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4353A - 유기 전계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4353A
KR20040014353A KR1020030054925A KR20030054925A KR20040014353A KR 20040014353 A KR20040014353 A KR 20040014353A KR 1020030054925 A KR1020030054925 A KR 1020030054925A KR 20030054925 A KR20030054925 A KR 20030054925A KR 20040014353 A KR20040014353 A KR 20040014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electrode
electroluminescent
lay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4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5597B1 (ko
Inventor
츠츠이테츠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040014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5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9Tandem OLE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8Carrier 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41Applying alternating current [AC] during manufacturing or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Abstract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는, 그 구성에 신규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효율의 증대와, 높은 신뢰성 및 양호한 수율을 달성한다. 전계 발광을 초래할 수 있는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전계 발광막을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사이에 설치한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전계 발광막 중에 플로팅 전극인 전하 발생층이 매립되고, 또한, 제 1 전극과 전계 발광막 사이, 및 제 2 전극과 전계 발광막 사이에 각각 절연층을 설치하며,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는 교류 바이어스에 의해 구동된다.

Description

유기 전계발광 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본 발명은 전계를 가하면 광을 발하는 유기 화합물 층을 갖는 유기 전계발광(electroluminescent) 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교류 바이어스를 사용하여 광을 발하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무기 화합물과 비교하여, 유기 화합물은 재료 시스템이 다양하고, 적합한 분자 설계를 통해 여러가지 기능을 갖는 재료를 합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또한, 유기 화합물로 제조된 것들은 유연성이 있고, 또한 고분자화에 의해 가공성도 뛰어나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장점들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기능성 유기 재료를 사용한 포토닉스(photonics)나 일렉트로닉스 기술이 주목되고 있다.
유기 재료의 광 물성을 이용한 포토닉스 기술은 현재의 산업 기술에서 이미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예를 들면, 포토레지스트 등의 감광 재료는 반도체의 미세 가공에 사용되는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에 있어서 필수적인 재료이다. 더우기, 유기 화합물 자체는, 광의 흡수 및 그것에 수반되는 발광(형광이나 인광)의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레이저 색소(pigments) 등의 발광 재료에 매우 적합하다.
한편, 유기 화합물은 그 자체가 캐리어를 갖지 않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우수한 절연성을 갖는다. 따라서, 유기 재료의 전기 물성을 이용한 일렉트로닉스 기술에 관해서, 대부분의 유기 화합물은 종래에는, 절연 재료, 보호 재료, 또는 피복 재료와 같은 절연체로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절연체인 유기 재료에 대량의 전류를 흘리는 수단이 존재한다. 이 수단은 일렉트로닉스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실용되고 있다. 이 수단은 크게 구분하여 2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진다.
그 중의 하나는 도전성 고분자(conductive polymers)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π공역계 유기 화합물에 억셉터(acceptor: 전자 수용체) 또는 도너(doner: 전자 공급체)를 도핑(dope)하여 상기 π공역계 유기 화합물에 캐리어를 갖게 하는 수단이다(참조문헌 1: Hideki Shirakawa, Edwin J. Louis, Alan G. MacDiarmid, Chwan K. Chiang, and Alan J. Heeger, “Synthesis of Electrically Conducting Organic Polymers: Halogen Derivatives of Polyacetyrene, (CH)x", Chem. Comm., 1977, 16, 578-580). 도핑 량을 늘림으로써 캐리어가 어느 정도의 영역까지 증가해가기 때문에, 암(暗) 도전율(dark conductivity)도 그에 따라 상승하여, 많은 양의 전류가 유기 재료에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암 도전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억셉터 또는 도너를 도핑함으로써 유기 재료에 전류를 흘리는 수단의 일부는, 이미 일렉트로닉스 분야, 예를 들면, 폴리아닐린이나 폴리아센을 사용한 충전가능한 이차 전지나, 폴리피롤을 사용한 전계 콘덴서 등에 적용되고 있다.
유기 재료에 대량의 전류를 흘리는 다른 수단은 SCLC(Space Charge LimitedCurrent; 공간 전하 제한 전류)를 이용하는 것이다. SCLC란 외부로부터 공간 전하를 주입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흐르기 시작하는 전류이다. 상기 SCLC의 전류 밀도는 차일드 법칙(Child's law), 즉 하기 식 1로 나타난다. 이 식에서, J는 전류 밀도이고, ε는 비유전율(relative permitivity)이며, ε0는 진공 유전율이고, μ은 캐리어 이동도이며, V는 전압이고, d는 전압 V 가 인가되는 간격이다.
J = 9/8·εεOμ·V2/d3
상기 SCLC 를 표현하는 식 1은, SCLC가 흐를 때 발생하는 캐리어 트랩(carrier-trap)을 전혀 가정하지 않고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캐리어 트랩에 의해 제한되는 전류는 TCLC(Trap Charge Limited Current)라고 지칭되고, 이는 전압의 거듭제곱에 비례한다. SCLC 및 TCLC 의 속도는 벌크로 정해지기 때문에 이하에서 SCLC 는 TCLC 와 동일하게 취급된다.
여기서, 대비를 위해서, 오옴(ohm) 전류가 오옴의 법칙에 따라 흐를 때의 전류 밀도를 하기 식 2에 나타낸다. σ는 도전율(conductivity)이고, E는 전계 강도이다.
J = σE = σ·V/d
식 2 에서 도전율(σ)은 σ= neμ(여기서, n은 캐리어 밀도이며, e는 전하임)로 표시되기 때문에, 캐리어 밀도는 흐르는 전류량의 지배 인자에 포함된다.따라서, 어느 정도의 캐리어 이동도를 갖는 유기 재료에 대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도핑에 의한 캐리어 밀도의 증대를 도모하지 않는 한, 통상 캐리어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유기 재료에는 오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그런데, 식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SCLC를 결정하는 인자는 유전율, 캐리어 이동도, 전압, 및 전압이 인가되는 간격이고, 캐리어 밀도는 관계없다. 즉, 캐리어를 가지지 않는 절연체인 유기 재료라도, 전압이 인가되는 간격(d)을 충분히 작게 하고, 캐리어 이동도(μ)가 큰 재료를 사용하므로써, 외부로부터 캐리어를 주입하여 전류를 흘릴 수 있다.
이 수단을 사용한 경우, 유기 재료내의 전류량은 통상의 반도체의 전류량과 같거나 그 이상이다. 따라서, 캐리어 이동도(μ)가 큰 유기 재료, 즉 잠재적으로 캐리어를 수송할 수 있는 유기 재료는 "유기 반도체"라고 지칭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SCLC를 이용하는 유기 반도체 소자 중에서도 기능성 유기 재료의 광 물성(photonics) 및 전기 물성(electrical qualities) 양쪽을 이용하는 포토일렉트로닉스 디바이스로서, 유기 전계발광 소자(이하, 유기 EL 소자라고 함)가 최근 놀라운 발전을 보이고 있다.
유기 EL 소자의 가장 기본적인 구조는 1987년에 C. W. Tang 등에 의해서 보고되어 있다 (참조문헌 2: C. W. Tang and S. A. Vanslyk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s", Applied Physics Letters, Vol. 51, No. 12, 913-915(1987)).
참조문헌 2에 보고되어 있는 소자는 홀(hole: 정공)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과전자 수송성의 유기 화합물을 적층시켜 형성된 합계 약 100 nm 정도 두께의 유기 박막을 전극 사이에 개재한 다이오드 소자의 일종이다. 전자 수송성의 화합물로는 발광성 재료(형광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소자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처럼 외부로 발광을 취출(extract)할 수 있다.
상기 발광 기구는 다음과 같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극사이에 개재된 유기 박막에 전압을 가함으로써,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홀 및 전자가 유기 박막 중에서 재결합하여 여기(excited) 상태의 분자(이하, "분자 여기자(molecular exciton)"라고 기재한다)를 형성하고, 이후 상기 분자 여기자(勵起子)가 그 기저(base) 상태로 되돌아갈 때에 광이 방출된다.
주목할 것은, 유기 화합물에 의해 형성된 1중항 및 3중항 여기자(singlet and triplet excitons)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저 상태가 보통 1중항 상태이므로, 1중항 여기 상태로부터의 발광(light emission)은 형광(fluorescent light)이라고 불리며, 3중항 여기 상태로부터의 발광은 인광(phosphorescent)이라고 불린다. 본 명세서 중에서는 어느쪽 여기 상태로부터의 발광을 기술할 것이다.
이러한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유기 박막은 통상 100 내지 200 nm 정도의 박막으로 형성된다. 또한, 유기 EL 소자는 유기 박막 그 자체가 광을 방출하는 자발 발광형의 소자이기 때문에, 종래의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고 있는 백라이트도 필요없다. 따라서, 유기 EL 소자는 극히 박형의 경량으로 제작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갖는다.
