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649B1 -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649B1
KR101879649B1 KR1020170006903A KR20170006903A KR101879649B1 KR 101879649 B1 KR101879649 B1 KR 101879649B1 KR 1020170006903 A KR1020170006903 A KR 1020170006903A KR 20170006903 A KR20170006903 A KR 20170006903A KR 101879649 B1 KR101879649 B1 KR 101879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shaft
switch
contact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청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1020170006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60Q1/0082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83Steering wheels; Gear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2Joy stick type

Abstract

컨택트 암의 회전궤적의 변화를 제거하여 컨택트 홀더 및 스위치 바디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바디 내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설치되는 컨택트 홀더와, 상기 스위치 바디 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위치 바디의 일측으로 돌출 배치되는 스위치 바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바는, 중공의 바 본체와, 상기 바 본체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노브와, 상기 노브와 결합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시 상기 노브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바 본체의 상기 중공 내로 삽입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위치 바디 내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의 회전시 상기 컨택트 홀더를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일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컨택트 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MULTIFUNCTION SWITCH ASSEMBLY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휠 부근에 설치되는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부근에는 두 개의 스위치 바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스위치 바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스티어링 휠과 연결된 스티어링 컬럼이 관통하는 컬럼 하우징 내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컬럼 하우징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는 상기 컬럼 하우징 내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컬럼 하우징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스위치 바는 야간운행 또는 안개지역 등의 시야가 좁고 어두운 지역을 운행할 경우 라이트 전원을 점등 또는 점멸하는데 사용되는 스위치 바이고, 상기 다른 하나의 스위치 바는 운행 중 눈 또는 비가 올 경우 운전자의 전방 시야 및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앞유리 및/또는 뒷 유리를 닦기 위한 와이퍼를 조절하는 스위치 바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어느 하나의 스위치 바는 자동차에 설치된 각종 조명을 점등 또는 점멸시키기 위한 다양한 스위치 관련 부품들이 구비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스위치 바는 상기 와이퍼의 작동을 온/오프 및 작동속도를 조절하는 하기 위한 다양한 스위치 관련 부품들이 구비되므로, 그 기능이 다양하여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로 불리어진다.
상기 스위치 바들은 각각, 상기 컬럼 하우징 내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된 스위치 바디 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타단이 상기 스위치 바디로부터 돌출 배치되는 바 본체와, 상기 바 본체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노브와, 상기 노브와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노브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바 본체의 내부에 상기 바 본체의 길이를 따라 길게 형성되어 배치되는 샤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는 구형의 컨택트 암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컨택트 암은 상기 스위치 바디 내에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 컨택트 홀더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노브가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상기 샤프트가 상기 노브와 함께 이동됨으로써 상기 컨택트 암이 상기 컨택트 홀더를 일측으로 슬라이딩시키게 되고, 상기 컨택트 홀더의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스위치 바디에 설치된 접점단자가 상기 컨택트 홀더와 점점되어 상이한 신호가 발생됨으로써, 상기 조명이 점등 또는 점멸되거나, 상기 와이퍼의 온/오프 및 작동속도가 제어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상기 컨택트 암이 일체로 고정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샤프트의 회전각도만큼 상기 컨택트 암도 회전궤적의 변화가 발생되고, 이러한 컨택트 암의 회전궤적의 변화는 상기 컨택트 홀더의 사이즈를 증대시켜야만 하며, 상기 스위치 바디의 사이즈도 증대시킬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컨택트 암의 회전궤적의 변화를 제거하여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바디 내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설치되는 컨택트 홀더와, 상기 스위치 바디 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위치 바디의 일측으로 돌출 배치되는 스위치 바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바는, 중공의 바 본체와, 상기 바 본체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노브와, 상기 노브와 결합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시 상기 노브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바 본체의 상기 중공 내로 삽입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위치 바디 내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의 회전시 상기 컨택트 홀더를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일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컨택트 암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컨택트 암이 샤프트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컨택트 암이 컨택트 홀더를 슬라이딩시킬 때 상기 컨택트 암의 회전궤적의 변화가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컨택트 암이 상기 컨택트 홀더를 샤프트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일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고, 상기 컨택트 홀더의 사이즈와 상기 컨택트 홀더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위치 바디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위치 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위치 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스위치 바디(100)와, 스위치 바디(100) 내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설치되는 컨택트 홀더(11,12)와, 스위치 바디(10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스위치 바디(100)의 일측으로 돌출 배치되는 스위치 바(200)를 포함한다.
