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935B1 -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935B1
KR102264935B1 KR1020190149090A KR20190149090A KR102264935B1 KR 102264935 B1 KR102264935 B1 KR 102264935B1 KR 1020190149090 A KR1020190149090 A KR 1020190149090A KR 20190149090 A KR20190149090 A KR 20190149090A KR 102264935 B1 KR102264935 B1 KR 102264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cover
seat
rotary body
vehicl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1190A (ko
Inventor
홍강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90149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935B1/ko
Publication of KR20210061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02/0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 B60N2002/0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longitudinal axi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고정되고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바텀커버, 바텀커버의 개방된 일측을 덮고 개방홀을 통공하는 캡, 바텀커버의 내측에 구비된 채 개방홀을 통해 차량용 시트와 연결된 채 시트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로터리바디, 및 일측이 바텀커버에 고정된 채 차체측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로터리바디에 고정된 채 시트측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차체에 고정된 바텀커버의 내측에 로터리바디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로터리바디를 차량용 시트에 고정 연결하며, 연성회로기판을 로터리바디의 둘레면에 감은 채 일측을 바텀커버에 고정 연결하면서 타측을 로터리바디에 고정 연결함으로써, 바텀커버에 대해 로터리바디를 회전시 연성회로기판의 꼬임이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POWER AND SIGNAL SUPPLY MODULE OF ROTARY-TYPE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에 고정된 바텀커버의 내측에 로터리바디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로터리바디를 차량용 시트에 고정 연결하며, 연성회로기판을 로터리바디의 둘레면에 감은 채 일측을 바텀커버에 고정 연결하면서 타측을 로터리바디에 고정 연결함으로써, 바텀커버에 대해 로터리바디를 회전시 연성회로기판의 꼬임이나 단선을 방지하고자 하는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후방 탑승자의 대화시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회전 가능한 시트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회전 가능한 시트는 통상적으로 운전석 후방의 2열 시트부터 적용되며, 그 회전각도는 최대 180ㅀ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와 같이, 시트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시트쿠션과 시트레일 사이에 일명 스위블(swivel)이라는 시트 회전장치가 장착된다. 시트 회전장치는 탑승자의 체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강성을 갖추고 있어야 하고, 원활한 회전운동을 할 수 있어야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는 시트레일에 체결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시트쿠션 프레임에 체결되고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대 회전되게 체결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관련 기술로는 국내특허공개공보 제10-2019-0048405호(발명의 명칭: 자동차 시트의 파워 스위블 장치, 공개일: 2019.05.09.)가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는 해당 장치 내부에서 시트측 와이어링과 차체측 와이어링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시트측 와이어링과 차체측 와이어링이 시트 회전장치의 외부에서 접속됨에 따라 진동에 취약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체에 고정된 바텀커버의 내측에 로터리바디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로터리바디를 차량용 시트에 고정 연결하며, 연성회로기판을 로터리바디의 둘레면에 감은 채 일측을 바텀커버에 고정 연결하면서 타측을 로터리바디에 고정 연결함으로써, 바텀커버에 대해 로터리바디를 회전시 연성회로기판의 꼬임이나 단선을 방지하고자 하는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는: 차체에 고정되고,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바텀커버; 상기 바텀커버의 개방된 일측을 덮고, 개방홀을 통공하는 캡; 상기 바텀커버의 내측에 구비된 채 상기 개방홀을 통해 차량용 시트와 연결된 채 상기 시트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로터리바디; 및 일측이 상기 바텀커버에 고정된 채 차체측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로터리바디에 고정된 채 시트측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로터리바디는 상부 일부가 상기 개방홀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면에 단턱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로터리바디의 둘레면에 감기고,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제 1접속부재를 구비하고 타측에 제 2접속부재를 구비하는 전선부재; 상기 바텀커버의 둘레면 중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 1접속부재를 수용하거나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하는 절개부; 상기 개방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로터리바디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접속부재를 고정 장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둘레면 외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 2접속부재에 연결되는 상기 전선부재를 삽입하도록, 상기 로터리바디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캡은 상기 절개부에 삽입됨으로써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리브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텀커버는 개방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터리바디는 상기 연결부의 개방측에 해당되는 둘레면에 곡면돌부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전선부재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차체에 고정된 바텀커버의 내측에 로터리바디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로터리바디를 차량용 시트에 고정 연결하며, 연성회로기판을 로터리바디의 둘레면에 감은 채 일측을 바텀커버에 고정 연결하면서 타측을 로터리바디에 고정 연결함으로써, 바텀커버에 대해 로터리바디를 회전시 연성회로기판의 꼬임이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 중 로터리바디에 전선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에 의한 시트의 회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 중 로터리바디에 전선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에 의한 시트의 회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식 시트(20)의 전원공급장치(100)는 바텀커버(110), 캡(120), 개폐부(130), 로터리바디(140) 및 전원공급부(200)를 포함한다.
