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003B1 -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003B1
KR101359003B1 KR1020120126774A KR20120126774A KR101359003B1 KR 101359003 B1 KR101359003 B1 KR 101359003B1 KR 1020120126774 A KR1020120126774 A KR 1020120126774A KR 20120126774 A KR20120126774 A KR 20120126774A KR 101359003 B1 KR101359003 B1 KR 101359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ever holder
holder
turn bracke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국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120126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2Hand le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4Levers
    • H01H3/06Means for securing to shaft of driv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2003/028Rotating knob or lever or tumbler that can be turned or pushed by hand in only one direction, e.g. by making inaccessible one side of a tumb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티어링 휠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 본체와, 상기 레버 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 본체의 상하 방향 회전 중심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레버 본체에 설치된 복수개의 회전 노브에 연동되는 복수의 레버 암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레버 홀더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컬럼을 감싸도록 구비된 쉬라우드 커버 내부에 장착된 스위칭 케이스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레버 홀더가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연결된 턴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 홀더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기 레버 홀더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때 과유동을 방지하는 과유동 방지 돌기부가 형성되어, 접점 불량을 방지하고, 제품의 내부 설계 자유도를 증진시키며,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Lever switch assmebly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핸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차량의 각종 기능 동작부를 작동시키는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의 과회전을 방지함으로써, 복수개의 레버 암의 접점 불량을 해소하여 제품의 접점 성능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스티어링 핸들의 일측에 해당하는 쉬라우드 커버에는 운전자가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차량에 구비된 각종 기능 동작부를 작동시키는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있다.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는, 복수의 기능 동작부의 작동에 관여하므로, 멀티 펑션 스위치라고 칭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의 일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구성을 보다 상세화하는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 브래킷(50)과 상기 턴 브래킷(50)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레버 홀더(30)와, 상기 레버 홀더(30)에 연결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턴 브래킷(50)을 기준으로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는 레버 본체(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버 본체(10)의 상단부에는 복수개의 회전노브(20A,20B,20C)가 회전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레버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노브(20A,20B,20C)의 조작에 연동하여 작동되되, 상기 레버 홀더(30)로 연장되어 상기 레버 홀더(30)의 가이드를 받으면서 하방에 구비된 미도시의 복수개의 접점 스위치를 각각 접점시키는 레버 암(35A,35B)이 구비된다.
상기 레버 홀더(30)의 측부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턴 브래킷(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 돌출부(31)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힌지 돌출부(31)에 대응되는 상기 턴 브래킷(50)의 측부에는 일단부가 상기 턴 브래킷(50)에 고정되고, 상기 일단부를 향하여 개구된 대략 "U"자 형상으로 절개되어 상측으로는 상부 간극(A)이 형성되고 하측으로는 하부 간극(A)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 돌출부(31)가 삽입 설치되는 설치홀(63)이 형성된 과유동 방지 패널(60)이 형성된다.
