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4036B1 - 차량용 후드 스위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036B1
KR101094036B1 KR1020100076959A KR20100076959A KR101094036B1 KR 101094036 B1 KR101094036 B1 KR 101094036B1 KR 1020100076959 A KR1020100076959 A KR 1020100076959A KR 20100076959 A KR20100076959 A KR 20100076959A KR 101094036 B1 KR101094036 B1 KR 101094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ovable contact
button
contact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운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6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후드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상시 접촉 구조를 통해 항상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며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접촉 위치 및 접촉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후드의 개폐 여부 및 개방 정도 등 다양한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전기적 신호 차단에 따른 고장 여부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으며, PCB 기판을 케이스 내부에 가조립 상태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점검 및 수리 작업시 PCB 기판의 분실을 방지하고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외부 이물질 및 수분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차량용 후드 스위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후드 스위치{Hood Switch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후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상시 접촉 구조를 통해 항상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며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접촉 위치 및 접촉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후드의 개폐 여부 및 개방 정도 등 다양한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전기적 신호 차단에 따른 고장 여부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으며, PCB 기판을 케이스 내부에 가조립 상태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점검 및 수리 작업시 PCB 기판의 분실을 방지하고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외부 이물질 및 수분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차량용 후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엔진룸을 개폐하기 위해서 후드가 구비된다. 후드는 엔진룸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차량 구동에 필요한 엔진과 기타 장치들이 구비된 엔진룸을 덮고 있다. 통상적으로 후드 스위치는 후드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되었을때 경보를 발령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따라서 차량의 도난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된다. 후드 스위치는 후드가 엔진룸을 폐쇄하고 있는 동안에는 후드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서 접점이 차단되어 오프(off) 상태로 유지되는 반면에, 후드가 엔진룸을 개방할때는 후드가 가하는 힘이 해제되며 접점이 연결되어 온(on)의 상태로 전환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따라서, 후드 스위치는 후드의 개폐에 따라서 변화되는 압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엔진룸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후드 스위치는 커넥터 및 배선을 통하여 ECU 또는 다른 전장 장치로 후드 스위치의 작동 상태 신호를 전달한다. 하지만, 이러한 후드 스위치는 배치 특성상 차량 패널과 후드 사이의 틈을 통하여 외기에 노출됨으로써, 외기에 포함된 습기나 이물질 등에 의해 상대적으로 손상되기 쉬워 오작동하거나 내구 연한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후드 스위치는 후드의 가압력에 의해 단순히 접점 차단 및 연결을 통한 온/오프되는 방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후드 스위치로부터 오프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이러한 신호가 후드의 닫힘에 의해 발생된 것인지 아니면 후드 스위치가 고장남에 따라 발생된 것인지 구별할 수가 없게 된다. 즉, 접점 차단 및 연결에 의한 온/오프 방식의 단순한 후드 스위치의 경우 고장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고장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가 이를 감지하기도 용이하지 않아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상시 접촉 구조를 통해 항상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며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접촉 위치 및 접촉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후드의 개폐 여부 및 개방 정도 등 다양한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전기적 신호 차단에 따른 고장 여부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CB 기판을 케이스 내부에 가조립 상태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점검 및 수리 작업시 PCB 기판의 분실을 방지하고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의 구조를 외부 이물질 및 수분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실링 부재 및 보호캡을 장착하여 외부 노출에 의한 오작동 및 고장 발생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튼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와 함께 일체로 상하 이동하는 가동 접점 유닛; 상기 버튼부의 상단부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상기 버튼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가동 접점 유닛과 접촉하도록 일면에 고정 접점 유닛이 형성되는 PCB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접점 유닛은 상기 가동 접점 유닛과 항상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동 접점 유닛의 상하 이동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가동 접점 유닛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는 3개의 가동 접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접점 유닛은 상기 3개의 가동 접점 단자에 각각 접촉하는 3개의 고정 접점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3개의 고정 접점 단자 중 하나는 상기 가동 