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4286B1 - 연동 스위치 - Google Patents

연동 스위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286B1
KR100854286B1 KR1020070023740A KR20070023740A KR100854286B1 KR 100854286 B1 KR100854286 B1 KR 100854286B1 KR 1020070023740 A KR1020070023740 A KR 1020070023740A KR 20070023740 A KR20070023740 A KR 20070023740A KR 100854286 B1 KR100854286 B1 KR 100854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lock
movable
positioning
block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규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3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2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2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6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two operating members, one for opening and one for closing the same set of contacts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커버와, 외부 전기 요소와의 결합을 위한 베이스 커넥터가 구비되는 하우징 베이스를 구비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고정 접점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 일면에 상기 고정 접점과 단속을 이루는 가동 접점을 그리고 타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동 블록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가동 블록 가동 공간 내에서 탄성 지지되고 가동 가능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가동 블록과, 상기 가동 블록을 가동 방향에 대하여 탄성 지지하는 가동 블록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가동 블록부; 상기 가동 블록의 가동 방향에 수직하게 가동 가능하고 상기 가동 블록 돌기와 걸림 가능하게 형성된 한 쌍의 가동 블록 걸림부를 구비하는 포지셔닝 플레이트와, 상기 포지셔닝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포지셔닝 플레이트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동 블록 돌기 및 가동 블록 걸림부 중 어느 일측이 맞물리어 걸림 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다른 가동 블록 돌기 및 가동 블록 걸림부의 맞물림을 해제시키는 포지셔닝부;를 구비하는 연동 스위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동 스위치{INTERLOCKING SWITCH}
본 발명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의 조립성 및 작동성을 증대시킨 구조의 연동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되는데, 운전자의 조작성을 고려하여 각종 스위치들은 스티어링 부 및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에 집약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센터페시아에 배치되는 스위치로는 차량의 실내외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실내외 온도 조절 스위치와 차량 실내/실외 공기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실내외기 스위치 등이 배치된다. 이 중, 실내외기 스위치는 통상적으로 두 개의 스위치가 한 쌍을 이루며 배치되어 실내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실내 모드 스위치와 외기 유입을 허용하는 외기 모드 스위치를 구비하는데, 이들 스위치는 선택적 작동을 이룬다. 즉, 어느 하나의 모드 스위치가 선택되는 경우 다른 하나는 해제되는 구조를 취하는 연동 스위치 구조를 갖는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1-118453호에는 두 개의 누름판과 인터락 부재를 구비하는 스위치 인터락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동 스위치는 택일적 모드 선택을 위해 복잡한 기구적 구성요소를 구비하여 조립이 복잡하여 생산 속도 저하에 따른 생산선 저하 문제 및 제조 원가 증대 문제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의 증대에 따라 오작동 가능성 및 내구 연한 감소의 문제점들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구 연한을 증대시키고 작동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며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연동 스위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 커버와, 외부 전기 요소와의 결합을 위한 베이스 커넥터가 구비되는 하우징 베이스를 구비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고정 접점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 일면에 상기 고정 접점과 단속을 이루는 가동 접점을 그리고 타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동 블록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가동 블록 가동 공간 내에서 탄성 지지되고 가동 가능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가동 블록과, 상기 가동 블록을 가동 방향에 대하여 탄성 지지하는 가동 블록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가동 블록부; 상기 가동 블록의 가동 방향에 수직하게 가동 가능하고 상기 가동 블록 돌기와 걸림 가능하게 형성된 한 쌍의 가동 블록 걸림부를 구비하는 포지셔닝 플레이트와, 상기 포지셔닝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포지셔닝 플레이트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동 블록 돌기 및 가동 블록 걸림부 중 어느 일측이 맞물리어 걸림 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다른 가동 블록 돌기 및 가동 블록 걸림부의 맞물림을 해제시키는 포지셔닝부;를 구비하는 연동 스위치를 제공한다.
상기 연동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의 단부로 상기 가동 블록 가동 공간 내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가동 블록 이탈 방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 블록의 외주에는 상기 가동 블록 이탈 방지부와 접촉 가능한 가동 블록 스톱퍼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기 하우징 베이스를 향한 일면에는 상기 가동 블록의 가동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된 가동 블록 가동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 블록에는 상기 가동 블록 가동 가이드에 대응하는 가동 블록 가동 가이드 대응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동 블록 가동 공간을 향한 상기 하우징 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동 블록을 안내하기 위한 가동 블록 측면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 블록에는 상기 가동 블록 측면 가이드에 대응하는 가동 블록 축면 가이드 대응부가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기 가동 블록의 가동 방향에 수직한 내측면에는 상기 가동 블록 탄성 부재의 일단을 수용하는 가동 블록 탄성 부재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 블록의 단부에는 상기 가동 블록 탄성 부재의 타단을 수용하는 가동 블록 탄성 부재 수용부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는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의 접속에 의하여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가동 램프가 배치되고, 상기 가동 블록의 내부에는 상기 가동 램프를 수용하는 가동 램프 수용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동 블록 걸림부는 쐐기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가동 블록의 가동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가동 블록 걸림부 해제 안착단과, 상기 가동 블록의 가동 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동 블록 걸림부 경사면과, 상기 가동 블록 가동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동 블록 걸림부 걸림 안착단과, 상기 가동 블록 걸림부 경사면과 상기 가동 블록 걸림부 걸림 안착단의 접점이 이루는 가동 블록 걸림부 변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연동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부는 상기 포지셔닝 플레이트를 수용하는 포지셔닝 배치부를 구비하되, 상기 포지셔닝 배치부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기 하우징 베이스의 반대면에 형성되고, 상기 포지셔닝 배치부에는 상기 가동 블록 돌기를 관통시키는 가동 블록 돌기 관통구가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포지셔닝부는 상기 가동 블록 사이로 상기 가동 블록의 