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3309A - 차량 스티어링 휠 - Google Patents

차량 스티어링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3309A
KR20230073309A KR1020237013777A KR20237013777A KR20230073309A KR 20230073309 A KR20230073309 A KR 20230073309A KR 1020237013777 A KR1020237013777 A KR 1020237013777A KR 20237013777 A KR20237013777 A KR 20237013777A KR 20230073309 A KR20230073309 A KR 20230073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hub
vehicle steering
movable structur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3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티스 바리토
세바스티언 카신
토마스 르보에프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30073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8Spokes, e.g.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3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etween in-use and out-of-use positions, e.g. to improve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3Steering input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5Electric wiring; Electric conn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62D1/065Steering wheels with heating and ventil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차량 스티어링 휠로서,
- 허브(20);
- 운전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콘솔 위치 사이에서 허브(2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가동 구조체;
- 허브(20)와 가동 구조체 사이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관절 샤프트를 포함하는 관절(40); 및
- 허브(20)로부터 가동 구조체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체(50)를 포함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관절 샤프트는 케이블 통로를 형성하도록 리세스를 포함하고, 전기 전도체(50)는 허브(20)로부터 케이블 통로를 통과하는 가동 구조체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

Description

차량 스티어링 휠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장착되도록 의도된 차량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문헌 DE202017107359호와 같이, 림의 일부가 회동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을 개시하고 있는 관절을 가진 차량 스티어링 휠을 제안하는 것은 종래 기술에서 알려져 있다. 문헌 US10562558호는 솔레노이드 장치에 의해 고정된 2개의 회동 림 부분을 가진 스티어링 휠을 개시하고 있다. 현재 스티어링 휠의 림은 여러 전기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위의 문헌들은 허브와 림 또는 허브에 대해 이동 가능한 림 부분 사이에 견고한 전기 연결부(즉, 스티어링 휠의 위치에 관계없이 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림의 많은 이동 후에 보장되는 전기 연결부)를 가진 스티어링 휠을 제안하기 위한 어떠한 해결책도 제안하지 않고 있다.
문헌 US2019291772A1호는 관절 베어링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는 솔리드 베어링 로드와 관절식으로 연결된 스티어링 휠을 개시하고 있다. 스티어링 휠의 림과 허브 사이의 전기 연결부를 용이하게 하거나 최적화하기 위한 어떠한 해결책도 제안되지 않았다. 특히, 스티어링 휠의 허브나 중앙 부분을 향한 조인트의 내부 접근이 제안되지 않아, 케이블이 계속 보이고 케이블 경로의 최적화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한 가지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 문헌의 단점에 대응하는 것으로, 특히 먼저 허브와 림 또는 허브에 대해 이동 가능한 림 부분 사이에 견고한 전기 연결부를 가진 스티어링 휠을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차량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으로, 본 차량 스티어링 휠은
- 허브,
- 운전 위치로서의 제1 위치와 콘솔 위치로서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위치 사이에서 허브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가동 구조체,
- 허브와 가동 구조체 사이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관절 샤프트를 포함하는 관절, 및
- 허브로부터 가동 구조체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체를 포함하고,
관절 샤프트는 케이블 통로를 형성하도록 리세스를 포함하고, 전기 전도체는 허브로부터 통로를 통과하는 가동 구조체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 구현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은 케이블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하는 허브와 가동 구조체 사이에 마련된 관절 샤프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기 전도체는 리세스를 통과할 수 있고, 이는 전기 전도체의 보호뿐만 아니라 가동 부품과의 간섭 또는 끼임의 위험 없이 최소한의 또는 낮은 진폭 움직임을 보장한다. 