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753B1 -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753B1
KR100832753B1 KR1020060118254A KR20060118254A KR100832753B1 KR 100832753 B1 KR100832753 B1 KR 100832753B1 KR 1020060118254 A KR1020060118254 A KR 1020060118254A KR 20060118254 A KR20060118254 A KR 20060118254A KR 100832753 B1 KR100832753 B1 KR 100832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lock
base
knob
switch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효식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8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Landscapes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평행한 회전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배치되는 무빙 블록; 상기 무빙 블록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되, 상기 무빙 블록에 대하여 일방향으로의 관통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무빙 블록에 배치되는 복합 스위치 노브;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무빙 블록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무빙 블록의 회동 운동에 의하여 작동하는 텀블러 스위치와 상기 복합 스위치 노브의 관통 운동에 의하여 작동하는 푸시 스위치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 장치{Combined Switch Unit and Steering Wheel Remote Control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노브 및 무빙 블록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복합 스위치 노브 및 무빙 블록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노브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노브에 수직 외력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노브에 수평 외력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스티어링 휠 리모컨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스티어링 휠 리모컨 장치의 좌측 리모컨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스티어링 휠 리모컨 장치의 우측 리모컨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스티어링 휠 리모컨 장치 10...복합 스위치 유니트
100...베이스 101...베이스 컬럼 관통구
103...베이스 노브 관통구 105...블록 지지대
130...무빙 블록 131...블록 컬럼 관통구
133...블록 홀더 관통구 135...블록 접촉부
137...블록 지지부 138...블록 지지 관통구
150...복합 스위치 노브 151...노브 그립
152...노브 컬럼 153...노브 홀더
154...걸림부 155...푸시 가이드
170...인쇄회로기판 171...텀블러 스위치
172...푸시 스위치
본 발명은 스위치 유니트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대향되는 방향으로의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의 윈도우 개폐와 같이 윈도우의 상하 방향 이동이 전단부 및 후단부의 작동에 대응하도록 하는 시소 스위치 장치 또는 슬라이딩 스위치 장치가 사용된다. 특히, 운전자의 좌석 주위에 다양한 스위치 장치 및 편의 시설이 설치되므로, 이러한 스위치 장치들은 컴팩트화가 요구되는바, 스위치 장치들간의 간섭 방지가 설계의 필수 사항이다. 또한, 이러한 스위치 장치는 운전자의 조작 편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에 집약되는 설계 추세가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 장치는 단순한 기능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 유니트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시소 운동(회동 운동)에 의하여 작동하는 텀블러 스위치(시소 스위치)와 푸시 운동에 의한 푸시 스위치가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스위치 장치의 설계를 위하여 요구되는 공간적 제약에 의하여 컴팩트한 구성을 구비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하도록 복합적인 기능을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구조의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평행한 회전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배치되는 무빙 블록; 상기 무빙 블록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되, 상기 무빙 블록에 대하여 일방향으로의 관통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무빙 블록에 배치되는 복합 스위치 노브;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무빙 블록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무빙 블록의 회동 운동에 의하여 작동하는 텀블러 스위치와 상기 복합 스위치 노브의 관통 운동에 의하여 작동하는 푸시 스위치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복합 스위치 노브는, 상기 베이스를 향하여 배치되는 노브 컬럼 및 상기 노브 컬럼이 배치되는 외측으로 서로 