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9695B1 -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79695B1 KR100479695B1 KR10-2002-0048888A KR20020048888A KR100479695B1 KR 100479695 B1 KR100479695 B1 KR 100479695B1 KR 20020048888 A KR20020048888 A KR 20020048888A KR 100479695 B1 KR100479695 B1 KR 1004796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lever
- cam
- switching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하는 프린트기판이 적고, 조립성이 좋으며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이 높은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을 주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차량 본체와의 사이의 신호를 집중하여 중계하는 중계용 프린트기판(11)에 복수의 전환접점(11a)을 설치하고, 이 프린트기판(11) 상에 전환접점(11a)을 접리하는 복수의 접점전환부재(12, 13)를 얹어 놓고, 박스형상의 하우징(1)의 길이방향 양쪽 끝부에 각각 하우징(1)의 밖으로부터 안으로 걸쳐서 요동가능한 구동부재(3, 7)를 설치하고, 하우징(1)의 하면의 바깥쪽에 프린트기판 (11)을 고정하여, 접점전환부재(12, 13)를 하우징(1)내로 향하게 하여 구동부재(3, 7)와 접점전환부재(12, 13)를 걸어맞춤하고 구동부재(3, 7)를 요동하여 조작함으로써 접점전환부재(12, 13)를 구동하고, 프린트기판상의 전환접점(11a)을 전환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의 각종 기능을 전환하는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핸들 주변에 위치하는 복합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의 도면을 설명하면, 도 4는 종래의 차량용복합 스위치 유닛의 개략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의 개략의 주요부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의 한쪽측의 주요부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종래의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의 한쪽측의 주요부 횡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다음에 종래의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면, 도 4, 도 5의 개략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50)은 전체로서 길이가 긴 절연수지체로, 단면 역ㄷ자형상으로 아래쪽이 개방되어 있고, 좌우의 내벽과 상면에는 가이드홈(50a)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면에는 또 중앙구멍(50b)이 케이싱(50)의 상면의 중앙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중앙구멍(50b)의 주변에는 케이싱(50)의 상면에 가이드돌기(50c)가 복수 설치되고, 가이드돌기(50c)와 중앙구멍(50b) 사이에는 구멍(50d)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회전커넥터(53)는 절연수지제로, 원통형상의 고정체(53a)와 이 고정체(53a)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절연수지제로 원통형상의 구멍(53i)을 가지는 가동체(53b)로 구성되며, 이들 고정체(53a)와 가동체(53b)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공간내에 플랫 케이블(53h)이 권회되어, 고정체(53a)와 가동체(53b)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행하고 있다. 고정체(53a)의 하면과 가동체(53b)의 상면에는 각각 외부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커넥터(53c)와 커넥터(53d)가 설치되고, 고정체(53a)의 원통형상의 외벽의 위 가장자리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볼록부(53f)가 설치되고, 복수의 볼록부(53f)에는 복수의 구멍(53e)이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볼록부(53e)는 케이싱(50)의 복수의 가이드돌기(50c)에 가이드되어 비스(53g)에 의해 구멍(53f)과 구멍(50d)을 삽입하고, 고정체(53a)를 케이싱(50)의 중앙구멍(50b)의 둘레 가장자리에 고정한다.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의 한쪽인 윙커측 스톡 스위치(51)는 도 4, 도 5의 개략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수지제로 막대형상의 레버(51a)와, 이 레버(51a)가 설치된 박스형의 기체부(60)를 가지고, 기체부(60)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가이드돌기(51b)와, 기체부(60)의 레버(51a)가 설치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면에 커넥터(51c)가 설치되어 있다.
기체부(60)를 도 6,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절연수지제의 상케이스(60a)와 하케이스(60b)는 기체부(60)를 상하로부터 덮어 내부를 보호하고, 각각 대향하는 축구멍을 가지고 있다. 작동부재(60c)는 절연수지제로 가늘고 긴 형상으로 레버(51a)의 요동을 전하기 위하여 레버(51a)에 고정되어 기체부(60)의 내부에 침입하여 있고, 이 침입방향으로 긴 구멍(60f)이 침입방향으로 개구하고 있다. 홀더(60e)는 절연수지제의 구조체로서, 상하 케이스(60a, 60b) 사이에 수용되어, 도시 생략하였으나 수평방향으로 돌출하는 2개의 돌출축과, 수직방향으로 돌출하는 또 한쌍의 돌출축(60j, 60k)을 가지고 있다. 또 홀더(60e)는 스프링받이부(60m)를 내부에 가지고 있다. 홀더(60e)의 돌출축은 작동부재(60c)의 축구멍(60d)에 끼워 맞추고, 작동부재(60c)에 고정되어 있는 레버(51a)를 화살표( a-b)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홀더(60e)의 돌출축(60j, 60k)은 상하 케이스(60a, 60b)의 대향하는 축구멍에 끼워 맞춰지고, 홀더(60e)는 상하 케이스(60a, 60b)에 대하여 레버(51a)의 화살표(c-d)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 코일스프링(60g)은 선단에 절연수지제의 캡(60h)이 끼워 맞춰져 있고, 캡(60h)의 선단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캡(60h)이 부착된 제 1 코일스프링(60g)은 작동부재의 구멍(60f)에 수용되어 있다.
