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1416A - 차량용 레버스위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레버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1416A
KR19990071416A KR1019980043326A KR19980043326A KR19990071416A KR 19990071416 A KR19990071416 A KR 19990071416A KR 1019980043326 A KR1019980043326 A KR 1019980043326A KR 19980043326 A KR19980043326 A KR 19980043326A KR 19990071416 A KR19990071416 A KR 19990071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mover
operating
switch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3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6503B1 (ko
Inventor
야스오 미야세
노리오 우치야마
Original Assignee
스즈키 다케토시
나이루스 부힝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즈키 다케토시, 나이루스 부힝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즈키 다케토시
Publication of KR19990071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5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54Lever switches with blade-type contact co-operating with one or two spring-clip contacts, e.g. knife sw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69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 B60Q1/1476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comprising switch controlling means located near the free end of the lever, e.g. press buttons, rotatable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회동조작할 수 있는 2개의 레버를 구비한 레버스위치의 레버 내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또 형상을 슬림화 한 차량용 레버스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레버스위치는, 제 1 레버(6), 제 2 레버(7) 및 제 3 레버(5)로 이루어진다.상기 제 1 레버(6)는 극판(22) 상에 배치된 제 1 가동자(18)를 작동시키는 제 1 조작막대(9)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레버(7)는 극판(22) 상에 배치된 제 2 가동자(19)를 작동시키는 제 2 조작막대(7f)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레버(5)는 극판(22) 상에 배치된 제 3 가동자(17)를 작동시키는 제 3 조작막대(5a)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레버스위치
본 발명은, 1개의 조작레버에 2개의 회동노브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조작레버 및 회동노브로 작동하는 가동자를 극판의 판면상에 배치한 차량용 레버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종류의 기술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실공평 5-21797 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이 있다. 종래의 기술은 조작레버의 선단에 전방 와이퍼 제어용의 회동노브와, 후방 와이퍼 제어용의 회동노브인 2개의 회동노브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2개의 회동노브로 작동하는 가동접점판, 접점스프링 및 베이스는, 조작레버의 선단부분에 배설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레버스위치는, 조작레버의 선단부분에 가동접점판, 접점스프링 및 베이스가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레버 전체가 굵어져서 대형화되고, 또한 조작레버의 구조가 복잡해지며, 부품점수 및 조립공정수가 많아 비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회동조작할 수 있는 2개의 노브를 구비한 레버 내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레버의 형상을 슬림화 한 조작용 레버를 갖는 차량용 레버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에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에서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에서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에서의 케이스의 확대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에서의 중앙부분을 종단면 한 케이스의 확대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제 3 레버 5a : 제 3 조작막대
5b : 플랜지 5e : 원통부
6 : 제 1 레버 6a : 샤프트
7 : 제 2 레버 7a : 축
7b : 원통부 7c : 기단부
7f : 제 2 조작막대 9 : 제 1 조작막대
17 : 제 3 가동자 18 : 제 1 가동자
19 : 제 2 가동자 20 : 제 4 가동자
21 : 가동판 21b : 제 4 조작막대
22 : 극판 22a : 판면
25 : 케이스 25a : 간막이
25b : 제 1 관통구멍 25c : 제 2 관통구멍
25d : 제 1 안내벽 25e : 제 1 안내홈
25f : 제 2 안내홈 25g : 제 2 안내벽
25h : 제 3 관통구멍 25i : 제 4 관통구멍
25j : 제 2 절결부 25k : 절결부
25m : 플랜지설치공간 32 : 덮개부재
