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290Y1 -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290Y1
KR200467290Y1 KR2020080016944U KR20080016944U KR200467290Y1 KR 200467290 Y1 KR200467290 Y1 KR 200467290Y1 KR 2020080016944 U KR2020080016944 U KR 2020080016944U KR 20080016944 U KR20080016944 U KR 20080016944U KR 200467290 Y1 KR200467290 Y1 KR 200467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knob
housing
tumbl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9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654U (ko
Inventor
황선우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69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29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6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6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2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01H23/146Tumblers having a generally tubular or conical elongated shape, e.g. do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06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adapted for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9/00Layers
    • H01H2209/016Protection layer, e.g. for legend, anti-scr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와, 상기 하우징에 수직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일단은 상기 스위치 노브와 접촉 가능하고 타단은 상기 스위치와 접촉 가능한 스위치 로드를 구비하는 텀블러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VEHICLULAR TUMBLER SWITICHING UNIT}
본 고안은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행시 발생하는 미세 진동으로 인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도우 스위치, 조향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조향 라이트 스위치 및 오디오를 구동시키는 오디오 스위치,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등이 차량에 배치되는데, 차량의 실내 조명 내지 전조등의 조명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가변 스위치도 배치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가변 스위치의 경우 다이얼 식 내지 스크롤 식으로 구현되어 다이얼의 조절감, 즉 회전 정도에 따른 가변 상태가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조절이 용이하지 않고 이로 인하여 차량 주행 운전자의 경우 주행 주의력을 분산시켜 안전에 문제를 야기한다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전 설정된 단계만큼의 조작을 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가변 조절 가능하게 하여 운전자의 주행 주의력 분산을 방지할 수 있는 간단한 조작 구조의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와, 상기 하우징에 수직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일단은 상기 스위치 노브와 접촉 가능하고 타단은 상기 스위치와 접촉 가능한 스위치 로드를 구비하는 텀블러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텀블러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에 배치되는 노브 가이드와, 상기 노브 가이드의 대응위치로 상기 하우징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노브 가이드 대응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노브 가이드는 상기 스위치 노브의 외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노브 가이드 대응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노브 가이드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상기 노브 가이드와 접촉 가능 상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노브 가이드는 호상(弧 狀) 형성되고, 상기 노브 가이드 대응부는 라운딩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로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수직하게 가동되고 일단이 상기 스위치 노브와 접촉 가능한 스위치 로드 바디와, 일면은 상기 스위치 로드 바디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면은 상기 스위치와 접촉 가능한 스위치 로드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로드 바디와 상기 스위치 로드 베이스 중의 하나 이상은 탄성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택트 스위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는, 회동후 원위치 복귀 가능한 스위치 노브를 구비하는 텀블러 타입의 스위치를 통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 실내 조명등 및 전조등 밝기 조작과 같이 가변 조작을 요하는 경우 보다 용이한 조작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주행 주의력 분산을 방지하여 안전 운행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는, 노브 가이드와 노브 가이드 대응부를 통하여 안정적인 위치 확보로 인하여 차후 오작동 가능성을 방지하여 스위치의 파손 가능성을 방지 내지는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는, 스위치 로드의 적어 도 일부를 탄성 재료로 형성하여 다른 구성요소와의 접촉을 인한 소음 발생 가능성 방지 내지 저감시켜 주행감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0)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0)의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도 3의 선 A-A를 따라 취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0)의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0)의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도 5의 선 B-B를 따라 취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0)의 개략적인 정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0)는 차량에 장착 되어 에를 들어 차량의 조명 스위치와 같이 차량의 조명 상태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0)는 하우징(100)과 인쇄회로기판(200)과 텀블러 스위치부(300)를 포함하는데, 인쇄회로기판(200)과 텀블러 스위치부(30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안정적으로 배치된다.
하우징(100)은 차량의 대쉬 보드, 센터페시아 등에 배치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하우징(100)은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바디(120)와 하우징 베이스(130)를 포함하는데, 서로 체결되어 다른 구성요소들을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구성을 취한다.