스위치 바디(100)는 스티어링 컬럼이 상하로 관통하는 컬럼 하우징 내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스티어링 컬럼은 운전자가 자동차를 조향하기 위해 손으로 잡는 구성인 스티어링 휠이 상단에 결합되는 구성을 지칭한다.
스위치 바디(100) 내에는 컨택트 홀더(11,12)가 슬라이딩되어 접점되는 복수의 접점단자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바디(100)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점점단자 중 하나가 컨택트 홀더(11,12)와 접점될 시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PCB(Printed Circuit Board)가 설치될 수 있다.
컨택트 홀더(11,12)는 스위치 바디(100)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된다. 컨택트 홀더(11,12)가 슬라이딩되면 스위치 바디(100) 중 컨택트 홀더(11,12)가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되는 부분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점점단자 중 하나가 컨택트 홀더(11,12)와 접점됨으로써, 스위치 바디(100) 내에 구비된 상기 PCB는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킨다.
컨택트 홀더(11,12)는 두 개로 구비되어, 제1 컨택트 홀더(11)와 제2 컨택트 홀더(12)로 구성된다. 컨택트 홀더(11,12)는 상기 컬럼 하우징 내에서 좌측에 설치된 스위치 바디(100) 내에는 자동차의 각종 조명을 온/오프시키기 위해 2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컬럼 하우징 내에서 우측에 설치된 스위치 바디(100) 내에는 와이퍼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해서 하나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스위치 바(200)는 도면에 상기 컬럼 하우징 내의 좌측에 설치되는 것만 예시하였으나, 실질적으로 2개로 구비되어 상기 컬럼 하우징 내의 양측에 하나씩 설치된다. 즉, 상기 2개의 스위치 바(200) 중 어느 하나는 스위치 바디(100)의 좌측으로 돌출 배치되어, 자동차의 각종 조명을 온/오프시키는데 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스위치 바디(100)의 우측으로 돌출 배치되어 자동차의 와이퍼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스위치 바(200)는, 중공의 바 본체(21,22)와, 바 본체(21,22)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노브(31,32)와, 노브(31,32)와 결합되어 노브(31,32)의 회전시 노브(31,32)와 함께 회전되고, 바 본체(21,22)의 상기 중공 내로 삽입 배치되는 샤프트(41,42)와, 샤프트(41,42)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스위치 바디(100) 내에 배치되고, 노브(31,32)의 회전시 컨택트 홀더(11,12)를 샤프트(41,4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일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컨택트 암(51,52)을 포함한다.
바 본체(21,22)는 스위치 바디(10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제1 중공(21a)이 형성되며 스위치 바디(100)로부터 돌출 배치되는 제1 바 본체(21)와, 제1 바 본체(21)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내부에 제2 중공(22a)이 형성된 제2 바 본체(22)를 포함한다.
제1 바 본체(21)는 스위치 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단이 나머지 부분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된 대경부(21b)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바 본체(21)의 타단에는 환형의 제1 돌기(21c)가 돌출 형성된다.
제2 바 본체(22)는 일단에 제2 중공(22a)을 감싸는 환형의 제2 돌기(22b)와, 제2 돌기(22b)와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환형의 제3 돌기(22c)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바 본체(22)의 타단에는 환형의 제1 홈(22d)이 형성된다.
노브(31,32)는 바 본체(21,22)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노브(31)와, 바 본체(21,22)의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노브(32)를 포함한다.
제1 노브(31)는 제2 바 본체(22)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2 노브(32)는 일단이 제1 바 본체(21)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2 바 본체(22)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노브(31)는 일단에 제2 바 본체(22)에 형성된 제1 홈(22d)에 삽입되는 환형의 제4 돌기(31a)가 형성된다.
