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857B1 - 차량용 스위치 레버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위치 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857B1
KR101121857B1 KR1020100049805A KR20100049805A KR101121857B1 KR 101121857 B1 KR101121857 B1 KR 101121857B1 KR 1020100049805 A KR1020100049805 A KR 1020100049805A KR 20100049805 A KR20100049805 A KR 20100049805A KR 101121857 B1 KR101121857 B1 KR 101121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g light
lever arm
contact holder
lev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0249A (ko
Inventor
이청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to KR1020100049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857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85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안개등 레버암의 오조립을 방지하여 접점 안정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스위치 레버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스위치 레버는, 안개등을 점멸하기 위해 회전되는 안개등 노브와, 상기 안개등 노브의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개등 노브와 함께 회전되는 안개등 레버암과, 상기 안개등 레버암이 삽입되어 상기 안개등 레버암의 회전을 안내하는 콘택트홀더와, 상기 콘택트홀더가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되어 상기 안개등 레버암의 회전시에 상기 콘택트홀더가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안개등 레버암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콘택트홀더가 슬라이딩될 때 상기 안개등 레버암이 삽입되는 상기 콘택트홀더의 공간을 가변시켜서, 상기 안개등 레버암이 중립위치에서 상기 콘택트홀더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된 차량용 스위치 레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위치 레버{A switch leve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위치 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개등 레버암의 오조립을 방지하여 접점 안정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스위치 레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야간운행 또는 안개지역 등의 시야가 좁고 어두운 지역을 운행할 경우 라이트 전원을 점멸하거나, 차량 운행 중 눈 또는 비가 올 경우, 운전자의 전방 시야 및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앞유리 및/또는 뒷 유리를 닦기 위한 와이퍼를 조절하는 차량용 스위치 레버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차량용 스위치 레버는 조향 핸들의 측방에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위치 레버를 조향 핸들의 회전과 같이 일정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차량의 라이트를 점멸하거나 와이퍼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안개등 레버암이 중립위치에서 콘택트홀더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서, 안개등 레버암의 오조립을 방지하여 접점 안정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스위치 레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스위치 레버는, 안개등을 점멸하기 위해 회전되는 안개등 노브와, 상기 안개등 노브의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개등 노브와 함께 회전되는 안개등 레버암과, 상기 안개등 레버암이 삽입되어 상기 안개등 레버암의 회전을 안내하는 콘택트홀더와, 상기 콘택트홀더가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되어 상기 안개등 레버암의 회전시에 상기 콘택트홀더가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안개등 레버암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콘택트홀더가 슬라이딩될 때 상기 안개등 레버암이 삽입되는 상기 콘택트홀더의 공간을 가변시켜서, 상기 안개등 레버암이 중립위치에서 상기 콘택트홀더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된 차량용 스위치 레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레버는, 안개등 레버암이 중립위치에서 콘택트홀더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서, 안개등 레버암의 오조립을 방지하여 접점 안정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스위치 레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버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이드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가이드부재와 콘택트홀더와 안개등 레버암의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스위치 레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스위치 레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버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스위치 레버는, 차량의 전조등 및/또는 안개등 등의 라이트를 점멸하거나 와이퍼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신호 및 작동방법 등의 기능이 표시된 다수개의 심볼이 형성되어 있고, 형성된 심볼을 따라 회전 또는 상하로 움직이며 전조등 및/또는 안개등 등의 라이트를 점멸하거나 또는 와이퍼가 작동되도록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레버부(100)와, 레버부(100)의 작동에 따라 단자들이 접촉하며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디부(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부(100)는 그 외관을 제공하는 동시에 그 외주면에 운전자가 식별 가능한 심볼 등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심볼을 따라 운전자가 자동차의 전조등 및/또는 안개등 등의 라이트 또는 와이퍼를 작동할 수 있도록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노브(6,8)가 구비된 레버 본체(4)와, 레버 본체(4)의 내부에 구비되어 레버부(100)가 바디부(200)에 연결설치되도록 하는 레버 홀더(10)와, 노브(6,8)의 작동에 따라 함께 움직여서 바디부(200)에 구비된 단자들을 접촉/해제되도록 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레버암(14,16)이 구비되어 있다.