제 1 캠산체(60i)는 절연수지제의 캠산을 하나 이상 가지고, 홀더(60e)의 일부에서 작동부재(60c)의 구멍(60f)의 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캡(60h)은 코일스프링(60g)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캠산체에 탄성적 가압부로서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있다.
제 2 코일스프링(60l)은 선단에 절연수지제의 캡(60n)이 끼워 맞춰져 있고, 캡(60n)의 선단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캡(60n)이 부착된 제 2 코일스프링(60l)은 홀더(60e)에 설치된 스프링받이부(60m)로 받쳐져 있다. 제 2 캠산체(60 o)는 절연수지제의 캠산(60q)을 2개와 그들 사이의 중앙골(60p)을 가지고, 하 케이스(60b)와 일체로 설치되고, 캠산면은 제 2 코일스프링 선단에 끼워 맞춰져 있는 캡(60n)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캡(60n)은 코일스프링(60l)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캠산체(60o)에 탄성적 가압부로서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있다.
접점전환부재(60s)는 절연수지제의 본체에 구멍부(60w)가 설치되고, 본체에 가동접점(60v)이 설치되어 있다. 접점전환부재(60s)의 구멍부에는 작동부재(60c)로부터 돌출한 돌출부(60w)가 삽입되어, 작동부재(60c)에 고정된 레버(51a)의 화살표(a-b)방향의 요동에 대하여 가동접점(60v)이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또 접점전환부재(60t)는 절연수지제의 본체에 돌출부와 가동접점(60u)이 설치되고, 본체의 돌출부는 홀더(60e)의 벽(60x)에 끼워지도록 맞닿고, 레버(51a)의 화살표(c-d)방향의 요동에 대하여 벽(60x)이 연동하여 가동접점(60u)을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프린트기판(60r)은 하 케이스(60b)에 설치되어, 표면에는 차량의 각종 기능을 전환하는 전환접점(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프린트기판(60r) 끝부에는 커넥터(51c)가 설치되어 각 전환접점의 신호를 커넥터(51c)의 접속도체(51d)를 거쳐 외부로 도출하고 있다. 전환접점상을 접점전환부재(60s, 60t)가 슬라이딩 접촉하여 접점의 전환을 행하고 있다.
윙커용 스톡 스위치(51)는 그 기체부(60)의 둘레 가장자리에 있는 복수의 가이드돌기(51b)를 케이싱(50)의 좌우의 내벽 및 천정면에 있는 가이드홈(50a)에 삽입하여 케이싱(50)에 끼워 맞춰져 고정된다.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의 다른쪽인 와이퍼측 스톡 스위치(52)는, 개략 구조는 윙커용 스톡 스위치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와이퍼측 스톡 스위치(52)는 그 기체부(61)의 주변 가장자리에 있는 복수의 가이드돌기(52b)를 케이싱(50)의 좌우의 내벽 및 천정면에 있는 가이드홈(50a)에 삽입하여 케이싱(50)에 끼워 맞춤 고정된다.
중계용 프린트기판(54)은 장방형형상으로 중앙에 구멍(54a)을 가지고 커넥터(54b), 커넥터(54c), 커넥터(54d)를 탑재하고, 이들 3개의 커넥터로부터 프린트기판(54)상에 도시 생략한 리드부를 거쳐 배선하고, 이들 리드부를 프린트기판(54)의 이면에 관통구멍을 거쳐 모아 기판이면에 탑재한 커넥터(54e)에 집중하여 차량 본체측으로 신호를 전하고 있다.
중계용 프린트기판(54)은 케이싱(50)의 아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이 때, 회전커넥터(53)를 복수의 가이드돌기(50c)에 가이드시켜 케이싱(50)의 구멍(50b)에 삽입시키면, 회전커넥터(53)의 아래 가장자리에 있는 커넥터(53c)는 중계용 프린트기판(54)에 탑재된 커넥터(54b)와 끼워 맞춤 접속되어, 윙커측 스톡 스위치(51)를 그 복수의 가이드돌기(51b)를 케이싱(50)의 가이드홈(50a)에 레버(51a)와 반대방향으로 삽입하여 끼워 맞춤 고정하면, 윙커측 스톡 스위치(51)의 기체부(60)의 레버(51a)가 설치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51c)가 중계 프린트기판(54)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54d)와 끼워 맞춤 접속된다.
와이퍼측 스톡 스위치(52)를 그 복수의 가이드돌기(52b)를 케이싱(50)의 가이드홈(50a)에 삽입하여 끼워 맞춤 고정하면, 와이퍼측 스톡 스위치(52)의 기체부(61)의 레버(52a)가 설치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 면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52c)〔도시 생략하나, 윙커측 스톡 스위치(51)와 마찬가지로 내부의 프린트기판으로부터의 출력이다〕가 중계프린트기판(54)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54c)와 끼워 맞춤 접속된다. 회전커넥터(53)의 가동체(53b)의 원통형상의 구멍(53i)과 중계프린트기판(54)의 중앙구멍(54a)은 동심원상에 형성되어, 최종조립 후에는 스티어링 샤프트가 삽입된다.