또한, 예를 들면 100 내지 200 nm 두께의 유기 박막에 있어서, 캐리어를 주입하고 나서 재결합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은 유기 박막의 캐리어 이동도를 생각하면 수십 나노초 정도이다. 캐리어의 재결합으로부터 발광까지의 과정을 포함하더라도, 마이크로초(백만분의 1초) 오더 이내로 발광에 도달한다. 따라서, 응답 속도가 매우 빠른 것도 유기 박막의 장점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박형 경량, 및 고속 응답성 등의 특성으로부터, 유기 EL 소자는 차세대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주목되고 있다. 또한, 자발 발광 특성으로 인한 고도의 시인성(visibility) 및 넓은 시야각을 갖기 때문에, 유기 EL 소자는 휴대 기기의 표시 화면에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기 EL 소자는 유기 반도체에 SCLC를 흘리는 것을 이용한 디바이스이지만, SCLC은 그 유기 반도체의 기능 열화를 촉진시킨다. 유기 EL 소자에서는, 초기 휘도에 거의 반비례하는, 즉 전류 유동 양에 반비례하는 형태로 소자 수명(발광 휘도의 반감기)이 나빠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참조문헌 3: 사토 요시하루, "일본 응용 물리학회/유기 분자 일렉트로닉스 및 바이오일렉트로닉스 분과회 회지", Vo1. 11, No. 1,(2000), 86-99).
전술한 내용을 감안하면, 전류 효율(전류에 따라 발생하는 휘도)을 향상시킴으로써, 어떤 휘도를 달성하기에 필요한 전류량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열화도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소비 전력의 관점은 물론, 소자 수명의 관점에서도, 전류 효율은 유기 소자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유기 EL 소자는 그 전류 효율에 대해서 문제를 안고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기 EL 소자의 발광 기구는 주입된 홀과 전자가 재결합함으로써광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한 개의 홀과 한 개의 전자의 재결합으로부터, 최대 한 개의 광자(photon)를 취출할 수 있게 되고, 복수의 광자를 취출할 수는 없다. 결국, 내부 양자 효율(주입된 캐리어의 수에 대하여 방출되는 광자의 수)은 최대 1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내부 양자 효율을 1 에 근접시키는 것조차 곤란하다. 예를 들면 발광체로서 형광 재료를 사용한 유기 EL 소자의 경우, 1중항 여기 상태(S*)와 3중항 여기 상태(T*)의 통계적인 생성 비율이 S*:T*=1:3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에, 내부 양자 효율의 이론적 한계는 0.25가 된다(참조문헌 4: 츠츠이 테츠오, "일본 응용 물리학회, 유기 분자 일렉트로닉스 및 바이오일렉트로닉스 분과회, 제 3 회 세미나 텍스트북」, (1993) P. 31). 또한, 형광 재료로부터의 형광 양자 수율(Φf) 이 1이 아닌 한, 내부 양자 효율은 0.25 보다도 더 내려간다.
최근에는, 3중항 여기 상태로부터의 발광으로부터 얻어진 인광 재료를 사용하므로써, 내부 양자 효율의 이론적 한계를 0.75 내지 1 에 근접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로 형광 재료를 넘는 효율이 달성되고 있다. 그러나, 인광 양자 효율(Φp)이 높은 인광 재료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재료의 선택 폭이 불가피하게 한정된다. 이는 실온에서 인광을 방출할 수 있는 유기 화합물이 극히 드물기 때문이다.
그래서, 디바이스의 전류 효율이 나쁜 것을 극복하는 방법으로서, 최근, 전하 발생층의 개념이 보고되었다(참조문헌 5: M. Herrmann, Junji KIDO, 제 49 회일본 응용 물리학회 관계 연합강연회 강연 예고집(2002.3), p.1308, 27p-YL-3).
전하 발생층의 개념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된다. 도 7a 및 도 7b는 양극, 제 1 전계 발광층, 전하 발생층, 제 2 전계 발광층, 및 음극을 순차로 적층하여 형성된 참조문헌 5에 개시된 유기 EL 소자의 모식도이다. 또, 전계 발광층(이하, "EL 층"이라 함)은 전계 발광 가능하거나, 혹은 캐리어 주입에 의해 발광 가능한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층이다. 또한, 전하 발생층은 외부 회로와 접속되어 있지 않고, 플로팅(floating) 전극으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양극과 음극 사이 영역에 전압(V)을 인가하면, 전하 발생층으로부터 제 1 EL 층에 대해서 전자가 주입되고, 전하 발생층으로부터 제 2 EL 층에 대해서 홀이 각각 주입된다. 외부 회로에서 보면, 양극에서 음극을 향하여 홀이 흐르고, 음극으로부터 양극을 향하여 전자가 흐르고 있다(도 6a). 전하 발생층으로부터 전자와 홀 양자가 역방향으로 흘러나올 수도 있으므로(도 6b), 제 1 EL 층 및 제 2 EL 층의 양쪽에서 캐리어의 재결합이 일어나고, 발광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전류(I)가 흐르고 있다고 하면, 제 1 EL 층 및 제 2 EL 층 모두, 전류(I) 양에 대응하는 만큼의 광자를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층만을 갖는 유기 EL 소자와 비교하여, 동일한 전류로 두배의 양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전압은 그 만큼, 단일 층만을 갖는 유기 EL 소자와 비교하여 두배 이상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전하 발생층을 도입한 유기 EL 소자에서는 다수의 EL 층을 적층함으로써, 전류 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구조적으로 그만큼 몇 배의 전압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론상에 있어서, 전류 효율의 향상은 물론이며, 소자 수명에 대해서도 큰 향상이 기대될 수 있다.
그러나, 전하 발생층을 사용하여 보다 전류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면, 다수의 EL 층을 적층해야 하고 작업이 번잡해진다. 따라서, 부분적으로 핀홀(pinhole)과 같은 결함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소자간 격차나, 소자의 단락 등과 같은 다른 결함이 생기기 쉽다. 즉, 전류 효율이 향상함으로써 소자의 본질적인 신뢰성은 향상되지만, 소자의 수율에 문제가 생겨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적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적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를 도시하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바이폴라성 전하 발생층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종래의 전하 발생층을 채용한 유기 EL 소자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실시예 4에서의 전압과 휘도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실시예 4에서의 교류 구동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제 1 전극102 : 제 2 전극
103 : 전계발광 막104, 601 :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
105a, 105b : 절연층602 : 도전막
603 : 진성 반도체605 : 전자 주입 영역
610, 611 : 전계 발광층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전하 발생층을 사용한 유기 EL 소자를 개선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을 고안하였다(본 발명자는 전하 발생층을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으로 지칭한다). 그 기본적인 구성을 도 1에 도시한다.
도 1은 제 1 전극(101) 및 제 2 전극(102) 사이에 전계 발광막(103)을 설치한 유기 EL 소자이다. 상기 전계 발광막(103)은 전계 발광을 초래할 수 있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유기 EL 소자에서는, 전계 발광막(103)중에 플로팅 전극인 전하 발생층(104)이 매립되고, 상기 제 1 전극(101)과 상기 전계 발광막(103) 사이에 절연층(105a)(제 1 절연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102)과 상기 전계 발광막(103) 사이에는 다른 절연층(105b)(제 2 절연층)이 형성된다. 도 1의 경우는,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104)이 단일 층으로만 제공된다. 따라서, 전계 발광막(103)은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104)에 의해 제 1 전계 발광층(103-1)과 제 2 전계 발광층(103-2)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전계 발광막(103) 전체는 절연층(105a)과 절연층(105b)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유기 EL 소자는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104)을 1층만 설치하고 있지만, 2층 이상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EL 소자는 전계 발광층(103-1 내지 103-n)과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104-1 내지 104-m)(단, m은 1이상의 정수, 또한, n = m+1)을 교대로 설치한 구조라도 좋다.
이 때,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소자는 상기 절연층들이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으로부터의 캐리어 주입을 각각 방지하기에 충분히 두껍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유기 EL 소자는 캐리어가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으로부터만 주입됨에 따라 교류 구동에 의해 활성화된다. 이 경우, 따라서, 소자의 단락이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고 수율 및 구동 안정성이 우수한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및 전계 발광 가능한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설치되는 전계 발광막을 구비하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는, 상기 전계 발광막 중에 매립되는 플로팅 전극인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과,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전계 발광막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전극으로부터 상기 전계 발광막으로의 캐리어 주입을 방지하는 절연층, 및 상기 제 2 전극과 상기 전계 발광막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전계 발광막으로의 캐리어 주입을 방지하는 절연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서, 전계 발광 가능한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고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사이에 설치되는 전계 발광막을 구비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는, 상기 전계 발광막 중에 매립되는 플로팅 전극인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과,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전계 발광막 사이의 절연층, 및 상기 제 2 전극과 상기 전계 발광막 사이의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유기 전계발광 소자는 교류 바이어스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가 교류 바이어스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고려하면, 전계 발광막은 바이폴라성 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달리, 전계 발광막이 전자 수송성 유기 화합물과 홀 수송성 유기 화합물이 혼합된 바이폴라성 혼합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바이폴라성 유기 화합물로서는, 막형성법의 간편함 측면에서, π공역계 혹은 σ공역계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으로서는, 투명성 관점에서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으로서 보다 높은 기능을 발현시키기 위해,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에는 상기 유기 화합물에 대한 억셉터 또는 도너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 화합물에 대한 억셉터 및 도너 양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적합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은 충분한 캐리어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서, 유기 전계발광 소자는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의 도전율이 10-10S/m 이상인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동작 원리 및 구체적인 구성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유기 전계발광 소자(이하에서는 간단히 유기 EL 소자라 함)에서는, 유기 EL 소자로부터 발광을 취출하기 위해 어느 한쪽의 전극이 투명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판 상에 투명한 전극을 형성하여, 기판 측으로부터 투명 전극을 통해 광을 취출하는 종래의 소자 구조 뿐만 아니라, 실제는, 기판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광을 취출하는 구조나 전극 양측에서 광을 취출하는 구조도 적용 가능하다.