노브(6,8)는 전조등을 점멸하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전조등 노브(6)와, 안개등을 점멸하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안개등 노브(8)로 구비된다.
아울러, 레버암(14,16)은 전조등 노브(6)의 내부에 연결설치되는 전조등 레버암(14)과, 안개등 노브(8)의 내부에 연결설치되는 안개등 레버암(16)으로 구비된다. 전조등 레버암(14)은 운전자가 전조등 노브(6)를 회전시키면 전조등 노브(6)와 함께 회전되어 바디부(200)에 구비된 단자들을 접촉/해제되도록 하고, 안개등 레버암(16)은 운전자가 안개등 노브(8)를 회전시키면 안개등 노브(8)와 함께 회전되어 바디부(200)에 구비된 단자들을 접촉/해제되도록 한다.
전조등 레버암(14)은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원통형 형상을 갖고, 그 길이방향의 일측 말단에 전조등 노브(6)에 삽입되어 연결설치되는 체결부(19)가 형성되며, 타측 말단에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단자에 연결설치되는 원형 또는 반원형의 돌출부(17)가 형성되어 있고, 안개등 레버암(16)은 전조등 레버암(14)이 내부를 관통하여 위치하도록 중공을 갖는 길이 방향으로 확장된 원통형 형상을 갖고, 그 길이방향의 일측 말단에 안개등 노브(8)에 삽입되어 연결설치되는 체결부(20)가 형성되며, 타측 말단에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단자에 연결설치되는 원형 또는 반원형의 돌출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조등 노브(6) 및 안개등 노브(8)에 각각 연결설치되는 전조등 레버암(14)의 체결부(19) 및 안개등 레버암(16)의 체결부(20)는 그 형태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조등 노브(6) 및 안개등 노브(8)에 연결설치되기 위한 당업계의 통상적인 형태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전조등 노브(6)에 연결설치되는 전조등 레버암(14)의 체결부(19)는 전조등 노브(6)의 내측에 구비되는 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홈에 대응되는 단차를 갖는 길이 방향으로 확장된 형태가 좋고, 안개등 노브(8)에 연결설치되는 안개등 레버암(16)의 체결부(20)는 중공을 갖는 원통형의 안개등 노브(8)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조등 레버암(14)은 안개등 레버암(16)의 중공에 관통 삽입되어 위치하는바, 만약 사용하고자 하는 노브(6,8)의 개수가 세 개 이상이라면, 이에 대응되는 개수의 레버암(6,8)을 더 구비시킨 후 다수개의 레버암(6,8) 중 가장 안쪽에 관통 삽입되어 위치하는 레버암(6) 외의 다른 레버암(8)에 중공을 형성시키고, 그 중공을 각 레버암에 따라 순차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다수개의 레버암(6,8)이 서로 관통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조등 레버암(14) 및 안개등 레버암(16)의 돌출부(18)는 필요에 따라, 레버암(14,16)의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예를 들면 레버암(14,16)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예각이 20 내지 80도로 경사진 말단에 구비된다.