가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포지셔닝 블록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동 블록의 상기 포지셔닝 블록을 향한 단부에는 가동 블록 경사면을 그리고 상기 포지셔닝 블록의 상기 가동 블록을 향한 단부에는 상기 가동 블록 경사면에 대응하는 포지셔닝 블록 경사면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포지셔닝 배치부는 상기 포지셔닝 블록의 가동을 제한하는 포지셔닝 배치부 스톱퍼가 구비되고, 상기 포지셔닝 블록에는 상기 포지셔닝 배치부 스톱퍼에 대응하는 포지셔닝 블록 스톱퍼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포지셔닝부는 상기 포지셔닝 배치부를 덮는 포지셔닝 커버를 더 구비하되, 상기 포지셔닝 플레이트의 상기 포지셔닝 커버를 향한 일면에 구비되는 플레이트 가이드부와, 상기 포지셔닝 커버에는 상기 플레이트 가이드부에 대응하는 포지셔닝 커버 가이드부가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포지셔닝 플레이트의 상기 포지셔닝 배치부를 향한 일면에 플레이트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포지셔닝 배치부의 일면에는 상기 플레이트 슬라이딩 가이드부에 대응하는 플레이트 슬라이딩 가이드 대응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 스위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스위치(1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스위치(1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스위치(10)의 다른 시점에 따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스위치(10)의 하우징 커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가동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연동 스위치(10)는 하우징부(100)와, 인쇄회로기판(200)과, 가동 블록부(300)와, 포지셔닝부(400)를 구비하는데, 인쇄회로기판(200)은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가동 블록부(300)는 하우징부(100)의 내부에서 가동 가동하여 전기적 신호 변화를 생성하는 한 쌍의 가동 블록을 구비하고 포지셔닝부(400)는 어느 한 가동 블록이 가동되어 전기적 신호가 온 상태로 되는 경우 다른 가동 블록에 의한 전기적 신호는 오프 상태로 된다.
하우징부(100)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20)를 구비하는데, 하우징 커버(110)의 하우징 베이스(120)를 향한 단부에는 커버 결합부(111)가 구비되고 하우징 베이스(120)의 하우징 커버(110)를 향한 단부에는 베이스 결합부(121)가 구비되는데, 커버 결합부(111)와 베이스 결합부(121)는 서로 맞물리어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20) 간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결합부(111)는 돌기 형상으로 베이스 결합부(121)는 홈 형상으로 구비되었으나 서로 반대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음은 명백하다.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20)의 결합에 의하여 가동 블록 가동 공간(112)이 구획되는데, 하우징 커버(110)의 내부에는 중앙에 연장 형성된 영역에 의하여 내부 공간이 분할됨으로써, 가동 블록 가동 공간(112)은 한 쌍이 구비된다.
하우징 베이스(120)에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는 베이스 라인(122)이 배치되는데, 베이스 라인(122)은 인서트 사출되어 하우징 베이스(1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 베이스(120)는 베이스 커넥터(123)가 구비되는데, 여기서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베이스 라인(122)의 단부(터미널)는 베이스 커넥터(123)를 통하여 인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 전기 요소와 접속 가능한 베이스 커넥터(123)를 통하여 인출된 터미널은 베이스 라인(122)을 거쳐 하기되는 인쇄회로기판(20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인쇄회로기판(200)은 하우징부(100), 즉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데, 인쇄회로기판(200)에는 회로 배선(미도시)이 형성된다. 인쇄회로기판(200)은 하우징 베이스(120)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베이스 라인(122)의 타단과 전기적 접속을 이룬다.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으로 하기되는 가동 블록부(300)의 가동 블록(310)을 향한 일면에는 고정 접점(미도시)이 배치되는데, 고정 접점은 회로 배선을 통하여 베이스 라인(122)과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가동 블록부(300)는 가동 블록(310)과 가동 블록 탄성 부재(320)를 포함하는데, 가동 블록(310)은 하우징부(100)의 가동 블록 가동 공간(112)을 따라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가동 블록 탄성 부재(320)는 가동 블록(310)을 탄성 가능하게 지지하는데, 각각은 한 쌍이 구비되며 서로 가동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 되어 배치된다. 즉, 각각의 가동 블록 가동 공간(112)에 가동 블록(310)이 배치되고 가동 블록 탄성 부재(320)는 하우징 커버(110)의 가동 블록(310)의 가동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된 내면과 가동 블록(310)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가동 블록(310)은 가동 블록 가동 공간(112) 내에서 가동되되 가동 블록(310)의 가동 방향으로 가동 블록 탄성 부재(32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가동 블록(310)의 일면에는 가동 블록 돌기(319)가 배치되는데, 가동 블록(310)의 일면, 즉 인쇄회로기판(200)을 향한 면의 반대면으로 하우징 커버(110)를 향한 일면,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되는 포지셔닝 플레이트(430)를 향한 일면에 가동 블록 돌기(319)가 구비되는데, 가동 블록 돌기(319)는 가동 블록(310)에 형성되는 가동 블록 돌기 고정구(318)에 삽입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동 블록 돌기는 가동 블록과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가동 블록 돌기 고정구에 삽입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본 발명의 가동 블록과 가동 블록 돌기는 사출 성형을 통한 일체로 구현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다만, 하기되는 포지셔닝부의 가동 블록 돌기 걸림부와의 맞물림에 의하여 발생하는 변형으로 인한 작동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제거하기 위하여, 가동 블록 돌기는 금속 재료로 구현될 수 있도록 가동 블록과 별개의 구성요소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동 블록부(300)는 가동 접점(330)을 구비한다. 가동 접점(330)은 가동 블록(310)의 타면, 즉 인쇄회로기판(200)을 향한 일면에 배치되어 가동 블록(310)과 함께 가동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형성된 고정 접점(미도시)과의 접촉의 단속을 통하여 전기적 소통의 단속을 이룬다. 가동 블록(310, 도 5 참조)에는 가동 접점(330)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는데, 가동 블록(310)의 일면으로 고정 접점(미도시)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200)을 향한 일면에 돌출 형성된 가동 접점 지지부(315)가 구비되는데, 가동 접점 지지부(315)는 가동 블록(310)의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가동 접점(330)의 일단에는 가동 접점 접속단(331)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가동 접점 지지단(333)이 구비되는데, 가동 접점 접속단(331)은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과 접속되고 가동 블록(310)이 가동됨에 따라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형성되는 고정 접점(미도시)과의 접속을 통한 전기적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가동 접점 지지단(333)은 가동 블록 접점 지지부(315)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를 취한다. 여기서, 가동 접점(330)은 양단 사이에 굴곡진 부위를 구비하여 굴곡진 부위가 가동 블록(310)에 의하여 지지되고 가동 블록 접점 지지단(333)은 가동 블록 접점 지지부(315)에 의하여, 그리고 가동 접점 접속단(331)은 인쇄회로기판(200)에 의하여 탄성 변형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가동 접점을 가동 블록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가동 블록(310)의 가동 접점 지지부(315)의 인근에는 돌출 형성되는 가동 접점 이탈 방지부(316)가 구비되고, 가동 접점(330)의 가동 접점 이탈 방지부(316)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가동 접점 홈(332)이 구비되는데, 가동 접점(330)이 가동 블록(310)에 장착되는 경우 가동 접점 이탈 방지부(316)는 가동 점점 홈(332)에 삽입 배치됨으로써 가동 블록(310)이 가동되더라도 고정 접점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 과의 접촉에 따른 마찰에 의하여 가동 접점(330)이 가동 블록(310)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방지한다.
