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572B1 -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572B1
KR101259572B1 KR1020110127722A KR20110127722A KR101259572B1 KR 101259572 B1 KR101259572 B1 KR 101259572B1 KR 1020110127722 A KR1020110127722 A KR 1020110127722A KR 20110127722 A KR20110127722 A KR 20110127722A KR 101259572 B1 KR101259572 B1 KR 101259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hole
inner space
sub
main body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청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110127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5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2Hand le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4Levers
    • H01H3/06Means for securing to shaft of driv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2003/028Rotating knob or lever or tumbler that can be turned or pushed by hand in only one direction, e.g. by making inaccessible one side of a tumb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 사이의 내부 공간으로 장착되는 서브 노브 홀더 및 연결 링크의 일단을 조립함에 있어서, 각각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의 유격을 방지하는 유격 방지 수단이 구비함으로써 조립 강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서브 노브 폴더 및 연결 링크를 외부에서 슬라이딩 이동시켜 조립하므로 조립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Multi-function Switch Assembly and Method to mount as the sam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강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야간운행 또는 안개지역 등의 시야가 좁고 어두운 지역을 운행할 경우 라이트 전원을 점멸하거나, 좌/우 회전시 방향지시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차량용 시그널 스위치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차량용 시그널 스위치 장치는, 레버 본체가 스티어링 핸들의 측방에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레버 본체를 스티어링 핸들의 회전과 같이 일정하게 회전시켜 차량의 라이트를 점멸하거나 상향 또는 하향으로 작동시켜 전조등의 상/하향을 조절하고, 방향지시등 등을 작동시킨다.
이와 같은 차량용 시그널 스위치 장치는, 다기능 스위치로써, 차량 운전에 필요한 모든 스위치의 구성과 구조를 가지고, 주요한 스위치 기능으로는 라이팅 스위치, 패싱 및 딤머 스위치, 틸트 스위치, 턴시그널 스위치, 와이퍼 및 와셔액 분사 스위치, 간헐 와이핑 스위치 등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동 부품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 구조가 매우 복잡한 대신 외관상 심플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시그널 스위치 장치는, 상기 각종 작동 부품이 설치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각종 작동 부품이 움직일 때 전기적으로 접점이 이루어지도록 나사 결합되거나 각각의 작동 부품이 장착되는 미도시의 장착부에 장착된 후,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를 각 체결부에 억지 끼움시켜 결합시킴으로써 그 조립이 완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시그널 스위치 장치는, 최초 제품의 생산 직후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사용기간이 오랠수록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 사이가 유격되어 외관미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의 결합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초음파 융착 및 인서트 핀 등을 이용하여 강도 저하를 방지하였으나, 마찬가지로 사용기간이 오래되면 상기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 사이가 유격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지적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강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스티어링 핸들의 일측에서 상하 또는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 본체와, 상기 레버 본체의 상하 또는 전후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스티어링 컬럼을 감싸는 컬럼 하우징에의 결합을 매개하는 연결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본체는, 상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상부 본체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일측 및 타측의 개구된 제1장착 홀 및 제2장착 홀을 형성하는 하부 본체와,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메인 노브 홀더와, 상기 제1장착 홀 및 상기 제2장착 홀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장착되는 서브 노브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노브 홀더에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장착될 때,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의 유격을 방지하는 제1유격 방지 수단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링크에는, 상기 서브 노브 홀더가 장착되는 상기 제1장착 홀 및 상기 제2장착 홀 중 나머지 하나의 장착 홀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장착될 때,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의 유격을 방지하는 제2유격 방지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링크는, 상기 서브 노브 홀더가 장착되는 상기 제1장착 홀 및 상기 제2장착 홀 중 나머지 하나의 장착 홀을 통하여 일단부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컬럼 하우징에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격 방지 수단은, 상기 서브 노브 홀더에 형성되어, 상기 제1장착 홀 및 상기 제2장착 홀 중 어느 하나의 장착 홀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장착될 때,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에 동시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복수개의 돌출 리브와, 상기 서브 노브 홀더가 장착되는 상기 제1장착 홀 및 상기 제2장착 홀 중 어느 하나의 장착 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돌출 리브가 