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1939A -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및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및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1939A
KR20010101939A KR1020017009752A KR20017009752A KR20010101939A KR 20010101939 A KR20010101939 A KR 20010101939A KR 1020017009752 A KR1020017009752 A KR 1020017009752A KR 20017009752 A KR20017009752 A KR 20017009752A KR 20010101939 A KR20010101939 A KR 20010101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generator
igniter
gas
connector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9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3574B1 (ko
Inventor
요시히로 나카시마
노부유키 오오지
노부유키 가츠다
Original Assignee
고지마 아끼로, 오가와 다이스께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56445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10193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고지마 아끼로, 오가와 다이스께,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지마 아끼로, 오가와 다이스께
Publication of KR20010101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5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just before or during liberation, e.g. hybrid inf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18Influencing the heat transfer which act passively, e.g. isolations, heat sinks, cooling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1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bags, e.g. infla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06Mounting of electrical component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29Ign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characterised by auto-igni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 B60R2021/263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with a plurality of inflation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60R2021/264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bustion chambers or sub-cha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ome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Bag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용기의 전체적인 크기를 억제, 또한 각 연소실의 용적비율을 임의로 조정 가능한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를 제공하여, 하우징(303)내에 설치된 연소실(305,306)마다에 점화수단(311)이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연소실이 하우징(3)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 배치된 이너셸(304)내에 설치되어, 각 점화수단은 하우징(3)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각 연소실 끼리를 상호 연통 가능하게 하는 연통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어느 하나의 연소실내에는 전도열에 의해 착화·연소하는 자동발화재료(AIM)가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통형상 필터수단(350)의 축방향 끝면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을 축심 연신방향으로 향하여 좁아져 경사하는 경사끝면(351)으로서 형성하여, 하우징내에는 작동가스의 통과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팽창배출한 필터수단(350)의 경사끝면(351)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53)를 설치한다.

Description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및 에어백 장치{GAS GENERATOR FOR MULTI-STAGE AIR BAG AND AIR BAG DEVICE}
자동차를 비롯하여 각종 차량 등에 탑재되어 있는 에어백 시스템은 그 차량이 고속으로 충돌할 때에 가스에 의하여 급속하여 팽창한 에어백(백 몸체)으로 탑승자를 지지하여 탑승자가 관성에 의해 핸들이나 앞면 유리등의 차량내부의 단단한 부분에 격돌하여 부상하는 것 등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에어백 시스템은 통상 차량의 충돌에 의하여 작동하여 가스를 방출하는 가스발생기와, 그 가스를 도입하여 팽창하는 에어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백 시스템은 탑승원의 체격(예컨대 앉은 키가 높은 사람 또는 낮은 사람, 또는 어른 또는 어린이 등)이나, 그의 탑승자세(예컨대 핸들에 매달린 자세) 등이 다른 경우라도, 탑승원을 안전하게 구속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종래 작동시 초기의 단계에 있어서, 탑승원에 대하여 될 수 있는 한 충격을 주지 않고 작동하도록 한 에어백 시스템의 제안이 되었다. 이와 같은 가스발생기는 일본국 특개평 8-207696호 공보, 미국특허 제4,998,751호 및 미국특허 제4,950,458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국 특개평 8-207696호 공보에서는 하나의 점화기로 2종류의 가스발생제의 캡슐을 착화하여 2단계에서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기가 미국 특허 제4,998,751호, 미국 특허 제4,950,458호에는 가스발생기의 작동기능을 규제하기 위한 2개의 연소실을 설치하여 가스발생제의 불이 번짐으로써 2단계에서 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기가 각각 제안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9-183359호 및 독일국 특허 제 19620758호에서는 하우징내에 가스발생제가 수용된 연소실을 2실 설치하여 각각의 연소실마다 점화기를 배치하여 각 점화기의 작동타이밍을 조정함으로서, 가스발생기의 작동 출력을 조정 가능하게 한 가스발생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종전의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는 간단한 구조로 제조 용이하게 하면서도 더욱이 용기(하우징)의 전체적인 크기를 억제한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는 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및 그것을 사용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의 제 1 실시양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의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의 배면도.
도 5는 위치결정수단을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6은 자체축소식 구조의 필터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7은 위치결정부를 도시한 가스발생기의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의 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의 제 1 실시양태를 도시한 개략 종단면도.
도 11은 에어백 장치의 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2는 한정수단의 실시양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3은 한정수단의 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4는 에어백 장치의 또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5는 에어백 장치의 또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6은 한정수단의 또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7은 에어백 장치의 또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의 제 1 실시양태를 도시한 종단면약도.
도 19는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의 제 1 실시양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필터수단의 제 1 실시양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1은 필터수단의 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2는 가스발생기의 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3은 가스발생기의 또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4는 가스발생기의 또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5는 가스발생기의 또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6은 도 25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의 투시평면도.
도 27은 가스발생기의 또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의 제 1 실시양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9는 격벽을 도시한 주요부 분해사시도.
도 30은 위치결정수단을 도시한 주요부 분해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또다른 실시양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3은 도 31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의 투시평면도.
도 34는 편향판을 가지는 본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01 : 디퓨저셸 2, 302 : 클로져셸
3, 303, 803 : 하우징 4 : 이너셸
5 : 개구부 8 : 전화약
10 : 가스배출구 25, 822 : 쿨란트·필터
32 : 플랜지 50, 1105a : 제 1의 연소실
51, 1112a : 제 1의 점화기 52, 1109a : 제 1의 가스발생제
60, 1105b : 제 2의 연소실 61, 1112b : 제 2의 점화기
62, 1109b : 제 2의 가스발생제 101 :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102 : 작동신호 출력수단 103 : 에어백
107 : 작동신호 출력부 108, 311 : 점화기
109 : 리이드와이어 110 : 커넥터
305 : 필터수단 309 : 가스발생제
351 : 필터수단의 경사끝면
352, 452, 552, 652, 752 : 경사면(지지부)
353 : 필터수단 지지부재
453, 553, 653, 753 : 하우징의 경사부
1107 : 격벽 1113 : 기폭제 칼라
1185 : 자동발화재료(AIM)
본 발명은 작동초기의 단계에 있어서, 탑승원에 대하여 될 수 있는 한 충격을 주지 않고 작동하고, 또한 탑승원의 체격(예컨대 앉은 키가 높은 사람 또는 낮은 사람, 또는 어른 또는 어린이 등)이나 그의 탑승자세(예컨대 핸들에 매달린 자세)등이 다른 경우라도 탑승원을 안전하게 구속 가능하도록 임의로 가스발생기의 작동출력, 및 출력상승의 타이밍을 조정 가능하게 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로서 제조 용이하게 하고 더욱이 용기(하우징)의 전체적인 크기를 억제, 또한 각 연소실의 용적의 비율을 임의로 조정 가능하게 한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내의 복수의 연소실을 설치한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있어서, 가스발생기의 전체의 크기를 억제, 또한 각 연소실의 용적의 비율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 내부구조, 특히 연소실의 배치구조에 특징을 가진다.
즉, 본 발명의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는 통형상 측벽에 복수의 가스배출구를 가지는 디퓨저셸과, 그 디퓨저셸과 동시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클로져셸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하우징내에 가스발생수단을 수용하는 연소실을 복수 설치하는 동시에 각 연소실마다에 상기 가스발생수단을 착화·연소시키는 점화 수단을 배치하여 이루어지고, 그 복수의 연소실의 내에 적어도 하나의 연소실은 하우징내에 있어서, 하우징 중심축에서 편심하여 배치된 이너셸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 각 연소실마다 배치되는 점화수단은 하우징내에 있어서, 하우징 중심축에서 편심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에서는 각 연소실 끼리를 상호로 연통이 가능하게 하는 연통구멍을 설치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연소실내에는 전도열에 의해 착화·연소하는 자동발화재료(AIM)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AIM).
상기의 가스발생기를 포함하고, 충격에 의하여 점화기의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가 점화수단중 점화기와 동수 설치된 점화신호 출력수단과, 커넥터를 가지는 복수의 리드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그 점화기와 출력부는 커넥터를 가지는 리드와이어로 이어져 있으며, 그 커넥터는 어느 점화기와 출력부와의 단일 연결을 특정하는 한정 수단을 가지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이다(커넥터).
상기 가스발생기는 작동가스를 정화 및/또는 냉각하는 통형상 필터수단을 포함, 그 필터수단은 축방향 끝면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축심 연신방향으로 향하여 좁아져서, 또한 내주면과의 내각이 예각이 되도록 경사하는 경사끝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우징내에는 그 필터수단의 경사끝면에 대향하는 지지부가 존재하여 있어도 좋다(자체축소식 필터).
본 발명은 이너셸의 바깥쪽 표면의 대부분을 이너셸의 바깥쪽에 있는 제 1의 가스발생제와, 보온재를 통하지 않고 직접 접촉시킬 수도 있다. 이너셸에 연통구멍이 있는 곳은 파열부재를 통하여 가스발생제가 이너셸의 바깥쪽 표면에 접촉한다.
최초로 연소하는 제 1의 가스발생제와 다른 제 2의 가스발생제의 사이에 이너셸의 벽이 개재한다. 제 1의 가스발생제가 연소하여도 제 2의 점화기의 작동보다 제 2의 가스발생제가 연소하기 시작하는 일없이 제 2의 가스발생제가 전열에 의해 착화온도에 달하기 전에 제 2의 점화기의 작동에 의해 연소한다.
제 1의 가스발생제 착화후, 제 2의 가스발생제에 착화하지 않은 그대로 가스발생기를 방치하면 약 10초 후에 제 2의 가스발생제가 착화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이너셸은 일반적으로 상단을 폐쇄한 원통형으로서 수평 단면형상이 원형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너셸의 수평단면 형상을 직사각형, 타원형 등 각종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나, 그 접합 용이성을 고려하면 통상 원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 이너셸은 하우징내에 하우징의중심축에 대하여 편심하여 배치된다. 즉, 이 이너셸은 그의 중앙이 하우징의 중앙과 일치하지 않도록 하여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너셸은 이 원통형상의 하우징에 대하여 편심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가령 하우징의 평면 형상이 평면 대략 타원형이라도 그의 평면형상의 중앙과 이너셸의 중앙이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이너셸과 하우징이 편심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이 하우징의 중심축은 오로지 통형상체의 평면형상에 의거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가령 그 하우징이 모듈 부착용의 플랜지를 가지는 경우라도 이 플랜지의 부분은 하우징의 중심축을 특정지을 때 고려되지 않는 것이다.
이 각 연소실마다에 배치되는 점화수단은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점화기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 점화기를 하우징의 축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할 수 있다. 또 하우징을 구성하는 클로져셸은 점화기를 고정하는 칼라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점화기가 이 칼라부분에 고정되는 것으로도 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점화 수단마다에 각각 포함되어 있는 점화기를 모두 단일의 칼라부분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칼라부분을 포함하여 클로져셸을 형성하는 경우 미리 이 칼라부분에 복수의 점화기 고정하여 두면, 클로져셸을 형성하는 단일의 조작으로 복수의 점화기를 하우징내에 고정할 수가 있으며, 제조상 유리하게 되기 때문이다.
하우징내에 편심되어 배치되는 이너셸은 원통형상으로서, 한쪽의 연소실내의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개구하는 개구부를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이 이너셸의 형상은 상기와 같이 그외의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나, 클로져셸과의 접합용이성을 고려하면, 특히 수평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너셸은 개구부가 개구함으로써, 이너셸의 내외에 구획된 연소실끼리의 가스유통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개구부는 예컨대 이너셸의 주벽에 복수의 구멍을 형성하여 이 구멍을 파열부재로 폐쇄함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 파열 부재에 의하여 폐쇄된 구멍은 이너셸의 안쪽에 설치되는 연소실내에 수용된 가스발생수단이 연소함으로써 만이 개구한다.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한 구멍의 개구는 예컨대 파열부재가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한 압력 등으로 파열, 박리, 소실 또는 벗어남으로써 행해진다. 이와 같은 개구부는 그외에도 이너셸에 노치를 설치하던가 혹은 이너셸의 일부의 살 두께를 얇게 형성함으로서도 실현할 수 있다. 또 개구부의 바깥쪽에 차폐판을 배치하여 이 차폐판에 의해 이너셸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연소실내에서 발생하는 연소화염이 그 개구부에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는 것으로서, 한쪽의 연소실내의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서만 그 개구부가 개구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너셸을 하우징내에 그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하여 배치하여 더욱이 각 연소실마다에 배치되는 점화수단도 그 하우징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시켜서 배치함으로써, 하우징의 크기를 극력억제, 또한 연소실의 용적·배치등 자유도를 최대한으로 할 수 있다. 즉, 예컨대 하우징내에 2개의 연소실을 형성하여 설치하는 경우, 하우징내에 편심하여 이너셸을 배치하여 그의 바깥쪽을 제 1의 연소실로 안쪽을 제 2의 연소실로 하면, 제 1 및 제 2의 연소실의 용접비는 이 이너셸의 용적을 변경함으로써 자유로이 변할 수 있다. 그때, 각 연소실마다 배치되는점화수단의 점화기를 하우징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하여 배치함으로써, 제 1의 연소실내에 배치된 점화기가, 제 2의 연소실의 용적을 확보하는 위해서 장해가 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의 연소실의 용적 등에 관한 자유도를 최대한으로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있어서, 이너셸의 안쪽에 설치된 연소실내에 더욱이 이너셸의 바깥쪽에 설치된 연소실내에 배치되는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하여 생긴 열로 착화·연소하는 자동발화재료(AIM)가 배치되어 있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또 이 자동발화재료(AIM)가 이너셸의 안쪽에 설치되는 연소실내에 배치된 점화수단으로 포함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를 제공한다. 즉,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작동에 있어서는 모두의 점화수단을 작동시켜서, 전 연소실내의 가스발생수단을 연소시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그의 작동상황에 의하여는 의도적으로 어느 하나의 점화수단만을 작동시켜, 모든 특정의 연소실내의 가스발생수단만을 연소시키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작동하지 않고 남은 점화수단 및 가스발생수단은 후의 처리·폐기 등의 경우 불편을 가져옴으로, 가스발생기의 작동 후에 있어서 착화·연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연소실 및/또는 점화수단으로 자동발화재료(AIM)를 배치함으로써, 가령 어느 연소실내의 가스발생수단 및/또는 점화수단이 착화·연소함이 없이 남은 경우에 있어서도, 이들의 가스발생수단 및/또는 점화수단을 다른 연소실내에서 연소한 가스발생수단의 열(전도열)에 의하여 지연시켜서 착화·연소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도 이너셸의 안쪽에 설치되는 연소실내 및/또는 점화수단에는 이너셸의바깥쪽에 구획형성되는 연소실내의 가스발생수단이 연소한 열에 의하여 착화·연소하는 자동발화재료(AIM)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자동발화재료(AIM)로서는 가스발생수단이나 전화약(傳火藥)보다도 낮은 온도에서 발화하는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 자동발화재료에 의한 가스발생수단의 착화는 가스발생기의 작동 후에 행하여진다. 즉, 가스발생기의 작동성능을 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의도적으로 점화수단의 작동 타이밍을 지연시켜서, 가스발생수단을 연소시키는 것과는 다르며, 이러한 가스발생기의 작동성능을 조정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확보되는 점화수단끼리의 작동지연 시간이 충분히 경과한 후에 행하여진다. 따라서 최초에 점화수단이 작동한 후, 다른 점화수단이 작동하기까지의 의도적으로 지연시킨 시간내에 남은 가스발생수단이 자동발화재료에 의하여 착화되는 일은 없다.
하우징은 디퓨저셸과 클로져셸을 각종 용접법, 예컨대 마찰압접, 전자빔 용접, 레이저 용접, 티그용접, 프로젝션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중 양 셸을 마찰압접에 의해 접합하여 하우징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클로져셸을 고정한 후 마찰압접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양 셸의 접합은 최후에 행하는 것이나 이와 같은 클로져셸을 고정하여 마찰압접을 행하면, 점화수단을 편심하여 배치하는 등 클로져셸 쪽의 중심이 치우쳐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양 셸의 접합을 안정하게 행할 수 있다. 즉 마찰압접은 한쪽을 고정하여 다른 쪽을 회전시켜 행하여지나 이 회전시키는 쪽의 중심이 치우쳐 있으면 안정된 마찰압접이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클로져셸 쪽을 고정하여 마찰압접을행함으로서, 안정된 마찰압접을 실현한다.
또 클로져셸을 고정하여 마찰압접을 행하는 경우에는 가스발생기를 모듈케이스에 부착하기 위한 플랜지부를 클로져셸에 설치, 더욱이 이 플랜지부에 마찰압접 시에 고정되는 클로져셸의 방향 및/또는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결정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위치결정부는 예컨대 플랜지부가 가스발생기를 모듈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반경방향 돌출부를 가지는 경우에는 그 돌출부를 상호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서 실현된다. 돌출부가 하나인 경우에는 이 돌출부 자체를 위치결정부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랜지부에 위치결정부를 형성하면, 이너모듈을 마찰압접에 의하여 하우징내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회전시키는 쪽의 이너셸에 대하여 하우징의 접합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결정되기 때문에 그 이너셸을 소정의 방향 및/또는 위치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관련된 위치결정부를 플랜지부에 형성함으로써, 이 플랜지부가 그 위치결정과 가스발생기의 설치와 겸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마찰압접에 있어 클로져셸을 소정의 위치·방향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플랜지부에 한하지 않고, 그 밖의 부분, 예컨대 주벽 또는 바닥면에 위치결정부를 형성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또, 연소실내에 배치되는 점화수단에는 그 작동에 의하여 생기는 화염의 분출방향을 규제하기 위한 분출방향 규제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이 분출방향 규제수단은 점화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생기는 화염, 즉 가스발생수단을 착화·연소시키기 위한 화염의 분출방향을 규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분출방향 규제수단은 적어도 그 점화수단이 화염이 생기는 부분을 감싸넣을 수 있어, 또한 화염의 분출방향을 소망방향으로 규제하기 위한 2 이상의 전화구멍(傳火孔)을 가지는 중공용기로부터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분출방향 규제수단의 예로서는 편향판이나, 그 점화 수단 전체를 포위할 수 있는 통형상 부재 또는 그 점화수단의 화염이 생기는 부분을 포위할 수 있는 컵상등의 용기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출방향 규제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점화수단의 화염의 분출방향을 연소실의 내벽면에 따른 방향으로 규제할 수 있다. 이「연소실의 내벽면에 따른 방향」이란, 화염이 내벽면의 형상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분출되어,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점화수단의 화염의 분출방향을 규제함으로써, 점화수단이 연소실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나 연소실이 원형 이외의 형상으로서, 연소실의 구석 쪽에 배치된 가스발생수단과 점화수단의 거리가 현저하게 떨어져 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도 연소실내의 가스발생수단을 적합하게 연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분출방향 규제수단으로서, 더욱이 제 1의 점화기로부터 떨어진 디퓨저셸의 가스배출구의 수보다 많이 또는 합계 개구면적이 보다 크게 분포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분출방향 규제수단은 이들을 조합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각 연소실에 배치되는 점화수단은 각 연소실마다 출력이 다른 점화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점화수단의 출력은 다른 출력의 점화기를 사용하는 외에 점화수단이 전화약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전화약의 재료, 형상, 양 등을 조정하여 점화수단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 이너셸 내에는 클로져셸과의 접속을 안전 또한 원활하게 행하기 위해 리테이너를 배치할 수 있다. 이 리테이너는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가스발생제 고정부재라도 좋다. 이 리테이너는 이너셸을 클로져셸에 마찰압접, 코오킹, 저항용접 등 또는 요철 이어 맞춤 등에 의해 부착할 때에 가스발생제를 이너셸 내에 유지하여 가스발생제가 직접 클로져셸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또 이너셸 내에 점화수단을 수용하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리테이너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같이 조립 시에 2 이상의 가스발생수단의 충전방향이 다른 경우는 리테이너를 사용하는 것은 유효하다. 리테이너로서는 알루미늄, 철 등으로 작성한 통형상의 것이나 철망 등으로 이루어진 다공형상 부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점화수단에 포함되는 점화기는 컨트롤 유닛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가스발생기의 작동신호를 받아서 작동을 한다. 따라서 이 점화기에는 각 점화기마다 컨트롤 유닛 등으로 부터의 동신호를 전하기 위한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는 2개 이상의 점화수단을 가지고 있음으로 점화기로 2개 이상 포함되어 있다. 이 각 점화기에 접속하는 케이블을 동일 방향에 인출함으로써 그후, 가스발생기를 용이하게 모듈에 맞붙일 수 있다.
또, 상기 본 발명의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있어서, 각 연소실마다에 배치된 점화수단이 전기신호에 의하여 작동하는 점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각 점화기에는 전기신호를 전하는 케이블이 커넥터에 의하여 각각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커넥터는 어느 하나의 점화기에만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결정수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 점화기마다에 접속되는 케이블이 작동 타이밍의조정 등의 관점에서 각각 다른 작동신호를 전하는 경우에는 어느 점화기에 잘못하여 다른 케이블을 접속하면, 소망하는 작동출력을 얻을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점화기에 위치결정수단을 설치하여 어느 하나의 케이블에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면 접속의 잘못을 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결정수단은 예컨대 점화기와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의 점화기와의 결합부분을 각 점화기마다에 다른 형상으로 하는 외에, 접속하는 점화기마다 위치 및/또는 형상이 다른 홈 및/또는 돌기를 커넥터에 형성함으로써 실현된다. 또 점화기마다 복수의 케이블을 하나의 커넥터에 모아서, 이 커넥터에 위치결정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커넥터에 설치되는 위치결정수단에는 그외에도 커넥터를 접속하여 통전하는 부분(블레이드나 통전 차입구)의 형상이나 크기, 커넥터의 케이스의 형성이나 크기 등의 다른 경우 등 플러그와 잭과의 접속의 가부를 결정하는 어느 요소가 다른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즉 케이블과 점화기와의 접속의 조합이 단일로 한정되도록 한 수단을 시행한 것을 모두 포함한다.
하우징내에 복수의 연소실을 설치, 각 연소실마다에 단위 시간당의 발생가스량이 다른 가스발생수단, 예컨대 연소속도, 조성, 조성비, 형상 또는 양이 적어도 하나 이상 다른 가스 발생수단을 수용하는 가스발생기로 함으로써, 가스발생기의 작동성능, 특히 가스방출량의 시간당 변화를 보다 특징적으로 또한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연소실내의 가스발생수단을 임의의 타이밍으로 독립하여 착화·연소시키는 경우에는 독립하여 착화·연소하는 점화수단을 각 연소실마다 배치한다. 이와 같은 가스발생수단은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무기아지드, 예컨대 나트륨아지드(아지드화나트륨)에 의거한 아지드계 가스발생제 외에 무기아지드에 의거하지 않는 비아지드계 가스발생제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안전성을 고려하면, 비아지드계 가스발생제가 바람직하다. 이들 가스발생수단은 연소속도, 비독성, 연소온도 및 분해개시온도 등의 요구에 부응하여 적절히 선정된다. 각 연소실마다에 다른 연소속도의 가스발생수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아지드나트륨 등의 무기아지드 또는 니트로구아니딘 등의 비아지드를 연료 및 질소원으로서 사용하는 등, 그의 조성이나 조성비 자체가 다른 가스발생수단을 사용하는 외에 펠릿 형상, 웨이퍼 형상, 중공원주 형상, 디스크 형상, 또는 단공체 또는 다공체 형상 등과 같이 조성물의 형상을 바꾸던가 혹은 성형체의 크기 등에 의해 표면적을 바꾼 가스발생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가스발생수단의 형상을 바꾸던가, 혹은 성형체의 크기 등에 의해 표면적을 바꾼 가스발생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가스발생수단의 형상을 관통구멍이 복수개 존재하는 다공체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의 구멍의 배치는 특히 제한은 없으나, 가스발생기 성능의 안정화를 위해 성형체의 바깥끝부와 구멍의 중심과의 거리 및 상호의 구멍의 중심간 거리가 대략 같게 되는 배치구조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성형체의 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상 성형체에 있어서는 중심에 1개와 그의 주위에 상호 등거리가 되는 정삼각형의 정점의 위치에 구멍의 중심을 가지는 6개의 구멍을 배치한 구조가 바람직하다. 더욱이 마찬가지로 하여 중심에 1개와 주위에 18개의 구멍이 존재하는 배치도 고려된다. 이들의 구멍수와 배치구조는 가스발생제의 제조의 수월함 및 제조코스트와 성능의 균형으로 결정되는 것이고,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어백 팽창용의 가스를 얻기 위해 고형의 가스발생수단을 사용한 가스발생기(화공식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는 통상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생긴 연소가스를 정화하여 또 냉각하기 위한 필터나 쿨란트가 적합하게 사용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도,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연소가스를 정화 및/또는 냉각하는 경우에는 적층 철망을 압축 형성한 필터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수단을 연소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가압되어 그의 상하끝부가 하우징 내면에 가압되도록 자체축소식 구조로 형성하면, 필터수단 끝면과 하우징 내면과의 사이에 있어서 연소가스의 쇼트패스는 특단의 부재를 배치함이 없이 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자체축소식 구조는 예컨대 하우징의 상하 내면을 좁아지는 모양으로 경사시켜 필터수단의 상하끝면에도 그 하우징의 상하내면에 정합하는 경사를 설치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 이 필터수단은 안쪽과 바깥쪽을 다른 적층철망체로서 3중 구조로서 안쪽에 필터수단의 보호기능, 바깥쪽에 필터수단의 팽창배출 억제기능을 가진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필터수단의 팽창배출 억제기능에 관하여 그 필터수단의 외주를 적층철망체, 다공원통체 또는 환상 벨트체 등으로 이룬 외층으로 지지함으로써 그의 팽창배출을 억제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내에 복수의 연소실이 설치되어서, 각 연소실마다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한 연소가스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각 연소실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공통의 필터수단을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모두의 연소가스가 공통의 필터수단을 통과하면, 하우징내에 배열 설치되는 필터수단은 하나로 끝나고 그의 결과, 전체 용적을 작게 하고, 제조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이 공통의 필터수단을 통과한 연소가스는 하우징에 형성된 공통의 가스배출구에서 배출할 수 있다.
