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056A -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16056A KR20150116056A KR1020140040291A KR20140040291A KR20150116056A KR 20150116056 A KR20150116056 A KR 20150116056A KR 1020140040291 A KR1020140040291 A KR 1020140040291A KR 20140040291 A KR20140040291 A KR 20140040291A KR 20150116056 A KR20150116056 A KR 201501160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
- knob
- housing
- seesaw
- mov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06—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adapted for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boar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부; 상기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부를 가동시키는 스위치 가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가동부의 시소 운동에 의하여 가동되는 시소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부의 푸시 운동에 의하여 가동되는 푸시 스위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다 원활한 가동을 가능하게 하는 간단한 구조의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도우 스위치, 조향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조향 라이트 스위치 및 오디오를 구동시키는 오디오 스위치,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등이 차량에 배치되는데, 차량의 실내 조명 내지 전조등의 조명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가변 스위치도 배치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가변 스위치의 경우 다이얼 식 내지 스크롤 식으로 구현되어 다이얼의 조절감, 즉 회전 정도에 따른 가변 상태가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조절이 용이하지 않고 이로 인하여 차량 주행 운전자의 경우 주행 주의력을 분산시켜 안전에 문제를 야기한다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또한, 복합적 동작을 이루는 스위치의 일체화 과정에서 상당수의 부품이 추가되어 조립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도 수반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운전자의 주행 주의력 분산을 방지할 수 있는 간단한 조작 구조를 구비하고, 택일적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졸비성을 개선한 구조의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부; 상기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부를 가동시키는 스위치 가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가동부의 시소 운동에 의하여 가동되는 시소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부의 푸시 운동에 의하여 가동되는 푸시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가동부는 상기 시소 스위치를 가동시키는 시소 스위치 가동부와, 상기 푸시 스위치를 가동시키는 푸시 스위치 가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가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위치 노브에 일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는 장방형의 스위치 노브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우징 힌지에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하우징 힌지는 하우징 힌지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힌지 장착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 장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가동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힌지의 중앙에는 하우징 힌지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푸시 스위치 가동부는 상기 하우징 힌지 관통구를 관통하여 가동 가능하게 상기 스위치 노브의 저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힌지와 상기 스위치 노브에는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동 동작 및 푸시 동작 중 택일적 동작을 허용하는 노브 리스트레이너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노브 리스트레이너는: 상기 스위치 노브의 저면에 상기 하우징 힌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노브 리스트레이너 가이드 돌기와, 상기 스위치 노브의 푸시 동작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 힌지의 상단으로 상기 리스트레이너 가이드 돌기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힌지 리스트레이너 수용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힌지에는 상기 스위치 노브의 시소 동작시 소정의 클릭감을 제공하는 시소 디텐트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시소 디텐트는 상기 하우징 힌지의 외주면으로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동 한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택트 스위치일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러버 패드 스위치일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는, 시소 운동과 푸시 운동을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구현시킴으로써, 조립자의 공정 효율을 증대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는, 간결한 일체화된 구조의 노브 리스트레이너를 통하여 시소 운동과 푸시 운동의 택일적 동작을 가능하게 하여 오동작 가능성을 방지 내지 최소화시켜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의 각종 작동 유니트의 조작을 요하는 경우 보다 용이한 조작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주행 주의력 분산을 방지하여 안전 운행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조립도이다.
도 10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조립도이다.
도 10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0)는 차량에 장착되는 다양한 출력 장치, 예를 들어 차량의 다양한 윈도우, 미러, 음향 장치, 조명, 스티어링 휠 스위치 등 차량의 전장 장치에서 소정의 복합적 동작인 시소 동작과 푸시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0)는 하우징(100)과 인쇄회로기판(200)과 스위치부(300)를 포함하는데, 인쇄회로기판(200)과 스위치부(30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나 인쇄회로기판과 하우징의 위치 관계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된다.
하우징(100)은 하우징 커버(미도시)와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베이스(120)를 포함하는데, 하우징 바디(110)는 하우징 커버(미도시)와 하우징 베이스(12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하우징 바디와 하우징 베이스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별개물로 형성된다.
하우징 커버(미도시)에는 다른 구성요소 들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되 하기되는 스위치 노브(130)의 상단의 외부 노출을 허용하는 하우징 커버 관통구(미도시) 등이 배치된다.
