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7005A - 댐퍼 및 이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 - Google Patents

댐퍼 및 이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7005A
KR20020067005A KR1020020007686A KR20020007686A KR20020067005A KR 20020067005 A KR20020067005 A KR 20020067005A KR 1020020007686 A KR1020020007686 A KR 1020020007686A KR 20020007686 A KR20020007686 A KR 20020007686A KR 20020067005 A KR20020067005 A KR 20020067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unvulcanized rubber
housing
silicon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0278B1 (ko
Inventor
고지마마사미츠
아라이아츠시
야마구치다케시
하라다요시히로
Original Assignee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3777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24299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30296A external-priority patent/JP4352629B2/ja
Application filed by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7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2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6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a fluid or pasty material
    • F16F15/16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a fluid or pasty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fluid damping devices, e.g. passages, orif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60N2/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to a position in which it can be used as a support for objects, e.g. as a t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cushion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933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rota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relatively-rotatable friction surfaces that are pressed together
    • F16F7/06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relatively-rotatable friction surfaces that are pressed toge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or inclined to the axis of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댐퍼(1)는, 축심 A를 중심으로 R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하우징(2) 및 축(3) 사이에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를 개재하여 이루어지고, 하우징(2) 및 축(3)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 에너지를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변형을 통하여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댐퍼 및 이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Damper and automobile seat having the damper}
본 발명은,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한쌍의 부재 사이의 이동 에너지를 흡수하고, 한쌍의 부재간의 이동을 원하는 대로 감쇠시키는 댐퍼, 자동차의 예컨대 회동 가능(튀어 오름 가능)하게 된 리어 시트의 회동 에너지를 흡수하고, 리어 시트의 튀어오름시 또는 그 되돌림시의 충격, 리어 시트의 잠금해제시의 급제동에 의한 급격한 튀어 오름 및 튀어 오른 리어 시트의 급가속에 의한 급격한 되돌림 등을 없앨 수 있는 자동차 시트용 댐퍼 및 이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에 관한 것이다.
댐퍼로는, 미끄럼 마찰을 이용한 마찰 댐퍼, 유체를 이용한 유체 댐퍼, 점성체를 이용한 점성 댐퍼, 납을 이용한 납댐퍼 등 다양하게 알려져 있는데, 마찰 댐퍼는 마찰과 함께 마모를 동반하여 장기 사용시 특성의 열화를 일으키고, 유체 댐퍼 및 점성 댐퍼는 큰 감쇠력을 얻기 위해서는 대형화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유체 및 점성체의 누출을 저지하기 위한 씰을 필요로 하고, 납댐퍼는 납에 의한 중량 증가를 가져오므로 경량화를 꾀하는 기기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자동차 시트의 백레스트용 댐퍼로는, 유체를 이용한 것이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유체를 이용한 댐퍼에서는, 큰 감쇠력을 얻기 위해 대형화가 필요하고, 또한 유체의 누출을 저지하기 위한 대규모의 씰이 필요하다. 특히, 대형 차내 거주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백레스트를 절첩하고, 그 후 시트를 튀어오르도록 한 자동차 시트의 댐퍼에서는, 백레스트 및 시트의 합계 하중에 따른 큰 회동 에너지를 감쇠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단지 유체를 이용한 소형 댐퍼로는 원하는 큰 감쇠를 얻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여러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마모의 염려가 없으며, 누출 방지를 위한 씰을 생략할 수 있고, 또한, 경량, 소형으로도 큰 감쇠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댐퍼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큰 감쇠력을 얻을 수 있고 소형화 가능하며, 특히 백레스트를 접고, 그 후 시트를 튀어오르도록 한 자동차 시트에 적합한 댐퍼 및 이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일예의 설명도로서, 도 1a는 도 1b에 도시한 Ia-Ia선의 단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한 Ib-Ib선의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다른 예의 설명도로서, 도 2a는 도 2b에 도시한 IIa-IIa선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한 IIb-IIb선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또 다른 예의 설명도로서, 도 3a는 도 3b에 도시한 IIIa-IIIa선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IIIb-IIIb선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예의 일부 확대 설명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예의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또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또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예의 일방의 반쪽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예의 상대 회전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예의 타방의 반쪽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또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예의 하우징 본체의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한 예의 덮개의 좌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또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또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예의 일부 좌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한 예의 일방의 원판상체의 우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한 예의 타방의 원판상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또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한 예의 일방의 원판상체의 우측면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한 예의 타방의 원판상체의 좌측면 설명도이다.
도 22는, 도 19에 도시한 예의 일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또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또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한 예의 일방의 원판상체의 우측면 설명도이다.
도 26은, 도 24에 도시한 예의 타방의 원판상체의 좌측면 설명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또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또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또 다른 예를 이용한 자동차 시트의 설명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한 또 다른 예의 단면설명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한 XXXI-XXXI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32는, 도 30에 도시한 XXXII-XXXII선의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29에 도시한 예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34는, 도 29에 도시한 예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또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36은, 도 35에 도시한 예의 XXXVI-XXXVI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또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38은, 도 37에 도시한 예의 일부 확대 설명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또 다른 예의 일부 확대 설명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또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댐퍼
2 하우징
3 축
4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
본 발명의 제1의 형태의 댐퍼는,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한쌍의 부재 사이에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를 개재하여 이루어지고, 본 발명의 제2의 형태의 댐퍼는,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한쌍의 부재간에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를 개재하여 이루어지고, 한쌍의 부재간의 상대적인 이동 에너지를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의 변형을 통하여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제1 및 제2의 형태의 댐퍼에 의하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를 가지고 감쇠 기능을 얻도록 하고 있으므로, 마모의 염려가 없으며, 또한 누출 방지를 위한 씰을 생략할 수 있고, 또한 경량, 소형에서도 큰 감쇠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본 발명의 제3의 형태의 댐퍼와 같이, 30 이상 420 이하의 가소도(可塑度)를 가지면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4의 형태의 댐퍼와 같이, 60 이상 320 이하의 가소도를 가지고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5의 형태의 댐퍼와 같이, 160 이상 320 이하의 가소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의 가소도는, ASTM 등에 의해 규격화된 윌리엄 가소도계로 측정한 값으로서, 구체적으로 상하 2장의 평행판에 직경 약 1.43cm, 크기 1.27cm의 원주형이고 용적 2cc인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를 끼우고, 70∼100℃에서 5kg의 하중으로 압축하고, 3분간 가압한 후의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의 높이(mm/1OO)로 표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상술한 바와 같이, 30 이상 420 이하의 가소도를 가지고 있으면 되는데, 30보다 작은 가소도인 경우, 유동하기 쉬워져 한쌍의 부재간에 배치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대하여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충분한 씰을 필요로 하고, 또한 큰 감쇠력을 기대할 수 없게 되며, 420보다 큰 가소도인 경우, 한쌍의 부재의 접촉면의 융합이 대부분 없어지고, 한쌍의 부재의 상호 상대적인 이동에 있어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대하여 한쌍의 부재가 미끄러져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의 변형에 의한 실질적인 감쇠력을 얻기 어려워지고, 또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접하는 한쌍의 부재의 면을 요철면으로 하여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를 고정하도록 해도 420보다 큰 가소도의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극히 무르기 때문에, 한쌍의 부재의 상호 상대적인 이동에 있어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가 용이하게 전단(분단)되고, 이에 따라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의 변형에 따른 감쇠력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통상 한쌍의 부재간의 간극에 충전되는 것이지만, 그 가소도가 420보다 큰 경우, 한쌍의 부재와의 사이에 간극 없이 실리콘계미가황 고무를 충전하기 매우 어렵고,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를 충전한 후에, 한쌍의 부재와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와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어 있으면, 원하는 감쇠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씰의 불필요성 및 얻어지는 감쇠력의 크기, 융합성, 무름성, 충전 용이성 및 내구성 등의 관점에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의 가소도는,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60 이상 3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 이상 320 이하이다.가소도가 60 이상이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의 유동성이 대부분 없어지고, 간단한 씰 기구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가소도가 160 이상이면, 씰 기구를 거의 생략할 수 있으며, 또한 비교적 큰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그 가소도가 420보다 크면, 상술한 바와 같이 한쌍의 부재의 접촉면과의 융합성을 없애며, 또한 물러져 용이하게 전단되는 것이지만, 가소도가 320 이하인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서는, 한쌍의 부재의 접촉면의 융합성이 향상되고, 한쌍의 부재의 상호 상대적인 이동에 있어서 한쌍의 부재의 접촉면에 대하여 그만큼 미끄러짐이 없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변형이 생겨 원하는 감쇠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또한 취약성이 없어져 한쌍의 부재의 상호 상대적인 이동에 따라 바람직하게 가소변형되며,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를 고정하는 요철면을 형성한 한쌍의 부재를 사용해도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가 너덜너덜하게 전단되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한쌍의 부재는, 제6의 형태의 댐퍼와 같이,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6의 형태의 댐퍼는, 통상 회전체의 회전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한쌍의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제7의 형태의 댐퍼와 같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접하는 요철면을 가지고 있고, 여기서, 이 요철면은, 한쌍의 부재간의 상대적인 이동에 있어서 해당 요철면의 근방의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의 요철면에 대한 미끄러짐을 저지하도록 해도 된다. 요철면은, 이산적으로 배치된 돌기 또는 오목홈 또는 후술하는 연속된 돌기 또는 오목홈으로 구체화해도 되지만, 배껍질모양(matte finished) 또는 주름 모양의 요철면으로 구체화해도 된다.