상기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는 그 가스발생기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도입하여 팽창하는 에어백(백 몸체)과 동시에 모듈케이스내에 수용되어 에어백 장치로 된다. 이 에어백 장치는 충격센서가 충격을 감지하는 것에 연동하여 가스발생기가 작동하여, 하우징의 가스배출구에서 연소가스를 배출한다. 이 연소가스는 에어백내의 유입하여 이것에 의해 에어백은 모듈커버를 파열하고 팽창배출하여 차량중의 단단한 구조물과 탑승원과의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쿠숀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의 전체적인 높이를 억제, 또한 간이한 구조로서 제조 용이하게 하면서도 그 작동초기의 단계에 있어서 탑승원에 대하여 될 수 있는 한 충격을 주지 않고 작동하여 또한 탑승원의 체격(예컨대 앉은 키가 높은 사람 또는 낮은 사람, 또는 어른 또는 어린이 등)이나, 그의 탑승자세(예컨대 핸들에 매달린 자세)등이 다른 경우라도 탑승원을 안전하게 구속 가능하도록 임의로 가스발생기의 작동출력, 및 출력상승의 타이밍을 조정 가능하게 한 가스발생기로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는 적어도 하나의 연소실을 하우징에 대하여 편심시켜 또 각 연소실마다에 배치되는 점화수단을 하우징내에 편심하여 배치함으로써 하우징 반경방향의 크기를 억제한 후에, 각 연소실의 자유도를 최대로 얻을 수가 있다.
상기의 편심구조의 가스발생기는 후에 기술하는 AIM, 커넥터, 자체축소식 필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한 다른 각 부품도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점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 점화기마다 점화신호 출력수단으로부터의 작동신호가 출력되는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각 점화기와 점화신호 출력장치 출력부와의 접속의 잘못을 없이하고 항상 소망의 출력으로 작동할 수 있는 다단식 가스발생장치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임의로 작동출력 및 출력상승의 타이밍을 조정 가능하게 한 다단식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항상 소기의 작동성능을 얻을 수가 있다.
또 필터수단이 작동가스의 통과에 의하여 반경방향으로 된 팽창배출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 필터수단의 경사끝면은 하우징내의 지지부에 압접하여 양자의 면접촉이 유지되는 것으로부터의 작동가스의 쇼트패스를 효과적으로 저지 가능하게 된다. 필터 수단을 팽창배출 가능한 부재로 하는 것으로 조립 정밀도가 그만큼 요구되는 일없이 하우징내로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를 설명한다.
(편심구조의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제 1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한 가스발생기는 특히 운전석 쪽에 배치하는데 적합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가스발생기는 가스배출구(10)를 가지는 디퓨저셸(1)과, 그 디퓨저셸(1)과 동시에 내부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클로져셸(2)을 마찰압접에 의해 접합하여 이룬 원통형상 하우징(3) 내에 수평단면 형상의 원형임으로 상단을 폐쇄한 캡슐형상의 이너셸(4)을 하우징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하여 배치·고정하여 있다.이너셸의 하우징에 대한 편심도는 소망하는 연소실의 용적비 등에 응하여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이 편심도는 하우징내의 구조, 예컨대 쿨란트·필터(25)의 유무 등에 의하여도 변할 수 있는 요소로서, 예컨대 본 도면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와 같이 하우징의 주벽면과 대향시켜서 쿨란트·필터(25)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10 내지 75%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단 이 수치범위도 점화기의 크기 등에 기인하여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이 수치범위는 도 1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에 있어서 이너셸(4)의 편심의 표준을 표시한 것이다.
또 이 이너셸(4)은 그의 수평단면 형상을 직사각형, 타원형 등 각종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나, 클로져셸(2) 등으로의 접합용이성을 고려하면 특히 원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이너셸(4)을 마찰압접에 의해 클로져셸(2)에 접합하는 경우에는 그 이너셸(4)의 수평단면형상을 원형으로 할 필요가 있으며, 또 레이저 용접에 의하여 접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레이저의 조사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 이너셸(4)은 쿨란트·필터(25)와의 사이에 근소한 틈새를 확보한 후에 배치되어 있다. 이 틈새는 쿨란트·필터(25)와 이너셸(4)과의 사이에 가스의 흐름을 만들고 그 필터(25)의 모든 면을 유효하게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또 후술한 바와 같이 이너셸(4)의 개구부가 개구할 때에 쿨란트·필터(25)가 장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이 틈새는 이러한 목적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선택된다.
이너셸(4)은 제 1의 연소실(50)과 제 2의 연소실(60)을 구획형성하여 있다.요컨대 제 1의 연소실(50)은 이너셸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제 2의 연소실(60)은 이너셸(4)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다. 제 1의 연소실(50)과 제 2의 연소실(60)과의 용적비(제 1의 연소실 용적:제 2의 연소실 용적)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3:1로 하고 있으나, 그외에도 97:1∼ 1:1.1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이 용적비에 관하여도 점화기의 크기나 가스발생제의 형상 등에 기인하여 적절히 그의 선택범위는 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수치범위는 본 도면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의 구조에 있어서 선택할 수 있는 범위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너셸(4)에 의하여 격리된 제 2의 연소실(60)과 제 1의 연소실(50)에는 각각 가스발생제(52,62)가 수용되어 있다. 제 1의 연소실(50)내에는 제 1의 가스발생제(52)가 제 2의 연소실(60)내에는 제 2의 가스발생제(62)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의 가스발생제(52)와 제 2의 가스발생제(62)란 형상 등이 같은 가스발생제가 사용되어 있으나, 각 연소실마다에 연소속도, 조성, 조성비 또는 양이 적어도 하나 이상 다른 가스 발생수단을 수용하는 것도 할 수 있다.
제 1의 연소실(50)과 제 2의 연소실(60)을 구획형성하는 이너셸(4)은 하우징(3)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이너셸(4)의 안쪽에 설치된 제 2의 연소실(60)도 하우징(3)에 대하여 편심되어 있다. 이 제 1의 연소실(50)과 제 2의 연소실(60)에는 각각 점화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중에 제 2의 연소실에 배치되는 제 2의 점화기(61)는 이 하우징(3)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하는 제 2의 연소실(60)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그 점화기(61)가 작동하여발생하는 화염은 제 2의 가스발생제(62)를 균등하게 연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제 2의 점화기(61)와, 제 1의 연소실(50)에 배치되는 제 1의 점화기(51)란 동시에 하우징(3)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의 점화기 및 이너셸을 하우징(3)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시킴으로서, 제 1 및 제 2의 연소실의 용적비의 변화를 폭넓게 할 수 있으며, 또 하우징(3)의 지름방향의 크기를 극력 억제할 수 있다.
각 연소실마다 배치되는 점화기내, 제 1의 연소실(50)내에 배치된 점화기(51)는 그의 주위 및 윗방향으로 전화약(8)을 배치하고 있다. 이 전화약(8)은 가스발생기의 조립 때의 편의상, 더욱이 차량에 탑재 중에 받는 충격이나 진동으로 전화약(8)에 제 1의 연소실(50)내에 산란하게 제 1의 가스발생제(52)으로의 착화성을 저감시키는 일이 없도록 전화약 용기(26)중에 수납되어 있다. 이 전화약 용기(26)는 내부의 전화약(8)의 연소에 의하여 용이하게 파열하여 화염을 그의 주위에 전화(傳火)시키도록 한 두께(예컨대 200㎛ 정도)의 알루미늄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2의 연소실(60)내에는 제 1의 연소실(50)내에 배치된 바와 같은 전화약은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것은 제 1의 가스발생제(52)가 연소하여 제 1의 연소실(50)내의 압력이 상승하여도, 후술하는 이너셸(4)의 구멍(6)을 막는 파열부재(7)는 제 2의 연소실(60)의 내부압력이 제 1의 연소실(50)내의 내부압력이상으로 상승하지 않으면 파열하지 않기 때문에 이 사이 제 2의 연소실(60)은 밀폐상태로 되고, 그 사이 압력이 높아지고, 제 2의 가스발생제(62)는 제 1의 가스발생제(52)보다도 착화하기 쉽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전화약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의 연소실(50)내에는 제 1의 점화기(51)와 그의 위쪽으로 배치된 전화약(8)의 반경방향 바깥쪽을 둘러 쌓은 상태로 통형상부재(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통상부재(36)는 상하 양끝을 개방한 원통형상으로 그의 조각끝부는 점화기(51)를 고정한 부분의 외주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밖으로 끼워서 다른끝부는 디퓨저셸(1) 천정부내면 근방에 존재하는 리테이너(11)에 의해 끼워져서 소정 개소에 고정되어 있다. 이 통상부재(36)의 주벽에는 복수의 전화구멍(37)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화약(8)의 연소에 의하여 생긴 화염은, 이 전화구멍(37)으로부터 분출되어 그 통형상부재의 바깥쪽에 존재하는 제 1의 가스발생제를 착화·연소시킨다. 이 통형상부재(36)는 하우징(3)과 동일재질의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표시하는 가스발생기에서는 제 1의 연소실(50)은 도 2의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안쪽을 둥글게 꿰뚫은 초생달형으로 근사한 환형상으로 되어 있어, 제 1의 가스발생제(52)는 이 중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 1의 연소실(50)에 있어서는 제 2의 연소실(60)과는 다르며, 가스발생제(52)와 점화기(51)와의 거리는 가스발생제(52)의 수용장소에 의해 다르다. 따라서 점화기(51)의 착화 때에 제 1의 가스발생제(52)으로의 착화·연소에 얼룩무늬가 생긴다.
그래서 내통부재(36)의 둘레벽에 설치되는 전화구멍(37)은 제 1의 연소실(50)의 내벽면(50a)에 따른 방향(도 2 중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전화약(8)의 화염을 분출시키도록 그의 방향이 규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 2의 연소실(60)(즉, 이너셸(4))의 그늘로 된 부분의 가스발생제(52)도 얼룩무늬 없이 연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내벽면(50a)은 쿨란트·필터(25)의 표면과 일치하고 있다.
더욱이 그 밖의 분출방향규제수단으로서, 상기 내통부재(36)에 대신하여 예컨대 컵상의 용기로 그의 둘레벽부의 제 1의 연소실(50)의 내벽면(50a)에 따른 방향(도 2중 화살표시로 표시한 방향)으로 제 1의 점화수단(도 1에서는 점화기(51)와 전화약(8))의 화염을 분출시키기 위한 노즐을 설치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분출방향 규제수단으로서의 컵상의 용기는 화염의 분출방향규제하기 때문에 적어도 점화기(51)와 전화약(8)을 쌓아 넣을 수가 있는 것이며, 제 1의 점화수단의 둘레에 부착(씌워서)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분출방향 규제수단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의 안쪽에 배치되는 제 1의 점화수단은 점화기와 그 점화기의 작동에 의하여 착화·연소하는 전화약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염 분출방향규제수단의 다른 예로서 도 34의 편향판(99)이 있으며 화염을 화살표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반사하여 방향을 규제한다. 예컨대 凹면상의 판을 연소실과 하우징의 사이에 놓는다. 편향판은 필터의 안쪽에 있어도 좋으며, 필터의 바깥쪽에 있어도 좋다. 편향판은 제 1의 점화기로부터의 화염의 방향을 제어하는 작용과, 그것 이외에 가스발생제가 연소하여 발생한 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작용을 갖는다.
제 1의 연소실(50)과 제 2의 연소실(60)을 구획형성하는 이너셸(4)은 상기와 같이 캡슐형상으로서, 그의 둘레벽에 복수의 개구부(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5)는 제 2의 연소실(60)내에 배치된 제 2의 가스발생제(62)의 연소에 의하여만이 개구하여 제 1의 연소실(50)내에 수용된 제 1의 가스발생제(52)의 연소에 의하여는 개구하지 않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개구부(5)는 이너셸(4) 둘레벽에 설치된 복수의 구멍(6)과, 이 구멍을 폐쇄하는 파열부재(7)로부터 이루어지고, 파열부재(7)으로서는 스테인리스제의 시일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이 파열부재(7)는 제 2의 가스발생제(62)의 연소에 의하여만 파열, 박리, 소실 또는 벗어나는 등에 의해서 구멍(6)을 개구하고, 제 1의 가스발생제(52)의 연소에 의하여는 파열등이 하지 않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의 가스발생제(52)의 연소에 의하여도 이너셸(4)의 개구부가 개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외에도 이너셸(4)의 개구부(5)를 바깥쪽에서 적절히 형상 차폐판, 예컨대 띠모양 부재를 환형상으로 형성한 차폐판 등으로 덮고, 제 1의 가스발생제(52)의 연소화염이 직접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도 할 수 있다.
이 개구부(5)에 관하여는 그 외에도 도 3(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너셸(4)의 둘레벽에 노치(12)를 형성하는가, 혹은 도 3(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너셸(4)의 둘레벽의 살 두께를 부분적으로 얇게 형성함으로서도 실현 가능하다. 개구부(5)가 개구함으로서, 제 1의 연소실(50)과 제 2의 연소실(60)은 연통하고, 제 2의 연소실(60)내에서 발생한 연소가스는 제 1의 연소실(50)내를 통하여 그 후에 하우징(1)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의 이너셸(4)은 그의 개방한 아래쪽(13)을 클로져셸(2)에 접속하여 고정된다. 이 클로져셸(2)이 점화기를 고정하기 위한 칼라부분(2a)을 함유하여 구성되는 경우에는 그 이너셸(4)은 이 칼라부분(2a)에 부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가스발생기에 있어서는 이 클로져셸(2)은 디퓨저셸(1)에 접합하는 통형상 각부(2b)의 바닥면에 2개의 점화기를 고정 가능한 크기로 한 원형의 칼라부분을 일체형상으로 접합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이너셸(4)은 이 칼라부분(2a)에 접합되어 있다. 단, 이 칼라부분(2a)은 각 점화기마다 고정 가능한 크기의 원형으로서 그 통형상 외피부(2b)의 바닥면에 일체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 통상 각부(2b)의 바닥면에 일체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그 이너셸(4)은 클로져셸의 칼라 일부분(2a)이외에, 통형상 외피부(2b)의 바닥면에 직접 부착할 수 있다.
이너셸(4)과 클로져셸(2)과의 접속은 마찰압접, 코우킹, 저항 용접 등의 요철 이어 맞춤에 의해 행할 수 있다. 특히 마찰압접에 의해 양자를 접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클로져셸(2) 쪽을 고정하여 행한다. 이것에 의해 이너셸(4)과 클로져셸(2)의 축심이 일치하여 있지 않아도 안정되어 마찰압접을 행할 수 있다. 요컨대 가령 이너셸(4)을 고정하여 클로져셸(2)을 회전시켜서 마찰압접을 행한 경우에는 클로져셸(2)의 중심은 회전중앙으로부터 어긋나 있기 때문에 안정된 마찰압접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클로져셸(2) 쪽을 고정하여 이너셸(4) 쪽을 회전시켜서 마찰압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 마찰압접에 있어, 이너셸(4)을 항상 소정의 위치에 부착할 수 있도록 이 클로져셸(2)은 위치결정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클로져셸(2)에는 적절히 위치결정수단이 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너셸(4)내에는 클로져셸(2)과 접속을 안전 또한 원활하게 행하기 위해가스발생제 고정부재(14)가 배치되어 있다. 가스발생제 고정부재(14)는 이너셸(4)을 클로져셸(2)에 마찰압접할 때에 가스발생제(62)가 직접 클로져셸(2)에 접촉하지 않도록 또 이너셸(4)에서 형성된 공간 내에 점화기(61)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 이너셸(4)을 클로져셸(2)에 부착할 때는 상기의 마찰압접만이 아니라, 코오킹, 저항 용접 등의 이외에 요철 이어 맞춤 등에 의해 부착할 수 으나, 그의 경우도 가스발생제 고정부재(14)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립성이 향상한다. 본 가스발생제 고정부재(14)는 여기서는 일 예로서 알루미늄제로 가스발생제(62)의 연소에 의하여 용이하게 파열하는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통을 사용하고 있으나, 그 외에도 철망 등을 사용하여 이룬 다공상부재 등, 이러한 목적을 달성 가능한 적절한 부재(재질, 형상 등은 묻지 않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가스발생제 고정부재(14)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공원통상의 가스발생제(62)를 이너셸(4)의 내부공간과 동일형상으로 굳은 가스발생제의 덩어리를 형성하여, 이것을 이너셸(4)내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발생제 고정부재(14)는 생략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클로져셸(2)의 칼라부분(2a)은 2개의 점화기(51,61)를 가로 나란히 고정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2개의 점화기(51,61)를 미리 칼라부분(2a)에 코오킹 등에 의해 고정하여 두면 이 칼라부분(2a)을 통형상 외피부(2b)에 일체화하여 클로져셸(2)을 형성하면 2개의 점화기(51,61)를 클로져셸(2)에 고정할 수 있다. 도면상, 제 1의 점화기(51)와 제 2의 점화기(61)는 같은 크기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들은 각 연소실마다 다른 출력을 가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4의 바닥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점화기(51,61)마다에 접속하여 작동신호를 전하기 위한 케이블(15)이 동일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다.
또, 각 점화기(51,61)는 배치되는 부분에는 각각의 점화기마다 접속되는 케이블(15)이 특징이 되도록 위치결정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위치결정수단은 예컨대 도 5(a) 내지 도 5(d)의 주요부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점화기마다 다른 형식의 커넥터(16)를 사용함으로서 행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한 위치결정수단으로는 커넥터의 위치결정용의 홈(또는 돌기)(17)을 형성하고, 이 위치결정용의 (또는 돌기)(17)에 대응하는 돌기(또는 홈)(18)의 형성위치가 각 점화기마다 다른 것으로 하고 있다. 즉, 가스발생기에 커넥터(16)를 부착할 때, 정규방향 쪽에 커넥터(16)를 부착하지 않으면 커넥터끼리가 간섭하여 정확히 부착할 수 없는 바와 같이 각 커넥터의 홈(또는 돌기)(17)의 위치를 바꾸고 있다. 도 5(b)에 도시한 위치결정수단에서는 어느 하나의 커넥터(21)에만 위치결정용 홈(또는 돌기)(19)을 설치하고 있다. 즉, 홈(또는 돌기)(19)을 설치한 커넥터(21A)는 돌기(또는 홈)(20)를 설치하지 않는 쪽의 점화기(229)에는 이어 맞춤할 수 있으나, 홈(또는 돌기)(19)을 설치하지 않는 커넥터(21B)는 돌기(또는 홈)(20)를 설치한 쪽의 점화기(22a)에는 이어 맞춤할 수 없다. 그 결과 커넥터(21)의 접속의 잘못은 조립 시에 용이하게 눈치챌 수 있다. 도 5(c)는 각 커넥터의 접속 이어 맞춤하는 부분(23) 자체의 형상이, 각각 다른 것으로 하고 있다. 또 도 5(d)에서는 2개의커넥터를 하나로 하여 더욱이 위치결정홈(또는 돌기)(24)를 형성하고 있다. 이 위치결정수단으로서는 그외에도 커넥터의 접속의 잘못을 없게 하기 위한 수단을 적절히 실시할 수 있다. 또 하우징(3)내에는 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연소가스를 정화·냉각하기 위한 필터수단으로서 쿨란트·필터(25)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의 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가스는 동시에 이 쿨란트·필터(25)를 통과하는 것이 된다. 이 연소가스가 쿨란트·필터(25)의 끝면과 디퓨저셸(1) 천정부 내면과의 사이를 통과하는 쇼트패스를 방지하는 경우에는 내향 플랜지 형상의 쇼트패스 방지부재에서 쿨란트·필터(25)의 상하 내주면과 하우징 내면을 덮을 수가 있다.
그리고 쿨란트·필터(25)의 바깥쪽에는 연소가스의 통과 등에 의한 그 필터(25)의 팽창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외층(27)이 배치되어 있다. 이 외층(27)은 예컨대 적층철망체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외에 둘레벽편에 복수의 관통구멍을 가지는 다공원통형상부재, 혹은 소정 폭의 띠형상부재를 환상으로 한 벨트형상 억제층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그 외층의 바깥쪽에는 연소가스가 그 필터의 전면을 통과할 수 있도록 소정 폭의 간격(28)이 형성되어 있다. 디퓨저셸(1)에 형성되는 가스배출구(10)는 외기의 진입을 저지하기 위한 시일테이프(29)로 폐쇄되어 있다. 이 시일테이프(29)는 가스를 방출할 때에 파열하는 것이 된다.
시일테이프(29)는 외부의 습기에서 가스발생제를 보호하는 것이 목적이고, 연소내압 등의 성능조정에는 전혀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제 1 및 가스발생제(52)의 연소에 의한 가스와 제 2의 가스발생제(62)의 연소에 의한 가스는 동시에 이 가스배출구(10)를 통과한다.
또한 연소가스를 정화 및/또는 냉각하여 위한 필터수단으로서는 그 외에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의 상하 끝면을 외주방향으로 쓰러뜨리는 것같이 경사시킨 자체축소식 구조의 필터수단(30)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자체축소식 구조의 필터수단(3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우징의 상하내면(31)을 좁아지도록 경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연소가스에 의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압출된 필터수단(30)은 그의 상하 끝면이 하우징내면(31)에 맞닿아서 양자간에 있어서 연소가스의 쇼트패스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에서는 점화기(51,61) 및 이너셸(4)을 하우징(3)에 대하여 편심하여 배치하여 있다. 이와 같은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는 디퓨저셸(1)과 클로져셸(2)과를 마찰압접에 의해 접합할 때에는 클로져셸(2) 쪽을 고정하여 마찰압접을 행함으로써, 양 셸의 접합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이너셸(4)을 클로져셸(2)에 마찰압접에 의해 직접 부착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로져셸(2) 쪽에 가스발생기를 모듈케이스에 부착하기 위한 플랜지부(32)를 설치, 이 플랜지부(32)를 구성하는 부분 예컨대 돌출부(33) 등에 그의 둘레가장자리를 절결한 위치결정부(3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한 경우 클로져셸(2)은 그 위치결정부(34)에 의거, 항상 일정의 방향으로 고정됨으로써, 이너셸(4)을 소정의 위치에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가스발생기에서는 이너셸(4)의 바깥쪽에 설치된 제 1의연소실(50)내에 배치되는 제 1의 점화기(51)가 작동하는 그 연소실(50)내의 제 1의 가스발생제(52)가 착화·연소하여 연소가스를 발생시킨다. 이너셸(4)과 쿨란트·필터(25)와의 사이에는 가스유통이 가능한 간격이 확보되어 있으므로 이 연소가스는 쿨란트·필터(25) 전면을 통과할 수 있다. 이 연소가스는 쿨란트·필터(25)를 통과하는 사이에 정화·냉각되어 그후 가스배출구(10)로부터 배출된다.
한편, 이너셸(4)내에 배치된 제 2의 점화기(61)가 작동하면, 제 2의 가스발생제(62)가 착화·연소하여 연소가스를 발생시킨다. 이 연소가스는 이너셸(4)의 개구부(5)를 개구시켜, 그 개구부(5)로부터 제 1의 연소실(50)내에 유입한다. 그후, 상기 제 1의 가스발생제(52)의 연소가스와 마찬가지로 그 쿨란트·필터(25)를 통과하여 가스배출기(10)로부터 배출된다. 가스배출구(10)를 폐쇄하는 시일테이프(29)는 하우징(3)내에는 발생한 연소가스의 통과에 의하여 파열한다. 이 제 2의 가스발생제(62)는 제 2의 점화기(61)의 작동에 의하여 착화·연소되어 제 1의 가스발생제 (52)의 연소에 의하여 직접 연소하는 일은 없다. 이것은 이너셸(4)의 개구부(5)가 제 2의 가스발생제(62)의 연소에 의하여만이 개구하여 제 1의 가스발생제(52)의 연소에 의하여는 개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단,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 2의 연소실(60)내에 하우징(1) 등에서 전해지는 제 1의 가스발생제(52)의 연소열에 의해 발화하는 자동발화재료(AIM)(35)를 수용한 경우에는 제 1의 가스발생제(52)의 연소에 기인하여 간접적으로 제 2의 가스발생제(62)를 연소시킬 수가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는 통상, 제 1의 가스발생제(52)는 제 1의 점화기(51)에 의하여, 또 제 2의 가스발생제(62)는 제 2의 점화기(61)에 의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착화·연소되나, 의도적으로 제 1의 점화기(51)에만 전류를 흘리어 점화시켜, 제 1의 연소실(50)내의 가스발생제(52) 만을 착화·연소시키는 경우가 있다. 의도적으로 제 2의 가스발생제(62) 및 제 2의 점화기(61)를 연소시키지 않고 남기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경우는 후처리·폐기 등 때에 지장을 가져옴으로써, 가스발생기(제 1의 점화기만)의 작동 후에 제 2의 점화기(61)를 작동시키는 통상의 지연착화의 타이밍(예컨대 10 내지 40밀리초 등)보다도 더욱이 지연시켜서(예컨대 100밀리초 이상 등), 제 2의 연소실(60)의 가스발생제(62)를 연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도 8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는 제 2의 연소실(60)내에 제 1의 가스발생제(52)의 연소열의 전도에 의하여 착화·연소하는 자동발화재료(35)를 배치하고 있다. 이 자동발화재료(35)에 의한 제 2의 가스발생제(62)의 착화는 제 1의 점화기(51)의 작동후 소정의 시간지연시켜서 제 2의 점화기(61)를 작동시키는 경우의 지연시간(즉, 점화기끼리의 작동간격) 보다도 충분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행해진다. 즉 가스발생기의 작동성능을 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서 의도적으로 제 2의 가스발생제(62)의 연소를 지연시키는(즉, 제 2의 점화기(61)의 작동을 지연시킴)것과는 다르다. 가스발생기의 작동성능을 조정하기 위해 임의로 제 2의 점화기(61)로의 작동전류를 지연시키고 있는 사이에 제 2의 가스발생제(62)가 그 자동발화재료(35)에 의하여 착화·연소되는 일도 없다. 또한 이 자동발화재료(35)는 제 2의 점화기(61)에 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가스발생기는 제 1 또는 제 2의 어느 점화기(51,61)를최초로 작동시키던가 동시에 작동시키던가 등, 2가지의 점화기(51,61)의 착화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으로 가스발생기의 출력형태(작동성능)를 임의로 조정할 수가 있으며, 충돌시의 차량의 속도나 환경온도 등 여러가지의 상황에 있어서, 후술의 에어백 장치로한 경우에 있어서 에어백의 전개를 최대한 적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에서는 2개의 연소실을 반경방향으로 나란히 하여 설치하고 있음으로 가스발생기의 높이를 극력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스발생제의 형상, 조성, 조성비 및 양 등은 물론 소망의 출력형태를 얻기 위해서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에어백 장치의 실시형태)
도 9는 전기착화식 점화수단을 사용한 가스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한 경우의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에어백 장치는 가스발생기(200)와 충격센서(201)와, 컨트롤 유닛(202)과, 모듈케이스(203)와 그리고 에어백(204)으로 부터 되어 있다. 가스발생기(200)는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 가스발생기가 사용되어 있으며, 그의 작동성능은 가스발생기 작동초기의 단계에 있어서, 탑승원에 대하여 될 수 있는 한 충격을 주지 않도록 조정되어 있다.
