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6762A -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 - Google Patents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6762A
KR20170086762A KR1020160006161A KR20160006161A KR20170086762A KR 20170086762 A KR20170086762 A KR 20170086762A KR 1020160006161 A KR1020160006161 A KR 1020160006161A KR 20160006161 A KR20160006161 A KR 20160006161A KR 20170086762 A KR20170086762 A KR 20170086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knob
operated
lower portion
t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1020160006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6762A/ko
Publication of KR20170086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작동되는 노브가 구비된 커버부와; 커버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노브가 좌우방향으로 작동되는 힘을 전달하는 제1홀더와; 제1홀더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인쇄회로기판 및 부품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바디부와; 바디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노브가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는 힘을 전달하는 제2홀더와; 바디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홀더 및 제2홀더와 연동하여 상하 직선방향으로 움직이는 복수의 푸셔부와; 복수의 푸셔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노브의 작동에 따라 전기적인 접점 신호를 발생시키는 러버 컨택트로 형성된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A tilt and telescopic switch in vehicle steering system}
본 발명은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치의 조작감을 향상시키고, 4방향 작동을 할 수 있는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시스템은 운전자가 발생시킨 회전력을 차량의 바퀴에 전달할 수 있도록, 운전석에 설치되는 스티어링 휠과, 이 스티어링 휠에 연결되는 스티어링 샤프트와, 이 스티어링 샤프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그 외부에 설치되는 스티어링 컬럼 등을 구비하여 마련된다.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은 가변 스티어링 휠의 일종으로서, 틸트 기능은 스티어링 휠 각도를 가변시키는 기능이고, 텔레스코픽 기능은 스티어링 샤프트를 2중으로 하여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 길이를 신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으로 운전자의 체격 및 운전자의 자세에 맞도록 스티어링 컬럼을 조절하는 기능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는,
노브(11)가 구비된 커버부(10)와, 커버부(10)의 하부에 구비되고 노브(11)에서 작동되는 힘을 전달하는 홀더(20)와, 홀더(20)의 양측 하방에 구비되어 홀더(20)와 연동하여 상하 직선방향으로 움직이는 복수의 택트 스위치부(30)와, 홀더(20) 내부에 삽입되어 노브(11)가 작동되는 방향에 따라 하부에 힘을 전달하는 디텐트(40)와, 디텐트(40)의 상부에 구비된 탄성부재(41)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는, 스위치의 조작감을 결정하는 탄성부재(41), 디텐트(40), 택트 스위치부(30)만으로는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신호 전달 방식이 1대1 매칭탑입으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복수의 푸셔부의 하부에 러버 컨택트를 구비하여 스위치의 조작력을 향상시키고, 바디부에 제2홀더를 힌지결합하여 정확한 방향성을 가지고 스위치를 조작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에 있어서,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작동되는 노브가 구비된 커버부와; 커버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노브가 좌우방향으로 작동되는 힘을 전달하는 제1홀더와; 제1홀더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인쇄회로기판 및 부품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바디부와; 바디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노브가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는 힘을 전달하는 제2홀더와; 바디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홀더 및 제2홀더와 연동하여 상하 직선방향으로 움직이는 복수의 푸셔부와; 복수의 푸셔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노브의 작동에 따라 전기적인 접점 신호를 발생시키는 러버 컨택트를 포함한다.
또한, 제1홀더는 노브와 결합되고,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와, 커버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와, 상부로부터 하부의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제2홀더에 관통되어 삽입되는 제2홀더 결합부와, 하부의 끝단에 형성되고, 복수의 푸셔부와 접촉되는 접촉 리브를 포함한다.
또한, 제2홀더는 바디부의 상부와 힌지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제2홀더는 노브가 전후방향으로 작동될 때, 힌지 결합된 바디부를 중심으로 전후방향 회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바디부의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상단부의 내측에는 제2홀더가 힌지 결합되는 돌출리브가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제2홀더의 양 측단은 돌출리브에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제2홀더와 바디부가 힌지 결합하여 전, 후, 좌, 우 4방향의 작동이 가능하며, 노브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스위치의 신호 전달 방식을 전압분배 타입으로 전달하므로, 2개의 와이어 만을 사용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선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바람직한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인 경우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는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작동되는 노브(110)가 구비된 커버부(100)와; 커버부(100)의 하부에 구비되고, 노브(110)가 좌우방향으로 작동되는 힘을 전달하는 제1홀더(200)와; 제1홀더(200)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인쇄회로기판(700) 및 부품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바디부(300)와; 바디부(3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노브(110)가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는 힘을 전달하는 제2홀더(400)와; 바디부(3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홀더(200) 및 제2홀더(400)와 연동하여 상하 직선방향으로 움직이는 복수의 푸셔부(500)와; 복수의 푸셔부(500)의 하부에 배치되고, 노브(110)의 작동에 따라 전기적인 접점 신호를 발생시키는 러버 컨택트(600)를 포함한다.
