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127Y1 -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127Y1
KR200471127Y1 KR2020090003571U KR20090003571U KR200471127Y1 KR 200471127 Y1 KR200471127 Y1 KR 200471127Y1 KR 2020090003571 U KR2020090003571 U KR 2020090003571U KR 20090003571 U KR20090003571 U KR 20090003571U KR 200471127 Y1 KR200471127 Y1 KR 2004711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door lock
switch device
movable contac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813U (ko
Inventor
배만봉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35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12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8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8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1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1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8Sill-buttons, garnish buttons or inner door lock kno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 E05Y2400/854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 노브의 조작에 의해 동작하는 가동 접점 유닛을 단순화하고 이러한 가동 접점 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접점 가이드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 부품수가 감소하고 조립 공정이 용이하며, 또한 접점 가이드부의 강도를 강화하고 접점 가이드부에 이물질 배출구를 형성하여 내구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한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도어락 스위치, 파워 윈도우 스위치, 이동 블록, 접점 가이드부

Description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Door Lock Switch of Assistant Seat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치 노브의 조작에 의해 동작하는 가동 접점 유닛을 단순화하고 이러한 가동 접점 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접점 가이드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 부품수가 감소하고 조립 공정이 용이하며, 또한 접점 가이드부의 강도를 강화하고 접점 가이드부에 이물질 배출구를 형성하여 내구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한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대향되는 방향으로의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의 윈도우 개폐와 같은 경우에는, 윈도우의 상하 방향 이동이 전단부 및 후단부의 작동에 대응하도록 하는 시소 스위치 장치 또는 슬라이딩 스위치 장치 등이 사용되 고, 각각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경우에는 다수개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로터리 스위치 장치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스위치 장치와 편의 장치들은 운전자의 좌석 주위에 집중해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차량의 고급화 경향에 따라 조수석 주위에서도 다양한 스위치 장치 및 편의 장치들이 장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에는 조수석에도 차량의 모든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할 수 있는 도어락(Door Lock) 스위치 장치가 장착되어 운전자 이외의 승객에 의해서도 도어 잠금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다.
이러한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는 일반적으로 조수석의 도어 내측 아암 레스트 상에 배치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와 함께 하나의 조립체로 구성되며, 통상 하나의 스위치 조립체에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와 도어락 스위치 장치가 전후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도록 장착되고 있다. 따라서,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는 충분한 작동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최소한의 설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도록 컴팩트화가 요구되고, 또한 주변 스위치 장치들과 간섭되지 않으며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설계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는 여러 가지 다양한 부품으로 구성되어 이들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크기가 작은 다양한 부품들을 결합하거나 솔더링하는 등의 공정이 필요하여 조립이 용이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비용이 증가하고 제품의 제작 및 관리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성 부품을 일체화하여 구성 부품수가 감소되고 이에 따라 조립 및 제작 공정이 용이하며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변형이 방지되며 전기적 신호를 안정적으로 발생시켜 더욱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향상된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의 조수석 측에 장착되어 차량 도어의 잠금 및 잠금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면이 개방되고 일측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스위치 노브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 박스; 상기 하우징 박스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동에 연동하여 직선 이동하도록 배치된 가동 접점 유닛; 및 상기 가동 접점 유닛과 접촉하는 고정 접점이 형성되어 상기 가동 접점 유닛의 이동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터미널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가동 접점 유닛이 직선 이동 가이드되도록 안착되는 접점 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 치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가동 접점 유닛은 상기 스위치 노브와 맞물림되도록 일면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상기 접점 가이드부에 안착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는 이동 블록; 및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의 고정 접점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블록에 삽입 결합되는 가동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점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되는 2개의 평행한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 사이에 상기 이동 블록의 돌출부가 삽입되며 직선 이동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의 고정 접점은 상기 접점 가이드부의 2개의 평행한 가이드 레일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가이드 레일은 각각 서로 이격되게 평행 배치된 2개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2개의 