다음에, 윙커측 스톡 스위치(51)의 레버(51a)의 요동동작과 그에 의한 접점전환부재(60s, 60t)의 구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51a)를 레버(51a)에 고정된 작동부재(60c)에 설치된 축구멍(60d)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a-b)방향으로 요동하면, 제 1 코일스프링(60g)의 선단에 끼워 맞춰진 절연수지제의 캡(60h)이 홀더(60e)의 일부에 형성된 제 1 캠산체(60i)에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캡(60h)이 캠산을 넘음으로서 레버(51a)에 클릭 감촉을 주어 레버(51a)를 소정위치에 래치한다. 이와 동시에, 레버(51a)의 요동에 따라 레버(51a)에 고정된 작동부재(60c)로부터 돌출한 돌출부(60w)가 접점전환부재(60s)의 구멍에 걸어 맞추어져 접점전환부재(60s)를 구동하므로, 접점전환부재(60s)의 가동접점(60v)이 대향하는 프린트기판(60r) 상을 슬라이딩 접촉하고, 하이 빔의 신호를 부여하여 도시 생략한 하이 빔용 램프의 점등동작을 행한다.
레버(51a)를 홀더(60e)의 끝부에 있는 2개의 돌출축(60j, 60k)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c-d) 방향으로 요동하면, 가늘고 긴 제 2 코일스프링(601)의 선단에 끼워 맞춰진 절연수지제의 캡(60n)이 하케이스(60b)와 일체로 설치된 제 2 캠산체(60o)에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캡(60n)이 캠산체(60q)를 넘음으로써, 레버(51a)에 클릭감촉을 주어 레버(51a)를 소정위치에 래치한다. 이와 동시에, 레버(51a)의 요동에 동반하는 레버(51a)와 일체로 움직이는 홀더(60e)의 벽(60x)에 의해 이에 맞닿은 접점전환부재(60t)의 돌출부가 구동되어, 가동접점(60u)이 대향하는 프린트기판(60r) 상을 슬라이딩 접촉하고, 레버(51a)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 방향으로의 회동조작에 의해 구동되어 도시 생략한 좌회전 또는 우회전용 램프의 점멸동작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레버(51a)의 화살표(a-b) 방향의 요동의 클릭 감촉은 캡(60h)과 캠산체(60i)에 의해 만들어지고, 레버(51a)의 화살표(c-d)방향의 요동의 클릭 감촉은 캡(60n)과 캠산체(60o)에 의해 만들어지므로, 각각의 캡, 각각의 캠산체를 사용하는 것이 되므로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있었다.
와이퍼측 스톡 스위치(52)의 레버(52a)의 요동동작은 윙커측 스톡 스위치(51)의 레버(51a)의 요동동작과 개략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하나, 와이퍼측 스톡 스위치(52)의 레버(52a)의 요동동작에 의한 전환기능은 와이퍼 속도와 윈도워셔액의 토출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각 스톡 스위치에 프린트기판을 준비하고, 각 프린트기판에는 커넥터를 준비하여, 이들 커넥터를 중계프린트기판에 대하여 각각 커넥터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복수의 프린트기판을 준비하고, 조립상 시간이 걸리는데다가 커넥터를 사용하여 각 스톡 스위치와 중계프린트기판을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이 결여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하는 프린트기판이 적고 조립성이 좋으며,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이 높은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을 부여하는 것에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은 차량 본체와의 사이의 신호를 집중하여 중계하는 중계용 프린트기판에 복수의 전환접점을 설치하고, 이 프린트기판상에 상기 전환접점을 접리하는 복수의 접점전환부재를 얹어 놓고, 박스형상의 하우징의 길이방향 양쪽 끝부에 각각 상기 하우징의 밖으로부터 안에 걸쳐서 요동 가능한 구동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면의 바깥쪽에 상기 프린트기판을 고정하여, 상기 접점전환부재를 하우징내에 향하게 하여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접점전환부재를 걸어맞추어 상기 구동부재를 요동하여 조작함으로써, 상기 접점전환부재를 구동하고, 상기 프린트기판상의 전환접점을 전환하도록 하였다.
이 구성에 의하여 사용하는 프린트기판이 적고, 조립성이 좋으며,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이 높은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은, 상기 구동부재는 하우징의 바깥쪽에 돌출한 레버체와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한 요동체와 캠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캠산체는 상기 레버체의 내단부에 돌출한 탄성적 가압부가 가압되는 캠산을 가지고, 상기 레버체의 요동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레버체에 클릭 감촉을 부여함과 동시에, 상기 캠산체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도록 하였다.
이 구성에 의하여 레버의 클릭감촉을 전환하고 싶을 때, 캠산체만을 작성하여 두고 전환하면 좋기 때문에, 클릭감촉의 변경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은, 상기 레버체는 일정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상기 요동체에 축 지지되고, 상기 요동체는 상기 일정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축 지지되어 있도록 하였다.
