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359Y1 -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359Y1
KR200469359Y1 KR2020090001805U KR20090001805U KR200469359Y1 KR 200469359 Y1 KR200469359 Y1 KR 200469359Y1 KR 2020090001805 U KR2020090001805 U KR 2020090001805U KR 20090001805 U KR20090001805 U KR 20090001805U KR 200469359 Y1 KR200469359 Y1 KR 2004693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contact
protrusion
connection bar
coupl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8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497U (ko
Inventor
정승원
주성호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18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35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84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4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3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3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69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 B60Q1/1476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comprising switch controlling means located near the free end of the lever, e.g. press buttons, rotatable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01H2025/045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having a rotating dial around the operating member for additional switching f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작 노브에 의해 회전하는 연결바와 슬라이딩 접점부를 이동시키는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결합 부품 없이 제작이 가능하여 조립 공정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이 절감되며, 공간 효율이 증가하여 더욱 다양한 신호 발생이 가능하고, 또한 연결바와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호 슬립되지 않고 일체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회전 조작에 대한 정확도가 증가하여 정밀한 조작 제어가 가능한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2020090001805
컴비네이션 스위치, 레버 스위치, 라이트 스위치, 와이퍼 스위치

Description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Combination Switch Assembly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 노브에 의해 회전하는 연결바와 슬라이딩 접점부를 이동시키는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결합 부품 없이 제작이 가능하여 조립 공정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이 절감되며, 공간 효율이 증가하여 더욱 다양한 신호 발생이 가능하고, 또한 연결바와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호 슬립되지 않고 일체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회전 조작에 대한 정확도가 증가하여 정밀한 조작 제어가 가능한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는 스티어링 휠과, 스티어링 컬럼과, 스티어링 롤 커넥터(Sterring Roll Connector) 어셈블리와 그리고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 등을 구비한다.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가 조향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회전은 스티어링 컬럼을 통하여 차륜에 전달되어 차량의 조향각을 설정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 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의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되는데, 운전자의 조작성을 고려하여 각종 스위치들은 스티어링 부에 집약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근래 생산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는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도우 스위치, 조향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조향 라이트 스위치 및 오디오를 구동시키는 오디오 스위치,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등이 배치된다.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는 라이트 및 포그램프, 와이퍼, 각종 오디오 장치 및 차량 윈도우 스위치 등을 구비하는 것으로 운전자로 하여금 각종 장치의 조작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각종 장치의 조작 중에도 전방 주의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하는데, 이는 스티어링 휠의 상부에 버튼 스위치로 구현되거나 스티어링 휠 측면의 레버 스위치로서 구현된다.
한편, 이러한 각종 스위치 장치와 더불어 스티어링 휠의 하단에는 스위치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SRC(Steering Roll Connector)/슬립 링(Slip Ring) 등과 같은 구성 요소들이 배치되는데, 이들 SRC와 슬립 링은 상당한 부피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제한된 스티어링 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스위치 등과 같은 구성 요소들의 컴팩트화가 요구된다.
