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528B1 - 도킹시스템과 이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 Google Patents

도킹시스템과 이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528B1
KR101354528B1 KR1020070011207A KR20070011207A KR101354528B1 KR 101354528 B1 KR101354528 B1 KR 101354528B1 KR 1020070011207 A KR1020070011207 A KR 1020070011207A KR 20070011207 A KR20070011207 A KR 20070011207A KR 101354528 B1 KR101354528 B1 KR 101354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king
horizontal
vertical
bracke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2433A (ko
Inventor
이광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1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528B1/ko
Priority to US11/843,110 priority patent/US7782608B2/en
Priority to CN2007103081513A priority patent/CN101236449B/zh
Publication of KR20080072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킹시스템과 이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본체를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 도킹시스템은, 도킹개구를 갖는 도킹본체와; 상기 도킹개구에 수용되며 상기 컴퓨터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마련된 도킹부를 갖는 도킹브래킷과; 상기 도킹브래킷을 상기 도킹본체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기 도킹본체 및 상기 도킹브래킷을 결합하는 위치이동유닛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다양한 컴퓨터본체에 대응할 수 있으며, 컴퓨터본체의 본체커넥터의 위치에 대한 설계상 제한을 완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도킹시스템과 이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DOCKING SYSTEM AND PORTABLE COMPUTER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1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킹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에서 본 요부를 180도 회전시켜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도 2의 배면에서 본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4b-4b의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가로이동부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2의 세로이동부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킹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정면에서 본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7의 배면에서 본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휴대용컴퓨터 101 : 컴퓨터본체
103 : 본체케이싱 105 : 본체커넥터
107 : 키보드 109 : 디스플레이
110 : 도킹시스템 120 : 도킹본체
121 : 전방커버 123 : 도킹개구
125 : 후방커버 127 : 도킹구동부
129 : 연성기판 130 : 도킹브래킷
131 : 브래킷본체 133 : 도킹수용홈
141 : 도킹부 143 : 도킹부본체
144 : 수용홀 145 : 도킹커넥터
147 : EMI결합부재 149 : 보조기판
210 : 위치이동유닛 220 : 가로이동부
230 : 가로전달부재 231 : 가로랙
233 : 가로피니언 235 : 가로피니언축
240 : 가로안내부재 241 : 가로안내슬롯
245 : 가로안내돌기 247 : 이탈방지턱
250 : 세로이동부 251 : 세로이동부재
260 : 세로전달부재 261 : 세로랙
263 : 세로피니언 265 : 세로피니언축
270 : 세로안내부재 271 : 세로안내슬롯
273 : 세로안내돌기 280 : 이동제한부
281 : 가로이동제한부재 283 : 세로이동제한부재
430 : 가로안내홀더 440 : 가로안내바
470 : 세로안내부 480 : 세로안내홀더
본 발명은, 도킹시스템 및 이를 갖는 휴대용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컴퓨터의 도킹 구조를 개선한 도킹시스템 및 이를 갖는 휴대용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컴퓨터는 LCD패널이 장착된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며 다양한 하드웨어가 장착된 컴퓨터본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휴대용 컴퓨터가 데스크탑 컴퓨터처럼 다양하기 기능을 갖도록 컴퓨터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도킹시스템이 마련된다.
