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3116A - 입체구조형상 네트와 이 네트를 이용한 복합구조재 - Google Patents

입체구조형상 네트와 이 네트를 이용한 복합구조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3116A
KR20010033116A KR1020007006480A KR20007006480A KR20010033116A KR 20010033116 A KR20010033116 A KR 20010033116A KR 1020007006480 A KR1020007006480 A KR 1020007006480A KR 20007006480 A KR20007006480 A KR 20007006480A KR 20010033116 A KR20010033116 A KR 20010033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dimensional
mesh
net mesh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츠모토고이치
Original Assignee
마츠모토 고이치
아사히도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모토 고이치, 아사히도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모토 고이치
Publication of KR20010033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311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6Use of three-dimensional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GMAKING NETS BY KNOTTING OF FILAMENTARY MATERIAL; MAKING KNOTTED CARPETS OR TAPESTRIES; KNOT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G1/00Making nets by knotting of filamentary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0Open-work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1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 D10B2403/0114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with one or more yarns appearing predominantly on one face, e.g. plated or paralleled yar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2Alike front and back faces
    • D10B2403/0122Smooth surfaces, e.g. laminated or coat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1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 D10B2403/0213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with apertures, e.g. with one or more mesh fabric pl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4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 D10B2403/0241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enhancing mechanic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4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 D10B2403/0242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enhancing chemical properties
    • D10B2403/02421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enhancing chemical properties containing particulate matter, e.g. powder or granulat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Shape features
    • D10B2403/033Three dimensional fabric, e.g. forming or comprising cavities in or protrusions from the basic planar configuration, or deviations from the cylindrical shape as generally imposed by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6Details of garments
    • D10B2501/061Piped openings (pocke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6Bed line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2Reinforcing materials; Prepreg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8Upholstery, mattress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D10B2505/204Geotexti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13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grain, strips, or filamentary elements in different layers or components parall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149Honeycomb-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149Honeycomb-like
    • Y10T428/24157Filled honeycomb cells [e.g., solid substance in cavities,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149Honeycomb-like
    • Y10T428/24165Hexagonally shaped cavi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94Composite having a component wherein a constituent is liquid or is contained within preformed walls [e.g., impregnant-filled, previously void containing componen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10Scrim [e.g., open net or mesh, gauze, loose or open weave or kni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45Knit fabric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knit pattern other than open knit fabric or a fabric in which the strand denier is specif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469Including a foamed layer 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488Including an additional knit fabric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494Including a nonwoven fabric layer other than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편 편성에 의한 입체구조형상 네트에 있어서, 네트메시 공간을 명확하게 하는 입체 브레이드부는 보형성이 좋고, 방향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구조안정성 및 내압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적절하게 탄력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 장력을 부여하는 것 만으로 간단하게 입체 브레이드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공극보유율이 높아 경량이고, 이들 특성을 이용하여 각종 용도에 널리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 그물형상의 표리의 소지(1, 2)와 이것을 연결하는 연결사(3)에 의해 입체구조형상 네트(A)를 형성하고, 표리의 소지(1, 2)의 네트메시(12, 22)의 크기를 표리에서 다르게 하여 편성하고, 큰 네트메시(12)측의 스트링부(11)와 작은 네트메시(22)측의 스트링부(21)에 연결사(3)를 걸쳐 놓고 입체 브레이드부(4)를 형성하고, 이 입체 브레이드부(4)의 전부 또는 일부에 있어서 연결사(3)를 큰 네트메시(12)측의 스트링부(11)로부터 작은 네트메시(22)측의 복수의 스트링부(21)에 걸쳐 놓고, 작은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측에서 상기 브레이드부내에 작은 네트메시를 보유하는 폭을 갖는 입체형상, 특히 내부에 입체 공극을 보유하는 입체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체구조형상 네트와 이 네트를 이용한 복합구조재{3-D STRUCTURE NET AND COMPOSIT STRUCTURE MATERIAL USING THE NET}
종래 경편 편성의 이중 편지(編地)에 의한 네트로서, 적어도 한쪽이 그물형상을 이루는 표리(表裏)의 소지(素地)를 연결사에 의해 연결하여 네트메시 공간(네트의 메시구멍)을 명확하게 하는 브레이드부를 입체구조로 하여 두께 및 공극보유율을 높힌 입체구조의 네트가 알려져 있다.
이 경편 편성의 입체구조 네트는 경편 편성에 의한 이중 편지의 결점으로서 연결사의 루프형성형태 등 편성구조에 의한 특유의 방향성을 갖고 있어, 한방향(주로 편방향)으로 쓰러지기 쉽게 되어 있다. 특히 네트의 두께가 큰 것일수록 상기 결점이 현저하다.
또, 이중편에 의한 네트메시 공간을 명확하게 하는 브레이드부가 표리의 소지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벽형상을 이루는 것인 경우는 네트의 두께가 커질수록 연결사의 길이(네트메시 공간을 명확하게 하는 브레이드부의 높이)가 커져 쓰러짐 등에 대한 안정성이 손상된다. 이것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입체 브레이드부의 개각도(開脚度)를 크게 하여, 네트메시 공간의 개구직경을 어느 정도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두께가 큰 입체구조의 네트는 네트메시 공간이 필연적으로 큰 것이 된다.
그러나, 네트메시 공간의 개구직경이 커지면, 외부로부터의 하중을 받는 부분이 입체의 브레이드부만이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압력을 받는 부분이 작고, 또한 부분적인 것이 되어 충분한 내압강도를 얻을 수 없다. 게다가 표면을 편직포 등의 시트재로 커버하였다고 해도 표면에는 네트메시 공간의 부분이 오목하게 되어 네트 특유의 요철이 나타나게 되므로 외관이 좋지 않고, 또한 촉감도 나빠진다. 또, 부분적으로 내압강도가 다르게 되는 일도 있다.
따라서, 두께가 커서 충분한 탄력성이나 내압성을 갖으며 또한 네트메시 공간이 작은 것이 바람직한 스페이서, 구두의 인솔, 쿠션재 또는 매트재 등에서는 만족할 수 없었다.
또, 큰 내압성이나 탄력성 및 구조안정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네트의 두께나 네트메시 공간의 개구직경(지름)은 너무 크게 할 수 없으며, 그 용도는 한정되어 있다. 즉 전체로서 큰 네트메시의 네트로 할 수 없다.
또한, 내압성이나 탄력성 및 구조안정성이 요구되고, 또한 네트메시 공간이 작은 것이 바람직한 의료용 스페이서 등의 의료품이나 쿠션재 등의 경우, 종래의 입체구조의 네트에서는 공극보유율이 저하하고, 또한 눈[중량(g)/단위면적(㎡)]이 커져 사용상 및 비용상에서 불리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출원인은 경편 편성에 의한 입체구조형상 네트로서 매트재나 쿠션재 그 밖에 각종 용도에 널리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내압성이나 구조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공안한 네트를 제안하고 있다[예를 들면 (a)일본 특허 제2762052호 공보, (b)일본 특개평10-131008호 공보].
즉, 상기 (a)는 네트메시 공간을 명확하게 하는 브레이드부를 교대로 좌우로 경사시켜 트러스구조로 한 것이며, 또 상기 (b)에서는 네트메시 공간을 명확하게 하는 입체 브레이드부를 구성하는 연결사를 X자형상으로 걸쳐 쓰러짐을 방지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종래는 상기와 같은 기술에 의해 경편 편성에 의한 입체구조의 네트의 구조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한 것이지만, 이들 모든 경우도 네트메시 공간의 크기와 연결사의 길이의 균형을 취할 수 없다면, 충분한 구조안정성을 얻을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입체구조 자체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또 공간보유율도 저하하여, 눈(g/㎡)도 커진다.
예를 들면, 상기 (a)의 트러스구조의 네트인 경우는 네트의 두께가 커지면, 네트메시 공간의 개구직경도 커지고, 네트두께방향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약해져, 두께방향의 내압강도나 탄력성이 저하하게 된다. 즉 쓰러짐 등에 대한 구조상의 안정성을 내는 데에는 두께가 두꺼울 수록 네트메시 공간의 개구직경을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상기 트러스구조의 네트인 경우, 네트메시 공간을 명확하게 하는 브레이드부가 편방향에서 교대로 좌우로 경사하도록 표리의 소지의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스트링(string)부끼리의 결절부의 위치를 비키어 편성하고 있는 관계이고, 네트형상으로 넓힌 상태에 있어서는 필연적으로 지그제그형상을 이루는 표리의 스트링부 끼리를 크로스할 수 있다(평면적으로 봐서). 따라서, 네트형상으로 넓혀 열세트 등의 가공을 실시한 상태에서는 표리의 소지의 스트링부 사이에 걸쳐 놓여진 연결사의 편조직형성 위치사이의 거리가 다르다. 즉, 표리의 결절부 끼리 사이의 거리가 가장 길어지고, 상기 크로스부분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아진다.
한편, 표리의 스트링부 사이에 걸쳐 놓여진 연결사의 길이는 기본적으로 일정하기 때문에, 거리가 가장 긴 상기 결절부 사이에서는 연결사가 직선에 가까운 상태가 되지만, 거리가 가장 짧은 상기 크로스부분에서는 연결사가 굴곡한 상태로 되어 내압강도를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또, 상기 결절부 사이의 연결사는 가장 경사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그 내압강도는 연결사가 수직방향을 이루는 경우보다도 작아진다.
또, 상기와 같이 지그제그형상을 이루는 표리의 스트링부끼리가 크로스한 타입의 입체구조형상 네트에서는 표리의 소지에 대하여 직립방향의 연결사와 경사진 연결사가 있다. 이 연결사의 효과는 내압력과 가로방향의 쓰러짐에 대한 힘으로 이분되어, 내압력을 내려고 하여 직립의 연결사를 많게 하면, 쓰러짐에 대한 힘이 약해지고, 또 이와는 반대로 쓰러짐에 대한 힘을 크게 하기 위해서 경사한 연결사를 많게 하면, 네트면에 대하여 수직방향(네트두께방향)의 내압력을 줄이게 된다. 또, 네트두께방향의 내압력과 가로방향의 쓰러짐에 대한 힘과의 완전한 균형을 취할 수 없기 때문에 내압력에 대한 안정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상기 (a) 및 (b)의 입체구조형상 네트의 제안에서는 방향성의 문제를 해결하는 목표도 있지만, 경편 편성에 의한 이중 편지 특유의 편방향의 쓰러짐에 대한 대책으로서는 반드시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고, 그 사용상, 내압성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그 때문에 네트메시 공간의 크기와 연결사의 길이에 일정 제한이 부여되고, 그 용도나 사용형태도 제한되는 결과가 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한 입체구조형상 네트 즉, 네트메시 공간을 명확하게 하는 입체 브레이드부의 보형성이 좋고, 특히 경편특유의 방향성을 제거하는 데에 큰 힘을 발휘하여, 구조안정성 및 내압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양호한 탄력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 장력을 부여하는 것 만으로 간단히 네트메시 공간을 명확하게 하는 입체 브레이드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공극 보유율이 높아 경량으로 취급이 쉽고, 이들 특성을 이용하여 각종 의료, 매트재나 쿠션재 또는 그들의 중간재 등의 공업재료로서 또한 경사면의 식생 네트나 보호네트 그 밖의 각종 용도로 널리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입체구조형상 네트를 제공하는 것이며, 또한 이 입체구조형상 네트를 이용한 복합구조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경편(經編) 편성(編成)에 의한 입체구조형상 네트, 특히 네트메시(net mesh)공간을 명확하게 하는 입체 브레이드부의 구조안정성이나 보형성, 내압성 및 탄력성이 우수하여 각종 용도에 널리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입체구조형상 네트와, 이 네트를 이용한 복합구조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입체구조형상 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를 잘라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일부의 개략 확대평면도,
도 3은 도 2의 X-X선의 일부 개략 확대단면도,
도 4는 도 2의 Y-Y선의 일부 개략 확대단면도,
도 5는 상기 네트의 일부 개략 확대사시도,
도 6은 상기 네트의 편조직의 1열을 나타내는 각 구성사의 래핑도,
도 7은 본 발명의 네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개략 평면도,
도 8은 상기 도면의 Z-Z선의 일부 개략 확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네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개략 확대단면도,
도 10은 상기 네트의 편조직을 예시하는 각 구성사의 래핑도,
도 11은 본 발명의 네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개략 평면도,
도 12는 상기 네트의 일부 개략 확대단면도,
도 13은 상기 네트의 편조직을 예시하는 각 구성사의 래핑도,
도 14는 본 발명의 네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개략 확대단면도,
도 15는 상기 도면과 삽입사의 걸치는 형태를 달리한 예를 나타내는 일부 개략 확대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네트의 편조직을 예시하는 각 구성사의 래핑도,
도 17은 본 발명의 네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개략 확대단면도,
도 18은 상기 네트의 편조직을 예시하는 각 구성사의 래핑도,
도 19는 본 발명의 네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개략 평면도,
도 20은 상기 네트의 일부 개략 확대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네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개략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네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개략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네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개략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관한 복합 구조재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를 잘라낸 개략 사시도,
도 25는 상기 복합구조재의 일부 개략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복합구조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개략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복합구조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개략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복합구조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개략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입체구조형상 네트를 침구용 매트리스에 사용한 예를 나타내는 일부를 잘라낸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입체구조형상 네트를 의자의 쿠션재에 사용한 예를 나타내는 일부를 잘라낸 사시도, 및
도 31은 본 발명의 입체구조형상 네트를 백에 사용한 예를 나타내는 일부를 잘라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경편 편성에 의해 그물형상을 이루는 표리의 소지와, 이들 양소지를 소요의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연결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입체구조형상 네트에 있어서, 표리의 소지의 네트메시의 크기를 표리에서 다르게 하여 편성하고, 표리 한쪽 소지의 큰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스트링부와 다른쪽 소지의 작은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스트링부에 연결사가 걸쳐 놓여져 입체 브레이드부를 형성하고, 이 입체 브레이드부는 그 전부 또는 일부에 있어서, 상기 연결사가 큰 네트메시측의 스트링부에서 작은 네트메시측의 복수의 스트링부에 걸쳐 놓여짐으로써 작은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측에서 해당 브레이드부내에 작은 네트메시를 보유하는 폭을 갖는 입체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체구조형상 네트에 의하면, 표리의 소지의 네트메시가 대소를 이루고, 한쪽 네트메시가 다른쪽 네트메시보다 작기 때문에, 비교적 큰 네트메시 공간을 갖는 것이라도 작은 네트메시측을 바깥측으로 하여 사용하면, 표면의 외관 및 촉감이 양호하며, 특히 시트재로 피복한 상태에 있어서 외표면에 네트의 요철이 나타나는 일도 없다. 또 큰 네트메시와 작은 네트메시의 조합으로 비교적 큰 네트메시 공간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공극율이 높고, 예를 들면 80% 이상의 공극율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어, 두께가 있어도 경량화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90% 이상의 것은 한층 경량으로 취급이 쉬운 것이 된다.
