(Buhman, K. K. et al., Nature Medicine 6: 1341-1347, 2000).
한편, 초피(제피, 젠피 : Zanthoxylum piperitum DC)는 운향과의 낙엽관목 으로서 대개 열매껍질을 향신료와 약으로 쓰고, 씨앗이나 어린 잎, 나무, 줄기도 여러 용도로 쓴다. 초피 열매(산초)는 한방에서 해독, 구충, 진통제로 쓰이고 있으며, 주로 한국, 일본 그리고 중국에 분포하고 있다. 최근에는 후추와 겨자를 능가하는 세계 제일의 천연 향신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사용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 제 1993-13688호에 개시된 생약(초피나무와 분지나무의 과피)을 주재로 한 약용술 및 그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특허 제 314545호에 개시된 초피나무로부터 분리한 항균물질 및 그 분리방법, 대한민국 특허 제 314545호에 개시된 초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다이옥신 유사물질에 대한 길항성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 제 2004-75686호에 개시된 산초 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결핵치료용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성식품, 대한민국 특허 제 2004-89988호에 개시된 초피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 조성물 등이 있으며, 초피에서 분리, 보고된 성분으로는 산스울(sanshool)계 알리페틱 에시드 아미아드(aliphatic acid amides)(Hashimoto, K. et al., Planta Med. 67: 179-181, 2001; Hatano, T. et al., Phytochemistry 65: 2599-2604, 2004; Sugai, E. et al., Biosci. Biotechnol. Biochem. 69: 1958-1962, 2005)가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초피 추출 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의 ACAT과 관련된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고지혈증, 동맥경화, 관상동맥 심장병 및 심근경색 등과 같은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를 천연물에서 탐색하던 중, 초피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의 ACAT 저해 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초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초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간 ACAT(acyl-CoA:cholesterol acyltransferase) 활성 억제제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초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초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초피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며 구체적으로, 건조된 초피(지상부 또는 열매껍질)에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C1 ~ C6 알코올, C5 ~ C7 알칸,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에테르, 벤젠,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사이클로헥산(cyclohexane),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C1 ~ C6 알코올, n-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아세톤을 첨가하여 추출한다.
추출용매는 초피나무 지상부 및 열매껍질 건중량의 1 ~ 20 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방법은 통상적으로 행하는 모든 추출방법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40 ~ 120℃에서 끊이는 열수추출하거나, 에탄올 또는 아세톤 등을 추출용매로 사용할 경우, 상온에서 1일 ~ 5일 동안 방치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얻어진 추출물은 여과지 등을 이용한 여과, 정제, 농축 등의 단계를 거쳐 초피 추출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초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초피나무 지상부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로부터 β-산스울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초피나무 지상부 추출물의 n-헥산 가용 추출물로부터는 γ-산스울 화합물을 분리 할 수 있었다. 초피 열매껍질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로부터는 하이드록시 β-산스울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하이드록시 β-산스울 화합물로부터 순수 활성물질인 β-산스울 아세테이트를 수득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산스울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2006081483521-pat00001
R1=
Figure 112006081483521-pat00002
또는
Figure 112006081483521-pat00003
,
R2= H, OH 또는 OAC,
n= 0 또는 1.
상기 화학식 1에서 β-산스울 화합물은 R1
Figure 112006081483521-pat00004
이고 R2는 H이고 n은 0이다. γ-산스울 화합물은 R1
Figure 112006081483521-pat00005
이고 n은 1이다. 하이드록시 β-산스울 화합물은 R1
Figure 112006081483521-pat00006
이고 R2는 OH이고 n은 0이다. β-산스울 아세테이트 화합물은 R1
Figure 112006081483521-pat00007
이고 R2는 OAC이고 n은 0이다.
