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215Y1 -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215Y1
KR200439215Y1 KR2020060032697U KR20060032697U KR200439215Y1 KR 200439215 Y1 KR200439215 Y1 KR 200439215Y1 KR 2020060032697 U KR2020060032697 U KR 2020060032697U KR 20060032697 U KR20060032697 U KR 20060032697U KR 200439215 Y1 KR200439215 Y1 KR 200439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housing
slide switch
base plate
slid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춘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32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2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2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08Contact arrangements for providing make-before-break operation, e.g. for on-load tap-chan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6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Slide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 전기 장치와의 전기적 소통을 위한 커넥터 터미널 및 상기 커넥터 터미널과 소통되는 배선이 구비되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배선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고정 단자가 장착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슬라이더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더 하우징의 일면 상에 슬라이드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하우징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하여 가동되어 상기 고정 접점과 단속되는 가동 접점을 갖는 슬라이드 스위치;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와 맞물리어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에 작동력을 전달하는 스위치 노브;를 구비하는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Slide Switch Modul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의 부분 투영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의 슬라이더 가이드 및 슬라이더 가이드 진입홈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슬라이드 스위치 모듈 100...베이스 플레이트
110...커넥터 터미널 120...고정 단자
130...베이스 연장부 200...슬라이드 스위치
210...슬라이더 하우징 220...슬라이더
230...가동 접점 240...가동핀
300...스위치 노브 400...모듈 하우징
본 고안은 스위치 모듈에 관한 것으로,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하는 간단한 구조의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대향되는 방향으로의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의 윈도우 개폐와 같이 윈도우의 상하 방향 이동이 전단부 및 후단부의 작동에 대응하도록 하는 시소 스위치 장치 또는 슬라이딩 스위치 장치가 사용된다. 특히, 운전자의 좌석 주위에 다양한 스위치 장치 및 편의 시설이 설치되므로, 이러한 스위치 장치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스위치 작동의 조작감 및 편의성을 제공하여야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장치는 작동자에 의한 외력을 제공하는 노브와, 노브에 의하여 작동하는 슬라이드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의 슬라이더 위치 변화에 따라 전기적 접속 및 단속을 통해 신호 생성을 위한 접점이 구비되는 인 쇄회로기판,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외부 전기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 단자를 구비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의 구비로 인하여 조립 부품수의 증대에 따라 제조 원가를 증대시키고 생산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인쇄회로기판의 납땜 공정으로 인한 환경 오염 문제를 수반하였다.
본 고안은 별개품으로서의 인쇄회로기판의 구비를 제거하고 조립 공정이 간단한 구조의 슬라이드 스위치를 갖는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부 전기 장치와의 전기적 소통을 위한 커넥터 터미널 및 상기 커넥터 터미널과 소통되는 배선이 구비되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배선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고정 단자가 장착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슬라이더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더 하우징의 일면 상에 슬라이드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하우징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하여 가동되어 상기 고정 접점과 단속되는 가동 접점을 갖는 슬라이드 스위치;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와 맞물리어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에 작동력을 전달하는 스위치 노브;를 구비하는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슬라이 더 하우징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동 접점이 수용되는 접점 수용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연장부를 구비하되, 상기 베이스 연장부는 상기 슬라이더 하우징과 맞물릴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에는 가동핀 수용구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핀 수용구에는 상기 가동 접점의 일면과 맞닿으며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운동 방향에 수직하게 이동 가능한 가동핀 및 상기 가동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동핀 탄성 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 측단부에는 슬라이더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 하우징의 일면 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를 수용하기 위한 슬라이더 가이드 수용홈을 형성하는 하우징 가이더가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 