충격센서(201)는 예컨대 반도체식 가속도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반도체식 가속도센서는 가속도가 가하여지면 휘어지도록 된 실리콘 기판의 빔상에 4개의 반도체 변형 게이지가 형성되어, 이들 반도체 변형 게이지는 브리지 접속되어 있다. 가속도가 가하여지면 빔이 휘어지고, 표면에 변형이 발생한다. 이 변형에의해 반도체 변형 게이지의 저항이 변화하여 그의 저항변화를 가속도에 비례한 전압신호로하여 검출하도록 되어있다.
컨트롤 유닛(202)은 점화 판정회로를 갖추고 있으며, 이 점화판정회로에 상기 반도체 가속도센서로 부터의 신호가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센서(201)로부터의 충격신호가 어느 값을 초과한 시점에서 컨트롤 유닛(202)은 연산을 개시하여 연산한 결과가 어느 값을 초과할 때, 가스발생기(20)의 점화기(51,61)에 작동신호를 출력한다.
모듈케이스(203)는 예컨대 폴리우레탄으로부터 형성되어 모듈커버(205)를 포함하고 있다. 이 모듈케이스(203)내에 에어백(204) 및 가스발생기(200)가 수용되어서 패드모듈로서 구성된다. 이 패드모듈은 자동차의 운전석 쪽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통상 스티어링 휠(207)에 부착되어 있다.
에어백(204)은 나일론(예컨대 나일론(66)),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에서 형성되어 그 백 입구(206)가 가스발생기의 가스배출구를 둘러싸고, 접어 갠 상태에서 가스발생기의 플랜지부에 고정되어 있다.
자동차의 충돌 시에 충격을 반도체식 가속도센서(201)가 감지하면, 그 신호가 컨트롤 유닛(202)으로 이송되어 센서로부터의 충격신호가 어느 값을 초과한 시점에서 컨트롤 유닛(202)은 연산을 개시한다. 연산한 결과가 어느 값을 초과할 때 가스발생기(200)의 점화기(51,61)에 작동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점화기(12)가 작동하여 가스발생제에 점화하여 가스발생제는 연소하여 가스를 생성한다. 이 가스는 에어백(204)내에 분출하여 이것에 의해 에어백은 모듈커버(205)를 파열하고 팽창배출하여 스티어링휠(207)과 탑승원의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을 형성한다.
상기의 편심구조의 가스발생기는 AIM, 연통구멍, 커넥터, 자체축소식 필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한 다른 각 부품과도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에 기술하는 AIM, 연통구멍, 커넥터 또는 자체축소식 필터를 포함한 가스발생기 또는 에어백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에 개시된 AIM, 연통구멍, 커넥터 또는 자체축소식 필터는 상기의 편심구조에 적응하여 조합시켜 실시할 수 있다(AIM).
즉 본 발명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는 가스배출구를 가지는 하우징내에 충격에 의하여 작동하는 점화수단과, 그 점화수단에 의하여 착화·연소되는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연소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수용하여 이루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서, 그 하우징내에는 가스발생수단을 수용하는 2실 이상의 연소실이 구획되어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연소실내에는 전도열에 의해 착화·연소하는 자동발화재료(35)가 배치되어 있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연소실 끼리를 상호로 연통 가능하게 하는 연통구멍이 설치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복수의 연소실내에 수용되는 가스발생수단이, 각 연소실마다에 다른 타이밍으로 연소된다고 하면 이 자동발화재료(35)는 지연 타이밍으로 연소하는 가스발생수단의 수용된 연소실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그 자동발화재료(AIM)는 앞서 연소한 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하여 생긴 열의 전도에 의해 착화·연소할 수 있다. 이 자동발화재료는, 앞서 연소하는 가스발생수단을 착화하기 위한 점화수단이 작동한 후, 100밀리초 이상 지연되어 지연 타이밍으로 연소하는 가스발생제를 착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자동발화재료는 지연 타이밍으로 연소하는 (혹은 가스발생기의 작동후에 잔존하는 가능성이 있음) 가스발생수단을 착화·연소시키기 위한 점화수단에 포함되는 점화기에 조합하여 배치할 수 있다.
각 연소실마다의 다른 타이밍으로 가스발생수단을 연소시키는 가스발생기는 예컨대 점화수단을 상기 점화기의 작동에 의하여 착화되어 연소하는 전화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시에 그 전화약은 상기 각 점화기마다에 구분되어서 각 점화기마다에 독립하여 착화·연소하여 복수의 연소실내에 수용된 가스발생수단은 각각 다른 구분의 전화약이 연소한 화염에 의해 착화·연소되는 가스발생기로 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예컨대 하우징내에 가스발생수단을 수용하는 2개의 연소실을 설치하여 각 연소실마다에 앞서 연소하는 제 1의 가스발생수단과 지연 타이밍으로 연소하는 제 2의 가스발생수단을 각각 배치하여 다시 제 1의 가스발생수단을 착화하는 제 1의 점화수단, 및 제 2의 가스발생수단을 착화하는 제 2의 점화수단을 설치한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는 이 자동발화재료(AIM)는 제 2의 연소실 또는 제 2의 점화수단에 포함되는 점화기에 설치된다. 이 자동발화재료(35)로서는 하우징 등을 전하여 오는 제 1의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열에 의해 착화·연소하는 것이 사용된다.
하우징내에 가스발생수단을 수용하는 2개의 연소실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들 2개의 연소실을 하우징의 반경방향에 인접하여 동심원으로 설치, 더욱이 하우징내에 각 연소실 끼리를 상호로 연통 가능하게 하는 연통구멍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자동발화재료(AIM)는 적어도 하우징 등에서 전해지는 (최초에 연소한)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열(즉, 전도열)에 의해 착화·연소할 수가 있는 것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것으로는 예컨대 리트로셸룰로스 등이 있다.
단, 이것은 당연히 사용되는 가스발생수단의 종류나 그의 연소열을 전하는 전열부재(예컨대 하우징)및 최초로 연소하는 가스발생수단이 수용된 개소와의 거리등에 의하여 변할 수 있음으로 설계에 있어서 적절히 선택 채용될 필요가 있다.
상기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는 그 가스발생기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도입하여 팽창하는 에어백(백 몸체)과 동시에 모듈케이스내에 수용되어 에어백 장치로 이루어진다. 이 에어백 장치는 충격센서가 충격을 감지하는 것에 연통하여 가스발생기가 작동하여 하우징의 가스배출구에서 연소가스를 배출한다. 이 연소가스는 에어백 내에 유입하여, 이것에 의해 에어백은 모듈커버를 찢어서 팽창배출하여 차량중의 단단한 구조물과 탑승원과의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을 형성한다.
(AIM의 실시형태 1)
도 28은 본 발명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한 가스발생기는 특히 운전석 쪽에 배치하는데 적합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도면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에 있어서, 제 1의 연소실(1105a)과 제 2의 연소실(1105b)은 내통부재(1104)에 의해 구획형성되어서 하우징(803)내에 동심원상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내통부재(1104)의 내주면에는 소정의 높이에 단결부(1106)가 설치되어 이 단결부(1106)에는 제 2의 연소실(1105b)과 점화수단수용실(1108)을 구획형성하는 격벽(1107)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 격벽(1107)은 도 29의 분해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통부재(1104)의 단결부(1106)에 걸림하는 구획원형부재(1150)와 그 구획원형부재(1150)에 걸어맞춤하는 시일컵부재(1160)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획원형부재(1150)는 대략 평판원 형상으로서, 후술하는 시일컵부재(1160)의 전화약 수용부(1161)를 안으로 끼움하는 개구부(1151)와 바닥면을 원형상으로 도려서 빼내고 점화기(1112b)의 상부를 수용하는 원형구멍부(1152)와 그 원형구멍부의 대략 중앙에 관통하여 뚫어 설치된 제 2의 전화구멍(1119)을 가지고 있다. 또, 시일컵부재(1160)는 상기 구획원형부재(1150)의 개구부(1151)내에 끼워 넣어서 제 2의 연소실(1105b)내에 돌출하는 통형상의 전화약 수용부(1161)와, 상기 구획원형부재(1150)의 원형구멍부(1152)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전화약 수용부(1161)와 반대쪽으로 연재하는 통형상의 점화기 수용구(1162)를 가지고 있다. 이 전화약 수용부(1161)의 안쪽에는 제 1의 전화약(1116a)이 수용되어 있으며 또 점화기 수용구(1162)에는 제 2의 점화기(1112b)가 안으로 끼워져 있다. 이 구획원형부재(1150)와 시일컵부재(1160)는 그 시일컵부재(1160)의 전화약 수용부(1161)를 상기 구획원형부재(1150)의 개구부(1151)에 끼워 넣어서 걸어맞춤하여 있고, 점화기 수용구(1162)에 안으로 끼워진 제 2의 점화기(1112b)의 상부에는 구획원형부재(1150)의 원형구멍부(1152)내에 돌출하여 있다.
이 구획원형부재(1150)와 시일컵부재(1160)로부터 이루어진 격벽(1107)은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통부재(1104)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결부(1160)에 결합이 된다. 즉, 구획원형부재(1150)의 둘레가장자리가 단결부(1106)에 지지되어 시일컵부재(1160)는 그 구획원형부재(1150)에 맞닿아서 접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 이 시일컵부재(1160)의 둘레가장자리는 점화기 수용구(1162)와 동일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곡부(1163)는 내통부재(1104)의 내주면에 설치된 홈(1164)내에 끼워 넣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구획원형부(1150)는 시일컵부재(1160)에 지지되어서, 하우징(803)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있다. 또 이 시일컵부재(1160)의 둘레가장자리의 절곡부(1163)를 내통부재(1104) 내주면의 홈(1164)내에 끼워 넣음으로서, 격벽(1107)(즉 시일컵부재(1160)과 내통부재(1104)는 간격없이 걸어맞춤되어 있다. 따라서 내통부재(1104)내에 있어서, 클로져셸(802) 쪽에 설치되는 점화수단수용실(1108)과, 디퓨저셸(802) 쪽에 설치되는 제 2의 연소실(1105b)과는 그 시일컵부재(1160)와 홈(1164)과의 조합으로 된 점화수단 시일구조에 의해 확실하게 구획되어 있다.
상기 시일컵부재(1160)로 형성되는 점화기 수용구(1162)는 그의 가장자리부를 도려낸 형상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그의 안쪽 즉, 그 수용구(1162)에 수용된 제 2의 점화기(1112b)와의 사이에는 O링(1181)의 배치되어 그 수용구(1162)와 제 2의 점화기(112b)와의 사이의 시일이 행해져 있다. 또 이 O링(1181)은 후술의 점화기 고정부재(1182)에도 가압하여 있음으로 이 제 2의 점화기(1112b)는 구획원형부재의원형구멍부(1152) 시일컵부재의 점화기 수용구(1162)- 0링 (1181) -점화기 고정부재(1182)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획된 공간 내는 제 2의 점화기(1112b)가 작동함으로서 구획원형부재(1150)의 원형구멍부(1152)에 형성된 제 2의 전화구멍(1119)을 폐쇄하는 시일테이프(1120)가 파열하여 제 2의 연소실(1105b)과 연통한다. 그리고 제 1의 점화기(1112a)와 제 2의 점화기(1112b)는 점화기 수용구(1162)의 가장자리부- O링(1181) -점화기 고정부재(1182)로부터 이루어진 시일구조(이하, "점화기 시일구조"로 함)에 의하여 확실하게 분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어느 점화기의 작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화염은 다른 점화기가 수용된 공간 내에 직접 유입하는 일은 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2개의 점화기(1112a, 1112b)는 하우징내로의 배치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 단일의 기폭제 칼라(1113)에 고정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2개의 점화기(1112a, 1112b)는 기폭제칼라(1113)에 걸어맞춤하는 점화기 고정부재(1182)에 의하여 지지되어 그 기폭제칼라(1113)에 고정되어 있다. 이 점화기 고정부재(1182)는 기폭제칼라 (1113)의 윗면을 덮도록 한 형상으로서, 각 점화기의 상부를 끼워 통하고 또한 어깨부(1183)를 지지하는 구멍부(1184)를 가지고 있다. 기폭제칼라(1113)에 배치된 2개의 점화기(1112a, 1112b)는 기폭제칼라(1113)에 밖으로 끼우는 점화기 고정부재(1182)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점화기 고정부재(1182)를 사용함으로서 2개의 점화기(1112a, 1112b)를 용이하게 기폭제칼라(1113)에 조합시킬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는 제 1의 점화기(1112a)와 제 2의 점화기(1112b)는 다른 크기로형성되어 그 작용출력이 다른 것이 사용되어 있으나, 같은 작동출력의 점화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의 작용 시에 제 1의 점화기(1112a)가 작동에 의해 발생한 화염은 그의 위쪽에 배치된 제 1의 전화약(1116a)을 착화·연소시킨다. 이 제 1의 전화약(1116a)이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화염은, 상기의 점화기 시일구조에 의하여, 제 2의 점화기(1112b)가 수용되는 공간 내에 유입하는 일은 없으며, 또 시일컵부재(1160)의 절곡부(1163)와 내통부재(1104)의 홈(1164)로부터 이루어진 점화수단 시일구조에 의해, 제 2의 연소실(1105b)내에 유입하는 일도 없다. 따라서 이 제 1의 전화약(1116a)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화염은 내통부재(1104)의 둘레벽에 형성된 제 1의 전화구멍(1117)을 통하여 오로지 제 1의 연소실(1105a)내에 유입하여 제 1의 가스발생제(119a)를 착화·연소시켜서, 연소가스를 발생시킨다. 또, 제 2의 점화기(1112b)의 작동에 의하여 발생한 화염은 구획원형부재 (1150)의 원형구멍부(1152)에 형성된 제 2의 전화구멍(1119)을 통하여 오로지 제 2의 연소실(1105b)내에 유입하여 제 2의 가스발생제(1109b)를 착화·연소시켜 연소가스를 발생한다. 특히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스발생기에서는 제 2의 전화약은 배치되어 있지 않으며, 제 2의 가스발생제(1109a)는 제 2의 점화기(1112b)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화염에 의하여, 직접 착화·연소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제 1의 가스발생제(1109a) 및 제 2의 가스발생제(1109b)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연소가스는 그후, 공통의 쿨란트·필터(822)를 통과하는 사이에 정화·냉각되어 간격(825)을 통하여 가스배출기(826)에서 배출된다. 제 1 및 제 2의 전화구멍을 폐쇄하는 시일테이프(1118, 1120)는 점화기의 화염의 전화약의 연소가스가 통과할 때에 파열하여 가스배출구(826)를 폐쇄하는 시일테이프(827)는 연소가스가 통과할 때에 파열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점화기(1112a, 1112b)의 작동타이밍을 어긋나게 하여 가스발생제(1109a, 1109b)의 착화 타이밍, 즉 가스발생기의 작동성능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점화기(1112a, 1112b)가 배치되는 개소에는 각각의 점화기에 접속되는 리이드와이어(815')가 특정되도록 위치결정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위치결정수단은 예컨대 도 30(a) 내지 도 30(d)의 주요부 분해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점화기마다에 다른 형식의 커넥터(816')를 사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도 30(a)에 도시한 위치결정수단에서는 커넥터에 위치결정용의 홈(또는 돌기(817'))을 형성하여 이 위치결정용의 홈(또는 돌기)(817')에 대응하는 돌기(또는 홈(818'))의 형성위치가 각 점화기마다에 다른 것으로 하고 있다. 즉, 가스발생기에 커넥터(816')를 부착할 때 정규의 방향으로 커넥터(816')를 부착하지 않으면 커넥터끼리가 간섭하여, 정확히 부착할 수가 없도록 각 커넥터의 홈(또는 돌기)(817')의 위치를 바꾸고 있다. 도 30(b)에 도시한 위치결정수단에서는 어느 하나의 커넥터(821')에만 위치결정용의 홈(또는 돌기)(819')을 설치하고 있다. 즉, 홈(또는 돌기)(819')을 설치한 커넥터(821A')는 돌기(또는 홈)(820')를 설치하지 않은 쪽의 점화기(822b')에는 이어 맞춤할 수 있으나, 홈(또는 돌기)(819')을 설치하지 않은 커넥터(821b')는 돌기(또는 홈)(820')를 설치한 쪽의 점화기(822a')에는 이어 맞춤할 수가 없다. 그 결과 커넥터(821')의 접속사이의 잘못은 조립 시에 용이하게 깨닫게 된다. 도 30(c)은 각 커넥터의 접속 이어맞춤하는 부분(823') 자체의 형상이 각각 다른 것으로 하고 있다. 또 도 30(d)에서는 2개의 커넥터를 하나로 하여 다시 위치결정홈(또는 돌기)(824')을 형성하고 있다. 이 위치결정수단으로는 그외에도 커넥터의 접속의 잘못을 없게 하기 위한 수단을 적절히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도 제 1의 가스발생제(1109a)는 제 1의 점화기(1112a)의 작용에 의하여 또 제 2의 가스발생제(1109b)는 제 2의 점화기(1112b)의 작동에 의하여 각각 독립으로 착화·연소되나, 경우에 의하여는 제 1의 점화기(1112a)에만 전류를 흘리어 점화시켜 제 1의 연소실(1105a)내의 가스발생제(1109a)만을 착화·연소시키는 경우가 있다. 즉, 제 2의 가스발생제(1109b)및 제 2의 점화기(1112b)를 연소시키지 않고 남기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후의 처리·폐기 등에 때에 좋지 못함을 가져옴으로 가스발생기(제 1의 점화기(1112a)만이)의 작동후에, 제 2의 점화기(1112b)를 작동시키는 통상의 지연 착화의 타이밍(예컨대 10 내지 40밀리초 등) 보다도 더욱 지연시켜서 (예컨대 100밀리초 이상 등), 제 2의 연소실(1105b)의 가스발생제(1109b)를 연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2의 연소실(1105b)내에 제 1의 가스발생제(1109a)의 연소열의 전도에 의하여 착화·연소하는 자동발화재료(1185)를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자동발화재료(1185)에 의한 제 2의 가스발생제(1109b)의 착화는 제 1의 점화기(1112a)의 작동 후, 소정의 시간지연시켜서 제 2의 점화기(1112b)를 작동시키는 경우의 통상의 지연시간(즉, 점화기끼리의 작동간격)보다도 충분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행하여진다. 즉, 가스발생기의 작동성능을 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제 2의 가스발생제(1109b)의 연소를 지연시키는 (즉, 제 2의 점화기(1112b)의 작동을 지연시킴) 것과는 다르다. 가스발생기의 작동성능을 조정하기 위해, 임의로 제 2의 점화기(1112b)로의 작동전류를 지연시키는 사이에 제 2의 가스발생제(1109b)가 그 자동발화재료(1185)에 의하여 착화·연소시키는 일도 없다. 또한 이 자동발화재료(1185)는 제 2의 점화기에 조합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이 자동발화재료의 착화 타이밍은 제 1의 가스발생제의 연소열을 전하는 전열재료(예컨대 하우징)의 열전도율, 및 거리등에 의해 결정지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스발생제로서, 비아지드계의 가스발생제가 사용되어 있으며, 또 최초로 연소한 가스발생제의 연소열을 전하는 전열재료로서는 하우징 및/또는 내통부재가 해당한다. 또 자동발화재료는 제 2의 연소실에 있어서, 각 셸에 가까운 곳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그 셸에 접촉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발화재료의 제 2의 연소실로의 배치는 접착하던가, 혹은 자동발화재료만을 따로 용기에 넣어, 그 용기를 제 2의 연소실에 놓는 방법 등에 의하여 행할 수가 있다. 단 전열재료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자동발화재료를 배치한 가스발생기에서는 제 1의 가스발생제(1109a)만을 연소시켜, 제 2의 연소실(1115b)내에 배치된 제 2의 가스발생제(1109b)가 가스발생기의 작동후에 있어서도, 그대로 남은 경우에 있어서도 이것을 제 1의 가스발생제(1109a)의 연소에 기인하여 간접적으로 연소시킬 수가 있어, 가스발생기 작동후에 있어서도 아무런 지장을 가져오는 일없이 후처리·폐기등을 행할 수 있다.
제 1의 연소실(1105a)과 제 2의 연소실(1105b)은 내통부재(1104)에 의하여 구획형성되어 있다. 이 내통부재(1104)에는 관통구멍(1110)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관통구멍(1110)은 스테인리스판(1111)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이 스테인리스판(1111)은 접착제 등의 점착부재에 의하여 내통부재(1104)에 접착되어 있으며, 오로지 제 2의 가스발생제(1109b)의 연소에 의하여 관통구멍(1110)을 개구하여, 제 1의 가스발생제(1109a)의 연소에 의하여 개구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관통구멍(1110)을 스테인리스판(1111)으로 폐쇄하는 것은 제 1의 가스발생제(1109a)의 연소한 화염이 그 관통구멍(1110)을 통하여 제 2의 연소실(1105b)내에 유입하여 제 2의 가스발생제(1109b)를 연소시키는 일은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라면, 관통구멍(1110)을 스테인리스판(1111)으로 폐쇄하는 외에도 제 2의 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한 압력 등으로 파열, 박리, 소실 또는 벗겨지지 않도록 파열판을 내통부재에 용접·접착 또는 히트 시일하여 관통구멍(1110)을 폐쇄하던가, 혹은 내통부재(1104)의 둘레벽에 노치를 설치하던가, 혹은 내통부재(1104)의 둘레벽의 살 두께를 부분적으로 얇게 형성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더욱이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통부재(1104)에 설치된 관통구멍(1110)을 덮도록 하여 대략 링형상의 폐판(1186)을 배치할 수도 있다. 특히 도 31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의 양태에 있어서는 제 1의 가스발생제(1109a)의 연소에 의하여 연소가스가 발생하여도 관통구멍(1110)을 폐쇄하는 시일테이프는 차폐판(1186)에 의해 보호되어 있으므로써, 그 제 1의 가스발생제(1109a)의 연소에 의하여는 파열하지 않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통부재(1104)의 관통구멍(1110)은 오로지 제 2의 가스발생제 (1109b)의 연소에 의해서 개구하여 제 1의 가스발생제(1109a)의 연소에 의하여 개구하지 않으므로 최초에 제 1의 연소실(1105a)내에서 연소가스가 발생하여도, 이것이 제 2의 연소실(1105b)내에 유입하는 일없이 그 제 2의 연소실(1105b)내의 가스발생제(1109b)는 제 2의 점화기(1112b)의 작동(경우에 의하여는 상기 자동발화재료(1185)의 연소)에 의해 착화·연소된다. 제 2의 가스발생제(1112b)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연소가스는 그의 연소에 의하여 개구한 관통구멍(1110)을 통과하여 제 1의 연소실(1105a)내를 통하여, 그후 쿨란트·필터(822)에 의하여 정화·냉각되어서 가스배출구(826)에서 배출된다.
도 28중 부호 823은 쿨란트·필터(25)의 끝면과 디퓨저셸 천정부 내면과의 사이를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것을 저지하는 쇼트패스 방지부재이다.
(커넥터)
본 발명은 복수의 점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각 점화기마다에 점화 신호출력수단으로 부터의 작동신호가 출력되는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각 점화기와 점화신호 출력장치와의 접속의 잘못을 없이하고, 에어백 장치가 항상 소망의 출력으로 작동할 수 있는 다단식 가스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점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점화신호 출력수단으로부터 작동신호가 커넥터를 가지는 리이드와이어에 의하여 각 점화기마다에 이송되는 가스발생장치에 있어서, 그 커넥터에 한정수단을 설치, 점화신호 출력수단과 복수의 점화기를 복수의 리이드와이어에 의하여 접속할 때에 그의 접속이 유일한 조합에 한정되어 있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로한다.
즉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는 하우징내에 복수의 전기착화 점화기를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와, 충격에 의하여 점화기의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가 점화기와 동수 설치된 점화신호 출력수단과 커넥터를 가지는 복수의 리이드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로서 그 점화기와 출력부는 커넥터를 가지는 리이드와이어로 이어져 있으며, 그 커넥터는 어느 점화기와 출력부와의 단일 연결을 특정하는 한정수단을 가지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이다.
