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359A - 트리거 스위치 - Google Patents

트리거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359A
KR20190091359A KR1020197020852A KR20197020852A KR20190091359A KR 20190091359 A KR20190091359 A KR 20190091359A KR 1020197020852 A KR1020197020852 A KR 1020197020852A KR 20197020852 A KR20197020852 A KR 20197020852A KR 20190091359 A KR20190091359 A KR 20190091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lead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4698B1 (ko
Inventor
가즈후미 오사키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1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6Casing of switch constituted by a handle serving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by the handle of a vacuum clea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8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71Bases, casings, or covers structurally combining a switch and an electronic component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대해서 접근 및 개방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트리거와, 하우징에 대한 트리거의 접근 동작 및 개방 분리 동작에 연동하여 고정 접점에 접촉 및 개방 분리되는 가동 접점을 갖는 접점 기구부와, 접점 기구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판상의 제1 단자 및 판상의 제2 단자를 구비한다. 제1 단자가, 제1 리드를 접속하여 고정하는 제1 고정부와, 제1 리드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제1 고정부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제1 리드를 걸림 고정하여 액시얼 부품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부를 갖고, 제2 단자가, 제2 리드를 접속하여 고정하는 제2 고정부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트리거 스위치
본 개시는, 트리거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트리거 스위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외부에 마련되고 또한 하우징에 대해서 접근 및 개방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트리거와,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고, 하우징에 대한 트리거의 접근 동작 및 개방 분리 동작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접점 기구부와, 접점 기구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한 쌍의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단자는, 각각,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하우징의 외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53626호 공보
근년, 전동 드라이버 등의 전동구의 소형 경량화에 수반하여, 전동구에 사용되는 트리거 스위치의 수용 스페이스가 제한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역기전력을 흡수하기 위한 다이오드를 상기 트리거 스위치에 마련하는 경우, 하우징의 내부가 아닌, 한 쌍의 단자의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에 고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다이오드 등의 액시얼 부품을 한 쌍의 단자에 고정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부품 본체의 양측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리드의 각각을, 각 단자에 대해서 1군데에서 고정하는 고정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전동 드라이버 등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전동구에 사용되는 트리거 스위치에 대해서 상기 고정 방법을 사용한 경우, 발생한 진동에 의해 고정 강도가 저하되어, 액시얼 부품과 한 쌍의 단자의 사이에서 접촉 불량이 발생하거나, 액시얼 부품이 탈락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개시는, 하우징의 외부에서 고정된 액시얼 부품의 접촉 불량 및 탈락을 방지 가능한 트리거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의 트리거 스위치는,
내부에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접근 및 개방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트리거와,
상기 수용부 내에 마련된 고정 접점과, 상기 수용부 내에서 상기 고정 접점에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트리거의 접근 동작 및 개방 분리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 및 개방 분리되는 가동 접점을 갖는 접점 기구부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부까지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접점 기구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판상의 제1 단자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부까지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단자와 판면끼리가 대향하도록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접점 기구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판상의 제2 단자와,
부품 본체와, 상기 부품 본체의 양측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제1 단자 및 제2 단자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막대 형상의 제1 리드 및 막대 형상의 제2 리드를 갖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 액시얼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제1 리드를 접속하여 고정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리드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고정부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제1 리드를 걸림 고정하여 상기 액시얼 부품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부를 갖고,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제2 리드를 접속하여 고정하는 제2 고정부를 갖고 있다.
상기 양태의 트리거 스위치에 따르면, 제1 단자가, 액시얼 부품의 제1 리드를 접속하여 고정하는 제1 고정부와, 액시얼 부품의 제1 리드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제1 고정부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제1 리드를 걸림 고정하여 액시얼 부품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부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액시얼 부품의 제1 리드가, 제1 고정부로 접속 및 고정되면서 탈락 방지부로 걸림 고정되므로, 하우징의 외부에서 고정된 액시얼 부품의 접촉 불량 및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의 트리거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트리거 스위치의 복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트리거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1의 트리거 스위치의 액시얼 부품의 주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트리거 스위치의 액시얼 부품의 주변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트리거 스위치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트리거 스위치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특정한 방향 혹은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를 들어, 「상」, 「하」, 「우」, 「좌」를 포함하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그 용어들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개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고, 그 용어들의 의미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개시,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반드시 합치하지는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의 트리거 스위치(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성의 하우징(10), 절연성의 트리거(20), 도전성의 제1 단자(30), 도전성의 제2 단자(40), 및, 액시얼 부품(50)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1)가 마련되어 있고, 이 수용부(11) 내에는, 제1 단자(30) 및 제2 단자(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점 기구부(2)가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1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외부에는, 하우징(10)에 대해서 접근 및 개방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트리거(20)가 배치되어 있다.