도킹시스템(docking system)은 휴대용 컴퓨터가 데스크탑 컴퓨터처럼 효과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게 해주는 하드웨어 프레임과 일련의 전기 접속용 인터페이스들을 말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들은 대체로 도킹시스템에 장착된 CD-ROM 드라이브 또는 백업 드라이브와 같은 보조기억장치 및 로컬프린터와 같은 장치들과 컴퓨터본체를 통신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런데, 종래기술은 컴퓨터본체의 종류, 크기에 따라 도킹시스템이 위치가 달라 도킹시스템을 공통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다양한 컴퓨터본체에 대응할 수 있는 도킹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컴퓨터본체에 대응할 수 있는 도킹시스템 및 이를 갖는 휴대용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퓨터본체의 본체커넥터의 위치에 대한 설계상 제한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도킹시스템의 표준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도킹시스템 및 이를 갖는 휴대용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컴퓨터본체를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 도킹시스템에 있어서, 도킹개구를 갖는 도킹본체와; 상기 도킹개구에 수용되며 상기 컴퓨터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마련된 도킹부를 갖는 도킹브래킷과; 상기 도킹브래킷을 상기 도킹본체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기 도킹본체 및 상기 도킹브래킷을 결합하는 위치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위치이동유닛은, 상기 도킹브래킷을 상기 도킹본체 판면에 대한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도킹본체 및 상기 도킹브래킷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가로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유닛은, 상기 도킹브래킷을 상기 도킹본체의 판면에 대한 상기 가로방향과 다른 세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로이동부와 결합된 세로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방향과 상기 세로방향은 상호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이동부는, 상기 도킹본체에 대해 상기 가로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힘을 상기 세로이동부재로 전달하는 가로전달부재와, 상기 도킹본체에 대해 상기 가로이동부재를 안내 가능하게 마련된 가로안내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전달부재는, 상기 도킹브래킷 및 상기 세로이동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가로랙과; 상기 도킹브래킷 및 상기 세로이동부재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가로랙과 맞물리는 가로피니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안내부재는, 상기 도킹브래킷 및 상기 세로이동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가로안내슬릿과; 상기 도킹브래킷 및 상기 세로이동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가로안내슬릿과 맞물리는 가로안내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로이동부는, 상기 도킹본체와 상기 도킹브래킷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로이동부와 결합된 세로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로이동부는, 상기 도킹브래킷을 상기 도킹본체에 대해 이동시키는 힘을 상기 도킹본체에 전달하는 세로전달부재와 상기 가로이동부재에 대해 상기 도킹브래킷을 이동 안내하는 세로안내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로전달부재는, 상기 도킹본체 및 상기 세로이동부재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세로랙과; 상기 도킹본체 및 상기 세로이동부재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세로랙과 맞물리는 세로피니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로안내부재는, 상기 도킹본체와 상기 세로이동부재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세로안내슬릿과; 상기 도킹본체와 상기 세로이동부재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세로안내슬릿과 맞물리는 세로안내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유닛은, 상기 도킹브래킷을 상기 도킹본체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킹브래킷의 상대 이동을 제한 가능하게 마련된 이동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이동부는, 상기 도킹브래킷 및 상기 세로이동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가로안내바와; 상기 도킹브래킷 및 상기 세로이동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가로안내바와 맞물리는 가로안내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로이동부는, 상기 도킹본체 및 상기 가로이동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세로안내바와; 상기 도킹본체 및 상기 가로이동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세로안내바와 결합되는 세로안내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컴퓨터 본체와; 상기 컴퓨터본체와 결합 및 결합 해제 가능하게 마련된 도킹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도킹시스템은, 도킹개구를 갖는 도킹본체와; 상기 도킹개구에 수용되며 상기 컴퓨터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마련된 도킹부를 갖는 도킹브래킷과; 상기 도킹브래킷을 상기 도킹본체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기 도킹본체 및 상기 도킹브래킷을 결합하는 위치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컴퓨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위치이동유닛은, 상기 도킹브래킷을 상기 도킹본체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도킹본체 및 도킹브래킷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가로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유닛은, 상기 도킹브래킷을 상기 도킹본체에 대해 상기 가로방 향과 다른 세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로이동부와 결합된 세로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방향과 상기 세로방향은 상호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컴퓨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가로방향은 도킹본체(120)의 판면의 길이방향인 좌우방향(도 1의 'X' 방향 참조)으로 하며, 세로방향은 도킹본체(120)의 판면의 길이방향의 가로방향인 전후방향(도 1의 'Y' 방향 참조)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컴퓨터(100)는, 도 1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컴퓨터(100)는 컴퓨터본체(101)와 도킹시스템(110)을 포함한다. 휴대용컴퓨터(100)의 컴퓨터본체(101)는 다양한 종류, 크기, 형상 등이 다양할 수 있으며,
컴퓨터본체(10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싱(103)과, 본체케이싱(103)의 상측에 마련되어 데이터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107) 및 터치패드(미도시)를 포함한다.
그리고, 컴퓨터본체(101)에는 도킹시스템(110)의 도킹부(141)의 도킹커넥터(145)와 결합되도록 본체케이싱(103)의 후방에 본체커넥터(105)가 마련된다. 컴퓨터본체(101)에는 도킹시스템(110)을 결합 및 결합해제할 수 있는 후크결합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본체(101)는 본체케이싱(103)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본체케이싱(1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109)를 더 포함한다.
이에, 본체커넥터(105)는 도킹시스템(110)의 도킹부(141)와 결합되어 도킹시스템(110)과 전원 및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도킹시스템(110)은 컴퓨터본체(101)에 전원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킹시스템(110)은 도킹본체(120)와, 도킹브래킷(130)과, 위치이동유닛(210)을 포함한다.