가동 블록부(300)는 가동 블록에 의한 가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블록부(300)는 가동 램프(360)를 더 구비하는데, 가동 램프(360)는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배치되되 가동 블록(310)의 내부에는 가동 램프(360)를 수용하는 가동 램프 수용부(317)가 구비된다. 따라서, 가동 블록(310)의 가동에 의하여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접촉하여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경우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상응하여 가동 램프(360)가 점등되고 가동 램프(360)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가동 램프 수용부(317)을 거쳐 외부로 전달된다.
가동 블록(310)의 선단에는 가동 블록 커버(350)가 배치되는데, 가동 블록(310)과 가동 블록 커버(350) 간의 연결은 가동 블록 연결부(340)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가동 블록 커버(350)의 외주에는 가동 블록 커버 체결부(351)가 구비되고, 가동 블록 연결부(340)의 외주에는 가동 블록 커버 체결부(351)에 상응하는 가동 블록 연결 커버 체결부(341)가 구비되어 이들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양자 간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가동 블록(310)의 외주에는 가동 블록 체결부(310a)가 구비되고, 가동 블록 연결부(340)의 외주에는 가동 블록 체결부(310a)에 상응하는 가동 블록 연결 블록 체결부(3420가 구비되어 이들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양자 간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가동 블록 커버(350)의 선단에는 빛을 출사시키기 위한 커버 광출사구(352)가 구비되고, 가동 블록 연결부(340)에는 관통구가 구비되는데, 가동 블록 연결부(340)에 형성된 관통구는 가동 블록(310)의 가동 램프 수용부(317)와 소통을 이루어 가동 램프 수용부(317)에 배치된 가동 램프(360)에서 생성된 빛이 가동 램프 수용부(317)로부터 가동 블록 연결부(340)의 관통구를 거쳐 가동 블록 커버(350)의 커버 광출사구(352)를 통하여 출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가동 블록 연결부(340)의 관통구의 중앙에는 가동 램프로부터의 빛이 분산되어 빛의 광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격리판(343)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가동 블록 탄성 부재(320)는 가동 블록(3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데, 여기서 가동 블록 탄성 부재(320)는 코일 스프링 타입으로 구현되었으나 본 발명의 가동 블록 탄성 부재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동 블록 탄성 부재(320)의 일단은 하우징 커버(110)의 내측면에 의하여 지지되고 타단은 가동 블록(310)의 일측과 접한다. 경우에 따라 하우징 커버 및/또는 가동 블록에는 가동 블록 탄성 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커버(110)의 내측면으로 가동 블록(310)의 가동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내측면에는 가동 블록 탄성 부재 장착부(114)가 구비되는데, 가동 블록 탄성 부재 장착부(114)는 가동 블록 탄성 부재(320)의 일단을 수용한다. 여기서, 가동 블록 탄성 부재 장착부(114)의 중심에는 가동 블록 탄성 부재 장착부 관통구(115)가 구비되는데, 이는 가동 블록 탄성 부재(320)의 일단을 가동 블록 탄성 부재 장착부(114)에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분리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동 블록(310)의 일단에는 가동 블록 탄성 부재 수용부(313, 도 7 참조)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가동 블록 탄성 부재 수용부(313)는 가동 블록(310)의 일단으로 가동 블록(310)의 가동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는데, 가동 블록 탄성 부재(320)의 타단은 가동 블록 탄성 부재 수용부(313)에 수용되어 가동 블록(310)의 가동에 따라 발생하는 가동 블록 탄성 부재(320)의 탄성 변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 블록 탄성 부재에 의하여 탄성력을 제공받는 가동 블록이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원치 않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하우징 커버(110)는 가동 블록 이탈 방지부(113)를 구비하고 가동 블록(310)은 가동 블록 스톱퍼(311)를 구비하는데, 가동 블록 이탈 방지부(113)는 하우징 커버(110)의 단부로 가동 블록 가동 공간(112) 내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가동 블록 스톱퍼(311)는 가동 블록(310)의 외주로 가동 블록 이탈 방지부(113)에 대응하여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즉, 가동 블록 이탈 방지부(113)는 하우징 커버(110)의 일단으로 가동 블록(310)의 선단이 인출되는 부분으로 중심으로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네 개의 돌기 구조를 이루고, 가동 블록 스톱퍼(311)는 가동 블록(310)의 외주로 가동 블록(310)의 가동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는데, 돌출 형성되는 가동 블록 이탈 방지부의 돌기 구조는 상기 개수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가동 블록(310)이 가동 블록 가동 공간(112)으로부터 과도하게 인출되는 경우, 가동 블록 스톱퍼(311)가 하우징 커버(110)의 가동 블록 이탈 방지부(113)와 맞닿아 가동 블록(310)이 사전 설정된 위치를 넘어 가동 블록 가동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가동 블록이 하우징 커버와 하우징 베이스에 의하여 구획되는 가동 블록 가동 공간에서의 원활한 가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 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커버(110)는 가동 블록 가동 가이드(116)를 구비하고 가동 블록(310)은 가동 블록 가동 가이드 대응부(312)를 구비하는데, 가동 블록 가동 가이드(116)는 하우징 커버(110)의 하우징 베이스(120)를 향한 일면에 구비되고 가동 블록 가동 가이드 대응부(312)는 가동 블록 가동 가이드(116)에 대응하여 하우징 커버(110)를 향하여 가동 블록(310)에 형성된다. 