이 구성에 의하여 간단한 구조에 의해 2방향으로의 요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 본 발명의 차량용 복합스위치 유닛은, 상기 탄성적 가압부는 상기 각 레버체에 대하여 1개 설치되고, 상기 탄성적가압부는 상기 캠산에 가압되어, 상기 캠산상을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였다.
이 구성에 의하여, 탄성적 가압부가 하나로 끝나므로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 전체의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은 상기 하우징과 공동하여 상기 중계 프린트기판을 싸는 커버를 가지도록 하였다.
이 구성에 의하여, 하우징과 커버에 의해 중계 프린트기판을 싸넣기 때문에, 중계 프린트기판에 대한 방진이 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은, 상기 중계프린트기판에는 상기 복수의 전환접점의 신호를 차량 본체측으로 일괄 도출하는 도출도체를 구비하고 있도록 하였다.
이 구성에 의하여 차량 본체에의 신호의 접속이 도출도체를 사용한 커넥터로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의 실시형태의 도면을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의 실시형태의 개략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의 실시형태의 주요부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의 실시형태의 주요부 종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다음에, 본 발명의 차량용 스위치 유닛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하우징(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수지제로 길이가 긴 박스형상으로, 길이방향의 한쪽 끝에는 직사각형형상의 개방구멍(1c)을 가지고, 길이방향 다른쪽 끝에는 직사각형형상의 개방구멍(1d)이 설치되어, 개방구멍(1c, 1d) 각각의 좌우 양벽에는 가이드홈(1h, 1h)이 설치됨과 동시에, 개방구멍(1c, 1d) 각각의 상변, 하변의 중앙부에는 축구멍(1j, 1j)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의 상면(1a)에는 그 대략 중앙에 대형의 중앙구멍(1e)이 설치되고, 하우징(1)의 하면(1b)에는 대략 중앙에 작은 지름의 중앙구멍(1f)이 설치되어 있다. 상면(1a)의 중앙구멍(1e)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3개의 열쇠형상의 돌기(1g)가 대략 동일 간격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2개의 돌기(1g)의 근방에는 구멍(1i, 1i)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의 하면(1b)에는 4개의 직사각형형상의 구멍(1k)이 설치되어 있다. 또 하우징(1)의 양측면(1l, 1l)에는 그 하단에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떨어져 각각 한 쌍의 구멍(1m, 1m)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커넥터(2)는 절연수지제로 원통형상의 고정체(2a)와 이 고정체(2a)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절연수지제로 원통형상의 구멍(2c)을 가지는 가동체(2b)로부터 구성되고, 이들 고정체(2a)와 가동체(2b)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공간내에 도시 생략한 플랫 케이블이 권회되어, 고정체(2a)와 가동체(2b)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행하고 있다. 가동체(2b)에는 아래쪽으로 원통형상의 연장 돌출부(2g)가 설치되어 있고, 연장 돌출부(2g)에는 돌기(2h)가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고정체(2a)의 원통형상의 외벽에는 장방형형상의 볼록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의 사다리꼴형상부(2e)가 일체로 형성되고, 각 사다리꼴형상부(2e)에는 각각 구멍(2f, 2f)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커넥터(2)는 하우징(1)의 상면(1a)의 중앙구멍(1e)에 삽입되어, 회전커넥터(2)의 장방형의 볼록부가 하우징의 열쇠형상의 돌기(1g)에 걸어 맞추고, 회전커넥터(2)의 2개의 사다리꼴형상부(2e, 2e)도 열쇠형상의 돌기(1g)에 걸어맞추고, 2개의 사다리꼴형상부(2e, 2e)의 구멍(2f, 2f)을 사용하여 고정비스(2i, 2i)를 하우징(1)의 상면(1a)의 구멍(1i, 1i)에 비틀어 넣어, 하우징(1)과 회전커넥터(2)를 고정한다.
한쪽의 구동부재(3)는 레버체(4)와 요동체(5)와 캠산체(6)로 구성되어, 레버체(4)는 절연수지로 이루어져 전체로서 막대형상을 이루고, 레버(4a)의 선단에는 직사각형형상의 프레임부(4b)가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부(4b)의 옆가장자리에는 한쌍의 돌출축(4c)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부(4b)에는 레버(4a)가 돌출하고 있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연수지제의 통부(4d)가 돌출 고정되고, 통부(4d)의 안쪽에는 코일스프링(4e)이 수납되고, 코일스프링(4e)의 선단에는 캡(4f)이 끼워 맞춰져 캡(4f)은 통부(4d)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통부(4d)에는 통부(4d)로부터 직각방향으로 막대형상의 제 1 구동부(4g)가 돌출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요동체(5)는 절연수지제로 입방체형상의 박스의 천정면과 바닥면을 제거한 사면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형상을 이루고, 한쪽의 대향하는 면에는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축구멍(5a, 5a)이 설치되고, 다른쪽의 대향하는 면에는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돌출축(5b, 5b)이 설치되어 있다. 돌출축이 있는 면의 한쪽에는 돌기형상의 제 2 구동부(5e)를 하단에, 걸어맞춤부(5d)를 선단에 가지는 볼록부(5c)가 면방향으로 돌출하여 요동체(5)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캠산체(6)는 절연수지제로 프레임부(6a)의 내부에 2방향으로 요철을 가지는 캠산(6b)을 수납함과 동시에, 캠산(6b)과 프레임부(6a)의 하나의 벽과의 사이에 삽입구(6c)을 가지고, 프레임부(6a)의 대향하는 벽의 외면에는 가이드 볼록부(6d, 6d)를 가지고 있다.
