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644Y1 -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644Y1
KR200486644Y1 KR2020160007455U KR20160007455U KR200486644Y1 KR 200486644 Y1 KR200486644 Y1 KR 200486644Y1 KR 2020160007455 U KR2020160007455 U KR 2020160007455U KR 20160007455 U KR20160007455 U KR 20160007455U KR 200486644 Y1 KR200486644 Y1 KR 2004866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ort cover
lever body
check port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범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2020160007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6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6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6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2Joy stick type

Abstract

레버 본체의 일단에 형성된 점검구를 차폐하는 점검구 커버가, 상기 레버 본체에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는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컬럼 하우징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점검구가 형성된 레버 본체와, 상기 점검구를 차폐하며 상기 레버 본체에 결합되는 점검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본체에는 상기 점검구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길이방향으로 제1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점검구 커버에는 상기 레버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를 가지고 상기 걸림돌기에 결합되는 후크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MYLTI-FUNCTION SWITCH ASSEMBLY}
본 고안은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와이퍼 및 조명을 작동시키는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와이퍼 및 조명을 작동시키기 위한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크게 두 개의 스위치 레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스위치 레버 중 하나는 스티어링 휠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자동차에 설치되는 각종 조명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레버이다. 또한, 상기 두 개의 스위치 레버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스티어링 휠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퍼를 작동시키기 위한 레버이다. 상기 두 개의 스위치 레버는 차종에 따라 설치위치가 서로 바뀌기도 한다.
상기 두 개의 스위치 레버는 스티어링 컬럼이 관통하는 컬럼 하우징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 레버에는 각각 상기 컬럼 하우징에 설치되는 일단에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점검구는 점검구 커버에 의해 차폐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레버의 고장 발생시에, 상기 점검구 커버를 탈거한 후 상기 점검구를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스위치 레버를 상기 컬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점검구 커버는 상기 스위치 레버에 후크결합된다. 즉, 상기 스위치 레버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점검구 커버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후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스위치 레버는 내부에 설치되는 전장품으로 인해 내부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상기 걸림돌기는 매우 작은 돌기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점검구 커버에 형성된 후크부와 조립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레버 본체의 일단에 형성된 점검구를 차폐하는 점검구 커버가, 상기 레버 본체에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는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컬럼 하우징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점검구가 형성된 레버 본체와, 상기 점검구를 차폐하며 상기 레버 본체에 결합되는 점검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본체에는 상기 점검구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길이방향으로 제1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점검구 커버에는 상기 레버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를 가지고 상기 걸림돌기에 결합되는 후크부가 형성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레버 본체의 점검구 양측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상기 레버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제1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점검구를 차폐하는 점검구 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결합되는 후크부가 상기 레버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후크부가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걸림량이 증대되어 상기 점검구 커버가 상기 레버 본체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의 길이가 충분하기 때문에, 상기 점검구 커버를 상기 레버 본체로부터 반복적으로 탈거하더라도, 상기 걸림돌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2 스위치 레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스위치 레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일부 조립도,