하우징 커버(110)의 외측에는 커버 바디 체결부(111)가 구비되고, 커버 바디 체결부(111)의 대응되는 위치로 하기되는 하우징 바디(120)에는 바디 커버 체결부(121)가 구비되는데, 커버 바디 체결부(111)와 바디 커버 체결부(121)는 서로 맞물리어 체결됨으로써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바디(120)의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10)의 일면 상에는 커버 아이콘(115)과 가변 조절 상태를 사용자로 하여금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커버 상태 윈도우(117)가 구비되는데, 커버 아이콘(115)은 레이저 에칭 등의 공정을 거치고 하부에 배치되는 LED와 같은 아이콘 램프(210) 및 작동 상태 램프(미도시)로부터 생성되는 빛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버 상태 윈도우(117)는 단계별 작동 상태 인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커버 상태 윈도우 블록을 구비하는데 각각의 윈도우 블록에 대하여 개별적인 작동 상태 램프가 구비되고 누광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하우징 커버(110)의 일면에는 하기되는 스위치 노브(310)의 외부 인출을 위한 커버 노브 관통구(113)가 구비되는데, 커버 노브 관통구(113)의 외주는 스위치 노브(310)와의 간섭을 방지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용이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커버 노브 관통구(113)의 외주는 경사진 관통구 경사면(114)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하우징 바디(120)의 외주에는 상기한 바디 커버 체결부(121) 이외에 바디 베이스 체결부(123)가 더 구비되는데, 바디 베이스 체결부(123)의 대응되는 위치로 하우징 베이스(130)의 외주에는 베이스 바디 체결부(131)가 구비되고, 바디 베이스 체결부(123)와 베이스 바디 체결부(131)는 서로 맞물리어 체결됨으로써 양자간의 결합을 공고히 하여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 베이스 체결부(123)는 홈 내지는 관통구 구조로 형성되고 베이스 바디 체결부(131)가 쐐기 형상의 돌출 구조로 이루어졌으나, 이는 일예일뿐 본 고안에 따른 바디 베이스 체결부/베이스 바디 체결부는 반대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커버 바디 체결부/ 바디 커버 체결부도 반대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음은 상기로부터 명백하다.
하우징 바디(120)의 일면으로 하우징 커버(110)를 향한 일면에는 바디 라이트 가이드(125)가 구비되는데, 바디 라이트 가이드(125)는 하우징 바디(120)의 일면으로부터 하우징 커버(11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바디 라이트 가이드(125)의 대응되는 위치로 하기되는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에는 LED와 같은 아이콘 램프(210)가 배치되는데, 바디 라이트 가이드(125)는 아이콘 램프(210)로부터 출력되 는 빛이 누광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빛이 커버 아이콘(115)을 통하여 출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커버 아이콘(115)의 보다 명확한 인지를 가능하게 한다.
하우징 베이스(130)는 하우징 바디(120)의 하부에 배치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 체결부(131)와 바디 베이스 체결부(123)의 체결을 통하여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베이스(130)에는 베이스 기판 지지 걸림부(135)와 베이스 기판 지지부(137)를 구비하는데, 베이스 기판 지지 걸림부(135)와 베이스 기판 지지부(117)는 하기되는 인쇄회로기판(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베이스 기판 지지 걸림부(135)는 쐐기 형상을 구비하는데, 쐐기 형상의 베이스 기판 지지 걸림부(135)는 인쇄회로기판의 상면과 접촉하고 베이스 기판 지지부(117)는 인쇄회로기판(200)의 하면과 접촉하여 인쇄회로기판(200)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서 수직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베이스(130)에는 베이스 기판 고정부(139)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베이스 기판 고정부(139)는 하우징 베이스(130)의 일면으로부터 하우징 커버(120), 보다 구체적으로 인쇄회로기판(200)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베이스 기판 고정부(139)의 대응되는 위치로 인쇄회로기판(200)에는 기판 고정부 관통구(201)가 형성되는데, 베이스 기판 고정부(139) 및 기판 고정부 관통구(201)는 적어도 대각 배치되는 두 개 이상을 구비하여 인쇄회로기판(200)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서 인쇄회로기판(200)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위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하우징 베이스(130)에는 베이스 커넥터(133)가 구비되는데, 베이스 커넥 터(133)에는 커넥터 핀 관통구(134)가 구비되고 커넥터 핀 관통구(134)에 복수 개의 커넥터 핀(220)이 배치되어 대응되는 외부 커넥터와의 접속을 이루어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이룰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00)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데, 인쇄회로기판(200)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을 위한 구성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는 하기되는 텀블러 스위치부(300)의 스위치(320) 및 상기한 아이콘 램프(210) 등이 배치되는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이러한 전기 소자들은 회로 배선(미도시)를 통하여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또한, 인쇄회로기판(200)의 회로 배선은 커넥터 핀(22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데, 커넥터 핀(220)의 장착 구조 및 외부 전기 장치와의 전기적 소통은 상기한 바와 같다.
