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355Y1 -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9355Y1 KR200469355Y1 KR2020090008571U KR20090008571U KR200469355Y1 KR 200469355 Y1 KR200469355 Y1 KR 200469355Y1 KR 2020090008571 U KR2020090008571 U KR 2020090008571U KR 20090008571 U KR20090008571 U KR 20090008571U KR 200469355 Y1 KR200469355 Y1 KR 20046935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body
- door lock
- switch device
- lock switch
- c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8—Sill-buttons, garnish buttons or inner door lock knob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 본체의 내부 공간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일체형의 케이스 덮개를 케이스 본체에 결합함으로써, 별도의 이물 방지 플레이트 없이도 이물 또는 수분의 유입이 방지되며, 구조가 단순하여 조립 및 제작이 용이하고, PCB기판에 솔더링 접합되는 연결 단자의 배열 상태를 케이스 본체의 양측에 대향 위치하도록 하여 일측 부위의 열 집중 또는 들뜸 현상을 방지하여 더욱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도어락, 이물 유입 방지, 슬라이드 스위치, 조작 노브
Description
본 고안은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 본체의 내부 공간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일체형의 케이스 덮개를 케이스 본체에 결합함으로써, 별도의 이물 방지 플레이트 없이도 이물 또는 수분의 유입이 방지되며, 구조가 단순하여 조립 및 제작이 용이하고, PCB기판에 솔더링 접합되는 연결 단자의 배열 상태를 케이스 본체의 양측에 대향 위치하도록 하여 일측 부위의 열 집중 또는 들뜸 현상을 방지하여 더욱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대향되는 방향으로의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의 윈도우 개폐와 같은 경우에는, 윈도우의 상하 방향 이동이 전단부 및 후단부의 작동에 대응하도록 하는 시소 스위치 장치 또는 슬라이딩 스위치 장치 등이 사용되 고, 각각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경우에는 다수개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로터리 스위치 장치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스위치 장치와 편의 장치들은 운전자의 좌석 주위에 집중해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차량의 고급화 경향에 따라 조수석 주위에도 다양한 스위치 장치 및 편의 장치들이 장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에는 조수석에도 차량의 모든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할 수 있는 도어락(Door Lock) 스위치 장치가 장착되어 운전자 이외의 승객에 의해서도 도어 잠금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스위치 장치의 사용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이러한 스위치 장치의 소형화 및 구조 단순화에 대한 요구가 생산성 향상을 위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도어락 스위치 장치는 보통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통합되어 장착되는데, 슬라이딩 작동 방식의 경우 일반적으로 케이스 본체에 무빙 블록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무빙 블록의 이동 공간에 대한 이물 차단이 어려워 내부 공간에 이물 또는 수분이 유입되어 오작동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이물 방지 플레이트를 조립해야 하는 등 조립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도어락 스위치 장치는 스위치 작동에 의한 전기적 신호의 전송을 위해 PCB기판에 연결되는 스위치 단자의 배열 상태가 일렬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PCB기판과의 솔더링 작업시 열 변형 등에 의해 스위치 단자의 반대측 부위가 들뜨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케이스 본체의 내부 공간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일체형의 케이스 덮개를 케이스 본체에 결합함으로써, 별도의 이물 방지 플레이트 없이도 이물 또는 수분의 유입이 방지되며, 구조가 단순하여 조립 및 제작이 용이하고, PCB기판에 솔더링 접합되는 연결 단자의 배열 상태를 케이스 본체의 양측에 대향 위치하도록 하여 일측 부위의 열 집중 또는 들뜸 현상을 방지하여 더욱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 일측에 형성된 작동 노브가 상기 케이스 본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무빙 블록; 상기 무빙 블록과 함께 직선 이동하는 가동 접점 플레이트; 상기 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가 발생되도록 고정 접점이 형성된 스위치 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로 이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측면 둘레를 감싸며 결합되는 일체형 케이스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부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덮개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개방된 상부면과 4개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 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덮개에는 상기 무빙 블록의 작동 노브가 외부로 돌출되어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덮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빙 블록은 상기 작동 노브가 상기 케이스 본체의 4개의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 덮개의 덮개 가이드 슬롯은 상기 작동 노브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4개의 측면 중 어느 하나를 감싸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플레이트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을 관통하며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 단자가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어 PCB기판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 단자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 바닥면의 일측 모서리 부위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나머지는 