가이드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단 리브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2개의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바닥면에 이물질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상기 2개의 가이드 플레이트 중 상기 가동 접점 유닛의 돌출부와 접촉하는 내측 가이드 플레이트에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는 상기 가동 접점 유닛과 접촉하는 고정 접점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두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 리브가 양측단의 가장 자리를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스위치 노브의 조작에 의해 동작하는 가동 접점 유닛을 단순화하고 이러한 가동 접점 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접점 가이드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하며 또한 고정 접점을 터미널 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구성 부품수가 감소하고 조립 공정이 용이해지며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점 가이드부를 이중 가이드 플레이트로 구성하여 변형에 대한 강도가 강화되며 내구성이 향상되고, 접점 가이드부에 이물질 배출구를 형성하여 접점 간의 접촉에 의한 전기적 신호가 안정적으로 발생하여 더욱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작동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와 함께 장착된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와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는 장착 공간의 효율성 및 제작의 용이성을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와 함께 하나의 스위치 모듈로 형성되어 차량의 조수석 주변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도어락 스위치 장치만 별도로 형성되어 장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락 스위치 장치가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와 함께 하나의 스위치 모듈로 형성된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는 스위치 노브(110)가 결합된 하우징 박스(100), 베이스 플레이트(200), 가동 접점 유닛(300) 및 터미널 플레이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 박스(10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스위치 노브(110)가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축(111)에는 회전축(111)과 직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112)가 형성되어 스위치 노브(110)의 회동에 따라 가이드 돌기(112)에 삽입 결합된 가동 접점 유닛(300)이 직선 이동한다. 한편, 스위치 노브(110)는 별도의 탄성 스프링(120)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탄성 편의되도록 결합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외력을 가해 조작하는 동안에만 일측 방향으로 회동하며 작동되고 사용자의 조작이 해제되면 다시 정상 상태로 복귀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하우징 박스(100)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며, 하우징 박스(100)와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가동 접점 유닛(300)이 배치될 수 있도록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양측면에는 결합 돌기(201)가 다수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하우징 박스(100)의 양측면에는 결합 돌기(201)가 맞물림될 수 있는 결합홀(101)이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하우징 박스(100)는 이러한 결합 돌기(201)와 결합홀(101)의 맞물림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하우징 박스(100)를 향하는 일면에는 램프 안착부(220)가 돌출 형성되며, 램프 안착부(220)에는 스위치 노브(110)의 회동 조작시에 스위치의 작동 여부가 외부로 표시될 수 있도록 엘이디와 같은 램프(미도시)가 장착된다.
가동 접점 유닛(300)은 하우징 박스(100)에 결합된 스위치 노브(110)의 회동에 연동하여 직선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터미널 플레이트(400)는 가동 접점 유닛(300)과 접촉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결합되는데, 이러한 터미널 플레이트(400)에는 가동 접점 유닛(300)과 접촉하며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고정 접점(410)이 형성된다. 따라서, 가동 접점 유닛(300)은 스위치 노브(110)의 회동에 연동하며 직선 이동함에 따라 터미널 플레이트(400)의 고정 접점(410)과 접촉하며 전기적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터미널 플레이트(400)에는 이러한 전기적 신호가 외부 전기 장치와 전송될 수 있도록 커넥터 단자(420)가 형성되며, 이러한 커넥터 단자(420)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커넥터 연결부(210) 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커넥터 연결부(210)에 커넥터(미도시)가 삽입됨에 따라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스위치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가동 접점 유닛(300)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접점 가이드부(500)가 형성된다. 접점 가이드부(500)는 가동 접점 유닛(3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가동 접점 유닛(300)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홈 또는 돌기와 같은 방식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사출 성형 제작시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는 가동 접점 유닛(300)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접점 가이드부(500)가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지 않고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조립 부품의 수가 감소하고 조립 공정이 용이하여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구조이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플레이트(400)에 고정 접점(41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고정 접점(410)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고 또한 터미널 플레이트(400)에 고정 접점(410)을 솔더링 접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 및 조립 공정이 더욱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접점 유닛(300)은 도 2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스위치 노브(110)의 가이드 돌기(112)에 맞물림되어 직선 이동하는 이동 블록(310)과, 이동 블록(310)에 삽입 결합되어 이동 블록(310)과 일체로 직선 이동하는 가동 접점(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 블록(310)은 일면에 스위치 노브(110)의 가이드 돌기(112)와 맞물림되도록 걸림홈(311)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접점 가이드부(500)에 안착되도록 돌출부(312)가 형성된다. 가동 접점(320)은 터미널 플레이트(400)의 고정 접점(410)과 접촉될 수 있도록 이동 블록(310)에 삽입되며, 이러한 가동 접점(32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 및 조립 공정이 용이하도록 하나만 구비되어 이동 블록(310)에 삽입된다.