이러한 요철면은, 요철면 근방의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를 고정하도록 기능하고, 이에 따라 한쌍의 부재간의 상대적인 이동에 있어서 해당 한쌍의 부재와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간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원하는 소성 변형을 일으키고,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원하는 에너지를 흡수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와 이에 접하는 한쌍의 부재와의 면이 보다 융화되고, 한쌍의 부재와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와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생기지 않는 경우 또는 그 미끄러짐을 허용하는 경우에는, 이 요철면은 불필요하며, 평활면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한쌍의 부재 중 적어도 일방은, 제8의 형태의 댐퍼와 같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접하는 면에, 상대적인 이동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 또는 오목홈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돌기 또는 오목홈은, 제7의 형태의 댐퍼의 요철면과 같이 기능하고,돌기 또는 오목홈 근방의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를 고정하고, 이에 따라 한쌍의 부재간의 상대적인 이동에 있어서 해당 한쌍의 부재와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간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원하는 소성 변형을 일으키게 하고,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원하는 에너지를 흡수시킬 수 있다. 요철면과 같이,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와 이에 접하는 한쌍의 부재와의 면이 보다 융화되며, 한쌍의 부재와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와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생기지 않는 경우 또는 그 미끄러짐을 허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돌기 또는 오목홈이 불필요하며, 평활면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8의 형태의 댐퍼에 있어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접하는 면은, 그 제9의 형태와 같이, 원통면을 포함하더라도 그 제10의 형태와 같이, 환상면 또는 원판상면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제9의 형태의 경우에는, 돌기 또는 오목홈은 원통면의 중심선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0의 형태의 경우에는, 환상면 또는 원판상면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한쌍의 부재는, 제11의 형태의 댐퍼와 같이, 서로 상대적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제11의 형태의 댐퍼는, 통상 직동체의 직동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댐퍼에서는, 한쌍의 부재 중 일방의 부재는, 통상 고정되는 한편, 타방의 부재는 일방의 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이러한 부재는 이동을 감쇠하는 기계, 장치 자체의 부재(부품)여도 되고, 그 대신에 기계,장치에 부가되는 부재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한쌍의 부재간에 개재되어 있으면 되지만, 통상, 한쌍의 부재간에 형성된 공간(간극)에 조밀하게 충전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12의 형태의 댐퍼는, 자동차 시트용으로서, 여기서 일방의 부재는, 하우징을 가지고 있고, 타방의 부재는 간극 형성 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하우징은 아암부 및 하우징 본체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고, 간극 형성 부재는, 하우징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됨과 동시에 하우징 본체의 내면과 협동하여 간극을 형성하고 있고,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간극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우징에는 아암부를 통하여 자동차 시트의 회동이 전달되게 되어 있고, 간극 형성 부재는 자동차의 시트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섀시에 대하여 고정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3의 형태의 댐퍼는, 자동차 시트용으로서, 여기서 일방의 부재는 하우징을 가지고 있고, 타방의 부재는 간극 형성 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하우징은 아암부 및 하우징 본체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고, 간극 형성 부재는 하우징 본 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됨과 동시에 하우징 본체의 내면과 협동하여 간극을 형성하고 있고,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간극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우징은 자동차의 시트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섀시에 대하여 아암부를 통하여 고정되게 되어 있고, 간극 형성 부재에는 자동차의 시트의 회동이 전달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4의 형태의 댐퍼는, 자동차 시트용으로서, 여기서 일방의 부재는 하우징을 가지고 있고, 타방의 부재는 간극 형성 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하우징은 칼라부 및 하우징 본체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고, 간극 형성 부재는 하우징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됨과 동시에 하우징 본체의 내면과 협동하여 간극을 형성하고 있고,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간극에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에는 칼라부를 통하여 자동차의 시트의 회동이 전달되게 되어 있으며, 간극 형성 부재는 자동차의 시트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섀시에 대하여 고정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5의 형태의 댐퍼는, 자동차 시트용으로서, 여기서 일방의 부재는 하우징을 가지고 있고, 타방의 부재는 간극 형성 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하우징은 칼라부 및 하우징 본체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고, 간극 형성 부재는 하우징 본 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됨과 동시에 하우징 본체의 내면과 협동하여 간극을 형성하고 있으며,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간극에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은 자동차의 시트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섀시에 대하여 칼라부를 통하여 고정되게 되어 있고, 간극 형성 부재에는 자동차 시트의 회동이 전달되게 되어 있다.
상기 자동차 시트용 댐퍼에 의하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를 이용하여 감쇠 기능을 얻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마모의 염려가 없고, 누출 방지를 위한 씰을 생략할 수 있으며, 또한 경량 및 소형에서도 큰 감쇠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6의 형태의 자동차 시트용의 댐퍼와 같이, 하우징 본체는, 동심의 여러 원호 모양의 돌출부를 가지고 있고, 간극 형성 부재는 하우징 본체의 원호 모양의 돌출부가 간극을 이용하여 배치되는 동심의 복수의 원통 모양의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제16의 형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에 의하면, 간극에 있어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의 하우징 본체 및 간극 형성 부재에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소형으로 하여도 더 큰 에너지 흡수 능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제17의 형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와 같이, 간극 형성 부재에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간극에 연통된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제17의 형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에 의하면, 간극에 연통된 슬릿에도 실리톤계 미가황 고무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슬릿에 의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의 간극 형성 부재에 대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의 간극으로의 충전에 있어서는 이러한 슬릿을 통하여 그것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간극으로 확실히 용이하게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를 충전할 수 있고,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와 하우징 본체 및 간극 형성 부재와의 사이에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가 충전되지 않는 간극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는, 상기 모든 형태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와, 자동차의 섀시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여기서 하우징 및 간극 형성 부재 중 일방에는, 시트의 회동이 전달되게 되어 있고, 하우징 및 간극 형성 부재 중 타방은 섀시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에 의하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를 이용하여 감쇠 기능을 얻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댐퍼에 의한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시트, 예컨대 리어 시트의 튀어 오름시 또는 그 되돌림의 충격, 시트의 잠금해제시의 급제동에 의한 급격한 튀어 오름 및 튀어 오른 시트의 급가속에 의한 급격한 되돌림 등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시트에는, 그 제2의 형태의 자동차 시트와 같이, 회동 가능하게 백레스트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는, 이와 같이 시트에 회동 가능하게 백레스트가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시트는 리어 시트에도 한정되지 않으며 기타의 자동차 내의 시트여도 된다.
이어서 본 발명 및 그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도시한 바람직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이들 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1a 및 도 1b에 있어서, 본 예의 댐퍼(1)는,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본 예에서는 축심 A를 중심으로 R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한쌍의 부재로서의 하우징(2) 및 축(3) 사이에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를 개재하여 이루어지고, 하우징(2) 및 축(3)사이의 상대적인 R 방향의 회전 에너지를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변형을 통하여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하우징(2)은, 바닥이 있는 원통체(5)와, 원통체(5)에 고정된 덮개(6)를 구비하고 있고, 축(3)은 원통체(5) 바닥(7) 및 덮개(6)를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고, 가소도가 30 이상 420 이하,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3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 이상 320 이하인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는, 원통체(5)의 내측의 원통면(8)과 축(3)의 외측의 원통면(9)과의 사이의 환상 간극에, 이들 원통면(8, 9)에 밀접하게 충전되어 하우징(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예의 댐퍼(1)에서는, 바닥(7)과 축(3) 사이 및 덮개(6)와 축(3) 사이에 각각 씰 링(1O, 11)이 장착되어 있다.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가 그만큼 유동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씰 링(10, 11)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댐퍼(1)가, 예컨대 기기의 개폐 가능한 뚜껑 등의 힌지 기구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하우징(2)이 기기의 예컨대 플레임에 고정되는 한편, 축(3)이 힌지 기구의 축에 연결되거나 힌지 기구의 축 자체로서 이용된다.