캠산체(6)는 하우징(1)의 직사각형형상의 개방구멍(1c)의 좌우 양벽에 있는 가이드홈(1h, 1h)에 슬라이드 끼워맞춤되어 고정되고, 요동체(5)는 캠산체(6)의 뒤로부터 하우징(1)의 개방구멍(1c)에 삽입하고, 요동체(5)의 대향하는 면에 설치된 돌출축(5b, 5b)이 하우징(1)의 개방구멍(1c)의 상변, 하변에 설치되어 있는 축구멍(1j, 1j)에 축 지지되도록 하여, 하우징(1)에 대하여 요동체(5)가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돌기형상의 제 2 구동부(5e)를 하단에, 걸어맞춤부(5d)를 선단에 가지는 볼록부(5c)를 캠산체(6)의 캠산(6b)의 옆에 설치된 삽입구(6c)로부터 삽입하여,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한다.
레버체(4)는 그 프레임부(4b)의 측 가장자리에 있는 돌출축(4c)을 요동체(5)의 축구멍(5a, 5a)에 끼워 맞추고, 레버체(4)는 요동체(5)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레버(4a)는 하우징(1)에 대하여 서로 대략 직각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된다. 레버체(4)의 레버(4a)와 반대측에 설치된 코일스프링(4e)의 선단에 끼워 맞춰진 캡(4f)은 캠산체(6)의 캠산(6b)과 맞닿아, 캠산(6b)을 탄성적 가압부로 하여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있다. 또 레버체(4)의 통부(4d)로부터 돌출한 돌기형상의 제 1 구동부(4g)는 레버체(4)와 요동체(5), 캠산체(6)의 조립이 끝나면 하우징(1) 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다른쪽의 구동부재(7)는 레버체(8)와 요동체(9)와 캠산체(10)로 구성되고, 레버체(8)와 요동체(9)와 캠산체(10)의 구조의 설명은 구동부재(3)의 레버체(4)와 요동체(5)와 캠산체(6)의 구조의 설명과 개략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부품에는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중계용 프린트기판(11)은 표면에 차량용의 각종 기능을 전환하는 전환접점(11a)을 가지고, 중앙부에는 U자형상의 오목부(11b)를 설치하여, 네 모서리에 설치용의 구멍(11c)을 가지고, 이면에는 표면의 전환접점(11a)을 이면으로부터 도출하기 위한 도출도체(11d)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접점전환부재(12)는 파지부(12a)와 본체부(12b)와 가동접점(12c)으로 구성되어, 파지부(12a)의 구동에 따라 본체부(12b)에 고정되어 있는 가동접점(12c)을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제 2 접점전환부재(13)는 파지부(13a)와 본체부(13b)와 가동접점(13c)으로 구성되고, 파지부(13a)의 구동에 따라 본체부(13b)에 고정되어 있는 가동접점(13c)을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제 1, 제 2 접점전환부재(12, 13)는 중계용 프린트기판(11) 위를 슬라이딩 접촉하고, 가동접점(12c, 13c)은 중계용 프린트기판(11) 상의 각 전환접점(11a)을 접리하도록 되어 있다.
한쪽의 구동부재(3)의 제 1 접점전환부재(12)의 파지부(12a)에는 레버체(4)의 제 1 구동부(4g)가 하우징(1)의 직사각형형상의 구멍(1k)을 거쳐 삽입 끼워 맞춰지고, 제 2 접점전환부재(13)의 파지부(13a)에는 요동체(5)의 제 2 구동부(5e)가 하우징(1)의 직사각형형상의 구멍(1k)을 거쳐 삽입 끼워 맞춰져 있다.
제 1 캔슬레버(12e)와 제 2 캔슬레버(12d)는 서로 회전가능하게 조합되고, 제 2 캔슬레버는 핸들중립시에 제 2 캔슬레버가 회전커넥터(2)의 가동체(2b)의 아래쪽으로의 연장 돌출부(2g)의 돌기(2h)에 닿지 않도록, 요동체(5)의 걸어맞춤부(5d)에 의해 반경방향 안쪽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걸어맞춤되어 있다.
다른쪽의 구동부재(7)의 제 1 접점전환부재(12)의 파지부(12a)에는 레버체(8)의 제 1 구동부(4g)가 하우징(1)의 직사각형형상의 구멍(1k)을 거쳐 삽입 끼워맞춤되고, 제 2 접점전환부재(13)의 파지부(13a)에는 요동체(9)의 제 2 구동부(9a)가 하우징(1)의 직사각형형상의 구멍(1k)을 거쳐 삽입 끼워맞춤되어 있다.