산스울계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모든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 시판되는 시약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초피로부터 추출, 분리 및 정제하여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초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산스울계 화합물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방법 또는 하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 추출된 것, 합성된 것 또는 시판중인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산스울계 화합물은 본 발명에 따른 초피 (지상부 또는 열매껍질)에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산스울계 화합물은
(1) 초피(지상부 또는 열매껍질)를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2) 상기에서 얻은 추출물에 물을 가하여 현탁시키고, n-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가용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3) 상기 가용 추출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화합물을 분리하고 정제하여 산스울계 화합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초피(지상부 또는 열매껍질)에서 추출, 분리 및 정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피(지상부 또는 열매껍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은 인간 ACAT에 대한 강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표 1 참조). 인간 ACAT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은 음식으로부터 유입되는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억제하고, 혈관내벽에 콜레스테릴 에스테르의 축적을 억제하는 기작을 통해 고콜레스테롤증, 콜레스테롤 결석 또는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제의 표적이 되고 있다(Buhman, K. K. et al., Nature Medicine 6: 1341-1347, 2000).
상기의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을 마우스에 경구 투여하여 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경구 투여 독성시험에 의한 50% 치사량(LD50)은 적어도 1,000 ㎎/㎏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은 인간 ACAT 활성 저해도는 높고 안전한 물질이므로 인간 ACAT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진 고지혈증, 관상동맥 심장병, 동맥경화 및 심근경색과 같은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투여를 위해서는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스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8th, 1990)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에 따른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 한 산스울계 화합물의 일일 투여량은 10 ~ 2,000 ㎎/㎏ 이며, 바람직하게는 50 ~ 500 ㎎/㎏이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장순환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건강식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는 본 발명의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은 원료에 대하여 0.01 ~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 1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에 첨가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에도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 100 중량부 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산스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간 ACAT(acyl-CoA:cholesterol acyltransferase) 활성 억제제를 제공한다.
구제적으로 인간 ACAT에는 인간 ACAT-1 및 인간 ACAT-2가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초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은 인간 ACAT-1 및 인간 ACAT-2에 대해 각각 저해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표 1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은 인간 ACAT 활성 억제제를 제공함으로서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초피나무 지상부 및 열매껍질 추출물의 제조
초피나무(대한민국 경상남도 거창에서 채취) 지상부 1 kg을 건조시키고 분쇄기를 사용하여 분쇄하여 분말로 만들었다. 초피나무 분말을 에탄올 2 ℓ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3일 동안 방치시켜 추출한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추출액 및 고상 잔류물을 얻었다. 수득된 추출액을 감압농축하여 초피나무 지상부 에탄올 추출물인 유성물질 34 g을 얻었다.
초피 열매껍질(대한민국 경상남도 거창에서 구입) 500 g을 건조시키고 분쇄기를 사용하여 분쇄하여 분말로 만들었다. 초피 열매껍질 분말을 에탄올 1 ℓ에 넣어 상온에서 3일 동안 방치시켜 추출한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추출액 및 고상 잔류물을 얻었다. 수득된 추출액을 감압농축하여 초피열매껍질 에탄올 추출물인 유성물질 67 g을 얻었다.
상기 초피나무 지상부 또는 열매껍질의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실험예 1의 방법에 따라 실험한 결과, 두 추출물 모두 ACAT 활성 억제 효과가 뛰어나 이하 실시예에서 사용하였다(표 1).
<실시예 2> 초피 추출물로부터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초피나무 지상부의 에탄올 추출물에 물 500 ㎖을 가하여 현탁시키고, n-헥산(n-hexane), 클로로포름(CHCl3) 및 에틸아세테이트(EtOAc) 순으로 분획하여, 각각 n-헥산 가용 추출물(n-hexane-soluble) 8.6 g,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CHCl3-soluble) 1.9 g 및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EtOAc-soluble) 1.3 g을 수득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초피 열매껍질의 에탄올 추출물에 물 1 ℓ을 가하여 현탁시키고, n-헥산(n-hexane), 클로로포름(CHCl3) 및 에틸아세테이트(EtOAc) 순으로 분획하여, 각각 -헥산 가용 추출물(n-hexane-soluble) 19 g,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CHCl3-soluble) 10 g 및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EtOAc-soluble) 4 g을 수득하였다.
상기 각각의 가용 추출물에 대해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초피 지상부의 헥산 가용 추출물 및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과 초피 열매껍질의 클로 로포름 가용 추출물에서 ACAT 활성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고, 하기 실시예 3, 4 또는 5에서 사용하였다(표 1).