이러한 기기에 사용된 댐퍼(1)는, 뚜껑 등의 개폐에 있어서의 축(3)의 R 방향의 회전으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에 변형을 일으켜 뚜껑의 회전 에너지를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변형에 의해 흡수하여 개폐시의 충격을 일으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댐퍼(1)에 의하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를 이용하여 감쇠 기능을 얻도록 하고 있으므로, 마모의 염려가 없으며, 경량, 소형에서도 큰 감쇠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또한, 실질적으로 자연 유동되지 않는 큰 가소도를 갖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를 이용함으로써 누출 방지를 위한 씰 링(10, 11)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댐퍼(1)에서는, 원통체(5)와 축(3)이 각각 매끄러운 원통면(8, 9)을 가지고 있고, 이들 원통면(8, 9)에 의해 규정되는 원통 모양의 간극에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가 원통면(8, 9)에 접하고, 또한 조밀하게 충전되어 있는데, 이와는 달리,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 및 축(3) 중 적어도 일방, 본 예에서는 하우징(2) 및 축(3)의 양방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에 접하는 원통형의 요철면(15, 16)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요철면(15)은, 하우징(2)의 원통체(5)의 원통형의 내주면이 되고 있고, 요철면(16)은 축(3)의 원통형의 외주면이 되어 있으며, 요철면(15, 16)은 하우징(2) 및 축(3) 사이의 상대적인 축심 A를 중심으로 하는 R 방향의 회전에서 해당 요철면(15, 16)의 근방의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를 고정하고, 요철면(15, 16)에 대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미끄러짐을 저지하고 있다.
요철면(15)은,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에 접하는 하우징(2)의 원통체(5)의 면, 본 예에서는 상기 원통면(8)에, R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 본 예에서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돌기(17)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요철면(16)은,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에 접하는 축(3)의 면, 본 예에서는 상기 원통면(9)에, R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 본 예에서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돌기(18)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에 접하는 면으로서 원통면(8) 및 원통면(9)의 각각에, R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17, 18)를 각각 갖는 하우징(2) 및 축(3)을 구비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댐퍼(1)에서는, 하우징(2)과 축(3) 간의 R 방향의 회전에 있어서 하우징(2) 및 축(3)과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 간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에 원하는 소성 변형을 일으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에 원하는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댐퍼(1)에서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누출을 방지하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댐퍼(1)와 마찬가지로 씰 링(10, 11)을 이용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버린스(21, 22)를 이용하여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해도 된다. 래버린스(21)는, 도 4a에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축(3)의 대직경부(23)와 소직경부(24)간의 단부(25)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2개의 환상의 돌기(26)와, 원통체(5)의 바닥(7)에 형성됨과 동시에 돌기(26)가 삽입된 복수의 환상홈(27)으로 형성되어 있고, 래버린스(22)도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b 및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래버린스(21, 22) 대신에,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래버린스(28)를 사용해도 된다. 래버린스(28)는, 바닥(7)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통부(29)의 내주면에 설치된 복수의 환상홈(30)과, 축(3)의 소직경부(24)의 외주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홈(30)에 결합된 복수의 환상의 돌기(31)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한 예에서는, 축(3)의 소직경부(24)에는, 축심 A방향으로 연장된 환상의 오목부(35)가 형성됨과 동시에, 축(3)의 소직경부(24)의 외주면에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36)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소경부(24)에 있어서 환상의 돌기(31)가 형성된 환상의 부위(37)는, 통부(29)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축심 A를 중심으로 R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이용하여 통부(29)에 스냅 피트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래버린스(21, 22, 28)를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냅 피트식의 결합을 이용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또한 장기간에 걸쳐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와 도 1b 및 도 2a와 도 2b에 도시한 댐퍼(1)에서는 속이 찬 축(3)을 이용하였지만, 이와 달리,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의 축(3)을 이용해도 되고, 축(3)의 단면 육각형상의 중공부(38)에는, 힌지 기구의 단면 육각형상의 축들이 축(3)에 대하여 축심 A를 중심으로 R 방향으로 미끄러져 공전하지 않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공전을 방지하기 위한 중공부의 형상으로는, 단면 육각형상의 중공부(38) 대신에, 예컨대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의 각각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반원형을 충첩한 중공부(41), 단면 사각형상의 중공부(42), 단면 별모양의 중공부(43) 및 단면 직사각형상의 중공부(44)여도 되고, 이러한 중공부(41 내지 44)에는, 이들에 대하여 상보적인 단면 형상을 갖는 힌지 기구의 축들이 결합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a 및 도 1b 및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댐퍼(1)는, 한쌍의 부재로서 축심 A 방향으로 비교적 긴 하우징(2) 및 축(3)을 이용한 예이지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부재로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하우징(51)과 하우징(51)에 축심 A를 중심으로 R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상대 회전체(52)를 이용하여 댐퍼(1)를 구성해도 된다. 도 6에 도시한 댐퍼(1)에 있어서, 하우징(51)은, 서로 리벳(53)에 의해 고정된 한쌍의 반쪽부(54, 55)로 이루어지고, 반쪽부(54, 55)의 각각은 소직경의 내주측 원통부(56)와, 원통부(56)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환상판부(57)와, 환상 판부(57)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대직경의 외주측 원통부(58)를 구비하고 있고, 상대 회전체(52)는, 중공의 축부(61)와, 축부(61)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환상 판부(62)를 구비하고 있고, 본 예에서는 하우징(51)과 상대 회전체(52)간의 환상의 간극에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가 개재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댐퍼(1)에 있어서도, 기기의 뚜껑 등의 개폐에 있어서의 상대회전체(52)의 하우징(51)에 대한 R 방향의 상대적인 회전으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에 변형을 일으켜 뚜껑 등의 회전 에너지를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변형에 의해 흡수하여 개폐시의 충격을 일으키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를 이용하여 감쇠 기능을 얻도록 하고 있으므로 마모의 염려도 없고, 또한 경량, 소형에서도 큰 감쇠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댐퍼(1)에 있어서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에 접하는 환상 판부(57)의 내측의 환상면(65) 및 원통부(58)의 내측의 원통면(66) 및 환상 판부(62)의 겉과 속의 환상면(67, 68) 및 환상 판부(62)의 외측 가장자리의 원통면(69)을 평활면으로 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에 상대 회전체(52)의 하우징(51)에 대한 상대적인 축심 A를 중심으로 한 R 방향의 회전에 대하여 교차시키고, 본 예에서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이러한 R 방향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하우징(51) 및 상대 회전체(52)에 대한 미끄러짐을 저지하는 요철면으로 하여도 된다.
즉,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댐퍼(1)에 있어서, 환상 판부(57)의 환상면(65) 및 환상면(65)의 각각에 대면하는 환상 판부(62)의 겉과 속의 환상면(67, 68)에는 해당 환상면(65, 67, 68)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환언하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돌기(71, 72, 73, 74)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환상면(65, 67, 68)의 각각은,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에 접하는 요철면으로 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반쪽부(54)의 원통부(58)의 원통면(66), 및원통면(66)에 대면하는 환상 판부(62)의 외측 가장자리의 원통면(69)에는, 이들 원통면(66, 69)의 중심선 A와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돌기(75, 76)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원통면(66, 69)의 각각은,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에 접하는 요철면으로 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댐퍼(1)도, 도 6에 도시한 댐퍼(1)와 같이, 상대 회전체(52)의 하우징(51)에 대한 축심 A를 중심으로 하는 R 방향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에 변형을 일으키고 이 회전 에너지를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변형에 의해 흡수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상대적인 회전에 있어서 돌기(71 내지 76)의 각각이 해당 돌기(71 내지 76) 근방의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를 확실히 고정하기 위하여 상대 회전체(52) 및 하우징(51)에 대하여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가 미끄러지는 사태를 피할 수 있고, 확실히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에 소성 변형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댐퍼(1)에서는, 반쪽부(54)의 원통부(58)는, 두꺼운 원통부(81)와 원통부(81)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얇은 원통부(82)로 이루어지고, 원통부(82)는 그 외주면이 반쪽부(55)의 원통부(58)의 원통면(66)에 접하여 해당 반쪽부(55)의 원통부(58)에 내장되어 있고, 또한 씰 링(10, 11) 대신에, 상기 래버린스(21, 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댐퍼(1)를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댐퍼(1)는, 서로 상대적으로 축심 A를 중심으로 R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한쌍의 부재로서 하우징 본체(85) 및개체(86) 사이에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를 개재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 본체(85)는, 중공 원통상의 축부(87)와, 축부(87)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환상 판부(88)와, 환상 판부(88)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부(89)를 구비하고 있고, 축부(87)는 대직경 축부(90)와, 대직경 축부(90)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소직경 축부(91)를 구비하고 있고, 환상 판부(88)는 두꺼운 판부(92)와, 두꺼운 판부(92)에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원통부(89)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얇은 판부(93)를 구비하고 있고, 원통부(89)의 내주면(94)은, 결합용 및 래버린스용으로서 요철면에 형성되어 있다.
