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254Y1 - 차량용 후드 스위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254Y1
KR200463254Y1 KR2020110010458U KR20110010458U KR200463254Y1 KR 200463254 Y1 KR200463254 Y1 KR 200463254Y1 KR 2020110010458 U KR2020110010458 U KR 2020110010458U KR 20110010458 U KR20110010458 U KR 20110010458U KR 200463254 Y1 KR200463254 Y1 KR 2004632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case
button
unit
contac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4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운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104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2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2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2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후드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상시 접촉 구조를 통해 항상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며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접촉 위치 및 접촉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후드의 개폐 여부 및 개방 정도 등 다양한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전기적 신호 차단에 따른 고장 여부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으며, PCB 기판을 케이스 내부에 가조립 상태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점검 및 수리 작업시 PCB 기판의 분실을 방지하고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외부 이물질 및 수분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차량용 후드 스위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후드 스위치{Hood Switch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후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상시 접촉 구조를 통해 항상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며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접촉 위치 및 접촉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후드의 개폐 여부 및 개방 정도 등 다양한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전기적 신호 차단에 따른 고장 여부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으며, PCB 기판을 케이스 내부에 가조립 상태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점검 및 수리 작업시 PCB 기판의 분실을 방지하고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외부 이물질 및 수분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차량용 후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엔진룸을 개폐하기 위해서 후드가 구비된다. 후드는 엔진룸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차량 구동에 필요한 엔진과 기타 장치들이 구비된 엔진룸을 덮고 있다. 통상적으로 후드 스위치는 후드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되었을때 경보를 발령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따라서 차량의 도난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된다. 후드 스위치는 후드가 엔진룸을 폐쇄하고 있는 동안에는 후드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서 접점이 차단되어 오프(off) 상태로 유지되는 반면에, 후드가 엔진룸을 개방할때는 후드가 가하는 힘이 해제되며 접점이 연결되어 온(on)의 상태로 전환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따라서, 후드 스위치는 후드의 개폐에 따라서 변화되는 압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엔진룸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후드 스위치는 커넥터 및 배선을 통하여 ECU 또는 다른 전장 장치로 후드 스위치의 작동 상태 신호를 전달한다. 하지만, 이러한 후드 스위치는 배치 특성상 차량 패널과 후드 사이의 틈을 통하여 외기에 노출됨으로써, 외기에 포함된 습기나 이물질 등에 의해 상대적으로 손상되기 쉬워 오작동하거나 내구 연한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후드 스위치는 후드의 가압력에 의해 단순히 접점 차단 및 연결을 통한 온/오프되는 방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후드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이러한 신호가 후드의 닫힘에 의해 발생된 것인지 아니면 후드 스위치가 고장남에 따라 발생된 것인지 구별할 수가 없게 된다. 즉, 접점 차단 및 연결에 의한 온/오프 방식의 단순한 후드 스위치의 경우 고장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고장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가 이를 감지하기도 용이하지 않아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상시 접촉 구조를 통해 항상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며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접촉 위치 및 접촉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후드의 개폐 여부 및 개방 정도 등 다양한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전기적 신호 차단에 따른 고장 여부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PCB 기판을 케이스 내부에 가조립 상태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점검 및 수리 작업시 PCB 기판의 분실을 방지하고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의 구조를 외부 이물질 및 수분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실링 부재 및 보호캡을 장착하여 외부 노출에 의한 오작동 및 고장 발생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조립 