가동 접점(320)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이동 블록(310)의 돌출부(312) 끝단으로부터 중심측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가동 접점(320)은 터미널 플레이트(400)의 고정 접점(410)과 접촉될 수 있도록 일부분이 이동 블록(310)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게 결합된다. 즉, 가동 접점(320)은 돌출부(312)의 끝단면에 일부 노출되게 결합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돌출부(312)의 측면에 일부 노출되게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합 형태는 터미널 플레이트(400)의 고정 접점(410)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가동 접점(320)은 고정 접점(410)과의 접촉 상태가 더욱 강화될 수 있도록 이동 블록(310)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가동 접점(320)의 형상 자체를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탄성 부재(330)를 통해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330)는 가동 접점(320)과 고정 접점(410)과의 접촉력 강화를 위한 것으로 탄성 부재(330)의 탄성력 방향은 이동 블록(310)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한 가동 접점(320)에 대한 고정 접점(410)의 상대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상에서 설명한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와 함께 하나의 스위치 모듈을 이루며 장착된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는 스위치 노브(130)가 회동 결합된 하우징 박스(100), 가동 접점 유닛(600), 베이스 플레이트(200) 및 터미널 플레이트(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하우징 박스(100) 및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락 스위치 장치와 동일한 구성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즉, 하우징 박스(100) 및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도어락 스위치 장치의 가동 접점 유닛(300)과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의 가동 접점 유닛(600)이 모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다만, 터미널 플레이트(700)는 별도의 고정 접점(650)과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별개 부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의 스위치 노브(130)는 도어락 스위치 장치와 마찬가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박스(100)에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힌지축(131)에 가이드 돌기(132)가 형성되며, 탄성 복귀력이 작용하도록 코일 스프링(140)이 장착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00)에는 가동 접점 유닛(600)이 안착되는 접점 안착부(800)가 형성되고, 접점 안착부(800)에는 별도의 고정 접점(650), 가동 접점(640), 커넥터 접점(660), 가동 버튼(630)이 순 차적으로 삽입 안착되며, 그 상부로 스위치 박스(620)와 스위치 박스(620)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블록(610)이 안착된다. 슬라이드 블록(610)은 스위치 노브(130)에 맞물리며 스위치 박스(620) 상에서 직선 이동하고 슬라이드 블록(610)의 이동에 따라 가동 버튼(630)이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가동 버튼(630)은 가동 접점(640)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고 이에 따라 가동 접점(640)의 일단은 탄성 변형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가동 접점(640)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라 고정 접점(650) 또는 커넥터 접점(660)이 선택적으로 접촉되며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전기적 신호는 터미널 플레이트(700)의 커넥터 단자를 통해 외부 전기 장치와 송수신된다.
이때, 가동 접점(640)과 접촉하며 하나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커넥터 접점(66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커넥터 연결부(210) 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커넥터 연결부(210)에 커넥터가 삽입됨에 따라 커넥터를 통해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터미널 플레이트(700)에 별도의 커넥터 접점(660)을 솔더링 접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더욱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와 함께 하나의 스위치 모듈을 이루며 장착되는 형태로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와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는 별개의 장치로 각각 독립적으로 장착될 수도 있으며, 또한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가 아닌 다른 별도의 스위치 장치가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 와 함께 하나의 스위치 모듈을 이루며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점 가이드부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에 도어락 스위치 장치용 접점 가이드부(500)가 형성되고 타측에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용 접점 안착부(800)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와 달리 도어락 스위치 장치용 접점 가이드부(500)만 형성될 수도 있다.