통상적으로 라이트 스위치와 와이퍼 스위치는 레버 타입으로 형성되어 운전자의 좌측 내지 우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레버 타입으로 구성되는 스위치의 경우 레버를 회전 중심에 대하여 상하 전후 이동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원하는 소 정의 모드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각종 구성 요소를 구동시킬 수 있다. 레버 타입의 스위치가 상하 전후 이동 뿐만 아니라 로터리 스위치 및 누름 스위치를 구비하는 컴비네이션 스위치로 형성되는 경우 내부 구성이 상당히 복잡해진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컴비네이션 스위치의 경우 구성 요소의 개수가 상당히 많고, 이러한 부품 수의 증대는 원가 증대 및 조립의 복잡성에 따른 공정 시간 증대에 따른 생산성 저하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조작 노브에 의해 회전하는 연결바와 슬라이딩 접점부를 이동시키는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회전 조작에 대한 정확도가 증가하여 정밀한 조작 제어가 가능하고, 조립 부품수가 감소하여 조립 공간 효율이 향상되어 더욱 다양한 신호 발생이 가능하며, 조립 공정이 용이하게 수행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회전 조작 가능하도록 일측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조작 레버 유닛;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 및 상기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의 이동에 따라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레버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레버 몸체부와, 상기 레버 몸체부의 일측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 노브와, 상기 조작 노브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조작 노브에 결합되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바의 회전에 따라 상기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가 이동되도록 상기 연결바의 일측단부에 상기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를 연동시키는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는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어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끝단부에는 구형의 결합볼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결합볼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의 구형으로 형성되어 내측면에 상기 결합볼이 슬라이딩 접촉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바는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 노브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노브의 내측면에는 끝단부가 상기 연결바의 외주면에 압착 접촉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압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조작 노브에 의해 회전하는 연결바와 슬라이딩 접점부를 이동시키는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결합 부품 없이 제작이 가능하여 조립 공정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공간 효율이 증가하여 더욱 다양한 신호 발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바와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호 슬립되지 않고 일체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회전 조작에 대한 정확도가 증가하여 정밀한 조작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의 레버 몸체부와 연결바의 결합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의 연결바와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의 결합 동작 상태를 간략하게 개념적으로 도시한 동작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의 연결바와 조작 노브의 결합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 조작 레버 유닛(100),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 및 베이스 플레이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가 안착 지지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600)와, 조작 레버 유닛(100)이 일체로 하우징(2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우징(200) 내부에 장착되는 무빙 블록(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우징 본체(210)와 하우징 덮개(220)로 분리 형성되어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 본체(210)에는 스티어링 샤프트(미도시)가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211)이 형성되며 하우징 덮개(220)와 결합되며 형성되는 내부 수용 공간에 전술한 구성 요소들이 장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는 스티어링 휠(미도시)의 하부 스티어링 샤프트에 인접하게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조작 레버 유닛(100)은 회전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일측단부가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도록 하우징(200)에 결합된다.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는 가동 접점(411)(도 3 참조)을 구비하여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베이스 플레이트(300)는 이러한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의 가동 접점(411)이 이동함에 따라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도록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에 접촉된 상태로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에 고정 장착된다.
조작 레버 유닛(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에 결합되는 레버 몸체부(120)와, 레버 몸체부(120)의 일측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되는 조작 노브(110)와, 일측단부는 하우징(200)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타측단부는 레버 몸체부(120)를 관통하여 조작 노브(110)에 결합되는 연결바(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조작 노브(110)는 조작 레버 유닛(100)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레버 몸체부(120)에 결합되며, 연결바(130)는 조작 노브(110)와 함께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조작 노브(110)에 결합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 노브(110)가 조작 레버 유닛(100)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조작되면, 조작 노브(110)와 함께 조작 노브(110)에 결합된 연결바(130)가 회전된다. 