상태의 일정 유지 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를 구비하고,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제조 방식을 통하여 형성되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구성요소의 일정한 상태 유지를 가능하게 하여 작동시 오작동 발생 가능성을 방지 내지 저감시킬 수 있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튼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와 함께 일체로 상하 이동하는 가동 접점 유닛; 상기 버튼부의 상단부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상기 버튼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가동 접점 유닛과 접촉하도록 일면에 고정 접점 유닛이 형성되는 PCB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접점 유닛은 상기 가동 접점 유닛과 항상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동 접점 유닛의 상하 이동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의 하단에는 버튼부 홀더가 배치되고, 상기 가동 접점 유닛에는 가동 접점 유닛 관통구가 구비되되, 상기 가동 접점 유닛 관통구에 상기 버튼부 홀더가 압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가동 접점 유닛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는 3개의 가동 접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접점 유닛은 상기 3개의 가동 접점 단자에 각각 접촉하는 3개의 고정 접점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3개의 고정 접점 단자 중 하나는 상기 가동 접점 단자의 전체 이동 구간에서 상기 가동 접점 단자와 항상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가동 접점 단자의 전체 이동 구간 중 상부 구간에서만 상기 가동 접점 단자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가동 접점 단자의 전체 이동 구간 중 하부 구간에서만 상기 가동 접점 단자와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부면이 개방된 하부 케이스와, 하부면이 개방된 상부 케이스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이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호 결합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과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측면 사이에는 별도의 실링 부재가 삽입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 및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버튼부의 외부를 감싸는 탄성 재질의 보호캡이 밀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PCB 기판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PCB 기판의 양측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기판 가이드부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 가이드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PCB 기판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PCB 기판의 양측단과 밀착 접촉될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PCB 기판의 양측단에는 상기 PCB 기판이 슬라이딩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의 하부 일부 구간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이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버튼부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버튼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에는 상기 버튼부의 하향 이동 범위가 제한되도록 별도의 스토퍼 돌기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 돌기의 하단 높이는 상기 가동 접점 유닛의 하단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 홀더의 일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버튼부에 연결되되, 상기 버튼부 홀더의 길이 방향 단면적은 상기 버튼부 홀더의 자유단 측으로 향할수록 감소하고, 상기 버튼부 홀더의 측면은 경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 홀더의 타단 측면에는 상기 가동 접점 유닛 관통구가 장착 수용하는 홀더 단차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상시 접촉 구조를 통해 항상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며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접촉 위치 및 접촉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후드의 개폐 여부 및 개방 정도 등 다양한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전기적 신호 차단에 따른 고장 여부를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PCB 기판을 케이스 내부에 가조립 상태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점검 및 수리 작업시 PCB 기판의 분실을 방지하고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의 구조를 외부 이물질 및 수분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실링 부재 및 보호캡을 장착하여 외부 노출에 의한 오작동 및 고장 발생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외부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PCB 기판에 대한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 기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도 5의 "C-C"선을 따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버튼부에 대한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버튼부에 대한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버튼부에 대한 하향 이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6은 본 고안의 다른 일예에 따른 후드 스위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고안의 다른 일예 따른 후드 스위치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장치에 장착된 