바텀커버(110)는 차체(10)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바텀커버(110)는 둘레면에 복수 개의 체결편(116)을 형성하고, 체결부재(118)가 체결편(116)과 차체(10)를 결속한다. 이때, 바텀커버(110)는 외형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고,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바텀커버(110)는 내부공간(112)을 형성하고,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때, 바텀커버(110)는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캡(120)은 바텀커버(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역할을 한다. 특히, 캡(120)은 개방홀(122)을 통공한다. 물론, 캡(12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개폐부(130)는 캡(120)을 바텀커버(110)에 결속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개폐부(130)는 걸림돌기(132), 탄성편(134) 및 끼움홀(136)을 포함ㅎ나다.
걸림돌기(132)는 바텀커버(110)의 둘레면을 따라 복수 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편(134)은 각 걸림돌기(132)에 대응되도록 캡(120)의 가장자리에 연장 형성되고,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끼움홀(136)은 탄성편(134) 각각에 통공 형성되어 대응되는 걸림돌기(132)를 끼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탄성편(134)이 대응되는 걸림돌기(132)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탄성적을 젖혀진 후, 끼움홀(136)이 걸림돌기(132)에 대응되게 위치할 경우, 탄성편(134)은 탄성 복원되면서 걸림돌기(132)를 끼움홀(136)에 수용하게 된다. 물론, 탄성편(134)과 걸림돌기(13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로터리바디(140)는 바텀커버(110)의 내부공간(112)에 수용되고, 개방홀(122)을 통해 차량용 시트(20)와 연결된다. 그래서, 시트(2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 이에 연동되어, 로터리바디(14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시트(20)와 로터리바디(140)의 연결 구성은 볼팅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특히, 로터리바디(140)는 상부 일부가 개방홀(122)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면에 단턱부(142)를 형성한다. 로터리바디(140)는 단턱부(142)에 의해 바텀커버(110)의 내부공간(112)에서 위치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로터리바디(140)의 상부가 시트(20) 또는 시트(20)측 브라켓(도시하지 않음)와 면접촉되어 결속됨으로써, 로터리바디(140)는 시트(20)와의 결속력이 증대된다.
또한, 전원공급부(200)는 일측이 바텀커버(110)에 고정된 채 차체측커넥터(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로터리바디(140)에 고정된 채 시트측커넥터(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차체측커넥터(30)는 차량에 구비되는 전장품 또는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시트측커넥터(40)는 시트(20)의 전동 틸팅 모션 등을 위한 모터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래서, 차체측커넥터(30)와 시트측커넥터(40)는 전기적으로 연결시 상호 신호 전달 또는 일방향으로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상세히, 전원공급부(200)는 전선부재(210), 절개부(220), 수용부(230) 및 연결부(240)를 포함한다.
전선부재(210)는 가요성을 갖도록 이루어져 로터리바디(140)의 둘레면에 감긴다. 이때, 전선부재(210)는 가요성을 갖는 케이블 또는 연성회로기판[FPCB]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전선부재(210)는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제 1접속부재(212)를 구비하고, 타측에 제 2접속부재(214)를 구비한다. 이때, 제 1접속부재(212)와 제 2접속부재(214)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접속부재(212)는 차체측커넥터(30)와 접속되는 것으로 하고, 제 2접속부재(214)는 시트측커넥터(40)와 접속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절개부(220)는 바텀커버(110)의 둘레면 중 일부가 절개되어, 제 1접속부재(212)를 수용하거나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절개부(220)를 통해, 제 1접속부재(212)가 바텀커버(110)에 고정된 채 차체측커넥터(30)와 접속된다.
그리고, 수용부(230)는 개방홀(12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로터리바디(140)의 상부에 형성되어 제 2접속부재(214)를 고정 장착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 2접속부재(214)가 수용부(230)에 안착되어 고정된 상태로 개방홀(122)을 통해 시트측커넥터(40)와 접속된다. 이때, 수용부(230)는 로터리바디(140)의 상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홈 형상인 것으로 한다.
아울러, 연결부(240)는 수용부(230)에서 로터리바디(140)의 둘레면으로 개방되게 연장 형성되, 제 2접속부재(214)에 연결되는 전선부재(210)를 삽입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연결부(240)는 수용부(230)에 수용된 제 2접속부재(214)가 이동되지 않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선부재(210)가 로터리바디(140)의 둘레면에 감긴 채, 제 1접속부재(212)가 절개부(220)에 장착되고, 제 2접속부재(214)가 수용부(230)에 수용 고정된다. 그래서, 로터리바디(14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 전선부재(210)는 로터리바디(140)의 둘레면을 감는 정도를 달리할 뿐 로터리바디(140)를 감고 있는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꼬임이나 단선이 방지된다.
특히, 로터리바디(140)는 연결부(240)의 개방측에 해당되는 둘레면에 곡면돌부(144)를 돌출 형성하여 연결부(24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전선부재(210)의 해당 부위가 급격히 절곡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선부재(210)를 안내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곡면돌부(14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캡(120)은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리브(124)를 돌출한다. 리브(124)는 절개부(220)에 삽입됨으로써 캡(120)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한다.