가동 블록 가동 가이드(116)와 가동 블록 가동 가이드 대응부(312)는 가동 블록(310)의 가동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가동 블록 가동 가이드(116)가 가동 블록 가동 가이드 대응부(312)가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취하여 가동 블록(310)이 가동되는 경우 양자 간의 맞물림을 유지하여 가동 블록(310)이 안정적으로 가동될 수도 있도록 한다. 여기서, 가동 블록 가동 가이드가 돌기 구조로, 그리고 가동 블록 가동 가이드 대응부가 홈 구조로 형성되었으나 이들이 서로 반대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가동 블록과 하우징 커브는 가동 블록의 가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하우징 커버(110)의 내측면에는 가동 블록(310)을 안내하기 위한 가동 블록 측면 가이드(117)가 구비되고 가동 블록(310)에는 가동 블록 측면 가이드(117)에 대응하는 가동 블록 가동 가이드 대응부(314)가 구비될 수 있다. 가동 블록 측면 가이드 대응부(314)는 가동 블록(310)의 측면으로부터 가동 블록(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고, 가동 블록 측면 가이드(117)는 가동 블록 가동 공간의 내측 중심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돌기 구조를 취하는데, 가동 블록 측면 가이드(117)는 가동 블록 측면 가이드 대응부(314)의 일측면을 지지함으로써 가동 블록 측면 가이드(117)와 가동 블록 측면 가이드 대응부(314)가 서로 접촉을 유지하며 지지되는 구조를 취하여, 가동 블록(310)이 가동 블록 가동 공간(112)에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포지셔닝부(400)는 포지셔닝 플레이트(430)와 포지셔닝 플레이트 탄성부(440)를 구비하는데, 포지셔닝 플레이트(430)는 가동 블록(310)의 가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포지셔닝 플레이트 탄성부(440)는 포지셔닝 플레이트(43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포지셔닝 플레이트(430)의 일면으로 가동 블록(310)의 가동 블록 돌기(319)를 향한 일면 상에는 한 쌍의 가동 블록 걸림부(437)가 배치된다. 가동 블록 걸림부(437)는 각각의 가동 블록의 가동 블록 돌기(319)와 마주하여 형성되고 가동 블록 돌기(319)와 맞물림에 의한 걸림이 가능한데, 한 쌍의 가동 블록 돌기(319) 및 가동 블록 걸림부(437) 중 어느 일측이 맞물리어 서로 걸리는 경우 다른 가동 블록 돌기와 가동 블록 걸림부의 맞물림은 해제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동 블록 걸림부(437)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가동 블록 걸림부(437)는 가동 블록 돌기(319)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가동 블록의 걸림 상태 및 걸림 해제 상태를 형성한다. 가동 블록 걸림부(437)는 가동 블록 걸림부 해제 안착단(433)과, 가동 블록 걸림부 경사면(434)과, 가동 블록 걸림부 변환단(435)과, 가동 블록 걸림부 걸림 안착단(436)을 구비하는데, 이들은 연속적으로 이어지며 형성된다. 가동 블록 걸림부 해제 안착단(433)은 가동 블록(310)의 가동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가동 블록 걸림부 경사면(434)은 가동 블록(310)의 가동 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가동 블록 걸림부 걸림 안착단(436)은 가동 블록 가동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는데, 가동 블록 걸림부 경사면(434)과 가동 블록 걸림부 걸림 안착단(436)의 접점은 가동 블록 걸림부 변환단(435)을 형성한다. 가동 블록 걸림부(437)의 가동 블록 걸림부 해제 안착단(433)은 포지셔닝 플레이트(430)의 가동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가동 블록 걸림부 해제 연장단(438)과 연결되는데, 가동 블록 걸림부 해제 연장단(438)은 걸림 상태가 해제된 상태의 가동 블록에 대하여 포지셔닝 플레이트가 가동될 때 접촉하여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셔닝 플레이트와 포지셔닝 플레이트 탄성 부재는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른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포지셔닝부(400)는 포지셔닝 플레이트(430)를 수용하는 포지셔닝 배치부(420)를 구비하되, 포지셔닝 배치부(420)는 하우징 커버(110)의 하우징 베이스(120)의 반대면에 형성되고, 하우징 커버(110)에는 가동 블록 돌기 관통구(422)가 형성된다. 즉, 하우징 커버(110)의 일면으로 하우징 베이스(120)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 측 일면에는 포지셔닝 배치부(420)가 홈을 이루며 형성되는데, 포지셔닝 배치부(420)는 포지셔닝 커버(410)에 의하여 덮이는 구조를 취한다. 포지셔닝 플레이트(430)는 포지셔닝 배치부(420)에 가동 블록의 가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가동 블록(310)에 구비되는 가동 블록 돌기(319)는 가동 블록 돌기 관통구(422)를 관통하여 포지셔닝 플레이트(430)의 가동 블록 걸림부(437)와 접한다.