도킹본체(120)는 도킹브래킷(130) 또는 위치이동유닛(210)과 결합되며, 도킹시스템(110)의 외관을 형성한다. 도킹본체(120)는 도킹시스템(110)의 전방 외관을 형성하며 도킹커넥터(145)가 수용되어 돌출되도록 도킹개구(123)를 포함한다. 도킹본체(120)는 부분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판상으로 마련된 전방커버(121)와, 전방커버(121)와 결합되며 도킹시스템(110)의 후방 외관을 형성하며 부분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판상으로 마련된 후방커버(125)를 포함한다.
도킹본체(120)는 외부로부터 전원 및 각종 자료 등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외부 케이블(미도시)과 결합된다. 도킹본체(120)는 외부 케이블 또는 컴퓨터본 체(101)와 상호 전원, 자료 등을 송수신하여 도킹시스템(110)의 기능을 수행하는 도킹구동부(127)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킹본체(120)는 도킹구동부(127)와 도킹부(14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기판(129)을 포함한다. 즉, 연성기판(129)은 도킹본체(120)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도킹부(141)와 전방커버(121) 또는 후방커버(125) 중 하나에 결합될 수 있는 도킹구동부(127)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연성기판(129)은 충분한 신축성을 갖는 연성인쇄회로기판과 같은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킹구동부(12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킹구동부(127)는 CD-ROM 드라이브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별도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디스크 드라이브일 수도 있다.
도킹브래킷(130)은 도킹본체(12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도킹브래킷(130)은 도킹개구(123)를 막으며 위치이동유닛(210)과 결합되는 브래킷본체(131)와, 브래킷본체(131)와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킹부(141)를 포함한다.
브래킷본체(131)는 판상으로 마련되어 위치이동유닛(210)에 의해 전방커버(121)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브래킷본체(131)는 브래킷본체(131)가 상대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킹개구(123)를 막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브래킷본체(131)는 중앙영역에 도킹부(141)와 결합되도록 판면으로부터 절곡 등에 의해 함몰된 도킹수용홈(133)을 포함한다. 브래킷본체(131)는 가로이동부(220)와 결합된다.
도킹부(141)는 브래킷본체(131)의 도킹수용홈(133)과 결합되는 도킹부본체(143)와, 본체커넥터(105)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도킹커넥터(145)와, 컴퓨터본체(101)와 결합되어 발생될 수 있는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및 노이즈를 막기 위해 컴퓨터본체(101)와 접촉되는 EMI 결합부재(147)를 포함한다. 도킹부(141)는 도킹커넥터(145)와 및 연성기판(129)을 연결하는 보조기판(149)을 더 포함한다.
도킹부본체(143)는 판상으로 마련되며 도킹커넥터(145)와 EMI 결합부재(147)를 수용하여 결합할 수 있는 도킹수용홈(144)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킹브래킷(130)의 브래킷본체(131)와 도킹부(141)의 도킹부본체(143)가 분리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 도킹부본체(143)와 브래킷본체(13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킹커넥터(145)는 본체커넥터(105)와 결합되어 컴퓨터본체(101)의 본체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되며, 컴퓨터본체(101)로부터 도킹시스템(110)으로 전원, 자료 등을 송수신 할 수 있다. 도킹커넥터(145)는 다양한 종류의 공지된 인터페이스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도킹커넥터(145)는 도킹부본체(143)의 수용홀(144)에 수용된다.
위치이동유닛(210)은 도킹브래킷(130)을 도킹본체(12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도킹브래킷(130) 및 도킹본체(120)에 결합된다. 위치이동유닛(210)은 도킹브래킷(130)을 도킹본체(120)의 판면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로이동부(220)와, 도킹브래킷(130)을 도킹본체(120)의 판면에 대해 세로방향으로 이동시 키는 세로이동부(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위치이동유닛(210)은 가로이동부(220)가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세로이동부(250)도 동시에 세로방향으로 이동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가로이동부(220) 및 세로이동부(250)는 도 1의 'X' 또는 'Y'축선방향에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도킹브래킷(130)을 도킹본체(120)의 판면에 대해 상대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에, 다양한 종류의 크기, 형상을 갖는 컴퓨터본체(101)를 간편하게 결합 및 결합 해제할 수 있는 도킹시스템(11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킹시스템(110)의 규격화, 표준화 등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본체(101)에 마련된 본체커넥터(105)의 설계시 위치 제한을 비교적 완화시킬 수 있다.
가로이동부(220)는 도킹브래킷(130)을 도킹본체(120)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도킹브래킷(130)에 결합되어 있다. 가로이동부(220)는 가로전달부재(230) 및 가로안내부재(2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즉, 가로이동부(22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가로전달부재(230)만이 마련될 수 있으며, 가로안내부재(240)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가로이동부(220)는 일실시예와 달리 도킹본체(120)와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세로이동부(250)가 도킹브래킷(130)과 결합된다.
