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488Y1 -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488Y1
KR200488488Y1 KR2020170006614U KR20170006614U KR200488488Y1 KR 200488488 Y1 KR200488488 Y1 KR 200488488Y1 KR 2020170006614 U KR2020170006614 U KR 2020170006614U KR 20170006614 U KR20170006614 U KR 20170006614U KR 200488488 Y1 KR200488488 Y1 KR 2004884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vable terminal
contact
movabl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6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20201700066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4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4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4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동하는 조작노브와, 조작노브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각종 전장소자가 결합된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를 관통하고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이동되는 푸셔와, 푸셔에 의해 이동되는 가동단자와, 가동단자와 접점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정단자와, 가동단자와 접촉되어 접지시키는 그라운드단자를 포함하고, 가동단자와 접촉되는 그라운드단자의 접점면은, 상부 하우징의 하면과 일직선상에 형성되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Highload switch for vehicles}
본 고안은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부하 모듈 내구 후 접촉 저항 과다에 따른 전압강하 개선을 위한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전원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요 구성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고부하 스위치 장치가 배치된다. 기존의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는 사용자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 하측에 위치하는 하우징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움직이는 푸셔,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존재하는 고정단자 및 상기 푸셔에 의해 움직여 상기 고정단자와 접점을 일으키는 가동단자, 가동단자와 접촉되어 접지시키는 그라운드단자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단자와 가동단자의 개수는 발생시켜야 하는 전기적 신호의 개수에 기인하여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2개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야 하므로, 2쌍의 고정단자 및 가동단자가 배치된다. 이는 하우징부에 조립을 통해 결합된다.
종래기술에는 가동단자와 접촉되는 그라운드단자의 접지면이 가동단자가 구비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었으나, 접점 돌기 가공 및 가동접점의 조립 공차 발생으로 접점 접촉위치가 틀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촉 위치가 틀어짐에 따라 접점 접촉 상태가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고부하 모듈 내구 후 접촉 저항 과다에 따른 전압강하를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동하는 조작노브와, 조작노브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각종 전장소자가 결합된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를 관통하고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이동되는 푸셔와, 푸셔에 의해 이동되는 가동단자와, 가동단자와 접점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정단자와, 가동단자와 접촉되어 접지시키는 그라운드단자를 포함하고, 가동단자와 접촉되는 그라운드단자의 접점면은, 상부 하우징의 하면과 일직선상에 형성된다.
또한, 그라운드단자는, 플랫(plat)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가동단자는 제1, 2 가동단자를 포함하고, 제1 가동단자의 선단부에는 그라운드단자와 접점하는 제1 가동단자 접점부가 형성되고, 제2 가동단자의 선단부에는 그라운드단자와 접점하는 제2 가동단자 접점부가 형성된다.
또한, 그라운드단자는, 제1 가동단자 접점부와 접촉하는 제1 그라운드 접점부와, 제2 가동단자 접점부와 접촉하는 제2 그라운드 접점부를 포함한다.
또한, 그라운드단자의 일단부는,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부 하우징의 상부로 노출된다.
또한, 제1, 제2 그라운드 접점부는, 상부 하우징의 하부로 노출된다.
또한, 상부 하우징은 그라운드단자가 일체로 성형되고, 하부 하우징은 상기 고정 단자가 일체로 성형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그라운드단자의 접점면을 플랫 형상으로 형성하여 돌기 접점 가공 산포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접점형상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다.
둘째, 접점이 안정화됨에 따라 접촉 저항 과다에 따른 전압강하를 개선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상부 하우징의 하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중 그라운드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바람직한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인 경우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상부 하우징의 하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중 그라운드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방향은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면을 가르키면서 스위치의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이고, 제2방향은 제1방향과 수직이면서 스위치의 바닥면과 평행인 방향이며, 제3방향은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수직이면서 스위치의 상 측을 가르키는 방향을 말한다. 방향들은 도 2내지 도 5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의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동하는 조작노브(10)와, 조작노브(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각종 전장 소자(미도시)가 결합된 인쇄회로기판(70)과, 인쇄회로기판(70)의 하면에 결합된 하우징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부(20)에는, 인쇄회로기판(70)의 상면으로부터 조작노브(10)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인쇄회로기판(70)의 하부로 전달하는 푸셔(30)와, 푸셔(30)에 의해 이동되는 가동단자(40)와, 가동단자(40)와 접점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정단자(50)와, 가동단자(40)와 접촉되어 접지시키는 그라운드단자(60)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부(20)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고정단자(50)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하부 하우징(25)과, 그라운드단자(60)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상부 하우징(21)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5)과 상부 하우징(21) 사이에는 가동단자(40)가 설치될 수 있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푸셔(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21) 및 인쇄회로기판(70)을 관통하여 조작노브(10)로부터의 조작력을 전달받도록 구비된다.