대응되는 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단부에 걸림부를 구비하는 노브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무빙 블록은, 중앙에 상기 노브 컬럼이 관통하는 블록 컬럼 관통구와, 외주에 상기 노브 홀더가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 배치되는 블록 홀더 관통구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서로 대응하는 상기 블록 홀더 관통구를 잇는 선분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블록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블록 지지부와 맞물리어 상기 무빙 블록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블록 지지대를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복합 스위치 노브는 상기 복합 스위치 노브의 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노브 그립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스위치 노브는, 측면으로 상기 무빙 블록의 회동축에 수직하게 상기 베이스를 향하여 연장 배치되는 푸시 가이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푸시 가이드의 대응 위치에 상기 복합 스위치 노브의 회동시 상기 푸시 가이드의 단부와 접촉 가능하여 상기 푸시 가이드의 회동을 안내하는 회동 가이드 홈과, 상기 푸시 가이드에 수직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푸시 가이드가 삽입되는 푸시 가이드 홈을 갖는 푸시 가이드 대응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텀블러 스위치와 상기 무빙 블록의 단부 사이에는, 상기 무빙 블록의 회동 운동시 일단은 상기 무빙 블록의 단부와 그리고 타단은 상기 텀블러 스위치와 접촉을 이루는 텀블러 푸시 로드가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베이스의 일면으로 상기 무빙 블록의 단부와 상기 텀블러 스위치의 사이에는, 상기 텀블러 푸시 로드가 관통 배치되는 가이드 관통구를 구비하는 텀블러 푸시 로드 가이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평행한 회전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배치되는 무빙 블록; 상기 무빙 블록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되, 상기 무빙 블록에 대하여 일방향으로의 관통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무빙 블록에 배치되는 복합 스위치 노브;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무빙 블록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무빙 블록의 회동 운동에 의하여 작동하는 텀블러 스위치와 상기 복합 스위치 노브의 관통 운동에 의하여 작동 하는 푸시 스위치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와, 상기 복합 스위치 노브의 일단이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노브 관통구를 갖는 하우징 바디 및 상기 하우징 바디와 함께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고,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장착시키기 위한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 장치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조립 상태의 개략적인 부분 절단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복합 스위치 유니트(10)는 베이스(100)와, 무빙 블록(130)과, 복합 스위치 노브(150)와, 인쇄회로기판(170)을 구비한다. 베이스(100)는 하기되는 다른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거나 수용하는 구조를 취한다. 무빙 블록(130)은 베이스(100)의 일면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무빙 블록(130)의 회전중심(회전축)은 베이스(100)가 이루는 평면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170)은 베이스(100)를 기준으로 무빙 블록(130)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170)의 일면 상에는 텀블러 스위치(171)와 푸시 스위치(172)가 구비되고 이들 스위치는 무빙 블록의 회동 운동 및 복합 스위치 노브의 관통 운동에 의하여 작동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노브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기술한다.
베이스(100)의 일면 상에는 베이스 컬럼 관통구(101)와 베이스 노브 관통구(103)가 구비되는데, 베이스 컬럼 관통구(101)에는 하기되는 노브 컬럼 및/또는 푸시 스위치가 관통 배치된다. 여기서, 베이스 컬럼 관통구(101) 및 베이스 노브 관통구(103)는 별개의 관통구로 구성되었으나 일체의 관통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컬럼 관통구(101)와 베이스 노브 관통구(103)의 사이에 베이스 연장부(102)가 구비되는데, 베이스 연장부(102)는 베이스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 연장부(102)에 의하여 베이스 컬럼 관통구(101) 및 베이스 노브 관통구(103)가 분할된다.
베이스(100)의 일면에는 하기되는 무빙 블록(130)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배치된다. 즉, 베이스(100)의 일면으로 베이스 연장부(102)의 외측에는 한 쌍의 블록 지지대(105)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데, 블록 지지대(105)의 외측면에는 블록 지지 돌기(106)가 형성된다.
