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413Y1 -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 Google Patents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413Y1
KR200471413Y1 KR2020090014903U KR20090014903U KR200471413Y1 KR 200471413 Y1 KR200471413 Y1 KR 200471413Y1 KR 2020090014903 U KR2020090014903 U KR 2020090014903U KR 20090014903 U KR20090014903 U KR 20090014903U KR 200471413 Y1 KR200471413 Y1 KR 200471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movable contact
switch body
unit hous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116U (ko
Inventor
서동진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4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41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1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1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4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Application power window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니트 하우징; 상기 유니트 하우징에 수직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바디를 탄성 지지하는 스위치 바디 탄성부와, 상기 스위치 바디에 배치되는 스위치 가동 접점부 및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와 접촉 가능하고 상기 유니트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스위치 바디의 가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스위치 고정 접점부를 포함하는 스위치 접속부;를 구비하는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SLIDING SWITCH UNIT FOR LOCKING/UNLOCKING THE OPERATION OF POWER WINDOW SWITCHING DEVICE UNIT OF A VEHICLE}
본 고안은 스위치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암 레스트 상에 장착되어 보다 정확하고 일괄적이거나 또는 사전 설정된 모드에 따라 차량 윈도우의 선택적 작동 제어 가능하게 하는 윈도우 스위치의 가동을 구속하는 윈도우 록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대향되는 방향으로의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의 윈도우 개폐와 같이 윈도우의 상하 방향 이동이 전단부 및 후단부의 작동에 대응하도록 하는 시소 스위치 장치 또는 슬라이딩 스위치 장치가 사용되고 각각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경우 로터리 스위치가 사용된다. 특히, 운전자의 좌석 주위에 다양한 스위치 장치 및 편의 시설이 설치되므로, 이러한 스위치 장치들은 컴팩 트화가 요구되는바, 스위치 장치들간의 간섭 방지가 설계의 필수 사항이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윈도우 스위치에 구비되는 마이크로 스위치는 통상적으로 슬라이드 접점 방식을 채택하는데, 슬라이드 접점 방식의 특성상 반복적인 사용 후 먼지 또는 이물질의 침투로 슬라이드 접점 불량 내지 오작동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수반되고 슬라이더의 자중에 의한 사용자의 가압 동작에 의하여 슬라이드 접점 방식의 마이크로 스위치는 접촉 단자의 마모 가능성이 증대되어 내구성이 현저하게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특히, 푸시 타입으로 가동되는 윈도우 록 스위치의 경우 운전자의 가압 위치에 따라 가압력이 노브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노브의 기울어짐으로 원활한 작동이 저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스위치의 접점 상태 확보를 강화할 수 있는 접점 방식 및 원활한 가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의 윈도우 락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니트 하우징; 상기 유니트 하우징에 수직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바디를 탄성 지지하는 스위치 바디 탄성부와, 상기 스위치 바디에 배치되는 스위치 가동 접점부 및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와 접촉 가능하고 상기 유니트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스위 치 바디의 가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스위치 고정 접점부를 포함하는 스위치 접속부;를 구비하는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는 상기 스위치 바디의 가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와 상기 스위치 고정 접점부와의 상시 접촉 상태를 탄성 지지하는 스위치 가동 접점 탄성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바디를 상기 유니트 하우징 내에서 안정적인 가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와 상기 스위치 고정 접점부 간의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도록, 상기 스위치 접속부는 상기 스위치 바디의 양단 측으로,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가 상기 스위치 바디의 양단에 그리고 상기 스위치 고정 접점부가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유니트 하우징 내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록킹부는 상기 스위치 접속부가 배치되는 상기 스위치 바디의 양단측과 수직한 상기 스위치 바디의 단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는: 상기 스위치 고정 접점부와 상시 접촉되는 가동 접점 돌기가 구비되는 가동 접점 바디와, 상기 가동 접점 바디의 단부로부터 상기 스위치 바디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가동 접점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바디의 상기 가동 접점 지지부를 향한 일측에 형성되는 가동 접점 스톱퍼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 접점 스톱퍼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가동 접점 지지부에는 상기 가동 접점 스톱퍼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가동 접점 스톱퍼 대응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바디에는 스위치 바디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유니트 하우징의 내측으로 상기 스위치 바디 가이드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스위치 바디 가이드와 접촉하여 상기 스위치 바디의 가동을 안내하는 스위치 바디 가이드 대응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바디의 단부에는 상기 스위치 바디 탄성부를 지지하는 바디 탄성부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니트 하우징의 상기 바디 탄성부 장착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하우징 탄성부 장착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하우징 탄성부 장착부의 중앙에는 하우징 광원 관통구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 탄성부 장착부의 중앙으로 상기 유니트 하우징 광원 관통구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바디 광원 관통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는, 측면 접촉 방식을 통하여 슬라이드 운동시 발생하는 단자 간의 접촉 소음으로 인한 사용자의 조작감을 저해하지 않고 원활한 작동을 이룰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는, 측면 접촉 방식을 통하여 장기간 사용 등에도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접촉 불량 내지 오작동의 가능성을 방지 내지는 현저하게 저감시켜 우수한 작동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른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는, 스위치 접속부의 단자들의 접촉 방식을 슬라이더 블록의 양측으로 형성하여 안정적인 작동 상태를 이룰 수도 있다.
