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607B1 - 레버 스위치 - Google Patents

레버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607B1
KR100797607B1 KR1020060135216A KR20060135216A KR100797607B1 KR 100797607 B1 KR100797607 B1 KR 100797607B1 KR 1020060135216 A KR1020060135216 A KR 1020060135216A KR 20060135216 A KR20060135216 A KR 20060135216A KR 100797607 B1 KR100797607 B1 KR 100797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light
fog
state
mov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5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학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5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6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69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 B60Q1/1476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comprising switch controlling means located near the free end of the lever, e.g. press buttons, rotatable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60Q1/20Fog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레버 관통축; 상기 레버 관통축의 일단에 고정 장착되어 라이트 오프 상태를 포함하는 사전 설정된 복수 개의 라이트 램프 상태로 축방향 회동 가능한 라이트 램프 노브; 상기 하우징과 상기 라이트 램프 노브 사이에 복수 개의 포그 램프 상태로 축 방향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포그 램프 노브; 상기 라이트 램프 노브와 상기 포그 램프 노브 사이로,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 노브; 및 상기 라이트 램브 노브가 상기 라이트 오프 상태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포그 램프 노브의 회동을 제한하되, 상기 라이트 오프 상태로부터 다른 라이트 조작 위치로 상기 라이트 램프 노브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고정 노브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상기 포그 램프 노브의 회동을 허용하고 일단이 상기 포그 램프 노브의 록킹 가동 부재 배치구에 배치되어 상기 포그 램프 노브와 함께 회동하는 록킹 가동 부재를 포함하는 회동 록킹부;를 구비하는 레버 스위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레버 스위치{LEVER SWITCH}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레버 스위치의 라이트 램프 노브의 고정 노브 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레버 스위치의 라이트 램프 노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레버 스위치의 록킹 탄성 부재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레버 스위치의 록킹 탄성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레버 스위치의 라이트 오프 상태 및 포그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레버 스위치의 라이트 오프 및 전방 포그 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레버 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레버 스위치의 테일 라이트 온 상태 및 포그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레버 스위치의 테일 라이트 온 상태 및 전방 포그 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레버 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레버 스위치의 헤드 라이트 온 상태 및 후방 포그 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레버 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레버 스위치의 헤드 라이트 온 상태에서의 각각의 포그 램프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레버 스위치 20...하우징
30...레버 관통축 100...라이트 램프 노브
200...고정 노브 300...포그 램프 노브
400...회동 록킹부 500...회동 리턴부
본 발명은 레버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이트 램프 및 포그 램프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복합 기능을 갖는 레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 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되는데, 운전자의 조작성을 고려하여 각종 스위치들은 스티어링 부에 집약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근래 생산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는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도우 스위치, 조향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조향 라이트 스위치 및 오디오를 구동시키는 오디오 스위치,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등이 배치된다.
한편, 이러한 각종 스위치 장치와 더불어 스티어링 휠의 하단에는 스위치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SRC(Steering Roll Connector)/슬립 링(Slip Ring) 등과 같은 구성 요소들이 배치되는데, 이들 SRC와 슬립 링은 구조는 상당한 부피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제한된 스티어링 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스위치 등과 같은 다른 구성 요소들의 컴팩트화가 요구된다.
통상적으로 라이트 스위치와 와이퍼 스위치는 레버 타입으로 형성되어 운전자의 좌측 내지 우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레버 타입으로 구성되는 스위치의 경우 레버를 회전 중심에 대하여 상하 전후 이동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원하는 소정의 모드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각종 구성 요소를 구동시킬 수 있다.
특히, 라이트 스위치의 경우, 라이트 스위치의 선택적 조작에 의하여 차량의 테일 라이트(미등) 및 헤드 라이트의 점등 및 소등 조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방 포그 램프 및 후방 포그 램프의 점등 및 소등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복합 스위치로 구현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라이트 스위치와 포그 램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복 합 스위치로서의 레버 스위치는 복잡한 구조를 구비하여 조립 공정이 어렵다. 또한, 구성 요소의 개수가 많은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제조 원가가 증대된다는 문제점을 수반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성 및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레버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레버 관통축; 상기 레버 관통축의 일단에 고정 장착되어 라이트 오프 상태를 포함하는 사전 설정된 복수 개의 라이트 램프 상태로 축방향 회동 가능한 라이트 램프 노브; 상기 하우징과 상기 라이트 램프 노브 사이에 복수 개의 포그 램프 상태로 축 방향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포그 램프 노브; 상기 라이트 램프 노브와 상기 포그 램프 노브 사이로,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 노브; 및 상기 라이트 램브 노브가 상기 라이트 오프 상태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포그 램프 노브의 회동을 제한하되, 상기 라이트 오프 상태로부터 다른 라이트 조작 위치로 상기 라이트 램프 노브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고정 노브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상기 포그 램프 노브의 회동을 허용하고 일단이 상기 포그 램프 노브의 록킹 가동 부재 배치구에 배치되어 상기 포그 램프 노브와 함께 회동하는 록킹 가동 부재를 포함하는 회동 록킹부;를 구비하는 레버 스위치를 제공한다.