무빙 블록(130)의 중앙에는 블록 컬럼 관통구(131)가 배치되는데, 블록 컬럼 관통구(131)에는 하기되는 노브 컬럼(152)이 관통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블록 컬럼 관통구(131)의 외측에는 블록 홀더 관통구(131)가 배치되는데, 블록 홀더 관통구(131)는 두 개 이상이 구비되는데, 적어도 어느 하나와 다른 어느 하나의 블록 홀더 관통구는 무빙 블록(130)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된다. 즉, 도 1에서, 블록 홀더 관통구(131)는 두 쌍이 구비되고 각각은 블록 컬럼 관통구(131)의 외주로 네 귀퉁이에 각각 배치되는 구성을 취하여, 도 1에서 회전축으로서의 중심축(선 Ⅰ-Ⅰ)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미도시)에 대하여 좌측부와 우측부로 분할할 때 좌측부 및 우측부에 각각 두 개씩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하기되는 바와 같이 무빙 블록의 시소 회동 운동시 복합 스위치 노브가 무빙 블록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시소 회동 운동을 이룬다. 또한, 무빙 블록(130)의 외측에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블록 지지부(137)가 구비된다. 블록 지지부(137)에는 블록 지지 관통구(108)가 형성되는데, 블록 지지 관통구(108)는 상기 베이스(100)에 형성된 블록 지지대(105)의 블록 지지 돌기(106)와 회동 가능하도록 맞물린다.
복합 스위치 노브(150)는 노브 컬럼(152)과 노브 홀더(153)를 구비한다. 노브 컬럼(152)은 복합 스위치 노브(150)의 베이스(100)를 향한 일면 상에 배치되는데, 노브 컬럼(152)의 단부는 하기되는 푸시 스위치(172)와 접촉하여 복합 스위치 노브(150)에 가해지는 외력 여부에 의하여 푸시 스위치(172)를 작동시킨다. 노브 홀더(153)도 노브 컬럼(152)이 배치되는 일면 상에 배치되는데, 노브 홀더(153)는 복합 스위치 노브(150)의 일면 중앙으로부터 노브 컬럼(152)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노브 홀더(153)는 상기한 블록 홀더 관통구(131)를 관통한다. 노브 홀더(153)의 단부에는 걸림부(154)가 구비되는데, 걸림부(154)는 무빙 블록(130)의 블록 홀더 관통구(131)의 외주와 맞닿을 수 있는 쐐기 형상을 구비한다.
경우에 따라, 복합 스위치 노브(150)의 조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복합 스위치 노브(150)의 일면으로 베이스(100)와 반대되는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노브 그립(151)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복합 스위치 노브(150)의 일면 상에 돌출 배치되는 노브 그립(151)을 통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복합 스위치 노브(150)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노브 그립(151)은 복합 스위치 노브(150)와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되었는데,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변형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한 그립감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노브 그립(151)은 소정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별개의 재료로 구성되어 복합 스위치 노브(150)의 일면에 장착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인쇄회로기판(170)은 베이스(100)의 하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인쇄회로기판(170)은 베이스(100)를 기준으로 무빙 블록(130)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데, 인쇄회로기판(170)의 베이스(100)를 향한 일면에는 텀블러 스위치(171)와 푸시 스위치(172)가 구비된다. 텀블러 스위치(171)는 베이스(100)의 블록 지지대(105)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무빙 블록의 회동 운동에 의하여 작동한다. 즉, 무빙 블록(130)이 베이스(100)에 평행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는 시소(seesaw) 회동 운동에 의하여 텀블러 스위치(171)가 작동한다. 무빙 블록과 텀블러 스위치의 접촉은 무빙 블록의 하단에 텀블러 컬럼이 배치되어 무빙 블록과 텀블러 스위치가 직접 접촉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무빙 블록과 텀블러 스위치 사이에 접촉력을 전달하기 위한 별개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구조를 취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 블록(130)과 텀블러 스위치(171) 사이에 텀블러 푸시 로드(173)가 배치된다. 텀블러 푸시 로드(173)의 일단은 하부의 텀블러 스위치(171)와 면접촉을 이루고, 텀블러 푸시 로드(173)의 타단은 무빙 블록(130)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블록 접촉부(135)와 점접촉을 이룬다. 