32b : 플랜지커버부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제 1 레버, 제 2 레버 및 제 3 레버로 이루어진 차량용 레버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버는 극판상에 배치한 제 1 가동자를 작동시키는 제 1 조작막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레버는 극판상에 배치한 제 2 가동자를 작동시키는 제 2 조작막대를 구비하며, 상기 제 3 레버는 극판상에 배치한 제 3 가동자를 작동시키는 제 3 조작막대를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제 1 레버, 제 2 레버 및 제 3 레버로 이루어진 차량용 레버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버는 극판상에 배치한 제 1 가동자를 작동시키는 제 1 조작막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레버는 극판상에 배치한 제 2 가동자를 작동시키는 제 2 조작막대를 구비하며, 상기 제 3 레버는 극판상에 배치한 제 3 가동자를 작동시키는 제 3 조작막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가동자, 제 2 가동자, 제 3 가동자 및 제 4 가동자는, 각각 극판의 판면상에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게 병렬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내지 제 3 레버의 직각방향에 비교하여 축심방향으로 대략 폭이 넓게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버는 제 2 레버의 원통부내에 회동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샤프트를 가지며, 상기 제 3 레버는 제 2 레버의 원통부 외측에 회동이 자유롭게 끼워넣어지는 상기 원통부를 갖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작막대 내지 제 4 조작막대는 케이스내의 간막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가동판을 탑재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조작막대가 각각 끼워져 통하는 제 1 관통구멍, 제 2 관통구멍, 제 3 관통구멍, 제 4 관통구멍이 형성된 간막이를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제 1 가동자 내지 제 4 가동자는 상기 간막이의 아래면에 형성된 제 1 안내벽, 제 2 안내벽, 제 1 안내홈, 제 2 안내홈에 각각 가이드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케이스의 내벽에 형성된 절결부를 끼워 통하여 상기 케이스 밖으로 돌출된 레버를 구비한 차량용 레버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절결부를 덮도록 개구된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플랜지를, 상기 레버의 요동축심을 거의 중심으로 한 대략 반구면형상으로 개구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절결부의 외측에 제 2 절결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절결부와 제 2 절결부의 사이에 상기 플랜지를 요동이 자유롭게 배치하는 플랜지설치공간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플랜지설치공간은 상기 플랜지의 위쪽을 덮는 플랜지커버부를 갖는 덮개부재로서, 상기 케이스와 함께 폐색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실시형태)
먼저, 도 1, 도 2, 도 3, 도 4 및 도 5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몸체로서, 스테어링컬럼(39)의 브래킷(39a)에 걸림고정됨과 동시에, 고정나사(40)로서 나사고정된다. 상기 몸체(1)는 중앙에 캔슬핀(2a)이 형성된 원통관(2)을 회동이 자유롭게 축지지하고, 우측에 제 1 스위치(3), 좌측에 제 2 스위치(4)가 상기 몸체(1)의 좌우방향에서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제 1 스위치(3)는, 예를들어 턴시그널스위치, 패싱스위치, 메인·디머변환스위치 및 전조등스위치, 포그램프스위치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1 스위치(3)는 제 1 레버(6)와 제 2 레버(7)와 제 3 레버(5)와 고정노브(14)로 이루어진 조작레버(L)를 화살표 A, B, C, D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롭도록 축지지하고 있다.
상기 제 1 스위치(3)는, 제 3 레버(5)를 화살표 A 또는 B의 좌우방향으로 조작하면 방향지시등이 점멸하는 턴시그널스위치의 기능을 가진다. 상기 제 1 스위치(3)는 제 3 레버(5)를 화살표 C의 위쪽방향으로 조작하면 전조등이 일시적으로 점등하는 패싱스위치의 기능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 1 스위치(3)는 제 3 레버(5)를 화살표 C 또는 D의 상하방향으로 조작하면 전조등의 메인과 디머의 변환을 행하는 메인·디머스위치의 기능을 가진다.
또한, 제 1 스위치(3)는 제 3 레버(5)의 선단부에 설치된 제 1 레버(6)를 화살표 E, F방향으로 회동 조작함으로써, 전조등과 스몰램프를 점등·소등시키는 전조등스위치의 기능을 가진다. 또한 제 1 스위치(3)는 제 3 레버(5)를 화살표 G 또는 H방향으로 회동 조작함으로써, 포그램프를 점등·소등시키는 포그램프스위치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스위치(4)는, 예를들어 와이퍼·워셔스위치의 기능을 갖는 조작레버(8)를 요동이 자유롭도록 축지지하고 있다. 상기 조작레버(8)는 상기 제 3 레버(5)와 마찬가지로 전후 상하로 조작할 수 있으며, 선단부에 회동스위치로 이루어진 와이퍼 볼륨이나 후방 와이퍼스위치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1 스위치(3)의 제 3 레버(5)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레버(6)의 샤프트(6a)를 중심으로 화살표 C 및 D방향으로 회동하여, 제 3 조작막대(5a)가 포그램프스위치용의 제 3 가동자(17)를 화살표 I, J방향으로 직선이동시켜 개폐시킨다. 상기 제 3 레버(5)에는 중앙에 원통부(5e), 한끝단부에 제 3 조작막대(5a) 및 플랜지(5b), 다른끝단부에 개구부(5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3 레버(5)는 제 2 레버(7)의 원통부(7b)가 삽입되는 관통구멍(5c)을 가지는 대략 나팔형태의 조작체이다.
상기 제 3 레버(5)는, 회동노브(6d) 측의 선단부가 나팔형태로 된 상기 개구부(5d)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5d)에는 다단전환스프링(12), 다단전환체(13)를 개재하여 상기 회동노브(6d)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제 3 레버(5)는 원통부(7b)에 끼워넣어지며, 또한 제 2 레버(7)의 기단부(7c)와, 제 2 레버(7)의 선단부 측에 끼워wu 부착된 고정노브(14) 사이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유지된다.
상기 제 3 조작막대(5a)는, 제 3 가동자(17)의 2개의 걸림돌기(17a,17a) 사이에 배치된다. 플랜지(5b)는 제 3 레버(5)의 요동중심으로 향하여 반구면형태로 열린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제 3 레버(5)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5b)는 케이스(25)의 절결부(25k)와, 제 2 절결부(25j)의 사이에 형성된 플랜지설치공간(25m)에 요동이 자유롭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랜지(5b)는 제 3 레버(5)와, 절결부(25k) 및 제 2 절결부(25j)의 사이에 가능한한 간극을 숨겨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플랜지설치공간(25m)은 플랜지(5b)가 요동이 자유롭도록 배치되고, 덮개부재(32)로서 폐색된다.