상기 케이스 본체 바닥면의 타측 모서리 부위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빙 블록에는 상기 가동 접점 플레이트가 상기 스위치 플레이트 측으로 가압되도록 탄성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스 본체의 내부 공간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일체형의 케이스 덮개를 케이스 본체에 결합함으로써, 별도의 이물 방지 플레이트 없이도 내부에 이물 또는 수분의 유입이 방지되어 내구성 및 작동 상태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고, 구조가 단순하여 조립 및 제작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PCB기판에 솔더링 접합되는 연결 단자의 배열 상태를 케이스 본체의 양측에 대향 위치하도록 하여 일측 부위에서의 열 집중 또는 들뜸 현상을 방지하여 더욱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의 조립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가 PCB기판과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가 PCB기판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는 케이스 본체(100) 와, 무빙 블록(300)과, 가동 접점 플레이트(400)와, 스위치 플레이트(500)와, 케이스 덮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 덮개(200)를 착탈식으로 케이스 본체(100)에 결합하여 케이스 본체(100) 내부에 이물 또는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케이스 본체(10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부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면에는 상호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별도의 PCB기판(700)과 조립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핀(1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 본체(100)의 형상은 직육면체가 아닌 다른 형태로도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인 경우 4개의 측면 중 일측면에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후술할 무빙 블록(300)의 작동 노브(310)가 관통하며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본체 가이드 슬롯(120)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 가이드 슬롯(120)은 무빙 블록(300)이 직선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데, 본체 가이드 슬롯(120)의 중앙부에는 무빙 블록(300)의 작동 노브(310)가 본체 가이드 슬롯(12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까지 개방된 형태의 본체 개방 슬롯(110)이 형성된다.
무빙 블록(300)은 케이스 본체(100) 내부의 수용 공간에서 일정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데, 무빙 블록(300)의 일측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돌출된 작동 노브(310)가 형성된다. 또한, 무빙 블록(300)의 양측면에는 가동 접점 플레이트(4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면에 단턱부(320)가 형성되고, 이러한 단턱부(320)에 결합 돌기(3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가 동 접점 플레이트(400)에는 결합 돌기(330)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홀(41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빙 블록(300)과 가동 접점 플레이트(400)는 이러한 결합 돌기(330) 및 결합홀(410)을 통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끼워맞춤 또는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가동 접점 플레이트(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무빙 블록(300)에 결합되어 무빙 블록(300)과 함께 일체로 직선 이동하는데,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에는 이러한 가동 접점 플레이트(400)와 접촉하도록 고정 접점(520)이 배치된다. 고정 접점(520)은 케이스 본체(100)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스위치 플레이트(50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가동 접점 플레이트(400)의 이동에 따라 다른 신호가 발생되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접점(520)이 형성되는 스위치 플레이트(500)는 케이스 본체(100)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케이스 본체(100)에 결합되는데, 이러한 스위치 플레이트(500)에는 케이스 본체(100)의 바닥면을 관통하며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연결 단자(5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위치 플레이트(500)와 PCB기판(700)과의 솔더링 접합을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와 같이 케이스 본체(100) 내부에 무빙 블록(300), 가동 접점 플레이트(400) 및 스위치 플레이트(500)가 수용 배치된 상태에서, 케이스 본체(100)에는 케이스 본체(100)의 외측면 둘레를 감싸는 케이스 덮개(200)가 결합된다. 케이스 덮개(200)는 케이스 본체(100)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형성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00)가 직육면체 형상인 경우에는 이러한 케이스 본체(100)의 외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케이스 덮개(200) 또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 덮개(200)는 케이스 본체(100) 내부 공간에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면을 폐쇄하고 케이스 본체(100)의 4개의 측면 일부 구간 이상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 덮개(200)에는 양측면에 결합홀(230)이 형성되고 케이스 본체(100)에는 이에 대응하여 결합홀(230)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 돌기(130)가 형성되며, 이러한 결합홀(230) 및 결합 돌기(130)에 따라 케이스 덮개(200)와 케이스 본체(100)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끼워맞춤 또는 나사 결합 등의 다른 구성을 통해서도 구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는 케이스 덮개(200)가 케이스 본체(100)를 감싸는 형태로 조립 간극 없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이물 방지용 플레이트 없이도 케이스 본체(100) 내부 공간으로 이물 또는 수분이 유입되지 않는 구조이다.
