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571B1 - 유기 전자 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전자 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571B1
KR100329571B1 KR1020000015572A KR20000015572A KR100329571B1 KR 100329571 B1 KR100329571 B1 KR 100329571B1 KR 1020000015572 A KR1020000015572 A KR 1020000015572A KR 20000015572 A KR20000015572 A KR 20000015572A KR 100329571 B1 KR100329571 B1 KR 100329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ctroluminescent device
transpor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5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2905A (ko
Inventor
김동현
조성우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20000015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9571B1/ko
Priority to JP2001078812A priority patent/JP2001313180A/ja
Priority to US09/812,936 priority patent/US6614176B2/en
Publication of KR20010092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5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11Phthalocyani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21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 H10K85/324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comprising aluminium, e.g. Alq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전자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애노드, 홀수송층, 복수개의 발광층, 전자수송층 및 캐소드를 구비하는데, 상기 발광층 사이에, 막두께의 조절로 두 발광층 영역의 엑시톤 생성 비율을 조절할 수 있는 전하수송버퍼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기 전자발광소자는 발광층사이에 전하수송버퍼층을 도입하여 홀수송층과 발광층간의 계면이 아닌 분리된 발광 영역에 엑시톤을 직접 형성한다. 그 결과, 계면에서 엑시플렉스 형성에 따른 발광효율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전하수송버퍼층의 두께를 조절하여 이색 발광 영역의 발광비를 조절하여 칼라 튜닝(color tuning)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유기 전자발광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본 발명은 유기 전자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기로는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명명된 '전하수송버퍼층'을 발광층 사이에 형성하여 발광효율 특성을 향상시키면서 이색 발광이 가능해진 유기 전자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 전자발광소자는 발광층 형성재료가 유기물로 이루어져 있고, 발광층 형성용 재료로서 무기물을 이용하는 무기 전자발광소자에 비하여 휘도, 구동전압 및 응답속도 특성이 우수하고 다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유기 전자발광소자는 기본적으로 도 1의 구조를 갖는다. 즉, 기판(11) 상부에 애노드(1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애노드(12) 상부에 홀 수송층(13), 발광층(14), 전자수송층(15) 및 캐소드(16)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유기 전자발광소자의 구동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애노드(12)와 캐소드(16)간에 전압을 인가하면 애노드(12)로부터 주입된 홀은 홀수송층(13)을 경유하여 발광층(14)에 이동된다. 한편, 전자는 캐소드(16)로부터 전자수송층(15)을 경유하여 발광층(14)에 주입되고, 홀수송층(13)과 발광층(14)(또는 전자수송층(15) 자체가 발광층이 될 수도 있음)의 계면에서 캐리어들이 재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을 생성한다. 이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변화되고, 이로 인하여 발광층(14)의 형광성 분자가 발광함으로써 화상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동원리에 의하여 작동되는 유기 전자발광소자는 전하 균형(charge balence)을 향상시켜 발광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그러나, 홀수송층과 발광층(또는 전자수송층)의 계면에서 캐리어 재결합 영역이 조성되고, 이와 같은 계면 효과에 따른 엑시플렉스(exciplex) 형성으로 인하여 발광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백색 발광(white luminescence) 등과 같은 이색 발광에 응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백색 발광이 가능한 유기 전자발광소자가 현재 알려져 있다(미국 특허 제5,283,132호). 이 특허 내용에 의하면, 홀수송층을 비스디(p-톨일)아미노페닐-1,1-사이클로헥산으로 형성하고, 발광층 형성 재료로서 발광 피크가 460-480nm인 물질을 이용하면서 이 발광층의 두께를 100-300Å으로 조절함으로써 백색을 발광하는 유기 전자발광소자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이 유기전자발광소자는 청색의 색좌표 특성이 변화되므로 백색 밸런스(white balence)를 제대로 맞추기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하수송버퍼층의 도입으로 엑시톤이 홀수송층과 발광층의 계면이 아닌 분리된 발광 영역에서 직접 형성되도록 조절하여 엑시플렉스 형성으로 인한 발광 효율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전하수송버퍼층의 두께를 조절하여 이색 발광을 구현시킨 유기 전자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유기 전자발광소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자발광소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4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유기 전자발광소자에 있어서, 발광 스펙트럼과 색좌표 특성을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4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유기 전자발광소자에 있어서, 전류밀도에 따른 휘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기판 12, 22... 애노드
13, 23... 홀 수송층 14, 24, 24'... 발광층
15, 25... 전자수송층 16, 26... 캐소드