한정수단은 점화기와 출력부를 접속하는 리이드와이어의 적어도 한끝부에 존재하는 커넥터에 형성되어도 좋으며, 점화기와 점화신호 출력수단의 출력부를 접속하는 리이드와이어에 적어도 1개소 존재하는 중계 커넥터에 형성되어도 좋다.
리이드와이어는 가스발생기에 설치되는 전기착화식 점화기와 동수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복수의 점화기는 에어백 장치의 작동 시에 환경조건에 의하여 각각의 착화 타이밍이 조정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로한다.
이 한정수단은 점화기가 커넥터와 이어 맞춤하는 결합부를 구비한 경우에는 점화 신호출력수단의 출력부로부터 뻗은 리이드와이어를 각 점화기에 결합시키는 커넥터, 및 각 점화기의 결합부에 형성할 수 있으며, 또 점화신호 출력수단의 출력부가 커넥터와 이어 맞춤하는 결합부를 갖춘 경우에는 상기 한정수단은 가스발생기로부터 뻗은 리이드와이어를 출력부에 결합시키는 커넥터, 및 출력부의 결합부에 형성할 수 있다. 또 중계 커넥터는 플러그 부분과 잭부분 등에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각 부분은 각각 결합부를 갖추어, 한정수단은 가스발생부에서 뻗은 리이드와이어와 촐력부로부터 뻗은 리이드와이어를 결합하는 중계 커넥터의 플러그 부분과 잭부분의 결합부에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커넥터와 결합부가 각각 전도성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커넥터와 결합부를 이어 맞춤하는 것으로 각각의 전도성 부분이 접촉하여 점화신호 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점화신호를 각 점화기에 통전가능한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한정수단은 상기 커넥터의 전도성 부분의 형상, 수 또는 위치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예컨대 커넥터의 전도성 부분을 볼록 또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것에 이어 맞춤 가능한 것 같이 결합부의 전도성 부분을 각각 오목 또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각 리이드와이어에 설치된 커넥터가 가소성의 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 가소성의 부재에 한정수단을 설치, 이것에 의해 복수의 커넥터 끼리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더욱이 한정 수단에 관하여는 복수의 리이드와이어를 하나의 커넥터에 구속시켜서 이 커넥터에 한정수단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다단식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점화신호 출력수단과 점화기를 이어서 또한 작동신호를 전하는 리이드와이어에 한정수단을 설치한 커넥터를 사용하면, 점화기-커넥터-작동신호출력수단 출력부의 단일 이어짐을 특정할 수 있다.
이 다단식 에어백 장치에는 가스배출구를 가지는 디퓨저셸과 그 디퓨저셸과동시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클로져셸로부터 이룬 원통형상 하우징을 가지고 있는 가스발생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점화기는 서로 그 하우징의 축과 같은 방향으로 나란히 하여 클로져셸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본 발명은 가스배출구를 가지는 하우징내에 전기신호에 의하여 작동하는 복수의 점화기와, 그 점화기의 작동에 기인하여 연소 및/또는 팽창하여 작동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수용하여 이룬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서, 각 점화기는 점화 신호 출력수단의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작동신호를 전하는 리이드와이어의 선단에 배치된 커넥터를 이어 맞춤하기 위한 결합부를 가지고 있으며, 그 결합부에는 어느 커넥터 만이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한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를 제공한다. 특히 이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는 상기 다단식 에어백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이 가스발생기는 에어백 장치에 조립하여 넣을 때에 점화신호 출력수단으로부터의 작동신호를 전하는 리이드와이어의 선단에 설치된 커넥터를 이어 맞춤하기 위한 결합부를 가지고 있으며, 이 결합부에는 어느 커넥터만을 이어 맞춤 가능한 한정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한정수단으로서는 예컨대 점화기중의 점화신호 출력수단으로부터의 작동신호를 수령하는 전도성 부분의 형상, 수 및/또는 위치를 각 점화기마다 다른 것으로서 형성함으로써 그것에 맞는 특정의 커넥터만을 이어 맞춤 가능하게 하는 외에 점화기의 결합부의 형상을 특정의 커넥터만 상보적으로 끼워 맞춤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실행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예컨대 각 점화기마다 위치 및/또는 형상이 다른 홈 및/또는 돌기를 그의 결합부에 형성할 수 있다.
이 가스발생기는 2개 이상의 점화기를 포함한 것이라면 좋고, 에어백(백 몸체)를 팽창시키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수단은 고형의 가스발생제라도 가압가스라도 좋다. 또 가스발생기는 운전석 쪽에 배치하는 것에 적합한 형상이나 조수석 쪽에 배치하는데 적합한 형상이라도 좋다. 이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는 하우징내에 점화기와 동수의 연소실을 설치, 각각의 점화기에 의하여 각 연소실내의 가스발생수단을 연소 또는 팽창시키는 구조의 가스발생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다단식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점화신호 출력수단(출력부)과 점화기와의 접속방법을 제공한다.
즉, 가스발생기에 포함되는 복수의 점화기에 점화신호를 발생하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한 점화신호 출력수단과, 그 가스 발생기에 포함하는 복수의 점화수단을 접속하는 접속방법으로서, 각 점화기는 각각 커넥터를 가지는 리이드와이어에 의하여 점화수단 출력장치에 접속되어 있으며, 각 점화기와 점화수단 출력장치 출력부는 한정수단에 의하여 양자간의 접속이 특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방법이다.
이 한정수단으로서는, 각 점화기마다 설치되는 전도성 부분의 형상, 수 및/또는 위치를 각 점화기마다에 다른 것으로서 형성하는 외에, 각 커넥터와 결합부와의 조립함이 단일하게 되도록 양자를 상보적으로 끼워맞춤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 각각의 점화기에 설치되는 결합부에 각 점화기마다 위치및/또는 형상이 다른 홈 및/또는 돌기를 형성함으로서 실현할 수 있다.
통상 가스발생기 및 에어백(백 몸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듈은, 운전석용, 조수석용 또는 후부좌석용 등 그것을 배치하는 장소에 따라서 크기·형상 등이 다르나, 본 발명의 다단식 에어백 장치는 이들 모듈의 형상·크기 등과는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 운전석용, 조수석용 또는 후부좌석용 등 그의 형상·크기가 다른 경우라도 실시할 수 있다.
상기의 다단식 에어백 장치에 사용되는 작동신호 출력장치는 복수의 작동신호출력부를 가지며, 또한 그의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작동신호의 출력타이밍을 조정가능하며, 더욱이 충격을 감지하여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라면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충격을 감지할 부분과 그 충격의 정도를 판단하여 출력신호를 컨트롤하는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양자가 일체 또는 분리체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묻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다단식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백 몸체)의 전개 패턴을 최적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작동신호 출력수단이 충격을 감지하면 작동신호의 출력타이밍을 조정하여 가스발생기에 포함되는 각 점화기의 작동타이밍을 조정한다.
그때에, 점화신호 출력수단과 각 점화기를 접속하는 리이드와이어의 커넥터에는 각각 한정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동신호 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작동신호는 확실하게 특정의 점화기, 즉 당초 작동을 예정하는 점화기에 이송되어 점화신호 출력수단과 점화기와의 접속미스에 의해 에어백 장치의 작동성능의 변화는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이 다단식 에어백 장치는 보다 확실하게 에어백의 전개패턴을 최적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커넥터의 실시형태)
이하, 도면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의거, 본 발명의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단식 에어백 장치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한 다단식 에어백 장치는, 2개의 점화기(108a, 108b)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101)와 충격에 따라서 각 점화기에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작동신호 출력수단(10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중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101)는 그 가스발생기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작동가스를 도입하여 부풀어오른 에어백(103)과 동시에 모듈케이스(104)내에 수용된다.
작동신호 출력수단(102)은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105)와 그 충격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여 점화기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 유닛(106)으로 구성되어 있다.
충격센서(105)는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며, 예컨대 반도체식 가속도 센서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반도체식 가속도 센서는 가속도가 가하여지면 휘어지도록 된 실리콘기판의 비임상에 4개의 반도체 변형 게이지가 형성되어 이들 반도체 변형 게이지는 브리지 접속되어 있다. 가속도가 가하여지면 비임이 휘어지고 표면에 변형이 발생한다. 이 변형에 의해 반도체 변형 게이지의 저항이 변화하여 그의 저항변화를 가속도로 비례한 전압신호로서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컨트롤 유닛(106)은 점화 판정회로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반도체식 가속도센서로부터의 신호는 이 점화 판정회로에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센서(105)로부터의 충격신호가 어느 값을 초과한 시점에서 컨트롤 유닛(106)은 연산을 개시하여 연산한 결과가 어느 값을 초과할 때, 가스발생기(101)의 각 점화기(108a, 108b)에 작동신호를 출력한다.
모듈케이스(104)는 예컨대 폴리우레탄으로부터 형성되어 모듈커버(129)를 포함하고 있다. 이 모듈케이스(104)내에 에어백(103) 및 가스발생기(101)가 수용되어서 패드모듈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패드모듈은, 자동차의 운전석 쪽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통상 스티어링휠(130)에 부착되어 있다.
에어백(103)은 나일론(예컨대, 나일론 66)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으로부터 형성되어 그의 백 구멍(131)이 가스발생기의 가스배출구를 둘러싸고 접어 개어진 상태에서 가스발생기의 플랜지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 이루어진 다단식 에어백 장치는 자동차의 충돌 시에 충격을 반도체식 가속도센서(105)가 감지하면 그의 신호가 컨트롤 유닛(106)에 이송되어 센서에서 충격신호가 어느 값을 초과한 시점에서 컨트롤 유닛(106)은 연산을 개시한다. 연산한 결과가 어느 값을 초과할 때 작동 타이밍을 조정하여 각 점화기(108a, 108b)에 작동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각 점화기(108a, 108b)는 작동하여 가스발생제를 착화·연소시켜서 연소가스를 생성한다. 이 가스는 에어백(103)내에 분출하여 이것에 의하여 에어백은 모듈커버(129)를 파열하고 팽창배출하여 스티어링휠(130)과 탑승원의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쿠숀을 형성한다.
컨트롤 유닛(106)으로부터 출력되는 작동신호는 컨트롤 유닛(106)중 각 점화기(108a, 108b)마다 설치되는 출력부(107)에서 출력된다. 이 출력부(107)는 가스발생기(101)에 포함되는 점화기(108)의 수 이상,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이상 설치되어 있다. 각 출력부(107a,107b)에서 출력되는 작동신호는 각 점화기의 작동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해 각각 다른 타이밍으로 작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각 출력부(107a,107b)로부터 출력되는 작동신호는 점화기(108a,108b)와 동수 존재하는 리이드와이어(109a,109b)에 의하여 각각 가스발생기(101)에 포함되는 각 점화기(108a,108b)에 전하여진다. 이 경우 어느 점화기에 잘못하여 다른 리이드와이어(109)를 접속하여 버리면 소망하는 작동출력을 얻을 수 없게 된다. 그래서 각 출력부(107a,107b)와 점화기(108a,108b)를 접속하는 각각의 리이드와이어(109a, 109b)에는 커넥터(110a,110b)를 설치, 각 커넥터(110a,110b)에 한정수단을 설치함으로서 제 1의 출력부(107a)로부터 출력되는 작동신호가 제 1의 점화기(108a)에, 제 2의 출력부(107b)로부터 출력되는 작동신호가 제 2의 점화기(108b)에 확실하게 보내어지도록 하여 구성하여 있다. 이 한정수단에 관하여는 점화기(108)나 컨트롤 유닛(106)의 구조 또는 점화기(108)와 출력부(107)를 이은 리이드와이어(109)의 형상 등에 의해 다른 것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다단식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출력부(107a,107b)에서 뻗은 각 리이드와이어(109a,109b)의 선단에 커넥터(110a,110b)를 설치, 각각의 커넥터(110a,110b)를 각 점화기(108a,108b)의 결합부(111a,111b)에 이어 맞춤시키는 경우에는, 각각의 커넥터(110a,110b) 및 결합부(111a,111b)에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한정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이드와이어(109)의 커넥터(110)가 점화기에 이어 맞춤하는 경우에는 점화기로서는 컨트롤 유닛(106)으로부터의 작동출력을 받는 전도성 부분, 즉 전도핀(112)을 가지는 것이 사용된다.
도 12에 도시한 한정수단은, 가스발생기중 각 점화기마다에 결합부의 형상을 다른 것으로 하던가 혹은 위치 및/또는 형상이 다른 홈 및/또는 돌기를 형성하여 있다. 도 12(a)에 도시한 한정수단에서는 각 커넥터(110a,110b)에 위치결정용의 홈(또는 돌기)(117)을 형성하여, 이 위치결정용의 홈(또는 돌기)에 대응하는 돌기(또는 홈)(118)의 형성위치가 각 점화기마다에 다른 것으로 하고 있다. 본 도면에 도시한 한정수단에서는, 가스발생기에 커넥터(110a,110b)를 부착할 때, 정규의 방향으로 커넥터를 부착하지 않으면 커넥터끼리가 간섭하여 정확히 부착할 수가 없도록 각 커넥터의 홈(또는 돌기)(117)의 위치를 바꾸고 있다. 도 12(b)에 도시한 한정수단에서는 어느 하나의 커넥터(110b)에만 위치결정용의 홈(또는 돌기)(119)을 설치하고 있다. 즉, 홈(또는 돌기)(119)을 설치한 커넥터(110b)는 돌기(또는 홈)(120)를 설치하지 않은 쪽의 점화기(108a)에는 이어 맞춤할 수가 있으나, 홈(또는 돌기)(119)을 설치하지 않는 커넥터(110a)는 돌기(또는 홈)(120)를 설치한 쪽의 점화기(108b)에는 이어 맞춤할 수가 없다. 그의 결과, 커넥터의 접속의 잘못은 조립시에 용이하게 깨달을 수가 있다. 도12c는 각 커넥터(110a,110b)의 접속 이어맞춤하는 부분(116)자체의 형상이 각각 다른 것으로 하고 있다. 도 12(d)에서는 2개의 커넥터를 하나로 하여, 더욱이 위치결정홈(또는 돌기)(124)을 형성하고 있다.
또 도 11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와 같이, 커넥터가 이어 맞춤하는 결합부에는전도성부분으로서 전도핀(112)이 존재하여, 결합부(111)의 전도성부분(전도핀(112))과 커넥터(110)의 전도성 부분이 이어 맞춤하여 통전가능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점화기마다 전도핀(112)의 형상, 수 또는 위치를 다르게 한 것으로 하여 그것에 따른 커넥터(110)의 통전부분의 형상, 수 또는 위치를 다르게 함으로서 실현할 수 있다.
도 13은 각 점화기마다에 다른 것으로 한 전도핀의 양태를 도시한다. 도 13(a)은 각 점화기(108a,108b)마다에 전도핀(112)의 형상 자체가 다른 경우를 도시하며, 도 13(b)는 각 점화기(108a,108b)마다 다른 위치에 전도핀(112)을 형성한 경우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전도핀의 양태는 각각의 점화기마다에 유일하게 되도록 한 것이라면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에 있어서 커넥터(110a,110b) 쪽의 전도성 부분은 이어 맞춤하는 점화기(108a,108b)의 전도핀(112)의 형태에 맞추어서 그의 형상이나 형성위치 또는 수가 조정되어 있다. 또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점화기(108a,108b)마다에 다른 위치에 전도핀(112)을 형성한 경우, 그것에 이어 맞춤하는 커넥터(110a,110b)는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커넥터(110a,110b)를 이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한정수단을 설치하여 점화기와 커넥터(110a,110b)를 접속하는 경우, 각각의 커넥터(110a,110b)는 더욱이 각 커넥터(110a,110b)에 접속하는 리이드와이어(109a,109b)를 동일방향으로 끌어내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 이 인출하는 방향은 하우징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지런히 하여 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10에 도시한 다단식에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이드와이어(109a,109b)의 끝부에 커넥터(113a,113b)를 설치, 각각의 커넥터(113a,113b)를 각 출력부(107a,107b)의 결합부(114a,114b)에 이어맞춤시키는 경우에는 각각의 커넥터(113a,113b) 및 결합부(114a,114b)에는 상기 도 12에 도시한 점화기 쪽의 한정수단과 마찬가지의 한정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즉, 각 출력부(107a,107b)의 결합부(114a,114b)의 형상을, 각 커넥터(113a,113b)마다에 다른 것으로 하든가, 혹은 위치 및/또는 형상이 다른 홈 및/또는 돌기를 형성한다. 이 경우, 각 커넥터(113a,113b)는 각각의 이어 맞춤하는 출력부(107a,107b)의 결합부(114a,114b)에 맞추어서 그의 형상이나 홈 및/또는 돌기의 형성위치 및/또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각 출력부(107a,107b)의 결합부(114a,114b)가 전도성부분으로서 기능하는 전도핀(115a,115b)을 가지는 경우에는 그 전도핀(115a,115b)은 상기 도 13에 도시한 양태에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점화신호 출력수단(본 형태에 있어서는 컨트롤 유닛(106))에, 리이드와이어(109)의 커넥터(113)가 이어 맞춤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의 경우에는, 각 출력부(107a,107b)의 결합부(114a,114b) 및 커넥터(113a,113b)에 한정수단을 설치함으로서, 제 1의 출력부(107a)에는 커넥터(113a)를 통하여 리이드와이어(109a)가 접속되어, 제 2의 출력부(107b)에는 커넥터(113b)를 통하여 리이드와이어(109b)가 접속된다. 따라서, 각 점화기(108a,108b)와 리이드와이어(109a,109b)와의 접속에 있어서, 상기 도 12 및 도 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한정수단을 시행하면, 제 1의 출력부(107a)로부터 출력되는 작동신호는 반드시 제 1의 점화기(108a)에 입력하여,제 2의 출력부(107b)에서 출력되는 작동신호는 반드시 제 2의 점화기(108b)에 입력하는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하여, 그 다단식 에어백 장치에서는 확실하게 소기의 작동 성능을 얻을 수가 있다.
더욱이, 도 10에 도시한 다단식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화신호 출력수단(본 형태에 있어서는 컨트롤 유닛(106))의 출력부(107a,107b)와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본 형태에 있어서는 점화기(108))를 접속하는 리이드와이어가 그의 도중에 중계 커넥터(125a,125b)가 설치되어 접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의 중계 커넥터(125a,125b)에도 한정수단을 시행할 수 있다. 즉, 중계 커넥터(125a)는 그의 플래그(125a1)와 잭(125a2)에 또 중계 커넥터(125b)에는 그의 플러그(125b1)와 잭(125b2)에 각각 상기 도 12 및 도 13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한정수단을 설치한다. 이러한 한정수단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125a1)가 잭(125a2)에만 이어 맞춤이 가능하게 되고 또, 플러그(125b1)가 잭(125b2)에만 이어 맞춤이 가능하게 된 것과 같은 커넥터 자체의 형상이나 오목, 볼록의 유무, 혹은 전도핀의 위치·형상 등을 조정함으로서 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중계 커넥터(125a,125b)마다 그의 플러그 쪽(125a1,125b1)의 각 전도핀(121)의 형성위치를 달리하던가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중계 커넥터(125a,125b)마다에 그의 플러그 쪽(125a1,125b1)의 각 전도핀(121)의 형상을 다르게 하는 혹은 도 16(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커넥터(125a,125b)의 형상 자체를 다르게 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계 커넥터에 한정수단을 설치하는 방법은, 예컨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발생기에 설치되는 각 점화기(126a,126b)가 커넥터를 직접 이어 맞춤하는 것이 아닌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즉 점화기가 커넥터를 이어 맞춤하는 결합부를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도 12 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한정수단을 설치할 수가 있으나,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점화기(126a,126b)에서 리이드와이어(127a,127b)가 직접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점화기(126a,126b)에 직접 커넥터를 이어 맞춤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각 점화기(126a,126b)에서 연장되는 리이드와이어(127a, 127b)의 선단에 커넥터(128a,128b)를 설치, 이것에 상기 중계 커넥터(125a,125b)를 이어 맞춤시킨다. 그리고 각각의 커넥터에 상기 한정수단을 설치, 커넥터(128a)에는 중계 커넥터(125a)가, 커넥터(128b)에는 중계 커넥터(125b)가 각각 이어 맞춤하면 제 1의 리이드와이어(126a)에서 이송되는 작동신호는 확실하게 제 1의 점화기(126a)에 전하여지며, 제 2의 리이드와이어(126b)에서 보내지는 작동신호는 확실하게 제 2의 점화기(126b)에 전하여진다.
상기의 구성·방법에 의하여 이 다단식 에어백 장치에서는 출력부와 점화기와의 접속 미스가 없게 되어 점화신호 출력수단중 컨트롤 유닛(106)의 각 출력부(107a,107b)에서 출력되는 점화기의 작동신호는 확실하게 소기의 점화기에 전하여 질 수가 있다. 따라서 이 다단식 에어백 장치에서는, 확실하게 소기의 작동성능을 얻을 수가 있다.
도 18은 상기 다단식 에어백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즉 본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는, 상기 다단식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점화신호 출력수단에 접속하는 각 리이드와이어 선단의 커넥터(110a,110b)를 특정하여 걸어 맞춤이 가능하게 하는 한정수단이 설치된 가스발생기이다.
본 가스발생기는 하우징(132)내에 가스발생제를 수용하는 2개의 연소실(133a,133b)을 설치, 각 연소실마다에 각각 배치된 가스발생제(134a,134b)를 연소시키기 위한 2개의 점화기(135a,135b)가 수용되어 있다. 하우징내에 배치되는 각 점화기는 독립하여 작동할 수가 있어 하나의 점화기의 작동에 의해 어느 하나의 연소실내의 가스발생제가 착화·연소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가스발생기는 각 연소실(133a,133b)내의 가스발생제(134a,134b)는 어느 점화기(135)의 작동에 의해서만 착화·연소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점화기(135a,135b)끼리의 작동타이밍을 조정하면 각 연소실내의 가스발생제(134a,134b)의 연소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 가스발생기, 나아가서는 에어백 장치의 작동성능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의 점화기(135a)가 작동하면 전화약(136)이 연소하여 이 화염은 제 1의 전화구멍(150)에서 제 1의 연소실(133a)내에 분출하여, 그중에 수용된 제 1의 가스발생제(134a)를 착화·연소시킨다. 또 제 2의 점화기(135b)는 제 1의 점화기와 동시 혹은 약간 지연되어 작동하여 그의 화염은 제 2의 전화구멍(150b)을 통하여 제 2의 연소실내에 분출한다. 이 화염에 의해 제 2의 가스발생제는 착화·연소하여 작동가스를 발생시켜, 내통부재(151)의 관통구멍(152)을 통하여 제 1의 연소실(133a)내에 분출한다. 제 1의 가스발생제(134a) 및 제 2의 가스발생제(134b)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작동가스는, 쿨란트·필터(137)를 통과하는 사이에 정화·냉각되어서 가스배출구(153)에서 배출된다.
본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는, 점화기(135)에는 그의 작동에 의해 착화·연소하여 가스발생제를 효율적으로 연소시킬 수가 있도록 한 전화약(136)을 조합할 수 있다. 또 가스발생제(134)가 연소할 때에 연소찌꺼기도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의 연소찌꺼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를 배치할 수가 있으며, 또 연소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쿨란트를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소가스의 정화·냉각을 다하는 쿨란트·필터(137)를 사용하고 있다.
본 가스발생기에 있어서, 2개의 점화기는 각각 점화기 칼라(138)에 수용되어서 하우징(132)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점화기 칼라중, 점화기(135)가 수용된 개소에는 결합부(139)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부에는 그 가스발생기를 사용하여 에어백 장치를 형성할 때, 점화신호 출력수단에서 뻗은 리이드와이어(109)의 선단의 커넥터(110)가 각각 이어 맞춤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에서는, 결합부(139)에는 한정수단(1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점화신호 출력수단으로부터의 작동신호를 각 점화기(135a,135b)에 전하는 복수의 커넥터(110a,110b)의 안에, 하나의 결합부(140)에 이어 맞춤 가능한 커넥터(110a)를 특정할 수 있다. 즉, 이 한정수단(140)은 각 점화기(110a,110b)마다 다른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예컨대 상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점화기(125a,125b)마다 결합부(139a,139b)의 형상을 달리한 것으로 하던가, 혹은 위치 및/또는 형상이 다른 홈 및/또는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점화기(135a,135b)마다에 각 결합부(139a,139b)에 돌기하는 점화기의 전도핀(141)의 형상 또는 위치 등을 달리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형의 가스발생제를 사용한 운전석 쪽에 배치하는 데 적합한 가스발생기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그외에도 조수석 쪽에 배치하는데에 적합한 축방향으로 긴 가스발생기, 또는 고형의 가스발생제에 대신 가압가스를 사용한 가스발생기라도 2개이상의 점화기를 가진 것이라면 실시할 수 있다.
또 2개의 점화기는 반드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 평면상에 병치할 필요는 없고, 다른 면, 예컨대 윗면과 아래면과 배치한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도 당연히 실시할 수 있다.