실제로, 리세스는 전기 전도체의 위치를 보장하기 쉬운 통로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관절 샤프트는 허브의 전기 전도체가 가동 구조체로 이어지도록 마련된 케이블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리세스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허브는 스티어링 칼럼과 같은 차량 스티어링 시스템에 차량 스티어링 휠을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관절 샤프트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관절 샤프트는 예를 들어 튜브 또는 링과 같은 중공 샤프트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차량 스티어링 휠 및/또는 관절은 리세스에 전기 전도체를 유지하도록 마련된 유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절 샤프트에 나사 결합된 너트일 수 있고, 관절 샤프트는 그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나사산이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전기 전도체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허브의 측면에 마련된 일단을 가질 수 있고, 커넥터는 케이블 통로의 치수보다 큰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커넥터는 전도체가 이미 관절 샤프트 및 그 리세스 내로 이어지는 동안 전기 전도체에 연결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스티어링 휠은 관절 샤프트를 수용하도록 마련된 관절 샤프트용 지지 보어를 포함할 수 있고, 커넥터의 치수는 관절 샤프트의 지지 보어의 치수보다 작을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관절 샤프트는 가동 구조체 및 허브와 별개인 추가 부품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차량 스티어링 휠은 가동 구조체와 허브 사이의 관절에 마련된 간극 보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간극 보상 장치는 탄성 또는 심지어 원뿔형 와셔와 같은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도 고려될 수 있다. 전기 전도체는 탄성 부재의 중앙 홀을 통과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간극 보상 장치는 관절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간극을 보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간극 보상 장치는 관절 샤프트와 동축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차량 스티어링 휠은 가동 구조체와 허브 사이의 관절에 마련된 마찰 감소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또는 그 이상)의 링(들)이 구상될 수 있으며, 관절 샤프트 및/또는 가동 구조체에 견고하게 연결된 마찰 와셔일 수 있다. 전기 전도체는 마찰 감소 장치의 중앙 홀을 통과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마찰 감소 장치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청동으로 구성된 부품과 같은, 0.15 미만, 바람직하게는 0.1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07 미만의 마찰 계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차량 스티어링 휠은 2개의 동축 관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각각은 리세스를 포함하는 관절 샤프트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각 관절은 스티어링 휠의 중앙 부분을 향하여 또는 그 방향으로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각 관절은 허브 또는 스티어링 칼럼의 측면에 면을 가질 수 있으므로, 전기 전도체가 허브로부터 허브의 측면 상의 면을 향해 그 다음 중공 또는 함몰형 샤프트를 향해 이어진 다음 림을 향해 이동하면서 사용자에게 숨겨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쉽다. 전기 전도체의 경로는 가동 구조체의 이동 중에 부과되는 변형 측면에서 짧고 최적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전기 전도체는 2개의 관절 중 하나의 관절 샤프트를 통과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차량 스티어링 휠은 단일 리세스를 갖는 단일 관절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관절 샤프트는 스티어링 휠의 중앙 공간, 예를 들어 내부 공간, 즉 허브 또는 스티어링 칼럼과 대향하는 리세스의 개구를 갖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스티어링 휠은 전기 전도체 및/또는 관절의 경로를 커버하는 하나 이상의 클래딩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장식 부품은 허브, 허브의 및 이에 따른 관절 샤프트의 측방향 또는 주변 면 및 리세스의 개구를 허브를 향하고 림을 향하는 둘 모두에서 커버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가동 구조체는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재는 카아커스(carcass) 또는 프레임워크를 형성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보강부는 적어도 하나의 림 보강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포크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림 보강재는 스포크 보강재와 별개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차량 스티어링 휠은 가동 구조체에 내장된 전기 기기 또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전기 전도체는 가동 구조체측에 마련되고 전기 기기 또는 장치에 연결되는 일단을 갖는다. 전기 기기 또는 장치는 가열, 정전용량 검출 장치, 조명 장치 등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운전 위치에 있는 가동 구조체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포함된 림을 형성하도록 제공되어, 차량을 운전하기 위한 실용적인 파지 접촉면(gripping interface)을 제공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예에서, 운전 위치에 가동 구조체가 있는 림은 편평한 원형 후프일 수 있다. 그러나, 타원, 직사각형,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공식 1에서와 같이 항상 대체로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약간, 편향될 수 있는 간단한 레버 또는 핸들과 같은 더 복잡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운전 위치에서, 림은 견고하고 잠긴 파지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고, 차량을 운전하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다. 일부만이 이동 가능한 동일한 평면에 형성되는 폐쇄 형상(후프형, 계란형, 타원형)의 림을 운전 위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만이 이동 가능한 개방 형상(예를 들어, U자형)의 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콘솔 위치에 있는 가동 구조체는 예를 들어 컴퓨터를 배치하기 위해 베어링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가동 구조체는 스티어링 휠이 직선일 때(직선 휠, 정지 차량, 또는 자율 주행 상황에서) 공간을 비우고 및/또는 태블릿 또는 컴퓨터를 배치하기 위해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림 또는 림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가동 구조체는 림 부분만을 포함할 수 있다. 