27... 전하수송버퍼층(charge transport buffer layer)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애노드, 홀수송층, 복수개의 발광층, 전자수송층 및 캐소드를 구비하는 유기 전자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 사이에, 막두께의 조절로 두 발광층 영역의 엑시톤 생성 비율을 조절할 수 있는 전하수송버퍼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자발광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또한,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캐소드, 전자수송층, 복수개의 발광층, 홀수송층 및 애노드를 구비하는 유기 전자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 사이에, 막두께의 조절로 두 발광층 영역의 엑시톤 생성 비율을 조절할 수 있는 전하수송버퍼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자발광소자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하수송버퍼층의 두께는 10 내지 300Å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전하수송버퍼층과 인접한 발광층들의 호스트 형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발광층과 전하수송버퍼층간의 계면 효과를 없애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유기 전자발광소자에서, 상기 홀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수송층중의 하나 이상은 홀-전자 결합에 대하여 발광할 수 있는 도펀트를 포함하기도 한다. 이 때 도펀트로는 쿠마린 6(Coumarin 6), 루브레네(Rubrene), 하기 구조식의 DCM, 4-(디시아노메틸렌)-2-터트-부틸-6-(1,1,7,7-테트라메틸줄로리딜-9-에닐)-4H-피란(4-(dicyanomethylene)-2-t-butyl-6-(1,1,7,7-tetramethyljulolidyl-9-enyl)-4H-pyran: DCJTB), 페닐렌(Perylene), 퀴나크리돈(Quinacridone), 하기 구조식의 DCM2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도펀트의 함량은, 홀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수송층의 호스트 형성재료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전자발광소자는, 상기 애노드와 홀수송층 사이에 홀주입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캐소드와 전자수송층 사이에 전자주입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발광층사이에 전하수송버퍼층을 도입하여 터널효과를 이용하여 전하를 이동시킴으로써 발광 영역에 엑시톤을 직접 형성한다. 그 결과, 계면에서의 에너지 장벽의 극복에 따른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소자의 안정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계면에서 엑시플렉스 형성에 따른 발광효율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하수송버퍼층의 두께를 조절하여 이색 발광 영역의 발광비를 조절하여 칼라 튜닝(color tuning)이 용이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자발광소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유기 전자발광소자는 기판(21)상에 애노드(22)와 홀수송층(23)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고, 이 홀수송층(23) 상부에 제1발광층(24)과 제2발광층(24'), 전자수송층(25) 및 캐소드(26)가 차례차례 형성되어있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제1발광층(24)과 제2발광층(24')사이에는 이 2개의 발광층에서의 엑시톤 생성비를 조절함과 동시에 계면 효과를 제거하기 위한 전하수송버퍼층(27)이 개재되어 있다. 이 때 전하수송버퍼층(27)은 그 막두께를 조절하여전자 또는 홀이 에너지 장벽으로 인하여 계면에서 축적되는 것과 터널링되어 발광층에 도달하는 것를 적절한 범위내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전하수송버퍼층(27)은 홀수송층(23) 및/또는 발광층(24) 및 (24')을 형성하는 호스트 재료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형성하는데, 이는 전하수송버퍼층과 발광층 또는 전하수송버퍼층과 홀수송층간의 계면 효과를 없애서 소자의 발광 효율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전하수송버퍼층은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층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즉, 제1발광층과 인접된 면에는 제1발광층 호스트 재료로 된 제1전하수송버퍼층과, 이 제1전하수송버퍼층 상부에 형성되며 제2발광층과 인접된 면에 제2발광층 호스트 재료로 된 제2전하수송버퍼층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이 때 전하수송버퍼층의 총두께는 10 내지 300Å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30 내지 100Å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만약 전gk수송버퍼층의 총두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주된 발광 영역이 한쪽에서만 형성되어 두 발광층에서의 엑시톤 형성 비율 조절 효과가 없어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유기 전자발광소자는 경우에 따라서 홀수송층과 애노드사이에 홀주입층(hole injection layer)을 더 형성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홀주입층을 형성하면, 애노드와 홀수송층간의 접촉저항이 감소되는 동시에, 발광층에 대한 애노드의 홀 수송능력이 향상되어 소자의 특성이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홀주입층 형성재료는, 하기 구조식의 4,4',4'-트리스(N-3-메틸페닐-N-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4,4',4'-Tris(N-3-methylphenyl-N-phenyl-amino)-triphenylamine: m-MTDATA), CuPc(Phthalociane Copper) 등을 이용한다. 그리고 홀주입층의 두께는 100 내지 2000Å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전자발광소자는 전자수송층과 캐소드 사이에 전자주입층을 더 형성하기도 한다. 여기에서 전자주입층 형성재료로는 불화리튬(LiF)을 이용하며, 그 막두께는 5 내지 20Å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전자발광소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 즉, 애노드/홀수송층/발광층/전자수송층/캐소드 순으로 제조하여도 되고, 그 반대의 순서 즉, 캐소드/전자수송층/발광층/홀수송층/애노드 순으로도 제조하여도 무방하다. 후자와 같은 순서로 적층된 경우에는 기판 재질이 반드시 투명성 재질일 필요가 없고 개구율이 높아지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의 유기 전자발광소자에 있어서, 기판으로는 통상적인 유기 EL 소자에서 사용되는 기판을 사용하는데, 투명성, 표면평활성, 취급용이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유리기판 또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애노드 전극용 물질으로는 투명하고 전도성이 우수한 산화인듐주석(ITO), 산화주석(SnO2),산화아연(ZnO) 등을 사용하며, 그 막 두께는 500 내지 2000Å 범위이다. 그리고 캐소드 형성용 금속으로는 리튬(Li),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알루미늄-리튬(Al-Li), 칼슘(Ca), 마그네슘-인듐(Mg-In), 마그네슘-은(Mg-Ag) 등을 이용하며, 그 막두께는500 내지 5000Å 범위이다. 그중에서도 캐소드로서 반응성은 크고 일함수값이 작은 불화리튬(LiF)을 5 내지 20Å 두께로 형성하고, 이 상부에 일함수값이 큰 알루미늄을 1000 내지 2000Å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소자 안정성과 효율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홀수송층을 형성하는 홀수송성 물질로는 하기 구조식의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등을 이용한다. 그리고 홀수송층의 막두께는 100 내지 1000Å 범위이다.