넷째, 본 고안에 따른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는, 가이드를 통한 안정적인 가동을 이루어 유니트 하우징 내에서의 스위치 노브의 기울어짐 내지 뒤틀림으로 인한 가동 상 곤란성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다섯째, 본 고안에 따른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는, 소정의 반경의 스위치 바디 탄성부를 구비하고 중앙에 관통구를 형성하여 모듈 타입으로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경우 간단하고 정확한 구조를 통하여 광원부로부터의 빛을 노브 아이콘으로 정확하게 전달하여 간단한 구조를 통한 조작자 편의성 증대를 이룰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를 포함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4 및 도 5에는 도 3의 선 A-A 및 선 B-B를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가가 도시되고, 도 6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된다.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1)은 기판(20, 도 6 참조)과 하우징(4)과 윈도우 스위치(2)를 포함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1)은 미러 스위치(3)도 함께 구비한다. 윈도우 스위치(20와 미러 스위치(3)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10)는 하우징(4)의 위치 고정되어 윈도우 스위치(2)의 인근에 배치되는데,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10)는 하우징(4)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20)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데,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10)의 작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기적 신호는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되고 소정의 작동 기능, 즉 윈도우 록 기능을 실행하여 운전석 이외의 탑승석에 탑승한 탑승객이 개별 윈도우 스위치(미도시)를 조정항 소정의 윈도우 승하강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제한 및/또는 해제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10)는 유니트 하우징(100)과, 스위치부(200)를 포함하는데, 유니트 하우징(100)에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또는 안정적을 위치 고정되어 배치된다.
유니트 하우징(100)은 유니트 하우징 바디(110)와 유니트 하우징 커버(120)를 포함하는데, 유니트 하우징 바디(110)와 유니트 하우징 커버(120)는 서로 맞물리어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유니트 하우징 바디(110)의 측면에는 유니트 하우징 바디 장착부(111)가 배치되고 유니트 하우징 바디 장착부(111)의 대응되는 위치로 유니트 하우징 커버(120)에는 유니트 하우징 커버 장착부(121)가 배치되는데, 유니트 하우징 바디 장착부(111)와 유니트 하우징 커버 장착부(121)는 서로 맞물리어 체결됨으로써 소정의 내부 공간(113)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니트 하우징 바디 장착부는 돌기 구조로 그리고 유니트 하우징 커버 장착부는 요홈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들은 서로 반대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등 양자의 체결을 공고히 하는 구조를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유니트 하우징 바디(110)의 하단에는 유니트 하우징 장착부(115)가 배치되는데, 이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형성되는 장착 대응부(미도시)와 체결되어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10)의 장착 위치를 유지시키고 하기되는 터미널과 기판 간의 안정적인 솔더링(soldering) 공정을 가능하게 한다.
유니트 하우징 커버(120)의 상단에는 유니트 하우징 커버 관통구(123)가 배치되는데, 유니트 하우징 커버 관통구(123)를 통하여 하기되는 스위치 바디(220)의 일부가 관통 배치되고 스위치 바디(220)와 연결되는 스위치 노브(210)가 유니트 하우징 커버(120)의 일면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니트 하우징 커버(120)의 측면에는 유니트 하우징 바디(110)와의 원활한 체결을 위하여 유니트 하우징 바디(110)의 형상에 대응하는 유니트 하우징 커버 바디 수용부(125)가 구비될 수도 있다.