도 5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대경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대경부에서 점검구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점검구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2 스위치 레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스위치 레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일부 조립도, 도 5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자동차에 설치된 각종 조명 및 와이퍼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운전석으로부터 전방에 위치하는 스티어링 휠(미도시)의 하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하부 중심축인 스티어링 컬럼(미도시)을 감싸는 컬럼 하우징(10)의 외부에서 컬럼 하우징(10)을 차폐시키는 쉬라우드 커버(미도시)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되, 운전자가 상기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상기 쉬라우드 커버 내부의 컬럼 하우징(10)에 대한 장착을 매개하는 미도시의 턴 브래킷을 중심으로 전방 또는 후방 및 상기 턴 브래킷과의 결합을 매개하는 연결 링크(260)를 중심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소정각도 회전 조작하거나, 상기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각종 조작 노브(예컨대, 도 1의 도면부호 231 참조)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각 조작 방법에 따라 상이한 전기적 접점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여 상기 각종 조명 및 와이퍼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멀티펑션 와이퍼 어셈블리는 상기 각종 조명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1 스위치 레버(100)와, 상기 와이퍼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 스위치 레버(200)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치 레버(100)는 컬럼 하우징(10)의 좌측에 일단이 삽입되어 컬럼 하우징(10)의 좌측에 돌출 배치되고, 제2 스위치 레버(200)는 컬럼 하우징(10)의 우측에 일단이 삽입되어 컬럼 하우징(10)의 우측에 돌출 배치된다. 제1 스위치 레버(100) 및 제2 스위치 레버(200)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하 제2 스위치 레버(200)만을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스위치 레버(20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쉬라우드 커버의 외부로 돌출되는 레버 본체(210)(220)를 포함한다. 레버 본체(210)(220)는 컬럼 하우징(10)에 일단이 상하 또는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레버 본체(210)(220)는 상기 일단에 대경부(212)(222)가 형성된다. 대경부(212)(222)는 레버 본체(210)(220)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직경이 큰 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이하 설명에서 대경부(212)(222)는 레버 본체(210)(220) 중 컬럼 하우징(10)에 결합되는 부분인 레버 본체(210)(220)의 일단과 같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레버 본체(210)(220)는, 외주면을 따라 소정길이 절개된 절개홀(211)이 형성된 상부본체(210)와, 상기 상부본체(210)에 결합되면서 상기 상부본체(210)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장착홀(217)이 형성되는 하부본체(220)를 포함한다. 상부본체(210)에 형성된 절개홀(211)은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된다.
대경부(212)(222)는 상부 본체(210)에 형성된 제1 하프 대경부(212)와, 하부 본체(220)에 형성된 제2 하프 대경부(222)를 포함한다. 제1 하프 대경부(212) 및 제2 하프 대경부(222)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부 본체(210) 및 하부 본체(220)가 서로 결합된 상태일 때, 원형 단면을 가지는 대경부(212)(222)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개홀(211)은 상기 제2 스위치 레버(200)가 컬럼 하우징(10)에 장착되면, 사용자로 하여금 상부측에서 관찰되도록 상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개홀(211)은 상기 상부본체(2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메인노브홀더(230)의 축방향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홀(211)에는, 외부로 조작노브(231)가 돌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조작노브(231)를 회전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내부 공간에 메인노브홀더(230)가 장착된다. 상기 조작노브(231)는 상기 메인노브홀더(230)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홀(230a)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설치됨으로써, 조작노브(231)의 조작에 의해 메인노브홀더(230)가 회전될 때, 조작노브(231)가 축방향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절개홀(211)의 일측에 부딪치더라도, 조작노브(231)가 슬라이딩홀(230a)을 따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메인노브홀더(230)가 회전 조작될 수 있도록 한다. 조작노브(231)에는 메인노브홀더(230)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조작노브(231)가 메인노브홀더(2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리브(231a)가 형성된다.