이러한 홀수송층에는 홀수송성 물질이외에 전자-홀 결합에 대하여 발광할 수 있는 도펀트를 부가하기도 한다. 이러한 도펀트로는 하기 구조식의 4-(디시아노메틸렌)-2-터트-부틸-6-(1,1,7,7-테트라메틸줄로리딜-9-에닐)-4H-피란(4-(dicyanomethylene)-2-t-butyl-6-(1,1,7,7-tetramethyljulolidyl-9-enyl)-4H-pyran: DCJTB), 쿠마린 6(Coumarin 6), 루브레네(Rubrene), DCM, DCJTB,페닐렌(Perylene), 퀴나크리돈(Quinacridone) 등을 이용하며, 그 함량은 홀수송성 물질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홀수송층 형성시 도펀트를 부가하면, 발광색을 도펀트 종류 및 함량에 따라 조절가능하며, 홀수송층의 열적 안정성을 개선하여 소자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전자수송층을 형성하는 전자수송성 물질로는 하기 구조식의 트리스(8-퀴놀리놀라토)-알루미늄(tris(8-quinolinolate)-aluminium: Alq3), 하기 구조식의 Almq3을 이용하며, 상술한 홀수송층과 마찬가지로 전자-홀 결합에 대하여 발광할 수 있는 도펀트를 더 함유하기도 한다. 이 때 도펀트 종류 및 함량은 홀수송층의 경우와 거의 동일한 수준이다. 그리고 전자수송층의 막두께는 100 내지 1000Å 범위
본 발명의 청색 발광층은 그 두께가 50 내지 500Å으로서, 이 층을 형성하는 물질은 저분자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4,4'-비스(2,2-디페닐비닐-1-일)-p-터페닐렌(4,4'-bis(2,2-diphenylvinyl-1-yl)-p-terphenylene: DPVTP), DPVBi, Spiro-DPVBi 등을 이용한다. 그리고 발광층에도 상술한 홀수송층 및 전자수송층과 마찬가지로 상기한 바와 같은 DPVTP 등과 같은 호스트 형성재료 이외에 전자-홀 결합에 대하여 발광할 수 있는 도펀트를 더 함유한다. 이 때 도펀트 종류 및 함량은 홀수송층 및 전자수송층의 경우와 거의 동일한 수준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리 기판상에 1800Å 두께로 ITO 전극을 형성한 다음, 이 상부에 m-MTDATA를 진공증착하여 홀주입층을 600Å 두께로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홀주입층 상부에 NPB를 진공증착하여 100Å 두께의 홀수송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홀수송층 상부에 NPB와 DCJTB를 동시에 진공증착하여 100Å 두께의 제1발광층을 형성하였다. 이 때 NPB의 함량은 99.5중량%, DCJTB의 함량은 0.5중량%이다.
이어서, 상기 제1발광층 상부에 NPB를 진공증착하여 30Å 두께의 전하수송버퍼층을 형성한 다음, 이 전하수송버퍼층 상부에 DPVTP을 진공증착하여 100Å 두께의 제2발광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2발광층 상부에 Alq3를 진공증착하여 500Å 두께의 전자수송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전자수송층 상부에 LiF를 진공증착하여 10Å 두께의 LiF 전자주입층을 형성한 다음, 이 LiF 전자주입층 상부에 Al을 진공증착하여 1000Å 두께로 Al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유기 전자발광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전하수송층의 두께가 각각 40, 50 및 100Å으로 변화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유기 전자발광소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4에 따라 제조된 유기 전자발광소자에서는, 제1발광층과 제2발광층 사이에 전하수송버퍼층을 형성함으로써 전자의 일부는 터널링되어 제1발광층의 DCJTB에서 옐로우-오렌지 발광에 기여하고, 나머지 일부는 제2발광층의 DPVTP에서 청색 발광에 기여하였다. 이와 같이, 옐로우-오렌지색과 청색의 이색 발광을 구현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의 유기 전자발광소자에서는 옐로우-오렌지색과 청색의 발광 세기가 거의 유사하여 이들은 혼합으로 백색 발광을 구현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실시예 4의 유기 전자발광소자에서와 같이, 전하수송버퍼층의 두께를 100Å으로 형성한 경우는 청색 발광이 옐로우-오렌지색 발광에 비하여 우세하였다.