경우에 따라 블록 접촉부에는 텀블러 스위치(171)와의 접촉시 발생하는 소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탄성 패드와 같은 별도의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무빙 블록(130)과 텀블러 스위치(171) 사이에 접촉력을 전달하기 위한 텀블러 푸시 로드가 구비되는 경우, 베이스에는 텀블러 푸시 로드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는 베이스(100)의 일면으로 무빙 블록(130)과 텀블러 스위치(171) 사이에 텀블러 푸시 로드 가이드(110)을 더 구비되는데, 텀블러 푸시 로드 가이드(110)의 일단은 베이스 노브 관통구(103)의 내측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타단은 베이스 연장부(102)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텀블러 푸시 로드 가이드(110)에는 가이드 관통구(111)가 구비되는데, 텀블러 푸시 로드(173)는 가이드 관통구(111)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무빙 블록(130)의 회동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하여 텀블러 푸시 로드(173)가 회동하는 경우 텀블러 푸시 로드(173)는 텀블러 푸시 로드 가이드(110)에 형성된 가이드 관통구(111)를 따라 안정적으로 수직 방향 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는 복합 스위치 노브의 회동 운동 및 관통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복합 스위치 노브(150)는 푸시 가이드(155)를. 그리고 베이스(100)는 푸시 가이드 대응부(107)를 구비하는데, 푸시 가이드(155)는 복합 스위치 노브(150)의 측면으로 무빙 블록(130)의 회동축에 수직하게 베이스(100)를 향하여 연장 배치되고 푸시 가이드 대응부(107)는 푸시 가이드(155)의 대응부로 베이스(100)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푸시 가이드 대응부(107)는 베이스(100)의 일면으로부터 복합 스위치 노브(150)를 향하여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서 푸시 가이드(155) 및 푸시 가이드 대응부(107)는 각각 한 쌍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푸시 가이드 및 푸시 가이드 대응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로서 각각 단수 개가 구비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본 발명이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푸시 가이드 대응부(107)는 회동 가이드 홈(108)과 푸시 가이드 홈(109)을 구비한다. 회동 가이드 홈(108)은 푸시 가이드 대응부(108)의 일단에 형성되는데, 복합 스위치 노브(150)가 회동하는 경우 푸시 가이드(155)의 단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회동 가이드 홈(108)은 복합 스위치 노브(150)와 함께 회동하는 푸시 가이드(155)의 단부의 회동 궤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경우에 따라 푸시 가이드(155)와 접촉하여 안내함으로써 푸시 가이드(155)의 안정적인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푸시 가이드 홈(109)은 푸시 가이드 대응부(108)에 베이스(100)의 일면을 향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되 푸시 가이드 홈(109)은 회동 가이드 홈(108)과 소통을 이룬다. 즉, 푸시 가이드 홈(109)은 복합 스위치 노브(150)의 관통 운동시 푸시 가이드(155)의 단부를 삽입 안내하여 복합 스위치 노브(150)가 베이스(100)를 향하여 수직 방향의 안정적인 관통 운동을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먼저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관통 운동 경우를 살펴본다. 도 5에는 아무런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복합 스위치 유니트(10)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100)의 하면에는 텀블러 스위치(171) 및 푸시 스위치(미도시, 도 1 참조)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170, 점선 표시)이 구비되는데, 텀블러 스위치(171) 및 푸시 스위치는 베이스(100)에 형성된 베이스 노브 관통구(103) 및 베이스 컬럼 관통구(101)를 통하여 관통하여 배치되고, 텀블러 스위치(171)의 일면 상에 배치된 텀블러 푸시 로드(173)의 타단은 무빙 블록(130)의 단부와 접하고, 푸시 스위치는 복합 스위치 노브(150)로부터 베이스(10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 노브 컬럼(152, 도 4 참조)과 접촉을 이룬다. 