제2 노브(32)는 내부에 제3 중공(32c)이 형성된 환형의 내측부(32a)와, 내측부(32a)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제2 노브(32)의 외관을 형성하는 환형의 외측부(32b)를 포함한다.
제1 바 본체(21)에 형성된 제1 돌기(21c)는 제2 노브(32)의 일단에서 내측부(32a) 및 외측부(32b) 사이로 삽입된다.
제2 바 본체(22)에 형성된 제2 돌기(22b)는 제2 노브(32)의 타단에서 제3 중공(32c)으로 삽입된다. 또한, 제2 바 본체(22)에 형성된 제3 돌기(22c)는 제2 노브(32)의 타단에서 내측부(32a) 및 외측부(32b) 사이로 삽입된다.
샤프트(41,42)는 제1 노브(31)와 결합되는 제1 샤프트(41)와, 제2 노브(32)와 결합되고 제1 샤프트(41)가 관통하는 제2 샤프트(42)를 포함한다.
제2 샤프트(42)의 타단은 제2 노브(32)의 일단에서 제3 중공(32c)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제1 샤프트(41)는 제2 중공(22a) 및 제2 샤프트(42)를 관통하고, 제1 샤프트(41)의 타단은 제1 노브(31)의 내부에 결합된다.
제1 바 본체(21)의 제1 중공(21a)에는 제1 바 본체(21)의 일단을 스위치 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을 매개하는 연결 링크(61,62)가 설치된다. 연결 링크(61,62)는 일단부(61)가 제1 바 본체(21)의 제1 중공(21a)으로 삽입되고 제2 샤프트(42)가 관통한다. 또한, 연결 링크(61,62)의 타단부(62)는 일단부(61)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스위치 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샤프트(41,42)에는 컨택트 암(51,5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돌기(41a,42a)가 돌출 형성된다. 즉, 제1 샤프트(41)의 일단은 제2 샤프트(42)를 관통하여 돌출되고, 이 돌출된 제1 샤프트(41)의 일단에는 제1 힌지돌기(41a)가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샤프트(42)의 일단에는 제2 힌지돌기(42a)가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컨택트 암(51,52)은, 샤프트(41,42)의 일단이 삽입되고 힌지돌기(41a,42a)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홀(51d,52d)이 형성된 암 본체(51a,52a)와, 암 본체(51a,52a)의 하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암 돌기(51b,52b)를 포함한다. 암 돌기(51b,52b)는 암 본체(51a,52a)의 하측에서 스위치 바디(100)의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다. 암 돌기(51b,52b)의 끝단에는 컨택트 홀더(11,12)에 삽입되는 구형부(51c,52c)가 형성된다. 컨택트 홀더(11,12)의 상측에는 구형부(51c,52c)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힌지돌기(41a,42a)는 샤프트(41,42)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구비되어, 노브(31,32)의 회전과 연동하여 샤프트(41,42)가 회전될 때, 컨택트 암(51,52)이 회전되는 힌지 결합축이 된다. 스위치 바디(100)에는, 노브(31,32)의 회전과 연동하여 샤프트(41,42)가 회전될 때, 컨택트 암(51,52)이 샤프트(41,42)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구비된 상기 힌지 결합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컨택트 홀더(11,12)를 직선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13)가 형성된다.
컨택트 암(51,52)은 제1 샤프트(41)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컨택트 홀더(11)를 슬라이딩시키는 제1 컨택트 암(51)과, 제2 샤프트(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 컨택트 홀더(12)를 슬라이딩시키는 제2 컨택트 암(52)을 포함한다.
제1 샤프트(41)의 일단에는 제1 힌지돌기(41a)가 형성되고, 제2 샤프트(42)의 일단에는 제2 힌지돌기(42a)가 형성된다.