조작노브(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를 기준으로 일측인 전방 또는 타측인 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움직인다. 여기서,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조작노브(10)를 푸쉬하는 동작(푸쉬 동작)으로 전방 회동시키고, 손가락으로 걸림시켜 잡아당기는 동작(풀링 동작)으로 후방 회동시킬 수 있다.
특히, 풀링 동작시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림되도록, 조작 노브의 전방면은 오목하게 후방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조작노브(10)의 내부는 비어있는 사각형 뚜껑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조작노브(10)는, 푸셔(3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내부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돌출단(11a, 11b)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노브(10)는 두 가지 작동에 대해서 별개의 조작력을 전달해야 하므로, 두 가지 작동에 의해 이동시키는 푸셔(30)가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돌출단(11a, 11b)은, 도 2를 참조하면, 조작노브(10) 내부에 2개가 상호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단(11a, 11b)은 제1방향과 제3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조작노브(10) 내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단(11a, 11b)은 조작노브(10)의 내부 상측 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서 2개의 푸셔(30)와 접촉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돌출단(11a, 11b)은 제1 돌출단(11a)과 제2 돌출단(11b)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제1 돌출단(11a)은 조작노브(10)가 풀링 동작될 때 2개의 푸셔(30) 중 하나를 가압하여 하방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이 때의 접점 신호는 창문을 올리는 전기적 신호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단(11b)은 조작노브(10)가 푸쉬 동작될 때 2개의 푸셔(30) 중 다른 하나를 이동 시킬 수 있다. 이 때의 접점 신호는 창문을 내리는 전기적 신호로 정의할 수 있다.
하우징부(20)에는 푸셔(30), 가동단자(40) 및 고정단자(50)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하우징부(20) 중 상부 하우징(21)에는 푸셔(30)의 상단이 하우징부(20) 내부에서부터 외부로 연장할 수 있도록 내외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홀부(22)가 구비될 수 있다.
홀부(22)에는, 푸셔(30) 외에 가이드부(23)가 더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23)는 홀부(22)에서 제2방향으로 연장되되 홀부(22)가 형성된 상부 하우징(2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가이드부(123)는 상부 하우징(21)과는 별도로 제조되고, 상술한 구멍과 동일한 구멍이 형성되되 하단부는 상부 하우징(21)의 하면에 면접되게 부착되고, 상단부는 홀부(22) 및 인쇄회로기판(70)에 형성된 관통부(71a, 71b)를 관통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상면보다 높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23)는, 푸셔(30)가 오로지 인쇄회로기판(70)의 관통부 및 상부 하우징(21)의 홀부(22)에 의하여만 상하 이동이 가이드되는 것보다 가이드 높이를 더 제공하여 푸셔(30)가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푸셔(30)는 조작노브(10)가 회동하면서 전달하는 조작력에 의해 상하 방향이 아닌 좌우로 유동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푸셔(30)의 좌우 유동 현상은 상하 이동에 소정의 간섭 현상을 일으키는 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23)를 더 구비함으로써 푸셔(30)의 상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여 스위칭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고정단자(50)는, 하부 하우징(20)과 일체로 이중 사출 성형 방식으로 성형 될 수 있다. 이중 사출 성형 방식은 도전체인 고장단자(50)를 금형의 캐비티에 고정시키고, 절연물질은 몰딩용 수지를 하부 하우징(20)의 형상을 가진 캐비티에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공정일 수 있다.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70)은 스위치에 전원을 인가하고 전원을 받아들여서 제어부로 전송하는 회로가 인쇄된다.