하우징 베이스(120)가 하우징 바디(110)와 맞물려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안정적으로 배치되는데, 여기서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 바디(110)를 지지하기 위한 장착 리브와 같은 체결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고,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 수단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등 하우징 바디(110)를 하우징 베이스와 하우징 커버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하우징 바디(110)에는 하기되는 스위치 노브(130)가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하우징 바디(110)의 스위치 노브(130)가 장착되는 위치 인근에는 바디 플런저 관통구(119)가 형성되고, 바디 플런저 관통구(119)에는 하기되는 스위치 가동부(400)의 가동부 플런저(430)가 가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된다. 가동부 플런저(430)는 가동부 플런저 바디(431)와 가동부 플런저 베이스(433)를 포함하는데, 가동부 플런저 바디(431)의 상단은 시소 스위치 가동부(410) 및 푸시 스위치 가동부(420)와 접촉하고, 가동부 플런저 베이스(433)는 시소 스위치(310) 및/또는 푸시 스위치(320)와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기되는 시소 스위치 및 푸시 스위치에 대하여 동일한 가동부 플런저가 사용되었는데, 설계 사양에 따라 스위치 별로 상이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스위치 노브(130)는 일단이 하우징 커버(미도시)에 노출되어 배치되되, 스위치 노브(130)는 하우징 바디(110)에 가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하우징 바디(110)의 일면 상에는 하우징 힌지(111)가 배치된다. 하우징 힌지(111)의 측면에는 하우징 힌지 장착부(113)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 힌지 장착부(113)는 돌출 형상의 돌기로 형성되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 힌지 장착부(113)는 스위치 노브(130)의 회동축을 맞추어 양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 힌지(111)의 중앙에는 스위치 노브(130)의 회동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우징 힌지 관통구(115)가 형성되는데, 하우징 힌지 관통구(115)를 통하여 하우징 바디(110)의 상하부가 소통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하우징 힌지 관통구(115)는 하기되는 스위치 가동부(400)의 푸시 스위치 가동부(420)가 가동 가능하게 관통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스위치 노브(130)의 측면에는 스위치 노브 장착부(131)가 구비되는데, 스위치 노브 장착부(131)는 하우징 힌지 장착부(113)와 상대 가동 가능하게 맞물림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스위치 노브 장착부(131)는 장방형 구조를 취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 노브 장착부(131)는 장방형 관통구로 형성된다. 스위치 노브 장착부(131)는 장방형 관통구로 형성되고 이에 돌출 형상의 하우징 힌지 장착부(113)가 상대 가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위치 노브 장착부(113)의 장방형 길이 방향은 스위치 노브(130)가 푸시 스위칭 동작을 위하여 가동되는 방향과 일치한다.
인쇄회로기판(200)은 하우징 베이스(120)와 하우징 커버(미도시)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으로 하우징 바디(110)의 하부에 배치되는데, 인쇄회로기판(200)은 커넥터(미도시)를 통하여 제어부(미도시)와 같은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이룰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는 회로 배선(미도시)과 전기 소자들이 배치되는데,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에는 하기되는 스위치부(300)가 배치된다.
스위치부(300)는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데, 스위치부(300)는 하기되는 스위치 가동부(400)를 통하여 가동된다. 본 발명의 스위치부(300)는 시소 스위칭 동작과 푸시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가동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스위치부(300)는 시소 스위치(310)와 푸시 스위치(320)를 포함하는데, 시소 스위치(310)와 푸시 스위치(320)는 본 실시예에서 러버 패드 스위치로 구현되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로서 시소 스위치(310)와 푸시 스위치(320)는 택트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가압되어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변화시키는 스위치를 변형하는 구성을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도면에는 러버 패드 스위치로 구현되는 스위치부(300)의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시소 스위치(310)는 스위치 가동 접점(313)과 스위치 고정 접점(315)과 스위치 탄성부(311)를 포함한다. 스위치 탄성부(311)는 러버 패드 베이스(301)에 형성되는데, 러버 패드 베이스(301)는 하기되는 스위치 가동부(400)와 인쇄회로기판(200) 사이에 배치된다. 러버 패드 베이스(301)에 스위치 탄성부(311)가 배치되는데, 스위치 탄성부(311)는 탄성 가동부(311a)와 탄성 연결부(311b)와 탄성 지지부(311c)를 포함한다. 