상기 과유동 방지 패널(60)은 상기 상부 간극(A)과 하부 간극(A)이 상기 과유동 방지 패널(60)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유동되더라도 변형 및 파손이 되지 아니하는 범위 내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돌출부(31)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운전자가 상기 레버 본체(1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레버 홀더(30)가 회전되는데, 상기 힌지 돌출부(31)의 상부 및 하부에 해당하는 상기 레버 홀더(30)와 상기 턴 브래킷(50)의 내부 상면 및 하면 사이는 상기 레버 홀더(30)가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간극(B)이 형성되며, 이 소정간극(B)까지는 운전자가 제공하는 외력이 그대로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운전자가 외력을 과하게 상기 레버 본체(10)에 작용시킬 경우 상기 레버 홀더(30)와 상기 턴 브래킷(50) 내부 사이에 접촉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과도한 외력에 의하여 상기 힌지 돌출부(31)와 상기 설치 홀(63)의 연결부분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 상술한 과유동 방지 패널(60)이라 할 것인데, 상기 과유동 방지 패널(60)은 상기 턴 브래킷(50)의 측부에 형성하는 것이어서 그 형성이 매우 어렵고, 역시 상기 과유동 방지 패널(60)에 형성된 상부 간극(A) 및 하부 간극(A)만큼으로 운전자가 전달하는 외력이 저감되더라도 상기 레버 홀더(30)의 과도한 이격 때문에 상기 레버 암(35A,35B)의 상기 접점 스위치에 대한 접촉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레버 암(35A,35B)의 상기 접점 스위치에 대한 접촉 불량은 그대로 접점 불량으로 이어지고, 이와 같은 접점 불량에 따른 소비자의 감성 품질 저하가 예상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품 설계의 자유도를 증진시킴은 물론, 접점 불량을 해소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스티어링 휠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 본체와, 상기 레버 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 본체의 상하 방향 회전 중심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레버 본체에 설치된 복수개의 회전 노브에 연동되는 복수의 레버 암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레버 홀더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컬럼을 감싸도록 구비된 쉬라우드 커버 내부에 장착된 스위칭 케이스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레버 홀더가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연결된 턴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 홀더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기 레버 홀더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때 과유동을 방지하는 과유동 방지 돌기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과유동 방지 돌기부는, 상기 레버 홀더의 상단부에 상기 턴 브래킷의 내부 상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상부 돌기부와, 상기 레버 홀더의 하단부에 상기 턴 브래킷의 내부 하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하부 돌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돌기부 및 상기 하부 돌기부는, 상기 레버 홀더의 측면에 상기 턴 브래킷에 대하여 상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형성된 힌지 돌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레버 홀더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돌기부 및 상기 하부 돌기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돌기부 및 상기 하부 돌기부는, 상기 힌지 돌기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레버 홀더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턴 브래킷은, 측부에 상측으로 외력에 의하여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상부 간극과, 측부에 하측으로 외력에 의하여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부 간극과, 상기 상부 간극 및 상기 하부 간극 사이에 형성된 설치 홀로 구성된 과유동 방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돌기부는 상기 설치 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주의 지름은, 적어도 상기 상부 돌기부 및 하부 돌기부가 각각 상기 턴 브래킷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대하여 0.05mm의 간극을 형성하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턴 브래킷의 측부에 복잡한 구조인 과유동 방지 패널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과유동 방지 패널이 삭제되지 아니하는 경우라도, 레버 홀더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과유동 방지 돌기부에 의하여 과유동 방지 패널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접점 불량을 방지하는 바,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의 일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구성을 보다 상세화하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레버 홀더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레버 홀더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종래의 구성 중 본 발명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시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미도시된 스티어링 휠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 본체(미도시, 도 1의 도면부호 10 참조)와, 상기 레버 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 본체의 상하 방향 회전 중심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레버 본체에 설치된 복수개의 회전 노브(미도시, 도 1의 도면부호 20A 내지 20C 참조)에 연동되는 복수의 레버 암(미도시, 도 1의 도면부호 35A,35B 참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레버 홀더(130)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컬럼을 감싸도록 구비된 쉬라우드 커버 내부에 장착된 스위칭 케이스(17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레버 홀더(130)가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연결된 턴 브래킷(150)을 포함한다.
상기 스티어링 휠의 하부에는 미도시의 스티어링 컬럼이 구비되고, 상기 스티어링 컬럼 주변으로는 외부와 차폐되도록 쉬라우드 커버가 구비된다. 상기 쉬라우드 커버 내부에 상기 턴 브래킷(150)을 포함하는 상기 스위칭 케이스(170)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스위칭 케이스(170) 내부에서 상기 턴 브래킷(150)이 운전자가 상기 레버 본체를 전후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스위칭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접점을 변화시켜 차량에 설치된 각종 기능 동작부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레버 본체의 상단부에는 미도시 되었지만, 복수개의 회전노브가 회전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레버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노브의 조작에 연동하여 작동되되, 상기 레버 홀더(130)로 연장되어 상기 레버 홀더(130)의 가이드를 받으면서 하방에 구비된 미도시의 복수개의 접점 스위치를 각각 접점시키는 레버 암(도 1의 도면부호 35A,35B 참조)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턴 브래킷(150)은 운전자가 전후방향으로 상기 레버 본체를 회전시킬 경우에는 상기 레버 홀더(130)와 함께 연동하여 회전되고, 운전자가 상하방향으로 상기 레버 본체를 회전시킬 경우에는 상기 턴 브래킷(150)은 상하방향으로 회전되지 아니하고, 상기 레버 홀더(130)만이 상기 턴 브래킷(150) 내부에서 전기적인 접점 변경을 위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상기 턴 브래킷(150) 내부에는 상기 레버 홀더(130)에 구비된 미도시의 디텐트 피스가 접촉되어 절도감이 느껴지도록 하는 절도산(15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홀더(13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기 레버 홀더(13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때 과유동을 방지하는 과유동 방지 돌기부(200)가 형성된다.
