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30667A1 - 초피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 Google Patents

초피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30667A1
WO2021230667A1 PCT/KR2021/005978 KR2021005978W WO2021230667A1 WO 2021230667 A1 WO2021230667 A1 WO 2021230667A1 KR 2021005978 W KR2021005978 W KR 2021005978W WO 2021230667 A1 WO2021230667 A1 WO 202123066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ronavirus
extract
formula
pharmaceutical composition
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597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재용
이필구
김영필
이지현
이정주
Original Assignee
메콕스큐어메드 주식회사
주식회사 중앙오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6116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139180A/ko
Application filed by 메콕스큐어메드 주식회사, 주식회사 중앙오션 filed Critical 메콕스큐어메드 주식회사
Priority to EP21804054.1A priority Critical patent/EP4151226A1/en
Priority to JP2023514696A priority patent/JP2023529024A/ja
Publication of WO202123066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306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4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two or more carboxyl groups, e.g. succinic, maleic or phtha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8Zanthoxylum, e.g.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a coronavirus infection, and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coronavirus infection,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is about
  • Coronavirus is an RNA virus that causes respiratory diseases, digestive diseases, liver diseases, brain diseases, etc. in mammals and birds (Gallagher TM. et.al. , Virology , 279(2): 371-374, 2001).
  • porcine infectious gastroenteritis virus TGEV
  •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
  • TGEV porcine infectious gastroenteritis virus
  • PEDV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or COVID-19, caused by a coronavirus is a new type of coronavirus (SARS-) that first emerged in Wuhan, China in December 2019 and has spread throughout China and around the world. It is a respiratory infection caused by CoV-2 (RNA virus belonging to Coronaviridae). It was initially known only as a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of unknown cause, but on January 9, 2020,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nnounced that the cause of the pneumonia was a new type of coronavirus (SARS-CoV-2, International Committee on the Classification of Viruses in February). 11), and the pathogen was confirmed.
  • SARS-CoV-2 RNA virus belonging to Coronaviridae
  • the pathogen of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19 is 'SARS-CoV-2'.
  • ICTV International Commission on Classification of Viruses
  •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obtained and analyzed the gene sequence of the virus disclosed by China through academia, and confirmed that it had the highest homology (89.1%) with a bat-derived coronavirus.
  • the homology with 4 human coronaviruses was low at 39% to 43%, and 50% with MERS and 77.5% with SARS was confirmed.
  • COVID-19 is transmitted when droplets (saliva) of an infected person penetrate the respiratory tract or the mucous membranes of the eyes, nose, and mouth.
  • Droplet infection is when an infected person coughs or sneezes, viruses and bacteria are mixed with small droplets (droplets) such as saliva to infect others.
  • droplets droplets
  • saliva saliva to infect others.
  • Chinese authorities first recognized the possibility of transmission of COVID-19 by solid or liquid particulates floating in the air, that is, aerosols.
  • the main symptoms are fever (37.5°C), respiratory symptoms such as cough or shortness of breath, and pneumonia.
  • fever 37.5°C
  • respiratory symptoms such as cough or shortness of breath
  • pneumonia muscle pain, fatigue, and diarrhea may appear, but there are rare cases of asymptomatic infection.
  • symptomatic treatment symptomatic therapy
  • Chopi Zanthoxylum piperitum
  • the bark is usually used as a spice and medicine, and seeds, young leaves, trees, and stems are also used for various purposes.
  • Chopi fruit is used as edible oil because it contains a lot of oil, and in oriental medicine, it is used as an aromatic gastro-intestinal agent, intestinal metabolism stimulator, detoxification, anthelmintic, and analgesic.
  • oriental medicine it is good to iron the leaves of the Chopi tree for arteriosclerosis, cavities, or windswept, but the specific effect has not yet been scientifically identified.
  • the bark has been used as the world's best natural spice surpassing pepper and mustard, a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mainly targeting the fruit peel, root, and wood part of the bark in the prior art.
  • the extract extracted from it exhibits effective activity in antibacterial, insecticidal, anticancer, anti-inflammatory, arteriosclerosis, hyperlipidemia, diabetes, osteoporosis, and skin whitening.
  • a medicinal liquor based on a herbal medicine (the pericarp of a birch tree and a branch tree)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997-0002913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 the leaf extract of Zanthoxylum piperitum is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coronavirus infection, in particular, Corona-19 virus infection.
  • the leaf extract of Chopi leaf contains quercetin-3-O-alpha-L-rhamnoside and kaempferol-3-O-alpha-L-rhamnoside as indicators and active compounds. It is different from the extracts of the bark, root, and xylem.
  • quercetin-3-O-alpha-L-rhamnoside or camphorol-3-O-alpha-L-rhamnoside has anti-coronaviral efficacy, particularly therapeutic efficacy against COVID-19 virus infection. has not been disclosed eithe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coronavirus infection,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an extract of Zanthoxylum piperitum,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 the extract is extracted with water, a C 1 -C 4 lower alcoh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i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 the lower alcohol is ethanol, which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 the extract is extracted with ethanol or 60% to 99% ethanol aqueous solution, i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 the extrac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which is extracted with 90% to 99% ethanol aqueous solution.
  • the fraction is an ethyl acetate fraction obtained by suspending the bark extract leaf extract in distilled water and then sequentially fractionating it with n -hexane, dichloromethane, ethyl acetate, and n-butanol.
  • Corona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a viral infection is provided.
  • the bark extract or ethyl acetate fraction is quercetin-3-O-alpha-L-rhamnosid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camphor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Roll-3-O-alpha-L-rhamnoside, 4'-hydroxyacetophenon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2,4-di- tert -butylphenol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4], and I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which comprises one or more compoun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2-benzenedicarboxylic acid represented by [Formula 5].
  • the coronavirus is swine infectious gastroenteritis virus (TGEV, transmissble gastroenteritis virus),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 canine coronavirus (canine coronavirus), bovine coronavirus (bovine) Coronavirus), SARS coronavirus (SARS-CoV) and Corona-19 virus (SARS-CoV-2) that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alleviation or treatment of coronavirus infection .
  • TGEV infectious gastroenteritis virus
  • PEDV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 canine coronavirus canine coronavirus
  • bovine coronavirus bovine coronavirus
  • SARS coronavirus SARS coronavirus
  • Corona-19 virus SARS-CoV-2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which includes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and liquid forms to be administered orally,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provides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coronavirus infection,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chopi ( Zanthoxylum piperitum ) leaf extract,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 a chopi Zanthoxylum piperitum
  • Chopi tree of the present invention Zanthoxylum piperitum
  • Leaf extract, a fraction thereof or an active compound isolated therefrom, Quercetin-3-O-alpha-L-rhamnoside and/or camphorol-3-O-alpha-L-rhamnoside is a virus that causes respiratory diseases, digestive diseases, liver diseases, brain diseases, etc. in mammals, and exhibits excellent antiviral activity against coronavirus, especially Corona-19 virus. It can be usefully used in medicines and foods for treatment.
  • FIG. 1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a process for obtaining a solvent fraction and an active compound from an extract of a bark lea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Example 3 is a cytotoxicity result of 95% ethanol aqueous solution extract of epidermis in MDCK and BEAS-2B cells in Example 4.
  • Example 4 is a result of the primary plaque assay of Example 5.
  • Example 5 is a result of the secondary plaque assay of Example 5.
  • Example 6 is a plaque assay result of the epidermal extract of Example 5 at a concentration of 5 ⁇ g/mL or less.
  • Example 7 is a plaque assay result of the epidermal extract of Example 5 at a concentration of 5 ⁇ g/mL or less.
  • FIG. 8 shows epidermal 95% EtOH Ext. inhibiting viral protein expression in MDCK cells of Example 6. efficacy results.
  • Figure 9 shows the epidermal 95% EtOH Ext. that inhibits I ⁇ B ⁇ degradation by LPS in Raw264.7 cells of Example 7. efficacy results.
  • Figure 10 shows epidermal 95% EtOH Ext for TNF- ⁇ mRNA expression by virus in Raw264.7 cells in Example 8. inhibitory efficacy results.
  • Figure 12 shows epidermal 95% EtOH Ext for IL-1 ⁇ mRNA expression by virus in Raw264.7 cells in Example 8. inhibitory efficacy results.
  • variable when a range is described for a variable, the variable will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values within the stated range including the stated endpoints of the range.
  • a range of “5 to 10” includes the values of 5, 6, 7, 8, 9, and 10, as well as any subranges such as 6 to 10, 7 to 10, 6 to 9, 7 to 9, etc. It will be understood to include any value between integer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scope of the recited range, such as 5.5, 6.5, 7.5, 5.5 to 8.5 and 6.5 to 9, and the like.
  • a range of “10% to 30%” includes values such as 10%, 11%, 12%, 13%, and all integers up to and including 30%, as well as 10% to 15%, 12% to It will be understood to include any subrange, such as 18%, 20% to 30%, etc., as well as any value between reasonable integers within the scope of the recited range, such as 10.5%, 15.5%, 25.5%, and the like.