상기 레버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 록킹부는: 상기 라이트 램프 노브의 상기 포그 램프 노브를 향한 일측에 배치되는 가동 부재 누름 돌기와, 상기 가동 부재 누름 돌기가 관통하고 상기 록킹 가동 부재의 타단과의 맞물림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노브에 형성되는 누름 돌기 관통구를 구비하고, 상기 라이트 램프 노브가 상기 라이트 오프 상태로부터 다른 라이트 상태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가동 부재 누름 돌기가 상기 록킹 가동 부재의 일면을 가압하여 상기 누름 돌기 관통구와 상기 록킹 가동 부재의 맞물림이 해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록킹 가동 부재는, 일단이 상기 포그 램프 노브의 내측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가동 부재 누름 돌기와 맞닿음 가능하도록 타단이 상기 포그 램프 노브의 내주를 따라 상기 고정 노브를 향하도록 경사진 가동 부재 경사면을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록킹 가동 부재는, 상기 록킹 가동 부재 배치구에 배치되는 록킹 가동 탄성 부재와, 일면 상기 록킹 가동 탄성 부재와 맞닿고 타면은 상기 가동 부재 누름 돌기와 맞닿음 가능하도록 일측이 타측보다 상기 고정 노브와 가깝도록 경사진 가동 부재 경사면을 구비하는 록킹 가동 블록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록킹 가동 블록의 외측에 축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가동 블록 가이드와, 상기 록킹 가동 부재 배치구의 내측으로 상기 가동 블록 가이드의 대응 위치에는 상기 가동 블록 가이드와 맞물리어 상기 록킹 가동 블록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동 블록 가이드 대응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레버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포그 램프 상태는 상기 포그 램프 노브의 축방향 회동에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포그 오프 상태, 전방 포그 온 상태, 후 방 포그 온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포그 램프 상태가 상기 후방 포그 온 상태이고 상기 라이트 램프 노브가 상기 다른 라이트 램프 상태일 때, 상기 라이트 램프 노브가 상기 라이트 오프 상태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포그 램프 노브를 상기 전방 포그 온 상태로 회동시키는 회동 리턴부를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회동 리턴부는: 기 라이트 램프 노브의 상기 포그 램프 노브를 향한 일측에 배치되는 회동 리턴 돌기와, 상기 회동 리턴 돌기의 관통을 허용하도록 상기 고정 노브에 형성되는 리턴 돌기 관통구와, 상기 포그 램프 노브의 상기 라이트 램프 노브를 향한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 리턴 돌기의 일단을 수용 가능하고 내측면이 상기 회동 리턴 돌기의 일단과 맞닿음 가능한 리턴 돌기 수용홈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라이트 램프 노브와 상기 고정 노브의 서로를 향한 일면의 어느 일측에는 라이트 노브 디텐트가 구비되고, 다른 일면에는 상기 라이트 노브 디텐트와 맞물리어 상기 라이트 램프 노브의 회동을 절도시키는 라이트 노브 절도부가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고정 노브와 상기 포그 램프 노브의 서로를 향한 일면의 어느 일측에는 포그 노브 디텐트가 구비되고, 다른 일면에는 상기 포그 노브 디텐트와 맞물리어 상기 포그 램프 노브의 회동을 절도시키는 포그 노브 절도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 스위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치(1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 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치(10)는 하우징(20)과, 레버 관통축(30)과, 라이트 램프 노브(100), 고정 노브(200), 포그 램프 노브(300) 및 회동 록킹부(400)를 구비한다. 하우징(20)은 차량(미도시)의 스티어링 휠(미도시) 측에 장착되는데, 하우징(20)의 일단에는 이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하우징 연장부(21)가 구비된다. 하우징 연장부(21)에는 축방향으로 이를 관통하는 하우징 관통구(23)가 구비되고 외측에는 고정 노브 장착구(25)가 구비된다.
레버 관통축(30)은 하우징(20)의 축방향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구체적으로 레버 관통축(30)은 하우징 연장부(21)에 관통 배치된다. 레버 관통축(30)의 일단에는 라이트 램프 노브 장착 돌기(31)가 구비되는데, 라이트 램프 노브 장착 돌기(31)는 라이트 램프 노브(100)에 형성된 레버 관통축 장착홈(110, 도 2 참조)과 맞물린다. 레버 관통축(30)의 타단은 하우징(20)의 하우징 연장부(21)에 형성된 하우징 관통구(23)를 관통하는데, 도면에 명확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라이트 램프 노브(100)의 회동시 발생하는 회동력은 레버 관통축(30)으로 전달되고 전달된 회동력은 레버 관통축(30)의 타단에 전달된다. 레버 관통축(30)의 타단 측에는 라이트 램프의 작동 상태를 절환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배치되는데, 레버 관통축(30)의 타단은 인쇄회로기판과 직접 또는 별도의 스위치와 같은 구성요소를 통하여 라이트 램프의 작동 상태를 변환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라이트 램프 노브(100)는 레버 관통축(20)의 일단에 고정 장착되는데, 이들의 결합은 레버 관통축 장착홈(110)과 라이트 램프 노브 장착 돌기(31)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결합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레버 관통축 및 라이트 램프 노브에 핀 관통구가 구비되고 이들을 결합시키는 결합핀에 의하여 양자가 결합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라이트 램프 노브(100)는 레버 관통축(20)에 장착되어 하우징(10)에 대하여 축방향 회동 가능한데, 라이트 램프 노브(100)의 축방향 회동은 라이트 오프 상태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라이트 램프 상태에 대하여 이루어진다. 복수 개의 라이트 램프 상태는 라이트 오프 상태 이외, 테일 라이트 온 상태 및 헤드 라이트 온 상태를 포함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라이트 램프 노브(100)의 외주에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라이트 램프 노브 그립홈(101)을 구비한다.