한편, 레버 홀더(10)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중공을 갖는 원통형 형상을 갖고, 그 중공에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원통형 형상의 레버암(14,16)이 삽입되어 안착된다. 이때, 레버암(14,16)은 전조등 레버암(14)이 안개등 레버암(16)을 관통하여 삽입된채로 안개등 레버암(16)이 레버 홀더(10)의 중공으로 삽입되어서, 레버암(14,16)이 레버 홀더(10)의 하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한편, 바디부(200)는 바디부(200)의 외관을 제공하는 바디 케이스(30)와, 바디 케이스(30)의 내부에 구비된 가이드부재(40)와, 가이드부재(40)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된 콘택트홀더(5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바디 케이스(30)는 바디부(200)의 내부 구성을 보이기 위해 하부 케이스만을 도시하였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어 바디부(200)의 상부 외관을 제공하는 상부 케이스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콘택트홀더(50)에는 안개등 레버암(16)의 돌출부(18)가 삽입되어서, 콘택트홀더(50)는 안개등 레버암(16)의 회전시에 가이드부재(40) 상에 슬라이딩되면서 안개등 레버암(16)의 회전을 안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스위치 레버는 안개등 레버암(16)이 중립위치에서 콘택트홀더(5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서, 오조립을 방지하여 접점 안정을 개선하는 구성에 그 기술적 사상이 있는바, 위에서 설명한 구성외의 나머지 다른 구성은 종래의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안개등 레버암(16)의 중립위치는, 안개등 레버암(16)과 연결되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안개등 노브(8)의 중립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안개등이 소등된 상태를 의미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이드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가이드부재와 콘택트홀더와 안개등 레버암의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스위치 레버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가이드부재(40)에는 콘택트홀더(50)가 슬라이딩될 때 안개등 레버암(16)의 돌출부(18)가 삽입되는 콘택트홀더(50)의 공간(L1)을 가변시켜서, 안개등 레버암(16)이 중립위치에서 안개등 레버암(16)의 돌출부(18)가 콘택트홀더(5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45)가 형성된다.
가이드(45)는 가이드부재(40)의 내부 양측에서부터 가이드부재(40)의 중심을 향해 형성되되, 서로 이격되어서 콘택트홀더(50)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수평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부재(40)의 서로 이격되는 거리(L2)는, 안개등 레버암(16)의 돌출부(18)가 삽입되는 콘택트홀더(50)의 공간(L1)보다 더 크게 이격된다.
즉, 콘택트홀더(50)에는 서로 이격되어 안개등 레버암(16)의 돌출부(18)가 삽입되는 공간(L1)을 형성하는 삽입부(55)가 가이드(45)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서로 이격된 가이드(45)는 상기 서로 이격된 삽입부(55)보다 더 크게 이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콘택트홀더(50)가 가이드부재(40)의 가운데에 위치했을 때, 가이드(45)는 삽입부(55)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가이드(45)가 안개등 레버암(16)의 돌출부(18)가 삽입되는 콘택트홀더(50)의 공간(L1)으로 들어오지 않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개등 레버암(16)의 돌출부(18)가 콘택트홀더(50)의 공간(L1)으로 삽입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홀더(50)가 도면상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되면 가이드(45)가 콘택트홀더(50)의 공간(L1)으로 들어오게 되고, 이에 따라 콘택트홀더(50)의 공간(L1)이 좁아짐으로서 안개등 레버암(16)의 돌출부(18)가 가이드(45)에 걸려서 콘택트홀더(50)의 공간(L1)에 완전하게 삽입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안개등 레버암(16)을 중립위치에 놓은 후 가이드부재(40)의 가운데에 위치하도록 돌출부(18)를 콘택트홀더(50)에 삽입하여 조립하게 되는데, 이때 콘택트홀더(5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된 상태라면, 돌출부(18)가 콘택트홀더(50)에 완전하게 삽입되지 못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이를 인지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홀더(50)를 가이드부재(40)의 가운데로 슬라이딩시킨 후 돌출부(18)를 콘택트홀더(50)에 삽입하여 조립하게 됨으로서, 안개등 레버암(16)의 돌출부(18)가 가이드부재(40)의 중립위치에서 조립되기 때문에, 조립후에 안개등 레버암(16)의 회전시에 안개등 레버암(16)의 돌출부(18)가 가이드(45)에 걸려 이탈되는 것으로 인한 접점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와이퍼 작동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전조등 및 안개등 작동에 대한 설명만 하기로 한다.
먼저, 운전자가 전조등을 점멸하기 위해 전조등 노브(6)를 회전시키면, 전조등 레버암(14)이 전조등 노브(6)와 함께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전조등 레버암(14)의 돌출부(17)와 연결된 단자가 이동되어 스위치작동됨으로서 전조등이 점멸된다.