접점 단자의 전체 이동 구간에서 상기 가동 접점 단자와 항상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가동 접점 단자의 전체 이동 구간 중 상부 구간에서만 상기 가동 접점 단자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가동 접점 단자의 전체 이동 구간 중 하부 구간에서만 상기 가동 접점 단자와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부면이 개방된 하부 케이스와, 하부면이 개방된 상부 케이스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이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호 결합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과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측면 사이에는 별도의 실링 부재가 삽입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 및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버튼부의 외부를 감싸는 탄성 재질의 보호캡이 밀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PCB 기판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PCB 기판의 양측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기판 가이드부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 가이드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PCB 기판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PCB 기판의 양측단과 밀착 접촉될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PCB 기판의 양측단에는 상기 PCB 기판이 슬라이딩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의 하부 일부 구간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이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버튼부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버튼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에는 상기 버튼부의 하향 이동 범위가 제한되도록 별도의 스토퍼 돌기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 돌기의 하단 높이는 상기 가동 접점 유닛의 하단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상시 접촉 구조를 통해 항상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며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접촉 위치 및 접촉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후드의 개폐 여부 및 개방 정도 등 다양한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전기적 신호 차단에 따른 고장 여부를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PCB 기판을 케이스 내부에 가조립 상태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점검 및 수리 작업시 PCB 기판의 분실을 방지하고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의 구조를 외부 이물질 및 수분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실링 부재 및 보호캡을 장착하여 외부 노출에 의한 오작동 및 고장 발생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외부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PCB 기판에 대한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 기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도 5의 "C-C"선을 따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버튼부에 대한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버튼부에 대한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버튼부에 대한 하향 이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외부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는 그 작동 상태에 따라 항상 신호가 발생하도록 구성되는데, 케이스(100), 버튼부(300), 가동 접점 유닛(400), 탄성 부재(500) 및 PCB 기판(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00)는 차량 패널(10)의 스위치 장착구(11)에 고정 장착되는데, 별도의 고정 클립(101)이 일측에 형성되어 스위치 장착구(11)에 단순 삽입하는 방식으로 차량 패널(10)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케이스(100)는 후드 스위치의 외형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다양한 부품이 내부 공간에 수용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 상부면이 개방된 하부 케이스(110)와, 하부면이 개방된 상부 케이스(120)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케이스(120)의 내측면이 하부 케이스(11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호 결합될 수 있으며, 상부 케이스(120)의 내측면과 하부 케이스(110)의 외측면 사이에는 외부 수분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실링 부재(R)가 삽입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케이스(120)와 하부 케이스(110)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결합홀(122)과 결합 돌기(112)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서로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상호 결합된다. 한편, 상부 케이스(120)에는 후술하는 버튼부(300)의 상단부가 관통 돌출될 수 있도록 별도의 관통홀(121)이 형성되며, 하부 케이스(110)에는 하단부에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별도의 커넥터부(1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커넥터부(111)에는 PCB 기판(600)에 연결되는 커넥터 핀(620)이 내부 공간에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버튼부(300)는 케이스(100)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후드가 닫힌 상태에서 버튼부(300)가 후드에 의해 가압되어 하향 이동하고 후드가 개방되면 버튼부(300)가 다시 상향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버튼부(300)의 상단부가 케이스(100)의 상단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버튼부(300)에 탄성력을 가하는 별도의 탄성 부재(500)가 구비된다. 