<실시예 3> 초피나무 지상부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로부터 β -산스울 화합물의 분리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초피나무 지상부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 1.9 g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첫 번째로 실리카겔에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의 갈색 고체 물질을 흡착시킨 후, 이동상으로 n-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1:1, 2:1, 0:100 부피비)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극성을 높여 가면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φ50 × 150 ㎜)를 수행하여 3개(F1 ~ F3)의 분획을 얻었다. 3개 각 분획에 대해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ACAT 활성 억제를 측정한 결과, 분획 1(F1)의 효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나 이를 하기 분리 과정에 사용하였다.
ACAT 활성 억제능이 우수한 분획 1(F1, 310 ㎎)에 대해 이동상으로 n-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5:1 부피비)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2차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φ50 × 150 ㎜)를 수행하여 8개(F1-1 ~ F1-8)의 분획을 얻었다. 8개 각 분획에 대해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ACAT 활성 억제를 측정한 결과, 여섯 번째 분획(F1-6)의 효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나 이를 하기 분리 과정에 사용하였다.
ACAT 활성 억제능이 우수한 분획 1-6(F1-6, 77 mg)에 대해 이동상으로 100% 메탄올을 이용하여 세파덱스 LH-20 칼럼 크로마토그래피(φ1.5 × 50 ㎜)를 실시하 여 38 mg의 활성분획을 얻었다.
이 활성분획에 대해 다시 이동상으로 n-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2:1 부피비)의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φ3.0 × 5.0 cm)를 실시하여 활성물질인 β-산스울 29 mg를 얻었다.
<실시예 4> 초피나무 지상부 추출물의 n -헥산 가용 추출물로부터 γ -산스울 화합물의 분리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초피나무 지상부 추출물의 n-헥산 가용 추출물 8.6 g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첫 번째로 실리카겔에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의 갈색 고체 물질을 흡착시킨 후, 이동상으로 n-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2:1, 1:1 부피비)과 에텔아세테이트 및 메탄올(1:1 부피비)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φ50 × 150 ㎜)를 수행하여 3개 (F1 ~ F3)의 분획을 얻었다. 3개 각 분획에 대해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ACAT 활성 억제를 측정한 결과, 분획 2(F2)의 효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나 이를 하기 분리 과정에 사용하였다.
ACAT 활성 억제능이 우수한 분획 2(F2, 1.4 g)에 대해 이동상으로 n-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5:1 부피비)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2차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φ50 × 150 ㎜)를 수행하여 5개(F2-1 ~ F2-5)의 분획을 얻었다. 5개 각 분획에 대해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ACAT 활성 억제를 측정한 결과, 두 번째 분획(F2-2)의 효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나 이를 하기 분리 과정에 사용하였다.
ACAT 활성 억제능이 우수한 분획 2-2(F2-2 76 mg)에 대해 이동상으로 100% 메탄올을 이용하여 세파덱스 LH-20 칼럼 크로마토그래피(φ1.5 × 50 ㎜)를 실시하여 39 mg의 활성분획을 얻었다.
이 활성분획에 대해 다시 이동상으로 n-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5:1 부피비)의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φ3.0 × 5.0 cm)를 실시하여 활성물질인 γ-산스울 39 mg를 얻었다.
<실시예 5> 초피 열매껍질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로부터 하이드록시 β -산스울 화합물의 분리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초피 열매껍질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 10 g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첫 번째로 실리카겔에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의 갈색 고체 물질을 흡착시킨 후, 이동상으로 n-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1:1, 1:5, 0:100 부피비)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극성을 높여 가면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φ50 × 150 ㎜)를 수행하여 3개(F1 ~ F3)의 분획을 얻었다. 3개 각 분획에 대해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ACAT 활성 억제를 측정한 결과, 분획 3(F3)의 효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나 이를 하기 분리 과정에 사용하였다.
ACAT 활성 억제능이 우수한 분획 3(F3, 2.1 g)에 대해 이동상으로 n-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1:1 부피비)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2차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φ50 × 100 ㎜)를 수행하여 활성물질인 하이드록시 β-산스울 1.3 g를 얻었다.