가이더에는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를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 수용홈으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슬라이더 가이드 진입홈을 더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쐐기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 진입홈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질수록 개구 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개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모 듈(10)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슬라이드 스위치(200)와, 스위치 노브(300)를 구비하는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커넥터 터미널과 배선을 구비하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되고, 슬라이드 스위치(2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에 배치되는데, 스위치 노브(300)는 슬라이드 스위치(200)와 맞물리어 슬라이드 스위치에 작동력을 전달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의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합성 수지 등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 구체적으로 인서트 사출 성형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배선(102) 및 커넥터 터미널(110)이 합성 수지 등으로 성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바디 내에 인서트되도록 배치된다. 커넥터 터미널(110)의 단부는 외부로 노출되어 다른 커넥터(미도시)와의 접속을 이루어 외부 전기 장치(미도시)와 전기적 소통을 이룰 수 있다. 배선(102)은 커넥터 터미널(11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데, 설계 사양에 따라 일부 배선(102)의 일부 단부에는 고정 단자(120)가 배치되어 배선(102)을 통하여 커넥터 터미널(110)과 소통을 이룸으로써 하기되는 슬라이드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생성된 전기적 신호가 외부 전기 장치로 전달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모듈 하우징(400)과 결합하여 하기되는 슬라이드 스위치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외측에는 모듈 하우징(400)과의 결합을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부(103)가 구비되고 모듈 하우징(400)의 외측면으로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부(103)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 대응부(410)가 구비된다. 경우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모 듈 하우징(400) 간의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측면에 모듈 하우징 가이드(103)가 구비되고 이의 대응되는 모듈 하우징(400)의 측면에 모듈 하우징 가이드(103)와 맞물리어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모듈 하우징(400)의 결합을 안내하는 모듈 하우징 가이드 맞물림부(411)가 구비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면으로 하기되는 슬라이드 스위치(200)가 배치되는 일면 상에는 베이스 연장부(130)가 구비되는데, 베이스 연장부(130)는 인서트 사출 성형 공정시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별도의 제조 공정을 요하지 않는다. 베이스 연장부(130)는 하기되는 슬라이더 하우징(210)과 맞물리어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드 스위치의 안정적인 장착 및 조립 공정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연장부(130)는 네 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베이스 연장부의 개수 및 배치 방향은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베이스 연장부(13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베이스 연장부(130)는 접점 수용부(132)를 구비하는데, 하기되는 슬라이드 스위치(200)의 가동 접점(도 4에서 점선 표시) 등을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점 수용부(132)는 베이스 연장부(130)의 사이에 형성된 격벽에 의하여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베이스 연장부(130)의 접점 수용부(132)의 내측 하면에는 고정 단자(120) 및 접지 단자(121, 도 4 참조)가 배치되는데, 고정 접점(120) 및 접지 단자(121)는 도 1의 각각의 배선(102)을 통하여 커넥터 터미널(11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슬라이드 스위치(2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면으로 상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스위치(200)는 네 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슬라이드 스위치(200)는 슬라이더 하우징(210)과 슬라이더(220)와 가동 접점(230)을 포함하는데, 슬라이더 하우징(210)은 고정 단자(120)가 배치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슬라이더 하우징(210)은 상면에 슬라이더 하우징 관통구(212)가 구비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향한 하면은 완전개방되는 구성을 취하여 하기되는 슬라이드 스위치의 다른 구성들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더(220)는 슬라이더 하우징(210)의 일면, 즉 슬라이더 하우징(210)의 상면에 슬라이드 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슬라이더(220)는 슬라이더 하우징(210) 상에서 안정적인 슬라이드 운동을 이루도록 플레이트 타입으로 구성되는데, 경우에 따라 안정적인 슬라이드 운동을 허용하기 위한 구성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20)는 슬라이더 가이드(225)를, 그리고 슬라이드 하우징(210)은 하우징 가이더(214)를 더 구비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슬라이더 가이드(225)는 측단부에 슬라이더(220)의 슬라이딩 운동 방향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데, 여기서 슬라이더 가이드(225)는 일측단부에 대하여 각각 불연속적으로 두 개씩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일예일뿐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슬라이드(220)의 측단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다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불연속적 형성된 슬라이더 가이드(225)의 구성은 조립을 용이하 게 이룰 수 있다는 점을 장점으로 가지는데, 이에 대하여는 하기한다.