인쇄회로기판(70)은 조작노브(10) 하부와 하우징부(2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조작노브(10)와 하우징부(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70)의 상면에는 고정단자(50)가 포함된 하우징부(20)와 각종 전장 소자가 솔더링 또는 결합되고, 하면에는 하우징부(20)의 상면이 접하도록 결합된다.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전장 소자 및 하우징부가 모두 편중되어 설치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것과는 상이하다. 이는, 인쇄회로기판(70)과 조작노브(10)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근접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높이를 축소시켜 제품의 소형화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우징부(20)는, 상면에 돌출되어 있는 체결돌기부(24)가 인쇄회로기판(70)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관통부(72)가 관통되는 동작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70)에는 푸셔(30)가 조작노브(10)의 조작력을 원할하게 전달 받을 수 있도록 푸셔(30)부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관통부(71a, 71b)가 형성 될 수 있다. 관통부(71a, 71b)는 제1 관통부(71a)와 제2 관통부(71b)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제1 관통부(71a)에는 제1 돌출단(11a)과 대응되는 푸셔(30)가 관통 할 수 있고, 제2 관통부(71b)에는 제2 돌출단(11b)과 대응되는 푸셔(30)가 관통 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그라운드단자(60) 일단부는 하우징부(2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라운드단자(60)의 일단부는 인쇄회로기판(70)의 하면과 평행되도록 절곡되어 인쇄회로기판(70)의 하면에 연결되고, 고장단자(50)에 인가되는 전원을 접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스위치 내부에 그라운드단자(60)를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접지 회로를 별도로 형성할 수 있다. 스위치 내부에는 수분 유입 등의 외부적인 사유로 인해 발생하는 전기적인 쇼트 현상으로 오작동이 일어나거나, 인쇄회로기판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따라서 본 고안은 접지회로를 별도로 구성하여, 상술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그라운드단자(60)는 한 쌍의 가동단자(40)에 대응하여 한 쌍의 그라운드접점부(61,6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가동단자 접점부(43)와 접촉하는 제1 그라운드 접점부(61)와 제2 가동단자 접점부(48)와 접촉하는 제2 그라운드 접점부(62)로 이루질 수 있다. 여기서, 그라운드단자(60)는, 상부 하우징(21)에 일체로 이중 사출 성형 방식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21)에 고장단자(50)가 일체로 형성되는 방식과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그라운드단자(60)의 일단부는 상부 하우징(21)의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한 쌍의 그라운드접점부(61,62)는 상부 하우징(21)의 하부로 노출되며, 그라운드단자(60)의 일단부 및 한 쌍의 그라운드접점부(61,62)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부 하우징(21)의 내부에 은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동단자(40)와 접촉되는 한 쌍의 그라운드접점부(61,62)의 접점면은 상부 하우징(21)의 하면과 일직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그라운드단자(60)는 플랫(Pla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푸셔(30)는, 푸셔상단부(31)와 푸셔하단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셔상단부(31)는 홀부(22)를 관통하여 조작노브(10)와 접촉하여 조작노브(10)의 조작력을 받아들일 수 있다. 또한, 푸셔하단부(32)는 가동단자(40)와 접촉하여 상기 푸셔상단부(31)로부터 전달되는 조작력을 가동단자(40)에 전달할 수 있다.
푸셔상단부(31)는 원기둥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푸셔하단부(32)는 가동단자(40)에 조작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푸셔상단부(31)와는 형태가 다를 수 있다. 즉, 푸셔하단부(32)는 제1방향으로의 길이가 가동단자(40)의 제1방향으로의 길이와 같거나 더 클 수 있다. 또한, 푸셔상단부(31)와 푸셔하단부(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동단자(40)는 제1 가동단자(41)와 제2 가동단자(46)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제1 가동단자(41)는 가운데 부분이 상하로 관통되게 제1 관통홀(44)이 형성되고, 제1 가동단자(41)의 일단부(41a)에 일체로 형성되되, 제1 관통홀(44)의 중간부까지 연장되는 제1 탄성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동단자(46) 또한 제1 가동단자(41)와 마찬가지로 제2 관통홀(49)과 제2 가동단자(46)의 일단부(46a)에 일체로 연장되는 제2 탄성부(4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단자(40)는, 그 자체로 고유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비되되, 고정단자(50)에 설치되면서 가동단자(40)의 중간부분이 하방으로 라운딩지게 형상 변형되어 설치됨으로써 상방으로 라운딩지게 형상 변형될 때 자체 탄성력이 발휘되어 후술하는 접점부(43,48)가 빠른 속도로 고정단자 접점부(52a, 52b) 및 그라운드접점부(61,62) 사이에서 접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탄성부(42,47)도 고정단자(50)에 설치되면서 형상 변형되게 설치되어 가동단자(40)가 형상 변형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력은가동단자(40)가 고장단자(50)와 접점이 끝나고 조작력이 제거시 다시 원래 위치로 신속하게 리턴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제1 가동단자(41)는 선단부에 그라운드단자(60)와 접점하는 제1 가동단자 접점부(43)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가동단자(46)의 선단부에도 그라운드단자(60)와 접점하는 제2 가동단자 접점부(48)가 형성 될 수 있다. 접점부들(43,48)은 가동단자(4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그라운드접점부(61,62)와 접점이 원활하게 발생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고장단자(50)는, 단수개의 터미널(Terminal)이 하부 하우징(25)에 일체로 성형되되, 3개의 연장부(53a, 53b, 53c)가 외부로 노출되게 하부 하우징(25)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 후 3개의 연장부(53a, 53b, 53c)가 상이한 단자로 구현되도록 외부로 노출된 소정부가 절단될 수 있다.