스위치부(200)는 스위치 바디(220)와 스위치 바디 탄성부(230)와 스위치 접속부(240)를 구비하는데, 스위치 바디(220)는 유니트 하우징(100)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스위치 바디 탄성부(230)는 스위치 바디(220)를 탄성 지지하며 스위치 접속부(240)는 스위치 바디(220)가 하우징(100) 내에서 가동됨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데, 스위치 바디(220)의 상단에는 스위치 노브(210)가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한 수직 가압력을 스위치 바디(220)로 전달한다.
스위치 노브(210)에는 야간 주행시 사용자에 의하여 윈도우 록 스위치(10)의 위치를 신속하게 인지 가능하도록 광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노브 아이콘(211)이 배치된다.
스위치 바디(220)는 일단이 스위치 노브(210)와 연결되고 타단이 유니트 하우징(100)의 내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스위치 바디(220)는 장방형 블록 타입으로 구성되는데, 스위치 바디(220)의 중앙에는 스위치 바디 관통구(221)가 형성된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 타입의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10)가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상에 장착 배치되는 경우, 스위치 바디 관통구(221)의 대응되는 위치로 인쇄회로기판 상에는 LED와 같은 광원부(미도시)가 배치되어 광원부로부터의 빛이 스위치 바디 관통구(221)를 통하여 스위치 노브(210)로 전달되어 노브 아이콘(211)에 빛을 전달할 수도 있다.
스위치 바디(220)의 하단으로 유니트 하우징(100)의 하면, 보다 구체적으로 유니트 하우징 바디(110)의 하면에 마주하는 하단면과 하우징 바디(110)의 하면 사이에는 스위치 바디 탄성부(230)가 배치되는데, 스위치 바디 탄성부(230)는 스위치 바디(220)를 유니트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서 탄성 지지한다. 스위치 바디(220)의 하단면에는 바디 탄성부 장착부(227)가 배치되고 바디 탄성부 장착부(227)의 대응되는 위치로 유니트 하우징(100)의 유니트 하우징 바디(110)의 내측 하면에는 유니트 하우징 탄성부 장착부(117)가 배치된다. 바디 탄성부 장착부(227)와 유니트 하우징 탄성부 장착부(117)는 돌기 구조롤 형성되고 바디 탄성부(230)는 소정의 반경을 구비하여 바디 탄성부(230)의 각각의 단부가 바디 탄성부 장착부(227)와 유니트 하우징 탄성부 장착부(117)의 외주 상에 각가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이는 본 고안의 스위치 바디 탄성부(230)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바디 탄성부 장착부(227)와 유니트 하우징 탄성부 장착부(117)의 일예로서, 이들은 스위치 바디 탄성부의 각각의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요홈으로 구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나, 본 고안의 실시예와 같은 돌기 구조를 통하여 스위치 바디 탄성부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 확보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200)는 스위치 록킹부(250)를 더 구비하는데, 스위치 록킹부(250)는 록킹 핀 디바이스(251)와 록킹 캠(253)을 포함한다. 록킹 핀 디바이스(251)는 스위치 바디(220)를 마주하는 유니트 하우징 바디(110)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록킹 핀 디바이스 장착부(119)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고, 록킹 캠(253)은 록킹 핀 디바이스(251)의 대응되는 위치로 스위치 바디(220)의 외면에 형성된다. 록킹 캠(253)과 록킹 핀 디바이스(251)는 종래의 하트캠 등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종래의 기술로 대체한다. 록킹 핀 디바이스와 록킹 캠은 상호 맞물림 및 해제 가능한 구조를 취하는데, 스위치 바디의 일회의 가압으로 유니트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위치 고정되고 이회의 가압으로 유니트 하우징(100)의 내측으로부터 다시 원위치 복귀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와 같은 스위치 록킹부(250)도 설계 사양에 따라 소정의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에 특정하여 장착함으로써 소정의 선택적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스위치 접속부(240)는 스위치 가동 접점부(2410)와 스위치 고정 접점 부(2430)를 포함하는데, 스위치 가동 접점부(2410)는 스위치 바디(220)에 배치되고 스위치 고정 접점부(2430)는 스위치 가동 접점부(2410)와 접촉 가능하고 유니트 하우징(10))의 내측에 스위치 바디(220)의 가동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가동 접점부(2410)는 스위치 바디(220)에 배치되되 스위치 바디(220)의 가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스위치부(200)는 스위치 가동 접점 탄성부(2420)을 더 포함한다.