실시예 5
유리 기판상에 1800Å 두께로 ITO 전극을 형성한 다음, 이 상부에 m-MTDATA를 진공증착하여 홀주입층을 600Å 두께로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홀주입층 상부에 NPB를 진공증착하여 100Å 두께의 홀수송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홀수송층 상부에 NPB와 DCJTB를 동시에 진공증착하여 100Å 두께의 제1발광층을 형성하였다. 이 때 NPB의 함량은 99.5중량%, DCJTB의 함량은 0.5중량%이다.
이어서, 상기 제1발광층 상부에 NPB를 진공증착하여 30Å 두께의 제1전하수송버퍼층을 형성한 다음, 이 제1전하수송버퍼층 상부에 Alq3를 진공증착하여 제2전하수송버퍼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제2전하수송버퍼층 상부에 Alq3와 DCJTB를 동시에 진공증착하여 100Å 두께의 제2발광층을 형성하였다. 이 때 NPB의 함량은 95중량%, DCJTB의 함량은 5중량%이다.
상기 제2발광층 상부에 Alq3를 진공증착하여 500Å 두께의 전자수송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전자수송층 상부에 LiF를 진공증착하여 10Å 두께의 LiF 전극을 형성한 다음, 이 LiF 전극상부에 Al을 진공증착하여 1000Å 두께로 Al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유기 전자발광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유리 기판상에 1800Å 두께로 ITO 전극을 형성한 다음, 이 상부
에 m-MTDATA를 진공증착하여 홀주입층을 600Å 두께로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홀주입층 상부에 NPB를 진공증착하여 100Å 두께의 홀수송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홀수송층 상부에 NPB와 DCJTB를 동시에 진공증착하여 100Å 두께의 제1발광층을 형성하였다. 이 때 NPB의 함량은 99.5중량%, DCJTB의 함량은 0.5중량%이다.
이어서, 상기 제1발광층 상부에 NPB와 Alq3를 동시에 진공증착하여 30Å 두께의 전하수송버퍼층을 형성한 다음, 이 제1전하수송버퍼층 상부에 Alq3와 DCJTB를 동시에 진공증착하여 100Å 두께의 제2발광층을 형성하였다. 이 때 NPB의 함량은 99.5중량%, DCJTB의 함량은 0.5중량%이다.
상기 제2발광층 상부에 Alq3를 진공증착하여 500Å 두께의 전자수송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전자수송층 상부에 LiF를 진공증착하여 10Å 두께의 LiF 전극을 형성한 다음, 이 LiF 전극상부에 Al을 진공증착하여 1000Å 두께로 Al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유기 전자발광소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5 및 6의 유기 전자발광소자에서는, 제1발광층 및 제2발광층에서 호스트 형성재료는 각각 NPB 및 Alq3이지만, 발광은 DCJPB으로부터 기인된 것이다. 그리고 전하수송버퍼층인 NPB층과 Alq3층은 DCJPB이 도핑된 호스트 재료와 동일하므로 DCJPB가 느끼는 계면 효과는 발생되지 않았다.
즉, NPB층과 Alq3층은 전하수송버퍼층으로서 전자와 홀이 터널링에 의하여 제1발광층과 제2발광층에서 엑시톤을 직접 생성하며, 이로써 계면 효과가 제거되어고발광효율의 적색 발광을 구현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유리 기판상에 1800Å 두께로 ITO 전극을 형성한 다음, 이 상부에 m-MTDATA를 진공증착하여 홀주입층을 600Å 두께로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홀주입층 상부에 NPB를 진공증착하여 100Å 두께의 홀수송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홀수송층 상부에 NPB와 DCJPB를 동시에 진공증착하여 100Å 두께의 제1발광층을 형성하였다. 이 때 NPB의 함량은 99.5 중량%이고, DCJTB의 함량은 0.5중량%이다.
그 후, 상기 제1발광층 상부에 DPVTP를 진공증착하여 100Å 두께의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나서, 상기 발광층 상부에 Alq3를 진공증착하여 500Å 두께의 전자수송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전자수송층 상부에 LiF를 진공증착하여 10Å 두께의 LiF 전극을 형성한 다음, 이 LiF 전극상부에 Al을 진공증착하여 1000Å 두께로 Al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유기 전자발광소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유기 전자발광소자에 있어서, 발광 스펙트럼과 색좌표 특성을 조사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하수송버퍼층의 두께가 30Å에서 100Å으로 갈수록 제1발광층에서 기인된 옐로우-오렌지 영역의 피크 세기가 줄어들면서 제2발광층에서 비롯된 청색 영역의 피크 세기가 증가하였다.