끼움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돌출 리브는 "T"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 홈은 상기 복수개의 돌출 리브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노브 홀더가 상기 제1장착 홀 및 상기 제2장착 홀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장착될 때, 상기 서브 노브 홀더를 상기 내부 공간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공간에 회전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 본체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조작 돌출단이 노출되는 회전 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 수단은, 상기 서브 노브 홀더의 관통된 중심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된 제1후크부와, 상기 메인 노브 홀더로부터 상기 서브 노브 홀더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연장 형성된 돌출 레버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후크부가 걸림되는 제1걸림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격 방지 수단은, 상기 연결 링크에 형성되어, 상기 서브 노브 홀더가 장착되는 상기 제1장착 홀 및 상기 제2장착 홀 중 나머지 장착 홀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장착될 때,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에 동시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복수개의 돌출 리브와, 상기 연결 링크가 장착되는 상기 나머지 장착 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돌출 리브가 끼움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돌출 리브는 하단부가 각각 좌우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ㅠ"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 홈은 상기 복수개의 돌출 리브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링크가 상기 서브 노브 홀더가 장착되는 상기 제1장착 홀 및 상기 제2장착 홀 중 나머지 장착 홀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장착될 때, 상기 연결 링크를 상기 내부 공간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 수단은, 상기 연결 링크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의 내측면으로 돌출된 탄성 돌출단과, 상기 탄성 돌출단이 걸림되도록 상기 내부 공간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연결 링크를 향하여 돌출된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의 조립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 사이에 회전 노브를 조작 돌출단이 상기 상부 본체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노출되도록 배치시키는 회전 노브 결합 단계(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후,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를 가고정시키는 본체 결합 단계(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후,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1장착 홀 및 제2장착 홀 중 어느 하나의 장착 홀을 통하여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서브 노브 홀더 및 연결 링크를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결합 단계(제3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제1장착 홀 및 상기 제2장착 홀 부위에 형성된 복수개의 슬라이딩 홈에 상기 서브 노브 홀더 및 상기 연결 링크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 리브를 끼움시켜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은,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 사이의 내부 공간으로 장착되는 서브 노브 홀더 및 연결 링크의 일단을 조립함에 있어서, 각각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의 유격을 방지하는 유격 방지 수단이 구비되므로, 제품의 조립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은,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 사이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서브 노브 폴더 및 연결 링크를 외부에서 슬라이딩 이동시켜 조립하므로 조립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라 취??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제2고정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구성 중 제1고정 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라 취??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제2고정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구성 중 제1고정 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핸들(미도시)의 일측에서 상하 또는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 본체(10,20)와, 상기 레버 본체(10,20)의 상하 또는 전후로 회동 가능하도록 스티어링 핸들의 축이 되는 스티어링 컬럼(미도시)을 감싸는 컬럼 하우징(미도시)에의 결합을 매개하는 연결 링크(4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링크(40)는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사용자(운전자)가 상기 레버 본체(10,20)를 상하로 움직이면 상하 소정각도 회동되고, 사용자가 상기 레버 본체(10,20)를 전후로 움직이면 전후 소정각도 회동되도록 상기 레버 본체(10,20)의 상기 컬럼 하우징에 대한 결합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레버 본체(10,20)는, 상부 본체(10)와, 상기 상부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상부 본체(10)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일측 및 타측의 개구된 제1장착 홀(5A) 및 제2장착 홀(5B)을 형성하는 하부 본체(2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본체(10)와 상기 하부 본체(20) 사이에 형성된 상기 내부 공간에는, 라이팅 스위치, 패싱 및 딤머 스위치, 틸트 스위치, 턴시그널 스위치, 와이퍼 및 와셔액 분사 스위치, 간헐 와이핑 스위치 등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동 부품들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종 작동 부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조작 돌출단(33)이 상기 상부 본체(10)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관통홀(도면부호 미표기)을 통하여 노출되는 회전 노브(31)로 구비되는데, 상기 회전 노브(31)는 상기 상부 본체(10)와 상기 하부 본체(20) 사이의 상기 내부 공간에 고정되는 메인 노브 홀더(30)를 매개로 고정된다.
