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676B1 - 고전압 릴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고전압 릴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676B1
KR102234676B1 KR1020200084849A KR20200084849A KR102234676B1 KR 102234676 B1 KR102234676 B1 KR 102234676B1 KR 1020200084849 A KR1020200084849 A KR 1020200084849A KR 20200084849 A KR20200084849 A KR 20200084849A KR 102234676 B1 KR102234676 B1 KR 102234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terminal
fixed
rotation
hig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크멕스시스템아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크멕스시스템아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크멕스시스템아이씨
Priority to KR1020200084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 릴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고전압 릴레이 장치는, 제1 금속과 제2 금속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제1 고정 단자를 포함하는 제1 고정 전극; 상기 제1 금속과 상기 제2 금속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제2 고정 단자를 포함하는 제2 고정 전극; 및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의 하부는 상기 제1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의 상부는 양부에 제1 회전 단자 및 제2 회전 단자로서 상기 제1 금속과 상기 제2 금속의 결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 단자 및 상기 제2 회전 단자의 사이에 절연체가 형성되는 회전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금속은 상기 제1 금속보다 낮은 전도성과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고전압 릴레이 장치{HIGH VOLTAGE RELAY DEVICE}
본 발명은 고전압 릴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아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전압 릴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릴레이 장치는 전자 제어 기기의 일종으로 자동 제어 회로에 응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자동 제어 회로에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고전압 릴레이 장치는 고전압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는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다.
최근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배터리의 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의 사용 전압은 상승되었으며 향후 추가로 상승이 예상된다. 이는 주변 전기기기에 높은 절연 능력을 요구하며, 고전압의 배터리 전원을 온 및 오프하는 고전압 릴레이 장치의 높은 신뢰성을 요구한다.
이러한 고전압 릴레이 장치는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면 코일의 자기력에 의하여 이동 코어가 고정 코어에 붙게 되고 샤프트가 상승하면서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붙으면서 통전이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전압 릴레이 장치는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이 접촉 또는 이격되는 과정에서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사이의 공간에서 아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아크 발생은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이 접착되거나 손상 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아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전압 릴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릴레이 장치는, 제1 금속과 제2 금속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제1 고정 단자를 포함하는 제1 고정 전극; 상기 제1 금속과 상기 제2 금속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제2 고정 단자를 포함하는 제2 고정 전극; 및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의 하부는 상기 제1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의 상부는 양부에 제1 회전 단자 및 제2 회전 단자로서 상기 제1 금속과 상기 제2 금속의 결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 단자 및 상기 제2 회전 단자의 사이에 절연체가 형성되는 회전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금속은 상기 제1 금속보다 낮은 전도성과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릴레이의 턴-온 시, 상기 회전 전극은 상기 제1 회전 단자의 상기 제2 금속과 상기 제2 회전 단자의 상기 제2 금속이 상기 제1 고정 단자의 상기 제2 금속과 상기 제2 고정 단자의 상기 제2 금속에 접촉된 이후에 상기 제1 회전 단자의 상기 제1 금속과 상기 제2 회전 단자의 상기 제1 금속이 상기 제1 고정 단자의 상기 제1 금속과 상기 제2 고정 단자의 상기 제1 금속에 접촉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릴레이의 턴-오프 시, 상기 회전 전극은 상기 제1 회전 단자의 제2 금속과 상기 제2 회전 단자의 상기 제2 금속이 상기 제1 고정 단자의 제2 금속과 상기 제2 고정 단자의 상기 제2 금속에 접촉된 이후에 상기 절연체가 상기 제1 고정 단자와 상기 제2 고정 단자에 접촉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릴레이 장치는, 원통형의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하부의 내측 양부에 제1 삽입 홈과 제2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 홈의 일부에 제1 체결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삽입 홈의 일부에 제2 체결 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제1 금속과 제2 금속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제1 고정 단자를 포함하고, 고전압 릴레이 장치는 상기 제1 고정 단자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체결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 단자는 상기 제1 삽입 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체결 돌기는 상기 제1 체결 홀에 체결되는 제1 고정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전압 릴레이 장치는 상기 제1 금속과 상기 제2 금속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제2 고정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 단자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체결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 단자는 상기 제2 삽입 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체결 돌기는 상기 제2 체결 홀에 체결되는 제2 고정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전압 릴레이 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삽입되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의 하부는 상기 제1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의 상부는 양부에 제1 회전 단자 및 제2 회전 