가로전달부재(230)는 세로이동부재(251)에 마련된 가로랙(231)과, 도킹브래킷(130)에 결합되어 가로랙(231)과 결합되는 가로피니언(233)을 포함한다. 가로 랙(231)은 일실시예와 달리 도킹브래킷(130)에 형성되고, 가로피니언(233)은 세로이동부재(251)와 결합될 수 있다. 가로랙(231)은 세로이동부재(251)에 형성되어 있으나 별도로 마련되어 세로이동부재(251)에 결합될 수 있다.
가로피니언(233)은 도킹브래킷(130)에 가로피니언축(23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로안내부재(240)는 도킹브래킷(130)을 가로방향으로 안내하여 도킹본체(120)를 이동시킨다. 가로안내부재(240)는 세로이동부재(251)에 형성된 가로안내슬릿(241)과, 도킹브래킷(130)의 판면에 결합되어 가로안내슬릿(241)에 의해 안내되는 가로안내돌기(245)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로안내슬릿(241)과 가로안내돌기(245)는 도킹브래킷(130)을 가로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안내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안내돌기(245)는 세 개로 마련되어 하나는 도킹부(141)에 두 개는 브래킷본체(131)에 마련될 수 있다.
가로안내돌기(245)는 단부에 세로이동부재(251)를 도킹브래킷(130)으로부터 이탈 방지하는 이탈방지턱(247)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도킹브래킷(130)이 도킹본체(120)에 대해 가로이동부(220)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세로이동부(250)는 도킹브래킷(130)을 도킹본체(120)에 대해 세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로이동부(220) 및 도킹본체(120)와 결합되어 있다. 세로이동 부(250)는 세로이동부재(251)를 포함한다. 세로이동부(250)는 세로전달부재(260)와 세로안내부재(270)를 포함한다.
세로이동부(250)는 일실시예와 달리 가로이동부(220) 및 도킹브래킷(130)과 결합될 수 있다.
세로이동부재(251)는 도킹본체(120)와 도킹브래킷(130) 사이에 마련되어 가로안내돌기(245)의 이탈방지턱(247)에 의해 도킹브래킷(130)과 결합 유지된다. 세로이동부재(251)는 긴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며 좌우측 단부에는 세로랙(261)이 결합된다. 세로이동부재(251)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세로이동부재(251)는 중앙에 복수의 가로안내슬롯(241)이 마련된다. 복수의 가로안내슬롯(241)은 가로방향으로 도킹브래킷(130)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세로전달부재(260)는 도킹브래킷(130)을 도킹본체(120)에 대해 이동시키는 힘을 도킹본체(120)에 전달한다. 세로전달부재(260)는 세로랙(261)과 세로피니언(263)을 포함한다.
세로랙(261)은 세로이동부재(251)에 결합되어 있으나, 실시예와 달리 도킹본체(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세로피니언(263)은 세로이동부재(251)에 마련된다.
세로피니언(263)은 세로이동부재(251)에 세로피니언축(26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세로안내부재(270)는 도킹브래킷(130)을 세로방향으로 안내하여 도킹본체(120)를 이동시킨다. 세로안내부재(270)는 세로이동부재(251)와 결합된 세로안내 돌기(273)와, 도킹본체(120)의 판면에 결합되어 세로안내돌기(273)를 수용하여 세로안내돌기(273)를 슬라이딩 안내하는 세로안내슬롯(271)을 포함한다.
여기서, 일실시예와 달리 세로안내돌기(273)가 도킹본체(120)에 결합되고, 세로안내슬롯(271)은 세로이동부재(251)에 마련될 수 있다.
세로안내슬롯(271)에는 세로안내슬롯(271)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세로안내슬롯(271)의 상하 단부에 결합된 세로이동제한부재(283)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도킹브래킷(130)을 세로방향으로 가압하면 가압하는 힘을 도킹본체(120)에 전달할 수 있고 도킹브래킷(130)은 세로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가로전달부재(230) 및 세로전달부재(260)는 도킹브래킷(130)을 도킹본체(120)에 대해 이동시키는 힘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도킹브래킷(130)을 도킹본체(120)에 대해 안내하는 기능도 부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가로전달부재(230) 및 세로전달부재(260)는 실시예의 랙과 피니언이 맞물리는 구조만이 아니라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에, 도킹브래킷(130)이 도킹본체(120)에 대해 세로이동부(250)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간편하게 상대 이동할 수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동제한부(280)는 도킹브래킷(130)을 도킹본체(120)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킹브래킷(130)의 상대 이동을 제한한다. 이동제한부(280)는 가로이동제한부재(281)와 세로이동제한부재(283)를 포함한다.