덮개(86)는, 원통부(95)와, 원통부(95)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칼라부(96)와, 원통부(95)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환상 판부(97)와, 환상 판부(97)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부(98)을 구비하고 있고, 원통부(98)의 외주면(99)은, 원통부(89)의 내주면(94)의 요철면과 상보적인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대직경 축부(90)와 소직경 축부(91) 간의 단부(101)와 칼라부(96)에 상기 래버린스(21)가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본체(85)와 덮개(86)는, 원통부(89)의 내주면(94)과 원통부(98)의 외주면(99)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축심 A를 중심으로 R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두꺼운 판부(92)의 내측 환상면(105) 및 외주측의 원통면(106)과, 환상 판부(97)의 내측의 환상면(107) 및 원통부(98)의 내측의 원통면(108) 사이에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가 충전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댐퍼(1)에 있어서도, 두꺼운 판부(92)의 환상면(105) 및 원통면(106), 및 환상면(105) 및 원통면(106)의 각각에 대면하는환상판 부(97)의 환상면(107) 및 원통부(98)의 원통면(108)의 각각에는, 해당 환상면(105, 107)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환언하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돌기(111, 112) 및 원통면(106, 108)의 중심선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돌기(113, 114)가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환상면(105, 107) 및 원통면(106, 108)의 각각은,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에 접하는 요철면이 되어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의 댐퍼(1)에서는, 원통부(89)의 내주면(94)과 원통부(98)의 외주면(99)에 있어서 하우징 본체(85)와 덮개(86)를 결합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직경 축부(90)에 축심 A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상의 홈(115)을 형성함과 동시에 환상의 칼라부(1l6)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원통부(89)에 일체적으로 환상의 칼라부(117)를 형성함과 동시에, 원통부(89)의 내주면(94)을 매끄럽게 형성하는 한편, 원통부(95)에 축심 A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상의 홈(118)을 형성함과 동시에 칼라부(96)의 환상의 내주면(119)를 요철면으로 하고, 원통부(98)에 축심 A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상의 홈(120)을 형성하고, 칼라부(116, 117)를 통하여 스냅 피트식으로 하우징 본체(85)에 덮개(86)를 축심 A를 중심으로 R 방향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해도 된다.
도 11 내지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댐퍼(1)에서도, 하우징 본체(85)의 덮개(86)에 대한 R 방향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에 변형을 일으켜 이 회전 에너지를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변형에 의해 흡수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상대적인 회전에 있어서 돌기(111 내지 114)의 각각이 해당 돌기(111내지 114) 근방의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를 확실히 고정하기 때문에, 하우징 본체(85) 및 덮개(86)에 대하여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가 미끄러지는 사태를 피할 수 있고, 확실히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에 소성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달리,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1)를 구성해도 된다.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한 댐퍼(1)는, 축심 A를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R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한쌍의 부재로서의 원판상체(121, 122) 사이에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를 개재하여 이루어진다.
원판상체(121)는 원판상부(123)와, 원판상부(123)의 외측 가장자리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부(124)와, 원통부(124)의 일단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환상의 칼라부(125)를 구비하고 있고, 원판상부(123)는 외측 가장자리에 2단의 단부(126)를 갖는 두꺼운 원판상부(127)와, 원판상부(127)의 외측 가장자리에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원통부(124)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얇은 환상부(128)를 구비하고 있다.
원판상체(122)는, 원판상부(131)와, 원판상부(13l)의 외측 가장자리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부(132)를 구비하고 있고, 원통부(132)에는 축심 A와 평행하게 연장된 환상의 홈(133)이 형성됨과 동시에, 원통부(132)의 외주면에는, 원통부(124)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상의 홈에 결합되는 환상의 복수의 돌기(134)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판상체(122)는 칼라부(125)를 통하여 스냅 피트식으로 원판상체(121)에 축심 A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R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한 댐퍼(1)에서는, 원판상부(123)의 내측의 원판상면(141) 및 단부(126)을 규정하는 원통면(142) 및 이들 원판상면(141) 및 원통면(142)에 대면하는 원판상부(131)의 내측의 원판상면(143) 및 원통부(132)의 내측의 원통면(144)의 각각에는, 해당 원판상면(141, 143)의 중심 A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환언하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돌기(145, 146) 및 원통면(142, 144)의 중심선 A와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돌기(147, 148)가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원판상면(141, 143) 및 원통면(142, 144)의 각각은,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에 접하는 요철면이 되어 있다.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한 댐퍼(1)는, 또한 원판상체(121 및 122)의 각각에 나사(151)를 통하여 고정된 장착부재(152, 153)를 구비하고 있고, 원판상체(121)는, 장착 부재(152)를 통하여 예컨대 기기의 플레임체 등에 고정되는 한편, 원판상체(122)는, 장착 부재(152)를 통하여 예컨대 기기의 회전을 감쇠시켜야 할 축 등의 부재에 연결된다.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한 댐퍼(1)도 또한 원판상체(121)의 원판상체(122)에 대한 축심 A를 중심으로 하는 R 방향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원판상부(123)와 원판상부(131) 사이의 간극에 충전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로 변형을 일으키고 이 회전 에너지를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변형에 의해 흡수할 수 있고, 또한,이러한 상대적인 회전에 있어서 돌기(145 내지 148)의 각각이 해당 돌기(145 내지 148) 근방의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를 확실히 고정하기 때문에, 원판상체(121, 122)에 대하여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가 미끄러지는 사태를 피할 수 있고, 확실히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에 소성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한 댐퍼(1)에서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가 충전되는 간극은 직경방향에서 똑바로 연장되고 있는데, 이와는 달리,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가 충전되는 간극을 직경 방향에 있어서 지그재그 모양이 되도록 연장되게 하여 댐퍼(1)를 구성해도 된다.
즉,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한 댐퍼(1)에 있어서, 원판상체(121)는, 원판상부(123)의 원판상면(141)에, 중앙 원형 돌기(161)와, 중앙 원형 돌기(161)를 중심으로 동심으로 배치된 복수의 환상 돌기(162)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고, 원판상체(122)는, 원판상부(131)의 원판상면(143)에, 중앙 원형 돌기(161)가 간극을 이용하여 배치된 중앙 원형홈(163)과, 각 환상 돌기(162)가 간극을 이용하여 배합됨과 동시에, 중앙 원형홈(163)을 중심으로 동심으로 배치된 복수의 환상홈(164)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중앙 원형 돌기(161) 및 환상돌기(162) 및 중앙 원형홈(163) 및 환상홈(164)에 의해 원판상체(121)와 원판상체(122)와의 사이에 직경 방향에 있어서 지그재그 모양의 간극이 형성되고, 이러한 간극에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가 충전되고 있다.
도 19 내지 도 22의 댐퍼(1)에서도, 원판상체(121)의 원판상체(122)에 대한 축심 A를 중심으로 한 R 방향의 상대적인 회전으로, 원판상부(123)와 원판상부(131) 사이의 간극으로 충전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로 변형을 일으켜 이 회전 에너지를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변형에 의해 흡수할 수 있고, 또한, 원판상체(121)와 원판상체(122) 사이에 지그재그 모양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와 원판상부(123) 및 원판상부(131)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고, 소형으로도 큰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2의 댐퍼(1)에 있어서는, 장착 부재(152, 153)에 상당하는 장착부(165, 166)가 원판상부(123) 및 원판상부(131)의 각각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원판상체(121)와 원판상체(122)는, 원통부(124)의 내측의 요철상의 원통면(167)과 원통부(132)의 외측의 요철상의 원통면(168)에 축심 A를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R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 19 내지 도 22의 댐퍼(1)에 있어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버린스(21, 22)와 같은 래버린스(169)를 최외주의 환상 돌기(162) 및 환상홈(164)의 외측에 설치해도 된다.
도 19 내지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댐퍼(1)에서는, 중앙 원형 돌기(161)의 원통 모양의 측면 및 환상 돌기(162)의 원통 모양의 내외주면 및 정면을 포함하는 원판상면(141)과, 중앙 원형홈(163)의 원통 모양의 측면 및 환상홈(164)의 원통 모양의 내외주면 및 저면을 포함하는 원판상면(143)의 각각을 평활면으로 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면에 있어서, 중앙 원형 돌기(161)의 원통 모양의 측면, 환상 돌기(162)의 원통 모양의 내외주면, 중앙 원형홈(163)의 원통 모양의 측면 및 환상홈(164)의 원통 모양의 내외주면에서는 중심선 A와 거의 평행하게 연장됨과 동시에, 기타의 면에서는 원판상면(141, 143)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환언하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각이 연속된 복수의 돌기(171, 172)를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도 24 내지 도 26의 댐퍼(1)에서도, 원판상체(121)의 원판상체(122)에 대한 축심 A를 중심으로 한 R 방향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원판상부(123)와 원판상부(131) 사이의 간극에 충전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에 변형을 일으켜 이 회전 에너지를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변형에 의해 흡수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상대적인 회전에 있어서 돌기(171, 172)의 각각이 해당 돌기(171, 172) 근방의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를 확실히 고정하기 때문에, 원판상체(121, 122)에 대하여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가 미끄러지는 사태를 피할 수 있고, 확실히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에 소성 변형을 일으킬 수 있으며, 원판상체(121)와 원판상체(122) 사이에 지그재그 모양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와 원판상부(123) 및 원판상부(131)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고, 소형으로도 큰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예의 댐퍼(1)의 각각은, 회전 에너지를 흡수하여 회전을 바라는대로 감쇠시킬 수 있지만, 본 발명은,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동하는 것에도 적용할 수 있고, 그 직동에너지를 바람직하게 흡수하여 직동을 바라는대로 감쇠시킬 수 있다.