반면, 전하수송버퍼층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1)는 제1발광층에서 기인된 옐로우-오렌지 영역의 피크 세기만 관찰될 뿐 제2발광층에서 비롯된 청색 영역의 피크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도 3의 색좌표 특성을 관찰한 결과, 전하수송버퍼층의 두께가 30Å인 경우(실시예 1)에는 백색광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 전하수송버퍼층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발광 영역의 엑시톤 생성 확률을 조절하여 원하는 바대로 칼라를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에 따른 유기 전자발광소자에 있어서, 전류밀도에 따른 휘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하수송버퍼층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비교예)의 경우는 옐로우-오렌지색의 발광으로 소자의 발광효율이 6-7 cd/A이고, 전하수송버퍼층의 두께를 각각 30, 40 및 50Å으로 증가시키면 소자의 효율이 점차 감소하여 전하수송버퍼층의 두께가 100Å인 경우에는 청색의 발광으로 소자의 발광효율이 3-4 cd/A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유기 전자발광소자에 있어서, 휘도 효율, 최대 휘도, 양자효율 및 색좌표 특성을 평가한 결과를 요약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NPB층의 두께(Å) 휘도 효율(cd/A) 최대발광휘도(cd/㎡) 양자효율(%) 색좌표(x, y)
실시예 1 30 6.7(@ 10mA/㎠)5.2(@ 100mA/㎠) 21,740(at 13.8V) 2.94 (0.34, 0.35)
실시예 2 40 5.0(@ 10mA/㎠)5.0(@ 100mA/㎠) - 2.67 (0.30, 0.32)
실시예 3 50 5.5(@ 10mA/㎠)4.6(@ 100mA/㎠) - 2.70 (0.27, 0.31)
실시예 4 100 4.2(@ 10mA/㎠)3.7(@ 100mA/㎠) - 2.39 (0.21,0.24)
비교예 1 0 7.8(@ 10mA/㎠)6.6(@ 100mA/㎠) - 2.82 (0.48, 0.44)
상기 표 1로부터, 상기 실시예 1-4의 유기 전자발광소자는 비교예 1의 경우와 비교하여 이색 발광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발광휘도 효율, 양자효율 및 색좌표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실시예 5 및 6의 유기 전자발광소자도 고효율로 적색 발광을 구현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유기 전자발광소자는 발광층사이에 전하수송버퍼층을 도입하여 홀수송층과 발광층간의 계면이 아닌 발광 영역에 엑시톤을 직접 형성한다. 그 결과, 계면에서 엑시플렉스 형성에 따른 발광효율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전하수송버퍼층의 두께를 조절하여 이색 발광 영역의 발광비를 조절하여 칼라 튜닝(color tuning)이 용이하다.

Claims (8)

  1.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애노드, 홀수송층, 복수개의 발광층, 전자수송층 및 캐소드를 구비하는 유기 전자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 사이에, 막두께의 조절로 두 발광층 영역의 엑시톤 생성 비율을조절할 수 있는 전하수송버퍼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자발광소자.
  2.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캐소드, 전자수송층, 복수개의 발광층, 홀수송층 및 애노드를 구비하는 유기 전자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 사이에, 막두께의 조절로 두 발광층 영역의 엑시톤 생성 비율을 조절할 수 있는 전하수송버퍼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자발광소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수송버퍼층의 두께는 10 내지 3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자발광소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수송버퍼층이, 이 전하수송버퍼층과 인접한 발광층들의 호스트 형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자발광소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수송층중의 하나 이상이,
    홀-전자 결합에 대하여 발광할 수 있는 도펀트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자발광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펀트의 함량이, 홀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수송층의 호스트 형성재료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자발광소자.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와 홀수송층 사이에 홀주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자발광소자.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와 전자수송층 사이에 전자주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자발광소자.