단자로서 상기 제1 금속과 상기 제2 금속의 결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 단자 및 상기 제2 회전 단자의 사이에 절연체가 형성되는 회전 전극;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전압 릴레이 장치는 회전 전극의 회전체의 상면이 제1 고정 전극과 제2 고정 전극의 하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므로 회전 전극과 제1 고정 전극 및 제2 고정 전극 사이의 아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전압 릴레이 장치는 제1 금속과 상기 제1 금속보다 낮은 전도성과 높은 강도를 가지는 제2 금속의 결합으로 형성된 회전 전극과 제1 고정 전극과 제2 고정 전극을 이용함으로써 아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전압 릴레이 장치는 아크 발생을 방지하여 회전 전극과 제1 고정 전극과 제2 고정 전극이 아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릴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릴레이 장치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릴레이 장치의 제1 고정 전극 및 제2 고정 전극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릴레이 장치의 회전 전극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릴레이 장치의 턴-온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릴레이 장치의 턴-오프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참조부호들 중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실시예들은 고정 전극과 회전 전극 사이에서 아크가 발생되지 않는 고전압 릴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회전 전극의 회전은 릴레이의 턴-온 및 턴-오프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움직이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릴레이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고전압 릴레이 장치(100)는 하우징(40), 제1 고정 전극(10), 제2 고정 전극(20) 및 회전 전극(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의 내측 양부에 제1 고정 전극(10), 및 제2 고정 전극(20)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 홈들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고정 전극(10) 및 제2 고정 전극(20)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 홀들이 삽입 홈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40)은 회전 전극(30)의 상면이 제1 고정 전극(10)과 제2 고정 전극(2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회전 전극(30)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홀이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 전극(10)은 제1 금속(M1)과 제2 금속(M2)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제1 고정 단자(1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 단자(11)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체결 돌기(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 단자(11)는 하우징(40)의 삽입 홈에 삽입될 수 있고, 제1 체결 돌기(12)는 하우징(40)의 체결 홀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고정 전극(20)은 제1 금속(M1)과 제2 금속(M2)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제2 고정 단자(2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정 단자(21)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체결 돌기(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 단자(21)는 하우징(40)의 삽입 홈에 삽입될 수 있고, 제2 체결 돌기(22)는 하우징(40)의 체결 홀에 체결될 수 있다.
회전 전극(30)은 하우징(40)의 하부에 삽입되는 원판 형상의 회전체(3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31)의 하부는 제1 금속(M1)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체(31)의 상부는 제1 회전 단자(36, 도 4 참고) 및 제2 회전 단자(38, 도 4 참고)로서 제1 금속(M1)과 제2 금속(M2)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전 단자(36) 및 제2 회전 단자(38)의 사이에 절연체(IS)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전압 릴레이 장치(100)는 회전 전극(30)의 회전체(31)의 상면이 제1 고정 전극(10)과 제2 고정 전극(20)의 하면에 밀착되어 회전할 수 있다.
고전압 릴레이 장치(100)는 제1 금속(M1)과 상기 제1 금속보다 낮은 전도성과 높은 강도를 가지는 제2 금속(M2)의 결합으로 회전 전극(30)과 제1 고정 전극(10) 및 제2 고정 전극(20)을 형성함으로써 아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릴레이 장치(100)의 하우징(4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하우징(40)은 원통형의 케이스(41)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41)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41)는 하부의 내측 양부에 제1 고정 전극(10)과 제2 고정 전극(20)이 삽입되는 제1 삽입 홈(42)과 제2 삽입 홈(4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삽입 홈(42)의 일부에 제1 체결 홀(4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삽입 홈(43)의 일부에 제2 체결 홀(4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삽입 홈(42)과 제1 체결 홀(43)에는 제1 고정 전극(10)이 고정되도록 체결될 수 있고, 제2 삽입 홈(44)과 제2 체결 홀(45)에는 제2 고정 전극(20)이 고정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40)은 회전 전극(30)을 체결하기 위한 제3 체결 홀(46)이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체결 홀(46)에는 회전 전극(30)의 제1 회전 부재(32, 도 4 참고)가 회전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릴레이 장치(100)의 제1 고정 전극(10) 및 제2 고정 전극(20)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 고정 전극(10)은 제1 금속(M1)과 제2 금속(M2)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제1 고정 단자(1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 단자(11)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체결 돌기(1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체결 돌기(12)는 외주면에 나사선(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40)에 체결 시 너트를 통해서 고정될 수 있다.
제1 고정 단자(11)와 제1 체결 돌기(12)는 하우징(40)의 제1 삽입 홈(42)과 제1 체결 홀(43)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고정 전극(20)은 제1 금속(M1)과 제2 금속(M2)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제2 고정 단자(2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정 단자(21)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체결 돌기(2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체결 돌기(22)는 외주면에 나사선(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40)에 체결 시 너트를 통해서 고정될 수 있다.
