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840B1 -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840B1
KR101954840B1 KR1020170151917A KR20170151917A KR101954840B1 KR 101954840 B1 KR101954840 B1 KR 101954840B1 KR 1020170151917 A KR1020170151917 A KR 1020170151917A KR 20170151917 A KR20170151917 A KR 20170151917A KR 101954840 B1 KR101954840 B1 KR 101954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light
contact
vehicle
movab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범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1020170151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1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트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는, 스티어링 휠의 일측에서, 상하 또는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레버 본체와, 레버 본체의 선단부에,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라이트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조작 노브와, 레버 본체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 접점부와, 조작 노브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고정 접점부와 접촉 가능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가동 접점부를 포함하고, 고정 접점부는, 가동 접점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소정 각도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접지 접점부. 제1 접점부, 제2 접점부, 제3 접점부 및 무접점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향상된 내구성을 가지는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Light switch devic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야간 운전 또는 안개지역 등의 시야가 좁고 어두운 지역을 운행할 경우 라이트 전원을 점멸하기 위한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는 운전자가 운전 중에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스티어링 휠의 측방에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는, 야간 운전시 램프가 자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하는 자동 라이트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자동 라이트 모드는, 멀티 펑션 스위치의 라이트 레버 조작에 의해 작동하게 되는데, 이 라이트 레버의 조작으로 인한 오토(Auto) 모드에 대응하는 접점부와의 접촉에 따라 자동 라이트 시스템이 동작하게 된다.
한편, 운전자는 주간 운전 및 야간 운전을 구별하지 않고 자동 라이트 모드로 차량을 운행하고 있으며, 라이트의 동작 모드를 좀처럼 변경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자동 라이트 모드에 대응하는 접점부의 지속적인 접촉으로 인해, 접점부에 탄화 또는 산화가 일어날 수 있고, 라이트 스위치 장치의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내구성을 가지는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는, 스티어링 휠의 일측에서, 상하 또는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레버 본체와, 레버 본체의 선단부에,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라이트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조작 노브와, 레버 본체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 접점부와, 조작 노브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고정 접점부와 접촉 가능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가동 접점부를 포함하고, 고정 접점부는, 가동 접점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소정 각도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접지 접점부. 제1 접점부, 제2 접점부, 제3 접점부 및 무접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는, 무접점 상태에서 자동 라이트 모드가 동작하므로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는, 접점부의 산화로 인해 접점부가 유실됨에 따라 상호 접촉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는, 내구성 증가로 인해 제품 교환의 주기가 상승하므로, 제품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는, 무접점부를 포함하므로,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의 제작에 있어 비용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는 무접점 상태에서 자동 라이트 모드를 동작 시키므로 헤드(Head) 램프가 순간적으로 꺼져서 발생되는 다크 존(Dark zone)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가 탑재되는 차량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라이트 장치의 고정 접점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가 탑재되는 차량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10)는, 레버 본체(110), 조작 노브(130), 고정 접점부(310) 및 가동 접점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레버 본체(110)는, 스티어링 휠의 일측에서, 상하 또는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레버 본체(110)는, 스티어링 핸들(미도시)의 회전축인 스티어링 컬럼(미도시)을 감싸는, 쉬라우드(미도시)에 결합되는 절연 터미널 본체(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에 의하여 결합 될 수 있다.
레버 본체(100)는, 외측단이 힌지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동작으로 라이트 램프(30)를 구동시키는 전기적인 신호를 차량제어 모듈(BCM)에 인가할 수 있다.