본래 상기 레버 본체(10,20)의 조립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상부 본체(10)와 상기 하부 본체(20)로 구별하지 않고 일체형으로 형성한 경우에 가장 큰 조립 강도를 갖는다 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회전 노브(31)와 같이 조작 돌출단(33)이 상기 레버 본체(10,2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되게 관통된 관통홀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부품의 조립을 위하여서는 상기 상부 본체(10)와 상기 하부 본체(20)의 구별이 불가피하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본체(10)와 상기 하부 본체(20)로 구별하여 제작할 경우, 그 조립 후 조립 강도(또는 내구성)가 문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본체(10) 및 상기 하부 본체(20) 사이의 유격을 방지하면서 조립 강도를 향상시키는 서브 노브 홀더(50) 및 연결 링크(40)의 형상 및 그 결합 방식을 종전과 비교하여 변경하였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레버 본체(10,20)는,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상기 메인 노브 홀더(30)와, 상기 제1장착 홀(5A) 및 상기 제2장착 홀(5B)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장착되는 서브 노브 홀더(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노브 홀더(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노브(31)의 상기 내부 공간에 대한 설치를 매개하면서도 상기 회전 노브(31)의 회전 작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서브 노브 홀더(50)는 상기 제1장착 홀(5A) 및 상기 제2장착 홀(5B) 중 상기 컬럼 하우징을 기준으로 더 이격되게 배치된 상기 제1장착 홀(5A)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서브 노브 홀더(50)는 중심부(55)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메인 노브 홀더(30)에는 상기 메인 노브 홀더(30)로부터 상기 서브 노브 홀더(50)의 중심부(55)를 관통하도록 연장된 돌출 레버(35)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 레버(35)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서브 노브 홀더(50)의 외측에 설치되는 단위 PCB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와이어의 설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서브 노브 홀더(50)에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장착될 때, 상기 상부 본체(10) 및 상기 하부 본체(20)의 유격을 방지하는 제1유격 방지 수단(도면부호 미표기)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장착 홀(5A)을 통하여 상기 서브 노브 홀더(50)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장착되는 바, 상기 연결 링크(40)의 일부가 상기 제2장착 홀(5B)을 통하여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장착된다.
상기 연결 링크(40)에는, 상기 제2장착 홀(5B)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장착될 때, 상기 상부 본체(10) 및 상기 하부 본체(20)의 유격을 방지하는 제2유격 방지 수단(도면부호 미표기)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 링크(40)는, 상기 제2장착 홀(5B)을 통하여 일단부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컬럼 하우징에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링크(40)의 타단부에는, 도면에 도시되 않았지만, 상기 레버 본체(10,20)가 상기 스티어링 핸들을 기준으로 상하 또는 전후로 회동될 때, 그 회동되는 각도에 따라 상이한 전기적인 접점이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접점 회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격 방지 수단 및 상기 제2유격 방지 수단은 각각 상기 레버 본체(10,20)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본체(10) 및 상기 하부 본체(20) 사이가 유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유격 방지 수단 및 상기 제2유격 방지 수단에 의하여 상기 레버 본체(10,20)의 조립 강도를 향상시키는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유격 방지 수단은, 상기 서브 노브 홀더(50)에 형성되어, 상기 제1장착 홀(5A) 및 상기 제2장착 홀(5B) 중 어느 하나의 장착 홀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장착될 때, 상기 상부 본체(10) 및 상기 하부 본체(20)에 동시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복수개의 돌출 리브와, 상기 서브 노브 홀더(50)가 장착되는 상기 제1장착 홀(5A)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돌출 리브가 끼움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돌출 리브는 "T"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 홈은 상기 복수개의 돌출 리브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유격 방지 수단은, 상기 서브 노브 홀더(50)의 상기 복수개의 돌출 리브가 각각 상기 제1장착 홀(5A)의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장착 홀(5A) 부분의 상기 상부 본체(10) 및 상기 하부 본체(20)의 유격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유격 방지 수단은, 상기 연결 링크(40)에 형성되어, 상기 제2장착 홀(5B)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장착될 때, 상기 상부 본체(10) 및 상기 하부 본체(20)에 동시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복수개의 