접점 가이드부(500)는 가동 접점 유닛(300)이 안착되며 직선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일면에 형성되는데,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하우징 박스(100)를 향하는 일면에 돌출되는 2개의 평행한 가이드 레일(510)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가이드 레일(510)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평행하게 형성되고, 이러한 2개의 가이드 레일(510) 사이에 이동 블록(310)의 돌출부(312)가 삽입되어 가이드 레일(510)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가이드 레일(510)의 길이 방향 양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블록(310)의 직선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마감 플레이트(520)가 가이드 레일(510) 사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2개의 가이드 레일(510) 사이에 이동 블록(310)이 삽입되는 방식 으로 구성되는 경우, 이동 블록(310)의 가동 접점(320)과 접촉할 수 있는 고정 접점(410)은 2개의 가이드 레일(5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 접점(320)이 이동 블록(310)의 돌출부(312)로부터 중심측 방향으로 삽입되어 돌출부(312)의 일측에 노출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면, 이에 대응하여 돌출부(312)가 삽입되는 2개의 가이드 레일(510) 사이 공간에 고정 접점(410)이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이동 블록(310)의 이동에 따라 가동 접점(320)과 고정 접점(410)이 가이드 레일(510) 사이 공간에서 서로 접촉하며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접점(410)은 터미널 플레이트(400)와 일체로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결합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 가이드부(500)의 2개의 가이드 레일(510) 사이 공간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접점(320)이 이동 블록(310)의 돌출부(312)의 끝단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가동 접점(320)과 고정 접점(410)이 상호 접촉하며 전기적 신호가 생성된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접점 유닛(300)의 이동 블록(310)에 형성된 돌출부(312)는 2개의 가이드 레일(510)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직선 이동하고, 2개의 가이드 레일(510) 사이 공간의 바닥면에는 고정 접점(410)이 일부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도 5의 상태에서 도 6의 상태로 이동 블록(310)이 이동함에 따라 가동 접점(320)이 하향 탄성력에 의해 고정 접점(410)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가동 접점(320)이 이동 블록(310)의 돌출부(312) 측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고정 접점(410)이 2개의 가이드 레일(510) 사이 공간의 측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접점 가이드부(500)의 2개의 가이드 레일(51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서로 이격되게 평행 배치된 2개의 가이드 플레이트(511,512)를 포함하고, 2개의 가이드 플레이트(511,5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단 리브(513)를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2개의 가이드 레일(510)은 휨 변형에 대한 강도가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레일(510)이 2개의 가이드 플레이트(511,512) 및 횡단 리브(513)로 구성되기 때문에, 그 구조상 관성 모멘트가 증가하여 이동 블록(310)의 직선 이동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굽힘 강도가 강화된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510)이 더욱 정확한 직진도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이동 블록(310)의 직선 이동이 더욱 안정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510)은 2개의 가이드 플레이트(511,5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바닥면에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배출을 위한 배출구(530)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배출구(530)는 바닥면으로부터 내측 가이드 플레이트(511)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배출구(530)는 2개의 가이드 플레이트(511,512) 사이의 바닥면으로부터 2개 가이드 플레이트(511,512) 중 이동 블록(310)의 돌출부(312)와 접촉하는 내측에 위치하는 가이드 플레이트(511)까지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 접점 유닛(300)을 가이드하는 접점 가이드부(500)에 배출구(530)가 형성되면, 배출구(530)를 통해 물기 또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가동 접점(320)과 고정 접점(410)의 전기적 접촉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어 안정적으로 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어락 스위치 장치에 물기 등의 이물질이 스며들어 가동 접점(320)과 고정 접점(410) 사이에 유입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이물질이 누전 등의 발생 원인이 되어 접점 간의 접촉에 의한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지 않거나 또는 오작동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530)가 접점 가이드부(500)에 형성됨으로써,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스위치 장치는 더욱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변형에 대한 강도가 강화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 리브(230)가 양측단의 가장 자리를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와 함께 장착된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와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점 가이드부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박스 110: 스위치 노브
200: 베이스 플레이트 300: 가동 접점 유닛
400: 터미널 플레이트 500: 접점 가이드부
510: 가이드 레일 530: 배출구

Claims (9)