조작 노브(130)는, 레버 본체(110) 측면 및 단부에서 회전 조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 노브(130)는, 레버 본체(110)의 선단부에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라이트의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조작 노브(130)는, 레버 본체(110)에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레버 본체(110) 내부에는, 레버 본체(110)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 접점부(310)가 배치될 수 있고, 조작 노브(130)에는, 조작 노브(130)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가동 접점부(330)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 접점부(310) 및 가동 접점부(330)에 대해서는, 도 3 이하에서 후술한다.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10)는, 스티어링 컬럼과 결착되는 바디부(4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40)는,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발생 되는 신호를 차량 제어 모듈(BCM)에 전송하기 위한 커넥터(41)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10)는, 조작 노브(130)의 조작에 따라 라이트 램프(30)를 동작시키는 신호를 커넥터(41)를 통해, 차량 제어 모듈(BCM)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10)는, 조작 노브(130)의 조작에 따라 배터리(미도시) 전원을 단속하여, 전원 인가에 따른 저항값 변화, 전압 변화, 전류 변화 등의 전기적 신호를 차량 제어 모듈(BCM)으로 출력할 수 있다.
차량 제어 모듈(BCM)은,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10)에서 출력된 신호를 기초로 라이트 램프(30)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는(10), 조작 노브(130)의 회동에 의해, 라이트의 다양한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10)는, 조작 노브(130)의 조작에 따라 배터리(미도시) 전원을 단속하여, 전원 인가에 따른 저항값 변화, 전압 변화, 전류 변화 등의 전기적 신호를 차량 제어 모듈(BCM)으로 출력할 수 있다.
차량 제어 모듈(BCM)은,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10)에서 출력된 신호를 기초로 라이트의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라이트의 동작모드는, 오프(Off) 모드, 오토(Auto) 모드, 미등 모드, 전조등(Head) 모드일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미등 모드와 테일(Tail) 모드는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라이트의 동작 모드가 오프(Off) 모드일 때, 라이트는 소등되며, 라이트의 동작 모드가 오토(Auto) 모드일 때, 자동 라이트 시스템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라이트의 동작 모드가 테일(Tail) 모드일때, 차폭등, 미등, 번호판등, 프론트 안개등(프론트 안개등 스위치가 온(ON) 상태인 경우), 기타 실내 스위치류의 조명이 점등될 수 있고, 라이트의 동작 모드가 전조등(Head) 모드일 때, 전조등, 차폭등, 미등, 번호판등, 프론트 안개등(프론트 안개등 스위치 온(ON) 상태인 경우), 기타 실내 조명이 점들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하는, 동작 모드에 따른 라이트의 동작은, 예식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자동 라이트 시스템은, 주위 조도에 따라 운전자의 별도 조작 없이 헤드(Head)램프 및 테일(Tail)램프를 자동으로 온(On)/오프(Off) 시킬 수 있다.
자동 라이트 시스템은, 오토(Auto) 모드에서 동작 될 수 있다. 자동 라이트 시스템은, 조도 센서를 통해 차량 주변이 소정 조도 이하인 경우, 라이트를 턴 온 시킨다.
예를 들어, 자동 라이트 시스템은, 주위 조도를 검출하는 포토 다이오드와, 이 포트 다이오드의 검출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미도시) 또는 차량 제어 모듈(BCM)(20)과, 이러한 신호에 의해, 헤드(Head)램프 및 테일(Tail)램프의 전원을 단속하는 릴레이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운전자는 주 야를 구별하지 않고, 오토(Auto) 모드로 차량을 운행하고 있으며, 그 편의성에 의하여 라이트의 동작 모드를 좀처럼 변경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로 인해 접점부의 탄화 또는 산화로 인한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10)의 내구성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오토(Auto) 모드를 무접점 방식으로 구동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의 고정 접점부 및 가동 접점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고정 접점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b는 가동 접점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3a에서, 고정 접점부(310)는, 레버 본체(110)에 일체로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점부(310)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회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 접점부(310)는 일면이 레버 본체(1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점부(310)는, 가동 접점부(3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소정 각도를 두고 이격 되어 배치 수 있다. 