우선,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의 동작 원리를 도 3 및 도 4a 내지 4c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유기 EL 소자의 제 1 전극(101) 및 제 2 전극(102)에 교류 전원을 설치한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이다. 또한, 도 3에서는, 도 1의 것과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도 1에서의 것과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또한, 제 1 전계 발광층(103-1) 및 제 2 전계 발광층(103-2)은 모두 바이폴라성 발광체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 1 전극의 전위를 V1, 제 2 전극의 전위를 V2로 정의한다.
이 소자에 교류 전압을 인가한 경우, 우선 V1> V2의 바이어스가 인가된 순간에는,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104)으로부터 제 1 전극(101) 방향으로 전자가 이동하며, 제 2 전극(102) 방향을 향하여 홀이 이동한다. 각각의 경우에, 이들은 최종적으로 전계 발광막(103)에 주입된다(도 4a).
한편, 절연층(105a, 105b)이 존재하기 때문에, 제 1 전극(101) 및 제 2 전극(102)으로부터 전계 발광막(103)에 캐리어를 주입할 기회가 전혀 없다. 따라서,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으로부터 주입된 캐리어들은 재결합하지 않고 절연층(105a)과 전계 발광막(103)의 계면, 및 절연층(105b)과 전계 발광막(103)의 계면에 각각 축적된다(도 4b).
인가하고 있는 전압이 교류 바이어스이기 때문에, 그 직후에는, V1< V2의 전압이 소자에 인가된다. 이 때,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104)으로부터는, 도 4a 의 경우와는 역방향으로 캐리어가 주입되는 한편, 도 4b에서 축적된 캐리어는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104)을 향하여 흐른다(도 4c). 그 결과, 종래의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을 사용하는 유기 EL 소자(참조문헌 5의 소자)와 마찬가지로, 제 1 전계 발광층(103-1) 및 제 2 전계 발광층(103-2) 양쪽에서 캐리어가 재결합하여 발광에 이른다.
이 유기 EL 소자가 참조문헌 5의 소자와 다른 점은 절연층(105a, 105b)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 전극으로부터 캐리어가 주입되지 않고, 캐리어 주입은모두 내부에 매립된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으로부터만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결국, 외관 상의 교류 전류만 흐른다(외관 상으로는 마치 진성(眞性) EL과 같은 거동을 나타낸다). 이로써, 소자 단락 등을 용이하게 막을 수 있어 극히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소자는 절연층(105a, 105b) 존재에 의해 누설 전류를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효율의 향상이 더욱 예상되는 것도 특징의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층(multilayer)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을 2층 삽입한 예(즉 m=2, n=3의 예)를 도 5에 도시한다. 도 5에서는 도 2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인용한다. 또한, 본 예의 동작 원리는 이전의 도 3, 도 4와 거의 같지만, 다른 점은 제 2 전계 발광막(203-2)에 있어서, 초기 동작시(무바이어스(unbias) 상태에서 바이어스가 인가된 순간)에 이미 캐리어가 재결합하여, 발광한다는 점이다(한편, 이전의 도 3의 소자에서는, 초기 동작시에 캐리어가 축적될 뿐이다).
또한, 전술한 교류 바이어스의 파형은 사인파, 구형파, 또는 삼각파가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파형에 제한되지 않는다. 최대 전압치가 300 V 이상이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를 서술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의 구성으로서 바람직한 것과, 전계 발광막의 구성 재료로서 바람직한 것을 열거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으로서는, 금속 박막, 금속 산화물 박막, 유기 도전체 박막 또는 그 조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참조문헌 5에서는, 유기 도전체 박막(Cs 도핑된 BCP)에 금속 산화물(ITO)을 적층하여 준비된 적층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 양측에는, 음극 측 버퍼층으로서, LiF 와 같은 무기 유전체 박막, Li 산화물과 같은 금속 산화물,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류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유기물 박막층 등이 제공된다. 한편, 양극측 버퍼층으로서, 구리 프탈로시아닌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자를 교류 바이어스로 구동하는 것을 고려하면,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은 홀 및 전자의 양 캐리어를 주입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한 구성의 한가지 예를 도 6에 도시한다.
도 6a에 도시하듯이, 단일 재료로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601)을 형성할 경우, 홀을 가전자대(價電子帶:valence band)에 갖고 전자를 전도체에 갖는 밴드 갭이 넓은 반도체(예를 들면 진성 반도체)나 혹은 산화, 환원 양쪽을 할 수 있는 레독스(redox) 중합체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c 중의 도면부호 610 및 611은 전계 발광층을 지칭한다.
밴드 갭이 넓은 반도체의 구체예로서는, GaN, AlN, BN, AlGaN, InGaN, InAlGaN 과 같은 III족-N화합물, ZnS, MgS, ZnSe, MgSe, ZnMgSSe, CdS, Zn0, Be0 와 같은 II-VI족 화합물 외에, 다이아몬드, SiC, ZnGaSSe, CaF2, AlP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레독스 중합체로서는, 에메랄딘 염기 폴리아닐린(EB-PAni) 등이 있다.
여기서,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601)으로서 유기 도전체를 사용하는 것도 유효하다. 예를 들면, p형 유기 반도체와 n형 유기 반도체를 혼합하는 수법이 있다. p형 유기 반도체의 대표예로서는, 하기 구조식 (1)로 표현되는 구리 프탈로시아닌(약칭: CuPc) 외에, 다른 금속 프탈로시아닌이나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등도 적용할 수 있다. n형 유기 반도체의 대표예로서는, 하기 구조식 (2)로 표현되는 F16-CuPc 외에, 하기 구조식 (3)(약칭: PV), 구조식 (4)(약칭: Me-PTC), 구조식 (5)(약칭: PTCAD)로 표현되는 바와 같은 3, 4, 9, 10-페릴렌 테트라카본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 화합물의 억셉터(전자 수용체)와 유기 화합물의 도너(전자 공급체)를 혼합하여 전하 이동 착체(錯體:complex)를 형성함으로써 도전성을 갖는 유기 도전체를 사용하는 수법도 있다. 전하 이동 착체는 결정화하기 쉬워 막형성성이 나쁜 것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은 (캐리어를 주입할 수 있도록) 박층 또는 클러스터형으로 형성되어도 되기 때문에, 큰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억셉터의 대표예로서는, 하기 구조식 (6)으로 표현되는 TCNQ 및 그 유도체나, 하기 구조식 (7)로 표현되는 니켈 착체 등이 있다. 또한, 도너의 대표예로서는, 하기 구조식 (8)로 표현되는 TTF 및 그 유도체가 있다.
유기 도전체의 다른 예로서, 유기 반도체에 억셉터나 도너를 도핑하여 암도전성을 부여하는 수법도 있다. 유기 반도체로서는 도전성 고분자 등으로 대표되는 ð공역계를 갖는 유기 화합물을 사용하면 된다. 또한, 상기에서 서술한 예 외에, 억셉터로서는, 염화철(III)이나 할로겐 화합물과 같은 루이스산(Lewis acid)을 사용하여도 된다(루이스산은 억셉터로서 작용할 수 있다). 도너로서는, 상기에서 서술한 예 외에, 알칼리 금속이나 알칼리토류 금속과 같은 루이스 염기를 사용하여도 된다(루이스 염기는 도너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을 단층으로 구성하는 예를 서술하였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의 재료로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을 구성하는 수법으로, 예를 들면 도 6b나 도 6c와 같은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도 6b는 전계 발광층(610, 611) 사이에 도전막(602)을 진성 반도체(603)를 통해 삽입한 구조의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601)을 설치한 구성이다. 이러한 소자 구조에서, 캐리어는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어느쪽 바이어스라도 적용되어 주입될 수 있다. 여기서, 진성 반도체(603)는 도전막(602)과 오옴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전막(602)은 금속이거나, 또는 각종 무기 화합물 도전체나 상술한 바와 같은 유기 도전체여도 된다. 또한, 진성 반도체(603) 대신 레독스 중합체나 유기 도전체를 사용하여도 된다.
도 6c는 일함수가 큰 도전막(604)의 상하에 클러스터형 전자 주입 영역(605)을 설치한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601)의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도전막(604)으로부터 홀이 주입되고 전자 주입 영역으로부터 전자가 주입되기때문에, 어느쪽 바이어스로도 캐리어를 주입할 수 있다. 일함수가 큰 도전막(604)으로서는, ITO, Au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유기 도전체를 사용해도 된다. 클러스터형 전자 주입 영역(605)은 종래의 전자 주입 재료를 클러스터형으로 형성하면 된다. 이 경우, 종래의 전자 주입 재료는 Al:Li 합금, Ca 와 같은 금속, LiF 와 같은 무기 전자 주입 재료, LiF, 전자 친화력이 큰 유기 화합물이 될 수 있다.
