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6812A - 커몬 모드 필터 - Google Patents

커몬 모드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6812A
KR20040086812A KR1020040022851A KR20040022851A KR20040086812A KR 20040086812 A KR20040086812 A KR 20040086812A KR 1020040022851 A KR1020040022851 A KR 1020040022851A KR 20040022851 A KR20040022851 A KR 20040022851A KR 20040086812 A KR20040086812 A KR 20040086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ore
type core
wires
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3963B1 (ko
Inventor
스즈키히로시
쿠로시마토시히로
토모나리토시오
사이토카츠미
스즈키카츠유키
사토아키라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6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42Networks for transforming balanced signals into unbalanced signals and vice versa, e.g. baluns
    • H03H7/425Balance-balance networks
    • H03H7/427Common-mo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82Devices for guiding or positioning the winding material on the form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45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of cylindric geometry and coil wound along its longitudinal axis, i.e. rod or drum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2017/0093Common mode choke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10Connecting leads to winding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2001/0021Constructional details
    • H03H2001/005Wound, ring or feed-through type induc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2001/0021Constructional details
    • H03H2001/0057Constructional details comprising 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2001/0092Inductor filters, i.e. inductors whose parasitic capacitance is of relevance to consider it as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주파수가 높아 고속차동신호의 전송에 적합하며 고내전압, 고신뢰성을 갖는 표면 실장형의 커몬 모드 필터를 제공할 수 있는 커몬 모드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드럼 타입 코어(10)의 방형 플랜지부(12)에 전극(20)을 마련하고, 플랜지부(12)의 전극(20) 사이에 홈(15)을 가지며 또한 이 홈(15) 안에 분리용 돌기(16)를 갖는 드럼 타입 코어(10)의 권심부(11)에, 쌍을 이루는 와이어(1)(2)를 각 와이어(1)(2)사이에 선간 거리(a)를 마련함과 동시에 와이어의 각 턴사이에 권선간격(b)을 마련한 분배감음으로서 권회하고 또한 상기 분리용 돌기(16)에 의해 각 와이어(1)(2)를 하나씩 분리상태로서 인출홈부(17a)(17b)를 거쳐 인출하여 상기 와이어단말을 상기 전극(20)에 계선(繼線)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커몬 모드 필터{COMMON-MODE FILTER}
본 발명은 신호선 등의 커몬 모드 노이즈를 억압하기 위한 커몬모드필터에 관하며 특히 DVI(Digital Visual Interface),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의 고속차동신호 인터페이스에 이용되는 소형의 커몬모드필터에 관한 것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드럼타입코어의 권심부에 한쌍의 와이어를 두가닥씩 감음으로써 와이어끼리의 결합도를 높이고 또한 한쌍의 와이어 도출부분을 서로 근접상태로 하여 꺼내는 것으로 와이어 도출부분의 결합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노멀 모드 임피던스를 저감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허공개 2003-7773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3-77730호 공보와 같이 한쌍의 와이어 끼리를 두가닥씩감음으로 하여 와이어끼리를 실질적으로 밀착상태로서 권회한 경우, 노멀모드임피던스를 저감할 수 있지만 이는 차단주파수보다도 충분히 낮은 주파수대에 있어서말할 수 있는 것으로 와이어끼리가 밀착상태에 있으면 선간 용량이 증가하므로 차단주파수가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DVI, HDMI등의 고속차동신호 인터페이스에 사용하는 용도이면 차단주파수는 6GHz정도 이상인 것이 요구되고 쌍을 이루는 와이어끼리를 단순히 2가닥감음으로 한 것은 그와같은 높은 차단주파수는 실현불가능하다. 또한 일본국 특개 2003-77730호 공보는 와이어단말을 분리하여 각각 도전접합홈으로 계선하는 구조를 일부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시했지만 와이어도출부분에 있어서 와이어 상호를 밀착시켜 인출하고 있기 때문에 와이어의 계선시의 열에 의해 와이어의 절연피막이 열화했을 때 역시 라인사이 즉 선간에서의 내전압 및 절연저항의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일본국 특개 2003-77730호 공보는 GHz대에서의 자기특성이 양호한 자성코어의 재질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단주파수가 높아 고속차동신호의 전송에 적합하며 고내전압, 고신뢰성을 갖는 표면실장형의 커몬모드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제 1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드럼타입코어에 감겨진 와이어의 선간 거리는 불균일을 최소한으로 억제함으로써 전기특성 불균일의 저감을 도모한 표면실장형의 커몬모드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제 2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그 외의 목적이나 신규 특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명백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커몬모드필터의 제 1실시예이며, 저면측(실장면측)을 위로 향하도록 한 사시도.
