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8873A -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ⅱ)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8873A
KR20090058873A KR1020070125663A KR20070125663A KR20090058873A KR 20090058873 A KR20090058873 A KR 20090058873A KR 1020070125663 A KR1020070125663 A KR 1020070125663A KR 20070125663 A KR20070125663 A KR 20070125663A KR 20090058873 A KR20090058873 A KR 20090058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ever arm
knob
vehicle
contac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0130B1 (ko
Inventor
조은성
오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to KR1020070125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130B1/ko
Priority to CN2008801250774A priority patent/CN101919016B/zh
Priority to PCT/KR2008/007225 priority patent/WO2009072844A2/en
Priority to JP2010536855A priority patent/JP5279836B2/ja
Priority to EP08856121.2A priority patent/EP2232517B1/en
Priority to US12/746,243 priority patent/US8399787B2/en
Publication of KR20090058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69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 B60Q1/1476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controlled by or attached to a single lever, e.g. steering column stalk switches comprising switch controlling means located near the free end of the lever, e.g. press buttons, rotatable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05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or switching of the light beam
    • B60Q2300/056Special anti-blinding beams, e.g. a standard beam is chopped or moved in order not to bli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위치 레버가 차량의 라이트를 점멸하거나 와이퍼를 조절하기 위해 회전하는 두 개의 노브(6,8); 상기 두 개의 노브(6,8)의 내부 일측에 각각 연결설치되어 노브(6,8)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두 개의 레버 암(14,16); 상기 두 개의 레버 암(14,16)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측 말단에 각각 연결설치되어 레버 암(14,16)의 회전에 따라 이동을 하는 두 개의 접촉단자부(28, 30); 상기 두 개의 접촉단자부(28, 30)가 안착되어 이동 하도록 두 개의 가이드홈(26, 26')이 각각 형성된 가이드부재(24); 및 상기 두 개의 접촉단자부(28, 30)의 하단에 연결설치되어 이동하는 두 개의 접촉단자부(28, 30)와 슬라이딩 접촉하며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절연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레버에 관한 것이다.
와이퍼, 라이트, 방향지시등, 스위치 레버, 레버 암, 노브

Description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Ⅱ){Switch Lev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스위치 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전조등 및/또는 안개등 등의 라이트를 점멸하거나 차량의 유리를 닦아주는 와이퍼를 조절하는 스위치 레버의 신호를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다수의 레버 암의 회전을 통해 작동하도록 하는 차량용 스위치 레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야간운행 또는 안개지역 등의 시야가 좁고 어두운 지역을 운행할 경우 라이트 전원을 점멸하거나, 차량 운행 중 눈 또는 비가 올 경우, 운전자의 전방 시야 및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앞 유리 및/또는 뒷 유리를 닦기 위한 와이퍼를 조절하는 차량용 스위치 레버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는 조향 핸들의 측방에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위치 레버를 조향 핸들의 회전과 같이 일정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차량의 라이트를 점멸하거나 와이퍼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술한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조등 및/또는 안개등 등의 라이트를 점멸하거나 와이퍼를 조절하기 위해 회전하는 노브(6)와 상기 노브(6)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접촉홀더(100); 상기 접촉홀더(100)와 대향접촉하며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인쇄회로기판 또는 고정단자가 구비된 절연부(110) 및 상기 절연부(110)에 연결설치되어 접촉홀더(100)와 절연부(110)의 인쇄회로기판 또는 고정단자가 서로 대향접촉하며 발생된 신호를 소정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하는 와이어(1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접촉홀더(100) 및/또는 절연부(110)의 일측에는 상기 접촉홀더(100)와 절연부(110)가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미도시) 등이 더 구비된다.