도 6c의 구성을 전술한 것과 반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일함수가 작은 도전막(604)의 상하에 클러스터형 홀 주입 영역(605)을 설치한 구성이다. 이 경우, 일함수가 작은 도전막(604)으로는, Al:Li 합금, Ca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다른 유기 도전체중 하나를 사용해도 된다. 클러스터형 홀 주입 영역(605)은 종래의 홀 주입 재료를 클러스터형으로 형성하면 된다. 이 경우, 종래의 홀 주입 재료는 Au, ITO 등의 금속이나, 무기 화합물 도전체, 또는 비교적 작은 이온화 퍼텐셜을 갖는 유기 화합물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전계 발광층의 구성을 예시한다. 통상, 전계 발광층의 구조로서는,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유기 EL 소자 구성 재료를 이용하면 된다. 그러나, 교류 바이어스로 소자를 동작시키는 것을 고려하면, 바이폴라성 전계 발광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폴라성의 전계 발광층을 얻는 수법으로서 한가지는, 홀 수송 재료와 전자 수송 재료를 혼합하여, 바이폴라성 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홀 수송성 재료로서는 방향족 아민계(즉, 벤젠환-질소의 결합을 갖는) 화합물이 널리 사용되고 있고,4, 4'-비스(디페닐 아미노)-비페닐(약칭: TAD)이나, 그 유도체인 4, 4'-비스[N-(3-메틸페닐)-N-페닐-아미노]-비페닐(약칭: TPD), 4, 4'-비스[N-(1-나프틸)-N-페닐-아미노]-비페닐(약칭 α'-NPD)이 있다. 추가로, 4, 4', 4"-트리스(N, N-디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약칭: TDATA), 4, 4', 4" -트리스[N-(3-메틸페닐)-N-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약칭 MTDATA) 등의 스타 버스트(star burst)형 방향족 아민 화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수송성 재료로서는 금속 착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트리스(8-퀴놀리노레이토) 알루미늄(약칭: Alq), 트리스(4-메틸-8-퀴놀리노레이토) 알루미늄(약칭: Almq), 비스(10-하이드록시벤조 [h]-퀴놀리네이트) 베릴륨(약칭: Bebq) 등의 퀴놀린 골격 또는 벤조퀴놀린 골격을 갖는 금속 착체, 및 혼합 배위자 착체인 비스(2-메틸-8-퀴놀리노레이토)-(4-하이드록시-비페닐)-알루미늄(약칭 BAlq) 등이 있다. 또한, 비스[2-(2-하이드록시페닐)-벤조옥사조레이토] 아연 (약칭:Zn(BOX)2), 비스[2-(2-하이드록시페닐)-벤조티아조레이토] 아연 (약칭: Zn(BTZ)2) 등의 옥사졸계 또는 티아졸계 배위자를 갖는 금속 착체도 있다. 또한, 금속 착체 이외에도, 2-(4-비페닐)-5-(4-tert-부틸페닐)-1, 3, 4-옥사디아졸(약칭: PBD), 1,3-비스[5-(p-tert-부틸페닐)-1, 3, 4-옥사디아졸-2-일(il)] 벤젠(약칭 OXD-7) 등의 옥사디아졸 유도체, 3-(4-tert-부틸페닐)-4-페닐-5-(4-비페닐)-1, 2, 4-트리아졸(약칭: TAZ), 3-(4-tert-부틸페닐)-4-(4-에틸페닐)-5-(4-비페니릴)-1, 2, 4-트리아졸(약칭:p-EtTAZ) 등의 트리아졸 유도체, 바소페난트롤린(약칭: BPhen), 바소-큐프로인(약칭: BCP) 등의 페난트롤린 유도체가 전자 수송성을 갖는다.
또한,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는 EL 소자용의 재료는 대부분이 바이폴라성을 나타내며, 따라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폴리(2, 5-디알콕시-1, 3-페닐렌)(약칭: RO-PPP)와 같은 폴리파라페닐렌계 중합체, 폴리(2, 5-디알콕시-1, 4-페닐렌 비닐렌)(약칭: RO-PPV)와 같은 폴리파라페닐렌 비닐렌계 중합체, 및 폴리(9, 9-디알킬플루오렌)(약칭: PDAF)와 같은 폴리플루오렌계 중합체가 있다.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으로서는, 통상의 도체이면 무엇이든 되며, 알루미늄, 크롬, 티타늄 등이 있지만, 적어도 한쪽이 투광성을 가질 필요가 있기 때문에, ITO 등의 투명 도전막을 적어도 한쪽 전극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연층으로서는 산화알루미늄이나 불화칼슘 등의 무기 절연체나 폴리파라크실렌과 같은 절연성 유기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 측의 절연층은 적어도 투광성을 가져야 함에 주의해야 한다.
각 전계 발광층의 색 혼합은 백색 발광이 가능하도록 다른 발광색으로서 이루어진다. 또한,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는 고효율이고 소자 수명이 긴 백색 발광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용도 뿐만 아니라, 조명 등에의 응용도 생각할 수 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증착으로 제작하는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를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우선, 유리 기판상에 제 1 전극으로서 ITO를 증착에 의해 100 nm 두께로 막형성하고, 그 위에 산화 알루미늄을 절연층으로서 EB 증착에 의해 300 nm 두께로 증착한다.
다음으로, 홀 수송재료인 N, N′-비스(3-메틸페닐)-N, N′-디페닐-벤지딘(약칭: TPD)과 전자 수송 재료인 트리스(8-퀴놀리노레이토) 알루미늄(약칭: Alq)을 1:4 의 중량비로 공(共)증착하여 바이폴라성 제 1 전계 발광층을 100 nm 의 두께로 형성한다. 여기에서, 중앙부에는 형광 색소인 4-(디시아노메틸렌)-2-메틸-6-(p-디메틸아미노스티릴)-4H-피란(약칭: DCM)을 TPD : Alq : DCM = 1 : 4 : 0.05 의 중량비가 되도록 60 nm (두께의 바닥으로부터 20 내지 80 nm 사이)로 도핑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전계 발광층을 형성한 후,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으로서 금속 알루미늄을 30 nm 두께로 증착한다.
그 후, 진공을 파괴하지 않는 채로 하여, 계속하여 제 1 전계 발광층과 완전히 같은 방식으로 제 2 전계 발광층을 형성한다. 더욱이, 절연층으로서 산화알루미늄을 EB 증착으로 300 nm 두께로 증착한다. 마지막으로, 제 2 전극으로서 알루미늄을 100 nm 두께로 증착한다. 이후,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습식 도포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를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먼저, 제 1 전극으로서 ITO를 대략 100 nm 두께로 막형성한 유리 기판상에 절연층으로서 폴리(비닐 페놀)를 스핀 코팅에 의해 200 nm 두께로 코팅한다. 또한, 용매 재료로는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면 된다.
두번째로, 폴리[2-메톡시-5-(2′-에틸-헥속시)-1, 4-페닐렌비닐렌] (약칭: MEH-PPV)를 디클로로에탄에 용해하고, 스핀 코팅에 의해 80 nm 두께로 코팅하므로써, 제 1 전계 발광층을 형성한다.
이렇게 제 1 전계 발광층을 형성한 후, 폴리스티렌 설폰산을 도핑한 폴리(에틸렌 디옥시티오펜)(약칭: PEDOT/PSS)의 수용액을 스핀 코팅하여,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을 100 nm 의 두께로 형성한다.
그 후, 제 1 전계 발광층과 완전히 같은 방식으로, 제 2 전계 발광층을 형성한다. 또한 절연층으로서, 폴리(비닐 페놀)을 스핀 코팅에 의해 200 nm 두께로 코팅한다. 마지막으로, 제 2 전극으로서 알루미늄을 100 nm 두께로 형성한다. 이후,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도포법을 이용하여, 발광 색소를 포함하는 중합체 복합막을 사용하는 코팅과, 증착을 일체 사용하지 않는 접착에 의해 제작하는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를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우선, ITO가 제 1 전극으로서 100 nm 두께로 형성된 플라스틱 기판(폴리에스테르 기판 또는 폴리이미드 기판)상에 절연층으로서 폴리(비닐 페놀)을 스핀 코팅에 의해 200 nm 두께를 갖도록 코팅한다. 또한, 용매 재료로서는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결합제로서의 폴리카보네이트 50 wt%, 홀 수송 재료로서의 TPD 29wt%, 전자 수송 재료로서의 2, 5-비스(1-나프틸)-1, 3, 4-옥사디아졸(약칭: BND) 20 wt%, 발광 색소로서의 쿠마린6 1.0 wt% 로 조제한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절연층 상에 스핀 코팅하여 100 nm의 제 1 전계 발광층을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제 1 전계 발광층을 형성한 후, 캄포르-10-설폰산을 도핑한 폴리아닐린(약칭: PAni(CSA)0.5)을, 그 1, 1, 1, 3, 3, 3-헥사플루오로-2-프로판올(약칭: HFIP) 용액을 스핀 코팅하여, 50 nm 두께의 바이폴라성 캐리어 발생층으로서 형성한다.