돌출 리브와, 상기 연결 링크(40)가 장착되는 상기 제2장착 홀(5B)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돌출 리브가 끼움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 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유격 방지 수단의 복수개의 돌출 리브 및 복수개의 슬라이딩 홈은 상기 제2유격 방지 수단의 그것과 그 기능이 동일하지만, 각각의 형상은 상이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혼선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제1유격 방지 수단의 복수개의 돌출 리브 및 복수개의 슬라이딩 홈을 각각 제1복수개의 돌출 리브(51,53) 및 제1복수개의 슬라이딩 홈(11,23)이라 칭하고, 상기 제2유격 방지수단의 복수개의 돌출 리브 및 복수개의 슬라이딩 홈은 각각 제2복수개의 돌출 리브(43,45) 및 제2복수개의 슬라이딩 홈(13,15)이라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유격 방지 수단의 상기 제2복수개의 돌출 리브(43,45)는 대략 한글 모음 중 "ㅠ"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ㅠ"자 형상의 하단부가 각각 좌우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ㅠ"자 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유격 방지 수단의 상기 제2복수개의 슬라이딩 홈(13,15)은 상기 제2복수개의 돌출 리브(43,45)의 돌출된 선단부가 끼움되도록 상기 제2장착 홀(5B)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2복수개의 돌출 리브(43,4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유격 방지 수단은, 상기 연결 링크(40)의 상기 제2복수개의 돌출 리브(43,45)가 각각 상기 제2장착 홀(5B)의 상기 제2복수개의 슬라이딩 홈(13,15)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2장착 홀(5B) 부분의 상기 상부 본체(10) 및 상기 하부 본체(20)의 유격을 방지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제1유격 방지 수단 및 상기 제2유격 방지 수단에 의하여 상기 레버 본체(10,20)의 양단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상기 레버 본체(10,20)의 조립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창출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서브 노브 홀더(50)가 상기 제1장착 홀(5A)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장착될 때, 상기 서브 노브 홀더(50)를 상기 내부 공간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 수단과, 상기 연결 링크(40)가 상기 제2장착 홀(5B)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장착될 때, 상기 연결 링크(40)를 상기 내부 공간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 수단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 노브 홀더(50)의 관통된 중심부(55)의 내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된 제1후크부와, 상기 메인 노브 홀더(30)로부터 상기 서브 노브 홀더(50)의 중심부(55)를 관통하도록 연장 형성된 돌출 레버(35)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후크부가 걸림되는 제1걸림 홈(37)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고정 수단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링크(40)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의 내측면으로 돌출된 탄성 돌출단(47)과, 상기 탄성 돌출단(47)이 걸림되도록 상기 내부 공간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연결 링크(40)를 향하여 돌출된 걸림부(17)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 수단은, 상기 서브 노브 홀더(50)를 상기 제1장착 홀(5A)을 통하여 어느 정도 슬라이딩 삽입 결합시키면 상기 제1후크부가 상기 제1걸림 홈(37)에 걸림됨으로써 상기 내부 공간에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고정 수단은, 상기 연결 링크(40)를 상기 제2장착 홀(5B)을 통하여 어느 정도 슬라이딩 삽입 결합시키면 상기 탄성 돌출단(47)이 상기 걸림부(17)에 걸림됨으로써 상기 내부 공간에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제1유격 방지 수단 및 상기 제2유격 방지 수단에 의하여 상기 상부 본체(10) 및 상기 하부 본체(20)의 결합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부품의 조립 강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상기 서브 노브 홀더(50) 및 상기 연결 링크(40)를 슬라이딩 체결 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조립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60은 상기 상부 본체(10) 및 상기 하부 본체(20) 사이의 파팅 라인에 설치된 데코 부재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1)의 조립 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1)의 조립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부 본체(10) 및 하부 본체(20) 사이에 회전 노브(31)를 조작 돌출단(33)이 상기 상부 본체(10)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노출되도록 배치시키는 회전 노브(31) 결합 단계(이하, 제1단계라 칭함)와, 상기 제1단계 후, 상기 상부 본체(10) 및 상기 하부 본체(20)를 가고정시키는 본체 결합 단계(이하, 제2단계라 칭함)와, 상기 제2단계 후, 상기 상부 본체(10) 및 상기 하부 본체(20)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1장착 홀(5A) 및 제2장착 홀(5B) 중 어느 하나의 장착 홀을 통하여 상기 상부 본체(10) 및 상기 하부 