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985B1 - 차량의 레버 커넥 - Google Patents

차량의 레버 커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985B1
KR100735985B1 KR1020060018755A KR20060018755A KR100735985B1 KR 100735985 B1 KR100735985 B1 KR 100735985B1 KR 1020060018755 A KR1020060018755 A KR 1020060018755A KR 20060018755 A KR20060018755 A KR 20060018755A KR 100735985 B1 KR100735985 B1 KR 100735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onnector
socket
cas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to KR1020060018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3Manually actuated switch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60Q1/0094Arrangement of electronic circuits separated from the light source, e.g. mounting of housings for starter circuits for discharge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69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 B60Q1/1476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comprising switch controlling means located near the free end of the lever, e.g. press buttons, rotatable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레버 커넥터 조립구조는 케이스의 저면에 메인 소켓과 서브 소켓이 같은 방향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손잡이와 연결된 커넥터의 조립방향과 전자제어유닛과 연결되는 커넥터의 조립방향이 동일하여 조립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레버 커넥{Lever connector of vehicle}
도 1은 일반적인 방향지시등 스위치 하우징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방향지시등 레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향지시등 레버의 커넥터가 도시된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방향지시등 레버가 도시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방향지시등 레버가 도시된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와이퍼 작동 레버가 도시된 저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 케이스 11 : 캔슬캠
20, 20' : 하부 케이스 21 : 디텐트 홈
30, 30' : 레버 31 : 레버 손잡이
33 : 회전축 35 : 레버 브래킷
36 : 래치 37 : 디텐트핀
51 : 홈 52, 54 : 조작다이얼
55 : 전선 60 : 케이스
62 : 서브 소켓 64 : 메인 소켓
65 : 수납홈 66 : 하부케이스
67 : 리브 69 : 안내홈
70 : 커넥터 80 : 손잡이
본 발명은 차량의 레버 커넥터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에 형성된 메인 소켓과 서브 소켓의 방향으로 동일하게 하여 손잡이의 조작다이얼과 연결된 커넥터의 조립과정을 간편하게 하는 차량의 레버 커넥터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에 사용되는 핸들의 측면에는 상대방에게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알리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방향지시등 레버와 와이퍼의 작동 및 와셔액 분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와이퍼 작동 레버가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을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방향지시등 스위치 하우징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 른 방향지시등 레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기술의 방향지시등 레버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20)로 분리되는 스위치 하우징(50)과, 스위치 하우징(50)의 내부로 방향지시등 레버(30 : 이하 '레버'라 한다)의 일단인 레버 브래킷(35)이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레버(30)의 타단인 레버 손잡이(31)는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서, 운전자가 레버 손잡이(31)를 잡고 회전시키면 회전축(33)을 중심으로 반대쪽에 있는 레버 브래킷(35)이 스위치 하우징(50)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레버 브래킷(35)이 삽입되는 스위치 하우징(50)의 저면에는 레버 브래킷(35)의 작동에 따라 방향지시등이 조작되는 스위치 회로가 연결되어 장착된다.
도 2에 도시된 스위치 하우징(50)의 상부 케이스(10)에는 레버 브래킷(35)의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축(33)이 삽입되어 고정시키는 홈(12)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 브래킷(35)의 래치(36)와 접촉되어 상기 레버 브래킷(35)의 이동을 원위치시키는 캔슬캠(11)이 구비된다.
또한, 레버 브래킷(35) 상면에는 캔슬캠(11)의 회전시 걸리도록 캔슬캠(11)과 대응되게 형성된 래치(36)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 하우징(50)의 하부 케이스(20)에는 레버 브래킷(35)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가이드홈(25)이 형성되고, 레버 브래킷(35)의 단부에 설치된 디텐트핀(37)이 밀착 결합되며 상기 레버(30)의 회전시 절도감을 부여해 주는 디텐트 홈(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20)에는 저면에 장착되는 스위치 회로의 접촉단자와 레버 브래킷(35)이 연통되게 하는 홈(26)(27)이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레버(30)가 운전자의 레버 손잡이(31) 조작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레버 손잡이(31)의 반대편에 있는 레버 브래킷(35)이 회전축(33)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레버 브래킷(35)과 연결된 스위치가 조작되어 좌/우측 방향지시등이 점등된다.
레버 브래킷(35)은 회전되고 난 후 단부의 디텐트핀(37)이 스위치 하우징(50)의 좌/우측 디텐트 홈(21)에 걸리어 고정된다.
이때, 핸들(미도시)이 레버(30)의 조작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캔슬캠(11)이 강제 회전되면서, 레버 브래킷(35)의 상면에 설치된 래치(36)와 상호 작용되어 레버(30)를 원위치시키게 된다.