커버부(100)는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작동되는 노브(110)가 구비될 수 있다. 노브(110)는 커버부(100)의 상부로 노출되어 운전자 등의 사용자의 조작력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커버부(100)는 커버부(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케이스(800)와 서로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00)는 하부 케이스(800) 및 후술하는 바디부(300)를 내부에 수용할 수도 있다.
커버부(100)의 상면에는, 노브(110)가 삽입되는 노브 삽입구(10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노브 삽입구(102)는 원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노브 삽입구(102)를 둘러싸고 있는 측면(102a)은 돔 형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부(100)의 상단부를 둘러싸는 테두리부(101)와 노브 삽입구(102)를 둘러싸고 있는 측면(102a) 사이는, 테두리부(101)에서 노브 삽입구(102)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홈(103)이 구비되어, 내부로의 수분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홀더(200)는 커버부(100)의 하부에 구비되고, 노브(110)가 좌우방향으로 작동되는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제1홀더(200)는 좌우방향의 시소형태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홀더(200)는 노브(110)와 결합되고,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210)와, 커버부(100)의 내측에 구비되고,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220)와, 상부(210)로부터 하부(220)의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제2홀더(400)에 관통되어 삽입되는 제2홀더 결합부(230)와, 하부(220)의 끝단에 형성되고, 복수의 푸셔부(500)와 접촉되는 접촉 리브(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홀더 결합부(230)는 노브(110)의 버튼(111, 112, 113, 114) 중 전방 또는 후방 버튼(113, 114)이 작동 될 때, 눌리는 힘을 제2홀더(400)에 전달 할 수 있다.
바디부(300)는 제1홀더(200)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인쇄회로기판(700) 및 각종 부품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700)에는 다양한 전기 소자가 배치될 수 있고, 이들 전기소자는 인쇄회로기판(700)에 형성되는 배선을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인쇄회로기판(700)은 러버 컨택트(600)와 하부 케이스(8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바디부(300)는 커버부(10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고, 바디부(300)의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상단부의 내측에는 제2홀더(400)가 힌지 결합되는 돌출리브(31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300)의 상단부는 제1홀더(200) 하부(220)의 내측으로 소정 부분이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바디부(300)의 상면(320)에는 후술하는 복수의 푸셔부(5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32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관통홀(320a)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부(300)의 하부에는 걸림홈(3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걸림홈(330)은 하부 케이스(800)에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리브(810)가 끼움결합 될 수 있다.
제2홀더(400)는 바디부(30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노브(110)가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는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제2홀더(400)는 바디부(300)의 상단부에 구비된 돌출리브(310)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작동하여 복수의 푸셔부(5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홀더(400)는 바디부(300)의 상단부와 힌지 결합될 수 있고, 노브(110)가 전후방향으로 작동될 때, 힌지 결합된 바디부(300)를 중심으로 전후방향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2홀더(400)의 양 측단은, 바디부(300)의 돌출리브(3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홀더(400)의 상하부 양 측단은, 바디부(300)의 돌출리브(310)에 힌지 결합되도록 복수의 힌지 결합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푸셔부(500)는 바디부(3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홀더(200) 및 제2홀더(400)와 연동하여 상하 직선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푸셔부(500)는 노브(110)의 방향에 각각 대응되도록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각각 4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러버 컨택트(600)는 복수의 푸셔부(500)의 하부에 배치되고, 노브(110)의 작동에 따라 전기적인 접점 신호를 발생시킬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러버 컨택트(600)는 인쇄회로기판(700)의 상면에 인쇄된 접점 회로를 접점 시키거나, 해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의 작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노브(110)의 버튼(111, 112, 113, 114) 중 좌측 또는 우측버튼(111, 112)을 작동시킬 경우, 좌측 또는 우측 버튼(111, 112)의 작동 방향에 따라, 제1홀더(200)의 좌측 또는 우측이 기울어지게되고,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된 복수의 푸셔부(500)와 접촉된다. 