<실시예 6> β -산스울 아세테이트 화합물의 제조
하이드록시 β-산스울 화합물 10 mg을 아세틱 안하이드라이드(Acetic anhydride) 2 ㎖에 녹이고 촉매량의 p-톨루엔 슬폰산(p-TsOH)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한 후, 물 20 ㎖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위 혼합물에 에틸아세테이트 30 ㎖를 가하고 2회 추출 후 황산마그네슘을 가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여액을 감압농축하고 이동상으로 n-헥산과 에틸 아세테이트(2:1 부피비)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φ20 × 100 mm)를 수행하였다. 이때 상기 목적 화합물인 순수 활성물질인 β-산스울 아세테이트 6.2 mg(수득율 54%)을 얻었다.
<실시예 7> 본 발명의 화합물의 구조 분석
상기 실시예 3 ~ 6을 통하여 얻은 화합물들의 구조 분석을 위하여, 하기와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VG 고분해능 GC/MS 분광기(VG high resolution GC/MS spectrometer, HREI MS, JMS-700)를 사용하여 분자량 및 분자식을 결정하였다. 또한 핵자기 공명(NMR) 분석(Varian Unity 300 spectrometer)을 통하여 1H NMR, 13C NMR, 호모-코지(HOMO-COSY), HMQC(1 H-Detected heteronuclear Multiple-Quantum Coherence), HMBC(Heteronuclear Multiple-Bond Coherence), DEPT(Distortionless Enhancement by Polarization) 스펙트럼을 얻고, 분자구조를 결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와 같으며, 발표된 문헌의 것과 비교 분석한 결과, 화합물 1은 β-산스울임을 확인하였고, 화합물 3은 하이드록시-β-산스울(Yasuda I., Takeya K., Itokawa H., Pyhtochemistry, 21: 1295?1298, 1982)로 확인하였다. 화합물 2는 γ-산스울(Yasuda I., Takeya K., Itokawa H., Chem. Pharm. Bull., 29: 1791?1793, 1981)로 확인하였다.
[화합물 1] β - 산스울
1) 물성: 무색 오일
2) 분자량: 247
3) 분자식: C16H25NO
4) 1H-NMR (CDCl3, 300 MHz): δ 6.80 (1H, dt, J = 11.4, 5.1 Hz, H-3), 6.32 (1H, dd, J = 8.1, 5.4 Hz, H-7), 6.17-5.98 (3H, m), 5.81-5.59 (3H, m), 5.36 (1H, dt, J = 8.1, 5.4 Hz, H-6), 3.13 (t like, J = 4.8 Hz, H-1'), 2.36-2.23 (4H, m), 1.80-1.73 (4H, m), 0.91 (6H, d, J = 5.1 Hz, H-3') ; 13C-NMR (CDCl3, 300 MHz) : δ 165.8 (C-1), 143.2 (C-3), 133.3 (C-9), 131.7 (C-10), 130.0 (C-11), 129.5 (C-7), 129.4 (C-6), 125.2 (C-8), 124.1 (C-2), 40.9 (C-1'), 32.1 (C-4), 28.6 (C-2'), 26.6 (C-5), 20.2 (C-3'), 18.4 (C-12).
5) HREIMS m/z : 247.1936 (calcd. for C16H25NO [M]+: 247.1936).
[화합물 2] γ -산스울
1) 물성: 무색 오일
2) 분자량: 273
3) 분자식: C18H27NO
4) 1H-NMR (CDCl3, 300 MHz): δ 7.18 (1H, dd, J = 15.3, 10.2 Hz, H-3), 6.33-5.97 (6H, m), 5.79-5.66 (2H, m), 5.53 (1H, s, NH), 5.36 (1H, dt, J = 10.2, 7.5 Hz, H-8), 3.16 (2H, t like, J = 6.3 Hz, H-1'), 2.35-2.23 (4H, m), 1.84-1.753 (4H, m), 0.92 (6H, d, J = 6.9 Hz, H-3'); 13C-NMR (CDCl3, 300 MHz): δ 165.8 (C-1), 141.8 (C-5), 141.0 (C-3), 133.3 (C-11), 131.8 (C-12), 130.0 (C-13), 129.9 (C-8), 129.4 (C-9), 128.7 (C-4), 125.3 (C-10), 122.2 (C-2) 46.9 (C-1'), 32.1 (C-6), 28.6 (C-2'), 27.6 (C-7), 20.0 (C-3'), 18.3 (C-14).
5) HREIMS m/z : 273.2093 (calcd. for C18H27NO [M]+: 273.2093).