제2 고정 단자(21)와 제2 체결 돌기(22)는 하우징(40)의 제2 삽입 홈(44)과 제2 체결 홀(45)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체결 돌기(12)와 제2 체결 돌기(22)는 제1 고정 단자(11)과 제2 고정 단자(21)와 같은 제1 금속(M1)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금속(M1)은 전도성이 높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금속(M2)은 제1 금속(M1)보다 전도성이 낮고 강도가 높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금속(M2)는 텅스텐 또는 니크롬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릴레이 장치(100)의 회전 전극(3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회전 전극(30)은 원판 형상의 회전체(31)로 형성될 수 있고, 회전체(31)의 하부는 제1 금속(M1)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체(31)의 상부는 양부에 제1 회전 단자(36) 및 제2 회전 단자(3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전 단자(36) 및 제2 회전 단자(38)는 제1 금속(M1)과 제2 금속(M2)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체(31)의 상부는 제1 회전 단자(36) 및 제2 회전 단자(38)의 사이에 절연체(IS)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전극(30)은 회전체(31)의 상면의 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회전 부재(32)와 회전체(31)의 하면의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회전 부재(34)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체(31)는 하우징(40)의 하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1 회전 부재(32)를 통해는 하우징(40)의 제3 체결 홀(46)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전극(30)의 제2 회전 부재(34)는 회전 전극(30)을 회전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도시되지 않음)에 체결될 수 있다.
회전 전극(31)은 회전체(31)의 상면이 제1 고정 전극(10)과 제2 고정 전극(20)의 하면에 밀착되고 릴레이의 턴-온 및 턴-오프에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릴레이 장치(100)의 턴-온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턴-온 동작에서, 먼저 회전 전극(30)은 제1 회전 단자(36)의 제2 금속(M2)과 제2 회전 단자(38)의 제2 금속(M2)이 제1 고정 단자(11)의 제2 금속(M2)과 제2 고정 단자(21)의 제2 금속(M2)에 접촉되도록 회전한다.
이어서, 회전 전극(30)은 제1 회전 단자(36)와 제2 회전 단자(38)의 제1 금속(M1)이 제1 고정 단자(11)와 제2 고정 단자(21)의 제1 금속(M1)에 접촉되도록 회전한다.
즉, 고전압 릴레이 장치(100)의 턴-온 동작에서 회전 전극(30)은 제1 금속(M1)보다 전도성이 낮은 제2 금속들(M2) 간에 통전된 이후에 전도성이 높은 제1 금속들(M1) 간에 통전되도록 회전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릴레이 장치(100)의 턴-오프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턴-오프 동작에서, 먼저 회전 전극(30)은 제1 회전 단자(36)의 제2 금속(M2)과 제2 회전 단자(38)의 제2 금속(M2)이 제1 고정 단자(11)의 제2 금속(M2)과 제2 고정 단자(21)의 제2 금속(M2)에 접촉되도록 회전한다.
이어서, 회전 전극(30)은 절연체(IS)가 제1 고정 단자(11)와 제2 고정 단자(21)에 접촉되도록 회전한다.
즉, 턴-오프 동작에서 회전 전극(30)은 제1 금속(M1)보다 전도성이 낮은 제2 금속들(M2)이 접촉된 이후에 절연체(IS)가 제1 고정 단자(11)와 제2 고정 단자(21)에 접촉되도록 회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전압 릴레이 장치(100)는 회전 전극(30)의 회전체(31)의 상면이 제1 고정 전극(10)과 제2 고정 전극(20)의 하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므로 회전 전극(30)과 제1 고정 전극(10) 및 제2 고정 전극(20) 사이에서의 아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전압 릴레이 장치(100)는 제1 금속(M1)과 상기 제1 금속보다 낮은 전도성과 높은 강도를 가지는 제2 금속(M2)의 결합으로 회전 전극(30)과 제1 고정 전극(10) 및 제2 고정 전극(20)을 형성하므로 아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전압 릴레이 장치(100)는 턴-온 및 턴-오프 동작에서 아크 발생을 방지하여 회전 전극(30)과 제1 고정 전극(10) 및 제2 고정 전극(20)가 아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제1 고정 전극 11: 제1 고정 단자
20: 제2 고정 전극 21: 제2 고정 단자
30: 회전 전극 31: 회전체
32: 제1 회전 부재 34: 제2 회전 부재
36: 제1 회전 단자 38: 제2 회전 단자
40: 하우징 41: 케이스
M1: 제1 메탈 M2: 제2 메탈
IS: 절연체

Claims (11)

  1. 제1 금속과 제2 금속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제1 고정 단자를 포함하는 제1 고정 전극;
    상기 제1 금속과 상기 제2 금속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제2 고정 단자를 포함하는 제2 고정 전극; 및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의 하부는 상기 제1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의 상부에는 제1 회전 단자 및 제2 회전 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 단자 및 상기 제2 회전 단자 각각은 상기 제1 금속과 상기 제2 금속의 결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 단자 및 상기 제2 회전 단자의 사이에 절연체가 형성되는, 회전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금속은 상기 제1 금속보다 낮은 전도성을 가지며,
