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391B1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백색 유기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391B1
KR100857391B1 KR1020070041202A KR20070041202A KR100857391B1 KR 100857391 B1 KR100857391 B1 KR 100857391B1 KR 1020070041202 A KR1020070041202 A KR 1020070041202A KR 20070041202 A KR20070041202 A KR 20070041202A KR 100857391 B1 KR100857391 B1 KR 100857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layer
layer
organic light
white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일
고근하
박상인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41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3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백색 유기 발광 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기판, 양극, 정공 수송층, 유기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층은, Alq3가 도핑된 청색 발광층; 적색 발광층; 및 상기 청색 발광층과 상기 적색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어 정공의 흐름을 조절하는 완충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색 발광층에 소량의 Alq3를 도핑함으로써,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더욱 안정적인 백색광을 방출하며, 발광효율 및 전력효율이 향상된다.
유기 발광 소자, 청색 발광층, 적색 발광층, 완충층

Description

백색 유기 발광 소자{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적층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적층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에너지 레벨을 나타내는 도.
도 4a는 전류밀도 대 구동전압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4b는 휘도 대 구동전압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a는 발광효율 대 휘도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b는 전력효율 대 휘도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전압에 따른 CIExy 색좌표를 나타내는 도.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색 및 적색 의 발광을 조합하여 백색 발광을 하는 2층 발광 구조를 가지며, 청색발광의 효율을 높임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백색광을 방출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 물질을 사용한 유기 전기발광(EL; Electro Luminescence) 소자는 고체 발광형의 저렴한 대면적 풀컬러 표시 소자로서의 용도가 유망하여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소자는 발광층 및 상기 층을 협지한 한 쌍의 대향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전극 사이에 전계가 인가되면, 음극측으로부터 전자가 주입되고 양극측으로부터 정공이 주입된다. 또한, 이 전자와 정공이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여기 상태를 생성하고, 여기 상태가 기저 상태로 되돌아갈 때에 에너지가 빛으로서 방출된다.
또한, 최근에는 백색계 유기 EL 소자가 모노 컬러 표시 용도, 백라이트 등의 조명 용도 외에, 컬러 필터에 의해 풀컬러를 표시할 수 있는 소자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LCD와 같이 얇은 두께의 광원 백라이트, 자동차 보조 라이트 및 사무실 조명과 같은 여려 용도에 저가형 대안으로 고려된다. 백색광을 생성하는 유기 발광 소자는 밝고, 효율적이고, 일반적으로 약(0.33, 0.33)의 국제조명위원회(CIE)의 색도 좌표를 갖는다.
백색광을 방출하기 위한 유기 발광층이 청색 발광층 및 적색 발광층의 2층 구조로 되어 있거나, 청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적색 발광층의 3층 구조로 되어 있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가 다수의 특허공보 및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J.Shi에 의한 미국 특허 제5,683,823호에는 발광층이 호스트 발광 물질에 균 일하게 분산된 적색 및 청색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백색광 생성 유기 발광 소자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공보에 개시된 유기 발광 소자는 양호한 전기 발광 특성을 가지지만, 적색 및 청색 도판트(dopant)의 농도가 예컨대 호스트 물질의 0.12% 및 0.25%로 매우 작다. 이러한 도판트 농도는 대규모 제조공정에서 제어하기 곤란하다.
Sato 등에 의한 일본 특허 제7,142,169호에는, 청색 발광층을 정공 수송층 위에 형성하고 그 위에 적색 형광층을 함유하는 영역을 갖는 녹색 발광층을 형성한 백색 유기 발광 소자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존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발광 휘도와 발광 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구동전압이 변함에 따라 CIE 색좌표가 급격하게 변함으로써 불안정한 백색광을 방출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안정적인 백색광을 제공하고 발광효율 및 전력효율이 향상된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기판, 양극, 정공 수송층, 유기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층은, Alq3가 도핑된 청색 발광층; 적색 발광층; 및 상기 청색 발광층과 상기 적색 발광층 사 이에 형성되어 정공의 흐름을 조절하는 완충층을 포함한다.