[화합물 3] 하이드록시 -산스울
1) 물성: 무색 오일
2) 분자량: 263
3) 분자식: C16H25NO2
4) 1H-NMR (CDCl3, 300 MHz): δ 6.85 (1H, dt, J = 15.3, 6.9 Hz, H-3), 6.32 (1H, m), 6.21-5.97 (4H, m), 5.87-5.66 (2H, m), 5.35 (1H, dt, J = 10.2, 7.5 Hz, H-6), 3.31 (2H, d, J = 6 Hz, H-1'), 2.37-2.23 (4H, m), 1.77 (3H, d, J = 6.6, H-12), 1.22 (6H, s, H-3'); 13C-NMR (CDCl3, 300 MHz): δ 167.2 (C-1), 144.3 (C-3), 133.6 (C-9), 131.7 (C-10), 130.2 (C-11), 129.9 (C-7), 129.5 (C-6), 125.3 (C-8), 123.9 (C-2), 50.6 (C-1'), 32.2 (C-4), 70.6 (C-2'), 26.6 (C-5), 27.2 (C-3'), 18.4 (C-12).
5) HREIMS m/z : 263.1885 (calcd. for C16H25NO2 [M]+: 263.1885.
[화합물 4] β -산스울 아세테이트
1) 물성: 무색 오일
2) 분자량: 305
3) 분자식: C18H27NO3
4) 1H-NMR (CDCl3, 300 MHz): δ 6.85 (1H, dt, J = 15.3, 6.9 Hz, H-3), 6.32 (1H, m), 6.21-5.97 (4H, m), 5.87-5.66 (2H, m), 5.35 (1H, dt, J = 10.2, 7.5 Hz, H-6), 3.31 (2H, d, J = 6 Hz, H-1'), 2.37-2.23 (4H, m), 1.77 (3H, d, J = 6.6, H-12), 2.07 (3H, s, CH3CO-), 1.44 (6H, s, H-3'); 13C-NMR (CDCl3, 300 MHz): δ 171.9 (COCH3), 167.2 (C-1), 144.3 (C-3), 133.6 (C-9), 131.7 (C-10), 130.2 (C-11), 129.9 (C-7), 129.5 (C-6), 125.3 (C-8), 123.9 (C-2), 50.6 (C-1'), 32.2 (C-4), 70.6 (C-2'), 26.6 (C-5), 27.2 (C-3'), 21.6 (CH3CO), 18.4 (C-12).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초피 추출물 및 산스울계 화합물의 ACAT 활성에 미치는 영향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초피 추출물, 그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의 ACAT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예 1-1> ACAT 효소원의 제조
사람 ACAT-1 및 ACAT-2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베큘로바이러스 발현체제를 이용하여 hACAT-1 및 hACAT-2 각각의 단백질을 얻었다.
사람 간 cDNA 라이브러리(clontech) 스크리닝(library screening)을 통하여 얻어진 hACAT-1 및 hACAT-2 각각의 cDNA를 베큘로바이러스 전달 벡터에 삽입하고, 곤충세포인 sf9 세포에 도입하여 바이러스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플라크 정제(plaque purification) 방법으로 hACAT-1 및 hACAT-2 각각의 재조합 바이러스를 분리한 후, 3 차례의 증폭과정을 거쳐 저장용 바이러스(viral stock)의 역가(titer)를 높였다. 단백질 발현 효율이 좋은 Hi5 곤충세포에 재조합 바이러스를 감염다중도(Mutiplicity of Infection)가 1이 되도록 감염시킨 후, 27℃에서 하루 동안 진탕배양하였다. 배양된 hACAT-1과 hACAT-2가 각각 과량 발현된 Hi5 곤충세포들로부터 마이크로좀 분획을 분리하기 위하여, 500 × g에서 15 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들을 모으고 저장 완충액(hypotonic buffer)에서 급냉동 및 급해동 방법으로 세포를 용해시킨 후, 100,000 × g에서 한 시간 동안 초원심분리하였다. 얻어진 마이크로좀 분획들은 단백질 농도가 8 ㎎/㎖이 되도록 저장완충액으로 현탁하여 사용 전까지 저온냉동기에 보관하였다.