(자체축소식 필터)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필터수단은 전체로 대략 통형상으로서 적어도 어느 축방향 끝면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좁아지듯이 경사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필터수단은 가스발생기의 작동으로 생기는 작동가스에 의하여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팽창배출한다. 이 팽창배출에 의해, 필터수단은 하우징내의 지지 및/또는 지지부재의 맞닿고 또한 끝면의 경사에 의해 축방향으로 수축되어 가스발생기의 작동시에 있어서, 필터수단 끝면에 있어서 작동가스의 쇼트패스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필터수단은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작동가스를 정화 및/또는 냉각하기 위한 통형상 필터수단으로서, 축방향 끝면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은 축심 연신방향으로 향하여 좁아져 경사지고 또한 내주면과의 내각이 예각으로 이룬 경사끝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이 필터수단은, 가스발생기의 작동에서 생기는 작동가스에 의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팽창배출하는 것으로 하면, 그 필터수단은 선재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또 적어도 반경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터수단으로서는 작동가스가 고온의 경우에 그것을 냉각하기 위해 사용되는 쿨란트 외에, 작동가스중에 함유되는 연소찌꺼기 등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 더욱이 양 기능을 아울러 갖는 쿨란트·필터 등, 그의 빈틈 내를 작동가스가 통과하는 것이 모두 포함이 된다. 이 필터수단은, 전체로 대략 통형상으로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의 축방향 끝면에 경사끝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사끝면은 필터수단의 축심 연신방향으로 향하여 좁아지듯이 경사하는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끝면이 경사하는 경우에는 반경방향바깥쪽으로 하강하도록 경사하여, 하부끝면이 경사하는 경우에는 반경방향바깥쪽으로 상승하도록 경사한다. 즉, 이 필터수단은 경사단면이 형성된 경사부와 그 경사부에 축방향으로 이어져서 둘레면을 형상하는 직통부로 구성되어 있다. 경사부는 직통부의 축방향 양쪽에 설치되어도 좋고, 또 어느 한쪽에만 설치하여도 좋다.
이 필터수단은, 예컨대 각종 선재를 사용하여 형성된 철망을 통형상으로 적층시켜서 적층철망 필터를 형성하여 이것을 압축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선재를 사용하여 형성된 철망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강제 철망이 사용되어, 철망재료의 스테인리스강으로서는, SUS304, SUS310S, SUS316(JIS 규격기호)등을 사용할 수 있다. SUS304(18Cr-8Ni-0.06C)계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서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선재를 사용하여 형성된 필터수단은 적어도 반경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것으로서 형성하면 한층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필터수단을 사용하여 작동가스의 쇼트패스를 효과적으로 방지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는 가스배출구를 가지는 하우징내에 충격에 의하여 작동하는 점화수단과, 그 점화수단의 작동에 의해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과, 그 작동가스를 정화 및/또는 냉각하는 통형상 필터수단을 포함 수용하여 이룬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서, 그 필터수단은 축방향끝면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에 축심연신방향으로 향하여 좁아들고, 또한 내주면과의 내각이 예각으로 되도록 경사하는 경사끝면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하우징내에는 그 필터수단의 경사끝면에 대향하는 지지부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하우징내에 설치되는 지지부는 예컨대 필터수단의 경사끝면과 대향하는 내면, 즉 필터수단이 배치되는 개소의 축방향으로서 필터수단의 경사끝면이 설치되는 쪽의 내면에, 그 경사끝면과 대략 같은 기울기의 경사면을 형성하여, 이 하우징의 경사면을 지지부로 하는 외에, 하우징내의 필터수단 끝면의 축방향으로서, 그 경사끝면이 형성된 쪽에 필터수단의 경사끝면에 대향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필터수단 지지부재를 배치하여 그 지지부재의 경사면을 상기 지지부로 할 수 있다.
필터수단은, 그의 축방향 양쪽의 끝면을 경사끝면에 형성한 것을 사용하는 외에 어느 한쪽의 축방향 끝면을 경사끝면에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이 필터수단은 둘레면을 형성하는 직통부와 경사끝면이 형성된 경사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경사부는 직통부의 축방향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에 설치되어 있다. 축방향 양끝면에 경사끝면(경사부)을 형성한 필터수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우징내에 설치되는 지지부는 필터수단이 배치되는 개소의 축방향 양쪽에 설치된다. 그리고 축방향 끝면의 어느 한쪽에 경사끝면(경사부)을 형성한 필터수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우징내에 설치된 지지부는 필터수단 끝면의 축방향으로서 필터수단의 경사끝면(경사부)쪽에 설치된다. 이 경우, 하우징내의 필터수단끝면에 대하여는 지지부와 축방향 반대쪽, 즉 경사끝면의 반대쪽에는 환상부와 외주벽을 가지는 리테이너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리테이너는 그의 외주벽 내면을 필터수단의 끝부 외주면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그 끝부 외주면을 맞닿아·지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를 배치하는 대신에 필터수단의 경사끝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끝면 쪽의 외경을 크게 형성하여 하우징의 둘레벽부 내면에 맞닿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이 필터수단은, 직통부의 팽창배출변형을 바라지 않는 경우, 예컨대 하우징내면과 필터수단 외면과의 사이의 공간의 확보가 소망되는 경우에는 직통부 외주면에 다공원통형상의 펀칭메탈 또는 권선 등에서 이룬 팽창배출 방지수단을 설치, 직통부와 팽창배출을 방지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한 경우, 필터수단의 끝부의 경사부만이 팽창배출하여 이것이 지지부에 맞닿아·지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스발생기는, 그의 전체형상에 의한 제한은 없는 것이므로, 예컨대 축방향으로 긴 원통상의 가스발생기라도 반경방향으로 넓은 원통상의 가스발생기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 하우징내에 배치되는 점화수단은 충격에 의하여 작동하는 것이라면, 충격에 의하여 출력되는 전기신호로 작동하는 점화기, 혹은 이 점화기와 점화기의 작동에 의해 착화·연소하는 전화약을 조합시켜 구성되는 것 등, 가스발생수단으로부터 작동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공지의 점화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하우징내에 수용되어 점화수단의 작동에 의해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으로서는, 작동한 점화수단에 의하여 착화되어서 연소하여 작동가스를 발생시키는 고형의 가스발생제나 가열되어서 팽창하여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압가스를 사용하는 외에 더욱이 이것들을 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스발생제로서는,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무기아지드, 예컨대 나트륨아지드(아지화나트륨)에 의거한 아지드계 가스발생제외에 무기아지드에 의거하여 비아지드계 가스발생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가압가스로서는 산소 및 불활성가스의 혼합물등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는 고형의 가스발생제를 사용한 화공식 가스발생기 및 가압가스와 고형의 가스발생제를 병용한 하이브리드타입의 가스발생기의 어느 것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의 작동은, 점화수단이 작동하면 가스발생수단에서 작동가스가 발생하여 이 작동가스는 필터수단을 통과하는 사이에 정화·냉각되어 그후 가스밸출구에서 배출된다. 작동가스가 필터수단을 통과할 때에는 필터수단은작동가스의 압력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팽창배출하나, 이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는 필터수단은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의 축방향끝면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좁아지도록 경사한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또 하우징내에는 그 필터수단의 경사면과 대향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반경방향으로 팽창배출한 필터수단은, 그의 경사면이 하우징내의 지지부에 맞닿아, 또 그의 경사에 의해 약간 축방향으로 수축하는 것이 된다. 이것에 의해서, 필터수단의 끝면은 강하게 지지부에 압접됨으로 필터수단의 경사면(즉, 끝면)과 지지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작동가스의 쇼트패스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는 실현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내에 그의 반경방향 바깥쪽에 향하여 좁아지듯이 경사된 지지부를 설치하여 작동가스의 통과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팽창배출한 필터수단을 그 지지부의 경사에 의해 축방향으로 수축시키는 동시에 지지부에 압접시켜, 필터수단과 지지부와의 사이의 작동가스의 통과를 저지하는 작동가스의 정화 및/또는 냉각방법을 사용하면 보다 제조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스발생기는, 이 가스발생기에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에어백(백 몸체)과 동시에 모듈케이스내에 수용되어 적어도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가스발생기를 작동시키는 충격센서와 조합되어 에어백 장치로된다. 이 에어백 장치는 충격센서가 충격을 감지하는 것에 연동하여 가스발생기가 작동하여 하우징의 가스배출기에서 연소가스를 배출한다. 이 연소가스는 에어백 내에 유입하여 이것에 의해 에어백은 모듈커버를 파열하고 팽창배출하여 차량중의 단단한 구조물과 탑승원과의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을 형성한다.
(자체축소식 필터의 실시형태 1)
도 19는 본 발명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특히, 본 도면에 도시한 가스발생기는 연소에 의하여 작동가스를 발생시키는 화공식가스 발생기로서, 축방향보다도 지름방향으로 긴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도시한 가스발생기는, 가스배출구(310)를 가지는 디퓨저셸(301)과 그 디퓨저셸과 동시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클로져셸(302)과 접합하여 이룬 대략 원통형상의 하우징(303)내에 둘레벽에 복수의 관통구멍(320)을 설치한 통형상의 내통부재(304)를 동심원으로 배치하여, 그 내통부재(304)의 바깥쪽을 제 1의 연소실(305a)로 하고 있다. 내통부재의 안쪽은 시일컵부재(106)와 구획원형부재(307)로 구성된 격벽(321)에 의해 축방향으로 인접하도록 2실에 구획형성되어 그중의 디퓨저셸(301) 쪽을 제 2의 연소실(305b), 클로져셸(302) 쪽을 점화수단수용실(308)로 하고 있다. 이 제 1의 연소실과 제 2의 연소실에는 동시에 가스발생제(309)가 배치되어 있으며, 각 연소실내에 배치된 가스발생제는 점화수단수용실내에 배치된 2개의 점화기(311a,311b)의 작동에 의하여 각각 독립으로 착화·연소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03)내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터수단(350)이 사용되어 있다. 도 20에 이 필터수단(350)의 부분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필터수단은, 전체로 대략 통형상이며, 그의 축방향 양끝면은, 축심연산방향으로 향하여 좁아져 경사하고, 또한 내주면과의 내각(θ)이 예각으로 되는 경사끝면(351)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부끝면은 반경방향바깥쪽에 하강하도록 하부끝면은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상승하는 상태로 각각 경사져 있다. 이러한 필터수단(350)은, 예컨대 각종 선재를 사용하여 형성된 철망을 통형상으로 적층시켜서 적층철망필터를 형성하여, 이것을 압축성형함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이 필터수단(350)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301) 내주면과 대향하는 상태로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내의 그 필터수단끝면의 축방향에는 필터수단의 경사끝면(351)과 대향하는 경사면(352)을 가지는 지지부재(35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353)의 경사면(352)은 필터수단(350)의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즉,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축방향 양쪽의 끝면을 경사끝면(351)에 형성한 필터수단(350)이 사용되어 있으며, 또 하우징내의 필터수단 축방향 양쪽에는 필터수단 지지부재(35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필터수단 지지부재(353)는 그의 경사면(352)에서 반경방향으로 팽창배출한 필터수단(350)의 경사끝면(351)을 맞닿아·지지한다.
내통부재(304)의 안쪽을 제 2의 연소실(305b)과 점화수단수용실(308)과 구획형성하는 격벽(321)은 시일컵부재(306)와 대략 평판원형상의 구획원형부재(307)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일컵부재(306)에 설치되는 전화약 수용부(312)는 구획원형부재의 개구부(313)에서 돌기하도록 조합되어 있다. 이 격벽(321)은 내통부재의 단결부(314)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 이 시일컵부재(306)는 전화약 수용부(312)와 반대쪽으로 늘어나 있는 통형상의 점화기 수용구(315)를 가지고 있으며, 이중에 제 2의 점화기(311b)를 수용하고 있다.
제 1의 점화기(311a)와 제 2의 점화기(311b)는 기폭제칼라(316)에 수용되어 있으며, 그 칼라(316)를 덮는 점화기 고정부재(317)에 의해 지지·고정되어져 있다. 이 점화기 고정부재(317)에는 상기 시일컵부재(306)의 점화기 수용구(315)가 근접하여 있으며, 양자간에는 O-링(325)이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제 1의 점화기(311a)와 제 2의 점화기(311b) 및 제 2의 연소실(305b)과 하우징과의 시일이 실현되어 있다.
본 가스발생기의 작동은, 제 1의 점화기(311a)가 작동함으로서 시일컵부재(306a)의 전화약 수용부(312)내에 수용된 제 1의 전화약 수용부(312)내에 수용된 제 1의 전화약(318)이 착화·연소하여, 그의 화염은 내통부재(304)에 설치된 제 1의 전화구멍(319a)에서 제 1의 연소실(305a)내에 방출되어, 제 1의 가스발생기(309a)를 착화·연소시킨다. 점화수단수용실(308)내에 수용된 제 2의 점화기(311b)는 제 1의 점화기(311a)와 동시 또는 약간 지연되어 작동하여, 그 화염이 구획원형부재(307)에 형성된 제 2의 전화구멍(319b)으로부터 제 2의 연소실(305b)내에 방출하여, 제 2의 가스발생제(309b)를 연소시킨다. 이 제 2의 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작동가스는, 내통부재(304)에 설치된 관통구멍(320)에서 제 1의 연소실(305a)내에 배출된다.
이 제 1의 가스발생제(309a) 및 제 2의 가스발생제(309b)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작동가스는, 제 1의 연소실(305a)의 반경방향 바깥쪽을 둘러싸도록 하여 배치된 필터수단(350)을 통과하는 사이에 연소찌꺼기가 포집되어 또 냉각된다. 그때, 필터수단(350)은 작동가스의 압력 등에 의하여 반경방향 바깥쪽에 약간 팽창배출한다. 이 팽창배출된 필터수단은 그의 축방향으로 배치된 필터수단 지지부재(353)에 맞닿아·지지되어 필터수단 끝면과 필터수단 지지부재(353)와의 틈새를 작동가스가 통과하는 작동가스의 쇼트패스를 방지하는 것을 할 수 있다. 즉, 이 필터수단(350)은, 작동가스의 통과에 의해 스스로 수축하여 자체축소식의 필터수단으로 된다. 필터수단(350)을 통과한 작동가스는 가스배출구(310)를 폐쇄하는 시일테이프(322)를 파열하고, 그 배출구(310)에서 하우징 밖으로 방출된다.
본 실시형태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는, 가스발생제(309a,309b) 전화약(318) 및 점화기(311a,311b)등은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한쪽에만 경사면을 설치한 필터수단, 즉 전체 대략 통형상으로서, 그의 축방향 끝면의 편방에 축심연신 방향으로 향하여 좁아져 경사하여, 또한 내주면과의 내각(θ)이 예각이 되는 상태로 조정된 경사끝면(351)이 형성된 필터수단(355)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이 경우 하우징(303)내에 배치되는 필터수단 지지부재(353)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수단의 경사끝면(351)이 형성된 쪽에만 배치되어 있으며, 반대쪽(즉, 클로져셸(302)) 쪽에는 환상부(323b)와 내주 및 외주가 설치된 벽면부(323a)로부터 이루어진 리테이너(324)가 배치되어 있다. 이 필터수단의 가장자리부 외주면(354)은 리테이너의 외둘레벽부(323a)의 내면에 의하여 맞닿아·지지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의 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하여 작동가스가 발생하면, 그 작동가스는 도 19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와 같이, 필터수단을 통과할 때, 그 필터수단(355)을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팽창배출시킨다. 반경방향으로 팽창배출한 필터수단(355)은 경사끝면(351)이 필터수단 지지부재(353)의 경사면(352)에 맞닿아서 가장자리부 외주면(354)은 리테이너(324)의 외주벽 내면에 맞닿는다. 따라서 이 필터수단(355)에 있어서는, 상부끝면에 형성된 경사끝면(352)에 의해 작동가스의 통과에 의해 스스로 수축하는 자체축소식의 필터수단으로 된다.
(자체축소식 필터의 실시형태 2)
도 23에 도시한 가스발생기는, 특히 하우징(403)의 내면에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좁아지도록 경사한 경사면(45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사면(452)은 하우징의 내면으로서 필터수단의 경사면이 형성된 쪽의 축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경사면은 필터수단에 지지부로서 기능하며, 이것은 하우징(403)의 원형부(461)의 둘레가장자리에 모깍기 형상으로 경사하는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표시하는 가스발생기는, 가스배출구(410)를 가지는 디퓨저셸(401)과 그 디퓨저셸과 동시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클로져셸(402)로부터 이루어진 하우징(403)내에, 둘레벽에 복수의 관통구멍(420)을 가지는 대략 원통형상의 내통부재(404)를 배치하여, 그의 바깥쪽을 연소실(405), 안쪽을 점화수단수용실(408)로서 하고 있다. 연소실(405)내에는, 연소에 의하여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제(409)가 수용되어, 점화수단수용실(408)내에는 점화기(411)와 전화약(418)으로 구성되는 점화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연소실(405)의 반경방향바깥쪽에는, 상기 도 21에 표시한 축방향 한쪽에만 경사끝면(351)을 설치한필터수단(355), 즉, 전체 대략 통형상으로서 그의 축방향 끝면의 한쪽이 축심 연신방향으로 향하여 좁아져서 경사져, 또한 내주면과의 내각(θ)이 예각으로 되는 경사끝면(351)에 형성되어 있는 필터수단(355)이 배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필터수단(355)의 경사끝면(351)의 축방향에는, 상기 실시형태 1에 표시한 바와 같은 필터수단 지지부재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하우징(403)내의 필터수단(355)이 배치되는 개소로서, 경사끝면(351)이 형성된 쪽에 필터수단의 경사끝면(351)이 맞닿는 경사면(452)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면(452)이 필터수단(355)의 지지부로서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경사면을 가지는 하우징(403)은, 예컨대 디퓨저셸과 클로져셸과 스테인리스강판, 니켈도금강판 또는 알루미늄합금판 등의 각종 금속판을 프레스성형에 의해 형성하고, 필터수단(355)의 경사면(351)이 설치되는 쪽의 셸(본 실시형태에서는, 디퓨저셸(401))에 경사부(453)를 형성함으로서 실현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을 구성하는 디퓨저셸(401)은 천정면을 형성하는 원형부(461)와, 그 원형부의 외주에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도려낸 형상으로 넓혀져서 경사하는 경사부(453)와, 그 경사부의 선단에서 절곡하여 밑쪽으로 연신하는 둘레벽부(462)와, 그 둘레벽부의 밑끝에서 절곡하여 하우징의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넓혀지는 플랜지부(463)로 구성되어 있으며, 클로져셸(402)은 중앙에 내통부재(404)로 내장하는 구멍부(464)를 설치한 환상부(465)와, 그 환상부의 외주 가장자리에서 하우징의 축방향으로 상승하는 둘레벽부(466)와, 외둘레벽부의 윗끝에서 절곡하여 하우징의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넓혀지는 플랜지부(46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 셸의 플랜지부끼리는, 각종 용접법으로 접합되어 하우징이 형성되어 있다. 디퓨저셸(401)의 둘레벽면에는 작동가스를 방출하기 위한 가스배출구(410)가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스배출구는 방습목적의 시일테이프(422)로 페쇄된다. 이 시일테이프(422)로서는, 작동가스에 의하여 파열하는 것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하우징으로는, 디퓨저셸(401)에 설치된 경사부(453)의 내면 그리고, 아래쪽으로 도려낸 형상으로 넓혀지는 경사면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하강하도록 경사하는 경사면(452)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필터수단(355)은 그의 경사면(351)을 그 경사면(452)과 대향하도록 하여 하우징(403)내에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 내면에 설치된 경사면(452)은 상기 실시형태 1의 필터수단 지지부재의 경사면과 마찬가지로 필터수단의 지지부재로서 기능하며, 작동가스의 통과에 의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팽창배출한 필터수단(355)의 경사끝면(351)을 맞닿아·지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경사끝면을 형성하여 있지 않은 쪽의 필터수단(355)의 끝면에는, 상기 도 22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와 마찬가지로 평판환상부(422)와 그의 내주 및 외주에 설치된 벽면부(423)로부터 이루어진 리테이너(424)가 배치되어 있으며, 필터수단의 가장자리부 외주면(354)은, 이 리테이너(424)의 바깥 둘레벽부(423)의 내면에 의하여 맞닿아·지지된다.
본 도면에 표시하는 가스발생기는, 점화기(411)가 작동하면, 그의 위쪽 방향에 배치된 전화약(418)이 착화·연소하여, 그의 화염은 내통부재(404)의 관통구멍(420)에서 가스발생제(409)가 수용된 연소실(405)내에 분출한다. 연소실내에 분출한 전화약(418)의 화염은, 가스발생제(409)를 착화 연소시켜서,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시킨다. 이 작동가스는 필터수단(355)을 통과하는 사이에 정화·냉각되어 시일테이프(422)를 파열하고 가스배출구(410)에서 배출된다.
필터수단(355)은, 작동가스가 통과하여 있는 사이에 있어서, 그의 압력에 의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팽창배출한다. 필터수단(355)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팽창배출하는 것에 의해, 그의 경사끝면(351)은, 하우징 내면의 경사면(452)에 맞닿아서 필터수단 끝면(경사끝면 (351))과 하우징 내면과의 사이의 작동가스의 쇼트패스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는, 필터수단의 경사끝면(351)은 하우징 내면에 경사면(452)에 압접함으로서 필터수단(355)을 지지하기 위한 특단의 부재를 배치하지 않고, 필터수단(355)의 끝면에 있어서 작동가스의 쇼트패스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도 가스발생제(409), 전화약(418) 및 점화기(411)등은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자체축소식 필터의 실시형태 3)
도 24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를 표시한다. 본 도면에 도시한 가스발생기는 도 23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와 마찬가지로 하우징(503)의 내면에 경사면(552a,552b)을 형성하여, 이 경사면(552a,552b)에 의해 필터수단(550)의 끝면에 설치된 경사끝면(551a,551b)을 지지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도시한 가스발생기는, 상기 실시형태 2에 표시한 가스발생기와 다르며, 축방향 끝면의 양쪽으로 경사끝면(551)을 형성한 필터수단(550)이 사용되고 있다. 필터수단의 축방향 끝면 양쪽에 형성되는 경사끝면(551)은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좁아지듯이 경사져 있으며, 상부의 끝면(551a)은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하강하도록, 하부의 끝면(551b)은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상승하도록 경사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터수단은, 그 아래쪽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팽창배출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503)은 그 내면에, 상기 필터수단의 경사끝면(551a,551b)과 대향하여, 그 필터수단(550)을 지지 가능한 경사면(552a,552b)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필터수단이 축방향 양쪽으로 경사끝면(551a,551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디퓨저셸(501)의 내면과 클로져셸(502)의 내면이 쌍방으로 필터수단(550)의 경사끝면(551a,551b)과 대향하는 경사면(552a,552b)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퓨저셸(501)과 클로져셸(502)을, 상기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각종 금속판을 프레스성형에 의해 형성하여, 필터수단(550)의 경사면이 설치되는 쪽의 셸,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디퓨저셸(501)과 클로져셸(502)에 경사부(553)를 형성하여 있다. 도 24에 있어서 이 경사부(553a,553b)는 디퓨저셸(501)에 있어서는 원형부(561)와 둘레벽부(562)와의 사이에, 클로져셸(502)에 있어서는 환상부(565)와 둘레벽부(566)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하 양끝면을 경사끝면(551)에 형성한 필터수단(550)은, 윗끝의 경사끝면(551a)을 디퓨저셸(501) 내면의 경사면(552a)에 대향시켜, 밑끝의 경사끝면(551b)을 클로져셸의 경사면(552b)에 대향시켜서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이 필터수단 아래쪽의 반경방향으로 팽창배출한 팽창배출부(556)는 그의 외주가 클로져셸의 둘레벽부(566)의 내면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실시형태의 가스발생기는, 점화기(511)의 작동에 의해 전화약(518)이 착화·연소하면, 그 화염은 내통부재(504)의 관통구멍(520)에서 연소실(505)내에 분출하여 가스발생제(509)를 착화·연소시킨다. 가스발생제(509)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작동가스는 필터수단(550)을 통과하는 사이에 정화·냉각시켜, 시일테이프(522)를 파열하고, 가스배출구(510)에서 배출된다. 작동가스의 통과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팽창배출한 필터수단(550)은 그의 상하끝부에 설치된 경사면(551a,551b)이 각각 양 셸내면에 설치된 경사면(552a,552b)에 맞닿아서 필터수단(550) 끝면과 하우징(503) 내면과의 사이에 있어서 작동가스의 쇼트패스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도 24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는, 필터수단(550)의 아래쪽의 팽창배출부(556)의 외주가, 하우징 주벽부(566)의 내면에 맞닿아 있으므로, 작동가스의 통과에 의해 필터수단(550)이 팽창배출하면, 그의 일부가 하우징 둘레벽부(566)내면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변형을 억제, 팽창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안정된 필터수단(550)과 경사면(552)과의 접촉상태를 확보할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하우징의 상하내면에 반경방향으로 좁아지듯이 경사한 경사면을 설치한 가스발생기로서는 도 25에 도시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단, 본 도 25에 도시한 가스발생기는, 연소실 및 점화기의 배치·수 등의 내부구조등 외에, 디퓨저셸(601)과 클로져셸(602)을 마찰압접에 의해 접합하고 있는 점, 및 필터수단(650)은 아래쪽으로 팽창배출부를 설치하지 않은 필터수단(도 20)이 사용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도 24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와는 다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개략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스발생기는, 가스배출구(610)를 가지는 디퓨저셸(601)과 플랜지부(667)를 가지는 클로져셸(602)과 마찰압접에 의해 접합하여 이룬 하우징(603)내에 상부개구를 폐쇄한 통형상의 이너셸(625)을 하우징 중심축에서 편심하여 배치하며, 이너셸(625)의 바깥쪽 제 1의 연소실(605a), 그 셸(625)의 안쪽을 제 2의 연소실(605b)로 하고 있다. 그리고 각 연소실(605a,605b)내에는 각각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전기착화식의 점화기(611)와 그 점화기의 작동에 기인하여 착화·연소하는 가스발생제(609a,609b)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특히 제 1의 연소실(605a)내의 점화기(611a)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벽부에 전화구멍(619)이 편재되어 설치된 내통부재(604)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 1의 점화기(611a)의 윗쪽에는, 이 점화기(611a)에 의해 착화·연소되는 전화약(618)이 배치되어 있다. 도면상 제 2의 연소실(605b)에는 전화약이 배치되어 있지 않으나 필요에 따라 적절한 배치를할 수 있다.