  • quercetin-3 as an active compound isolated from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its fraction or it -O-alpha-L-rhamnoside and/or kaempferol-3-O-alpha-L-rhamnoside is a virus that causes respiratory diseases, digestive diseases, liver diseases, brain diseases, etc. in mammals, especially coronaviruse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xtracts of Zanthoxylum piperitum leaves, fractions thereof, or active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Quercetin-3-O-alpha-L-rhamnoside and/or camphorol-3-O-alpha-L-rhamnoside It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coronavirus, in particular, corona-19 virus infection, and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coronavirus infection,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a coronavirus infection in a subject,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administering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an effective amount of a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It provides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 of a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prevention, alleviation or treatment of coronavirus infection.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for use in the prevention, alleviation or treatment of coronavirus infection.
  • step 3 Concentrating the filtered extract of step 2) under reduced pressure and drying the extract to prepare an extract of Chopi leaf;
  • step 4) additionally extracting the bark extract of step 3) with an organic solvent to prepare a bark fraction
  • the bark ( Zanthoxylum piperitum ) leaves of step 1)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such as cultivated ones or commercially available ones.
  • it may be to extract the whole plant including all stems, branches, and roots in addition to the bark leaves.
  • the extraction solvent of step 1) is preferably water, alcohol, or a mixture thereof. It is preferable to use a C 1 to C 4 lower alcohol as the alcohol, and it is preferable to use ethanol as the lower alcohol.
  • the ethanol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preferably 60% to 99% ethanol aqueous solution, and more preferably 90% to 99% ethanol aqueous solution.
  • As the extraction method it is preferable to use shaking extraction, Soxhlet extraction, or reflux extra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preferable to extract by adding the extraction solvent 1 to 30 times, 1 to 20 times, or 1 to 10 times to the amount of dried bark leaves.
  • the extrac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20°C to 100°C, more preferably 20°C to 60°C, and most preferably room temperat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ion time is preferably 1 to 10 day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number of extractions can be carried out more than once, but as the extraction continues, the yield of the active ingredient is significantly reduced, so repeating it five times or more may not be economical. Accordingly, the number of extractions is preferably 1 to 5 times, and more preferably 2 to 5 times repeated extra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ion method is a method commonly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a method using an extraction device such as supercritical extraction, subcritical extraction, high temperature extraction, high pressure extraction or ultrasonic extraction, or an adsorption resin including XAD and HP-20. How to use, etc. can be used.
  • an extraction device such as supercritical extraction, subcritical extraction, high temperature extraction, high pressure extraction or ultrasonic extraction, or an adsorption resin including XAD and HP-20. How to use, etc. can be used.
  • a vacuum vacuum concentrator or a vacuum rotary evaporator for the vacuum concentration in step 3), but is not limited thereto.
  • drying under reduced pressure vacuum drying, boiling drying, spray drying or freeze drying is preferab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organic solvent of step 4) is preferably n-hexane ( n- Hexane), dichloromethane (CH 2 Cl 2 ), ethyl acetate (EtOAc) or butanol (BuOH),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raction was obtained by suspending the bark extract in water and then n-hexane ( n- Hexane), dichloromethane (CH 2 Cl 2 ), ethyl acetate (EtOAc), n-butanol ( n- BuOH) and water (H 2 O).
  • ) is preferably any one of a hexane fraction, a dichloromethane fraction, an ethyl acetate fraction, a normal-butanol fraction, or a water fraction obtained by sequential fractionation with ), more preferably an ethyl acetate fra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raction may be obtained by repeating the fractionation process 1 to 5 times, preferably 3 times, from the C. leaf extract, and it is preferable to concentrate under reduced pressure after fraction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step 5) is a step of separating and obtaining an active compound by performing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medium pressure chromatography (MPLC) on the ethyl acetate fraction among the fractions obtained in step 4).
  • MPLC medium pressure chromatography
  • the ethyl acetate fraction obtained in step 4) is filled in a glass column (5 ⁇ 50 cm) filled with silica beads, and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is performed.
  •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 mixed solution of ethyl acetate and methanol was used as the eluent, and eluted while changing the volume ratio of ethyl acetate/methanol from 90/10 to 60/40.
  • 7 fractions were obtained, and the obtained fractions were named ZPE1, ZPE2, ZPE3, ZPE4, ZPE5, ZPE6, and ZPE7.
  • ZPE6 showed the most excellent activity, and medium pressure chromatography (MPLC) was subsequently performed by selecting the fraction ZPE6.
  • MPLC medium pressure chromatography
  • the selected fraction ZPE6 was packed in a sephadex LH-20 column and subjected to medium pressure chromatography (MPLC). At this time, as an eluent, a methanol-only solution is used for eluting.
  • MPLC medium pressure chromatography
  • three small fractions were obtained, and the obtained small fractions were named ZPE6A, ZPE6B, and ZPE6C.
  • ZPE6B showed the most excellent activity, and the active compound was isolated by selecting the small fraction ZPE6B.
  • HPLC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the active compound separated through the HPLC was subjected to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analysis to quercetin-3-O-alpha-L-rhamnoside (Quacitrin, Quercitrin)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nd [Formula 2] It was identified as the indicated camphorol-3-O-alpha-L-rhamnoside (Afzelin).
  • the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includes quercetin-3-O-alpha-L-rhamnoside represented by [Formula 1] as an active ingredient, and camphorol represented by [Formula 2] -3-O-alpha-L-rhamnoside, as well as 4'-hydroxyacetophenon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2,4-di- tert -butylphenol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4], and It may include 1,2-benzenedicarboxylic aci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5].
  •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obtained through the above separation method a solvent fraction obtained by extracting the extract with an organic solvent, and quercetin-3-O-alpha-L-rhamnoside (Formula 1) and camphorol-3 separated therefrom -O-alpha-L-rhamnoside (Formula 2) was confirmed to show significant results for various coronaviruses, especially Corona-19 virus.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or [Formula 2] as an active compound isolated therefrom, as an active compound isolated therefrom, and a fraction thereof, is a disease caused by a coronavirus infection, in particular, prevention, improvement of coronavirus infection-19 , It may be includ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ood composition for the purpose of treatment.
  • the coronavirus is not limited thereto, porcine infectious gastroenteritis virus (TGEV, transmissble gastroenteritis virus),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 canine coronavirus (canine coronavirus), bovine coronavirus Virus (bovine Coronavirus), SARS coronavirus (SARS-CoV) and corona-19 virus (SARS-CoV-2)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ne or more.
  • porcine infectious gastroenteritis virus TGEV, transmissble gastroenteritis virus
  •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
  • canine coronavirus canine coronavirus
  • bovine coronavirus Virus bovine coronavirus Virus
  • SARS coronavirus SARS coronavirus
  • corona-19 virus SARS-CoV-2
  • the coronavirus may be preferably Corona-19 virus (SARS-CoV-2).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ctive ingredient isolat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and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and diluent.
  •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refers to exhibiting non-toxic properties to cells or humans exposed to the composition.
  • the carrier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known in the art, such as buffers, preservatives, soothing agents, solubilizers, isotonic agents, stabilizers, bases, excipients, lubricants, and the like.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ulated in the form of oral dosage form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ion solution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respectively.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gum,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commonly used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and surfactants.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etc., and such solid preparations include at least one excipient, for example, in the extract of the bark leaf extract, its fractions and/or the active compound isolated therefrom. ,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gelatin, etc. are mixed and prepared. In addition to simple excipients,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are also used.
  • Liquid formulations for oral use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syrups, etc., which are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such as water and liquid paraffin, and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have.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ding agents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 As the suppository base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administration means introducing a predetermined substance to an individual by an appropriate method, and the administration route of the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through any general route as long as it can reach a target tissue.
  •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intravenous administration,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subcutaneous administration, intradermal administration, oral administration, topical administration, intranasal administration, intrapulmonary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intrarectal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erm “individual” refers to all animals, including humans, rats, mice, and livestock. Preferably, it may be a mammal including a human.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0.0001 to 1000 mg/kg, preferably 10 to 300 mg/kg (body weight) as a single dose.
  • the recommended dosage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divided into several administrations. The above dosag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coronavirus infection,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chopi ( Zanthoxylum piperitum ) leaf extract,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 a chopi Zanthoxylum piperitum
  • the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and the prevention, improvement, and therapeutic effect on coronavirus infection by the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are described above.
  • the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may be added as it is or used with other foods or food ingredients, It can be used appropriately depending on the method.
  • the mix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suit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and may further include a foo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food supplement additive. Since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n extract derived from a natural product and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tability, so there is no major limitation on the mixing amount.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ll foods in a conventional sense, and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known in the art, such as functional food and health functional food.
  • the term “functional food” refers to food manufactured and processed using raw materials or ingredients useful for the human body according to Health Functional Food Act No. 6727, and “functionality” refers to the structure of the human body. And it means ingestion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useful effects for health purposes such as regulating nutrients for function or physiological action.
  • health functional food refers to a food manufactured and processed by extracting, concentrating, refining, mixing, etc., a specific ingredient as a raw material or a specific ingredient contained in a food raw material for the purpose of health supplementation, It refers to food designed and processed to sufficiently exert biological control functions such as biological defense, regulation of biological rhythm, prevention and recovery of disease, etc., by the above ingredients, and the composition for health food is used for prevention of diseases and prevention of diseases. It can perform functions related to recovery, etc.
  • compositions comprising the extract of the bark leaf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ction thereof, and/or an active compound isolat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is prepared by mixing appropriate other auxiliary ingredients that may be contained in food and known additive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do.
  • foods that can be added include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s,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beverages, tea, drinks, alcoholic beverages and
  • vitamin complexes and the like and it can be prepared by adding the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fractions as main components to juice, tea, jelly, juice, and the like.