이후, 결합제로서의 폴리카보네이트 50 wt%, 홀 수송 재료로서의 TPD 29 wt%, 전자 수송 재료로서의 2, 5-비스(1-나프틸)-1, 3, 4-옥사디아졸(약칭: BND) 20 wt%, 발광 색소로서의 쿠마린6 1.0 wt% 로 조제한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절연층 상에 스핀 코팅하여 100 nm 두께의 제 2 전계 발광층을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여기까지 막형성된 기판을 "제 1 전극측 기판" 이라고 지칭한다.
전술한 기판에 추가적으로, 같은 사이즈의 ITO가 막형성된 플라스틱 기판에 절연층으로서의 폴리비닐페놀을 200 nm 두께로 코팅한다. 이하에서는, 이 기판을 "제 2 전극측 기판" 이라고 지칭한다. 또한, 폴리비닐페놀의 증착을 위해서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이소프로판올 용액을 스핀 코팅하면 된다.
여기서, 앞서 준비한 제 1 전극측 기판의 주변부에 650 nm 의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 필름을 배치하고, 제 2 전극측 기판을 제 2 전극이 기판의 내측이 되도록 하여 접합한다.
접합된 필름형 기판을 핫 플레이트상의 스테인리스판 상에 놓고, 그위에 스테인리스판을 중첩하여 가중하며, 이후 이 상태로 80℃까지 가열한다. 상기 필름 기판은 가중을 가한 채로 냉각되고 나서 스테인리스 판으로부터 취출되고, 이후 리드선이 조립되며, 이렇게 해서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를 완성한다.
[실시예 4]
유리 기판상에 폴리(4-비닐 페놀)의 이소-프로판올 용액을 200 nm 의 두께로 스핀 코팅한다. 이 막을 60℃ 에서 진공하에 30분 동안 건조시킨다. 이후 폴리(4-비닐 페놀)을 포함하는 절연막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홀 수송 재료로서의 폴리비닐카바졸(64.3 mol.%), 전자 수송 재료로서의 2, 5-비스(1-나프틸)-1, 3, 4-옥사디아졸(BND)(35.1 mol.%), 발광 색소로서의 쿠마린6 색소(0.6 mol.%)가 용해된 디클로로메탄 용액이 상기 절연막상에 200 nm 의 두께로 스핀 코팅되고, 60℃ 에서 진공하에 30분 동안 건조된 후, 중합체 층이 형성된다.
그 위에, ITO 입자의 이소-프로판올 서스펜션(평균 입자 직경 50 nm)이 스핀 코팅에 의해 균일하게 분산된다. 또한, 홀 수송 재료로서의 폴리비닐카바졸(64.3 mol.%), 전자 수송 재료로서의 2, 5-비스(1-나프틸)-1, 3, 4-옥사디아졸(BND)(35.1 mol.%), 발광 색소로서의 쿠마린6 색소(0.6 mol.%)가 용해된 디클로로메탄 용액이 200 nm 의 두께로 스핀 코팅되고, 60℃ 에서 진공하에 1시간 동안 건조된 후, 중합체 층이 형성된다. 그 위에 폴리(4-비닐 페놀)의 이소-프로판올 용액이 200 nm 의두께로 스핀 코팅된다. 이 막을 60℃ 에서 진공하에 30분 동안 건조시킨다. 이후, 폴리(4-비닐 페놀)를 포함하는 절연막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그 위에 알루미늄 전극이 증착에 의해 60 nm 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전극들 사이에는 교류 전력 발생 사인파가 접속된다. 상기 전극에는 교류 전압이 인가된다(구동 주파수 범위는 1 kHz 내지 100 kHz 임). 교류 전압이 100 kHz 의 구동 주파수로 인가되는 경우, ITO 전극측에서 볼 때 정확히 직사각형 전극 형상을 갖는 쿠마린 색소의 균일한 녹색 발광이 60 V 의 전압(피크 전압)에서 관측될 수 있다. 휘도 측정기(Topcon BM-5A)의 측정에 의해, 180 V 의 인가 전압에서 30 cd/m2의 휘도가 나타났다. 소자에 계속해서 180 V 가 인가되면, 교류 전력의 한계로 인해 180 V 이상의 전압이 인가될 수 없으므로, 소자는 1시간 동안 휘도가 거의 감소되지 않은 채로 지속적으로 광을 발할 수 있다. 구동 주파수가 1 kHz 로 저하될 때에도, 휘도는 관측될 수 있다.
도 8은 구동 주파수 100 kHz 에서의 전압(피크 전압으로 도시됨)과 휘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9는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전압을 인가하는 것과 동시에 측정되는, 포토멀티미터를 사용하여 검출된 휘도 강도의 타임 프로파일의 결과를 도시한다. 이 측정 결과는 휘도가 플러스 및 마이너스 피크 전압과 동기하여 발생됨을 보여준다.
[실시예 5]
유리 기판상에 폴리(4-비닐 페놀)의 이소-프로판올 용액을 200 nm 의 두께로 스핀 코팅한다. 이 막을 60℃ 에서 진공하에 30분 동안 건조시킨다. 이후 폴리(4-비닐 페놀)을 포함하는 절연막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홀 수송 재료로서의 폴리비닐카바졸(64.3 mol.%), 전자 수송 재료로서의 2, 5-비스(1-나프틸)-1, 3, 4-옥사디아졸(BND)(35.1 mol.%), 발광 색소로서의 쿠마린6 색소(0.6 mol.%)가 용해된 디클로로메탄 용액이 상기 절연막상에 200 nm 의 두께로 스핀 코팅되고, 60℃ 에서 진공하에 1시간 동안 건조된 후, 중합체 복합막 층이 형성된다.
그 위에, ITO 입자의 이소-프로판올 서스펜션(평균 입자 직경 50 nm)이 스핀 코팅에 의해 균일하게 분산된다.
또한, 홀 수송 재료로서의 폴리비닐카바졸(64.3 mol.%), 전자 수송 재료로서의 2, 5-비스(1-나프틸)-1, 3, 4-옥사디아졸(BND)(35.1 mol.%), 발광 색소로서의 쿠마린6 색소(0.6 mol.%)가 용해된 디클로로메탄 용액이 그 위에 200 nm 의 두께로 스핀 코팅되고, 60℃ 에서 진공하에 1시간 동안 건조된 후, 중합체 복합막 층이 형성된다.
이후, ITO 입자의 이소-프로판올 서스펜션을 스핀 코팅하고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스핀 코팅하여 중합체 복합막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각각 두번 반복한다.
그 위에 폴리(4-비닐 페놀)의 이소-프로판올 용액이 200 nm 의 두께로 스핀 코팅된다. 이 막을 60℃ 에서 진공하에 30분 동안 건조시킨다. 이후, 폴리(4-비닐 페놀)를 포함하는 절연막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그 위에 알루미늄 전극이증착에 의해 60 nm 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전극들 사이에는 교류 전력 발생 사인파가 접속된다. 상기 전극에는 교류 전압이 인가된다(구동 주파수 범위는 1 kHz 내지 100 kHz 임). 교류 전압이 100 kHz 의 구동 주파수로 인가되는 경우, ITO 전극측에서 볼 때 정확히 직사각형 전극 형상을 갖는 쿠마린 색소의 균일한 녹색 발광이 70 V 의 전압(피크 전압)에서 관측될 수 있다. 휘도 측정기(Topcon BM-5A)의 측정에 의해, 180 V 의 인가 전압에서 25 cd/m2의 휘도가 나타났다.
[실시예 6]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 전체는, 발광 색소를 포함하는 중합체 복합막을 사용하는 습식 프로세스와, 증착을 일체 사용하지 않는 접착에 의해 제조된다.
ITO가 바닥 전극으로서 100 nm 두께로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기판상에 폴리(4-비닐 페놀)의 이소-프로판올 용액을 200 nm 의 두께를 갖도록 스핀 코팅한다. 이후, 폴리(4-비닐 페놀)를 포함하는 절연막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홀 수송 재료로서의 폴리비닐카바졸(64.3 mol.%), 전자 수송 재료로서의 2, 5-비스(1-나프틸)-1, 3, 4-옥사디아졸(BND)(35.1 mol.%), 발광 색소로서의 쿠마린6 색소(0.6 mol.%)가 용해된 디클로로메탄 용액이 200 nm 의 두께로 스핀 코팅되고, 60℃ 에서 진공하에 1시간 동안 건조된 후, 중합체 복합막 층이 형성된다.
그 위에, ITO 입자의 이소-프로판올 서스펜션(평균 입자 직경 50 nm)이 스핀 코팅에 의해 균일하게 분산된다.
