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5995A -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스위치 조작레버 - Google Patents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스위치 조작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5995A
KR20040015995A KR1020020048179A KR20020048179A KR20040015995A KR 20040015995 A KR20040015995 A KR 20040015995A KR 1020020048179 A KR1020020048179 A KR 1020020048179A KR 20020048179 A KR20020048179 A KR 20020048179A KR 20040015995 A KR20040015995 A KR 20040015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switch
contact
light
f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후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8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5995A/ko
Publication of KR20040015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99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54Lever switches with blade-type contact co-operating with one or two spring-clip contacts, e.g. knife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스위치 조작레버에 관한 것으로, 리어포그램프의 점멸 구속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접점을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내에 형성시켜 리어포그램프와 프론트포그램프사이의 전기회로를 삭제하면서 이에 따른 전기소자도 함께 삭제시켜 제조비용과 조립공정을 줄이면서 조작의 편리성도 향상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10)가 손으로 잡고 돌려 순차적으로 전기 접점을 연결시키는 라이트어퍼노브와, 이 노브의 조작 위치에 따라 전기회로를 구성하도록 접점을 형성하는 포그콤비램프노브 및 이 노브들이 각각 측면에서 결합되는 라이트로워노브로 이루어진 어퍼어셈블리(20)와; 이 어퍼어셈블리(20)의 조작에 의해 각 램프들을 작동시키는 다수의 전기 접점이 연결되면서 상·하로 피봇 이동되도록 스티어링컬럼의 일측에 결합시켜주는 지지노브(30)와, 이 지지노브(30)를 관통해 각 노브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스위치샤프트(32) 및 상기 어퍼어셈블리(20)의 조작시 접점을 연결시켜 전원을 통전시켜주는 스위치인슐레이터(31)로 이루어진 로워어셈블리(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스위치 조작레버{Combination switch operating lever using physical structure contact points in vehicle}
본 발명은 다기능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포그(Fog)램프의 작동을 위한 접점을 내부에서 기구적으로 단락시키면서도 프론트포그(Fog)램프와 병합해 회로 구성을 위한 와이어배선과 전기소자의 사용을 줄일 수 있도록 된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중이나 일시 정지시 현 차량의 상태를 외부에 알리거나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차량의 전·후방 및 측면과 실내에 다양한 램프(Lamp)가 설치되고 이를 작동시키기 이해 운전석 부위에 조작 스위치가 설치되어진다.
이와 같이 각종 램프를 점등시키기 위한 조작 스위치중 1개 이상의 램프를 온(On)·오프(Off)하기 위한 다수의 접점이 순차적으로 단락되는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10)가 이용되는데, 이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컬럼(S)의 일측에서 운전자가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피봇(Pivot)결합됨과 더불어 운전자의 회전조작에 의해 램프를 온·오프하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10)는 일정구간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램프점등용 접점을 온·오프시키는 어퍼어셈블리(20)와, 이 어퍼어셈블리(20)에 다수의 접점이 단락되면서 피봇운동되도록 스티어링컬럼(S)의 일측에 구비된 로워어셈블리(30) 및 상기 어셈블리(20,30)사이에 개재되어 프론트포그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접점단자를 형성하는 포그램프노브(40)로 이루어진다.
한편, 차량의 운전석을 이루는 인스트먼트패널부위에는 상기 조작레버(10)의 조작과 별도로 조작되는 리어포그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리어포그램프버튼(50)이 구비되어진다.
또한, 상기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10)에는 상·하로 피봇이동시 차량의 선회 방향을 좌·우로 지시하는 방향지시등(Turn Signal)을 위한 전기접점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상기 조작레버(10)의 각 조작 단계에 따라 원하는 램프를 점등할 수 있도록 조작시 접점이 단락되면서 온·오프되도록 서로 전기회로를 구성하게 되는데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그니션스위치(IS)와 라이트스위치(MS) 및 프론트포그스위치(FF)가 각 접점을 통해 서로 연결됨과 더불어 리어포그스위치(RF)가 상기 프론트포그스위치(FF)가 온(On)된 상태에서 점등되도록 각 접점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한편, 각 스위치(MS,FF,RF)의 작동조건에 따라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각 배선용 와이어 라인 상에 다이오드와 릴레이등이 구비되어진다.
이와 같은 전기회로의 구성은 유럽국가에서 채택하고 있는 법규에 의한 리어 포그램프의 작동 조건 즉, 전조등(H/LP)이나 프론트포그램프 온(On)조건에서만 리어 포그램프가 온(On)되어야 만 하고 또한 리어 포그램프의 온(On)시 키를 탈거하고 도어를 열 때 운전자에게 경고를 할 수 있는 조건을 조작레버(10)와 이의 조작위치에 따라 접점이 단락되는 각 스위치(IS,MS,FF,RF)간의 와이어 배선과 다이오드등을 이용해 만족하게 됨은 물론이다.
즉, 이와 같은 스위치들의 회로구성에 따라 운전자가 전조등(H/LP)을 온(On)시킨 상태에서 리어포그스위치(RF)를 온(On)시키면, 이에 따른 리어포그램프의 동작회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구성되어 공급받는 배터리전원공급부(B)로부터 A-1라인을 통해 리어포그스위치(RF)로 전원이 공급되고, 이로부터 인출된 A-2라인이 이그니션스위치(IS)로부터 프론트포그스위치(FF)로 이어지는 A-3라인에 일 방향성의 D-2다이오드를 매개로 라이트스위치(MS)와 프론트포그스위치(FF)로 이어지는 A-4라인에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어 진다.