  • foods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for example, special nutritional foods (eg, formula milk, infant food, etc.), processed meat products, fish meat products, tofu, jelly, noodles (eg, ramen, noodles, etc.), health supplements , Seasoned foods (eg soy sauce, soybean paste, red pepper paste, mixed soy sauce, etc.), sauces, sweets (eg snacks), dairy products (eg fermented milk, cheese, etc.), other processed foods, kimchi, pickled foods (various kimchi, pickles, etc.) ), beverages (eg, fruit, vegetable beverages, soy milk, fermented beverages, etc.), and natural seasonings (eg, ramen soup, etc.).
  • special nutritional foods eg, formula milk, infant food, etc.
  • processed meat products eg, fish meat products, tofu, jelly, noodles (eg, ramen, noodles, etc.)
  • health supplements e.
  • Seasoned foods eg soy sauce, soybean paste, red pepper paste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d in the form of a beverage, it may contain various sweeteners, flavoring agent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dditional ingredients, as in a conventional beverage.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ing agents, coloring agents, pectic acid and its salts,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 alcohol, a carbonation agent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like.
  • it may contain the pulp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 fruit juice beverage and vegetable beverage.
  • the extract,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atural medicinal plant as a raw material, even when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a food composition, side effects may be less than that of a general synthetic compound, so it can be safely contained and usefully used have.
  • Example 1 Separation of extracts, fractions, and active compounds of the bark leaves
  • the bark Zanthoxylum piperitum ) was obtained from domestic bark collected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The leaves of the bark were washed and dried (dried in the shade), and then chopped. The leaves of the bark were immersed in 90% ethanol aqueous solution, and extracted 2 to 5 times at room temperature. The extract was distill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an ethanol extract of the bark leaf.
  • n-hexane n-hexane
  • dichloromethane CH 2 Cl 2
  • EtOAc ethyl acetate
  • n-butanol n- BuOH
  • the ethyl acetate fraction was filled in a glass column (5 ⁇ 50 cm) filled with silica beads and subjected to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t this time, a mixed solution of ethyl acetate and methanol was used as the eluent, and the mixture was eluted while changing the volume ratio of ethyl acetate/methanol from 90/10 to 60/40.
  • the above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was performed to obtain 7 fractions (Fraction ZPE1, 2.86 g; Fraction ZPE2, 0.32 g; Fraction ZPE3, 0.30 g; Fraction ZPE4, 1.13 g; Fraction ZPE5, 0.54 g; Fraction ZPE6, 1.90 g; Fraction. ZPE7, 1.90 g) was obtained. Virus inhibitory ability was analyzed for each of the seven fractions, and the fraction ZPE6 showing the best activity was selected.
  • fraction ZPE6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dried completely, and then packed in a Sephadex LH-20 column, and subjected to 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MPLC). At this time, it was eluted using methanol alone as the eluent.
  • the above medium pressure chromatograph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ree small fractions (fraction ZPE6A, 24.7 mg; fraction ZPE6B, 416 mg; fraction ZPE6C, 65.4 mg). Virus inhibitory ability was confirmed for each of the three subfractions, and the subfraction ZPE6B showing the best activity was selected.
  • active ingredient 1 was identified as Quercetin-3-O-alpha-L-rhamnosid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 the result of spectroscopic analysis of active ingredient 1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literature value of quercetin-3-O-alpha-L-rhamnoside (Quacitrin, Quercitrin).
  • active ingredient 2 was identified as kaempferol-3-O-alpha-L-rhamnosid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 the results of spectroscopic analysis of active ingredient 2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literature values of kaempferol-3-O-alpha-L-rhamnoside (Afzelin).
  • Example 3 Difference in content of active compounds according to extraction conditions
  • each extract was obtained while changing the extraction solvent and temperature conditions. And, for each extract, the content of active compounds (quacitrin, apzelin) was analyzed by HPLC. The analysis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 the content of the active compound may vary depending on the extraction conditions.
  • Cytotoxicity was confirmed using MTT assay to determine the optimal concentration at which Chopi tree extract can exhibit antiviral effect without cytotoxicity.
  • MDCK Madin-Darby canine kidney
  • BEAS-2B Human bronchial epithelial
  • the test method was as follows.
  • each cell was treated with 95% ethanol epidermis extract and reacted for 4 hours, 37° C., 5% CO 2 conditions.
  • IC 50 ( ⁇ g/ml) R2 MDCK (Madin-Darby Canine Kidney) 156.1 0.968 BEAS-2B (Human bronchial epithelial) 145.6 0.997
  • Plaque reduction assay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intracellular viral infection inhibitory ability of Chopi tree extract.
  • Plaque is a single-layered cell region that has undergone cellular degeneration due to virus infection, and is applied to virus quantification under the theory that one infectious virus particle forms one plaque.
  • the degree of intracellular Plaque formation of the C. C. bark extract was measured, and the antiviral efficacy of the C. C. extract was evaluated.
  • the cell line was Madin-Darby canine kidney (MDCK) cell line.
  • the test method was as follows.
  • the experiment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tocol.
  • MDCK Medin-Darby Canine Kidney cells
  • Influenza (A/California/07/2009/H1N1)
  • Herbal extract Stock preparation at 100 mg/ml concentration in ethanol ( ⁇ 99.45%)
  • Virus infection condition 100 ⁇ l, 1.5 h, 37 °C, 5% CO 2
  • MDCK Medin-Darby Canine Kidney cells
  • Influenza (A/California/07/2009/H1N1)
  • Herbal extract Prepare stock at 20 mg/ml concentration in DMSO ( ⁇ 99%)
  • Example 6 Inhibition of intracellular viral infection_ Western blot confirmation
  •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virus protein expressed in cell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hopi tree extract was confirmed using a Western blot assay.
  • the extract of Chopi tree was treated with virus, and the expression level of viral proteins expressed in infected cell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was confirmed by Western blot, and the virus inactivating effect and virus infection inhibitory effect of the Chopi tree extract were confirmed.
  • the cell line was Madin-Darby canine kidney (MDCK) cell line.
  • the test method was as follows.
  • MDCK cells were washed with PBS and cultured for 2 days in DMEM medium containing 0.3% BSA (bovine serum albumin) to express viral proteins.
  • BSA bovine serum albumin
  • the cell lysis buffer (RIPA buffer) is treated and the cells are collected by scraping each well of the plate where the cells are cultured with a scraper, and then centrifuged to separate the supernatant.
  • the experimental method was as follows.
  • RAW264.7 mouse macrophage cell
  • Herbal extract Prepare stock at 20 mg/ml concentration in DMSO ( ⁇ 99%)
  • LPS Lipopolysaccharides
  • Lipopolysaccharide a component that causes bacterial inflammation
  •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bark extract (95% EtOH Ext.) was to be confirmed by checking the intracellular cytokine mRNA expression rate according to the 95% EtOH Ext concentration of the epidermis. Since TNF- ⁇ , IL-6, and IL-1 ⁇ are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play a major role in the acute inflammatory response, their expression rates were measured.
  • the experimental method was as follows.
  • RAW264.7 mouse macrophage cell
  • Influenza (A/California/07/2009/H1N1)
  • Herbal extract Prepare stock at 20 mg/ml concentration in DMSO ( ⁇ 99%)
  • the antiviral efficacy of the extract of C. epidermis in inhibiting intracellular influenza infection and replication was confirmed.
  • the I ⁇ B ⁇ Degradation and cytokine (TNF- ⁇ , IL-6, IL-1 ⁇ ) inhibitory efficacy of the extract was confirmed to prevent excessive inflammatory response (cytokine storm) caused by virus infec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be effectively alleviated.
  • Active ingredient 1000 mg, citric acid 1000 mg, oligosaccharide 100 g, and taurine 1 g were mixed, and purified water was added thereto so that the total volume was 900 ml. After stirring and heating at 85° C. for about 1 hour, the resulting solution was filtered and put in a sterilized 2 liter container, sealed and sterilized to prepare a bever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i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n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피(Zanthoxylum piperitum)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초피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활성화합물로서 쿼세틴-3-O-알파-L-람노사이드 및/또는 캠퍼롤-3-O-알파-L-람노사이드는 포유동물에서 호흡기 질환, 소화기 질환, 간질환, 뇌질환 등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인 코로나바이러스,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므로,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품 및 식품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초피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본 발명은 초피(Zanthoxylum piperitum)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는 포유류와 조류에서 호흡기질환, 소화기 질환, 간질환, 뇌질환 등을 일으키는 RNA 바이러스이다(Gallagher TM. et.al., Virology, 279(2): 371-374, 2001). 특히, 코로나바이러스에 속하는 바이러스 중에서 돼지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TGEV, transmissble gastroenteritis virus)와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PEDV,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는 매우 전염성이 높은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위장관 소화기계통에 침입하여 구토, 설사로 인한 탈수와 고열을 일으키며 치사률도 높아서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이다(Duarte M. et.al., J Gen Virol., 75 (Pt 5):1195-1200, 1994). 이들 바이러스는 치사률이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바이러스감염으로 인한 질병처럼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백신개발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효율성이 떨어지는 실정이다(Alonso S. et.al., J Gen Virol., 83(Pt 3):567-579, 2002).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또는 코로나-19는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중국 전역과 전 세계로 확산된,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Coronaviridae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감염질환이다. 초기에는 원인을 알 수 없는 호흡기 전염병으로만 알려졌으나, 세계보건기구(WHO)가 2020년 1월 9일 해당 폐렴의 원인이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국제바이러스분류위원회 2월 11일 명명)라고 밝히면서 병원체가 확인됐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병원체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이다. 국제바이러스분류위원회(ICTV)는 2020년 2월 11일 코로나-19의 병원체에 SARS-CoV-2라는 이름을 제안한 논문을 발표했는데, 위원회는 이 바이러스가 2003년 유행한 사스(SARS,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비슷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 질병관리본부는 중국이 학계를 통해 공개한 해당 바이러스의 유전자염기서열을 입수해 분석한 결과 박쥐 유래 유사 코로나바이러스와 가장 높은 상동성(89.1%)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람 코로나바이러스 4종과의 상동성은 39%~43%로 낮았으며, 메르스와는 50%, 사스와는 77.5%의 상동성을 확인하였다.
