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539B1 - 적색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광재료로서 채용하고 있는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적색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광재료로서 채용하고 있는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1539B1
KR100581539B1 KR1020040041434A KR20040041434A KR100581539B1 KR 100581539 B1 KR100581539 B1 KR 100581539B1 KR 1020040041434 A KR1020040041434 A KR 1020040041434A KR 20040041434 A KR20040041434 A KR 20040041434A KR 100581539 B1 KR100581539 B1 KR 100581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group
light emitting
silyl
tr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6279A (ko
Inventor
조규성
김치식
정소영
한훈
김성민
김정연
윤승수
권혁주
조영준
김영관
김봉옥
Original Assignee
(주)그라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라쎌 filed Critical (주)그라쎌
Priority to KR1020040041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1539B1/ko
Priority to CN2005800267558A priority patent/CN1993446B/zh
Priority to US11/628,679 priority patent/US20080075973A1/en
Priority to PCT/KR2005/000354 priority patent/WO2005121274A1/en
Publication of KR20050116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6Peri-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System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0803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 C07F7/081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comprising at least one atom selected from the elements N, O, halogen, S, Se or Te
    • C07F7/0812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comprising at least one atom selected from the elements N, O, halogen, S, Se or Te comprising a heterocycl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System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0803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 C07F7/081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comprising at least one atom selected from the elements N, O, halogen, S, Se or Te
    • C07F7/0812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comprising at least one atom selected from the elements N, O, halogen, S, Se or Te comprising a heterocyclic ring
    • C07F7/0816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comprising at least one atom selected from the elements N, O, halogen, S, Se or Te comprising a heterocyclic ring said ring comprising Si as a ring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1Charge transfer complex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3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comprising only oxygen as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07Non-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1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4Carbocyclic compounds bridged by heteroatoms, e.g. N, P, Si or B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88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xygen as the only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8Metal complexes
    • C09K2211/181Metal complexes of the alkali metals and alkaline ear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8Metal complexes
    • C09K2211/186Metal complexes of the light metals other than alkali metals and alkaline earth metals, i.e. Be, Al or M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10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 H10K2102/101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 H10K2102/103Transparent electrodes, e.g. using graphene comprisin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 [TCO] comprising indium oxides, e.g. ITO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21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 H10K85/324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comprising aluminium, e.g. Alq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40Organosilicon compounds, e.g. TIPS pentac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3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2Cyanine dyes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화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발광재료로서 채용하고 있는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4024528212-pat00001
R1, R2, R3, R4, R5, R6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10의 쇄 길이를 갖는 측쇄 및 직쇄 알킬기, C5 내지 C7의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 융합고리, R11R12R13Si-, R1와 R2 또는 R3과 R4가 함께 C5 내지 C10 알킬렌으로 연결되어 스피로 고리를 형성하거나, R1와 R5 또는 R3와 R6는 서로 C3 내지 C5의 알킬렌으로 연결되어 융합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알킬렌의 탄소가 R14R15Si<로 치환되어 융합된 실라사이크로알킬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의 R1, R2, R3, R4 , R5, R6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는 추가로 하나이상의 R11R12R13Si-로 치환될 수 있으며, R7은 수소 또는 C1 내지 C10의 쇄 길이를 갖는 측쇄 및 직쇄 알킬기, C5 내지 C7의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 융합고리이고, R8과 R9은 모두 -CN이거나
Figure 112004024528212-pat00002
과 결합하여 1,3-인단디온고리를 형성하며, R11, R12, R13, R14 및 R15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C1 내지 C10의 쇄 길이를 갖는 측쇄 및 직쇄 알킬기, C5 내지 C7의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이며 R11와 R 12 또는 R14와 R15는 서로 C4 내지 C10의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으로 연결되어 스피로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단, R1, R2, R3, R4의 치환기 4개 모두가 H 또는 R11 R12R13Si-로 치환되지 않은 C1 내지 C10의 쇄 길이를 갖는 측쇄 및 직쇄 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은 제외된다.
유기 발광화합물, 발광소자

Description

적색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광재료로서 채용하고 있는 발광소자{Red electroluminescent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the same}
도 1은 실시예 5에서 제작한 유기 EL 소자의 구조이고,
도 2는 화학식 b(DCJTB)의 전기 발광 스펙트럼이며,
도 3은 실시예 6에서 합성한 화합물234T의 전기 발광 스펙트럼이고,
도 4는 실시예 9에서의 화합물234T의 전류밀도-전압 특성이며,
도 5는 실시예 9에서의 화합물234T의 휘도-전압 특성이고,
도 6은 실시예 9에서의 화합물234T의 발광효율-휘도 특성이며,
도 7은 실시예 9에서의 화합물234T의 색좌표-휘도 특성.
*도면 주요부호의 상세한 설명*
1 - 기판 2 - 양극
3 - 정공전달층 4 - 발광층
5 - 전자전달층 6 - 유기층
7 - 전자주입층 8 - 음극
본 발명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화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를 발광재료로서 채용하고 있는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4024528212-pat00003
고효율, 장수명 유기 EL 소자의 개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고성능의 발광 재료의 개발이라고 할 수 있으며, 현재 발광 재료 개발 측면에서 볼 때, 적색이나 청색 발광 재료가 녹색의 발광 재료에 비해 발광 특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풀칼라 디스플레이의 구현을 위해서는 RGB 3가지의 발광 재료를 사용하게 되고, 결국 3가지 재료 중 가장 특성이 떨어지는 재료가 그 전체 패널의 성능을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고효율, 장수명의 청색이나 적색 발광 재료 개발은 유기 EL 전체의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적색 발광 재료의 색순도 및 발광 효율은 그다지 만족할만한 수준은 아니다. 대부분 재료의 경우 동일한 적색 발광 분자 간의 소광 현상(농도 소광 효과, concentration quenching effect)으로 인해 고농도 박막층을 이용한 고성능 발광 소자의 구성이 어렵기 때문에, 주로 도핑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즉, 분자 간의 거리가 멀수록, 발광 특성 측면에서는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630 nm 이상의 순수한 적색 파장에서는 색에 대한 감도의 저하로 고효율의 적색 발광 특성을 갖게 한다는 것이 용이하지는 않다.