고정 접점부(310)는, 접지 접점부(350), 제1 접점부(370a), 제2 접점부(370b), 제3 접점부(370c) 및 무접점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접점부(310)의 복수의 접점부(350, 370a, 370b, 370c) 및 무접점부(390)는, 가동 접점부(330)의 회전동작시, 가동 접점(330a, 330b)과의 접촉 또는 비접촉이 형성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접점부(350, 370a, 370b, 370c)는, 복수개의 전도성 재질의 접점단자가 환형으로 형성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접점부(350, 370a, 370b, 370c)는, 라이트의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복수의 고정 접점이 이격되어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접지 접점부(350)는, 고정 접점부(350)의 중심(O)으로부터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호상에 배치되고, 제1 접점부(370a)는, 가동 접점부(330)의 제1 회전 각도 범위에서, 접지 접점부(350)와 함께 접점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무접점부(390)는, 가동 접점부(330)의 제2 회전 각도에서, 접지 접점부(350)와 접점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무접점부(390)와 무접점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제2 접점부(370b)는, 가동 접점부(330)의 제3 회전 각도 범위에서, 접지 접점부(350)와 함께 접점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제3 접점부(370c)는, 가동 접점부(330)의 제4 회전 각도 범위에서, 접지 접점부(350)와 함께 접점이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무접점부(390)는, 제1 접점부(370a)와 제2 접점부(370b) 사이에 무접촉 상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접점부(350, 370a, 370b, 370c)는 가동 접점부(330)의 회전시 조작감이 전달되도록 마찰면 부분에서 상기 가동 접점부(330)에 대하여 이격 또는 접촉되는 다단 접점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b에서, 가동 접점부(330)는 조작 노브(130)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고정 접점부와 접촉 가능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점부(330)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도록 회로 구성될 수 있다.
가동 접점부(330)는 고정 접점부(310)와 접점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가동 접점을 구비할 수 있다. 가동 접점은, 고정 접점부(310)와 접점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이면 그 어느 것이라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동 접점은, 고정 접점부(310)와 탄성력 있게 접촉되도록 가동 접점이 가동 접점부(330)로부터 벤딩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가동 접점부(330)가 조작 노브(130) 하부면에 형성된 돌출부재에 각각 대응하여 조작 노브(130) 하부면에 인입되어 결합되고, 이때, 절취부가 절취되어 가동 접점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가동 접점은, 제1 가동 접점(330a) 및 제2 가동 접점(33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가동 접점(330b)은 가동 접점부(330)의 중심(O)을 기준으로 서로 180도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b에서는 가동 접점이 2방향으로 분리된 것을 예시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동 접점부(330)는, 라이트 작동 모드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가동 접점의 개수 및 방향이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동 접점이 3방향으로 분리된 경우, 분리된 세 방향의 가동 접점들은 120도 각도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가동 접점은, 레버 본체(110)를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고정 접점부(310)의 접점과 접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 접점은 레버 본체(110)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고, 회전 축을 중심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고정 접점부(310)의 접점과 접촉 가능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동 접점부(330)는, 사용자의 조작 노브(130) 회동시, 조작 노브(130)와 연동하여 회전하여, 고정 접점부(310)에 형성된 복수의 접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점하는, 일종의 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10)는, 조작 노브(130)의 조작에 따라 가동 접점부(330)가 회전을 하면서, 고정 접점부(310)에 접촉하여 라이트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10)는, 복수 스위치의 단락 또는 개방에 의해, 라이트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신호를 차량 제어 모듈(BCM)로 출력할 수 있고, 차량 제어 모듈(BCM)은 상기 신호를 기초로, 라이트의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10)는, 조작 노브(130)의 조작에 따라 배터리(미도시) 전원을 단속하여, 전원 인가에 따른, 저항값, 전압, 전류 등의 전기적 신호를 차량 제어 모듈(BCM)로 출력할 수 있고, 차량 제어 모듈(BCM)은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여 라이트의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10)는, 조작 노브(130)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이동 모습에 따라 라이트의 동작 모드를 변경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 제1 접점부(370a)는, 가동 접점부(330)의 제1 회전 각도에서, 접지 접점부(350)와 함께 접점이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 각도를 기준 각도인 0도라고 할 수 있다.