코로나-19는 감염자의 비말(침방울)이 호흡기나 눈, 코, 입의 점막으로 침투될 때 전염된다. 여기서 비말감염은 감염자가 기침, 재채기를 할 때 침 등의 작은 물방울(비말)에 바이러스, 세균이 섞여 나와 타인에게 감염되는 것으로 통상 이동거리는 2m로 알려져 있다. 눈의 경우 환자의 침 등이 눈에 직접 들어가거나, 바이러스에 오염된 손으로 눈을 비비면 눈을 통해 전염될 수 있다. 여기에 중국 당국은 2월 19일 공기 중에 떠 있는 고체 또는 액체 미립자, 즉 에어로졸에 의한 코로나19의 전파 가능성을 처음 인정한 바 있다.
코로나-19에 감염되면 약 2~14일(추정)의 잠복기를 거친 뒤 발열(37.5℃) 및 기침이나 호흡곤란 등 호흡기 증상, 폐렴이 주증상으로 나타난다. 또한 근육통과 피로감, 설사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드물게 무증상 감염 사례도 있다.
현재 코로나-19의 백신이나 치료제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태로, 코로나-19 환자로 확진되면 기침, 인후통, 폐렴 등 주요 증상에 따라 항바이러스제나 2차 감염 예방을 위한 항생제 투여 등의 대증치료(대증요법)가 이뤄진다.
한편, 초피(Zanthoxylum piperitum)는 운향과의 낙엽관목으로서 주로 한국, 일본 그리고 중국에 분포하고 있다. 초피는 대개 열매껍질(과피)을 향신료와 약으로 쓰고, 씨앗이나 어린 잎, 나무, 줄기도 여러 용도로 쓴다. 초피 열매는 기름이 많기 때문에 식용유로 사용되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방향성 건위제나 장 대사 촉진제, 해독, 구충, 진통제로 사용되는데 산초(산초나무가 아님) 또는 애초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또한, 한방에 따르면 동맥 경화나 충치, 풍치에 초피나무의 잎을 다려먹으면 좋다고 하지만 구체적인 효과는 아직 과학적으로 밝혀지지 않고 있다.
최근에 초피는 후추와 겨자를 능가하는 세계 제일의 천연 향신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종래기술에서는 주로 초피의 열매껍질, 뿌리, 목질부를 타겟으로 하여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를 추출한 추출물이 항균, 살충, 항암, 항염증, 동맥경화, 고지혈증, 당뇨, 골다공증, 피부미백에 유효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이를 사용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7-0002913호에 개시된 생약(초피나무와 분지나무의 과피)을 주재로 한 약용술 및 그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14545호에 개시된 초피나무로부터 분리한 항균물질 및 그 분리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6969호에 개시된 산초 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결핵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성식품,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3992호에 개시된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2824호에 개시된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등이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발표된 어떠한 문헌에서도 초피 (Zanthoxylum piperitum)의 잎 추출물이 코로나바이러스,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효함이 개시된 바가 없다. 더욱이, 초피의 잎 추출물은 쿼세틴-3-O-알파-L-람노사이드와 캠퍼롤-3-O-알파-L-람노사이드가 지표물질 겸 활성화합물로서 포함되어 있는데, 이 점만 살피더라도 종래의 초피 열매껍질, 뿌리, 목질부의 추출물과는 차이가 있다. 또한, 쿼세틴-3-O-알파-L-람노사이드 또는 캠퍼롤-3-O-알파-L-람노사이드가 항코로나바이러스 효능,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치료 효능이 있음에 대해서는 어떤 문헌에도 개시된 바가 없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7-000291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1454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696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399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2824호
[비특허문헌]
Gallagher TM. et.al., Virology, 279(2): 371-374, 2001
Duarte M. et.al., J Gen Virol., 75 (Pt 5):1195-1200, 1994
Alonso S. et.al., J Gen Virol., 83(Pt 3):567-579, 2002
본 발명의 목적은 초피(Zanthoxylum piperitum)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피(Zanthoxylum piperitum)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의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초피(Zanthoxylum piperitum)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것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인 것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또는 60% 내지 99%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것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90% 내지 99%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것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상기 초피 잎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n-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로 순차적으로 분획화하여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인 것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초피 잎 추출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활성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쿼세틴-3-O-알파-L-람노사이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캠퍼롤-3-O-알파-L-람노사이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4'-히드록시아세토페논,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2,4-디-터트-부틸페놀, 및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1,2-벤젠디카르복시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1005978-appb-I000001
[화학식 2]
Figure PCTKR2021005978-appb-I000002
[화학식 3]
Figure PCTKR2021005978-appb-I000003
[화학식 4]
Figure PCTKR2021005978-appb-I000004
[화학식 5]
Figure PCTKR2021005978-appb-I000005
.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바이러스는 돼지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TGEV, transmissble gastroenteritis virus),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PEDV,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개 코로나바이러스(canine coronavirus), 소 코로나바이러스(bovine Coronavirus), 사스 코로나바이러스(SARS-CoV) 및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것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및 액체 형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어 경구로 투여하는 것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초피(Zanthoxylum piperitum)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초피나무 (Zanthoxylum piperitum)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활성화합물로서 쿼세틴-3-O-알파-L-람노사이드 및/또는 캠퍼롤-3-O-알파-L-람노사이드는 포유동물에서 호흡기 질환, 소화기 질환, 간질환, 뇌질환 등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인 코로나바이러스,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므로,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품 및 식품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피 잎 추출물로부터의 용매 분획물 및 활성화합물을 수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득된 (A) ZPE6A 분획물 및 (B) ZPE6C 소분획물의 GC-MS 스펙트럼이다.
도 3은 실시예 4에서 MDCK 및 BEAS-2B cell에서 초피 95%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세포독성 결과이다.
도 4는 실시예 5의 1차 plaque assay 결과이다.
도 5는 실시예 5의 2차 plaque assay 결과이다.
도 6은 실시예 5의 5 μg/mL 이하 농도의 초피 추출물의 plaque assay 결과이다.
도 7은 실시예 5의 5 μg/mL 이하 농도의 초피 추출물의 plaque assay 결과이다.
도 8은 실시예 6의 MDCK 세포에서 바이러스 단백질 발현을 저해하는 초피 95% EtOH Ext. 효능 결과이다.
도 9는 실시예 7의 Raw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한 IκBα degradation을 억제하는 초피 95% EtOH Ext. 효능 결과이다.
도 10은 실시예 8에서 Raw264.7 세포에서 바이러스에 의한 TNF-α mRNA expression에 대한 초피 95% EtOH Ext. 억제 효능 결과이다.
도 11은 실시예 8에서 Raw264.7 세포에서 바이러스에 의한 IL-6 mRNA expression에 대한 초피 95% EtOH Ext. 억제 효능 결과이다.
도 12은 실시예 8에서 Raw264.7 세포에서 바이러스에 의한 IL-1β mRNA expression에 대한 초피 95% EtOH Ext. 억제 효능 결과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성분의 함량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 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가 변수에 대해 기재되는 경우, 상기 변수는 상기 범위의 기재된 종료점들을 포함하는 기재된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5 내지 10"의 범위는 5, 6, 7, 8, 9, 및 10의 값들뿐만 아니라 6 내지 10, 7 내지 10, 6 내지 9, 7 내지 9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5.5, 6.5, 7.5, 5.5 내지 8.5 및 6.5 내지 9 등과 같은 기재된 범위의 범주에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10% 내지 30%"의 범위는 10%, 11%, 12%, 13% 등의 값들과 30%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들뿐만 아니라 10% 내지 15%, 12% 내지 18%, 20% 내지 30%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10.5%, 15.5%, 25.5% 등과 같이 기재된 범위의 범주 내의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와 약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면서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을 찾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초피(Zanthoxylum piperitum)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활성화합물로서 쿼세틴-3-O-알파-L-람노사이드 및/또는 캠퍼롤-3-O-알파-L-람노사이드가 포유동물에서 호흡기 질환, 소화기 질환, 간질환, 뇌질환 등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인 코로나바이러스,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초피(Zanthoxylum piperitum)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활성화합물로서 쿼세틴-3-O-알파-L-람노사이드 및/또는 캠퍼롤-3-O-알파-L-람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로나바이러스,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초피(Zanthoxylum piperitum)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대상체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초피(Zanthoxylum piperitum)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를 위한 약물의 제조를 위한 초피(Zanthoxylum piperitum)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의 용도를 위한 초피(Zanthoxylum piperitum)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제공한다.