이어, 상기 A-2라인에 공급된 전원은 이그니션스위치(IS)로부터 리어포그램프로 전원을 통전시키는 A-5라인상에 구비된 릴레이(R-1)를 온(On)시켜 램프를 점등시켜주게 된다.
이때, 상기 D-2다이오드는 전조등(H/LP)이 온(On)되었을 때 A-3라인과 A-4라인을 통한 프론트포그스위치(FF)의 온(On)을 방지하기 위한 것임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A-3라인상에는 전조등(H/LP)온(On)시 블로워모터(Blower Motor)의 온(On)을 방지하기 위한 D-1다이오드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프론트포그스위치(FF)가 온(On)된 상태에서 리어포그스위치(RF)를 온(On)시키면, 이에 따른 리어포그램프의 동작회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1라인을 통해 공급된 전원이 A-2라인을 매개로 A-4라인의 다이오드(D-2)를 거치면서 A-3라인으로 이어지면서, 이 A-3라인이 연결된 프론트포그스위치(FF)와 라이트스위치(MS)를 연결하는 A-6라인을 통해 접지되면서 전원회로를 이루어 램프를 점등시켜주게 된다.
그리고, 미등스위치의 조작시 미등(T/LP)을 점등하도록 A-2라인으로 연결된 A-8라인에는 서로 반대 방향 특성을 갖는 D-3와 D-4다이오드가 구비되는데 이중, 상기 D-3다이오드는 전조등(H/LP)이 온(On)될 때 A-2와 A-5라인상에 구비된 릴레이(R-1)가 온(On)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D-4다이오드는 리어포그스위치(RF)가 온(On)되었을 때 A-1과 A-2 및 A-8라인을 통해 미등(T/LP)을 온(On)시키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리어포그스위치(RF)를 온(On)시킨 상태에서 조작레버(10)를 원위치 시킨 다음 운전자가 시동키를 탈거 한 후 도어를 열게 되면 유럽국가에서 채택하고 있는 법규에 따라 운전자에게 경고하게 되는데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1라인을 통해 공급된 전원이 A-2라인을 매개로 A-7라인을 통해 전원회로를 이루어 부저를 작동시켜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위치회로의 구성 즉, 라이트스위치(MS) 와 프론트포그스위치(FF) 및 리어포그스위치(RF)들이 각각 별도로 구성되고 이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해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 와이어를 배선해야 됨은 물론 상기 스위치(MS,FF,RF)들간의 작동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이오드(D-1,D-2,D-3,D-4)와 릴레이(R-1)등의 장착을 위한 조립 공정이 추가되어 제조 비용의 상승을 가져오는 단점이 있게 된다.
또한, 리어포그램프의 작동이 조작레버(10)의 조작 상태와 연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리어포그스위치(RF)가 인스트루먼트패널부위에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조작시 불편을 가져오고 또한 부주의로 인해 오프시키지 않는 일이 빈번한 단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리어포그램프의 점멸 구속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접점을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내에 형성시켜 리어포그램프와 프론트포그램프사이의 전기회로를 삭제하면서 이에 따른 전기소자도 함께 삭제시켜 제조비용과 조립공정을 줄이면서 조작의 편리성도 향상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가 일정구간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전조등과 미등 및 프론트·리어램프의 접점을 온·오프시키는 어퍼어셈블리와, 이 어퍼어셈블리의 조작에 의해 각 램프들을 작동시키는 다수의 전기 접점이 연결되면서 상·하로 피봇이동시 차량의 선회 방향을 좌·우로 지시하는 방향지시등을 위한 전기접점이 형성되도록 스티어링컬럼의 일측에 결합된 로워어셈블리로 이루어지되, 상기 어퍼어셈블리는 손으로 잡고 돌려 순차적으로 전기 접점을 연결시키는 라이트어퍼노브와, 이 노브의 조작 위치에 따라 전기회로를 구성하도록 접점을 형성하는 포그콤비램프노브 및 이 노브들이 각각 측면에서 결합되는 라이트로워노브로 이루어지는 한편, 로워어셈블리는 어퍼어셈블리와 결합되는 지지노브를 관통해 서로 결합시키는 스위치샤프트와, 상기 어퍼어셈블리의 조작시 접점을 연결시켜 전원을 통전시켜주는 스위치인슐레이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라 조향장치에 구비된 라이트 램프 온·오프용 다기능스위치의 조작레버 장착 상태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다기능스위치의 회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램프 온·오프용 다기능스위치의 조작레버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로워노브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그(Fog)램프노브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그(Fog)램프노브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램프 온·오프용 다기능스위치의 조작레버 결합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스위치의 회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프론트포그스위치 오프(Off)시 조작레버내부의 각 부품간의 결합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프론트포그스위치 온(On)시 조작레버내부의 각 부품간의 결합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리어포그스위치 온(On)시 조작레버내부의 각 부품간의 결합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작레버의 복귀시 포그램프스위치가 자동으로 오프(Off)되는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위치조작레버20 : 어퍼어셈블리