커버(14)는 절연수지제로 배형상으로 측벽(14a)과 이 측벽의 하변을 덮는 바닥판(14b)을 가지고, 바닥판(14b)에는 커넥터용 구멍(14c)과, 중앙에는 중앙구멍( 14e)을 가지고, 중앙구멍(14e)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고리형상의 단부착 볼록부(14 f)가 설치되어 있다. 바닥판(14b)의 뒷측에는 커넥터용 구멍(14c)의 둘레 가장자리에 커넥터용 벽부(14d)가 설치되어 있다. 또 측벽(14a)에는 바깥쪽에 돌출한 복수의 돌기(14g)가 설치되어 있다. 중계용 프린트기판(11)은 U자형상 오목부를 커버체의 단부착 볼록부(14f)의 단부에서 위치 결정하고, 중계용 프린트기판(11)의 설치용 구멍(11c)에 원통형상의 스페이서(11d)를 끼워 맞추어 커버와의 간격을 결정하고, 커버(14)를 하우징(1)의 측벽(1l)의 안쪽에 끼워 맞추어 커버(14)의 측벽의 돌기(14g)를 하우징(1)의 측면(11)의 대응하는 구멍(1m)에 걸어맞춤으로써, 중계용 프린트기판(11)이 위치 결정되어 하우징(1)과 커버(14)의 사이에 끼워 유지되게 된다.
다음에, 양 구동부재(3, 7)의 조작에 의한 본 발명의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의 동작을 설명한다.
한쪽의 구동부재(3)는 차량의 핸들 주변의 윙커측 복합 스위치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4a)를 축구멍(4c)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A-B)방향으로 요동하면, 코일스프링(4e)의 선단에 끼워 맞춰진 절연수지제의 캡(4f)이 구동부재(3)의 캠산체(6)의 캠산(6b)에 탄성적 가압부로서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캡(4f)이 캠산(6b)을 넘음으로서, 레버(4a)에 클릭감촉을 준다. 또이와 동시에, 레버(4a)의 요동에 따라 레버체(4)의 통부(4d)로부터 돌출한 제 1 구동부(4g)가 접점전환부재(12)의 파지부(12a)의 구멍에 삽입 걸어맞추어져, 접점전환부재(12)를 구동하므로, 가동접점(12c)이 대향하는 중계용 프린트기판(11)상을 슬라이딩 접촉하여, 전환접점(11a)을 온하여 하이빔의 신호를 부여하여, 도시 생략한 하이 빔용 램프를 점등동작을 행한다.
레버(4a)를 하우징의 축구멍(1j, 1j)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체(5)를 요동시켜 화살표(C-D)방향〔화살표(A-B)방향과 대략 수직인 면방향〕으로 요동하면, 코일스프링(4e)의 선단에 끼워 맞춰진 절연수지제의 캡(4f)이 캠산체(6)의 캠산(6b)에 탄성적 가압부로서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캡(4f)이 캠산(6b)을 넘음으로서, 레버(4a)에 클릭 감촉을 부여하여 레버(4a)를 소정위치에서 래치한다. 이와 동시에, 화살표(C-D)방향의 레버(4a)의 요동에 따라 레버(4a)와 화살표(C-D)방향으로 일체로 움직이는 요동체(5)의 제 2 구동부(5e)가 제 2 접점전환부재(13)의 파지부(13a)에 삽입 끼워 맞춰져 있으므로, 파지부(13a)의 구동에 따라 가동 접점(13c)은 중계용 프린트기판(11) 상을 슬라이딩 접촉하고, 전환접점(11a)을 온하여 도시 생략한 차량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용 윙커램프의 점멸동작을 행한다. 즉 한쪽의 구동부재(3)의 경우, 하나의 캠산체(6)와 코일스프링(4e)의 선단에 끼워 맞춰진 하나의 캡(4f)은 레버(4a)의 화살표(A-B)방향과 화살표(C-D)방향의 두방향의 요동의 클릭감촉을 얻기 위하여 공용되어 있다.
