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396B1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396B1
KR102224396B1 KR1020140140680A KR20140140680A KR102224396B1 KR 102224396 B1 KR102224396 B1 KR 102224396B1 KR 1020140140680 A KR1020140140680 A KR 1020140140680A KR 20140140680 A KR20140140680 A KR 20140140680A KR 102224396 B1 KR102224396 B1 KR 102224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arm
operator
switch
contac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4653A (ko
Inventor
겐지로 데사키
카즈히로 아사이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54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04Cases; Covers
    • H01H21/0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24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 H01H21/28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Abstract

본 발명은, 접점 장해가 발생되기 어려운 구조로 하여서, 종래 기술보다도 방진성(防塵性) 방적성(防滴性)이 우수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디와, 커버와, 한쪽 단부가 보디에 걸어맞춤되고, 그 한쪽 단부를 중심으로 보디의 판 면을 따라 회동 자유롭게 되며, 다른 한쪽 단부가 회동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고, 또한, 회동방향으로 꺾여 구부러져 연장되며, 그 꺾여 구부러진 부분은 커버의 윗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재하여 외부로 돌출한 암이 된 절연성의 액추에이터와, 암의 선단부에 설치된 조작자와, 한쪽 단부 쪽이 연결되어서 액추에이터에 고정되며, 다른 한쪽 단부 쪽이 각 접점패턴 및 판 면과 슬라이딩 가능한 접촉편으로 이루어진 가동접편과, 그 조작자가 개구부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액추에이터를 탄성편의하는 탄성편의수단을 포함하고, 액추에이터에는, 암 근원의 가동접편 쪽에 홈을 형성하도록, 조작자가 개구부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스위치{SWITCH}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위치검출용의 마이크로 스위치 등으로 이용함에 있어 호적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 등이 종래 기술의 슬라이딩 접점 구조의 스위치로서 알려져 있다. 도 1을 사용하여, 특허 문헌 1에 관한 스위치(40)를 설명한다. 스위치(40)는, 기판(41)과 액추에이터(43)와 가동접편(42)과 커버(44)와 토션코일스프링(46)을 구비한다.
기판(41)에는, 접점 패턴(51a)~(53a)가 매립된다. 액추에이터(43)의 한쪽 단부에는 축(58)이 형성된다. 축(58)이 기판(41)에 축 지지되어서, 액추에이터(43)가 기판(41)의 판 면을 따라 회동 자유롭게 된다. 액추에이터(43)의 다른 한쪽 단부가 회동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고, 또한, 회동방향으로 꺾여 구부러져 연장되며, 그 꺾여 구부러진 부분이 커버(44)의 윗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재하여 외부로 돌출하는 암(arm)이 된다. 이 암의 선단부에 조작자(45)가 일체 형성된다. 가동접편(42)은, 대략 액추에이터(43)의 회동방향에 따른 원호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가동접편(42)의 한쪽 단부쪽이 액추에이터(43)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 쪽이 각 접점 패턴(51a)~(53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토션코일스프링(46)은, 조작자(45)가 커버(44)의 윗면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액추에이터(43)를 탄성편의(彈性偏倚)한다. 커버(44)는, 기판(41)과 액추에이터(43)와 가동접편(42)과 토션코일스프링(46)을 그 내부에 수용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부품 점수가 적고, 가동접편(42)에 부하가 걸리기 어려운 슬라이딩 접점 구조의 스위치를 실현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9-320397호(1997-320397호 공보)