절개홀(211)의 사선방향은 상측으로 갈수록 우측에 가까워지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조작노브(231)를 검지손가락을 향해 밀면, 조작노브(231)가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메인노브홀더(23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조작노브(231)를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조작노브(231)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좌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메인노브홀더(23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인노브홀더(230)는 상기 상부본체(210) 및 상기 하부본체(220)가 서로 결합되기 전에 상기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조작노브(231)가 외부로 노출되는 크기를 갖는 바, 상기 장착홀(217)을 통하여 삽입 장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상부본체(210) 및 하부본체(220)가 이루는 상기 내부공간에는 표식패널(282)이 더 설치된다. 표식패널(282)은 절개홀(211)을 통해 조작노브(231)의 일측으로 노출된다. 표식패널(282)에는 절개홀(211)을 통해 노출되는 부분에, 조작노브(231)의 단계별 위치를 표시하는 복수의 인디케이터(282a)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인디케이터(282a)는 조작노브(231)의 단계와 대응되는 개수의 돌기로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돌기는 조작노브(231)의 단계가 높을수록 돌출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인디케이터(282a)는 사용자가 조작노브(231)를 엄지손가락으로 조작시에, 엄지손가락에 걸리는 느낌을 제공하여, 운전 중에 엄지손가락의 감각만으로 조작노브(231)의 단계별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상기 상부본체(210) 및 상기 하부본체(220)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장착홀(217)을 통하여 삽입 장착되는 서브노브홀더(2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브노브홀더(240)는, 상기 장착홀(217)을 통하여 삽입 장착되어 상기 상부본체(210) 및 상기 하부본체(220)와, 후술하는 접점 기판(250)의 결합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인노브홀더(230)는 상기 조작노브(231)가 외주면에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장착홀(217)을 향하여 연장되는 와이어 안내부(233)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 안내부(233)로는 상기 장착홀(217)의 외부에 결합되는 회전 노브(30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이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메인노브홀더(230)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이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접점 기판(250)과 연결되는 와이어(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서브노브홀더(240)가 상기 메인노브홀더(230)에 결합되면, 상기 와이어 안내부(233)는 상기 서브노브홀더(240)의 가운데에 형성된 설치 홀(243)을 관통하여 상기 장착홀(217)이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장착홀(217)에 근접되게는 상기 접점 기판(250)에 형성된 관통홀(253)을 통하여 상기 와이어 안내부(233)가 관통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와이어 안내부(233)의 단부에 회전 노브(3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접점 기판(250)은 일종의 인쇄회로기판(PCB : Printed Circuit Board)인데, 상기 회전노브(300) 및 메인노브홀더(230)의 회전에 따라 상이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접점 기판(250)의 일면에는 상기 서브노브홀더(240)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251)이 결합된다.
상부본체(210) 및 하부본체(220)의 상기 내부공간에는 광원(251)이 조사하는 빛을 인디케이터(282a)로 안내하여 인디케이터(282a)가 발광될 수 있도록 하는 라이트가이드(281)가 설치된다. 라이트가이드(281)는 상기 서브노브홀더(240)의 외주면에 홈 가공 형성된 안착부에 안착 고정되고, 복수의 인디케이터(282a) 중 조작노브(231)의 단계별 위치에 해당하는 인디케이터(282a)를 발광시킬 수 있다. 광원(251) 및 라이트가이드(281)는 각각의 인디케이터(282a)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서브노브홀더(2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장착홀(217)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 장착될 때, 상기 상부본체(210)와 상기 하부본체(220)의 결합을 매개한다. 즉, 종래에는 상기 상부본체(210) 및 하부본체(220)를 결합시킬 경우 별도의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였으나,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력이 감소하거나 제품의 사용기간이 오래될 경우 상기 상부본체(210) 및 하부본체(220) 사이의 결합력이 감소되어 상기 상부본체(210) 및 하부본체(220) 사이가 유격되어 제품 외관의 미관이 훼손되는 경향이 있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에서는, 나사와 같은 상기 체결부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상술한 상기 상부본체(210) 및 하부본체(220) 사이의 결합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장착홀(217)의 내주면 중 상기 상부본체(2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서브노브홀더(24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외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제1 슬라이딩홈(403)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217)의 내주면 중 상기 하부본체(2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서브노브홀더(24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외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제2 슬라이딩홈(401)이 복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브노브홀더(24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슬라이딩홈(403)에 끼움되는 제1 끼움리브(413)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홈(401)에 끼움되는 제2 끼움리브(411)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서브노브홀더(240)에 형성된 상기 제1 끼움리브(413) 및 상기 제2 끼움리브(411)는, 상기 장착홀(217)을 통하여 상기 서브노브홀더(240)의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장착할 때, 동시에 상기 상부 본체(210)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슬라이딩홈(403)에 상기 제1 끼움리브(413)가 결속되고, 상기 하부본체(220)에 해당하는 상기 제2 슬라이딩홈(401)에 상기 제2 끼움리브(411)가 결속함으로써, 상기 상부본체(210) 및 상기 하부본체(220) 사이의 결합력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서브노브홀더(240)에 의하여 상기 상부본체(210) 및 하부본체(220)가 결속된 후에는, 상기 상부본체(210) 및 하부본체(220)의 파팅 라인 중 상기 장착홀(217)에 근접하는 부분에 데코 부재(27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본체(210) 및 하부본체(220)를 보다 견고하게 결속시킴은 물론 미관을 개선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대경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대경부에서 점검구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점검구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버 본체(210)(220)는 연결 링크(260)를 매개로 상기 컬럼 하우징(10)에 결합된다. 연결 링크(260)는 일단이 레버 본체(210)(220)의 대경부(212)(222)으로 삽입되어 레버 본체(210)(220) 내에 결합되고, 타단은 컬럼 하우징(10)에 설치된 턴 브래킷(미도시)에 결합됨으로써, 레버 본체(210)(220)를 컬럼 하우징(10)에 결합시킨다. 연결 링크(260)는 레버 본체(210)(220)에 결합된 상태일 때 타단이 레버 본체(210)(220)로부터 돌출 배치된다.