접점 기구부(2)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접점(12)과 가동 접점(13)을 갖고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하우징(10)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의 트리거 스위치(1)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는, 고정 접점(12)과 가동 접점(13)이 개방 분리한 복귀 상태의 트리거 스위치(1)를 나타내고, 도 3은, 고정 접점(12)과 가동 접점(13)이 접촉한 동작 상태의 트리거 스위치(1)를 나타내고 있다.
고정 접점(12)은, 수용부(11)의 내부에서 도전성의 제1 단자(30)에 고정되어, 제1 단자(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단자(30)는, 판상을 갖고,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수용부(11)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제1 단자(30)는, 트리거(20)가 하우징(10)에 대해서 접근 및 개방 분리하는 접촉 분리 방향(즉, 도 2 및 도 3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하우징(10)의 하측(즉, 도 2 및 도 3의 Z 방향 하측)의 벽부(101)의 트리거(20)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 접점(13)은, 수용부(11)의 내부에서 가동 접촉편(14)에 고정되어, 가동 접촉편(14)을 통해 도전성의 제2 단자(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가동 접점(13)은, 고정 접점(12)에 대향하고 또한 고정 접점(12)에 대해서 접촉 및 개방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14)은, 트리거(20)의 접촉 분리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박판 형상을 갖고, 그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서 지지부(15)에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15)는, 트리거(20)의 접촉 분리 방향에 있어서의 하우징(10)의 벽부(101)의 대략 중앙에 마련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14)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즉, 도 2 및 도 3의 좌측 단부부)에는, 가동 접점(13)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가동 접촉편(14)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즉, 도 2 및 도 3의 우측 단부)는 제2 단자(40)와 접촉하고 있다.
제2 단자(40)는, 판상을 갖고,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수용부(11)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제2 단자(40)는, 트리거(20)의 접촉 분리 방향에 있어서, 하우징(10)의 하측의 벽부(101)의 트리거(20)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고정되고, 제1 단자(30)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독립되어 있다. 또한, 제2 단자(40)는, 제1 단자(30)와 판면끼리가 대향하도록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트리거(2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짧은 방향(즉, 도 2 및 도 3의 좌우 방향)의 일측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조작체(21)와, 이 조작체(21)의 하우징(10)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하우징(10)을 향해서 하우징(10)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조작축(22)을 갖고 있다.
조작체(21)는, 트리거(20)의 접촉 분리 방향에 있어서의 하우징(10)으로부터 먼 쪽의 면에 만곡면(211)(도 1에 나타낸다)을 갖고 있으며,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조작체(21)를 조작하기 쉽게 하고 있다.
조작축(22)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연장 방향(즉, 도 2 및 도 3의 좌우 방향)의 일단부가 하우징(10)의 외부에서 조작체(21)에 연결되어 있는 한편, 그 연장 방향의 타단부가 하우징(10)의 수용부(11)의 내부에서 하우징(10)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조작축(22)의 연장 방향의 타단부에는, 트리거(20)를 하우징(10)으로부터 개방 분리시키는 방향에 조작축(22)을 가압하는 복귀 스프링(23)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조작축(22)에는, 수용부(11)의 내부에서 조작축(22)으로부터 하우징(10)의 벽부(101)를 향해서 연장되는 플런저(24)가 마련되어 있다. 이 플런저(24)는, 트리거(20)의 이동에 연동하고, 그 선단(즉, 도 2 및 도 3의 하단)이, 가동 접촉편(14)에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가동 접점(13)은, 트리거(20)의 접근 동작 및 개방 분리 동작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연동하고, 고정 접점(12)에 대해서 접촉 및 개방 분리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복귀 상태의 트리거 스위치(1)의 트리거(20)의 조작체(21)를 조작하여, 트리거(20)를 하우징(10)에 접근시키면, 트리거(20)의 하우징(10)에 대한 접근 방향으로의 이동(즉, 접근 동작)에 연동하여, 플런저(24)가, 지지부(15)보다도 제1 단자(30)측으로 가동 접촉편(14)에 접촉하고, 가동 접촉편(14)을 가동 접촉편(14)의 회전축 방향(즉, 도 2 및 도 3의 지면 관통 방향)을 따른 평면으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가동 접점(13)이, 하우징(10)의 하측의 벽부(101)에 접근하여 고정 접점(12)에 접촉하여, 도 3에 나타내는 동작 상태로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동작 상태의 트리거 스위치(1)의 트리거(20)의 조작체(21)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복귀 스프링(23)에 의해 조작축(22)이, 트리거(20)를 하우징(10)으로부터 개방 분리시키는 방향에 가압되어, 트리거(20)가 하우징(10)으로부터 개방 분리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트리거(20)의 하우징(10)에 대한 개방 분리 방향으로의 이동(즉, 개방 분리 동작)에 연동하여, 플런저(24)가, 지지부(15)에 대한 제2 단자(40)측으로 가동 접촉편(14)에 접촉하여, 가동 접촉편(14)을 가동 접촉편(14)의 회전축 방향에 따른 평면으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가동 접점(13)이, 하우징(10)의 하측의 벽부(101)로부터 떨어져서 가동 접점(13)이 고정 접점(12)으로부터 개방 분리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복귀 상태로 된다.