따라서, 적색 발광 분자 간의 접근을 방지하고, 발광 파장을 현재 수준에서 보다 장파장으로 편이시킬 수 있다면, 고효율, 장수명의 적색 발광 재료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적색 발광 재료 중에서 DCM2(4-(디시아노메틸렌)-2-메틸-6-(주릴로딜-9-에닐)-4H-피란) 유도체들은 발광 효율 및 색순도 측면에서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기의 DCM2 유도체에 관한 연구에서는 적색 발광 재료들의 농도 소광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분자간의 근접을 최소화하기 위한 벌키(bulky) 치환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Figure 112004024528212-pat00004
이스트만-코닥사(Eastman-Kodak사)의 C.H.Chen은 현재까지 보고된 적색 발광 재료들 중에서 가장 뛰어난 효율을 보이는 DCJTB(4-(디시아노메틸렌)-2-t-부틸-6-(1,1,7,7-테트라메틸주릴로딜-9-에닐-4H-피란)를 발표하였다. 이 물질은 DCJT(4-(디시아노메틸렌)-2-메틸-6-(1,1,7,7-테트라메틸주릴로딜-9-에닐)-4H-피란)를 기본 골격으로, 벌키 치환기를 도입하는 개념으로 개발되었다. DCJTB의 경우, DCJT의 methyl기를 벌키한 tert-부틸기로 변형시킨 재료로 자체 소광 효과의 급격한 저하를 보일 뿐만 아니라, 발광 파장이나 효율 측면에서의 뚜렷한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4024528212-pat00005
또한, 동 그룹에서 DCJTI(4-(디시아노메틸렌)-2-이소프로필-6-(1,1,7,7-테트라메틸주릴로딜-9-에닐)-4H-피란)라고 하는, DCJT의 메틸기를 이소프로필기로 변형시킨 물질도 보고하고 있다.
Figure 112004024528212-pat00006
한편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4-(디시아노메틸렌)-6-(1,1,7,7-테트라메틸주릴로딜-9-에닐)-4H-피란 구조의 2 위치에 융합고리(fused ring)인 아다만틸, 4-펜틸바이시클로[2,2,2]옥틸 등의 벌키한 치환체를 도입함으로서 고성능의 적절한 발광특성을 갖는 적색 발광재료를 개발하여 특허출원 2003-27070호로 출원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적색 발광 재료에 비해 발광특성이 뛰어난 발광재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를 지속한 결과 (i) 발광 분자 간의 접근을 방지하고, (ii) 발광 재료의 발광 파장을 장파장 편이시킬 수 있는 아이디어를 발광 재료 분자 설계에 접목시켜 전자 공여체 부분(electron donor moiety)인 주릴로딜(julilodyl) 기와 전자 수용체 부분(electron acceptor moiety)인 피란(pyran) 부분에 의하여 유발되는 극성에너지의 영향을 이용한다면 고성능의 적절한 적색 발광 재료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인식하에 전자 공여체 부분인 주릴로딜기의 특정 위치에 입체장애를 주는 특정 성질의 치환기들을 도입함으로서 종래의 적색 발광 재료에 비해 발광특성이 뛰어난 발광재료를 개발하기에 이르렀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농도에서도 발광효율이 우수한 적색 발광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발광화합물을 채용한 유기 전계 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기 발광화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발광재료로서 채용하고 있는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화합물은 주릴로딜기에 입체장애를 유발시킬 수 있는 융합고리를 도입시킴으로서 재료의 평면 구조의 특성을 증가되면서 동시에 입체적 장애를 유발되어 고체 박막에서 분자 간의 접근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효율적인 에너지 전달 메커니즘으로 발광 효율을 현저하게 증가시켰으며, 또한 일반적으로 적색 형광 재료인 DCJTB의 단점은 호스트에 도핑하였을 때 발광 도판트 분자가 캐리어인 전류를 트랩함으로서 발광 효율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소자 전체에 흐르는 전하량을 감소시키게 되어 휘도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는바, 도판트에 전기전도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작용기를 도입하게 되면 이러한 단점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주릴로딜기에 실릴기 또는 알킬실릴기를 도입시킴으로서 전기전도성을 개선시켜 종래의 DCJTB의 단점을 크게 개선시켰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화합물은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4024528212-pat00007
R1, R2, R3, R4, R5, R6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10의 쇄 길이를 갖는 측쇄 및 직쇄 알킬기, C5 내지 C7의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 융합고리, R11R12R13Si-, R1와 R2 또는 R3과 R4가 함께 C5 내지 C10 알킬렌으로 연결되어 스피로 고리를 형성하거나;
R1와 R5 또는 R3와 R6는 서로 C3 내지 C5 의 알킬렌으로 연결되어 융합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알킬렌으로 연결되는 융합고리의 알킬렌의 탄소가 R14R15Si<로 치환되어 융합된 실라사이크로알킬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의 R1, R2, R3, R4, R5, R6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는 추가로 하나이상의 R11R12R13Si-로 치환될 수 있으며;
R7은 수소 또는 C1 내지 C10의 쇄 길이를 갖는 측쇄 및 직쇄 알킬기, C 5 내지 C7의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 융합고리이고;
R8과 R9은 모두 -CN이거나
Figure 112004024528212-pat00008
과 결합하여 1,3-인단디온고리를 형성하며,
R11, R12, R13, R14 및 R15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C1 내지 C10의 쇄 길이를 갖는 측쇄 및 직쇄 알킬기, C5 내지 C7의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이며 R11와 R12 또는 R14와 R15는 서로 C4 내지 C10의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으로 연결되어 스피로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R1, R2, R3, R4의 하나 이상이 상기의 치환체를 포함할 때 R1, R2, R3, R4 중 나머지 치환체들은 수소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1 내지 C10의 쇄 길이를 갖는 측쇄 및 직쇄 알킬기일 수 있으며, 다만 R1, R2, R3, R4 치환기 4개 모두가 수소 또는 탄소와 수소로만 이루어진 C1 내지 C10의 측쇄 및 직쇄 알킬기부터 선택되는 것은 제외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04024528212-pat00009
여기서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며, R2, R3, R4, R5, R6 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10의 쇄 길이를 갖는 측쇄 및 직쇄 알킬기, C5 내지 C 7의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 융합고리, R11R12R13Si-, R3과 R 4가 함께 C5 내지 C10 알킬렌으로 연결되어 스피로 고리를 형성하거나; R3와 R6는 서로 C3 내지 C 5의 알킬렌으로 연결되어 융합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알킬렌으로 연결되는 융합고리의 알킬렌의 탄소가 R14R15Si<로 치환되어 융합된 실라사이크로알킬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 융합고리는 추가로 R11R12R13Si-로 치환될 수 있으며, R7, R8, R9 는 화학식 1과 동일하다.