하우징 가이더(214)는 슬라이더 하우징(210)에 구비되는데, 하우징 가이더는 슬라이더 하우징(210)의 상면 측단부에 슬라이더 하우징(210)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와 같은 내측 방향 연장 구성을 갖는 하우징 가이더(214)는 슬라이더 하우징(210)의 상면과 함께 슬라이더 가이드 수용홈(213, 도 3 참조)을 형성하는데, 슬라이더(220)의 슬라이더 가이드(225)는 슬라이더 가이드 스용홈(213)에 슬라이드 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하우징 가이더(214)는 슬라이더 가이드(225)의 장착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가이더(214)는 일측에 슬라이더 가이드 진입홈(215)이 구비되고 슬라이더 가이드(225)는 슬라이더(220)의 측단부에 연속적이 아닌 단속적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더 가이드 진입홈(215)은 슬라이더 가이드 수용홈(213)과 소통됨으로써, 슬라이더 가이드(225)는 슬라이더 가이드 진입홈(215)을 통하여 슬라이더 가이드 수용홈(213)으로의 진입이 허용된다. 따라서, 슬라이더(220)를 슬라이더 하우징(210)의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장착함에 있어, 슬라이더(22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최단부를 슬라이더 하우징(210)의 슬라이더(220) 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최단부에 삽입하여 장착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요하지 않고, 간단하게, 슬라이더 하우징(210)의 상면에서 슬라이더 가이드 진입홈(215)을 통하여 슬라이더 가이드(225)가 삽입되도록 장착함으로써 양자 간의 결합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가이드는 슬라이더의 측단부에 각각 두 개씩 배치되 는 구성을 취하는데, 슬라이더 가이드 간의 간격은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슬라이더 하우징(210)의 상단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향한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더 가이드 진입홈(215)을 통하여 슬라이더 가이드 수용홈(213)에 삽입되는 슬라이더 가이드(225)는, 슬라이더 가이드 수용홈(213)에 정위치 상태(외력이 가하지 않는 중립 상태)에 위치한 후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사전 설정된 허용 변위(스트로크)만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슬라이더 가이드(225)가 슬라이더 가이드 진입홈(215)을 통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슬라이더의 스트로크와 슬라이더 가이드 진입홈 간의 위치 관계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더(220)의 하면, 즉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향한 일면 상에는 슬라이더 연장부(224)가 형성되고, 슬라이더 연장부(224)는 가동핀 수용구(223)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핀 수용구(223)에는 가동핀(240)이 슬라이더 연장부(224)의 길이 방향, 즉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수직한 선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데, 가동핀(240)과 가동핀 수용구(223) 사이에는 가동핀(24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동핀 탄성 부재(241)가 배치된다. 가동핀(240)의 일단은 가동핀 탄성 부재(241)에 맞물리고 가동핀(240)의 타단은 가동 접점(230)의 표면과 접촉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가동핀 탄성 부재(241)는 코일 스프링으로 도시되었으나, 가동핀(240)을 가동핀 수용구(223)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가동 접점(230)은 베이스 연장부(130)에 수용 배치된다. 도 4에는 본 고안 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동 접점(230, 점선)이 수용된 베이스 연장부(130)의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가동핀을 수용한 슬라이더 및 가동 접점을 수용한 베이스 연장부(130, 점선)의 개략적인 부분 투영도가 도시된다. 가동 접점(230)의 슬라이더(220)를 향한 일면에는 가동핀(240)의 단부가 접촉을 이루는데, 가동핀(240)에는 가동핀 탄성 부재(241, 도 1 및 도 3 참조)에 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향한 방향으로 탄성력이 제공되므로 가동핀(240)의 일단은 가동 접점(230)의 일면과 상시 접촉을 이룬다.