여기서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은 레버(30)를 완전히 회전시킬 때 절도감을 부여하기 위해 구비된 레버 브래킷(35) 단부의 디텐트핀(37)과 스위치 하우징(50) 내부의 디텐트 홈(21)이 상호 작용되면서 절도감을 발생시킨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향지시등 레버의 커넥터가 도시된 저면도이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방향지시등 레버에는 상기 손잡이(31)에 설치된 조작다이얼의 신호를 차량의 전자제어유닛(미도시)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39)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케이스(20)의 저면에는 상기 커넥터(39)가 삽입되는 소켓(38)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39)는 상기 손잡이(31) 내부의 조작다이얼과 전선(39a)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소켓(38)은 상기 하부케이스(20)의 측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39)는 상기 하부케이스(20)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소켓(38)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전선(39a)이 방향지시등 레버의 측부로 돌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하부케이스(20)는 작업 시 저면이 작업자에게 노출되나 상기 소켓(38)은 작업자가 바라보는 방향이 아닌 측방향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방향지시등 레버를 돌려 상기 소켓(38)에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부케이스의 저면에 메인 소켓과 서브 소켓을 같은 방향으로 형성시켜, 작업자가 레버의 방향으로 전환시키지 않고도 손잡이에서 연결된 커넥터를 조립할 수 있는 차량의 레버 커넥터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레버 커넥터는 조작다이얼이 설치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조작다이얼에 연결되는 전선과; 상기 전선의 끝단에 배치된 커넥터와, 상기 손잡이가 힌지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차량의 전자제어유닛과 연결되는 메인 소켓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가 조립되는 서브 소켓이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 소켓과 상기 서브 소켓은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부에는 상기 전선이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된다.
삭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방향지시등 레버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방향지시등 레버가 도시된 저면도이다.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방향지시등 레버는 조작다이얼(52)(54)이 설치된 손잡이(80)와, 상기 손잡이(80)가 설치되어 힌지 회전되는 케이스(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80)에는 헤드램프(미도시) 등을 점등하는 조작다이얼(52)과, 안개램프를 점등하는 조작다이얼(54) 등이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80)에서 조작된 신호는 상기 조작다이얼(52)(54)과 연결된 전선(55)을 통해 상기 케이스(60)에 전달된다.
상기 케이스(60)에는 상기 전선(55)의 커넥터(70)가 삽입되는 서브 소켓(62) 과 상기 방향지시등 레버에서 발생된 신호를 차량의 전자제어유닛으로 전달하는 메인 소켓(64)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서브 소켓(62) 및 상기 메인 소켓(64)은 모두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60)의 저면에 설치되어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방향지시등 레버의 저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뒤집었을 때 상기 서브 소켓(62) 및 상기 메인 소켓(64)이 모두 상측을 향해 노출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60)에는 상기 전선(55)이 수납되는 수납홈(65)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65)은 상기 케이스(60)를 구성하는 하부 케이스(66)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홈(65)은 상기 전선(55)이 수납되어 상기 케이스(60)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래서 상기 수납홈(65)은 상기 케이스(60)의 측면에 형성되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60)의 둘레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홈(65)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부 케이스(66)의 저면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리브(67)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67)에 의해 상기 수납홈(65)에 수납된 전선(55)이 저면 측으로 돌출되거나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레버 커넥터 조립과정을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조립자는 손잡이(80)에 조작다이얼(52)(54)을 설치하고 상기 조작다이 얼(52)(54)에 연결된 전선을 상기 손잡이(80)에 형성된 홈(51)을 통해 빼낸다.
그리고 상기 조립자는 상기 손잡이(80)가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60)에 설치한다.
이후, 상기 조립자는 상기 손잡이(80)의 홈(51)을 통해 인출된 전선(55)을 상기 케이스(60)의 측면에 형성된 수납홈(65)에 끼워 조립하고, 상기 전선(55)의 끝단에 설치된 커넥터(70)를 상기 하부 케이스(66)의 서브 소켓(62)에 조립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홈(65)에 설치된 전선을 상기 서브 소켓(62)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리브(67)에는 상기 저면 측으로 관통된 안내홈(69)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55)을 상기 안내홈(69)을 통해 상기 하부 케이스(66)의 저면으로 돌출된다.
그래서 상기 전선(55)의 끝단에 설치된 커넥터(70)는 상기 하부 케이스(66)의 저면으로 돌출되고, 조립자는 상기 하부케이스(66)로 돌출된 상기 커넥터(70)를 잡아 상기 서브 소켓(62)에 조립한다.