액시얼 부품(50)은, 예를 들어 다이오드 혹은 콘덴서이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기둥상의 부품 본체(51)와, 이 부품 본체(51)의 축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원기둥 막대 형상의 제1 리드(52) 및 제2 리드(53)를 갖고, 하우징(10)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리드(52)는, 하우징(10)의 외부에서 제1 단자(30)에 고정되고, 제2 리드(53)는, 하우징(10)의 외부에서 제2 단자(40)에 고정되어 있다.
이어서,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1 단자(30), 제2 단자(40), 및, 액시얼 부품(5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1, 도 4, 및, 도 5에 대해서는, 액시얼 부품(50)의 제1 리드(52) 및 제2 리드(53)가, 제1 단자(30) 및 제2 단자(40)에 고정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단자(30)는, 액시얼 부품(50)의 제1 리드(52)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31)와, 제1 리드(52)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제1 고정부(31)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제1 리드(52)를 걸림 고정하는 제1 탈락 방지부(32)를 갖고 있다. 또한, 제2 단자(40)는, 액시얼 부품(50)의 제2 리드(53)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41)와, 제2 리드(53)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제2 고정부(41)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제2 리드(53)를 걸림 고정하는 제2 탈락 방지부(42)를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단자(30)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단자 본체(301)와, 제1 판 부재(33)와, 제1 단자 본체(301)와 제1 판 부재(33)를 접속하는 제1 접속 부재(34)를 갖고 있다. 제1 단자 본체(301)는, 하우징(10)의 하측의 벽부(101)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판 부재(33)는, 제1 단자(30)와 판면끼리가 대향하고 있음과 함께, 제1 리드(52)의 축방향 또한 제2 단자(4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제1 단자 본체(30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돌출부(35)와, 제1 고정부(31)를 구성하는 제1 오목부(36)를 갖고 있다.
돌출부(35)는, 제1 리드(52)의 축 방향으로 교차하는 평면에 있어서, 직사각형상을 갖고, 제1 단자 본체(301)의 연장 방향(즉, 도 5의 상하 방향)이며 또한 제1 리드(52)의 축방향(즉, 도 5의 지면 관통 방향)으로 교차하는 제1 단자 본체(301)의 판 폭 방향(즉, 도 5의 좌우 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측면(302) 및 제2 측면(303) 중 한쪽의 제1 측면(302)으로부터 판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오목부(36)는, 돌출부(35)의 제1 단자 본체(301)의 판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자 본체(301)의 제1 측면(302)으로부터 먼 쪽의 단부(351)에 마련된 개구부(361)와, 개구부(361)에 접속된 오목부 본체(362)와, 오목부 본체(362)에 접속된 위치 결정용 절결부(364)를 갖고 있다.
