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092B1 -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092B1
KR101805092B1 KR1020160028061A KR20160028061A KR101805092B1 KR 101805092 B1 KR101805092 B1 KR 101805092B1 KR 1020160028061 A KR1020160028061 A KR 1020160028061A KR 20160028061 A KR20160028061 A KR 20160028061A KR 101805092 B1 KR101805092 B1 KR 101805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ontact portion
movable contact
switch leve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5195A (ko
Inventor
이상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1020160028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092B1/ko
Publication of KR20170105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computing target steering angles for front or rear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각종 전장부품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관통되어 구비되고,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되는 스위치 레버 바디부를 포함하는 스위치 레버와; 스위치 레버 사이에 구비되되, 차량의 스티어링 휠과 연동되어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따라 회전각을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모듈이 삽입되는 기어조립체와; 스위치 레버 바디부 및 기어조립체의 상부에 안착되고, 스위치 레버의 작동에 따라 접점되는 스위치 가동 접점부가 상부에 구비되며, 스위치 가동 접점부 및 조향각 센서모듈과 접점되는 통합 PCB로 형성된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Multi-Function Switch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CB가 일체로 형성되어 멀티펑션 스위치와 조향각 센서를 동시에 접점할 수 있는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행 방향을 결정하는 스티어링 휠의 일측에는 와이퍼를 작동시키거나, 차량의 윈드쉴드글라스 측으로 워셔액을 분사하는 워셔액 분사장치를 작동시키는 멀티펑션 스위치가 구비된다.
상술한 멀티펑션 스위치에 구비된 레버부는, 스티어링 휠의 하부를 감싸는 쉬라우드 커버의 일측에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레버부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와이퍼를 작동시키거나, 와이퍼의 작동 속도를 변경시키도록 조절하고,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작으로 워셔액 분사장치를 통하여 워셔액을 분사하도록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멀티펑션 스위치가 삽입되는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내부에 구비된 차량용 조향각 센서 모듈을 내장하여 스티어링 휠의 총 회전 각도를 연산하며, 연산된 회전 각도를 기초로 스위치 레버를 자동 캔슬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는 각종부품이 내장되는 스위치 레버 바디부(11)를 포함하는 스위치 레버(10)와, 스위치 레버(10) 사이에 구비된 기어조립체(20)와, 스위치 레버(10) 및 기어조립체(20)의 하부에 구비된 제1 PCB(30)를 포함한다. 또한, 기어조립체(20)는 메인기어(21)와 하부가 샤프트 형상으로 형성된 제1서브기어(22) 및 제2서브기어(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를 살펴보면, 스위치 레버 바디부(11)의 내부에는 제2 PCB(12) 및 제3 PCB(13)가 각각 구비되어 양측에 스위치 접점부(12a, 13a)가 각각 형성된다. 제1서브기어(22) 및 제2서브기어(23)의 하부 끝단에 제1자성체(22a) 및 제2자성체(23a)가 구비되고, 제1자성체(22a) 및 제2자성체(23a)의 하부에 각각 제1자성센서(30a) 및 제2자성센서(30b)가 구비된다. 스티어링 휠(미도시)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 모듈(미도시)은 제1PCB(30)에 접점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는, 각각의 스위치 접점부(12a, 13a)와 조향각 센서 모듈(미도시)의 접점부(31)가 각각 형성되어 부품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1서브기어(22) 및 제2서브기어(23)의 하부가 샤프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어의 회전과 제1자성체(22a)및 제2자성체(23a) 사이의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조향각 센서와 스위치 레버에 구비되는 PCB를 일체로 형성하여 회전 위치 오차를 최소화하고, 조향각 검출 능력을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각종 전장부품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관통되어 구비되고,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되는 스위치 레버 바디부를 포함하는 스위치 레버와; 스위치 레버 사이에 구비되되, 차량의 스티어링 휠과 연동되어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따라 회전각을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모듈이 삽입되는 기어조립체와; 스위치 레버 바디부 및 기어조립체의 상부에 안착되고, 스위치 레버의 작동에 따라 접점되는 스위치 가동 접점부가 상부에 구비되며, 스위치 가동 접점부 및 조향각 센서모듈과 접점되는 통합 PCB를 포함한다.