상기 초피(Zanthoxylum piperitum)로부터 추출물, 분획물 및 활성화합물을 분리하기 위한 일련의 방법을 특징으로 하며, 구체적으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1) 초피(Zanthoxylum piperitum)의 잎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여 초피 잎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4) 단계 3)의 초피 잎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초피 잎 분획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5) 단계 4)에서 얻은 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 중압 크로마토그래피 (MPLC)를 수행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쿼세틴-3-O-알파-L-람노사이드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캠퍼롤-3-O-알파-L-람노사이드를 각각 수득하는 단계.
도 1의 공정도를 참조하여, 초피 잎으로부터 추출물, 용매 분획물 또는 활성화합물의 분리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초피(Zanthoxylum piperitum) 잎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계 1)에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초피 잎 이외에 줄기, 가지, 뿌리를 모두 포함한 식물 전체를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추출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급 알코올로는 에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탄올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9%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9%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진탕추출, 속슬렛(Soxhlet) 추출 또는 환류 추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 용매를 건조된 초피 잎 분량에 1 내지 30배, 1 내지 20배, 또는 1 내지 1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온도는 20℃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내지 6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실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추출 시간은 1 내지 10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횟수는 1회 이상 실시할 수 있으나, 추출이 계속될수록 활성 성분의 수득량이 현저히 감소되므로 5회 이상 반복 실시하는 것은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추출 횟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2 내지 5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으로, 예를 들면 초임계추출, 아임계추출, 고온추출, 고압추출 또는 초음파추출법 등의 추출 장치를 이용한 방법 또는 XAD 및 HP-20을 포함한 흡착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4)의 유기용매는 노르말-헥산(n-Hexane), 디클로로메탄(CH2Cl2), 에틸아세테이트(EtOAc) 또는 부탄올(BuOH)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분획물은 초피 잎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노르말-헥산(n-Hexane), 디클로로메탄(CH2Cl2), 에틸아세테이트(EtOAc), 노르말-부탄올(n-BuOH) 및 물(H2O)로 순차적으로 계통 분획하여 수득한 노르말-헥산 분획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노르말-부탄올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임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초피 잎 추출물로부터 분획 과정을 1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3회 반복하여 수득할 수 있고, 분획 후 감압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5)는 단계 4)에서 얻은 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 중압 크로마토그래피 (MPLC)를 수행하여 활성화합물을 분리 수득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4)에서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실리카 비드(Silica beads)가 충진된 유리컬럼 (5Х50 ㎝)에 충진시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한다. 이때, 용출액으로는 에틸아세테이트와 메탄올의 혼합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의 부피비를 90/10로부터 60/40까지 변화시키면서 용출한다. 상기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 결과 7개의 분획을 얻었으며, 얻어진 분획물은 ZPE1, ZPE2, ZPE3, ZPE4, ZPE5, ZPE6, ZPE7로 명명하였다. 상기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얻은 7개의 분획 중에서도 ZPE6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였으며, 분획 ZPE6을 선택하여 중압 크로마토그래피(MPLC)를 이후에 실시하였다.
선택된 분획 ZPE6는 세파덱스 LH-20(sephadex LH-20) 컬럼에 충진시켜 중압 크로마토그래피(MPLC)를 실시한다. 이때, 용출액으로는 메탄올 단독 용액을 사용하여 용출한다. 상기 중압 크로마토그래피(MPLC)를 수행한 결과 3개의 소분획을 얻었으며, 얻어진 소분획물은 ZPE6A, ZPE6B, ZPE6C로 명명하였다. 상기 중압 크로마토그래피(MPLC)를 실시하여 얻은 3개의 소분획 중에서도 ZPE6B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였으며, 소분획 ZPE6B를 선택하여 활성화합물을 분리한다.
소분획 ZPE6B로부터 활성화합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옥타데실화 실리카가 충진된 역상컬럼을 이용하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수행한다. 이때, 용출액으로는 메탄올과 물의 혼합 용액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기로는 메탄올과 물이 동등량으로 포함된 50% 메탄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HPLC를 통해 분리된 활성화합물은 핵자기 공명 분광 분석을 통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쿼세틴-3-O-알파-L-람노사이드 (쿼시트린, Quercitrin)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캠퍼롤-3-O-알파-L-람노사이드 (아프젤린, Afzelin)로 확인되었다.
상기에서 분리한 활성성분 1과 활성성분 2는 각각 핵자기 공명 분광 분석을 통해 화학구조를 규명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1005978-appb-I000006
[화학식 2]
Figure PCTKR2021005978-appb-I000007
한편,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분획물에는 활성성분으로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쿼세틴-3-O-알파-L-람노사이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캠퍼롤-3-O-알파-L-람노사이드 뿐만 아니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4'-히드록시아세토페논,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2,4-디-터트-부틸페놀, 및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1,2-벤젠디카르복시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CTKR2021005978-appb-I000008
[화학식 4]
Figure PCTKR2021005978-appb-I000009
[화학식 5]
Figure PCTKR2021005978-appb-I000010
이상의 분리 방법을 통해 수득되는 초피(Zanthoxylum piperitum) 잎 추출물, 상기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추출한 용매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쿼세틴-3-O-알파-L-람노사이드 (화학식 1)와 캠퍼롤-3-O-알파-L-람노사이드 (화학식 2)는 다양한 코로나바이러스,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해 유의성 있는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초피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로서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질환, 특히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예방, 개선, 치료를 목적하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바이러스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돼지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TGEV, transmissble gastroenteritis virus),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PEDV,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개 코로나바이러스(canine coronavirus), 소 코로나바이러스(bovine Coronavirus), 사스 코로나바이러스(SARS-CoV) 및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바이러스는 바람직하게는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초피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유효성분은 0.0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란 상기 조성물에 노출되는 세포나 인간에게 독성이 없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담체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기제, 부형제, 윤활제 등 당업계에 공지된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초피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의 용어 "투여"란,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 "개체"란 는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등의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다.
상기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성별, 연령, 체중, 건강상태, 질병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배합 또는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성인의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1회 투여량으로 0.0001 내지 100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 ㎎/㎏(체중) 포함할 수 있다. 투여는 상기 권장 투여량을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초피(Zanthoxylum piperitum)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초피(Zanthoxylum piperitum)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에 관한 것과, 상기 초피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에 의한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에 대한 예방, 개선, 치료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초피(Zanthoxylum piperitum)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한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므로 안정성 면에서 문제가 없기 때문에 혼합량에 큰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 건강기능식품 등 당업계에 알려진 용어와 혼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용어 "기능성 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건강보조의 목적으로 특정성분을 원료로 하거나 식품 원료에 들어있는 특정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상기 성분에 의해 생체방어, 생체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와 회복 등 생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가공된 식품을 말하는 것으로서, 상기 건강식품용 조성물은 질병의 예방 및 질병의 회복 등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아울러 본 발명의 초피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식품에 함유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 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즙, 차, 젤리 및 주스 등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식품에는 예컨대,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스낵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스프 등) 등 모든 식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 음료의 형태로 사용될 경우에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감미제,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피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천연 약용식물을 원료로 하므로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에도 일반적인 합성 화합물에 비하여 부작용이 덜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포함되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초피 잎의 추출물, 분획물 및 활성화합물의 분리
도 1에 나타낸 공정도에 의거하여, 초피 잎으로부터 추출물, 분획물 및 활성화합물을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초피(Zanthoxylum piperitum)는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채취한 국내산 초피를 입수하였다. 초피의 잎을 세척 및 건조(음건(陰乾)) 시킨 후 세절하였다. 초피의 잎을 90% 에탄올 수용액에 침지하고, 실온에서 2 ~ 5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감압 증류하여 초피 잎의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초피 잎의 에탄올 추출물 68.8g을 증류수 2 L에 현탁한 후, 동등량의 노르말-헥산(n-hexane), 디클로로메탄(CH2Cl2), 에틸아세테이트(EtOAc), 노르말-부탄올(n-BuOH) 및 물로 순차적으로 분획한 다음 감압 농축하여 각 용매 분획물을 얻었다. 얻어진 각 용매 분획물 각각에 대해 바이러스 억제능을 분석하여, 그 중에서 가장 우수한 항바이러스능을 보이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선택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실리카 비드(Silica beads)가 충진된 유리컬럼(5Х50㎝)에 충진시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이때, 용출액으로는 에틸아세테이트와 메탄올의 혼합용액을 사용하였으며, 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의 부피비를 90/10로부터 60/40까지 변화시키면서 용출하였다. 상기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7개의 분획 (분획 ZPE1, 2.86g; 분획 ZPE2, 0.32g; 분획 ZPE3, 0.30g; 분획 ZPE4, 1.13g; 분획 ZPE5, 0.54g; 분획 ZPE6, 1.90g; 분획 ZPE7, 1.90g)을 얻었다. 상기 7개의 분획 각각에 대해 바이러스 억제능을 분석하여, 그 중에서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이는 분획 ZPE6을 선택하였다.