21 : 라이트어퍼노브21a,30a : 하우징
21b,22b : 인너보스21c : 리턴바
21d : 피봇보스21e : 포지셔너
21f : 고정핀
22 : 라이트로워노브22a,26a : 케이스
22c,26b : 인너바디22c',26b' : 컨텍터홈
22c" : 록크캠홈22c'" : 연통홀
22c"" : 절도턱
22d : 가이드슬랏22e : 구속보스
24 : 록크캠24a,29a : 바디
24b : 사이드보스24c : 돌출보스
24d,25b,27',28b : 스프링
25 : 제1모드부재25a : 슬라이딩바
26 : 포그콤비램프노브26b" : 구속슬랏
26b'" : 록크불록홈26c : 연결리브
26d : 지지보스27 : 록크불록
28 : 제2모드부재28a : 슬라이딩볼
29 : 컨택터미널
29b',29b",29b'" : 제1·2·3컨택터30' : 로워어셈블리
30 : 지지노브30b : 록크가이더
30c : 록킹바30c' : 걸림단
30c" : 확장슬릿30d : 수용홀
31 : 스위치인슐레이터31a : 접촉플레이트
31b',31b",31b'" : 제1·2·3터미널
31c',31c",31c'" : 제1·2·3케이블31d : 커넥터
32 : 스위치샤프트40 : 프론트포그램프노브
50 : 리어포그램프버튼
a : 오프포지션b ; 제1모드포지션
c : 제2모드포지션B : 배터리전원공급부
F : 포그콤비스위치
FF : 프론트포그스위치RF : 리어포그스위치
IS : 이그니션스위치MS : 라이트스위치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램프 온·오프용 다기능스위치의 조작레버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의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10)는 일정구간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전조등과 미등 및 프론트·리어램프의 접점을 온·오프시키는 어퍼어셈블리(20)와, 이 어퍼어셈블리(20)의 조작에 의해 각 램프들을 작동시키는다수의 전기 접점이 연결되면서 상·하로 피봇이동시 차량의 선회 방향을 좌·우로 지시하는 방향지시등을 위한 전기접점이 형성되도록 스티어링컬럼(S)의 일측에 결합된 로워어셈블리(30')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어퍼어셈블리(20)는 손으로 잡고 돌려 순차적으로 전기 접점을 연결시키는 라이트어퍼노브(21)와, 이 라이트어퍼노브(21)의 조작에 의해 전조등과 포그램프사이에 전기회로를 구성하도록 접점을 형성하는 포그콤비램프노브(26) 및 이 노브(21,26)사이에 지지 역할을 하면서 라이트어퍼노브(21)의 위치를 구속하는 라이트로워노브(22)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어퍼어셈블리(20)의 각 노브(21,22,26)들은 서로 결합되면서 그 이동이 제한되고 이동 위치가 구속되도록 기구적인 결합구조를 갖게 되는데 즉, 상기 라이트어퍼노브(21)는 고정핀(21f)을 매개로 스위치샤프트(32)에 결합되어 회전 조작력을 전달하는 하우징(21a)과, 이 하우징(21a)의 내부에서 중앙부위로 돌출되어 스위치샤프트(32)가 결합되는 중공의 인너보스(21b), 이 인너보스(21b)의 바깥쪽에서 포그콤비램프노브(26)와 결합되도록 돌출되는 리턴바(21c), 이 리턴바(21c)의 바깥쪽에서 구 형상의 끝단을 형성해 조작위치로 회전시 이동되면서 라이트로워노브(22)를 가압하도록 돌출된 피봇보스(21d) 및 상기 하우징(21a)의 조작위치인 오프포지션(a)·제1모드포지션(b)·제2모드포지션(c)에 대한 조작감을 단계적으로 형성하도록 각 포지션(a,b,c)별 위치를 형성한 포지셔너(21e)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오프포지션(a)은 램프를 점등시키지 않는 위치인 반면, 제1모드포지션(b)은 프론트포그램프 작동위치이며 제2모드포지션(c)은 리어포그램프 작동위치이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로워노브(22)는 외관을 이루면서 로워어셈블리(30')와 결합되도록 3방향에서 가이드슬랏(22d)이 소정깊이로 형성된 케이스(22a)와, 이 케이스(22a)의 내부에서 스위치샤프트(32)가 삽입되도록 중공을 형성하면서 로워어셈블리(30)를 구속하도록 돌출된 한 쌍의 구속보스(22e)를 그 내부로 형성한 인너보스(22b), 상기 케이스(22a)와 인너보스(22b)사이의 공간을 일정 구간 막아주는 인너바디(22c), 이 인너바디(22c)에 수용되어 라이트어퍼노브(21)의 피봇보스(21d)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록크캠(24) 및 상기 인너바디(22c)에 수용되어 라이트어퍼노브(21)의 조작시 구름마찰되어 부드러운 조작감을 생성시키는 제1모드부재(25)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너바디(22c)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어퍼노브(21)쪽으로 그 중심부위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로 한 쌍의 제1모드부재(25)가 수용되도록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컨텍터홈(22c')과, 이 컨텍터홈(22c')이 하부부위로 라이트어퍼노브(21)의 피봇보스(21d)와 접촉되어 이동되는 록크캠(24)을 수용하도록 소정 깊이의 록크캠홈(22c")이 각각 형성되는 한편, 상기 라이트어퍼노브(21)쪽의 반대면에는 상기 록크캠(24)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록크캠홈(22c")과 연통된 연통홀(22c'")과, 라이트로워노브(22)의 회전시 포그콤비램프노브(26)와 서로 접촉되면서 조작 절도감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의 절도턱(22c"")이 구비되어진다.