상기 과유동 방지 돌기부(200)는, 운전자가 상기 레버 본체의 조작시 하방 또는 상방으로 과도한 외력을 전달할 경우, 상기 레버 홀더(130)의 회전중심이 상하방향으로 과도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과유동 방지 돌기부(200)는, 상기 레버 홀더(130)의 상단부에 상기 턴 브래킷(150)의 내부 상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상부 돌기부(200A)와, 상기 레버 홀더(130)의 하단부에 상기 턴 브래킷(150)의 내부 하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하부 돌기부(20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돌기부(200A) 및 상기 하부 돌기부(200B)는, 상기 레버 홀더(130)의 측면에 상기 턴 브래킷(150)에 대하여 상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형성된 힌지 돌기부(131)를 사이에 두고 상기 레버 홀더(13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상부 돌기부(200A) 및 상기 하부 돌기부(200B)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상부 돌기부(200A) 및 상기 하부 돌기부(200B)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턴 브래킷(150)의 내부 상측 및 하측에서 상기 레버 홀더(130)가 원활하게 회전지지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돌기부(200A) 및 상기 하부 돌기부(200B)는, 상기 힌지 돌기부(131)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레버 홀더(13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돌기부(131)는, 상기 턴 브래킷(150)의 내부 중 측부에 직접 형성된 미도시의 설치홀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턴 브래킷(150)은, 측부에 상측으로 외력에 의하여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상부 간극(A)과, 측부에 하측으로 외력에 의하여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부 간극(A)과, 상기 상부 간극(A) 및 상기 하부 간극(A) 사이에 형성된 설치 홀(63)로 구성된 과유동 방지 패널(60)을 포함할 수 있다(도 2a 참조).
여기서, 상기 힌지 돌기부(131)는 상기 설치 홀(6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상기 힌지 돌기부(131)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턴 브래킷(150) 내부 중 측부에 직접 형성된 미도시의 설치홀에 삽입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레버 홀더(130)를 상기 턴 브래킷(150) 내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필요한 설치 공차에 따른 상하 유동도 상기 과유동 방지 패널(60)에 의하여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과유동 방지 패널(60)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힌지 돌기부(131)를 상기 턴 브래킷(150) 내부 중 측부에 직접 형성된 상기 설치 홀에 삽입 설치할 경우, 비교적 형성하기 어려운 과유동 방지 패널(60)을 삭제함으로써 상기 턴 브래킷(150) 내부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과유동 방지 패널(60)을 형성하는 경우이든 그렇지 않은 경우이든 관계없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과유동 방지 돌기부(200)의 외주면에 해당하는 상기 원주의 지름은, 상기 턴 브래킷(150) 내부에 상기 레버 홀더(130)를 설치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 공차를 고려하여야 하는 바, 적어도 상기 상부 돌기부(200A) 및 하부 돌기부(200B)가 각각 상기 턴 브래킷(15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대하여 0.05mm의 간극을 형성하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레버 홀더(130)가 상기 턴 브래킷(150)에 대하여 운전자로부터 과도한 외력을 제공받더라도 과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바, 상기 레버 홀더(130)에 의하여 전기적 접점이 안내되는 상리 레버 암의 접점 불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30: 레버 홀더 131: 힌지 돌기부
150: 턴 브래킷 155: 절도산
170: 스위칭 케이스 200: 과유동 방지 돌기부
200A: 상부 돌기부 200B: 하부 돌기부

Claims (7)

  1. 스티어링 휠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 본체와;
    상기 레버 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 본체의 상하 방향 회전 중심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레버 본체에 설치된 복수개의 회전 노브에 연동되는 복수의 레버 암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레버 홀더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컬럼을 감싸도록 구비된 쉬라우드 커버 내부에 장착된 스위칭 케이스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레버 홀더가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연결된 턴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 홀더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기 레버 홀더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때 과유동을 방지하는 과유동 방지 돌기부가 형성된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과유동 방지 돌기부는,
