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224B1 -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224B1
KR101930224B1 KR1020180121898A KR20180121898A KR101930224B1 KR 101930224 B1 KR101930224 B1 KR 101930224B1 KR 1020180121898 A KR1020180121898 A KR 1020180121898A KR 20180121898 A KR20180121898 A KR 20180121898A KR 101930224 B1 KR101930224 B1 KR 101930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terminal
contact area
doo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욱
Original Assignee
김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욱 filed Critical 김종욱
Priority to KR1020180121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는, 어스단자를 구비하는 브라켓부, 일측에 제1 수용부를 구비하고 타측에 버튼홀을 구비한 제1 수지부, 일측에 제2 수용부를 구비하고 타측에 제3 수용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3 수용부가 상기 제1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수지부에 삽입되는 제2 수지부, 상기 제2 수용부 내부에서 노출되도록 위치되는 연결영역 및 상기 제3 수용부 내부에서 노출되도록 위치되는 고정접점영역을 포함하는 고정단자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3 수용부가 형성한 공간 내에서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가동단자부, 가동단자부의 가동접점영역이 상기 고정접점영역 및 상기 어스단자에 접촉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부, 상기 가동단자부에 눌림힘을 전달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가 눌리면 상기 가동단자부는 일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고정접점영역 및 상기 어스단자와의 접촉이 해제되고, 상기 버튼부에 대한 눌림이 해제되면 상기 가동단자부는 상기 스프링부의 탄성력에 의해 타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고정접점영역 및 상기 어스단자와 접촉되며, 상기 가동접점영역과 상기 고정접점영역은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도어의 닫힘 정도를 민감하게 감지하는 자동차용 도어스위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스위치{DOOR SWITCH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도어스위치는 일반적으로 차체에 마련되어 도어의 개폐 시 도어와 접촉해제 및 접촉되는 부품이다. 이러한 자동차용 도어스위치는 도어의 개방여부를 알려주거나 도어가 열렸을 때 자동차 내부에 마련된 실내등이 점등되도록 제어부에 감지 신호를 전송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는 차체패널(1)에 장착되며, 도어가 닫혔을 때 도어스위치(10)의 푸시버튼이 눌리면서 전기적 접점이 변화되고, 이러한 변화에 따라 계기판 상의 경고등이 점등되어 사용자가 도어열림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는 도어가 열려 있는 열림상태와 닫혀 있는 닫힘상태를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도어가 살짝 닫혀 있는 경우, 즉 완전히 열리거나 닫히지 않고 중간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로 감지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닫힌 것으로 인식하여 자동차의 운행 중 문열림에 따른 교통사고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동차 도어의 열림상태와 닫힘상태뿐 아니라 닫힌 정도까지 감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스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는, 자동차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 및 설치홀이 형성되며, 일측 방향을 향해 상기 설치홀로부터 연장된 어스단자를 구비하는 브라켓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설치홀을 관통하도록 위치되되, 일측에 상기 어스단자의 연장방향을 향해 오픈된 제1 수용부를 구비하고, 타측에 상기 제1 수용부와 연통되는 버튼홀을 구비한 제1 수지부, 일측에 상기 어스단자의 연장방향을 향해 오픈된 제2 수용부를 구비하고, 타측에 상기 어스단자의 연장 반대방향을 향해 오픈된 제3 수용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3 수용부가 상기 제1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수지부에 삽입되는 제2 수지부, 상기 제2 수지부 내에 위치되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수용부 내부에서 노출되도록 위치되는 연결영역 및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 수용부 내부에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위치되는 고정접점영역을 포함하는 고정단자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3 수용부가 형성한 공간 내에서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가동단자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3 수용부가 형성한 공간 내에 상기 제3 수용부의 바닥면과 상기 가동단자부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가동단자부를 상기 버튼홀의 방향으로 밀어 상기 가동단자부의 가동접점영역이 상기 고정단자부의 상기 고정접점영역 및 상기 어스단자에 접촉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버튼홀을 관통하여 상기 가동단자부에 눌림힘을 전달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가 눌리면 상기 가동단자부는 일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고정접점영역 및 상기 어스단자와의 접촉이 해제되고, 상기 버튼부에 대한 눌림이 해제되면 상기 가동단자부는 상기 스프링부의 탄성력에 의해 타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고정접점영역 