그러나, 종래 기술은, 액추에이터(43)의 동작 시에, 외부의 이물(예를 들면, 먼지나 액체 등)이 동작부의 틈으로부터, 스위치(40)의 내부로 침입한 경우(도면 중의 침입 경로 Y 참조), 접점 장해가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은, 접점 장해가 발생되기 어려운 구조로 하여서, 종래 기술보다도 방진성(防塵性) 방적성(防滴性)이 우수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하면, 스위치는, 조작자를 압압 조작함으로써, 절환 동작한다. 스위치는, 적어도 2개의 접점패턴이 판 면에 매립된 절연성의 보디와, 보디를 수용하는 커버와, 한쪽 단부가 보디에 걸어맞춤되고, 그 한쪽 단부를 중심으로 보디의 판 면을 따라 회동 자유롭게 되며, 다른 한쪽 단부가 회동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고, 또한, 회동방향으로 꺾여 구부러져 연장되며, 그 꺾여 구부러진 부분은 커버의 윗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재하여 외부로 돌출한 암이 된 절연성의 액추에이터와, 암의 선단부에 설치된 조작자와, 한쪽 단부 쪽이 연결되어 액추에이터에 고정되며, 다른 한쪽 단부 쪽이 각 접점패턴 및 판 면과 슬라이딩 가능한 접촉편으로 이루어진 가동접편과, 그 조작자가 개구부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액추에이터를 탄성편의하는 탄성편의수단을 포함하고, 액추에이터에는, 암의 후단면(後端面)의 가동접편 쪽에 홈을 형성하도록, 조작자가 개구부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종래 기술보다도 방진성, 방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제1실시형태체에 관한 스위치의 정면 및 우측면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형태체에 관한 스위치의 정면 및 우측면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4는 제1실시형태체에 관한 스위치의 배면 및 좌측면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제1실시형태체에 관한 스위치의 배면 및 좌측면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6은 보디의 정면 쪽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액추에이터의 배면 쪽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도 10에 있어서의 Ⅷ-Ⅷ 단면도.
도 9a는 가동접편(120)의 배면도.
도 9b는 가동접편(120)의 우측면도
도 10은 액추에이터에 가동접편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커버의 사시도.
도 12는 스위치의 절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사용하는 도면에서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를 기재하여,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제1실시형태체에 관한 스위치(100)>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1실시형태체에 관한 스위치(100)의 실장면을 아랫면(바닥면)으로 하고, 뒤에 설명하는 구멍부(148) 및 돌기부(119)가 있는 면을 배면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1실시형태체에 관한 스위치(100)의 정면 및 우측면에서 본 사시도를, 도 3은 그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배면 및 좌측면에서 본 사시도를, 도 5는 그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스위치(100)는 접점패턴이 매립된 보디(110)와, 가동접편(120)과, 가동접편(120)이 장착되어 보디(110)의 판 면을 따라 회동하는 액추에이터(130)와, 커버(140)와, 액추에이터(130)와 일체 형성되어 커버(140)의 외부로 돌출된 조작자(135)와, 액추에이터(130)를 탄성편의하는 토션코일스프링(160)에 의해서 구성된다. 이하, 먼저 각 부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디(110)>
도 6은, 보디(110)의 정면 쪽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낸다. 보디(11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117)와, 이 베이스부(117)로부터 기립하는 판부(118)를 가진다. 보디(110)에는, 금속단자가 인서트성형된다. 이 예에서는 3단자 구조이며, 베이스부(117)의 아랫면으로부터 단자(51), (52) 및 (53)의 각 한쪽 단부 쪽이 돌출하도록, 보디(110)가 형성된다. 이들 단자(51), (52) 및 (53)의 각 다른 한쪽 단부 쪽은 판부(118)의 판 면에 매립되어, 각각 접점패턴(51a), (52a) 및 (53a)가 된다.
판부(118)의 위쪽 단부 쪽의 구석부분에는 액추에이터(130)를 축 지지하기 위한 축 구멍(1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축 구멍(114)을 중심으로 한 반경방향에 있어서, 중심 쪽으로부터 접점패턴 (53a)와 접점패턴 (52a)와 접점패턴 (51a)가 순차 배열되어 배치된다. 원주방향에 있어서, 접점패턴 (53a)와 접점패턴 (52a)가, 접점패턴 (51a)에 대해서 돌출하고 있다. 또한, 각 접점패턴(51a), (52a) 및 (53a)는, 서로 어느 정도(소정량)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부(117)에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관통구멍(115)은 이 스위치(100)를 장착하는 비스 용의 구멍이다.