상기 기판에 추가하여, ITO 가 바닥 기판으로서 100 nm 의 두께로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기판이 준비되고, 그 위에 폴리(4-비닐 페놀)의 이소-프로판올 용액이, 폴리(4-비닐 페놀)를 포함하는 절연막으로서, 200 nm 의 두께로 스핀 코팅된다. 또한, 홀 수송 재료로서의 폴리비닐카바졸(64.3 mol.%), 전자 수송 재료로서의 2, 5-비스(1-나프틸)-1, 3, 4-옥사디아졸(BND)(35.1 mol.%), 발광 색소로서의 쿠마린6 색소(0.6 mol.%)가 용해된 디클로로메탄 용액이 그 위에 200 nm 의 두께로 스핀 코팅되고, 60℃ 에서 진공하에 1시간 동안 건조된 후, 중합체 복합막 층이 형성된다.
제작된 두 개의 폴리에스테르 기판을 기판상의 스핀 코팅된 재료들이 서로 마주하게 하여 접합한다. 이 후, 접합된 기판을 두개의 유리 기판사이에 끼우고, 가중하며, 이후 그 상태로 오븐에서 30분 동안 80℃ 까지 가열한다.
상기 전극들 사이에는 교류 전력 발생 사인파가 접속된다. 상기 전극에는 교류 전압이 인가된다(구동 주파수 범위는 1 kHz 내지 100 kHz 임). 교류 전압이 100 kHz 의 구동 주파수로 인가되는 경우, ITO 전극측에서 볼 때 정확히 직사각형 전극 형상을 갖는 쿠마린 색소의 균일한 녹색 발광이 60 V 의 전압(피크 전압)에서 관측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면과 하면에서 동일한 휘도의 발광이 관측될 수 있다. 기판이 만곡되는 경우에도, 휘도는 전혀 변화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류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양호한 수율과 높은 신뢰성을 갖는 유기 EL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및 발광을 초래할 수 있는 유기 화합물을 함유하고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제공되는 전계 발광막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전계 발광막 중에 플로팅 전극인 캐리어 발생층이 매립되고,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전계 발광막 사이에는 제 1 절연막이 제공되어 상기 제 1 전극으로부터 상기 전계 발광막으로의 캐리어 주입을 방지하며,
    상기 제 2 전극과 상기 전계 발광막 사이에는 제 2 절연막이 제공되어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상기 전계 발광막으로의 캐리어 주입을 방지하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교류 바이어스에 의해 구동되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 발광막은 바이폴라성 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 발광막은 전자 수송성을 갖는 유기 화합물과 홀 수송성을 갖는 유기 화합물을, 바이폴라성 혼합층을 형성하도록 조합하여 구비하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 발광막은 π공역계 또는 σ공역계를 구비한 바이폴라성 중합체(polymer)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발생층은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발생층에는 상기 유기 화합물에 대한 억셉터 및 도너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있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발생층에는 상기 유기 화합물에 대한 억셉터 및 도너 양자가 포함되어 있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발생층은 10-10S/m 이상의 도전율을 갖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1020030054925A 2002-08-09 2003-08-08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101065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33526 2002-08-09
JPJP-P-2002-00233526 2002-08-0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810A Division KR101215280B1 (ko) 2002-08-09 2011-01-18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353A true KR20040014353A (ko) 2004-02-14
KR101065597B1 KR101065597B1 (ko) 2011-09-20

Family

ID=304378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925A KR101065597B1 (ko) 2002-08-09 2003-08-08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1020110004810A KR101215280B1 (ko) 2002-08-09 2011-01-18 조명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810A KR101215280B1 (ko) 2002-08-09 2011-01-18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5) US7291969B2 (ko)
EP (2) EP2065950B1 (ko)
KR (2) KR101065597B1 (ko)
CN (2) CN100459207C (ko)
DE (1) DE60327024D1 (ko)
TW (1) TWI272874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703B1 (ko) * 2004-03-03 2007-03-0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적층형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의 제조 방법 및 표시장치
KR100733750B1 (ko) * 2004-12-13 2007-06-29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유기 el 소자
KR100733749B1 (ko) * 2004-12-13 2007-06-29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유기 el 소자
US10573829B2 (en) 2011-02-16 2020-02-2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6349B2 (en) 2001-12-05 2011-06-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Organic semiconductor element
US6815723B2 (en) 2001-12-28 2004-11-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US7098069B2 (en) 2002-01-24 2006-08-2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device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03303683A (ja) * 2002-04-09 2003-10-24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
EP1367659B1 (en) 2002-05-21 2012-09-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Organic field effect transistor
US7045955B2 (en) * 2002-08-09 2006-05-1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luminescence element and a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EP1388903B1 (en) 2002-08-09 2016-03-1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TWI272874B (en) 2002-08-09 2007-02-01 Semiconductor Energy Lab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7158161B2 (en) * 2002-09-20 2007-01-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and an exposure unit and image-forming apparatus both using the element
KR20050088221A (ko) 2002-12-26 2005-09-0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유기 발광 소자
CN1742518B (zh) 2003-01-29 2010-09-29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发光装置
US7333072B2 (en) * 2003-03-24 2008-02-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hin film integrated circuit device
JP2006526274A (ja) * 2003-04-23 2006-11-16 ツェン−ホン ルー 埋込み電荷注入電極を有する発光デバイス
ATE547921T1 (de) * 2003-07-02 2012-03-15 Idemitsu Kosan Co Organische elektrolummineszente vorrichtung und anzeigegerät mit dieser
US7504049B2 (en) * 2003-08-25 2009-03-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de device for organic device, electronic device having electrode device for organic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electrode device for organic device
US7511421B2 (en) * 2003-08-25 2009-03-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ixed metal and organic electrode for organic device
KR101246247B1 (ko) * 2003-08-29 2013-03-21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전계발광소자 및 그것을 구비한 발광장치
JP5167571B2 (ja) 2004-02-18 2013-03-2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素子
EP1739726A4 (en) * 2004-03-26 2009-08-26 Kansai Electric Power Co BIPOLAR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0544535C (zh) 2004-04-28 2009-09-23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发光元件及其制造方法,以及利用该发光元件的发光器件
KR101161722B1 (ko) 2004-05-20 2012-07-0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소자 및 표시장치
KR101187402B1 (ko) 2004-05-21 2012-10-0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조명장치
KR101215860B1 (ko) * 2004-05-21 2012-12-31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소자 및 그 소자를 사용하는 발광 장치
JP4461367B2 (ja) * 2004-05-24 2010-05-1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素子
US7733441B2 (en) 2004-06-03 2010-06-08 Semiconductor Energy Labortor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lighting system provided with an insulating layer containing fluorescent material
US20060181197A1 (en) * 2004-07-01 2006-08-17 Kumio Nago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display
EP1624502B1 (en) 2004-08-04 2015-11-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CN1738069A (zh) * 2004-08-17 2006-02-22 国际商业机器公司 其电极具有增强注入特性的电子器件制造方法和电子器件
CN101032040B (zh) * 2004-09-30 2012-05-30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发光元件和发光设备
US7719496B2 (en) * 2004-11-23 2010-05-18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with the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JP2006164708A (ja) 2004-12-06 2006-06-2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電子機器および発光装置
US7307278B2 (en) * 2004-12-22 2007-12-11 General Electric Company Organic electronic devices having two dimensional series interconnections
US8026531B2 (en) 2005-03-22 2011-09-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US20060244373A1 (en) * 2005-04-28 2006-11-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US7777407B2 (en) * 2005-05-04 2010-08-17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comprising a doped triazine electron transport layer
US8487527B2 (en) * 2005-05-04 2013-07-16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US7750561B2 (en) * 2005-05-20 2010-07-06 Lg Display Co., Ltd. Stacked OLED structure
US7795806B2 (en) * 2005-05-20 2010-09-14 Lg Display Co., Ltd. Reduced reflectance display devices containing a thin-layer metal-organic mixed layer (MOML)
US7943244B2 (en) * 2005-05-20 2011-05-17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metal-organic mixed layer anodes
US7811679B2 (en) * 2005-05-20 2010-10-1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s with light absorbing metal nanoparticle layers
US7728517B2 (en) * 2005-05-20 2010-06-01 Lg Display Co., Ltd. Intermediate electrodes for stacked OLEDs
JP4435033B2 (ja) * 2005-06-16 2010-03-17 株式会社東芝 蛍光パターン形成物、記録媒体、セキュリティー媒体、及び記録方法
US8415878B2 (en) * 2005-07-06 2013-04-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7327081B2 (en) * 2005-08-31 2008-02-05 Chunghwa Picture Tubes, Ltd. Stack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EP1784055A3 (en) 2005-10-17 2009-08-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ing system
JP2007194194A (ja) * 2005-12-22 2007-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露光装置、照明装置
WO2007091548A1 (ja) * 2006-02-07 2007-08-16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7528418B2 (en) * 2006-02-24 2009-05-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WO2007132965A1 (en) * 2006-05-12 2007-11-22 Cheong-A Baek High brightness electro 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US20090115328A1 (en) * 2006-05-26 2009-05-07 Seiji Yamashita Surface emitting-type electroluminescent device
CN101461073B (zh) 2006-06-01 2013-01-02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发光元件、发光器件和电子器件
JP5568305B2 (ja) 2006-09-29 2014-08-06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フロリダ リサーチ ファンデーション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赤外線検出および表示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9397308B2 (en) 2006-12-04 2016-07-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element,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0873535B1 (ko) * 2006-12-20 2008-12-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방출소자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
US20100134456A1 (en) * 2007-03-22 2010-06-03 Pioneer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display incorporating electroluminescent element,and electrical generator
JP4939284B2 (ja) * 2007-04-05 2012-05-23 財団法人山形県産業技術振興機構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KR100882911B1 (ko) * 2007-08-16 2009-02-1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DE102007058005B4 (de) 2007-09-25 2018-05-17 Osram Oled Gmbh Strahlungsemittieren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08045029B4 (de) * 2007-09-28 2016-12-22 Osram Oled Gmbh Strahlungsemittierendes Bauelement sowie Betriebsverfahren und Betriebsanordnung
EP2068380B1 (de) * 2007-10-15 2011-08-17 Novaled AG Organisches elektrolumineszentes Bauelement
US7755156B2 (en) * 2007-12-18 2010-07-13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Producing layered structures with lamination
US7586080B2 (en) * 2007-12-19 2009-09-08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Producing layered structures with layers that transport charge carriers in which each of a set of channel regions or portions operates as an acceptable switch
US8283655B2 (en) 2007-12-20 2012-10-09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Producing layered structures with semiconductive regions or subregions
US20110025202A1 (en) * 2008-05-19 2011-02-03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oluminescence element,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DE102008025755A1 (de) * 2008-05-29 2009-12-03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rganisches Licht emittierendes Bauteil und Leuchtmittel mit einem solchen Bauteil
DE102009016957A1 (de) 2009-04-14 2010-12-16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Organisches elektrolumineszentes Bauelement
KR20120069701A (ko) * 2009-09-01 2012-06-28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원을 갖는 조명장치
KR101351410B1 (ko) * 2009-09-29 2014-0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 발광 소자
WO2011046166A1 (ja) * 2009-10-14 2011-04-21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照明装置
RU2012126145A (ru) * 2009-11-24 2013-12-27 Юниверсити Оф Флорида Рисерч Фаундейшн, Инк.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сприятия инфракрасного излучения
US8803420B2 (en) * 2010-01-15 2014-08-12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KR101135541B1 (ko) 2010-04-01 2012-04-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JP2012009420A (ja) 2010-05-21 2012-01-1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MX2012013643A (es) 2010-05-24 2013-05-01 Univ Florida Metodo y aparato para proporcionar una capa de bloqueo de carga en un dispositivo de conversion ascendente de infrarrojo.