및 상기 어스단자와 접촉되며, 상기 가동접점영역과 상기 고정접점영역은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동접점영역와 고정접점영역은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동접점영역와 고정접점영역은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단차면을 더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동접점영역과 고정접점영역은 끝단으로 갈수록 면적감소홀의 개수가 적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감지부는, 상기 압전소자와, 상기 스프링부의 양측 중 상기 가동단자부의 반대편에 위치되되 내부에 지지홈이 형성된 지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지지홈 내에 위치되어 상기 스프링부의 단부에 접촉되며, 상기 지지홈의 내벽은 상기 스프링부의 측부를 지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전소자는 내부에 상기 스프링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스프링부의 측부로부터 연장된 날개부가 상기 스프링부의 압축과 인장에 따라 가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는, 고정단자부의 고정접점영역과 가동단자부의 가동접점영역이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가동단자부의 이동에 따른 고정접점영역과 가동접점영역의 접촉 면적이 극적으로 변화되는바, 도어의 열림상태와 닫힘상태뿐 아니라 도어의 닫힘 정도까지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접점영역과 가동접점영역이 끝단으로 갈수록 면적감소홀의 개수가 적어지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가동단자부의 이동에 따른 고정접점영역과 가동접점영역이 접촉되는 면적이 더욱 극적으로 변화되는바, 도어의 닫힘 정도를 더욱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감지부가 스프링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바, 도어의 닫힘 정도를 이중으로 파악하여 더욱 정확한 도어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자동차용 도어스위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A-A' 선에 따른 브라켓부 및 제1 수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자동차용 도어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자동차용 도어스위치에 누름힘이 가해졌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자동차용 도어스위치의 고정접점영역과 가동접점영역의 접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의 고정접점영역과 가동접점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의 고정접점영역과 가동접점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0a)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0a)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한 A-A' 선에 따른 브라켓부(110) 및 제1 수지부(120)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0a)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0a)는 자동차에 고정되는 브라켓부(110), 브라켓부(110)의 설치홀(112)을 관통하는 제1 수지부(120), 제1 수지부(120)의 버튼홀(124)을 관통하여 위치되는 버튼부(180), 제1 수지부(120)의 제1 수용부(123)에 삽입되는 제2 수지부(130), 적어도 일부가 제2 수지부(130)의 내부에 위치되는 고정단자부(140), 제1 수지부(120)와 제2 수지부(130)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는 스프링부(160), 스프링부(160)의 탄성력과 버튼부(180)의 눌림힘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고정단자부(140) 및 브라켓부(110)의 어스단자(113)와 접촉 및 접촉 해제되는 가동단자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단자부(140)의 고정접점영역(144a)과 가동단자부(150)의 가동접점영역(153a)은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져 단순히 자동차의 도어 열림상태와 닫힘상태만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열리거나 닫힌 정도까지 명확히 파악하여 운행 중 문열림에 따른 교통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0a)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2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0a)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브라켓부(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0a)를 차체(30)에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여기서, 브라켓부(110)는 판 형상으로 구현되며 고정홀(111)과 설치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홀(111)은 브라켓부(110)를 차체(30)에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 고정홀(111)에 패스너(40)를 끼워 차체(30)에 연결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0a)를 자동차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브라켓부(110)에는 고정홀(111)의 옆에 설치홀(1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홀(112)에는 제1 수지부(120)가 관통되므로 설치홀(112)은 제1 수지부(12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부(110)에는 어스단자(113; 도 4 참조)가 구비될 수 있는데, 어스단자(113)는 설치홀(112)로부터 연장되며 설치홀(112)의 양측 중 어느 일측(본 도면에서 "일측"은 좌측, "타측"은 우측을 의미함)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부(110)는 전도성의 물질로 구성되며 패스너(40)에 의해 접지된 차체(30)에 연결되는바, 브라켓부(110)의 어스단자(113)는 접지 전극이 될 수 있다.