개구부(361)는, 돌출부(35)의 단부(351)에 있어서의 제1 단자 본체(301)의 연장 방향의 중심보다도 하우징(10)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단자 본체(301)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오목부(36)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벽부(352) 및 제2 벽부(353)의 기부에 있어서의 제1 단자 본체(301)의 연장 방향의 두께 D1, D2를 비교하면, 하우징(10)에 가까운(즉, 도 5의 상측) 제1 벽부(352)의 두께 D1 쪽이, 하우징(10)으로부터 먼(즉, 도 5의 하측) 제2 벽부(353)의 두께 D2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오목부 본체(362)는, 개구부(361)로부터 제1 단자 본체(301)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직선 L1을 따라, 끝이 오므라진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위치 결정용 절결부(364)는, 제1 리드(52)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외형(즉, 원)을 따라 만곡한 원호 형상을 갖고, 오목부 본체(362)의 개구부(361)에 대향하는 저부(363)로부터, 제1 직선 L1에 교차하는 제2 직선 L2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즉, 위치 결정용 절결부(364)는, 오목부 본체(362)의 저부(363)로부터, 제1 단자 본체(301)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는 하우징(10)으로부터 떨어지고, 또한, 제1 단자 본체(301)의 판 폭 방향에 있어서는 돌출부(35)의 제2 벽부(353)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액시얼 부품(50)의 제1 리드(52)는, 제1 오목부(36)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고정된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리드(52)는, 축방향이 제1 단자 본체(301)의 판면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제1 오목부(36)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 결정용 절결부(364)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리드(52)가 위치 결정용 절결부(364)에 의해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돌출부(35)의 제2 벽부(353)가 제1 벽부(352)를 향해서 구부러지고, 제1 벽부(352) 및 제2 벽부(353)에 의해 제1 리드(52)가 끼움 지지된다. 이에 의해, 제1 리드(52)가 제1 오목부(36)에 접속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단자 본체(301)의 제1 측면(302)에는, 제2 벽부(353)에 인접하는 홈부(304)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벽부(353)를 제1 벽부(352)를 향해서 구부리기 쉽게 하고 있다.
제1 판 부재(33)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탈락 방지부(32)를 구성하는 제2 오목부(37)를 갖고 있다.
제2 오목부(37)는, 제1 단자 본체(301)의 판 폭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 개구부(371)가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제1 리드(52)에 교차하는 평면에 있어서, 제1 단자 본체(301)의 연장 방향(즉, 도 4의 상하 방향)에 대해서 제1 오목부(36)와 같은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오목부(37)는, 제1 단자 본체(301)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오목부(36)의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 제1 단자 본체(301)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L3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오목부(37)는, 제1 오목부(36)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제2 오목부(37)에 대해서는, 제1 오목부(36)에 대응하는 부분에 제1 오목부(36)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제1 오목부(36)의 설명을 원용한다.
즉, 액시얼 부품(50)의 제1 리드(52)는, 제2 오목부(37)에 있어서, 제1 오목부(36)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제1 리드(52)를 끼움 지지한다. 이에 의해, 제1 리드(52)가 제2 오목부(37)에 걸림 고정되어 있다.
제1 접속 부재(34)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단자 본체(301)의 판 두께 방향(즉, 도 4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단자 본체(301)의 돌출부(35)의 제1 벽부(352)와 제1 판 부재(33)의 제1 벽부(352)를 접속하는 제1 부재(341)와, 이 제1 부재(341)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1 단자 본체(301)의 돌출부(35)의 제2 벽부(353)와 제1 판 부재의 제2 벽부(353)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342)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부재(341) 및 제2 부재(342) 사이에는, 제1 리드(52)를 삽입 가능한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단자 본체(301), 제1 판 부재(33), 및, 제1 접속 부재(34)는, 도전성을 갖는 1매의 금속판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단자(40)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단자 본체(401)와, 제2 판 부재(43)와, 제2 단자(40)와 제2 판 부재(43)를 접속하는 제2 접속 부재(44)를 갖고 있다. 제2 단자 본체(401)는, 하우징(10)의 하측의 벽부(101)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판 부재(43)는, 제2 단자(40)와 판면끼리가 대향하고 있음과 함께, 제2 리드(53)의 축방향 또한 제1 단자(3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제2 단자(40)의 제2 단자 본체(401), 제2 판 부재(43), 및, 제2 접속 부재(44)는, 제1 단자(30)의 제1 단자 본체(301), 제1 판 부재(33), 및, 제1 접속 부재(34)와 각각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제2 단자(40)에 대해서는, 제1 단자(30)에 대응하는 부분에 제1 단자(30)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서, 제1 단자(30)의 설명을 원용한다.