가로이동제한부재(281)는 세로이동부재(251)의 가로안내슬롯(241)의 양 단부 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도킹브래킷(130)이 가로방향으로 가로안내슬롯(241)의 길이만큼 이동할 수 있다. 가로이동제한부재(281)는 도킹브래킷(130)을 가로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다양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세로이동제한부재(283)는 도킹브래킷(130)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킹브래킷(130)이 세로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세로안내부재(270)에 형성되어 있다. 세로이동제한부재(283)는 세로안내슬롯(271)의 양 단부를 막도록 형성되어 있다. 세로이동제한부재(283)는 일실시예와 달리 세로전달부재(260)의 세로랙(261)의 단부에 세로피니언(263)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킹브래킷(130)이 도킹본체(120)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킹브래킷(130)을 소정 위치에서 유지시킬 수 있는 위치유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방커버(121)와 도킹브래킷(130) 사이에 소정의 자기력을 일으키도록 도킹브래킷(130)의 소정 부분에 마그네트를 장착하 등의 다양한 공지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컴퓨터(100)의 작동과정을 도 5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및 도 5b는 전방커버(121)의 후면에 위치이동유닛(210)이 결합된 상태를 전방커버(121)의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먼저, 컴퓨터본체(101)를 도킹시스템(110)에 장착하기 전에 개략적으로 본체커넥터(105)와 도킹커넥터(145)의 위치를 파악한다.
그런 후, 사용자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도킹브래킷(130)을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킹브래킷(130)을 'X'축선을 따른 가로방향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가압하면 세로이동부재(251)는 도킹본체(120)에 대해 고정되어 있고,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도킹브래킷(130)에 결합된 가로피니언(233)이 회전하고 가로안내슬롯(241)에 의해 가로안내돌기(245)가 가로방향으로 안내되어 도 5b와 같이 도킹브래킷(130)은 이동된다. 이 때, 도킹브래킷(130)이 가로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가로이동제한부재(281)에 의해 제한된다. 즉, 도킹브래킷(130)은 가로안내슬롯(241)의 길이만큼 가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도킹브래킷(130)을 'Y' 축선을 따른 세로방향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가압하면 세로이동부재(251)가 도킹본체(120)에 대해 이동한다. 즉, 사용자가 도킹브래킷(130)을 도킹본체(120)에 대해 세로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 세로이동부재(251)의 단부에 결합된 세로피니언(263)이 세로랙(261)과 맞물려 도킹브래킷(130)은 이동된다. 이 때, 세로안내돌기(273)는 세로안내슬롯(271)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이에, 도킹브래킷(130)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이동된다. 도킹브래킷(130)의 세로방향 이동은 세로안내슬롯(271)에 결합된 세로이동제한부재(283)에 의해 제한된다.
이에, 사용자는 본체커넥터(105)와 도킹커넥터(145)를 결합하여 컴퓨터본체(101)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 또는 정보는 도킹시스 템(110)의 도킹구동부(127), 연성기판(129), 보조기판(149), 도킹커넥터(145)를 거쳐 컴퓨터본체(101)로 전달된다. 그리고, EMI 결합부재(147)에 의해 컴퓨터본체(101)와 도킹시스템(110) 사이의 EMI 발생이 방지되고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도킹브래킷(130)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을 구별하여 설명하였으나 도킹브래킷(130)은 가로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세로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컴퓨터본체 또는 다양한 위치의 본체커넥터에 간편하게 대응하여 컴퓨터본체와 도킹시스템을 결합 또는 결합해제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본체의 본체커넥터의 위치에 대한 설계상 제한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도킹시스템의 표준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컴퓨터(100)는,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포함된 컴퓨터본체(101)와, 도킹본체(120)와 도킹브래킷(130)과 위치이동유닛(210)은 포함하는 도킹시스템(410)을 포함한다. 도킹시스템(410)은, 가로안내바(440)와 가로안내홀더(430)를 갖는 가로이동부(420)와, 세로안내바(470)와 세로안내홀더(480)를 갖는 세로이동부(450)를 포함한다.
가로안내바(440)는 세로안내바(470)에 세로안내홀더(480)에 의해 결합되어 도킹브래킷(130)을 안내하여 도킹브래킷(130)을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가로안내바(440)는 길고 둥근 형상을 갖는다. 가로안내바(440)는 둥근 형상만이 아니라 육각형 등의 다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로안내바(440)는 양 단부에 세로안내 홀더(480)가 형성되어 있다. 가로안내바(440)는 도킹브래킷(130)의 상측 및 하측에 가로방향으로 나란하게 결합된다.