화학식 2의 화합물의 R2, R3, R4, R5, R6은 구체적인 예로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부틸, n-펜틸, i-아밀, n-헥실, n-헵틸, n-옥틸, 2-에틸헥실, n-노닐, 시클로알킬기는 시클로펜틸, 2-메틸시클로펜틸, 3-메틸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페닐, 톨루일, 나프틸기, 벤질, 3-페닐프로필, 2-페닐프로필기, 아다만틸, 4-펜틸바이시클로[2,2,2]옥틸기, 노르보넨, 트리메틸실릴, 트리에틸실릴, 트리(n-프로필)실릴, 트리(i-프로필)실릴, 트리(n-부틸)실릴, 트리(i-부틸)실릴, 트리(t-부틸)실릴, 트리(n-펜틸)실릴, 트리(i-아밀)실릴, t-부틸디메틸실릴, 트리페닐실릴, 트리(p-톨루)실릴, 또는 디메틸시클로헥실실릴을 포함하며, R11과 R12이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으로 연결된 메틸실라실클로펜틸, 메틸실라시클로페테닐, 메틸실라시클로헥실 에틸실라시클로헥실 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 융합고리는 추가로 트리메틸실릴, 트리에틸실릴, 트리(n-프로필)실릴, 트리(i-프로필)실릴, 트리(n-부틸)실릴, 트리(i-부틸)실릴, 트리(t-부틸)실릴, 트리(n-펜틸)실릴, 트리(i-아밀)실릴, t-부틸디메틸실릴, 트리페닐실릴, 트리(p-톨루)실릴, 또는 디메틸시클로헥실실릴로 치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적색발광 화합물은 R1와 R5 또는 R3와 R6는 서로 독립적으로 C3 내지 C5의 알킬렌으로 연결되어 화학식 3과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융합고리 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화학식 3]
Figure 112004024528212-pat00010
[화학식 4]
Figure 112004024528212-pat00011
상기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의 치환체 R2, R3, R4, R6, R 7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치환체와 동일하며, A는 서로 독립적으로 -CH2-, -CH2CH2-, -CH2CH2CH2- 등일 수 있으며, 상기 A를 포함하는 융합고리의 알킬렌의 탄소 중 하나가 R14R15Si<로 치환되어 융합된 실라시클로알킬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형성된 실라시클로알킬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메틸실라시클로펜탄, 에틸메틸실라시클로펜탄, 디에틸시클로펜탄, 디페닐실라시클로펜탄, 디메틸실라시클로헥산, 디에틸실라시클로헥산, 디페닐실라시클로헥산을 포함하며, R14과 R15이 서로 C4 내지 C10의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으로 연결되어 실라시클로펜탄, 실라시클로펜텐, 실라시클로헥산 구조로 형성된 스피로고리를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의 실라시클로알칸은 하기의 화학식 5 또는 화학식 6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화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5]
Figure 112004024528212-pat00012
[화학식 6]
Figure 112004024528212-pat00013
"---"는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이며, R31, R32, R33, R34 , R35, R3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 내지 C5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기이며, R2, R3 , R4, R6, R7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치환체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색발광 화합물은 화학식 1의 치환체 중 R1와 R2 또는 R3와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C3 내지 C5의 알킬렌으로 연결되어 화학식 7과 화학식 8로 표시되는 스피로 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화학식 7]
Figure 112004024528212-pat00014
[화학식 8]
Figure 112004024528212-pat00015
상기 화학식 7과 화학식 8의 R3, R4, R5, R6, R7, R8, R9는 화학식 2와 동일하다.
한편 R8과 R9은 화학식 3 내지 화학식 6과 같이 모두 -CN이거나
Figure 112004024528212-pat00016
과 결합하여 1,3-인단디온고리를 형성하여 하기의 화학식 9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9]
Figure 112004024528212-pat00017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9의 R7 치환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C1 내지 C10의 쇄 길이를 갖는 측쇄 및 직쇄 알킬기는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부틸, n-펜틸, i-아밀, n-헥실, n-헵틸, n-옥틸, 2-에틸헥실, n-노닐을 포함하며, C5 내지 C7의 시클로알킬기는 시클로펜틸, 2-메틸시클로펜틸, 3-메틸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을 포함하며, 아릴기는 페닐, 톨루일, 나프틸기를 포함하고, 아르알킬기는 벤질, 3-페닐프로필, 2-페닐프로필기를 포함하고, 융합고리는 아다만틸, 4-펜틸바이시클로[2,2,2]옥틸기, 노르보넨를 포함하며, 상기 융합고리의 탄소수가 20을 초과하면 전기 전도도가 열화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표 1 내지 표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색발광 화합물의 범위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나타낸 것이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 1]
Figure 112004024528212-pat00018
Figure 112004024528212-pat00019
Figure 112004024528212-pat00020
Figure 112004024528212-pat00021
Figure 112004024528212-pat00022
Figure 112004024528212-pat00023
[표 2]
Figure 112004024528212-pat00024
Figure 112004024528212-pat00025
[표 3]
Figure 112004024528212-pat00026
Figure 112004024528212-pat00027
본 발명에 따른 적색발광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하기의 반응식 1 내지 반응식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반응식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전자 공여체 부분인 주릴로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반응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반응식 1]
Figure 112004024528212-pat00028
출발물질인 아닐린(1)은 1H-벤조트리아졸-메탄올 또는 벤조트리아졸과 포름알데히드 혼합용액과 함께 딘-스탁반응장치 등을 이용하여 탈수 반응시켜 벤조트리아조릴메탄이 치환된 아닐린(2)을 제조한 후, 아닐린 유도체(2)와 알켄유도체(3) 간의 프리델-크래프트 알킬화반응에 의하여 고리화하여 테트라히드로퀴놀린 유도체(4)를 제조한다. 고리화 반응 시 SnCl4 촉매 하에서 - 78℃ 정도의 저온조건으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된 테트라히드로퀴놀린 유도체(4)의 아민의 남은 수소위치에 다시 벤조트리아조릴메탄을 치환시켜 벤조트리아조릴메탄이 치환된 테트라히드로퀴놀린 유도체(5)를 제조한 후 앞서 진행한 프리델-크래프트 반응에 의하여 주릴로딜 유도체(7)을 제조한 후 상기 화합물(7)을 POCl3/DMF 조건에서 반응하여 주릴로딜 알데히드(8) 유도체를 제조한다.