상기 제 2 레버(7)는, 한끝단부에 다단전환스프링(10) 및 다단전환체(11)를 배설하기 위한 다단전환체 지지통(7d)이 형성되고, 다른끝단부에 고정노브(14)의 축통부(14a) 내에 형성된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구멍(7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레버(7)에는 다단전환체 지지통(7d) 근방의 아래쪽에, 제 2 가동자(19)의 긴구멍(19a)으로 헐겁게 끼워지는 제 2 조작막대(7f)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레버(7)는, 원통부(7b) 내에 제 1 레버(6)의 샤프트(6a)가 회동이 자유롭게 삽입되고, 또한 상기 원통부(7b) 외측으로 제 3 레버(5)가 회동 이 자유롭게 끼워넣어져 있다. 상기 제 2 레버(7)는 회동노브(6d)를 화살표 C, D방향으로 조작하면, 제 1 레버(6) 및 제 3 레버(5)와 함께 축(7a)을 중심으로 요동하고, 제 2 조작막대(7f)가 상기 제 2 가동자(19)를 화살표 N, P방향으로 직선이동시켜, 메인·디머의 변환 및 패싱이 행해진다. 상기 제 2 조작막대(7f)는 간막이(25a)에 형성된 제 3 관통구멍(25h)으로 끼워져 통하여 제 2 가동자(19)의 긴구멍(19a)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상기 제 1 레버(6)는, 중앙의 샤프트(6a)의 한끝단에 회동노브(6d)가 일체로 성형되고, 다른끝단에 제 1 조작막대(9)가 끼워져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 1 레버(6)는 샤프트(6a)가 상기 제 2 레버(7)의 원통부(7b)에 삽입되고, 또한 선단의 돌기(6c)를 관통구멍(7g) 내에서 제 1 조작막대(9)에 끼워 부착되어, 상기 제 1 조작막대(9)와 함께 회동된다. 상기 제 1 레버(6)는 회동노브(d)를 화살표 E 또는 F방향으로 회동조작하면, 제 1 조작막대(9)가 제 1 가동자(18)를 화살표 K 또는 M방향으로 직선이동시켜, 전조등을 점등·소등시킨다. 그리고 제 1 레버(6) 및 제 1 조작막대(9)는 샤프트(6a)와 일체로 형성하거나 어느 경우라도 좋다.
상기 제 1 조작막대(9)는, 관통구멍(7g)에 삽입 배치되고, 또 샤프트(6a) 선단의 돌기(6c)에 걸림구멍(9a)을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상기 샤프트(6a)의 끝단부에 축지지된다. 상기 제 1 조작막대(9)는 제 1 레버(6) 및 샤프트(6a)와 함께 회동하고, 제 1 가동자(18)의 걸림돌기(18a)에 걸어맞추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 제 1 레버(6)의 회전이 제 1 가동자(18)를 직선이동으로 변환하여 전달시킨다.
다단전환체(11)는, 다단전환스프링(10)에 힘이 가해져서, 다단전환체 지지통(7d)에 수납되고, 가동판(21)의 내벽에 형성된 다단전환홈(21d)에 눌려 접촉되어 있다. 다단전환스프링(12)은 다단전환체(13)에 힘을 가하는 코일스프링으로서, 개구부(5d) 내에 형성된 막힌구멍에 탄력있게 설치된다. 다단전환체(13)는 고정노브(14)의 다단전환홈(14b)에 눌려 접촉하는 제 3 레버(5)에 다단으로 전환되는 느낌을 부여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노브(14)는, 원통부(7b)의 선단에 끼워 부착된 대략 도너츠형상의 고정체이다. 상기 고정노브(14)는 제 3 레버(5) 측으로 원통부(7b)에 끼워 부착되는 축통부(14a)와, 다단전환스프링(12)에 힘이 가해진 다단전환체(13)가 눌려 접촉하는 다단전환홈(14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노브(14)는 제 1 레버(6) 측에, 다단전환홈(6b)에 다단전환체(16)를 눌러 접촉시키는 다단전환스프링(15)을 지지하는 막힌구멍(도시하지 않음) 및 제 1 레버(6)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돌기(14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가동자(18), 제 2 가동자(19), 제 3 가동자(17) 및 제 4 가동자(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극판(22)의 판면(22a) 상에 병렬설치되고, 또한 조작레버(L)의 직각방향에 대하여 축심방향으로 폭이 넓게 형성된 대략 직사각체를 이루고 있다.
상기 제 3 가동자(17)는, 조작레버(L)의 직각방향에 대하여 축심방향으로 폭이 넓게 형성된 대략 직사각체를 이루고 있다. 상기 제 3 가동자(17)는 극판(22)의 판면(22a)에 얹어지고, 케이스(25)의 간막이(25a) 아래면의 제 1 안내벽(25d) 사이에 배치하여 안내되며, 화살표 I 및 J방향으로만 이동이 자유롭게 조립된다. 상기 제 3 가동자(17)는 아래면에 접점스프링(23)을 개재하여 포그램프스위치의 가동접촉편(24)이 걸려 있다. 상기 제 3 가동자(17)는 제 3 레버(5)를 화살표 H, G방향으로 회동조작하면, 접점스프링(23) 및 가동접촉편(24)과 함께, 판면(22a) 상을 화살표 I 및 J방향으로 이동하여 포그램프를 점등·소등시킨다. 상기 걸림돌기(17a)는 제 3 가동자(17)의 상면중앙에 형성된 2개의 판형태의 돌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가동자(18)는, 이동방향인 화살표 K 및 M방향, 즉 조작레버 (L)의 직각방향에 대하여 축심방향으로 폭이 넓게 형성된 대략 직사각체를 이루고 있다. 상기 제 1 가동자(18)는 아래면에 접점스프링(26)을 개재하여 전조등스위치의 가동접촉편(27)이 걸려 있다. 상기 제 1 가동자(18)는 제 1 레버(6)를 화살표 E, F방향으로 회동조작하면, 가동접촉편(27)과 함께, 극판(22)의 판면(22a) 상을 화살표 k 및 M방향으로 이동하여 전조등을 점등·소등시킨다.