가로안내홀더(430)는 가로안내바(440)에 물린다. 가로안내홀더(430)는 중앙에 가로안내바(440)의 단면 형상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가로안내홀더(430)는 'c' 형상으로 마련되어 절취된 영역을 가진다. 이에, 가로안내홀더(430)는 탄성력을 가져 결합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동일한 가로안내바(440)에 결합되는 가로안내홀더(430) 사이의 거리는 도킹브래킷(130)의 가로방향의 이동거리와 일치시킬 수 있다.
즉, 도킹브래킷(130)의 가로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것은 가로안내홀더(430)와 접촉되는 세로안내홀더(480)이다.
가로안내바(440)는 일실시예와 달리 도킹브래킷(130)에 마련될 수 있다.
세로안내바(470)는 도킹본체(120)에 결합되어 도킹브래킷(130)의 세로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세로안내바(470)는 길고 둥근 형상을 갖는다. 세로안내바(470)는 둥근 형상만이 아니라 육각형 등의 다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세로안내바(470)는 도킹본체(120)에 좌우로 나란하게 결합된다.
세로안내홀더(480)는 세로안내바(470)에 물린다. 세로안내홀더(480)는 중앙에 세로안내바(470)의 단면 형상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세로안내홀더(480)는 절취된 영역을 가져 세로안내홀더(480)가 탄성력을 가질 수 있어 결합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세로안내홀더(480)는 한 쌍의 가로안내바(440)의 양 단부에 형성된다.
세로안내바(470)는 일실시예와 달리 도킹본체(120)에 마련될 수 있다.
설명되지 않은 도면번호 483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세로이동제한부재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컴퓨터(미도시)의 작동과정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컴퓨터본체(101)를 도킹시스템(410)에 장착하기 전에 개략적으로 본체커넥터(105)와 도킹커넥터(145)의 위치를 파악한다.
그런 후, 사용자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브래킷(130)을 가로방향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도킹브래킷(130)을 'X'축선을 따른 가로방향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가압하면 가로안내바(440)는 도킹본체(120)에 대해 고정되어 있고,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도킹브래킷(130)에 결합된 가로안내홀더(430)가 가로안내바(440)를 따라 이동한다. 이에, 도킹커넥터(145)가 가로방향으로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가로안내홀더(430)가 가로안내바(440)의 좌우 단부에 형성된 세로안내홀더(480)와 접촉되면 도킹커넥터(145)의 가로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브래킷(130)을 'Y' 축선을 따른 세로방향의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가압하면 가로안내바(440)가 도킹본체(120)에 대해 이동한다. 즉, 사용자가 도킹브래킷(130)을 도킹본체(120)에 대해 세로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 세로안내홀더(480)가 세로안내바(470)에 안내되어 세로방향으로 도킹브래킷(130)을 이동시킨다. 이에, 도킹브래킷(130)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도킹브래킷(130)의 세로방향 이동은 세로안내바(470)에 결합된 세로이동제한부재(483)에 의해 제한된다.
이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시예보다 보다 간단한 구조로 제1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컴퓨터본체에 비교적 간편하게 대응할 수 있는 도킹시스템을 갖질 수 있다.
또한, 컴퓨터본체의 본체커넥터의 위치에 대한 설계상 제한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킹시스템의 표준화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Claims (18)

  1. 컴퓨터본체를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 도킹시스템에 있어서,
    도킹개구를 갖는 도킹본체와;
    상기 도킹개구에 수용되며 상기 컴퓨터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마련된 도킹부를 갖는 도킹브래킷과;
    상기 도킹브래킷을 상기 도킹본체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기 도킹본체 및 상기 도킹브래킷을 결합하는 위치이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이동유닛은 상기 도킹브래킷을 상기 도킹본체 판면에 대한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도킹본체 및 상기 도킹브래킷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가로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유닛은,
    상기 도킹브래킷을 상기 도킹본체의 판면에 대한 상기 가로방향과 다른 세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로이동부와 결합된 세로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방향과 상기 세로방향은 상호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이동부는,
    상기 도킹본체에 대해 상기 가로이동부를 이동시키는 힘을 상기 세로이동부로 전달하는 가로전달부재와, 상기 도킹본체에 대해 상기 가로이동부를 안내 가능하게 마련된 가로안내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전달부재는,
    상기 도킹브래킷 및 상기 세로이동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가로랙과;
    상기 도킹브래킷 및 상기 세로이동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가로랙과 맞물리는 가로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안내부재는,
    상기 도킹브래킷 및 상기 세로이동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가로안내슬릿과;
    상기 도킹브래킷 및 상기 세로이동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가로안내슬릿과 맞물리는 가로안내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이동부는,
    상기 도킹본체와 상기 도킹브래킷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로이동부와 결합된 세로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이동부는,
    상기 도킹브래킷을 상기 도킹본체에 대해 이동시키는 힘을 상기 도킹본체에 전달하는 세로전달부재와 상기 가로이동부에 대해 상기 도킹브래킷을 이동 안내하는 세로안내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전달부재는,
    상기 도킹본체 및 상기 세로이동부재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세로랙과;
    상기 도킹본체 및 상기 세로이동부재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세로랙과 맞물리는 세로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안내부재는,
    상기 도킹본체와 상기 세로이동부재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세로안내슬릿과;
    상기 도킹본체와 상기 세로이동부재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세로안내슬릿과 맞물리는 세로안내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유닛은,
    상기 도킹브래킷을 상기 도킹본체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킹브래킷의 상대 이동을 제한 가능하게 마련된 이동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시스템.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이동부는,
    상기 도킹브래킷 및 상기 세로이동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가로안내바와;
    상기 도킹브래킷 및 상기 세로이동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가로안 내바와 맞물리는 가로안내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시스템.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이동부는,
    상기 도킹본체 및 상기 가로이동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세로안내바와;
    상기 도킹본체 및 상기 가로이동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세로안내바와 결합되는 세로안내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킹시스템.