판부(118)에는, 토션코일스프링(160)에 의해 탄성편의되는 액추에이터(130)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111)가, 판부(118)의 판 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일체로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어맞춤부(111)의 바닥면에는, 뒤에 설명하는 액추에이터(130)의 볼록부(139B)를 수용 가능한 오목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보디(110)에는, 뒤에 설명하는 조작자(135)의 밀어내림 위치에 있어서, 후술하는 액추에이터(130)의 암(134)의 후단면(後端面)의 아래쪽으로 이물수용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디(110)의 베이스부(117)에는, 후술하는 액추에이터(130)의 회동을 규제하기 위한 제2걸어맞춤부(117A)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51), (52) 및 (53)은, 가동접편(120)과의 접촉 및 비접촉에 의해 전기 신호를 변환하는 기능을 가진다.
<액추에이터(130) 및 조작자(135))
도 7은, 액추에이터(130)의 배면 쪽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낸다. 액추에이터(130)는, 절연성이며, 한쪽 단부가 보디(110)에 걸어맞춤된다. 액추에이터(130)는, 그 한쪽 단부를 중심으로 보디(110)의 판 면을 따라 회동 자유롭게 된다. 예를 들면, 액추에이터(130)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대략 부채형상을 이루는 가동부(136)의 부채 중심 쪽에는 돌출부(137)가 일체로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 돌출부(137)에는 축(138)이 가동부(136)의 판 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일체로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축(138)은 위에서 설명한 보디(110)의 축 구멍(114)에 축 지지되는 것이며, 이로써, 액추에이터(130)는 축(138)을 중심으로 하여 보디(110)의 판부(118)를 따라 회동 자유롭게(정역 양방향으로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는 상태) 된다.
또한, 액추에이터(130)의 다른 한쪽 단부가 회동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고, 또한, 회동방향으로 꺾여 구부러져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꺾여 구부러진 부분은 상기 커버의 윗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재하여 외부로 돌출하는 암이 된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136)의 바깥둘레 쪽에는 제2돌출부(139)가 그 회동 반경방향(방사방향)으로 일체로서 돌출형성된다. 또한, 제2돌출부(139)가 회동방향(원주방향)으로 꺾여 구부러져 연장되어, 암(134)이 일체로서 돌출형성된다. 즉, 꺾여 구부러진 부분이 암(134)이다. 암(134)의 선단부에 조작자(135)가 설치된다. 액추에이터(130)에 대해서, 그 회동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조작자(135)는, 이 예에서는 액추에이터(130)의 회동 평면과 평행한 면에 의한 단면이 대략 삼각형을 이루는 끝이 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삼각형의 중앙부에는 관통구멍(1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부(136)의 판 면에는 가동접편(120) 장착용인 3개의 장착 축(132)이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2돌출부(139)에는, 암(134)의 후단면의 가동접편 쪽에 홈(139A)을 형성하도록, 암(134)의 후단면 주변의 윗면에 있어서의 가동접편 쪽에. 암(134)의 꺾여 구부러지는 방향(조작자(135)가 뒤에 설명하는 커버(140)의 개구부(141)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139B)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도 10에 있어서의 Ⅷ-Ⅷ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139B)의 폭(가동부(136)의 판 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의 길이) w1이 암(134)의 후단면의 폭 w2보다 넓도록, 액추에이터(13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액추에이터(130)는, (a)압압조작에 의해, 가동접편(120)을 동작시키고, 전기신호를 변환하는 기능, (b)압압조작에 의해, 토션코일스프링(160)을 탄성 변형시켜서, 소망의 동작 하중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가동접편(120)>
도 9a는 가동접편(120)의 배면도를, 도 9b는 그 우측면도를 나타낸다. 가동접편(120)의 형상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스프링 재로 이루어지는 소위 플랜지형상이다. 이 예에서는, 가동접편(120)은, 한쪽 단부 쪽이 연결된 3개의 원호형상의 접촉편(124)을 가진다. 이들 접촉편(124)의 선단 쪽은 각각 또 2개로 분리되며, 구부림가공이 실시되어 접점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접촉편(124)은 연결부(125)에 대해서, 소정의 리프팅 각도를 이루도록 꺾여 구부러져 있다. 또한, 연결부(125)에는 3개의 장착구멍(126)이 형성되어 있다.