상기 걸림돌기(18a)는, 제 1 가동자(18)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2개의 판형태의 돌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돌기(18a)는 케이스(25)의 간막이(25a)에 형성된 제 2 관통구멍(25c)에, 화살표 N 및 P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넣어져 있다. (18b)는 제 1 가동자(18)의 상면 좌우에 형성된 원주형상의 볼록부이다. 상기 볼록부(18b)는 간막이(25a)의 아래면에 형성된 제 1 안내홈(25e)에 화살표 K 및 M방향으로만 직선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넣어져 있다.
상기 제 2 가동자(19)는, 이동방향인 화살표 N 및 P방향, 즉 조작레버(L)의 축심방향으로 폭이 좁은 대략 직사각체를 이루고 있다. 상기 제 2 가동자(19)는 아래면에 접점스프링(34)을 개재하여 메인·디머스위치 및 패싱스위치용의 가동접촉편(35)이 걸려져 있다. 상기 제 2 가동자(19)는 제 3 레버(5)를 화살표 C 또는 D방향으로 요동조작하면, 가동접촉편(35)과 함께, 극판(22)의 판면(22a) 상을 화살표 N 또는 P방향으로 직선이동한다.
상기 제 2 가동자(19)의 긴구멍(19a)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스듬히 형성된 긴구멍으로 이루어지며, 제 2 조작막대(7f)에 의한 이동거리를 확대시킨다. 상기 제 2 가동자(19)는 도 3에서와 같이 아래면에, 극판(22)의 판면(22a)에 형성된 안내홈(22c)에 걸어맞춰지는 돌기(19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가동자(19)는 제 3 레버(5)를 화살표 A 및 B방향으로 요동조작하였을 때, 제 2 조작막대(7f)가 상기 긴구멍(19a) 내를 이동하고, 제 2 가동자(19)는 이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긴구멍(19a)은 막힌구멍이거나 어느 경우라도 좋다.
도 2의 (19b)는, 케이스(25)의 간막이(25a)의 아래면에 형성된 제 2 안내홈(25f) 내를 미끄럼동작하여, 상기 제 2 가동자(19)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아암이다. 이 가이드아암(19b)은 이동방향인 화살표 N 및 P방향으로 향해 형성된 막대형상의 것이다.
제 4 가동자(20)는, 이동방향인 화살표 Q 및 R방향, 즉 조작레버(L)의 직각방향에 대하여 축심방향으로 폭이 넓게 형성된 대략 직사각체를 이루고 있다. 상기 제 4 가동자(20)는 아래면에 접점스프링(36)을 개재하여 턴시그널스위치용의 가동접촉편(37)이 걸려져 있다. 상기 제 4 가동자(20)는 극판(22)의 판면(22a)에 얹혀져, 케이스(25)의 간막이(25a) 아래면의 제 2 안내벽(25g)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면의 결합부(20a)에 제 2 조작막대(7f)를 걸어맞춤시켜, 화살표 Q 및 R방향으로만 이동이 자유롭게 조립된다.
상기 제 4 가동자(20)는, 제 3 레버(5)를 화살표 A 또는 B방향으로 요동조작하면, 제 2 조작막대(7f)가 함께 요동하여, 판면(22a) 상을 화살표 Q 또는 R방향으로 이동한다. 결합부(20a)는 예컨대 2개의 레일형태의 돌기로 이루어지며, 제 3 레버(5)를 화살표 C 및 D방향으로 요동조작하였을 때는, 제 4 조작막대(21b)가 상기 결합부(20a) 내를 이동하고, 제 4 가동자(20)는 이동하지 않는다.
가동판(21)은, 좌우에 다단전환체(33)가 탄력있게 장착되고, 축(21a)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레버(6), 제 2 레버(7) 및 제 3 레버(5)와 함께 화살표 A 및 B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 가동판(21)은 제 4 가동자(20)의 결합부(20a)에 걸어맞춤하는 제 4 조작막대(21b)를 하단부에 돌출형성하고 있다. 제 4 조작막대(21b)는 간막이(25a)에 형성된 제 4 관통구멍(25i)으로 끼워져 제 4 가동자(20)의 결합부(20a)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제 3 레버(5)를 화살표 A 또는 B방향으로 요동조작하면 제 4 조작막대(21b)가 제 4 가동자(20)를 화살표 Q 또는 R방향으로 직선이동시켜, 방향지시등을 점멸시킨다.