구조의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외부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는 그 작동 상태에 따라 항상 신호가 발생하도록 구성되는데, 케이스(100), 버튼부(300), 가동 접점 유닛(400), 탄성 부재(500) 및 PCB 기판(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00)는 차량 패널(10)의 스위치 장착구(11)에 고정 장착되는데, 별도의 고정 클립(101)이 일측에 형성되어 스위치 장착구(11)에 단순 삽입하는 방식으로 차량 패널(10)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케이스(100)는 후드 스위치의 외형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다양한 부품이 내부 공간에 수용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 상부면이 개방된 하부 케이스(110)와, 하부면이 개방된 상부 케이스(120)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케이스(120)의 내측면이 하부 케이스(11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호 결합될 수 있으며, 상부 케이스(120)의 내측면과 하부 케이스(110)의 외측면 사이에는 외부 수분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실링 부재(R)가 삽입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케이스(120)와 하부 케이스(110)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결합홀(122)과 결합 돌기(112)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서로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상호 결합된다. 한편, 상부 케이스(120)에는 후술하는 버튼부(300)의 상단부가 관통 돌출될 수 있도록 별도의 관통홀(121)이 형성되며, 하부 케이스(110)에는 하단부에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별도의 커넥터부(1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커넥터부(111)에는 PCB 기판(600)에 연결되는 커넥터 핀(620)이 내부 공간에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버튼부(300)는 케이스(100)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후드가 닫힌 상태에서 버튼부(300)가 후드에 의해 가압되어 하향 이동하고 후드가 개방되면 버튼부(300)가 다시 상향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버튼부(300)의 상단부가 케이스(100)의 상단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버튼부(300)에 탄성력을 가하는 별도의 탄성 부재(500)가 구비된다. 이러한 탄성 부재(500)에 의해 케이스(100)의 상단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버튼부(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보호캡(200)을 통해 외부가 감싸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케이스(100)의 상단에는 케이스(100)의 상단부 및 버튼부(300)의 돌출되는 부분 외부를 감싸는 보호캡(20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보호캡(200)은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케이스(100) 상단부에 밀착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버튼부(300)와 케이스(100) 사이 공간을 통한 외부 수분 및 이물질의 케이스 내부로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가동 접점 유닛(400)은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어 버튼부(300)와 함께 일체로 상하 이동하는데, 버튼부(300)의 하단에 결합되거나 또는 탄성 부재(500)와 버튼부(300) 사이에 삽입되어 버튼부(300)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동 접점 유닛(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는 3개의 가동 접점 단자(410)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가동 접점 단자(410)의 개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각 가동 접점 단자(410)의 배치 높이 또한 후술하는 고정 접점 단자(611,612,613)와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PCB 기판(600)은 케이스(100) 내부에 장착되며, 일면에는 가동 접점 유닛(400)과 접촉하도록 고정 접점 유닛(610)이 형성된다. 이때, 고정 접점 유닛(610)은 가동 접점 유닛(400)이 상하 이동하는 전체 이동 구간에서 가동 접점 유닛(400)과 항상 접촉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가동 접점 유닛(400)이 상하 이동함에 따라 가동 접점 유닛(400)과의 접촉 위치 변경을 통해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 접점 유닛(610)은 가동 접점 유닛(400)의 가동 접점 단자(410)와 각각 접촉하도록 가동 접점 단자(410)와 대응하는 개수의 고정 접점 단자(611,612,613)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접점 단자(410)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도록 3개 구비된 경우, 고정 접점 단자(611,612,613)는 각 가동 접점 단자(410)와 각각 접촉할 수 있도록 3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각 고정 접점 단자(611,612,613)는 가동 접점 단자(4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접촉 상태가 발생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특정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는 등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가동 접점 단자(410)의 상하 이동 전 구간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동 접점 단자(410)와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정 접점 단자(611,612,613)는 항상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차량의 후드가 열리거나 닫힌 경우 각각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는 후드의 개방 위치에 따라 더욱 다양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후드 스위치의 경우에는 단순히 후드의 가압력 해제에 의해 접점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후드 개방 여부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므로, 접점이 차단되어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이 상태가 후드 스위치의 고장에 의한 접점 차단 상태인지 아니면 정상적인 접점 차단 상태인지 구별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후드 스위치는 가동 접점 유닛과 고정 접점 유닛이 후드 개폐 여부와 상관없이 항상 접촉하며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에, 후드 스위치가 고장난 경우에 발생하는 접점 차단 신호를 정상적인 작동 신호와 구별할 수 있는 구조이다. 