또한, 네트메시 공간을 명확하게 하는 입체 브레이드부의 전부 또는 일부에 있어서 연결사가 큰 네트메시측의 스트링부에서 작은 네트메시측의 복수의 스트링부에 걸쳐 놓여짐으로써, 작은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측에서 해당 스트링부 내에 작은 네트메시를 보유하는 폭을 갖는 입체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탄력성을 양호하게 유지하고, 또한 입체 브레이드부의 구조안정성이 좋고, 경편의 이중편지 특유의 방향성이 억제되어 쓰러짐 등이 생기지 않는 것이 되며, 내압성도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 표리의 한쪽 네트메시가 작은 것으로, 네트형상으로 넓혀 장설하는 것도 용이하고, 네트 전체의 평면적인 크기 안정성이 늘어 넓힌 상태에서의 입체형상의 안정성이나 크기 안정성도 양호하게 된다. 따라서, 용도에 따라서 표리의 네트메시나 네트메시 공간의 크기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체 브레이드부를 그 전부 또는 일부에 있어서 상기 연결사의 걸치는 부분이 경사지게 걸쳐 놓여짐으로써, 그 내부에 예를 들면 단면이 대략 삼각형, 대략 역삼각형, 대략 사다리꼴 또는 역사다리꼴 등의 입체 공극을 갖는 실질적으로 중공의 입체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에 의해 입체 브레이드부에서 경사한 연결사가 걸치는 부분이 특히 큰 네트메시측의 스트링부에서 주로 양측으로 경사하게 되어 버팀작용을 한다. 그 때문에 내압성이 좋아 형태가 무너지기 어렵고, 입체 브레이드부의 구조안정성이 더욱 우수하며, 균형도 좋고, 경편의 이중 편지 특유의 방향성이 억제되어, 쓰러짐 등이 생기지 않는 것이 된다. 따라서, 그물형상을 이루는 표리의 소지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입체구조형상 네트는 표리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압축되어, 양호한 쿠션성을 발휘한다.
또한, 상기 입체구조형상 네트에 있어서 상기 입체 브레이드부는 경사진 연결사에 의해 형성되는 입체 공극이 편방향 및/또는 편폭방향으로 연속하는 터널형상을 이루어, 실질적으로 연통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즉, 이렇게 형성된 입체 브레이드부는 입체구조형상 네트로서 넓히거나 또는 전장하여 장설함으로써 터널형상으로 연속한 입체형상이 형성되기 때문에 입체형상을 안정화하는 효과가 크고, 상기 구조안정성이나 쓰러짐방지의 효과가 더욱 증대한다. 또 상기와 같이 터널형상으로 연속한 입체 브레이드부 내부의 공극은 통기, 통수 등의 유통부로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사면 등의 녹화안정용 식생용 네트에 사용한 경우에 네트메시 공간에 객토 등의 다른 것이 충전되어도 상기 입체 브레이드부의 내부에 터널형상의 입체 공극을 보유하여 양호한 통기, 통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욕창방지 매트, 자동차의 공기조정기능을 구비한 시트 또는 구두의 중간재나 인솔 등에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 입체 공극의 터널구조뿐만 아니라, 네트메시 공간에 의한 큰 입체 공극율과 네트의 쿠션성에 의한 펌프효과에 의해 항상 충분한 공기가 공급되게 되어 통기성이 좋은 매트재료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입체구조형상 네트로서 표리 한쪽의 소지에서 큰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스트링부가 1웨일 또는 복수 웨일의 편조직열에 의해 구성되고, 또 다른쪽 소지에서 작은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스트링부가 1웨일 또는 상기 큰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스트링부보다 작은 웨일의 편조직열에 의해 구성되고, 각각 편방향의 소요간격마다 양측에 인접하는 스트링부와 교대로 결절(結節)됨으로써 지그제그형상을 이루고, 다각형의 네트메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입체 브레이드부에서 연결사가 큰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스트링부 또는 해당 스트링부끼리의 결절부에서 양측에 경사진 형태로 다른쪽 복수의 스트링부에 걸쳐 놓여진 상태가 되어, 상기와 같은 내부에 입체 공극을 갖는 입체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상기 연결사에 의해 버팀작용이 양호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지며, 균형이 좋아져 전체적으로 내압강도나 보형성이 더욱 양호한 것이 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입체구조형상 네트로서, 표리의 한쪽의 소지에서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스트링부가 1웨일의 사슬편에 의한 편조직열과 해당 편조직열에 대하여 옆에서 가로 진동하여 삽입되는 삽입사에 의한 머큐젯조직으로 편성됨으로써, 해당 소지의 네트메시가 각목(角目)형상을 이루고, 또 다른쪽 소지에서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스트링부가 복수 웨일의 편조직열에 의해 구성됨과 동시에, 해당 스트링부가 편방향의 소요간격마다 양측에 인접하는 스트링부와 교대로 결절되어 지그제그형상을 이룸으로써 해당 소지의 네트메시가 다각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표리의 한쪽 소지의 머큐젯조직에 의해 경위에 충분한 인장강도를 갖고, 경위의 크기안정성이나 보형성이 우수하고, 내압성도 양호하게 유지된다. 그 때문에 특히 인장강도가 요구되는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입체구조형상 네트는 편방향에 있어서 표리 한쪽 소지의 큰 네트메시의 1개분의 편성코스수 또는 복수개분의 편성코스수가 다른쪽 소지의 작은 네트메시의 1개분의 편성코스수의 복수배로 되어 있고, 편방향 및 편폭방향에 있어서, 표리 한쪽 소지의 큰 네트메시의 1개 또는 복수개가 다른쪽 소지의 작은 네트메시, 상기 큰 네트메시의 수보다 많은 복수개분에 상당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이렇게 표리의 큰 네트메시와 작은 네트메시의 크기를 용도에 따라서 적정 설정하는 경편 편성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입체구조형상 네트에 있어서, 표리 한쪽 소지의 큰 네트메시의 대략 중앙부에 다른쪽 소지의 작은 네트메시의 적어도 하나가 대응 위치하도록 편성되고, 이 대응하는 양쪽의 네트메시를 명확하게 하는 스트링부간에 네트메시 전체 둘레에 걸쳐 연결사가 걸쳐 놓여지고, 그 안쪽에 형성된 네트메시 공간이 대략 원추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입체구조형상 네트는 큰 네트메시로 개구하는 네트메시 공간의 주위의 입체 브레이드부가 그 전체둘레에 걸쳐 단면이 대략 삼각형 등의 입체 공극을 갖는 입체형상을 이루고, 또한 이 입체형상이 터널형상으로 연속하게 되기 때문에, 두께방향의 압축 하중에 대하여 균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이중 편지 특유의 방향성이 거의 없어지고, 구조안정성이나 내압성이 더욱 향상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입체구조형상 네트에 있어서 표리 한쪽의 큰 네트메시측의 소지에 있어서 스트링부끼리의 결절부와 큰 네트메시의 대략 중앙부에 각각 다른쪽 소지의 스트링부끼리의 결절부가 대응위치하도록 편성되고, 큰 네트메시측의 결절부에 있어서 다른쪽 소지에서의 대응 위치의 결절부에 걸쳐 놓여지는 수직방향의 연결사와, 큰 네트메시의 대략 중앙부에 대응위치하는 양측의 결절부에 걸쳐 놓여지는 경사방향의 연결사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큰 네트메시측의 결절부에 있어서, 수직방향의 연결사와 그 양측에 경사하는 연결사를 갖게 되고, 충분한 내압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쓰러짐 등이 생기지 않아 역시 구조안정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입체구조형상 네트에 있어서, 표리의 소지간의 연결사가 입체 브레이드부에서 편방향의 임의의 부분에서 서로 대응하는 웨일의 편조직열보다 적어도 1웨일 이상 좌우로 이행하여 걸쳐 놓여져 있고, 이 연결사의 걸치는 부분이 입체 브레이드부의 내부 또는 네트메시 공간에서 대략 X형상으로 교차하고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입체 브레이드부의 보형성이 더욱 양호하게 되고, 쓰러짐 등이 생기지 않으며, 표리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양호한 쿠션성을 유지하고, 네트 전체에 걸쳐서 대략 균일한 동시에 양호한 내압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입체구조형상 네트에 있어서, 편방향의 소요 개소에서 표리 소지의 네트메시의 크기 및/또는 형상을 변화시켜 편성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표리의 소지의 네트메시의 크기나 형상을 부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두께방향의 압축 하중에 대한 균형이 좋아지고, 경편의 이중 편지 특유의 방향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경위의 크기 안정성, 구조안정성, 내압성 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의장적(意匠的) 변화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입체구조형상 네트에 있어서 편폭방향의 임의의 위치의 입체 브레이드부 및/또는 각 입체 브레이드부의 편폭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표리의 스트링부 사이에 연결사가 없는 공간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분이 편방향 및/또는 편폭방향으로 연통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입체구조형상 네트에 의하면, 입체 브레이드부 중 연결사가 없는 공간부분이 편방향 및/또는 편폭방향에 거의 직선형상으로 연통한 입체적인 공간이 되기 때문에, 이 공간부분에 다른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부재나 장설을 위한 부재 등, 다양한 기능을 갖는 장척체(長尺體)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상기 장척체를 크로스형상으로 삽입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용도에 따른 기능을 갖는 복합자재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입체구조형상 네트에 있어서, 편폭방향의 양측 귀부(耳部)에 있어서, 1 또는 복수의 스트링부간의 연결사를 제외하고 편성됨으로써 편방향에 연속하는 통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양측 귀부의 통부에 다른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접착이나 봉합을 위한 부재나 장설이나 설치를 위한 장척부재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통부를 편평화시켜 다른 네트나 시트재와의 결합용에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어떠한 입체구조형상 네트의 복수를 서로 겹쳐 이루어지는 복합구조재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복합구조재에 의하면, 복수의 입체구조형상 네트를 서로 겹침으로써, 상대적으로 접하는 양네트의 소지끼리가 서로 변형 및 이중 편지 특유의 방향성을 규제하도록 작용하고, 또한 대접한 소지의 부분이 두께방향의 중간부에서 보강층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두께가 상당히 큰 것이라도 전체적으로 보형성이나 구조안정성 및 내압성이 극히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예를 들면 큰 네트메시측의 소지끼리를 서로 겹침으로써, 공극보유율을 높게 하고, 또한 표리양면을 작은 네트메시의 구조재로 할 수 있다. 또한 탄성력이 높은 것과 낮은 것을 조합시킴으로써 두께방향의 가압에 대하여 푹 꺼지는 감을 없앨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쿠션재나 매트재, 충격흡수재 그 밖의 입체네트구조를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복합구조재에 있어서, 편게이지, 실의 굵기, 네트메시의 크기 등을 다르게 하여 구성된 복수의 입체구조형상 네트를 서로 겹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용도에 따른 강도나 탄력성 및 네트메시 구조를 갖는 복합구조재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복합구조재는 상기한 구성의 어떠한 입체구조형상 네트와, 다른 구조의 네트체를 서로 겹쳐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경우도 입체구조형상 네트의 보형성이나 구조안정성을 높이고, 입체구조에 의한 공극보유성이나 탄력성 및 내압성을 이용한 각종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복합구조재는 상기한 입체구조형상 네트를 포함하는 복합구조재로서 표리의 적어도 한쪽 및/또는 중간부에 편직포, 파일포, 부직포, 면형상물, 우레탄폼, 합성수지필름, 종이 등의 시트재 또는 합성수지나 나무 또는 금속, 레라믹, 시멘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판형상물 또는 공기 또는 물 기름 등의 액상물이 들어간 매트나 쿠션재 등의 적어도 1종류를 서로 겹쳐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경우, 입체구조형상 네트의 내압성과 구조안정성을 더욱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입체구조형상 네트와 서로 겹친 부재의 각각의 특성을 살리며, 매트재나 쿠션재 또는 구조물의 벽재나 단열재 그 밖의 각종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복합구조재는 상기한 입체구조형상 네트를 포함하는 복합구조재로서, 표리에 비통기성 시트 또는 통기성 시트를 서로 붙여 피복하여, 내부에 기체, 액체, 분립체의 1종 또는 이들의 복수의 혼합체를 밀봉하거나 또는 입자형상물 등의 고체를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의해 입체구조형상 네트가 갖는 탄력성이나 내압성과, 내부에 밀봉 또는 충전한 물질이 변형 허용성이 서로 어울려서, 배드나 베개 등의 침구류, 의자나 소파, 구두의 인솔 그 밖의 용도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주로 적절하게 강성 및 탄성을 부여할 수 있는 합성섬유사조(絲條)에 의해 경편 편성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입체구조형상 네트(A)를 개략 나타내고 있고, 도 2는 상기 일부의 개략 확대평면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X-X선 및 Y-Y선의 일부의 개략 확대단면도, 도 5는 상기 네트의 일부의 개략 확대사시도이다. 도 6은 이 입체구조형상 네트(A)의 편조직을 나타내고 있다.