  1. 차량의 조수석 측에 장착되어 차량 도어의 잠금 및 잠금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면이 개방되고 일측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스위치 노브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 박스; 상기 하우징 박스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동에 연동하여 직선 이동하도록 배치된 가동 접점 유닛; 및 상기 가동 접점 유닛과 접촉하는 고정 접점이 형성되어 상기 가동 접점 유닛의 이동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터미널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가동 접점 유닛이 직선 이동 가이드되도록 안착되는 접점 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 접점 유닛은, 상기 스위치 노브와 맞물림되도록 일면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상기 접점 가이드부에 안착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는 이동 블록; 및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의 고정 접점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블록에 삽입 결합되는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되는 2개의 평행한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 사이에 상기 이동 블록의 돌출부가 삽입되며 직선 이동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의 고정 접점은 상기 접점 가이드부의 2개의 평행한 가이드 레일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가이드 레일은 각각 서로 이격되게 평행 배치된 2개의 가이드 플 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2개의 가이드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단 리브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2개의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바닥면에 이물질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2개의 가이드 플레이트 중 상기 가동 접점 유닛의 돌출부와 접촉하는 내측 가이드 플레이트에도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
  8. 제 1 항, 제 3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는 상기 가동 접점 유닛과 접촉하는 고정 접점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
  9. 제 1 항, 제 3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두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 리브가 양측단의 가장 자리를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
KR2020090003571U 2009-03-27 2009-03-27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 KR2004711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571U KR200471127Y1 (ko) 2009-03-27 2009-03-27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571U KR200471127Y1 (ko) 2009-03-27 2009-03-27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813U KR20100009813U (ko) 2010-10-06
KR200471127Y1 true KR200471127Y1 (ko) 2014-02-05

Family

ID=44200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571U KR200471127Y1 (ko) 2009-03-27 2009-03-27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1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012B1 (ko) * 2007-11-05 2013-08-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용 전동커튼 조절 스위치
KR101486914B1 (ko) * 2013-11-20 2015-01-29 한일이화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의 스위치 모듈 조립구조
KR101510012B1 (ko) * 2013-12-18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파워윈도우 스위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00905A2 (en) * 1997-09-02 1999-03-10 Toyodenso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windows
KR20080093575A (ko) * 2007-04-17 2008-10-2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00905A2 (en) * 1997-09-02 1999-03-10 Toyodenso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windows
EP0900905A3 (en) * 1997-09-02 1999-09-29 Toyodenso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windows
KR20080093575A (ko) * 2007-04-17 2008-10-2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813U (ko)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830152C (ru) Клавиш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US8754344B2 (en) Seesaw switch
CN103184820B (zh) 旋转式棘爪闩锁
KR200471127Y1 (ko)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
JP2004267743A (ja) 多目的バックルセンサーアセンブリー
KR200450668Y1 (ko) 차량용 썬루프 작동 스위치
KR200441295Y1 (ko) 스위치 모듈
KR101602496B1 (ko)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CN215803900U (zh) 致动器装置
KR200471416Y1 (ko) 차량용 다방향 스위치 장치
KR200458045Y1 (ko) 차량용 썬루프 작동 스위치
KR100761424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KR200471130Y1 (ko)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 장치
KR200460533Y1 (ko) 슬라이더 스위치 유니트
KR200469355Y1 (ko)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
KR101110451B1 (ko) 슬라이더 유니트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100854286B1 (ko) 연동 스위치
US20230268146A1 (en) Switch device
US20230268144A1 (en) Switch device
KR200460898Y1 (ko)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CN219220040U (zh) 用于家用电器的门锁结构及家用电器
KR200471780Y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200446204Y1 (ko) 차량용 창문잠금 모듈스위치
KR100553053B1 (ko) 컨택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스트라이커와 래치 구조
JP4863275B2 (ja) 小形電気機器のスイッ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