제1 수지부(120)는 내부의 제1 수용부(123)에 다른 부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부분이다. 여기서, 제1 수지부(120)는 브라켓부(110)의 설치홀(112)을 관통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수지부(120)는 브라켓부(110)와 함께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수지부(120)는 전기적으로 절연 물질인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수지부(120)는 브라켓부(110)의 설치홀(112)을 관통하는바, 브라켓부(110)의 일측에 위치된 일측영역(121)과 타측에 위치된 타측영역(12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측영역(121)에는 어스단자(113)의 연장방향을 향해 오픈되어 있는 제1 수용부(123)가 형성될 수 있고, 타측영역(122)에는 어스단자(113)의 연장 반대방향을 향해 오픈되어 있으면서 제1 수용부(123)와 연통되는 버튼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홀(124)에는 버튼부(18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수지부(130)는 제1 수지부(120)와 함께 내부의 제3 수용부(132)에 다른 부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제1 수지부(120)와 마찬가지로 절연성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수지부(130)는 양측에 각각 오픈된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일측(어스단자(113)의 연장방향)을 향해 오픈된 제2 수용부(131)와 타측(어스단자(113)의 연장 반대방향)을 향해 오픈된 제3 수용부(13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수지부(130)는 제1 수지부(120)에 끼움 방식으로 조립되는데 제2 수지부(130)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가 제1 수지부(120)의 조립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제1 수지부(120)와 제2 수지부(130)를 조립할 수 있다. 제1 수지부(120)와 제2 수지부(130)가 조립될 때에는 제1 수지부(120)의 제1 수용부(123)에 제2 수지부(130)의 제3 수용부(132)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도록 제1 수지부(120)에 제2 수지부(13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수지부(120)와 제2 수지부(130) 사이에는 제1 수용부(123)와 제3 수용부(132)에 의한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단자부(140)는 제2 수지부(130) 내에 위치되어 가동단자부(150)와의 전기적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고정단자부(140)는 두 곳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제2 수용부(131)의 내부에서 터미널 형식으로 외부에 노출되는 연결영역(143) 및 제3 수용부(132)의 내부에서 일부가 노출되는 고정접점영역(144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연결영역(143)에는 자동차의 전자 장치 등이 연결되어 연결영역(143)을 통해 고정단자부(140)와 이후에 설명될 가동단자부(150) 간의 단락/단선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고정접점영역(144a)은 가동단자부(150)와 접촉되거나 접촉이 해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고정단자부(140)는 자동차의 전자 장치 및 가동단자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부분인바 도전성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수지부(130)와 함께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되어 제2 수지부(13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고정단자부(140)는 2개의 단자로 구성될 수 있는데, 어느 하나는 양극인 양극고정단자(141), 다른 하나는 음극인 음극고정단자(142)일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제1 수지부(120)의 제1 수용부(123)와 제2 수지부(130)의 제3 수용부(132)가 형성한 공간에는 가동단자부(150)와 스프링부(160) 및 추가적으로 버튼홀더(170)가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동단자부(150)는 제1 수용부(123)와 제3 수용부(132)가 형성한 공간 상에서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다수 개로 분기된 분기부(151)와 다수의 분기부(151)가 서로 연결된 연결부(152)를 포함할 수 있는데, 각 분기부(151)의 끝단에 가동접점영역(153a)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부(160)는 제3 수용부(132)의 바닥면과 가동단자부(150)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단자부(150)를 버튼홀(124)의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고, 버튼홀더(170)는 버튼홀(124)에 삽입되는 버튼부(180)와 예를 들어 나사결합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버튼부(180)에 가해지는 누름힘을 가동단자부(150)와 스프링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0a)는 추가적으로 커버(114)를 포함할 수 있는데 커버(114)는 버튼홀(124)을 통해 수분이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브라켓부(110)와 제1 수지부(120)의 외측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114)는 브라켓부(110)와 제1 수지부(120)의 노출 영역을 차폐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고무재나 합성수지재로 제조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0a)에 누름힘이 가해졌을 때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0a)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도어(20)가 열려있을 때에는 버튼부(180)가 외력에 의해 눌리지 않은 상태이며 이러한 경우 스프링부(160)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단자부(150)는 버튼홀(124) 쪽으로 밀릴 수 있다. 이때, 가동단자부(150)의 가동접점영역(153a)은 고정단자부(140)의 고정접점영역(144a) 및 브라켓부(110)의 어스단자(113)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음극과 양극으로 구성된 고정단자부(140)의 연결영역(143)에서는 회로가 단락되어 있는 것으로 감지될 수 있다.