이러한 탄성 부재(500)에 의해 케이스(100)의 상단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버튼부(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보호캡(200)을 통해 외부가 감싸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케이스(100)의 상단에는 케이스(100)의 상단부 및 버튼부(300)의 돌출되는 부분 외부를 감싸는 보호캡(20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보호캡(200)은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케이스(100) 상단부에 밀착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버튼부(300)와 케이스(100) 사이 공간을 통한 외부 수분 및 이물질의 케이스 내부로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가동 접점 유닛(400)은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어 버튼부(300)와 함께 일체로 상하 이동하는데, 버튼부(300)의 하단에 결합되거나 또는 탄성 부재(500)와 버튼부(300) 사이에 삽입되어 버튼부(300)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동 접점 유닛(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는 3개의 가동 접점 단자(410)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가동 접점 단자(410)의 개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각 가동 접점 단자(410)의 배치 높이 또한 후술하는 고정 접점 단자(611,612,613)와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PCB 기판(600)은 케이스(100) 내부에 장착되며, 일면에는 가동 접점 유닛(400)과 접촉하도록 고정 접점 유닛(610)이 형성된다. 이때, 고정 접점 유닛(610)은 가동 접점 유닛(400)이 상하 이동하는 전체 이동 구간에서 가동 접점 유닛(400)과 항상 접촉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가동 접점 유닛(400)이 상하 이동함에 따라 가동 접점 유닛(400)과의 접촉 위치 변경을 통해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 접점 유닛(610)은 가동 접점 유닛(400)의 가동 접점 단자(410)와 각각 접촉하도록 가동 접점 단자(410)와 대응하는 개수의 고정 접점 단자(611,612,613)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접점 단자(410)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도록 3개 구비된 경우, 고정 접점 단자(611,612,613)는 각 가동 접점 단자(410)와 각각 접촉할 수 있도록 3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각 고정 접점 단자(611,612,613)는 가동 접점 단자(4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접촉 상태가 발생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특정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는 등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가동 접점 단자(410)의 상하 이동 전 구간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동 접점 단자(410)와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정 접점 단자(611,612,613)는 항상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차량의 후드가 열리거나 닫힌 경우 각각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는 후드의 개방 위치에 따라 더욱 다양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후드 스위치의 경우에는 단순히 후드의 가압력 해제에 의해 접점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후드 개방 여부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므로, 접점이 차단되어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이 상태가 후드 스위치의 고장에 의한 접점 차단 상태인지 아니면 정상적인 접점 차단 상태인지 구별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후드 스위치는 가동 접점 유닛과 고정 접점 유닛이 후드 개폐 여부와 상관없이 항상 접촉하며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에, 후드 스위치가 고장난 경우에 발생하는 접점 차단 신호를 정상적인 작동 신호와 구별할 수 있는 구조이다. 물론, 이 경우 후드의 가압력에 따라 가동 접점 유닛(400)이 상하 이동하면 그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므로, 후드 개폐 여부에 대한 신호를 정상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으며, 가동 접점 유닛(400)과 고정 접점 유닛(610)의 배치 상태 및 특성 조절을 통해 후드 개방 정도를 좀더 세분하여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PCB 기판에 대한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 기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도 5의 "C-C"선을 따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PCB 기판(6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접점 단자(611,612,613)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는데, 케이스(1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부 케이스(110)의 내측면에는 이러한 PCB 기판(600)이 상하 방향으로 고정 배치되도록 별도의 기판 가이드부(113)가 형성된다. 기판 가이드부(113)는 PCB 기판(600)의 결합 과정에서 PCB 기판(600)이 슬라이딩 삽입되며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PCB 기판(600)을 용이하게 케이스(100) 내부에 삽입할 수 있으며, 삽입 완료한 상태에서 그대로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기판 가이드부(113)의 내측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 기판(600)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과정에서 PCB 기판(600)의 양측단과 밀착 접촉될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115)가 형성되고, PCB 기판(600)의 양측단에는 PCB 기판(600)이 슬라이딩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115)가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 홈(601)이 형성된다. 따라서, PCB 기판(600)을 기판 가이드부(113)에 슬라이딩 삽입하게 되면, PCB 기판(600)은 기판 가이드부(113)의 가이드 돌기(115)에 의해 밀착되게 삽입되고, 슬라이딩 삽입 완료됨과 동시에 가이드 돌기(115)가 PCB 기판(600)의 가이드 홈(601)에 삽입 결합되어 PCB 기판(60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합 고정된다. 