R1=R3, R2=R4, R5=R6인 주릴로딜 유도체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는 하기의 반응식 1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디(벤조트리아졸릴메틸)페닐아민(9)를 아닐린으로부터 제조한 후 알켄유도체(3)를 반응시켜 한번에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응식 12]
Figure 112004024528212-pat00029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수용체 부분인 피란(16) 또는 (18)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반응식 2와 반응식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반응식 2]
Figure 112004024528212-pat00030
반응식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피란 유도체는 케톤기가 보호된 메틸 아세토아세테이트(11)와 케톤 유도체(12)를 염기조건 하에서 커플링하여 케톤기가 보호된 트리케톤 화합물(13)을 제조한다. 상기 단계에서 사용하는 염기는 통상의 염기이면 가능하나 LDA,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나트륨염(NaN(TMS)2) 등 벌키한 염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되는 염기의 특성에 따라 반응온도를 선택하여 반응을 진행한다. 제조된 트리케톤 화합물(13)을 산용액에서 탈보호화와 고리화 반응을 진행하여 피란유도체(14)를 제조한 후 이를 말로노니트릴(15)을 산 또는 염기 조건에서 반응시켜 본원 발명의 화합물의 전자 수용체 부분을 제조한다.
한편, 디시아노기가 치환된 피란 유도체외에 1,3-인단디온을 피란 유도체(14)와 반응시켜 인단디온이 치횐된 피란유도체(18)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112004024528212-pat00031
상기의 단계에서 제조된 전자공여체 부분인 주릴로딜 알데히드(8) 유도체와 전자 수용체 부분인 피란 유도체(16) 또는 (18)을 염기조건에서 반응시켜 본원 발 명에 따른 적색 발광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때 사용하는 염기는 통상의 것이면 가능하나, 피페리딘 등 약염기가 바람직하다.
[반응식 4]
Figure 112004024528212-pat00032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색발광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예시하며, 본 발명에 따른 적색발광 화합물의 특성에 대한 평가 방법 및 결과를 제시한다.
[실시예 1]
화합물 256의 제조
[반응식 5]
Figure 112004024528212-pat00033
도시된 반응식 5의 단계로서 표제화합물 256을 제조하였다.
테트라 히드로 퀴놀론 유도체인 화합물 31 0.5 g (3.1 mmol)과 1H-벤조트리아졸-1-메탄올(1H-benzotriazole-1-methanol) 0.55 g (3.7 mmol), 그리고 분자체(molecular sieves, 4Å) 1.5 g을 8 mL의 THF에 녹인후, 1H-벤조트리아졸-1-메탄올이 모두 녹을 때까지 50 - 60℃로 가열하였다. 그리고 상온에서 20 시간 방치한 후 분자체(molecular sieves)를 걸러내고 THF를 날려서 화합물 32를 얻었다.
질소 하에서 (2-메틸렌-1,3-프로판디일)-비스(트리클로로실란) (2-methylene-1,3-propanediyl)-bis(trichlorosilane), 33)을 녹인 10 mL THF 용액에 메틸리튬 34 mL(1.6 M diethylether)를 천천히 가하였다. 이를 상온에서 12 시간 저어준 후, 10 mL 메탄올을 천천히 넣어 주고 10분 동안 저어준 후, 화합물 33을 ether로 추출하여 0.52 g을 얻었다.
화합물 31 0.5 g(3.1 mmol)과 화합물 32와 0.6 g(3.1 mmol)의 화합물 33을 염화메틸렌에 녹이고, 질소 하 -78℃에서 SnCl4 3.1 mL(1.0 M in dichloromethane)을 천천히 넣어 준 후,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저어주었다. 0℃에서 포화 NaOH 수용액으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하여, 0.35 g의 화합물 34를 얻었다.
다음으로 질소 하 0℃에서 POCl3 0.27 mL(2.88 mmol)을 DMF 2 mL에 넣고, 이 용액을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저어주었다. 0.72 g(1.92 mmol)의 화합물 34를 DMF 3 mL에 녹여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40℃로 12 시간 저어준 후, 포화 NaOH 수용액으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0.210 g의 화합물 35를 얻었다.
화합물 35 0.358 g(0.89 mmol)과 0.3 g(0.89 mmol)의 화합물 36을 에탄올 12 mL에 녹이고, 0.44 mL(4.45 mmol)의 피페리딘을 넣은 후, 분자체(4Å)가 채워진 딘-스탁 트랩을 설치하고, 질소 하에서 120℃로 7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12 시간 후 0℃로 냉각시켜 반응생성물로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염화메틸렌과 n-헥산으로 재결정하여 0.42 g(합성수율 67 %)의 표제화합물 256을 얻었다.
[실시예 2]
화합물 248의 합성
[반응식 6]
Figure 112004024528212-pat00034
도시된 반응식 6의 단계로서 표제화합물 248을 제조하였다.
0.5 g(3.1 mmol)의 화합물 42와 0.54 mL(3.1 mmol)의 메트알릴트리메틸실란(methallyltrimethylsilane, 43)을 염화메틸렌에 녹이고, 이 혼합 용액에 -78℃에서 SnCl4 3.1 mL(1.0 M in dichloromethane)을 천천히 넣었다. 그리고, 실시예 1의 화합물 34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0.37 g의 화합물 44를 얻었다. 제조된 화합물 44 0.37 g(1.22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1의 화합물 35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0.29 g의 화합물 45를 얻었다.
0.29 g(0.89 mmol)의 화합물 45, 0.3 g(0.89 mmol)의 화합물 36, 그리고 피페리딘 0.44 mL(4.45 mmol)를 12 mL 에탄올에 녹여, 실시예 1의 화합물 256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하여 반응생성물로 침전물을 얻은 후, 이 침전물을 염화메틸렌과 n-헥산으로 재결정하여 0.410 g(합성수율 71 %)의 표제화합물인 화합물 248을 얻었다.
[실시예 3]
화합물 260의 합성
[반응식 7]
Figure 112004024528212-pat00035
도시된 반응식 7의 단계로서 표제화합물 260을 제조하였다.
0.50 g(3.1 mmol)의 화합물 31과 0.54 mL(3.1 mmol)의 2,7-디메틸-5-실라스피로[4,4]-노나-2,7-디엔(2,7-dimethyl-5-silaspiro[4,4]-nona-2,7-diene, 51)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화합물 33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0.70 g의 화합물 52를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0.70 g(2.07 mmol)의 화합물 52를 이용하여, 화합물 35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0.65 g의 화합물 53을 얻었다.
0.31 g(0.85 mmol)의 화합물 53, 0.28 g(0.85 mmol)의 화합물 36, 그리고, 피페리딘 0.42 mL(4.25 mmol)을 10mL 에탄올에 녹인 용액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화합물 256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생성물로 침전물을 얻었다. 이 침전물을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재결정하여, 0.31 g(합성수율 53 %)의 표제화합물인 화합물 260을 얻었다.