또한, 상기 록크캠(2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이트로워노브(22)를 이루는 인너바디(22c)의 록크캠홈(22c")에 수용됨과 더불어 라이트어퍼노브(21)의 피봇보스(21d)에 접촉되는 바디(24a)와, 이 바디(24a)를 록크캠홈(22c")에 고정시키도록 양끝에서 돌출된 사이드보스(24b), 록크캠홈(22c")과 연통된 연통홀(22c'")로 끼워지도록 바디(24a)측면에서 돌출된 돌출보스(24c) 및 피봇보스(21d)에 의한 이동 후 원위치 복원시 탄성력을 발생하도록 바디(24a)와 록크캠홈(22c")사이에 개재된 스프링(24d)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모드부재(25)는 라이트로워노브(22)를 이루는 인너바디(22c)의 컨텍터홈(22c')에 수용되면서 라이트어퍼노브(21)의 조작시 포지셔너(21e)의 각 포지션(a,b,c)사이로 위치되면서 조작 절도감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슬라이딩바(25a)와, 이 슬라이딩바(25a)에 각각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컨텍터홈(22c')내로 수용된 스프링(25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바(25a)의 끝단은 라이트어퍼노브(21)의포지셔너(21e)를 원활히 이동하도록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포그콤비램프노브(26)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26a)의 내부에서 스위치샤프트(32)가 삽입되도록 중공을 형성하면서 소정간격으로 다수부위에 형성된 연결리브(26c)를 매개로 케이스(26a)에 결합된 인너바디(26b)와, 이 인너바디(26b)에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컨텍터홈(26b')에 수용되어 회전시 구름마찰되어 부드러운 조작감을 생성시키는 제2모드부재(28), 상기 인너바디(26b)의 록크불록홈(26b'")에 수용되어 라이트로워노브(22)의 록크캠(24)과 접촉되는 록크불록(27) 및 라이트로워노브(22)반대쪽으로 돌출되어 포그콤비램프노브(26)의 조작시 전기 접점을 형성하는 컨택터미널(29)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인너바디(26b)에는 어퍼라이트노브(21)의 리턴바(21c)가 삽입되어 포그콤비램프노브(26)의 위치를 구속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개구된 구속슬랏(26b")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록크불록(27)은 조작 후 원위치 복원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스프링(27')에 의해 지지되어지는 한편, 상기 연결리브(26c)는 1개 이상으로 형성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소정각도로 3곳에 형성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모드부재(28)는 라이트로워노브(22)의 절도턱(22c"")을 따라 조작 절도감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슬라이딩볼(28a)과, 이 슬라이딩볼(28a)에 각각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컨텍터홈(26b')내로 수용된 스프링(28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컨택터미널(29)은 포그콤비램프노브(26)의 돌출된 지지보스(26d)에 끼워지는 바디(29a)와, 이 바디(29a)에 일부분이 일체로 이루어지면서 타 부위가 분리·돌출되어 전기 접점을 이루는 컨택터로 이루어지되, 이 컨택터는 포그콤비램프노브(26)의 조작시 전기 접점을 3곳에서 형성하도록 제1·2·3컨택터(29b',29b",29b'")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로워어셈블리(30')에는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도록 어퍼어셈블리(20)와 결합되는 지지노브(30)를 관통해 서로 결합시키면서 그 일단이 스티어링컬럼(S)에 피봇결합되는 스위치샤프트(32)가 삽입되는 한편, 상기 어퍼어셈블리(20)의 조작시 접점을 연결시켜 전원을 통전시켜주는 스위치인슐레이터(31)가 구비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노브(30)는 스위치샤프트(32)가 관통되도록 내부로 홀을 형성하면서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2a)의 일단에 어퍼어셈블리(20)를 결합하는 록킹수단이 형성되되, 이 록킹수단은 라이트로워노브(22)의 케이스(22a)를 고정하도록 케이스(22a)의 가이드슬랏(22d)에 끼워지도록 소정 간격으로 3곳에서 돌출된 록크가이더(30b)와, 소정 깊이를 갖는 수용홀(30d)로 포그콤비램프노브(26)와 라이트로워노브(22)가 순차적으로 끼워져 수용되면서 그 중압부위에서 돌출되어 상기 노브(22,26)가 삽입되는 록킹바(30c)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록킹바(30c)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로워노브(22)의 인너보스(22b)내부에 형성된 구속보스(22e)와 결합되도록 그 끝단에 화살촉 형상의 걸림단(30c')이 형성되는 한편, 스위치샤프트(32)가 삽입되면서 그 직경이 확장되어 상기 구속보스(22e)와의 결합력을 강화하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확장슬릿(30c")이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스위치인슐레이터(31)는 포그콤비램프노브(26)에 결합된 컨택터미널(29)에 접촉되는 접촉플레이트(31a)와, 이 접촉플레이트(31a)를 통해 램프와 전기회로를 구성하도록 연결되는 커넥터(31d)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촉플레이트(31a)에는 커넥터(31d)로 모여지는 제1·2·3케이블(31c',31c",31c'")이 각각 연결되면서 컨택터미널(29)의 제1·2·3컨택터(29b',29b",29b'")에 각각 접촉되도록 제1·2·3터미널(31b',31b",31b'")이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샤프트(32)는 로워·어퍼어셈블리(20,30')를 관통하도록 긴축으로 형성되면서 스티어링컬럼(S)에 결합되어 조작레버(10)를 피봇 이동시키도록 그 끝단부위를 절곡시켜 주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10)는 어퍼·로워어셈블리(20,30')의 각 구성품들을 순차적으로 결합시켜 주게 되는데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워어셈블리(30')를 이루는 지지노브(30)의 록킹바(30c)에 스위치인슐레이터(31)를 끼워 수용홀(30d)안쪽으로 위치시키면서 커넥터(31d)를 외부로 인출시킨 후, 이어 포그콤비램프노브(26)의 인너바디(26b)에 끼워진 컨택터미널(29)이 상기 스위치인슐레이터(31)에 접촉되도록 포그콤비램프노브(26)를 록킹바(30c)에 끼워 준다.