물론, 이 경우 후드의 가압력에 따라 가동 접점 유닛(400)이 상하 이동하면 그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므로, 후드 개폐 여부에 대한 신호를 정상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으며, 가동 접점 유닛(400)과 고정 접점 유닛(610)의 배치 상태 및 특성 조절을 통해 후드 개방 정도를 좀더 세분하여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PCB 기판에 대한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 기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도 5의 "C-C"선을 따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PCB 기판(6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접점 단자(611,612,613)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는데, 케이스(1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부 케이스(110)의 내측면에는 이러한 PCB 기판(600)이 상하 방향으로 고정 배치되도록 별도의 기판 가이드부(113)가 형성된다. 기판 가이드부(113)는 PCB 기판(600)의 결합 과정에서 PCB 기판(600)이 슬라이딩 삽입되며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PCB 기판(600)을 용이하게 케이스(100) 내부에 삽입할 수 있으며, 삽입 완료한 상태에서 그대로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기판 가이드부(113)의 내측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 기판(600)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과정에서 PCB 기판(600)의 양측단과 밀착 접촉될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115)가 형성되고, PCB 기판(600)의 양측단에는 PCB 기판(600)이 슬라이딩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115)가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 홈(601)이 형성된다. 따라서, PCB 기판(600)을 기판 가이드부(113)에 슬라이딩 삽입하게 되면, PCB 기판(600)은 기판 가이드부(113)의 가이드 돌기(115)에 의해 밀착되게 삽입되고, 슬라이딩 삽입 완료됨과 동시에 가이드 돌기(115)가 PCB 기판(600)의 가이드 홈(601)에 삽입 결합되어 PCB 기판(60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합 고정된다. 또한, 가이드 돌기(115)와 가이드 홈(601)의 결합 과정에서 작업자에게 조작감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PCB 기판(600)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과도한 힘에 의해 PCB 기판(6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PCB 기판(600)의 양측단에는 가이드 홈(601)의 하부 일부 구간에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의 오목 구간(60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오목 구간(602)의 폭(X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115) 사이의 거리(X1) 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PCB 기판(60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오목 구간(602)과 가이드 돌기(115)가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PCB 기판(600)은 기판 가이드부(113)에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오목 구간(602)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상하 이동 가능하고, 따라서, 필요에 따라 PCB 기판(600)을 분리해야 하는 경우 PCB 기판(600)을 완전 분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PCB 기판(60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고 분리 조립 작업을 더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드 스위치의 조립 공정 상에서 후속 공정의 용이성을 위해 PCB 기판(600)을 기판 가이드부(113)에 가조립 상태로 조립한 후 후속 공정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케이스(100)의 커넥터부(111)에 연결된 외부 연결 커넥터(미도시)와의 연결을 해제하거나 접점 연결을 차단해야 하는 경우 등 후드 스위치의 점검 및 수리 과정에서 PCB 기판(600)을 케이스(100) 내부로부터 완전 분리하지 않고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PCB 기판(600)의 분실 방지 및 용이한 작업 진행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버튼부에 대한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버튼부에 대한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버튼부에 대한 하향 이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버튼부(300)는 후드의 가압력에 의해 케이스(100)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데, 이러한 버튼부(300)의 상하 이동 경로가 가이드될 수 있도록 케이스(100), 좀더 구체적으로는 하부 케이스(110)의 내측면에는 별도의 버튼 가이드부(114)가 형성된다. 이때, 버튼 가이드부(114)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10)의 내측면에 돌출된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버튼부(300)에는 이러한 버튼 가이드부(114)가 삽입될 수 있도록 버튼 가이드 홈(301)이 형성된다. 따라서, 버튼부(300)는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서 버튼 가이드부(114)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또한, 버튼부(300)는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는 버튼 블록(310)과, 케이스(100)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버튼 블록(310)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버튼 돌기(320)와, 버튼 블록(310)의 양측면에 하향 돌출되는 스토퍼 돌기(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따라서, 버튼부(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돌기(330)에 의해 하향 이동 범위가 제한된다. 