도 27에 도시한 댐퍼(1)는,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본 예에서는 B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한쌍의 부재로서의 실린더(201) 및 원주상의 로드(202) 사이에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를 개재하여 이루어지고, 실린더(201) 및 원주 모양의 로드(202) 사이의 상대적인 B 방향의 직동 에너지를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변형을 통하여 흡수하게 하고 있다.
실린더(201)는, 바닥이 있는 원통부(203)와, 원통부(203)의 일단면에 고정된 덮개(204)를 구비하고 있고, 로드(202)는 원통부(203)의 바닥(205) 및 덮개(204)를 B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게 관통하여 실린더(201)의 외측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실린더(201) 내에 있어서 팽창부(206)를 구비하고 있고, 바닥(205)과 로드(202) 사이 및 덮개(204)와 로드(202) 사이에 각각 씰 링(10, 11)이 결합되어 있다.
실린더(201)와 로드(202) 사이의 공간(간극)에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가 조밀하게 충전된 도 27에 도시한 댐퍼(1)는, 로드(202)의 실린더(201)에 대한 B 방향의 상대적인 선형 이도에 의해 팽창부(206)에 의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에 변형(소성 변형)을 일으키고, 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변형에 의해 B 방향의 직동 에너지를 흡수한다.
도 27에 도시한 댐퍼(1)에 있어서는, 팽창부(206)에 의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에 소성 유동을 일으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를 변형시켰지만, 이와 달리,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체(210)의 오목부(211)에 의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에 소성 유동을 발생시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를 변형시켜도 된다.
도 28에 도시한 댐퍼(1)는, 서로 상대적으로 B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한쌍의 부재로서의 원통체(210) 및 직동체(212) 사이에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를 개재하여 이루어지고, 원통체(210) 및 직동체(212)사이의 상대적인 B 방향의 직동 에너지를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변형을 통하여 흡수하게 하고 있다.
원통체(210)는, 그 내측의 원통면에 오목부(211)를 가지고 있고, 직동체(212)는, 원주 모양의 로드(213)와, 로드(213)에 고정됨과 동시에, 환상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원통체(210)의 내측의 원통면에 B 방향으로 직동 가능하게 접촉한 한쌍의 원판상 칼라(214, 215)을 구비하고 있고, 칼라(214)와 원통체(210) 사이 및 칼라(215)와 원통체(210) 사이에 각각 씰 링(10, 11)이 삽입 장착되어 있다.
원통체(210)와 직동체(212) 사이의 공간(간극)에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가 조밀하게 충전된 도 28에 도시한 댐퍼(1)에서도, 직동체(212)의 원통체(210)에 대한 B 방향의 상대적인 직동으로 오목부(211)에 의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에 변형(소성 변형)을 일으키고, 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변형에 의해 B 방향의 직동 에너지를 흡수한다.
또한, 오목부(211) 대신에 도 27에 도시한 팽창부(206)를 도 28에 도시한 원통체(210)의 내측 원통면에 설치하여 댐퍼(1)를 구성해도, 또한 팽창부(206) 대신에 도 28에 도시한 오목부(211)를 도 27에 도시한 로드(202)의 표면에 설치하여 댐퍼(1)를 구성해도 된다.
이어서 자동차 시트에 바람직한 댐퍼의 예 및 이러한 댐퍼를 이용한 자동차 시트의 예를 도 29 내지 도 32에 도시한다. 도 29 내지 도 32에 있어서, 본 예의 자동차 시트용 댐퍼(1)는, 하나의 부재로서 하우징(304)을 가지고 있고, 다른 하나의 부재로서 간극 형성 부재(307) 및 덮개(309)를 가지고 있으며, 하우징(304)은 아암부(302) 및 하우징 본체(303)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고, 간극 형성 부재(307)는 하우징 본체(303) 내에 R1 및 R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됨과 동시에 하우징 본체(303)의 내면(305)과 협동하여 간극(306)을 형성하고 있고, 간극(306)에는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가 배치되어 있으며, 덮개(309)는 간극 형성 부재(307)에 고정되어 있다.
아암부(302)에는 연결용 관통공(311)이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본체(303)는, 원통체(312)와, 원통체(312)의 일단면을 막음과 동시에 내면에 중앙 오목부(313)가 형성된 폐쇄부(314)와, 폐쇄부(314)의 내면에 중앙 오목부(313)를 중심으로 설치된 동심의 복수의 원호상의 돌출부(315)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간극 형성 부재(307)는, 중앙 오목부(313)에 R1 및 R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중앙 돌출부(321)와, 하우징 본체(303)의 원호상의 돌출부(315)가 간극(306)을 이용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중앙 돌출부(321)를 중심으로 설치된 동심의 복수의 원통형 돌출부(322)와, 중앙 돌출부(321)에 형성된 중앙 오목부(323)와, 중앙 오목부(323)에 연통되는 홀(324)을 가지고 있고, 홀(324)에 있어서 간극 형성 부재(307)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레이션(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간극 형성 부재(307)에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간극(306)에 연통된 복수, 본 예에서는 원주 방향으로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슬릿(325)이 형성되어 있다.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는, 간극(306)에, 하우징 본체(303) 및 간극 형성 부재(307)에 조밀하게 접하여 충전되어 하우징 본체(303) 내에 배치되어 있다.
덮개(309)는, 간극 형성 부재(307)에 나사(326)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덮개(309)와 간극 형성 부재(307) 사이 및 덮개(309)와 원통체(312)와의 사이에는 씰부재(O링)(327, 328)가 결합되어 있다.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가 그다지 유동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씰부재(327, 328)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덮개(309)의 원통체(312)로부터의 이탈 방지는, 원통체(312)에 삽입 고정된 E링 등의 링(329)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도 29 내지 도 32에 도시한 본 예의 댐퍼(1)는, 예컨대 자동차의 시트로서의 리어 시트(331)의 R1 및 R2 방향의 회동과 함께 회동하는 시트 플레임(332)에, 관통공(311)에 삽입된 나사 또는 핀(333)을 통하여 아암부(302)가 연결되고, 리어 시트(331)의 힌지 기구(미도시)의 고정축(334)의 세레이션 가공된 선단부(335) 및 최선단부(336)가 홀(324) 및 중앙 오목부(323)에 끼워져, 사용된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하우징(304)에는 아암부(302)를 통하여 리어 시트(331)의 R1 및 R2 방향의 회동이 전달되게 되어 있고, 간극 형성 부재(307)는, 리어시트(331)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섀시(차대)(337)에 대하여 고정되게 되어 있다. 리어 시트(33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백레스트(338)는 힌지 기구(339)에 의해 리어 시트(331)에 대하여 C 및 D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트 플레임(332)의 R1 방향의 회동은, 주지의 잠금 기구(340)에 의해 통상 금지되어 있고, 시트 플레임(332)은 잠금 기구(340)의 잠금 해제로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R1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레스트(338)를 C 방향으로 회동한 후,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시트(331)를 R1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큰 차내 거주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댐퍼(1)와, 자동차의 섀시(337)에 대하여 R1 및 R2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 본 예에서는 리어 시트(331)를 구비하고, 하우징(304) 및 간극 형성 부재(307) 중 하나, 본 예에서는 하우징(304)에는, 리어 시트(331)의 R1및 R2 방향의 회동이 전달되게 되어 있고, 하우징(304) 및 간극 형성 부재(307) 중 타방, 본 예에서는 간극 형성 부재(307)가 섀시(337)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본 예의 자동차 시트는, 리어 시트(331)의 R1 및 R2 방향의 회동에서의 아암부(302)를 통하는 하우징 본체(303)의 간극 형성 부재(307)에 대한 동일한 R1 및 R2 방향의 회동에 의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에 변형을 발생시켜 리어 시트(331)의 회전 에너지를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변형에 의해 흡수하여 회동시의 충격을 일으키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예컨대 도 34에 도시한 리어 시트(331)가 튀어 올라온 상태에서의 급발진에 의한 리어 시트(331)의 R2 방향의 되돌림을 완충함과 동시에, 잠금기구(340)의 잠금해제시에 있어서의 급제동에 의한 리어 시트(331)의 R1 방향의 튀어 오름을 완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9 내지 도 32에 도시한 댐퍼(1)에 의하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를 이용하여 감쇠 기능을 얻도록 하고 있으므로, 마모의 염려가 없고, 누출 방지를 위한 씰을 생략할 수 있으며, 또한, 경량, 소형에서도 큰 감쇠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또한 돌출부(315)와 돌출부(315)가 간극(306)을 이용하여 배치되는 돌출부(322)를 가지고 있으므로, 간극(306)에 있어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하우징 본체(303) 및 간극 형성 부재(307)에 접촉하는 면적을 넓힐 