탄성 가동부(311a)의 하면에는 스위치 가동 접점(313)이 배치되고 스위치 가동 접점(313)의 대응되는 위치로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는 스위치 고정 접점(315)이 배치되는데, 사용자에 의하여 하기되는 스위치 가동부가 가동되는 경우 스위치 가동부(400)의 시소 스위치 가동부(410) 및/또는 푸시 스위치 가동부(420)가 가동됨으로써 하우징 바디(110)의 바디 플런저 관통구(119)를 관통 하여 배치되는 가동부 플런저(430)에 의하여 시소 스위치(310)가 가동된다. 이때 스위치 가동부(400)를 통하여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탄성 지지부(311c) 및 탄성 연결부(311b)를 통하여 지지되는 탄성 가동부(311a)가 가동된다. 즉, 탄성 연결부(311b)는 탄성 변형을 이룸으로써 스위치 고정 접점과 스위치 가동 접점 간의 접촉이 형성되고 소정의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데, 탄성 가동부(311a)에 전달되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 연결부(311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탄성 가동부(311a)는 원위치 복귀되어 스위치 고정 접점과 스위치 가동 접점의 접촉이 해제되고 원위치 복귀된다.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러버 패드 스위치로 구현되는 시소 스위치(310-1)에 대하여 기술되었으나 이와 같은 구조가 푸시 스위치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
푸시 스위치(320)는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데, 푸시 스위치(320)는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배치되고, 하기되는 스위치 가동부(400)의 가동 푸시 노브부(420)의 수직 푸시 운동을 통하여 가동부 플런저(430)를 통하여 접촉 가동되어 소정의 전기적 신호 변화를 출력한다.
즉, 시소 스위치(310)는 하기되는 스위치 가동부(400)의 시소 스위치 가동부(410)의 시소 운동 및 가동부 플런저(430)의 수직 변위에 의하여 가동되어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출력하고, 푸시 스위치(320)는 스위치 가동부(400)의 푸시 스위치 가동부(420) 및 가동부 플런저(430)의 수직 변위에 의하여 가동되어 소정의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의 시소 스위치(310)는 하기되는 스위치 가동부(400)의 업 다운 동작을 통한 스위칭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스위치 가동부(4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배치되는데, 시소 스위치(310)는 서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여 스위치(300)를 통한 안정적인 탄성 복원력 확보 및 이를 통한 정위치 확보를 위하여 스위치 노브(130)의 회동축에 수직한 동일 선분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부(300)의 시소 스위치(310)와 푸시 스위치(320)는 스위치 가동부(400)에 의하여 가동되는데, 스위치 가동부(400)는 시소 스위치(310)를 가동시키는 시소 스위치 가동부(410)와 푸시 스위치(320)를 가동시키는 푸시 스위치 가동부(420)를 포함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시소 스위치 가동부(410)와 푸시 스위치 가동부(420)와, 시소 스위치(310) 및 푸시 스위치(320) 사이에 배치되고 하우징 바디(110)의 바디 플런저 관통구(119)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가동부 플런저(430)를 더 구비한다.
스위치 가동부(400)의 적어도 일부, 즉 시소 스위치 가동부(410) 및 푸시 스위치 가동부(420)는 스위치 노브(130)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시소 스위치 가동부(410)는 스위치 노브(310)의 측면에, 푸시 스위치 가동부(420)는 스위치 노브(310)의 하단, 즉 저면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소 스위치 가동부(410)는 스위치 노브(310)의 측면으로 스위치 노브(130)의 측면에 배치되는데, 시소 스위치 가동부(410)는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 노브(130)의 스위치 노브 장착부(131)와 하우징 힌지 장착부(113)의 맞물림 회동축에 수직한 방향의 측면에 형성된다. 시소 스위치 가동부(410)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이는 하기되는 스위치부(300)의 시소 스위치(310)와 접촉하여 가동부 플런저(430)가 수직 변위되고, 가동부 플런저(430)의 하단이 시소 스위치(310)와 접촉 가압하여 시소 스위치(310)를 가동시켜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발생시킨다.
푸시 스위치 가동부(420)는 스위치 노브(130)의 저면에 하우징 베이스(120) 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푸시 스위치 가동부(420)는 스위치 노브(130)가 스위치 노브(130)의 회동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하부에 배치되는 스위치부(300)의 푸시 스위치(320)를 가동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치 노브(130)는 회동 운동을 통한 시소 동작 및 푸시 동작을 통하여 신호 변화를 생성하는 3웨이 스위치로 작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0)는 스위치 노브(130)의 시소 동작과 푸시 동작을 구별하여 동시 동작을 제한하는 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0)는 노브 리스트레이너(500)를 더 구비하는데, 노브 리스트레이너(500)는 하우징 힌지(111)와 스위치 노브(130)에 형성되어 스위치 노브(130)의 회동 동작 및 푸시 동작 중 택일적 동작을 허용한다.