이때, 스토퍼 돌기(330)의 하단 높이는 가동 접점 유닛(400)의 하단 높이 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버튼부(300)가 최대로 하향 이동하더라도 가동 접점 유닛(400)이 케이스(100)의 바닥면에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버튼부(300)의 하향 이동시 발생할 수 있는 가동 접점 유닛(4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서는 가동 접점 유닛(400)과 고정 접점 유닛(610)의 접촉 상태를 중심으로 설명하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접점 유닛(400)은 버튼부(300)에 결합되어 탄성 부재(500)를 통해 버튼부(300)와 함께 상부 방향으로 탄성 편의되며, 버튼부(300)가 외부 가압됨에 따라 하향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PCB 기판(600)은 고정 접점 유닛(610)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배치 고정되고, 가동 접점 유닛(400)과 고정 접점 유닛(610)은 항상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9의 (a),(b) 및 (c)에는 각각 가동 접점 유닛(400)의 하향 이동에 따른 접점의 변화 상태가 도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 접점 유닛(400)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는 3개의 가동 접점 단자(410)를 포함하고, 고정 접점 유닛(610)은 이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3개의 고정 접점 단자(611,612,613)를 포함한다. 이러한 3개의 고정 접점 단자(611,612,6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동 접점 단자(410)와 상하 이동 전 구간에서 접촉하는 제 1 고정 접점 단자(611)와, 가동 접점 단자(410)의 상부 이동 구간에서만 접촉하는 제 2 고정 접점 단자(612)와, 가동 접점 단자(410)의 하부 이동 구간에서만 접촉하는 제 3 고정 접점 단자(613)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의 (a) 상태에서 가동 접점 단자(410)는 제 1 고정 접점 단자(611) 및 제 2 고정 접점 단자(612)와 각각 접촉되며, 도 9의 (b) 상태에서 가동 접점 단자(410)는 제 1 고정 접점 단자(611) 및 제 3 고정 접점 단자(613)와 각각 접촉되며, 도 9의 (c) 상태에서도 도 9의 (b)와 동일한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즉, 후드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 9의 (a) 상태와 같은 접점 접촉 상태가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고, 이 상태에서 후드가 닫히게 되면 도 9의 (b) 상태로 접점 접촉 상태가 불연속적으로 변화하게 되며, 이에 대응하는 또 다른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후드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도 9의 (c) 상태이므로 도 9의 (b)와 마찬가지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도 9의 (b)와 (c) 사이에서는 후드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진동 등에 의해 가동 접점 단자(410)가 미세하게 상향 이동하더라도 후드가 개방된 상태로 인식하지 않도록 일종의 유격 구간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와 달리 다양한 형태로 그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일부 구간에 가동 접점 단자(410)와 제 1 고정 접점 단자(611)만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또 다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점 단자(611,612,613)의 형상을 모두 동일하게 구성하고 가동 접점 단자(410)가 접촉하는 위치에 따라 고정 접점 단자(611,612,613)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크기를 다르게 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스위치는 후드의 개폐에 따라 단순한 전기적 신호의 발생 및 차단 방식이 아니고 항상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후드 스위치의 고장에 따른 전기적 신호의 차단과 후드 스위치 작동에 따른 다양한 전기적 신호를 서로 구별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전기적 신호 생성에 따른 좀 더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드 스위치는 가변 접점 유닛을 구비하되, 가변 접점 유닛을 버튼부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6에는 본 고안의 다른 일예에 따른 후드 스위치의 제조 과정이 도시되고, 도 17 및 도 18에는 본 고안의 다른 일예 따른 후드 스위치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장치에 장착된 구조의 개략적인 도면이 도시된다.
버튼부(300)의 하단에는 버튼부 홀더(340)가 구비되고, 가동 접점 유닛(400)에는 가동 접점 유닛 관통구(420)가 구비된다. 버튼부 홀더(340)는 버튼부(30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데, 별개의 구성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버튼부 홀더(340)는 사출 형성되어 일체물로 구성된다. 버튼부 홀더(340)는 길이 방향이 버튼부(300)가 가동하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가동 접점 유닛(400)은 가동 접점 단자(410)를 구비하는데, 가동 접점 단자(410)는 가동 접점 유닛(400)의 가동 접점 유닛 바디(401)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가동 접점 유닛 관통구(420)는 가동 접점 유닛 바디(401)에 형성되고, 버튼부 홀더(340)에 가동 접점 유닛(400)의 가동 접점 유닛 바디(401)가 장착되는데, 가동 접점 유닛 관통구(420)에는 버튼부 홀더(340)가 관통 배치되어 양자는 상대 압입 결합된다.
버튼부 홀더(340)는 버튼부(300)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버튼부 홀더(340)는 일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버튼부(300)에 연결되되, 버튼부 홀더(340)의 길이 방향 단면적은 버튼부 홀더의 자유단 측으로 향할수록 감소하고 버튼부 홀더(340)의 측면(341)은 경사 배치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 홀더(340)의 측면은 수평선에 대하여 사전 설정된 경사각(θ)를 구비하는데, 버튼부 홀더(340)는 자유단으로 향할수도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경사 구조를 취한다.