도 2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와이어단말의 계선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저면도.
도 3은 플랜지부의 전극 사이의 홈에 분리용 돌기가 없는 경우와, 분리용 돌기가 있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선간 내전압을 대비하여 도시하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이며, 드럼타입코어의 방형 플랜지의 중앙위치에서의 종단면을 도시하는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이며, 저면측을 위로 향하도록 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이며, 저면측을 위로 향하도록 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이며, 저면측을 위로 향하도록 한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커몬모드필터의 일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커몬모드필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와이어 10,60: 드럼타입코어
11,61: 권심부 12,62: 플랜지부
15: 폭이 넓은 홈 16: 분리용 돌기
17a,17b: 인출홈부 20,70: 전극
31,32: 오목홈 40: 판모양 코어
50: 복합자성재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구성특징은 권심부, 및 이 권심부의 양측에서 일체로 설치되는 한쌍의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자성 또는 비자성 드럼타입 코어와; 상기 드럼타입 코어의 한쌍의 플랜지부에 배치되는 전극과; 상기 드럼타입 코어의 상기 권심부에 감기는 한편 상기 전극에 각각 접속되는 단부를 갖는 2개 이상의 권선을; 구비하며, 상기 드럼타입 코어의 각 플랜지부는 대응하는 상기 2개의 전극 사이에 홈과 상기 홈을 2개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용 돌기를 가지며; 각 와이어 사이에 선간 거리(a)와 와이어의 각 턴 사이에 권선간격(b)을 마련한 분배감음으로 상기 와이어를 상기 드럼타입 권심부의 상기 권심부에 권회하고; 상기 분리용 돌기에 의해 와이어를 하나씩 분리상태로 하여 상기 홈을 거쳐 인출하고 상기 와이어단말을 상기 전극에 계선(繼線)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실현학디 위한 본 발명의 제2구성특징은 제1구성특징을 전제로, 상기 드럼타입코어의 양쪽의 플랜지부 윗면 사이에 자성 또는 비자성판모양 코어를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구성특징은 제1구성특징을 전제로,상기 드럼 타입 코어의 양쪽 플랜지부 윗면 사이의 공간을 교락(橋絡)하도록 복합자성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구성특징은 제1 내지 제3구성특징을 전제로, Fe2O3를 40~49.8몰%, ZnO를 10~33몰%, CuO를 2~10몰%, Mn2O3를 1몰%이하, NiO를 나머지부로 하고, SiO2를 0.03~0.5중량%함유하는 페라이트로, 상기 드럼타입코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5구성특징은 권심부, 및 이 권심부의 양측에서 일체로 설치되는 한쌍의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자성 또는 비자성 드럼타입 코어와; 상기 드럼타입 코어의 한쌍의 플랜지부에 배치되는 전극과; 상기 드럼타입 코어의 상기 권심부에 감기는 한편 상기 전극에 각각 접속되는 단부를 갖는 2개 이상의 권선을; 구비하며, 상기 드럼타입 코어의 상기 권심부는 상기 와이어를 서로의 간격을 일정하게두어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용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다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6구성특징은 제5구성특징을 전제로, 상기 드럼타입코어의 양쪽의 플랜지부 윗면 사이에 자성 또는 비자성판모양 코어를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7구성특징은 제5구성특징을 전제로 상기 드럼 타입 코어의 양쪽 플랜지부 윗면 사이의 공간을 교락(橋絡)하도록 복합자성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8구성특징은 제 5 내지 제7 구성특징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Fe2O3를 40~49.8몰%, ZnO를 10~33몰%, CuO를 2~10몰%, Mn2O3를 1몰%이하, NiO를 나머지부로 하고, SiO2를 0.03~0.5중량%함유하는 페라이트로, 상기 드럼타입코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커몬모드필터의 실시예를 도면을 따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커몬모드필터의 제 1실시예이며, 도 1은 저면측(실장면측)을 위로 향하게 한 사시도, 도 2는 와이어단말의 계선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부호 10은 자성체로 형성된 자성드럼타입코어이며, 권심부(11)의 양측에 방형 플랜지부(12)를 갖고 있다. 이 드럼타입코어(10)의 각 방형플랜지부(12)에는 전극(20)이 금속 페이스트의 소성, 금속도금 등으로 각각 2개소 형성되고 있다. 상기 전극(20)은 방형플랜지부(12)의 양단부의 밑면(실장면)에 위치하는 밑면전극부(사용자 전극부)(20a) 및 측면(외측단면)에 위치하는 측면전극부(20b)를 최소한 연속하여 갖도록 형성되고 있다.