텀블러 스위치부(300)는 하우징(100)에 배치되는데, 스위치 노브(310)와 스위치(320)와 스위치 로드(330)를 구비하고, 스위치 노브(310)의 동작은 스위치 로드(330)를 통하여 스위치(320)로 전달된다. 스위치 노브(310)는 하우징(100),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바디(12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스위치 노브(310)의 외주에는 노브 회동부(313)가 구비되고, 노브 회동부(313)에는 노브 회동 장착구(314)가 배치된다. 또한, 하우징 바디(12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바디 연장부(127)의 외주에는 바디 노브 회동부(129)가 배치되는데, 바디 노브 회동부(129)는 노브 회동 장착구(314)와 회동 가능하게 맞물린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스위치 노브(310)는 하우징 바디(1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구조를 취한 다. 여기서, 바디 노브 회동부(129)는 돌기 구조로, 그리고 노브 회동부(313)는 요홈 내지 관통구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로서 이에 국한되지 않고, 바디 노브 회동부와 노브 회동부가 서로 반대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음은 상기로부터 명백하다.
스위치 노브(310)의 상단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노브 스틱(311)이 배치되는데, 노브 스틱(311)을 통하여 스위치 노브(310)의 반경 방향으로의 회동을 위한 힘을 보다 적게 사용하여 조작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감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스위치 노브(310)의 회동 방향으로 볼 때, 스위치 노브(310)의 양단에는 노브 가동부(317)가 배치되는데, 노브 가동부(317)는 불필요한 접촉 상태를 방지하고 대응하여 접촉하는, 하기되는 스위치 로드(330)의 단부와의 원활한 접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노브 가동부(317)의 하면은 반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320)는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으로 하우징 커버(110)를 향한 일면 상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320)는 택트 스위치로 구현되어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스위치 노브를 원위치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의 일예로서 돔 구조를 포함하는 러버 패드 하부에 가동 접점을 구비하고 하부 인쇄회로 기판 상에 고정 접점을 형성하는 러버 패드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메탈돔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나, 스위치 노브의 정확한 원위치 복귀 및 정확한 작 동 상태 확보를 위하여 스위치는 택트 스위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 로드(330)는 하우징(100)에 수직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일단은 스위치 노브(310)와 접촉 가능하고, 타단은 스위치(320)와 접촉 가능한 구조를 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위치 로드(330)는 스위치 로드 바디(331)와 스위치 로드 베이스(333)를 포함하는데, 스위치 로드 바디(331)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rod, 棒) 타입으로 구현되고 스위치 로드 베이스(333)는 디스크(disk, 圓板) 타입으로 구현되어 스위치 로드 바디(331)의 일단에 배치된다. 디스크 타입으로 구현되는 스위치 로드 베이스(333)는 안정적인 면을 구비하여 스위치(320)의 일면 상에 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안정적인 위치를 이룰 수 있다. 스위치 로드 바디(331)의 일단은 상기한 바와 같은 노브 가동부(317)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데, 원활한 접촉 상태를 형성하기 위하여 스위치 로드 바디(331)의 일단은 챔퍼(chamferring)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 로드 베이스(333)는 스위치 로드 바디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서로 별품으로 체결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로드 베이스는 스위치 로드 바디(331a)와 스위치 로드 베이스(333b)를 구비하고 양자는 서로 억지 끼워 맞춤되는 구조를 취하는 별개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스위치 로드 베이스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스위치와의 접촉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하우징 바디(120)의 일면에는 바디 로드 가이드(335)가 구비되는데, 바디 로 드 가이드(335)는 하우징 바디(12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바디 로드 가이드(335)의 중앙부에는 바디 로드 가이드 관통구(336)가 형성되는데, 바디 로드 가이드 관통구(336)는 하우징 바디(120)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로 형성된다. 