[실시예 4]
화합물 258의 합성
[반응식 8]
Figure 112004024528212-pat00036
도시된 반응식 8의 단계로서 표제화합물 258을 제조하였다.
THF 10mL에 (트리메틸실릴메틸)마그네슘 클로라이드((trimethylsilylmethyl)magnesium chloride 3.4 mL, 1.0 M in diethylether, 3.4 mmol)을 녹이고 THF 5mL에 녹인 4-브로모-2-메틸-2-부텐(4-bromo-2-methyl-2-butene)을 천천히 첨가한 용액을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저어준 후, NH4Cl 수용액으로 반응을 종결시키고 에테르로 추출하여, 0.49 g의 화합물 61을 얻었다. 0.51 g(3.16 mmol)의 화합물 32와 0.49 g(3.16 mmol)의 화합물 61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화합물 34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0.40 g의 화합물 62를 얻었다. 또한, 이 0.40 g(1.2 mmol)의 화합물 62를 이용하여, 실시예 1의 화합물 35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0.26 g의 화합물 63을 얻었다.
0.26 g(0.72 mmol)의 화합물 63, 0.24 g(0.72 mmol)의 화합물 36, 그리고, 피페리딘 0.36 mL(3.63 mmol)을 10 mL 에탄올에 녹인 용액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화합물 256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진행하여 반응생성물인 침전물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침전물을 n-헥산과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0.25 g(합성수율 51 %)의 표제화합물 258을 얻었다.
[실시예 5]
화합물 250의 합성
[반응식 9]
Figure 112004024528212-pat00037
도시된 반응식 9의 단계로서 표제화합물 250을 제조하였다.
0.58 mL(6.4 mmol) 아닐린, 벤조트리아졸 2.3 g(19.3 mmol), 그리고, 포름알데히드 1.9 mL(37 % 수용액, 25.7 mmol)을 20 mL 톨루엔에 녹인 용액을, 딘-스탁 트랩을 사용하여 12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상온으로 식히고 10 mL 톨루엔을 가하고 0℃로 24 시간 유지시켜 생성된 침전물을 걸러내고, 남은 용액에서 톨루엔을 제거하여 화합물 71을 얻었다.
제조된 화합물 71과 알릴트리메틸실란(allyltrimethylsilane, 72) 2.1 mL(12.9 mmol)을 염화메틸렌 20 mL에 녹이고, 질소 하 -78℃에서 SnCl4 12.8 mL(1.0 M in dichloromethane, 12.9 mmol)을 천천히 첨가한 후, 화합물12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0.60 g의 화합물 73을 얻은 후, 0.60 g(1.7 mmol)의 화합물 73를 이용하여, 실시예 1의 화합물 35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0.28 g의 표제화합물인 화합물 74을 얻었다.
0.30 g(0.78 mmol)의 화합물 74, 0.27 g(0.78 mmol)의 화합물 36, 그리고, 피페리딘 0.39 mL(3.94 mmol)을 에탄올 10 mL에 녹인 후, 화합물 256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반응생성물인 침전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및 재결정(염화메텔렌, n-헥산)으로 정제하여 0.43 g(합성수율 80 %)의 표제화합물인 화합물 250을 얻었다.
[실시예 6]
화합물 234T의 합성
[반응식 10]
Figure 112004024528212-pat00038
도시된 반응식 10의 단계로서 표제화합물 234T를 제조하였다.
0.48 g(3.0 mmol)의 화합물 32와 0.36 mL(3.0 mmol)의 1-메틸-1-시클로헥센(1-methyl-1-cyclohexene, 81)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화합물 34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0.49 g의 화합물 82을 얻었다. 얻어진 0.49 g(1.8 mmol)의 화합물 82를 이용하여, 실시예 1의 화합물 35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0.39 g의 화합물 83을 얻었다.
0.39 g(1.3 mmol)의 화합물 83과 0.28 g(1.3 mmol)의 화합물 84 및 피페리딘 0.6 mL(6.5 mmol)을 10 mL 에탄올에 녹이고, 실시예 1의 화합물 256의 합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을 하여 반응생성물로 침전물을 얻었으며, 얻어진 침전물을 n-헥산과 염화메틸렌으로 재결정하여, 0.36 g(합성수율 58 %)의 표제화합물인 화합물 234T를 얻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일부 화합물들의 m.p. 1H-NMR, 질량분석 스펙트럼(Mass spectrum)의 데이터를 표 4에 제시하였다.
[표 4]
Figure 112004024528212-pat00039
Figure 112004024528212-pat00040
[실시예 7]
유기 EL 소자 제작 및 평가(방법 1)
실시예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적색 발광 화합물들을 각각 발광 도판트로 사용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였다.
유기 EL용 글래스(1)(삼성-코닝제)로부터 얻어진 투명전극 ITO 박막(2)(15 Ω/□)을, 트리클로로에틸렌, 아세톤, 에탄올, 증류수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초음파 세척을 실시한 후, 이소프로판올에 넣어 보관한 후 사용하였다.
진공 증착 장비의 기판 폴더에 ITO 기판을 설치하고, 진공 증착 장비 내의 셀에 화학식 106의 N,N'-비스(α-나프틸)-N,N'-디페닐-4,4‘-디아민( N,N'-bis(α-naphthyl)-N,N'-diphenyl-4,4'-diamine, NPB)를 넣고, 챔버 내의 진공도가 10-6 torr에 도달할 때까지 배기시킨 후, 셀에 전류를 인가하여 NPB를 증발시켜 ITO 기판 상에 40 nm 두께의 정공 전달층(3)을 증착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진공 증착 장비 내의 다른 셀에 화학식 107의 트리스(8-히드록시퀴놀린)-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 Alq)을 넣고, 다른 셀에는 실시예 1 내지 6 등에서 합성한 발광 도판트를 넣은 후, 두 물질을 다른 속도로 증발시켜 도핑함으로써 상기 정공 전달층 위에 20 nm 두께의 발광층(4)을 증착하였다. 이 때의 도핑 농도는 Alq 기준으로 발광 도판트는 1 내지 10 mol%로 하였다.
이어서 NPB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발광층 위에 전자 수송층(5)으로써 Alq를 40 nm 두께로 증착하였다. 그 다음에 동일한 방법으로, 전자 주입층(6)으로써 화학식 110의 리튬 퀴놀레이트(lithium quinolate, Liq)를 2 nm 두께로 증착하였다.