본체(20)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서브 노브 홀더(50) 및 연결 링크(40)를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결합 단계(이하, 제3단계라 칭함)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상부 본체(10) 및 상기 하부 본체(20)의 상기 제1장착 홀(5A) 및 상기 제2장착 홀(5B) 부위에 형성된 각 제1복수개의 슬라이딩 홈(11,23) 및 제2복수개의 슬라이딩 홈(13,15)에 상기 서브 노브 홀더(50)에 형성된 제1복수개의 돌출 리브(51,53) 및 상기 연결 링크(40)에 형성된 제2복수개의 돌출 리브(43,45)를 끼움시켜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 노브 홀더(50) 및 상기 연결 링크(40)에 형성된 상기 제1복수개의 돌출 리브(51,53) 및 상기 제2복수개의 돌출 리브(43,45)와, 상기 제1장착 홀(5A) 및 상기 제2장착 홀(5B)에 형성된 상기 제1복수개의 슬라이딩 홈(11,23) 및 상기 제2복수개의 슬라이딩 홈(13,15)의 구체적인 형상 및 구조는 앞서 설명한 물건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속에 모두 포함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 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 스위치 어셈블리 10: 상부 본체
11,23: 제1복수개의 슬라이딩 홈 13: 제2복수개의 슬라이딩 홈
17: 걸림부 20: 하부 본체
23: 제1복수개의 슬라이딩 홈 30: 메인 노브 홀더
31: 회전 노브 33: 조작 돌출단
35: 돌출 레버 37: 제1걸림 홈
40: 연결 링크 43,45: 제2복수개의 돌출 리브
47: 탄성 돌출단 50: 서브 노브 홀더
51,53: 제1복수개의 돌출 리브 55: 중심부
60: 데코 부재

Claims (13)

  1. 스티어링 핸들의 일측에서 상하 또는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 본체와;
    상기 레버 본체의 상하 또는 전후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스티어링 컬럼을 감싸는 컬럼 하우징에의 결합을 매개하는 연결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본체는,
    상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상부 본체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일측 및 타측의 개구된 제1장착 홀 및 제2장착 홀을 형성하는 하부 본체와;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메인 노브 홀더와;
    상기 제1장착 홀 및 상기 제2장착 홀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장착되는 서브 노브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노브 홀더에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장착될 때,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의 유격을 방지하는 제1유격 방지 수단이 형성된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링크에는,
    상기 서브 노브 홀더가 장착되는 상기 제1장착 홀 및 상기 제2장착 홀 중 나머지 하나의 장착 홀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장착될 때,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의 유격을 방지하는 제2유격 방지 수단이 형성된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링크는,
    상기 서브 노브 홀더가 장착되는 상기 제1장착 홀 및 상기 제2장착 홀 중 나머지 하나의 장착 홀을 통하여 일단부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컬럼 하우징에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격 방지 수단은,
    상기 서브 노브 홀더에 형성되어, 상기 제1장착 홀 및 상기 제2장착 홀 중 어느 하나의 장착 홀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장착될 때,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에 동시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복수개의 돌출 리브와;
    상기 서브 노브 홀더가 장착되는 상기 제1장착 홀 및 상기 제2장착 홀 중 어느 하나의 장착 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돌출 리브가 끼움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는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돌출 리브는 "T"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 홈은 상기 복수개의 돌출 리브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 노브 홀더가 상기 제1장착 홀 및 상기 제2장착 홀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장착될 때, 상기 서브 노브 홀더를 상기 내부 공간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에 회전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 본체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조작 돌출단이 노출되는 회전 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 수단은,
    상기 서브 노브 홀더의 관통된 중심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된 제1후크부와;
    상기 메인 노브 홀더로부터 상기 서브 노브 홀더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연장 형성된 돌출 레버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후크부가 걸림되는 제1걸림 홈을 포함하는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유격 방지 수단은,
    상기 연결 링크에 형성되어, 상기 서브 노브 홀더가 장착되는 상기 제1장착 홀 및 상기 제2장착 홀 중 나머지 장착 홀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장착될 때,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에 동시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복수개의 돌출 리브와;