스티어링 휠이 직선일 때(기계식 스티어링 칼럼이 있는 차량의 직선 휠), 예를 들어 상부만 관절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가동 구조체는 림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스포크 부분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스티어링 휠은 전체 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가동 구조체는 전체 림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스포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차량 스티어링 휠은 전기 전도체와 관절 샤프트 사이에, 케이블 통로에 마련된, 케이블 포지셔닝 인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서트에는 신속한 조립을 위해 탄성 또는 스냅 끼워맞춤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인서트를 통해 전기 전도체와 관절 샤프트 사이의 접촉을 제한하거나 심지어 피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르면, 관절은 피벗 연결 유형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제1 양태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휠을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되고 첨부 도면에 의해 예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판독할 때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허브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가동 구조체를 갖춘 차량 스티어링 휠의 일반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티어링 휠의 내부 관절 및 전기 전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의 상세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축 IV-IV를 포함하는 도 1의 평면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4의 구현예의 대안적인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허브(20), 림(10) 및 허브(20)를 림(10)에 연결하는 스포크(30)를 포함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 휠은 허브(2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가동 구조체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가동 구조체는 특히 림(10) 및 스포크(30)의 일부를 포함하고, 도 2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관절(40)로 인해 축 IV-IV를 중심으로 허브(2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다. 도 1에서, 가동 구조체는 운전 위치에 있고; 스티어링 휠은 차량을 조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가동 구조체는 예를 들어 자율 주행 상황에서 또는 차량이 정지된 경우 직선 휠에서 공간을 해제하여 예를 들어 컴퓨터를 수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수평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허브(2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동될 림(10)의 일부 또는 심지어 수 개의 가동 부분에 대해서만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스티어링 휠을 내부 구조의 일부를 보여주기 위해 사시도로 나타내고 있다. 이를 위해, 스티어링 휠의 외부 중앙 부분이 없어서(통상적으로, 에어백 및 그 커버가 제거됨) 2개의 관절(40) 및 전기 전도체(50)를 보여주고 있다.
관절(40)은 피벗 연결부를 형성함으로써 허브(20)와 가동 구조체(림(10) 및 스포크(30)) 사이의 연결을 제공하고 그 각각은 도 3, 도 4 및 도 5에서 설명될 바와 같은 관절 샤프트(41)를 포함한다.
전기 전도체(50)는 통상적으로 가동 구조체(림(10)을 가열하기 위한 모듈, 림(10) 내의 표시등, 림(10)에서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정전용량 센서, 스포크(30)에 설치된 제어 버튼 등) 내에서 전기 부재에 연결되고, 이러한 전기 부재를 예를 들어 허브(20) 내에 또는 허브(20)에 설치된 단자 블록 또는 소켓을 통해 차량의 온보드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다.
전기 전도체(50)가 허브(20)에 대한 가동 구조체의 이동 중에 끼이고, 문질러지고, 마모되고, 절단되는 등의 위험이 없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목적을 위해, 구성요소의 회전 운동이 낮은 진폭을 갖는 영역에 수용되는 케이블 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특히 전기 전도체(50)를 관절 샤프트(41)의 리세스 내로 통과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런 목적을 위해, 도 3은 도 2의 스티어링 휠의 상세를 도시하고 있다. 전기 전도체(50)는 케이블(51) 및 커넥터(52)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61)는 제어 암(62)에 결합되어 (스포크(30) 및 허브(20)의 하부에서) 가동 구조체의 잠금 수단(60)을 형성하고, 조임 너트(42)는 관절 샤프트(41)에 나사 결합된다.
관절 샤프트(41)는 관절(40)을 통해 케이블 통로를 형성하는 리세스(이 경우 관통 중앙 홀이지만, 예를 들어 종방향 외부 홈을 고려할 수 있음)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전기 전도체(50)의 케이블(51)은 리세스를 통과하여 스티어링 휠의 중앙 부분(허브(20))으로부터 주변 부분(가동 구조체: 스포크(30) 및 림(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회전 축선 IV-IV를 포함하는 도 1에 수직한 평면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부분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관절(40)은 주로 관절 샤프트(41), 조임 너트(42) 및 슬라이딩 링(43)을 포함한다.
관절 샤프트(41)는 스포크(30)의 프레임(31)에 장착(예를 들어, 나사 결합, 삽입 또는 강제 끼워맞춤)되어 관절 샤프트(41)가 프레임(31)을 회전 구동하게 하는 연결부를, 예를 들어 함몰형 유형의 연결부를, 형성한다.