WO2012014759A1 (en) 2010-07-26 2012-02-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ligh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emitting device
US8994011B2 (en) * 2010-08-17 2015-03-31 Lg Chem,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TWI641287B (zh) 2010-09-14 2018-11-1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固態發光元件,發光裝置和照明裝置
CN102074658B (zh) * 2010-11-01 2014-08-27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电荷产生层、叠层有机发光二极管及其制备方法
JP5707107B2 (ja) * 2010-11-22 2015-04-22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分光センサ
JP5970198B2 (ja) 2011-02-14 2016-08-1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照明装置
US8764504B2 (en) 2011-02-25 2014-07-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17752B1 (ko) 2011-05-11 2018-11-1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소자, 발광 모듈, 발광 패널, 발광 장치
CN102842680A (zh) * 2011-06-21 2012-12-26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EP2727154B1 (en) 2011-06-30 2019-09-18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infrared radiation with gain
WO2013008765A1 (en) 2011-07-08 2013-01-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module,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ight-emitting module
TW201338232A (zh) * 2012-03-02 2013-09-16 Innocom Tech Shenzhen Co Ltd 串接型有機電致發光模組
KR101512218B1 (ko) * 2012-05-25 2015-04-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발광 소자
CN104335378B (zh) * 2012-05-31 2017-08-29 乐金显示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装置
CN102841281B (zh) * 2012-09-18 2015-07-22 苏州纳方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led外延片检测方法及装置
CN103972419A (zh) * 2013-01-31 2014-08-06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04037327A (zh) * 2013-03-06 2014-09-10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叠层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04183745A (zh) * 2013-05-21 2014-12-03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US9433040B2 (en) * 2013-06-14 2016-08-30 Micron Technology, Inc. Light-emitting metal-oxide-semiconductor devices and associated systems, devices, and methods
KR102126533B1 (ko) * 2013-10-04 2020-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한 유기발광표시장치
GB2533112B (en) * 2014-12-09 2017-04-05 Dst Innovations Ltd Electroluminescent elements and methods of construction
US9991471B2 (en) 2014-12-26 2018-06-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04600095B (zh) * 2014-12-31 2019-01-08 北京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04617232B (zh) * 2015-01-05 2017-04-19 信利(惠州)智能显示有限公司 一种oled器件制造方法及oled器件
WO2016181705A1 (ja) * 2015-05-11 2016-11-17 日本放送協会 有機薄膜および有機薄膜の製造方法、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表示装置、照明装置、有機薄膜太陽電池、薄膜トランジスタ、塗料組成物
JP6729566B2 (ja) * 2015-05-20 2020-07-2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モジュール、スマートデバイス、および照明装置
KR20180018660A (ko) 2015-06-11 2018-02-21 유니버시티 오브 플로리다 리서치 파운데이션, 인코포레이티드 단분산, ir-흡수 나노입자, 및 관련 방법 및 장치
CN105163412B (zh) * 2015-06-19 2018-06-15 北京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平面电致发光器件及其应用
CN104966789A (zh) * 2015-06-30 2015-10-0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电荷连接层及其制造方法、叠层oled器件
JP6549434B2 (ja) * 2015-07-15 2019-07-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製造方法
CN105161629B (zh) * 2015-08-18 2018-07-03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交流驱动qled及其制备方法
CN105609650A (zh) * 2015-12-27 2016-05-25 复旦大学 一种基于电荷产生层的在交流电压下驱动的有机发光器件
KR101858414B1 (ko) * 2017-11-30 2018-05-16 씨큐브 주식회사 유기 또는 무기 형광체를 포함하는 보안용 진주광택 안료
CN109065746B (zh) * 2018-07-17 2020-01-14 华南理工大学 一种正反向发光的有机发光二极管
KR102177586B1 (ko) * 2018-11-26 2020-11-11 엘티소재주식회사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CN109686851A (zh) * 2018-12-26 2019-04-26 上海晶合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二极管及其制备方法
CN110148593B (zh) * 2019-05-08 2020-09-08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器件
CN111106263A (zh) * 2019-12-06 2020-05-05 北京大学深圳研究生院 全周期发光交流电调控颜色的平面型有机电致发光器件
CN112151690B (zh) * 2020-09-28 2024-04-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0277A (en) 1979-04-19 1980-11-01 Ricoh Co Ltd Organic phtotovoltaic element
JPS6028278A (ja) 1983-07-26 1985-02-13 Mitsubishi Electric Corp 光電変換素子
US4950614A (en) * 1984-05-15 1990-08-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of making a tandem type semiconductor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US4878097A (en) * 1984-05-15 1989-10-31 Eastman Kodak Company Semiconductor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4741976A (en) * 1984-07-31 1988-05-03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luminescent device
US4871236A (en) 1985-09-18 1989-10-03 Kabushiki Kaisha Toshiba Organic thin film display element
JP2813428B2 (ja) 1989-08-17 1998-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及び該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H04192376A (ja) 1990-11-22 1992-07-10 Sekisui Chem Co Ltd タンデム型有機太陽電池
US5093698A (en) 1991-02-12 1992-03-03 Kabushiki Kaisha Toshiba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5229310A (en) 1991-05-03 1993-07-20 Motorola, Inc. Method for making a self-aligned vertical thin-film transistor in a semiconductor device
US5294870A (en) 1991-12-30 1994-03-15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multicolor image display device
JP2605555B2 (ja) * 1992-09-14 1997-04-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無機薄膜el素子
JP3300065B2 (ja) 1992-11-13 2002-07-0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H06260286A (ja) * 1993-03-08 1994-09-16 Olympus Optical Co Ltd 薄膜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H06318725A (ja) 1993-05-10 1994-11-15 Ricoh Co Ltd 光起電力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9317932D0 (en) 1993-08-26 1993-10-13 Cambridge Display Tech Ltd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5682043A (en) * 1994-06-28 1997-10-28 Uniax Corporation Electrochemical light-emitting devices
US5552678A (en) 1994-09-23 1996-09-03 Eastman Kodak Company AC drive scheme for organic led
KR0164457B1 (ko) * 1995-01-20 1999-04-15 김은영 백색발광용 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5858561A (en) 1995-03-02 1999-01-12 The Ohio State University Bipolar electroluminescent device
JP3561549B2 (ja) 1995-04-07 2004-09-02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5677546A (en) * 1995-05-19 1997-10-14 Uniax Corporation Polymer light-emitting electrochemical cells in surface cell configuration
JP4477150B2 (ja) 1996-01-17 2010-06-09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有機薄膜el素子
JP3808534B2 (ja) * 1996-02-09 2006-08-16 Tdk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ATE247372T1 (de) 1996-09-04 2003-08-15 Cambridge Display Tech Ltd Lichtemittierende organische vorrichtungen mit verbesserter kathode
JP3173395B2 (ja) 1996-11-26 2001-06-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荷輸送性材料及びそれに用いる電荷輸送性微粒子の製造方法
WO1998024272A1 (fr) 1996-11-27 1998-06-04 Tdk Corporation Element electroluminescent organique
JPH10270171A (ja) 1997-01-27 1998-10-09 Junji Kido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US5917280A (en) 1997-02-03 1999-06-29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Stack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TW418590B (en) * 1997-04-25 2001-01-11 Tdk Corp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0248392B1 (ko) * 1997-05-15 2000-09-01 정선종 유기물전계효과트랜지스터와결합된유기물능동구동전기발광소자및그소자의제작방법
US6337492B1 (en) 1997-07-11 2002-01-08 Emagin Corporation Serially-connect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stack having conductors sandwiching each light emitting layer
JP3442363B2 (ja) * 1997-09-05 2003-09-02 ケンブリッジ ディスプレイ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有機発光デバイスのための自己組織化移送層
JPH11162646A (ja) 1997-11-26 1999-06-18 Chisso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AU2492399A (en) * 1998-02-02 1999-08-16 Uniax Corporation Image sensors made from organic semiconductors
JPH11251067A (ja) 1998-03-02 1999-09-17 Junji Kido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GB9806066D0 (en) 1998-03-20 1998-05-20 Cambridge Display Tech Ltd Multilayer photovoltaic or photoconductive devices
JP3875401B2 (ja) * 1998-05-12 2007-01-31 Tdk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及び有機el素子
JP3884564B2 (ja) 1998-05-20 2007-02-21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el発光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
