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477B1 -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477B1
KR100812477B1 KR1020070023540A KR20070023540A KR100812477B1 KR 100812477 B1 KR100812477 B1 KR 100812477B1 KR 1020070023540 A KR1020070023540 A KR 1020070023540A KR 20070023540 A KR20070023540 A KR 20070023540A KR 100812477 B1 KR100812477 B1 KR 100812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lever
knob
modu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to KR1020070023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36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기판이 구비된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바디에 대해 회동되게 삽입되어 설치된 스위치 레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레버모듈은 상기 스위치 바디에 대해 회동되게 설치되고, 조작홀이 형성된 레버 케이스와, 상기 조작홀을 관통하여 설치된 조작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상기 스위치 바디에 전달하고, 상기 레버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노브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멀티펑션 스위치에 장착되는 스위치 레버모듈의 디자인 및 사양 변경시 레버 케이스의 변경만으로 적합한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어 스위치 레버모듈의 변경에 따른 개발 비용 및 개발 기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스위치 레버모듈, 레버 케이스, 조작홀, 조작손잡이, 노브조립체

Description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Multi-function switch for vehic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의 스위치 레버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스위치 레버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스위치바디 20: 스위치 레버모듈
21: 조작홀 25a: 상부커버
25b: 하부커버 31: 레버
32: 제 1노브조립체 32a: 조작손잡이
33: 제 1PCB 34: 제 2노브조립체
35: 제 3노브조립체 36: 제 2PCB
37: 스테이터 38: 푸쉬버턴
39: 제 3PCB
본 발명은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펑션 스위치에 장착되는 스위치 레버모듈의 디자인 및 사양 변경시 상기 레버 케이스의 변경만으로 적합한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어 상기 스위치 레버모듈의 변경에 따른 개발 비용 및 개발 기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는 스티어링 휠 아래쪽의 스티어링 컬럼과 결착되는 부품으로써, 캔슬 캠과 혼 등이 장착되는 바디부와, 턴시그널 및 램프등의 스위치 기능을 하는 좌측레버와, 와이퍼 및 와셔액 분사 스위치, 간헐 와이프 스위치 기능이 포함된 우측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멀티펑션 스위치는 다기능 스위치로서, 차량운전에 필요한 모든 스위치의 구성과 구조를 가지고, 주요한 스위치 기능으로는 라이팅 스위치, 패싱 및 딤머 스위치, 틸트 스위치, 턴시그널 스위치, 와이퍼 및 와셔액 분사 스위치, 간헐 와이핑 스위치 등이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의 스위치 레버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의 스위치 레버모듈(3)는 긴 봉형으로 된 상기 스위치 레버(4)의 외측에 고정노브(2)과 조작노브(1)이 상호 결합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노브(2)의 내측에는 스위치 회로와 연결되는 고정 단자(5)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노브(1)과 연동되는 회전 홀더(8)에는 상기 고정 단자(5)와 접촉되면서 스위치 작용을 하는 접촉 단자(7)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단자(5)는 상기 스위치 레버(4)의 외측에 끼워진 고정 홀더(6)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접촉 단자(7)는 상기 스위치 레버(4)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회전 홀더(8)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홀더(8)는 상기 조작노브(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고정 단자(5)와 접촉단자(7)의 접점위치를 다르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 단자(7)가 설치된 반대쪽 면에는 스테이터(9)가 위치되어 조작노브(1) 회전시 절도감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의 스위치 레버모듈은 외관과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이 일체형으로 되어있어 상기 스위치 레버모듈의 디자인 변경이나 사양 변경시에 외관 및 이와 관련된 부품 개발이 필요하여 부품공용화가 어렵다. 또한 개발 비용 및 개발 일정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멀티펑션 스위치에 장착되는 스위치 레버모듈의 디자인 및 사양 변경시 레버 케이스의 변경만으로 적합한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어 스위치 레버모듈의 변경에 따른 개발 비용 및 개발 기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기판이 구비된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바디에 대해 회동되게 삽입되어 설치된 스위치 레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레버모듈은 상기 스위치 바디에 대해 회동되게 설치되고, 조작홀이 형성된 레버 케이스와, 상기 조작홀을 관통하여 설치된 조작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상기 스위치 바디에 전달하고, 상기 레버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노브조립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스위치 레버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100)는 내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기판이 구비된 스위치 바디(10)와, 상기 스위치 바디(10)에 대해 회동되게 삽입되어 설치된 스위치 레버모듈(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레버모듈(20)은 상기 스위치 바디(10)에 대해 회동되게 설치되고, 조작홀(21)이 형성된 레버 케이스(25a)(25b)와, 상기 조작홀(21)을 관통하여 설치된 조작손잡이(32a)(34a)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상기 스위치 바디(10)에 전달하고, 상기 레버 케이스(25a)(25b)의 내부에 배치되는 노브(knob)조립체(32)(34)(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위치 레버모듈(20)을 구성함으로써 멀티펑션 스위치에 장착되는 스위치 레버모듈(20)의 디자인 및 사양 변경시 레버 케이스(25a)(25b)의 변경만으로 적합한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어 스위치 레버모듈(20)의 변경에 따른 개발 비용 및 개발 기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게된다.