도 1∼도 5에 있어서, 도면 중 부호 “1”,“2”는 각각 표리의 그물형상을 이루는 소지이고, “11”, “21”은 표리 각각에서 네트메시(12, 22)를 형성하는 스트링부를 나타내고, 또 “3”은 상기 표리양 소지(1, 2)를 소요의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연결사를 나타내고 있고, 이에 의해 소요의 두께를 갖는 공극율이 높은 입체구조형상 네트(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입체구조형상 네트(A)에 있어서는 표리의 소지(1, 2)의 한쪽, 예를 들면 소지(1)의 네트메시(12)가 다른쪽 소지(2)의 네트메시(22)보다 크게 형성되고, 한쪽 소지(1)의 큰 네트메시(12)를 형성하는 스트링부(11)와, 다른쪽 소지(2)의 작은 네트메시(22)를 형성하는 스트링부(21)에 연결사(3)가 걸쳐 놓여지고, 통기 및 통수 가능한 공극을 내부에 갖는 입체 브레이드부(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입체 브레이드부(4)는 그 전부 또는 일부에 있어서 상기 연결사(3)가 큰 네트메시(12)측의 스트링부(11)에서 작은 네트메시(22)측의 복수의 스트링부(21)에 걸쳐 놓여짐으로써, 작은 네트메시(22)측에서 해당 브레이드부내에 작은 네트메시(22)를 보유하는 폭을 갖는 입체형상을 이루고 있다.
특히, 상기 입체 브레이드부(4)의 전부 또는 일부에 있어서, 상기 연결사(3)의 걸치는 부분이 큰 네트메시(12)측에서 봐서 양측으로 경사하여 작은 네트메시(22)측의 스트링부(21)에 걸쳐짐으로써, 단면이 대략 삼각형, 대략 역삼각형, 대략 사다리꼴 또는 대략 역사다리꼴 등의 입체 공간을 내부에 갖는 실질적으로 중공의 입체형상을 이루도록 편성되어 있다. 이 입체 브레이드부(4)에 둘러싸인 공간이 네트메시 공간(S)이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입체 브레이드부(4)에 있어서 양측에 경사진 연결사(3)의 걸침부분이 두께방향의 하중에 대하여 버팀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입체 브레이드부(4)는 경사진 연결사(3)에 의해 형성되는 입체 공극이 편방향 및/또는 편폭방향으로 연속하는 터널형상을 이루고, 실질적으로 연통상태를 이루도록 형성해둘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 표리 한쪽의 소지(1)에 있어서 큰 네트메시(12)를 형성하는 스트링부(11)가 사슬편사와 사슬편웨일에 대하여 가로 진동하여 삽입되는 삽입사에 의한 복수웨일(도면의 경우는 2웨일)의 편조직열에 의해 구성되고, 또 다른 소지(2)에 있어서 작은 네트메시(22)를 형성하는 스트링부(21)가 상기 큰 네트메시(12)를 형성하는 스트링부(21)보다도 작은 웨일의 동일한 편조직열(도면의 경우는 1웨일)에 의해 구성되고, 각각 편방향의 소요 간격마다 양측에 인접하는 스트링부와 교대로 결절됨으로써, 지그제그형상을 이루어 편방향에 연속하고 있고, 이에 의해 대략 육각형이나 대략 사각형(마름모꼴 등)의 다각형의 네트메시(12, 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표리의 소지(1, 2)의 스트링부(11, 21)의 대응하는 웨일의 편조직열사이에 상기 연결사(3)가 걸쳐 놓여져 편성됨으로써, 상기 입체 브레이드부(4)의 전부 또는 일부의 연결사(3)가 큰 네트메시(12)측의 스트링부(11)에서 작은 네트메시(22)측의 2개 이상(도면의 경우는 2개)의 스트링부(21)에 상기와 같이 양측에 경사하여 걸쳐 놓여져 있고, 이에 의해 상기와 같이 실질적으로 중공의 입체 형상 즉, 내부에 입체 공극을 갖는 입체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13”은 스트링부(11, 11)끼리의 결절부, “23”은 스트링부(21, 21)끼리의 결절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한쪽 소지(1)의 큰 네트메시(12)와, 다른 쪽 소지(2)의 작은 네트메시(22)의 크기의 비율에 대해서는 편방향 및 편폭방향 모두 적정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그 비율은 편방향 및 편폭방향에 있어서 큰 네트메시(12)의 1개가 작은 네트메시(22)의 복수개분에 상당하는 경우 외, 상기 큰 네트메시(12)의 복수개가 작은 네트메시(22)의 복수개(단 큰 네트메시의 수보다 많음)분에 상당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경편 편성이 용이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1∼도 5의 실시예의 경우, 그 편방향에 있어서 표리 한쪽의 소지(1)가 큰 네트메시(12)의 1개분의 편성코스수, 즉 인접하는 두개의 스트링부(11, 11) 사이의 결절부(13)에서 다음 결절부(13)까지의 편성코스수가 다른쪽 소지(2)의 작은 네트메시(22)의 1개분의 편성코스수의 2배, 즉 큰 네트메시(12)가 작은 네트메시(22)의 2배가 되도록 하고, 또한 편폭방향에 있어서도 표리 한쪽 소지(1)의 큰 네트메시(12)가 다른쪽 소지(2)의 작은 네트메시(22)의 2개분에 대하여 1개의 비율로, 즉 폭이 2배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그 편방향에 있어서 표리 한쪽 소지(1)의 큰 네트메시(12)의 1개분의 편성코스수가 다른쪽 소지(2)의 작은 네트메시(22)의 3개분의 편성코스수가 되도록 하고, 또한 편폭방향에 있어서는 큰 네트메시(12)의 1개가 작은 네트메시(22)의 2개분에 상당하도록 편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도 5의 실시예의 경우, 표리 한쪽 소지(1)의 큰 네트메시(12)의 대략 중앙부에 다른쪽 소지(2)의 작은 네트메시(22)의 1개가 대응 위치하도록 편성되고, 이 대응하는 양쪽의 네트메시(12, 22)를 명확하게 하는 스트링부(11, 21) 사이에 네트메시(12, 22)의 전체둘레에 걸쳐 연결사(3)가 걸쳐 놓여지고 그 안쪽에 형성된 네트메시 공간(S)이 대략 원추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네트메시 공간(S)의 주위의 입체 브레이드부(4)가 그 전체 둘레에 걸쳐 내부로 입체 공극을 갖는 단면이 대략 삼각형 등의 실질적으로 중공의 입체형상을 이루고, 또한 이 입체형상이 터널형상으로 연속하여 두께방향의 압축 하중에 대하여 균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입체형상을 이루는 입체 브레이드부(4)가 네트 전체에 걸쳐 터널형상으로 연속하고 있어 구조안정성이나 쓰러짐방지의 효과가 더욱 커지고, 또 내부의 입체 공극을 통기, 통수 등을 위한 유통공간으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입체 브레이드부(4)의 입체형상에 있어서, 큰 네트메시(12)측의 스트링부(11)보다 양측으로 경사하는 연결사(3)가 걸치는 부분이 이루는 각도(α)가 45°∼75°, 특히 바람직한 것은 60°전후가 되는 단면이 대략 정삼각형에 가까운 입체형상을 이루도록 네트메시의 크기나 네트의 두께를 설정하여 편성하면, 구조안정성이 가장 양호한 것이 되지만, 용도에 따라서 요구되는 네트의 두께, 결절의 크기 및 사용되는 사조(絲條)에 따라서는 상기 각도보다 큰 경우나 작은 경우도 있고, 상기 각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입체구조형상 네트(A)가 2열의 니들 크랩을 갖는 더블러셀기에 의해 경편 편성되는 것으로 그 편성의 구체예를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더블러셀기의 정면측에 있어서는 각각 사슬편사를 2개씩 교대로 인도하는 2종류의 사슬편바디(L2, L3)와, 삽입사를 2웨일마다 인도하는 삽입사바디(L1)에 의해 사슬편바디(L2, L3)에 의한 사슬편웨일에 대하여 각각 삽입사를 옆에서 삽입하면서, 2웨일에 걸친 편조직열에 의해 겉측의 그물형상의 소지(1)의 스트링부(11)를 각각 편성한다. 그리고 결절부에 상당하는 코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사슬편바디(L2, L3)의 사슬편사를 각각 좌우 교대로 2웨일분 가로로 상호로 이동시켜 편조직을 형성함으로써 좌우에 인접하는 스트링부(11)와 교대로 결절하는 편성을 반복한다.
또, 뒷측에 있어서는 상기 정면측과는 달리 각각 사슬편사을 1개씩 교대로 인도하는 2종의 사슬편바디(L5, L6)와 삽입사를 각 웨일마다 인도하는 삽입사바디(L7)에 의해 사슬편바디(L5, L6)에 의한 사슬편웨일에 대하여 각각 삽입사를 지그제그형상으로 삽입하고, 1웨일의 편조직열에 의해 안측의 그물형상의 소지(2)의 스트링부(21)를 각각 편성한다. 그리고 상기 정면측의 편성코스수의 1/2의 편성코스수마다 예를 들면 정면측의 결절코스위치에 대응하는 코스위치와 그 중간의 코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사슬편바디(L5, L6)의 사슬편사를 각각 좌우 교대로 1웨일분 가로로 상호 이행시켜 편조직 형성함으로써 좌우로 인접하는 스트링부(21)와 교대로 결절하는 편성을 반복한다. 이에 의해 뒷측에는 도 2와 같이 정면측의 네트메시(12)의 1/2의 편방향의 길이 및 폭을 갖는 네트메시(22)가 형성되게 된다.
또, 연결사(3)에 대해서는 각각 연결사를 각 웨일마다 인도하는 연결사 바디(L4)를 이용하여 표리에서 서로 대응하는 웨일의 편조직열, 즉 겉측 소지(1)의 스트링부(11)를 구성하는 각각 2웨일의 편조직열과 이것에 대응하는 안측 소지(2)의 스트링부(21)를 구성하는 편조직열에 교대로 걸쳐 놓고 편조직 형성함으로써 상기 양소지(1, 2)를 연결사(3)로 연결 편성한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2종(2장)의 연결사바디를 이용하는 사슬편바디(L2, L3)가 좌우 교대로 2웨일분 가로로 서로 이행함으로써 결절부를 형성하는 부분에서는 이들 2장의 연결사바디에 대해서도 상기 이행부분에 있어서 좌우 교대로 2웨일분 가로로 서로 이행시켜 연결 편성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표리의 소지 상호의 강력한 균일화가 도모되고, 또한 안정성이 좋은 구조가 된다. 또, 도 2의 Y-Y에 상당하는 위치에서도 동일하게 연결사를 2웨일분 가로로 서로 이행시킴으로써 연결사가 교차하여 입체 브레이드부의 가로방향의 쓰러짐에 대하여 한층 안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편조직으로 편성하면, 이것을 편폭방향으로 넓히거나 또는 전장하는 것 만으로 상기 연결사(3)가 큰 네트메시(12)측의 스트링부(11)에서 봐서 양측으로 경사하여 작은 네트메시(22)측의 2개의 스트링부(21)에 걸쳐 놓여지고, 입체 브레이드부(4)가 단면이 대략 삼각형 등의 입체 공극을 내부에 갖는 실질적으로 중공의 입체형상을 이루며 터널형상으로 연속함과 동시에, 이에 의해 둘러쌓인 각 네트메시 공간(S)이 표리의 네트메시(12, 22) 사이에서 대략 원추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표리의 한쪽 네트메시(22)가 작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넓혀 전장하는 것도 용이하고, 넓힌 상태에서의 입체형상의 안정성이나 크기안정성도 양호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편성된 네트를 적당하게 편폭방향으로 넓히거나 또는 전장하고 필요에 따라서 열세트하면, 사용실에 적절히 보형력이나 강성 및 탄성력이 부여되고, 도 1∼도 5와 같은 형태를 이루는 안정성이 좋은 입체구조형상 네트(A)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표리 한쪽 소지(2)의 네트메시(22)가 작고, 해당 소지의 표면의 외관이나 촉감이 양호하며, 또한 시트재로 피복한 상태에 있어서도 외표면에 네트의 요철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이 된다.