포지셔닝 플레이트 탄성 부재(440)는 코일 스프링 타입으로 구현되는데, 포지셔닝 플레이트 탄성 부재(440)가 이와 같은 유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포지셔닝 플레이트(430)의 측면에는 플레이트 탄성 부재 장착부(432)가 배치되는데, 포지셔닝 플레이트 탄성 부재(440)의 일단은 플레이트 탄성 부재 장착부(432)와 연결된다. 포지셔닝 플레이트 탄성 부재(440)의 타단은 포지셔닝 배치부(420)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지지되는데, 포지셔닝 배치부(420)에는 플레이트 탄성 부재 가이드부(423)가 배치되어 포지셔닝 플레이트 탄성 부재(440)의 탄성 변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도록 안내하는 구조를 취하고 포지셔닝 플레이트 탄성 부재(440)가 원치 않게 포지셔닝 배치부(420)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지셔닝 배치부에서의 포지셔닝 플레이트의 안정적인 슬라이딩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2,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지셔닝 플레이트(430)의 일면으로 포지셔닝 커버(410)를 향한 일면에는 플레이트 가이드부(431)가 형성되고 포지셔닝 커버(410)에는 플레이트 가이드부(431)에 대응하는 포지셔닝 커버 가이드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 가이드부(431)는 포지셔닝 플레이트(43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기 구조를 취하고, 포지셔닝 커버 가이드부(411)는 플레이트 가이드부(431)를 수용하는 홈 구조로 구현되는데, 플레이트 가이드부(431)가 포지셔닝 커버 가이드부(411)에 삽입되어 포지셔닝 플레이트(430)가 포지셔닝 배치부(420)에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가이드부는 돌기 구조로 그리고 포지셔닝 커버 가이드부는 홈 구조로 형성되었으나 서로 반대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음은 상기 구조로부터 명백하다.
또한, 포지셔닝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정적으로 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포지셔닝 배치부와 포지셔닝 플레이트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포지셔닝 플레이트(430)의 일면으로 하우징 베이스(120)를 향한 일면에 플레이트 슬라이딩 가이드부(438)가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는 포지셔닝 배치부(420)의 일면에는 플레이트 슬라이딩 가이드 대응부(421)가 구비될 수 있다. 플레이트 슬라이딩 가이드부(438)는 포지셔닝 플레이트(43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형성된 홈 구조를, 그리고 플레이트 슬라이딩 가이드 대응부(421)는 돌기 구조를 취하여 플레이트 슬라이딩 가이드부(438)와 슬라이딩 가이드 대응부(421)가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포지셔닝 플레이트(430)가 포지셔닝 배치부(420) 내에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들의 구조가 서로 반대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음은 상기 실시예에서 명백하다.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셔닝부는 가동 블록의 선택적 가동, 즉 어느 한쪽만의 가동이 이루어짐을 보다 확고히 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포지셔닝부(400)는 포지셔닝 블록(450)을 더 구비하고 포지셔닝 배치부(420)에는 포지셔닝 블록(450)을 수용하는 포지셔닝 블록 배치구(424)가 구비되는데, 포지셔닝 블록(450)은 한 쌍의 가동 블록(310) 사이로 가동 블록(310)의 가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포지셔닝 블록(450)의 단부로, 가동 블록(310)을 향한 단부에는 포지셔닝 블록 경사면(451, 도 11 참조)이 구비되고, 가동 블록(310)의 단부로 포지셔닝 블록(450)을 향한 단부에는 가동 블록 경사면(310-2, 도 8 참조)가 구비되는데, 포지셔닝 블록 경사면(451)과 가동 블록 경사면(310-2)은 서로 접촉 가능하도록 한 쌍이 구비되고 이들 각각의 경사면은 가동 블록의 가동 방향 또는 포지셔닝 블록의 가동 방향에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가동 블록 중 어느 하나가 걸림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걸림 상태를 유지하는 가동 블록의 가동 블록 경사면은 포지셔닝 블록의 포지셔닝 블록 경사면과 접하여 포지셔닝 블록을 다른 가동 블록 측으로 이동시켜 다른 가동 블록이 동시에 걸림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보다 확고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포지셔닝 블록이 가동 블록과 접하여 가동되는 경우 포지셔닝 블록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지셔닝 배치부(420)는 포지셔닝 배치부 스톱퍼(425)를 구비하고 포지셔닝 블록(450)은 포지셔닝 블록 스톱퍼(452)를 구비하는데, 포지셔닝 배치부 스톱퍼(425)는 포지셔닝 블록 배치구(424)의 내부로 포지셔닝 블록(450)을 향하여 서로 D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두 개의 돌기로 형성되고, 포지셔닝 블록 스톱퍼(452)는 하우징 베이스(120)를 향한 일면의 중심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로 형성된다. 포지셔닝 블록 스톱퍼(452)가 포지셔닝 블록 배치부 스톱퍼(425)와 맞닿아 포지셔닝 블록(450)의 가동 범위를 D로 제한하여, 포지셔닝 블록(450)의 단부가 포지셔닝 블록 배치구(452)의 내측과 접하여 포지셔닝 블록이 포지셔닝 블록 배치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포지셔닝 커버(410)의 일면으로 포지셔닝 배치부(420)를 향한 일면에는 돌출 형성되는 구조의 포지셔닝 커버 돌기(412)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포지셔닝 커버 돌기(412)는 포지셔닝 블록 배치구(452)에 배치된 포지셔닝 블록(450)의 일면을 지지함으로서 포지셔닝 블록과 가동 블록의 접촉에 의하여 포지셔닝 블록이 포지셔닝 블록 배치구로부터 원치 않게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동 스위치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 도 14, 도 17, 도 20 및 도 23은 연동 스위치(1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상태도이고, 도 15 내지 도 19,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연동 스위치의 작동 상태에 따른 일부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도를 도시하는데, 이들은 본 발명의 연동 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가동 블록, 포지셔닝 플레이트 및 포지셔닝 블록을 위주로 도시되었으며 다른 구성요소들은 생략되었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스위치(10)의 한 쌍의 가동 블록(310L,310R)이 각각의 고정 접점/가동 접점(도 2 및 도 3 참조)을 분리시키는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상태도를 도시한다. 각각의 가동 블록(310L,310R)은 가동 블록 탄성 부재(320, 도 2 및 도 3 참조)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다. 포지셔닝 플레이트(430)은 포지셔닝 플레이트 탄성 부재(미도시, 도 2 및 도 3 참조)에 의하여 F의 초기 탄성력을 제공받는데, 가동 블록(310)에 형성된 가동 블록 돌기(319)는 포지셔닝 플레이트(430)에 형성된 한 쌍의 가동 블록 걸림부(317, 도 9 참조)의 가동 블록 걸림부 해제 안착단(433)과 접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포지셔닝 블록(450)은 선 O-O로 표현되는 선분에 중심을 맞추는 상태를 유지하는데, 포지셔닝 블록(450)의 가동 블록(310L,310R)을 향한 단부에는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 경사면(451L,451R)이 형성되는데, 각각의 포지셔닝 블록 경사면은 가동 블록의 가동 블록 경사면과 분리 상태를 형성한다.