이와 같이 상기 포그콤비램프노브(26)에 이어 록킹바(30c)에라이트로워노브(22)끼운 다음, 상기 록킹바(30c)의 끝단에 형성된 화살촉 형상의 걸림단(30c')이 라이트로워노브(22)의 인너보스(22b)내부에 형성된 구속보스(22e)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어, 상기 라이트로워노브(22)의 인너바디(26b)에 형성된 록크캠슬랏(26b")로 라이트어퍼노브(21)의 리턴바(21c)를 삽입시킴과 더불어 로워어셈블리(30')로부터 상기 라이트어퍼노브(21)쪽으로 스위치샤프트(32)를 삽입시킨 후, 상기 라이트어퍼노브(21)를 통해 고정핀(21f)을 스위치샤프트(32)쪽으로 삽입시켜 고정시켜주게 된다.
이때, 상기 라이트어퍼노브(21)의 조작시 피봇보스(21d)에 의해 각 포지션(a,b,c)에 따라 조작되는 록크캠(24)과 록크불록(27) 및 조작 절도감을 발생시키는 제1·2모드부재(25,28)들은 각각 라이트로워노브(22)와 포그콤비램프노브(26)에 위치되어짐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스위치샤프트(32)를 매개로 서스티어링칼럼(S)에 피봇결합되면서 서로 결합되어 전기 접점을 형성하는 어퍼·로워어셈블리(20,30')는 프론트와 리어포그램프의 작동이 라이트어퍼노브(21)의 조작만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즉, 본 발명에 따른 조작레버(10)의 전기회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등(T/LP)온(On)시 리어포그램프가 온(On)되고 미등(T/LP)오프(Off)시 리어포그램프가 자동적으로 오프(Off)되도록 프론트와 리어포그램프스위치를 통합한 포그콤비스위치(F)를 통해 라이트스위치(MS)와 이그니션스위치(IS)간의 각 접점이 전기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전기회로는 프론트포그램프의 점등은 A-3라인을 통해 이그니션스위치(IS)로부터 포그콤비스위치(F)로 이어지면서 A-6라인을 통해 라이트스위치(MS)와 접지되면서 전원회로를 이루는 한편, 리어포그램프의 점등은 프론트포그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이그니션스위치(IS)와 리어포그램프사이에 형성된 A-5라인에 릴레이(R-1)를 매개로 연결되어 포그콤비스위치(F)로부터 이어지는 A-2'라인과 라이트스위치(MS)로 이어지는 A-6라인을 통해 전원회로를 이루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스위치와 A-7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부저가 미등(T/LP)이 점등된 상태에서 이그니션스위치(IS)로부터 키를 탈거 할 때 작동되도록 미등스위치에 직접 연결된 A-8라인과 서로 연결되어 회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라이트와 프론트포그 및 리어포그램프를 점등하기 위한 전기회로가 어퍼·로워어셈블리(20,30')에서 구조적으로 형성되는 오프·제1모드·제2모드포지션(a,b,c)의 전기접점 구조를 통해 다수의 다이오드를 이용하지 않고 요구되는 작동 조건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작레버(10)를 미등(T/LP)또는 프론트포그램프가 점등되는 반면 전조등(H/LP)과 리어포그램프가 점등되지 않는 제1모드포지션(b)으로 어퍼어셈블리(20)를 조작하게 되면, 라이트어퍼노브(21)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프포지션(a)에서 제1모드포지션(b)으로 이동되면서 프론트포그스위치를 오프(Off)위치에서 온(On)위치로 이동되는 반면, 포그콤비램프노브(26)의 록크불록(27)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로워노브(22)의 인너바디(22c)에 형성된 연통홀(22c'")로 끼워져 회전되지 못하도록 물리적으로 구속하게 된다.
즉, 어퍼어셈블리(20)의 라이트어퍼노브(21)가 오프포지션(a)에 위치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그콤비램프노브(26)의 인너보스(26b)에 형성된 록크불록홈(26b'")으로 삽입된 록크불록(27)이 상기 라이트로워노브(22)의 인너보스(22b)에 형성된 록크캠홈(22c")부위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위치되지만, 상기 라이트어퍼노브(21)가 프론트포그스위치가 온(On)되는 제1모드포지션(b)으로 회전되어 위치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어퍼노브(21)의 피봇보스(21d)가 라이트로워노브(22)의 록크캠(24)을 가압하면서 이동되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라이트어퍼노브(21)의 제1모드포지션(b)까지 회전함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피봇보스(21d)에 의해 눌려지는 록크캠(24)이 라이트로워노브(22)의 인너보스(22b)에 형성된 연통홀(22c'")을 따라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라이트로워노브(22)의 인너바디(22b)에 형성된 연통홀(22c'")이 도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위치에서 구속위치로 이동됨과 더불어 포그콤비램프노브(26)에 결합된 록크불록(27)이 연통홀(22c'")로 위치되어진다.