또한, 기어조립체는, 기어조립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기어조립체 바디부와; 기어조립체 바디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차량의 스티어링 휠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메인기어와; 메인기어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1서브기어 및 제2서브기어와; 제1서브기어 및 제2서브기어의 중앙에 각각 삽입되어 제1서브기어 및 제2회전기어와 동일한 회전비로 회전하는 제1자성체 및 제2자성체를 포함한다.
또한, 통합 PCB는 통합 PCB의 하부에 구비되고, 제1자성체 및 제2자성체의 회전에 의한 극성의 위상변화를 각각 감지하는 제1자성센서 및 제2자성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통합 PCB의 상부에는, 스위치 가동 접점부의 이동에 따라 스위치 가동 접점부와 접촉되는 스위치 고정 접점부가 형성된다.
또한, 스위치 가동 접점부는, 스위치 레버의 전후방향 이동에 따라 상향등이 작동되는 제1스위치 가동 접점부와; 스위치 레버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방향지시등이 작동되는 제2스위치 가동 접점부와; 스위치 레버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와이퍼가 작동되는 제3스위치 가동 접점부와; 스위치 레버의 전후방향 이동에 따라 워셔가 작동되는 제4스위치 가동 접점부를 포함한다.
또한, 스위치 레버의 이동에 따라 제1스위치 가동 접점부 및 제4스위치 가동 접점부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스위치 가동 접점부와 각각 접촉되는 스위치 고정 접점부와 접점된다.
또한, 스위치 레버의 이동에 따라 제2스위치 가동 접점부 및 제3스위치 가동 접점부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스위치 가동 접점부와 접촉되는 스위치 고정 접점부와 접점된다.
또한, 스위치 레버 바디부는 통합 PCB가 구비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스위치 레버의 이동에 따라 제1스위치 가동 접점부를 이동시키는 제1가이드리브와 통합 PCB가 구비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스위치 레버의 이동에 따라 제2스위치 가동 접점부를 이동시키는 제2가이드리브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통합 PCB에는, 제1가이드리브 및 제2가이드리브가 각각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또한, 제1서브기어 및 제2서브기어는, 상호 상이한 반경을 가진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조향각 센서와 스위치 레버를 통합하여 각각의 MCU(Micro Controller Unit)를 일원화하여 부품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메인기어는 통합 PCB에 관통되고, 통합 PCB의 하부에 제1서브기어와, 제2서브기어가 안착되어 기어 회전 시, 회전편차에 의한 자성센서의 인식 오차를 개선할 수 있다.
셋째, 제1서브기어와 제2서브기어의 샤프트 형상을 삭제하여 회전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넷째, 조향각 센서와 스위치 레버를 통합하여 조립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성 중 통합 PCB 및 기어조립체의 내부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바람직한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인 경우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구성 중 통합 PCB 및 기어조립체의 내부를 나타낸 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각종 전장부품을 수용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양측에 각각 관통되어 구비되고, 하우징(100)의 내부에 안착되는 스위치 레버 바디부(210)를 포함하는 스위치 레버(200)와; 스위치 레버(200) 사이에 구비되되, 차량의 스티어링 휠(미도시)과 연동되어 스티어링 휠(미도시)의 회전에 따라 회전각을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모듈(미도시)이 삽입된 기어조립체(300)와; 스위치 레버 바디부(210) 및 기어조립체(300) 상부에 안착되고, 스위치 레버(200)의 작동에 따라 접점되는 스위치 가동 접점부(410)가 상부에 구비되며, 스위치 가동 접점부(410) 및 조향각 센서모듈(미도시)과 접점되는 통합 PCB(4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각종 전장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스위치 레버(200)와 통합 PCB(400)를 연결하는 배선이 통과할 수 있는 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레버(200)는 하우징(100)의 양측에 각각 관통되어 구비되고, 하우징(100)의 내부에 안착되는 스위치 레버 바디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레버(200)는 차량에 마련된 각종 램프, 와이퍼를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스위치 레버(200)는 차량에 마련된 헤드램프, 테일램프, 방향지시램프를 온-오프(on-off)할 수 있고, 윈드쉴드에 구비된 와이퍼의 온-오프(on-off), 워셔액 작동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스위치 레버(20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바(Bar)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의 스위치 레버(201)는 하우징(100)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즉, 일측의 스위치 레버(201)를 상방향으로 작동하는 경우, 우측 방향의 지시램프가 점등되며, 일측의 스위치 레버(201)를 하방향으로 작동하는 경우, 좌측 방향의 지시램프가 점등된다. 또한, 일측의 스위치 레버(201)가 중립방향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방향지시램프가 소등된다. 일측의 스위치 레버(201)를 전후 방향으로 작동하는 경우, 헤드램프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타측의 스위치 레버(202)는 와이퍼의 온-오프 및 워셔액 작동등을 조절 할 수 있다.