포그 램프 노브(300)는 하우징(20)과 라이트 램프 노브(100) 사이에 배치되는데, 포그 램프 노브(300)도 라이트 램프 노브(100)와 동일하게 하우징(20)의 축방향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포그 램프 노브(300)의 중앙에는 포그 램프 노브(300)를 관통하는 포그 램프 노브 관통구(310)가 구비되는데, 포그 램프 노브 관통구(310)를 통하여 하우징 연장부(30)가 관통 배치된다. 따라서, 포그 램프 노브(300)는 하우징(20), 구체적으로 하우징 연장부(30)에 대하여 축방향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포그 램프 인쇄회로기판(800)은 하우징(20)에 장착되는데, 하우징(20)의 일측으로 하우징 연장부(21)가 배치되는 영역의 외주에 인쇄회로기판 안착홈(24)이 형성되고, 포그 램프 인쇄회로기판(800)은 인쇄회로기판 안착홈(24)에 삽입 배치된 다. 포그 램프 인쇄회로기판(800)은 중앙에 하우징 연장부(21)의 관통 삽입을 허용하는 기판 관통구(810)가 형성되고, 포그 램프 노브(300)를 향한 일면에 복수 개의 포그 램프 기판 접점(820)이 형성된다. 포그 램프 노브(300)의 포그 램프 인쇄회로기판(800)을 향한 일면에는 포그 램프 기판 접점(820)과 접점을 이루는 복수 개의 포그 램프 노브 접점(340)이 형성된다. 따라서, 포그 램프 노브(300)의 축방향 회동에 의하여 하우징(20)의 인쇄회로기판 안착홈(240)에 안착 배치된 포그 램프 인쇄회로기판(800)의 일면 상에 형성된 포그 램프 기판 접점(820)과 포그 램프 노브 접점(340) 간의 전기적 접속 상태가 변화되고 이러한 접속 상태의 변화에 의한 전기적 신호는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포그 램프(미도시)와 차량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포그 램프(미도시)의 작동 상태를 변화시킨다.
여기서, 포그 램프 인쇄회로기판(800)은 단순하게 인쇄회로기판 안착홈(24)에 삽입 안착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인쇄회로기판 안착홈의 내측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 안착홈의 외주에 돌기와 맞물리는 돌기 수용홈이 형성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레버 스위치의 작동, 특히 라이트 램프 노브, 포그 램프 노브 등의 회동력에 의하여 포그 램프 인쇄회로기판이 축방향 회동하여 발생하는 접점 오류를 방지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고정 노브(200)는 라이트 램프 노브(100)와 포그 램프 노브(300) 사이로 일측이 하우징(20)의 일측에 고정 장착된다. 고정 노브(200)의 중앙에는 고정 노브 관통구(210)가 배치되는데, 하우징(20)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하우징 연장부(21)가 고정 노브 관통구(210)를 관통한다.
고정 노브 관통구(210)의 내측에는 고정 노브(200)를 하우징(20)에 대하여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 노브 관통구(210)의 내측면에는 중심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고정 노브 장착 돌기(220)가 형성되고 하우징 연장부(21)의 외주면으로 고정 노브 장착 돌기(220)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고정 노브 장착 홈(25)이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 연장부(210)가 고정 노브(200)의 고정 노브 관통구(210)를 관통하여 고정 노브(200)가 하우징 연장부(210)에 관통 배치되는 경우, 고정 노브 관통구(210)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 노브 장착 돌기(220)는 고정 노브 장착 홈(25)과 맞물림으로써, 고정 노브(200)가 하우징(20)에 대한 축방향 회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축방향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고정 노브(200)와 라이트 램프 노브(100) 및/또는 포그 램프 노브(300)에, 라이트 램프 노브(100) 및/또는 포그 램프 노브(300)의 회동을 절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 노브(100)에는 복수 개의 라이트 노브 디텐트(120)가 구비되고, 고정 노브(200)에는 라이트 노브 절도부(600)가 구비된다. 라이트 노브 디텐트(120)는 라이트 노브(100)의 일면으로 고정 노브(200)를 향한 일면에 배치되고, 라이트 노브 절도부(600)는 고정 노브(200)의 일면으로 라이트 노브 디텐트(120)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라이트 노브 절도부(600)는 라이트 노브 절도핀(610), 라이트 노브 절도 탄성 부재(620), 그리고 라이트 노브 절도부 수용홈(230)을 포함한다. 라이트 노브 절도부 수용홈(230)은 고 정 노브(200)에 형성되고, 라이트 노브 절도부 수용홈(230)에는 라이트 노브 절도핀(610)이 삽입되는데, 라이트 노브 절도핀(610)은 라이트 노브 절도부 수용홈(230)에 수용 배치되는 라이트 노브 절도 탄성 부재(620)에 의하여 라이트 노브(100)를 향하여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탄성력을 제공받는 라이트 노브 절도핀(610)은 라이트 노브 디텐트(120)와 맞물리는데, 라이트 노브(100)의 회전에 따른 절도감을 원활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라이트 노브 절도핀(610)의 라이트 노브(100)를 향한 단부는 곡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포그 램프 노브(300)의 회동시 절도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고정 노브(200)의 포그 램프 노브(300)를 향한 일면에 포그 노브 디텐트(미도시)가 구비되고, 포그 램프 노브(300)에는 포그 노브 절도부(700)가 구비된다. 포그 노브 절도부(700)는 포그 노브 절도핀(710)과, 포그 노브 절도 탄성 부재(720)와, 포그 노브 절도부 수용홈(330)을 포함한다. 포그 노브 절도 탄성 부재(720) 및 포그 노브 절도핀(710)은 포그 노브 절도부 수용홈(330)에 수용되고 포그 노브 절도 탄성 부재(720)는 포그 노브 절도핀(710)에 고정 노브(200)를 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한다. 포그 노브 절도핀(710)의 단부도 포그 노브 디텐트(미도시)와의 원활한 맞물림 및 포그 노브의 원활한 절도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곡면 처리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라이트 노브 디텐트/라이트 노브 절도부는 각각 라이트 노브/고정 노브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들의 위치가 서로 달리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 포그 노브 디텐트/포그 노브 절도부도 각각 고정 노브/포그 램프 노브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들의 배치 구성을 달리할 수도 있음은 명백하다.