분획 ZPE6을 감압 농축하고, 완전히 건조시킨 후에 세파덱스 LH-20(sephadex LH-20) 컬럼에 충진시켜 중압 크로마토그래피(MPLC, 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를 실시하였다. 이때, 용출액으로는 메탄올 단독용액을 사용하여 용출하였다. 상기 중압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3개의 소분획 (분획 ZPE6A, 24.7㎎; 분획 ZPE6B, 416㎎; 분획 ZPE6C, 65.4㎎)을 얻었다. 상기 3개의 소분획 각각에 대해 바이러스 억제능을 확인하여, 그 중에서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이는 소분획 ZPE6B를 선택하였다.
소분획 ZPE6B는 옥타데실화 실리카가 충진된 역상컬럼을 이용하는 HPLC (용출액: 메탄올/물 = 50:50)를 실시하여, 활성성분 1과 활성성분 2를 분리하였다.
상기에서 분리한 활성성분 1과 활성성분 2는 각각 핵자기 공명 분광 분석을 통해 화학구조를 규명하였다.
활성성분 1:
1H-NMR (300 MHz, DMSO-d 6) δ 0.9 (d, J = 6 Hz, CH3), 5.2 (d, J = 1.5 Hz, H-1"), 6.15 (d, J = 2.2 Hz, H-6), 6.36 (d, J = 2.2 Hz, H-8), 6.95 (d, J = 8.2 Hz, H-5'), 7.25 (dd, J = 2.2 Hz and J = 8.2 Hz, H-6'), 7.35 (d, J = 2.2 Hz, H-2'); 13C-NMR (75 MHz, DMSO-d 6) δ 17.5 (C-6"), 70.0 (C-5"), 70.2 (C-3"), 70.5 (C-2"), 71.1 (C-4"), 93.6 (C-8), 98.6 (C-6), 101.8 (C-1"), 104.0 (C-10), 115.4 (C-2'), 115.6 (C-5'), 120.7 (C-6'), 121.1 (C-1'), 134.2 (C-3), 145.1 (C-3'), 148.3 (C-4'), 156.4 (C-2), 157.2 (C-9), 161.3 (C-5), 164.2 (C-7), 177.7 (C-4)
이상의 분광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활성성분 1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쿼세틴-3-O-알파-L-람노사이드(Quercetin-3-O-α-L-rhamnoside)로 확인되었다. 활성성분 1의 분광 분석한 결과는 쿼세틴-3-O-알파-L-람노사이드 (쿼시트린, Quercitrin)의 문헌값과 잘 일치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1005978-appb-I000011
활성성분 2:
1H-NMR (300 MHz, DMSO-d 6) δ 0.9 (d, J = 6 Hz, CH3), 5.29 (1H, d, J = 1.5 Hz, H-1"), 6.21 (1H, d, J = 2.5 Hz, H-6), 6.42 (1H, d, J = 2.5 Hz, H-1"), 6.21 (1H, d, J = 2.5 Hz, H-6), 6.42 (1H, d, J = 2.5 Hz, H-8), 6.91 (2H, d, J = 8.4 Hz, H-3' and H-5'), 7.74 (2H, d, J = 8.4 Hz, H-2' and H-6'); 13C-NMR (75 MHz, DMSO-d 6) δ 17.4 (C-6"), 70.0 (C-5"), 70.2 (C-2"), 70.6 (C-3"), 71.0 (C-4"), 93.7 (C-8), 98.7 (C-6), 101.7 (C-1"), 104.0 (C-10), 115.3 (C-3', C-5'), 120.5 (C-1), 130.6 (C-2', C-6'), 134.2 (C-3), 156.5 (C-9), 157.2 (C-2), 159.9 (C-4'), 161.2 (C-5), 164.3 (C-4), 177.7 (C-7)
이상의 분광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활성성분 2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캠퍼롤-3-O-알파-L-람노사이드(Kaempferol 3-O-α-L-rhamnoside)로 확인되었다. 활성성분 2의 분광 분석한 결과는 캠퍼롤-3-O-알파-L-람노사이드 (아프젤린, Afzelin)의 문헌값과 잘 일치하였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21005978-appb-I000012
실시예 2: ZPE6A 및 ZPE6C 소분획물의 GC-MS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한 소분획 ZPE6A 및 ZPE6C에 포함된 활성성분을 분석하고자, GC-M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분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피크
번호
화합물 ZPE6A ZPE6C
RT
(retention time)
Area
(%)
RT
(retention time)
Area
(%)
1 2,4-디-tert-부틸페놀 14.540 26.69 14.540 12.09
2 에이코산 15.974 3.99 14.288 3.67
3 메틸 미리스테이트 17.977 4.00 17.978 4.84
4 메틸 팔미테이트 20.933 32.09 20.934 31.05
5 1,2-벤젠디카르복시산 21.514 6.99 21.514 9.53
6 메틸 스테아레이트 23.638 10.78 23.649 9.86
7 1,2-벤젠디카르복시산 디프로필 에스터 28.674 15.47 28.674 17.85
8 4'-히드록시아세토페논 N/D N/D 12.514 5.62
9 노나데칸 N/D N/D 15.974 5.49
상기 표 1의 GC-MS 분석 결과에 의하면, ZPE6A 또는 ZPE6C 분획물 중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4'-히드록시아세토페논(4'-hydroxy-acetophenone),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2,4-디-터트-부틸페놀(2,4-di-tert-butylphenol),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1,2-벤젠디카르복시산(1,2-benzenedicarboxylic acid)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학식 3]
Figure PCTKR2021005978-appb-I000013
[화학식 4]
Figure PCTKR2021005978-appb-I000014
[화학식 5]
Figure PCTKR2021005978-appb-I000015
또한, ZPE6A 또는 ZPE6C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4'-히드록시아세토페논, 2,4-디-tert-부틸페놀, 1,2-벤젠디카르복시산의 코로나바이러스 복제에 대한 저해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추출조건에 따른 활성화합물의 함량 차이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초피 잎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과정에서, 추출 용매와 온도 조건을 변화시키면서 각각의 추출물을 얻었다. 그리고, 각 추출물에 대해서는 활성화합물(쿼시트린, 아프젤린)의 함량을 HPLC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표 2와 같았다.
추출조건에 따른 추출물의 활성화합물의 함량 대비
추출 조건 시료명 수율
(%)
활성화합물
[area %, 머무름 시간(retention time) 25분]
쿼시트린 아프젤린
조건1 90% 에탄올(EtOH) 추출물-비가열 5.1 36.47 12.85
조건2 90% 에탄올 추출물-가열 6.8 56.44 4.68
조건3 조건2 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에멀젼을 제거한 물질 5.7 58.02 4.05
조건4 90% 에탄올 추출물을 디클로로메탄(CH2Cl2)으로 분획한 분획물 2.2 2.60 7.88
조건5 조건4 분획물을 제외한 잔류물 3.6 66.47 15.36
조건6 노르말-헥산(n-hexane) 추출물 1.1 0.41 4.81
조건7 조건6 추출물을 90% 에탄올로 추출한 에탄올 추출물 5.1 49.50 14.33
조건8 디클로로메탄(CH2Cl2) 추출물 1.7 0.37 6.01
조건9 조건8 추출물을 90% 에탄올로 추출한 에탄올 추출물 4.5 59.49 15.91
상기 표 2에 의하면, 추출 조건에 따라 활성화합물의 함량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초피나무 추출물의 In vitro 세포독성 평가
초피나무 추출물이 세포 독성 없이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최적의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MTT assay를 이용하여 세포 독성 확인하였다.
세포주는 Madin-Darby canine kidney (MDCK) cell line 및 Human bronchial epithelial(BEAS-2B) 을 사용하였다.
시험 방법은 하기와 같았다.
1) 세포를 96well에 1Х104 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각 well에 100ul씩 넣어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함.
2) 24시간 후 각각의 세포에 95% 에탄올 초피 추출물을 처리하고 4시간, 37℃, 5% CO2 조건에서 반응시킴.
3) MTT 용액 처리 후 나타나는 형광강도를 570nm 에서 멀티리더기 (Synergy H1 Multi-mode Reader, Biotek)을 이용하여 확인함.
4) MTT 시험법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대조군과 비교하여 계산함.
- 대조군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을 사용
실험 결과는 도 3 및 하기 표 3과 같았다.
Cell line IC50 (㎍/㎖)
MDCK (Madin-Darby Canine Kidney) 156.1 0.968
BEAS-2B (Human bronchial epithelial) 145.6 0.997
상기 결과에서와 같이 초피 95% EtOH Ext.자체만의 세포독성이 관찰되었다 (용매에 의한 세포독성 없음). 초피 추출물의 세포 독성 영향이 없는 농도 범위에서 하기 항바이러스 유효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160 ㎍/㎖ > IC50).
실시예 5 : 세포 내 바이러스 감염 저해능_플락 감소 확인
초피나무 추출물의 세포 내 바이러스 감염 저해능을 확인하기 위해 플락 감소 분석법 (Plaque reduction assay)을 수행하였다.
Plaque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하여 세포 변성을 일으킨 단층 세포 부위로서, 한 개의 감염성이 있는 바이러스 입자는 하나의 plaque을 형성한다는 이론 하에 바이러스 정량에 응용된다. 본 시험에서는 초피나무 추출물의 세포 내 Plaque 형성 정도를 측정하여, 초피나무 추출물의 항 바이러스 효능 평가를 하였다.
세포주는 Madin-Darby canine kidney (MDCK) cell line 을 사용하였다.
시험방법은 하기와 같았다.
실험은 하기 프로토콜로 준비하였다.