또한, 가이드 돌기(115)와 가이드 홈(601)의 결합 과정에서 작업자에게 조작감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PCB 기판(600)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과도한 힘에 의해 PCB 기판(6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PCB 기판(600)의 양측단에는 가이드 홈(601)의 하부 일부 구간에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의 오목 구간(60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오목 구간(602)의 폭(X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115) 사이의 거리(X1) 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PCB 기판(60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오목 구간(602)과 가이드 돌기(115)가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PCB 기판(600)은 기판 가이드부(113)에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오목 구간(602)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상하 이동 가능하고, 따라서, 필요에 따라 PCB 기판(600)을 분리해야 하는 경우 PCB 기판(600)을 완전 분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PCB 기판(60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고 분리 조립 작업을 더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드 스위치의 조립 공정 상에서 후속 공정의 용이성을 위해 PCB 기판(600)을 기판 가이드부(113)에 가조립 상태로 조립한 후 후속 공정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케이스(100)의 커넥터부(111)에 연결된 외부 연결 커넥터(미도시)와의 연결을 해제하거나 접점 연결을 차단해야 하는 경우 등 후드 스위치의 점검 및 수리 과정에서 PCB 기판(600)을 케이스(100) 내부로부터 완전 분리하지 않고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PCB 기판(600)의 분실 방지 및 용이한 작업 진행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버튼부에 대한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버튼부에 대한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스위치의 버튼부에 대한 하향 이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버튼부(300)는 후드의 가압력에 의해 케이스(100)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데, 이러한 버튼부(300)의 상하 이동 경로가 가이드될 수 있도록 케이스(100), 좀더 구체적으로는 하부 케이스(110)의 내측면에는 별도의 버튼 가이드부(114)가 형성된다. 이때, 버튼 가이드부(114)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10)의 내측면에 돌출된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버튼부(300)에는 이러한 버튼 가이드부(114)가 삽입될 수 있도록 버튼 가이드 홈(301)이 형성된다. 따라서, 버튼부(300)는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서 버튼 가이드부(114)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또한, 버튼부(300)는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는 버튼 블록(310)과, 케이스(100)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버튼 블록(310)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버튼 돌기(320)와, 버튼 블록(310)의 양측면에 하향 돌출되는 스토퍼 돌기(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따라서, 버튼부(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돌기(330)에 의해 하향 이동 범위가 제한된다. 이때, 스토퍼 돌기(330)의 하단 높이는 가동 접점 유닛(400)의 하단 높이 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버튼부(300)가 최대로 하향 이동하더라도 가동 접점 유닛(400)이 케이스(100)의 바닥면에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버튼부(300)의 하향 이동시 발생할 수 있는 가동 접점 유닛(4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서는 가동 접점 유닛(400)과 고정 접점 유닛(610)의 접촉 상태를 중심으로 설명하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접점 유닛(400)은 버튼부(300)에 결합되어 탄성 부재(500)를 통해 버튼부(300)와 함께 상부 방향으로 탄성 편의되며, 버튼부(300)가 외부 가압됨에 따라 하향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PCB 기판(600)은 고정 접점 유닛(610)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배치 고정되고, 가동 접점 유닛(400)과 고정 접점 유닛(610)은 항상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9의 (a),(b) 및 (c)에는 각각 가동 접점 유닛(400)의 하향 이동에 따른 접점의 변화 상태가 도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 접점 유닛(400)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는 3개의 가동 접점 단자(410)를 포함하고, 고정 접점 유닛(610)은 이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3개의 고정 접점 단자(611,612,613)를 포함한다. 이러한 3개의 고정 접점 단자(611,612,6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동 접점 단자(410)와 상하 이동 전 구간에서 접촉하는 제 1 고정 접점 단자(611)와, 가동 접점 단자(410)의 상부 이동 구간에서만 접촉하는 제 2 고정 접점 단자(612)와, 가동 접점 단자(410)의 하부 이동 구간에서만 접촉하는 제 3 고정 접점 단자(613)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의 (a) 상태에서 가동 접점 단자(410)는 제 1 고정 접점 단자(611) 및 제 2 고정 접점 단자(612)와 각각 접촉되며, 도 9의 (b) 상태에서 가동 접점 단자(410)는 제 1 고정 접점 단자(611) 및 제 3 고정 접점 단자(613)와 각각 접촉되며, 도 9의 (c) 상태에서도 도 9의 (b)와 동일한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즉, 후드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 9의 (a) 상태와 같은 접점 접촉 상태가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고, 이 상태에서 후드가 닫히게 되면 도 9의 (b) 상태로 접점 접촉 상태가 불연속적으로 변화하게 되며, 이에 대응하는 또 다른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후드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도 9의 (c) 상태이므로 도 9의 (b)와 마찬가지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도 9의 (b)와 (c) 사이에서는 후드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진동 등에 의해 가동 접점 단자(410)가 미세하게 상향 이동하더라도 후드가 개방된 상태로 인식하지 않도록 일종의 유격 구간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와 달리 다양한 형태로 그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일부 구간에 가동 접점 단자(410)와 제 1 고정 접점 단자(611)만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또 다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점 단자(611,612,613)의 형상을 모두 동일하게 구성하고 가동 접점 단자(410)가 접촉하는 위치에 따라 고정 접점 단자(611,612,613)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크기를 다르게 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스위치는 후드의 개폐에 따라 단순한 전기적 신호의 발생 및 차단 방식이 아니고 항상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후드 스위치의 고장에 따른 전기적 신호의 차단과 후드 스위치 작동에 따른 다양한 전기적 신호를 서로 구별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전기적 신호 생성에 따른 좀 더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케이스 110: 하부 케이스
120: 상부 케이스 200: 보호캡
300: 버튼부 400: 가동 접점 유닛