회동 록킹부(400)는 라이트 램프 노브(100)의 라이트 램프 상태에 따라 포그 램프 노브(300)의 회동을 제한하는데, 회동 록킹부(400)는 록킹 가동 부재(410)를 구비한다. 즉, 회동 록킹부(400)는 라이트 램프 노브(100)가 라이트 오프 상태에 위치하는 경우 포그 램프 노브(100)의 회동을 제한하되, 라이트 램프 노브(100)가 라이트 오프 상태로부터 다른 라이트 조작 위치로 회동하는 경우 포그 램프 노브(300)의 회동을 허용한다. 록킹 가동 부재(410)는 포그 램프 노브(300), 구체적으로 포그 램프 노브(300)에 형성된 록킹 가동 부재 배치구(440)에 배치됨으로써, 록킹 가동 부재(410)는 포그 램프 노브(300)의 회동과 함께 회동한다.
회동 록킹부(400)는 록킹 가동 부재(410)와 더불어, 가동 부재 누름 돌기(420)와 누름 돌기 관통구(430)를 구비한다. 가동 부재 누름 돌기(420)는 라이트 램프 노브(100)의 포그 램프 노브(30)를 향한 일측에 배치되고, 누름 돌기 관통구(430)는 고정 노브(200)에 형성되어 가동 부재 누름 돌기(420)의 관통을 허용하는데, 누름 돌기 관통구(430)의 포그 램프 노브(300)를 향한 일측에는 록킹 가동 부재(410)의 일단과 맞물림 가능하다. 즉, 라이트 램프 노브(100)가 라이트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 회동 록킹부(400)의 록킹 가동 부재(410)의 단부는 록킹 가동 부재 배치구(440)를 벗어나 인접한, 고정 노브(200)의 누름 돌기 관통구(430)에 일부가 수용되는 구조를 취한다. 따라서, 라이트 오프 상태에서 포그 램프 노브(300)를 회동시키는 경우 누름 돌기 관통구(430)에 일부 수용된 록킹 가동 부재(410)와 누름 돌기 관통구(430)의 내측면 간의 맞물림에 의하여 일정 각도 이상 의 회동이 제한된다.
이때, 레버 관통축(30)의 일단에 고정 장착된 라이트 램프 노브(100)가 축방향 회동하여 라이트 램프 노브(100)가 라이트 오프 상태로부터 다른 라이트 상태로 회동하는 경우, 라이트 램프 노브(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고정 노브(200)를 관통하는 가동 부재 누름 돌기(420)는 록킹 가동 부재(410)의 일면을 가압함으로써 누름 돌기 관통구(430)에 수용된 록킹 가동 부재(410)의 단부 일부는 누름 돌기 관통구(430)로부터 벗어나 록킹 가동 부재 배치구(440)로 수용되어 고정 노브(200)와 록킹 가동 부재(410)의 맞물림이 해제됨으로써, 포그 램프 노브(300)의 라이트 오프 상태에서 제한된 각도 이상의 회동이 허용된다.
도 4에는 록킹 가동 부재(410)의 개략적인 구조 및 장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록킹 가동 부재(410)는 일단이 포그 램프 노브(300)의 내측에 고정 장착되고 가동 부재 누름 돌기(420)와 맞닿음 가능하도록 타단이 포그 램프 노브(300)의 내주를 따라 고정 노브를 향하도록 경사진 가동 부재 경사면(411)을 구비한다. 즉, 록킹 가동 부재(410)의 일단에는 록킹 가동 부재 장착단(413)이 형성되고, 록킹 가동 부재 장착단(413)은 록킹 가동 부재 배치구(440)의 내측면에 형성된 록킹 가동 부재 장착구(441)에 삽입 장착된다. 록킹 가동 부재 장착단(413)의 외주에는 록킹 가동 부재 장착구(441)와의 결합을 공고히 하기 위하여 양자 간의 억지 끼워 맞춤을 가능하게 하는 록킹 가동 부재 장착 돌기(415)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록킹 가동 부재(410)의 일면으로 고정 노브(200)를 향한 일면에는 가동 부재 경사면(411)이 형성되는데, 가동 부재 경사면(411)은 포그 램프 노브(300)의 내주, 구체적으로 록킹 가동 부재 배치구(440)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되 일단이 고정 노브(200)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록킹 가동 부재(410)는 사출 성형 가능한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도 있고,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록킹 가동 부재(410)의 축의 길이 방향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재료가 채택될 수 있다. 한편, 도 4a에서 록킹 가동 부재(410)는 하우징(20)의 축 길이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록킹 가동 부재 장착단(413)의 반대되는 단부를 향할수록 두께가 감소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록킹 가동 부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가 별개로 구비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른 탄성 이동을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도 4b에는 본 발명의 록킹 가동 부재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기 위한 록킹 가동 부재 및 록킹 가동 부재 배치구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록킹 가동 부재(410a)는 록킹 가동 탄성 부재(460a)와 록킹 가동 블록(450a)을 구비한다. 