이러한 케이스 덮개(200)에 따른 이물 유입 방지 구조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작동 노브(310)가 무빙 블록(300)의 측면에 형성되고, 이러한 작동 노브(310)가 케이스 본체(100)에 관통 결합되어 직선 이동 가이드되도록 케이스 본체(100)에는 본체 가이드 슬롯(120)과 본체 개방 슬롯(110)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대응하여 케이스 덮개(200)에는 케이스 본체(100)의 측면을 감싸는 부위에 이러한 작동 노브(310)가 외부로 돌출되어 직선 이동 가이드될 수 있도록 덮개 가이드 슬롯(220)이 형성된다. 이러한 덮개 가이드 슬롯(220)은 본체 가이드 슬롯(120)과 상응하도록 동일한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며, 또한, 본체 개방 슬롯(110)과 마찬가지로 덮개 가이드 슬롯(220)의 중앙부에도 케이스 덮개(200)의 하단부까지 개방되는 덮개 개방 슬롯(210)이 형성되어 작동 노브(310)의 조립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때 덮개 가이드 슬롯(220) 및 덮개 개방 슬롯(210)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의 외곽 둘레를 따라 이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합 구조에 따라 케이스 본체(100)의 상부면은 일체형 케이스 덮개(200)에 의해 완전 차단되고 단지 측면 공간에 작동 노브(310)가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슬롯(120,220)이 최소한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스위치 장치는 별도의 이물 방지 플레이트가 없이도 내부 공간으로의 이물 유입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한편, 가동 접점 플레이트(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무빙 블록(300)에 결합한 상태로 무빙 블록(300)과 함께 이동하며 스위치 플레이트(500)의 고정 접점(520)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는데, 이때 가동 접점 플레이트(400)와 고정 접점(520)과의 접촉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무빙 블록(300)에는 가동 접점 플레이트(400)를 스위치 플레이트(500)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60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즉, 가동 접점 플레이트(400)가 무빙 블록(300)에 결합되어 무빙 블록(300)과 일체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가동 접점 플레이트(400)의 고정 접점(520)에 대한 접촉력이 약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적절한 전기 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스위치 장치는 이러한 가동 접점 플레이트(400)와 고정 접점(520)의 접촉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탄성 부재(600)를 무빙 블록(30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600)는 탄성력이 가동 접점 플레이트(400)에 균형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가동 접점 플레이트(40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플레이트(500)는 케이스 본체(10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PCB기판(700)과 솔더링 접합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연결 단자(51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연결 단자(51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부가 케이스 본체(100) 바닥면의 일측 모서리 부위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나머지는 케이스 본체(100) 바닥면의 타측 모서리 부위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단자(510)가 3개 형성되는 경우, 이중 2개의 연결 단자(510)는 케이스 본체(100) 바닥면의 일측 모서리 부위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나머지 1개의 연결 단자(510)는 이에 대향하는 케이스 본체(100) 바닥면의 타측 모서리 부위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3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2개의 연결 단자(510)는 케이스 본체(100) 바닥면의 우측 모서리 부위를 관통하고, 나머지 1개의 연결 단자(510)는 케이스 본체(100) 바닥면의 좌측 모서리 부위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연결 단자(510)가 형성되는 위치는 서로 좌우 대칭 또는 전후 대칭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스위치 장치는 연결 단자(510)가 케이스 본체(100)를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PCB기판(700)과 솔더링 접합될 때 열 변형이 일측에 집중되지 않아 제품 신뢰도가 향상되며, 또한 솔더링 접합 이후 케이스 본체(100)의 일측이 PCB기판(700)으로부터 들뜨는 것이 방지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연결 단자(510)의 배치 상태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연결 단자(510)의 배치 상태는 케이스 본체(100) 바닥면의 각 꼭지점 부근을 통과하도록 4개 형성되거나, 케이스 본체(100) 바닥면 전체 모서리 부위를 균일하게 통과하도록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플레이트(500)가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절곡된 측면에 고정 접점(520)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위치 플레이트(500)의 형상에 따라 무빙 블록(300) 및 가동 접점 플레이트(400)는 스위치 플레이트(500)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 접점(520)에 접촉하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에도 작동 노브(310)의 위치는 케이스 본체(100)의 측면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전술한 작동 노 브(310)의 방향과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의 조립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가 PCB기판과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가 PCB기판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케이스 본체 200: 케이스 덮개
300: 무빙 블록 400: 가동 접점 플레이트