액추에이터(130)에의 가동접편(120)의 장착은, 장착축(132)에 장착구멍(126)을 통과시킨 후, 장착축(132)의 머리부를 압쇄하여 이탈 방지함으로써 실시된다. 도 10은, 이 장착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이 상태에서 가동접편(120)의 각 원호형상 접촉편(124)은 대략 액추에이터(130)의 회동방향(R)을 따른 것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동접편(120)은, 단자(51), (52) 및 (53)과의 접촉 및 비접촉에 의해 전기 신호를 변환하는 기능을 가진다.
<커버(140)>
도 11은 커버(140)의 사시도이다. 커버(140)는 도 5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커버(140)는, 한 면이 개방된 대략 직육면체를 이루는 상자형상으로 되며, 그 길이방향을 따른 양쪽 면(144a), (144b)의 각 개방 단부쪽 가장자리에는 각각 한쌍의 타원 절결부(14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147)는 앞에서 설명한 보디(110)의 베이스부(117)의 관통구멍(115) 형성부분에 대한 릴리이프 부분이다. 또한, 측면(144a)의 양쪽 절결부(147) 사이에는 네모형상의 구멍부(148)가 형성되고, 다른쪽 측면(144b)의 양쪽 절결부(147) 사이의 단부쪽 가장자리에는 양쪽 절결부(147)에 대해서 약간 돌출하는 걸림부(14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140)의 윗면의 한쪽 옆에는 조작자(135) 돌출용의 개구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커버는 접점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덮어 가리는 기능을 가진다.
<토션코일스프링(160)>
토션코일스프링(160)은, 보디(110)에 유지되어, 조작자(135)가 개구부(141)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액추에이터(130)를 탄성편의하는 것이며(도 3 및 도 5 참조), 압압 해제 시에는 액추에이터(130)를 자동 복귀하는 기능을 가진다.
<스위치(100)의 조립>
다음으로, 스위치(100)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30)에 가동접편(120)을 장착한다. 이어서, 액추에이터(130)의 축(138)에 토션코일스프링(160)을 장착한다. 그 후, 축(138)을 보디(110)의 축 구멍(114)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보디(110)는, 액추에이터(130)를 회동 자유롭게 유지(축 지지)하고, 단자(51)~(53) 및 가동접편(120)을 유지(고정)하며, 느슨함을 가진 상태에서 토션코일스프링(160)을 유지한다. 그리고, 커버(140)를 보디(110)의 판부(118) 쪽으로부터 씌운다. 커버(140)의 걸림부(149)는 보디(110)의 베이스부(117)에 형성된 단부(112)에 걸림 고정된다. 또, 구멍부(148)에는 판부(118)의 뒷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119)가 걸림 고정된다(도 4 및 도 5 참조). 이와 같이, 커버(140)를 장착함으로써, 스위치(100)가 완성된다.
커버(140) 내부에는 보디(110)의 판부(118), 액추에이터(130), 가동접편(120) 및 토션코일스프링(160)이 수용된다. 커버(140)의 개구부(141)를 개재하여 조작자(135)가 외부로 돌출된다. 또한 토션코일스프링(160)의 한쪽 암(166a)은 액추에이터(130)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133)(도 7 참조)에 밀려서 액추에이터(130)에 걸림 고정되고, 다른 한쪽의 암(166b)은 커버(140)의 내벽과 맞닿게 되어서 커버(140)에 걸림 고정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130)는, 토션코일스프링(160)에 의해서, 조작자(135)가 개구부(141)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탄성편의된다. 달리 말하면, 액추에이터(130)는, 토션코일스프링(160)에 의해, 걸어맞춤부(111)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압압된다.