더욱이, 전술한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가 차량의 라이트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경우, 라이트를 조작하기 위한 노브뿐만 아니라 안개등을 조작하기 위한 노브 등이 함께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노브에 해당되는 조작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각각의 노브에 대응되는 별도의 접촉홀더와 절연부를 각각 구비시켜야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는 운전자가 노브를 회전시켜 자동차의 라이트를 점멸하거나 와이퍼의 작동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 노브와 이웃하도록 별도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접촉홀더 및 절연부 및 발생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스위치 레버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많고, 이에 따라 조립공정수가 함께 증가됨으로써 생산성이 감소하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홀더 및 절연부 사이에서 불량이 발생하였을 때, 차량용 스위치 레버 전체를 분해조립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에 구비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노브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도록 하는 신호를 노브와 이웃하는 위치에서 별도의 와이어를 통해 전달하지 않고, 길이 방향으로 확장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레버 암을 통해 스위치 하우징의 절연부에서 직접 신호가 발생되도록 하여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구성부품 수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것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용 스위치 레버에 구비되는 다수의 노브에 노브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레버 암을 각각 연결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레버 암을 고정단자가 구비된 절연부와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하여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레버 암을 사용하여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접점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부품수를 감소시켜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연부의 고정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단자부의 접촉구조를 대향접점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노브를 회전시켜 차량의 전조등 및/또는 안개등 등의 라이트를 점멸하거나 와이퍼를 조절하는 차량용 스위치 레버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스위치 레버가 차량의 전조등 및/또는 안개등 등의 라이트를 점멸하거나 와이퍼를 조절하기 위해 회전하는 두 개의 노브; 상기 두 개의 노브의 내부 일측에 각각 연결설치되어 노브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두 개의 레버 암; 상기 두 개의 레버 암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측 말단에 각각 연결설치되어 레버 암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두 개의 접촉단자부; 상기 두 개의 접촉단자부가 안착되어 이동하도록 두 개의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된 가이드부재; 및 상기 두 개의 접촉단자부의 하단에 연결설치되어 이동하는 두 개의 접촉단자부와 슬라이딩 접촉하며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레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레버(lever)는 조향 핸들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형태로 설치되어 상/하/좌/우 또는 레버의 일측을 회전시켜 차량의 전조등 및/또는 안개등 등의 라이트를 점멸하거나 와이퍼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스위치 레버라면 본 발명의 차량용 스위치 레버에 해당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레버 암은 임의로 하나의 레버 암을 제 1 레버 암으로 지칭할 경우, 다른 레버 암을 제 2 레버 암으로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 1 레버 암은 특정적으로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원통형 형상을 갖고, 그 길이방향의 일측 말단에 하나의 노브에 삽입되어 연결설치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체결부에 대향되는 타측 말단에 하나의 접촉단자부에 연결설치되는 원형 또는 반원형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레버 암은 제 1 레버 암이 내부를 관통하여 위치하도록 중공을 갖는 길이 방향으로 확장된 원통형 형상을 갖고, 그 길이방향의 일측 말단에 다른 하나의 노브에 삽입되어 연결설치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에 대향되는 타측 말단에 다른 하나의 접촉단자부에 연결설치되는 원형 또는 반원형의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레버 암의 돌출부 및 제 2 레버 암의 돌출부에 각각 연결설치되는 두 개의 접촉단자부는 임의로 제 1 레버 암에 연결설치되는 접촉단자부를 제 1 접촉단자부로 지칭하고, 제 2 레버 암에 연결설치되는 접촉단자부를 제 2 접촉단자부로 지칭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 1 레버 암은 제 2 레버 암의 중공을 관통하여, 특정적으로 관통 삽입되어 위치하는바, 상기 제 1 레버 암이 제 2 레버 암의 중공에 삽입되어 접촉함으로써, 제 1 레버 암 또는 제 2 레버 암의 조작으로 인해 서로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제 1 레버 암 및 제 2 레버 암 사이의 간섭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레버 암의 일측에 제 1 레버 암이 관통되어 안착되는 중공을 갖는 암 홀더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레버 본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바디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레버 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레버 암과 레버 홀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레버 암이 적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접촉단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레버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전조등 및/또는 안개등 등의 라이트를 점멸하거나 와이퍼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신호 및 작동방법 등의 기능이 표시된 다수개의 심볼이 형성되어 있고, 형성된 심볼을 따라 회전 또는 상/하/좌/우로 움직이며 전조등 및/또는 안개등 등의 라이트 또는 와이퍼의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레버부(2)와 상기 레버부(2)의 작동에 따라 고정단자(40)와 접촉단자부(29,30)가 접촉하며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디부(4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부(2)는 그 외관을 제공하는 동시에 그 외주면에 운전자가 식별 가능한 심볼 등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심볼을 따라 운전자가 자동차의 전조등 및/또는 안개등 등의 라이트 또는 와이퍼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노브(6,8)가 구비된 레버 본체(4) 및 상기 레버 본체(4)의 내부에 구비되어 레버부(2)가 바디부(42)에 연결설치되도록 하는 레버 홀더(10)와 노브(6,8)의 작동에 따라 함께 움직이며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레버 암(14,16)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노브(6,8)가 구비된 차량용 스위치 레버에서 임의로 하나의 노브를 제 1 노브(6)로 지칭하면, 다른 하나의 노브를 제 2 노브(8)로 지칭하기로 하는바, 예를 들면 자동차의 전조등을 조작하기 위한 노브를 임의로 제 1 노브(6)로 지칭할 경우, 이외의 다른 하나의 노브, 예컨대 안개등을 조작하기 위한 노브는 제 2 노브(8)로 지칭한다.