록킹 가동 블록(450a)은 포그 램프 노브(300a)에 형성된 록킹 가동 부재 배치구(440a)에 배치되는데, 록킹 가동 탄성 부재(460a)는 록킹 가동 부재 배치구(440a)의 하면과 록킹 가동 블록(450a)의 일면 사이에 배치되어 록킹 가동 블록(450a)이 록킹 가동 부재 배치구(440a)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록킹 가동 블록(450a)의 일면은 록킹 가동 탄성 부재(460a)와 맞닿고 타면은 가동 부재 누름 돌기(420, 도 1 참조)와 맞닿은 가능하도록 일측이 타측보다 고정 노브(200)와 가깝도록 경사진 가동 부재 경사면(411a)을 구비한다. 경우에 따라 록킹 가동 블록(450a)의 록킹 가동 부재 배치구(440a) 내에서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 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가동 블록(450a)의 외측에 축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가동 블록 가이드(417a)가 구비되고, 록킹 가동 부재 배치구(440a)의 내측으로 가동 블록 가이드(417a)의 대응 위치에는 가동 블록 가이드(417a)와 맞물리어 록킹 가동 블록(450a)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동 블록 가이드 대응부(443a)가 구비된다. 따라서, 가동 블록 가이드(417a) 및 가동 블록 가이드 대응부(443a)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록킹 가동 블록(450a)가 안정적으로 록킹 가동 부재 배치구(440a)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레버 스위치(10)는 소정의 라이트 램프 노브 조작시 포그 램프 노브의 회동을 복귀시킬 수 있는 회동 리턴부(5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포그 램프 노브(300)의 회동에 따라 포그 램프 노브(300)에 의하여 취해지는 복수 개의 포그 램프 상태는 포그 램프 노브(300)의 축방향 회동에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포그 오프 상태, 전방 포그 온 상태, 후방 포그 온 상태를 포함한다.
포그 램프(미도시)는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모두 구비되는데, 포그 오프 상태는 전방 및 후방 포그 램프가 모두 소등된 상태이고, 전방 포그 온 상태는 전방 포그 램프(미도시)가 점등된 상태이며, 후방 포그 온 상태는 전방 및 후방 포그 램프(미도시) 모두 점등된 상태이다. 포그 램프 상태가 후방 포그 온 상태, 즉 전방 및 후방 포그 램프가 모두 점등된 상태에서 라이트 램프 노브(100)가 라이트 오프 상태가 아닌 다른 라이트 램프 상태일 때, 라이트 램프 노브(100)가 라이트 오프 상태로 회동하는 경우, 회동 리턴부(500)는 라이트 포그 램프 노브(100)를 전방 포그 온 상태로 회동시킨다.
회동 리턴부(500)는 회동 리턴 돌기(510)와, 리턴 돌기 관통구(520)와, 리턴 돌기 수용홈(530)을 포함한다. 회동 리턴 돌기(510)는 라이트 램프 노브(100)의 포그 램프 노브(300)를 향한 일측에 배치되고, 리턴 돌기 관통구(520)는 고정 노브(200)에 형성되며, 리턴 돌기 수용홈(530)은 포그 램프 노브(530)의 고정 노브(200)를 향한 일측에 배치되는데, 회동 리턴 돌기(510)는 리턴 돌기 관통구(520)를 관통하고 회동 리턴 돌기(510)의 단부는 리턴 돌기 수용홈(530)에 수용된다.
리턴 돌기 수용홈(530)에 수용된 회동 리턴 돌기(510)의 일단은 리턴 돌기 수용홈(530)의 내측면과 맞닿을 수 있어, 포그 램프 노브(300)가 후방 포그 온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 라이트 램프 노브(100)가 라이트 오프 상태로 회동하는 경우 회동 리턴 돌기(510)의 일단, 구체적으로 회동 리턴 돌기(510)의 일단의 측면은 리턴 돌기 수용홈(530)의 내측면과 맞닿게 되고 라이트 램프 노브(100)에 의하여 회동 리턴 돌기(510)로 전달되는 회동력이 리턴 돌기 수용홈(530)으로 전달된다. 회동력을 전달받은 리턴 돌기 수용홈(530)이 형성된 포그 램프 노브(300)는 하우징(20)의 축방향으로 회동하여 포그 램프 노브(300)의 포그 램프 상태는 전방 포그 온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포그 램프 노브(300)의 축방향 회동에 의하여 포그 램프 노브(300)에 형성된 포그 램프 노브 접점(340)과 하우징(20)에 장착된 포그 램프 인쇄회로기판(800)의 일면 상에 형성된 포그 램프 기판 접점(820) 간의 접점 상태가 변화되어 전방 포그 램프(미도시)가 점등 상태를 유지하고 후방 포그 램프(미도시)가 소등되는 전방 포그 온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의 전장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 및/또는 전방 및 후방 포그 램프(미도시)로 작동 신호를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도5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스위치의 회동 록킹부 및 회동 리턴부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라이트 램프 노브, 고정 노브 및 포그 램프 노브 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라이트 램프 노브(100, 도 1 참조)는 라이트 오프 상태, 테일 라이트 온 상태, 및 헤드 라이트 온 상태를 포함하고, 포그 램프 노브(300)는 포그 오프 상태, 전방 포그 온 상태, 및 후방 포그 온 상태를 포함하는데, 테일 라이트 온 상태는 테일 라이트의 점등 상태를, 그리고 헤드 라이트 온 상태는 헤드 라이트 램프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다.