이때, 연결바(130)의 일측단부에는 연결바(130)의 회전에 따라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가 이동되도록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를 연동시키는 돌출부(131)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131)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와 결합되어 연동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즉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에는 돌출부(131)가 삽입되는 결합홈(412)이 형성되고, 이러한 결합홈(412)에 돌출부(131)가 삽입 결합되어 돌출부(131)와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가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131)와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가 상호 결합되는 방식으로 연동됨에 따라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는 돌출부(131)의 회전에 대응하여 더욱 정확한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와 달리 돌출부(131)가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와 회전 간섭되도록 형성 배치되어 돌출부(131)가 회전함에 따라 이에 간섭되는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가 하우징(200) 내부 공간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서로 연동되도록 하는 다양한 구성으로 변경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는 조작 노브(110)와 함께 회전하는 연결바(130)에 돌출부(131)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의 이동 동작이 별도의 부재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부품을 조립할 필요가 없어 장치의 내부 조립 공간이 확보되어 조립 공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연결바(130)와 돌출부(131)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바(130)의 회전시 돌출부(131)의 슬립이 발생되지 않아 정확한 회전 각도에 따른 정확한 동작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 유닛(100)은 레버 몸체부(120)와, 조작 노브(110)와, 연결바(130)로 크게 구성되며, 조작 레버 유닛(100)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조작 노브(110) 및 연결바(130)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조작 레버 유닛(100) 전체가 하우징(200)에 대해 상하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 하우징(200) 내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무빙 블록(50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전기적 신호 발생을 위한 서브 슬라이딩 접점부(420)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서브 슬라이딩 접점부(420) 및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플레이트(600)가 하우징(200)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먼저, 조작 레버 유닛(100)의 레버 몸체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레버 케이스(126)와, 레버 케이스(126)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레버 샤프트(121)와, 레버 샤프트(121)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 샤프트(124)와, 연결 샤프트(124)의 끝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슬라이드 핀(125)으로 구성될 수 있다. 레버 샤프트(121)는 레버 케이스(126)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중앙부에는 연결바(130)가 관통 삽입되며 지지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의 관통홀(122)이 형성되며, 하우징(200)에 인접한 측의 끝단부에는 힌지 돌기(123)가 형성된다. 힌지 돌기(123)는 후술할 무빙 블록(500)의 힌지홀(501)에 삽입 결합되고 조작 레버 유닛(100)은 힌지 돌기(123)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레버 샤프트(121)에 연결된 연결 샤프트(124)와 슬라이드 핀(125)은 후술할 무빙 블록(500)의 링크 플레이트(510)에 결합되어, 조작 레버 유닛(100)이 힌지 돌기(123)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링크 플레이트(510)가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무빙 블록(500)은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무빙 블록(500)의 하측단부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 힌지 돌기(503)가 형성되고, 무빙 블록(500)은 이러한 무빙 힌지 돌기(503)를 중심으로 하우징(200) 내부 공간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무빙 블록(500)의 상단면 일측에는 이러한 무빙 블록(500)의 전후 방향 회전에 따른 전기적 신호 발생을 위해 무빙 접점부(504)가 형성되고, 무빙 접점부(504)는 무빙 블록(500)의 회전에 따라 일체로 회전 이동하며 고정 접점 및 패턴 회로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접촉하며 특정 모드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무빙 블록(500)에는 조작 레버 유닛(100)의 힌지 돌기(123)가 삽입될 수 있는 힌지홀(501)이 형성되어 조작 레버 유닛(100)이 힌지 돌기(123)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무빙 블록(500)에는 무빙 블록(500)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링크 플레이트(510)가 링크 힌지축(50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러한 링크 플레이트(510)에 조작 레버 유닛(100)의 슬라이드 핀(125)이 결합된다. 따라서, 조작 레버 유닛(100)이 힌지 돌기(123)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조작 레버 유닛(100)의 슬라이드 핀(125)에 의해 결합된 무빙 블록(500)의 링크 플레이트(510) 또한 링크 힌지축(50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링크 플레이트(510)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를 통해 전기 신호 발생을 위한 서브 슬라이딩 접점부(420)를 연동시키도록 구성되어, 링크 플레이트(510)가 회전하게 되면 서브 슬라이딩 접점부(420)가 후술할 슬라이딩 플레이트(600) 상에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서브 슬라이딩 접점부(420)에는 링크 플레이트(510)와의 연동을 위해 링크 플레이트(510)의 일측단부가 삽입되어 맞물림될 수 있는 서브 슬라이딩 관통홀(421)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조작 레버 유닛(100)의 조작 노브(110)가 조작 레버 유닛(100)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면, 연결바(130) 및 돌출부(131)가 회전하여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가 이동하게 되고, 조작 레버 유닛(100) 전체가 힌지홀(501)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링크 플레이트(510)가 회전하여 서브 슬라이딩 접점부(420)가 이동하게 되고, 조작 레버 유닛(100) 전체가 무빙 블록(500)의 무빙 힌지 돌기(503)를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무빙 블록(500)의 상단면에 형성된 무빙 접점부(504)가 회전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조작 노브(110)의 회전, 조작 레버 유닛(100) 전체의 상하 방향 회전 및 전후 방향 회전에 따라 각각 해당 접점부(410,420,520)가 각각 이동하며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고정 접점과 접촉하여 특정 모드의 신호가 다양하게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 플레이트(600)에는 이러한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와 서 브 슬라이딩 접점부(420)가 각각 장착될 수 있도록 메인 안착부(610)와 서브 