아울러, 상기 제 1 노브(6) 및 제 2 노브(8)는 각각 하나의 레버 암(14,16)에 연결설치되는바, 상기 제 1 노브(6)에 연결설치되는 레버 암을 제 1 레버 암(14)으로 지칭하면, 제 2 노브(8)에 연결설치되는 레버 암을 제 2 레버 암(16)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레버 암(14) 및 제 2 레버 암(16)은 각각 하나의 접촉단자부(28,30)에 연결설치되는바, 전술한 설명과 동일한 맥락으로 제 1 레버 암(14)에 연결설치되는 접촉단자부를 제 1 접촉단자부(28)라 하면, 제 2 레버 암(16)에 연결설치되는 접촉단자부를 제 2 접촉단자부(30)라 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바디부(42)는 바디부(42)의 외관을 제공하는 바디 하우징(36); 상기 바디 하우징(36)의 하단에 구비되어 레버부(2)의 레버 홀더(10)에 연결설치되는 콘택트 홀더(22); 상기 콘택트 홀더(22)의 하단에 구비되어 레버부(2)의 제 1 레버 암(14) 및 제 2 레버 암(16)에 연결설치되는 레버 암(14,16)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제 1 접촉단자부(28) 및 제 2 접촉단자부(30); 상기 접촉단자부(28,30)가 안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동시에 접촉단자부(28,30)의 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홈(26,26')이 형성된 가이드부재(24); 상기 가이드부재(24)의 하단에 연결설치되어 가이드부재(24)의 가이드홈(26, 26')을 따라 이동하는 접촉단자부(28,30)와 슬라이딩 접촉하며 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정단자(40)가 구비된 절연부(34); 및 상기 절연부(34)의 하단에 구비되어 바디 하우징(36)과 서로 연결설치됨으로써, 바디부(42)를 구성하는 구성부품을 보호하는 바디 베이스(38)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레버는 차량의 전조등 및/또는 안개등 등의 라이트 또는 와이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노브(6,8)를 작동시켜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에 그 기술적 사상이 있는바, 상기 노브(6,8) 및 이와 연결설치되어 작동하는 레버 암(14,16), 접촉단자부(28,30), 가이드부재(24) 및 절연부(34) 등을 제외한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다른 구성은 종래의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레버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 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레버는 차량용 스위치 레버가 차량의 라이트를 점멸하거나 와이퍼를 조절하기 위해 회전하는 제 1 노브(6) 및 제 2 노브(8); 상기 제 1 노브(6) 및 제 2 노브(8)의 내부 일측에 각각 연결설치되어 제 1 노브(6) 및 제 2 노브(8)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제 1 레버 암(14) 및 제 2 레버 암(16); 상기 제 1 레버 암(14) 및 제 2 레버 암(16)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측 말단에 각각 연결설치되어 제 1 레버 암(14) 및 제 2 레버 암(16)의 회전에 따라 이동을 하는 제 1 접촉단자부(28) 및 제 2 접촉단자부(30); 상기 제 1 접촉단자부(28) 및 제 2 접촉단자부(30가 안착되어 이동하도록 두 개의 가이드홈(26, 26')이 각각 형성된 가이드부재(24); 및 상기 제 1 접촉단자부(28) 및 제 2 접촉단자부(30)의 하단에 연결설치되어 이동하는 제 1 접촉단자부(28) 및 제 2 접촉단자부(30)와 슬라이딩 접촉하며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절연부(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노브(6) 및 제 2 노브(8)는 차량의 전조등 및/또는 안개등 등의 라이트를 점멸하거나 와이퍼를 조절하기 위해 운전자가 회전조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노브(6,8)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레버 암(14) 및 제 2 레버 암(16)은 상기 제 1 노브(6) 및 제 2 노브(8)에 각각 연결설치되어 제 1 노브(6) 또는 제 2 노브(8)의 회전에 따라 각각 회전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정적으로 