노브 리스트레이너(500)는 스위치 노브(130)가 푸시 동작 중 회동하여 시소 동작을 통한 시소 스위치(310)와 푸시 스위치(320)의 신호가 동시에 가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노브 리스트레이너(500)는 노브 리스트레이너 가이드 돌기(510)와 노브 리스트레이너 수용부(520, 도 4 참조)를 포함하는데, 노브 리스트레이너 가이드 돌기(510)는 스위치 노브(130)의 저면에 배치되되, 하우징 힌지(111)를 마주하여 향하도록 돌출 형성되고, 노브 리스트레이너 수용부(520)는 하우징 힌지(111)의 상단으로 리스트레이너 가이드 돌기(510)를 수용하도록 스위치 노브(130)의 푸시 동작 방향을 길이 방향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 리스트레이너 가이드 돌기(510)는 스위치 노브(130)의 저면에 형성되고 노브 리스트레이너 수용부(520)는 하우징 힌지(111)의 상단에 형성되는데, 노브 리스트레이너 가이드 돌기(510)는 노브 리스트레이너 수용부(520)에 수용 가능한 길이를 구비하며, 노브 리스트레이너 가이드 돌기(510) 및 노브 리스트레이너 수용부(520)는 양자 모두 스위치 노브(130)의 푸시 동작이 이루어지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형성됨으로써, 스위치 노브(130)가 수직 푸시 동작을 이루는 경우 스위치 노브(130)의 안정적인 수직 가동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스위치 노브(130)의 회동 동작과 푸시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방징하고, 택일적 동작만을 허용하여 동시 동작으로 인한 오동작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0)는 스위치 노브(130)의 회동 시소 운동시 소정의 클릭감을 제공하기 위7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0)는 시소 디텐트(600, 도 20 참조)를 더 구비하는데, 시소 디텐트(600)는 하우징 힌지(111)에 형성되어 스위치 노브(130)의 시소 회동 동작시 스위치 노브(130)에 소정의 디텐트감을 제공하는데, 스위치 노브(130)의 하단에 배치되는 노브 리스트레이너 가이드 돌기(510)를 시소 디텐트(600)와 접촉하는 구성 요소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시소 디텐트(600)는 하우징 힌지(111)의 외주면으로 스위치 노브(130)의 회동 한계, 달리 표현하면, 스위치 노브(130)가 일방향으로 회동함에 있어 소정의 시소 스위치(310)를 가동시키되 다른 구성요소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회동 한계 위치에 형성되는데, 스위치 노브(130)의 저면에 형성되는 노브 리스트레이너 가이드 돌기(510)와 접촉을 형성되어 소정의 디텐트 감을 제공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디텐트감을 통하여 사용자는 스위치 노브(130)의 과도한 시소 회동 동작을 실행하지 않고 안정적인 시소 회동 동작 범위에서 가동 가능하여 구성요소의 파손없이 안정적인 동작 구현을 이룰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의 제조 과정 및 작동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는데,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저면 사시도로 도시되었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바디(110)에 스위치 노브(130)를 장착한다. 하우징 바디(110)에 구비되는 하우징 힌지(111)에 스위치 노브(130)의 스위치 노브 장착부(131)가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그런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바디(110)에 배치되는 하우징 관통구(119)에 가동부 플런저(430)가 배치되는데, 가동부 플런저(430)의 플런저 바디(431)가 하우징 관통구(119)에 가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플런저 베이스(433)는 하단에 배치된다(도 6 참조). 그런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00)과 조립되는 러버 패드 베이스(301)를 하우징 바디(110)의 하단에 배치하고, 가동부 플런저(430)와의 위치 조정을 이룬다(도 7 및 도 8 참조). 그런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베이스(120)를 하우징 바디(110)와 체결하여 소정의 결합 상태를 형성한다.
도 10 내지 도 1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0)의 작동 과정이 도시되는데,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0)의 부분 측면도, 시소 스위치의 배치선(선 A-A, 도 3 참조)을 중심으로 하는 측단면도 및 푸시 스위치의 배치선(선 B-B, 도 3 참조)을 중심으로 하는 측단면도로서, 도 10 내지 도 12는 정상 상태, 도 13 내지 도 15는 시소 동작 상태 및 도 16 내지 도 18는 푸시 동작 상태에 대한 도면이 도시된다.