KR1020000015572A 2000-03-27 2000-03-27 유기 전자 발광소자 KR100329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572A KR100329571B1 (ko) 2000-03-27 2000-03-27 유기 전자 발광소자
JP2001078812A JP2001313180A (ja) 2000-03-27 2001-03-19 有機電子発光素子
US09/812,936 US6614176B2 (en) 2000-03-27 2001-03-27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ncluding charge transport buffer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572A KR100329571B1 (ko) 2000-03-27 2000-03-27 유기 전자 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905A KR20010092905A (ko) 2001-10-27
KR100329571B1 true KR100329571B1 (ko) 2002-03-23

Family

ID=1965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572A KR100329571B1 (ko) 2000-03-27 2000-03-27 유기 전자 발광소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614176B2 (ko)
JP (1) JP2001313180A (ko)
KR (1) KR1003295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240B1 (ko) * 2001-09-06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소자
KR101273767B1 (ko) * 2005-07-29 2013-06-12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1019B1 (en) * 1999-07-27 2002-06-25 Luxell Technologies Inc.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JPWO2002087287A1 (ja) * 2001-04-19 2004-08-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パネル、画像表示装置、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0577179B1 (ko) * 2001-10-30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030044188A (ko) * 2001-11-29 2003-06-09 강명구 다층구조로 제작한 백색유기전계발광소자
SG176316A1 (en) * 2001-12-05 2011-12-29 Semiconductor Energy Lab Organic semiconductor element
JP3933591B2 (ja) 2002-03-26 2007-06-20 淳二 城戸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KR20030078131A (ko) * 2002-03-28 200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EP1367659B1 (en) * 2002-05-21 2012-09-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Organic field effect transistor
JP2004014311A (ja) * 2002-06-07 2004-01-15 Sony Corp 有機薄膜の形成方法
US6720092B2 (en) * 2002-07-08 2004-04-13 Eastman Kodak Company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using rubrene layer
TWI272874B (en) 2002-08-09 2007-02-01 Semiconductor Energy Lab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20040058193A1 (en) * 2002-09-16 2004-03-25 Eastman Kodak Company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with improved performance
US6717358B1 (en) * 2002-10-09 2004-04-06 Eastman Kodak Company Cascad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with improved voltage stability
JP2005123205A (ja) * 2002-10-24 2005-05-12 Toyota Industries Corp 有機el素子
KR100515827B1 (ko) * 2002-10-28 2005-09-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소자
KR100650046B1 (ko) * 2002-11-20 2006-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효율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
WO2004046275A1 (ja) * 2002-11-21 2004-06-0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電界発光素子および発光装置
US7063900B2 (en) * 2002-12-23 2006-06-20 General Electric Company White light-emitt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WO2004060027A1 (ja) 2002-12-25 2004-07-15 Fujitsu Limite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ィスプレイ
AU2003289392A1 (en) * 2002-12-26 2004-07-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JP4466064B2 (ja) * 2003-02-17 2010-05-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4531342B2 (ja) * 2003-03-17 2010-08-2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白色有機発光素子および発光装置
JP3970253B2 (ja) 2003-03-27 2007-09-05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TWI363573B (en) * 2003-04-07 2012-05-01 Semiconductor Energy Lab Electronic apparatus
US7862906B2 (en) * 2003-04-09 2011-01-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light-emitting device
JP2004327634A (ja) * 2003-04-23 2004-11-1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レーザ発振器
JP4651918B2 (ja) * 2003-05-21 2011-03-16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elパネルの製造方法
US7037601B2 (en) * 2003-05-28 2006-05-02 Eastman Kodak Company White light-emitting device structures
DE10333232A1 (de) * 2003-07-21 2007-10-11 Merck Patent Gmbh Organisches Elektrolumineszenzelement
US7511421B2 (en) * 2003-08-25 2009-03-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ixed metal and organic electrode for organic device
TWI252055B (en) * 2003-10-03 2006-03-21 Pioneer Corp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20050136289A1 (en) * 2003-12-22 2005-06-23 Chu Hye Y.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W200541401A (en) 2004-02-13 2005-12-16 Idemitsu Kosan Co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JP2005310742A (ja) * 2004-03-25 2005-11-04 Sanyo Electric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4621201B2 (ja) 2004-03-25 2011-01-26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20060051563A1 (en) * 2004-03-25 2006-03-09 Kenji Okumoto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7326371B2 (en) * 2004-03-25 2008-02-05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anthracene derivative host
JP4393249B2 (ja) * 2004-03-31 2010-01-06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有機発光素子,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I267822B (en) * 2004-04-30 2006-12-01 Fuji Photo Film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that can adjust chromaticity
US7141924B2 (en) * 2004-05-07 2006-11-28 Au Optronics Corporation Multi-layer cathode i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WO2005115060A1 (en) 2004-05-21 2005-12-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element and light emitting device
KR100875872B1 (ko) 2004-05-31 2008-12-26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유기 el 소자
KR100581539B1 (ko) * 2004-06-07 2006-05-22 (주)그라쎌 적색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광재료로서 채용하고 있는발광소자
US20060019116A1 (en) * 2004-07-22 2006-01-26 Eastman Kodak Company White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anthracene derivative host
US7504657B2 (en) 2004-07-23 2009-03-17 Konica Minolta Holdings, Inc.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display and illuminator