액시얼 부품(50)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리드(52)가 제1 단자(30)의 판면 및 판 부재(33)의 판면에 대략 직교하고, 제2 리드(53)가 제2 단자(40)의 판면 및 판 부재(43)의 판면에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리드(52)가, 제1 단자(30)의 제1 고정부(31)를 구성하는 제1 오목부(36)에 의해 접속 및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제1 탈락 방지부(32)를 구성하는 제2 오목부(37)에 의해 걸림 고정되고, 제2 리드(53)가, 제2 단자(40)의 제1 고정부(41)를 구성하는 제1 오목부(36)에 의해 접속 및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제2 탈락 방지부(42)를 구성하는 제2 오목부(37)에 의해 걸림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트리거 스위치(1)에 따르면, 제1 단자(30)가, 액시얼 부품(50)의 제1 리드(52)를 접속하여 고정하는 제1 고정부(31)와, 액시얼 부품(50)의 제1 리드(52)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제1 고정부(31)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제1 리드(52)를 걸림 고정하여 액시얼 부품(50)의 탈락을 방지하는 제1 탈락 방지부(32)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액시얼 부품(50)의 제1 리드(52)가, 제1 고정부(31)로 접속 및 고정되면서 제1 탈락 방지부(32)로 걸림 고정되므로, 하우징(10)의 외부에 고정한 액시얼 부품의 접촉 불량 및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자(40)가, 제2 고정부(41)와 제2 탈락 방지부(42)를 갖고 있으므로, 액시얼 부품(50)의 제2 리드(53)도 제2 고정부(41)로 접속 및 고정되면서 제2 탈락 방지부(42)로 걸림 고정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0)의 외부에서 고정된 액시얼 부품의 접촉 불량 및 탈락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30)가, 제1 단자 본체(301)와, 제1 판 부재(33)와, 제1 접속 부재(34)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액시얼 부품(50)의 제1 리드(52)를 제1 고정부(31)로 접속 및 고정하면서 제1 탈락 방지부(32)로 걸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판 부재(33)가, 단자 본체(301)와 판면끼리가 대향하고 있음과 함께, 제1 리드(30)의 축방향 또한 제2 단자(4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고, 제2 판 부재(43)가, 단자 본체(301)와 판면끼리가 대향하고 있음과 함께, 제2 리드(53)의 축방향 또한 제1 단자(3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액시얼 부품(50)의 위치 결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1 고정부(31)를 구성하는 제1 오목부(36)와 제1 탈락 방지부(32)를 구성하는 제2 오목부가, 오목부 본체(362)와 위치 결정용 절결부(364)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리드(52)를 위치 결정용 절결부(364)로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제1 고정부(312)로 제1 리드(52)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제1 탈락 방지부(32)로 제1 리드(52)를 보다 견고하게 걸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오목부(36)가 제1 고정부(31) 및 제2 고정부를 구성하고, 제2 오목부(37)가 제1 탈락 방지부(32) 및 제2 탈락 방지부(42)를 구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오목부(36) 및 제2 오목부(37)의 어느 한쪽이, 제1 탈락 방지부(32) 및 제2 탈락 방지부(42)를 구성하고, 제1 오목부(36) 및 제2 오목부(37)의 어느 다른 쪽이, 제1 고정부(31) 및 제2 고정부를 구성하면 된다.
또한, 제1 단자(30) 및 제2 단자(40)의 어느 한쪽에만 탈락 방지부를 마련해도 된다.
또한, 고정부 및 탈락 방지부는, 각각 제1 오목부(36) 및 제2 오목부(37)로 구성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부 및 탈락 방지부는, 액시얼 부품의 리드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이한 복수의 위치에 마련되고, 액시얼 부품의 리드를 접속 및 고정하면서 그 탈락을 방지할 수 있으면 되고, 다른 고정 구조 혹은 걸림 지지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리드(52) 및 제2 리드(53)를 그 축법에 있어서의 3개의 위치에, 제3 고정부 또는 탈락 방지부(131, 141)를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판 부재(33)와 판면끼리가 대향하고 있음과 함께, 제1 리드(52)의 축방향 또한 제2 단자(4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된 제3 판 부재(133)와, 제1 판 부재(33) 및 제3 판 부재(133)를 접속하는 제3 접속 부재(134)를 마련하고, 또한, 제2 판 부재(43)와 판면끼리가 대향하고 있음과 함께, 제2 리드(53)의 축방향 또한 제1 단자(3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된 제4 판 부재(143)와, 제2 판 부재(43) 및 제4 판 부재(143)를 접속하는 제4 접속 부재(144)를 마련하면 된다. 제3 판 부재(133) 및 제4 판 부재(143)는, 각각 제1 판 부재(33)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고, 제3 접속 부재(134) 및 제4 접속 부재(144)는, 각각 제1 접속 부재(34)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액시얼 부품(50)은, 1개에 한정되지 않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복수의 액시얼 부품(50)의 전부를 동일한 구성의 고정부 및 탈락 방지부로 접속 및 고정하면서 걸림 고정해도 되고, 액시얼 부품(50)별로 상이한 구성의 고정부 및 탈락 방지부로 접속 및 고정하면서 걸림 고정해도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마지막으로, 본 개시의 여러 가지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일례로서, 참조 부호도 붙여서 기재한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의 트리거 스위치(1)는,