스위치 로드 바디(331)는 바디 로드 가이드 관통구(336)를 관통하여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경우에 따라 스위치 로드 바디(331)도 적어도 외주면이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바디 로드 가이드 관통구(336)의 내주면과 접촉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바디 로드 가이드 관통구(336)를 따라 배치되는 스위치 로드 바디(331)는 바디 로드 가이드(335)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수직 방향으로의 안정적인 상하 운동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0)는 스위치 노브(310)의 안정적인 회동을 이루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0)는 노브 가이드(315)와 노브 가이드 대응부(319)를 구비하는데, 노브 가이드(315)와 노브 가이드 대응부(319)는 각각 텀블러 스위치부(300) 및 하우징(100)에 형성된다. 즉, 노브 가이드(315)는 스위치 노브(310)의 외측에 형성되고 노브 가이드 대응부(319)는 노브 가이드(315)의 대응되는 위치로 하우징(100),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바디(120)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노브 가이드(315)는 스위치 노브(310)의 외주에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노브 가이드 대응부(319)는 하우징(100),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바디(120)의 일면으로부터 노브 가이드(315)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데, 노브 가이 드(315)와 접촉 가능 상태를 형성한다. 즉, 노브 가이드(315)는 스위치 노브(310)의 외주로부터 스위치 노브(310)의 회동축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노브 가이드 대응부(319)는 하우징 바디(120)의 일면으로부터 스위치 노브(310)를 향한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노브 가이드(315)와 노브 가이드 대응부(319)간 접촉 가능한 상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양자 간에 간극이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작동시 접촉가능한 상태를 형성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접촉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으나, 금형 사출 상의 제조 공차로 인한 양자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자 간에 간극이 존재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노브 가이드(315)와 노브 가이드 대응부(319)는 서로 접촉 가능한 구조를 취하여 스위치 노브(310)에 하부 방향으로 소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스위치(320)에 과도한 힘이 전달되어 스위치(3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스위치 노브(310)의 회동시 접촉 가능한 상태를 형성하여 스위치 노브(310)의 안정적인 회동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또한, 노브 가이드와 노브 가이드 대응부는 작동시 양자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위치 노브(310)의 회동축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볼 때 노브 가이드(315)는 호상(弧狀)으로 형성되고 노브 가이드 대응부(319)는 라운딩 형성된다. 따라서, 상시 접촉 상태를 이루거나 또는 가동시 접촉 상태를 이루는 경우라도 양자간의 회동 상태를 반영한 접촉면을 구비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양자 간의 원활한 상대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0)의 스위치 노브(310) 노브 스틱(311)에 힘을 가하는 경우, 스위치 노브(310)는 바디 노브 회동부(319)와 노브 회동부(315) 간의 회동 가능한 결합 구조를 통하여 바디 노브 회동부(319) 및 노브 회동부(315)를 중심축으로 회동 운동을 이룬다. 스위치 노브(310)가 회동 운동을 이루는 경우, 스위치 노브(310)의 양단에 배치되는 노브 가동부(317)는 하부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배치되는 택트 스위치로 구현되는 스위치(320)를 가동시킨다. 스위치(320)는 가압된 입력 신호에 따라 소정의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생성하고 이는 인쇄회로기판(200) 상의 회로 배선 및 전기 소자 등 및 커넥터 핀(220)을 통하여 제어부(미도시)와 같은 외부 장치로 전달된다. 제어부와 같은 외부 장치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통하여 차량 실내 조명 조절을 위한 제어 신호를 차량 룸램프(미도시)에 전달하거나 전조등의 조명 정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조명등 측으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 등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조명 조절 상태를 사용자로 하여금 인지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커넥터 핀(220)을 통하여 소정의 제어 신호가 작동 상태 램프(미도시)로 전달되어 소정의 빛을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사용자에 의하여 차량 룸램프 및/또는 전조등과 같은 장치의 조절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 치 로드는 탄성 재료로 일체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노브 가동부도 탄성 재료의 별개품으로 구성되어 스위치 노브에 장착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스위치 노브와 스위치와 스위치 로드를 구비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 A-A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의 측면도이다.