다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도어(20)가 닫히게 되면 버튼부(180)가 외력에 의해 눌리게 되며 이러한 경우 스프링부(160)가 압축되면서 가동단자부(150)는 버튼홀(124)의 반대쪽, 즉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가동단자부(150)의 가동접점영역(153a)은 고정단자부(140)의 고정접점영역(144a) 및 브라켓부(110)의 어스단자(113)와 접촉 상태가 해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정단자부(140)의 연결영역(143)에서는 회로가 단선되어 있는 것으로 감지될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은 상황에서 버튼부(180)에 대한 누름힘이 해제되면, 즉 도어(20)가 열리면 스프링부(160)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단자부(150)는 타측 방향으로 회복하여 다시 도 5와 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0a)는 단순히 도어(20)의 열림/닫힘 상태뿐만 아니라 열린 또는 닫힌 정도까지 감지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고정단자부(140)의 고정접점영역(144a)과 가동단자부(150)의 가동접점영역(153a)의 폭이 끝단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0a)의 고정접점영역(144a)과 가동접점영역(153a)의 접촉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위치(100a)의 고정접점영역(144a)과 가동접점영역(153a)의 형상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단자부(140)의 고정접점영역(144a)과 가동단자부(150)의 가동접점영역(153a)은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고정단자부(140)는 이러한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위하여 고정경사면(145a)을 가질 수 있으며, 가동단자부(150)도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위하여 가동경사면(154a)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버튼부(18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스프링부(160)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단자부(150)는 버튼홀(124)의 방향으로 밀착되며, 이에 따라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단자부(150)의 가동접점영역(153a)과 고정단자부(140)의 고정접점영역(144a)은 매우 넓은 면적(도 7(a)에서 음영 부분)에서 접촉되어 상대적인 저항값이 작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버튼부(180)에 작은 외력이 가해지면(즉, 도어가 살짝 닫혀 버튼부(180)를 살짝 누르면) 가동단자부(150)가 일측 방향(도 7에서 좌측)으로 약간 밀리게 되며, 이에 따라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단자부(150)의 가동접점영역(153a)과 고정단자부(140)의 고정접점영역(144a)은 도 7(a)에 비하여 좁은 면적(도 7(b)에서 음영 부분)에서 접촉되어 도 7(a)에 비해 상대적인 저항값이 커질 수 있다.
다음, 버튼부(180)에 더 큰 외력이 가해지면(즉, 도어가 도 7(b) 상태보다 더 닫히면) 가동단자부(150)가 일측 방향(도 7에서 좌측)으로 더 밀리게 되며, 이에 따라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단자부(150)의 가동접점영역(153a)과 고정단자부(140)의 고정접점영역(144a)은 도 7(b)에 비하여 더 좁은 면적(도 7(c)에서 음영 부분)에서 접촉되어 도 7(b)에 비해 상대적인 저항값이 더 커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버튼부(180)에 더 큰 외력이 가해지면 가동단자부(150)가 완전히 일측 방향(도 7에서 좌측)으로 밀려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단자부(150)의 가동접점영역(153a)과 고정단자부(140)의 고정접점영역(144a)의 접촉이 해제되어 상대적인 저항값은 무한대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극과 음극으로 구성된 고정단자부(140)의 연결영역(143) 사이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도어의 닫힌 정도까지 감지할 수 있는데, 고정접점영역(144a)과 가동접점영역(153a)이 접촉된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저항값이 낮아지고 접촉된 면적이 좁아짐에 따라 저항값이 커지는 성질을 이용하여, 저항값 측정을 통해 접촉된 면적의 정도를 알 수 있다. 또한, 접촉된 면적의 정도에 따라 가동단자부(150)의 이동 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가동단자부(150)의 이동 정도에 따라 버튼부(180)가 눌린 정도를 알 수 있으며, 버튼부(180)가 눌린 정도에 따라 도어의 닫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히 자동차의 도어가 열렸는지 닫혔는지 뿐만 아니라, 닫혀있다면 완전히 닫혀있는 것인지 아니면 도어가 차체에 살짝 닿아 있어 살짝 닫혀있는 것인지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도어가 닫혀있는 정도를 알려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전히 닫히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닫혀있는 것으로 잘못 인식되어 자동차의 운행 중 도어가 열려 발생되는 교통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의 닫힘 정도를 보다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저항값 변화, 즉 가동접점영역(153a) 및 고정접점영역(144a)의 접촉 면적 변화를 극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중요함에 착안하였으며, 이에 따라 가동접점영역(153a)과 고정접점영역(144a)이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경사진 형상을 갖도록 구현하였다. 