상기 청색 발광층은, MADN에 10% 미만의 DSA-Ph를 청색 도판트로서 도핑하고 5% 미만의 Alq3를 도핑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층은, Alq3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층은, 1 nm 내지 5 n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색 발광층은, Alq3에 2% 미만의 DCJTB를 도핑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색 발광층과 상기 적색 발광층의 두께의 비는 1: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기판, 양극, 정공 수송층, 유기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층은, Alq3가 도핑된 청색 발광층; 및 적색 발광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적층 구조를 도 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백색 유기 발광 소자(100)는 기판(110) 상부에 양극(120), 정공 수송층(130), 유기 발광층(140), 전자 수송층(150) 및 음극(16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유기 발광층(140)은 Alq3(Tris(8-hydroxyquinoline) aluminium)가 도핑된 청색 발광층(142), 완충층(144) 및 적색 발광층(146)을 포함한다.
양극(120)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전극으로 형성된다.
전자 수송층(150) 및 음극(160)을 광투과성을 가지는 재질로 만듦으로써, 기판(110)을 통한 발광뿐만 아니라 상부층을 통한 발광을 할 수 있다.
정공 수송층(130)의 재질은 NPB(N,N'-bis(l-naphthyl)-N,N'-dipheyl -1,1' biphenyl- 4,4'diamine)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양극(120)과 정공 수송층(130) 사이에 정공이 유기 발광층(140)으로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정공 주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청색 발광층(142)은 MADN(2-methyl-9,10-di(2-naphthyl)anthracene)에 DSA-Ph(p-bis(p-N,N-diphenyl-aminostyryl)benzene)를 도펀트로서 10% 미만을 도핑한 것이다. 또한, 청색 발광층(142)에는 5% 미만의 Alq3가 도핑된다. Alq3를 도핑한 청색 발광층(142)은 기존의 청색 발광층에 비하여 녹색 성분을 발광하여 좀 더 백색에 근접한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완충층(144)은 정공의 흐름을 조절함으로써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을 원활하게 하여 효율을 향상시킨다. 통상, 정공 이동도가 전자 이동도에 비하여 빠르기 때문에, 완충층(144)은 정공의 속도를 늦추는 역할을 한다.
완충층(144)은 HOMO(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최고 점유 분자 궤도) 레벨 및 LUMO(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최저 비점유 분자 궤도) 레벨이 전자와 정공을 모두 발광층으로 용이하게 수송할 수 있는 적당한 범위를 가지고 정공이동도 및 전자이동도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저분자 유기물질로 이루어지며, 청색 발광층(142) 및 적색 발광층(146)에 전자 또는 정공을 이동시켜 발광할 수 있게 한다.
완충층(144)은 HOMO 레벨이 5.3 내지 6.0eV가 바람직하고, LUMO 레벨이 2.5 내지 3.0eV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완충층(144)의 재질은 전자이동도와 정공이동도의 차이가 100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조건을 가장 만족하는 Alq3를 완충층(144)의 재질로서 사용한다. 완충층(144)의 두께는 1nm 내지 5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층(144)의 두께가 3nm일 때 가장 효율이 높다.
적색 발광층(146)은 Alq3에 2% 미만의 DCJTB(4-(dicyanomethylene)- 2-t-butyl-6-(1,1,7,7,-tetramethyl julolidyl-9-enyl)-4H-pyran)를 도펀트로서 도핑한 것이다.
청색 발광층(142)과 적색 발광층(146)의 두께의 비는 1:3인 것이 바람직하 다.