내부에 수용부(11)를 갖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10)에 대해서 접근 및 개방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트리거(20)와,
상기 수용부(11) 내에 마련된 고정 접점(12)과, 상기 수용부(11) 내에서 상기 고정 접점(12)에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하우징(10)에 대한 상기 트리거(20)의 접근 동작 및 개방 분리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고정 접점(12)에 접촉 및 개방 분리되는 가동 접점(13)를 갖는 접점 기구부(2)와,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부(11)까지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접점 기구부(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판상의 제1 단자(30)와,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부(11)까지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단자(30)와 판면끼리가 대향하도록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접점 기구부(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판상의 제2 단자(40)와,
부품 본체(51)와, 상기 부품 본체(51)의 양측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서 상기 제1 단자(30) 및 제2 단자(40)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막대 형상의 제1 리드(52) 및 막대 형상의 제2 리드(53)를 갖고,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 배치된 액시얼 부품(50)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단자(30)가, 상기 제1 리드(52)를 접속하여 고정하는 제1 고정부(31)와, 상기 제1 리드(52)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고정부(31)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제1 리드(52)를 걸림 고정하여 상기 액시얼 부품(50)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부(32)를 갖고,
상기 제2 단자(40)가, 상기 제2 리드(53)를 접속하여 고정하는 제2 고정부(41)를 갖고 있다.
제1 양태의 트리거 스위치(1)에 따르면, 액시얼 부품(50)의 제1 리드(52)가, 제1 고정부(31)로 접속 및 고정되면서 탈락 방지부(32)로 걸림 고정되므로, 하우징(10)의 외부에서 고정된 액시얼 부품(50)의 접촉 불량 및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양태의 트리거 스위치(1)는,
상기 제1 단자(30)의 상기 탈락 방지부(32)가 제1 탈락 방지부(32)이며,
상기 제2 단자(40)가, 상기 제2 리드(53)를 걸림 고정하여 상기 액시얼 부품(50)의 탈락을 방지하는 제2 탈락 방지부(42)를 갖는다.
제2 양태의 트리거 스위치(1)에 따르면, 액시얼 부품(50)의 제2 리드(53)도 제2 고정부(41)로 접속 및 고정되면서 제2 탈락 방지부(42)로 걸림 고정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0)의 외부에서 고정된 액시얼 부품(50)의 접촉 불량 및 탈락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 양태의 트리거 스위치(1)는,
상기 제1 단자(30)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부(11)까지 연장되어 있는 단자 본체(301)와,
상기 단자 본체(301)와 판면끼리가 대향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리드(52)의 상기 축방향 또한 상기 제2 단자(4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된 판 부재(33)와,
상기 단자 본체(301)와 상기 판 부재(33)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34)를
갖고,
상기 제1 고정부(31)가, 상기 단자 본체(301) 및 상기 판 부재(33)의 어느 한쪽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고정부(41)가, 상기 단자 본체(301) 및 상기 판 부재(33)의 어느 다른 쪽에 마련되어 있다.
제3 양태의 트리거 스위치(1)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액시얼 부품(50)의 제1 리드(52)를 제1 고정부(31)로 접속 및 고정하면서 제1 탈락 방지부(32)로 걸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판 부재(33)가, 단자 본체(301)와 판면끼리가 대향하고 있음과 함께, 제1 리드(52)의 축방향 또한 제2 단자(4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액시얼 부품(50)의 위치 결정이 용이해진다.
