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496B1 -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496B1
KR101602496B1 KR1020080129690A KR20080129690A KR101602496B1 KR 101602496 B1 KR101602496 B1 KR 101602496B1 KR 1020080129690 A KR1020080129690 A KR 1020080129690A KR 20080129690 A KR20080129690 A KR 20080129690A KR 101602496 B1 KR101602496 B1 KR 101602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block
movable terminal
dispos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0936A (ko
Inventor
엄기석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9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496B1/ko
Publication of KR20100070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6Driving mechanisms
    • H01H15/18Driving mechanisms acting with snap 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e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니트 하우징; 상기 유니트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 블록, 상기 슬라이더 블록의 진행 방향에 평행한, 상기 슬라이더 블록의 측면에 배치되는 슬라이더 가동 단자, 및 상기 유니트 하우징 내측면으로 상기 슬라이더 가동 단자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 고정 단자를 구비하는 유니트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SLIDING SWITCH UNIT AND POWER WINDOW SWITCHING DEVICE UNIT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암 레스트 상에장착되어 보다 정확하고 일괄적이거나 또는 사전 설정된 모드에 따라 차량 윈도우의 선택적 작동 제어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대향되는 방향으로의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의 윈도우 개폐와 같이 윈도우의 상하 방향 이동이 전단부 및 후단부의 작동에 대응하도록 하는 시소 스위치 장치 또는 슬라이딩 스위치 장치가 사용되고 각각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경우 로터리 스위치가 사용된다. 특히, 운전자의 좌석 주위에 다양한 스위치 장치 및 편의 시설이 설치되므로, 이러한 스위치 장치들은 컴팩 트화가 요구되는바, 스위치 장치들간의 간섭 방지가 설계의 필수 사항이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윈도우 스위치에 구비되는 마이크로 스위치는 통상적으로 슬라이드 접점 방식을 채택하는데, 슬라이드 접점 방식의 특성상 반복적인 사용 후 먼지 또는 이물질의 침투로 슬라이드 접점 불량 내지 오작동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수반되고 슬라이더의 자중에 의한 사용자의 가압 동작에 의하여 슬라이드 접점 방식의 마이크로 스위치는 접촉 단자의 마모 가능성이 증대되어 내구성이 현저하게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위치의 접점 상태 확보를 강화할 수 있는 접점 방식을 채택하는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하고,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니트 하우징; 상기 유니트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 블록, 상기 슬라이더 블록의 진행 방향에 평행한, 상기 슬라이더 블록의 측면에 배치되는 슬라이더 가동 단자, 및 상기 유니트 하우징 내측면으로 상기 슬라이더 가동 단자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 고정 단자를 구비하는 유니트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가동 단자는 상기 슬 라이더 블록의 양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블록의 상기 슬라이더 가동 단자를 향한 측면에 구비되는 슬라이더 탄성 부재 수용부와, 상기 슬라이더 탄성 부재 수용부에 수용되는 슬라이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블록에는 블록 가동 단자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블록 가동 단자 장착부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슬라이더 가동 단자에는 상기 블록 가동 단자 장착부와 맞물리는 가동 단자 장착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가동 단자는 U자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블록 가동 단자 장착부는 상기 슬라이더 블록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상기 슬라이더 블록의 측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블록의 일면 상에는 상기 슬라이더 블록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블록 노브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고정 단자는 상기 유니트 하우징에 인서트 사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유니트 하우징; 상기 유니트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 블록, 상기 슬라이더 블록의 진행 방향에 평행한, 상기 슬라이더 블록의 측면에 배치되는 슬라이더 가동 단자, 상기 유니트 하우징 내측면으로 상기 슬라이더 가동 단자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 고정 단자를 구비하는 유니트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와, 상기 슬라이 드 스위치 유니트가 배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이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블록과 연결되는 스위치 노브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를 제공한다.