무빙 블록(130)은 베이스(10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복합 스위치 노브(150)는 무빙 블록(130)에 분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장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외력(F)이 복합 스위치 노브(150)에 작용하는 경우, 복합 스위치 노브(150)는 수직 외력(F)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복합 스위치 노브(150)는 무빙 블록(130)에 대하여 베이스(100)를 향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되도록 배치되어 복합 스위치 노브(150)에 가해지는 수직 외력(F)은 무빙 블록(130)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베이스(100)를 향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 d만큼 수직 이동하여 복합 스위치 노브(150)의 일단에 배치된 노브 컬럼(152)은 푸시 스위치에 힘을 전달하게 되고, 푸시 스위치는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작동 상태가 변화된다. 이러한 과정시, 복합 스위치 노브(150)의 외측면에 형성된 푸시 가이드(155)는 베이스(100)에 형성된 푸시 가이드 대응부(107)의 푸시 가이드 홈(109)을 따라 삽입 안내됨으로써, 복합 스위치 노브(150)가 안정적으로 수직 방향 운동을 이루어 푸시 스위치만의 작동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텀블러 스위치의 작동 상태에 변화가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수직 외력(F)이 제거되는 경우, 푸시 스위치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복합 스위치 노브(150)는 원위치 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베이스와 복합 스위치 노브 사이 또는 인쇄회로기판과 복합 스위치 노브 사이에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복합 스위치 노브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원위치 복원 속도를 증대시키거나 또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가해지는 미소 진동에 의하여 복합 스위치 노브와 무빙 블록 사이 또는 복합 스위치 노브와 다른 구성 요소 간의 접촉에 의한 진동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회동 운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복합 스위치 노브(150)에 수평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복합 스위치 노브(150)는 수평으로 이동한다. 이때, 복합 스위치 노브(150)에 구비된 노브 홀더(153)는 무빙 블록(130)의 블록 홀더 관통구(133)의 하단면과 접촉을 이룸으로써 복합 스위치 노브(150)에 가해지는 수평 외력은 무빙 블록(130)에도 전달된다. 무빙 블록(130)은 블록 지지부(137, 도 1 참조)를 통하여 베이스(1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전달된 수평 외력에 의하여 무빙 블록은 회동한다. 즉, 복합 스위치 노브 및 무빙 블록에 대한 수직선 OA은 가해진 수평 외력에 의하여 수직선 OB로 이동하여 각도 θ만큼 변위를 이루게 된다. 물론, 가해진 수평 외력과 반대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수직선 OA는 수직선 OC로 이동하게 됨은 명백하다.
수평 외력에 의하여 복합 스위치 노브 및 무빙 블록은 각도 θ만큼의 각변위를 가지게 되고, 무빙 블록(130)의 측면 하단에 형성된 블록 접촉부(135)와 텀블러 푸시 로드(153)의 접촉을 통하여 텀블러 스위치(171)로 힘이 전달되어 텀블러 스위치(171)의 작동 상태가 변화된다. 이때, 복합 스위치 노브(150)의 측면 하단에 형성된 푸시 가이드(155)의 단부는 베이스(100)의 푸시 가이드 대응부(107)의 단부에 형성된 회동 가이드 홈(108)에 의하여 안정적인 회동 운동이 이루어져, 베이스(100)를 향한 수직 방향 이동이 제한되어 푸시 스위치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는 다양한 장치에 구현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한 실시예에 기술된 복합 스위치 유니트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 장치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리모컨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의 스티어링 휠 리모컨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며, 도 10 및 도 11에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스티어링 휠 리모컨 장치(1)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10, 도 1 참조)와 하우징부(210a,210b,220a,220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티어링 휠 리모컨 장치(1)는 외형상 좌측 리모컨부(1a)와 우측 리모컨부(1b)와 이들 리모컨부와 전기적 소통을 위한 배선(2)과 리모컨 커넥터(3,4)를 포함한다. 