이로 인해, 상기 포그콤비램프노브(26)를 회전시키려고 조작하더라도 록크불록(27)이 라이트로워노브(22)의 연통홀(22c'")에 의해 그 이동이 저지 당하므로 제1모드포지션(b)에서는 제2모드포지션(c)에서 조작되는 리어포그램프의 점등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라이트로워노브(22)의 인너바디(22c)에 수용된 제1모드부재(25)는 라이트어퍼노브(21)의 포지셔너(21e)에 형성된 포지션별 위치로 접촉하여 부드러움과 절도있는 조작감을 생성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어퍼노브(21)의 제1모드포지션(b)위치시 초기위치에서 구속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프론트포그램프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그니션스위치(IS)로부터 포그콤비스위치(F)로 이어지는 A-3라인과 포그콤비스위치(F)로부터 라이트스위치(MS)로 이어지는 A-6라인 및 라이트스위치(MS)의 접지라인에 의해 전원회로를 이루어 점등되어진다.
한편, 리어포그램프를 점등하려면 라이트어퍼노브(21)를 제2모드포지션(c)으로 조작해 포그콤비램프노브(26)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여야 하는데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어퍼노브(21)를 제1모드포지션(b)에서 제2모드포지션(c)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라이트어퍼노브(21)의 피봇보스(21d)가 라이트로워노브(22)의 록크캠(24)의 바디(24a)를 따라 이동하면서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라이트로워노브(22)의 록크캠(24)이 라이트어퍼노브(21)의 피봇보스(21d)에 의해 밀리면서 포그콤비램프노브(26)의 록크불록(27)이 라이트로워노브(22)로부터 밀려나게 되는데 즉, 상기 라이트로워노브(22)의 연통홀(22c'")을 록크불록(27)이 벗어나서 회동위치로 이동되어 포그콤비램프노브(26)의 조작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라이트로워노브(22)의 인너바디(22c)에 수용된 제1모드부재(25)는 라이트어퍼노브(21)의 포지셔너(21e)에 형성된 포지션별 위치로 접촉하여 부드러움과 절도있는 조작감을 생성시키는 한편, 상기 포그콤비램프노브(26)의 인너바디(26b)에 수용된 제2모드부재(28)도 라이트로워노브(22)의 인너바디(22c)에 형성된 절도턱(22c"")과 접촉하여 부드러움과 절도있는 조작감을 생성시키게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어퍼노브(21)의 제2모드포지션(c)위치시 구속위치에서 이동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리어포그램프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A-3라인과 A-6라인이 전원회로를 이루어 프론트포그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포그콤비램프노브(26)를 조작하면, 이그니션스위치(IS)와 포그콤비스위치(F)를 연결하는 A-2'라인에 전원이 통전되면서 이그니션스위치(IS)와 리어포그램프사이에 형성된 A-5라인과 연결된 릴레이(R-1)를 매개로 전원이 통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그니션스위치(IS)와 포그콤비스위치(F) 및 라이트스위치(MS)사이에 전기회로를 형성하는 A-3라인과 A-6라인 및 A-2'라인과 A-5라인을 통해 전원회로를 이루어 점등되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조작레버(10)의 라이트어퍼노브(21)가 제2모드포지션(c)에서 제1모드포지션(b)을 거쳐 오프포지션(a)으로 원 위치 복귀될 때에는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어퍼노브(21)의 리턴바(21c)가 포그콤비램프노브(26)의 구속슬랏(26b")에 위치되도록 이동된 상태에서 포그콤비램프노브(26)를 구속하면서 함께 이동시켜 포그램프를 자동으로 오프(Off)시켜 주게 된다.
이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레버(10)의 라이트어퍼노브(21)가 오프포지션(a)에 있을 때는 상기 라이트어퍼노브(21)의 리턴바(21c)가 포그콤비램프노브(26)의 구속슬랏(26b")에 자유롭게 위치된 상태에서 제1·2모드포지션(b,c)으로 이동되면서 구속슬랏(26b")의 끝 부위로 위치되어지는데 즉, 상기 라이트어퍼노브(2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각 포지션(a,b,c)별로 순차적으로 작동시킬 때 포그콤비램프노브(26)의 구속슬랏(26b")내에 위치되는 리턴바(21c)가 전혀 구속받지 않고 이동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라이트어퍼노브(21)의 리턴바(21c)가 포그콤비램프노브(26)의 구속슬랏(26b")끝 부위로 위치된 후 프론트포그램프가 오프(Off)되는 오프포지션(a)으로 이동되면 즉, 상기 라이트어퍼노브(21)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포그콤비램프노브(26)의 구속슬랏(26b")끝 부위로 위치된 리턴바(21c)가 포그콤비램프노브(26)를 반 시계방향으로 함께 밀면서 회전시켜주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라이트어퍼노브(21)가 오프포지션(a)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포그콤비램프노브(26)를 이동시켜 리어포그램프를 온(On)위치에서 오프(Off)위치로 강제 복귀시켜주게 된다.