그런 까닭에 상기 입체구조형상 네트(A)는 표리 소지(1, 2)의 한쪽을 큰 네트메시(21), 다른쪽을 작은 네트메시(22)로 하여 높은 공극율을 보유하고, 경량이며, 또한 크기나 형상을 안정시킬 수 있어, 특히 내압성이나 구조안정성이 요구되는 용도, 예를 들면 매트재나 쿠션재 또는 이들의 심재나 중면재(中綿材) 등의 중간재나 커버재 또는 베개. 백, 가방. 구두의 중재(中材) 등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 드레이프(drape)성이 있는 실을 표리의 소지(1, 2)에 사용한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넓힌 것 만으로 입체구조가 되기 때문에 용도가 확대하고, 의료용이나 스포츠, 아웃도어물품용 스페이서, 인테리어, 커텐, 모자, 손목밴드, 보호대, 베스트, 셔츠, 바지 등에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체 브레이드부(4)의 내부 공간을 통기나 통수를 위한 유통부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입체구조형상 네트를 경사면 등의 녹화안정용 식생 네트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식생 네트로서의 사용에 있어서, 상기 입체 브레이드부(4)의 터널형상의 내부 공간에 의해 양호한 배수성이나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 강우시에는 효율적으로 분산 배수할 수 있어 경사면으로의 과도한 침수를 방지할 수 있고, 빗물에 의한 침식이나 미끄러짐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입체형상의 안정화에 의해 객토나 식물의 유지력을 높일 뿐만 아니라, 단측면의 작은 네트메시(22)에 의해 경사면의 객토 등의 유실이나 붕괴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는 건설용이나 농업용 급배수 드레인재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입체구조형상 네트(A)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표리 한쪽의 큰 네트메시(12)측의 소지(1)에서 스트링부(11, 11)끼리의 결절부(13)와 큰 네트메시(12)의 대략 중앙부에 각각 다른쪽 소지(2)의 스트링부(21, 21)끼리의 결절부(23)가 대응 위치하도록 편성되고, 큰 네트메시(12)측의 결절부(13)에 있어서 다른쪽 소지(2)에서 대응위치의 결절부(23)에 걸쳐 놓여지는 수직방향의 연결사(3)와 큰 네트메시(12)의 대략 중앙부에 대응위치하는 양측 결절부(23, 23)에 걸쳐 놓여지는 경사방향의 연결사(3)를 갖도록 편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이 부분에 있어서 입체 브레이드부(4)가 단면이 대략 삼각형, 대략 역삼각형, 대략 사다리꼴 또는 대략 역사다리꼴 등의 입체 공간을 내부에 갖는 실질적으로 중공의 입체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입체 브레이드부(4)에 의해 둘러싸인 네트메시 공간(S)은 한쪽 소지(1)측에서는 큰 네트메시(12)의 개구직경을 갖고, 또한 다른쪽 소지(2)측에서는 두개의 작은 네트메시(22, 22)에서 개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절부(13)의 부분에서 두께방향의 압축 하중에 대해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의 경사한 연결사(3) 사이 부분이 버팀작용을 함과 동시에 좌우의 흔들림이나 쓰러짐을 규제하고, 또한 수직방향의 연결사(3)의 부분에서 수직방향의 힘을 받아 전체적으로 우수한 내압성을 발휘할 수 있어 상기 동일하게 각종 용도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입체구조형상 네트(A)는 도 6에서 편조직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실을 인도하는 구조로 하여 도 6의 경우와는 뒷측의 결절코스위치를 편성방향에 1리피트의 1/4에 상당하는 코스분만큼 위치를 벗어나서 편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표리의 한쪽이 큰 네트메시(12)를 형성하는 소지(1)의 스트링부(11)에 대해서는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복수 웨일로 구성하는 것 외, 특히 2종의 연결사바디를 이용함으로써 도 9와 같이 1웨일의 편조직열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다른쪽의 작은 네트메시(22)를 형성하는 소지(2)측의 스트링부(21)에 대해서도 1웨일의 편조직열로 구성한다.
도 10은 그 편조직의 1열을 나타내고 있다. 즉, 이 편조직과 같이 정면측에서는 사슬편사를 1개씩 교대로 실을 인도하는 2종의 사슬편바디(L2, L3)와 각 웨일마다 실을 인도하는 삽입사바디(L1)에 의해 큰 네트메시(12)를 형성하는 스트링부(11)를 1웨일의 편조직열로 편성하고, 또 뒷측에서도 사슬편바디(L6, L7)와 삽입사바디(L8)에 의해 작은 네트메시(22)를 형성하는 스트링부(21)를 1웨일의 편조직열에서 편성하고, 또한 연결사(3)를 1개씩 교대로 인도하는 2종의 연결사바디(L4, L5)를 이용하여 연결사를 1코스마다 정면측에서 뒷측으로, 또 뒷측에서 정면측으로 걸쳐 놓을 때에 각각 인접하는 웨일로 이행시켜 기울여 걸쳐 놓아 편성한다.
이에 의해 큰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스트링부가 1웨일의 편조직열로 이루어지는 것이면서, 연결사(3)가 큰 네트메시(12)측의 스트링부(11)에서 봐서 양측으로 경사하여 작은 네트메시(22)측의 2개의 스트링부(21)에 걸쳐 놓여지고, 입체 브레이드부(4)가 단면이 대략 삼각형 등의 입체공간을 내부에 갖는 입체형상을 이루는 네트를 얻을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큰 네트메시(12)측의 한쪽 소지(1)의 스트링부(11)를 3웨일의 편조직열로 편성하고, 다른쪽 소지(2)의 스트링부(21)를 1웨일의 편조직열로 편성하여, 양자의 편조직열 사이에 연결사(3)를 걸쳐놓고,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단면이 대략 삼각형상이나 대략 사다리꼴형상 등의 안정성이 좋은 실질적으로 중공의 입체형상을 이루는 입체 브레이드부(4)를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상기 입체구조형상 네트(A)의 편조직을 나타낸다. 이 편조직에 있어서 정면측에서는 3웨일씩 교대로 사슬편사를 인도하는 사슬편바디(L2, L3)에 의해, 네트메시(12)에 대응한 소정의 편성코스마다 좌우로 교대로 3웨일 가로 진동하여 결절하도록 편성함과 동시에, 이 사슬편웨일에 대하여 삽입사바디(L1)에 의해 3웨일마다 1개씩 인도되는 삽입사를 3웨일 사이에서 가로 진동하여 삽입함으로써 네트메시(12)를 형성하는 스트링부(11)를 편성하고 있다.
뒷측에 대해서는 상기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각 웨일마다 교대로 사슬편사를 인도하는 사슬편바디(L6, L7)와 삽입사를 인도하는 삽입사바디(L8)에 의해 네트메시(22)에 상당하는 소정의 편성코스마다 좌우로 교대로 가로 진동하여 결절하도록 하여 소지(2)의 네트메시(22)를 형성하는 스트링부(21)를 편성하고 있다.
상기 삽입사바디(L1, L8)에 의해 인도하는 삽입사의 역할로서는 소지의 그물형상을 안정시키고, 네트 전체의 크기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삽입사에 탄성사를 사용한 경우에는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삽입사에 열수축성사를 사용하면 소지가 한층 단단히 죄여 형상 안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연결사(3)에 대해서는 3웨일씩 교대로 인도하는 2종의 연결사바디(L4, L5)를 이용하여 표리에서 서로 대응하는 웨일의 편조직열에 교대로 걸쳐 놓여져 편조직을 형성함과 동시에 소요의 코스위치에서 몇 웨일 가로의 웨일로 이행시키도록 하여 양쪽 소지(1, 2)를 연결 편성한다.
이렇게 편성함으로써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적어도 큰 네트메시(12)를 형성하는 스트링부(11, 11)끼리의 결절부(13)의 개소에서 대략 삼각형이나 대략 사다리꼴의 실질적으로 중공인 입체형상을 이루는 입체 브레이드부(4)가 형성된다. 이 입체 브레이드부(4)에 둘러쌓인 부분은 도시한 예와 같이 한쪽 소지(1)측에서는 큰 네트메시(12)에서 개구하고, 다른쪽 소지(2)측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작은 네트메시(22)로 개구하는 네트메시 공간(s)이 되고, 이 네트메시 공간(S)이 큰 네트메시(12)에서 작은 네트메시(22)를 향하여 대략 원추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 입체 브레이드부(4)는 터널형상을 이루고 편방향 및/또는 편폭방향에 연속하게 된다. 그에 더하여 연결사가 부분적으로 교차하게 되기 때문에 편폭방향의 형상안정성도 증가한다.
그런 까닭에 도 1∼도 5의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내압성이나 구조안정성 및 쓰러짐방지효과에 우수하고, 또 통기, 통수를 위한 유통부를 입체 브레이드부에서 확보할 수 있어, 매트재, 쿠션재, 의료용 스페이서 및 식생용 네트 등의 각종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쪽 소지(1)의 스트링부(11)를 3웨일의 편조직열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중 1웨일의 편조직열과 그것에 대응하는 다른쪽 소지(2)의 편조직열의 사이의 연결사를 빼내고 편성할 수도 있다.
상기 외, 표리 한쪽 소지의 큰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스트링부를 3웨일을 넘는 복수웨일의 편조직열에 의해, 다른쪽 소지의 작은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스트링부를 상기 큰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스트링부보다 적은 웨일의 편조직열에 의해 구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의 각 실시예의 입체구성형상 네트에 있어서 도 14, 도 15 및 도 17에 예시하도록 표리의 소지(1, 2)에 걸쳐 놓여지는 연결사(3)를 입체 브레이드부(4)에서 편방향의 임의의 개소에 있어서, 표리에서 상대하는 웨일보다 적어도 1웨일 이상, 예를 들면 2∼3웨일 좌우로 이행시켜 기울여 걸쳐놓고 편성함으로써, 이 비스듬히 걸치는 부분(31)을 예를 들면 도면과 같이 입체 브레이드부(4)의 내부의 임의의 위치 및/또는 네트메시 공간(S)의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 대략 X형상으로 교차시킬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입체 브레이드부(4)의 보형력이 증대하고, 쓰러짐이 생기기 어렵고, 입체구조가 더욱 양호하게 유지된다. 특히, 비스듬히 경사한 연결사가 겹쳐있어 표리의 소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네트의 두께방향)에 비교적 유연한 쿠션성을 보유하고, 또한 내압성도 양호한 것이 된다.
도 14의 입체구조형상 네트(A)는 예를 들면 도 16의 편조직과 같이 편성한다. 이 편조직에 있어서 정면측은 사슬편바디(L2, L3)와 삽입사바디(L1)에 의해 또, 뒷측은 사슬편바디(L6, L7)와 삽입사바디(L8)에 의해 각각 도 6의 편조직에서 L2, L3, L1 및 L5, L6, L7과 동일하게 편성하지만, 연결사(3)에 대해서는 2웨일마다 각 1개의 연결사를 교대로 인도하는 2종의 연결사바디(L4, L5)에 의해 소요 코스마다 교대로 좌우로 인접하는 웨일에 걸쳐놓고 편성한다. 이 도 16의 편조직의 경우, 큰 네트메시(12)를 형성하는 스트링부(11)의 2웨일에 대응하도록 연결사바디(L4, L5)의 연결사(3)를 인도하여 편성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의 편조직에서 삽입사의 인도방법을 달리하여 큰 네트메시(12)측의 서로 인접하는 브레이드형상부(11, 11)의 서로 인접하는 웨일에 연결사바디(L4, L5)의 연결사(3)를 인도하여 편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도 15와 같이 연결사(3)의 걸치는 부분(31)을 큰 네트메시(12)에 의한 네트메시 공간(S) 및 입체 브레이드부(4)의 중에서 대략 X형상으로 교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의 두께와 작은 네트메시(22)의 관계에서 연결사(3)의 경사각도를 보다 크게 할 수 있고, 두께가 있고 또한 안정된 입체구조형상 네트로 할 수 있다.