제 1 레버 암(14)은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원통형 형상을 갖고, 그 길이방향의 일측 말단에 제 1 노브(6)에 삽입되어 연결설치되는 체결부(20)가 형성되며, 체결부(20)에 대향되는 타측 말단에 제 1 접 촉단자부(28)에 연결설치되는 원형 또는 반원형의 돌출부(18)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레버 암(16)은 상기 제 1 레버 암(14)이 내부를 관통하여 위치하도록 중공을 갖는 길이 방향으로 확장된 원통형 형상을 갖고, 그 길이방향의 일측 말단에 제 2 노브(8)에 삽입되어 연결설치되는 체결부(20)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20)에 대향되는 타측 말단에 제 2 접촉단자부(30)에 연결설치되는 원형 또는 반원형의 돌출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노브(6) 및 제 2 노브(6)에 연결설치되는 제 1 레버 암(14) 및 제 2 레버 암(16)의 체결부(20)는 그 형태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 1 노브(6) 및 제 2 노브(6)에 연결설치되기 위한 당업계의 통상적인 형태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제 1 노브(6)에 연결설치되는 제 1 레버 암(14)의 체결부(20)는 제 1 노브(6)의 내측에 구비되는 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홈에 대응되는 단차를 갖는 길이 방향으로 확장된 형태가 좋고, 제 2 노브(8)에 연결설치되는 제 2 레버 암(14)의 체결부(20)는 중공을 갖는 원통형의 제 2 노브(8)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 1 레버 암(14)은 제 2 레버 암(16)의 중공에 관통 삽입되어 위치하는바, 만약 사용하고자 하는 노브(6,8)의 개수가 세 개 이상이라면, 이에 대응되는 개수의 레버 암(6,8)을 더 구비시킨 후 다수개의 레버 암(6,8) 중 가장 안쪽에 관통 삽입되어 위치하는 레버 암(6) 외의 다른 레버 암(8)에 중공을 형성시키고, 그 중공을 각 레버 암에 따라 순차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다수개의 레버 암(6,8)이 서로 관통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레버 암(14) 및 제 2 레버 암(16)의 돌출부(18)는 필요에 따라, 레버 암(14,16)의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예를 들면 레버 암(14,16)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예각이 20 내지 80°로 경사진 말단에 구비되어 레버 암(14,16)의 작은 회전으로도 돌출부(18)가 넓은 회전반경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특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 1 레버 암(14)이 제 2 레버 암(16)의 중공을 관통하여 위치할 경우, 제 1 레버 암(14) 및 제 2 레버 암(16)이 서로 접촉하며 발생되는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레버 암(14)의 일측에 제 1 레버 암(14)이 관통하여 안착되는 중공을 갖는 암 홀더(4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 홀더(48)는 제 1 레버 암(14)이 관통될 수 있는 중공을 갖는 판상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레버 암(14) 및 제 2 레버 암(16)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중공을 갖는 판상 일측이 레버 홀더(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결합부(12)의 하단 내측 벽면에 연결설치되어 고정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레버 홀더(10)는 일반적으로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원통형 형상의 종단부에 결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2)가 바디부(42)의 콘택트 홀더(22)에 연결설치되어, 바람직하게는 결합부(12)의 힌지가 바디부(42)의 콘택트 홀더(22)에 연결설치되어 차량 운전자의 레버부(2) 조작, 예를 들면 레버부(2)가 상/하로 이동되는 조작에 따라 운전자가 원하는 신호가 발생될 수 있도록 구성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레버 