대경부(212)(222)에는 레버 본체(210)(220)의 길이방향으로 점검구(222a)가 형성된다. 점검구(222a)는 레버 본체(210)(220) 중 하부 본체(220)의 제2 하프 대경부(222)에 형성된다. 점검구(222a)는 반드시 하부 본체(220)의 제2 하프 대경부(222)에 형성될 필요는 없고, 상부 본체(210)의 제1 하프 대경부(212)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점검구(222a)가 상부 본체(210)의 제1 하프 대경부(212)에 형성되는 경우,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기 때문에, 점검구(222a)는 하부 본체(210)의 제2 하프 대경부(222)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검구(222a)는 제2 하프 대경부(222)의 일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제2 하프 대경부(222)에는 점검구(222a)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222b)가 형성된다. 걸림돌기(222b)는 레버 본체(210)(220)의 길이방향으로 제1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걸림돌기(222b)는 일단이 제2 하프 대경부(222)의 일단에 위치하고, 타단은 연결 링크(26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제2 하프 대경부(222)에는 점검구 커버(225)가 결합된다. 점검구 커버(225)는 제2 하프 대경부(222)에 형성된 점검구(222a)를 차폐한다. 점검구 커버(225)는 제2 하프 대경부(222)의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점검구 커버(225)가 제2 하프 대경부(2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하프 대경부(222)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제2 스위치 레버(200)의 점검시에 점검구 커버(225)를 탈거한 후, 점검구(222a)를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제2 스위치 레버(200)를 컬럼 하우징(10)으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점검구 커버(225)에는 제2 하프 대경부(222)에 형성된 걸림돌기(222b)에 결합되는 후크부(225a)가 형성된다. 후크부(225a)는 점검구 커버(225)의 내측면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다. 후크부(225a)는 레버 본체(210)(22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걸림돌기(222b)의 길이인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걸림돌기(22b)의 길이가 후크부(225a)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점검구 커버(225)를 제2 하프 대경부(222)에서 반복적으로 탈거하더라도 걸림돌기(222b)가 파손되지 않게 되어, 점검구 커버(225)가 제2 하프 대경부(222)에 결합되는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후크부(225a)는, 점검구 커버(225)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부(225b)와, 베이스부(225b)에서 베이스부(225b)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걸림돌기(222b)에 걸림되는 걸림부(225c)를 포함한다.