여기서, 3개의 연장부(53a, 53b, 53c)의 상단은, 인쇄회로기판(70)의 하면에 평행되게 절곡 형성되어 그라운드단자(60)의 일단부와 마찬가지로 인쇄회로기판(70)의 하면에 접하도록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를 참조하면, 고장단자(50)는, 본체부(51), 가동단자(40)와 접점이 일어나는 고정단자 접점부(52a, 52b), 인쇄회로기판(70)에 연결되는 3개의 연장부(53a, 53b, 53c), 본체부(51)와 연장부(53a, 53b, 53c)를 연결하는 2개의 연결부(55a, 55b) 및 가동단자(4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57, 5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고장단자(50)를 이루는 구성 중 3개의 연장부(53a, 53b, 53c)와 고정부(57, 58)와 고정단자 접점부(52a, 52b) 및 연결부(55a, 55b)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전부 하부 하우징(25)에 일체로 사출 성형될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은닉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단자 접점부(52a, 52b)는, 본체부(51) 상면에 형성되되, 하부 하우징(25)의 내부면 상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됨과 아울러, 3개의 연장부(53a, 53b, 53c) 또한 인쇄회로기판(70)의 하면에 결합되도록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며, 고정부(57, 58)는 가동단자(40)가 결합되도록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고, 연결부(55a, 55b)는, 소정부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조자에 의하여 절단되어야 하는 부위이므로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고정단자 접점부(52a, 52b)는 2개의 가동단자(41, 46)와의 접촉을 통해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단자 접점부(52a, 52b)는, 상기 제1 가동단자 접점부(43)와 접점되는 위치의 본체부(51)에 구비된 제1 고정단자 접점부(52a)와, 제2 가동단자 접점부(48)와 접점되는 위치의 본체부(51)에 구비된 제2 고정단자 접점부(52b)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단자 접점부(52a, 52b)는 고장단자(5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별도로 제조되어 고장단자(50)와 결합하는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다.
3개의 연장부(53a, 53b, 53c)는, 제1 연장부(53a), 제2 연장부(53b) 및 제3연장부(53c)를 포함할 수 있다. 3개의 연장부(53a, 53b, 53c)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3개의 연장부(53a, 53b, 53c)의 상단은 인쇄회로기판(70)과 평행하게 절곡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에서, 3개의 연장부(53a, 53b, 53c)는 각각 상이한 3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자로 구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래 단수개의 터미널로 구비되어 하부 하우징(25)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 후에는 적어도 2군데의 소정부가 절단되어야 한다.
여기서 절단되어어야 할 2군데의 소정부는, 제1 연장부(53a)와 본체부(51)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55a)와, 제2 연장부(53b)와 본체부(51)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55b)일 수 있다.