라이트 램프 노브(100) 및 포그 램프 노브(3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고, 라이트 오프 상태 및 포그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회동 록킹부(400, 도 1 참조)의 록킹 가동 부재(410)는 포그 램프 노브(300)에 형성된 록킹 가동 부재 배치구(440)에 배치되는데, 록킹 가동 부재(410)의 일단은 록킹 가동 부재 배치구를 벗어나 고정 노브(200)에 형성된 누름 돌기 관통구(430)에 삽입 배치된다. 도 5는 포그 램프 노브의 하우징을 향한 일측에서 바라본 시점을 구비하는바, 가동 부재 누름 돌기(420, 도 1 참조)는 지면 상에서 록킹 가동 부재의 뒷편에 배치되는데, 가동 부재 누름 돌기(420)의 일측은 고정 노브(200)에 형성된 누름 돌기 관통구(430)의 내측면과 맞닿도록 배치된다.
또한, 회동 리턴부(500)의 회동 리턴 돌기(510)는 라이트 램프 노브(100)로부터 고정 노브(200)에 형성된 리턴 돌기 관통구(520)를 관통하여 일단이 포그 램프 노브(300)에 형성된 리턴 돌기 수용홈(530)에 삽입 배치되는데, 회동 리턴 돌기(510)의 일측은 리턴 돌기 관통구(520)의 내측면과 맞닿도록 하우징(20)의 중심(O)으로부터의 선 OOL 상에 배치된다. 이때, 포그 램프 노브(300)는 포그 오프 상태를 유지하므로, 리턴 돌기 수용홈(530)의 내측면은 하우징(20)의 중심(O)으로부터의 선 OOF 상에 배치된다.
라이트 램프 노브(100)는 적절한 회동력이 제공되는 경우, 제공되는 회동력에 따른 라이트 램프 상태를 형성한다. 즉, 도 8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에 의한 회동력이 라이트 램프 노브(100)에 전달되는 경우, 라이트 램프 노브(100)는 테일 라이트 온 상태(도 8) 및 헤드 라이트 온 상태(도 13)를 형성한다. 테일 라이트 온 상태의 경우 라이트 램프 노브(100)는 각도 θL1만큼 회동함에 따라, 라이트 램프 노브(100)에 형성된 회동 리턴 돌기(510)도 함께 회동하여, 회동 리턴 돌기(510)는 각도 θL1 만큼 회동하고 회동 리컨 돌기(510)의 일측은 선 OOL1 상에 위치한다. 헤드 라이트 온 상태의 경우 라이트 램프 노브(100)는 각도 θL2 만큼 회동하여 회동 리턴 돌기(510)의 일측은 선 OOL2 상에 위치한다.
한편, 테일 라이트 온 상태의 경우, 가동 부재 누름 돌기(420)의 일단은 록 킹 가동 부재(410)의 일면을 가압하여 록킹 가동 부재(410)의 단부는 누름 돌기 관통구(430)를 벗어나 록킹 가동 부재 배치구(440)의 내부로 인입된다. 도 8에서 가동 부재 누름 돌기(420)는 록킹 가동 부재(410)를 가압하는 상태를 표현하도록 가동 부재 누름 돌기(420)의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도 6에는 운전자가 라이트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포그 램프 노브(300)에 축(선 Ⅱ-Ⅱ)을 중심으로 회동력을 전달하여 전방 포그 온 상태를 형성하는 경우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7에는 도 6에 대한 라이트 램프 노브, 고정 노브 및 포그 램프 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상태도가 도시되는데,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일부 구성 요소에 대한 도시는 생략한다. 리턴 돌기 수용홈(530)은 포그 램프 노브(300)와 함께 회동하여 리턴 돌기 수용홈(530)의 내측면은 회동 리턴 돌기(510)의 일측과 맞닿는다. 또한, 포그 램프 노브(300)도 각도 θF1만큼 회동하는데, 이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가동 부재(410)의 단부가 누름 돌기 관통구(430)의 내측면과 맞닿아 포그 램프 노브(300)의 다음 상태, 즉 후방 포그 온 상태로의 회동을 제한한다.
이때, 운전자가 라이트 램프 노브(100)를 회동시켜 라이트 램프 상태를 라이트 오프 상태로부터 테일 포그 온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록킹 가동 부재(410)와 누름 돌기 관통구(430) 간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포그 램프 노브(300)의 회동 제한이 해제된다. 즉,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력에 의하여 라이트 램프 노브(100)가 각도 θL1만큼 회동하는 경우, 라이트 램프 노브(100)에 형성된 가 동 부재 누름 돌기(420, 도 8 참조)는 록킹 가동 부재(410)의 가동 부재 경사면(411, 도 4a 참조)을 가압하여 록킹 가동 부재(410)의 일단이 누름 돌기 관통구(430)로부터 벗어나도록 하여 록킹 가동 부재(410)와 누름 돌기 관통구(430) 간의 맞물림을 해제한다. 그런 후, 포그 램프 노브(300)에 회동력이 제공되는 경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그 램프 노브(300)는 포그 오프 상태로부터 각도 θF2만큼 회동한다.