또, 도 17의 입체구조형상 네트(A)는 예를 들면, 도 18의 편조직과 같이 정면측은 사슬편바디(L2, L3)와 삽입사바디(L1)에 의해, 또 뒷측은 사슬편바디(L6, L7)와 삽입사바디(L8)에 의해, 각각 도 13의 편조직에서 L2, L3, L1 및 L6, L7, L8과 동일하게 편성함과 동시에, 연결사(3)에 대해서는 3웨일마다 2개의 연결사를 인도하는 연결사바디(L4) 및 3웨일마다 1개의 연결사를 인도하는 연결사바디(L5)를 이용하고, 한쪽 연결사바디(L4)는 2개의 연결사를 교대로 좌우에 인접하는 웨일에 걸쳐 놓고 편성하고, 또 다른쪽 연결사바디(L5)는 1개의 연결사를 교대로 좌우로 2웨일 가로의 웨일에 걸쳐 놓고 편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3, 도 16 또는 도 18의 편조직에 있어서, 정면측의 삽입사바디(L1)를 3웨일마다 2개의 삽입사를 인도하여 2웨일사이에서 가로 진동하여 삽입할 수도 있고, 이 소지(1)의 스트링부(11)는 약간 두껍게 되어, 구조가 더욱 안정화한다. 이 경우도 큰 네트메시(12) 속에서 연결사를 대략 X형상으로 교대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정한 입체구조형상 네트로 할 수 있다.
또, 도 6의 편조직, 또한 도 9, 도 13, 도 16 및 도 18의 각 편조직에 있어서 뒷측의 삽입사바디(L7) 또는 삽입사바디(L8)에 의해 인도되는 삽입사의 텐션을 높게 하여 해당 삽입사를 편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상으로 삽입하도록 편성함으로써 스트링부(11, 21)의 신장을 규제하여, 형태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어떠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19 및 도 20과 같이 임의의 위치의 입체 브레이드부(4)의 연결사(3)를 제외하고 편성함으로써 표리의 스트링부(11, 21) 사이에 연결사(3)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부분(5)을 편방향으로 형성해 둘 수 있다.
이러한 입체구조형상 네트(A)는 예를 들면 도 6의 편조직에 있어서 연결사바디(L4) 중, 공간부분(5)을 형성하는 입체 브레이드부(4)에 상당하는 웨일위치의 연결사(3)를 빼고 편성하면 표리소지(1, 2)의 스트링부(11, 21) 사이에 연결사를 갖지 않고 편방향으로 연속하는 공간부분(5)이 형성되고, 도 19와 같은 입체구조형상 네트(A)가 얻어진다.
상기의 연결사가 없는 공간부분(5)의 위치는 상기 연결사바디의 실뽑기 웨일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편폭방향의 일정 간격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연결사를 갖지 않는 공간부분(5)은 편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상으로 연통하게 되기 때문에, 이 공간부분(5)에 도 21과 같이 다른 부재와의 결합용이나 장설용의 로프나 테이프 등의 끈형상물 또는 철사 등의 선형상재나 봉형상체 등의 다양한 장척체(6)를 삽입할 수 있다.
그 밖에 부직포, 면, 폴리우레탄폼, 각종 파이프류, 다공질의 에어파이프, 쿠션재, 섬유사조, 접착 또는 봉합용 테이프나 로프 등의 각종 로프류, 탄성사 또는 탄성체, 선형상이나 봉형상 및 판형상 또는 장척형재 그 밖의 금속자재, 전기 또는 열전동체나 발열체, 통수성 네트, 비료봉투, 식생기재봉투, 보수재, 흡출방지재, 항균자재, 단열재, 방음재, 방진재, 방전자파재, 방방사선재(防放射線材), 시드대, 시드봉투 등의 장척체를 삽입할 수 있고, 용도에 따른 기능을 갖는 복합자재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네트메시 공간을 구성하는 입체 브레이드부의 편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표리의 스트링부 사이에 연결사가 없는 공간부분을 형성하고, 네트전장상태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분이 편폭방향에 연통상태를 이루도록 설치해 둘 수도 있다. 이 경우도 상기와 같이 편폭방향으로 연통하는 공간부분에 상기 동일한 장척체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상기 편방향으로 연통한 공간부분(5)과 편폭방향으로 연통하는 공간부분을 동시에 형성해 둠으로써 상기의 장척체를 크로스형상으로 삽입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의 입체구조형상 네트(A)에 있어서 도 22와 같이, 편폭방향의 양측단의 복수웨일에 걸친 소요폭의 귀부에 표리 양소지(1, 2)의 스트링부(11, 21) 사이의 연결사(3)를 생략한 편방향으로 연속하는 통부(7)를 형성해 둘 수 있다.
이 귀부에 있어서는 표리의 스트링부(11, 21)를 네트메시를 형성하도록 지그제그형상으로 굴절시키지 않고, 이 귀부의 양측을 제외한 중앙부분의 연결사를 생략하여 통부(7)를 형성하도록 편성한다. 이 경우, 이 귀부의 스트링부(11, 21)를 지그제그형상으로 굴곡시키지 않기 위해서, 이 부분의 소지(12)의 구성사로서 열수축성 실을 이용하거나, 또는 탄성사를 이용하여 편성한다. 이에 의해 귀부에서는 지그제그형상으로 되지 않아도 편폭방향의 안쪽부에서는 각 스트링부(11, 21)가 지그제그형상으로 굴곡하여 네트메시(13, 23)를 형성하게 된다. 이 귀부의 통부(7)에는 사용상 필요한 설치부재 또는 연결부재나 그 밖의 장척체를 삽입 또는 붙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한 어떠한 실시예의 입체구조형상 네트(A)에 있어서도 표리의 소지(1, 2)에서 스트링부(11, 21)는 각각 실시예의 조직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사슬편사와 삽입사에 의한 편조직열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강도상 바람직하다.
또, 각 실시예의 입체구조형상 네트(A)에 있어서, 표리의 소지(1, 2)의 한쪽 또는 양쪽에서 결절부(13) 또는 결절부(23)의 결절길이(결절코스수)나 결절부간의 길이(코스수)의 증감에 따라 표리의 네트메시(12, 22)의 다각형의 형상, 더 나아가서는 네트메시 공간(S)의 개구형상이나 크기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특히 표리의 네트메시(12, 22)의 형상이 다른 네트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의 입체구조형상 네트(A)에 있어서 편방향의 소요 부분에서 표리의 소지(1, 2)의 네트메시(12, 22)의 크기 및/또는 형상을 변화시켜 편성할 수 있다. 특히 조직적으로는 표리의 소지(1, 2)의 네트메시(12, 22)의 대소를 표리에서 역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표리의 소지(1, 2)의 네트메시의 크기나 형상을 부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표리의 네트메시 밀도에 변화나 의장적 변화를 부여하고, 동시에 네트의 탄력성이나 내압강도 등을 부분적으로 다른 것으로 할 수 있어, 용도에 따른 소재를 만드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에 의해 두께방향의 압축 하중에 대한 균형이 좋아지고, 경편의 이중편지 특유의 방향성을 억제할 수 있어 구조안정성이나 내압성이 더욱 향상한다. 또 임의의 코스마다 집중밀도를 변화시킬 수 있고, 내압강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표리의 소지(1, 2)의 편성게이지를 다른 게이지로 하여 편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의해 표리소지의 대소의 네트메시형성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상기 입체구조형상 네트로서 표리 한쪽의 소지에 있어서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스트링부, 예를 들면 작은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스트링부를 1웨일의 사슬편에 의한 편조직열과 해당 편조직열에 대하여 가로 진동하여 삽입되는 삽입사에 의한 머큐젯조직으로 편성하여 해당 소지의 네트메시를 각목형상으로 형성하는 등, 변화네트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쪽 소지에 있어서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스트링부에 대해서는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조직으로 편성하여 해당 소지의 네트메시를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실시한다. 그리고 표리의 양소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를 큰 네트메시측의 스트링부에서 작은 네트메시측의 복수의 스트링부에 걸쳐 놓음으로써 상기와 동일한 입체 공간을 내부에 갖는 입체 브레이드부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한쪽 소지를 머큐젯조직으로 함으로써 경위의 인강강도가 커지고, 경위의 크기안정성이나 보형성이 우수하며, 인장강도가 요구되는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상기의 입체구조형상 네트(A)에 있어서 표리의 소지(1, 2)의 구성사, 즉 사슬편사이나 삽입사 등의 사조는 특별히 안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도에 따라서 적정 선택되지만, 통상은 합성섬유사가 사용되고, 나일론사이나 탄소섬유사 그 밖의 각종 합성섬유의 멀티필라멘트사나 모노필라멘트사 또는 그 가공사나 합사, 합성섬유방적사 등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물론 각종 천연섬유사나 혼방섬유의 실을 이용할 수도 있다.
특히, 적어도 표리 한쪽 소지의 전부 또는 일부에 멀티필라멘트사나 천연섬유사 등의 유연성을 갖는 실을 사용하여 표면을 소프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은 네트메시(22)측의 소지(2)의 구성사의 전부 또는 일부에 유연성을 갖는 실을 사용하면, 그 소지(2)가 유연한 것이 되고, 이것이 작은 네트메시(22)인 것과 더불어, 네트메시 공간이 비교적 큰 입체구조형상 네트(A)임에 불구하고, 표면의 접촉감이나 촉감이 소프트하게 되고, 쿠션재나 매트재 또는 의료용의 스페이서 등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그대로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소지의 구성사와 함께 연결사의 전부 또는 일부에도 유연성의 실을 이용하여 편성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표리의 소지(1, 2)의 상기 촉감이나 소프트감이 한층 양호한 것이 된다.
또한, 표리의 소지(1, 2)의 적어도 한쪽 소지의 구성사의 전부 또는 일부에 열수축성사 또는 탄성사를 이용하여 편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연결사(3)의 전부 또는 일부에도 상기 동일한 열수축성사 또는 탄성사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네트가 편방향으로 적정하게 수축하여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스트링부의 편조직이 단단히 죄여 보형성이나 안정성이 더욱 양호하게 된다. 특히, 탄성사를 사용한 경우, 탄성사의 구유(具有)의 탄성력과 연결사를 갖는 복원력에 의해 네트의 탄성회복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이나 도 18의 편조직에 있어서 삽입사바디(L8)에 의해 인도되는 삽입사에 열수축성사를 이용한 경우, 네트메시의 크기안정성이 증가함과 동시에 입체구조 자체의 형상안정성도 증가한다.
또, 어떠한 한쪽 소지, 예를 들면 소지(2)에 열수축성사 또는 탄성사를 사용하여 상기한 편조직의 입체구조로 편성함으로써 도 22와 같이 상기 소지(2)측이 수축하여 만곡한 입체구조형상 네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되는 입체구조형상 네트는 그 만곡형상과 탄력성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헬멧의 내부 완충재 또는 만곡구조부분 등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탄성사를 이용하여 신축성을 갖는 중공 입체구조의 네트로 한 경우, 탄성사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네트보다도 작은 네트메시로 할 수 있고, 또 상기 네트에서는 얻을 수 없는 피트성이나 탄력성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스포츠, 의료(衣料), 의료용(醫療用)네트 등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1 또는 몇 웨일마다 탄성사, 천연사 및 합성섬유사의 실 종류를 변경하여 보형과 소프트감이 있는 입체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입체구조형상 네트에 있어서 표리의 소지(1, 2)의 구성사에 강성이나 유연성 등의 특성, 색, 재질, 촉감 또는 염색 그 밖의 가공효과를 달리하는 다른 종류의 실을 이용하여 편성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표리에서 외관이나 성질을 달리한 네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사(3)로서는 표리의 소지(1, 2)를 연결하여 입체형상으로 지지하는 데에 적합하도록 상기한 표리의 소지의 구성사와 동일하게 각종 합성섬유사나 천연섬유사 또는 혼방섬유사나 가공사 등으로 탄성이나 유연성 및 강도 등을 고려하여 네트의 용도에 따라서 적정 선택되고, 주로 내압성이 요구되는 경우는 입체구조유지의 점에서 모노필라멘트사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들은 모두 단사로 사용하는 외, 복수개의 합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 모노필라멘트사와 유연성이 있는 실 등 성질이 다른 2종류 이상의 실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봉합제를 요하는 부분에 유연성이 있는 실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들 사조는 편성 후의 열세트 또는 합성수지가공 등에 의해 적정하게 강성 및 내압축성 또는 탄력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 표리의 소지(1, 2)를 연결하는 연결사(3)의 개수가 많아져 밀도가 높아질 수록, 두께방향의 내압강도나 탄성력이 증가한다. 또 나일론 등의 동질소재에서는 굵은 실인 경우일수록 허리(가운데)가 강해진다.