다른쪽의 구동부재(7)는 차량의 핸들 주변의 와이퍼측 복합 스위치로서, 와이퍼측 복합 스위치의 레버(4a)의 요동동작은 윙커측 복합 스위치의 레버(4a)의 요동동작과 개략 동일하므로 그 기계동작의 설명은 생략하나,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A1-B1)방향으로 요동할 때와 화살표(C1-D1)방향으로 요동할 때에 레버(4a)의 요동동작에 의한 전환기능은 화살표(C1-D1)방향의 경우는 와이퍼 속도이고, 화살표(A1-B1)방향의 경우는 윈도워셔액의 토출이다. 다른쪽의 구동부재(7)의 경우도 하나의 캠산체(10)와 코일스프링(4e)의 선단에 끼워 맞춰진 하나의 캡(4f)은 레버(4a)의 화살표(A1-B1)방향과 화살표(C1-D1)방향의 두방향의 요동의 클릭감촉을 얻기 위하여 공용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은 차량 본체와의 사이의 신호를 집중하여 중계하는 중계용 프린트기판에 복수의 전환접점을 설치하여, 이 프린트기판상에 전환접점을 접리하는 복수의 접점전환부재를 얹어 놓고, 박스형상의 하우징의 길이방향 양쪽 끝부에 각각 하우징의 밖으로부터 안에 걸쳐 요동 가능한 구동부재를 설치하고, 하우징의 하면의 바깥쪽에 프린트기판을 고정하여 접점전환부재를 하우징내에 향하게 하여, 구동부재와 접점전환부재를 걸어맞추고 구동부재를 요동하여 조작함으로써 접점전환부재를 구동하고, 프린트기판상의 전환접점을 전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사용하는 프린트기판이 적고, 조립성이 좋으며,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이 높은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의 실시형태의 개략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의 실시형태의 주요부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의 실시형태의 주요부 종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의 개략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의 개략의 주요부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의 한쪽측의 주요부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종래의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의 한쪽측의 주요부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있어서의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회전커넥터
3, 7 : 구동부재 4, 8 : 레버체
5, 9 : 요동체 6, 10 : 캠산체
11 : 중계용 프린트기판 11a : 전환접점
12 : 제 1 접점전환부재 13 : 제 2 접점전환부재
14 : 커버체
Claims (6)
- 삭제
- 차량 본체와의 사이의 신호를 집중하여 중계하는 중계용 프린트기판에 복수의 전환접점을 설치하여, 이 프린트기판상에 상기 전환접점을 접리하는 복수의 접점전환부재를 얹어 놓고, 박스형상의 하우징의 길이방향 양쪽 끝부에 각각 상기 하우징의 밖으로부터 안에 걸쳐서 요동 가능한 구동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 하면의 바깥쪽에 상기 프린트기판을 고정하여, 상기 접점전환부재를 하우징내로 향하게 하고,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접점전환부재를 걸어맞추어 상기 구동부재를 요동하여 조작함으로써 상기 접점전환부재를 구동하고, 상기 프린트기판상의 전환접점을 전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에 있어서,상기 구동부재는 하우징의 바깥쪽으로 돌출한 레버체와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한 요동체와 캠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캠산체는 상기 레버체의 안쪽 끝부에 돌출한 탄성적 가압부가 가압되는 캠산을 가지고, 상기 레버체의 요동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레버체에 클릭 감촉을 줌과 동시에, 상기 캠산체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착탈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레버체는 일정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상기 요동체에 축 지지되고, 상기 요동체는 상기 일정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축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탄성적 가압부는 상기 각 레버체에 대하여 1개 설치되고, 상기 탄성적가압부는 상기 캠산에 가압되어, 상기 캠산상을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과 공동하여 상기 중계 프린트기판을 둘러싸는 커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중계프린트기판에는 상기 복수의 전환접점의 신호를 차량 본체측으로 일괄 도출하는 도출도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1-00249505 | 2001-08-20 | ||
JP2001249505A JP2003054332A (ja) | 2001-08-20 | 2001-08-20 | 車両用複合スイッチユニッ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16182A KR20030016182A (ko) | 2003-02-26 |
KR100479695B1 true KR100479695B1 (ko) | 2005-03-30 |
Family
ID=19078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48888A KR100479695B1 (ko) | 2001-08-20 | 2002-08-19 |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6727448B2 (ko) |
EP (1) | EP1285813A3 (ko) |
JP (1) | JP2003054332A (ko) |
KR (1) | KR100479695B1 (ko) |
CN (1) | CN1241223C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207966B2 (en) * | 2004-05-26 | 2012-06-26 | Sony Online Entertainment Llc | Terrain editor tool for rule-based procedural terrain generation |
JP4509696B2 (ja) * | 2004-08-25 | 2010-07-21 | ナイルス株式会社 | レバースイッチの取付構造 |
JP2008018864A (ja) * | 2006-07-13 | 2008-01-31 | Alps Electric Co Ltd | ステアリングモジュール |
US20080121500A1 (en) * | 2006-11-24 | 2008-05-29 |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 Vehicular lever switch apparatus |
EP2151842A1 (fr) * | 2008-08-07 | 2010-02-10 | Delphi Technologies, Inc. | Commutateur comprenant un système d'indexation ayant une came en V et un index à embout hémisphérique |
CN104269310A (zh) * | 2013-12-31 | 2015-01-07 | 苏州旲烔机电科技有限公司 | 一种汽车多功能开关总成 |
JP6278844B2 (ja) * | 2014-06-12 | 2018-02-14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ケース付き機構装置 |
JP6887887B2 (ja) * | 2017-06-16 | 2021-06-16 | 株式会社アルファ | スイッチ部品の取付構造 |
EP3652022B1 (en) * | 2017-07-12 | 2021-03-17 | KA Group AG | Lever assembly for a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
JP7097291B2 (ja) * | 2018-12-27 | 2022-07-07 | 東洋電装株式会社 |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装置 |
JP7511968B2 (ja) * | 2019-10-28 | 2024-07-08 | パナソニックオートモー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 入力装置及び車両 |
CN111016776B (zh) * | 2019-12-28 | 2023-03-24 | 余姚市瑞玛特电器有限公司 | 组合开关 |