홀더(10)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중공을 갖는 원통형 형상을 갖고, 상기 중공의 원통형 형상의 일측 종단으로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결합부(12)가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원통형 형상의 레버 암(14,16)이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이때, 상기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레버 홀더(10)의 중공은 경사면으로부터 시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결합부(12)의 하단으로 관통되어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 1 레버 암(14)이 제 2 레버 암(16)을 관통하도록 삽입된 레버 암(14,16)이 결합부(12)의 하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레버 암(14,16)이 노출되는 결합부(12)의 하단에는 제 1 레버 암(14) 및 제 2 레버 암(16)이 서로 간섭없이 조작될 수 있다록 결합부(12)의 결합부(12)의 하단 내측 벽면에 암 홀더(48)가 연결설치될 수 있는 홈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접촉단자부(28) 및 제 2 접촉단자부(30)는 상기 제 1 레버 암(14) 및 제 2 레버 암(16)의 각 돌출부(18), 특정적으로 원형 또는 반원형 돌출부(18)에 연결설치되어, 제 1 레버 암(14) 및 제 2 레버 암(16)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며 절연부(34)의 고정단자(40)와 슬라이딩 접촉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접촉단자부(28, 30)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그 상단 일측에 원형 또는 반원형 돌출부(18)가 삽입되어 연결설치되는 접촉단자홈(44)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단자홈(44)의 하단으로 절연부(34)의 고정단자(40)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금속, 바람직하게는 금속 단자(46)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1 접촉단자부(28) 및 제 2 접촉단자부(30)의 이동은 가이드부재(24)에 형성된 가이드홈(26, 26')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는바, 상기 가이드부재(24)에 형성된 가이드홈(26, 26')은 가이드부재(24)의 하단에 위치하고 접촉단자부(28, 30)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절연부(34)의 고정단자(40)의 위치 및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절연부(34)는 그 상단에 상기 접촉단자부(28, 30)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고정단자(40), 특정적으로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단자(40)가 구비되어, 상기 레버 암(14,16)을 따라 이동하는 접촉단자부(28, 30)와 고정단자(40)가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절연부(34)는 상기 접촉단자부(28, 30)와 접촉되는 고정단자(40)외에 자동차 운전자가 레버부(2)의 조작시 작동되는 다른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단자들이 함께 매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 운전자가 차량의 전조등 및/또는 안개등 등의 라이트를 점멸하거나 와이퍼를 조절하기 위해 제 1 노브(6) 및/또는 제 2 노브(8)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노브(6) 및 제 2 노브(8)의 일측에 각각 연결설치된 제 1 레버 암(14) 및/또는 제 2 레버 암(16)이 제 1 노브(6) 및/또는 제 2 노브(8)의 회전과 함께 회전한다.
그 다음, 상기 제 1 레버 암(14) 및/또는 제 2 레버 암(16)의 회전에 따라 제 1 레버 암(14) 및/또는 제 2 레버 암(16)의 일측 말단에 구비된 돌출부(18)가 함께 회전하며, 상기 돌출부(18)에 연결설치된 제 1 접촉단자부(28) 및/또는 제 2 접촉단자부(30)가 가이드부재(24)의 가이드홈(26, 26')을 따라 이동한다.