제1 컨택트 암(51)은 제1 샤프트(41)의 일단이 삽입되고 제1 힌지돌기(41a)가 삽입되는 제1 힌지홀(51d)이 형성된 제1 암 본체(51)와, 제1 암 본체(51)의 하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암 돌기(51b)를 포함한다. 제1 암 돌기(51b)의 끝단에는 제1 컨택트 홀더(11)에 삽입되는 제1 구형부(51c)가 형성된다. 제1 힌지홀(51d)은 힌지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컨택트 암(52)은 제2 샤프트(42)의 일단이 삽입되고 제2 힌지돌기(42a)가 삽입되는 제2 힌지홀(52d)이 형성된 제2 암 본체(52a)와, 제2 암 본체(52a)의 하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암 돌기(52b)를 포함한다. 제2 암 돌기(52b)의 끝단에는 제2 컨택트 홀더(12)에 삽입되는 제2 구형부(52c)가 형성된다. 제2 힌지홀(52d)은 힌지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제1 노브(31)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시키면, 제1 샤프트(41)가 제1 노브(31)와 함께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제1 컨택트 암(51)이 제1 샤프트(41)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 컨택트 홀더(11)를 슬라이딩 시킨다. 제1 컨택트 홀더(11)는 슬라이딩되어 스위치 바디(100)에 구비된 접점단자와 접점되어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런데, 제1 컨택트 암(51)은 제1 샤프트(41)의 제1 힌지돌기(4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샤프트(41)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됨과 아울러, 제1 힌지돌기(41a)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되기 때문에, 제1 컨택트 암(51)이 제1 샤프트(41)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궤적이 변하지 않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제2 노브(32)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시키면, 제2 샤프트(42)가 제2 노브(32)와 함께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제2 컨택트 암(52)이 제2 샤프트(42)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 컨택트 홀더(12)를 슬라이딩 시킨다. 제2 컨택트 홀더(12)는 슬라이딩되어 스위치 바디(100)에 구비된 접점단자와 접점되어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런데, 제2 컨택트 암(52)은 제2 샤프트(42)의 제2 힌지돌기(4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2 샤프트(42)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됨과 아울러, 제2 힌지돌기(42a)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되기 때문에, 제2 컨택트 암(52)이 제2 샤프트(42)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궤적이 변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컨택트 암(51,52)이 샤프트(41,42)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컨택트 암(51,52)의 회전궤적의 변화가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컨택트 암(51,52)이 컨택트 홀더(11,12)를 샤프트(41,4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일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고, 컨택트 홀더(11,12)의 사이즈와 스위치 바디(100)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 제1 컨택트 홀더 12 : 제2 컨택트 홀더
13 : 가이드 리브 21 : 제1 바 본체
21a: 제1 중공 21c: 제1 돌기
22 : 제2 바 본체 22a : 제2 중공
22b : 제2 돌기 22c : 제3 돌기
22d : 제1 홈 31 : 제1 노브
31a : 제4 돌기 32 : 제2 노브
32a : 내측부 32b : 외측부
32c : 제3 중공 41 : 제1 샤프트
41a : 제1 힌지돌기 42 : 제2 샤프트
42a : 제2 힌지돌기 51 : 제1 컨택트 암
51a : 제1 암 본체 51b : 제1 암 돌기
51c : 제1 구형부 51d : 제1 힌지홀
52 : 제2 컨택트 암 52a : 제2 암 본체
52b : 제2 암 돌기 52c : 제2 구형부
52d : 제2 힌지홀 100: 스위치 바디
200 : 스위치 바

Claims (6)

  1. 스위치 바디;
    상기 스위치 바디 내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설치되는 컨택트 홀더; 및
    상기 스위치 바디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위치 바디의 일측으로 돌출 배치되는 스위치 바;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바는,
    중공의 바 본체와,
    상기 바 본체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노브와,
    상기 노브와 결합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시 상기 노브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바 본체의 상기 중공 내로 삽입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위치 바디 내에 배치되고, 상기 노브의 회전시 상기 컨택트 홀더를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일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컨택트 암을 포함하고,
    상기 컨택트 홀더는 제1 컨택트 홀더와, 제2 컨택트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는 상기 바 본체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노브와, 상기 바 본체의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 노브와 결합되는 제1 샤프트와, 상기 제2 노브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샤프트가 관통하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트 암은 상기 제1 샤프트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컨택트 홀더를 슬라이딩시키는 제1 컨택트 암과, 상기 제2 샤프트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컨택트 홀더를 슬라이딩시키는 제2 컨택트 암을 포함하고,