상기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가동 단자는 상기 슬라이더 블록의 양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블록의 상기 슬라이더 가동 단자를 향한 측면에 구비되는 슬라이더 탄성 부재 수용부와, 상기 슬라이더 탄성 부재 수용부에 수용되는 슬라이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은, 측면 접촉 방식을 통하여 슬라이드 운동시 발생하는 단자 간의 접촉 소음으로 인한 사용자의 조작감을 저해하지 않고 원활한 작동을 이룰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은, 측면 접촉 방식을 통하여 장기간 사용 등에도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접촉 불량 내지 오작동의 가능성을 방지 내지는 현저하게 저감시켜 우수한 작동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 우 스위치 모듈은, 단자들의 접촉 방식을 슬라이더 블록의 양측으로 형성하여 안정적인 작동 상태를 이룰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100)을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1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10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10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100)의 일부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100)의 슬라이더 고정 단자(34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6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100)의 작동 상태에 따른 개략적인 부분 측단면도 및 부분 평면도가 도시된다.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10)은 하우징(30;40,50)과 기판(60)과 스위치 노브(20)와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100)를 포함하는데, 기판(60, 도 6 참조)과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100)는 하우징(30)의 내부 공간에 안정적으로 배치된다.
하우징(30)은 하우징 바디(40)와 하우징 베이스(50)를 포함하는데, 하우징 바디(40)와 하우징 베이스(50)는 서로 체결되어 다른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바디(40)의 외측에는 바디 베이스 체결부(41,43)가 구비되고 하우징 베이스(50)의 외측으로 바디 베이스 체결부(41,43)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베이스 바디 체결부(51,53)가 배치되는데, 이들은 서로 맞물리어 체결됨으로써 하우징 바디(40)와 하우징 베이스(50)의 체결 상태를 공고히 하여 양자의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한다. 여기서, 바디 베이스 체결부(41,43)와 베이스 바디 체결부(51,53)는 각각 돌기 및/또는 요홈 구조를 취하였으나 도시된 것과 반대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 바디(40)의 일면 상에는 바디 연장부(45)가 구비되는데, 바디 연장부(45)에는 바디 노브 회동부(46)가 돌출 형성된다. 하우징 베이스(50)의 하부에는 베이스 커넥터(55)가 구비되는데, 베이스 커넥터(55)에는 커넥터 핀(미도시)가 배치되고 커넥터 핀은 하기되는 기판(6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어 외부 전기 장치와의 전기적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스위치 노브(20)는 하우징 바디(4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스위치 노브(20)에는 노브 회동부(21)가 구비된다. 노브 회동부(21)는 요홈 내지 관통구 구조로 형성되고 바디 노브 회동부(46)는 돌기 구조로 형성되는데, 바디 노브 회동 부(46)와 노브 회동부(21)는 서로 회동 가능하게 맞물린다. 여기서, 바디 노브 회동부와 노브 회동부는 각각 돌기/요홈 구조로 형성되었으나 서로 반대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음은 상기한 바로부터 명백하다. 스위치 노브(20)의 하면에는 하부에 배치되는 슬라이더 스위치 유니트(10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노브 가동부(23)가 구비되는데, 노브 가동부(23)는 하기되는 슬라이더 스위치 유니트(100)를 가동시킨다. 노브 가동부(23)의 하단에는 가동부 슬라이더 연결부(25)가 구비되는데, 가동부 슬라이더 연결부(25)는 하기되는 슬라이더 스위치 유니트(100)의 슬라이딩 운동을 허용하도록 상대 회동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동부 슬라이더 연결부(25)는 요홈 구조로 형성되었으나 이는 일예일뿐 본 발명의 가동부 슬라이더 연결부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노브 가동부는 스위치 노브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되었으나, 노브 가동부는 별개물로 형성되고 스위치 노브의 하면에 고정 장착되는 구조르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10)은 스위치 노브(20)를 원위치 복귀시키기 위한 노브 탄성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스위치 노브(20)에 가해진 후 외력이 제거될 때, 가해진 외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된 노브 탄성부가 외력이 제거되으로써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스위치 노브도 함께 원위치 복귀된다. 