2개의 가동단자(41,46)는 각각 조작노브(10)의 일측 회동 동작 및 타측 회동 동작에 의하여 별개로 이동되어 본체부(51)의 제1 고정단자 접점부(52a) 및 제2 고정단자 접점부(52b)와 접점되도록 제2방향에 대해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는 바, 본체부(51)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55a) 및 제2 연결부(55b) 또한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장부(53a, 53b, 53c)의 절곡된 부분은, 인쇄회로기판(70) 하면에 도포된 솔더 크림에 안착되어 오븐 내에서 결합되는 자동화 공정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종래 각각의 단자로부터 단자 핀이 구비되어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솔더공에 삽입되는 납땜되는 수동 솔더 결합 방식을 버리고 자동화 공정으로 전환함으로써 작업 시간 및 인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한편, 고장단자(50)의 3개의 연장부(53a, 53b, 53c)는 각각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연장부(53a)는 제1 가동단자(41)가 고장단자(50)에 형성된 2개의 고정단자 접점부(52a, 52b) 중 제1 고정단자 접점부(52a)와 접점되면 "창문을 올리는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연장부(53b)는 제2 가동단자(46)가 고장단자(50)에 형성된 2개의 고정단자 접점부(52a, 52b) 중 제2 고장단자 접점부(52b)와 접점되면 "창문을 올리는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제3 연장부(53c)는 미도시의 전원부로부터 고장단자(50)로 전원을 인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하부 하우징(25)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 고장단자(50) 중상기 제1 연결부(55a) 및 상기 제2 연결부(55b)를 절단하면, 상기 본체부(51)에 연결된 상기 제3연장부(53c)로부터 전원이 인가된 상태가 된다.
이때, 조작노브(10)가 풀링 동작에 의하여 당겨지면 푸셔(30) 중 어느 하나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제1 가동단자(41)를 가압하고, 제1 가동단자(41)의 제1 가동단자 접점부(43)가 제1 고정단자 접점부(52a)와 접점되면서 제1 연장부(53a)를 통해 제어부로 하여금 창문이 클로즈되도록 전기적으로 소통된다.
반대로, 조작노브(10)가 푸쉬 동작에 의하여 눌림되면 푸셔(30) 중 다른 하나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제2 가동단자(46)를 가압하고, 제2 가동단자(46)의 제2 가동단자 접점부(48)가 제2 고정단자 접점부(52b)와 접점되면서 제2 연장부(53b)를 통해 제어부로 하여금 창문이 오픈되도록 전기적으로 소통된다.
한편, 고장단자(50)는 제1 고정부(57)와 제2 고정부(58)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부(57)는 제1 마운트(57a)와 제2 마운트(57b)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아울러, 제2 고정부(58)는 제3 마운트(58a)와 제4 마운트(58b)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고정부(57, 58)는 제2방향으로 열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마운트(57a)의 끝단부에 제1 홈부(57c)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마운트(57b)의 끝단부에는 제2 홈부(57d), 제3 마운트(58a)의 끝단부에는 제3 홈부(58c), 제4 마운트(58b)의 끝단부에는 제4 홈부(58d)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57)는 제1 연장부(53a)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부(58)는 제2 연장부(53b)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 될 수 있다.
제1 고정부(57)는 제1 고정단자 접점부(52a)와 접점이 일어나는 제1 가동단자(4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고정부(58)는 제2 고정단자 접점부(52b)와 접점이 일어나는 제2 가동단자(46)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가동단자(41)는 가동단자 타단부(41b)가 제1 마운트(57a) 끝단에 형성된 제1 홈부(57c)에 끼움되고, 제1 탄성부(52)의 타단부도 제2 마운트(47b) 끝단에 형성된 제2 홈부(57d)에 끼움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동단자(56)는 가동단자 타단부(56b)가 제3 마운트(48a) 끝단에 형성된 제3 홈부(58c)에 끼움되고, 제2 탄성부(57)의 타단부도 제4 마운트(48b) 끝단에 형성된 제4 홈부(58d)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마운트들은 고정단자(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이격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구동되어 소정의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방식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조작을 하면, 조작력은 조작노브(10)를 통해 푸셔상단부(31)에 전달된다. 그러면 푸셔(3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푸셔하단부(32)와 접촉하는 가동단자(40)의 중간부분이 하방으로 어느 정도 밀리게 된다. 이때, 제1 가동단자(41)는 제1 탄성부로(42)부터 전달되는 탄성력과 제1 가동단자(41)의 고유의 저항력이 작용하여 푸셔 하단부(32)와 접촉되는 중간부분만이 변형되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사용자의 조작력이 제1 탄성부(42)의 탄성력 및 제1 가동단자(41)의 저항력보다 더 크게 작용할 경우 제1 탄성부(42)가 제1 마운트(57a)에 고정된 제1 가동단자 타단부(41b)를 중심으로 순간적으로 원호운동하고, 제1 가동단자(41)가 고정단에 형성된 제1 고정단자 접점부(52a)와 대향 접점됨으로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제2 가동단자(46)도 이와 마찬가지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는 수준에서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절도산이 형성된 회전력 전달부재 및 푸셔의 걸림부를 구비하여 조작감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푸셔 및 탄성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스크롤 버튼의 조작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하우징에 지지 홈이 형성된 복수의 지지대를 형성하고, 스크롤 버튼의 양측면에 돌출된 샤프트를 양측에서 지지함으로써 샤프트의 이탈을 방지 할 수 있는 이점을 창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 조작노브 20: 하우징부
21: 상부 하우징 30: 푸셔
40: 가동단자 41: 제1 가동단자
46: 제2 가동단자 50: 고정단자
60: 그라운드단자 61: 제1 그라운드 접점부
62: 제2 그라운드 접점부 70: 인쇄회로기판