<실험예 1-2> ACAT 활성 측정
ACAT 활성의 측정은 [1-14C] 올레오일-코에이(oleoyl-CoA)(56.0 μCi/μmol; Amersham)를 기질로 하여 브레쳐 & 찬(Brecher & Chan)의 방법(Brecher, P. and Chan, C., Biochim. Biophys. Acta, 617: 458-471, 1980)을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Jeong, T. S., Bioorg. Med. Chem. Lett., 14: 2715-2717, 2004).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초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한 화합물 10 ㎕, 상기 실험예 2-1에서 제조한 hACAT-1 또는 hACAT-2 마이크로좀 용액 4.0 ㎕, 활성분석 완충액(0.5 M KH2PO4, 10 mM DTT, pH 7.4; Sigma, USA) 20.0 ㎕, 지방이 제거된 우혈청알부민(BSA; bovine serum albumin, 저장액 농도 40 ㎎/㎖; Sigma, USA) 15.0 ㎕, 콜레스테롤(저장액 농도 20 ㎎/㎖; Sigma, USA) 2.0 ㎕, 증류수 41.0 ㎕를 가하여 37℃에서 15 분간 예비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에 [1-14C] 올레오일-코에 이(0.05 μCi, 최종농도: 50 μM) 8 ㎕를 첨가하여 다시 37℃에서 30 분간 반응시킨 후, 이소프로판올 : 헵탄 혼합물(4 : 1 (v/v)) 1 ㎖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여기에 600 ㎕의 헵탄과 200 ㎕의 0.1 M KH2PO4(pH 7.4)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볼텍서(vortexer)로 격렬하게 혼합한 후, 300 × g에서 5 분 동안 원심분리를 하였다. 원심분리하여 얻은 100 ㎕의 상층액을 신틸레이션 병(scintillation bottle)에 넣고, 신틸레이션 액(Lipoluma) 4 ㎖을 가하였다. 이 혼합물의 방사선량은 1450 마이크로베타 액체 신틸레이션 계수기(1450 Microbeta liquid scintillation counter, Wallac Oy)로 측정하였다.
ACAT 활성은 측정된 방사선량으로부터 시간당 방사선량을 계산하여 1 분 동안 단백질 1 ㎎당 합성된 콜레스테릴 올레이트 피코몰(피코몰/분/㎎ 단백질)로 계산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저해도(%)
hACAT-1 hACAT-2
초피나무 지상부 에탄올 추출물(100 ㎍/㎖) 73 21
초피나무 지상부 n-헥산 가용 추출물(100 ㎍/㎖) 87 50
초피나무 지상부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100 ㎍/㎖) 90 78
초피나무 지상부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100 ㎍/㎖) 30 10
초피 열매껍질 에탄올 추출물(100 ㎍/㎖) 85 60
초피 열매껍질 n-헥산 가용 추출물(100 ㎍/㎖) 68 44
초피 열매껍질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100 ㎍/㎖) 88 67
초피 열매껍질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100 ㎍/㎖) 70 34
시료 저해도(IC50,uM)
hACAT-1 hACAT-2
화합물 1 (β-산스울) 39.0 79.7
화합물 2 (γ-산스울) 12.0 82.6
화합물 3 (하이드록시-β-산스울) 154.2 263.0
화합물 4 (β-산스울 아세테이트) 28.1 87.5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초피 추출물, 그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은 hACAT-1 및 hACAT-2에 대한 저해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초피 추출물, 그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은 콜레스테릴 에스테르의 합성 및 축적으로 유발되는 고지혈증, 관상동맥 심장병, 동맥경화 및 심근경색증 등과 같은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본 발명에 따른 초피 추출물 및 산스울계 화합물의 급성 독성실험
본 발명의 초피 추출물, 그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에 대한 급성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4주령의 특정 병원체 부재(SPF, specific pathogens free) ICR계 마우스를 암수 각각 3 마리씩 4개군(암수 각각 3마리/실험군)으로 나누어, 온도 22±3℃, 습도 55±10%, 조명 12L/12D 조건의 동물실 내에서 사육하였다. 마우스는 실험에 사용되기 전 1주일 정도 순화시켰다. 실험 동물용 사료(마우스 및 랫트용, Dyets, 미국) 및 음수를 멸균한 후 공급하였으며 자유 섭취시켰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초피나무 지상부 추출물, 초피 열매껍질 추출물, 그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을 0.5% 트윈(tween) 80에 50 ㎎/㎖ 농도로 조제한 후, 마우스 체중 20 g 당 0.04 ㎖(100 ㎎/㎏), 0.2 ㎖(500 ㎎/㎏) 및 0.4 ㎖(1,000 ㎎/㎏)씩 경구 투여하였다. 시료는 단회 경구 투여하였으며, 투여 후 7일 동안 다음과 같이 부작용 또는 치사 여부를 관찰하였다. 즉, 투여 당일은 투여 후 1 시간, 4 시간, 8 시간, 12 시간 뒤에, 그리고 투여 익일부터 7 일째까지는 매일 오전, 오후 1 회 이상씩 일반 증상의 변화 및 사망 동물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또한, 투여 7 일째에 동물을 치사시켜 해부한 후 육안으로 내부 장기를 검사하였다. 투여 당일부터 1일 간격으로 체중의 변화를 측정하여 초피나무 지상부 추출물, 초피 열매껍질 추출물, 그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에 의한 동물의 체중 감소 현상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시료를 투여한 모든 마우스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폐사된 마우스도 없었으며, 또한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초피나무 지상부 추출물, 초피 열매껍질 추출물, 그로부터 분리한 산스울계 화합물은 모든 마우스에서 1,000 ㎎/㎏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투여 최소치사량(LD50)이 1,000 ㎎/㎏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초피 추출물 또는 산스울계 화합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초피 추출물 또는 산스울계 화합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초피 추출물 또는 산스울계 화합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주사액제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초피 추출물 또는 산스울계 화합물 10 ㎍/㎖
묽은 염산 BP pH 3.5로 될 때까지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최대 1 ㎖