500: 탄성 부재 600: PCB 기판
610: 고정 접점 유닛

Claims (8)

  1.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튼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부와 함께 일체로 상하 이동하는 가동 접점 유닛;
    상기 버튼부의 상단부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상기 버튼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가동 접점 유닛과 접촉하도록 일면에 고정 접점 유닛이 형성되는 PCB 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접점 유닛은 상기 가동 접점 유닛과 항상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동 접점 유닛의 상하 이동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 유닛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는 3개의 가동 접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접점 유닛은 상기 3개의 가동 접점 단자에 각각 접촉하는 3개의 고정 접점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3개의 고정 접점 단자 중 하나는 상기 가동 접점 단자의 전체 이동 구간에서 상기 가동 접점 단자와 항상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가동 접점 단자의 전체 이동 구간 중 상부 구간에서만 상기 가동 접점 단자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가동 접점 단자의 전체 이동 구간 중 하부 구간에서만 상기 가동 접점 단자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면이 개방된 하부 케이스와, 하부면이 개방된 상부 케이스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이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상호 결합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과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측면 사이에는 별도의 실링 부재가 삽입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 및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버튼부의 외부를 감싸는 탄성 재질의 보호캡이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PCB 기판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PCB 기판의 양측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기판 가이드부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가이드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PCB 기판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PCB 기판의 양측단과 밀착 접촉될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PCB 기판의 양측단에는 상기 PCB 기판이 슬라이딩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의 하부 일부 구간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이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버튼부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버튼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에는 상기 버튼부의 하향 이동 범위가 제한되도록 별도의 스토퍼 돌기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 돌기의 하단 높이는 상기 가동 접점 유닛의 하단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스위치.

KR1020100076959A 2010-08-10 2010-08-10 차량용 후드 스위치 KR101094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959A KR101094036B1 (ko) 2010-08-10 2010-08-10 차량용 후드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959A KR101094036B1 (ko) 2010-08-10 2010-08-10 차량용 후드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4036B1 true KR101094036B1 (ko) 2011-12-19

Family

ID=45506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959A KR101094036B1 (ko) 2010-08-10 2010-08-10 차량용 후드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0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254Y1 (ko) 2011-11-24 2012-10-2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후드 스위치
KR101930224B1 (ko) 2018-10-12 2018-12-18 김종욱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KR20220000075U (ko) *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에스 씨디 글로브 박스 램프 스위치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254Y1 (ko) 2011-11-24 2012-10-2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후드 스위치
KR101930224B1 (ko) 2018-10-12 2018-12-18 김종욱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KR20220000075U (ko) *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에스 씨디 글로브 박스 램프 스위치 장치
KR200494878Y1 (ko) 2020-07-01 2022-01-12 주식회사 에스 씨디 글로브 박스 램프 스위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8460B2 (en) Latch release operating apparatus
CN104466533B (zh) 基板连接用电连接器装置
US8827725B2 (en) Card read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movable card insertion mechanism
KR101094036B1 (ko) 차량용 후드 스위치
US20130220063A1 (en) Switch device
JP5903253B2 (ja) スイッチ装置
KR200463254Y1 (ko) 차량용 후드 스위치
US7518072B2 (en) Latch releasing device
US20010020538A1 (en) Inspecting jig for wire harness
JP2019198142A (ja) 筐体、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07073839A (ja) 無線基地局の筐体構造
CN101685714B (zh) 电气开关
JP6868106B2 (ja) スイッチ装置および開閉検知装置
KR200468484Y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20210023093A (ko) 테일 게이트 스위칭 유니트
CN103384908B (zh) 熔断器盒
US11087938B2 (en) Switch device
KR200435922Y1 (ko) 후드 스위치
KR101602496B1 (ko)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200469355Y1 (ko)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
JP5669775B2 (ja) スイッチ装置
KR102224396B1 (ko) 스위치
KR100872662B1 (ko) 커넥터
CN111699537A (zh) 微动开关及操作装置
JP7252518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