EP1782487B1 (en) * 2004-08-03 2013-03-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and light-emitting device
EP1786242B1 (en) * 2004-08-05 2014-08-27 Konica Minolta Holdings, Inc.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lighting apparatus
KR101027896B1 (ko) * 2004-08-13 2011-04-07 테크니셰 유니베르시테트 드레스덴 발광 컴포넌트를 위한 층 어셈블리
JP4238194B2 (ja) * 2004-09-17 2009-03-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WO2006035973A1 (en) * 2004-09-30 2006-04-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and light-emitting device
TWI261483B (en) * 2004-10-15 2006-09-01 Ind Tech Res Inst Structure of anode applicable on inverted-typ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O2006046678A1 (en) * 2004-10-29 2006-05-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omposite material, light-emittintg element, light-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06090568A1 (ja) * 2005-02-23 2006-08-31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発光パネル、液晶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US20060216544A1 (en) * 2005-03-23 2006-09-28 Fuji Photo Film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1179321B1 (ko) * 2005-03-25 2012-09-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9-플루오렌-2-일-2,7-플루오레닐 단위 함유 전기발광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전기발광 소자
JP4466594B2 (ja) * 2005-03-30 2010-05-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el装置及び有機el装置の製造方法
US9070884B2 (en) 2005-04-13 2015-06-30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Hybrid OLED having phosphorescent and fluorescent emitters
EP1894262B1 (fr) * 2005-06-10 2013-01-23 Thomson Licensing Diode organique electroluminescente ne comprenant au plus que deux couches de materiaux organiques differents
KR100712214B1 (ko) * 2005-07-14 2007-04-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
KR100672535B1 (ko) * 2005-07-25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7035579A (ja) * 2005-07-29 2007-02-08 Sanyo Electric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表示装置
US8053765B2 (en) 2005-11-09 2011-11-08 Konica Minolta Holdings, Inc.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US20070110140A1 (en) * 2005-11-14 2007-05-17 Ipwireless, Inc. Automatic selection of coherent and noncoherent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721953B1 (ko) * 2005-11-30 2007-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풀칼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1793264A1 (en) * 2005-12-05 2007-06-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07072766A1 (en) * 2005-12-22 2007-06-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EP1804114B1 (en) * 2005-12-28 2014-03-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EP1832915B1 (en) * 2006-01-31 2012-04-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contrast
EP1816508A1 (en) 2006-02-02 2007-08-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EP1826605A1 (en) * 2006-02-24 2007-08-2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EP1826606B1 (en) * 2006-02-24 2012-12-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KR20070101984A (ko) * 2006-04-13 2007-10-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하분리층을 구비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TWI317182B (en) * 2006-07-07 2009-11-11 Au Optronics Corp Tandem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s and uses of the same
US8795855B2 (en) * 2007-01-30 2014-08-05 Global Oled Technology Llc OLEDs having high efficiency and excellent lifetime
PL1986473T3 (pl) * 2007-04-03 2017-07-31 Tsinghua University Organiczne urządzenie elektroluminescencyjne
KR100857391B1 (ko) * 2007-04-27 2008-09-0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백색 유기 발광 소자
JP2009043684A (ja) * 2007-08-10 2009-02-26 Toyota Industries Corp 白色発光有機el(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の色度調整方法
US20090053557A1 (en) * 2007-08-23 2009-02-26 Spindler Jeffrey P Stabilized white-emitting oled device
KR100894649B1 (ko) * 2007-09-21 2009-04-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320107B1 (ko) * 2007-12-31 2013-10-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JP5077055B2 (ja) * 2008-05-07 2012-11-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素子、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09142030A1 (ja) * 2008-05-19 2009-11-26 シャープ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JP5329342B2 (ja) * 2008-09-01 2013-10-3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素子
JP5325707B2 (ja) 2008-09-01 2013-10-2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素子
EP2200407B1 (en) 2008-12-17 2017-11-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DE102009017064A1 (de) 2009-04-09 2010-10-14 Merck Patent Gmbh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
JP2010287484A (ja) * 2009-06-12 2010-12-24 Sony Corp 有機発光素子、並びに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WO2011030408A1 (ja) * 2009-09-09 2011-03-17 株式会社 東芝 有機電界発光素子
FR2958455B1 (fr) 2010-04-06 2015-06-26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ode electroluminescente organique comportant au moins deux couches electroluminescentes.
GB2485001A (en) * 2010-10-19 2012-05-02 Cambridge Display Tech Ltd OLEDs
KR101419247B1 (ko) * 2010-12-28 2014-07-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JP5703080B2 (ja) * 2011-03-23 2015-04-15 株式会社東芝 有機電界発光素子、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US9368734B2 (en) * 2011-06-21 2016-06-14 Council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Lithium metal quinolate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as good emitting, interface materials as well as N-type dopent for organic electronic devices
WO2013078585A1 (zh) * 2011-11-28 2013-06-06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聚合物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US9431621B2 (en) 2012-03-13 2016-08-3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etal oxide charge transport material doped with organic molecules
JP2013232629A (ja) 2012-04-06 2013-11-14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素子、発光装置、電子機器、および照明装置