케이스(25)는, 간막이(25a)의 상면에 가동판(21), 캔슬캠(28), 판스프링(29), 캠가이드(30) 및 코일스프링(31)을 개재하여 덮개부재(32)로 폐색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25)는 간막이(25a)의 아래면에 제 3 가동자(17), 제 1 가동자(18), 제 2 가동자(19) 및 제 4 가동자(20)를 개재하여 극판(22)으로 폐색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25)는 상기 각 부품을 수납하여, 몸체(1)에 끼워맞춰지고, 또한 나사고정된다.
캔슬캠(28)은, 상하에 축(28a)을 가지며, 아래쪽의 축(28a)은 가동판(21)의 홈(21c)에 헐겁게 끼워지고, 위쪽의 축(28a)은 덮개부재(32)의 긴구멍(32a)에 헐겁게 끼워져 있다. 판스프링(29)은 양 끝단이 덮개부재(32)에 유지되어, 중앙부에서 캔슬캠(28)을 밀어눌러 힘이 가해져 있다. 가이드캠(30)은 가동판(21) 상에 얹어지고, 코일스프링(31)으로서 상기 캔슬캠(28) 측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덮개부재(32)는 케이스(25)의 위쪽 개구끝단에 끼워진다.
상기 극판(22)은, 커넥터부(22b)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도전판(38)을 수지로 인서트성형하여 이루어지며, 케이스(25)의 아래쪽 개구부에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상기 극판(22)은 판면(22a)의 양측으로 돌출형성된 걸어맞춤돌기(22c)를 케이스(25)의 간막이(25a) 아래면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25n)에 끼워져 부착되고, 또한 측면에 형성된 돌기(22d)가 케이스(25)의 걸어맞춤구멍(25p)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케이스(25)에 고정된다.
도전판(38)은, 판면(22a)에 배설된 고정접점판(28a)과, 커넥터부(22b) 내부에 설치된 단자(38b)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부재(32)는 캔슬캠(28)의 축(28a)에 축맞춤하는 긴구멍(32a)과, 가동판(21)의 축(21a)에 축맞춤하는 축구멍(32c)과, 상기 플랜지(5b)를 덮도록 하여 플랜지설치공간(25m)을 폐색하는 플랜지커버부(32b)를 가진다. 또한 덮개부재(32)는 상기 판스프링(29) 및 캠가이드(30)를 지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조작레버(L)를 화살표 A 또는 B방향으로 요동조작하면, 제 1 레버(6), 제 2 레버(7), 제 3 레버(5) 및 가동판(21)이 축(21a)을 중심으로 요동하고, 제 4 조작막대(21b)가 제 4 가동자(20)를 화살표 Q 또는 R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킨다. 상기 제 4 가동자(20)는 케이스(25)의 제 2 안내벽(25g)에 안내되어 화살표 Q 또는 R방향으로 직선이동하고, 방향지시기가 온(ON)으로 되어, 좌측 또는 우측의 방향지시등이 점멸된다.
이 때, 제 2 조작막대(7f)는 긴구멍(19a) 내에서 이동하고, 제 2 가동자(19)는 이동하지 않는다. 제 1 조작막대(9)는 축(21a)과 거의 동일 축심선상에 있어, 걸림돌기(18a) 내에서 공회전하여 제 1 가동자(18)가 이동하지 않는다. 제 3 조작막대(5a)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21a)의 축심선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회동하여, 제 3 가동자(17)를 화살표 I 또는 J방향으로 약간 이동시킨다. 그러나 가동접촉편(24)은 제 3 가동자(17)의 이동이 적기때문에 고정접점판(38a)에 접촉하지 않아, 온(ON)으로 되지 않는다. 또한 플랜지(5b)는 제 3 레버(5)와 일체로 플랜지설치공간(25m) 내에서 요동하지만, 상기 플랜지(5b)가 절결부(25k)를 덮고 있으므로, 케이스(25) 내부를 들여다 볼 수는 없다.
조작레버(L)를 화살표 C 또는 D방향으로 요동조작하면, 제 1 레버(6), 제 2 레버(7) 및 제 3 레버(5)는, 축(7a)을 중심으로 요동하여, 제 2 조작막대(7f)가 제 2 가동자(19)를 화살표 N 또는 P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 2 가동자(19)는 가이드아암(19b)이 케이스(25)의 제 2 안내홈(25f)에 안내되어 기울어지지 않고, 화살표 N 또는 P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가동접촉편(35)의 직선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고정접점판(38a)과의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가동자(19)는, 제 2 안내홈(25f) 내를 직선이동하는 가이드아암(19b)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 2 가동자(19)의 본체부분의 이동방향인 화살표 N 및 P방향의 치수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극판(22)의 판면(22a) 상에 4개의 가동자를 병렬설치 할 수 있어, 극판(22) 및 케이스(25) 등을 소형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조작막대(9)는 2개의 걸림돌기(18a)의 사이에서 내벽면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제 1 가동자(18)가 미끄럼동작하지 않는다. 제 3 조작막대(5a)는 2개의 걸림돌기(17a)의 사이에서 내벽면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제 3 가동자(17)는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플랜지(5b)는 제 3 레버(5)와 일체로 플랜지설치공간(25m) 내에서 요동하지만, 상기 플랜지(5b)가 절결부(25k)를 덮고 있으므로, 케이스(25)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없다.