하우징부(210a,210b,220a,220b)는 좌측 하우징부(210a,220a)와 우측 하우징부(210b,220b)를 포함하고, 좌측 하우징부(210a,220a)는 좌측 하우징 바디(210a)와 좌측 하우징 커버(220a)를 구비하여 좌측 리모컨부(1a)를 형성하고, 우 측 하우징부(210b,220b)는 우측 하우징 바디(220a)와 우측 하우징 커버(220b)를 구비하여 우측 리모컨부(1b)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합 스위치 유니트(10, 도 1 참조)가 좌측 하우징부(210b,220b)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는데, 이는 일예로서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복합 스위치 유니트가 우측 리모컨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양측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복합 스위치 유니트(10, 도 1 참조)는 베이스(100a)와 인쇄회로기판(170a)에 대한 도면 부호 이외의 구성에 관한 사항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사항으로 대신한다. 베이스(100a)에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이외의 다른 스위치 유니트를 위한 다양한 구성이 배치된다. 즉, 좌측 푸시 스위치 유니트를 형성하기 위한 좌측 푸시 스위치 연장부(311,312) 및/또는 좌측 시소 스위치 유니트를 형성하기 위한 좌측 시소 스위치 연장부(313,314)가 배치된다. 좌측 푸시 스위치 연장부(311,312) 및 좌측 시소 스위치 연장부(313,314)에는 각각의 좌측 푸시 스위치 노브(301,302) 및 좌측 시소 스위치 노브(303,304)가 배치된다. 도면 부호로 지시되지는 않았으나, 좌측 푸시 스위치 연장부(311,312)와 좌측 푸시 스위치 노브(301,302)에는 수직 방향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돌기 및/또는 홈이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에 형성될 수 있고, 좌측 시소 스위치 연장부(313,314) 및 좌측 시소 스위치 노브(303,304)에는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맞물리는 맞물림부/맞물림 대응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인쇄회로기판(170a)에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를 위한 텀블러 스위치(171) 및 푸시 스위치(172) 이외에 상기한 좌측 푸시 스위치 유니트 및 좌측 시소 스위치 유니트를 위한 좌측 푸시 스위치(371,372) 및 좌측 시소 스위치(373,374)가 배치되고, 경우에 따라 좌측 푸시 스위치 노브(303,304)의 시소 운동시 외력을 좌측 시소 스위치(373,374)로 전달하기 위한 좌측 텀블러 푸시 로드(353,354)가 구비될 수 있다.
좌측 하우징 바디(210a)의 일면에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복합 스위치 노브(150)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복합 스위치 노브 관통구(213)가 구비되고, 또한 다른 각각의 좌측 푸시 스위치 노브 및 좌측 시소 스위치 노브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구(201,203,204)가 좌측 하우징 바디(210a)의 일면 상에 형성된다. 좌측 하우징 바디(210a)의 우측면에는 클락션 버튼이 배치되는 스티어링 휠의 허브(미도시)와의 결합을 위한 허브 결합부(211a)가 배치되고, 좌측 하우징 바디(210a)의 좌측면 상단에는 스티어링 휠의 스포크와의 결합을 위한 스포크 결합부(212a)가 배치된다.
좌측 하우징 커버(220a) 및 좌측 인쇄회로기판(170a)에는 각각의 결합 관통구(221a, 179)가 형성되어 이를 관통하는 좌측 하우징 결합 부재(223a)을 통하여, 좌측 하우징 커버(220a)는 좌측 하우징 바디(210a)와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우측 리모컨부(1a)는 우측 하우징 바디(210b)와 우측 하우징 커버(220b)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우측 베이스(100b)를 구비한다. 우측 베이스(100b)의 일면 상에는 다양한 기능을 위한 우측 푸시 스위치 유니트 및 우측 시소 스위치 유니트를 위한 우측 푸시 스위치 연장부(305,307) 및 우측 시소 스위 치 연장부(306)이 형성되고, 각각의 연장부의 일면 상에는 이에 대응하는 우측 푸시 스위치 노브(305, 307) 및 우측 시소 스위치 노브(306)이 배치되는데, 각각의 푸시 스위치 노브/연장부 및 시소 스위치 노브/연장부 간에는 이들의 운동을 안내하거나 회동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 더 구비될 수도 있음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우측 인쇄회로기판(170b)의 일면 상에는 각각의 푸시 스위치 및 시소 스위치와의 접촉을 위한 우측 푸시 스위치(375,377) 및 우측 시소 스위치(376)이 배치되고, 우측 시소 스위치(376)와 우측 시소 스위치 노브(306) 사이에는 이의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우측 텀블러 푸시 로드(356)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우측 하우징 바디(210b)의 일면 상에는 각각의 스위치 노브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구(205,206,207)이 구비되고, 우측 하우징 바디(210b)의 우측에는 스티어링 휠의 스포크와의 연결을 위한 스포크 결합부(212b)가, 그리고 우측 하우징 바디(210b)의 좌측에는 스티어링 휠의 허브부와의 결합을 위한 허브 결합부(211b)가 구비됨은 상기 좌측 리모컨부의 경우에 동일하다.