안착부(62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안착부(610)는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가 안착되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서브 안착부(620)는 서브 슬라이딩 접점부(420)가 안착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 안착부(610)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600)의 하부에 위치한 연결바(130)의 돌출부(131)가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메인 관통홀(611)이 형성되고, 서브 안착부(620)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600)의 하부에 위치한 무빙 블록(500)의 링크 플레이트(510)가 서브 슬라이딩 접점부(4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서브 관통홀(6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서브 안착부(62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슬라이딩 접점부(420)의 길이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 레일(6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 레일은 메인 안착부(610)에도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슬라이딩 플레이트(600)에는 이러한 메인 안착부(610)와 서브 안착부(620) 이외에도 무빙 블록(500)의 무빙 접점부(504)가 베이스 플레이트(300)와 접촉될 수 있도록 무빙 관통홀(601)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슬라이딩 플레이트(600)의 상부측으로 베이스 플레이트(300)가 슬라이딩 접점부(410,420)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며,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상부에는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에 대한 마감을 위해 하우징 덮개(220)가 하우징 본체(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조작 레버 유닛(100)이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 노브(110)의 회전 및 조작 레버 유닛(100) 전체의 상하 방향 회전에 따라 각각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 및 서브 슬라이딩 접점부(420)가 슬라이딩 플레이트(600) 상에서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직선 이동함으로써, 다양한 신호가 생성될 수 있으며, 또한, 조작 레버 유닛(100) 전체의 전후 방향 회전에 따라 무빙 블록(500)의 무빙 접점부(504)가 슬라이딩 플레이트(600)를 관통한 상태로 회전 이동함으로써, 또 다른 다양한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는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특정 모드에 대한 다양한 신호(예를 들어, 방향 지시등, 헤드 라이트 등의 단계별 신호)가 생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의 연결바와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의 결합 동작 상태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는 슬라이딩 블록(412)과, 슬라이딩 블록(412)의 상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고정 접점(미도시)에 접촉될 수 있는 가동 접점(4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라이딩 블록(410')의 하부면에는 결합홈(412)이 형성되고, 이러한 결합홈(412)에는 연결바(130)의 돌출부(131)가 삽입 결합되어 연결바(130)와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는 서로 결합된 상태로 연동되게 구성된다. 이때, 돌출부(131)의 끝단부에는 구형의 결합볼(132)이 형성되고,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의 결합홈(412)은 이러한 결합볼(1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의 구형으로 형성되어 결합 홈(412)의 내측면에 결합볼(132)의 외주면이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는 슬라이딩 플레이트(600) 상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연결바(130)의 돌출부(131)가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의 하부면에 형성된 결합홈(412)에 삽입 결합됨에 따라 연결바(130)가 회전하면 돌출부(131)를 통해 결합된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가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돌출부(131)의 회전 운동이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도록 돌출부(131)의 끝단부에 구형의 결합볼(132)이 형성되고,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에는 결합볼(132)이 삽입되며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결합홈(41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노브(110)의 일정 각도(α) 범위의 회전 조작에 의해 연결바(130) 및 돌출부(131)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α) 범위 내에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가 직선 왕복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가 직선 왕복 이동하게 되면,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410)의 가동 접점(411)이 이동하며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고정 접점과 접촉 및 접촉 해제되며 다양한 전기적 신호가 생성된다. 예를 들면, 도 3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1)의 회전 상태(P)가 L1에서부터 L4까지 4단계로 변화될 때마다 각각 다른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4단계의 전기적 신호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이외에도 3단계 및 5단계 등 다양한 단계로 변경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131)는 종래 기술과 달리 별도의 결합 부재 없이 연결바(130)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결합 부재의 조립에 따른 연결바에 대한 회전 각도의 제한이 완화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바(130)의 조작과 관련된 조립 부품 수가 감소하여 조립 공간 효율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연결바(130)의 회전시에 돌출부(131)의 회전이 간섭되지 않고 더욱 넓은 회전 공간에서 돌출부(131)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결바(130) 및 돌출부(131)의 회전 각도가 종래 기술 보다 더욱 넓게 확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다양한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a) 내지 (d)와 같이 4단계로 구성된 경우 각각 오프(OFF), 후미등(TAIL), 헤드 라이트 및 오토(AUTO)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바(130)와 조작 노브(110)의 결합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130)는 속이 찬 원기둥 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조작 노브(110)의 내측면에는 이러한 연결바(130)의 외주면 일측단부에 끝단부가 압착 접촉되도록 다수개의 압착 돌기(112)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압착 돌기(112)에 의해 연결바(130)가 압착되어 조작 노브(110)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으며, 특히 조작 노브(110)의 회전시에 연결바(130)와 