<변환 동작>
액추에이터(130)에 장착되어 있는 가동접편(120)의 각 접촉편(124)은 각 접점패턴(51a~53a)이 매립된 판부(118)의 판 면에 탄접(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있으며, 액추에이터(130)의 회동에 의해, 이들 접점패턴(51a~53a)과 슬라이딩 접촉(미끌어지는 상태에서 접촉)한다. 이 스위치(100)에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자(135)를 압압 조작(힘을 가중하여 밀어붙임으로써 행해지는 조작)하여 액추에이터(130)를 회동시킴으로써, 먼저, 가동접편(120)이 슬라이딩하여 접점 변환이 행해지고, 접점패턴 (52a)와 접점패턴 (53a)이 도통한다. 또한, 조작자(135)를 압압 조작하여 액추에이터(130)를 회동시킴으로써, 가동접편(120)이 슬라이딩하여 접점 변환이 행해지고, 접점패턴 (51a)와 접점패턴 (52a)와 접점패턴 (53a)가 도통한다. 또한, 이때, 실제적으로는, 접점패턴 (51a)와 접점패턴 (53a)와의 사이를 전류가 흐르는(접점패턴 (51a)와 접점패턴 (53a)가 도통한다) 상태가 된다. 또한, 힘이 가중되면, 액추에이터(130)는 보디(110)의 제2걸어맞춤부(117A)에 닿게 되어, 그 회동이 규제된다.
또한, 도 12 중, 파선으로 나타낸 조작자(135)의 위치는 압압 조작에 의해 밀린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압압을 해제함으로써, 조작자(135)는 실선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미조작 시에 있어서, 액추에이터(130)의 암(134)의 후단면 주변의 윗면과, 보디(110)의 걸어맞춤부(111) 아랫면이 면 접촉하도록, 액추에이터(130)와 보디(1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미조작 시에 있어서, 암(134)과 보디(110)와의 사이의 틈에서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돌출부(139)에는, 암(134)의 후단면의 가동접편 쪽에 홈(139A)을 형성하도록, 암(134)의 후단면 주변의 윗면에 있어서의 가동접편 쪽에, 암(134)의 꺾여 구부러진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139B)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압압 조작 시, 해제 시에, 암(134)과 보디(110)와의 사이의 틈으로부터 스위치(100) 내부로 이물이 침입된 경우에도, 이 볼록부(139B)에 의해, 이물이 접점부분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도12 중의 침입 경로 X 참조).
또한, 걸어맞춤부(111)의 바닥면에는, 오목부(11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볼록부(139B)의 돌출 놀이를 높게 할 수 있으며, 이물이 접점부분에 침입하는 것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디(110)에는, 조작자(135)의 밀어내림 위치에 있어서, 액추에이터(130)의 암(134)의 후단면의 아래 쪽에 이물수용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침입한 이물은, 이 이물수용부(116)에 잔류된다. 따라서. 이물이 접점부분에 침입하는 것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조작자(135)의 밀어내림 위치에 이물이 존재함에 의한, 액추에이터(130)의 밀어내림 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록부(139B)의 폭 w1이 암(134)의 후단면의 폭 w2 보다도 넓도록, 액추에이터(13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볼록부(139B)에 의해 막힌 이물은, 암(134)의 후단면의 양쪽을 통하여, 이물수용부(116)로 안내된다. 따라서, 이물이 접점부분에 침입하는 것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작자(135)의 밀어넣기는, 이 예에서는 커버(140)의 윗면에 대한 수직방향(화살표시(A))의 압압 조작 및 평행방향(화살표시(B))의 압압 조작의 어느 것에 의해서도 행할 수 있다. 즉, 이 예에서는 조작자(135)는 단면이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화살표시(B) 방향의 조작에서도 경사면(135A)이 그 힘을 받게 됨으로써, 조작자(135)는 밀려 들어가고, 액추에이터(130)가 회동된다.