이와 같이 유기층(7)이 형성된 후, 다른 진공 증착 장비를 이용하여 Al 음극(8)을 150 nm의 두께로 증착하여 도 1의 유기 전기 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유기 EL 소자 제작 및 평가(방법 2)
실시예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적색 발광 화합물들을 각각 발광 도판트로 사용하여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였다.
유기 EL용 글래스(1)(삼성-코닝제)로부터 얻어진 투명전극 ITO 박막(2)(15 Ω/□)을, 트리클로로에틸렌, 아세톤, 에탄올, 증류수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초음파 세척을 실시한 후, 이소프로판올에 넣어 보관한 후 사용하였다.
진공 증착 장비의 기판 폴더에 ITO 기판을 설치하고, 진공 증착 장비 내의 셀에 화학식 106의 NPB를 넣고, 챔버 내의 진공도가 10-6 torr에 도달할 때까지 배기시킨 후, 셀에 전류를 인가하여 NPB를 증발시켜 ITO 기판 상에 40 nm 두께의 정공 전달층(3)을 증착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진공 증착 장비 내의 다른 2개의 셀에 각각 화학식 107의 Alq와 화학식 108의 루브렌을 넣고, 또 다른 셀에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등에서 합성한 발광 도판트를 넣은 후, 세 물질을 다른 속도로 증발시켜 도핑함으로써 상기 정공 전달층 위에 20 nm 두께의 발광층(4)을 증착하였다. 이 때의 도핑 농도는 Alq 기준으로 루브렌은 50 내지 150 mol%, 발광 도판트는 1 내지 10 mol%로 하였다.
이어서 NPB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발광층 위에 전자 수송층(5)으로써 Alq를 40 nm 두께로 증착하였다. 그 다음에 동일한 방법으로, 전자 주입층(6)으로써 화학식 110의 리튬 퀴놀레이트(Liq)를 2 nm 두께로 증착하였다.
이와 같이 유기층(7)이 형성된 후, 다른 진공 증착 장비를 이용하여 Al 음극(8)을 150 nm의 두께로 증착하여 도면 1의 유기 전기 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유기 EL 소자 제작 및 평가(방법 3)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적색 발광 화합물들을 각각 발광 도판트로 사용하여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였다.
우선, 유기 EL용 글래스(1)(삼성-코닝제)로부터 얻어진 투명전극 ITO 박막(2)(15 Ω/□)을, 트리클로로에틸렌, 아세톤, 에탄올, 증류수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초음파 세척을 실시한 후, 이소프로판올에 넣어 보관한 후 사용하였다.
진공 증착 장비의 기판 폴더에 ITO 기판을 설치하고, 진공 증착 장비 내의 셀에 화학식 106의 NPB를 넣고, 챔버 내의 진공도가 10-6 torr에 도달할 때까지 배기시킨 후, 셀에 전류를 인가하여 NPB를 증발시켜 ITO 기판 상에 40 nm 두께의 정공 전달층(3)을 증착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진공 증착 장비 내의 다른 2개의 셀에 각각 화학식 107의 Alq와 화학식 108의 루브렌을 넣고, 또 다른 셀에는 실시예 1 내지 6 등에서 합성한 발광 도판트를 넣은 후, 세 물질을 다른 속도로 증발시켜 도핑함으로써 상기 정공 전달층 위에 20 nm 두께의 발광층(4)을 증착하였다. 이 때의 도핑 농도는 Alq 기준으로 루브렌은 50 내지 150 mol%, 발광 도판트는 1 내지 10 mol%로 하였다.
그 유기층 위에 정공 차단층으로써 화학식 109의 2,9-디메틸-4,7-디페닐-페난트로린(2,9-dimethyl-4,7-diphenyl- phenanthroline, BCP)를 10 nm 두께로 증착하였다. 이어서 NPB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발광층 위에 전자 수송층(5)으로써 Alq를 40 nm 두께로 증착하였다. 그 다음에 동일한 방법으로, 전자 주입층(6)으로 써 화학식 110의 리튬 퀴놀레이트(Liq)를 2 nm 두께로 증착하였다.
이와 같이 유기층(7)이 형성된 후, 다른 진공 증착 장비를 이용하여 Al 음극(8)을 150 nm의 두께로 증착하여 도면 1의 유기 전기 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106]
Figure 112004024528212-pat00041
[화학식 107]
Figure 112004024528212-pat00042
[화학식 108]
Figure 112004024528212-pat00043
[화학식 109]
Figure 112004024528212-pat00044
[화학식 110]
Figure 112004024528212-pat00045
본 발명에 따른 적색 발광 화합물의 재료의 발광특성 분석결과를 표 5에 제시하였다.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가장 좋은 특성의 재료인 DCJTB와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의 재료들은 발광 특성이 현저히 개선된 특성을 보였다. 최대 발광 파장의 경우, 대체로 유사한 파장대를 보이고 있으며, 다수의 재료들은 DCJTB보다 장파장대의 발광 피크를 보였다. 또한, 호스트인 Alq(화학식 107)의 피크도 전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릴 치환기를 가진 화합물군의 경우, 소자의 전류 밀도가 증가되는 특성을 보였으며, 이로 인해 발광효율이 상승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융합고리를 포함하고 있는 화합물군의 경우는, 입체적 장애 효과로 인하여 발광 파장을 거의 유지한 상태로 발광효율이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
전자 수용체 부분을 디시아도 대신 인단디온기로 치환된 화합물군의 경우는 색좌표의 두드러진 개선을 보였다. 이 때 발광 효율의 저하는 동반되지 않았다.