수 있고, 또한, 소형으로 하여도 큰 에너지 흡수 기능을 얻을 수 있고, 간극 형성 부재(307)에 슬릿(32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릿(325)에 의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간극 형성 부재(307)에 대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간극(306)으로의 충전시 이러한 슬릿(325)를 통하여 그것을 행할 수 있으므로, 간극(306)에 확실히 용이하게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를 충전할 수 있고,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와 하우징 본체(303) 및 간극 형성 부재(307) 사이에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가 충전되지 않는 간극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도 29 내지 도 32에 도시한 댐퍼(1)에서는, 간극 형성 부재(307)를 고정하는 한편, 하우징(304)을 리어 시트(331)의 회동과 함께 회전시키도록 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섀시(337)에 장착하고, 고정된 브래킷(354)에 나사 또는 핀 등을 이용하여 아암부(302)를 고정하고, 리어 시트(331)의 힌지 기구(미도시)의 고정축(334)을 리어 시트(331)의 R1 및 R2 방향의 회전과 함께 동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축으로 하고, 이 회전축의 세레이션 가공된 선단부(335) 및 최선단부(336)를 간극 형성 부재(307)의 홀(324) 및 중앙 오목부(323)에 결합하고, 이에 따라, 하우징(304)을 리어 시트(331)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섀시(337)에 대하여 아암부(302)를 통하여 고정하고, 간극 형성 부재(307)에 리어 시트(331)의 회동을 전달하게 해도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아암부(302) 및 하우징 본체(303)를 일체적으로 갖는 하우징(304)을 이용하여 댐퍼(1)를 구성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도 35 및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상의 칼라부(351) 및 하우징 본체(303)를 일체적으로 갖는 하우징(304)을 이용하여 댐퍼(1)를 구성해도 되고, 이 경우에는, 고정용 나사 또는 핀 등이 삽입 통과되는 복수의 관통공(352)을 갖는 칼라부(351)는 하우징 본체(303)의 원통체(312)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35 및 도 36에 도시한 댐퍼(1)에서도, 일단이 시트 플레임(332)에 고정된연결 부재(미도시)의 타단에 칼라부(351)를 나사 또는 핀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이에 따라, 하우징(304)에 칼라부(351)를 통하여 리어 시트(331)의 R1 및 R2 방향의 회동이 전달되게 되고, 간극 형성 부재(307)는, 리어 시트(331)가 R1 및 R2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섀시(337)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하여도 되고, 이와는 달리, 섀시(337)에 장착하여 고정된 브래킷(354)에 나사 또는 핀 등으로 칼라부(351)를 고정하고, 리어 시트(331)의 힌지 기구(미도시)의 고정축(334)을 리어 시트(331)의 R1 및 R2 방향의 회전과 함께 동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축으로 하고, 이 회전축의 세레이션 가공된 선단부(335) 및 최선단부(336)를 간극 형성 부재(307)의 홀(324) 및 중앙 오목부(323)에 결합하고, 이에 따라 하우징(304)은 리어 시트(331)가 R1 및 R2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섀시(337)에 대하여 칼라부(351)를 통하여 고정되며, 간극 형성 부재(307)에 리어 시트(33l)의 R1 및 R2 방향의 회동이 전달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의 예에서는, 나사(326)에 의해 덮개(309)를 간극 형성 부재(307)에 고정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361)에 수나사부(362)를 갖는 덮개(309)와, 하우징 본체(303)의 내면(305)에 암나사부 (363)을 갖는 하우징(304)을 이용하고, 수나사부(362)를 암나사부(363)에 나사 결합하여 덮개(309)를 하우징 본체(303)에 고정시키고, 덮개(309)를 하우징 본체 (303)와 함께 고정 또는 회전하도록 하여도 되고, 이 경우에는, 덮개(309)와 간극 형성 부재(307) 사이에도 간극(306)에 연통된 간극(364)을 설치하고, 간극(364)에도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를 충전하면, 더 큰 에너지 흡수 능력을 얻을 수 있다.또한 도 37에 도시한 댐퍼(1)와 같이, 간극 형성 부재(307)의 중앙 오목부(323)와 고정축(334)의 최선단부(336)를 생략해도 되고, 또한, 씰 부재(327, 328)를 생략하고 씰 부재(327, 328) 대신에 덮개(309)와 간극 형성 부재(307) 사이에 래버린스 기구(371)를설치해도 된다.
도 38에 상세하게 도시한 본 예의 래버린스 기구(371)는, 간극 형성 부재(307)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동심의 원통상의 복수의 돌기(372)와, 덮개(309)에 설치됨과 동시에, 각 돌기(372)가 삽입되는 동심의 복수의 오목부(373)를 구비하고 있고, 돌기(372)와 오목부(373)에 의해 래버린스(374)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래버린스(374)에 의해 덮개(309)와 간극 형성 부재(307)와의 사이에서의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외부로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372) 중 하나에 환상의 경사면(375)을 설치하고, 이러한 경사면(375)을 덮개(309)에 접촉시키고, 분단된 래버린스(376, 377)를 이용하여 래버린스 기구(371)를 구성해도 되고, 도 39에 도시한 래버린스 기구(371)에 의하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누출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는, 간극 형성 부재(307)와 별체의 덮개(309)를 설치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309)를 생략하고 댐퍼(1)를 구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원통체(312)에 결합된 E링 등의 링(329)을 이용하여 간극 형성 부재(307)의 원통체(312)로부터의 이탈 방지를 행하여도 되지만, 이와는 달리, 외주면(381)에 수나사부(382)를 갖는 간극 형성 부재(307)를 이용하고, 수나사부(382)를 하우징 본체(303)의 암나사부(363)에 나사 결합하여 간극 형성 부재(307)를 하우징 본체(303) 내에 R1 및 R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도 되고, 이 경우에는, 하우징 본체(303)에 대한 간극 형성 부재(307)의 R1 및 R2 방향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간극 형성 부재(307)가 하우징 본체(303) 및 고정축(또는 회전축)(334)에 대하여 축심 방향, 즉 E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E 방향에 관해서도 간극 형성 부재(307)와 하우징 본체(303) 사이에 간극(306)에 연통하여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가 동일하게 충전된 간극(383)을 설치하는 한편, 고정축(또는 회전축)(334)의 선단부(335)와 홀(324)의 바닥과와의 사이에 E 방향의 간극(384)를 설치함과 동시에 고정축(또는 회전축)(334)의 선단부(335)를 간극 형성 부재(307)의 홀(324) 내에서 간극 형성 부재(307)에 대하여 E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수나사부(382) 및 암나사부(363)를 이용한 경우에는, 하우징 본체(303)에 대한 간극 형성 부재(307)의 R1 및 R2 방향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하우징 본체(303)에 대하여 간극(383)을 포함하는 간극(306)의 용적이 변화되지만, 수나사부(382) 및 암나사부(363)의 나사 피치 치수를 극히 작게 하면,그 용적 변화는 미미하며,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의 가압축성에 의해 이것을 흡수할 수 있다. 도 40에 도시한 댐퍼(1)에서는, 하우징 본체(303)에 대한 간극 형성 부재(307)의 R1 및 R2 방향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4)는 뒤틀림 변형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모의 염려가 없고, 누출 방지를 위한 씰을 생략할 수있으며, 또한, 경량, 소형에서도 큰 감쇠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댐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큰 감쇠력을 얻을 수 있고, 소형화 가능하며, 특히 백레스트를 접은 후, 시트를 튀어 오르게 한 자동차 시트에 바람직한 댐퍼 및 이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9)

  1.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한쌍의 부재 사이에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를 개재하여 이루어진 댐퍼.
  2.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한쌍의 부재 사이에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를 개재하여 이루어지고, 한쌍의 부재간의 상대적인 이동 에너지를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의 변형을 통하여 흡수하도록 한 댐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30 이상 420 이하의 가소도를 가지고 있는 댐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60 이상 320 이하의 가소도를 가지고 있는 댐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160 이상 320 이하의 가소도를 가지고 있는 댐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쌍의 부재는,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댐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쌍의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접하는 요철면을 가지고 있고, 이 요철면은 한쌍의 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에 있어서 해당 요철면 근방의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의 미끄러짐을 저지하게 되어 있는 댐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쌍의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접하는 면에, 상대적인 이동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 또는 오목홈을 가지고 있는 댐퍼.