가동 접점 유닛(400)의 버튼부 홀더(300)에의 장착은 지그 장치(1)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17에 도시된 지그 장치(1)는 압입 지그(2)와 안착 지그(3)를 포함하는데, 압입 지그(2)는 수직 가동되는 구조를 취한다. 안착 지그(3)에는 안착 지그 버튼 수용부(4)가 구비되는데, 지그 버튼 수용부(4)에 버튼부(300)가 안정적으로 수용 배치된다. 지그 버튼 수용부(4)에 수용되는 버튼부(300)는 버튼부 홀더(340)가 압입 지그(1)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 지그(2)는 압입 지그 돌기(5)를 구비하고, 압입 지그 돌기(5)의 내부에는 압입 지그 돌기 홀더 수용부(6)가 배치되어 하기되는 바와 같이 압입 지그(2)가 수직 가동되는 경우 버튼부 홀더(340)는 압입 지그 돌기 홀더 수용부(6)에 수용되고, 압입 지그 돌기(5)의 단부가 가동 접점 유닛 관통구(420)의 외측의 가동 접점 유닛 바디(401)의 일부와 접촉하여 가압력을 전달한다.
그런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 홀더(340)에는 가동 접점 유닛(400)이 배치된다. 그런 후,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 지그(2)의 단부는 버튼부 홀더(340)를 향하여 이동하여 가동 접점 유닛(400)의 가동 접점 유닛 관통구(420)의 외측과 접하여 수평을 이룬다. 그런 후,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 지그(2)는 수직 가동하여 가동 점점 유닛(400)의 가동 접점 유닛 바디(401)를 압입하여 버튼부(300) 측으로 이동시키고,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 지그(2)의 단부가 버튼부(300)의 내측 하단면과 접하는 경우 정지하여 가동 접점 유닛 바디(401)가 버튼부(300)의 내측 하단면과 접하여 유지되는 위치를 점하도록 한다. 이때, 버튼부 홀더(340)의 외측면은 경사면(341)을 구비하고 가동 접점 유닛 관통구(420)는 버튼 홀더(340)와의 위치가 압입 유지되는 구조를 취한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 홀더(340)의 타단 측면에는 홀더 단차부(343)가 형성될 수 있는데, 홀더 단차부(343)는 버튼부(300)와의 연결 영역에 요홈으로 형성된다. 홀더 단차부(343)에는 가동 접점 유닛(400)의 가동 접점 유닛 관통구(420)를 이루는 가동 접점 유닛 바디(401)가 맞물림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가동 접점 유닛(400)은 전도성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데, 가동 접점 유닛(400)은 버튼부 홀더(340)에 압입되는 과정에서 미세한 탄성 변형을 이룬다. 그런 후, 가동 접점 유닛 바디(401)의 일면이 버튼부(300)의 내측 하단면과 접하는 경우 가동 접점 유닛 관통구(401)의 내측 외주면은 홀더 단차부(343)와 접하여 가동 접점 유닛 바디(40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소정의 체결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홀더 단차부 구조를 통하여 보다 안정적인 유지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케이스 110: 하부 케이스
120: 상부 케이스 200: 보호캡
300: 버튼부 400: 가동 접점 유닛
500: 탄성 부재 600: PCB 기판
610: 고정 접점 유닛

Claims (10)

  1.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튼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와 함께 일체로 상하 이동하는 가동 접점 유닛;
    상기 버튼부의 상단부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상기 버튼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가동 접점 유닛과 접촉하도록 일면에 고정 접점 유닛이 형성되는 PCB 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접점 유닛은 상기 가동 접점 유닛과 항상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동 접점 유닛의 상하 이동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의 하단에는 버튼부 홀더가 배치되고, 상기 가동 접점 유닛에는 가동 접점 유닛 관통구가 구비되되, 상기 가동 접점 유닛 관통구에 상기 버튼부 홀더가 압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 유닛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는 3개의 가동 접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접점 유닛은 상기 3개의 가동 접점 단자에 각각 접촉하는 3개의 고정 접점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3개의 고정 접점 단자 중 하나는 상기 가동 접점 단자의 전체 이동 구간에서 상기 가동 접점 단자와 항상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가동 접점 단자의 전체 이동 구간 중 상부 구간에서만 상기 가동 접점 단자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가동 접점 단자의 전체 이동 구간 중 하부 구간에서만 상기 가동 접점 단자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면이 개방된 하부 케이스와, 하부면이 개방된 상부 케이스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이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호 결합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과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측면 사이에는 별도의 실링 부재가 삽입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 및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버튼부의 외부를 감싸는 탄성 재질의 보호캡이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PCB 기판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PCB 기판의 