이러한 노브 탄성부는 하우징 바디(40)의 일면에 형성되는 탄성 부재로서의 노브 탄성부가 스위치 노브의 각각의 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노브 회동부 와 바디 노브 회동부 사이에 토크 스프링으로서 노브 탄성부가 배치되어 스위치 노브의 원위치 복귀를 위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하우징(30)의 내부에는 기판(60, 도 6 참조)이 배치되는데, 기판(60)은 본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으로 구현된다. 기판(60)은 회로 배선 및 전기 소자들이 배치되는데, 기판(60)은 커넥터 핀(미도시)을 통하여 하우징 베이스(50)에 형성되는 베이스 커넥터(55)를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슬라이더 스위치 유니트(100)는 유니트 하우징(200)과 유니트 슬라이더(300)를 포함하는데, 유니트 슬라이더(300)는 유니트 하우징(20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유니트 하우징(200)은 유니트 하우징 커버(210)와 유니트 하우징 바디(220)를 포함하는데, 유니트 하우징 커버(210)와 유니트 하우징 바디(220)는 서로 맞물리어 체결되고 유니트 하우징 커버(210)와 유니트 하우징 바디(22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유니트 슬라이더(30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다. 유니트 하우징 커버(210)의 외주에는 유니트 하우징 커버 장착부(211)가 구비되고 유니트 하우징 커버 장착부(211)의 대응되는 위치로 유니트 하우징 바디(220)의 외주에는 유니트 하우징 바디 장착부(221)가 구비된다.
유니트 하우징 커버 장착부(211)와 유니트 하우징 바디 장착부(221)는 서로 맞물리어 체결됨으로써 양자의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유니트 하우징 커버(210)의 내측으로 유니트 하우징 커버 장착부(211)의 하부에는 돌기 구조 로 형성되는 유니트 하우징 바디 장착부(221)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바디 장착부 진입 가이드(215)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니트 하우징 커버 장착부(211)는 요홈 및/또는 관통구 구조로 그리고 유니트 하우징 바디 장착부(221)는 돌기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들은 서로 반대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유니트 하우징 커버(210)는 하면이 개방된 구조를 취하고, 유니트 하우징 커버(210)의 상면에는 유니트 하우징 커버 관통구(213)가 구비됨으로써, 유니트 하우징 커버 관통구(213)를 통하여 유니트 하우징 커버(210)의 상부와 유니트 하우징 커버(210)의 하부는 서로 소통을 이룰 수 있다.
유니트 하우징 바디(220)는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이 밀폐된 박스(box) 타입으로 구현되는데, 유니트 하우징 바디(2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유니트 하우징 커버(210)와 맞물리어 유니트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유니트 하우징 바디(220)는 기판(60, 도 6 참조)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데,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경우에 따라 유니트 하우징 바디의 기판 상 위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니트 하우징 바디의 하면에는 바디 기판 장착부가 돌출 형성되고 기판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기판 바디 장착부가 요홈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어 끼워 맞춤되는 구조를 이룰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유니트 슬라이더(300)는 유니트 하우징 바디(210)와 유니트 하우징 커버(2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니트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유니트 슬라이더(300)는 슬라이더 블록(310)과 슬라이더 가동 단자(320)와 슬라이더 고정 단자(340)를 포함하는데, 슬라이더 블록(310)은 유니트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슬라이더 가동 단자는 슬라이더 블록(310)의 진행 방향에 평행한, 슬라이더 블록(310)의 측면에 배치되며, 슬라이더 고정 단자(34)는 유니트 하우징(200)의 내측면으로 슬라이더 가동 단자(320)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슬라이더 블록(310)은 유니트 하우징(200)의 유니트 하우징 커버(210)와 유니트 하우징 바디(2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니트 내부 공간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슬라이더 블록(310)의 일면 상에는 블록 노브(311)가 배치된다. 블록 노브(311)는 슬라이더 블록(310)의 일면으로 유니트 하우징 커버(210)를 향한 일면에서 연장 형성되는데, 블록 노브(311)는 유니트 하우징 커버(210)에 형성된 유니트 하우징 커버 관통구(213)를 관통하여 유니트 하우징(2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블록 노브(311)는 유니트 하우징 커버 관통구(213)를 통하여 유니트 하우징(200)의 외부로 노출되는데, 블록 노브(311)는 스위치 노브(20)의 하단에 배치되는 노브 가동부(23)의 단부에 형성된 가동부 슬라이더 연결부(25)와 연결된다. 