이러한 형상에 따르면, 가동단자부(150)가 살짝만 일측(도 7에서 좌측)으로 이동되더라도 가동접점영역(153a)과 고정접점영역(144a)이 접촉되는 면적이 현저히 작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저항값 변화도 현저하게 변화되어 가동단자부(150)의 이동 상태를 보다 민감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의 고정접점영역(144b)과 가동접점영역(153b)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위치의 고정접점영역(144b)과 가동접점영역(153b)의 형상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이전 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대응되는 도면부호로 지칭되며, 이전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접점영역(144b)과 가동접점영역(153b)의 접촉된 정도 변화가 극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가동단자부(150)의 이동 상태를 민감하게 파악함에 있어 중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접점영역(144b)과 가동접점영역(153b)의 형상을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경사진 형상과 다단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즉, 고정접점영역(144b)과 가동접점영역(153b)이 기본적으로 제1단, 제2 단과 같은 복수의 단차면(146b, 155b)을 가지며, 이에 더하여 각 단의 단차면(146b, 155b) 간을 경사면(145b, 154b)이 연결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따르면 가동단자부(150)가 일측으로 이동될수록 이전 실시예에 비하여 더욱 극적인 고정접점영역(144b)과 가동접점영역(153b)의 접촉 면적 변화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저항값 변화도 더욱 극적으로 나타나 가동단자부(150)의 이동 정도를 더욱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의 고정접점영역(144c)과 가동접점영역(153c)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스위치의 고정접점영역(144c)과 가동접점영역(153c)의 형상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이전 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대응되는 도면부호로 지칭되며, 이전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단자부(150)의 이동에 따른 고정접점영역(144c)과 가동접점영역(153c)의 접촉 면적 변화를 더욱 극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고정접점영역(144c)과 가동접점영역(153c)에 복수의 면적감소홀(147c, 156c)을 두되 끝단으로 갈수록 면적감소홀(147c, 156c)의 개수가 적어지도록 할 수 있다. 면적감소홀(147c, 156c)은 고정접점영역(144c)과 가동접점영역(153c)의 접촉 면적을 줄여주는 부분으로 줄어든 면적만큼 저항값이 커지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단자부(140)가 일측으로 이동될수록 고정접점영역(144c)과 가동접점영역(153c) 간 접촉되는 면적이 경사면(145c, 154c)과 단차면(146c, 155c)에 의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중첩되는 면적감소홀(147c, 156c)의 개수가 늘어 더욱 접촉 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저항값이 더욱 극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 따라서, 가동단자부(150)의 이동 정도를 이전 실시예에 비하여 더욱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0d)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0d)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이전 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대응되는 도면부호로 지칭되며, 이전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0d)는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브라켓부(110), 제1 수지부(120), 제2 수지부(130), 고정단자부(140), 가동단자부(150), 스프링부(160) 및 버튼부(180) 외에 압력감지부(190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감지부(190d)는 스프링부(16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부분으로서, 압력을 감지하는 압전소자(191d), 스프링부(160)의 양측 중 가동단자부(15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지지홀더(192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홀더(192d)는 대략 중앙에 지지홈(193d)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홈(193d)에는 압전소자(191d)가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압전소자(191d)와 가동단자부(150) 사이에 스프링부(160)가 압전소자(191d)에 접촉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스프링부(160)의 측부는 지지홈(193d)의 내벽(194d)에 의해 지지되어 가동단자부(150)의 안정적인 슬라이딩 및 스프링부(160)의 압축과 인장을 보조할 수 있다.