    상기 바 본체는 상기 스위치 바디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제1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바디로부터 돌출 배치되는 제1 바 본체와, 상기 제1 바 본체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내부에 제2 중공이 형성된 제2 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 본체의 타단에는 환형의 제1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바 본체는 일단에 상기 제2 중공을 감싸는 환형의 제2 돌기와, 상기 제2 돌기와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환형의 제3 돌기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환형의 제1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노브는 일단에 상기 제1 홈에 삽입되는 환형의 제4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노브는 내부에 제3 중공이 형성된 환형의 내측부와, 상기 내측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2 노브의 외관을 형성하는 환형의 외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2 노브의 일단에서 상기 내측부 및 상기 외측부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2 노브의 타단에서 상기 제3 중공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3 돌기는 상기 제2 노브의 타단에서 상기 내측부 및 상기 외측부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제2 샤프트의 타단은 상기 제2 노브의 일단에서 상기 제3 중공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 샤프트는 상기 제2 중공 및 상기 제2 샤프트를 관통하고, 타단이 상기 제1 노브의 내부에 결합되는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바디에는, 상기 노브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샤프트가 회전될 때, 상기 컨택트 암이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구비된 힌지 결합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컨택트 홀더를 직선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된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힌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컨택트 암은,
    상기 샤프트의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힌지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홈 또는 힌지홀이 형성된 암 본체와,
    상기 암 본체의 하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끝단에 상기 컨택트 홀더에 삽입되는 구형부가 형성된 암 돌기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제1 바 본체의 상기 제1 중공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 샤프트가 관통하며, 타단부는 상기 일단부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링크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1020170006903A 2017-01-16 2017-01-16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101879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903A KR101879649B1 (ko) 2017-01-16 2017-01-16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903A KR101879649B1 (ko) 2017-01-16 2017-01-16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649B1 true KR101879649B1 (ko) 2018-07-18

Family

ID=63048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903A KR101879649B1 (ko) 2017-01-16 2017-01-16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64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8968A (ja) * 1996-01-18 1997-07-31 Niles Parts Co Ltd 自動車用複合スイッチレバー装置
KR20090058873A (ko) * 2007-12-05 2009-06-10 주식회사 신창전기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ⅱ)
JP2011216367A (ja) * 2010-03-31 2011-10-27 Niles Co Ltd レバー・スイッチ装置
KR20110130249A (ko) * 2010-05-27 2011-12-05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용 스위치 레버
JP2013000500A (ja) * 2011-06-21 2013-01-07 Yamaha Corp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4007105A (ja) * 2012-06-26 2014-01-1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配線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8968A (ja) * 1996-01-18 1997-07-31 Niles Parts Co Ltd 自動車用複合スイッチレバー装置
KR20090058873A (ko) * 2007-12-05 2009-06-10 주식회사 신창전기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ⅱ)
JP2011216367A (ja) * 2010-03-31 2011-10-27 Niles Co Ltd レバー・スイッチ装置
KR20110130249A (ko) * 2010-05-27 2011-12-05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용 스위치 레버
JP2013000500A (ja) * 2011-06-21 2013-01-07 Yamaha Corp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4007105A (ja) * 2012-06-26 2014-01-1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配線モジュー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0384B2 (en) Multifunction switch for vehicle having lighting module
KR10260375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EP3061652A1 (en) Switch device
KR100930130B1 (ko)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ⅱ)
KR0151682B1 (ko) 비상점멸등 장치
JP4140751B2 (ja) 車両用照明装置
US6570105B1 (en) Retractable rotary switch cell
KR101879649B1 (ko)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JP4695310B2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KR101542858B1 (ko) 차량용 멀티 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102210551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1899926B1 (ko)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KR101879655B1 (ko)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것의 조립방법
KR200488667Y1 (ko)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JP2001354064A (ja) 車両用コラムスイッチの照明構造
KR20200053279A (ko)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100828199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KR101954840B1 (ko)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
KR100812477B1 (ko)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KR101121857B1 (ko) 차량용 스위치 레버
KR100862001B1 (ko) 와이퍼 스위치
JP2019192447A (ja) 操作装置
KR101805092B1 (ko)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KR100930128B1 (ko)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ⅰ)
KR200470878Y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