가동부 슬라이더 연결부(25)는 블록 노브(311)와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한 스위치 노브(20)의 조작력은 가동부 슬라이더 연결부(25) 및 블록 노브(311)를 통하여 슬라이더 블록(310)으로 전달된다. 가동부 슬라이더 연결부(25)와 블록 노브(311)는 원활한 회동을 가능하게 하되 양자 간의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블록 노브(311)는 블록 노브 베이스(311a)와 블록 노브 바디(311b)와 블록 노브 헤드(311c)를 구비하는데, 블록 노브 베이스(311a)는 슬라이더 블록(310)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블록 노브 바디(311b)는 블록 노브 베이스(311a)의 단부에 연결되고 블록 노브 헤드(311c)는 블록 노브 바디(311b)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치되는데, 블록 노브 바디(311b)는 블록 노브 베이스(311a) 및 블록 노브 헤드(311c)보다 작은 단면적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블록 노브 베이스(311a)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슬라이더 블록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지지 구조를 취하기 위하여 블록 노브 바디(311b)보다 큰 단면적을 구비하고, 블록 노브 헤드(311c)는 가동부 슬라이더 연결부(25)와의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블록 노브 바디(311b)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다. 또한, 블록 노브 헤드(311c)는 슬라이더 블록의 진행 방향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볼 때, 상단이 원형인 단면을 구비하고 이에 대응하는 가동부 슬라이더 연결부도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여 양자의 회동을 허용하되 쉽게 분리 이탈되는 것은 방지될 수 있다.
슬라이더 가동 단자(320)는 슬라이더 블록(310)의 측면으로 슬라이더 블록(310)의 진행 방향에 평행한 측면 상에 배치된다. 슬라이더 가동 단자(320)의 일측으로 유니트 하우징 바디(220)의 내측면, 보다 구체적으로 유니트 하우징 바디(22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더 고정 단자(340)를 향한 일측에는 슬라이더 가동 단자 접점(321)이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슬라이더 블록(310)의 측면에는 블록 가동 단자 수용부(313)가 구비되고 블록 가동 단자 수용부(313)에 슬라이더 가동 단자(320)가 배치된다. 경우에 따라 슬라이더 가동 단자(320)의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블록(310), 보다 구체적으로 블록 가동 단자 장착부(317)가 구비되고 블록 가동 단자 장착부(317)의 대응되는 위치로 슬라이더 가동 단자(320) 에는 블록 가동 단자 장착부(317)와 맞물리는 가동 단자 장착부(323)가 배치된다. 가동 단자 장착부(323)는 블록 가동 단자 장착부(317)와 맞물리어 슬라이더 가동 단자(320)가 슬라이더 블록(310)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가동 단자 장착부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블록 가동 단자 장착부는 슬라이더 블록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 배치되는 요홈 내지 관통구 형상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는 본 고안의 일예일뿐 서로 반대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슬라이더 가동 단자가 슬라이더 가동 블록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범위에서 슬라이더 가동 단자의 소정의 가동을 허용하도록 슬라이더 블록이 가동되는 평면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슬라이더 블록의 가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블록 가동 단자 장착부는 보다 넓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어 쐐기 형상(내지 화살촉 형상)의 가동 단자 장착부가 블록 가동 단자 장착부의 내부에서 소정의 범위만큼 가동되도록 구성되는 등, 가동 단자 장착부와 블록 가동 단자 장착부는 서로 맞물리되 소정의 상호 가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더 가동 단자(320)와 슬라이더 블록(310)은, 슬라이더 가동 단자(320)와 슬라이더 블록(310) 간의 안정적인 장착 구조를 이루기 위한 구조를 더 취할 수도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가동 단자(320)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블록 가동 단자 장착부(317)는 슬라이더 블록(310)의 측면 중, 슬라이더 블록(310)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측면 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 블록과 슬라이더 가동 단자 간의 장착력을 강화하기 위한 블록 가동 단자 장착 부의 위치를 슬라이더 블록과 유니트 하우징 바디(220)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슬라이더 