양측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기판 가이드부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가이드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PCB 기판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PCB 기판의 양측단과 밀착 접촉될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PCB 기판의 양측단에는 상기 PCB 기판이 슬라이딩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의 하부 일부 구간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이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버튼부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버튼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에는 상기 버튼부의 하향 이동 범위가 제한되도록 별도의 스토퍼 돌기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 돌기의 하단 높이는 상기 가동 접점 유닛의 하단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 홀더의 일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버튼부에 연결되되, 상기 버튼부 홀더의 길이 방향 단면적은 상기 버튼부 홀더의 자유단 측으로 향할수록 감소하고, 상기 버튼부 홀더의 측면은 경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 홀더의 타단 측면에는 상기 가동 접점 유닛 관통구가 장착 수용하는 홀더 단차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
KR2020110010458U 2011-11-24 2011-11-24 차량용 후드 스위치 KR2004632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458U KR200463254Y1 (ko) 2011-11-24 2011-11-24 차량용 후드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458U KR200463254Y1 (ko) 2011-11-24 2011-11-24 차량용 후드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254Y1 true KR200463254Y1 (ko) 2012-10-24

Family

ID=47560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458U KR200463254Y1 (ko) 2011-11-24 2011-11-24 차량용 후드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25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854B1 (ko) 2013-07-01 2015-08-07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푸쉬 스위치 어셈블리
KR101882315B1 (ko) * 2016-11-28 2018-07-25 (주) 아이솔 조사스위치 일체형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KR200492793Y1 (ko) * 2019-07-19 2020-12-11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036B1 (ko) 2010-08-10 2011-12-1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후드 스위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036B1 (ko) 2010-08-10 2011-12-1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후드 스위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854B1 (ko) 2013-07-01 2015-08-07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푸쉬 스위치 어셈블리
KR101882315B1 (ko) * 2016-11-28 2018-07-25 (주) 아이솔 조사스위치 일체형 엑스레이 제너레이터
KR200492793Y1 (ko) * 2019-07-19 2020-12-11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5886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US20210343488A1 (en) Key module
US8327512B2 (en) Slide switch for buckle apparatus
US9017090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squib connection device
JP2009259442A (ja) コネクタ
JP2006196448A (ja) ピンソケットタイプの電気コネクタ
KR200463254Y1 (ko) 차량용 후드 스위치
JP5903253B2 (ja) スイッチ装置
US9166333B2 (en) Connector
US20140367234A1 (en) Dust and waterproof switch
US20130220063A1 (en) Switch device
KR101094036B1 (ko) 차량용 후드 스위치
US10366851B2 (en) Switch device and detecting apparatus equipped with it
US6428341B2 (en) Inspecting jig for wire harness
EP3651177A1 (en) Switch device and opening/closing detection device
KR102234243B1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CN111952761B (zh) 连接器装置
KR101769583B1 (ko)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벌브 홀더
KR200435922Y1 (ko) 후드 스위치
JP6635588B2 (ja) コネクタ
KR102224396B1 (ko) 스위치
KR100549028B1 (ko) 스위치 장치
KR102675893B1 (ko) 푸시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
KR200469355Y1 (ko)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
CN215768959U (zh) 带有导向板的连接器端子测试仪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