상기 노브조립체(32)(34)(35)는 상기 레버 케이스(25a)(25b)의 내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직교하게 배치되어 상기 레버 케이스(25a)(25b)의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노브조립체(32)(34)에서 형성된 조작손잡이(32a)(34a)는 상기 레버 케이스(25a)(25b)의 중심축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회전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 케이스(25a)(25b)에 형성된 조작홀(21)의 개수는 상기 조작손잡이(32a)(34a)에 대응되며, 상기 조작홀(21)은 상기 레버 케이스(25a)(25b)의 중심 축에 대한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조작손잡이(32a)(34a)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조립체(32)(34)는 상기 레버 케이스(25a)(25b)의 내부에 배치되어 자동차의 라이트, 와이퍼 및 크루저 기능을 제어하는 레버(31)와 연동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레버모듈(20)에는 푸시버튼(38)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브조립체(32)(34)는 상기 레버 케이스(25a)(25b) 내부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브조립체(32)(34)가 다수개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레버 케이스(25a)(25b)에 형성된 조작홀(21)은 상기 노브조립체(32)(34)의 수에 대응하여 다수개가 형성된다. 또한, 다수의 노브조립체(32)(34)는 자동차의 운행에 필요한 기능 즉, 턴 시그널 스위치, 와이퍼 스위치, 크루즈(cruise) 스위치, 틸트 스위치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노브조립체(32)(34)는 상기 레버 케이스(25a)(25b)의 축방향으로 적층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100)의 스위치 레버모듈(2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는 내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기판이 구비된 스위치 바디(10)와, 상기 스위치 바디(10)에 대해 회동되게 삽입되어 설치된 스위치 레버모듈(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 레버모듈(20)의 구성을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먼저 자동차의 턴 시그널, 와이퍼 및 크루저 등의 작동을 하도록 전기적 신호를 스위치 바디(10)에 전달하는 레버(31)와 조작손잡이(32a)의 작동에 의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동작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노브조립체(32)가 배치된다.
상기 레버와 제 1노브조립체(32) 사이에는 상기 조작손잡이(34a)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접촉되는 제 1PCB(printed circuit board)(3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노브조립체(32)와 다른 신호를 상기 스위치 바디(10)에 전달하는 제 2노브조립체(34)가 상기 제 1노브조립체(32)에 상기 스위치 레버모듈(20)의 축방향으로 적층되어 설치 될 수 있다. 상기 제 1노브조립체(32)와 제 2노브조립체(34) 사이에는 또 다른 제 2PCB(3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PCB(36)와 제 1노브조립체(32) 사이에는 상기 제 2노브조립체(34)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상기 제 1노브조립체(32)를 통하여 상기 스위치 바디(10)에 전달하는 제 3노브조립체(35)가 설치된다. 상기 제 3노브조립체(35)는 운전자가 제 2노브조립체(34)를 조작하는 경우에 발생된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노브조립체(34)에는 상기 제 2PCB(36)가 설치된 반대쪽 면에 스테이터(stator)(37)가 위치되어 상기 제 1, 2노브조립체(32)(34)의 회전시에 절도감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터(37)의 끝단에는 푸시버턴(38)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푸시버턴(38)과 스테이터(37) 사이에는 제 3PCB(39)가 설치되어 상기 푸시버턴(38)의 작동신호를 상기 제 1,2,3노브조립체(32)(34)(35)를 통하여 상기 스위치 바디(10)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노브조립체(32) 및 제 2노브조립체(34)는 운전자의 의지에 의해 조작되는 자동차의 턴 시그널, 와이퍼, 주행중 크루져 스위치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 1,2,3노브조립체(32)(34)(35)는 레버 케이스(25a)(25b)내부에 조립되는데, 상기 레버 케이스(25a)(25b)는 상측의 상부커버(upper cover)(25a)와 하측의 하부커버(lower cover)(25b)로 구성된다. 상기 제 1,2노브조립체(32)(34)에 형성된 조작손잡이(32a)(34a)는 상기 상부커버(25a)와 하부커버(25b)에 형성된 조작홀(21)을 통하여 돌출되고, 상기 조작홀(21)은 상기 레버 케이스(25a)(25b)의 중심축에 대한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조작손잡이(32a)(34a)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스위치 레버모듈(20)은 상기 제 1,2,3노브조립체(32)(34)(35)를 상기 레버케이스(25a)(25b)의 내부에 배치시키는 간단한 조립작업으로 상기 스위치 레버모듈(20)의 디자인 및 사양 변경시 레버 케이스(25a)(25b)의 변경만으로 적합한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어 스위치 레버모듈(20)의 변경에 따른 개발 비용 및 개발 기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는 멀티펑션 스위치에 장착되는 스위치 레버모듈의 디자인 및 사양 변경시 레버 케이스의 변경만으로 적합한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어 스위치 레버모듈의 변경에 따른 개발 비용 및 개발 기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내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기판이 구비된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바디에 대해 회동되게 삽입되어 설치된 스위치 레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레버모듈은 상기 스위치 바디에 대해 회동되게 