드럼타입코어(10)의 자성체로서는 다음의 조성범위의 페라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산화제 2철(Fe2O3) : 40~49.8몰%
산화아연(ZnO) : 10~33몰%
산화제2동(CuO) : 2~10몰%
산화망간(Mn2O3) : 1몰%이하
산화닛켈(NiO) : 잔부
이산화규소(SiO2) : 0.03~0.5중량%
이 페라이트는 GHz대에서의 투자율이 크며 상기 조성범위 외에서는 GHz대에서의 투자율이 열화되어 버린다.
본 실시예에서 드럼 타입 코어로서 이용하는 페라이트의 조성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산화제 2철(Fe2O3) : 45.60몰%
산화아연(ZnO) : 29.70몰%
산화제2동(CuO) : 7.33몰%
산화망간(Mn2O3) : 0.50몰%
산화닛켈(NiO) : 16.87몰%
이산화규소(SiO2) : 미량(0.03~0.5중량%가 되는 소정치)
이 실시예의 조성에 의하면 6GHz정도까지 양호한 자기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전극(20)의 밑면전극부(20a)가 양측에 위치하는 방형플랜지부(12)의 밑면(12a)에는 그 중앙부를 권심부(11)의 축방향으로 횡단하는 폭이 넓은 홈(15)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폭이 넓은 홈(15)의 폭방향 중간위치에 분리용 돌기(16)가 형성되고 있다. 이 결과 분리용 돌기(16)에서 분리된 2개의 인출홈부(17a)(17b)가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드럼타입코어(10)의 권심부(11)에는 한쌍의 와이어(1)(2)가 권선되고, 권선 후의 한쌍의 와이어(1)(2)는 분리용 돌기(16)에서 분리된 2개의 인출홈부(17a)(17b)를 각각 지나며(분리상태를 유지하여) 그것들의 와이어단말은 전극(20)의 밑면전극부(20a)에 열압착, 납땜 등으로 계선(도 2의 계선위치 P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와이어(1)(2) 단말의 밑면전극부(20a)로의 도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인출홈부(17a)(17b)의 저면에서 밑면전극부(20a)의 평탄면을 향하는 경사오목면(18)이 방형플랜지부 단면을 따라 형성되고 있다.
상기 한쌍의 와이어(1)(2)는 커몬모드필터의 차단주파수를 높게 하기 위해(바람직하게는 차단주파수를 6GHz이상으로 하기 위해) 밀착감음으로 하지 않고 도 2와 같이 와이어(1)(2)사이에 선간 거리(a)를 마련함과 동시에 와이어(1)(2)의 각 턴사이에 권선간격(b)을 마련한 분배감음으로 하여 선간 용량을 저감하고 있다. 또한 와이어(1)(2)의 인출부분도 선간 용량저감을 위해 상기 선간 거리(a)이상의 거리를 유지하여 인출홈부(17a)(17b)를 지나 밑면전극부(20a)에 계선되도록 설정한다. 이 때문에 분리용 돌기(16)의 폭은 상기 선간 거리(a)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와이어는 가열융착성을 갖는 세멘트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와이어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드럼타입코어(10)는 상술과 같이 GHz대에서의 투자율이 큰 페라이트로 형성함으로써 GHz대에서의 커몬모드노이즈의 억압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이 제 1실시예에서 작제되는 커몬모드필터의 제품형상은 예를들어 4532타입(길이 4.5mm, 폭, 3.2mm, 높이 3.2mm)이하이며 이 경우 사용하는 와이어(1)(2)의 직경은 0.06mm이하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커몬모드필터에서는 와이어단말의 계선처리부 부근에 있어서, 방형 플랜지부(12)의 폭이 넓은 홈(15) 중간 위치에 분리용돌기(16)를 형성함으로써 도 2와 같이 와이어(1)(2)가 분리되고, 다른 라인와이어가 접촉하는 부분은 없기 때문에 다른 라인사이에서의 쇼트의 위험성이 감소하여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 3에 종래의 커몬모드필터(돌기없는 제품)와, 본 실시예(돌기있는 제품)의 커몬모드필터의 라인 사이의 파괴전압 측정결과를 도시한다. 본 측정결과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커몬모드필터쪽은 라인간 내전압이 50%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제 1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도 2와 같이 와이어(1)(2)사이에 선간 거리(a)를 마련하고 또한 와이어(1)(2)의 각 턴 사이에 권선간격(b)을 마련한 분배감음으로 하는 것으로 커몬모드필터의 차단주파수를 높게(예를들어 차단주파수 6GHz정도로 함) 할 수 있다.