그런 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등에 의하여 한 쌍의 가동 블록 중 어느 하나, 즉 좌측 가동 블록(310L)에 가동 블록 탄성 부재의 초기 탄성력보다 큰 외력(P)이 인가되는 경우, 좌측 가동 블록(310L)은 외력이 작용한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좌측 가동 블록(310L)에 형성된 좌측 가동 블록 돌기(319L, 도 15)는 좌측 가동 블록 걸림부(437L)의 가동 블록 걸림부 해제 안착단으로부터 가동 블록 걸림부 경사면을 따라 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함으로써, 포지셔닝 플레이트(430)는 우측 방향으로 위치 변동을 이룬다. 포지셔닝 플레이트(430)의 위치 변형에 따라 포지셔닝 플레이트(430)를 지지하는 포지셔닝 플레이트 탄성 부재(440)는 탄성 변형되어 포지셔닝 플레이트(430)에 F'만큼의 반력을 제공한다. 이때, 좌측 가동 블록(310L)의 가동 블록 경사면(310-2L)은 포지셔닝 블록(450)의 포지셔닝 블록 경사면(451L)과 접촉을 이루고, 포지셔닝 플레이트(430)의 다른 일면에 형성된 플레이트 가이드부(431L)는 포지셔닝 커버(410, 도 2 및 도 9 참조)의 포지셔닝 커버 가이드부(411)를 따라 안내된다.
좌측 가동 블록 돌기(319L)가 가동 블록 걸림부 경사면과 접촉을 이룬 후, 더 많은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도 17), 가동 블록(310)은 외력의 방향으로 더욱 가동되고, 좌측 가동 블록 돌기(319L)는 쐐기 형상 가동 블록 걸림부(437L)의 가동 블록 걸림부 변환단(435)를 넘어 가동 블록 걸림부 걸림 안착단(436)과 접하는데, 포지셔닝 플레이트(430)는 포지셔닝 플레이트 탄성 부재(440)에 의한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좌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초기 상태로 변환된다. 가동 블록(310L)이 가동되는 경우 가동 블록 탄성 부재(320)는 탄성 변형되어 가동 블록(310)에 탄성력(Ps)을 제공한다. 이때, 외력(P)이 제거되더라도 가동 블록(310L)에 형성되는 가동 블록 돌기(319L)는 가동 블록 걸림부 걸림 안착단(436, 도 9 참조)과 맞물림으로써, 가동 블록(310L)은 가동 블록 탄성 부재(320)의 탄성력(Ps)에 의하여 원위치되지 않고 걸림 상태를 유지한다(도 18).
이와 동시에, 가동 블록(310L)에 형성되는 가동 접점(330, 도 3 참조)과 인쇄회로기판(200)상의 고정 접점(미도시)은 접촉을 이루어 온 상태를 형성하는 소정의 전기적 소통 상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가동 블록 중 어느 하나의 가동 블록이 걸림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포지셔닝 블록(450)은 다른 가동 블록을 향하여 거리 s만큼 이동하여 다른 하나의 가동 블록이 걸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공간을 점유함으로써 다른 하나가 동시에 걸림 상태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함을 보다 확고하게 한다(도 19).
그런 후, 교호적으로 우측 가동 블록(310R)에 외력(P)이 인가되는 경우(도 20), 좌측 가동 블록(310L)의 작동 과정과 유사하게, 가동 블록 걸림부(437R)의 가동 블록 걸림부 해제 안착단(433R)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던 가동 블록 돌기(319R)는 가동 블록 걸림부 경사면(434R)과 접함으로써 가동 블록에 인가되는 외력은 포지셔닝 플레이트에 전달되어 우측으로 이동한다. 포지셔닝 플레이트(430)가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서, 좌측 가동 블록(310L)의 가동 블록 돌기(319L)는 가동 블록 걸림부(437L)의 가동 블록 걸림부 걸림 안착단(436L)으로부터 가동 블록 걸림부 변환단(435L)을 향하여 상대 이동하여 접촉 상태가 변환된다(도 21). 이때, 포지셔닝 블록(450)은 좌측 가동 블록(310L)의 가동 블록 경사면(310-2L)과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한다(도 22).