전자의 경우, 전자 수송층(160)을 거쳐서 적색 발광층(146)에서 정공과 재결합을 한 후, 완충층(144)을 거쳐서 청색 발광층(142)에서 정공과 다시 재결합을 한 후 이동한다. 이와는 반대로, 정공의 경우, 정공 수송층(130)을 거쳐서 청색 발광층(142)에서 전자와 재결합을 한 후, 완충층(144)을 거쳐서 적색 발광층(146)에서 전자와 다시 재결합을 한 후 이동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백색 유기 발광 소자(200)는 기판(210) 상부에 양극(220), 정공 수송층(230), 유기 발광층(240), 전자 수송층(250) 및 음극(26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유기 발광층(240)은 Alq3(Tris(8-hydroxyquinoline) aluminium)가 도핑된 청색 발광층(242) 및 적색 발광층(244)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완충층(144)이 제거된 것이다.
실험례
기판 상에 ITO(Indium Tin Oxide)를 양극으로 패터닝하고, PEDOT:PSS를 정공 주입층으로서 50nm의 두께로 적층하였다. PEDOT:PSS는 PEDOT(Poly (3,4-ethylenedioxythiophene))에 PSS(Poly(styrene sulfonate))를 도핑한 것이다.
NPB를 정공 수송층으로서 10nm의 두께로 적층하고, 5%의 DSA-Ph 및 0.5%의 Alq3를 도핑한 MADN을 청색 발광층으로서 7nm의 두께로 적층하고, Alq3를 완충층으로서 3nm의 두께로 적층하고, 0.5%의 DCJTB를 도핑한 Alq3를 적색 발광층으로서 21nm의 두께로 적층하고, Alq3를 전자 수송층으로서 20 nm의 두께로 적층하였다. 그 후, LiF를 1nm의 두께로 적층하고, Al을 음극으로서 100nm의 두께로 적층하였다. 도 3에는 실험례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에너지 레벨이 도시된다.
비교례
기판 상에 ITO를 양극으로 패터닝하고, PEDOT:PSS를 정공 주입층으로서 50nm의 두께로 적층하였다.
NPB를 정공 수송층으로서 10nm의 두께로 적층하고, 5%의 DSA-Ph를 도핑한 MADN을 청색 발광층으로서 7nm의 두께로 적층하고, Alq3를 완충층으로서 3nm의 두께로 적층하고, 0.5%의 DCJTB를 도핑한 Alq3를 적색 발광층으로서 21nm의 두께로 적층하고, Alq3를 전자 수송층으로서 20 nm의 두께로 적층하였다. 그 후, LiF를 1nm의 두께로 적층하고, Al을 음극으로서 100nm의 두께로 적층하였다.
다음,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실험례와 비교례의 특성을 비교한다.
도 4a는 전류밀도 대 구동전압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휘도 대 구동전압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에서는, 11V의 구동 전압에서, 실험례의 전류밀도가 비교례의 전류밀도보다 50mA/cm2 정도 작다. 또한, 도 4b에서는, 11V의 구동 전압에서, 실험례의 휘도 가 비교례의 휘도보다 8000cd/m2 정도 크다. 이는 청색 발광층에 Alq3가 도핑됨으로써, 유기 발광 소자의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나타낸다.
도 5a는 발광효율 대 휘도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전력효율 대 휘도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20,000 cd/m2의 휘도 및 11V의 구동전압에서, 비교례는 3.5 cd/A의 발광효율 및 1.0 lm/W의 전력효율을 나타내는데 반하여, 실험례는 5.7 cd/A의 발광효율 및 1.9 lm/W의 전력효율을 나타낸다. 이는 실험례가 비교례에 비하여 발광효율 및 전력효율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도 6은 전압에 따른 CIE 색좌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험례 및 비교례는 구동전압 3V에서 약 (0.55, 0.40)의 적색에 가까운 광을 방출한다. 그러나, 구동전압을 높일수록 백색에 가까운 광을 방출하는바, 구동전압 11V에서 실험례는 색좌표가 (0.357, 0.350)으로 되고 비교례는 색좌표가 (0.336, 0.331)로 된다. 또한, 실험례는 구동전압 6V 내지 11V의 범위에서 (0.357, 0.350) 부근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백색광을 방출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색 발광층에 소량의 Alq3를 도핑함으로써,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더욱 안정적인 백색광을 방출하며, 발광효율 및 전력효율이 향상된다.