물론, 포그 램프 노브(300)가 전방 포그 온 상태이고 라이트 램프 노브(100)가 라이트 오프 상태로부터 테일 램프 온 상태로 전환된 경우, 포그 램프 노브(300) 및/또는 라이트 램프 노브(200)의 다음 단계로의 회동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 램프 노브(100)가 라이트 오프 상태로부터 각도 θL2만큼 회동하여 헤드 라이트 온 상태 및 전방 포그 온 상태를 형성할 수도 있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라이트 온 상태에서 포그 램프 노브(300)에 회동력이 전달되어 포그 램프 노브(300)가 각도 θF2만큼 회동하여 후방 포그 온 상태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라이트 램프 노브(100)의 헤드 라이트 온 상태 및 포그 램프 노브(300)의 후방 포그 온 상태에서, 운전자에 의하여 라이트 램프 노브(100)가 라이트 오프 상태로 회동하는 경우, 포그 램프 노브(300)는 후방 포그 온 상태로부터 전방 포그 온 상태로 복귀된다. 즉, 도 15의 헤드 라이트 온 상태 및 후방 포그 온 상태에서, 라이트 램프 노브(100)에 전달되는 회동력에 의하여 헤드 라이트 온 상태에서 테일 라이트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 램프 노브(100)의 회동각은 각도 θL2에서 각도 θL1로 감소되나 포그 램프 노브(300)의 회동각은 각도 θF2를 유지함으로써, 라이트 램프 노브(100)에 형성된 회동 리턴 돌기(510)의 일측은 포그 램프 노브(300)에 형성된 리턴 돌기 수용홈(530)의 내측면과 맞닿게 된다.
지속적인 회동력에 의하여 라이트 램프 노브(100)가 테일 라이트 온 상태로부터 라이트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라이트 램프 노브(100)에 형성된 회동 리턴 돌기(510)도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회동 리턴 돌기(510)와 맞닿는 상태를 형성한 리턴 돌기 수용홈(530)의 내측면에 라이트 램프 노브(100)의 회동력이 전달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그 램프 노브(30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포그 램프 노브(300)는 각도 θF1의 회동 상태에 대응하는 전방 포그 온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포그 램프 노브의 후방 포그 온 상태는 라이트 램프 노브의 테일 라이트 온 상태 및 헤드 라이트 온 상태, 즉 테일 라이트가 점등되거나 또는 헤드 라이트가 점등된 상태에서만 후방 포그 램프가 점등되는 것이 허용된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레버 스위치의 일실시예에서 가동 부재 경사면을 구비하는 록킹 가동 부재는 일단이 고정 노브를 향하고 타단이 록킹 가동 부재 배치구의 내측면에 삽입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록킹 가동 부재가 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누름 돌기 관통구의 일측으로부터 삽입되어 포그 램프 노브를 관통하여 록킹 가동 부재 배치구 측으로 배출되는 구성을 취 할 수도 있고, 밑면이 록킹 가동 부재 배치구에 고정 장착되고 빗면이 가동 부재 경사면을 형성하는 ∠ 자 타입의 록킹 가동 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는 등, 록킹 가동 부재를 포함하는 회동 록킹부를 구비하는 레버 스위치의 구조를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 스위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레버 스위치는, 후방 포그 램프의 점등을 라이트 램프의 일정 조건하에서 허용하는, 포그 램프 노브와 함께 회동하는 록킹 가동 부재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의 회동 록킹부를 구비함으로써, 레버 스위치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 및 부품수 감소를 통한 제조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레버 스위치는, 록킹 가동 부재를 단일의 구성요소로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조 원가 및 생산 공정 개선을 통한 제조 원가 절감을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축방향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레버 관통축;
    상기 레버 관통축의 일단에 고정 장착되어 라이트 오프 상태를 포함하는 사전 설정된 복수 개의 라이트 램프 상태로 축방향 회동 가능한 라이트 램프 노브;
    상기 하우징과 상기 라이트 램프 노브 사이에 복수 개의 포그 램프 상태로 축 방향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포그 램프 노브;
    상기 라이트 램프 노브와 상기 포그 램프 노브 사이로,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 노브; 및
    상기 라이트 램브 노브가 상기 라이트 오프 상태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포그 램프 노브의 회동을 제한하되, 상기 라이트 오프 상태로부터 다른 라이트 조작 위치로 상기 라이트 램프 노브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고정 노브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상기 포그 램프 노브의 회동을 허용하고 일단이 상기 포그 램프 노브의 록킹 가동 부재 배치구에 배치되어 상기 포그 램프 노브와 함께 회동하는 록킹 가동 부재를 포함하는 회동 록킹부;를 구비하는 레버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록킹부는:
    상기 라이트 램프 노브의 상기 포그 램프 노브를 향한 일측에 배치되는 가동 부재 누름 돌기와, 상기 가동 부재 누름 돌기가 관통하고 상기 록킹 가동 부재의 타단과의 맞물림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노브에 형성되는 누름 돌기 관통구를 구비하고,
    상기 라이트 램프 노브가 상기 라이트 오프 상태로부터 다른 라이트 상태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가동 부재 누름 돌기가 상기 록킹 가동 부재의 일면을 가압하여 상기 누름 돌기 관통구와 상기 록킹 가동 부재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가동 부재는, 일단이 상기 포그 램프 노브의 내측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가동 부재 누름 돌기와 맞닿음 가능하도록 타단이 상기 포그 램프 노브의 내주를 따라 상기 고정 노브를 향하도록 경사진 가동 부재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가동 부재는, 상기 록킹 가동 부재 배치구에 배치되는 록킹 가동 탄성 부재와, 일면 상기 록킹 가동 탄성 부재와 맞닿고 타면은 상기 가동 부재 누름 돌기와 맞닿음 가능하도록 일측이 타측보다 상기 고정 노브와 가깝도록 경사진 가동 부재 경사면을 구비하는 록킹 가동 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가동 블록의 외측에 축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가동 블록 가이드와,