또한, 운전자가 안개등을 점멸하기 위해 안개등 노브(8)를 회전시키면, 안개등 레버암(16)이 안개등 노브(8)와 함께 회전되고, 이에 따라 안개등 레버암(16)의 돌출부(18)는 가이드부재(40)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된 콘택트홀더(50)의 안내를 받으며 회전되고, 이에 따라 안개등 레버암(16)의 돌출부(18)와 연결된 단자가 이동되어 스위치작동됨으로서 안개등이 점멸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레버는 안개등 레버암(16)이 중립위치에서 콘택트홀더(5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서, 안개등 레버암(16)의 오조립을 방지하여 접점 안정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4: 레버 본체 6: 전조등 노브
8: 안개등 노브 10: 레버 홀더
14: 전조등 레버암 16: 안개등 레버암
17,18: 돌출부 19,20: 체결부
30: 바디 케이스 40: 가이드부재
45: 가이드 50: 콘택트홀더
55: 삽입부 100: 레버부
200: 바디부

Claims (4)

  1. 안개등을 점멸하기 위해 회전되는 안개등 노브;
    상기 안개등 노브의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개등 노브와 함께 회전되는 안개등 레버암;
    상기 안개등 레버암이 삽입되어, 상기 안개등 레버암의 회전을 안내하는 콘택트홀더; 및
    상기 콘택트홀더가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되어, 상기 안개등 레버암의 회전시에 상기 콘택트홀더가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안개등 레버암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콘택트홀더가 슬라이딩될 때 상기 안개등 레버암이 삽입되는 상기 콘택트홀더의 공간을 가변시켜서, 상기 안개등 레버암이 중립위치에서 상기 콘택트홀더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된 차량용 스위치 레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개등 레버암에는 그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기 콘택트홀더로 삽입되는 원형 또는 반원형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콘택트홀더에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가 형성된 차량용 스위치 레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부 양측에서부터 중심을 향해 형성되되, 서로 이격되어서 상기 콘택트홀더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가이드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스위치 레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이격된 가이드는 상기 서로 이격된 삽입부보다 더 크게 이격되어 형성된 차량용 스위치 레버.
KR1020100049805A 2010-05-27 2010-05-27 차량용 스위치 레버 KR101121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805A KR101121857B1 (ko) 2010-05-27 2010-05-27 차량용 스위치 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805A KR101121857B1 (ko) 2010-05-27 2010-05-27 차량용 스위치 레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249A KR20110130249A (ko) 2011-12-05
KR101121857B1 true KR101121857B1 (ko) 2012-03-21

Family

ID=45499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805A KR101121857B1 (ko) 2010-05-27 2010-05-27 차량용 스위치 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8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649B1 (ko) * 2017-01-16 2018-07-18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128B1 (ko) 2007-12-05 2009-12-09 주식회사 신창전기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128B1 (ko) 2007-12-05 2009-12-09 주식회사 신창전기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249A (ko) 2011-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3743A (en) Combination switching means of lever type for motor vehicles
KR101646274B1 (ko) 조명부를 갖는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KR20090047269A (ko) 램프 셋 회전 장치
KR100930130B1 (ko)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ⅱ)
KR20100114804A (ko) 헤드램프의 구동장치
KR101121857B1 (ko) 차량용 스위치 레버
JP2008027650A (ja) 車輌用灯具
JP2008126910A (ja) 車両用照明装置
KR20190018785A (ko) 차량용 램프
KR20160000738U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KR101987297B1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KR20170119920A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KR101929737B1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KR20200053279A (ko)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100930128B1 (ko)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ⅰ)
KR101879649B1 (ko)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20200086900A (ko)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100930131B1 (ko) 자동차용 시그널 스위치 장치
KR101259572B1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KR101879655B1 (ko)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것의 조립방법
KR200488667Y1 (ko)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102330384B1 (ko) 자동차의 조명장치
KR101553519B1 (ko) 차량용 램프
KR101827729B1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KR100192865B1 (ko)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