<효과>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종래 기술보다 접점 장해가 발생되기 어렵고, 종래 기술보다도 방진성, 방적성(防滴性)이 우수한 스위치를 실현할 수 있다.
<그 밖의 변형예>
또한 위에서 설명한 예에서는 3단자 구조로 하였으나, 2단자 구조로 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단자(52)(접점패턴(52a))가 없는 것, 또는, 단자(51)(접점패턴(51a))가 없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조작자(135)는 이 예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도 12 중에 나타낸 화살표시(B) 방향의 조작에 의해서도 액추에이터(130)를 양호하게 회동시켜서, 즉, 스위치(100)를 양호하게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 되며, 따라서, 이와 같은 사용 상태가 요구될 경우에 호적한 것이 된다. 또한, 예를 들면, 화살표시(A) 방향의 조작에 의해 사용될 경우에는 조작자(135)는 경사면(135A)을 가지지 않는 다른 형상을 채용하여도 된다. 즉, 압압 조작을 받는 형상으로 조작자(135)를 적당하게 변경하면 된다.
또, 이 예에서는 보디(110)에 축 구멍(114)을 형성하고, 액추에이터(130)에 그 축 구멍(114)에 축 지지되는 축(138)을 형성하고 있다. 다른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보디(110)에 축을 돌출한 상태로 형성하고, 액추에이터(130)에 축 구멍을 형성하여도 된다.
접점패턴으로서는,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과 같이, 그 축 구멍(54)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방향에 있어서, 중심 쪽에 접점패턴(53a)이 배치되고, 그 바깥쪽에 접점패턴 (51a)와 접점패턴 (52a)가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 접점패턴 (51a)와 접점패턴 (53a)는 가동접편(120)을 개재하여 미조작 시에 있어서 상시 도통하고 있으며, 조작자(135)를 압압 조작하여 액추에이터(130)를 회동시킴으로써, 가동접편(120)이 슬라이딩하여 접점 변환이 행해지고, 접점패턴 (52a)와 접점패턴 (53a)가 도통한다. 또, 접점패턴(51a) 및 접점패턴(52a)의 형상은, 액추에이터(130)의 회동 시에 가동접편(120)의 접촉편(124)을 개재하여 이들이 도통하는 타이밍이 존재하도록 선정하면, 쇼팅 변환을 실현할 수 있으며, 일방 도통하지 않도록 선정하면, 논(non) 쇼팅변환이 된다. 즉, 논 쇼팅 품 및 쇼팅 품의 어느 것이나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걸어맞춤부(111)나 오목부(113)는 보디(110)가 아닌, 커버(140)에 형성하여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푸시 타입이나 슬라이드 타입의 스위치에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가스곤로(가스렌지) 용 스위치 등에 이용할 수 있다.
100: 스위치
110: 보디
120: 가동접편
130: 액추에이터
140: 커버
160: 토션코일스프링

Claims (7)

  1. 조작자를 압압 조작함으로써, 절환 동작하는 스위치로서,
    적어도 2개의 접점패턴이 판 면에 매립된 절연성의 보디와,
    한쪽 단부가 상기 보디에 걸어맞춤되고, 그 한쪽 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보디의 판 면을 따라 회동 자유롭게 되며, 다른 한쪽 단부가 회동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고, 또한, 회동방향으로 꺾여 구부러져 연장되며, 그 꺾여 구부러진 부분은 상자형상 커버의 윗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재하여 외부로 돌출한 암이 된 절연성의 액추에이터와,
    상기 암의 선단부에 설치된 상기 조작자와,
    한쪽 단부 쪽이 연결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의 한쪽 단부와 다른 한쪽 단부와의 사이에 고정되며, 다른 한쪽 단부 쪽이 상기 각 접점패턴 및 상기 판 면과 슬라이딩 가능한 접촉편으로 이루어진 가동접편과,
    상기 보디, 액추에이터 및 가동접편을 수용하는 상기 상자형상 커버와,
    그 조작자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상기 액추에이터를 탄성편의하는 탄성편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에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다른 한쪽 단부쪽에 형성된 상기 암의 후단면(後端面)의 가동접편 쪽에만 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조작자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디에는 상기 조작자의 밀어 내림 위치에 있어서, 상기 암의 후단면의 아래쪽에 이물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에는, 상기 탄성편의수단에 의해, 탄성편의된 액추에이터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되며, 이 걸어맞춤부에는, 상기 볼록부를 수용 가능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볼록부의 폭이, 상기 암의 후단면의 폭 보다도 넓도록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미조작 시에 있어서, 상기 암의 후단면 주변과, 상기 보디가 면 접촉하고 있는 스위치.