(2) 드럼타입코어(10)를 GHz대에서의 투자율이 큰 하기 조성범위의 페라이트,
산화제 2철(Fe2O3) : 40~49.8몰%
산화아연(ZnO) : 10~33몰%
산화제2동(CuO) : 2~10몰%
산화망간(Mn2O3) : 1몰%이하
산화닛켈(NiO) : 잔부
이산화규소(SiO2) : 0.03~0.5중량%
로 형성함으로써 GHz대에서의 커몬모드노이즈의 억압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특히 페라이트의 실시예에 도시하는 하기조성,
산화제 2철(Fe2O3) : 45.60몰%
산화아연(ZnO) : 29.70몰%
산화제2동(CuO) : 7.33몰%
산화망간(Mn2O3) : 0.50몰%
산화닛켈(NiO) : 16.87몰%
이산화규소(SiO2) : 미량(0.03~0.5중량%가 되는 소정치)
로 하면 한층 뛰어난 커몬모드노이즈의 억압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와이어(1)(2)의 단말의 계선처리부 부근에 있어서 방형플랜지부(12)의 폭이 넓은 홈(15) 중간위치에 분리용 돌기(16)를 형성함으로써 와이어(1)(2)가 분리되고 있기 때문에 다른 라인사이에서의 쇼트의 위험성이 감소하여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하며 아울러 라인간 내전압의 대폭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때 와이어(1)(2)의 인출부분에 있어서도 선간 거리(a)이상의 거리를 유지하여 인출홈부(17a)(17a)로 도출되도록 하여 와이어(1)(2)의 인출부분에서의 선간 용량을 저감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이며, 드럼 타입 코어(10)의 방형 플랜지(12)의 중앙위치에서의 종단면을 도시한다. 이 경우 드럼 타입 코어(10)의 권심부(11)에는 한쌍의 와이어(1)(2)를 각각 위치결정하가 위한 오목부로서의 오목홈(31)(32)이형성되고 있으며 와이어(1)는 오목한 홈(31)에서 위치결정되면서 권심부(11)에 권선되며 와이어(2)는 오목홈(32)에서 위치결정 되면서 권심부(11)에 권선되고 있다. 이 경우 와이어(1)(2)사이의 선간 거리(a)및 와이어(1)(2)의 각 턴사이의 권선간격(b)은 오목홈(31)(32)의 위치에서 정해진다.
도 9의 종래의 커몬 모드 필터에서 한쌍의 와이어 사이에 선간 거리를 갖게 하고 또한 일정간격을 두어 권선을 행하도록 할 경우, 선간 거리, 권선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며 전기특성의 불균일의 요인이 되지만 이 제 2실시예에 의하면 한쌍의 와이어(1)(2)를 분배감음으로 한 경우라도 와이어 위치가 오목홈(31)(32)에서 정확하게 규정되므로 와이어(1)(2)의 선간 거리(a), 권선간격(b)의 불균일을 최소한으로 억제함으로써 제품마다 전기특성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2실시예의 그 외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드럼 타입 코어(10)의 권심부(11)에 와이어(1)(2)를 권선한 후 상기 드럼 타입 코어(10)의 양쪽의 방형플랜지부(12) 사이에 자성체 또는 비자성체의 판모양 코어(40)를 접착수지 등으로 고착 일체화 하고 있다. 이 판모양 코어(40)는 제품의 윗면을 평탄면으로 하고 자동장착기의 흡착노즐에사 흡착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또한 드럼타입코어(10) 및 판모양 코어(40)와 함께 자성체로 하면 드럼 타입 코어(10)와 판모양 코어(40)를 자기적으로 결합시킨 폐자로 코어로서 라인간 결합을 향상시키고 누설자속을 저감하여 커몬 모드 노이즈의 억압특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판모양 코어(40)는 드럼타입코어(10)와 같은 자성체로 구성하면 된다. 또한 그 외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상술한 제 1실시예와 같으며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드럼 타입 코어(10)의 권심부(11)에 와이어(1)(2)가 권선되고 또한 한쌍의 와이어(1)(2)는 분리용 돌기(16)에서 분리된 2개의 인출홈부(17a)(17b)를 각각 지나(분리상태를 유지하여) 전극(20)의 측면적극부(20b)에 열압착, 납땜 등으로 계선처리된다.