[표 5]
본 발명에서 개발된 재료들의 유기 EL 소자 평가 결과
Figure 112004024528212-pat00046
Figure 112004024528212-pat00047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색발광 화합물들은 기존의 DCJ 계열 형광 재료에 비하여, 발광 특성이 매우 뛰어나며, 색순도도 매우 좋아 순적색의 유기 EL 패널의 제조에 이용 가능성이 높으며, 고효율의 유기 EL 패널을 제작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Claims (12)

  1.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화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04024528212-pat00048
    R1, R2, R3, R4, R5, R6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10의 쇄 길이를 갖는 측쇄 및 직쇄 알킬기, C5 내지 C7의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 융합고리, R11R12R13Si-, R1와 R2 또는 R3과 R4가 함께 C5 내지 C10 알킬렌으로 연결되어 스피로 고리를 형성하거나; R1와 R5 또는 R3와 R6는 서로 C3 내지 C5의 알킬렌으로 연결되어 융합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알킬렌으로 연결되는 융합고리의 알킬렌의 탄소가 R14R15Si<로 치환되어 융합된 실라사이크로알킬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의 R1, R2, R3, R4, R5, R6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는 추가로 하나이상의 R11R12R13Si-로 치환될 수 있으며; R7은 수소 또는 C1 내지 C10의 쇄 길이를 갖는 측쇄 및 직쇄 알킬기, C5 내지 C7의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 융합고리이고;
    R8과 R9은 모두 -CN이거나
    Figure 112004024528212-pat00049
    과 결합하여 1,3-인단디온고리를 형성하며, R11, R12, R13, R14 및 R15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C1 내지 C10의 쇄 길이를 갖는 측쇄 및 직쇄 알킬기, C5 내지 C7의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이며 R11와 R12 또는 R14와 R15는 서로 C4 내지 C10의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으로 연결되어 스피로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R1, R2, R3, R4의 하나 이상이 상기의 치환체를 포함할 때 R1, R2, R3, R4 중 나머지 치환체들은 수소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1 내지 C10의 쇄 길이를 갖는 측쇄 및 직쇄 알킬기일 수 있으며, 다만 R1, R2, R3, R4 치환기 4개 모두가 수소 또는 탄소와 수소로만 이루어진 C1 내지 C10의 측쇄 및 직쇄 알킬기부터 선택되는 것은 제외된다.
  2. 제 1항에 있어서,
    하기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화합물.
    [화학식 2]
    Figure 112004024528212-pat00050
    여기서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며, R2, R3, R4, R5, R6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10의 쇄 길이를 갖는 측쇄 및 직쇄 알킬기, C5 내지 C 7의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 융합고리, R11R12R13Si-, R3과 R 4가 함께 C5 내지 C10 알킬렌으로 연결되어 스피로 고리를 형성하거나; R3와 R6는 서로 C3 내지 C 5의 알킬렌으로 연결되어 융합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알킬렌으로 연결되는 융합고리의 알킬렌의 탄소가 R14R15Si<로 치환되어 융합된 실라사이크로알킬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 융합고리는 추가로 R11R12R13Si-로 치환될 수 있다.
  3. 제 2항에 있어서,
    R2, R3, R4, R5,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부틸, n-펜틸, i-아밀, n-헥실, n-헵틸, n-옥틸, 2-에틸헥실, n-노닐, 시클로알킬기는 시클로펜틸, 2-메틸시클로펜틸, 3-메틸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페닐, 톨루일, 나프틸기, 벤질, 3-페닐프로필, 2-페닐프로필기, 아다만틸, 4-펜틸바이시클로[2,2,2]옥틸기, 노르보넨, 트리메틸실릴, 트리에틸실릴, 트리(n-프로필)실릴, 트리(i-프로필)실릴, 트리(n-부틸)실릴, 트리(i-부틸)실릴, 트리(t-부틸)실릴, 트리(n-펜틸)실릴, 트리(i-아밀)실릴, t-부틸디메틸실릴, 트리페닐실릴, 트리(p-톨루)실릴, 또는 디메틸시클로헥실실릴을 포함하며, R11과 R12이 알킬렌 또는 알케닐렌으로 연결된 메틸실라실클로펜틸, 메틸실라시클로페테닐, 메틸실라시클로헥실 에틸실라시클로헥실 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르알킬기, 융합고리는 트리메틸실릴, 트리에틸실릴, 트리(n-프로필)실릴, 트리(i-프로필)실릴, 트리(n-부틸)실릴, 트리(i-부틸)실릴, 트리(t-부틸)실릴, 트리(n-펜틸)실릴, 트리(i-아밀)실릴, t-부틸디메틸실릴, 트리페닐실릴, 트리(p-톨루)실릴, 또는 디메틸시클로헥실실릴로 추가로 치환될 수 있다.
  4. 제 1항에 있어서,
    하기의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화합물.
    [화학식 3]
    Figure 112004024528212-pat00051
    [화학식 4]
    Figure 112004024528212-pat00052
    상기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의 치환체 R2, R3, R4, R6, R 7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치환체와 동일하며, 서로 독립적으로 A는 -CH2-, -CH2CH2-, -CH2CH2CH2- 이며, 상기 A를 포함하는 융합고리의 알킬렌의 탄소 중 하나가 R14R15Si<로 치환되어 융합된 실라시클로알킬기를 형성할 수 있다.
  5. 제 4항에 있어서,
    하기의 화학식 5 또는 화학식 6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화합물
    [화학식 5]
    Figure 112004024528212-pat00053
    [화학식 6]
    Figure 112004024528212-pat00054
    "---"는 서로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이중결합이며, R31, R32, R33 , R34, R35, R3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 내지 C5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기이며, R2, R3, R4, R6, R7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의 치환체와 동일하다.
  6. 제 1항에 있어서,
    스피로 고리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7과 화학식 8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화합물.
    [화학식 7]
    Figure 112004024528212-pat00055
    [화학식 8]
    Figure 112004024528212-pat00056
    R3, R4, R5, R6, R7, R8, R9는 화학식 2와 동일하다.
  7. 제 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9으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화합물.
    [화학식 9]
    Figure 112004024528212-pat00057
  8. 제 1항에 있어서,
    R7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부틸, n-펜틸, i-아밀, n-헥실, n-헵틸, n-옥틸, 2-에틸헥실, n-노닐, 시클로펜틸, 2-메틸시클로펜틸, 3-메틸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페닐, 톨루일, 나프틸기,벤질, 3-페닐프로필, 2-페닐프로필, 아다만틸, 4-펜틸바이시클로[2,2,2]옥틸기, 노르보넨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발광화합물.
  9. 제 1항에 있어서,
    하기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발광화합물.