  9. 제 8 항에 있어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접하는 면은 원통면을 포함하고 있고, 돌기 또는 오목홈은 원통면의 중심선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댐퍼.
  10. 제 8 항에 있어서,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에 접하는 면은 환상면 또는 원판상면을 포함하고 있고, 돌기 또는 오목홈은, 환상면 또는 원판상면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댐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쌍의 부재는, 서로 상대적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댐퍼.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차 씨트용의 댐퍼로서, 일방의 부재로서 하우징을 가지고 있고, 타방의 부재로서 간극 형성 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하우징은 아암부 및 하우징 본체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고, 간극 형성 부재는, 하우징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됨과 동시에 하우징 본체의 내면과 협동하여 간극을 형성하고 있고,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간극에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에는 아암부를 통하여 자동차 시트의 회동이 전달되게 되어 있고, 간극 형성 부재는 자동차의 시트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섀시에 대하여 고정되게 되어 있는 댐퍼.
  1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차 시트용 댐퍼로서, 일방의 부재로서 하우징을 가지고 있고, 타방의 부재로서 간극 형성 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하우징은 아암부 및 하우징 본체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고, 간극 형성 부재는 하우징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됨과 동시에 하우징 본체의 내면과 협동하여 간극을 형성하고 있고,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간극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우징은 자동차의 시트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섀시에 대하여 아암부를 통하여 고정되게 되어 있고, 간극 형성 부재에는 자동차의 시트의 회동이 전달되게 되어 있는 댐퍼.
  14.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차 시트용의 댐퍼로서, 일방의 부재로서 하우징을 가지고 있고, 타방의 부재로서 간극 형성 부재를 가지고있으며, 하우징은 칼라부 및 하우징 본체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고, 간극 형성 부재는 하우징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됨과 동시에 하우징 본체의 내면과 협동하여 간극을 형성하고 있고,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간극에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에는, 칼라부를 통하여 자동차 시트의 회동이 전달되게 되어 있으며, 간극 형성 부재는 자동차의 시트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섀시에 대하여 고정되게 되어 있는 댐퍼.
  15.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차 시트용의 댐퍼로서, 일방의 부재로 하우징을 가지고 있고, 타방의 부재로서 간극 형성 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하우징은 칼라부 및 하우징 본체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고, 간극 형성 부재는 하우징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됨과 동시에 하우징 본체의 내면과 협동하여 간극을 형성하고 있으며, 실리콘계 미가황 고무는 간극에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은 자동차의 시트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섀시에 대하여 칼라부를 통하여 고정되게 되어 있고, 간극 형성 부재에는 자동차의 시트의 회동이 전달되게 되어 있는 댐퍼.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 본체는, 동심의 복수의 원호 모양의 돌출부를 가지고 있고, 간극 형성 부재는 하우징 본체의 원호 모양의 돌출부가 간극을 가지고 배치되는 동심의 복수의 원통상 오목부를 가지고 있는 댐퍼.
  17.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간극 형성 부재에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간극에 연통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댐퍼.
  18. 제 12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동차 시트용 댐퍼와, 자동차의 섀시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하우징 및 간극 형성 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시트의 회동이 전달되게 되어 있으며, 하우징 및 간극 형성 부재 중 다른 하나는, 섀시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자동차 시트.
  19. 제 18 항에 있어서, 시트에는 회동 가능하게 백레스트가 설치되어 있는 자동차 시트.
KR1020020007686A 2001-02-14 2002-02-09 댐퍼 및 이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 KR1005902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37774A JP2002242992A (ja) 2001-02-14 2001-02-14 ダンパ
JPJP-P-2001-00037774 2001-02-14
JP2001130296A JP4352629B2 (ja) 2001-04-26 2001-04-26 自動車シート用のダンパ及びこのダンパを具備した自動車シート
JPJP-P-2001-00130296 2001-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005A true KR20020067005A (ko) 2002-08-21
KR100590278B1 KR100590278B1 (ko) 2006-06-15

Family

ID=26609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686A KR100590278B1 (ko) 2001-02-14 2002-02-09 댐퍼 및 이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20020109386A1 (ko)
EP (1) EP1233206B1 (ko)
KR (1) KR100590278B1 (ko)
CN (1) CN1321021C (ko)
DE (1) DE6022786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33206B1 (en) 2001-02-14 2008-07-30 Oiles Corporation Damper and automobile seat having the damper
JP2004053008A (ja) * 2002-05-31 2004-02-19 Fukoku Co Ltd ビスカスダンパ
DE602004017301D1 (de) * 2003-05-12 2008-12-04 Oiles Industry Co Ltd Dämpfer für autositz und autositzmechanismus mit dem dämpfer
DE10327770B4 (de) 2003-06-17 2022-04-07 Volkswagen Ag Anordnung eines Schwingungstilgers in Kraftfahrzeugsitzen
DE102006020554B4 (de) * 2006-05-03 2011-06-16 Airbus Operations Gmbh Verbindungsstrebe zur Anordnung zwischen benachbarten Landeklappen eines Flugzeuges
JP5138950B2 (ja) * 2007-02-19 2013-02-06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7673929B2 (en) * 2007-10-10 2010-03-09 Ventra Group, Inc. Hinge with a viscous rotary damper
ITMI20080465A1 (it) * 2008-03-19 2009-09-20 Salice Arturo Spa Dispositivo do decelerazione della rotazione di una cerniera particolarmente per mobili e cerniera particolarmente per mobili che presenta detto dispositivo di decelerazione
US8087729B2 (en) * 2008-12-09 2012-01-03 Wolfgang K, Llc Aircraft seat
DE102009010689B4 (de) * 2009-02-27 2014-07-17 Johnson Controls Gmbh Höhenverstellung mit einem mehrteilig ausgeführten Abtriebsmittel
GB0919682D0 (en) * 2009-11-11 2009-12-23 Hi Lex Cable System Company Ltd Damper
DE102011082147A1 (de) * 2011-09-06 2013-03-07 Lear Corporation Dämpf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CN104245420B (zh) * 2012-04-20 2016-10-12 约翰逊控制技术公司 车辆座椅
ES2431464B1 (es) * 2012-05-23 2014-09-10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Amortiguador radial de vibraciones de recorrido libre, y aparato doméstico con un sistema de amortiguación que comprende dicho amortiguador radial
US9936603B2 (en) 2013-02-28 2018-04-03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Backplane nodes for blind mate adapting field replaceable units to bays in storage rack
CN103280754A (zh) * 2013-05-14 2013-09-04 广州鑫源恒业电力线路器材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单阻尼橡胶的间隔棒
US20160327117A1 (en) * 2014-01-16 2016-11-10 Safeseat Ip Ab Energy absorber
DE102014211274A1 (de) * 2014-06-12 2015-12-31 Suspa Gmbh Rotationsenergie-Absorber sowie Fahrzeugsitz mit einem derartigen Rotationsenergie-Absorber
CN104228632A (zh) * 2014-09-22 2014-12-24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座椅靠背多维振动衰减器
JP2016153687A (ja) * 2015-02-13 2016-08-2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流体ダンパ装置、ダンパ付き機器、および流体ダンパ装置の製造方法
CA3037255A1 (en) * 2016-09-16 2018-03-22 Lo-Rez Vibration Control Ltd. High energy dissipation torsional viscous damper
US10145164B2 (en) 2016-10-27 2018-12-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tailgate assembly
DE102018120105B4 (de) * 2018-08-17 2023-02-16 Nidec Gpm Gmbh Dämpfungselement mit Bajonettverschluss
JP7094650B2 (ja) * 2019-05-28 2022-07-0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ダンパ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3089C (de) * 1928-12-18 1930-07-29 E H Hugo Junkers Dr Ing Vorrichtung zum Daempfen von Verdrehungsschwingungen
US3087571A (en) 1959-05-05 1963-04-30 Bolt Beranek & Newman Apparatus for damping
US3058371A (en) * 1960-11-29 1962-10-16 Fred L Haushalter Vibration dampener
FR1404519A (fr) * 1964-05-15 1965-07-02 Aquitaine Petrole Dispositif amortisseur destiné à un arbre soumis simultanément à des oscillations longitudinales et angulaires