    릴레이의 턴-온 시, 상기 회전 전극은 상기 제1 회전 단자의 상기 제2 금속과 상기 제2 회전 단자의 상기 제2 금속이 상기 제1 고정 단자의 상기 제2 금속과 상기 제2 고정 단자의 상기 제2 금속에 접촉된 이후에 상기 제1 회전 단자의 상기 제1 금속과 상기 제2 회전 단자의 상기 제1 금속이 상기 제1 고정 단자의 상기 제1 금속과 상기 제2 고정 단자의 상기 제1 금속에 접촉되도록 회전하는 고전압 릴레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의 턴-오프 시, 상기 회전 전극은 상기 제1 회전 단자의 제2 금속과 상기 제2 회전 단자의 상기 제2 금속이 상기 제1 고정 단자의 제2 금속과 상기 제2 고정 단자의 상기 제2 금속에 접촉된 이후에 상기 절연체가 상기 제1 고정 단자와 상기 제2 고정 단자에 접촉되도록 회전하는 고전압 릴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전극은 상기 제1 고정 단자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체결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 전극은 상기 제2 고정 단자의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체결 돌기가 형성되는 고전압 릴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전극과 상기 제2 고정 전극은 상기 제1 체결 돌기와 상기 제2 체결 돌기를 통해서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전압 릴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의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하부의 내측 양부에 제1 삽입 홈과 제2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 홈의 일부에 제1 체결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삽입 홈의 일부에 제2 체결 홀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중앙에 제3 체결 홀이 형성되는 고전압 릴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단자는 상기 제1 삽입 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체결 돌기는 상기 제1 체결 홀에 체결되며,
    상기 제2 고정 단자는 상기 제2 삽입 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체결 돌기는 상기 제2 체결 홀에 체결되는 고전압 릴레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극은 상기 회전체의 상면의 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체의 하면의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회전 부재가 형성되는 고전압 릴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면이 상기 제1 고정 전극과 상기 제2 고정 전극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회전 부재를 통해는 상기 제3 체결 홀에 체결되는 고전압 릴레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부재는 상기 회전 전극을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에 체결되는 고전압 릴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은 상기 제1 금속보다 높은 강도를 가지는 고전압 릴레이 장치.
KR1020200084849A 2020-07-09 2020-07-09 고전압 릴레이 장치 KR102234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849A KR102234676B1 (ko) 2020-07-09 2020-07-09 고전압 릴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849A KR102234676B1 (ko) 2020-07-09 2020-07-09 고전압 릴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676B1 true KR102234676B1 (ko) 2021-04-01

Family

ID=7544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849A KR102234676B1 (ko) 2020-07-09 2020-07-09 고전압 릴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6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840B1 (ko) * 2017-11-15 2019-03-06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840B1 (ko) * 2017-11-15 2019-03-06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26227B2 (ja) 電磁継電器
US11942295B2 (en) Relay
US8841572B2 (en) Switch device and connector
KR20020030165A (ko) 종자계 방식 진공인터럽터용 전극구조
JPS5812966B2 (ja) 真空スイッチ
JP2015534247A (ja) カップ形tmf接触子を有する中電圧回路遮断器用の真空インタラプタ装置
JP2022509713A (ja) スイッチング装置用の接触機構及びスイッチング装置
US20130037519A1 (en) Switch device and connector
KR102234676B1 (ko) 고전압 릴레이 장치
KR102234677B1 (ko) 고전압 릴레이 장치
JP5779477B2 (ja) 保護素子
EP0189921B1 (en) Electromagnetic relay
CN109801798B (zh) 双断路器开关
US3098907A (en) Magnetic switches
JPH08241956A (ja) 半導体素子の圧力接触ハウジング
KR100507652B1 (ko) 아크손상방지용 접점구조를 가진 릴레이
US20230231239A1 (en) Protection device for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6423902B1 (en) Electric cable
JPH1050284A (ja) 電池用の端子ケース
KR20220157090A (ko) 고전압 릴레이용 전극 구조체
KR20220157091A (ko) 슬라이딩 방식의 전극 구조체
US3266004A (en) Potentiometer
JPH08153445A (ja) 接地開閉器
JP3148507B2 (ja) 真空開閉機器の絶縁ロッド
CN111755286A (zh) 一种直流接触器的灭弧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