500: 스위치 플레이트 600: 탄성 부재
700: PCB기판
Claims (6)
-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일측에 형성된 작동 노브가 상기 케이스 본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무빙 블록;상기 무빙 블록과 함께 직선 이동하는 가동 접점 플레이트;상기 가동 접점 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가 발생되도록 고정 접점이 형성된 스위치 플레이트; 및상기 케이스 본체 내부로 이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측면 둘레를 감싸며 결합되는 일체형 케이스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부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덮개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개방된 상부면과 4개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 덮개에는 상기 무빙 블록의 작동 노브가 외부로 돌출되어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덮개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무빙 블록은 상기 작동 노브가 상기 케이스 본체의 4개의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 덮개의 덮개 가이드 슬롯은 상기 작동 노브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4개의 측면 중 어느 하나를 감싸는 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스위치 플레이트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을 관통하며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 단자가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어 PCB기판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 단자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 바닥면의 일측 모서리 부위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나머지는 상기 케이스 본체 바닥면의 타측 모서리 부위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무빙 블록에는 상기 가동 접점 플레이트가 상기 스위치 플레이트 측으로 가압되도록 탄성 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8571U KR200469355Y1 (ko) | 2009-07-02 | 2009-07-02 |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8571U KR200469355Y1 (ko) | 2009-07-02 | 2009-07-02 |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0246U KR20110000246U (ko) | 2011-01-10 |
KR200469355Y1 true KR200469355Y1 (ko) | 2013-10-08 |
Family
ID=44205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8571U KR200469355Y1 (ko) | 2009-07-02 | 2009-07-02 |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9355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7897B1 (ko) * | 2020-04-27 | 2022-05-16 | 태광물산 주식회사 | 슬라이드 스위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1235U (ja) * | 1992-07-15 | 1994-02-10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ドアロック検知スイッチ |
JP3713153B2 (ja) | 1998-11-26 | 2005-11-02 |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 ロックおよびアンロック検出用スイッチ |
-
2009
- 2009-07-02 KR KR2020090008571U patent/KR20046935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1235U (ja) * | 1992-07-15 | 1994-02-10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ドアロック検知スイッチ |
JP3713153B2 (ja) | 1998-11-26 | 2005-11-02 |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 ロックおよびアンロック検出用スイッ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0246U (ko) | 2011-0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95881B2 (en) | Power window switch | |
US8129639B2 (en) | Emblem-unified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US7518072B2 (en) | Latch releasing device | |
KR200469355Y1 (ko) |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 | |
KR101094036B1 (ko) | 차량용 후드 스위치 | |
KR101602496B1 (ko) |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 |
KR200468484Y1 (ko) | 차량용 스위치 장치 | |
KR200471127Y1 (ko) | 차량용 조수석 도어락 스위치 장치 | |
KR101582738B1 (ko) |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 |
KR20210023093A (ko) | 테일 게이트 스위칭 유니트 | |
KR200463254Y1 (ko) | 차량용 후드 스위치 | |
KR200471130Y1 (ko) |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 장치 | |
KR20090005323U (ko) | 접촉 시소 스위치 장치 | |
KR200460533Y1 (ko) | 슬라이더 스위치 유니트 | |
KR200471780Y1 (ko) | 차량용 스위치 장치 | |
KR102675893B1 (ko) | 푸시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 | |
JP5407636B2 (ja) | 車載用の複合操作スイッチ | |
KR200460894Y1 (ko) | 차량용 스위치 모듈 | |
KR20110005116U (ko) |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 |
KR20170090984A (ko) | 차량용 스위치 장치 | |
KR200461085Y1 (ko) | 로커 스위치 | |
KR200471131Y1 (ko) | 스위치 모듈 | |
KR200465490Y1 (ko) | 스위치 유니트 | |
KR200469421Y1 (ko) | 차량용 시트 워머 스위치 | |
KR20170091201A (ko) |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5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