US6198091B1 (en) * 1998-08-19 2001-03-06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Stacked organic photosensitive optoelectronic devices with a mixed electrical configuration
US6352777B1 (en) 1998-08-19 2002-03-05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Organic photosensitive optoelectronic devices with transparent electrodes
US6451415B1 (en) 1998-08-19 2002-09-17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Organic photosensitive optoelectronic device with an exciton blocking layer
US6198092B1 (en) * 1998-08-19 2001-03-06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Stacked organic photosensitive optoelectronic devices with an electrically parallel configuration
US6297495B1 (en) * 1998-08-19 2001-10-02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Organic photosensitive optoelectronic devices with a top transparent electrode
US6278055B1 (en) * 1998-08-19 2001-08-21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Stacked organic photosensitive optoelectronic devices with an electrically series configuration
US6214631B1 (en) 1998-10-30 2001-04-10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Method for patterning light emitting devices incorporating a movable mask
DE19854938A1 (de) 1998-11-27 2000-06-08 Forschungszentrum Juelich Gmbh Bauelement
DE19905694A1 (de) 1998-11-27 2000-08-17 Forschungszentrum Juelich Gmbh Bauelement
JP3641963B2 (ja) 1999-02-15 2005-04-27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有機el素子とその製造方法
JP4192376B2 (ja) 1999-12-24 2008-12-1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コクピットモジュール組付体
JP4477729B2 (ja) * 2000-01-19 2010-06-09 シャープ株式会社 光電変換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
JP4592967B2 (ja) 2000-01-31 2010-12-0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及び電気器具
US6580213B2 (en) * 2000-01-31 2003-06-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1244074A (ja) 2000-02-28 2001-09-07 Technology Licensing Organization Inc 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29571B1 (ko) * 2000-03-27 2002-03-23 김순택 유기 전자 발광소자
AT410729B (de) 2000-04-27 2003-07-25 Qsel Quantum Solar Energy Linz Photovoltaische zelle mit einer photoaktiven schicht aus zwei molekularen organischen komponenten
WO2001096454A1 (en) * 2000-06-12 2001-12-20 Maxdem Incorporated Polymer matrix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JP2001357975A (ja) 2000-06-16 2001-12-26 Rohm Co Ltd 有機el素子
JP2002033193A (ja) 2000-07-13 2002-01-31 Hitachi Ltd 有機発光素子
JP2002111085A (ja) 2000-10-03 2002-04-12 Komatsu Ltd 熱電材料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製造装置
JP2002164170A (ja) 2000-11-27 2002-06-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白色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
US6803720B2 (en) 2000-12-15 2004-10-12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Highly stable and efficient OLEDs with a phosphorescent-doped mixed layer architecture
US6841932B2 (en) 2001-03-08 2005-01-11 Xerox Corporation Display devices with organic-metal mixed layer
US6740938B2 (en) 2001-04-16 2004-05-2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ransistor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gate electrodes with channel region therebetween
JP3955744B2 (ja) 2001-05-14 2007-08-08 淳二 城戸 有機薄膜素子の製造方法
EP1396033A4 (en) 2001-06-11 2011-05-18 Univ Princeton ORGANIC PHOTOVOLTAIC COMPONENTS
US6580027B2 (en) * 2001-06-11 2003-06-17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Solar cells using fullerenes
US6657378B2 (en) * 2001-09-06 2003-12-02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Organic photovoltaic devices
US6952023B2 (en) 2001-07-17 2005-10-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JP4611578B2 (ja) 2001-07-26 2011-01-12 淳二 城戸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FR2827991A1 (fr) * 2001-07-27 2003-01-31 Thomson Licensing Sa Panneau de visualisation d'images forme d'une matrice de cellules electroluminescentes a effet memoire
KR20030017748A (ko) * 2001-08-22 2003-03-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기물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유기물 발광 다이오드가일체화된 유기물 전기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6524884B1 (en) * 2001-08-22 2003-02-25 Korea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fabricating an organic electroluminescene device having organic field effect transistor and organic eloectroluminescence diode
TW519852B (en) * 2001-10-18 2003-02-01 Opto Tech Corp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projecting white light sour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GB0126757D0 (en) * 2001-11-07 2002-01-02 Univ Cambridge Tech Organic field effect transistors
US7956349B2 (en) 2001-12-05 2011-06-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Organic semiconductor element
US6872472B2 (en) 2002-02-15 2005-03-29 Eastman Kodak Company Providing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stacked electroluminescent units
US6809481B2 (en) 2002-02-28 2004-10-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ic device using the same
JP3933591B2 (ja) 2002-03-26 2007-06-20 淳二 城戸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JP4060113B2 (ja) 2002-04-05 2008-03-1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EP1367659B1 (en) * 2002-05-21 2012-09-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Organic field effect transistor
US7045955B2 (en) 2002-08-09 2006-05-1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luminescence element and a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EP1388903B1 (en) * 2002-08-09 2016-03-1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TWI272874B (en) 2002-08-09 2007-02-01 Semiconductor Energy Lab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JP2004111085A (ja) 2002-09-13 2004-04-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CN1742518B (zh) 2003-01-29 2010-09-29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发光装置
JP4598673B2 (ja) 2003-06-13 2010-1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発光素子及び表示装置
US7224118B2 (en) 2003-06-17 2007-05-2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wiring connected to a counter electrode via an opening portion in an insulating layer that surrounds a pixel electrod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703B1 (ko) * 2004-03-03 2007-03-0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적층형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의 제조 방법 및 표시장치
US7656084B2 (en) 2004-03-03 2010-02-02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laminated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display apparatus
KR100733750B1 (ko) * 2004-12-13 2007-06-29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유기 el 소자
KR100733749B1 (ko) * 2004-12-13 2007-06-29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유기 el 소자
US7329984B2 (en) 2004-12-13 2008-02-12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Organic EL devices
US10573829B2 (en) 2011-02-16 2020-02-2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US10586934B2 (en) 2011-02-16 2020-03-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US10593895B2 (en) 2011-02-16 2020-03-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09563A (en) 2004-06-01
EP2065950B1 (en) 2012-06-27
EP1388904A2 (en) 2004-02-11
US8339036B2 (en) 2012-12-25
CN1474633A (zh) 2004-02-11
TWI272874B (en) 2007-02-01
CN101442108A (zh) 2009-05-27
EP1388904A3 (en) 2007-05-16
US20040027059A1 (en) 2004-02-12
US20120193616A1 (en) 2012-08-02
EP1388904B1 (en) 2009-04-08
EP2065950A2 (en) 2009-06-03
KR101065597B1 (ko) 2011-09-20
US8154193B2 (en) 2012-04-10
US20150137100A1 (en) 2015-05-21
EP2065950A3 (en) 2009-06-24
US9209419B2 (en) 2015-12-08
DE60327024D1 (de) 2009-05-20
KR101215280B1 (ko) 2012-12-26
CN100459207C (zh) 2009-02-04
CN101442108B (zh) 2013-03-13
US7291969B2 (en) 2007-11-06
KR20110022003A (ko) 2011-03-04
US20130134400A1 (en) 2013-05-30
US20080150420A1 (en) 2008-06-26
US8890404B2 (en) 201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280B1 (ko) 조명 장치
KR100975779B1 (ko) 유기 전계발광 소자
JP4368638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EP1010359B1 (en) Color variable bipolar/ac light-emitting devices
JP4493951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KR20030084225A (ko) 유기염이 도핑된 전하 주입층을 이용하는 유기/고분자전기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