더불어 상기 메인 소켓(64)에는 차량의 전자제어유닛과 연결되는 커넥터(미도시)가 조립되고, 조립자는 상기 서브 소켓(62)과 상기 메인 소켓(64)의 방향이 동일하므로 상기 방향지시등 레버를 뒤집어서 상기 메인 소켓(64)과 상기 서브 소켓(62)의 연결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와이퍼 작동 레버가 도시된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레버 커넥터 조립구조의 다 른 예로서, 차량의 와이퍼 작동 레버에 본 발명에 따른 서브 소켓(62)과 메인 소켓(64)이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와이퍼 작동 레버는 스티어링휠을 기준으로 상기 방향지시등 레버의 반대편에 설치되고, 상기 방향지시등 레버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된다.
그래서 상기 와이서 작동 레버의 케이스 저면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서브 소켓(62)과 메인 소켓(64)이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80)에서 연장된 전선(55)은 케이스(60)에 수납됨과 동시에 상기 전선(55)의 끝단에 설치된 커넥터(70)도 메인 커넥터(미도시)와 같은 방향으로 조립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박스의 락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레버 커넥터 조립구조는 케이스의 저면에 메인 소켓과 서브 소켓이 같은 방향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손잡이와 연결된 커넥터의 조립방향과 전자제어유닛과 연결되는 커넥터의 조립방향이 동일하여 조립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레버 커넥터 조립구조는 손잡이에 연결되어 연 장된 전선이 케이스에 형성된 수납홈에 수납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조립되기 때문에 레버의 부품이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조작다이얼이 설치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조작다이얼에 연결되는 전선과; 상기 전선의 끝단에 배치된 커넥터와, 상기 손잡이가 힌지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차량의 전자제어유닛과 연결되는 메인 소켓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가 조립되는 서브 소켓이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 소켓과 상기 서브 소켓은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부에는 상기 전선이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된 차량의 레버 커넥터.
  2. 삭제
KR1020060018755A 2006-02-27 2006-02-27 차량의 레버 커넥 KR100735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755A KR100735985B1 (ko) 2006-02-27 2006-02-27 차량의 레버 커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755A KR100735985B1 (ko) 2006-02-27 2006-02-27 차량의 레버 커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985B1 true KR100735985B1 (ko) 2007-07-06

Family

ID=38503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755A KR100735985B1 (ko) 2006-02-27 2006-02-27 차량의 레버 커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024B1 (ko) 2008-09-18 2011-06-16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용 방향지시등 스위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296A (ja) * 1994-06-28 1996-01-19 Tokai Rika Co Ltd 自動車用スイッチ装置
JPH11245773A (ja) 1998-02-27 1999-09-14 Niles Parts Co Ltd ワイパー駆動制御装置
KR20000000768A (ko) * 1998-06-03 2000-01-15 이철환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
JP2002352671A (ja) 2001-05-22 2002-12-06 Niles Parts Co Ltd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KR20060079509A (ko) * 2004-12-31 2006-07-06 주식회사 신창전기 와이퍼 스위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296A (ja) * 1994-06-28 1996-01-19 Tokai Rika Co Ltd 自動車用スイッチ装置
JPH11245773A (ja) 1998-02-27 1999-09-14 Niles Parts Co Ltd ワイパー駆動制御装置
KR20000000768A (ko) * 1998-06-03 2000-01-15 이철환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
JP2002352671A (ja) 2001-05-22 2002-12-06 Niles Parts Co Ltd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KR20060079509A (ko) * 2004-12-31 2006-07-06 주식회사 신창전기 와이퍼 스위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024B1 (ko) 2008-09-18 2011-06-16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용 방향지시등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2836B2 (ja) 電子接続箱と電子制御装置との組付け構造、それに用いられる電子制御装置および電子接続箱
JP4629854B2 (ja)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US6727448B2 (en) Composite switch unit for vehicle use provided with swingable drive members at both ends in lengthwise direction of box-shaped housing
KR100735985B1 (ko) 차량의 레버 커넥
KR20000004885A (ko) 컬럼 스위치
JPH10269898A (ja) 車載用ノブスイッチ装置
JP2001110281A (ja) レバースイッチ
JP4695310B2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JPH11191346A (ja) 回転コネクタ付きコラムスイッチ
KR101211311B1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KR101714267B1 (ko) 전자식 변속레버
JP3944376B2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KR20160000738U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KR100828199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EP3324420B1 (en) Switching device
JP4999644B2 (ja) スイッチ装置
KR100593287B1 (ko) 방향지시등 레버
JPH11329650A (ja) 回転コネクタ
JP2013192344A (ja) 自動車用室内照明灯のハウジングとその電線ホルダ
JP4093508B2 (ja)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構造体の組み付け構造
KR200470878Y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101879655B1 (ko)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것의 조립방법
KR200488667Y1 (ko)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200486644Y1 (ko)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101259572B1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