본 개시의 제4 양태의 트리거 스위치(1)는,
상기 단자 본체(301)가,
상기 단자 본체(301)의 연장 방향 또한 상기 제1 리드(52)의 상기 축 방향으로 교차하는 상기 단자 본체(301)의 판 폭 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302, 303)의 한쪽으로부터 상기 판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35)와,
상기 돌출부(35)의 상기 판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측면(302)으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 개구부(361)가 마련된 제1 오목부(36)를
갖고,
상기 판 부재(33)가,
상기 판 폭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 개구부(371)가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리드(52)에 교차하는 평면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본체(301)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1 오목부(36)와 같은 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오목부(37)를 갖고,
상기 제1 오목부(36) 및 상기 제2 오목부(37))가,
상기 개구부(361, 371)에 접속되고, 상기 개구부(361, 371)로부터 상기 측면(302)을 향하는 제1 직선 L1을 따라 연장되는 오목부 본체(362)와,
상기 오목부 본체(362)에 접속되고, 상기 오목부 본체(362)의 상기 개구부(361, 371)에 대향하는 저부(363)로부터 상기 제1 직선 L1에 교차하는 제2 직선 L2를 따라 연장되는 위치 결정용 절결부(364)를
갖고,
상기 제1 오목부(36) 및 상기 제2 오목부(37)의 어느 한쪽이 상기 제1 고정부(31)이며, 상기 제1 오목부(36) 및 상기 제2 오목부(37)의 어느 다른 쪽이 상기 제2 고정부(41)이다.
제4 양태의 트리거 스위치(1)에 따르면, 제1 리드(52)를 위치 결정용 절결부(364)로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제1 고정부(31)로 제1 리드(52)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제1 탈락 방지부(32)로 제1 리드(52)를 견고하게 걸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러 가지 실시 형태 또는 변형예 중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각각이 갖는 효과를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끼리의 조합 또는 실시예끼리의 조합 또는 실시 형태와 실시예의 조합이 가능함과 함께, 상이한 실시 형태 또는 실시예 중 특징끼리의 조합도 가능하다.
본 개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이 기술이 숙련된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한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그 중에 포함된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트리거 스위치는, 예를 들어 전동 공구에 적용할 수 있다.
1: 트리거 스위치
2: 접점 기구부
10: 하우징
101: 벽부
11: 수용부
12: 고정 접점
13: 가동 접점
14: 가동 접촉편
15: 지지부
20: 트리거
21: 조작체
211: 만곡면
22: 조작축
23: 복귀 스프링
24: 플런저
30: 제1 단자
301: 제1 단자 본체
302: 제1 측면
303: 제2 측면
304: 홈부
31: 제1 고정부
32: 제1 탈락 방지부
33: 제1 판 부재
34: 제1 접속 부재
35: 돌출부
351: 단부
352: 제1 벽부
353: 제2 벽부
36: 제1 오목부
361: 개구부
362: 오목부 본체
363: 저부
364: 위치 결정용 절결부
37: 제2 오목부
371: 개구부
40: 제2 단자
401: 제2 단자 본체
41: 제2 고정부
42: 제2 탈락 방지부
43: 제2 판 부재
44: 제2 접속 부재
131: 고정부
133: 제3 판 부재
141: 탈락 방지부
143: 제4 판 부재
50: 액시얼 부품
51: 부품 본체
52: 제1 리드
53: 제2 리드
D1, D2: 두께
L1, L2, L3: 직선

Claims (4)

  1. 내부에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접근 및 개방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트리거와,
    상기 수용부 내에 마련된 고정 접점과, 상기 수용부 내에서 상기 고정 접점에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트리거의 접근 동작 및 개방 분리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 및 개방 분리되는 가동 접점을 갖는 접점 기구부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부까지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접점 기구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판상의 제1 단자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부까지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단자와 판면끼리가 대향하도록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접점 기구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판상의 제2 단자와,
    부품 본체와, 상기 부품 본체의 양측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제1 단자 및 제2 단자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막대 형상의 제1 리드 및 막대 형상의 제2 리드를 갖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 액시얼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제1 리드를 접속하여 고정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리드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고정부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제1 리드를 걸림 고정하여 상기 액시얼 부품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부를 갖고,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제2 리드를 접속하여 고정하는 제2 고정부를 갖고 있는, 트리거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의 상기 탈락 방지부가 제1 탈락 방지부이며,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제2 리드를 걸림 고정하여 상기 액시얼 부품의 탈락을 방지하는 제2 탈락 방지부를 갖는, 트리거 스위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단자 본체와,
    상기 단자 본체와 판면끼리가 대향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리드의 상기 축방향 또한 상기 제2 단자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된 판 부재와,
    상기 단자 본체와 상기 판 부재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고정부가, 상기 단자 본체 및 상기 판 부재의 어느 한쪽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단자 본체 및 상기 판 부재의 어느 다른 쪽에 마련되어 있는, 트리거 스위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본체가,
    상기 단자 본체의 연장 방향 또한 상기 제1 리드의 상기 축 방향으로 교차하는 상기 단자 본체의 판 폭 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의 한쪽으로부터 상기 판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상기 판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 개구부가 마련된 제1 오목부를
    갖고,
    상기 판 부재가,
    상기 판 폭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리드에 교차하는 평면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본체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1 오목부와 같은 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가,
    상기 개구부에 접속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측면을 향하는 제1 직선을 따라 연장되는 오목부 본체와,
    상기 오목부 본체에 접속되고, 상기 오목부 본체의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저부로부터 상기 제1 직선에 교차하는 제2 직선을 따라 연장되는 위치 결정용 절결부를
    갖고,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의 어느 한쪽이 상기 제1 고정부이며,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의 어느 다른 쪽이 상기 제2 고정부인, 트리거 스위치.