가동 접점부(330)가 제1 접점부(370a) 및 접지 접점부(350)에 접촉하는 경우,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10)는 라이트를 오프(Off) 모드로 동작시키는 오프(Off) 신호를 차량 제어 모듈(BCM)에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 접점부(330)의 제1 회전 각도에서, 가동 접점부(330)의 제1 가동 접점(330a)이 제1 접점부(370a)에 접촉하고, 제2 가동 접점(330b)이 접지 접점부(350)에 접촉하는 경우,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10)는 라이트르 오프(Off) 모드로 동작시키는 오프(Off) 신호를 차량 제어 모듈(BCM)에 출력할 수 있다.
차량 제어 모듈(BCM)은, 오프(Off) 신호를 기초로, 라이트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라이트를 소등 시킬 수 있다.
도 4b에서, 무접점부(390)는, 가동 접점부(330)의 제2 회전 각도에서, 접지 접점부(350)와 접점을 형성함과 동시에 무접점부(390)와 무접접이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회전 각도를 제1 회전 각도를 기준으로 30도라고 할 수 있다.
가동 접점부(330)가, 접지 접점부(350)와 접점을 형성함과 동시에 무접점부(390)와 무접점이 형성되도록 배치된 경우, 라이트를 오토(auto) 모드로 동작시키는 신호를 차량 제어 모듈(BCM)에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 접점부(330)의 제2 회전 각도에서, 가동 접점부(330)의 제1 가동 접점(330a)이 무접점부(390)에 접촉하고, 제2 가동 접점(330b)이 접지 접점부(350)에 접촉하는 경우,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10)는 라이트르 오토(Auto) 모드로 동작시키는 오토(Auto) 신호를 차량 제어 모듈(BCM)에 출력할 수 있다.
차량 제어 모듈(BCM)은, 오토(Auto) 신호를 기초로, 라이트를 오토(Auto)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차량 제어 모듈(BCM)은, 라이트가 오토(Auto) 모드인 경우, 조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조도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를 제어하여 헤드(Head)램프 및 테일(Tail)램프 등의 전원을 단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10)는, 무접점 상태에서 오토(Auto) 모드가 동작하도록 설계되었으므로, 장기간 오토(Auto)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에도 접점부의 탄화나 산화가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10)는, 무접점 상태에서 자동 라이트 모드를 동작시키므로 헤드(Head) 램프가 순간적으로서 발생되는 다크 존 (Dark zone)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4c에서, 제2 접점부(370b)는, 가동 접점부(330)의 제3 회전 각도에서, 접지 접점부(350)와 함께 접점이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회전 각도를 제1 회전 각도를 기준으로 60도라고 할 수 있다.
가동 접점부(330)가 제2 접점부(370b) 및 접지 접점부(350)에 접촉하는 경우,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10)는 라이트를 미등 모드로 동작시키는 미등 신호를 차량 제어 모듈(BCM)에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 접점부(330)의 제3 회전 각도에서, 가동 접점부(330)의 제1 가동 접점(330a)이 제2 접점부(370b)에 접촉하고, 제2 가동 접점(330b)이 접지 접점부(350)에 접촉하는 경우,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10)는 라이트르 미등 모드로 동작시키는 미등 신호를 차량 제어 모듈(BCM)에 출력할 수 있다.
차량 제어 모듈(BCM)은, 미등 신호를 기초로, 라이트를 미등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차량 제어 모듈(BCM)은, 미등 모드의 경우, 차폭등, 미등, 번호판등, 프론트 안개등(프론트 안개등 스위치가 온(ON) 상태인 경우), 기타 실내 스위치류의 조명이 점등되도록 헤드(Head)램프 및 테일(Tail)램프 등의 전원을 단속할 수 있다.
도 4d에서, 제3 접점부(370c)는, 가동 접점부(330)의 제4 회전 각도에서, 접지 접점부(350)와 함께 접점이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4 회전 각도를 제1 회전 각도를 기준으로 90도라고 할 수 있다.