한편, 압전소자(191d)는 박막 형태로 기판 위에 압전재료를 증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일정한 방향에서 압력이 가해질 때 그에 비례하는 양 또는 음의 전하(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가해진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압전소자(191d)를 이용하여 스프링부(160)에 가해진 압력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가동단자부(150)가 이동된 정도를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동단자부(150)가 이동된 정도를 통해 도어가 닫힌 정도에 대한 연산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0d)는 고정단자부(140)와 가동단자부(150)의 접촉 면적 외 압력감지부(190d)를 통해서도 도어가 닫힌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크로스 체킹이 가능하여 더욱 정확한 도어 상태의 파악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어가 제대로 닫히지 않아 발생될 수 있는 교통사고 등에 대한 더욱 효과적인 예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0e)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0e)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이전 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대응되는 도면부호로 지칭되며, 이전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0e)는 이전 실시예와 같이, 브라켓부(110), 제1 수지부(120), 제2 수지부(130), 고정단자부(140), 가동단자부(150), 스프링부(160e), 버튼부(180) 및 압력감지부(190e)를 포함하되, 압력감지부(190e)의 구성이 이전 실시예와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100e)의 압력감지부(190e)는 압전소자(191e)를 포함하는데, 압전소자(191e)는 내부에 스프링부(160e)가 관통하는 관통홀(192e)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부(160e)의 측부에는 날개부(161e)가 연장되며 이러한 날개부(161e)는 스프링부(160e)의 압축과 인장에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버튼부(180)에 눌림힘이 가해져 스프링부(160e)가 압축되면 날개부(161e)는 가동단자부(150)와 함께 일측으로 이동되며, 이동된 날개부(161e)가 압전소자(191e)를 눌러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압전소자(191e)는 가해진 압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날개부(161e) 및 가동단자부(150)의 이동된 정도를 연산하고, 도어의 닫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도어 상태 파악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스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a, 100d, 100e :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110 : 브라켓부
112 : 설치홀
113 : 어스단자
120 : 제1 수지부
123 : 제1 수용부
124 : 버튼홀
130 : 제2 수지부
131 : 제2 수용부
132 : 제3 수용부
140 : 고정단자부
143 : 연결영역
144a, 144b, 144c : 고정접점영역
150 : 가동단자부
153a, 153b, 153c : 가동접점영역
160, 160e : 스프링부
161e : 날개부
170 : 버튼홀더
180 : 버튼부
190d, 190e : 압력감지부
191d, 191e : 압전소자
192d : 지지홀더
192e : 관통홀

Claims (7)

  1. 자동차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 및 설치홀이 형성되며, 일측 방향을 향해 상기 설치홀로부터 연장된 어스단자를 구비하는 브라켓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설치홀을 관통하도록 위치되되, 일측에 상기 어스단자의 연장방향을 향해 오픈된 제1 수용부를 구비하고, 타측에 상기 제1 수용부와 연통되는 버튼홀을 구비한 제1 수지부;
    일측에 상기 어스단자의 연장방향을 향해 오픈된 제2 수용부를 구비하고, 타측에 상기 어스단자의 연장 반대방향을 향해 오픈된 제3 수용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3 수용부가 상기 제1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수지부에 삽입되는 제2 수지부;
    상기 제2 수지부 내에 위치되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수용부 내부에서 노출되도록 위치되는 연결영역 및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 수용부 내부에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위치되는 고정접점영역을 포함하는 고정단자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3 수용부가 형성한 공간 내에서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가동단자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3 수용부가 형성한 공간 내에 상기 제3 수용부의 바닥면과 상기 가동단자부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가동단자부를 상기 버튼홀의 방향으로 밀어 상기 가동단자부의 가동접점영역이 상기 고정단자부의 상기 고정접점영역 및 상기 어스단자에 접촉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버튼홀을 관통하여 상기 가동단자부에 눌림힘을 전달하는 버튼부; 및
    상기 스프링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통해 상기 자동차의 도어가 닫힌 정도를 감지할 수 있게, 상기 스프링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압력감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가 닫혀 상기 버튼부가 눌리면 상기 가동단자부는 일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고정접점영역 및 상기 어스단자와의 접촉이 해제되고, 상기 도어가 열려 상기 버튼부에 대한 눌림이 해제되면 상기 가동단자부는 상기 스프링부의 탄성력에 의해 타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고정접점영역 및 상기 어스단자와 접촉되며,