  7. 삭제
KR1020140140680A 2013-11-11 2014-10-17 스위치 KR1022243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32800A JP6180289B2 (ja) 2013-11-11 2013-11-11 スイッチ
JPJP-P-2013-232800 2013-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653A KR20150054653A (ko) 2015-05-20
KR102224396B1 true KR102224396B1 (ko) 2021-03-05

Family

ID=53197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680A KR102224396B1 (ko) 2013-11-11 2014-10-17 스위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180289B2 (ko)
KR (1) KR102224396B1 (ko)
CN (1) CN1046377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40490B2 (ja) * 2020-04-15 2023-09-07 ホシデン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着脱検出スイッ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468A (ja) * 1999-02-15 2000-11-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押釦スイッチ
JP2008147127A (ja) * 2006-12-13 2008-06-26 Omron Corp リーフ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5038U (ko) * 1981-02-18 1982-08-23
JPH0452329U (ko) * 1990-09-07 1992-05-01
JP3246648B2 (ja) * 1996-05-24 2002-01-15 ホシデン株式会社 スイッチ
JP2001307584A (ja) * 2000-04-19 2001-11-02 Kenwood Corp フックツマミの取り付け構造
JP2004095453A (ja) * 2002-09-03 2004-03-25 Omron Corp 回動スイッチおよび冷蔵庫用ドアスイッチ
CN2643465Y (zh) * 2003-09-22 2004-09-22 崧腾企业股份有限公司 具防尘及防水的切换开关
TWI264025B (en) * 2004-06-28 2006-10-11 Hon Hai Prec Ind Co Ltd Push switch
JP2006164603A (ja) * 2004-12-03 2006-06-22 Mic Electron Co レバースイッチ
CN2916900Y (zh) * 2006-06-20 2007-06-27 张家港华捷电子有限公司 按钮开关的密封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468A (ja) * 1999-02-15 2000-11-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押釦スイッチ
JP2008147127A (ja) * 2006-12-13 2008-06-26 Omron Corp リーフ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653A (ko) 2015-05-20
JP2015095303A (ja) 2015-05-18
JP6180289B2 (ja) 2017-08-16
CN104637719A (zh) 2015-05-20
CN104637719B (zh) 201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2111A1 (en) Switch
US20160314911A1 (en) System comprising electronics housing and grounding contact assembly
US20150041294A1 (en) Multi-instruction switch for enhancing electrical insulation
JP2017016807A (ja) マイクロスイッチ
US9105426B2 (en) Wiring device with contact dampening
KR102224396B1 (ko) 스위치
WO2015087484A1 (ja) スイッチ装置
EP3651177B1 (en) Switch device and opening/closing detection device
US8093976B2 (en) Vehicle switch
JP4962614B1 (ja) スイッチ
US10128059B2 (en) Switch
KR101094036B1 (ko) 차량용 후드 스위치
KR20160001310U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용 컨택터
JP4323795B2 (ja) スイッチ装置
KR101265015B1 (ko)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JP4256708B2 (ja) スイッチ装置
JP6563356B2 (ja) スライドスイッチ
KR20190091359A (ko) 트리거 스위치
KR101314961B1 (ko)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JP5877607B2 (ja) スイッチ装置
US9947487B2 (en) Switch
JP2007018790A (ja) スイッチ
EP3166119B1 (en) Switch
JP4257832B2 (ja) スイッチ装置
JP6727083B2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