제 1의 연소실(605a)과 제 2의 연소실(605b)을 구획하는 이너셸(625)은, 그의 둘레벽에 개구부(66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개구부는 시일테이프(622)등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이 개구부(660)를 폐쇄하는 시일테이프(622)등은 제 2의 연소실(605b)내에 수용된 제 2의 가스발생제(609b)의 연소에 의하여 파열, 박리, 소실 또는 벗겨지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부(660)는 제 1의 연소실(605a)내의 가스발생제(609a)의 연소에 의하여는 개구하지 않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5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에서는, 하우징(603)은 디퓨저셸(601)과 클로져셸(602)을 마찰압접에 의해 접합하여 형성되어 있다. 디퓨저셸(601)은, 둘레벽부(662)로부터 천정면(661)을 향하여 좁아지듯이 경사하는 경사부(663a)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클로져셸(602)도 둘레벽부(666)로부터 바닥면(665)에 향하여 좁아지듯이 경사하는 경사부(653b)가 형성되어 있다. 양 셸의 경사부(653a,653b)의 내면은, 각각 필터수단(650)의 경사끝면(651)에 대향하는 경사면(652)으로 이루어져, 이 경사면(652)은 필터수단(650)의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도면상, 양 셸은 절곡됨으로서 경사부(653a,653b)를 형성하고 있으나, 양 셸을 만곡시킴으로서 경사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하우징(603)내에는 상하 양끝에 경사끝면(651)을 형성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필터수단(350)이 배치되어 있다. 이 필터수단(350)은, 도면상 상단의 경사끝면(351)을 디퓨저셸의 경사면(652a)에 대향시켜, 하단의 경사끝면(351)을 클로져셸(602)의 경사면(652b)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가스발생기는 제 1의 점화기(611a)가 작동하면, 제 1의 전화약(618)이 착화·연소한다. 이 전화약(618)의 화염은, 내통부재(604)에 편재하여 설치된 전화구멍(619)에서 이너셸(625)을 둘러싸도록 하여, 도 26중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방출된다. 전화구멍(619)에서 방출된 화염은 제 1의 연소실(605a)내의 가스발생제(609a)를 착화·연소시켜 작동가스를 발생시킨다. 제 2의 점화기(611b)는 제 1의 점화기(611a)와 동시이거나 혹은 약간 지연되어 작동하고, 이 점화기(611b)의 작동에 의해 제 2의 연소실(605b)내의 제 2의 가스발생제(609b)는 착화·연소하여 작동가스를 발생시킨다. 이너셸(625)의 둘레벽에 설치된 개구부(620)는 이 작동가스의 압력에 의해 개구하여 이것에 의해 제 2의 가스발생제(609b)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작동가스는 제 1의 연소실(605a)내에 유입한다.
제 1의 가스발생제(609a)와 제 2의 가스발생제(609b)가 연소하여 발생한 작동가스는 필터수단(350)을 통과하는 사이에 정화·냉각되어서 시일테이프(622)를 파열하고, 가스배출구(610)에서 방출된다. 이 도면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도, 필터수단(350)은 작동가스의 통과에 의해 반경방향 바깥쪽에 팽창배출하여 상하끝면에 형성된 경사끝면(351)은 하우징내의 경사면(652a,652b), 즉 지지부에 압접하여 필터수단(350) 끝면과 하우징(603) 내면과의 사이의 작동가스의 쇼트패스를 방지하는 것을 할 수 있다.
(자체축소식 필터의 실시형태 4)
도 27은, 본 발명의 필터수단을 사용한 가스발생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도시한 가스발생기는 내경보다도 축방향으로 긴 가스발생기로 되어 있다.
도 27에 도시한 가스발생기는 통상부재(701)의 축방향 한끝 개구(730)에, 내부에 필터수단(750)을 수용한 필터수단 수용 용기(702)(이하, "필터 용기"로 함)를 이어서 하우징(703)을 형성하여, 다른 끝 개구(731)에는 점화수단용 용기(704)를 안으로 끼운 환형상부재(732)로 폐쇄하여 있다.
상기 하우징중, 통형상부재(701)내에는, 연소하여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제(709)가 수용되어 있으며, 이 통형상부재(701)의 내부공간은 가스발생제가 연소하기 위한 연소실(705)로서 기능을 한다. 또 이 연소실(705)내의 필터용기(702) 쪽의 끝부에는 지름방향으로 넓어지는 원형의 다공판(733)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다공판(733)에 의해 연소실(705)내의 가스발생제(709)는 지지되어 있다.
환상부재(732)에 안쪽 끼움하는 점화수단용 용기(704)는, 연소실(705)내에 돌기하는 쪽의 끝면을 폐쇄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그의 안쪽에는 연소실(705)에서 구획된 점화수단수용실(70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점화수단수용실(708)중에는 점화기(711)와 전화약(718)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화수단이 수용되어 있다. 점화수단용 용기(704)의 둘레벽에는 복수의 전화구멍(719)이 설치되어 있으며, 점화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발생한 화염은, 이 전화구멍(719)에서 연소실(705)내에 분출하여 가스발생제(709)를 착화·연소시킨다.
필터용기(702)는 전체 대략 원통형상으로 그 축방향 양끝면의 둘레가장자리에는 모깍기를 시행한 것과 같이, 그 용기의 축방향으로 좁아져서 경사하는경사부(75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필터용기(702)의 하우징 쪽 끝면에 관통구멍(734)이 설치되어 있으며, 다른 끝면에는 이 가스발생기를 모듈로 부착하기 위한 스터드볼트(73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둘레벽에는 복수의 가스배출구(7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필터용기(702)의 내부공간은 하우징 쪽의 끝면에 설치되는 관통구멍(734)에 의해 연소실(705)과 연통하여 있다. 도면상, 이 필터용기(702)는 둘레벽면(736)과 경사부(753)와 하우징 쪽 끝면(737)으로부터 이루어진 컵상부재의 개구끝을 경사부(753)와 스터드볼트(735)를 설치한 끝면(739)과 이룬 덮개부재로 폐쇄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필터용기(707)내에는 상기 도 20에 도시한 본 발명의 필터수단(350), 즉 전체 개략 통형상으로서 그의 축방향 양끝면에 축심 연신방향으로 향하여 좁아지는 상태로 경사하는 경사끝면(351)이 형성된 필터수단이 수용되어 있다. 이 필터수단(350)은 그의 경사끝면(351)을 필터용기(702)의 경사부(753)내면, 즉 경사면(752)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필터수단의 외주면과 필터용기(702)의 내벽면과의 사이에는 소정 폭의 틈새(741)가 확보되어 있다.
이 가스발생기의 작동 시에, 점화기(711)가 작동함으로서 전화약(718)이 착화·연소하여, 그 화염은 점화수단용 용기(704)의 전화구멍(719)에서 연소실(705)내에 분출한다. 연소실내에 분출한 전화약(718)의 화염에 의해 가스발생제(709)는 착화·연소하여 작동가스를 발생한다. 이 작동가스는 관통구멍(734)으로부터 필터용기(702)안으로 유입하여, 필터수단(350)을 통과하는 사이에 정화·냉각되어서 가스배출구(710)에서 방출된다. 작동가스가 필터수단(350)을 통과함으로서필터수단(350)은 지름방향으로 팽창배출하여, 그의 경사끝면(351)이 필터용기(702)의 경사부(753) 내면의 지지부(즉, 경사면(752))에 맞닿아, 또 축방향으로 수축된다. 그 결과, 그 필터수단(350)은 하우징의 내면, 상세하게는 필터용기(702)의 내면에 강하게 압접하여 양자간을 작동가스가 통과하는 쇼트패스를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점화기를 가지는 가스발생기)
더욱이 본 발명은 충격에 의하여 착화하는 2개이상의 점화수단과, 그 점화수단에 의해 각각 착화·연소하여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연소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을 수용하여, 외각용기를 형성하는 하우징에 복수의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있어서, 그 가스배출구는 하우징의 내부압력을 일정압까지 유지하는 차단수단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며, 그 가스배출구 및/또는 그 차단수단을 제어함으로서 그 차단수단을 파열시키는 파열압력을 복수단계로 조절하여, 각각의 점화수단이 작동할 때의 하우징 최대 내부압력의 차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를 포함한다.
도 32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도시한 가스발생기도 특히 운전석에 배치하는데에 적당한 구조를 가진다.
특히, 본 실시형태로 도시하는 가스발생기는 하우징내에 설치된 2개의 연소실의 배치 및 형성방법에 특징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디퓨저셸(1201)에 형성되는 가스배출구(1210)는 지름이 다른 가스배출구(1210a,1210b)가 2종류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은 하우징 외부의 습도 등의 환경의 영향에서 가스발생제(1252)를 보호하기 위한 시일테이프(1229)로 폐쇄되어 있다. 안지름(및 개구면적)이 다른 2종류의 가스배출구(1210a,1210b)를 설치함으로서 작동 시에 있어서 하우징(1203)내의 연소 내압을 균등화(연소성능을 안정)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표시하는 가스발생기는, 복수의 가스배출구(1210)를 가지는 디퓨저셸(1201)과, 그 디퓨저셸(1201)과 동시에 내부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클로져셸(1202)과 마찰압접에 의해 접합하여 이룬 원통형상 하우징(1203)내에 수평단면형상이 원형으로서 윗끝을 폐쇄한 캡슐형상의 이너셸(1204)을 하우징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하여 배치·고정하여 그 바깥쪽을 제 1의 연소실(1250), 안쪽을 제 2의 연소실(1260)로 하고 있다.
하우징(1203)내에 배치되는 이너셸(1204)의 하우징(1203)에 응하는 편심도는, 소망으로 하는 연소실의 용적비 등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며, 또 하우징(1203)내의 구조, 예컨대 쿨란트·필터(1225)의 유무 등에 의하여도 변할 수 있는 요소이다. 예컨대 본 도면에 도시하는 가스발생기와 같이, 하우징(1203)의 둘레벽면과 대향시켜서 쿨란트·필터(1225)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10 내지 75%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단, 이 수치범위도 점화기(1251,1261)의 크기 등에 기인하여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이 수치범위는 도 32에 표시하는 가스발생기에 있어서 이너셸(1204)의 편심의 표준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이너셸(1204)은 그의 수평단면 형상을 직사각형, 타원형 등 각종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나, 클로져셸(1202)등으로의 접합용이성을 고려하면, 특히 원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이너셸(1204)을 마찰압접에 의해 클로져셸(1202)에 접합하는 경우에는 그 이너셸(1204) 수평 단면형상은 원형으로 할 필요가 있으며, 또 레이저 용접에 의하여 접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레이저의 조사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의 연소실(1250)과 제 2의 연소실(1260)은 이너셸(1204)에 의하여 구획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제 1의 연소실(1250)은 이너셸(1204)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제 2의 연소실(1260)은 이너셸(1204)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다. 제 1의 연소실(1250)과 제 2의 연소실(1260)과의 용적비(제 1의 연소실용적 : 제 2의 연소실 용적)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3:1로 하고 있으나, 그외에도 97:1∼1:1.1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단, 이 용적비에 관하여도 점화기(1251, 1261)의 크기나 가스발생제(1252,1262)의 형상 등에 기인하여, 적절히 그의 선택범위는 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수치범위는, 본 도면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의 구조에 있어서 선택할 수 있는 범위를 도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너셸(1204)에 의하여 격리된 제 2의 연소실(1260)과 제 1의 연소실(1250)에는 각각 가스발생제(1252,1262)가 수용되어 있다. 제 1의 연소실(1250)내에는 제 1의 가스발생제(1252)가 제 2의 연소실(1260)안에는 제 2의 가스발생제(1262)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의 가스발생제(1252)와 제 2의 가스발생제(1262)는 형상 등이 같은 가스발생제가 사용되어 있으나, 각 연소실마다에 연소속도, 조성, 조성비 또는 양이 적어도 하나 이상 다른 가스발생수단을 수용 할 수 있다.
제 1의 연소실(1250)과 제 2의 연소실(1260)을 구획형성하는 이너셸(1204)은, 하우징(1203)의 중심축에 대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이 이너셸(1204)의 안쪽에 설치된 제 2의 연소실(1260)도 하우징(1203)에 대하여 편심하여 있다. 이 제 1의 연소실(1250)과 제 2의 연소실(1260)은 각각 점화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중 제 2의 연소실(1260)에 배치되는 제 2의 점화기(1261)는, 이 하우징(1203)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하는 제 2의 연소실(1260)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그 점화기(1261)가 작동하여 발생하는 화염은 제 2의 가스발생제(1262)를 균등하게 연소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이 제 2의 점화기(1261)와 제 1의 연소실(1250)에 배치되는 제 1의 점화기(1251)는, 동시에 하우징(1203)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의 점화기, 및 이너셸(1204)을 하우징(1203)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시킴으로서 제 1 및 제 2의 연소실의 용적비의 변화를 폭넓게 할 수가 있으며, 또 하우징(1203)의 지름방향의 크기를 극력 억제할 수 있다.
각 연소실마다에 배치되는 점화기내 제 1의 연소실(1250)내에 배치된 점화기(1251)는 그의 주위 및 윗방향으로 전화약(1208)을 배치하고 있다. 이 전화약(1208)은 가스발생기의 조립시 편의상, 더욱이 차량에 탑재 중에 받는 충격이나 진동으로 전화약(1208)이 제 1의 연소실(1250)내에 산란하여, 제 1의 가스발생제(1252)로의 착화성을 저감시키는 일이 없도록 전화약 용기(1226)중에 수납되어 있다. 이 전화약 용기(1226)는 내부의 전화약(1208)의 연소에 의하여 용이하게 파열하여 화염을 그의 주위에 전화시키는 것과 같은 두께(예컨대, 200㎛정도)의 알루미늄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2의 연소실(1260)내에는 제 1의 연소실(1250)내에 배치된 것과 같은 전화약은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것은 제 1의 가스발생제(1252)가 연소하여 제 1의 연소실(1250)내의 압력이 상승하여도, 후술하는 이너셸(1204)의 구멍(1206)을 막는 파열부재(1207)는, 제 2의 연소실(1260)의 내부압력이 제 1의 연소실(1250)내의 내부압력이상으로 상승하지 않으면 파열하지 않기 때문에, 이 사이 제 2의 연소실(1260)은 밀폐상태로 되고, 그 사이 압력이 높아지고, 제 2의 가스발생제(1262)는 제 1의 가스발생제(1252)보다도 착화하기 쉽기 때문이나, 필요에 따라서 전화약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 1의 연소실(1250)내에는 제 1의 점화기(1251)와 그의 윗쪽에 배치된 전화약(1208)의 반경방향바깥쪽을 둘러싸는 상태로 통형상부재(12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통형상부재(1236)는 상하 양끝을 개방한 원통형상으로, 그의 한쪽 끝부는 점화기(1251)를 고정한 부분의 외주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밖으로 끼워, 다른 끝부는 디퓨저셸(1201) 천정부 내면 근방에 존재하는 리테이너(1211)에 의해 끼워져서 소정 개소에 고정되어 있다. 이 통형상부재(1236)의 둘레벽에는 복수의 전화구멍(1237)에 형성되어 있어 전화약(1208)의 연소에 의하여 생긴 화염은 이 전화구멍(1237)에서 분출되어 해당 상부재의 바깥쪽에 존재하는 제 1 가스발생제(1252)를 착화·연소시킨다. 이 통형상부재(1236)는 하우징(1203)과 동일재질의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실시형태로 도시한 가스발생기에서는, 제 1의 연소실(1250)은, 도 33의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안쪽을 둥글게 꿰뚫은 초승달형에 근사한환상으로 되어 있으며, 제 1의 가스발생제(1252)는 이중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 1의 연소실(1250)에 있어서는, 제 2의 연소실(1260)과는 다르며, 가스발생제(1252)와 점화기(1251)와의 거리는 가스발생제(1252)의 수용장소에 의해 달라져 있다. 따라서, 점화기(1251)의 착화 때에 제 1의 가스발생제(1252)로의 착화·연소시에 얼룩이 생긴다. 그래서 내통부재(1136)의 둘레벽에 설치되는 전화구멍(1237)은 도 33중 화살표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전화약(1208)의 화염을 배향시키도록 그의 방향을 규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 2의 연소실(1260)(즉, 이너셸(1204))의 그늘이 된 부분의 가스발생제(1252)도 얼룩없이 연소시킬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내통부재(1236) 대신, 도 33중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구멍의 개방 분출방향, 규제수단(도시 생략)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분출방향 규제수단은 제 1의 가스발생제(1252)를 효과적으로 연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그 제 1의 가스발생제(1252)를 착화하기 위한 제 1의 점화수단(도 32에 있어서는 점화기(1251)와 전화약(1208))의 작동에 의하여 생기는 화염의 분출방향을 규제하는 것이다. 이 분출방향 규제수단으로서는, 예컨대 원통부재에서 그의 한쪽끝부를 닫힌 컵상용기로, 그 둘레벽부에 소망 방향(도 33중 화살표로 도시한 방향)으로, 점화수단의 화염을 배향시키기 위한 노즐을 설치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그 분출방향 규제수단은 제 1의 점화수단의 둘레에 부착(덮혀 씌움)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분출방향 규제수단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의 안쪽에 배치되는 제 1의 점화수단은 점화기와 그 점화기의 작동에 의하여 착화·연소하는 전화약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의 연소실(1250)과 제 2의 연소실(1260)을 구획형성하는 이너셸(1204)은, 상기와 같이 캡슐형상으로서, 그 둘레벽에 복수의 개구부(120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1205)는 제 2의 연소실(1260)내에 배치된 제 2의 가스발생제(1262)의 연소에 의해서만 개구하여, 제 1의 연소실(1250)내에 수용된 제 1의 가스발생제(1252)의 연소에 의하여서는 개구하지 않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개구부(1205)는 이너셸(1204) 둘레벽에 설치된 복수의 구멍(1206)과 이 구멍을 폐쇄하는 파열부재(1207)로부터 이루어지고, 파열부재(1207)로서는 스테인리스제의 시일테이프가 사용된다. 이 파열부재(1207)는 제 2의 가스발생제(1262)의 연소에 의하여만이 파열, 박리, 소실 또는 벗겨지는 등에 의해 구멍(1206)을 개구하여, 제 1의 가스발생제(1252)의 연소에 의하여는 파열 등 하지 않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이너셸(1204)은 그의 개방한 아래방향(1213)을 클로져셸(1202)에 접속하여 고정된다. 이 클로져셸(1202)이 점화기를 고정하기 위한 칼라부분(1202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에는, 그 이너셸(1204)은 이 칼라부분(1202a)에 부착할 수 있다. 도 32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는, 이 클로져셸(1202)은 디퓨저셸(1201)에 접합하는 통형상 외피부(1202b)의 바닥면에 2개의 점화기를 고정 가능한 크기로 한 원형의 칼라부분을 일체형상으로 접합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이너셸(1204)은 이 칼라부분(1202a)에 접합되어 있다. 단 이 칼라부분(1202a)은 각 점화기마다에 고정가능한 크기의 원형으로서 그 통형상 외피부(1202b)의 바닥면에 일체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 통형상 외피부(1202b)의 바닥면에 일체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그 이너셸(1204)은 클로져셸의 칼라부분(1202a)이외, 통형상 외피부(1202b)의 바닥면에 직접 부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너셸(1204)과 클로져셸(1202)과의 접속은 마찰압접, 코오킹, 저항용접 등외에 오목·볼록 이어 맞춤에 의해 행할 수 있다. 특히, 마찰압접에 의해 양자를 접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클로져셸(1202) 쪽을 고정하여 행한다. 이것에 의해, 이너셸(1204)과 클로져셸(1202)의 축심이 꼭맞춤하여 있지 않아도 안정되어 마찰압접을 행할 수 있다. 즉, 가령 이너셸(1204)을 고정하여 클로져셸(1202)을 회전시켜서 마찰압접을 행한 경우에는 클로져셸(1202)의 중심은 회전중앙에서 어긋나 있기 때문에, 안정된 마찰압접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클로져셸(1202) 쪽을 고정하여, 이너셸(1204) 쪽을 회전시켜서 마찰압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 마찰압접에 있어서, 이너셸(1204)을 항상 소정의 위치로 부착할 수가 있도록 이 클로져셸(1202)은 위치결정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클로져셸(1202)은 적절히 위치결정수단이 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너셸(1204)내에는 클로져셸(1202)과의 접속을 안전하게 또한 원활하게 행하기 위해 가스발생제 고정부재(1214)가 배치되어 있다. 이 가스발생 고정부재(1204)는, 이너셸(1204)을 클로져셸(1202)에 마찰압접할 때에, 가스발생제(1262)가 직접 이너셸(1204)에 접촉하지 않도록, 또 이너셸(1204)에서 형성된 공간 내에 점화기(1261)의 설치스페이스를 확보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 이너셸(1204)을 클로져셸(1202)에 부착할 때는, 상기의 마찰압접만이 아니고, 코오킹, 저항용접 등 이외에 요철 이어 맞춤 등에 의해 부착할 수 있으나, 그 경우도 가스발생제 고정부재(1214)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립성이 향상된다. 이 가스발생 고정부재(1214)는, 여기서는 일례로서 알루미륨제, 가스발생제(1262)의 연소에 의하여 용이하게 파열하는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통을 사용하고 있으나 그외에도 철망 등을 사용하여 이룬 다공상부재 등, 이러한 목적을 달성 가능한 적절부재(재질, 형상 등은 묻지 않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가스발생제 고정부재(1214)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공원통형상의 가스발생제(1262)를 이너셸(1204)의 내부공간과 동일형상으로 굳힌 가스발생제의 덩어리를 형성하여, 이것을 이너셸(1204)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스발생제 고정부재(1214)는 생략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클로져셸(1202)의 칼라부분(1202a)은, 2개의 점화기(1251, 1261)를 가로로 나란히 고정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따라 2개의 점화기(1251,1261)를 미리 칼라부분(1202a)에 코오킹 등에 의해 고정하여 두면, 이 칼라부분(1202a)을 통형상 외피부(1202a)에 일체화하여 클로져셸(1202)을 형성하면, 2개의 점화기(1251,1261)를 클로져셸(1202)에 고정할 수 있다. 도면상, 제 1의 점화기(1251)와 제 2의 점화기(1261)는 같은 크기에 기재되어 있으나, 이들은 각 연소실마다에 다른 출력을 가지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점화기(1251,1261)마다에 접속하여 작동신호를 전하기 위한 케이블(1215)은 동일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다.
하우징(1203)내에는, 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연소가스를 정화·냉각하기 위한 필터수단으로서 쿨란트·필터(1225)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제 1및 제 2의 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가스는, 동시에 이 쿨란트·필터(1225)를 통과하는 것으로 된다. 이 연소가스가, 쿨란트·필터(1225)의 끝면과 디퓨저셸(1201) 천정부 내면과의 사이를 통과하는 쇼트패스를 방지하는 경우에는, 안쪽방향 플랜지를 가지는 통상의 쇼트패스 방지부재로 쿨란트·필터(1225)의 상하 내주면과 하우징 내면을 덮을 수도 있다. 특히, 도 32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에서는, 그의 상하끝면을 반경방향 바깥쪽에 좁아지도록 경사시킨 자체축소식 구조의 쿨란트·필터(1225)가 사용되고 있다. 쿨란트·필터(1225)의 바깥쪽에는 연소가스의 유로로 되는 틈새(1228)가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도 32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에서는, 점화기(1251,1261) 및 이너셸(1204)을 하우징(1203)에 대하여 편심하여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는, 디퓨저셸(1201)과 클로져셸(1202)을 마찰압접에 의하여 접할 할 때에는, 클로져셸(1202) 쪽을 고정하여 마찰압접을 행함으로서, 양 셸의 접합을 안정시켜 행할 수 있다. 특히 이너셸(1204)을 클로져셸(1202)에 마찰압접에 의해 직접 부착하는 경우에는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로져셸(1202) 쪽에 가스발생기를 모듈케이스에 부착하기 위한 플랜지부(1232)를 설치, 이 플랜지부(1232)를 구성하는 부분, 예컨대 돌출부(1233)등에 그의 둘레가장자리를 잘라내어 위치결정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한 경우, 클로져셸(1202)은, 그 위치결정부에 의거 항상 일정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너셸(1204)을 소정의 위치에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가스발생기에서는 이너셸(1204)의 바깥쪽에 설치된 제 1의 연소실(1250)내에 배치되는 제 1의 점화기(1251)가 작동하면, 그 연소실(1250)내의 제 1의 가스발생제(1252)가 착화·연소하여 연소가스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너셸(1204)과 쿨란트·필터(1225)와의 사이에는 약간 틈새가 확보되어 있으며, 이 틈새는 쿨란트·필터(1225)와 이너셸(1204)과의 사이에 가스의 흐름을 만듦으로서 이 연소가스는, 필터(1225)의 전면을 유효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연소가스는 쿨란트·필터(1225)를 통과하는 사이에 정화·냉각되어, 그 후 가스배출구(1210)로 부터 배출된다.
한편, 이너셸(1204)내에 배치된 제 2의 점화기(1261)가 작동하면 제 2의 가스발생제(1262)가 착화·연소하여 연소가스를 발생시킨다. 이 연소가스는 이너셸(1204)의 개구부(1205)를 개구시켜, 그 개구부(1205)에서 제 1의 연소실 (1250)내에 유입한다. 그 후, 상기 제 1의 가스발생제(1252)의 연소가스와 마찬가지로 쿨란트·필터(1225)를 통과하여 가스배출구(1210)로부터 배출된다. 가스배출구(1210)를 폐쇄하는 시일테이프(1229)는 하우징(1203)내에서 발생한 연소가스의 통과에 의하여 파열한다. 이 제 2의 가스발생제(1262)는, 제 2의 점화기(1261)의 작동에 의하여 착화·연소되어 제 1의 가스발생제(1252)의 연소에 의하여 직접 연소하는 일은 없다. 이것은 이너셸(1204)의 개구부(1205)가 제 2의 가스발생제(1262)의 연소에 의하여만이 개구하여 제 1의 가스발생제(1252)의 연소에 의하여는 개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가스발생기는, 제 1의 점화기(1251)를 작동시킨 후, 제2의 점화기(1261)를 작동시키던가 혹은 제 1의 점화기(1251)와 제 2의 점화기(1261)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등, 2개의 점화기의 착화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으로 가스발생기의 출력형태(작동성능)를 임의로 조정할 수가 있어, 충돌시의 차량의 속도나 환경온도 등 여러가지인 상황에 있어서, 후술의 에어백 장치로 한 경우에 있어서 에어백의 전개를 최대한 적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특히, 도 32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에서는 2개의 연소실을 반경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여 있으므로 가스발생기의 높이를 극력 억제할 수 있다.