스위치 고정 접점부(2430)는 유니트 하우징(100), 보다 구체적으로 유니트 하우징 바디(110)의 내측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데, 스위치 고정 접점부(2430)의 일단은 유니트 하우징 바디(110)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하기되는 스위치 가동 접점부(2410)와 접촉하고 타단은 커넥터(24231)로 구현되어 유니트 하우징 바디(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커넥터(2431)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장착되어 다른 전기 장치와의 전기적 소통을 이룰 수 있다. 스위치 고정 접점부(2430)는 별도의 도전성 재료로 유니트 하우징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고정 접점부(2430)는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하여 유니트 하우징 바디(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는 본 고안의 일예로서 소정의 도전 기능을 이루는 범위에서 스위치 고정 접점부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가동 접점부(2410)는 가동 접점 바디(2411)와 가동 접점 지지부(2413)을 구비하는데, 가동 접점 바디(2411)와 가동 접점 지지부(2413)는 일체를 이루며 "ㄷ"자 형상을 구비하고 가동 접점 지지부(2413)는 가동 접점 바디(2411)의 양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즉, 가동 접점 지지 부(2413)는 가동 접점 바디(2411)의 단부로부터 스위치 바디(22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스위치 가동 접점부(2410)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가동 접점 바디(2411)의 일측에는 가동 접점 돌기(2417)를 구비하는데, 가동 접점 돌기(2417)는 가동 접점 바디(241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연장 형성되어 스위치 고정 접점부(2430)와의 명확한 접촉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스위치 바디(220)에는 스위치 가동 접점부(2410)를 수용하는 스위치 바디 접점부 장착부(233)가 구비되는데, 스위치 바디 접점부 장착부(233)에 스위치 가동 접점부(2410)가 가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동 접점 바디(2411)는 유니트 하우징 바디(110)의 내측면을 향하여 배치되고 가동 접점 바디(2413)가 스위치 바디 접점부 장착부(233)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200)는 스위치 가동 접점부가 스위치 바디 접점부 장착부로부터 원치 않게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스위치 바디(220)의 스위치 바디 접점 장착부(233)에는 가동 접점 스톱퍼(2416)가 배치되고 가동 접점 지지부(2413)에는 가동 접점 스톱퍼 대응부(2415)가 배치되는데, 가동 접점 스톱퍼(2416)는 스위치 바디(220)의 스위치 바디 접점 장착부(233)의 일면으로부터 가동 접점 지지부(2413)를 향한 일측에 형성되고 가동 접점 스톱퍼 대응부(2415)는 가동 접점 스톱퍼(2416)의 대응되는 위치로 가동 접점 지지부(2413)에 형성되고, 가동 접점 스톱퍼 대응부(2415)는 가동 접점 스톱퍼(2416)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구조를 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동 접점 스톱퍼(2416)은 돌기 구조로 형성되고 가동 접 점 스톱퍼 대응부(2415)는 요홈 구조로 형성되는데, 가동 접점 스톱퍼 대응부(2415)는 스위치 바디 접점부(2410)의 가동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장방형 요홈 내지 관통구 구조를 취한다. 즉, 가동 접점 스톱퍼 대응부(2415)는 가동 접점 스톱퍼(2416)에 비하여 스위치 바디 접점부(2410)의 가동 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긴 값을 구비함으로써 스위치 가동 접점부(2410)가 스위치 바디(220)의 수직 가동 방향에 대하여 수직 가동 가능한 구조를 취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200)의 스위치 접속부(240)는 스위치 가동 접점부(2410)와 스위치 고정 접점부(2430)의 상시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요소를 더 구비한다. 즉, 스위치 접속부(240)는 스위치 가동 접점 탄성부(2420)을 포함하는데, 스위치 가동 접점 탄성부(2420)는 스위치 바디(220) 측과 스위치 가동 접점부(2410)의 가동 접점 바디(2411) 측을 탄성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스위치 가동 접점 탄성부(2420)는 가동 접점 탄성체(2421)와 가동 접점 탄성체 수용부(2423)을 포함하는데, 가동 접점 탄성체(2421)는 스위치 바디(220)의 스위치 바디 접점 장착부(233)의 일측으로 가동 접점 바디(2411)를 향한 일측면에 배치되고 가동 접점 탄성체(2421)는 코일 스프링 타입으로 구현된다. 가동 접점 탄성체(2421)는 가동 접점 탄성체 수용부(2423)에 수용됨으로써, 가동 접점 탄성체(2421)는 스위치 바디(220)와 스위치 가동 접점부(2410) 사이에 배치되어 스위치 가동 접점부(2410)가 유니트 하우징 바디(110)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스위치 고정 접점부(2430)와의 상시 접속 상태를 가능하게 하고, 본 고안의 스위치부(200)의 스위치 접속부(240) 구조는 스위치 바디(220)의 양단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여 스위치 바디(220)의 유니트 하우징(100) 내에서의 보다 안정적인 가동을 가능하게 하고 스위치 가동 접점부와 스위치 고정 접점부 간의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는 스위치 바디의 유니트 하우징 내에서의 안정적인 가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10)는 스위치 바디 가이드(225)와 스위치 바디 가이드 대응부(226)가 배치되는데, 스위치 바디 가이드(225)는 스위치 바디(220)의 측면에 배치되고 스위치 바디 가이드 대응부(226)는 유니트 하우징 바디(110)의 내측면으로 스위치 바디 가이드 대응부(226)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 바디 가이드(225)는 스위치 