이와 같이, 리어포그램프를 점등시킨 상태에서 조작레버(10)를 오프포지션(a)으로 이동시킨 후 운전자가 시동키를 탈거하고 도어를 열게 되더라도, 본 발명의 포그콤비램프노브(26)가 라이트어퍼노브(21)에 의해 구속되어 강제적으로 리어포그램프를 오프(Off)위치로 복귀시키게 되므로 결국, 상기 리어포그램프가 점등된 상태로 도어를 열 때 운전자에게 리어포그램프의 점등 상황을 경고하기 위해 부저와 연계되는 전기회로를 구성하지 않게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레버를 이루는 라이트어퍼노브와 포그콤비램프노브가 프론트포그램프가 온(On)된 상태에서만 리어포그램프가 온(On)되도록 라이트로워노브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라이트어퍼노브의 조작 위치인 온·제1모드·제2모드포지션이 순차적으로 조작된 상태에서만 포그콤비램프노브를 조작해 프론트포그램프를 점등할 수 있는 전기접점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라이트어퍼노브가 포그콤비램프노브를 강제적으로 구속해 라이트어퍼노브의 위치 복귀시 포그콤비램프노브도 함께 복귀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라이트어퍼노브가 원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는 리어포그램프가 결코 점등되지 않게 되므로 운전자에게 리어포그램프의 온(On)·오프(Off)에 대한 주의력을 요구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가 조작 후 원 위치되면 리어포그램프가 반드시 오프(Off)되므로 시동키 탈거 후 도어를 열 때 운전자에게 리어포그램프의 점등 상황을 경고하기 위해 부저와 연계되는 전기회로 구성하지 않게 되어 전기배선과 전기소자를 이용한 전기회로를 위한 조립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조립공정의 단축과 제조 비용의 저감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에서 리어포그램프를 조작하게 되어 리어포그램프를 조작하기 위해 별도의 조작버튼과 이를 위한 전기회로를 구성하지 않아 조작이 편리하면서도 상품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5)

  1. 손으로 잡고 돌려 순차적으로 전기 접점을 연결시키는 라이트어퍼노브(21)와, 이 노브(21)의 조작 위치에 따라 전기회로를 구성하도록 접점을 형성하는 포그콤비램프노브(26) 및 이 노브(21,26)들이 각각 측면에서 결합되는 라이트로워노브(22)로 이루어진 어퍼어셈블리(20)와;
    이 어퍼어셈블리(2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하로 피봇 이동되도록 스티어링컬럼의 일측에 결합되는 지지노브(30)와, 이 지지노브(30)를 관통해 각 노브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스위치샤프트(32) 및 상기 어퍼어셈블리(20)의 각 조작위치에 따라 연결된 접점을 통해 전원을 통전시켜주는 스위치인슐레이터(31)로 이루어진 로워어셈블리(30')로 구성된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어퍼노브(21)는 스위치샤프트(32)가 결합되도록 하우징(21a)의 내부에 구비된 중공의 인너보스(21b)와, 포그콤비램프노브(26)를 구속하여 초기위치 복귀시 함께 복귀시키도록 돌출되어 포그콤비램프노브(26)에 결합되는 리턴바(21c) 및 조작위치인 오프포지션(a)·제1모드포지션(b)·제2모드포지션(c)에 대한 조작감을 단계적으로 형성하도록 각 포지션(a,b,c)별 위치를 형성한 포지셔너(21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로워노브(22)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22a)에 로워어셈블리(30')와 결합되도록 3방향에서 가이드슬랏(22d)이 형성되면서 그 내부에 스위치샤프트(32)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인너보스(22b)와, 상기 케이스(22a)와 인너보스(22b)사이의 공간을 일정 구간 막아주면서 라이트어퍼노브(21)에서 돌출된 피봇보스(21d)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록크캠(24)과 라이트어퍼노브(21)의 조작시 구름마찰되어 부드러운 조작감을 생성시키는 제1모드부재(25)가 구비된 인너바디(22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보스(22b)내에는 삽입된 스위치샤프트(32)에 끼워져 구속되도록 돌출된 한 쌍의 구속보스(22e)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바디(22c)의 일측면에는 라이트로워노브(22)의 회전시 포그콤비램프노브(26)와 서로 접촉되면서 조작 절도감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의 절도턱(22c"")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록크캠(24)은 라이트어퍼노브(21)의 피봇보스(21d)에 접촉되어 이동된 후 원위치 복원시 스프링(24d)의 탄성력을 이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부재(25)는 라이트어퍼노브(21)의 조작시 포지셔너(21e)의 각 포지션(a,b,c)사이로 위치되면서 조작 절도감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슬라이딩바(25a)로 이루어지면서 원위치 복원시 스프링(25b)의 탄성력을 이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콤비램프노브(26)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26a)의 내부에서 스위치샤프트(32)가 삽입되도록 중공을 형성하면서 연결리브(26c)를 매개로 케이스(26a)에 연결된 인너바디(26b)와, 이 인너바디(26b)에 수용되어 회전시 구름마찰되어 부드러운 조작감을 생성시키는 제2모드부재(28),라이트로워노브(22)의 록크캠(24)이동에 의해 라이트로워노브(22)를 구속하는 록크불록(27) 및 포그콤비램프노브(26)의 조작시 전기 접점을 형성하는 컨택터미널(29)로 이루어지되, 상기 인너바디(26b)에는 어퍼라이트노브(21)의 리턴바(21c)가 삽입되어 포그콤비램프노브(26)의 위치를 구속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개구된 구속슬랏(26b")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록크불록(27)은 조작 후 원위치 복원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스프링(27')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드부재(28)는 라이트로워노브(22)의 절도턱(22c"")을 따라 조작 절도감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슬라이딩볼(28a)로 이루어지면서 원위치 복원시 스프링(28b)의 탄성력을 이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터미널(29)은 포그콤비램프노브(26)의 돌출된 지지보스(26d)에 끼워지는 바디(29a)에 일부분이 일체로 이루어지면서 전기 접점을 3곳에서 형성하도록 타 부위가 분리·돌출된 제1·2·3컨택터(29b',29b",29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노브(30)는 스위치샤프트(32)가 관통되도록 내부로 홀을 형성하면서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2a)의 일단에 어퍼어셈블리(20)를 결합하는 록킹수단이 형성되되, 이 록킹수단은 라이트로워노브(22)의 케이스(22a)를 고정하도록 케이스(22a)의 가이드슬랏(22d)에 끼워지도록 소정 간격으로 3곳에서 돌출된 록크가이더(30b)와, 소정 깊이를 갖는 수용홀(30d)로 포그콤비램프노브(26)와 라이트로워노브(22)가 순차적으로 끼워져 수용되면서 