- 세포 : MDCK (Madin-Darby Canine Kidney cells)
- 바이러스 : Influenza (A/California/07/2009/H1N1)
- 바이러스 농도 : 첫번째 시도는 3 X 102 PFU/mL
두번재 시도는 1 X 103 PFU/mL
- 샘플 : only virus / solvent / virus+초피 추출물 (N=4)
초피추출물; 에탄올(≥99.45%)에 100 mg/ml 농도로 Stock 준비
Solvent; 초피 250 ㎍/㎖ 기준 0.25% EtOH
Virus infection condition : 100 μl, 1.5 h, 37 ℃, 5 % CO2
(1) 1차 plaque assay 결과는 도 4 이고, 2차 plaque assay 결과는 도 5와 같았다. 실험 확인 결과 Solvent (0.04% EtOH)에 의한 항 바이러스 영향은 거의 없었다. 초피 추출물의 세포 독성 영향이 거의 없는 31.25 μg/mL 이하 농도 범위부터 5 μg/mL 농도까지 플락크가 형성 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초피 95% EtOH Ext. 31.25 μg/mL에서 Cell viability > 85% )
(2) 이에, 5 μg/mL 이하 농도까지 확인 필요하여 하기 추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 세포 : MDCK (Madin-Darby Canine Kidney cells)
- 바이러스 : Influenza (A/California/07/2009/H1N1)
- 바이러스 농도 : 1 X 103 PFU/mL
- 샘플 : only virus / solvent / virus+초피 추출물 (N=4)
초피추출물; DMSO (≥99%)에 20 mg/ml 농도로 stock 준비
Solvent; 초피 10 ㎍/㎖ 기준 0.05% DMSO
- Virus infection condition : 100 μl, 1.5 h, 37℃, 5 % CO2
실험 결과는 도 6 및 도 7과 같았다. 용매에 의한 항바이러스 영향은 거의 없었으며, 초피 추출물 자체의 항 바이러스 효과임을 확인하였다. 초피 95% EtOH Ext. 처리한 군에서는 농도의존적으로 Plaque 형성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즉, 10 ㎍/㎖ 농도에서 약 95% 이상의 저해율 가짐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 세포 내 바이러스 감염 저해능_웨스턴 블롯 확인
초피나무 추출물 유무에 따른 세포내에서 발현되는 바이러스의 단백질의 양 차이를 웨스턴 블롯 분석법 (Western blot assay)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초피나무 추출물을 바이러스와 함께 처리하고 농도에 따라 감염 세포에서 발현되는 바이러스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웨스턴 블롯으로 확인하여, 초피나무 추출물의 바이러스 불활성화 효과 및 바이러스 감염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세포주는 Madin-Darby canine kidney (MDCK) cell line 을 사용하였다.
시험방법은 하기와 같았다.
1) MDCK 세포를 1Х106 cells/well로 분주한 6 Well 세포배양 접시에 2Х105 PFU/ml 농도의 바이러스와 초피나무 추출물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처리함. 바이러스는 Influenza (A/California/07/2009/H1N1)를 사용하였다.
- 대조군으로 바이러스만 처리한 군,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 진행
2) 1.5시간 후 MDCK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0.3 % BSA (소 혈청 알부민)가 함유된 DMEM 배지에서 2일간 배양하여 바이러스 단백질을 발현시킴.
2일 후, 세포 용해 버퍼 (RIPA buffer)를 처리하고 스크래퍼로 세포가 배양되어 있는 플레이트의 각 Well을 긁어 세포를 모은 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함.
3) BCA 단백질 분석 키트를 사용하여 상층액의 단백질 정량 분석을 수행하고, SDS-PAGE로 단백질을 분리하여 PVDF 막으로 옮김.
4) 단백질이 옮겨진 PVDF 막을 5% 탈지유(skim milk) 용액으로 1시간 동안 blocking 하고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 (예; 인플루엔자의 경우 헤마글루티닌) 에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1차 항체를 처리한 후, 4℃에서 하룻밤 동안 반응시킴.
5) 반응 후 TBST (0.1 % tween-20이 포함) 버퍼용액으로 충분히 세척하고, 2차 항체(HRP conjugated)를 처리하여 상온에서 2시간 반응시킴.
6) TBST (0.1 % tween-20이 포함) 버퍼용액으로 충분히 세척하고, enhanced chemiluminescence (ECL) solution을 처리하여 Chemi-doc 이미지 장비에서 발현되는 밴드를 확인.
- 동일한 양의 세포에서 발현되는 바이러스 단백질의 양을 비교하기 위해 모든 세포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발현되는 단백질인 β-actin에 대한 western blot을 동일한 방법으로 동시에 진행.
실험결과는 도 8 과 같았다. 바이러스만 처리한 군 대비, 초피 95% EtOH Ext.을 같이 처리한 군에서 농도의존적으로 바이러스 단백질 발현 저해 확인하였다 Plaque reduction assay 결과와 양의 선형적 상관관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 항염증 IκBα degradation 억제 효능 평가
초피 95% EtOH Ext 농도에 따른 IκBα degradation 억제 정도를 확인하여, 초피 추출물(95% EtOH Ext.)의 항 염증효과 확인을 하고자 하였다. IκBα는 염증반응이 활성화되면 세포 내에서 분해되며 NF-kB 전사를 활성화 시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를 증가시킨다.
실험 방법은 하기와 같았다.
- 세포 : RAW264.7 (mouse macrophage cell)
- 샘플 : Control / LPS / LPS+초피 추출물
초피추출물; DMSO (≥99%)에 20 mg/ml 농도로 stock 준비
LPS (Lipopolysaccharides); 세균성 염증 유발 성분인 지질다당체
초피 전처리 1시간 후 LPS 6시간 처리 (in SF media)
실험결과는 도 9와 같았다. LPS만 처리한 경우, IκBα degradation이 유도되어 밴드가 희미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초피 95% EtOH Ext. 전처리 군의 경우, LPS에 의한 IκBα degradation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농도의존적으로 단백질 밴드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
실시예 8. RT-PCR을 통한 초피 추출물의 사이토카인 발현율 평가
초피 95% EtOH Ext 농도에 따른 세포내 사이토카인 mRNA 발현율을 확인하여 초피 추출물(95% EtOH Ext.)의 항 염증효과 확인을 하고자 하였다. TNF-α, IL-6, IL-1β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proinflammatory cytokine)으로 급성기 염증반응에서 주요 역할을 하므로, 이들의 발현율을 측정하였다.
실험 방법은 하기와 같았다.
- 세포 : RAW264.7 (mouse macrophage cell)
- 바이러스: Influenza (A/California/07/2009/H1N1)
- 샘플 : Control / virus / virus+초피 추출물
초피추출물; DMSO (≥99%)에 20 mg/ml 농도로 stock 준비
바이러스 전처리 1시간 후, 초피추출물 16시간 처리
실험 결과는 도 10 내지 도 12와 같았다.