고정 단자와의 접촉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보다 원활하고 안정적인 슬라이딩 운동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슬라이더 고정 단자(340)는 유니트 하우징 바디(220)에 배치되는데, 슬라이더 가동 단자(320)와 접촉하는 부분은 유니트 하우징 바디(220)의 내측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기판(6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부분은 유니트 하우징 바디(220)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즉, 슬라이더 고정 단자(340)는 슬라이더 고정 단자 접촉부(342)와 슬라이더 고정 단자 핀(341)을 구비하는데, 슬라이더 고정 단자 접촉부(342)는 유니트 하우징 바디(220)의 내측면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슬라이더 고정 단자 접촉부(342)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슬라이더 고정 단자 핀(341)은 유니트 하우징 바디(220)의 하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기판(60, 도 6 참조)과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슬라이더 고정 단자 접촉부(342)는 설계 사양에 따라 수 개의 고정 단자 접촉부(340a,340b,340c,340d,340e,340f, 도 6 참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 고정 단자(340)는 유니트 하우징 바디(220)에 인서트 사출 형성되는데, 슬라이더 고정 단자(340)는 유니트 하우징 바디(220)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안정적인 위치 확보를 이루어 슬라이더 가동 단자와의 원활한 접촉 상태 유지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스위치 유니트(100)는 슬라이더 가동 단자와 슬라이더 고정 단자의 온/오프 각각의 상태로의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도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유니트(100)의 유니트 슬라이더(300)는 슬라이더 탄성 부재(330)를 더 구비하는데, 슬라이더 탄성 부재(330)는 슬라이더 가동 단자(32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슬라이더 고정 단자(340)의 적어도 일부와 상시 접촉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슬라이더 블록(310)의 측면으로 슬라이더 가동 단자(320)를 향한 측면에는 슬라이더 탄성 부재 수용부(315)가 구비된다. 슬라이더 탄성 부재 수용부(315)는 블록 가동 단자 수용부(313)의 일측면에 형성되는데, 슬라이더 탄성 부재 수용부(315)의 일단은 폐쇄되고 슬라이더 가동 단자(320)를 향한 타단은 개방된 상태를 형성한다. 슬라이더 탄성 부재 수용부(315)에는 슬라이더 탄성 부재(330)가 수용되는데, 슬라이더 탄성 부재(330)의 일단은 폐쇄된 슬라이더 탄성 부재 수용부(315)의 일단과 접촉하여 지지되고 슬라이더 탄성 부재(330)의 타단은 슬라이더 가동 단자(320)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더 가동 단자(320)를 탄성 지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슬라이더 가동 단자, 슬라이더 고정 단자 및/또는 슬라이더 탄성 부재의 탄성 접촉 구조는 쌍을 이루며 슬라이더 블록의 양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슬라이더 가동 단자(320)는 슬라이더 블록(310)의 양측에 배치되고 슬라이더 고정 단자(340)도 유니트 하우징 바디(220)의 내측에 서로 마주하며 두 개가 배치될 수도 있고, 슬라이더 탄성 부재(330)는 슬라이더 블록의 각각의 측면에 배치되어 슬라이더 가동 단자와 슬라이더 고정 단자 간의 상시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더 블록의 가동 방향에 평행한 측면에 쌍을 이루는 배치를 통하여 슬라이더 블록이 안정적으로 힘의 균형을 유지하며 유 니트 하우징의 내부에서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이루는 슬라이딩 운동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슬라이더 고정 단자는 대각선으로 대칭적인 배치를 이루는데, 이러한 대칭 구조를 통하여 안정적인 구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100)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1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서, 슬라이더 가동 단자는 두 개가 구비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로서 설계 사양에 따라 슬라이더 가동 단자와 슬라이더 고정 단자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먼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슬라이더 가동 제 1 단자(320a)는 고정 단자 제 1 및 제 2 접촉부(340a,340b)와 접촉 상태를 이루고 슬라이더 가동 제 2 단자(320b)는 고정 단자 제 5 및 제 6 접촉부(340e,340f)와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 가동 제 1 및 제 2 단자(340a,340b)의 위치에 따라 연결되는 각각의 고정 단자 접촉부 간의 전기적 소통은 사전 설정된 회로 배선 경로를 따라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중립 상태 즉 오프 상태를 형성한다.