그리고, 절개부(220)는 제 1접속부재(212)의 끼움 작업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텀커버(110)의 가장자리에서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하는데, 리브(124)는 제 1접속부재(212)가 상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물론, 리브(12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바텀커버(110)는 바닥면에 개방구(114)를 형성한다. 바텀커버(110)의 개방구(114)와 캡(120)의 개방홀(122)을 통해, 외기의 순환이 가능함에 따라, 전선부재(210) 등에 의해 바텀커버(110)의 내부공간(112)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자연 배출된다.
물론, 개방구(114)는 크기 및 개수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차체 20: 시트
30: 차체측커넥터 40: 시트측커넥터
100: 전원공급장치 110: 바텀커버
112: 내부공간 114: 개방구
120: 캡 122: 개방홀
124: 리브 130: 개폐부
132: 걸림돌기 134: 탄성편
136: 끼움홀 140: 로터리바디
142: 단턱부 200: 전원공급부
210: 전선부재 220: 절개부
230: 수용부 240: 연결부

Claims (6)

  1. 차체에 고정되고,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바텀커버; 상기 바텀커버의 개방된 일측을 덮고, 개방홀을 통공하는 캡; 상기 바텀커버의 내측에 구비된 채 상기 개방홀을 통해 차량용 시트와 연결된 채 상기 시트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로터리바디; 일측이 상기 바텀커버에 고정된 채 차체측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로터리바디에 고정된 채 시트측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캡을 상기 바텀커버에 결속과 분해 안내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리바디는 상부 일부가 상기 개방홀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캡에 대해 위치 설정되도록 상면에 단턱부를 형성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바텀커버의 둘레면을 따라 복수 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
    상기 걸림돌기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캡의 가장자리에 연장 형성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편; 및
    상기 탄성편 각각에 통공되어, 상기 탄성편의 탄성 변형에 의해 대응되는 걸림돌기를 수용함에 따라, 상기 캡이 상기 단턱부에 대응되게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끼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로터리바디의 둘레면에 감기고,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제 1접속부재를 구비하고 타측에 제 2접속부재를 구비하는 전선부재;
    상기 바텀커버의 둘레면 중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 1접속부재를 수용하거나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하는 절개부;
    상기 개방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로터리바디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접속부재를 고정 장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둘레면 외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 2접속부재에 연결되는 상기 전선부재를 삽입하도록, 상기 로터리바디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절개부에 삽입됨으로써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리브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바디는 상기 연결부의 개방측에 해당되는 둘레면에 곡면돌부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전선부재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커버는 개방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
KR1020190149090A 2019-11-19 2019-11-19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 KR102264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090A KR102264935B1 (ko) 2019-11-19 2019-11-19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090A KR102264935B1 (ko) 2019-11-19 2019-11-19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190A KR20210061190A (ko) 2021-05-27
KR102264935B1 true KR102264935B1 (ko) 2021-06-14

Family

ID=7613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090A KR102264935B1 (ko) 2019-11-19 2019-11-19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9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8241A (ja) 1999-08-24 2001-03-1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回転接続装置
JP2015110353A (ja) * 2013-12-06 2015-06-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ト用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3537B2 (ja) * 1994-09-22 2001-11-2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3167872B2 (ja) * 1994-12-14 2001-05-21 矢崎総業株式会社 相対回転部材間継電装置
JPH08180951A (ja) * 1994-12-22 1996-07-12 Yazaki Corp ハンドルとステアリングコラム間の電気的接続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8241A (ja) 1999-08-24 2001-03-1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回転接続装置
JP2015110353A (ja) * 2013-12-06 2015-06-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ト用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190A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1947B2 (ja) スライドドア給電用のハーネス固定具とそれを用いた給電構造
JP3954802B2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の給電装置
EP1241054B1 (en) Wiring harness arrangement assembly for sliding door of car
US6933439B2 (en) Waterproof grommet
US8242366B2 (en) Power supplying system for a sliding structure
JP6847999B2 (ja) 車両用ドアミラー
JP3831198B2 (ja) スライドドアへのハーネス配索構造
US6854977B2 (en) Steering wheel rotary connector
US8227693B2 (en) Power supplying system for a sliding structure
US11325546B2 (en) Rotary connector
JPH1016672A (ja) 車両用ドアハーネスの組付構造
KR102264935B1 (ko) 차량용 회전식 시트의 전원공급장치
JP4102714B2 (ja) スライドドア給電用のハーネス保護構造
US6402240B1 (en) Seat having passenger's sitting posture detecting apparatus, and harness wiring structure in seat
JP3461467B2 (ja) ワイヤハーネス巻取り装置
JP4644502B2 (ja) 基板支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459039B2 (ja) 屈曲プロテクタ及びそれを用いたハーネス収容方法
JP2003230222A (ja) ハーネスプロテクタの取付構造
US11325547B2 (en) Wire harness routing apparatus
JP3461464B2 (ja) ワイヤハーネス巻取り装置
CN110626272B (zh) 车辆用车门后视镜
JP4833006B2 (ja) スライドドア用配線構造
JP2020179810A (ja) 車両用サンバイザ
JP3709998B2 (ja) 回転コネクタ
JPH07161410A (ja) 防水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