먼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10)의 스위치 노브(130)는 정상 상태를 형성하는데, 장방형 관통구로 형성된 스위치 노브 장착부(131)의 상단 측에 하우징 힌지 장착부(113)가 장착되고, 스위치 노브(130)에 장착되는 스위치 가동부(400), 즉 시소 스위치 가동부(410) 및 푸시 스위치 가동부(420)는 가동부 플런저(430)를 통하여 스위치(300)에 의한 탄성 지지력을 받아 스위치 노브(130)는 평형 정상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 후,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스위치 노브(130)가 회동 시소 운동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스위치 노브(130)는 스위치 노브 장착부(131)와 하우징 힌지 장착부(113)의 연결 상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데, 스위치 노브(130)의 하부 저면에 형성된 노브 리스트레이너 가이드 돌기(510)가 하우징 힌지(111)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접촉하여 안정적인 시소 회동 운동을 안내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일방향으로 회동하여 일측에 배치되는 시소 스위치(310)가 가압되는 경우 소정의 전기적 신호의 변화가 발생하고,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시소 스위치(3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가동 플런저(430) 및 시소 스위치 가동부(410)를 거쳐 복원력이 전달되어 스위치 노브(130)는 원위치 복귀된다.
또한,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스위치 노브(130)에 수직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 스위치 노브(130)에 형성된 푸시 스위치 가동부(420)는 하부에 배치되는 푸시 스위치(320)를 가동시킨다. 이때, 푸시 스위치(320)는 접점의 단속 변화가 생기는데, 이와 동시에 시소 스위치(310)의 일부 구성도 위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러버 패드 타입으로 형성되는 시소 스위치(310)의 상단이 스위치 노브(130)의 수직 위치 변동에 의하여 위치 변동하는 시소 스위치 가동부(410) 및 가동 플런저(430)를 통해 수직 위치 변동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위치 변동할 수 있으나, 설계 상 시소 스위치(310)와 푸시 스위치(320) 간의 수직 위치 변동 차이를 두어 스위치 노브(130)의 푸시 동작에 대하여 시소 스위치(310)는 상단만이 일정 간격으로 변동할 뿐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수반하는 접속 단자의 단속 변화가 발생하지 않고, 푸시 스위치(320)만이 접속 단자의 단속 변화를 통한 수직 위치 변동의 가동 차이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 노브(130)에 대한 푸시 동작이 이루어지더라도, 푸시 스위치(320)는 전기적 신호의 변화가 발생하는 구조를 이루나, 시소 스위치(310)는 푸시 스위치(320)의 단속 스트로크보다 큰 값을 구비하여, 러버 패드 타입의 스위치 내부에서 스위치 가동 접점(313)과 스위치 고정 접점(315) 간의 접속 단속 상태가 변화하지 않고 오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시소 스위치(310)는 전기적 신호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안정적인 시소 운동 및 푸시 운동을 이루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10...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100...하우징
200...인쇄회로기판 300...스위치부
310...시소 스위치 320...푸시 스위치
400...스위치 가동부 410...시소 스위치 가동부
420...푸시 스위치 가동부 430...가동부 플런저
200...인쇄회로기판 300...스위치부
310...시소 스위치 320...푸시 스위치
400...스위치 가동부 410...시소 스위치 가동부
420...푸시 스위치 가동부 430...가동부 플런저
Claims (9)
-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부;
상기 하우징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부를 가동시키는 스위치 가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가동부의 시소 운동에 의하여 가동되는 시소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부의 푸시 운동에 의하여 가동되는 푸시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가동부는 상기 시소 스위치를 가동시키는 시소 스위치 가동부와, 상기 푸시 스위치를 가동시키는 푸시 스위치 가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가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위치 노브에 일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는 장방형의 스위치 노브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우징 힌지에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하우징 힌지는 하우징 힌지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힌지 장착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 장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가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힌지의 중앙에는 하우징 힌지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푸시 스위치 가동부는 상기 하우징 힌지 관통구를 관통하여 가동 가능하게 상기 스위치 노브의 저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힌지와 상기 스위치 노브에는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동 동작 및 푸시 동작 중 택일적 동작을 허용하는 노브 리스트레이너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리스트레이너는:
상기 스위치 노브의 저면에 상기 하우징 힌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노브 리스트레이너 가이드 돌기와,