스위치 레버 바디부(210)는 제1가이드리브(211)와 제2가이드리브(212)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제1가이드리브(211)는 통합 PCB(400)가 구비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일측 스위치 레버(201)의 이동에 따라 제1스위치 가동 접점부(41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2가이드리브(212)는 통합 PCB(400)가 구비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일측 스위치 레버(201)의 이동에 따라 제2스위치 가동 접점부(412)를 이동시킬 수 있다.
기어조립체(300)는 스위치 레버(200) 사이에 구비되되, 후술하는 메인기어(320)가 삽입되는 기어조립체(300)의 중앙부에 차량의 스티어링 휠과 연동되어 스티어링 휠(미도시)의 회전에 따라 회전각을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모듈(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기어조립체(300)는 후술하는 통합 PCB(400)의 하부에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기어조립체(300)는 기어조립체(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기어조립체 바디부(310)와, 기어조립체 바디부(3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차량의 스티어링 휠(미도시)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메인기어(320)와, 메인기어(320)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1서브기어(330) 및 제2서비기어(340)와, 제1서브기어(330) 및 제2서브기어(340)의 중앙에 각각 삽입되어 제1서브기어(330) 및 제2서브기어(340)와 동일한 회전비로 회전하는 제1자성체(331) 및 제2자성체(341)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기어(320)는 로터(미도시)에 고정되어 로터(미도시)의 회전 시 동일한 회전 비로 회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메인기어(320)는 기어조립체(300)에 구비되어 로터(미도시)의 회전 시, 동일한 회전비로 회전하며, 제1서브기어(330)와 제2서브기어(340)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1서브기어(330)는 메인기어(320)와 결합하여 연동되어 회전하며, 메인기어(320)의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서브기어(330)는 제1자성체(331)와 결합하며, 제1서브기어(33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제1자성체(331)의 극성(N극, S극)의 위상변화를 제1자성센서(430)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제1서브기어(330)는 제1자성체(331)와 일체로, 즉, 제1서브기어(330)가 자성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서브기어(330)는 샤프트(기둥)형상이 삭제되어, 제1자성체(331)와 일직선상, 즉, 같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서브기어(330)와 제1자성체(331)가 같은 높이에 위치함으로 인해 회전 위치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조향각 검출 능력을 개선할 수 있다.
제2서브기어(340)는 메인기어(320)와 결합하여 연동되어 회전하며, 메인기어(320)의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서브기어(340)는 제2자성체(341)와 결합하며, 제2서브기어(34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제2자성체(341)의 극성(N극, S극)의 위상변화를 제2자성센서(440)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제2서브기어(340)는 제1자성체(331)와 일체로, 즉, 제2서브기어(340)가 자성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서브기어(340)는 샤프트(기둥)형상이 삭제되어, 제2자성체(341)와 일직선상, 즉, 같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서브기어(340)와 제2자성체(341)가 같은 높이에 위치함으로 인해 회전 위치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조향각 검출 능력을 개선할 수 있다.
제1서브기어(330) 및 제2서브기어(340)는 상호 상이한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제1서브기어(330) 및 제2서브기어(340)의 내측에는 제1자성체(331) 및 제2자성체(341)를 각각 고정시키는 고정리브(331a, 341a)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리브(431, 441)는 제1자성체(331) 및 제2자성체(34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메인기어(320), 제1서브기어(330), 제2서브기어(340), 제1자성체(331) 및 제2자성체(341)는 일직선상, 즉, 같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통합 PCB(400)는 기어조립체(300)의 상부에 구비되고, 스위치 레버(200)의 작동에 따라 접점되는 스위치 가동 접점부(410)가 상부에 구비되며, 스위치 가동 접점부(410) 및 조향각 센서모듈(미도시)과 접점될 수 있다.