가동 접점(240)은 베이스 연장부(130)에 수용 배치되는데, 구체적으로 베이스 연장부(130)에 의하여 형성되는 접점 수용부(132)에 수용 배치된다. 접점 수용부(132)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격벽에 의하여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되며, 각각의 접점 수용부(132)에는 각각의 가동 접점(240)이 배치된다. 가동 접점(230)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갈매기 형상, 구체적으로는 M자 형상을 구비하여 중앙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에 형성된 접지 단자(121)와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가동 접점(230)의 일단은 접점 수용부(132)의 내측 하면과 단순 접촉하고 가동 접점(230)의 타단에는 가동 단자(231)가 형성되는데, 가동 단자(231)의 대응된 위치로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면 상에는 고정 단자(120)가 배치된다. 슬라이더(22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정상 상태의 경우 가동 단자(231)는 고정 단자(120)와 분리된 구조를 이룬다. 두 개가 구비되는 가동 접점(230)은 서로 배향을 달리하도록, 즉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슬라이더(220)의 양방향 이동에 따라 변화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동 단자(231)와 고정 단자(120)가 정상 상태에 서 단속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가동 단자(231)와 고정 단자(120)가 슬라이더(220)에 아무런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접속 상태를 유지하다 사용자에 의하여 슬라이더(22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가동 단자(231)와 고정 단자(120)가 단속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음은 본 고안의 상기 사항으로부터 명백하다.
스위치 노브(300)는 슬라이드 스위치와 맞물리어 슬라이드 스위치에 작동력을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스위치 노브(300)의 일면 상에는 노브 돌기(301)가 구비되고 스위치 노브(300)의 타면에는 노브 연장부(310)가 구비되는데, 노브 돌기(301)는 모듈 하우징(400)에 형성된 노브 관통구(42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노브 연장부(310)는 하부에 배치되는 슬라이더 연결부(221)와 맞물린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하우징(400)의 노브 관통구(420)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노브 돌기(301)는 사용자가 외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노브 연장부(310)는 집게 형상으로 구비되고 집게 형상의 사이 공간에 슬라이더 연결부(221)가 삽입되어 맞물리는 구조를 취하는데, 집게 형상의 노브 연장부(310)의 일부는 슬라이더 연결부(221)의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더 연결 홈(222)에 수용되어 집게 형상의 노브 연장부(310)가 슬라이더 연결부(2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노브 연장부(310)는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더 연결부(221)를 감싸 맞물리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본 고안의 노브 연장부 및 슬라이더 연결부가 이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스위치 노브의 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단일의 노브 돌기가 슬라이더 연결부에 형 성되는 수직 홈에 수용되는 단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더 가이드는 슬라이더의 측단부로부터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단순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본 고안의 슬라이더 가이드 및 슬라이더 가이드 진입홈이 이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가이드(225a)는 쐐기 형상을 구비하는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쐐기 형상의 슬라이더 가이드(225a)의 단면적은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향할수록 감소된다. 또한, 슬라이더 가이드(225a)의 슬라이더 가이드 수용홈(213O)으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슬라이더 가이드 진입홈(215a)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00)로부터 멀어질수록 개구 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을 구비한다. 따라서, 슬라이더 하우징(210)에 슬라이드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기 위해 슬라이더 하우징(210) 상에 배치된 슬라이더(도 6에서 점선 표시)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입력에 의하여 슬라이더(220)의 슬라이더 가이드(225a)는 슬라이더 가이드 진입홈(215a)을 관통하여 슬라이더 가이드 수용홈(213)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하지만, 쐐기 형상의 슬라이더 가이드(225a) 및 이에 대응하는 형상의 슬라이더 가이드 진입홈(215a)은 슬라이더 가이드(225a)의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향한 방향으로의 슬라이더 가이드 진입홈(215a)의 관통은 허용하되 반대 방향으로 원치 않게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 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 스위치 노브는 슬라이더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스위치 노브는 모듈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커넥터 터미널 및 배선이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은, 커넥터 터미널과 배선이 구비되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부품수의 감소에 따라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은, 커넥터 터미널과 배선이 구비되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납땜 공정의 제거에 따라 공정 원가를 저감시키고 납땜에 의한 환경 오염 문제를 방지 내지 저감시킬 수도 있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은,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베이스 연장부를 구비하여 슬라이드 스위치와의 안정적인 결합 및 조립 공정의 간소화를 이룰 수도 있다.