이 제 4실시예에서는 측면전극부(20b)에서 권선단말은 측면전극부(20b)에서 계선처리되므로 실장면측이 되는 밑면전극부(20a)의 두께는 증가하지 않고 높이방향의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으며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그 외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상술한 제 3실시예와 같으며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페라이트등의 자성드럼코어(10)에 판모양 코어를 고착하는 대신에 페라이트 등의 자성가루를 에폭시 수지 등에 혼입한 복합자성체(50)를 드럼 타입 코어(10)의 양쪽의 방형 플랜지부(12) 윗면 사이를 교락하도록 일체 성형으로 마련되고 있다. 즉 커몬 모드 필터의 윗면을 복합자성재(50)로 평탄하게 피복하고 있다.
이 제 5실시예에서는 자성 드럼타입 코어(10)와 복합자성재(50)를 자기적으로 결합시킨 폐자로코어로서 라인간 결합을 향상시키고, 누설자속을 저감하여 커몬노이즈의 억압특성의 향상을 기여할 수 있다. 또 복합자성재(50)의 윗면을 평탄면으로서 자동장착기의 흡착노즐에서 흡착가능한 제품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그 외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며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드럼타입코어의 권심부에 와이어를 각각 위치결정하기 위한 오목부로서의 오목홈을 형성했지만 권심부에 와이어 위치결정용 볼록부를 형성하는 구조라도 상관없다.
또 각 실시예에서는 자성체로 형성된 자성 드럼 타입 코어의 경우를 도시했지만 용도에 따라 비자성의 유전체(세라믹 등)의 드럼 타입 코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해씨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항 기재의 범위내에 있어서 각종의 변형, 변경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자성 또는 비자성 드럼타입코어의 플랜지부에 전극을 마련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전극 사이에 홈을 가지며 또한 이 홈안에 분리용 돌기를 갖는 상기 드럼타입코어의 권심부에 2개 이상의 와이어를, 각 와이어사이에 선간 거리(a)를 마련함과 동시에 와이어의 각 턴사이에 권심간격(b)을 마련한 분배감음으로서 권회하고 또한 상기 분리용 돌기에 의해 각 와이어를 하나씩분리상태로서 상기 홈을 거쳐 인출하며 상기 와이어단말을 상기 전극에 계선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차단주파수가 높아 DVI, HDMI등의 고속차동신호의 전송에 적합하고 고내전압, 고신뢰성을 갖는 표면실장형의 커몬모드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자성 또는 비자성 드럼타입코어의 플랜지부에 전극을 마련하고 상기 드럼타입코어의 권심부에 2개이상의 와이어를 권선하여 이 와이어단말을 상기 전극에 계선한 커몬모드필터에 있어서 상기 드럼타입코어의 권심부에 상기 와이어를 상호의 간격을 두어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용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다수 형성한 구성으로 하면 드럼타입코어에 감겨진 와이어의 선간 거리의 불균일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전기특성 불균일의 저감을 도모한 표면실장형의 커몬모드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8)

  1. 권심부, 및 이 권심부의 양측에서 일체로 설치되는 한쌍의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자성 또는 비자성 드럼타입 코어와;
    상기 드럼타입 코어의 한쌍의 플랜지부에 배치되는 전극과;
    상기 드럼타입 코어의 상기 권심부에 감기는 한편 상기 전극에 각각 접속되는 단부를 갖는 2개 이상의 권선을; 구비하며,
    상기 드럼타입 코어의 각 플랜지부는 대응하는 상기 2개의 전극 사이에 홈과 상기 홈을 2개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용 돌기를 가지며;
    각 와이어 사이에 선간 거리(a)와 와이어의 각 턴 사이에 권선간격(b)을 마련한 분배감음으로 상기 와이어를 상기 드럼타입 권심부의 상기 권심부에 권회하고;
    상기 분리용 돌기에 의해 와이어를 하나씩 분리상태로 하여 상기 홈을 거쳐 인출하고 상기 와이어단말을 상기 전극에 계선(繼線)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몬모드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타입코어의 양쪽의 플랜지부 윗면 사이에 자성 또는 비자성판모양 코어를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몬모드필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타입 코어의 양쪽 플랜지부 윗면 사이의 공간을 교락(橋絡)하도록 복합자성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몬모드필터.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Fe2O3를 40~49.8몰%, ZnO를 10~33몰%, CuO를 2~10몰%, Mn2O3를 1몰%이하, NiO를 나머지부로 하고, SiO2를 0.03~0.5중량%함유하는 페라이트로, 상기 드럼타입코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몬모드필터.