    상기 가동접점영역과 상기 고정접점영역이 접촉되는 면적에 따라 상기 도어의 닫힘 정도를 감지할 수 있게, 상기 가동접점영역와 상기 고정접점영역은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경사면과 단차면을 갖고, 상기 가동접점영역과 상기 고정접점영역은 복수의 면적감소홀을 갖되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면적감소홀의 개수가 적어지는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부는,
    상기 압전소자와, 상기 스프링부의 양측 중 상기 가동단자부의 반대편에 위치되되 내부에 지지홈이 형성된 지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지지홈 내에 위치되어 상기 스프링부의 단부에 접촉되며,
    상기 지지홈의 내벽은 상기 스프링부의 측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내부에 상기 스프링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스프링부의 측부로부터 연장된 날개부가 상기 스프링부의 압축과 인장에 따라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KR1020180121898A 2018-10-12 2018-10-12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KR101930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898A KR101930224B1 (ko) 2018-10-12 2018-10-12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898A KR101930224B1 (ko) 2018-10-12 2018-10-12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224B1 true KR101930224B1 (ko) 2018-12-18

Family

ID=64952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898A KR101930224B1 (ko) 2018-10-12 2018-10-12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2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547A (ko) * 2020-11-30 2022-06-08 한종수 맨홀 뚜껑의 개방 감지센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158B1 (ko) * 1996-02-16 2005-04-13 나이루스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도아스위치
KR101094036B1 (ko) 2010-08-10 2011-12-1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후드 스위치
KR101867571B1 (ko) 2012-07-03 2018-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스위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158B1 (ko) * 1996-02-16 2005-04-13 나이루스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도아스위치
KR101094036B1 (ko) 2010-08-10 2011-12-1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후드 스위치
KR101867571B1 (ko) 2012-07-03 2018-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스위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547A (ko) * 2020-11-30 2022-06-08 한종수 맨홀 뚜껑의 개방 감지센서
KR102457872B1 (ko) * 2020-11-30 2022-10-21 한종수 맨홀 뚜껑의 개방 감지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0767B2 (en) Structured touch switch
US9995065B2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8106325B2 (en) Electric control device
EP3008267B1 (en) Door handle arrangement for vehicles
JP5694311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US4360803A (en) Door lock assembly with electrical alarm
JP2021036426A5 (ko)
US20080141505A1 (en) Buckle for a safety belt
KR101930224B1 (ko) 자동차용 도어스위치
US20220336162A1 (en) Actuation Device with Movable Switching Element, Vehicle and Method for Actuation
US9614522B2 (en) Operating device for a vehicle component with a front wall associated with a capacitative proximity sensor
GB2586961A8 (en) Control system for vehicle interior
US20140124350A1 (en) Operat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 vehicle component
US11636987B2 (en) Swit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witch
JP4929850B2 (ja) 車両用スイッチ
US9616847B2 (en) On/off detecting buckle switch
US20240151075A1 (en) Module Component for a Movable Part of a Vehic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odule Component
US7569783B2 (en) Low-profile switch with flat spring actuating mechanism
CN110785935A (zh) 机动车操作装置
US11676779B2 (en) Key module trigger element having more than one contact finger each with differing pre-travel paths
US11196417B2 (en) Motor vehicl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t least partly electrically conductive control unit for a motor vehicle control device
JP2011165384A (ja) タッチ検出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EP4084031A1 (en) Switch device
WO2020017088A1 (ja) スイッチ回路、スイッチ装置およびシステム
WO2021044779A1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