KR1020197020852A 2017-03-14 2017-12-12 트리거 스위치 KR1022046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49048 2017-03-14
JP2017049048A JP6428814B2 (ja) 2017-03-14 2017-03-14 トリガースイッチ
PCT/JP2017/044589 WO2018168126A1 (ja) 2017-03-14 2017-12-12 トリガー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359A true KR20190091359A (ko) 2019-08-05
KR102204698B1 KR102204698B1 (ko) 2021-01-19

Family

ID=63522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852A KR102204698B1 (ko) 2017-03-14 2017-12-12 트리거 스위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70953B2 (ko)
JP (1) JP6428814B2 (ko)
KR (1) KR102204698B1 (ko)
CN (1) CN110235216B (ko)
DE (1) DE112017007241T5 (ko)
WO (1) WO20181681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6321B (zh) * 2019-11-11 2023-02-17 德丰电创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对电气装置的触发组件锁止的锁止机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4621U (ko) * 1989-04-13 1990-11-08
JPH0423057U (ko) * 1990-06-15 1992-02-25
JPH11162318A (ja) * 1997-10-02 1999-06-18 Siemens Electromech Components Inc 電気的なコンポーネントを電磁リレーに接続するための構造及び方法
JP2003257297A (ja) * 2002-03-06 2003-09-12 Anden 電磁継電器
US6749028B1 (en) * 2003-05-22 2004-06-15 Defond Components Limited Power tool trigger assembly
JP2015153626A (ja) 2014-02-14 2015-08-24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点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トリガースイッチ,電動工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4621U (ko) * 1989-04-13 1990-11-08
JPH0423057U (ko) * 1990-06-15 1992-02-25
JPH11162318A (ja) * 1997-10-02 1999-06-18 Siemens Electromech Components Inc 電気的なコンポーネントを電磁リレーに接続するための構造及び方法
JP2003257297A (ja) * 2002-03-06 2003-09-12 Anden 電磁継電器
US6749028B1 (en) * 2003-05-22 2004-06-15 Defond Components Limited Power tool trigger assembly
JP2015153626A (ja) 2014-02-14 2015-08-24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点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トリガースイッチ,電動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35216A (zh) 2019-09-13
WO2018168126A1 (ja) 2018-09-20
CN110235216B (zh) 2021-06-01
DE112017007241T5 (de) 2019-12-12
JP6428814B2 (ja) 2018-11-28
JP2018152294A (ja) 2018-09-27
US20210304977A1 (en) 2021-09-30
US11170953B2 (en) 2021-11-09
KR102204698B1 (ko)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6539B2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structure and electronic component
US9984842B2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structure and electronic component
US20180005776A1 (en) Terminal connecting mechanism and switch
US9805892B2 (en)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structure
JP2006218560A (ja) トリガースイッチ
EP3270465B1 (en) Socket
KR20190091359A (ko) 트리거 스위치
EP2889886A1 (en) Electromagnetic relay
WO2014010374A1 (ja) ヒューズホルダとヒューズカバーとの固定構造
US7397006B2 (en) Operation mechanism for electric apparatus
JP2020129461A (ja) コネクタ
KR102177144B1 (ko) 트리거 스위치
CN113257637A (zh) 电路断路器
KR102224396B1 (ko) 스위치
JP6388142B2 (ja) 電池パック及び電動工具
JP2017224535A (ja) 開閉器
JP6953995B2 (ja) スイッチ取付構造
US11670470B2 (en) Stackable block with reduced height for a control unit
EP4234863A1 (en) Pre-mounted lock for a door of a low voltage enclosure
EP2757567A1 (en) Push button switch
JP6468968B2 (ja) 電子機器
JP6523211B2 (ja) 端子装置および端子装置セット
CN116344238A (zh) 遥控器及电子设备组件
JP2020095826A (ja) 押ボタンスイッチ
JP2019021598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