그 다음, 상기 이동을 하는 1 접촉단자부(28) 및/또는 제 2 접촉단자부(30)는 그 하단에 구비된 절연부(34)의 고정단자(40)와 슬라이딩 접촉하며 운전자가 원하는 신호를 발생시켜 전조등 및/또는 안개등 등의 라이트를 점멸하거나 또는 와이퍼를 조절하게 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레버 본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바디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레버 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레버 암과 레버 홀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레버 암이 적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접촉단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레버의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레버부 4 : 레버 본체
6 : 제 1 노브 8 : 제 2 노브
10 : 레버 홀더 12 : 결합부
14 : 제 1 레버 암 16 : 제 2 레버 암
18 : 돌출부 20 : 체결부
22 : 콘택트 홀더 24 : 가이드부재
26, 26' : 가이드홈 28 : 제 1 접촉단자부
30 : 제 2 접촉단자부 32 : 콘택트부재
34 : 절연부 36 : 바디 하우징
38 : 바디 베이스 40 : 고정단자
42 : 바디부 44 : 접촉단자홈
46 : 단자 48 : 암 홀더

Claims (7)

  1. 노브를 회전시켜 차량의 전조등 및/또는 안개등 등의 라이트를 점멸하거나 와이퍼를 조절하는 차량용 스위치 레버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스위치 레버가 차량의 전조등 및/또는 안개등 등의 라이트를 점멸하거나 와이퍼를 조절하기 위해 회전하는 두 개의 노브; 상기 두 개의 노브의 내부 일측에 각각 연결설치되어 노브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두 개의 레버 암; 상기 두 개의 레버 암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측 말단에 각각 연결설치되어 레버 암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두 개의 접촉단자부; 상기 두 개의 접촉단자부가 안착되어 이동하도록 두 개의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된 가이드부재; 및 상기 두 개의 접촉단자부의 하단에 연결설치되어 이동하는 두 개의 접촉단자부와 슬라이딩 접촉하며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레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레버 암이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원통형 형상을 갖고, 그 길이방향의 일측 말단에 하나의 노브에 삽입되어 연결설치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에 대향되는 타측 말단에 하나의 접촉단자부에 연결설치되는 원형 또는 반원형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 1 레버 암; 및 상기 제 1 레버 암이 내부를 관통하여 위치하도록 중공을 갖는 길이 방향으로 확장된 원통형 형상을 갖고, 그 길이방향의 일측 말단에 다른 하나의 노브에 삽입되어 연결설치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에 대향되는 타측 말단에 다른 하나의 접촉단자부에 연결설치되는 원형 또는 반원형의 돌출부가 형성된 제 2 레버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레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버 암 및 제 2 레버 암의 돌출부가 레버 암의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말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레버.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버 암이 제 2 레버 암의 중공을 관통하여 위치할 경우, 제 1 레버 암 및 제 2 레버 암이 서로 접촉하며 발생되는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레버 암의 일측에 제 1 레버 암이 관통하여 안착되는 중공을 갖는 암 홀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레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레버 암이 중공을 갖는 레버 홀더의 중공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레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홀더가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중공을 갖는 원통형 형상을 갖고, 상기 중공의 원통형 형상의 일측 종단으로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레버.
  7. 제 1 에 있어서,
    절연부가 그 상단에 고정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레버.
KR1020070125663A 2007-12-05 2007-12-05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ⅱ) KR100930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663A KR100930130B1 (ko) 2007-12-05 2007-12-05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ⅱ)
CN2008801250774A CN101919016B (zh) 2007-12-05 2008-12-05 车辆用开关杆
PCT/KR2008/007225 WO2009072844A2 (en) 2007-12-05 2008-12-05 Switch lever for vehicle
JP2010536855A JP5279836B2 (ja) 2007-12-05 2008-12-05 車両用スイッチレバー
EP08856121.2A EP2232517B1 (en) 2007-12-05 2008-12-05 Switch lever for vehicle
US12/746,243 US8399787B2 (en) 2007-12-05 2008-12-05 Switch lev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663A KR100930130B1 (ko) 2007-12-05 2007-12-05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873A true KR20090058873A (ko) 2009-06-10
KR100930130B1 KR100930130B1 (ko) 2009-12-09

Family

ID=4071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663A KR100930130B1 (ko) 2007-12-05 2007-12-05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99787B2 (ko)
EP (1) EP2232517B1 (ko)
JP (1) JP5279836B2 (ko)
KR (1) KR100930130B1 (ko)
CN (1) CN101919016B (ko)