  5. 권심부, 및 이 권심부의 양측에서 일체로 설치되는 한쌍의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자성 또는 비자성 드럼타입 코어와;
    상기 드럼타입 코어의 한쌍의 플랜지부에 배치되는 전극과;
    상기 드럼타입 코어의 상기 권심부에 감기는 한편 상기 전극에 각각 접속되는 단부를 갖는 2개 이상의 권선을; 구비하며,
    상기 드럼타입 코어의 상기 권심부는 상기 와이어를 서로의 간격을 일정하게두어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용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다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몬모드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타입코어의 양쪽의 플랜지부 윗면 사이에 자성 또는 비자성판모양 코어를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몬모드필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타입 코어의 양쪽 플랜지부 윗면 사이의 공간을 교락(橋絡)하도록 복합자성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몬모드필터.
  8. 제 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Fe2O3를 40~49.8몰%, ZnO를 10~33몰%, CuO를 2~10몰%, Mn2O3를 1몰%이하, NiO를 나머지부로 하고, SiO2를 0.03~0.5중량%함유하는 페라이트로, 상기 드럼타입코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몬모드필터.
KR1020040022851A 2003-04-03 2004-04-02 커몬 모드 필터 KR1005939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00118 2003-04-03
JP2003100118A JP4203949B2 (ja) 2003-04-03 2003-04-03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812A true KR20040086812A (ko) 2004-10-12
KR100593963B1 KR100593963B1 (ko) 2006-06-30

Family

ID=33464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851A KR100593963B1 (ko) 2003-04-03 2004-04-02 커몬 모드 필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78988B2 (ko)
JP (1) JP4203949B2 (ko)
KR (1) KR100593963B1 (ko)
CN (2) CN1252747C (ko)
TW (1) TWI2849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5713A (ja) * 2004-11-18 2006-06-08 Seiko Epson Corp ワイヤーバー、ワイヤーバー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256673B2 (en) 2005-01-31 2007-08-14 Tdk Corporation Coil assembly including common-mode choke coil
JP4176726B2 (ja) * 2005-03-18 2008-11-05 Tdk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4176083B2 (ja) * 2005-01-31 2008-11-05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4747667B2 (ja) * 2005-05-13 2011-08-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巻線型コイル部品
JP2007005769A (ja) * 2005-05-27 2007-01-11 Tdk Corp コイル部品及び電子機器
JP2007012861A (ja) * 2005-06-30 2007-01-18 Fuonon Meiwa:Kk 巻線型コモンモードコイルのコア用基材及びそれを用いたコア並びに巻線型コモンモードコイル
JP4213695B2 (ja) * 2005-07-29 2009-01-21 Tdk株式会社 信号伝送回路
JP4012553B2 (ja) * 2005-07-29 2007-11-21 Tdk株式会社 インダクタンス素子及び信号伝送回路
JP2007091538A (ja) * 2005-09-29 2007-04-12 Tdk Corp 非磁性Znフェライ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複合積層型電子部品
JP4311575B2 (ja) * 2005-10-03 2009-08-12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巻線チップ型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2007134595A (ja) * 2005-11-11 2007-05-31 Sumida Corporation コイル部品
US7816915B2 (en) * 2006-01-06 2010-10-19 Biosense Webster, Inc. Miniature coils on core with printed circuit
US20080036566A1 (en) 2006-08-09 2008-02-14 Andrzej Klesyk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JP2008091359A (ja) * 2006-09-29 2008-04-17 Toko Inc 巻線型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US7358842B1 (en) * 2006-11-08 2008-04-15 Prosperity Dielectrics Co., Ltd. Wire-winding common mode choke
JP5084408B2 (ja) * 2007-09-05 2012-11-28 太陽誘電株式会社 巻線型電子部品
JP4844843B2 (ja) * 2007-12-14 2011-12-28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US20090195303A1 (en) * 2008-02-04 2009-08-06 William Joseph Bowhers Method of Reducing Common Mode Current Noise in Power Conversion Applications
JP4844848B2 (ja) * 2008-03-24 2011-12-28 Tdk株式会社 電子部品の継線構造
JP2009272315A (ja) * 2008-04-30 2009-11-19 Tdk Corp コイル部品及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4683071B2 (ja) * 2008-05-16 2011-05-11 Tdk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2010150050A (ja) * 2008-12-24 2010-07-08 Fdk Corp 磁気組成物及びインダクタ並びに電子回路用基板