이들 사조의 굵기나 소재는 용도에 따라서 요구되는 강도나 장력, 탄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면, 쿠션재나 매트재 또는 각종 차량의 시트용 쿠션재 등의 공업용재료로서는 더블러셀기에 의해 18∼16게이지(침개수/인치)에서 편성하는 경우, 그물형상의 소지에는 50∼2000데닐, 바람직하게는 100∼1000데닐의 실이, 또 연결사로서는 100∼5000데닐, 바람직하게는 100∼3000데닐의 실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 식생용 네트로서는 그물형상의 소지에는 100∼2000데닐, 바람직하게는 200∼600데닐의 실이, 또 연결사로서는 100∼3000데닐, 바람직하게는 200∼1500데닐의 실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그러나, 탄력성이 있는 네트를 편성하는 경우, 또는 경제적으로 편성하고 싶은 경우에는 가는 게이즈, 예를 들면 22∼18게이즈로 하여 상기보다 가는 실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물리적 강도를 높이고 싶은 경우는 4.5∼3게이지로 하여 상기 보다 더욱 굵은 실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표리에서 굵기가 다른 실을 이용하여 편성할 수도 있고, 소지의 강도를 더욱 높이고 또 입체구조의 안정성이나 쿠션성도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표리의 소지(1, 2)를 구성하는 사조 및 연결사로서 면, 레이온, 인조견사 그 밖의 천연섬유 등의 부식성섬유, 또는 효소에 의해 분해하는 효소분해성 섬유 또는 미생물이나 균에 의해 분해하는 생물분해성 섬유 등의 분해성 화학섬유 또는 이들과 합성섬유와의 혼방섬유로 이루어지는 실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입체구조형상 네트가 해를 거듭한 사용에 의해 부식 또는 분해하게 되고, 식생용 네트 등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외, 쿠션재를 비롯하여 배수재나 신선품의 얹기용재료 그 밖의 각종 공업용 자재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 사용후 네트의 폐기처리가 용이해져 산업폐기물의 발생문제의 해결에도 공헌할 수 있다.
입체구조형상 네트의 사용목적에 따라서 고급수성수지를 도포 또는 디핑 등의 수단에 의해 코팅한 실 등의 흡수성사, 비료나 철 등의 금속, 항균제, 방미(防黴)제 그 밖의 약품 또는 균류를 부착 또는 이겨서 넣어 특수기능을 부여한 실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입체구조형상 네트의 편성 후에 금속증착가공에 의해 금속을 부착시키고, 전자파를 흡수 가능한 네트 또는 통전가능한 네트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외 활성탄이나 원적외선재료 등의 각종 기능소재를 접착제 등으로 부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표리의 소지(1, 2)를 구성하는사조 및 연결사의 전부 또는 일부에 열경화성 섬유, 열수축성 섬유, 열용융성 섬유의 어떠한 1종류, 또는 해당 섬유를 포함하는 혼방섬유 또는 합사를 이용하여 편성 후의 가공에 의해 편조직구조를 변형시키거나 보강하여 네트의 보기(保氣), 보수성을 높이거나 또는 형상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체구조형상 네트(A)의 두께, 네트메시 공간(S)이나 입체 브레이드부(4)의 크기는 그 용도 등에 따라서 다르고, 각종 쿠션재나 매트재로서의 사용상은 네트의 두께 2∼100㎜, 큰 네트메시(12)의 지름 5∼100㎜, 작은 네트메시의 지름 1∼50㎜의 범위, 또 식생용 네트 등으로서의 사용상은 네트의 두께 3∼150㎜, 큰 네트메시(12)의 지름 5∼150㎜, 작은 네트메시의 지름 3∼80㎜의 범위의 것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물론 상기 크기외에서의 실시도 가능하여 예를 들면 스페이서 등의 의료용인 경우 상기보다 더욱 작은 크기로 할 수 있다. 어느쪽이든 사조의 굵기와의 관계에서 네트의 공극율이 80% 이상, 특히 바람직한 것은 90% 이상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고, 이에 의해 경량성을 확보할 수 있다. 용도에 따라서는 공극율을 상기보다 낮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입체구조형상 네트(A)는 상기한 구조상의 특성을 이용하여 각종 용도로 단독으로 사용하는 외, 복수의 네트를 서로 겹친 복합구조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는 그 1열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2장의 입체구조형상 네트(A)를 큰 네트메시(12)측의 소지(11)끼리를 상대 접하여 서로 겹치고 있다. 이 서로 겹친 양 네트(A, A)는 필요에 따라서 대접하는 소지끼리를 봉합이나 접착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일체화하여 사용한다.
이 복합구조재는 서로 대접하는 양 네트(A, A)의 소지(1, 1)끼리가 상호로 변형 및 이중편지 특유의 방향성을 규제하도록 작용하고, 또한 대접한 소지(1, 1)의 부분이 보강층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두께가 크고 공극보유율이 높은 것이라도 전체적으로 보형성이나 구조안정성 및 내압성이 극히 양호하게 유지된다. 그 때문에, 상기 특성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베드의 심재, 베개, 의자나 소파의 쿠션재 또는 플로어매트, 풀장용이나 목용탕용 매트 등의 각종 매트재, 충격흡수재 또는 의료(衣料), 의료용소재, 필터, 등산용 베낭, 백, 구두의 인솔이나 쿠션재, 그 밖의 심재나 쿠션재 등 각종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작은 네트메시(22)측 끼리, 또는 큰 네트메시(12)측과 작은 네트메시(22)측을 대접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큰 네트메시(12)측의 소지(1, 1)끼리를 서로 겹친 경우, 표리 양면을 작은 네트메시(22)로 하고, 또한 전체의 공극보유율을 높게 하여 경량화할 수 있다. 용도에 따른 강도나 내압성을 얻기 위해서 또한 푹 꺼지는 감이 없는 쿠션성을 얻기 위해서 서로 겹친 복수의 입체구조형상 네트(A)의 편게이지, 실의 굵기, 네트메시의 크기 등을 달리 하거나, 탄성력이 다른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용도에 따라서는 도 2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입체구조형상 네트(A)와 평면형상이나 입체구조형상 등의 다른 구조의 네트체(B)를 서로 겹친 복합구조재로 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네트(A)와 네트체(B)를 봉합이나 접착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한다. 이에 의해 입체구조형상 네트(A)의 보형성이나 구조안정성을 높이고, 입체구조에 의한 공극보유성이나 탄력성을 이용한 각종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체구조형상 네트(A)를 포함하는 복합구조재로서 표리의 적어도 한쪽 및/또는 중간부, 예를 들면 도면과 같이 표리양면에 편직포, 파일포, 부직포, 합성수지필름, 종이 등의 시트재(C)를 서로 겹쳐 봉합, 접합 등의 수단에 의해 접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시트재(C)의 둘레가장자리부를 밀폐하여 입체구조형상 네트 등의 전체를 시트재(C)로 둘러쌓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입체구조형상 네트(A)는 단독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 24나 도 26의 복합구조재에 있어서도 상기 시트재(C)를 상기 동일하게 표리의 적어도 한쪽 및/또는 복수의 네트사이의 중간부에 서로 겹쳐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상기한 입체구조형상 네트(A)의 내압성이나 구조안정성을 더욱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입체구조형상 네트와 시트재의 특성을 살려 예를 들면, 각종 매트재 각종 쿠션재 등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네트의 탄성력을 적당하게 선택함으로써 푹 꺼지는 감이 없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아라미드섬유 등의 강력사를 이용하여 구성한 입체구조형상 네트를 기포로서 이것에 상기 합성수지 등의 시트재를 서로 겹친 복합구조재로 함으로써 강도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입체구조형상 네트(A)에 합성수지나 나무, 금속, 세라믹, 시멘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판형상물을 겹쳐 접합한 형상안정성이 높은 복합구조재로 할 수도 있어, 특히 구조물의 벽재나 단열재 그 밖의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8과 같이 입체구조형상 네트(A)를 포함하는 복합구조재로서 그 표리에 합성수지 필름 등의 비통기성 시트(D)를 서로 붙여 피복하여 내부에 기체, 액체, 분립체 중 1종 또는 이들의 복수 혼합체를 밀봉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비통기성 시트에 대신하여 통기성 시트로 입체구조형상 네트(A)를 피복하여 내부에 입자형상물 등의 고체를 충전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입체구조형상 네트(A)가 갖는 탄력성이나 내압성과, 내부에 밀봉 또는 충전한 물질의 변형허용성과 더불어, 베드나 베개 등의 침구류, 의자나 소파 등의 가구, 자동차의 시트, 커버나 내장재 그 밖의 용도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입체구조형상 네트(A)에 공기 또는 물이나 기름 등의 액상물을 넣은 에어매트나 워터매트 등의 매트재 또는 쿠션재 등을 서로 겹친 복합구조재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양자의 고유의 쿠션성을 살린 쿠션재로 할 수 있다. 또, 에어베드나 워터베드에서는 통기성이 나쁘지만, 상기와 같이 복합구조로 함으로써 양호한 통기성과 쿠션성을 갖는 것이 된다. 이들은 또한 베드, 베개 등의 침구, 의자나 소파 등의 가구, 자동차의 시트나 그 커버재 등의 내장재, 그 밖의 용도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29는 복수의 입체구조형상 네트(A)를 서로 겹치고, 이것을 편직포 등의 시트재(C)로 피복하여 침구용 매트리스에 사용한 예를 나타내고, 도 30은 동일하게 하여 의자에 사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31은 본 발명의 입체구조형상 네트(A)를 백에 사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도시를 생략하지만, 네트메시 공간이 비교적 작은 것인 경우, 예를 들면 작은 네트메시측을 표리에 노출시키도록 하여 외장재를 겸하는 사용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체구조형상 네트(A)는 표리의 소지의 네트메시를 대소로 달리 한 것으로, 비교적 큰 네트메시 공간을 갖는 것이라도 작은 네트메시측에서는 촉감이나 외관적인 겉모양이 양호하고, 또한 네트메시 공간을 명확하게 하는 입체 브레이드부의 보형성이 좋아 경편 특유의 방향성을 제거할 수 있고, 구조안정성 및 내압성이 우수하며, 또한 양호한 탄력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장력을 부여하는 것 만으로 간단하게 네트메시 공간을 명확하게 하는 입체 브레이드부를 구성할 수 있고, 네트 전체의 공간보유율이 높아 경량이며, 또한 입체 브레이드부 자체의 내부에 입체 공극을 갖는 입체형상이기 때문에 통기성이 좋은 것이 된다. 또 이 입체구조형상 네트를 복합구조재로 함으로써 두께가 크고 공간보유율이 높은 것이라도 그 구조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어 양호한 내압성이나 탄력성 및 통기성을 보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입체구조형상 네트 및 복합구조재는 그 특성을 이용하여 베드 등의 침구류의 심재나 쿠션재, 매트재나 카페트재, 의자나 가구 등의 쿠션재, 자동차의 시트나 내장재, 항공기용의 내장재나 구조재 또는 그들의 중간재나 바탕재 또는 커버재, 수송용 쿠션재나 포장재 그 밖의 각종 공업재료로서, 또 스페이서 등의 의료품 또는 의료용 보호네트로서 또는 경사면의 보전 및 녹화를 위한 식생공법에 이용하는 식생네트나 보호네트, 호안(護岸)의 보호네트나 호안의 식생네트, 조성지 등의 집배수용 네트, 산업폐기물 처리장 보호네트, 공업용 안전네트나 건축용 보호네트, 콘크리트 보강네트, 몰탈(mortar)이나 합성수지 등의 분사 등에 있어서 보강재나 구조물 작성 네트, 또 스키, 스포츠, 아이스케이트 등의 골주면의 보호를 겸하는 착설(着雪) 또는 착빙(着氷)네트 그 밖의 모든 산업분야에 널리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7)

  1. 경편 편성에 의해 그물형상을 이루는 표리의 소지와, 이들 양 소지를 소요의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연결사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입체구조형상 네트에 있어서,
    표리 소지의 네트메시의 크기를 표리에서 달리하여 편성하고, 표리 한쪽 소지의 큰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스트링부와 다른쪽 소지의 작은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스트링부에 연결사가 걸쳐 놓여져 입체 브레이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입체 브레이드부는 그 전부 또는 일부에서 상기 연결사가 큰 네트메시측의 스트링부에서 작은 네트메시측의 복수의 스트링부에 걸쳐 놓여짐으로써 작은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측에서 상기 브레이드부내에 작은 네트메시를 보유하는 폭을 갖는 입체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조형상 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브레이드부는 그 전부 또는 일부에서, 상기 연결사의 걸치는 부분이 경사지게 걸쳐 놓여짐으로써 그 내부에 입체 공극을 갖는 입체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조형상 네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브레이드부는 경사진 연결사에 의해 형성되는 입체 공극이 편방향 및/또는 편폭방향에 연속하는 터널형상을 이루고 실질적으로 연통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조형상 네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리 한쪽의 소지에서 큰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스트링부가 1웨일 또는 복수 웨일의 편조직열에 의해 구성되고, 또 다른쪽 소지에서 작은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스트링부가 1웨일 또는 상기 큰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스트링부보다 작은 웨일의 편조직열에 의해 구성되어, 각각 편방향의 소요 간격마다 양측에 인접하는 스트링부와 교대로 결절됨으로써 지그제그형상을 이루고, 표리에서 크기가 다른 다각형의 네트메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조형상 네트.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리의 한쪽 소지에서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스트링부가 1웨일의 사슬편에 의한 편조직열과 상기 편조직열에 대하여 가로 진동하여 삽입되는 십입사에 의한 머큐젯조직으로 편성됨으로써 상기 소지의 네트메시가 각목형상을 이루고, 또 다른쪽 소지에서 네트메시를 형성하는 스트링부가 1웨일 또는 복수 웨일의 편조직열에 의해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스트링부가 편방향의 소요 간격마다 양측에 인접하는 스트링부와 교대로 결절되어 지그제그형상을 이룸으로써 상기 소지의 네트메시가 다각형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조형상 네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방향에 있어서, 표리의 한쪽 소지의 큰 네트메시의 1개분의 편성코스수 또는 복수개분의 편성코스수가 다른쪽 소지의 작은 네트메시 1개분의 편성코스수의 복수배로 되어 있고, 편방향 및 편폭방향에 있어서 표리 한쪽 소지의 큰 네트메시의 1개 또는 복수개가 다른쪽 소지의 작은 네트메시의 상기 큰 네트메시의 수보다 많은 복수개분에 상당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조형상 네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리 한쪽 소지의 큰 네트메시의 대략 중앙부에 다른쪽 소지의 작은 네트메시의 적어도 하나가 대응 위치하도록 편성되어, 이 대응하는 양쪽의 네트메시를 명확하게 하는 스트링부사이에 상기 네트메시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결사가 걸쳐 놓여지고, 그 안쪽에 형성된 네트메시 공간이 대략 원추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조형상 네트.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리 한쪽의 큰 네트메시측 소지에서 스트링부 끼리의 결절부와 큰 네트메시의 대략 중앙부에 각각 다른쪽 소지의 스트링부 끼리의 결절부가 대응위치하도록 편성되고, 큰 네트메시측의 결절부에서 다른쪽 소지에서의 대응위치의 결절부에 걸쳐 놓여지는 수직방향의 연결사와 큰 네트메시의 대략 중앙부에 대응위치하는 양측의 결절부에 걸쳐 놓여지는 경사방향의 연결사를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조형상 네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리의 소지사이의 연결사가 입체 브레이드부에 있어서, 편방향의 임의의 부분에서 서로 대응하는 웨일의 편조직열보다도 적어도 1웨일 이상 좌우로 이행하여 걸쳐 놓여져 있고, 이 연결사의 걸치는 부분이 입체 브레이드부의 내부 또는 네트메시 공간에서 대략 X형상으로 교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조형상 네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방향의 소요 개소에서 표리 소지의 네트메시의 크기 및/또는 형상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조형상 네트.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폭방향의 임의의 위치의 입체 브레이드부 및/또는 각 입체 브레이드부의 편폭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표리의 스트링부간에 연결사가 없는 공간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분이 편방향 및/또는 편폭방향으로 연통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조형상 네트.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폭방향의 양측 귀부에서 1 또는 복수의 스트링부간의 연결사를 제외하고 편성됨으로써 편방향에 연속하는 통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조형상 네트.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체구조형상 네트의 복수를 서로 겹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구조재.