슬립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더욱 정확한 회전 조작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130)의 외주면 일측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의 걸림홈(134)이 형성되고, 조작 노브(110)에는 이러한 걸림홈(134)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113)가 형 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연결바(130)는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될 수 있으며, 또한 걸림 돌기(113)가 걸림홈(134)의 바닥면에 압착 접촉되는 경우에는 연결바(130)의 회전 이동 또한 조작 노브(110)의 회전 이동과 함께 일체로 발생되기 때문에, 연결바(13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정렬 상태가 양호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회전 조작 또한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는 더욱 정밀한 조작이 가능하고, 조작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의 레버 몸체부와 연결바의 결합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의 연결바와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의 결합 동작 상태를 간략하게 개념적으로 도시한 동작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의 연결바와 조작 노브의 결합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조작 레버 유닛 130: 연결바
131: 돌출부 132: 결합볼
200: 하우징 300: 베이스 플레이트
410: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 420: 서브 슬라이딩 접점부
500: 무빙 블록 600: 슬라이딩 플레이트

Claims (5)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회전 조작 가능하도록 일측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조작 레버 유닛;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 및 상기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의 이동에 따라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 레버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레버 몸체부와, 상기 레버 몸체부의 일측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 노브와, 상기 조작 노브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조작 노브에 결합되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바의 회전에 따라 상기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가 이동되도록 상기 연결바의 일측단부에 상기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를 연동시키는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슬라이딩 접점부는 상기 결합홈을 통해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어 연동되고,
    상기 돌출부의 끝단부에는 구형의 결합볼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결합볼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의 구형으로 형성되어 내측면에 상기 결합볼이 슬라이딩 접촉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는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 노브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노브의 내측면에는 끝단부가 상기 연결바의 외주면에 압착 접촉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압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
KR2020090001805U 2009-02-18 2009-02-18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 KR2004693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805U KR200469359Y1 (ko) 2009-02-18 2009-02-18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805U KR200469359Y1 (ko) 2009-02-18 2009-02-18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497U KR20100008497U (ko) 2010-08-26
KR200469359Y1 true KR200469359Y1 (ko) 2013-10-11

Family

ID=44453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805U KR200469359Y1 (ko) 2009-02-18 2009-02-18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35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157B1 (ko) * 1996-01-18 2005-05-18 나이루스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차용복합스위치레버장치
JP2006114278A (ja) 2004-10-13 2006-04-27 Tokai Rika Co Ltd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装置
KR100646503B1 (ko) 1998-02-27 2007-03-02 나이루스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레버스위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157B1 (ko) * 1996-01-18 2005-05-18 나이루스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차용복합스위치레버장치
KR100646503B1 (ko) 1998-02-27 2007-03-02 나이루스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레버스위치
JP2006114278A (ja) 2004-10-13 2006-04-27 Tokai Rika Co Ltd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497U (ko)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9605B2 (en) Door lock apparatus
JP5721511B2 (ja) ドアロック装置
TWI431653B (zh) 槓桿開關裝置
JP2007012365A (ja) ストークスイッチ
US7482545B2 (en) In-vehicle knob switch
KR200469359Y1 (ko)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
JP4692724B2 (ja) 車輌空調用コントロ−ル操作装置
JP4388342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装置
KR200471416Y1 (ko) 차량용 다방향 스위치 장치
KR101186483B1 (ko) 제자리 회전 및 직선 운동이 가능한 시프트 레버 조립체
KR100828199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KR100797607B1 (ko) 레버 스위치
KR100283003B1 (ko) 전동식 백미러용 스위치 구조
KR101252198B1 (ko) 경사 폴딩 아웃사이드미러용 퍼들램프 장치
KR100853753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KR20110045752A (ko) 차량용 와이퍼 스위치 장치
KR100366215B1 (ko) 자동차용 시그널 스위치 장치
EP1291241B1 (en) Complex switch lever for automobile
KR200467275Y1 (ko)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장치
CN212338135U (zh) 双顶针自动换挡器总成及车辆
KR100521984B1 (ko)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JP4349071B2 (ja) レバースイッチ
KR100704648B1 (ko) 시그널 스위치의 접점 구조
KR20040015995A (ko)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스위치 조작레버
KR100288384B1 (ko)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