걸림돌기(222b)는 걸림부(225c)와 접촉되는 면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걸림부(225c)는 걸림돌기(222b)와 접촉되는 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점검구 커버(225)를 제2 하프 대경부(222)로부터 탈거시에 걸림부(225c)가 걸림돌기(222b)의 곡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걸림이 해제되기 때문에, 후크부(225a)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점검구 커버(225)에는 내측면 양측에 후크부(225a)가 돌출 형성되는 함입홈(225d)이 형성된다. 후크부(225a)는 양측의 함입홈(225d) 사이에 해당하는 점검구 커버(225)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점검구 커버(225)를 제2 하프 대경부(222)로부터 탈거시에, 양측의 후크부(225a)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오므라들다가, 양측의 함입홈(225d) 사이에 해당하는 점검구 커버(225)에 접촉되어 오므라드는 것이 제지됨으로써 파손이 방지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컬럼 하우징 210,220: 레버 본체
212,222: 대경부 222a: 점검구
222b: 걸림돌기 225: 점검구 커버
225a: 후크부 225b: 베이스부
225c: 걸림부 225d: 함입홈
260: 연결 링크

Claims (8)

  1. 컬럼 하우징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점검구가 형성된 레버 본체; 및
    상기 점검구를 차폐하며 상기 레버 본체에 결합되는 점검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본체에는 상기 점검구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길이방향으로 제1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점검구 커버에는 상기 레버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를 가지고 상기 걸림돌기에 결합되는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점검구 커버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베이스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걸림부와 접촉되는 면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돌기와 접촉되는 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 본체의 상기 일단에는 나머지부분보다 직경이 큰 원형 단면의 대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점검구 및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대경부에 형성되는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 커버는 상기 대경부의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점검구 커버의 내측면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 커버의 내측면 양측에는 상기 후크부가 돌출 형성되는 함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점검구 커버의 내측면 양측의 함입홈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점검구 커버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 본체는,
    일단에 제1 하프 대경부가 형성된 상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본체와 함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하프 대경부와 대응되는 일단에 제2 하프 대경부가 형성된 하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구 및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2 하프 대경부에 형성되는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 본체의 상기 일단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레버 본체를 상기 컬럼 하우징에 결합을 매개하는 연결 링크를 더 포함하는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2020160007455U 2016-12-22 2016-12-22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2004866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455U KR200486644Y1 (ko) 2016-12-22 2016-12-22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455U KR200486644Y1 (ko) 2016-12-22 2016-12-22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644Y1 true KR200486644Y1 (ko) 2018-07-17

Family

ID=63047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455U KR200486644Y1 (ko) 2016-12-22 2016-12-22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64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2046A (ja) * 2001-09-18 2003-03-28 Niles Parts Co Ltd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KR20050006993A (ko) * 2003-07-10 2005-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드럼 접속장치
KR101211311B1 (ko) * 2011-10-07 2012-12-11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KR101396451B1 (ko) * 2013-01-04 2014-05-20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변속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2046A (ja) * 2001-09-18 2003-03-28 Niles Parts Co Ltd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KR20050006993A (ko) * 2003-07-10 2005-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드럼 접속장치
KR101211311B1 (ko) * 2011-10-07 2012-12-11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KR101396451B1 (ko) * 2013-01-04 2014-05-20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변속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746B2 (en) Mounting structure of handle switch device
WO2010079800A1 (ja) インサイドドアハンドル装置
KR101781345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JP5955303B2 (ja) ドアハンドル
KR200486644Y1 (ko)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JP5622524B2 (ja) 車両用灯具
KR20070047082A (ko) 자동차의 비돌출형 후방 경보센서 유닛의 장착구조
KR101211311B1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JP4396978B2 (ja) 車両用スイッチ装置
KR102327228B1 (ko) 차량용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조립체
US8057079B2 (en) Interior illumination apparatus
JP5993829B2 (ja) 自動二輪車のウインカ装置
KR20170027596A (ko)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JP2017065332A (ja) 自動車部品
KR101259572B1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JP2005209506A (ja) 車載用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100828199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KR100735985B1 (ko) 차량의 레버 커넥
KR101879655B1 (ko)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것의 조립방법
KR200488667Y1 (ko)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JP2008097865A (ja) ストークスイッチ装置
JP7362942B2 (ja) 操作装置
KR101497309B1 (ko) 차량의 파킹 브레이크 스위치 어셈블리
JP4738433B2 (ja) 車両用前照灯の光源取り付け構造
KR101121857B1 (ko) 차량용 스위치 레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