넷째,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은, 슬라이더 가이드 및 슬라이더 가이드 진입홈을 구비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생산 수율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외부 전기 장치와의 전기적 소통을 위한 커넥터 터미널 및 상기 커넥터 터미널과 소통되는 배선이 구비되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배선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고정 단자가 장착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슬라이더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더 하우징의 일면 상에 슬라이드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하우징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하여 가동되어 상기 고정 접점과 단속되는 가동 접점을 갖는 슬라이드 스위치;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와 맞물리어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에 작동력을 전달하는 스위치 노브;를 구비하는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슬라이더 하우징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동 접점이 수용되는 접점 수용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연장부를 구비하되, 상기 베이스 연장부는 상기 슬라이더 하우징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에는 가동핀 수용구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핀 수용구에는 상기 가동 접점의 일면과 맞닿으며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운동 방향에 수직하게 이동 가능한 가동핀 및 상기 가동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동핀 탄성 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측단부에는 슬라이더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 하우징의 일면 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를 수용하기 위한 슬라이더 가이드 수용홈을 형성하는 하우징 가이더가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 가이더에는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를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 수용홈으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슬라이더 가이드 진입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쐐기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 진입홈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질수록 개구 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
KR2020060032697U 2006-12-27 2006-12-27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 KR200439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697U KR200439215Y1 (ko) 2006-12-27 2006-12-27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697U KR200439215Y1 (ko) 2006-12-27 2006-12-27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215Y1 true KR200439215Y1 (ko) 2008-03-27

Family

ID=41640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697U KR200439215Y1 (ko) 2006-12-27 2006-12-27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21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421Y1 (ko) 2008-12-29 2013-10-1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워머 스위치
EP4163944A1 (en) 2021-10-06 2023-04-12 ALPS Electric Korea Co. Ltd. Multi-directional operation switch structur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421Y1 (ko) 2008-12-29 2013-10-1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워머 스위치
EP4163944A1 (en) 2021-10-06 2023-04-12 ALPS Electric Korea Co. Ltd. Multi-directional operation switch structure
KR20230049222A (ko) 2021-10-06 2023-04-13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다중방향 작동 스위치 구조
US11791113B2 (en) 2021-10-06 2023-10-17 Alps Electric Korea Co., Ltd. Multi-directional operation switch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0813A (en) Electrical switch
US8263885B2 (en) Switch device
KR100458158B1 (ko) 차량용도아스위치
US20220363219A1 (en) Buckle
KR200439215Y1 (ko)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
KR200441295Y1 (ko) 스위치 모듈
EP1538029B1 (en) Floating contact assembly for a steering wheel
EP3118876B1 (en) Switch apparatus having wireless function
JP6877006B2 (ja) ハンドルスイッチ
JP6901079B2 (ja) ハンドルスイッチ
KR101879652B1 (ko)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JP2755283B2 (ja) スイッチ装置
KR200460898Y1 (ko)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KR100854286B1 (ko) 연동 스위치
KR200459979Y1 (ko) 패들 스위치 유니트
KR200471413Y1 (ko)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KR200469421Y1 (ko) 차량용 시트 워머 스위치
CN202855598U (zh) 滑动开关
KR200471130Y1 (ko)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 장치
KR20170051702A (ko) 차량용 조립식 스위치 모듈 장치
KR200465487Y1 (ko) 푸시 스위치 유니트
CN213400968U (zh) 一种组合开关手柄结构
KR100845257B1 (ko) 시소 스위치 모듈
KR20080015996A (ko) 시트 스위치 구조
KR200488488Y1 (ko)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