그 중압부위에서 돌출되어 상기 노브(22,26)가 삽입되는 록킹바(30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바(30c)는 라이트로워노브(22)의 인너보스(22b)내부에 형성된 구속보스(22e)와 결합되도록 그 끝단에 화살촉 형상의 걸림단(30c')이 형성되는 한편, 스위치샤프트(32)가 삽입되면서 그 직경이 확장되어 상기 구속보스(22e)와의 결합력을 강화하도록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확장슬릿(30c")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인슐레이터(31)는 포그콤비램프노브(26)에 결합된 컨택터미널(29)에 접촉되는 접촉플레이트(31a)를 통해 램프와 전기회로를 구성하도록 연결되는 커넥터(31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플레이트(31a)에는 커넥터(31d)로 모여지는 제1·2·3케이블(31c',31c",31c'")이 각각 연결되면서 컨택터미널(29)의 제1·2·3컨택터(29b',29b",29b'")에 각각 접촉되도록 제1·2·3터미널(31b',31b",31b'")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 스위치 조작레버.
KR1020020048179A 2002-08-14 2002-08-14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스위치 조작레버 KR200400159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179A KR20040015995A (ko) 2002-08-14 2002-08-14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스위치 조작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179A KR20040015995A (ko) 2002-08-14 2002-08-14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스위치 조작레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995A true KR20040015995A (ko) 2004-02-21

Family

ID=37322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179A KR20040015995A (ko) 2002-08-14 2002-08-14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스위치 조작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599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607B1 (ko) * 2006-12-27 2008-01-2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레버 스위치
KR100828199B1 (ko) * 2007-05-16 2008-05-0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레버 스위치 장치
KR100853753B1 (ko) * 2007-06-13 2008-08-2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레버 스위치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069U (ko) * 1994-04-28 1995-11-20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다기능 라이트스위치
KR970037549A (ko) * 1995-12-29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용 다기능 스위치
JPH09198968A (ja) * 1996-01-18 1997-07-31 Niles Parts Co Ltd 自動車用複合スイッチレバー装置
KR20000015701A (ko) * 1998-08-31 2000-03-15 김태구 자동차용 리어 포그램프의 동작기능이 추가된 다기능 스위치
JP2000156136A (ja) * 1998-11-19 2000-06-06 Toyota Motor Corp 車両用複合スイッチレバ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069U (ko) * 1994-04-28 1995-11-20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다기능 라이트스위치
KR970037549A (ko) * 1995-12-29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용 다기능 스위치
JPH09198968A (ja) * 1996-01-18 1997-07-31 Niles Parts Co Ltd 自動車用複合スイッチレバー装置
KR20000015701A (ko) * 1998-08-31 2000-03-15 김태구 자동차용 리어 포그램프의 동작기능이 추가된 다기능 스위치
JP2000156136A (ja) * 1998-11-19 2000-06-06 Toyota Motor Corp 車両用複合スイッチレバ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607B1 (ko) * 2006-12-27 2008-01-2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레버 스위치
KR100828199B1 (ko) * 2007-05-16 2008-05-0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레버 스위치 장치
KR100853753B1 (ko) * 2007-06-13 2008-08-2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레버 스위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0384B2 (en) Multifunction switch for vehicle having lighting module
EP0807033B1 (en) Turn signal cancellation mechanism
KR100930130B1 (ko)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ⅱ)
US6069329A (en) Lever switch
KR20040015995A (ko)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스위치 조작레버
JP4695310B2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KR20080002373U (ko) 스위치 모듈
US20030038019A1 (en) Steering column stalk having multiple switch cells
JP2001110281A (ja) レバースイッチ
GB2152289A (en) Electrical switch
KR100828199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JPH10106400A (ja) 自動車用コントロールレバースイッチ
KR100797607B1 (ko) 레버 스위치
KR101118813B1 (ko) 차량용 다기능 레버스위치
US20030132091A1 (en) Steering column switch
JPH05314864A (ja) スイッチ装置
KR100853753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JP4210622B2 (ja) 車両用スイッチ装置
KR100366215B1 (ko) 자동차용 시그널 스위치 장치
KR100514081B1 (ko)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KR102598062B1 (ko) 슬림형 텀블러 버튼 장치
JP7270462B2 (ja) アシストグリップ
KR200314096Y1 (ko)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스위치
KR100735985B1 (ko) 차량의 레버 커넥
KR0133844Y1 (ko) 자동차용 레버스위치의 접속단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