WO (1) WO2009072844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373B1 (ko) * 2010-06-03 2012-03-27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101359003B1 (ko) * 2012-11-09 2014-02-06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
KR101521432B1 (ko) * 2013-12-31 2015-05-28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101879649B1 (ko) * 2017-01-16 2018-07-18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54044B (zh) * 2017-12-22 2023-09-26 浙江品超汽车零部件有限公司 便捷式汽车灯光开关
CN113192771B (zh) * 2021-04-26 2022-10-04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湛江供电局 一种绝缘操作棒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7279A (en) * 1981-10-19 1983-06-07 Methode Electronics, Inc. Column mounted switch for vehicles and the like
JPH0521797Y2 (ko) * 1987-03-28 1993-06-04
JP2572256Y2 (ja) * 1992-07-03 1998-05-20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段ロータリースイッチ
JPH0883533A (ja) * 1994-09-09 1996-03-26 Hosiden Corp 多段ロータリースイッチ
JP3172658B2 (ja) * 1995-07-05 2001-06-04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レバースイッチ装置
JP3638183B2 (ja) * 1996-09-26 2005-04-13 ナイルス株式会社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の構造
JPH10241507A (ja) * 1997-02-28 1998-09-11 Tokai Rika Co Ltd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装置
FR2765387B1 (fr) * 1997-06-27 1999-09-10 Valeo Electronique Commutateur pour ensemble de commutation, en particulier de haut de colonne de direction de vehicule automobile
JP3691241B2 (ja) * 1998-02-27 2005-09-07 ナイルス株式会社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JP3495259B2 (ja) * 1998-07-31 2004-02-09 ナイルス株式会社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の構造
FR2782960B1 (fr) * 1998-09-03 2000-12-01 Valeo Electronique Ensemble haut de colonne electronise
JP4695310B2 (ja) * 2001-09-18 2011-06-08 ナイルス株式会社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JP4509696B2 (ja) * 2004-08-25 2010-07-21 ナイルス株式会社 レバースイッチの取付構造
JP2009295337A (ja) * 2008-06-03 2009-12-17 Tokai Rika Co Ltd レバースイッチ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373B1 (ko) * 2010-06-03 2012-03-27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101359003B1 (ko) * 2012-11-09 2014-02-06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
KR101521432B1 (ko) * 2013-12-31 2015-05-28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101879649B1 (ko) * 2017-01-16 2018-07-18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32517B1 (en) 2017-08-23
KR100930130B1 (ko) 2009-12-09
WO2009072844A3 (en) 2009-10-15
WO2009072844A2 (en) 2009-06-11
JP5279836B2 (ja) 2013-09-04
JP2011507156A (ja) 2011-03-03
EP2232517A2 (en) 2010-09-29
EP2232517A4 (en) 2014-11-26
CN101919016A (zh) 2010-12-15
US8399787B2 (en) 2013-03-19
US20100276263A1 (en) 2010-11-04
CN101919016B (zh) 2013-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0384B2 (en) Multifunction switch for vehicle having lighting module
KR20090058873A (ko)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ⅱ)
KR0151682B1 (ko) 비상점멸등 장치
JP4140751B2 (ja) 車両用照明装置
US6570105B1 (en) Retractable rotary switch cell
KR100930128B1 (ko)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ⅰ)
US4009363A (en) Vehicle switch attachment
KR101542858B1 (ko) 차량용 멀티 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JP2001508581A (ja) 車両用コラム装着スイッチアセンブリ
KR20160000738U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KR100930131B1 (ko) 자동차용 시그널 스위치 장치
KR102210551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1121857B1 (ko) 차량용 스위치 레버
US3560671A (en) Electrical switch with improved operating means
KR101879649B1 (ko)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102118449B1 (ko)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101879655B1 (ko)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것의 조립방법
KR200488667Y1 (ko)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101521432B1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20200053279A (ko)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100366215B1 (ko) 자동차용 시그널 스위치 장치
JP2005310383A (ja) レバースイッチ装置
KR101259572B1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KR200155309Y1 (ko) 차량용 스위치 장착홀의 커버구조
KR0133844Y1 (ko) 자동차용 레버스위치의 접속단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