바이러스만 처리한 경우, Control 군 대비 TNF-α / IL-6 / IL-1β 발현율이 최대 2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초피 95% EtOH Ext.을 처리한 경우, TNF-α / IL-6 / IL-1β 발현율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4 내지 6의 실험 결과와 같이 초피 추출물의 세포 내 인플루엔자 감염 및 복제를 억제하는 항바이러스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7 내지 8의 결과와 같이, 초피 추출물의 IκBα Degradation 및 사이토카인 (TNF-α, IL-6, IL-1β) 억제 효능 확인하여,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과도한 염증반응(cytokine storm)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제예]
하기 제제예에서는 본 발명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활성화합물(퀘르시트린(quercitrin)과 아프젤린(afzelin)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의 제조예를 설명하였다. 하기 제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제제예 1-1: 정제의 제조
에탄올 50 g에 포비돈 10 g을 녹여 결합액을 조제한 후 유효성분 150 g을 결합액에 넣어 균질하게 교반하였다. 규소화미결정셀룰로오스 130 g,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15 g, 콜로이드실리콘디옥사이드 20 g을 혼합한 후 유효성분과 균질하게 교반시킨 결합액을 투입하여 과립공정을 진행 후 과립물을 건조 및 정립하였다. 제조된 과립물에 크로스포비돈 15 g을 넣고 혼합하고, 콜로이드실리콘디옥사이드 3.5 g과 스테아르산마그네슘 6.5 g을 넣고 활택공정을 진행 후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1-2: 정제의 제조
에탄올 50 g에 포비돈 19 g을 녹여 결합액을 조제한 후, 유효성분 150 g을 결합액에 넣어 균질하게 교반하였다. 규소화미결정셀룰로오스 143 g,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15 g, 노이시린 20 g을 혼합한 후 유효성분과 균질하게 교반시킨 결합액을 투입하여 과립공정을 진행 후 과립물을 건조 및 정립하였다. 제조된 과립물에 크로스포비돈 15 g을 넣고 혼합하고, 콜로이드실리콘디옥사이드 5 g과 스테아르산마그네슘 8 g을 넣고 활택공정을 진행 후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1-3: 정제의 제조
에탄올 50 g에 포비돈 12.5 g을 녹여 결합액을 조제한 후 유효성분 150 g을 결합액에 넣어 균질하게 교반하였다. 규소화미결정셀룰로오스 62.5 g, 유당수화물 65 g,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15 g, 콜로이드실리콘디옥사이드 20 g을 혼합한 후 유효성분과 균질하게 교반시킨 결합액을 투입하여 과립공정을 진행 후 과립물을 건조 및 정립하였다. 제조된 과립물에 크로스포비돈 15 g을 넣고 혼합하고, 콜로이드실리콘디옥사이드 3.5 g과 스테아르산마그네슘 6.5 g을 넣고 활택공정을 진행 후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1-4: 정제의 제조
에탄올 33.5 g에 포비돈 19g을 녹여 결합액을 조제한 후 유효성분 150 g을 결합액에 넣어 균질하게 교반하였다. 규소화미결정셀룰로오스 105 g(주성분이 함유하고 있는 에탄올의 양 만큼 규소화미결정셀룰로오스의 양을 추가함),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17.5 g, 노이시린 20 g을 혼합한 후 유효성분과 균질하게 교반시킨 결합액을 투입하여 과립공정을 진행 후 과립물을 건조 및 정립하였다. 제조된 과립물에 크로스포비돈 17.5 g과 규소화미결정셀룰로오스 33 g을 넣고 혼합하고, 콜로이드실리콘디옥사이드 7.5 g과 스테아르산마그네슘 8 g을 넣고 활택공정을 진행 후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1-5: 코팅정의 제조
상기 제제예 1-1 내지 1-4에서 제조한 정제 755 ㎎(유효성분 300 ㎎ 포함)을 통상적인 펜 코팅 시스템(Opadry®, Opadry200® 또는 Opaglos®)을 이용하여 코팅정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1-6: 주사액제의 제조
유효성분 1 g, 염화나트륨 0.6 g 및 아스코르빈산 0.1 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 ㎖을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제제예 2: 건강식품의 제조
제제예 2-1: 음료의 제조
유효성분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타우린 1 g을 혼합하여, 여기에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부피가 900 ㎖가 되도록 하였다.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용기에 담아서 밀봉 멸균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Claims (9)

  1. 초피(Zanthoxylum piperitum)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60% 내지 99%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것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90% 내지 99%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것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상기 초피 잎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n-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로 순차적으로 분획화하여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인 것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피 잎 추출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활성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쿼세틴-3-O-알파-L-람노사이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캠퍼롤-3-O-알파-L-람노사이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4'-히드록시아세토페논,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2,4-디-터트-부틸페놀, 및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1,2-벤젠디카르복시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21005978-appb-I000016
    [화학식 2]
    Figure PCTKR2021005978-appb-I000017
    [화학식 3]
    Figure PCTKR2021005978-appb-I000018
    [화학식 4]
    Figure PCTKR2021005978-appb-I000019
    [화학식 5]
    Figure PCTKR2021005978-appb-I000020
    .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바이러스는 돼지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TGEV, transmissble gastroenteritis virus),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PEDV,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개 코로나바이러스(canine coronavirus), 소 코로나바이러스(bovine Coronavirus), 사스 코로나바이러스(SARS-CoV) 및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것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및 액체 형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어 경구로 투여하는 것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초피(Zanthoxylum piperitum) 잎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PCT/KR2021/005978 2020-05-13 2021-05-13 초피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WO2021230667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804054.1A EP4151226A1 (en) 2020-05-13 2021-05-13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JP2023514696A JP2023529024A (ja) 2020-05-13 2021-05-13 山椒の葉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コロナウイルス治療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57241 2020-05-13
KR10-2020-0057241 2020-05-13
KR10-2021-0061165 2021-05-12
KR1020210061165A KR20210139180A (ko) 2020-05-13 2021-05-12 초피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0667A1 true WO2021230667A1 (ko) 2021-11-18

Family

ID=7852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5978 WO2021230667A1 (ko) 2020-05-13 2021-05-13 초피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151226A1 (ko)
JP (1) JP2023529024A (ko)
WO (1) WO2021230667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913A (ko) 1995-06-16 1997-01-28 사토 아키오 광기록매체
KR100314545B1 (ko) 1998-10-21 2002-10-25 김근기 초피나무로부터 분리한 항균물질 및 그 분리방법
KR20040097445A (ko) * 2003-05-12 2004-11-1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KR20060040407A (ko) * 2004-11-05 2006-05-1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초피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 조성물
KR100656969B1 (ko) 2004-09-21 2006-12-1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산초 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결핵치료용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성식품
KR100883992B1 (ko) 2006-11-07 2009-02-1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82824B1 (ko) 2010-06-04 2012-09-1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KR20170120021A (ko) * 2017-01-24 2017-10-30 주식회사 서호메콕스 진통에 유효한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913A (ko) 1995-06-16 1997-01-28 사토 아키오 광기록매체
KR100314545B1 (ko) 1998-10-21 2002-10-25 김근기 초피나무로부터 분리한 항균물질 및 그 분리방법
KR20040097445A (ko) * 2003-05-12 2004-11-1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KR100656969B1 (ko) 2004-09-21 2006-12-1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산초 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결핵치료용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성식품
KR20060040407A (ko) * 2004-11-05 2006-05-1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초피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 조성물
KR100883992B1 (ko) 2006-11-07 2009-02-1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82824B1 (ko) 2010-06-04 2012-09-1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KR20170120021A (ko) * 2017-01-24 2017-10-30 주식회사 서호메콕스 진통에 유효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LONSO S ET AL., J. GEN. VIROL., vol. 83, 2002, pages 567 - 579
CHOI, HWA-JUNG;SONG, JAE-HYOUNG;KWON, DUR-HAN;BAEK, SEUNG-HWA;AHN, YOUNG-JOON: "Antiviral Activity of Zanthoxylum Species against Influenza Viru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KR, vol. 16, no. 4, 30 August 2008 (2008-08-30), KR , pages 273 - 278, XP053020006, ISSN: 1225-9306 *
DUARTE M ET AL., J. GEN. VIROL., vol. 75, 1994, pages 1195 - 1200
GALLAGHER T.M. ET AL., VIROLOGY, vol. 279, no. 2, 2001, pages 371 - 374
KWON, DUR-HAN;KIM, MAN-BAE;YOON, DO-YOUNG;LEE, YOUNG-HEE;KIM, JAE-WHA;LEE, HEE-GU;CHOI, IN-SEONG;LIM, JONG-SEOK;CHOE, YONG-KYEUNG: "Screening of Plant Resources of anti-viral activity",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KR, vol. 11, no. 1, 31 March 2003 (2003-03-31), KR , pages 24 - 30, XP053019655, ISSN: 1225-9306 *
MAEDA TAKAAKI; YOSHINAKA YOSHIYUKI; YONEMOTO YOSHIMI; HIGUCHI HIROKAZU; KITABAYASHI TOSHIKI; HATTORI KAZUNARI JINNAI: "Anti SARS-CoV Activity of Extracts from Japanese Pepper (Zanthoxylum piperitum (L.) DC. f. inerme Makino)", HORTICULTURAL RESEARCH (JAPAN), 園芸学会, JP, vol. 10, no. 2, 15 April 2011 (2011-04-15), JP , pages 267 - 272, XP009525292, ISSN: 1347-2658, DOI: 10.2503/hrj.10.267 *
SONG-YI HA, HANA YOUN, CHANG-SEON SONG, SE CHAN KANG, JONG JIN BAE, HEE TAE KIM, KWANG MIN LEE, TAE HOON EOM, IN SU KIM, JONG HWAN: "Antiviral effect of flavonol glycosides isolated from the leaf of Zanthoxylum piperitum on influenza virus", THE JOURNAL OF MICROBIOLOGY,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 HAN-GUG MISAENGMUL HAG-HOE, KR, vol. 52, no. 4, 1 April 2014 (2014-04-01), KR , pages 340 - 344, XP055595230, ISSN: 1225-8873, DOI: 10.1007/s12275-014-4073-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51226A1 (en) 2023-03-22
JP2023529024A (ja)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35928A1 (ko)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조성물, 호흡기 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항노화 조성물
WO2014104672A1 (en) A purified extract isolated from pseudolysimachion rotundum var. subintegrum containing abundant amount of active ingredient,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ion, allergy and asthma
WO2012144754A2 (ko) 바이러스 억제 효능을 갖는 오배자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22050516A1 (ko) 담팔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KR101406201B1 (ko) 인제난 타입의 디테르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WO2017179931A1 (ko)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5037778A1 (ko) 리그난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80297A1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0090498A2 (ko) 이고들빼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조성물
WO2020262799A1 (ko) 노다케닌 및/또는 노다케네틴을 포함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WO2011099812A2 (ko)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230667A1 (ko) 초피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WO2013062247A2 (ko) 포볼 타입의 디테르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WO2012115469A2 (ko) 항염증성의 경구 투여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WO2013012117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comprising phytosterol compound
WO2016129902A1 (ko) 번아웃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031151A1 (ko) 고사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WO2010041908A2 (ko) 판두라틴 유도체 또는 보에센베르기아 판두라타 추출물의 신규한 용도
WO2015002430A1 (ko)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09151236A2 (en) The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r fractions of magnolia obovata thunb for treating and preventing inflammation disease
WO2018088777A1 (ko) 감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로로탄닌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111904A1 (ko)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105373A1 (ko) 화살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173392A2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스테비오사이드 함유 복합체
WO2022173246A2 (ko) 구아바(Psidiuma guajava) 추출물 또는 이의 페오피틴화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메로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040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14696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040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