제 3 레버(5)를 화살표 G, H방향으로 회동조작하면, 제 3 조작막대(5a)가 제 3 가동자(17)를 화살표 I, J방향으로 이동시켜, 포그램프를 점등·소등시킨다. 상기 제 3 가동자(17)는 제 1 안내벽(25d) 사이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제 1 안내벽(25d)에 안내되어 흔들림 없이 화살표 I, J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1 레버(6)를 화살표 E, F방향으로 회동조작하면, 샤프트(6a)와 함께 제 1 조작막대(9)가 요동하고, 제 1 가동자(18)가 화살표 K 및 M방향으로 이동하여, 전조등 및 차폭등이 점등·소등한다. 상기 제 1 가동자(18)는 좌우의 볼록부(18b)가 제 1 안내홈(25e)에 걸어 맞추어져 있으므로, 흔들림 없이 화살표 K, M방향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개의 가동자, 제 1 가동자(18), 제 2 가동자(19), 제 3 가동자(17) 및 제 4 가동자(20)는 동일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극판(22)의 판면(22a) 상에 병렬설치하여 스페이스의 축소를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25)와 극판(22)을 소형화 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제 1 가동자(18), 제 2 가동자(19), 제 3 가동자(17) 및 제 4 가동자(20)를 작동시키는 제 1 레버(6), 제 2 레버(7) 및 제 3 레버(5)는, 회동이 자유롭도록 이중으로 삽입 배치한 것이므로, 가동접점판, 고정접점 및 기판 등을 내부에 설치하지 않고, 상기 조작레버(L)를 슬림화하여, 부품점수, 조립공정수를 줄여서 비용을 삭감시킬 수 있다.
제 3 레버(5)와 제 2 절결부(25j)의 간극은, 상기 제 3 레버(5)가 플랜지(5b)를 플랜지설치공간(25m) 내에 배치한 것이므로, 케이스(25) 내부가 숨겨져 들여다 볼 수 없어, 외관이 좋다. 또한 플랜지(5b)는 제 3 레버(5)에 일체로 형성되고, 또 절결부(25k)와 제 2 절결부(25j) 사이의 플랜지설치공간(25m) 내에 배치한 것이므로, 부품점수나 조립공정수가 증가하지 않고, 먼지 등이 케이스(25)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발명은, 제 1 레버, 제 2 레버 및 제 3 레버로 이루어진 차량용 레버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버는 극판 상에 배치한 제 1 가동자를 작동시키는 제 1 조작막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레버는 극판 상에 배치한 제 2 가동자를 작동시키는 제 2 조작막대를 구비하며, 상기 제 3 레버는 극판 상에 배치한 제 3 가동자를 작동시키는 제 3 조작막대를 구비한 것으로, 제 3 레버와 제 1 레버의 형상을 슬림화하고, 내부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의 발명은, 제 1 레버, 제 2 레버 및 제 3 레버로 이루어진 차량용 레버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버는 극판 상에 배치한 제 1 가동자를 작동시키는 제 1 조작막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레버는 극판 상에 배치한 제 2 가동자를 작동시키는 제 2 조작막대를 구비하며, 상기 제 3 레버는 극판 상에 배치한 제 3 가동자를 작동시키는 제 3 조작막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가동자, 제 2 가동자, 제 3 가동자 및 제 4 가동자는, 각각 극판의 판면 상에 미끄럼동작이 자유롭게 병렬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내지 제 3 레버의 직각방향에 비교하여 축심방향으로 대략 폭이 넓게 형성한 것으로, 극판의 판면 상에 전체의 가동자를 이동이 자유롭게, 또한 동일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병렬설치하여, 극판 및 케이스를 소형화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복수의 가동자를 제 2 레버 및 가동판의 축 근방에 인접하여 집합 배치할 수 있어, 제 1 레버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회동조작하였을 때에, 제 1 가동자 및 제 3 가동자의 가동접촉편을 용이하게 오프(OFF)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버는 제 2 레버의 원통부내에 회동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샤프트를 가지며, 상기 제 3 레버는 제 2 레버의 원통부 외측에 회동이 자유롭게 끼워넣어지는 상기 원통부를 갖는 것으로, 제 1 레버 및 제 3 레버의 가동자를 극판의 판면에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제 3 레버 및 제 1 레버의 회전을 케이스 내에 배치한 각 가동자로 전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작막대 내지 제 4 조작막대는 케이스내의 간막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가동판을 탑재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 조작막대가 각각 끼워져 통하는 제 1 관통구멍, 제 2 관통구멍, 제 3 관통구멍, 제 4 관통구멍이 형성된 간막이를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제 1 가동자 내지 제 4 가동자는 상기 간막이의 아래면에 형성된 제 1 안내벽, 제 2 안내벽, 제 1 안내홈, 제 2 안내홈에 각각 가이드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가동자, 제 2 가동자, 제 3 가동자 및 제 4 가동자의 작동에 의한 진동이나 흔들림을 방지하고, 또한 좁고 긴 형상으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스위치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의 발명은, 케이스의 내벽에 형성된 절결부를 끼워 통하여 상기 케이스 밖으로 돌출된 레버를 구비한 차량용 레버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절결부를 덮도록 개구된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먼지가 케이스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먼지에 의한 접점불량을 해소하고, 또 부품점수 및 조립공정수를 삭감하여,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플랜지를, 상기 레버의 요동축심을 거의 중심으로 한 대략 반구면형상으로 개구한 것으로, 제 3 레버를 요동조작할 때 플랜지가 케이스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절결부의 외측에 제 2 절결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절결부와 제 2 절결부의 사이에 상기 플랜지를 요동이 자유롭게 배치하는 플랜지설치공간을 형성한 것으로, 케이스의 외측에서 보이는 플랜지를 초소한으로 하여,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의 발명은, 상기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플랜지설치공간은 상기 플랜지의 위쪽을 덮는 플랜지커버부를 갖는 덮개부재로서, 상기 케이스와 함께 폐색한 것으로, 상기 플랜지커버부를 케이스와 함께 폐색시키고, 부품점수 및 조립공정수를 삭감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제 1 레버(6), 제 2 레버(7) 및 제 3 레버(5)로 이루어진 차량용 레버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버(6)는, 극판(22) 상에 배치된 제 1 가동자(18)를 작동시키는 제 1 조작막대(9)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레버(7)는, 극판(22) 상에 배치된 제 2 가동자(19)를 작동시키는 제 2 조작막대(7f)를 구비하며,
    상기 제 3 레버(5)는, 극판(22) 상에 배치된 제 3 가동자(17)를 작동시키는 제 3 조작막대(5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스위치.