가동 접점부(330)가 제3 접점부(370c) 및 접지 접점부(350)에 접촉하는 경우,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10)는 라이트를 전조등(Head) 모드로 동작시키는 전조등(Head) 신호를 차량 제어 모듈(BCM)에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 접점부(330)의 제4 회전 각도에서, 가동 접점부(330)의 제1 가동 접점(330a)이 제3 접점부(370b)에 접촉하고, 제2 가동 접점(330b)이 접지 접점부(350)에 접촉하는 경우,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10)는 라이트르 전조등(Head) 모드로 동작시키는 전조등(Head) 신호를 차량 제어 모듈(BCM)에 출력할 수 있다.
차량 제어 모듈(BCM)은, 전조등(Head) 신호를 기초로, 라이트를 전조등(Head)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차량 제어 모듈(BCM)은, 전조등(Head) 모드의 경우, 전조등, 차폭등, 미등, 번호판등, 프론트 안개등(프론트 안개등 스위치 온(ON) 상태인 경우), 기타 실내 조명이 점등되도록 헤드(Head)램프 및 테일(Tail)램프 등의 전원을 단속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a는 종래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5a에서, 종래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는 라이트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Auto_1, Tail_1, Head_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동 접점부(330)는, 사용자의 조작 노브(130) 회동시, 조작 노브(130)와 연동하여 회전하여, 고정 접점부(310)에 형성된 복수의 접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점하는, 일종의 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다.
복수의 스위치(Auto_1, Tail_1, Head_1)는 사용자의 조작 노브(130)의 조작에 따라 단락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스위치(Auto_1, Tail_1, Head_1)의 단락 또는 개방에 의해 라이트의 동작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토단 스위치(Auto_1)가 단락되고 테일단 스위치(Tail_1) 및 헤드단 스위치(Head_1)가 개방되는 경우,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는 오토단 스위치(Auto_1)의 단락에 따른, 저항값, 전압, 전류 등의 전기적 신호를 차량 제어 모듈(BCM)로 출력할 수 있고, 차량 제어 모듈(BCM)은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여 라이트를 오토(Auto)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운전자는 그 편의성을 이유로, 주간 또는 야간을 구별하지 않고, 자동 라이트 모드로 차량을 운행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라이트의 동작 모드를 좀처럼 변경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오토단 스위치(Auto_1)의 지속적인 접점으로 인해, 접점부의 탄화가 발생하여 스위치 소손으로 인한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도 5b에서, 종래 라이트 스위치 장치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10)는, 라이트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하여, 오프단 스위치(Off_2), 테일단 스위치(Tail_2), 헤드단 스위치(Head_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점부(330) 및 고정 접점부(310)는 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a와의 차이점은, 오프단 스위치(Off_2)의 추가 및 무접점에서의 오토(Auto) 모드 동작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10)는, 오프단 스위치(Off_2), 테일단 스위치(Tail_2) 및 헤드단 스위치(Head_2)가 개방된 경우, 스위치 개방에 따른, 저항값, 전압, 전류 등의 전기적 신호를 차량 제어 모듈(BCM)(20)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 제어 모듈(BCM)(20)은,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여 라이트를 오토(Auto)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오토(Auto) 모드를 무접점으로 설계함에 따라, 접점부의 산화로 인한 접촉 불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 신뢰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
20: 차량 제어 모듈(BCM)
110: 레버 본체
130: 조작 노브
310: 고정 접점부
330: 가동 접점부
350: 접지 접점부
370a: 제1 접점부
370b: 제2 접점부
370c: 제3 접점부
390: 무접점부

Claims (7)

  1. 스티어링 휠의 일측에서, 상하 또는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레버 본체;
    상기 레버 본체의 선단부에,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라이트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조작 노브;
    상기 레버 본체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 접점부; 및
    상기 조작 노브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상기 고정 접점부와 접촉 가능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가동 접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접점부는,
    상기 가동 접점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소정 각도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접지 접점부, 제1 접점부, 제2 접점부, 제3 접점부 및 무접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접점부는,