이후, 제1홀더(200)가 기울어지는 방향에 구비된 복수의 푸셔부(500)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복수의 푸셔부(500)는 하부에 구비된 러버 컨택트(600)를 눌러 접점 신호를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노브(110)의 버튼(111, 112, 113, 114) 중 전방 또는 후방 버튼(113, 114)을 작동시킬 경우, 전방 또는 후방 버튼(113, 114)의 작동 방향에 따라, 제2홀더 결합부(230)가 제2홀더(400)에 힘을 전달하면 제2홀더(400)의 전방 또는 후방이 기울어지게 되고,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된 복수의 푸셔부(500)와 접촉된다. 이후, 제2홀더(400)가 기울어지는 방향에 구비된 복수의 푸셔부(500)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복수의 푸셔부(500)는 하부에 구비된 러버 컨택트(600)를 눌러 접점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2홀더와 바디부가 힌지 결합하여 전, 후, 좌, 우 4방향의 작동이 가능하며, 노브의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스위치의 신호 전달 방식을 전압분배 타입으로 전달하므로, 2개의 와이어 만을 사용하여 원가를 절감을 할 수 있는 이점을 창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0 : 커버부 110 : 노브
200 : 제1홀더
300 : 바디부 310 : 돌출리브
400 : 제2홀더 410 : 힌지 결합부
500 : 복수의 푸셔부
600 : 러버 컨택트

Claims (6)

  1.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작동되는 노브가 구비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노브가 좌우방향으로 작동되는 힘을 전달하는 제1홀더와;
    상기 제1홀더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인쇄회로기판 및 부품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노브가 전후방향으로 작동되는 힘을 전달하는 제2홀더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홀더 및 상기 제2홀더와 연동하여 상하 직선방향으로 움직이는 복수의 푸셔부와;
    상기 복수의 푸셔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의 작동에 따라 전기적인 접점 신호를 발생시키는 러버 컨택트를 포함하는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는,
    상기 노브와 결합되고,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와;
    상기 커버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와;
    상기 상부로부터 상기 하부의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홀더에 관통되어 삽입되는 제2홀더 결합부와;
    상기 하부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푸셔부와 접촉되는 접촉 리브를 포함하는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홀더는, 상기 바디부의 상부와 힌지 결합되는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홀더는, 상기 노브가 전후방향으로 작동될 때, 힌지 결합된 상기 바디부를 중심으로 전후방향 회전하는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상단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2홀더가 힌지 결합되는 돌출리브가 형성된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홀더의 양 측단은, 상기 돌출리브에 결합되는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
KR1020160006161A 2016-01-19 2016-01-19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 KR20170086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161A KR20170086762A (ko) 2016-01-19 2016-01-19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161A KR20170086762A (ko) 2016-01-19 2016-01-19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762A true KR20170086762A (ko) 2017-07-27

Family

ID=59427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161A KR20170086762A (ko) 2016-01-19 2016-01-19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67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7366A1 (zh) * 2017-12-29 2019-07-04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旋钮结构、调焦旋钮、遥控器及云台
KR102161486B1 (ko) * 2019-04-19 2020-10-05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7366A1 (zh) * 2017-12-29 2019-07-04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旋钮结构、调焦旋钮、遥控器及云台
KR102161486B1 (ko) * 2019-04-19 2020-10-05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93319A1 (en) Control system with a handling knob
JP6674540B2 (ja) 車両用マルチオペレーティングスイッチユニット
JP2014116084A (ja) 多方向入力装置
KR101096925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JP2016225236A (ja) スイッチ装置
KR20170086762A (ko)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위치
JP6063201B2 (ja) 操作デバイス
JP2006224860A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KR101094034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JP6901079B2 (ja) ハンドルスイッチ
JP6877006B2 (ja) ハンドルスイッチ
JP4046107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6857778B2 (ja) スイッチ装置
JP5407636B2 (ja) 車載用の複合操作スイッチ
JP6729849B2 (ja) 操作ユニットの組み付け構造
WO2020129442A1 (ja) 操作装置
KR20180090074A (ko) 차량용 멀티 펑션 스위치
JP6807578B2 (ja) ハンドルスイッチ
KR101083139B1 (ko) 스위치 유니트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 장치
JP2009205987A (ja) 集合スイッチ
JP2006228620A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JP2006264600A (ja) 回路ユニット装置
KR101126484B1 (ko) 스위치 장치
WO2024029488A1 (ja) スイッチ装置
KR102515107B1 (ko) 차량용 터치 스위치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