    상기 레버 홀더의 상단부에 상기 턴 브래킷의 내부 상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상부 돌기부와;
    상기 레버 홀더의 하단부에 상기 턴 브래킷의 내부 하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하부 돌기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돌기부 및 상기 하부 돌기부는, 상기 레버 홀더의 측면에 상기 턴 브래킷에 대하여 상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형성된 힌지 돌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레버 홀더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돌기부 및 상기 하부 돌기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돌기부 및 상기 하부 돌기부는, 상기 힌지 돌기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레버 홀더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턴 브래킷은, 측부에 상측으로 외력에 의하여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상부 간극과, 측부에 하측으로 외력에 의하여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부 간극과, 상기 상부 간극 및 상기 하부 간극 사이에 형성된 설치 홀로 구성된 과유동 방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돌기부는 상기 설치 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원주의 지름은,
    적어도 상기 상부 돌기부 및 하부 돌기부가 각각 상기 턴 브래킷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대하여 0.05mm의 간극을 형성하는 크기로 형성된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
KR1020120126774A 2012-11-09 2012-11-09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 KR101359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774A KR101359003B1 (ko) 2012-11-09 2012-11-09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774A KR101359003B1 (ko) 2012-11-09 2012-11-09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003B1 true KR101359003B1 (ko) 2014-02-06

Family

ID=50270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774A KR101359003B1 (ko) 2012-11-09 2012-11-09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0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019A (ko) * 1996-09-26 1998-07-06 스즈키 다케토시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구조
JP2004014328A (ja) 2002-06-07 2004-01-15 Yazaki Corp 操作意欲反映型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ワイパースイッチ
KR20090058873A (ko) * 2007-12-05 2009-06-10 주식회사 신창전기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019A (ko) * 1996-09-26 1998-07-06 스즈키 다케토시 차량용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구조
JP2004014328A (ja) 2002-06-07 2004-01-15 Yazaki Corp 操作意欲反映型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ワイパースイッチ
KR20090058873A (ko) * 2007-12-05 2009-06-10 주식회사 신창전기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9171B2 (en) Vehicular door trim
US10439348B2 (en) Rotary connector device
EP2555214B1 (en) Lever switch device
CN102770932B (zh) 电气开关
KR101359003B1 (ko) 차량의 레버 스위치 어셈블리
US9873406B2 (en) Wiper apparatus
JP6040056B2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JP6732478B2 (ja) 車両用サイドミラー
KR100868140B1 (ko) 차량의 연료필러캡 장착구조
JP2023543986A (ja) 車両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1986125B1 (ko)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101566914B1 (ko) 차량의 로고 일체형 트렁크 스위치 어셈블리
JP6172962B2 (ja) ワイパ装置
JP6338539B2 (ja) スイッチ装置
CN219007759U (zh) 剪刀门组件及车辆
US20210245683A1 (en) Wire harness routing apparatus
KR20060103225A (ko) 회로 유닛 장치
KR101608667B1 (ko) 차량의 멀티 펑션 스위치
JP2012076617A (ja) ヒンジ構造
KR102264935B1 (ko)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
JP2016157617A (ja) スイッチ装置
JP2019016136A (ja) 操作ノブの取付構造
KR200458312Y1 (ko) 차량용 롤 커넥터 장치
KR20100134475A (ko) 차량용 쉬라우드
JP2016068724A (ja) 自動車のドアミラ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