  2. 제 1 레버(6), 제 2 레버(7) 및 제 3 레버(5)로 이루어진 차량용 레버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버(6)는, 극판(22) 상에 배치된 제 1 가동자(18)를 작동시키는 제 1 조작막대(9)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레버(7)는, 극판(22) 상에 배치된 제 2 가동자(19)를 작동시키는 제 2 조작막대(7f)를 구비하며,
    상기 제 3 레버(5)는, 극판(22) 상에 배치된 제 3 가동자(17)를 작동시키는 제 3 조작막대(5a)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가동자(18), 제 2 가동자(19), 제 3 가동자(17) 및 제 4 가동자(20)는, 각각 극판(22)의 판면(22a) 상에 미끄럼동작이 자유롭게 병렬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내지 제 3 레버(5,6,7)의 직각방향에 비교하여 축심방향으로 대략 폭이 넓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스위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버(6)는, 제 2 레버(7)의 원통부(7b) 내에 회동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샤프트(6a)를 가지며,
    상기 제 3 레버(5)는, 제 2 레버(7)의 원통부(7b) 외측에 회동이 자유롭게 끼워넣어지는 상기 원통부(5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스위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작막대 내지 제 4 조작막대(5a,7f,9,21b)는, 케이스(25) 내의 간막이(25a) 상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25)는, 상기 가동판(21)을 탑재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조작막대(5a,7f,9,21b)를 각각 끼워 통하게 하는 제 1 관통구멍(25b), 제 2 관통구멍(25c), 제 3 관통구멍(25h), 제 4 관통구멍(25i)이 뚫린 간막이(25a)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가동자 내지 제 4 가동자(17,18,19,20)는, 상기 간막이(25a)의 아래면에 형성된 제 1 안내벽(25d), 제 2 안내벽(25g), 제 1 안내홈(25e), 제 2 안내홈(25f)에 각각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스위치.
  5. 케이스(25)의 내벽에 형성된 절결부(25k)를 끼워 통하여 상기 케이스(25) 의 외측으로 돌출된 레버(5)를 구비한 차량용 레버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5)는, 상기 절결부(25k)를 덮도록 개구한 플랜지(5b)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스위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5)는, 상기 플랜지(5b)를, 상기 레버(5)의 요동축심을 거의 중심으로 한 대략 반구면형상으로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스위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5)는, 상기 절결부(25k)의 외측에 제 2 절결부(25j)를 형성하고, 또 상기 절결부(25k)와 제 2 절결부(25j)의 사이에 상기 플랜지(5b)를 요동이 자유롭게 배치하는 플랜지설치공간(25m)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스위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5)의 플랜지설치공간(25m)은, 상기 플랜지(5b)의 위쪽을 덮는 플랜지커버부(32b)를 갖는 덮개부재(32)로서, 상기 케이스(25)와 함께 폐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버스위치.