설치되고, 조작홀이 형성된 레버 케이스와, 상기 조작홀을 관통하여 설치된 조작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상기 스위치 바디에 전달하고, 상기 레버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노브조립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브조립체는 상기 레버 케이스의 중심축에 대하여 직교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손잡이는 상기 레버 케이스의 중심축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회전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홀은 상기 레버 케이스의 중심축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레버모듈에는 푸시버튼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조립체는 상기 레버 케이스 내부에 복수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노브조립체는 상기 레버 케이스의 축방향으로 적층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KR1020070023540A 2007-03-09 2007-03-09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KR100812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540A KR100812477B1 (ko) 2007-03-09 2007-03-09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540A KR100812477B1 (ko) 2007-03-09 2007-03-09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2477B1 true KR100812477B1 (ko) 2008-03-10

Family

ID=39398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540A KR100812477B1 (ko) 2007-03-09 2007-03-09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4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741B1 (ko) * 2008-03-27 2010-08-3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구조
KR101211311B1 (ko) 2011-10-07 2012-12-11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0378A (en) 1992-11-06 1997-03-11 Itt Corporation Steering column stalk switch apparatus
JPH09198968A (ja) * 1996-01-18 1997-07-31 Niles Parts Co Ltd 自動車用複合スイッチレバー装置
JPH10269898A (ja) 1997-03-21 1998-10-09 Alps Electric Co Ltd 車載用ノブスイッチ装置
KR100384755B1 (ko) 2001-06-20 2003-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다기능 스위치
KR20070032247A (ko) * 2005-09-16 2007-03-21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차량 탑재용 노브 스위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0378A (en) 1992-11-06 1997-03-11 Itt Corporation Steering column stalk switch apparatus
JPH09198968A (ja) * 1996-01-18 1997-07-31 Niles Parts Co Ltd 自動車用複合スイッチレバー装置
JPH10269898A (ja) 1997-03-21 1998-10-09 Alps Electric Co Ltd 車載用ノブスイッチ装置
KR100384755B1 (ko) 2001-06-20 2003-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다기능 스위치
KR20070032247A (ko) * 2005-09-16 2007-03-21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차량 탑재용 노브 스위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741B1 (ko) * 2008-03-27 2010-08-3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구조
KR101211311B1 (ko) 2011-10-07 2012-12-11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5283B2 (en) Multifunction rocker switch
EP0939009B1 (en) Lever switch for vehicles
US20070272524A1 (en) Rotary Switch in a Motor Vehicle
US11339872B2 (en) Lever type vehicular remote shift switching device
KR101125396B1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10260375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US6114640A (en) Vehicle column stalk functionality
JP4622561B2 (ja) 車両用スイッチ装置
JP3765550B2 (ja) 車載用ノブスイッチ装置
KR100812477B1 (ko)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KR100930130B1 (ko)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ⅱ)
US7482545B2 (en) In-vehicle knob switch
JP4695310B2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JP3944376B2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KR20180090074A (ko) 차량용 멀티 펑션 스위치
JP2001354064A (ja) 車両用コラムスイッチの照明構造
US6403899B1 (en) Vehicle fog lamp interlock switch apparatus
KR100828199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KR200445702Y1 (ko) 차량용 스위치 유니트
JP5499536B2 (ja) 車両用スイッチ
KR200467290Y1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JP2000211440A (ja) コンビネ―ションスイッチ装置
KR200470786Y1 (ko)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100853753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KR200470878Y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