적당한 용적의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중에 본 발명에 따른 초피 추출물, 산스울계 화합물을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의 pH를 묽은 염산 BP를 사용하여 pH 3.5로 조절하고, 주사용 염화나트륨 BP를 사용하여 용적을 조절하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용액을 투명 유리로 된 5 ㎖ 타입 I 앰플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공기의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키고, 120℃에서 15 분 이상 오토클래이브시켜 살균하여 주사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식품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초피 추출물 또는 산스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2-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초피 추출물 또는 산스울계 화합물 각각 0.1 ~ 10.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2-2>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초피 추출물 또는 산스울계 화합물 각각 0.1 ~ 1.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2-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초피 추출물 또는 산스울계 화합물 각각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2-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초피 추출물 또는 산스울계 화합물 각각 0.1 ~ 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초피 추출물 또는 산스울계 화합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 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본 발명에 따른 초피 추출물 또는 산스울계 화합물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본 발명에 따른 초피 추출물 또는 산스울계 화합물의 건조분말(1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제제예 3> 음료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초피 추출물 또는 산스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3-1>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에 따른 초피 추출물 또는 산스울계 화합물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3-2> 야채쥬스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초피 추출물 또는 산스울계 화합물 0.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등의 야채의 쥬스 1,000 ㎖에 가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건강 증진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3-3> 과일쥬스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초피 추출물 또는 산스울계 화합물 0.1 g을 사과 또는 포도 등의 과일의 쥬스 1,000 ㎖에 가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건강 증진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초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산스울계 화합물은 아실-코에이:콜레스테롤 전이효소(acyl-CoA:cholesterol acyltransferase; ACAT)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 아니라 마우스에서 급성독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콜레스테릴 에스테르의 합성 및 축적으로 유발되는 고지혈증, 관상동맥 심장병, 동맥경화 및 심근경색증 등과 같은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3)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산스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동맥경화 또는 심근경색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89945208-pat00011
    R1=
    Figure 112007089945208-pat00012
    또는
    Figure 112007089945208-pat00013
    ,
    R2= H, OH 또는 OAC,
    n= 0 또는 1.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산스울계 화합물 중 R2가 H 또는 OH인 산스울계 화합물은 초피나무의 지상부 또는 열매껍질로부터 추출한 후 분리 및 정제한 것 또는 이를 에틸아세테이트로 처리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혈증, 동맥경화 또는 심근경색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초피나무의 지상부 또는 열매껍질을 물, C1~C6 알코올, C5~C7 알칸,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에테르, 벤젠,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사이클로헥산(cyclohexane) 및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혈증, 동맥경화 또는 심근경색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산스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동맥경화 또는 심근경색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스울계 화합물은 β-산스울, γ-산스울 화합물, 하이드록시 β-산스울 화합물, 또는 β-산스울 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혈증, 동맥경화 또는 심근경색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60109551A 2006-11-07 2006-11-07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83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551A KR100883992B1 (ko) 2006-11-07 2006-11-07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551A KR100883992B1 (ko) 2006-11-07 2006-11-07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441A KR20080041441A (ko) 2008-05-13
KR100883992B1 true KR100883992B1 (ko) 2009-02-17

Family