    상기 연결 링크가 장착되는 상기 나머지 장착 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돌출 리브가 끼움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는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돌출 리브는 하단부가 각각 좌우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ㅠ"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 홈은 상기 복수개의 돌출 리브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링크가 상기 서브 노브 홀더가 장착되는 상기 제1장착 홀 및 상기 제2장착 홀 중 나머지 장착 홀을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장착될 때, 상기 연결 링크를 상기 내부 공간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 수단은,
    상기 연결 링크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의 내측면으로 돌출된 탄성 돌출단과;
    상기 탄성 돌출단이 걸림되도록 상기 내부 공간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연결 링크를 향하여 돌출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12.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 사이에 회전 노브를 조작 돌출단이 상기 상부 본체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노출되도록 배치시키는 회전 노브 결합 단계(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후,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를 가고정시키는 본체 결합 단계(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후,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1장착 홀 및 제2장착 홀 중 어느 하나의 장착 홀을 통하여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서브 노브 홀더 및 연결 링크를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결합 단계(제3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조립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의 상기 제1장착 홀 및 상기 제2장착 홀 부위에 형성된 복수개의 슬라이딩 홈에 상기 서브 노브 홀더 및 상기 연결 링크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 리브를 끼움시켜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단계인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조립 방법.
KR1020110127722A 2011-12-01 2011-12-01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KR101259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722A KR101259572B1 (ko) 2011-12-01 2011-12-01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722A KR101259572B1 (ko) 2011-12-01 2011-12-01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9572B1 true KR101259572B1 (ko) 2013-04-30

Family

ID=48443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722A KR101259572B1 (ko) 2011-12-01 2011-12-01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5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4495A (ko) * 2008-04-30 2009-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4495A (ko) * 2008-04-30 2009-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8721B2 (ja) 照明部を有する自動車用マルチファンクションスイッチ
KR100458157B1 (ko) 자동차용복합스위치레버장치
KR100930130B1 (ko)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ⅱ)
KR200441295Y1 (ko) 스위치 모듈
KR101259572B1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KR101211311B1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KR20160000738U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KR20090114495A (ko)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KR101125242B1 (ko) 램프가 설치된 차량용 손잡이
KR100828199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KR100797607B1 (ko) 레버 스위치
KR101121857B1 (ko) 차량용 스위치 레버
KR100829775B1 (ko) 자동차용 방향지시등 스위치
KR200486644Y1 (ko)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200488667Y1 (ko)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US6765166B2 (en) Switch contact structure
KR100735985B1 (ko) 차량의 레버 커넥
KR101879655B1 (ko) 자동차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것의 조립방법
JP4738433B2 (ja) 車両用前照灯の光源取り付け構造
KR101042024B1 (ko) 차량용 방향지시등 스위치
KR100625527B1 (ko) 미러 스위치 장치
JP3132599U (ja) 自動車のドアノブに設ける発光装置
KR20100055225A (ko) 자동차용 안개등
KR20200086900A (ko)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20040015995A (ko) 기구적 접점을 이용한 차량의 다기능스위치 조작레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