그런 후, 사용자에 의하여 차량의 윈도우를 상승시키기 위한 업동작을 이루기 위하여 스위치 노브를 도 8과 같이 전진시키는 경우 스위치 노브(20)와 연결되는 스위치 유니트(100)의 유니트 슬라이더(300)는 도 9와 같은 상태로 배치되어 전기적 신호 상태가 변화된다. 이때, 슬라이더 가동 제 1 단자(320a)는 고정 단자 제 2 및 제 3 접촉부(340b,340c)와 접촉 상태를 이루고 슬라이더 가동 제 2 단자(320b)는 고정 단자 제 5 및 제 6 접촉부(340e,340f)와 접촉 상태를 그대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 가동 제 1 및 제 2 단자(340a,340b)의 위치에 따라 연결되는 각각의 고정 단자 접촉부 간의 전기적 소통은 사전 설정된 회로 배선 경로를 따라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차량 윈도우의 상승을 위한 온 상태를 형성하고, 이러한 변화된 전기적 신호는 기판(60) 및 커넥터 핀(미도시)을 통하여 제어부(미도시) 또는 차량 윈도우 모터(미도시)와 같은 외부 전기 장치로 전달되어 소정의 작동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런 후, 사용자에 의하여 스위치 노브(2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스위치 노브(20)는 노브 탄성부(미도시)에 의한 복원력에 의하여 원위치 복귀되고, 이와 동시에 유니트 슬라이더(300)도 중립 상태로 복귀된다.
그런 후, 사용자에 의하여 차량의 윈도우를 하강시키기 위한 차량 윈도우 다운동작을 이루기 위하여 스위치 노브를 도 10과 같이 시소 운동시키는 경우 스위치 노브(20)와 연결되는 스위치 유니트(100)의 유니트 슬라이더(300)는 도 11과 같은 상태로 배치되어 전기적 신호 상태가 변화된다. 이때, 슬라이더 가동 제 1 단자(320a)는 고정 단자 제 1 및 제 2 접촉부(340a,340b)와 접촉 상태를 이루고 슬라이더 가동 제 2 단자(320b)는 고정 단자 제 4 및 제 5 접촉부(340d,340e)와 접촉 상태를 그대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 가동 제 1 및 제 2 단자(340a,340b)의 위치에 따라 연결되는 각각의 고정 단자 접촉부 간의 전기적 소통은 사전 설정된 회로 배선 경로를 따라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차량 윈도우의 하강을 위한 온 상태를 형성하고, 이러한 변화된 전기적 신호는 기판(60) 및 커넥터 핀(미도시)을 통하여 제어부(미도시) 또는 차량 윈도우 모터(미도시)와 같은 외부 전기 장치로 전달되어 소정의 작동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힘의 존재에 따라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은 소정의 사전 설정된 소정의 제어 동작을 위한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차량 윈도우 모터와 같은 소정의 장치의 동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한 실시예에서 슬라이더 가동 단자는 슬라이더 블록의 양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슬라이더 가동 단자는 일측에만 배치되고 타측에는 슬라이더 블록을 탄성 지지만 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슬라이더 가동 단자가 슬라이더 블록의 측면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의 일부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의 슬라이더 고정 단자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중립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및 부분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상승 작동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및 부분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하강 작동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및 부분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20...스위치 노브
30...하우징 60...기판
100...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200..유니트 하우징
300...유니트 슬라이더 310...슬라이더 블록
320...슬라이더 가동 단자 330...슬라이더 탄성 부재
340...슬라이더 고정 단자

Claims (10)

  1. 유니트 하우징; 상기 유니트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 블록, 상기 슬라이더 블록의 진행 방향에 평행한, 상기 슬라이더 블록의 측면에 배치되는 슬라이더 가동 단자, 및 상기 유니트 하우징 내측면으로 상기 슬라이더 가동 단자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 고정 단자를 구비하는 유니트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 가동 단자는 상기 슬라이더 블록의 양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블록의 상기 슬라이더 가동 단자를 향한 측면에 구비되는 슬라이더 탄성 부재 수용부와, 상기 슬라이더 탄성 부재 수용부에 수용되는 슬라이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 블록에는 블록 가동 단자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블록 가동 단자 장착부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슬라이더 가동 단자에는 상기 블록 가동 단자 장착부와 맞물리는 가동 단자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 가동 단자는 U자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블록 가동 단자 장착부는 상기 슬라이더 블록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상기 슬라이더 블록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블록의 일면 상에는 상기 슬라이더 블록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블록 노브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고정 단자는 상기 유니트 하우징에 인서트 사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8. 