    상기 고정 접점부의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호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접점부는,
    상기 가동 접점부의 제1 회전 각도에서, 상기 접지 접점부와 함께 접점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무접점부는,
    상기 제1 접점부와 상기 제2 접점부 사이에, 무접촉 상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가동 접점부의 제2 회전 각도에서, 상기 접지 접점부와 접점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무접점부와 무접점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접점부는,
    상기 가동 접점부의 제3 회전 각도에서, 상기 접지 접점부와 함께 접점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접점부는,
    상기 가동 접점부의 제4 회전 각도에서, 상기 접지 접점부와 함께 접점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동 접점부가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접지 접점부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라이트를 오프(Off) 모드로 동작시키는 신호를 차량 제어 모듈(BCM)에 출력하고,
    상기 가동 접점부가, 상기 접지 접점부와 접점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무접점부와 무접점이 형성되도록 배치된 경우, 상기 라이트를 오토(auto) 모드로 동작시키는 신호를 상기 차량 제어 모듈(BCM)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부가, 상기 제2 접점부 및 상기 접지 접점부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라이트를 미등 모드로 동작시키는 신호를 차량 제어 모듈(BCM)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부가, 상기 제3 접점부 및 상기 접지 접점부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라이트를 전조등 모드로 동작시키는 신호를 차량 제어 모듈(BCM)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
KR1020170151917A 2017-11-15 2017-11-15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 KR101954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917A KR101954840B1 (ko) 2017-11-15 2017-11-15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917A KR101954840B1 (ko) 2017-11-15 2017-11-15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840B1 true KR101954840B1 (ko) 2019-03-06

Family

ID=65760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917A KR101954840B1 (ko) 2017-11-15 2017-11-15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8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676B1 (ko) * 2020-07-09 2021-04-01 주식회사 애크멕스시스템아이씨 고전압 릴레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7021A (ja) * 2001-11-02 2003-05-14 Tokai Rika Co Ltd 車両用ライトの作動制御装置及び車両用ライトの作動操作スイッチ
KR100718571B1 (ko) * 2006-05-01 2007-05-16 주식회사 신창전기 자동차의 와이퍼 스위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7021A (ja) * 2001-11-02 2003-05-14 Tokai Rika Co Ltd 車両用ライトの作動制御装置及び車両用ライトの作動操作スイッチ
KR100718571B1 (ko) * 2006-05-01 2007-05-16 주식회사 신창전기 자동차의 와이퍼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676B1 (ko) * 2020-07-09 2021-04-01 주식회사 애크멕스시스템아이씨 고전압 릴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04717A (zh) 车辆用照明开关以及车辆用照明系统
KR101954840B1 (ko)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
US6570105B1 (en) Retractable rotary switch cell
KR100930130B1 (ko) 자동차용 스위치 레버(ⅱ)
CN110293899B (zh) 车辆用前照灯的开关装置
US5067055A (en) Automobile headlamp and rotatable sidelamp of integrated construction and switching circuit for operating same
CN107298048B (zh) 汽车照明系统
KR101542858B1 (ko) 차량용 멀티 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EP4056423A1 (en) Snowplow headlight control system and method
JPH0415138B2 (ko)
TWI735705B (zh) 汽車頭燈系統及汽車頭燈轉向控制方法
KR100372745B1 (ko) 자동차의 조향용 보조라이트
JP2001354064A (ja) 車両用コラムスイッチの照明構造
KR101526406B1 (ko) 차량용 와이퍼 스위치 장치
JPS58211933A (ja) 自動車
KR200187065Y1 (ko) 주변광 적응형 라이트가 구비된 차량
KR100471210B1 (ko) 자동차의 방향지시 등화장치
KR100311953B1 (ko) 차량의주행방향보조조명등
JPH033074Y2 (ko)
US20220024371A1 (en) Auxiliary lighting system
US20230077897A1 (en) Input device
KR200344125Y1 (ko) 자동차의 방향지시장치와 연동된 아웃사이드 밀러
KR200144577Y1 (ko) 차량의 방향 전환시 안개등 점등 제어회로
US1583194A (en) Electric switch
US20050010348A1 (en) Machine providing for an advanced headlamp system with peripheral beam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