JP5168742B2 (ja) * 2009-09-29 2013-03-27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WO2011108701A1 (ja) 2010-03-05 2011-09-09 株式会社 村田製作所 セラミック電子部品、及び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WO2011155240A1 (ja) * 2010-06-09 2011-12-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234060B2 (ja) * 2010-07-27 2013-07-10 Tdk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5156076B2 (ja) * 2010-10-22 2013-03-06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US8829487B2 (en) * 2011-03-21 2014-09-09 Walsin Lihwa Corporation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516530B2 (ja) * 2011-07-29 2014-06-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ンス素子
US8686822B2 (en) * 2011-08-22 2014-04-0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Surface mounted pulse transformer
TWI508110B (zh) * 2012-03-05 2015-11-11 Delta Electronics Inc 磁性元件
CN103295738A (zh) * 2012-03-05 2013-09-11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磁性组件
CN103325535A (zh) * 2012-03-05 2013-09-25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磁性组件
US9263177B1 (en) * 2012-03-19 2016-02-16 Volterra Semiconductor LLC Pin inductor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JP5844765B2 (ja) * 2013-03-27 2016-01-20 Tdk株式会社 パルストランス及びこれを備えた回路部品
JP6303341B2 (ja) * 2013-09-03 2018-04-04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US20150206649A1 (en) * 2014-01-23 2015-07-23 Kinnexa, Inc. Improved structure of smd (surface mount device) type signal transformer
DE102014103324B4 (de) * 2014-03-12 2022-11-24 Tdk Electronics Ag Induktiv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induktiven Bauelements
DE102014105370A1 (de) 2014-04-15 2015-10-15 Epcos Ag Kernbauteil
SG10201401882RA (en) * 2014-04-28 2015-11-27 Delta Electronics Int’L Singapore Pte Ltd Choke
TWI578345B (zh) * 2014-05-19 2017-04-11 Murata Manufacturing Co Manufacturing method of wound electronic parts
JP6435649B2 (ja) * 2014-06-05 2018-12-12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590719A (zh) * 2014-10-24 2016-05-18 千如电机工业股份有限公司 共模滤波器及其铁芯
JP6406173B2 (ja) * 2015-02-12 2018-10-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US9899131B2 (en) * 2015-07-20 2018-02-20 Cyntec Co., Ltd. Structure of an electronic component and an inductor
JP2017092349A (ja) * 2015-11-13 2017-05-25 Tdk株式会社 コイル装置
JP6695136B2 (ja) * 2015-12-11 2020-05-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巻線型インダクタ
JP7012221B2 (ja) * 2016-08-09 2022-0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の製造方法
JP6569653B2 (ja) * 2016-12-08 2019-09-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巻線型コイル部品
JP6794844B2 (ja) * 2017-01-23 2020-12-02 Tdk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6766697B2 (ja) * 2017-03-07 2020-10-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JP6658669B2 (ja) * 2017-05-23 2020-03-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巻線型コイル部品
JP6686978B2 (ja) * 2017-06-24 2020-04-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164692B2 (en) * 2017-07-11 2021-11-02 Tdk Corporation Coil device
JP6966721B2 (ja) * 2017-07-11 2021-11-17 Tdk株式会社 コイル装置
CN109390137A (zh) * 2017-08-03 2019-02-26 联振电子(深圳)有限公司 电感的电极片及其制造方法
JP7318191B2 (ja) * 2017-11-16 2023-08-01 Tdk株式会社 コイル装置
JP6966722B2 (ja) * 2017-12-18 2021-11-17 Tdk株式会社 コイル装置
US11837396B2 (en) * 2018-02-05 2023-12-05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ommon-mode choke coil
JP6743838B2 (ja) * 2018-03-03 2020-08-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7021605B2 (ja) * 2018-06-11 2022-02-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CN108962560B (zh) * 2018-09-07 2024-04-12 广州金升阳科技有限公司 片式绕线变压器及其制造方法和包含该变压器的微功率模块电源