KR1019980043326A 1998-02-27 1998-10-16 차량용 레버스위치 KR100646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4158 1998-02-27
JP06415898A JP3691241B2 (ja) 1998-02-27 1998-02-27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416A true KR19990071416A (ko) 1999-09-27
KR100646503B1 KR100646503B1 (ko) 2007-03-02

Family

ID=13249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3326A KR100646503B1 (ko) 1998-02-27 1998-10-16 차량용 레버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25565A (ko)
EP (1) EP0939009B1 (ko)
JP (1) JP3691241B2 (ko)
KR (1) KR100646503B1 (ko)
DE (1) DE6984135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3900B2 (en) * 1996-07-10 2002-06-11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Compact steering column module
US6417468B2 (en) * 1996-07-10 2002-07-09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Modular steering column mounted switch system
US6225582B1 (en) * 1997-03-20 2001-05-01 Delco Electronics Europe Gmbh Steering column assembly
EP1655754B1 (en) * 1997-05-20 2008-01-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utomotive combination switch
US6114640A (en) * 1999-03-01 2000-09-05 Daimlerchrysler Corporation Vehicle column stalk functionality
JP4318354B2 (ja) * 1999-10-04 2009-08-19 ナイルス株式会社 レバースイッチ
US6384351B1 (en) * 2000-03-23 2002-05-07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Switch apparatus for actuat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circuits
JP3704021B2 (ja) * 2000-04-18 2005-10-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2002225625A (ja) * 2001-01-29 2002-08-14 Yazaki Corp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
FR2823821B1 (fr) * 2001-04-23 2003-08-29 Valeo Electronique Dispositif de commande pour boite de vitesses automatique de vehicule automobile
JP3881191B2 (ja) * 2001-05-17 2007-02-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
JP3886783B2 (ja) * 2001-11-20 2007-02-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レバー装置
DE10157716A1 (de) * 2001-11-24 2003-06-26 Daimler Chrysler Ag Lenkstockfunktionseinheit
JP4167020B2 (ja) * 2002-07-15 2008-10-1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レバー装置
JP4509696B2 (ja) * 2004-08-25 2010-07-21 ナイルス株式会社 レバースイッチの取付構造
JP4490299B2 (ja) * 2005-02-01 2010-06-2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レバースイッチ装置
US20080121500A1 (en) * 2006-11-24 2008-05-29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Vehicular lever switch apparatus
KR100930130B1 (ko) * 2007-12-05 2009-12-09 주식회사 신창전기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ⅱ)
JP2009140774A (ja) * 2007-12-06 2009-06-25 Tokai Rika Co Ltd レバースイッチ装置
JP4991505B2 (ja) * 2007-12-06 2012-08-0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レバースイッチ装置
JP2009295337A (ja) 2008-06-03 2009-12-17 Tokai Rika Co Ltd レバースイッチ装置
KR200469359Y1 (ko) 2009-02-18 2013-10-1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
JP2011113741A (ja) * 2009-11-25 2011-06-09 Yazaki Corp スイッチ
JP5259640B2 (ja) * 2010-03-31 2013-08-07 ナイルス株式会社 レバー・スイッチ装置
JP5727782B2 (ja) * 2010-12-28 2015-06-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ソー式スイッチ
JP5926599B2 (ja) * 2012-04-12 2016-05-2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レバースイッチ装置
JP6139992B2 (ja) 2012-07-13 2017-05-31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装置
JP6068865B2 (ja) 2012-08-07 2017-01-25 矢崎総業株式会社 方向指示装置
CN103065903B (zh) * 2012-12-28 2015-08-19 杭州人人集团有限公司 一种车用组合开关
DE102014011501A1 (de) * 2014-07-31 2016-02-04 Leopold Kostal Gmbh & Co. Kg Hebelschalter für ein Kraftfahrzeug
JP6822835B2 (ja) * 2016-12-28 2021-01-27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レバー装置
JP7145106B2 (ja) * 2019-03-07 2022-09-30 東洋電装株式会社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装置のオートキャンセル機構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797A (ja) * 1991-07-11 1993-01-29 Fujitsu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302252A (ja) * 1993-04-16 1994-10-28 Toyoda Gosei Co Ltd レバースイッチ
GB9324039D0 (en) * 1993-11-23 1994-01-12 Lucas Ind Plc Switch assembly
JP3217234B2 (ja) 1995-04-11 2001-10-09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の構造
JPH0922641A (ja) 1995-07-05 1997-01-21 Niles Parts Co Ltd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の構造
JP3574709B2 (ja) * 1996-01-18 2004-10-06 ナイルス株式会社 自動車用複合スイッチレバー装置
JP3638183B2 (ja) * 1996-09-26 2005-04-13 ナイルス株式会社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の構造
JPH10172388A (ja) * 1996-12-11 1998-06-26 Niles Parts Co Ltd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41359D1 (de) 2010-01-21
JPH11250772A (ja) 1999-09-17
KR100646503B1 (ko) 2007-03-02
EP0939009A2 (en) 1999-09-01
US6025565A (en) 2000-02-15
JP3691241B2 (ja) 2005-09-07
EP0939009A3 (en) 2003-05-07
EP0939009B1 (en)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6503B1 (ko) 차량용 레버스위치
KR100479343B1 (ko) 차량용콤비네이션스위치의구조
KR100458157B1 (ko) 자동차용복합스위치레버장치
JP3495259B2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の構造
US6872897B2 (en) Switch contact structure
EP1655754B1 (en) Automotive combination switch
KR100253490B1 (ko) 차량용 레버스위치의 구조
JPH10172388A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の構造
KR19980063677A (ko) 모듈식 피트만 아암 스위치 유닛
JP4695310B2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US6624366B2 (en) Lever switch for vehicle
KR200467290Y1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102581884B1 (ko) 차량용 전조등 각도조절장치
JP3460582B2 (ja)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の構造
JP2001052571A (ja) スライドスイッチの構造
JP2000322982A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KR100658045B1 (ko) 시그널 스위치 장치
US20030075422A1 (en) Switch contact structure
JPH10321083A (ja) 自動車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JPH1153996A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の構造
KR20050052530A (ko) 리어뷰미러 조립체
JPH11306924A (ja)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