스위치 가동 접점부(410)는 일측 스위치 레버(201)의 전후방향 이동에 따라 상향등이 작동되는 제1스위치 가동 접점부(411), 일측 스위치 레버(201)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방향지시등이 작동되는 제2스위치 가동 접점부(412), 타측 스위치 레버(202)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와이퍼가 작동되는 제3스위치 가동 접점부(413), 타측 스위치 레버(202)의 전후방향 이동에 따라 워셔가 작동되는 제4스위치 가동 접점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위치 가동 접점부(411)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스위치 고정 접점부(421)와 접점될 수 있다. 제2스위치 가동 접점부(412)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스위치 고정 접점부(422)와 접점될 수 있다.
스위치 가동 접점부(410)에는 제1가이드리브(211)와 제2가이드리브(212)가 관통되어 스위치 가동 접점부(410)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홀(410a, 410b)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홀(410a, 410b)은 제1가이드 홀(410a) 및 제2가이드 홀(410b)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스위치 가동 접점부(411) 및 제4스위치 가동 접점부(414)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 홀(410a)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2스위치 가동 접점부(412) 및 제3스위치 가동 접점부(413)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 홀(410b)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통합 PCB(400)는, 통합 PCB(4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제1자성체(331) 및 제2자성체(341)의 회전에 의한 극성의 위성변화를 각각 감지하는 제1자성센서(430) 및 제2자성센서(44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자성센서(430) 및 제2자성센서(440)는 기어조립체(300)가 구비되는 하면에 구비되어 제1자성체(331) 및 제2자성체(341)의 회전에 의한 극성의 위성변화를 각각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자성센서(430) 및 제2자성센서(440)는 GMR(Giant Magnetic Resitor) 또는 AMR(Anisotropic Magnetic Resistor)일 수 있다.
제1자성센서(430)는 통합 PCB(400) 상에 구비되어 제1서브기어(330)의 회전 시, 제1서브기어(330)와 결합되어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하는 제1자성체(331)의 회전에 의한 극성(N극, S극)의 위상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2자성센서(440)는 통합 PCB(400) 상에 구비되어 제2서브기어(340)의 회전 시, 제2서브기어(340)와 결합되어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하는 제2자성체(341)의 회전에 의한 극성(N극, S극)의 위상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통합 PCB(400)에는 제1가이드리브(211) 및 제2가이드리브(212)가 각각 관통되는 관통홀(400a, 400b)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400a, 400b)은 제1스위치 가동 접점부(411) 및 제4스위치 가동 접점부(414)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관통홀(400a)과, 제2스위치 가동 접점부(412) 및 제3스위치 가동 접점부(413)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관통홀(400b)을 포함할 수 있다.
통합 PCB(400)의 상부에는, 스위치 가동 접점부(410)의 이동에 따라 스위치 가동 접점부(410)와 접촉되는 스위치 고정 접점부(4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통합 PCB(400)의 중앙에는 메인기어(320)가 삽입되는 삽입홀(400c)이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 고정 접점부(420)는 제1스위치 고정 접점부(421), 제2스위치 고정 접점부(422), 제3스위치 고정 접점부(423) 및 제4스위치 고정 접점부(4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위치 고정 접점부(421) 및 제4스위치 고정 접점부(424)는 제1관통홀(400a)과 평행하게 배치 될 수 있고, 제2스위치 고정 접점부(422) 및 제3스위치 고정 접점부(423)는 제2관통홀(400b)과 평행하게 배치 될 수 있다.