Claims (10)

  1. 기판, 양극, 정공 수송층, 유기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층은,
    Alq3가 도핑된 청색 발광층;
    적색 발광층; 및
    상기 청색 발광층과 상기 적색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어 정공의 흐름을 조절하는 완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발광층은,
    MADN에 10% 미만 0% 초과의 DSA-Ph를 청색 도판트로서 도핑하고 5% 미만 0% 초과의 Alq3를 도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은,
    Alq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은,
    1 nm 내지 5 n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발광층은,
    Alq3에 2% 미만 0% 초과의 DCJTB를 도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발광층과 상기 적색 발광층의 두께의 비는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7. 기판, 양극, 정공 수송층, 유기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층은,
    Alq3가 도핑된 청색 발광층; 및
    적색 발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발광층은,
    MADN에 10% 미만 0% 초과의 DSA-Ph를 청색 도판트로서 도핑하고 5% 미만 0% 초과의 Alq3를 도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발광층은,
    Alq3에 2% 미만 0% 초과의 DCJTB를 도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발광층과 상기 적색 발광층의 두께의 비는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20070041202A 2007-04-27 2007-04-27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0857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202A KR100857391B1 (ko) 2007-04-27 2007-04-27 백색 유기 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202A KR100857391B1 (ko) 2007-04-27 2007-04-27 백색 유기 발광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7391B1 true KR100857391B1 (ko) 2008-09-05

Family

ID=40022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202A KR100857391B1 (ko) 2007-04-27 2007-04-27 백색 유기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3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3563A (ja) 1999-02-23 2000-09-08 Stanley Electric Co Ltd 有機発光素子
KR20010092905A (ko) * 2000-03-27 2001-10-27 김순택 유기 전자 발광소자
KR20030015611A (ko) * 2001-08-17 2003-02-25 주식회사 켐트로닉 백라이트용 백색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이용한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KR20030044188A (ko) * 2001-11-29 2003-06-09 강명구 다층구조로 제작한 백색유기전계발광소자
KR20070114566A (ko) * 2006-05-29 2007-12-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3563A (ja) 1999-02-23 2000-09-08 Stanley Electric Co Ltd 有機発光素子
KR20010092905A (ko) * 2000-03-27 2001-10-27 김순택 유기 전자 발광소자
KR20030015611A (ko) * 2001-08-17 2003-02-25 주식회사 켐트로닉 백라이트용 백색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이용한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KR20030044188A (ko) * 2001-11-29 2003-06-09 강명구 다층구조로 제작한 백색유기전계발광소자
KR20070114566A (ko) * 2006-05-29 2007-12-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13076B (zh) 有機發光二極體元件
KR101429537B1 (ko) 유기발광소자
US6876144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host material layer intermixed with luminescent material
KR101453874B1 (ko) 백색 유기발광소자
JP4895742B2 (ja) 白色有機電界発光素子
KR101772662B1 (ko) 유기 발광 장치
Chang et al. High-efficienc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multiple emitting units
CN107579097B (zh) 白色有机发光装置
KR20040028479A (ko) 복수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US8222806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4288619A (ja) 高効率の有機電界発光素子
CN111048675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378424B1 (ko) 유기 발광 소자
US20140084255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Using Bandgap Matching Dye as Co-Host
JP2012059962A (ja) 有機el素子
JP2003229272A (ja) 有機el素子
JP2005150084A (ja) 白色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
WO2015192591A1 (zh)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
CN100473247C (zh) 电激发光元件
KR100594775B1 (ko) 백색 유기발광소자
KR20070101516A (ko) 백색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8384073B2 (en) System for displaying images
KR100760901B1 (ko) 백색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857391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US8735879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comprising at least two electroluminescent lay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