  15.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컴퓨터 본체와;
    상기 컴퓨터본체와 결합 및 결합 해제 가능하게 마련된 도킹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도킹시스템은, 도킹개구를 갖는 도킹본체와; 상기 도킹개구에 수용되며 상기 컴퓨터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마련된 도킹부를 갖는 도킹브래킷과; 상기 도킹브래킷을 상기 도킹본체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기 도킹본체 및 상기 도킹브래킷을 결합하는 위치이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이동유닛은 상기 도킹브래킷을 상기 도킹본체 판면에 대한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도킹본체 및 상기 도킹브래킷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가로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컴퓨터.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유닛은,
    상기 도킹브래킷을 상기 도킹본체에 대해 상기 가로방향과 다른 세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로이동부와 결합된 세로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컴퓨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방향과 상기 세로방향은 상호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컴퓨터.
KR1020070011207A 2007-02-02 2007-02-02 도킹시스템과 이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KR101354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207A KR101354528B1 (ko) 2007-02-02 2007-02-02 도킹시스템과 이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US11/843,110 US7782608B2 (en) 2007-02-02 2007-08-22 Docking system and portable computer having the same
CN2007103081513A CN101236449B (zh) 2007-02-02 2007-12-29 扩展坞系统和具有该扩展坞系统的便携式计算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207A KR101354528B1 (ko) 2007-02-02 2007-02-02 도킹시스템과 이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433A KR20080072433A (ko) 2008-08-06
KR101354528B1 true KR101354528B1 (ko) 2014-01-21

Family

ID=39677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207A KR101354528B1 (ko) 2007-02-02 2007-02-02 도킹시스템과 이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82608B2 (ko)
KR (1) KR101354528B1 (ko)
CN (1) CN1012364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85323B (zh) * 2008-09-22 2011-06-2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计算机扩展坞及其切换工作方法
TW201118528A (en) * 2009-11-18 2011-06-01 Inventec Corp Docking station
CN101794164B (zh) * 2010-03-22 2013-02-27 山东超越数控电子有限公司 万能扩展板卡压件
US8531829B2 (en) * 2011-01-03 2013-09-10 Ems Technologies, Inc. Quick mount system for computer terminal
US9870027B2 (en) * 2013-05-31 2018-01-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ass storage device operation
CN104470313B (zh) * 2013-09-13 2017-06-09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组装模块及电子装置
TWI507854B (zh) * 2014-01-15 2015-11-11 Wistron Corp 具可調整角度承載座之保護殼
TWI507115B (zh) * 2014-05-30 2015-11-01 Universal Scient Ind Shanghai 支撐結構及應用其之擴充底座
US10826235B2 (en) * 2018-04-09 2020-11-03 Flir Commercial Systems, Inc. Latch mechanism for mobile systems and related methods
TWI674498B (zh) * 2018-05-24 2019-10-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設備及卡合機構
DE202020103384U1 (de) * 2020-06-12 2020-07-07 Siemens Healthcare Gmbh Dockingstation zur Aufnahme einer Tabletcomputereinheit
CN118012226A (zh) * 2022-11-09 2024-05-10 神基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扩充座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9200B2 (ja) * 1990-02-12 1999-06-23 株式会社東芝 小型電子機器の増設装置
KR20040067402A (ko) * 2003-01-23 2004-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US6833988B2 (en) * 2002-08-05 2004-12-21 Dell Products L.P. Open access monitor stand with multiple APR mounting lo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32803B1 (en) * 1989-12-15 1998-10-07 Kabushiki Kaisha Toshiba Function expanding apparatus for compact electronic device
US5290178A (en) * 1992-03-10 1994-03-01 Ma Hsi K Docking station apparatus for portable computer