통합 PCB(400)의 일측에는 조향각 센서모듈(미도시)과 스위치 레버(200)가 연결되는 통합 커넥터(4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조향각 센서와 스위치 레버를 통합하여 각각의 MCU(Micro Controller Unit)를 일원화하여 부품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메인기어는 통합 PCB에 관통되고, 통합 PCB의 하부에 제1서브기어와, 제2서브기어가 안착되어 기어 회전 시, 회전편차에 의한 자성센서의 인식 오차를 개선할 수 있고, 제1서브기어와 제2서브기어의 샤프트 형상을 삭제하여 회전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향각 센서와 스위치 레버를 통합하여 조립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을 창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0 : 하우징
200 : 스위치 레버 211 : 제1가이드 리브
212 : 제2가이드 리브
300 : 기어조립체 320 : 메인기어
330 : 제1서브기어 340 : 제2서브기어
400 : 통합 PCB 410 : 스위치 가동 접점부

Claims (10)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각종 전장부품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관통되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되는 스위치 레버 바디부를 포함하는 스위치 레버와;
    상기 스위치 레버 사이에 구비되되, 차량의 스티어링 휠과 연동되어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따라 회전각을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모듈이 삽입되는 기어조립체와;
    상기 스위치 레버 바디부 및 상기 기어조립체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스위치 레버의 작동에 따라 접점되는 스위치 가동 접점부가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 및 상기 조향각 센서모듈과 접점되는 통합 PCB를 포함하는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조립체는,
    상기 기어조립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기어조립체 바디부와;
    상기 기어조립체 바디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차량의 스티어링 휠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메인기어와;
    상기 메인기어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1서브기어 및 제2서브기어와;
    상기 제1서브기어 및 상기 제2서브기어의 중앙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제1서브기어 및 상기 제2서브기어와 동일한 회전비로 회전하는 제1자성체 및 제2자성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PCB는, 상기 통합 PCB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자성체 및 상기 제2자성체의 회전에 의한 극성의 위상변화를 각각 감지하는 제1자성센서 및 제2자성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PCB의 상부에는,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와 접촉되는 스위치 고정 접점부가 형성된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는,
    상기 스위치 레버의 전후방향 이동에 따라 상향등이 작동되는 제1스위치 가동 접점부와;
    상기 스위치 레버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방향지시등이 작동되는 제2스위치 가동 접점부와;
    상기 스위치 레버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와이퍼가 작동되는 제3스위치 가동 접점부와;
    상기 스위치 레버의 전후방향 이동에 따라 워셔가 작동되는 제4스위치 가동 접점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레버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 가동 접점부 및 상기 제4스위치 가동 접점부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와 각각 접촉되는 스위치 고정 접점부와 접점되는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레버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스위치 가동 접점부 및 상기 제3스위치 가동 접점부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와 접촉되는 스위치 고정 접점부와 접점되는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레버 바디부는,
    상기 통합 PCB가 구비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레버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 가동 접점부를 이동시키는 제1가이드리브;
    상기 통합 PCB가 구비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레버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스위치 가동 접점부를 이동시키는 제2가이드리브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PCB에는, 상기 제1가이드리브 및 상기 제2가이드리브가 각각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기어 및 상기 제2서브기어는, 상호 상이한 반경을 가지는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KR1020160028061A 2016-03-09 2016-03-09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KR101805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061A KR101805092B1 (ko) 2016-03-09 2016-03-09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061A KR101805092B1 (ko) 2016-03-09 2016-03-09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195A KR20170105195A (ko) 2017-09-19
KR101805092B1 true KR101805092B1 (ko) 2017-12-05

Family

ID=60033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061A KR101805092B1 (ko) 2016-03-09 2016-03-09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0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8357A (zh) * 2021-02-15 2021-04-09 杭州天微基因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核酸提取的齿轮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157Y1 (ko) 2007-06-28 2008-03-2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조향휠 각도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157Y1 (ko) 2007-06-28 2008-03-2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조향휠 각도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195A (ko) 201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4938B1 (ko) 차량용 램프
KR100386353B1 (ko) 다기능 스위치
US20040057243A1 (en) Vehicle headlamp apparatus and method of setting optical axis position thereof
KR10260375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US5847342A (en) Combination switch apparatus equipped with rotary connector
KR101125396B1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CA2277630A1 (en) Multi-function stalk switch
KR101805092B1 (ko)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KR200441295Y1 (ko) 스위치 모듈
EP2232517A2 (en) Switch lever for vehicle
JP2512319B2 (ja) 車輌用前照灯の傾動装置
KR100831100B1 (ko) 자동차의 레벨센서 일체형 와셔펌프
JP3944376B2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
KR100355768B1 (ko) 자동차의 캔슬캠 일체형 조향각 센서
KR20180090074A (ko) 차량용 멀티 펑션 스위치
JP2004222463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WO2021084950A1 (ja) 入力装置及び車両
CN106065938A (zh) 一种手动挡的挡位传感器
KR20160000738U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KR20150067656A (ko) 차량의 멀티 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101125373B1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CN115230808B (zh) 一种电动童车的转向控制结构及应用该结构的电动童车
KR20050109704A (ko) 전륜직진정렬스위치가 부착된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
CN211809435U (zh) 一种汽车组合开关
KR100514083B1 (ko) 차량용 와이퍼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