본 도면에 도시한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도, 하우징(1203)에 형성되는 복수의 가스배출구(1210)는 그의 개구지름 및/또는 개구면적이 2종류 이상으로 제어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점화수단이 작동할 때의 하우징 최대내부압력의 차를 억제할 수가 있어 가스발생기의 작동시의 내압을 균등화하여 연소성능이 안정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 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도 각 가스배출구(1210)의 개구면적은 일정하게 하여 두고 시일테이프 등의 차단수단(1229)의 두께를 변경하여 파열압력을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점화수단이 작동할 때의 하우징 최대내부압력의 차를 억제하는 것도 할 수 있다. 더욱이 가스배출구(1210)의 개구지름 및/또는 개구면의 제어와 차단수단(1229)의 두께의 제어를 병용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Claims (103)

  1. 통형상 측벽에 복수의 가스배출구를 갖는 디퓨저셸과, 이 디퓨저셸과 동시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클로져셸로 구성되는 원통형상 하우징내에 가스발생수단을 수용하는 연소실을 복수 설치하는 동시에 각 연소실마다 상기 가스발생수단을 착화·연소시키는 점화수단을 배치하여 이루어지고, 그 복수의 연소실의 안에 적어도 하나의 연소실은 하우징내에 있어서, 하우징의 중심축을 대하여 편심하여 배치된 이너셸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 각 연소실마다 배치되는 점화수단은 하우징내에 있어서, 그 하우징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소실마다 배치되는 점화수단은 전기신호에 의하여 작동하는 점화기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그 점화기는 하우징의 축방향에 가지런히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져셸은 상기 점화기를 고정하는 칼라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점화기는 그 칼라부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점화수단마다 포함되어 있는 점화기는 모두 동일의 칼라 부분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셸은 원통형상으로서, 한쪽의 연소실내의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개구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있으며, 그 개구부가 개구함으로서 이너셸의 내외로 구획된 연소실끼리의 가스유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파열부재에 의해 폐쇄된 복수의 구멍이 있으며, 그 파열부재에 의해 폐쇄된 구멍은 한쪽의 연소실내의 가스발생수단이 연소함으로서 만이 개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연소실은 이너셸의 안쪽에 설치되는 연소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8. 제 5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바깥쪽에는 차폐판이 배치되어 있으며, 그 차폐판은 이너셸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연소실내에서 발생하는 연소화염이 그 개구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셸의 안쪽에 설치된연소실내에는 더욱이, 이너셸의 바깥쪽에 설치된 연소실내에 배치되는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하여 생긴 열로 착화·연소하는 자동발화재료(AIM)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각 연소실 끼리를 상호로 연통 가능하게 하는 연통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어느 하나의 연소실내에는 전도열에 의해 착화·연소하는 자동 발화재료(AIM)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소실내에 수용되는 가스발생수단은, 각 연소실마다 다른 타이밍으로 연소되어 지연 타이밍으로 연소하는 가스발생수단이 수용된 연소실내에는 앞서 연소된 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하여 생긴 열의 전도열에 의해 착화·연소하는 자동발화재료(AIM)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발화재료는 앞서 연소하는 가스발생수단을 착화하기 위한 점화수단이 작동한 후, 100밀리초 이상 지연되어 지연 타이밍으로 연소하는 가스발생제를 연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 있어서, 상기 자동발화재료는 지연 타이밍으로 연소하는 가스발생수단을 착화·연소시키기 위한 점화수단으로 포함되는 점화기에 조합시켜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는 가스발생수단을 수용하는 2개의 연소실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앞서 연소하는 가스발생수단은 제 1의 가스발생수단으로서, 지연 타이밍으로 연소하는 가스발생수단은 제 2의 가스발생수단으로서, 각 연소실에 각각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는 가스발생수단을 수용하는 2개의 연소실이 하우징의 반경방향에 인접하여 동심원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더욱이 각 연소실 끼리를 상호 연통이 가능하게 하는 연통구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16. 제 10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수단은 더욱이 상기 점화기의 작동에 의하여 착화되어 연소하는 전화약을 함유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그 전화약은 상기 각 점화기마다 구분되어서 각 점화기마다 독립하여 착화·연소하여 상기 복수의 연소실내에 수용된 가스발생수단은 각각 다른 구분의 전화약이 연소된 화염에 의해 착화·연소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17.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점화수단 중, 이너셸의 안쪽에 설치되는 연소실내에 배치된 점화수단은 이너셸의 바깥쪽에 설치된 연소실내에 배치되는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하여 생긴 열로 착화·연소하는 자동발화재료(AIM)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18. 제 1 항 내지 제 9 항 및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디퓨저셸과 클로져셸을 마찰압접에 의하여 접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너셸도 마찰압접에 의하여 클로져셸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19. 제 1 항 내지 제 9 항 및 제 17 항 내지 제 1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가스발생기를 모듈케이스에 부착하기 위한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그 플랜지부는 클로져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마찰압접 시에 고정되는 클로져셸의 방향 및/또는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결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가스발생기를 모듈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반경방향 돌출부를 가지고 있으며, 그 돌출부를 상호 비대칭 형상으로형성하여 상기 위치결정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22. 제 1 항 내지 제 9 항 및 제 17 항 내지 제 2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수단은 그 점화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생기는 화염의 분출방향을 규제하기 위한 분출방향 규제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그 규제수단에 의하여 분출방향이 규제된 점화수단의 화염은 그 점화수단이 수용된 연소실내의 가스발생수단을 연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분출방향 규제수단이 적어도 그 점화수단의 화염이 생기는 부분을 쌓아 넣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화염의 분출방향을 소망 방향으로 규제하기 위한 2 이상의 전화구멍을 가지는 중공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24. 제 22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분출방향 규제수단에 의해 규제되는 화염의 분출방향이 연소실의 내벽면에 따른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25. 제 1 항 내지 제 9 항 및 제 17 항 내지 제 2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소실마다 배치되는 점화수단은 각 연소실마다 다른 출력 점화수단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26. 제 1 항 내지 제 9 항 및 제 17 항 내지 제 2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소실마다 배치되는 점화수단은 각각 전기신호에 의하여 작동하는 점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그 점화기에는 전기신호를 전하는 케이블이 접속되어 각 점화기에 접속되는 케이블끼리는 동일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27. 제 1 항에 따른 가스발생기를 포함하고, 충격에 의하여 점화기의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가 점화수단중의 점화기와 동수 설치된 점화신호 출력수단과, 커넥터를 가지는 복수의 리드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그 점화기와 출력부는 커넥터를 가지는 리드와이어로 이어져 있으며, 그 커넥터는 어느 점화기와 출력부의 단일 연결을 특정하는 한정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수단은 점화기와 출력부를 접속하는 리드와이어의 적어도 조각끝부에 존재하는 커넥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
  29. 제 27 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수단이 상기 점화기와 출력부를 접속하는 리드와이어에 적어도 1개소 존재하는 중계 커넥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
  30. 제 27 항 내지 제 2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와이어는 전기착화식 점화기와 동수 존재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
  31. 제 27 항 내지 제 3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기는 커넥터와 이어 붙임 하는 결합부를 갖추어, 상기 한정수단은 출력부로부터 뻗은 리드와이어를 각 점화기에 결합시키는 커넥터 및 각 점화기의 결합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
  32. 제 27 항 내지 제 3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커넥터와 이어붙임하는 결합부를 갖추어 상기 한정수단은 가스발생기로부터 뻗은 리드와이어를 출력부에 결합시키는 커넥터 및 출력부의 결합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
  33. 제 27 항 내지 제 3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커넥터는 플래그 부분과 잭부분으로 이루어지고, 각 부분은 각각 결합부를 갖추어, 상기 한정수단은 가스발생기로부터 뻗은 리드와이어와 출력부로부터 뻗은 리드와이어를 결합시키는 중계 커넥터의 플래그부분과 잭부분의 결합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
  34. 제 27 항 내지 제 3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및 결합부에는 각각 전도성부분이 존재하여 커넥터와 결합부를 이어붙임하는 것으로 각각의 전도성부분이 접촉하여 점화신호 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점화신호를 각 점화기에 통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
  35. 제 27 항 내지 제 3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수단은 상기 커넥터에 존재하는 전도성부분의 형상, 수 또는 위치의 적어도 하나가 다름으로서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전도성 부분은 볼록 또는 오목 형상이며, 각각 오목 또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부의 전도성 부분과 이어붙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
  37. 제 27 항 내지 제 3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드와이어는 하나의 커넥터에 수속되어 그 커넥터에는 그 커넥터와 이어붙임이 가능한 결합부를 특정하는 한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
  38. 제 27 항 내지 제 3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드와이어는 각각 커넥터를 가지고 있으며, 그 복수의 커넥터끼리는 가소성의 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
  39. 다단식 에어백 장치에서, 출력부와 복수의 점화기를 이은 복수의 리드와이어에 사용되는 커넥터로서, 출력부와 점화기의 단일 접속만으로 특정하는 한정수단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7 항 내지 제 38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단식 에어백 장치용의 커넥터.
  40. 제 1 항에 있어서, 각 점화기는 점화신호 출력수단의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작동신호를 전하는 리드와이어의 선단에 배치된 커넥터를 이어붙임하기 위한 결합부를 가지고 있으며, 그 결합부에는 출력부로부터 뻗은 복수의 리드와이어가 가지는 커넥터 중에, 어느 커넥터만을 접속 가능하게 하는 한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점화기는 동시에 커넥터와 점화기가 이어붙임함으로써 접속하여 점화신호 출력수단과 점화기의 통전을 가능하게 하는 전도성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한정수단에는 각 점화기마다 다른 것으로서 형성된 전도성부분의 형상, 수 및/또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42. 제 40 항 또는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수단은 상보적으로 끼워 맞춤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커넥터와 결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43. 제 40 항 내지 제 4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수단은 각 점화기마다 위치 및/또는 형상이 다른 것으로 하여 결합부에 형성된 홈 및/또는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44. 제 1 항 내지 제 9 항 및 제 17 항 내지 제 2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소실마다 배치되는 점화수단은 각각 전기신호에 의하여 작동하는 점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각 점화기에는 전기신호를 전하는 케이블이 커넥터에 의하여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그 커넥터는 어느 하나의 점화기에만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결정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접속하는 점화기마다 다른 커넥터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46. 제 44 항 또는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접속하는 점화기마다 위치 및/또는 현상을 다르게 하는 것으로서 커넥터에 형성된 홈 및/또는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47. 제 1 항에 있어서, 작동가스를 정화 및/또는 냉각하는 통형상 필터수단을 포함하고, 그 필터수단은 축방향 끝면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이 축심 연신방향으로 향하여 좁아져 또한 내주면과의 내각이 예각으로 되도록 경사하는 경사 끝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우징내에는 그 필터수단의 경사끝면에 대향하는 지지부가 존재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필터수단의 경사끝면과 대향하는 내면이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경사면이 상기 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49.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는 상기 필터수단 끝면의 축방향으로서, 경사 끝면이 형성된 쪽에는 필터수단 지지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며, 그 필터 수단 지지부재는 필터수단의 경사끝면에 대향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그 경사면이 상기 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50. 제 47 항 내지 제 4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은 축방향 양쪽에 경사끝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도 하우징내로서 필터수단 끝면의 축방향 양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51. 제 47 항 내지 제 4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은 축방향의 어느 한 방향으로 경사끝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필터 수단의 축방향으로서, 그 경사끝면이 형성되어 있는 쪽으로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는 필터수단 끝면에 대하여 지지부와 축방향 반대쪽에 환상부와 외주벽을 가지는 리테이너가 배치되어 있으며, 그 리테이너의 외주벽 내면은 필터수단의 끝부 외주면과 대향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53. 제 1 항 내지 제 9 항 및 제 17 항 내지 제 26 항 및 제 44 항 내지 제 4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소실내에는 각 연소실마다 연소속도, 조성, 조성비, 형상 또는 양이 적어도 하나 이상 다른 가스발생수단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54. 제 1 항 내지 제 9 항 및 제 17 항 내지 제 26 항 및 제 44 항 내지 제 46 항 및 제 5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는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하여 생긴 연소가스를 정화 및/또는 냉각하기 위한 필터수단이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연소실내에서 발생한 연소가스는 공통의 필터수단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55. 제 1 항 내지 제 9 항 및 제 17 항 내지 제 26 항 및 제 44 항 내지 제 46 항 및 제 53 항 및 제 5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는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하여 생긴 연소가스를 정화 및/또는 냉각하기 위한 필터수단이 배치되어 있으며, 그 필터 수단은 연소가스의 발생시의 압력에 의하여 하우징의 내면에 가압되어 하우징 내면과 필터수단 끝부와의 사이를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자체축소식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56. 제 1 항 내지 제 9 항 및 제 17 항 내지 제 26 항 및 제 44 항 내지 제 46 항 및 제 53 항 내지 제 5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너셸 내에 리테이너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57. 통형상 측벽에 복수의 가스배출구를 가지는 디퓨저셸과, 그 디퓨저셸과 동시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클로져셸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하우징내에 가스발생수단을 수용하는 연소실을 복수 설치하는 동시에 각 연소실마다 그 가스발생수단을 착화·연소시키는 점화수단을 배치한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디퓨저셸과 클로져셸을 마찰압접에 의해 접합하여 이루어지고, 그 마찰압접은 클로져셸을 고정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제조방법.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는 안쪽으로 하나의 연소실을 형성한 이너셸이 배치되어 있으며, 그 이너셸은 그 하우징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시킨 후에서 마찰압접에 의해 클로져셸에 접합되어 또 그 마찰압접은 클로져셸을 고정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제조방법.
  59. 제 57 항 또는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져셸은 가스발생기를 모듈케이스에 부착하기 위한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그 플랜지부에는 위치결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클로져셸의 고정은 그 위치결정부에 의해 클로져셸을 위치결정하여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제조방법.
  60.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와,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가스발생기를 작동시키는 충격센서와,
    상기 가스발생기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도입하여 팽창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을 수납하는 모듈케이스를 포함하고, 그 에어백용 가스발생기가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및 제 17 항 내지 제 26 항 및 제 44 항 내지 제 46 항 및 제 53 항 내지 제 56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61. 제 1 항에 있어서, 이너셸의 바깥쪽 표면의 대부분이 이너셸의 바깥쪽에 있는 가스발생제에 직접 접촉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62. 가스배출구를 가지는 하우징내에 충격에 의하여 작동하는 점화수단과, 그 점화수단에 의하여 착화·연소되어서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연소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수용하여 이룬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에 있어서, 그 하우징내에는 가스발생 수단을 수용하는 2실 이상의 연소실이 구획하여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연소실내에는 전도열에 의해 착화·연소하는 자동발화재료(AIM)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63. 제 62 항에 있어서, 각 연소실 끼리를 상호 연통 가능하게 하는 연통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연소실내에 수용되는 가스발생수단은 각 연소실마다 다른 타이밍으로 연소되어 지연 타이밍으로 연소하는 가스발생수단이 수용된 연소실내에는 앞서 연소한 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하여 생긴 열의 전도열에 의해 착화·연소하는 자동발화재료(AIM)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64.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발화재료(AIM)는 먼저 연소하는 가스발생수단을 착화하기 위한 점화수단이 작동한 후, 100 밀리초 이상 지연되어 지연 타이밍으로 연소하는 가스발생제를 연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65. 제 63 항 또는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발화재료는 지연 타이밍으로 연소하는 가스발생수단을 착화·연소시키기 위한 점화수단에 포함되는 점화기에 조합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66. 제 62 항 내지 제 6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는 가스발생수단을 수용하는 2개의 연소실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먼저 연소하는 가스발생수단은 제 1의 가스발생수단으로서, 지연 타이밍으로 연소하는 가스발생수단은 제 2가스발생수단으로서, 각 연소실에 각각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67. 제 62 항 내지 제 6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는 가스발생수단을 수용하는 2개의 연소실이 하우징의 반경방향에 인접하여 동심원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더욱이 각 연소실 끼리를 상호 연통 가능하게 하는 연통구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68. 제 62 항 내지 제 6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수단은 더욱이 상기 점화기의 작동에 의하여 착화되어 연소하는 전화약을 함유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그 전화약은 상기 각 점화기마다 구분되어 각 점화기마다 독립하여 착화·연소하여 상기 복수의 연소실내에 수용된 가스발생수단은, 각각 다른 구분의 전화약이연소한 화염에 의해 착화·연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69.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와,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가스발생기를 작동시키는 충격센서와,
    상기 가스발생기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도입하여 팽창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을 수용하는 모듈케이스를 포함하여 상기 에어백용 가스발생기가 제 62 항 내지 제 69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70. 하우징내에 복수의 전기착화 점화기를 수용하여 이룬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와, 충격에 의하여 점화기의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가 점화기와 동수 설치된 점화신호 출력수단과, 커넥터를 가지는 복수의 리드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그 점화기와 출력부는 커넥터를 가지는 리드와이어로 이어져 있으며, 그 커넥터는 어느 점화기와 출력부의 단일 연결을 특정하는 한정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
  71.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수단은 점화기와 출력부를 접속하는 리드와이어의 적어도 조각끝부에 존재하는 커넥터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
  72. 제 70 항 또는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수단이 상기 점화기와 출력부를 접속하는 리드와이어에 적어도 1개소 존재하는 중계커넥터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
  73. 제 70 항 내지 제 7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와이어는 전기착화식 점화기와 동수 존재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
  74. 제 70 항 내지 제 7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기는 커넥터와 이어 맞춤하는 결합부를 갖추어, 상기 한정수단은 출력부로부터 뻗은 리드와이어를 각 점화기에 결합시키는 커넥터 및 각 점화기의 결합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
  75. 제 70 항 내지 제 7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커넥터와 이어 맞춤하는 결합부를 갖추어 상기 한정수단은 가스발생기에서 뻗은 리드와이어를 출력부에 결합시키는 커넥터 및 출력부의 결합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
  76. 제 70 항 내지 제 7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커넥터는 플래그 부분과 잭부분으로부터 이루어지고, 각 부분은 각각 결합부를 갖추어 상기 한정수단은 가스발생기에서 뻗은 리드와이어와 출력부에서 뻗은 리드와이어를 결합시키는중계 커넥터의 플래그 부분과 잭부분의 결합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
  77. 제 70 항 내지 제 7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및 결합부에는 각각 전도성 부분이 존재하여 커넥터와 결합부를 이어 맞춤함으로서, 각각의 전도성 부분이 접속하여, 점화신호 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점화신호를 각 점화기에 통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
  78. 제 70 항 내지 제 7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수단은 상기 커넥터에 존재하는 전도성 부분의 형상, 수 또는 위치의 적어도 하나가 다름으로써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
  79.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전도성 부분은 볼록 또는 오목 형상이며, 각각 오목 또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부의 전도성 부분과 이어 맞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
  80. 제 70 항 내지 제 7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드와이어는 1개의 커넥터에 수속되어, 그 커넥터에는 그 커넥터와 이어 맞춤이 가능한 결합부를 특정하는 한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
  81. 제 70 항 내지 제 8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드와이어는 각각 커넥터를 가지고 있으며, 그 복수의 커넥터끼리는 가소성의 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 장치.
  82. 다단식 에어백 장치에서, 출력부와 복수의 점화기를 이은 복수의 리드와이어에 사용되는 커넥터로서, 출력부와 점화기와의 단일 접속만으로 특정하는 한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70 항 내지 제 81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단식 에어백 장치용의 커넥터.
  83. 가스배출구를 가지는 하우징내에 전기신호에 의하여 작동하는 복수의 점화기와, 그 점화기의 작동에 기인하여 연소 및/또는 팽창하여 작동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수단을 포함하여 수용하여 이룬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서, 각 점화기는 점화신호 출력수단의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작동신호를 전하는 리드와이어의 선단에 배치된 커넥터를 이어 맞추기 위한 결합부를 가지고 있으며, 그 결합부에는 출력부에서 뻗은 복수의 리드와이어가 가지는 커넥터의 중에 어느 커넥터만을 접속 가능하게 하는 한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84. 제 8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점화기는 동시에 커넥터와 점화기가 이어 맞춤함으로써, 접촉하여 점화신호 출력수단과 점화기와의 통전을 가능하게 하는 전도성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한정수단은 각 점화기마다 다른 것으로서 형성된 전도성 부분의 형상, 수 및/또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85. 제 83 항 또는 제 84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수단은 상보적으로 끼워맞춤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커넥터와 결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86. 제 83 항 내지 제 8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수단은 각 점화기마다 위치 및/또는 형상이 다른 것으로 결합부에 형성된 홈 및/또는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87. 가스발생기에 포함되는 복수의 점화기에 점화신호를 발하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한 점화신호 출력수단과, 그 가스발생기에 포함되는 복수의 점화수단을 접속하는 커넥터 접속방법으로서, 각 점화기는 각각 커넥터를 가지는 리드와이어에 의하여 점화수단 출력장치의 출력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각 점화기와 출력부는 한정수단에 의하여 양자 간의 접속이 특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용 커넥터 접속방법.
  88. 제 8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점화기는, 동시에 커넥터와 점화기가 이어 맞춤함으로써, 접촉하여 점화신호 출력수단과, 점화기와의 통전을 가능하게 하는 전도성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한정수단은 각 점화기마다 다른 것으로서 형성된 전도성 부분의 형상, 수 및/또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접속방법.
  89. 제 87 항 또는 제 88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기는 커넥터와 이어 맞춤하는 결합부를 갖추어 상기 한정수단은 출력부로부터 뻗은 리드와이어를 각 점화기에 결합시키는 커넥터 및 각 점화기의 결합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접속방법.
  90. 제 89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수단은 상보적으로 끼워맞춤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커넥터와 결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접속방법.
  91. 제 89 항 또는 제 90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수단은 각 점화기마다 위치 및/또는 형상이 다른 것으로 결합부에 형성된 홈 및/또는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접속방법.
  92.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작동가스를 정화 및/또는 냉각하기 위한 통형상 필터 수단으로서, 축방향 끝부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은 축심 연신방향에 향하여 좁아져서 경사지고, 또한 내주면과의 내각이 예각으로 이룬 경사 끝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필터수단.
  93. 제 9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은 선재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수단.
  94. 제 92 항 또는 제 9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은 적어도 반경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수단.
  95. 가스배출구를 가지는 하우징내에 충격에 의하여 작동하는 점화수단과, 그 점화수단의 작동에 의해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작동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수단과, 그 작동가스를 정화 및/또는 냉각하는 통형상 필터수단을 포함하여 수용하여 이루어진 에어백용 가스발생기로서, 그 필터 수단은 축방향 끝면의 어느 한방향 또는 쌍방이, 축심 연신방향으로 향하여 좁아져서, 또한 내주면과의 내각이 예각으로 되도록 경사하는 경사끝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우징내에는 그 필터수단의 경사끝면에 대향하는 지지부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96. 제 95 항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필터수단의 경사끝면과 대향하는 내면이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경사면이 상기 지지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97. 제 9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는 상기 필터수단 끝면이 축방향으로서, 경사끝면이 형성된 쪽에 필터수단 지지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며, 그 필터수단 지지부재는 필터수단의 경사끝면에 대향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그 경사면이 상기 지지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98. 제 95 항 내지 제 9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은 축방향 양쪽으로 경사 끝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로 하우징내로서 필터 수단끝면의 축방향 양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99. 제 95 항 내지 제 9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은 축방향의 어느 한쪽으로 경사끝면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필터수단의 축방향으로서, 그 경사 끝면이 형성되어 있는 쪽에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100. 제 9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는 필터수단 끝면에 대하여 지지부와 축방향 반대쪽에 환형상부와 외주벽을 가지는 리테이너가 배치되어 있으며 그 리테이너의 외주벽 내면은 필터 수단의 끝부 외주면과 대향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101.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의 하우징내에 배치된 통형상 필터수단에 의해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작동가스를 정화 및/또는 냉각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 하우징내에는 하우징 중심축의 연신방향으로 향하여 좁아지도록 경사하는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작동 가스의 통과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팽창배출한 통형상 필터수단은 그 지지부에 경사에 의해 축방향으로 수축되는 동시에 지지부에 맞닿아서, 필터 수단과 지지부사이의 작동가스 통과를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가스를 정화 및/또는 냉각방법.