우측 하우징 커버(220b) 및 우측 인쇄회로기판(170b)에는 각각의 관통구(221b,189)가 구비되어 우측 결합 부재(223b)를 통하여 우측 하우징 커버(220b)와 우측 하우징 바디(210b) 간에 결합이 이루어져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배선(2)의 일측은 좌측 인쇄회로기판(170a) 및 우측 인쇄회로기판(170b)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고, 배선(2)의 타측은 리모컨 커넥터(3,4)와 연결되어, 리모컨 커넥터(3,4)는 외부 전기 요소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어 각각의 스위치 유니트의 작 동이 외부 전기 요소에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 복합 스위치 유니트는 무빙 블록의 회전축에 평행한 모서리 단부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무빙 블록의 회전축에 수직한 모서리 단부 측에 배치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 블록 지지부는 베이스 컬럼 관통구의 외주 상에 평행하게 한 쌍이 배치되는 구성을 취하였으나, 단일의 블록 지지부만이 구비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 스티어링 휠 장치는 좌우 리모컨부를 구비하는 구성을 취하였으나 단일의 리모컨부를 구비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텀블링 기능과 푸시 기능을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구조를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 장치는, 복합적인 기능을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함으로써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 장치의 공간 집약적 설계를 이룰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 장치는 푸시 가이드를 더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텀블러 스위치와 푸시 스위치의 작동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자가 원하는 소정의 스위치 동작이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평행한 회전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배치되는 무빙 블록;
    상기 무빙 블록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되, 상기 무빙 블록에 대하여 일방향으로의 관통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무빙 블록에 배치되는 복합 스위치 노브;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무빙 블록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무빙 블록의 회동 운동에 의하여 작동하는 텀블러 스위치와 상기 복합 스위치 노브의 관통 운동에 의하여 작동하는 푸시 스위치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스위치 노브는, 상기 베이스를 향하여 배치되는 노브 컬럼 및 상기 노브 컬럼이 배치되는 외측으로 서로 대응되는 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단부에 걸림부를 구비하는 노브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무빙 블록은, 중앙에 상기 노브 컬럼이 관통하는 블록 컬럼 관통구와, 외주에 상기 노브 홀더가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 배치되는 블록 홀더 관통구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서로 대응하는 상기 블록 홀더 관통구를 잇는 선분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블록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블록 지지부와 맞물리어 상기 무빙 블록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블록 지지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스위치 노브는 상기 복합 스위치 노브의 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노브 그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스위치 노브는, 측면으로 상기 무빙 블록의 회동축에 수직하게 상기 베이스를 향하여 연장 배치되는 푸시 가이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푸시 가이드의 대응 위치에 상기 복합 스위치 노브의 회동시 상기 푸시 가이드의 단부와 접촉 가능하여 상기 푸시 가이드의 회동을 안내하는 회동 가이드 홈과, 상기 푸시 가이드에 수직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푸시 가이드가 삽입되는 푸시 가이드 홈을 갖는 푸시 가이드 대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텀블러 스위치와 상기 무빙 블록의 단부 사이에는, 상기 무빙 블록의 회동 운동시 일단은 상기 무빙 블록의 단부와 그리고 타단은 상기 텀블러 스위치와 접촉을 이루는 텀블러 푸시 로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면으로 상기 무빙 블록의 단부와 상기 텀블러 스위치의 사이에는, 상기 텀블러 푸시 로드가 관통 배치되는 가이드 관통구를 구비하는 텀블러 푸시 로드 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7.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평행한 회전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배치되는 무빙 블록; 상기 무빙 블록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되, 상기 무빙 블록에 대하여 일방향으로의 관통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무빙 블록에 배치되는 복합 스위치 노브;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무빙 블록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무빙 블록의 회동 운동에 의하여 작동하는 텀블러 스위치와 상기 복합 스위치 노브의 관통 운동에 의하여 작동하는 푸시 스위치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와,
    상기 복합 스위치 노브의 일단이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노브 관통구를 갖는 하우징 바디 및 상기 하우징 바디와 함께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고,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장착시키기 위한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 장치.