KR101419810B1 (ko) 2012-04-10 2014-07-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엑시플렉스를 형성하는 공동 호스트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DE102013208844A1 (de) * 2012-06-01 2013-12-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chtemittierendes Element, lichtemittierende Vorrichtung, Anzeigevorrichtung, elektronisches Gerät und Beleuchtungsvorrichtung
KR101968205B1 (ko) * 2012-12-24 2019-04-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1465029B1 (ko) * 2013-02-21 2014-12-02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하 수송층 도핑 유기 발광 다이오드
US10741772B2 (en) 2014-08-29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EP3355378B1 (en) 2017-01-30 2022-12-28 Novaled GmbH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a defined layer arrangement comprising a light emitting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P3369729B1 (en) 2017-03-02 2022-01-12 Novaled GmbH Fused 9-phenyl-acridine derivatives for use in a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device
EP4194442A1 (en) 2017-05-23 2023-06-14 Novaled GmbH Organic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 organic semiconductor layer
EP3407401A1 (en) 2017-05-23 2018-11-28 Novaled GmbH Organic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 organic semiconductor layer and a device
EP3425692B1 (en) 2017-07-07 2023-04-05 Novaled GmbH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an electron injection layer with zero-valent metal
EP3470398B1 (en) 2017-10-13 2022-05-04 Novaled GmbH Organic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 organic semiconductor layer
EP3470412B1 (en) 2017-10-13 2020-07-22 Novaled GmbH Organic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 organic semiconductor layer
EP3483157A1 (en) 2017-11-09 2019-05-15 Novaled GmbH Compounds comprising triazine group, fluorene-group and hetero-fluorene group
EP3483154A1 (en) 2017-11-09 2019-05-15 Novaled GmbH Compounds comprising triazine, fluorene and aryl groups and their use in organic electronic devices
EP3483153A1 (en) 2017-11-09 2019-05-15 Novaled GmbH Compounds comprising triazine group, fluorene-group and aryl group and their use in organic electronic devices
EP3503240A1 (en) 2017-12-21 2019-06-26 Novaled GmbH Organic semiconductor layer
EP3502106B1 (en) 2017-12-21 2020-09-02 Novaled GmbH Triazine compounds substituted with bulky groups
EP3527558A1 (en) 2018-02-16 2019-08-21 Novaled GmbH N-heteroarylene compounds
EP3527557A1 (en) 2018-02-16 2019-08-21 Novaled GmbH N-heteroarylene compounds
EP3567039A1 (en) 2018-05-08 2019-11-13 Novaled GmbH N-heteroarylene compounds with low lumo energies
EP3598515A1 (en) 2018-07-18 2020-01-22 Novaled GmbH Compound and organic semiconducting layer, organic electronic device,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DE102018125307A1 (de) 2018-10-12 2020-04-16 Novaled Gmbh Organische lichtemittierende Vorrichtung
EP3643720B1 (en) 2018-10-23 2021-09-29 Novaled GmbH Organic compounds, organic semiconductor layer and organic electronic device
EP3689867B1 (en) 2019-01-30 2021-12-15 Novaled GmbH Composition, organic semiconductor layer and electronic device
EP3733649A1 (en) 2019-04-29 2020-11-04 Novaled GmbH Hetero-fluorene derivatives and their use in electronic devices
CN110323347B (zh) * 2019-05-09 2021-08-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量子点电致发光器件、显示面板及显示装置
EP3742513A1 (en) 2019-05-21 2020-11-25 Novaled GmbH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P3757100B1 (en) 2019-06-25 2022-12-28 Novaled GmbH Triazine compounds substituted with bulky groups
EP3799143A1 (en) 2019-09-26 2021-03-31 Novaled GmbH First and second organic semiconductor layer and organic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EP3798213B1 (en) 2019-09-26 2024-01-10 Novaled GmbH Organic semiconductor layer, organic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compounds therefor
EP3835295A1 (en) 2019-12-10 2021-06-16 Novaled GmbH Acridine compound and organic semiconducting layer, organic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1804B2 (ja) 1991-03-13 1997-10-08 シャープ株式会社 白色有機el素子
JPH11251067A (ja) * 1998-03-02 1999-09-17 Junji Kido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JP4505067B2 (ja) * 1998-12-16 2010-07-14 淳二 城戸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JP4543446B2 (ja) * 1999-04-05 2010-09-15 Tdk株式会社 有機el素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240B1 (ko) * 2001-09-06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소자
KR101273767B1 (ko) * 2005-07-29 2013-06-12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14176B2 (en) 2003-09-02
KR20010092905A (ko) 2001-10-27
US20020027416A1 (en) 2002-03-07
JP2001313180A (ja) 200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9571B1 (ko) 유기 전자 발광소자
KR100730190B1 (ko) 유기 발광 표시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JP4478101B2 (ja) 有機el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59632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US6806491B2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KR100708655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669717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6351067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improved hole injecting structure
KR20090050369A (ko) 유기 발광 소자
KR20080083881A (ko) 색 조절층을 구비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KR100879476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0894066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0515827B1 (ko) 유기 전계 발광소자
KR20070065546A (ko) 유기 발광 표시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73283B1 (ko) 유기 전자발광소자
KR20090013388A (ko) 유기발광소자
KR100669718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4782791B2 (ja) 三原色光を利用する白色有機電界発光素子
KR20090092051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90451B1 (ko) 샌드위치 혼합된 이중 발광호스트를 이용한 고효율 인광유기발광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495594B1 (ko) 3원색광을 이용한 백색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759548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721947B1 (ko) 다수의 발광층을 구비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595928B1 (ko) 혼합 호스트 재료를 채용한 점선 도핑 구조의 발광층을갖는 유기발광소자
KR100603404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