  14. 제 13 항에 있어서,
    편게이지, 실의 굵기, 네트메시의 크기 등을 다르게 하여 구성된 복수의 입체구조형상 네트를 서로 겹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구조재.
  15.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항에 기재된 입체구조형상 네트와 다른 구조의 네트체를 서로 겹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구조재.
  16.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체구조형상 네트를 포함하는 복합구조재로서 표리의 적어도 한쪽 및/또는 중간부에 편직포, 파일포, 부직포, 면형상물, 우레탄폼, 합성수지필름, 종이 등의 시트형상물 또는 합성수지나 나무 또는 금속 등의 판형상물 또는 공기 또는 물이나 기름 등의 액상물이 들어간 매트나 쿠션재 등의 적어도 1종을 서로 겹쳐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구조재.
  17.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입체구조형상 네트를 포함하는 복합구조재로서 표리에 비통기성 시트 또는 통기성 시트를 서로 붙여 피복하고, 내부에 기체, 액체, 분립체의 1종 또는 복수의 혼합체를 밀봉하거나 또는 입자형상물 등의 고체를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구조재.
KR1020007006480A 1998-10-14 1999-10-14 입체구조형상 네트와 이 네트를 이용한 복합구조재 KR200100331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262698 1998-10-14
JP10-292626 1998-10-14
PCT/JP1999/005684 WO2000022215A1 (fr) 1998-10-14 1999-10-14 Filet a structure tridimensionnelle, et materiau structurel composite utilisant ledit fil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3116A true KR20010033116A (ko) 2001-04-25

Family

ID=17784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480A KR20010033116A (ko) 1998-10-14 1999-10-14 입체구조형상 네트와 이 네트를 이용한 복합구조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30414B1 (ko)
EP (1) EP1055757A4 (ko)
JP (1) JP3482489B2 (ko)
KR (1) KR20010033116A (ko)
CN (1) CN1210451C (ko)
WO (1) WO200002221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370B1 (ko) * 2001-08-30 2004-05-10 주식회사 삼광기공 통기성 필름
KR101305467B1 (ko) * 2012-01-04 2013-09-06 주식회사 메리퀸 입체구조편물 및 이를 내장한 입체구조 침구
KR20200098294A (ko) * 2019-02-12 2020-08-2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영 가방
KR102461356B1 (ko) * 2022-01-06 2022-10-28 박미정 이중직조구조를 갖는 에어 안전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7859A (ja) * 2000-05-19 2001-11-27 Tadayoshi Nagaoka 物質移動等を行う装置内の充填体等の立体網状構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2050352A1 (fr) * 2000-12-18 2002-06-27 Asahi Doken Kabushiki Kaisha Tissu double face tricote
WO2001044551A1 (en) * 1999-12-16 2001-06-21 Asahi Doken Kabushiki Kaisha Three-dimensional maquisette style knitted fabric
DE60114508T2 (de) * 2000-05-22 2006-07-20 Delta Tooling Co. Ltd. Netz zur Weiterverarbeitung
JP3585826B2 (ja) * 2000-11-24 2004-11-04 株式会社直方建材 省エネルギー住宅及びそれにおける床暖房装置の形成方法
GB0100560D0 (en) * 2001-01-09 2001-02-21 Lamination Technologies Ltd Clothing
US7235504B2 (en) 2001-09-28 2007-06-26 Seiren Co., Ltd. Three dimensional knitted fabric having unevenness
FR2830434B1 (fr) * 2001-10-05 2004-01-02 Sofradim Production Renfort de paroi en tricot tridimensionnel et ajoure
FR2839322B1 (fr) * 2002-05-06 2004-06-11 Geotechnique Et Travaux Specia Structure de filet formee par tricotage de cables metalliques
JP3772187B2 (ja) * 2002-07-18 2006-05-10 国立大学法人 北海道大学 電磁波吸収体
US7011676B2 (en) 2002-09-05 2006-03-14 Scimed Life Systems, Inc. Flat knitted ste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40038309A (ko) * 2002-10-31 2004-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JP4505212B2 (ja) * 2003-01-10 2010-07-21 美津濃株式会社 シューズ及びこれに用いるダブルラッセル経編地
US20040159130A1 (en) * 2003-02-13 2004-08-19 Lee Myong Hoon Lint trap
GB2400071B (en) * 2003-04-04 2006-01-11 Milliken Ind Ltd Dust control mat
US7696110B2 (en) * 2003-10-14 2010-04-13 Asahi Kasei Fibers Corporation Sheet material for seat
EP1682710A4 (en) * 2003-10-22 2006-12-20 Polymer Group Inc LOADABLE NETWORK
WO2005039852A2 (en) * 2003-10-22 2005-05-06 Polymer Group, Inc. Expandable knitted net
CN100348410C (zh) * 2004-03-01 2007-11-14 财团法人中国纺织工业研究中心 一种空间布膜结构及其制造方法
US7043943B2 (en) * 2004-06-12 2006-05-16 Monterey Mills High heat filter fabric and method
JP5166671B2 (ja) * 2004-06-30 2013-03-21 住友化学株式会社 揮散成分保持用担体及び揮散成分保持材
EP1703247A1 (en) * 2005-03-14 2006-09-20 Bacam Infrared shielding and radar attenuating textile material
US7076974B1 (en) * 2005-10-06 2006-07-18 Tsan-Jee Chen Warp knitting fabric
GB2455008B (en) * 2006-06-12 2011-02-02 Concrete Canvas Ltd Impregnated fabric
US20080011021A1 (en) * 2006-06-27 2008-01-17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Fabrics having knit structures exhibiting auxetic properties and garments formed thereby
US7614258B2 (en) 2006-10-19 2009-11-10 C.R. Bard, Inc. Prosthetic repair fabric
TW200819579A (en) * 2006-10-19 2008-05-01 Textilma Ag knitted ribbon and its use
US8919011B2 (en) 2006-11-30 2014-12-30 C. & J. Clark International Limited Footwear with air circulation system
US7380421B1 (en) * 2007-02-09 2008-06-03 Ruey Tay Fibre Industry Co., Ltd. Fabric
US20080277017A1 (en) * 2007-05-11 2008-11-13 Young Chul Kwon Degreasing Cloth
GB2451136B (en) * 2007-07-20 2012-11-28 Umeco Structural Materials Derby Ltd Thermoset resin fibres
US9308068B2 (en) 2007-12-03 2016-04-12 Sofradim Production Implant for parastomal hernia
WO2009095505A1 (es) * 2008-01-31 2009-08-06 Relats, S.A. Funda de protección
WO2009156866A2 (en) 2008-06-27 2009-12-30 Sofradim Production Biosynthetic implant for soft tissue repair
DE102008042069B4 (de) * 2008-09-12 2017-09-21 Deutsche Institute Für Textil- Und Faserforschung Denkendorf Vorrichtung zur Gewinnung einer Flüssigkeit aus einem Aerosol
US20130317526A1 (en) * 2008-12-15 2013-11-28 Allergan, Inc. Silk medical device
US9326840B2 (en) 2008-12-15 2016-05-03 Allergan, Inc. Prosthet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308070B2 (en) * 2008-12-15 2016-04-12 Allergan, Inc. Pliable silk medical device
CA2704237A1 (en) * 2009-06-22 2010-12-22 Paul Dagesse Method for collecting or containing an oil spill
CN102002813B (zh) * 2009-08-31 2012-12-12 七洲企业股份有限公司 立体植生网毯
FR2949688B1 (fr) 2009-09-04 2012-08-24 Sofradim Production Tissu avec picots revetu d'une couche microporeuse bioresorbable
EP2295622A1 (en) * 2009-09-15 2011-03-16 Seven States Enterprise Co., Ltd. Engineering-purpose netted vegetation blanket
NL1037501C2 (nl) * 2009-11-26 2012-08-14 Asc N V Beschermingselement, werkwijze en matrasbeschermer.
NL2004833C2 (en) * 2010-06-07 2011-12-08 Sara Lee De Nv Shoe insole including a knitted spacer fabric.