도 6는 도 5의 선 A-A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 로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100...하우징
200...인쇄회로기판 300...텀블러 스위치부
310...스위치 노브 320...스위치
330...스위치 로드

Claims (6)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와, 상기 하우징에 수직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일단은 상기 스위치 노브와 접촉 가능하고 타단은 상기 스위치와 접촉 가능한 스위치 로드를 구비하는 텀블러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로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수직하게 가동되고 일단이 상기 스위치 노브와 접촉 가능한 스위치 로드 바디와,
    일면은 상기 스위치 로드 바디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면은 상기 스위치와 접촉 가능한 스위치 로드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로드 바디와 상기 스위치 로드 베이스 중의 하나 이상은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텀블러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에 배치되는 노브 가이드와,
    상기 노브 가이드의 대응위치로 상기 하우징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노브 가이드 대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가이드는 상기 스위치 노브의 외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노브 가이드 대응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노브 가이드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상기 노브 가이드와 접촉 가능 상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가이드는 호상(弧狀) 형성되고, 상기 노브 가이드 대응부는 라운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택트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2020080016944U 2008-12-22 2008-12-22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2004672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944U KR200467290Y1 (ko) 2008-12-22 2008-12-22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944U KR200467290Y1 (ko) 2008-12-22 2008-12-22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654U KR20100006654U (ko) 2010-07-01
KR200467290Y1 true KR200467290Y1 (ko) 2013-06-04

Family

ID=4445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944U KR200467290Y1 (ko) 2008-12-22 2008-12-22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29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410B1 (ko) * 2010-08-20 2012-03-27 주식회사 신창전기 푸쉬 스위치 어셈블리
KR200460897Y1 (ko) * 2010-10-21 2012-06-1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유니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178A (ja) * 1996-07-30 1998-02-20 Niles Parts Co Ltd 多方向作動スイッチ
KR100832753B1 (ko) 2006-11-28 2008-05-2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178A (ja) * 1996-07-30 1998-02-20 Niles Parts Co Ltd 多方向作動スイッチ
KR100832753B1 (ko) 2006-11-28 2008-05-2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654U (ko)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5283B2 (en) Multifunction rocker switch
US6570105B1 (en) Retractable rotary switch cell
KR102304847B1 (ko) 차량용 멀티 펑션 스위치
KR200467290Y1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101203688B1 (ko)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20180042517A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101582738B1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20090090554A (ko)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KR20100006451U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유니트
KR101542257B1 (ko) 차량용 레버 스위치
RU2121185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выключатель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ложения зеркала автомобиля
KR200470786Y1 (ko)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JP2004524664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に装着された多機能レバーストークスイッチアセンブリ
KR200459979Y1 (ko) 패들 스위치 유니트
JP4299574B2 (ja) シーソースイッチ
KR101188955B1 (ko) 로터리 스위치 유니트
KR20060103225A (ko) 회로 유닛 장치
KR100812477B1 (ko)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KR200457186Y1 (ko)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200470878Y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101171651B1 (ko) 스위치 유니트
KR100514083B1 (ko) 차량용 와이퍼 스위치
KR100845257B1 (ko) 시소 스위치 모듈
EP1457404B1 (en) Steering wheel switch
KR20180042026A (ko) 차량용 레버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