JPWO2021192899A1 (ko) * | 2020-03-25 | 2021-09-30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06935U (ko) * | 1979-01-22 | 1980-07-26 | ||
JPH10106398A (ja) * | 1996-09-26 | 1998-04-24 | Niles Parts Co Ltd | レバースイッチ装置 |
JPH10162694A (ja) * | 1996-11-26 | 1998-06-19 | Niles Parts Co Ltd |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の構造 |
JPH10172388A (ja) * | 1996-12-11 | 1998-06-26 | Niles Parts Co Ltd |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の構造 |
JPH10172389A (ja) * | 1996-12-11 | 1998-06-26 | Niles Parts Co Ltd | レバースイッチ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1602605A (en) * | 1977-06-21 | 1981-11-11 | Lucas Industries Ltd | Electrical switch |
JPS58150230A (ja) | 1982-03-03 | 1983-09-06 |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 車両用コラムスイツチの取付装置 |
FR2724763B1 (fr) * | 1994-09-20 | 1997-01-24 | Magneti Marelli France | Commutateur electrique pour l'alimentation des feux de position d'un vehicule automobile |
JP3117632B2 (ja) | 1995-11-24 | 2000-12-18 |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 回転コネクタとスイッチとの取付構造 |
FR2747834B1 (fr) * | 1996-04-22 | 1998-07-10 | Magneti Marelli France | Commutateur electrique pour la commande d'eclairage de vehicules automobiles |
US5952633A (en) * | 1996-12-20 | 1999-09-14 | Eaton Corporation | Steering column stalk switch for use with multiplexed electronic switching |
JPH10199375A (ja) * | 1997-01-17 | 1998-07-31 | Yazaki Corp |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装置 |
US6236004B1 (en) * | 1998-03-20 | 2001-05-22 | Delco Electronics Europe Gmbh | Steering column assembly |
FR2782960B1 (fr) * | 1998-09-03 | 2000-12-01 | Valeo Electronique | Ensemble haut de colonne electronise |
JP2000331570A (ja) * | 1999-05-20 | 2000-11-30 | Alps Electric Co Ltd | ストークスイッチの取付構造 |
DE19955640B4 (de) * | 1999-11-19 | 2004-07-08 |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 Elektrische Schaltvorrichtung |
DE19958507B4 (de) * | 1999-12-04 | 2004-09-16 | Delphi Technologies, Inc., Troy | Lenkstockschalter |
US6444929B1 (en) * | 2000-03-23 | 2002-09-03 |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 Multi-function stalk switch with zero backlash drive gear pair |
-
2001
- 2001-08-20 JP JP2001249505A patent/JP2003054332A/ja not_active Withdrawn
-
2002
- 2002-08-07 CN CNB021277001A patent/CN1241223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8-13 US US10/217,951 patent/US672744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8-19 EP EP02018185A patent/EP1285813A3/en not_active Withdrawn
- 2002-08-19 KR KR10-2002-0048888A patent/KR10047969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06935U (ko) * | 1979-01-22 | 1980-07-26 | ||
JPH10106398A (ja) * | 1996-09-26 | 1998-04-24 | Niles Parts Co Ltd | レバースイッチ装置 |
JPH10162694A (ja) * | 1996-11-26 | 1998-06-19 | Niles Parts Co Ltd |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の構造 |
JPH10172388A (ja) * | 1996-12-11 | 1998-06-26 | Niles Parts Co Ltd |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の構造 |
JPH10172389A (ja) * | 1996-12-11 | 1998-06-26 | Niles Parts Co Ltd | レバースイッチ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285813A2 (en) | 2003-02-26 |
EP1285813A3 (en) | 2006-11-02 |
US6727448B2 (en) | 2004-04-27 |
CN1402285A (zh) | 2003-03-12 |
JP2003054332A (ja) | 2003-02-26 |
US20030075426A1 (en) | 2003-04-24 |
CN1241223C (zh) | 2006-02-08 |
KR20030016182A (ko) | 2003-0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79695B1 (ko) |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닛 | |
US6025565A (en) | Lever switch for vehicles | |
EP0763447B1 (en) | Combination switch device | |
JP2002150864A (ja) |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 |
JPH10125157A (ja) | スイッチの接続構造 | |
US20030136655A1 (en) | Steering column switch | |
KR200441295Y1 (ko) | 스위치 모듈 | |
EP1655754B1 (en) | Automotive combination switch | |
JP2001110281A (ja) | レバースイッチ | |
JP4695310B2 (ja) |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 |
JPH10134663A (ja) | スイッチ | |
US6011225A (en) | Construction of a lever switch for a vehicle | |
US6624366B2 (en) | Lever switch for vehicle | |
JP2001236848A (ja) | スイッチ装置 | |
JPH10269902A (ja) | 多方向入力装置 | |
KR100812477B1 (ko) |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 |
KR100500086B1 (ko) | 스위치장치 | |
KR100735985B1 (ko) | 차량의 레버 커넥 | |
KR200470878Y1 (ko) | 차량용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 |
JPH1064371A (ja) |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 |
JP3460582B2 (ja) |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の構造 | |
KR20110057689A (ko) | 스위치 모듈 | |
KR100413264B1 (ko) | 입력장치 | |
JPH11134973A (ja) | 多重通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装置 | |
JPH1055733A (ja) |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