US3410369A (en) * 1965-09-08 1968-11-12 Mitsubishi Heavy Ind Ltd Damper construction for damping torsional vibrations of a revolving body
US3467353A (en) * 1966-08-02 1969-09-16 Lord Corp Tube form mounting
US3504905A (en) * 1967-09-07 1970-04-07 Trw Inc High load capacity laminated bearing
US4026572A (en) * 1970-02-17 1977-05-31 Koji Yoshioka Means for isolating a vibration or shock
US3842945A (en) * 1971-05-13 1974-10-22 J Potter Viscoelastic damper
US3767503A (en) * 1971-07-23 1973-10-23 Cities Service Co Sealing method
AU463143B2 (en) * 1971-12-22 1975-07-17 New Zealand Inventions Development Authorit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a cyclic energy absorber
GB1422151A (en) * 1972-01-21 1976-01-21 Nash A R B Dampers
FR2173441A5 (en) 1972-02-24 1973-10-05 Plaud Edgar Shock absorber - with hollow cylindrical body contg rotor and semiliquid viscous elastomer material
AU498149B2 (en) * 1973-11-21 1979-02-15 New Zealand Inventions Development Authority Energy absorber or torque limiter
US3992963A (en) * 1975-01-21 1976-11-23 Wallace-Murray Corporation Elastomer and liquid torsional vibration damper
SE398459B (sv) * 1975-10-09 1977-12-27 Atlas Copco Ab Slaende verktyg
NZ178949A (en) * 1975-10-14 1979-04-26 New Zealand Dev Finance Energy absorber for eg bouldings:cyclicylly deformable body in shear
FR2386737A2 (fr) * 1977-04-07 1978-11-03 Int Vibration Engineer Dispositif a inertie d'autorisation et de blocage de mouvement entre deux pieces
DE2722542A1 (de) * 1977-05-18 1978-11-23 Carl Ullrich Dr Peddinghaus Feder mit stossdaempfung
DE2734769A1 (de) * 1977-08-02 1979-02-15 Maschf Augsburg Nuernberg Ag Resonanz-drehschwingungsdaempfer
US4254847A (en) * 1978-07-24 1981-03-10 Houdaille Industries, Inc. Rubber viscous torsional damper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218349A (en) * 1978-12-19 1980-08-19 Kuraray Co., Ltd. Rubber composition
US4368807A (en) * 1980-02-07 1983-01-18 Houdaille Industries, Inc. Rubber/viscous torsional vibration dampers
US4378865A (en) * 1980-12-10 1983-04-05 Houdaille Industries, Inc. Rubber and viscous/rubber torsional damper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480731A (en) * 1981-02-27 1984-11-06 Oiles Kogyo Kabushiki Kaisha Vibration damping apparatus
US5030761A (en) * 1981-03-30 1991-07-09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Alkoxy-nitrobenzene and alkoxy-aminobenzene compounds useful in the production of tetrahydrophtalimides
US4768761A (en) * 1984-03-21 1988-09-06 The B. F. Goodrich Company Rubber-plastic composite
JPH0137236Y2 (ko) * 1985-02-08 1989-11-10
US4731966A (en) * 1985-06-19 1988-03-22 Takafumi Fujita Vibration energy absorber device
US4850243A (en) * 1986-06-04 1989-07-25 Household Manufacturing, Inc. Uniform strain vibration damper
US4701491A (en) * 1986-10-27 1987-10-20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extrusion stock
JP2504985B2 (ja) * 1987-03-17 1996-06-05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ロ−タリ−流体ダンパ−
DE3817731A1 (de) 1988-05-25 1989-12-07 Kaspar Lochner Hydraulischer drehfluegel-stossdaempfer
JP2920175B2 (ja) 1988-07-15 1999-07-19 三菱重工業 株式会社 構造物用エネルギー吸収装置
JP2605841B2 (ja) 1988-11-16 1997-04-30 株式会社明電舎 ロウ材の製造方法
US5030490A (en) * 1988-12-09 1991-07-09 Tew Inc. Viscoelastic damping structure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
JP2670851B2 (ja) 1989-05-29 1997-10-29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構造物用エネルギー吸収装置
US4929196A (en) 1989-08-01 1990-05-29 Molex Incorporated Insert molded filter connector
JPH0368249A (ja) 1989-08-07 1991-03-25 Fujitsu Ltd ダイヤルデータ判定方式
JP2895268B2 (ja) * 1990-08-13 1999-05-24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塑性エネルギー吸収装置
KR100251977B1 (ko) * 1991-10-29 2000-04-15 구로이시 이쿠오 자동차용 발놀림 파킹 브레이크 및 이것에 사용되는 일방향 댐퍼
US5286014A (en) * 1993-02-12 1994-02-15 Gencorp Inc. Slipper bushing with improved axial load capacity
US5301775A (en) * 1993-06-29 1994-04-12 Illinois Tool Works Inc. Adjustable high torque damper device
EP0639727A1 (en) * 1993-08-19 1995-02-22 Toyota Tsusho Corporation Dampers
DE4338163C2 (de) * 1993-11-09 1996-11-21 Behr Gmbh & Co Flüssigkeitsreibungskupplung mit Verdrehsicherung
JP2605841Y2 (ja) * 1993-12-28 2000-08-21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装置
DE9420646U1 (de) * 1994-12-23 1995-02-16 Itw Ateco Gmbh Rotationsdämpfer
JP3421484B2 (ja) * 1995-09-01 2003-06-30 株式会社ニフコ 回転ダンパー
JPH09220131A (ja) * 1996-02-19 1997-08-26 Araco Corp 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6135252A (en) * 1996-11-05 2000-10-24 Knotts; Stephen E. Shock isolator and absorber apparatus
JP2844531B2 (ja) * 1997-01-24 1999-01-06 光洋ファスナー株式会社 回転制御ダンパー
JP4158218B2 (ja) 1997-03-14 2008-10-01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ダンパ及びこれを用いた足踏みパーキングブレーキ
JP4249808B2 (ja) 1997-04-21 2009-04-08 不二ラテックス株式会社 ロータリーダンパ及びそれを用いたリクライニング部材
JPH1194001A (ja) 1997-09-24 1999-04-09 Bridgestone Corp ダンパー装置
JP2000166680A (ja) * 1998-12-01 2000-06-20 Fuji Kiko Co Ltd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6085384A (en) * 1999-04-08 2000-07-11 Illinois Tool Works Inc. One-way hinge damper
DE19921806C1 (de) * 1999-05-11 2000-10-19 Keiper Gmbh & Co Einstell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US6312049B1 (en) * 1999-07-01 2001-11-0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Programmable seat back damper assembly for seats
US6386528B1 (en) * 1999-07-08 2002-05-14 Lord Corporation Damper including resilient friction member and seat assembly using same
US6089204A (en) * 1999-09-08 2000-07-18 Caterpillar, Inc. Combined axial and torsional crankshaft vibration damper for reciprocating engine
EP1233206B1 (en) * 2001-02-14 2008-07-30 Oiles Corporation Damper and automobile seat having the damper
JP4096174B2 (ja) * 2002-11-28 2008-06-04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建築用ゴム部材
JP4347013B2 (ja) * 2003-10-08 2009-10-21 モメンティブ・パフォーマンス・マテリアルズ・ジャパン合同会社 導電性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導電性シリコーンゴ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0278B1 (ko) 2006-06-15
DE60227862D1 (de) 2008-09-11
US20020109386A1 (en) 2002-08-15
US7357230B2 (en) 2008-04-15
EP1233206B1 (en) 2008-07-30
CN1321021C (zh) 2007-06-13
US20050179184A1 (en) 2005-08-18
CN1370697A (zh) 2002-09-25
US20080169696A1 (en) 2008-07-17
EP1233206A2 (en) 2002-08-21
US7866451B2 (en) 2011-01-11
EP1233206A3 (en) 200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0278B1 (ko) 댐퍼 및 이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
JPH08233011A (ja) ロータリダンパ
JPS636243A (ja) トルク伝動装置用に適したダンパ型はずみ車
JP2000329183A (ja) ヒンジダンパ
CN101542160A (zh) 阻尼器和车辆座椅
JP3838598B2 (ja) 振動緩衝装置
US20020193165A1 (en) Damper mechanism
JP3797814B2 (ja) 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JPH05106688A (ja) 自動車の緩衝式二重フライホイール
JPH04231756A (ja) 自動車の緩衝式二重フライホイール
KR940010681B1 (ko) 측벽분리 방지수단을 구비한 비틀림진동 댐퍼기구
KR101059966B1 (ko) 자동차 시트용 댐퍼 및 이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기구
JPH02129410A (ja) 成形された可動シールを備えるねじり振動止め機構
JP2599880Y2 (ja) 粘性捩じり振動減衰装置
JP3717091B2 (ja) 摩擦抵抗発生機構
JPS5934895B2 (ja) 自動車用摩擦クラツチデイスク
US4962838A (en) Viscous damper with low seal drag torque
JP2002321553A (ja) 自動車シート用のダンパ及びこのダンパを具備した自動車シート
JPH021539Y2 (ko)
JPS62127521A (ja) ビスカスカツプリング
JPH09119445A (ja) 共通軸上の2つの回転部間で力を結合して伝達する装置
JP2005069354A (ja) スプリング組立体
JP2004017769A (ja) 懸架装置
JPH0729328Y2 (ja) ダンパ
JPH034930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