US5313596A (en) * 1993-01-05 1994-05-17 Dell Usa Lp Motorized portable computer/expansion chassis docking system
US5737541A (en) * 1994-03-30 1998-04-07 Sanyo Electric Co., Ltd. Box for functional expansion of a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JP2576837B2 (ja) * 1994-06-20 1997-01-2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携帯型コンピュータ用ドッキング装置
KR0163879B1 (ko) * 1995-06-14 1998-12-15 김광호 노트북 컴퓨터용 도킹 스테이션의 록킹장치
JP3383514B2 (ja) * 1996-05-13 2003-03-04 株式会社東芝 電子処理システム
US5933321A (en) * 1996-10-18 1999-08-03 Compaq Computer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docking station having modular motorized docking/undocking structure
JPH11116274A (ja) 1997-10-14 1999-04-27 Asahi Glass Co Ltd 封着用組成物
US6072695A (en) * 1997-10-30 2000-06-06 Hewlett-Packard Company Horizontal loading docking station with uninterrupted power supply
JP3033729B2 (ja) * 1998-02-16 2000-04-17 米沢日本電気株式会社 変形機能を有するノート型パソコン
JP3299236B2 (ja) 1999-11-29 2002-07-08 米沢日本電気株式会社 インターフェースコネクタ高さ調整機構と方法
US6366450B1 (en) * 1999-12-09 2002-04-02 Gateway, Inc. Hideaway integrated docking cradle
KR100707303B1 (ko) 2001-02-16 2007-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형 도킹 커넥터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US6683786B2 (en) * 2002-01-07 2004-01-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able computer docking station with movable electrical interface
US6952343B2 (en) * 2002-06-11 2005-10-04 Fujitsu Limited Functional expan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electronic apparatus to the functional expansion apparatus
US6768652B2 (en) * 2002-09-16 2004-07-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stage undocking assembly and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ame
KR100619166B1 (ko) 2003-07-01 2006-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포트 리플리케이터
TWI287425B (en) * 2005-08-16 2007-09-21 Quanta Comp Inc Auto-extending replicator
US7381079B2 (en) * 2005-09-27 2008-06-03 Inventec Corporation Locking link rod structure for a docking station
CN2842527Y (zh) * 2005-10-13 2006-11-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计算机扩展坞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9200B2 (ja) * 1990-02-12 1999-06-23 株式会社東芝 小型電子機器の増設装置
US6833988B2 (en) * 2002-08-05 2004-12-21 Dell Products L.P. Open access monitor stand with multiple APR mounting locations
KR20040067402A (ko) * 2003-01-23 2004-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36449A (zh) 2008-08-06
US20080189463A1 (en) 2008-08-07
KR20080072433A (ko) 2008-08-06
US7782608B2 (en) 2010-08-24
CN101236449B (zh)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528B1 (ko) 도킹시스템과 이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JP4659884B2 (ja) レール連結部材、ユニット支持機構、及び電子機器
KR100401683B1 (ko) 카드 접속용 어댑터 및 안테나가 부착된 집적회로 카드
US8317532B2 (en) Connector and connecting unit
JPH0963694A (ja) ロック機構を有するコネクタ
JP5039198B2 (ja) 電子機器
US8325487B2 (en) Insertional buffering structure of substrate unit
KR100832753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장치
JP7199205B2 (ja) 電気プラグコネクタ
US8215682B2 (en) Unlocking structure and connector holding structure
JP6125605B1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拡張装置
CN111526689B (zh) 电子装置
US8830682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8299532A (ja) 電子機器
US20050117855A1 (en) Latch type optical module
TW202033077A (zh) 滑軌機構及其支撐總成
JP5864115B2 (ja) プリンタ
KR100875616B1 (ko) 컴퓨터
JP3284345B2 (ja) コネクタ挿抜装置
WO2022113406A1 (ja) ストレージユニット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5434645B2 (ja) Usbデバイス、usbデバイスの接続構造、及び電子機器システム
CN211741986U (zh) 把手模组及具有该把手模组的服务器
JP2012133561A (ja) 電子機器
JP2017059663A (ja) 電子機器
JP2016197480A (ja) 電子機器及びハードディスク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