    상기 록킹 가동 부재 배치구의 내측으로 상기 가동 블록 가이드의 대응 위치에는 상기 가동 블록 가이드와 맞물리어 상기 록킹 가동 블록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동 블록 가이드 대응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 램프 상태는 상기 포그 램프 노브의 축방향 회동에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포그 오프 상태, 전방 포그 온 상태, 후방 포그 온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포그 램프 상태가 상기 후방 포그 온 상태이고 상기 라이트 램프 노브가 상기 다른 라이트 램프 상태일 때, 상기 라이트 램프 노브가 상기 라이트 오프 상태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포그 램프 노브를 상기 전방 포그 온 상태로 회동시키는 회동 리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리턴부는:
    상기 라이트 램프 노브의 상기 포그 램프 노브를 향한 일측에 배치되는 회동 리턴 돌기와,
    상기 회동 리턴 돌기의 관통을 허용하도록 상기 고정 노브에 형성되는 리턴 돌기 관통구와,
    상기 포그 램프 노브의 상기 라이트 램프 노브를 향한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 리턴 돌기의 일단을 수용 가능하고 내측면이 상기 회동 리턴 돌기의 일단과 맞닿음 가능한 리턴 돌기 수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램프 노브와 상기 고정 노브의 서로를 향한 일면의 어느 일측에는 라이트 노브 디텐트가 구비되고, 다른 일면에는 상기 라이트 노브 디텐트와 맞물리어 상기 라이트 램프 노브의 회동을 절도시키는 라이트 노브 절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노브와 상기 포그 램프 노브의 서로를 향한 일면의 어느 일측에는 포그 노브 디텐트가 구비되고, 다른 일면에는 상기 포그 노브 디텐트와 맞물리어 상기 포그 램프 노브의 회동을 절도시키는 포그 노브 절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KR1020060135216A 2006-12-27 2006-12-27 레버 스위치 KR100797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216A KR100797607B1 (ko) 2006-12-27 2006-12-27 레버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216A KR100797607B1 (ko) 2006-12-27 2006-12-27 레버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7607B1 true KR100797607B1 (ko) 2008-01-23

Family

ID=39219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5216A KR100797607B1 (ko) 2006-12-27 2006-12-27 레버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6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732B1 (ko) 2007-07-18 2008-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기복귀식 안개등 스위치
KR101414293B1 (ko) 2012-12-12 2014-08-0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8680A (ja) 1999-03-15 2000-09-29 Tokai Rika Co Ltd 自動車用複合スイッチレバー
US6403899B1 (en) 2000-03-23 2002-06-11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Vehicle fog lamp interlock switch apparatus
KR20020044808A (ko) * 2000-12-06 2002-06-19 이철환 안개등 스위치 겸용 헤드램프 스위치 장치
KR20040015995A (ko) * 2002-08-14 2004-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스위치 조작레버
KR100458157B1 (ko) 1996-01-18 2005-05-18 나이루스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차용복합스위치레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157B1 (ko) 1996-01-18 2005-05-18 나이루스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차용복합스위치레버장치
JP2000268680A (ja) 1999-03-15 2000-09-29 Tokai Rika Co Ltd 自動車用複合スイッチレバー
US6403899B1 (en) 2000-03-23 2002-06-11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Vehicle fog lamp interlock switch apparatus
KR20020044808A (ko) * 2000-12-06 2002-06-19 이철환 안개등 스위치 겸용 헤드램프 스위치 장치
KR20040015995A (ko) * 2002-08-14 2004-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스위치 조작레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732B1 (ko) 2007-07-18 2008-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기복귀식 안개등 스위치
KR101414293B1 (ko) 2012-12-12 2014-08-0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6931B2 (ja) 室内照明装置
JPH09198968A (ja) 自動車用複合スイッチレバー装置
JP3765550B2 (ja) 車載用ノブスイッチ装置
JP2007080788A (ja) 車載用ノブスイッチ装置
US6172311B1 (en) Lever switch
KR100797607B1 (ko) 레버 스위치
JP3740316B2 (ja) 自動車用複合スイッチレバー
KR100828199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CN111377013A (zh) 车把锁定装置
KR100853753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JP4969343B2 (ja) 車両用変速操作装置
CN111377014B (zh) 车把锁定装置
KR100862001B1 (ko) 와이퍼 스위치
KR100812477B1 (ko)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JP5152892B2 (ja) 車両用スイッチ装置
JP4210622B2 (ja) 車両用スイッチ装置
EP1291241B1 (en) Complex switch lever for automobile
KR100320847B1 (ko) 자동차용 이그니션 스위치와 캠 샤프트의 조립구조
KR200485778Y1 (ko) 차량의 스티어링 롤링 커넥터 장치
JP6017349B2 (ja) スイッチ装置
KR200469359Y1 (ko)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
KR200457186Y1 (ko)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100735985B1 (ko) 차량의 레버 커넥
KR20040015995A (ko)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스위치 조작레버
KR200314096Y1 (ko)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