ITPD20100306A1 (it) * 2010-10-15 2012-04-16 Dormiflex Lady Linea Srl Poltrona o divano o sedile traspirante
CN101994210A (zh) * 2010-12-09 2011-03-30 江南大学 一种经编三维结构的织物
GR1007649B (el) * 2011-03-10 2012-07-13 Καρατζη Βιομηχανικες Ξενοδοχειακες Επιχειρησεις Α.Ε., Μεθοδος κατασκευης και παραγωγης υπερπλατη ελαστικου ή μη ελαστικου ιστου (διχτυ) για την συσκευασια παντος ειδους βιομηχανικων και γεωργικων προϊοντων
FR2972626B1 (fr) * 2011-03-16 2014-04-11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comprenant un tricot tridimensionnel et ajoure
GB201107749D0 (en) * 2011-05-10 2011-06-22 Heathcoat Fabrics Ltd Spacer texile
TWI472295B (zh) * 2011-08-05 2015-02-11 Taiwan Textile Res Inst 植栽用立體織物
FR2977789B1 (fr) 2011-07-13 2013-07-19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pour hernie ombilicale
FR2977790B1 (fr) 2011-07-13 2013-07-19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pour hernie ombilicale
JP5861200B2 (ja) * 2011-07-20 2016-02-16 株式会社豊和化成 自動車用内装部品
DE102011112289A1 (de) * 2011-09-05 2013-03-07 Lufthansa Technik Ag Chemisch dauerbeständiges Abstandstextil
CA2849052C (en) 2011-09-30 2019-11-05 Sofradim Production Reversible stiffening of light weight mesh
US10221569B2 (en) 2011-11-01 2019-03-05 Cortex Composites, Inc. Cementitious composite constituent relationships
US9187902B2 (en) 2011-11-01 2015-11-17 Cortex Composites, Llc Nonwoven cementitious composite for in-situ hydration
US10167635B2 (en) 2011-11-01 2019-01-01 Cortex Composites, Inc. Nonwoven cementitious composite for In-Situ hydration
FR2985271B1 (fr) 2011-12-29 2014-01-24 Sofradim Production Tricot a picots
FR2985170B1 (fr) 2011-12-29 2014-01-24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pour hernie inguinale
EP2636325B1 (en) 2012-03-06 2017-08-16 C & J Clark International Limited Footwear with air circulation system
DE212012000259U1 (de) * 2012-06-13 2014-11-06 Mattes & Ammann Gmbh & Co. Kg Maschen- oder Webstoff sowie seine Verwendung
FR2992662B1 (fr) 2012-06-28 2014-08-08 Sofradim Production Tricot avec picots
FR2992547B1 (fr) 2012-06-29 2015-04-24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pour hernie
CN102755062B (zh) * 2012-08-01 2014-04-23 韦刚 椭圆形立体三角形网状魔方结构件
CN102755035B (zh) * 2012-08-01 2014-09-10 韦刚 正三角形网状魔方结构件
FR2994185B1 (fr) 2012-08-02 2015-07-31 Sofradim Production Procede de preparation d’une couche poreuse a base de chitosane
DE202012007510U1 (de) * 2012-08-03 2012-08-13 J.H. Ziegler Gmbh Schichtaufbau für ein Sitzpolster
FR2995778B1 (fr) 2012-09-25 2015-06-26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de renfort de la paroi abdominale et procede de fabrication
FR2995779B1 (fr) 2012-09-25 2015-09-25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comprenant un treillis et un moyen de consolidation
FR2995788B1 (fr) 2012-09-25 2014-09-26 Sofradim Production Patch hemostatique et procede de preparation
WO2014049446A2 (en) 2012-09-28 2014-04-03 Sofradim Production Packaging for a hernia repair device
US9226548B2 (en) 2013-01-15 2016-01-05 Nike, Inc. Spacer textile material with channels having multiple tensile strands
US9474328B2 (en) 2013-01-15 2016-10-25 Nike, Inc. Spacer textile material with tensile strands in non-linear arrangements
US9132601B2 (en) 2013-01-15 2015-09-15 Nike, Inc. Spacer textile material with tensile strands having multiple entry and exit points
US9241537B2 (en) 2013-01-15 2016-01-26 Nike, Inc. Spacer textile material with tensile strands that intersect
ITMI20130176A1 (it) * 2013-02-08 2014-08-09 Graziano Palin Sostegno igienico drenante.
WO2014144049A1 (en) * 2013-03-15 2014-09-18 A&P Technology, Inc. Three dimensional braid
FR3006578B1 (fr) 2013-06-07 2015-05-29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a base d’un textile pour voie laparoscopique
FR3006581B1 (fr) 2013-06-07 2016-07-22 Sofradim Production Prothese a base d’un textile pour voie laparoscopique
WO2015101632A1 (en) * 2013-12-31 2015-07-09 Sense Textile B.V. A 3-dimensional knitted textile spacer fabric and use thereof in a system for health care
EP3000433B1 (en) 2014-09-29 2022-09-21 Sofradim Production Device for introducing a prosthesis for hernia treatment into an incision and flexible textile based prosthesis
EP3000432B1 (en) 2014-09-29 2022-05-04 Sofradim Production Textile-based prosthesis for treatment of inguinal hernia
EP3227053B1 (en) * 2014-12-01 2021-01-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onwoven abrasive wheel with moisture barrier layer
EP3029189B1 (en) 2014-12-05 2021-08-11 Sofradim Production Prosthetic porous knit, method of making same and hernia prosthesis
EP3059255B1 (en) 2015-02-17 2020-05-13 Sofradim Production Method for preparing a chitosan-based matrix comprising a fiber reinforcement member
EP3085337B1 (en) 2015-04-24 2022-09-14 Sofradim Production Prosthesis for supporting a breast structure
ES2676072T3 (es) 2015-06-19 2018-07-16 Sofradim Production Prótesis sintética que comprende un tejido de punto y una película no porosa y método para formarla
JP2017039444A (ja) * 2015-08-21 2017-02-23 豊田合成株式会社 自動車用エアバッグドア
JP2017052401A (ja) * 2015-09-09 2017-03-16 豊田合成株式会社 自動車用エアバッグドア
AU2016349494A1 (en) 2015-11-05 2018-05-17 Cortex Composites, Inc. Cementitious composite mat
US9828707B2 (en) * 2015-11-25 2017-11-28 Lymeez LLC Parasitic acari barrier
EP3195830B1 (en) 2016-01-25 2020-11-18 Sofradim Production Prosthesis for hernia repair
DE202016105662U1 (de) * 2016-05-04 2016-10-27 Karatzis S.A. Industrial & Hotelier Enterprises Kunststoffnetz mit doppelten Ketten
US10905188B2 (en) * 2016-07-19 2021-02-02 Bradford C. Jamison Plexus of filaments with linked members
AT518401B1 (de) * 2016-07-21 2017-10-15 Ing Thomas Eichenauer Dipl Bodenmatten zur Wasserverteilung
JP6177407B1 (ja) * 2016-10-17 2017-08-09 株式会社アデランス かつらベース、かつら及びかつらベースの製造方法
EP3312325B1 (en) 2016-10-21 2021-09-22 Sofradim Production Method for forming a mesh having a barbed suture attached thereto and the mesh thus obtained
CN106592088B (zh) * 2017-01-10 2018-07-06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一种立体式互通透气三层网布及其制作方法
CN106757741B (zh) * 2017-01-11 2019-10-25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锥形网孔的三明治网布及其制作方法
IT201700004581A1 (it) * 2017-01-17 2018-07-17 Miles S P A Metodo di realizzazione di un manufatto tessile, in particolare un accessorio di abbigliamento, contenente filato termoretraibile e relativo accessorio di abbigliamento
EP3398554A1 (en) 2017-05-02 2018-11-07 Sofradim Production Prosthesis for inguinal hernia repair
CN107099926B (zh) * 2017-05-11 2019-06-18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一种双贾卡提花网布的编织方法
US10391965B2 (en) 2017-07-19 2019-08-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ubular seat belt system having air delivery
CN107278526B (zh) * 2017-07-26 2022-10-11 中国林业科学研究院林业新技术研究所 一种风力传播的湿地植物种子收获装置及方法
CN107512031B (zh) * 2017-08-25 2019-03-26 阿斯福特纺织(漳州)有限公司 一种高性能抗菌高档织物面料及其生产工艺
JP6594936B2 (ja) * 2017-08-31 2019-10-23 花王株式会社 不織布
CN111542656B (zh) * 2017-10-20 2021-10-15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针织的膨松区
US10143043B1 (en) 2017-12-07 2018-11-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ated seat belt
US10479162B2 (en) 2017-12-07 2019-11-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belt having tubes for air delivery
US10442392B2 (en) 2017-12-07 2019-10-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belt system having air distribution manifold
US10569735B2 (en) 2017-12-07 2020-02-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belt system having uniform air delivery
US10471800B2 (en) 2017-12-07 2019-11-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belt system having electrical connector
CN108177396B (zh) * 2017-12-27 2020-05-05 江南大学 针织三维蜂窝结构
FR3084822B1 (fr) * 2018-08-10 2022-01-07 Vuitton Louis Sa Procede pour realiser un bagage, en particulier un sac de voyage souple ou semi-rigide
CN109023756B (zh) * 2018-10-08 2023-09-15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具有立体中绣线的网布及其制作方法
EP3653171A1 (en) 2018-11-16 2020-05-20 Sofradim Production Implants suitable for soft tissue repair
CN109717665B (zh) * 2018-12-05 2024-05-28 罗雄平 一种通风透水减震垫
CN109371952A (zh) * 2018-12-17 2019-02-22 中国科学院寒区旱区环境与工程研究所 一种保护土体温度的复合结构及其使用方法
DE102019110909B4 (de) * 2019-04-26 2020-12-10 Müller Textil GmbH Abstandsgewirke
DE102019110908B4 (de) * 2019-04-26 2020-12-24 Müller Textil GmbH Verbundanordnung
CN110472362B (zh) * 2019-08-22 2023-06-16 上海飞机制造有限公司 复合材料检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0499572A (zh) * 2019-09-02 2019-11-26 江南大学 一种双层经编间隔织物及一种经编机
JP7470341B2 (ja) 2020-02-25 2024-04-18 川田ニット株式会社 遮光編地とそれを用いた車載用遮光カーテン
JP7002584B2 (ja) 2020-03-11 2022-01-20 ▲隆▼榮 ▲呉▼ 排熱式経編地並びに排熱式経編地を使用した中敷
US11525195B2 (en) * 2020-05-27 2022-12-13 Jhih Huei Trading Co., Ltd. Woven textile for bag and bag
FR3113497A1 (fr) * 2020-08-21 2022-02-25 Patrick Herbault Dispositif d’ombrage à tissu espaceur 3D tridimensionnel perméable à l’air
CN114277490A (zh) * 2020-09-28 2022-04-05 谢妙典 编织布料、编织方法、及以该编织布料或该编织方法所编织而成的布料所制成的扬声器软件
CN112481799A (zh) * 2020-11-12 2021-03-12 江苏伯纳德生物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经编双面异构异能材料制备工艺方法
US11879189B2 (en) * 2021-04-07 2024-01-23 Ball Fabrics, Inc. Visual barrier windscreen, including knitted interlocking chains forming wind passage holes, and associ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7693B2 (ja) * 1991-07-17 1996-10-23 旭土建株式会社 立体構造状ネット
JPH05269899A (ja) * 1992-03-27 1993-10-19 Unitika Ltd 複合材料
JP2762052B2 (ja) * 1994-07-06 1998-06-04 旭土建株式会社 トラス型立体構造状ネット
WO1996035021A1 (fr) * 1995-05-01 1996-11-07 Asahi Doken Kabushiki Kaisha Filet tridimensionnel et procede de retenue de vegetation sur une pente
JP2936314B2 (ja) * 1995-12-06 1999-08-23 旭土建株式会社 保水性ネット
JP3944613B2 (ja) * 1996-10-31 2007-07-11 日東紡績株式会社 立体構造状ネット
JP3125065B2 (ja) * 1996-11-22 2001-01-15 旭土建株式会社 立体構造状ネット
JPH10259612A (ja) * 1997-03-18 1998-09-29 Asahi Doken Kk 浸蝕防止植生工法
JP3567702B2 (ja) * 1997-11-13 2004-09-22 旭土建株式会社 立体構造状ネット
JP3435488B2 (ja) * 1998-07-03 2003-08-11 旭土建株式会社 網 地
JP4075197B2 (ja) * 1999-03-16 2008-04-16 日東紡績株式会社 パイル網地とその複合材および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370B1 (ko) * 2001-08-30 2004-05-10 주식회사 삼광기공 통기성 필름
KR101305467B1 (ko) * 2012-01-04 2013-09-06 주식회사 메리퀸 입체구조편물 및 이를 내장한 입체구조 침구
KR20200098294A (ko) * 2019-02-12 2020-08-2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영 가방
KR102461356B1 (ko) * 2022-01-06 2022-10-28 박미정 이중직조구조를 갖는 에어 안전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55757A1 (en) 2000-11-29
CN1210451C (zh) 2005-07-13
US6630414B1 (en) 2003-10-07
WO2000022215A1 (fr) 2000-04-20
EP1055757A4 (en) 2001-01-24
CN1287583A (zh) 2001-03-14
JP3482489B2 (ja) 200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3116A (ko) 입체구조형상 네트와 이 네트를 이용한 복합구조재
US6305875B1 (en) Net of three-dimensional construction and vegetation method for surface of slope
US6477865B1 (en) Three-dimensional marquisette style knitted fabric
US5601907A (en) Three-dimensionally constructed net
KR870001801B1 (ko) 다층 직물로 된 직물형상 및 직물형상으로 만들어진 복합구조
ES2473601T3 (es) Material de revestimiento de suelos y procedimientos de fabricación
WO2002050352A1 (fr) Tissu double face tricote
JP3567702B2 (ja) 立体構造状ネット
JP3125065B2 (ja) 立体構造状ネット
JPH10131008A (ja) 立体構造状ネット
ES2211625T3 (es) Material textil en napa para usos tecnicos.
JP3435488B2 (ja) 網 地
JP2762052B2 (ja) トラス型立体構造状ネット
CA2394710A1 (en) Mesh fabric
JPH08226045A (ja) 立体構造布
JP2714755B2 (ja) 立体構造状複合材料
JP3932977B2 (ja) 立体構造状ネット
KR100228812B1 (ko) 입체구조형상 네트 및 법면 등의 식생공법
JP2779869B2 (ja) 立体構造状ネットおよび法面等の植生工法
JPH0913377A (ja) 植生用ネット構造体
JP2022067218A (ja) 片面低伸縮性立体構造ネット、および構造体
JP3015000U (ja) 栽培用床ネット
JP2003013345A5 (ko)
JP3831554B2 (ja) フレキシブル植栽床
JP2587930Y2 (ja) 磁気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