Claims (7)

  1.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동하는 조작노브와;
    상기 조작노브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각종 전장소자가 결합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관통하고,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이동되는 푸셔와;
    상기 푸셔에 의해 이동되는 가동단자와;
    상기 가동단자와 접점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정단자와;
    상기 가동단자와 접촉되어 접지시키는 그라운드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단자와 접촉되는 상기 그라운드단자의 접점면은,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면과 일직선상에 형성되고,
    상기 그라운드단자는 플랫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에 일체로 이중 사출 성형방식으로 사출성형되고,
    상기 그라운드단자의 일단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면과 평행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에 연결되고,
    상기 가동단자는, 제1, 2 가동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동단자의 선단부에는 상기 그라운드단자와 접점하는 제1 가동단자 접점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가동단자의 선단부에는 상기 그라운드단자와 접점하는 제2 가동단자 접점부가 형성되고,
    상기 그라운드단자는,
    상기 제1 가동단자 접점부와 접촉하는 제1 그라운드 접점부와;
    상기 제2 가동단자 접점부와 접촉하는 제2 그라운드 접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자는,
    본체부와;
    상기 가동단자와 접점이 일어나는 고정단자 접점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세 개의 연장부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장부를 연결하는 두 개의 연결부 및
    상기 가동단자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단자의 일단부는,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부로 노출되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그라운드 접점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로 노출되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그라운드단자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고정 단자가 일체로 성형되는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KR2020170006614U 2017-12-21 2017-12-21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KR2004884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614U KR200488488Y1 (ko) 2017-12-21 2017-12-21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614U KR200488488Y1 (ko) 2017-12-21 2017-12-21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488Y1 true KR200488488Y1 (ko) 2019-05-21

Family

ID=6665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614U KR200488488Y1 (ko) 2017-12-21 2017-12-21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48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898A (ko) * 2000-07-27 2002-02-02 박재범 파워윈도우의 모듈스위치
JP2012119213A (ja) * 2010-12-02 2012-06-21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スイッチ装置
KR101686086B1 (ko) * 2016-11-11 2016-12-13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스위칭 장치
KR20180102810A (ko) * 2017-03-08 2018-09-18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마이크로 스위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898A (ko) * 2000-07-27 2002-02-02 박재범 파워윈도우의 모듈스위치
JP2012119213A (ja) * 2010-12-02 2012-06-21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スイッチ装置
KR101686086B1 (ko) * 2016-11-11 2016-12-13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스위칭 장치
KR20180102810A (ko) * 2017-03-08 2018-09-18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마이크로 스위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3870B2 (en) Switch device
CN101377981B (zh) 触发器开关
JP2018014276A (ja) スイッチ装置及び該スイッチ装置の製造方法
CA2609833A1 (en) Jack
US7564004B2 (en) Switch device
CN211319978U (zh) 按键式智能墙壁开关
EP1148524B1 (en) Seesaw-type power-supply switch device
KR200488488Y1 (ko)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KR101879652B1 (ko) 차량용 고부하 스위치
US10453630B2 (en) Surface mount snap switch
JP6901079B2 (ja) ハンドルスイッチ
EP1363301B1 (en) Power-supply switch device with detection switch
CN112216998A (zh) 一种方便操作的电连接器
KR200439215Y1 (ko)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
KR20170086762A (ko)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
KR101668255B1 (ko) 로터리 스위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3856B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CN217588784U (zh) 一种用于开关的驱动结构及具有其的开关
AU2016100830A4 (en) Multifunctional Connecting Device
KR20160001310U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용 컨택터
KR101378702B1 (ko) 전기 커넥터
CN218830912U (zh) 手控器及具有其的电动沙发椅
CN212659373U (zh) 一种带按压自锁开关的电位器
US20170278648A1 (en) Push type switch
JP6807578B2 (ja) ハンドルスイッ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