    Figure 112004024528212-pat00058
    Figure 112004024528212-pat00059
    Figure 112004024528212-pat00060
    Figure 112004024528212-pat00061
    Figure 112004024528212-pat00062
    Figure 112004024528212-pat00063
    Figure 112004024528212-pat00064
    Figure 112004024528212-pat00065
    Figure 112004024528212-pat00066
  10. a) 벤조트리아졸릴메탄이 치환된 아닐린 유도체(2)와 알켄유도체(3)를 반응시켜 테트라히드로퀴놀린 유도체(4)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테트라히드로퀴놀린 유도체(4)으로부터 벤조트리아조릴메탄이 치환 된 테트라히드로퀴놀린 유도체(5)를 제조하여 상기 벤조트리아조릴메탄이 치환된 테트라히드로퀴놀린 유도체(5)에 알켄유도체(6)을 반응시켜 주릴로딜 유도체(7)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주릴로딜 유도체(7)를 주릴로딜 알데히드 유도체(8)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주릴로딜 알데히드 유도체(8)를 피란 유도체와 반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응식 11의 단계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화학식 1의 유기 발광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반응식 11]
    Figure 112004024528212-pat00067
  11. 제 10항에 있어서,
    디(벤조트리아졸릴메틸)페닐아민(2)으로부터 알켄유도체(3)를 반응시켜 주릴로딜 유도체(9)를 제조하는 반응식 12의 단계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화학식 1의 유기 발광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반응식 12]
    Figure 112004024528212-pat00068
  12.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기 발광 화합물을 적색 발광재료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소자.
KR1020040041434A 2004-06-07 2004-06-07 적색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광재료로서 채용하고 있는발광소자 KR100581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434A KR100581539B1 (ko) 2004-06-07 2004-06-07 적색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광재료로서 채용하고 있는발광소자
CN2005800267558A CN1993446B (zh) 2004-06-07 2005-02-04 红色电致发光化合物和使用该化合物的有机电致发光器件
US11/628,679 US20080075973A1 (en) 2004-06-07 2005-02-04 Red Electroluminescent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The Same
PCT/KR2005/000354 WO2005121274A1 (en) 2004-06-07 2005-02-04 Red electroluminescent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434A KR100581539B1 (ko) 2004-06-07 2004-06-07 적색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광재료로서 채용하고 있는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279A KR20050116279A (ko) 2005-12-12
KR100581539B1 true KR100581539B1 (ko) 2006-05-22

Family

ID=35503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434A KR100581539B1 (ko) 2004-06-07 2004-06-07 적색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광재료로서 채용하고 있는발광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75973A1 (ko)
KR (1) KR100581539B1 (ko)
CN (1) CN1993446B (ko)
WO (1) WO20051212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737B1 (ko) 2021-01-19 2021-05-10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돼지감자 지상부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8-methoxyobliquin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관문억제제 효과를 갖는 항암제 내성 종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40368A (en) * 2006-07-26 2008-01-30 Oled T Ltd Cathode coating for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KR20090098585A (ko) * 2008-03-14 2009-09-17 (주)그라쎌 유기발광화합물을 발광재료로서 채용하고 있는유기전기발광소자
KR101609275B1 (ko) 2008-12-16 2016-04-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DE102010054525A1 (de) 2010-12-15 2012-04-26 Merck Patent Gmbh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
JP5624518B2 (ja) 2011-06-16 2014-11-12 ユー・ディー・シー アイルランド リミテッド 有機電界発光素子、該素子用材料、並びに該素子を用いた発光装置、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US9653691B2 (en) * 2012-12-12 2017-05-16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Phosphorescence-sensitizing fluorescence material system
CN110642845B (zh) * 2019-09-30 2021-01-05 中国人民解放军军事科学院军事医学研究院 一种喹啉衍生物及其用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204A (ko) * 2000-09-06 2002-03-14 박종욱 전계 발광 소자용 저분자 발색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유기 전계 발광소자
KR20030087897A (ko) * 2002-05-10 2003-11-15 진텍 게젤샤프트 퓌어 헤미히 운트 테크놀로지 데어 인포마티온즈아우프짜이눙 엠베하 적색 유기 전기 발광 소자 및 도펀트
KR20040093679A (ko) * 2003-04-29 2004-11-08 (주)그라쎌 유기 발광 화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7230A (en) * 1988-07-28 1991-01-2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hotopolymerization sensitizers active at longer wavelengths
US5908581A (en) * 1997-04-07 1999-06-01 Eastman Kodak Company R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US5935720A (en) * 1997-04-07 1999-08-10 Eastman Kodak Company R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6310360B1 (en) * 1999-07-21 2001-10-30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Intersystem crossing agents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excitons i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KR100329571B1 (ko) * 2000-03-27 2002-03-23 김순택 유기 전자 발광소자
KR100389517B1 (ko) * 2000-11-29 2003-06-27 (주)네스디스플레이 신규한 적색 형광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유기전기발광소자
US6649089B2 (en) * 2002-02-22 2003-11-18 E-Ray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R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CN1202204C (zh) * 2002-02-27 2005-05-18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红光有机电激发光化合物及用其制成的组件和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204A (ko) * 2000-09-06 2002-03-14 박종욱 전계 발광 소자용 저분자 발색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유기 전계 발광소자
KR20030087897A (ko) * 2002-05-10 2003-11-15 진텍 게젤샤프트 퓌어 헤미히 운트 테크놀로지 데어 인포마티온즈아우프짜이눙 엠베하 적색 유기 전기 발광 소자 및 도펀트
KR20040093679A (ko) * 2003-04-29 2004-11-08 (주)그라쎌 유기 발광 화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737B1 (ko) 2021-01-19 2021-05-10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돼지감자 지상부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8-methoxyobliquin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관문억제제 효과를 갖는 항암제 내성 종양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93446B (zh) 2010-07-21
WO2005121274A1 (en) 2005-12-22
KR20050116279A (ko) 2005-12-12
CN1993446A (zh) 2007-07-04
US20080075973A1 (en) 200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874B1 (ko) 전계 발광 물질
KR101447959B1 (ko) 새로운 유기전계발광소자용 화합물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0645032B1 (ko) 새로운 유기 발광 소자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4)
KR101121677B1 (ko)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574710B1 (ko)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WO2006080646A1 (en) New compoun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8)
AU2003251850A1 (en) Charge transport compositions on the basis of triarylmethanes and their use in electronic devices
KR102051910B1 (ko) 중수소 치환된 유기금속 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20130094171A (ko) 신규한 인데노인덴계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
WO2005121274A1 (en) Red electroluminescent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the same
CN110804053A (zh) 咪唑并氮杂环的电子传输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577523B (zh) 一种含三芳胺结构的化合物及其制备的有机电致发光器件
KR101736119B1 (ko) 유기금속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JP7130872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材料及びその調製方法並びに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バイス
JP3777682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1739831B1 (ko) 유기 발광 화합물, 잉크 조성물, 유기 발광 소자 및 전자 기기
CN110845421A (zh) 一种电子传输化合物、其合成方法及有机电致发光器件
KR101538502B1 (ko)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CN112661701B (zh) 蝶烯类电子传输材料及其制备方法和有机电致发光器件
CN112062765B (zh) 一种有机光电致发光化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