바디 접점 장착부(223)에서 유니트 하우징(110)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고, 스위치 바디 가이드 대응부(226)는 스위치 바디 가이드(225)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스위치 바디 가이드 대응부(226)는 스위치 바디(220)의 가동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고 스위치 바디 가이드(225)는 스위치 바디(220)의 가동 방향을 따라 상하단에 각각 쌍을 이루며 배치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유니트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서의 위치 뒤틀림없이 안정적인 슬라이딩 운동을 이룰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 바디 가이드와 스위치 바디 가이드 대응부는 각각의 배치 위치로부터 서로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스위치 바디의 안정적인 슬라이딩 가동을 이루는 범위에서 서로 가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구조를 취 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의 위치를 용이하하게 인지하도록 하는 LED와 같은 광원부로부터의 빛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스위치 노브(210)의 일면 상에는 노브 아이콘(211)이 배치되는데, LED와 같은 광원부(30, 도 6 참조)는 기판(20, 도 6 참조)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데, 모듈 타입으로 구현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10)는 광원부(30, 도 6 참조)와 위치 중첩되어 기판(20, 도 6 참조)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위치 중첩되는 경우 광원부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상부의 노브 아이콘(211)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관통 및 광 가이드 구조가 필요한데, 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10)는 유니트 하우징 광원 관통구(118)와 바디 광원 관통구(228)을 구비한다.
유니트 하우징 광원 관통구(118)는 하우징 탄성부 장착부(117)의 중앙에 형성되고 바디 광원 관통구(228)는 바디 탄성부 장착부(227)의 중앙으로 유니트 하우징 광원 관통구(118)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데, 유니트 하우징 광원 관통구(118)와 바디 광원 관통구(228)는 광원부(30, 도 6 참조)와 일렬 배치됨으로써, 광원부(30, 도 6 참조)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유니트 하우징 광원 관통구(118) 및 바디 광원 관통구(228)를 관통하여 스위치 바디(220)의 스위치 바디 관통구(221)를 따라 안내되어 스위치 바디(220)의 상단에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210)의 일면 상의 노브 아이콘(211)으로 전달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 특히 운전자는 야간 주행시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10)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 가능함으로써 주행 주의력을 분산시키지 않고 소정의 조정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를 포함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선 A-A 및 선 B-B를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가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10...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20...기판 30...광원부
100...유니트 하우징 200..스위치부
210...스위치 노브 220...스위치 바디
230...스위치 바디 탄성부 240...스위치 접속부
250...스위치 록캠부

Claims (6)

  1. 유니트 하우징; 상기 유니트 하우징에 수직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바디를 탄성 지지하는 스위치 바디 탄성부와, 상기 스위치 바디에 배치되는 스위치 가동 접점부 및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와 접촉 가능하고 상기 유니트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스위치 바디의 가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스위치 고정 접점부를 포함하는 스위치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는 상기 스위치 바디의 가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와 상기 스위치 고정 접점부와의 상시 접촉 상태를 탄성 지지하는 스위치 가동 접점 탄성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 바디와 마주하는 유니트 하우징에 배치되는 록킹 핀 디바이스 장착부에 위치 고정 배치되는 록킹 핀 디바이스 및 상기 록킹 핀 디바이스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스위치 바디의 외면에 형성되는 록킹 캠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 핀 디바이스와 상기 록킹 캠이 상기 스위치 바디의 가동에 의하여 상호 맞물림 및 해제 가능한 스위치 록킹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 바디를 상기 유니트 하우징 내에서 안정적인 가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와 상기 스위치 고정 접점부 간의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도록, 상기 스위치 접속부는 상기 스위치 바디의 양단 측으로,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가 상기 스위치 바디의 양단에 그리고 상기 스위치 고정 접점부가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유니트 하우징 내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록킹부는 상기 스위치 접속부가 배치되는 상기 스위치 바디의 양단측과 수직한 상기 스위치 바디의 단부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는:
    상기 스위치 고정 접점부와 상시 접촉되는 가동 접점 돌기가 구비되는 가동 접점 바디와,
    상기 가동 접점 바디의 단부로부터 상기 스위치 바디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가동 접점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바디의 상기 가동 접점 지지부를 향한 일측에 형성되는 가동 접점 스톱퍼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 접점 스톱퍼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가동 접점 지지부에는 상기 가동 접점 스톱퍼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가동 접점 스톱퍼 대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바디에는 스위치 바디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유니트 하우징의 내측으로 상기 스위치 바디 가이드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스위치 바디 가이드와 접촉하여 상기 스위치 바디의 가동을 안내하는 스위치 바디 가이드 대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바디의 단부에는 상기 스위치 바디 탄성부를 지지하는 바디 탄성부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니트 하우징의 상기 바디 탄성부 장착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하우징 탄성부 장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하우징 탄성부 장착부의 중앙에는 하우징 광원 관통구가 구비되 고,
    상기 바디 탄성부 장착부의 중앙으로 상기 유니트 하우징 광원 관통구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바디 광원 관통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KR2020090014903U 2009-11-17 2009-11-17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KR2004714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903U KR200471413Y1 (ko) 2009-11-17 2009-11-17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903U KR200471413Y1 (ko) 2009-11-17 2009-11-17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16U KR20110005116U (ko) 2011-05-25
KR200471413Y1 true KR200471413Y1 (ko) 2014-02-19

Family

ID=49294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903U KR200471413Y1 (ko) 2009-11-17 2009-11-17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41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588B1 (ko) * 2013-01-09 2014-10-08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896A (ko) * 2000-07-27 2002-02-02 박재범 파워윈도우의 락 스위치
JP2006019131A (ja) * 2004-07-01 2006-01-19 Alps Electric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896A (ko) * 2000-07-27 2002-02-02 박재범 파워윈도우의 락 스위치
JP2006019131A (ja) * 2004-07-01 2006-01-19 Alps Electric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16U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325636A1 (en) Power window switch
KR100832753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장치
KR101203688B1 (ko)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200471413Y1 (ko)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US7029284B2 (en) Floating contact assembly for a steering wheel
KR200460898Y1 (ko)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KR101602496B1 (ko)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101110451B1 (ko) 슬라이더 유니트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200460533Y1 (ko) 슬라이더 스위치 유니트
KR20190018277A (ko) 차량용 패들 쉬프트 스위치 유닛
KR101582738B1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101594626B1 (ko) 파워 윈도우 스위칭 시스템
KR200459979Y1 (ko) 패들 스위치 유니트
KR200456539Y1 (ko) 스위치 유니트
KR200469355Y1 (ko)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
KR20120045587A (ko) 윈도우 잠금 스위치 모듈
KR20170090984A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20170091200A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200471130Y1 (ko)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 장치
KR200439215Y1 (ko)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
KR20170091201A (ko)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 장치
KR200460894Y1 (ko) 차량용 스위치 모듈
KR200457186Y1 (ko)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200469421Y1 (ko) 차량용 시트 워머 스위치
KR200471131Y1 (ko) 스위치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