슬라이딩 링(43)은 통상적으로 마찰 계수가 낮은 재료(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PTFE)로 제조되고 관절(40)에서 마찰을 제한하기 위해 허브(20)의 복귀 벽에 장착된다.
조임 너트(42)는 도 3의 제어 암(62)과 상호 작용하는 제어 플레이트(63)를 개재시키기 위해 관절 샤프트(41)에 나사 결합된다.
관절 샤프트(41)는 액추에이터(61)에 연결하는 연쇄를 통해 효과적인 잠금을 제공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편평부 또는 홈을 구비하여 제어 플레이트(63)와의 회전 정지를 확보한다.
도 4에서 스포크(30)의 프레임(31)이 림(10)의 프레임과 공유 및/또는 연속적이며, 오버몰딩(32)이 사용자를 위한 연속적이고 심미적인 커버링을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전기 전도체(50)의 케이블(51)이 가동 구조체의 오버몰딩(32)으로 직접 이동하기 위해 허브(20)의 중앙 부분에서 시작하여 관절 샤프트(41)의 리세스 또는 중앙 홀을 통과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51)은 스티어링 휠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며, 이렇게 하지 않았으면 전기 전도체(50)에 부과될 수 있었을 진동, 끼임, 간섭, 마찰로부터 보호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케이블(51)을 (예를 들어, 클립핑에 의해) 체결하거나 부착하여 케이블(51)이 움직이거나 관절 샤프트(41)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 위해, 또는 관절 샤프트(41)에 존재할 에지로부터 케이블(51)을 더 양호하게 보호하기 위해, 관절 샤프트(41)의 리세스에 위치시키기 위한 인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보이는 커넥터(52)가 관절 샤프트(41)의 케이블 통로보다 더 큰 치수를 가지며, 이는 조립 동안 리세스 또는 홀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커넥터(52)는 케이블(51)을 관절 샤프트(41)에 삽입한 후에 케이블(5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구현예에 대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동일한 부분은 다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특히, 관절(40)은 여기서 스포크(30)와 허브(20)의 복귀에서 지지하는 2개의 슬라이딩 와셔(45)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를 형성하는 원뿔형 및/또는 탄성 와셔 형태의 간극 보상 장치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스프링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클릭의 위험을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만, 공차 및 제조 간극에 대한 엄격한 요건을 부과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가동 구조체(스포크(30) 및 림(10))의 프레임은 스크류(12)(또는 리벳, 나사 결합되거나 강제 끼워맞춤되는 스플라인 핀 등과 같은 기타 수단)에 의해 함께 체결되는 두 부분(31A 및 11A)에 있다.
이러한 구현예를 통해 스포크(30)를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허브(20)에 장착한 다음 림(10)을 부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림(10)은 스포크(30)와 독립적으로 오버몰딩되지만, 도 4의 구현예에서와 같이 가동 구조체의 전체 프레임에 단일 오버몰딩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다양한 수정 및/또는 개선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설명에 기재된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예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5)

  1. 차량 스티어링 휠로서,
    - 허브(20);
    - 운전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콘솔 위치 사이에서 상기 허브(2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가동 구조체;
    - 상기 허브(20)와 상기 가동 구조체 사이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관절 샤프트(41)를 포함하는 관절(40); 및
    - 상기 허브(20)로부터 상기 가동 구조체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체(50)를 포함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상기 관절 샤프트(41)는 케이블 통로를 형성하도록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전도체(50)는 상기 허브(20)로부터 상기 케이블 통로를 통과하는 상기 가동 구조체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체(50)는 커넥터(52)를 포함하는 상기 허브(20)측에 마련된 일단을 갖고, 상기 커넥터(52)는 상기 케이블 통로의 치수보다 큰 치수를 갖는, 차량 스티어링 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샤프트(41)는 상기 가동 구조체 및 상기 허브(20)와 별개인 부가 부품인, 차량 스티어링 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구조체와 상기 허브(20) 사이의 상기 관절(40)에 마련된 간극 보상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보상 장치는 스프링 와셔와 같은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구조체와 상기 허브(20) 사이의 상기 관절(40)에 마련된 마찰 감소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감소 장치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청동으로 구성된 부품과 같은, 0.15 미만, 바람직하게는 0.1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07 미만의 마찰 계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포함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관절(40)을 포함하며, 그 각각은 리세스를 포함하는 관절 샤프트(41)를 갖는, 차량 스티어링 휠.