JP6958520B2 (ja) * 2018-09-11 2021-11-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JP7230389B2 (ja) * 2018-09-20 2023-03-01 Tdk株式会社 コイル装置およびパルストランス
JP7450331B2 (ja) * 2018-10-03 2024-03-15 Tdk株式会社 コイル装置およびパルストランス
JP2020126975A (ja) * 2019-02-06 2020-08-20 Tdk株式会社 コイル装置
JP7338183B2 (ja) 2019-03-19 2023-09-05 株式会社プロテリアル Ni系フェライ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イル部品
JP7081561B2 (ja) * 2019-04-19 2022-06-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CN112147426A (zh) * 2019-06-11 2020-12-29 美磊电子科技(昆山)有限公司 可提高准确率的共模滤波器绝缘电阻测试方法
JP7367399B2 (ja) * 2019-08-30 2023-10-24 Tdk株式会社 コイル装置
JP7456196B2 (ja) * 2020-03-03 2024-03-27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6806278B2 (ja) * 2020-03-27 2021-01-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及び回路モジュール
JP7416023B2 (ja) 2021-07-28 2024-01-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2705A (ja) * 1988-08-01 1990-0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可変コイル
JP3273514B2 (ja) * 1992-06-05 2002-04-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ノイズフィルタ
JPH0963850A (ja) * 1995-06-15 1997-03-07 Murata Mfg Co Ltd ノイズ除去装置
JPH1167521A (ja) * 1997-08-19 1999-03-09 Taiyo Yuden Co Ltd 巻線型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3352950B2 (ja) * 1998-07-13 2002-12-03 太陽誘電株式会社 チップインダクタ
JP2000100625A (ja) 1998-09-22 2000-04-07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コイル部品
JP2000269050A (ja) * 1999-03-16 2000-09-29 Taiyo Yuden Co Ltd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2000277335A (ja) * 1999-03-23 2000-10-06 Kankyo Denji Gijutsu Kenkyusho:Kk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2000311816A (ja) * 1999-04-27 2000-11-07 Toko Inc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2002008931A (ja) * 2000-04-18 2002-01-11 Taiyo Yuden Co Ltd 巻線型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3487552B2 (ja) * 2000-08-28 2004-01-19 Tdk株式会社 フェライト材料
JP4673499B2 (ja) * 2001-05-01 2011-04-20 コーア株式会社 チップ型コイル
JP3755488B2 (ja) * 2001-08-09 2006-03-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巻線型チップコイルおよびその特性調整方法
JP2003077730A (ja) * 2001-09-05 2003-03-14 Taiyo Yuden Co Ltd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US6778055B1 (en) * 2003-02-07 2004-08-17 Aoba Technology Co., Ltd. Core member for wi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3963B1 (ko) 2006-06-30
CN1536591A (zh) 2004-10-13
JP4203949B2 (ja) 2009-01-07
TW200428423A (en) 2004-12-16
US20040263285A1 (en) 2004-12-30
JP2004311560A (ja) 2004-11-04
US7078988B2 (en) 2006-07-18
CN1822256A (zh) 2006-08-23
TWI284908B (en) 2007-08-01
CN1252747C (zh)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3963B1 (ko) 커몬 모드 필터
CN108183018B (zh) 绕组型线圈部件
CN1220223C (zh) 绕线形线圈
US8120458B2 (en) Ferrite core and transformer using the same
US20170316870A1 (en) Common mode noise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94755B1 (ko) 전자부품
US11948723B2 (en) Coil component
KR20140083577A (ko) 공통모드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14302A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20140116678A (ko) 박막형 공통모드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7375A (ko) 커먼 모드 노이즈 필터
JP2017069460A (ja)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61944B1 (ko) 권선형 인덕터
US11749446B2 (en) Common-mode choke coil
CN110459389A (zh) 表面安装电感器
CN107045925B (zh) 线圈部件
CN103745800B (zh) 一种脉冲变压器及其制造方法
US20210391110A1 (en) Common mode filter
CN113363060A (zh) 线圈装置
US11563416B2 (en) Common mode choke coil
CN114551377B (zh) 一种igbt驱动封装结构及制作方法
US20220115172A1 (en) Common mode choke coil
CN117095922A (zh) 变压器
KR101792469B1 (ko) 공통모드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2159899A (ja) コイル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