KR1020060118254A 2006-11-28 2006-11-28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장치 KR100832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254A KR100832753B1 (ko) 2006-11-28 2006-11-28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254A KR100832753B1 (ko) 2006-11-28 2006-11-28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2753B1 true KR100832753B1 (ko) 2008-05-28

Family

ID=39665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254A KR100832753B1 (ko) 2006-11-28 2006-11-28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75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484B1 (ko) 2009-12-30 2012-03-2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장치
KR101171651B1 (ko) 2010-12-15 2012-08-0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유니트
KR200467290Y1 (ko) 2008-12-22 2013-06-0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200471131Y1 (ko) * 2009-11-11 2014-02-0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모듈
KR101373972B1 (ko) * 2011-12-12 2014-03-1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20150116056A (ko) * 2014-04-04 2015-10-1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101779339B1 (ko) 2015-12-29 2017-09-20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스위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8470A (ja) 1999-10-19 2001-04-27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電子部品
JP2005302569A (ja) 2004-04-13 2005-10-27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8470A (ja) 1999-10-19 2001-04-27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電子部品
JP2005302569A (ja) 2004-04-13 2005-10-27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290Y1 (ko) 2008-12-22 2013-06-0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200471131Y1 (ko) * 2009-11-11 2014-02-0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모듈
KR101126484B1 (ko) 2009-12-30 2012-03-2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장치
KR101171651B1 (ko) 2010-12-15 2012-08-0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유니트
KR101373972B1 (ko) * 2011-12-12 2014-03-1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20150116056A (ko) * 2014-04-04 2015-10-1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101582738B1 (ko) * 2014-04-04 2016-01-0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101779339B1 (ko) 2015-12-29 2017-09-20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스위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753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장치
KR101354528B1 (ko) 도킹시스템과 이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KR20210156820A (ko) 리모트 쉬프트 레버 스위칭 유니트
KR100835142B1 (ko) 스크롤 푸싱 스위치 모듈
KR100776588B1 (ko)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
WO2018147206A1 (ja) スイッチ装置
KR200468483Y1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KR200459979Y1 (ko) 패들 스위치 유니트
KR101110451B1 (ko) 슬라이더 유니트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101582738B1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200471413Y1 (ko)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KR20120002614U (ko) 슬라이더 스위치 유니트
KR100828199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KR20100070936A (ko)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20170086762A (ko)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
KR200460898Y1 (ko)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KR20060103225A (ko) 회로 유닛 장치
JP2006228620A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KR200457186Y1 (ko)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JP7277104B2 (ja) ハンドルスイッチ装置
KR200456539Y1 (ko) 스위치 유니트
KR101181636B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100845257B1 (ko) 시소 스위치 모듈
KR100776615B1 (ko)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장치
JP4115251B2 (ja) 車載用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