그런 후, 외력(P)이 우측 가동 블록(310R)에 지속적으로 인가되는 경우(도 23), 우측 가동 블록(310R)의 가동 블록 돌기(319R)는 가동 블록 걸림부 변환단(435R)을 넘어 가동 블록 걸림부 걸림 안착단(436R)과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좌측 가동 블록(310L)의 가동 블록 돌기(319L)는 가동 블록 걸림부 걸림 변환단(435L)을 넘어 가동 블록 걸림부 경사면(434L)으로 접촉 상태가 변화된다. 이때, 좌측 가동 블록(310L)에는 가동 블록 탄성 부재(320)에 의한 탄성 복원력(Ps)에 의하여 좌측 가동 블록(310L)은 원위치로 이동하여, 가동 블록 돌기(319L)는 가동 블록 걸림부 해제 안착단(433L)과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도 24). 우측 가동 블록(310R)이 걸림 상태를 형성하고, 좌측 가동 블록(310L)은 걸림 상태로부터 해제됨으로써, 우측 가동 블록(310R)에 의하여 전기적 온 상태가 형성되고 좌측 가동 블록(310L)에 의하여는 전기적 오프 상태가 형성된다. 이 경우, 우측 가동 블록(310R)의 우측 가동 블록 경사면(310-2R)은 포지셔닝 블록(450)의 포지셔닝 블록 경사면(451R)과 접촉을 이루고 우측 가동 블록(310R)의 가동 방향으로 인가되는 외력은 포지셔닝 블록(450)에 전달되어 포지셔닝 블록(450)을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좌측 가동 블록(310)이 걸림 상태에서 배치되는 공간을 점유하여 우측 가동 블록과 좌측 가동 블록이 동시에 걸림 상태를 형성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도 25).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동 스위치는 포지셔닝 플레이트가 하우징 커버와 하우징 베이스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고, 포지셔닝 블록도 하우징 커버와 하우징 베이스 사이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고 자동차의 실내외기 선택 스위치 이외에 다른 택일적 기능을 요하는 연동 스위치에 적용될 수도 있는 등, 가동 블록 돌기를 갖는 한 쌍의 가동 블록이 가동 블록과 수직한 방향으로 가동되고 가동 블록 걸림부를 갖는 포지셔닝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어느 한 가동 블록의 가동 블록 돌기와 가동 블록 걸림부가 걸리는 경우 다른 하나의 가동 블록의 가동 블록 돌기와 가동 블록 걸림부의 걸림이 해제되는 구성을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 스위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연동 스위치는, 가동 블록 돌기를 갖는 한 쌍의 가동 블록과 가동 블록 걸림부를 갖고 가동 블록의 가동 방향에 수직하게 슬라이딩 운동하는 포지셔닝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간단한 구조로 인한 조립 생산성을 최대화시키는 연동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연동 스위치는, 포지셔닝 플레이트가, 하우징 커버에 형성되고 포지셔닝 커버에 의하여 폐쇄되는 포지셔닝 배치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여, 다른 구성요소와의 작동 간섭을 배제하여 보다 견고한 작동성을 확보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하여 생산 속도 증대 및 불량률 감소에 따라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연동 스위치는, 가동 블록의 가동 방향에 수직하게 가동되되 가동 블록에 형성된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는 간단한 구조의 포지셔닝 블록을 통하여 연동 스위치의 한 쌍의 가동 블록 중 하나의 가동 블록만을 선택적으로 가동시키는 보다 확실한 구조를 제공하여 오작동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스위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스위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스위치의 하우징 커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스위치의 가동 블록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 A-A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가동 접점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가동 블록의 단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스위치의 포지셔닝 플레이트 및 포지셔닝 커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포지셔닝 배치부의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포지셔닝 블록 및 포지셔닝 배치부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포지셔닝 블록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스위치의 초기 오프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스위치의 좌측 가동 블록의 작동 초기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4의 가동 블록 걸림부 및 포지셔닝 블록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부분 확대 상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스위치의 좌측 가동 블록의 온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도 17의 가동 블록 걸림부 및 포지셔닝 블록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부분 확대 상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스위치의 우측 가동 블록의 작동 초기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도 20의 가동 블록 걸림부 및 포지셔닝 블록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부분 확대 상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스위치의 우측 가동 블록의 온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 24 및 도 25는 도 23의 가동 블록 걸림부 및 포지셔닝 블록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부분 확대 상태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연동 스위치 100..하우징부
110...하우징 커버 120...하우징 베이스
200...인쇄회로기판 300...가동 블록부
310..가동 블록 319...가동 블록 돌기
320...가동 블록 탄성 부재 400...포지셔닝부
430...포지셔닝 플레이트 437...가동 블록 걸림부
440...포지셔닝 플레이트 탄성부 450...포지셔닝 블록

Claims (12)

  1. 하우징 커버와, 외부 전기 요소와의 결합을 위한 베이스 커넥터가 구비되는 하우징 베이스를 구비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고정 접점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
    일면에 상기 고정 접점과 단속을 이루는 가동 접점을 그리고 타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동 블록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가동 블록 가동 공간 내에서 탄성 지지되고 가동 가능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가동 블록과, 상기 가동 블록을 가동 방향에 대하여 탄성 지지하는 가동 블록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가동 블록부;
    상기 가동 블록의 가동 방향에 수직하게 가동 가능하고 상기 가동 블록 돌기와 각각 걸림 가능하게 형성된 한 쌍의 가동 블록 걸림부를 구비하는 포지셔닝 플레이트와, 상기 포지셔닝 플레이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포지셔닝 플레이트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동 블록 돌기 및 가동 블록 걸림부 중 어느 일측이 맞물리어 걸림 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다른 가동 블록 돌기 및 가동 블록 걸림부의 맞물림을 해제시키는 포지셔닝부;를 구비하는 연동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의 단부로 상기 가동 블록 가동 공간 내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가동 블록 이탈 방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 블록의 외주에는 상기 가동 블록 이탈 방지부와 접촉 가능한 가동 블록 스톱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스위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기 하우징 베이스를 향한 일면에는 상기 가동 블록의 가동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된 가동 블록 가동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 블록에는 상기 가동 블록 가동 가이드에 대응하는 가동 블록 가동 가이드 대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스위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블록 가동 공간을 향한 상기 하우징 