상기 스위치 노브의 푸시 동작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 힌지의 상단으로 상기 리스트레이너 가이드 돌기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힌지 리스트레이너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힌지에는 상기 스위치 노브의 시소 동작시 소정의 클릭감을 제공하는 시소 디텐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 디텐트는 상기 하우징 힌지의 외주면으로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동 한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택트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러버 패드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0291A KR101582738B1 (ko) | 2014-04-04 | 2014-04-04 |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0291A KR101582738B1 (ko) | 2014-04-04 | 2014-04-04 |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6056A true KR20150116056A (ko) | 2015-10-15 |
KR101582738B1 KR101582738B1 (ko) | 2016-01-06 |
Family
ID=54356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0291A KR101582738B1 (ko) | 2014-04-04 | 2014-04-04 |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2738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1558U (ko) * | 2015-10-26 | 2017-05-08 | 주식회사 서연전자 |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푸쉬 텀블러 스위치 어셈블리 |
US20220410707A1 (en) * | 2021-06-24 | 2022-12-29 | Hyundai Motor Company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type switch for vehicle |
KR20230054928A (ko) * | 2021-10-18 | 2023-04-25 | 한상현 | 3 방향으로 작동되는 텀블러 스위치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2753B1 (ko) * | 2006-11-28 | 2008-05-28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장치 |
JP2011181337A (ja) * | 2010-03-01 | 2011-09-15 | Tokai Rika Co Ltd | プッシュ操作付きシーソースイッチのノブ支持構造 |
KR200461776Y1 (ko) * | 2008-01-23 | 2012-08-07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시트 워머 스위치 장치 |
KR101203688B1 (ko) * | 2010-08-10 | 2012-11-22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
-
2014
- 2014-04-04 KR KR1020140040291A patent/KR10158273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2753B1 (ko) * | 2006-11-28 | 2008-05-28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장치 |
KR200461776Y1 (ko) * | 2008-01-23 | 2012-08-07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시트 워머 스위치 장치 |
JP2011181337A (ja) * | 2010-03-01 | 2011-09-15 | Tokai Rika Co Ltd | プッシュ操作付きシーソースイッチのノブ支持構造 |
KR101203688B1 (ko) * | 2010-08-10 | 2012-11-22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1558U (ko) * | 2015-10-26 | 2017-05-08 | 주식회사 서연전자 |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푸쉬 텀블러 스위치 어셈블리 |
KR200486961Y1 (ko) * | 2015-10-26 | 2018-07-18 | 주식회사 서연전자 |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푸쉬 텀블러 스위치 어셈블리 |
US20220410707A1 (en) * | 2021-06-24 | 2022-12-29 | Hyundai Motor Company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type switch for vehicle |
KR20230054928A (ko) * | 2021-10-18 | 2023-04-25 | 한상현 | 3 방향으로 작동되는 텀블러 스위치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82738B1 (ko) | 2016-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1084877A (ja) | 押圧・回転操作型電子部品 | |
KR101582738B1 (ko) |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 |
KR101373972B1 (ko) |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 |
KR200441295Y1 (ko) | 스위치 모듈 | |
KR20120014781A (ko) |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 |
JP3744643B2 (ja) | 多方向入力装置 | |
JP2004014457A (ja) | スイッチ装置 | |
KR101133856B1 (ko) | 차량용 스위치 장치 | |
KR101602496B1 (ko) |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 |
KR200460533Y1 (ko) | 슬라이더 스위치 유니트 | |
KR200468483Y1 (ko) |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 |
KR20190018277A (ko) | 차량용 패들 쉬프트 스위치 유닛 | |
JP4395035B2 (ja) | 揺動操作型電気部品 | |
KR200467290Y1 (ko) |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 |
KR100500086B1 (ko) | 스위치장치 | |
KR100776588B1 (ko) |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 | |
JP4299574B2 (ja) | シーソースイッチ | |
KR101555378B1 (ko) | 복합 스위치 유니트 | |
KR101414293B1 (ko) |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 |
KR20180042026A (ko) | 차량용 레버 스위치 | |
KR100776615B1 (ko) |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장치 | |
KR101126484B1 (ko) | 스위치 장치 | |
KR101171651B1 (ko) | 스위치 유니트 | |
KR101271313B1 (ko) | 레버 스위치 유니트 | |
KR100845257B1 (ko) | 시소 스위치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