  102. 제 10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필터수단은 축방향끝면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의 축심 연신방향으로 향하여 좁아지고, 또한 내주면과의 내각이 예각이 되도록 경사하는 경사끝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경사끝면이 상기 지지부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3. 제 95 항 내지 제 10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와,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가스발생기를 작동시키는 충격센서와, 상기 가스발생기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을 수납하는 모듈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용 가스 발생기가 에어백용 가스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KR1020017009752A 1999-02-16 2000-02-15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및 에어백 장치 KR1006535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790999 1999-02-16
JPJP-P-1999-00037909 1999-02-16
JP5712799 1999-03-04
JPJP-P-1999-00057127 1999-03-04
JP7830699 1999-03-23
JPJP-P-1999-00078306 1999-03-23
JPJP-P-1999-00165924 1999-06-11
JP16592499 1999-06-11
JP16731799 1999-06-14
JPJP-P-1999-00167317 1999-06-14
JPJP-P-1999-00265998 1999-09-20
JP26599899 1999-09-20
JP34215099 1999-12-01
JPJP-P-1999-00342150 1999-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939A true KR20010101939A (ko) 2001-11-15
KR100653574B1 KR100653574B1 (ko) 2006-12-04

Family

ID=27564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752A KR100653574B1 (ko) 1999-02-16 2000-02-15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및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6722694B1 (ko)
EP (8) EP2489557B1 (ko)
JP (2) JP3315686B2 (ko)
KR (1) KR100653574B1 (ko)
CN (2) CN100357136C (ko)
AT (4) ATE267727T1 (ko)
AU (1) AU2461900A (ko)
DE (5) DE20023652U1 (ko)
HU (1) HUP0105150A2 (ko)
WO (1) WO20000488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0035A (ko) * 2012-03-19 2014-12-08 주식회사 다이셀 가스 발생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026969T2 (de) * 1999-02-05 2006-12-21 Nippon Kayaku K.K. Gasgenerator
JP4426079B2 (ja) * 1999-09-27 2010-03-03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イニシエータ組立体
JP4757375B2 (ja) * 2000-09-22 2011-08-24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DE60119088T2 (de) * 2000-03-13 2006-12-07 Nippon Kayaku K.K. Gasgenerator
US6945561B2 (en) * 2000-06-08 2005-09-20 Dia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device
US6527297B1 (en) * 2000-08-30 2003-03-04 Autoliv Asp, Inc. Inflator device ignition of gas generant
WO2002036395A1 (fr) * 2000-10-31 2002-05-10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enerateur de gaz pour airbag et dispositif d'airbag
US20020073873A1 (en) * 2000-12-15 2002-06-20 Ulrich Bley Gas generator for low-slag gas cartridges for motor vehicle safety
US6857658B2 (en) * 2001-03-15 2005-02-22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apparatus
US6860510B2 (en) * 2001-08-21 2005-03-01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Multistage inflating-type hybrid inflator
US7516983B2 (en) 2002-02-06 2009-04-14 Nippon Kayaku Kabushiki-Kaisha Gas generator
US20030146611A1 (en) * 2002-02-06 2003-08-07 Kenney Steven B. Adaptive output passenger disk inflator
US6796581B2 (en) * 2002-03-26 2004-09-28 Intelligent Mechantronic Systems, Inc. Variable inflation force airbag inflator
US7155353B2 (en) * 2002-04-25 2006-12-26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Method for determining charging capacitance of capacitor
US6877435B2 (en) * 2002-09-12 2005-04-12 Textron Systems Corporation Dual-stage gas generator utilizing eco-friendly gas generant formulation
US6918340B2 (en) 2002-09-12 2005-07-19 Textron Systems Corporation Dual-stage gas generator utilizing eco-friendly gas generant formulation for military applications
US7293797B2 (en) * 2002-10-07 2007-11-13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Inflator
US20040155444A1 (en) * 2002-12-09 2004-08-12 Naoki Matsuda Gas generator for air bag
JP2004237971A (ja) * 2002-12-09 2004-08-26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JP4113424B2 (ja) * 2002-12-09 2008-07-09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US7052040B2 (en) 2002-12-09 2006-05-30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CN1329230C (zh) * 2002-12-09 2007-08-01 大赛璐化学工业株式会社 用于气囊的气体发生器
JP2004203373A (ja) * 2002-12-09 2004-07-22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US7172214B2 (en) 2002-12-09 2007-02-06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US7506891B2 (en) * 2003-04-17 2009-03-24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Belt and side impact inflator
DE20309360U1 (de) * 2003-06-17 2003-10-23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Gasgeneratorbaugruppe
US6983956B2 (en) * 2003-08-14 2006-01-10 Key Safety Systems, Inc. Dual stage pyrotechnic inflator
US7806435B2 (en) 2003-12-19 2010-10-05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JP4266344B2 (ja) * 2003-12-19 2009-05-20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ガス発生器
JP4994574B2 (ja) 2004-01-07 2012-08-08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用フィルタ
JP4494023B2 (ja) 2004-01-15 2010-06-30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US20050189753A1 (en) * 2004-02-10 2005-09-01 Kazuhiro Kato Gas generator
US7232001B2 (en) * 2004-08-24 2007-06-19 Sam Hakki Collision air bag and flotation system
JP4896389B2 (ja) * 2004-11-02 2012-03-14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エアバッグの展開制御装置
US7325828B2 (en) * 2004-11-04 2008-02-05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Multi-stage gas generator
DE502004003639D1 (de) * 2004-12-08 2007-06-06 Delphi Tech Inc Gasgenerator
EP1669259B1 (de) * 2004-12-08 2011-06-15 Delphi Technologies, Inc. Gasgenerator
EP1669258A1 (de) * 2004-12-08 2006-06-14 Delphi Technologies, Inc. Gasgenerator
JP4681867B2 (ja) * 2004-12-10 2011-05-11 中央発條株式会社 濾過部材及び濾過部材の製造方法
US7850201B2 (en) * 2005-01-21 2010-12-14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Gas gen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70057496A1 (en) * 2005-06-08 2007-03-15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JP2007015675A (ja) * 2005-06-08 2007-01-25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US7510210B2 (en) * 2005-08-08 2009-03-31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Air bag module
CN101312858B (zh) * 2005-11-23 2011-06-08 奈特夏普能源管理有限公司 用于行人、乘员、车辆的可变能量管理系统
JP4878206B2 (ja) * 2006-04-28 2012-02-15 株式会社ダイセル インフレータ
US7905516B2 (en) * 2006-05-19 2011-03-15 Tk Holdings Inc. Airbag module with integrated gas generation
US7722078B2 (en) * 2006-12-18 2010-05-25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and restraining device using same
JP4953998B2 (ja) * 2007-09-18 2012-06-13 株式会社ダイセル 人員拘束装置用ガス発生器
EP2070870A1 (en) 2007-12-14 2009-06-17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Formulation for generating nitrogen gas
WO2009139677A1 (en) * 2008-05-14 2009-11-19 Autoliv Development Ab Dual-stage airbag inflator
US7950693B2 (en) * 2008-05-20 2011-05-31 Autoliv Asp, Inc. Dual stage inflator
US20090318393A1 (en) * 2008-06-23 2009-12-24 Shalaby Shalaby W Film-forming liquid formulations for controlled release of pesticides
KR100962140B1 (ko) * 2008-07-10 2010-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
US8282127B1 (en) * 2008-09-03 2012-10-09 Tk Holdings, Inc. Gas generating system
CN104773130A (zh) * 2008-10-30 2015-07-15 奥托里夫Asp股份有限公司 安全气囊用充气器
WO2010084899A1 (ja) * 2009-01-22 2010-07-29 株式会社オートリブニチユ エアバッグ装置用ガス発生器
JP2010247817A (ja) * 2009-03-24 2010-11-04 Toyoda Gosei Co Ltd インフレーター
US8393641B1 (en) * 2009-06-12 2013-03-12 Tk Holdings, Inc. Gas generator
US9051225B1 (en) * 2009-06-12 2015-06-09 Tk Holdings Inc. Gas generator
US8047569B2 (en) * 2010-03-12 2011-11-01 Autoliv Asp, Inc. Multi-stage inflator
JP5462049B2 (ja) * 2010-03-30 2014-04-02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5490617B2 (ja) 2010-06-08 2014-05-14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用の筒状フィルタ
DE202010014286U1 (de) 2010-10-15 2012-01-30 Trw Airbag Systems Gmbh Gasgenerator und Gassackmodul
US20120234193A1 (en) 2011-03-17 2012-09-20 Special Devices, Inc. Igniter with a locked consolidated powder charge
JP5638996B2 (ja) * 2011-03-30 2014-12-10 株式会社ダイセル 人員拘束装置用ガス発生器
US9290419B2 (en) 2012-11-29 2016-03-22 Autoliv Asp, Inc. Duplex actuation system for inflatable restraints
US9010803B2 (en) * 2012-11-29 2015-04-21 Autoliv Asp, Inc. Duplex firing inflator
JP5965334B2 (ja) * 2013-02-18 2016-08-03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WO2014147721A1 (ja) * 2013-03-18 2014-09-25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 点火器及び点火器組立体及びその検知システム並びに検知方法
JP6353326B2 (ja) * 2014-09-16 2018-07-04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FR3030715B1 (fr) * 2014-12-22 2017-02-03 Ncs Pyrotechnie Et Tech Sas Etui d'allumeur
JP6683455B2 (ja) * 2015-10-23 2020-04-22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CN105644491B (zh) * 2016-01-04 2017-12-01 百利得(湖州)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二次延迟引爆充气式气体发生器
CN108463379B (zh) * 2016-01-26 2021-02-12 株式会社大赛璐 气体发生器
JP2018084195A (ja) * 2016-11-24 2018-05-31 愛三工業株式会社 吸着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キャニスタ
DE102017102049A1 (de) * 2017-02-02 2018-08-02 Trw Automotive Gmbh Gasgeneratorhalter und Gassackmodul
US10760880B2 (en) * 2017-06-22 2020-09-01 Autoliv Development Ab Igniter case
JP6867897B2 (ja) * 2017-06-29 2021-05-12 株式会社ダイセル 封止構造
JP6946097B2 (ja) 2017-07-21 2021-10-06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US11034374B2 (en) * 2017-08-10 2021-06-15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JP6954520B2 (ja) 2017-12-05 2021-10-27 株式会社ダイセル 点火器組立体、及びガス発生器
JP7089910B2 (ja) * 2018-03-12 2022-06-23 株式会社ダイセル 火工装置用の筒状フィルタ、前記筒状フィルタの製造方法、前記筒状フィルタを使用した火工装置
KR102622079B1 (ko) * 2018-05-29 2024-01-09 주식회사 다이셀 가스 발생기
CN108788887B (zh) * 2018-07-27 2024-03-19 重庆宏钢数控机床有限公司 机床物料自动接料装置
CN109927664B (zh) * 2019-04-04 2021-04-02 湖北航鹏化学动力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双级式气体发生器
JP7315410B2 (ja) * 2019-08-09 2023-07-26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2023000015A (ja) 2021-06-17 2023-01-04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2023072553A (ja) * 2021-11-12 2023-05-24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用フィルタユニット、ガス発生器、及びガス発生器の製造方法
US11718267B1 (en) * 2022-03-18 2023-08-08 Autoliv Asp, Inc. Initiator for a gas generator of a vehicle safet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35005C (ko) *
US2089844A (en) * 1934-03-28 1937-08-10 Alf E Anderson Electrical connecter
US3877882A (en) 1972-07-27 1975-04-15 Talley Industries Gas generating device
US3972545A (en) * 1975-03-10 1976-08-03 Thiokol Corporation Multi-level cool gas generator
CA1140058A (en) 1978-12-18 1983-01-25 Fred E. Schneiter Gas inflator structures with improved cooling filters and method of making the filters
US4781626A (en) * 1982-09-24 1988-11-01 Amp Incorporated Keying system for connector families
US4764129A (en) * 1984-09-27 1988-08-16 British Telecommunications Pl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US4865635A (en) * 1988-08-17 1989-09-12 Talley Automotive Products, Inc. Filter assembly for non-welded inflator device
DE3835356A1 (de) 1988-10-17 1990-04-19 Bayern Chemie Gmbh Flugchemie Gasgenerator
JPH03548A (ja) 1989-02-10 1991-01-07 Morton Internatl Inc エアバッグ用二室式膨張器
JPH0545063Y2 (ko) 1989-05-15 1993-11-17
US4950458A (en) 1989-06-22 1990-08-21 Morton International, Inc. Passenger automotive restraint generator
JPH0329326A (ja) 1989-06-26 1991-02-07 Nippon Mining Co Ltd 接合型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
US4943086A (en) * 1989-06-30 1990-07-24 Morton Thiokol, Inc. Gas bag inflator with a two welded joint housing
JP2638643B2 (ja) 1989-07-06 1997-08-06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JPH0340049U (ko) * 1989-08-28 1991-04-17
US4998751A (en) 1990-03-26 1991-03-12 Morton International, Inc. Two-stage automotive gas bag inflator using igniter material to delay second stage ignition
DE4019677A1 (de) 1990-06-20 1992-01-09 Bayern Chemie Gmbh Flugchemie Airbagsystem
DE4025571A1 (de) * 1990-08-11 1992-02-13 Wieland Elektrische Industrie Mehrpolige geraetesteckvorrichtung
DE69105179T2 (de) * 1990-09-06 1995-06-22 Nippon Oils & Fats Co Ltd Gasgeneratorvorrichtung.
US5219178A (en) 1990-10-08 1993-06-15 Nippon Koki Co., Ltd. Air bag inflation gas generator
US5221107A (en) 1990-12-18 1993-06-22 Trw Inc. Prefilter assembly
DE4141620C2 (de) 1990-12-18 1996-04-11 Trw Inc Startvorrichtungs- oder Initiatoranordnung für eine Airbagaufblasvorrichtung
US5320382A (en) 1991-05-31 1994-06-14 Gt-Devices Pulsed pressure source particularly adapted for vehicle occupant air bag restraint systems
JPH05305854A (ja) 1991-06-21 1993-11-19 Daicel Chem Ind Ltd 薄板構造のガス発生器
JPH04372177A (ja) 1991-06-21 1992-12-25 Sanyo Electric Co Ltd 光起電力装置
JP3029326B2 (ja) 1991-07-09 2000-04-04 株式会社東芝 データ送信装置
JPH0524498A (ja) 1991-07-26 1993-02-02 Takata Kk 助手席用エアバツグ装置
JP3097201B2 (ja) 1991-08-27 2000-10-10 株式会社ニコン 露出演算装置
JP2785536B2 (ja) 1991-09-25 1998-08-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マルチチップ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53169U (ja) 1991-12-12 1993-07-13 株式会社エスパル ゲーム装置の周辺機器接続用コネクタ
US5260038A (en) * 1992-04-08 1993-11-09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s with circumferentially disposed blades
JPH0582713U (ja) 1992-04-15 1993-11-0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エアバッグ装置用インフレータ
JP3082426B2 (ja) 1992-05-21 2000-08-2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インフレータ
US5346254A (en) 1993-02-01 1994-09-13 Trw Inc. Inflator assembly
US5340339A (en) * 1993-02-19 1994-08-23 Alliedsignal Inc. Wire cover for an air bag inflator
WO1994025315A1 (en) 1993-04-29 1994-11-10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Inflator having a rupturable igniter tube
US5613075A (en) * 1993-11-12 1997-03-1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eterministic read access to main memory in a computer system
JPH07232613A (ja) 1993-12-28 1995-09-05 Nippon Kayaku Co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およびスクイブ
US5847310A (en) 1993-12-28 1998-12-08 Nippon Kayaku Kabushiki-Kaisha Squib for an air bag with an auto ignition composition
US5620205A (en) * 1994-03-14 1997-04-15 Morton International, Inc. Gas generation and ignition system for airbag inflation
JP3040049B2 (ja) 1994-04-19 2000-05-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ワーク位置決め用治具の仕様データ作成装置
US5513879A (en) 1994-05-04 1996-05-07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Two stage inflator with module venting for passenger side airbags
JPH0890259A (ja) 1994-09-27 1996-04-09 Nippon Kayaku Co Ltd 圧接バリの整形方法及び整形されたガス発生器
US5468017A (en) 1994-10-17 1995-11-21 Trw Inc. Auto ignition package for an air bag inflator
US5464249A (en) * 1994-11-09 1995-11-07 Morton International, Inc. Generant loaded filter assembly and method for its use
US5494506A (en) * 1995-01-17 1996-02-27 Ucar Carbon Technology Corporation Gas filtering device for air bag gas generator
US5564743A (en) 1995-03-22 1996-10-15 Morton International, Inc. Multiple stage air bag inflator system
US5613705A (en) 1995-03-24 1997-03-25 Morton International, Inc. Airbag inflator having a housing protected from high-temperature reactive generated gases
US5799973A (en) * 1995-04-22 1998-09-01 Temic Bayern-Chemie Airbag Gmbh Pyrotechnic gas generator with two separate combustion chambers
DE19520847B4 (de) 1995-06-08 2005-08-18 Honda Giken Kogyo K.K. Vorrichtung zur Gaserzeugung für einen Kraftfahrzeug-Airbag
US5582427A (en) * 1995-06-28 1996-12-10 Morton International, Inc. Dual-wall pyrotechnic air bag inflator with tortuous gas flow
JP3651068B2 (ja) * 1995-07-31 2005-05-25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H0958396A (ja) * 1995-08-21 1997-03-04 Daicel Chem Ind Ltd ガス発生器
US5643345A (en) 1995-09-18 1997-07-01 Morton International, Inc. Automotive air bag filter with support member
DE19541584A1 (de) 1995-11-08 1997-05-15 Temic Bayern Chem Airbag Gmbh Anordnung zum mehrstufigen Zünden von Gasgeneratoren
JPH09207705A (ja) * 1995-11-28 1997-08-12 Nippon Kayaku Co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その組立方法
WO1997020786A1 (fr) * 1995-12-01 1997-06-12 Nippon Kayaku Kabushiki-Kaisha Agent generateur de gas et charge de transfert pour air-bag et generateur de gas les utilisant
JP3040049U (ja) 1996-01-30 1997-08-05 モート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適応性のあるエアバッグ膨張装置
JPH09213417A (ja) * 1996-01-30 1997-08-15 Tamura Seisakusho Co Ltd Acアダプタの出力端子装置
US5685558A (en) * 1996-02-06 1997-11-11 Trw Inc. Air bag inflator mounting
US5613702A (en) * 1996-02-23 1997-03-2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for inflating a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restraint
US5630619A (en) * 1996-02-28 1997-05-20 Morton International, Inc. Hybrid adaptive inflator for airbags
US5582428A (en) 1996-02-28 1996-12-10 Morton International, Inc. Hybrid adaptive inflator for airbags
DE19611102A1 (de) 1996-03-21 1997-09-25 Dynamit Nobel Ag Gasgenerator für ein Airbagsystem
US6234521B1 (en) 1996-04-08 2001-05-22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Airbag inflator and an airbag apparatus
US5683102A (en) * 1996-04-08 1997-11-04 Morton International, Inc. Ported passenger airbag module can
US5690357A (en) * 1996-04-25 1997-11-25 Trw Inc. Dual stage air bag inflator
DE19620758A1 (de) 1996-05-23 1997-11-27 Temic Bayern Chem Airbag Gmbh Gasgenerator
JPH106912A (ja) 1996-06-26 1998-01-13 Nippon Kayaku Co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その組立方法
JP3677949B2 (ja) * 1996-07-17 2005-08-03 日本化薬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WO1998002336A1 (fr) * 1996-07-17 1998-01-22 Sensor Technology Co., Ltd. Generateur de gaz pour airbag
US5882224A (en) * 1996-08-28 1999-03-16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Squib connector socker assembly having shorting clip for automotive air bags
US5851027A (en) * 1996-09-09 1998-12-22 Bendix-Atlantic Inflator Company Variable output driver side hybrid inflator
DE69633462T2 (de) * 1996-10-29 2005-01-20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Sakai Gaserzeugungsvorrichtung für einen airbag
JP2989788B2 (ja) 1996-10-31 1999-12-13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H10129400A (ja) 1996-10-31 1998-05-19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WO1998021073A1 (fr) * 1996-11-14 1998-05-22 Nippon Kayaku Kabushiki-Kaisha Generateur de gaz pour coussin gonflable de securite
US5845933A (en) * 1996-12-24 1998-12-08 Autoliv Asp, Inc. Airbag inflator with consumable igniter tube
JP3247932B2 (ja) 1996-12-27 2002-01-2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点火管コネクタ
JP3425319B2 (ja) 1997-02-10 2003-07-14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DE19709597A1 (de) * 1997-03-08 1998-09-17 Temic Bayern Chem Airbag Gmbh Vorrichtung zur Arretierung von Brennstoffgranulat in Brennkammern
JPH10263336A (ja) 1997-03-26 1998-10-06 Nippon Kayaku Co Ltd ガス発生器用フィルタ
JPH10324219A (ja) 1997-03-26 1998-12-08 Nippon Kayaku Co Ltd ガス発生器
US5743556A (en) 1997-04-02 1998-04-28 Lindsey; David W. Inflator flow inhibitor
FR2761942B1 (fr) 1997-04-11 1999-05-07 Livbag Snc Generateur pyrotechnique a debit et volume de gaz adaptables pour coussin de protection
JPH10297416A (ja) 1997-04-25 1998-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アバッグ装置用ガス発生装置及びエアバッグ膨張方法
JP2926040B2 (ja) * 1997-05-09 1999-07-28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DE29708380U1 (de) * 1997-05-09 1997-09-04 Trw Repa Gmbh Gasgenerator
FR2763548B1 (fr) * 1997-05-23 1999-06-18 Livbag Snc Generateur pyrotechnique de gaz adaptatif a chambres tubulaires pour coussin de protection
DE19725452A1 (de) 1997-06-16 1998-12-17 Temic Bayern Chem Airbag Gmbh Gasgenerator für eine Sicherheitseinrichtung
US5992881A (en) * 1997-07-01 1999-11-3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with multiple stage inflator
DE19732825A1 (de) * 1997-07-30 1999-02-04 Temic Bayern Chem Airbag Gmbh Gassack-Modul
EP1002215B1 (en) 1997-08-08 2001-10-31 The Whitaker Corporation Air bag connector
JP3935245B2 (ja) * 1997-08-12 2007-06-20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3702074B2 (ja) 1997-08-25 2005-10-05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FR2768501B1 (fr) 1997-09-12 1999-10-22 Livbag Snc Generateur pyrotechnique adaptatif de gaz pour coussin de protection avec dispositif de neutralisation
JPH1196868A (ja) 1997-09-16 1999-04-09 Autoliv Japan Kk 衝突センサ及びそれを用いたエアバッグ作動制御装置
JPH1191494A (ja) 1997-09-18 1999-04-06 Nippon Kayaku Co Ltd ガス発生器
JP3986184B2 (ja) 1997-11-05 2007-10-03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JP3875382B2 (ja) * 1997-12-05 2007-01-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におけるエアバッグ展開方法
DE29801477U1 (de) 1998-01-29 1998-06-25 Trw Airbag Sys Gmbh & Co Kg Zündeinheit für einen Gasgenerator
US6032979C1 (en) 1998-02-18 2001-10-16 Autoliv Asp Inc Adaptive output inflator
JPH11263185A (ja) * 1998-03-17 1999-09-28 Takata Kk エアバッグインフレーター
US6019389A (en) * 1998-03-31 2000-02-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inflator
DE19816216C2 (de) * 1998-04-09 2001-06-07 Siemens Ag Elektrischer Stecker und Steckverbindung
JP3781603B2 (ja) 1999-02-05 2006-05-31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US6257617B1 (en) * 1999-03-04 2001-07-10 Trw Inc. Air bag inflator with pressure regulation
US6142515A (en) * 1999-03-05 2000-11-07 Trw Inc. Air bag inflator with heat sink and retainer
US5984352A (en) * 1999-04-26 1999-11-16 Trw Inc. Air bag inflator with pressure regulation
US6189927B1 (en) 1999-12-16 2001-02-20 Autoliv Asp, Inc. Adaptive output infl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0035A (ko) * 2012-03-19 2014-12-08 주식회사 다이셀 가스 발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35624T2 (de) 2007-11-22
DE20023652U1 (de) 2005-04-21
EP1832478A3 (en) 2007-12-26
EP1057514B1 (en) 2005-01-19
EP1053916B1 (en) 2004-05-26
EP1057700A2 (en) 2000-12-06
ATE367295T1 (de) 2007-08-15
DE60010970T2 (de) 2004-10-28
EP1832478B1 (en) 2012-10-24
US6722694B1 (en) 2004-04-20
EP1057700A3 (en) 2001-03-07
DE60035624D1 (de) 2007-08-30
EP2489557A1 (en) 2012-08-22
EP1053916A1 (en) 2000-11-22
CN100357136C (zh) 2007-12-26
EP1059211A3 (en) 2001-01-03
HUP0105150A2 (en) 2002-06-29
JP2002046569A (ja) 2002-02-12
EP1447285A3 (en) 2004-10-13
JP3315686B2 (ja) 2002-08-19
CN1342119A (zh) 2002-03-27
EP1518765A3 (en) 2005-07-13
AU2461900A (en) 2000-09-04
EP1447285B1 (en) 2008-05-14
EP1053916A4 (en) 2001-07-11
US6491321B1 (en) 2002-12-10
EP1057514A3 (en) 2001-07-11
ATE395225T1 (de) 2008-05-15
DE60017498T2 (de) 2005-06-30
US6669230B1 (en) 2003-12-30
DE60038908D1 (de) 2008-06-26
EP1518765A2 (en) 2005-03-30
CN1216759C (zh) 2005-08-31
DE60017498D1 (de) 2005-02-24
ATE287279T1 (de) 2005-02-15
EP1057514A2 (en) 2000-12-06
EP1059211A2 (en) 2000-12-13
EP1447285A2 (en) 2004-08-18
EP2489557B1 (en) 2015-05-27
EP1832478A2 (en) 2007-09-12
WO2000048868A1 (fr) 2000-08-24
KR100653574B1 (ko) 2006-12-04
DE60010970D1 (de) 2004-07-01
CN1660634A (zh) 2005-08-31
EP1518765B1 (en) 2007-07-18
ATE267727T1 (de) 2004-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3574B1 (ko) 다단식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및 에어백 장치
KR100646586B1 (ko)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및 에어백장치
US6598901B2 (en)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apparatus
US6412815B1 (en)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device
JP3279550B6 (ja) 多段式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3258314B6 (ja) 多段式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3742603B2 (ja) 多段式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3258314B2 (ja) 多段式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3279550B2 (ja) 多段式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01225713A (ja) 多段式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