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동 블록을 안내하기 위한 가동 블록 측면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 블록에는 상기 가동 블록 측면 가이드에 대응하는 가동 블록 축면 가이드 대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스위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기 가동 블록의 가동 방향에 수직한 내측면에는 상기 가동 블록 탄성 부재의 일단을 수용하는 가동 블록 탄성 부재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동 블록의 단부에는 상기 가동 블록 탄성 부재의 타단을 수용하는 가동 블록 탄성 부재 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스위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는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의 접속에 의하여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가동 램프가 배치되고, 상기 가동 블록의 내부에는 상기 가동 램프를 수용하는 가동 램프 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스위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블록 걸림부는 쐐기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가동 블록의 가동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가동 블록 걸림부 해제 안착단과, 상기 가동 블록의 가동 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동 블록 걸림부 경사면과, 상기 가동 블록 가동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동 블록 걸림부 걸림 안착단과, 상기 가동 블록 걸림부 경사면과 상기 가동 블록 걸림부 걸림 안착단의 접점이 이루는 가동 블록 걸림부 변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스위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부는 상기 포지셔닝 플레이트를 수용하는 포지셔닝 배치부를 구비하되, 상기 포지셔닝 배치부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기 하우징 베이스의 반대면에 형성되고,
    상기 포지셔닝 배치부에는 상기 가동 블록 돌기를 관통시키는 가동 블록 돌기 관통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스위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부는 상기 가동 블록 사이로 상기 가동 블록의 가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포지셔닝 블록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동 블록의 상기 포지셔닝 블록을 향한 단부에는 가동 블록 경사면을 그리고 상기 포지셔닝 블록의 상기 가동 블록을 향한 단부에는 상기 가동 블록 경사면에 대응하는 포지셔닝 블록 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스위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배치부는 상기 포지셔닝 블록의 가동을 제한하는 포지셔닝 배치부 스톱퍼가 구비되고, 상기 포지셔닝 블록에는 상기 포지셔닝 배치부 스톱퍼에 대응하는 포지셔닝 블록 스톱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스위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부는 상기 포지셔닝 배치부를 덮는 포지셔닝 커버를 더 구비하되,
    상기 포지셔닝 플레이트의 상기 포지셔닝 커버를 향한 일면에 구비되는 플레이트 가이드부와, 상기 포지셔닝 커버에는 상기 플레이트 가이드부에 대응하는 포지셔닝 커버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스위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플레이트의 상기 포지셔닝 배치부를 향한 일면에 플레이트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포지셔닝 배치부의 일면에는 상기 플레이트 슬라이딩 가이드부에 대응하는 플레이트 슬라이딩 가이드 대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스위치.
KR1020070023740A 2007-03-09 2007-03-09 연동 스위치 KR100854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740A KR100854286B1 (ko) 2007-03-09 2007-03-09 연동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740A KR100854286B1 (ko) 2007-03-09 2007-03-09 연동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4286B1 true KR100854286B1 (ko) 2008-08-26

Family

ID=39878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740A KR100854286B1 (ko) 2007-03-09 2007-03-09 연동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2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487Y1 (ko) 2008-11-11 2013-02-2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푸시 스위치 유니트
KR20210104259A (ko) * 2020-02-17 2021-08-25 타이톤코리아 (주) 접점 커넥터가 구비된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493Y1 (ko) * 2000-11-16 2001-04-16 대성전기공업주식회사 자동차용 누름 스위치
KR200222772Y1 (ko) * 2000-11-16 2001-05-15 대성전기공업주식회사 자동차용 복합 누름 스위치
KR200222776Y1 (ko) * 2000-11-17 2001-05-15 대성전기공업주식회사 작동표시등이 내장된 자동차용 스위치
KR20060071444A (ko) * 2004-12-22 2006-06-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1버튼 6웨이 선루프 스위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493Y1 (ko) * 2000-11-16 2001-04-16 대성전기공업주식회사 자동차용 누름 스위치
KR200222772Y1 (ko) * 2000-11-16 2001-05-15 대성전기공업주식회사 자동차용 복합 누름 스위치
KR200222776Y1 (ko) * 2000-11-17 2001-05-15 대성전기공업주식회사 작동표시등이 내장된 자동차용 스위치
KR20060071444A (ko) * 2004-12-22 2006-06-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1버튼 6웨이 선루프 스위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487Y1 (ko) 2008-11-11 2013-02-2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푸시 스위치 유니트
KR20210104259A (ko) * 2020-02-17 2021-08-25 타이톤코리아 (주) 접점 커넥터가 구비된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102374924B1 (ko) * 2020-02-17 2022-03-18 타이톤코리아(주) 접점 커넥터가 구비된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286B1 (ko) 연동 스위치
US6884954B2 (en) Switch apparatus with slide switch engaging bifurcation in a knob-leg of an operating knob
KR200441295Y1 (ko) 스위치 모듈
JP4494052B2 (ja) 室内照明灯
JP2011210521A (ja) スイッチ部材及び車載用室内照明装置
EP1909158B1 (en) Actuating element
JP6714084B2 (ja) シートベルト用バックル装置、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5467880B2 (ja) スイッチ一体型ledランプ装置
US20180226212A1 (en) Rocker switch device
KR100761424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JPH10315803A (ja) 電装ユニットの組付接続構造
WO2015151882A1 (ja) スイッチ装置
KR200460533Y1 (ko) 슬라이더 스위치 유니트
KR200459979Y1 (ko) 패들 스위치 유니트
KR200439215Y1 (ko)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
KR200456700Y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200460898Y1 (ko)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KR200471413Y1 (ko)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KR101171651B1 (ko) 스위치 유니트
KR101070028B1 (ko) 버튼 스위치 유니트
KR200469421Y1 (ko) 차량용 시트 워머 스위치
KR20110057689A (ko) 스위치 모듈
KR200462909Y1 (ko) 스위치 모듈 및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JP4115251B2 (ja) 車載用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JP5679927B2 (ja) 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