ID=39648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551A KR100883992B1 (ko) 2006-11-07 2006-11-07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9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0667A1 (ko) 2020-05-13 2021-11-18 메콕스큐어메드 주식회사 초피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KR20210139180A (ko) 2020-05-13 2021-11-22 메콕스큐어메드 주식회사 초피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968B1 (ko) * 2018-10-15 2020-08-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산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중성지방에 의한 대식세포 사멸 억제용 조성물
CN114835582B (zh) * 2022-04-29 2024-03-15 贵州黄果树立爽药业有限公司 良附滴丸浸膏提取溶剂的再利用方法
CN115304508B (zh) * 2022-08-08 2023-07-25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基于花椒果提取物的仿生抗菌抗氧化纳米粒子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6196415B (zh) * 2022-12-07 2023-08-01 浙江省肿瘤医院 用于增敏pd-1抗体的混合制剂及其使用方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hytochemistry 21(6), 1295-8 (1982) *
Phytochemistry 21(6), 1295-8 (198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5(1), 21-27 (2006. 01.)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5(1), 21-27 (2006. 0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0667A1 (ko) 2020-05-13 2021-11-18 메콕스큐어메드 주식회사 초피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KR20210139180A (ko) 2020-05-13 2021-11-22 메콕스큐어메드 주식회사 초피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441A (ko) 2008-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992B1 (ko)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04299B1 (ko) 신규한 퀴놀린계 화합물, 및 지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7825162B2 (en) Abietane diterpenoid compound, and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torreya nucifera, or abietane diterpenoid compounds or terpenoid compounds isolated from them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KR20090010504A (ko) 고삼 추출물, 이의 가용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23155B1 (ko) 신규한 카테콜릭 잔톤 계열 화합물 및 꾸지뽕나무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카테콜릭 잔톤 계열 화합물을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72495B1 (ko) 비자나무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아비에탄디터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심장순환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36189B1 (ko) 어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리그난 계열 화합물인디하이드로구아이아레트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78373B1 (ko) 상표초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된 아세틸도파민계 화합물또는 바이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장순환계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JP2010270096A (ja) グルコース吸収抑制剤
KR100559495B1 (ko) 다이네오리그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실코에이:콜레스테롤 전이효소 활성 저해용 조성물
KR100703859B1 (ko) 택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90726B1 (ko) 목질진흙버섯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페린신 에이를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190124194A (ko) 항산화 또는 혈당 강하 활성 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차
KR100575253B1 (ko) 신규 아비에탄 디터페노이드계 화합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629314B1 (ko) 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디아릴헵타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심장순환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58263B1 (ko) 신규한 아세틸도파민계 화합물, 및 선퇴 추출물 또는이로부터 분리된 아세틸도파민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42871B1 (ko) 다이네오리그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실코에이:콜레스테롤 전이효소 활성 저해용 조성물
KR100631486B1 (ko) 터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심장순환계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KR100806226B1 (ko) 콩뿌리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폴리페놀계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88358B1 (ko) 터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심장순환계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KR20130112980A (ko) 크레이스토카릭스 오페르쿠라투스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28082B1 (ko) 항염증 면역활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노인의 근력 또는 근육 강화를 위한 근세포 조성에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프테로카리아 스테놉테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0724088B1 (ko)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76587A (ko) 모노테르페닐 마그놀올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후박 분획물의 제조방법
KR100778031B1 (ko) 글리세롤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심장순환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