유니트 하우징; 상기 유니트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 블록, 상기 슬라이더 블록의 진행 방향에 평행한, 상기 슬라이더 블록의 측면에 배치되는 슬라이더 가동 단자, 상기 유니트 하우징 내측면으로 상기 슬라이더 가동 단자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 고정 단자를 구비하는 유니트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 가동 단자는 상기 슬라이더 블록의 양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블록의 상기 슬라이더 가동 단자를 향한 측면에 구비되는 슬라이더 탄성 부재 수용부와, 상기 슬라이더 탄성 부재 수용부에 수용되는 슬라이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 블록에는 블록 가동 단자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블록 가동 단자 장착부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슬라이더 가동 단자에는 상기 블록 가동 단자 장착부와 맞물리는 가동 단자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 가동 단자는 U자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블록 가동 단자 장착부가 상기 슬라이더 블록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상기 슬라이더 블록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와,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가 배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이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블록과 연결되는 스위치 노브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9. 삭제
  10. 삭제
KR1020080129690A 2008-12-18 2008-12-18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101602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690A KR101602496B1 (ko) 2008-12-18 2008-12-18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690A KR101602496B1 (ko) 2008-12-18 2008-12-18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936A KR20100070936A (ko) 2010-06-28
KR101602496B1 true KR101602496B1 (ko) 2016-03-10

Family

ID=42368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690A KR101602496B1 (ko) 2008-12-18 2008-12-18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4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451B1 (ko) * 2010-12-21 2012-02-2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슬라이더 유니트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101129310B1 (ko) * 2010-12-23 2012-03-26 주식회사 신창전기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버튼스위치
KR101599609B1 (ko) * 2014-05-15 2016-03-1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5372A (ja) * 1999-01-22 2000-07-14 Teeantee:Kk スライド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431B1 (ko) * 2000-07-27 2002-12-1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파워윈도우의 모듈스위치
KR100509744B1 (ko) * 2002-12-12 2005-08-25 주식회사 신창전기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5372A (ja) * 1999-01-22 2000-07-14 Teeantee:Kk スライド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936A (ko) 2010-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830152C (ru) Клавиш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KR101602496B1 (ko)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100921070B1 (ko) 푸시 버튼 스위치
KR20080002373U (ko) 스위치 모듈
US7397006B2 (en) Operation mechanism for electric apparatus
KR101110451B1 (ko) 슬라이더 유니트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101594626B1 (ko) 파워 윈도우 스위칭 시스템
KR101582738B1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200471127Y1 (ko)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
KR20090005323U (ko) 접촉 시소 스위치 장치
KR200460533Y1 (ko) 슬라이더 스위치 유니트
KR20190018277A (ko) 차량용 패들 쉬프트 스위치 유닛
KR200459979Y1 (ko) 패들 스위치 유니트
KR200471413Y1 (ko)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KR101133856B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200471130Y1 (ko)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 장치
JP2755283B2 (ja) スイッチ装置
KR200469355Y1 (ko)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
KR200469421Y1 (ko) 차량용 시트 워머 스위치
KR20170091201A (ko)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 장치
KR200461776Y1 (ko) 시트 워머 스위치 장치
KR100929323B1 (ko) 미러 스위치 장치
KR200471131Y1 (ko) 스위치 모듈
KR200460898Y1 (ko)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KR20170090984A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