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구조체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적어도 하나의 림 보강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포크 보강재를 포함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림 보강재는 상기 스포크 보강재와 별개인, 차량 스티어링 휠.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구조체에 내장된 전기 기기 또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전도체(50)는 상기 가동 구조체측에 마련되고 상기 전기 기기 또는 장치에 연결되는 일단을 갖는, 차량 스티어링 휠.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체(50)와 상기 관절 샤프트(41) 사이에, 상기 케이블 통로에 마련된, 케이블 포지셔닝 인서트를 포함하는, 차량 스티어링 휠.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40)은 피벗 연결 유형인, 차량 스티어링 휠.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 스티어링 휠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237013777A 2020-09-29 2021-09-27 차량 스티어링 휠 KR202300733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2009866 2020-09-29
FR2009866A FR3114562B1 (fr) 2020-09-29 2020-09-29 Volant de véhicule
PCT/EP2021/076430 WO2022069381A1 (fr) 2020-09-29 2021-09-27 Volant de véhic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309A true KR20230073309A (ko) 2023-05-25

Family

ID=73643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777A KR20230073309A (ko) 2020-09-29 2021-09-27 차량 스티어링 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365081A1 (ko)
JP (1) JP2023543986A (ko)
KR (1) KR20230073309A (ko)
CN (1) CN116194341A (ko)
DE (1) DE112021003921T5 (ko)
FR (1) FR3114562B1 (ko)
WO (1) WO20220693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3001919A1 (de) 2023-05-11 2024-05-08 Mercedes-Benz Group AG Lenkrad für einen Kraftwagen sowie Verfahr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68557C (de) * 1951-05-25 1953-02-26 Porsche Konstruktionen G M B H Lenkrad,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FR3057533B1 (fr) * 2016-10-17 2021-11-05 Renault Sas Volant pour vehicule automobile autonome.
DE102016225297A1 (de) * 2016-12-16 2018-06-21 Thyssenkrupp Ag Lenkrad für eine Kraftfahrzeuglenkung und Lenksäule für ein Kraftfahrzeug
DE202017107359U1 (de) 2017-12-06 2018-0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altbares Lenkrad
DE102017223111A1 (de) * 2017-12-18 2019-06-1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Lenk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JP6626916B2 (ja) * 2018-03-12 2019-12-25 株式会社Subaru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10562558B1 (en) 2019-04-09 2020-02-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oldable steering whee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114562B1 (fr) 2023-12-01
CN116194341A (zh) 2023-05-30
JP2023543986A (ja) 2023-10-19
FR3114562A1 (fr) 2022-04-01
US20230365081A1 (en) 2023-11-16
DE112021003921T5 (de) 2023-06-22
WO2022069381A1 (fr) 2022-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88984B1 (en) Tilt steering assembly
EP1840398B1 (en) Universal joint
EP1876066A1 (en) Attachment structure
EP3569492B1 (en) Outboard motor
KR20230073309A (ko) 차량 스티어링 휠
US20110115259A1 (en) Utility vehicle
EP2597734A1 (en) Rotary connector device
US7511237B2 (en) Lever switch mounting structure
CN107919638B (zh) 固定构造以及电气接线箱
US9358881B1 (en) Console bridge that rotates about axis for multiple installed positions and improved assembly clearance
CN1091701C (zh) 电缆用的扣眼装置
JPH10157696A (ja) 船舶の操舵装置に取り付けられたアクセサリー制御アセンブリ
EP1127729B1 (fr) Agencement de planche de bord de véhicule automobile
US10926703B2 (en) Door mirror apparatus for vehicle
US20040066091A1 (en) Steering column assembly having integrated electrical connection
US6968919B2 (en) Cable type steering system
EP3093203B1 (en) Wiper apparatus
CN219007759U (zh) 剪刀门组件及车辆
US9671814B2 (en) Lever device
KR0126811Y1 (ko) 조립라인에서 이동되는 버스의 조향핸들
EP0723096A2 (en) A control system for a motor-vehicle gear box
KR101674303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아우터 볼 조인트
US20220305994A1 (en) Vehicle side mirror
JP3710057B2 (ja) ミラーステー用カバー
KR200179130Y1 (ko) 자동차 실내 전면의 차폐막 고정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