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926B1 -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926B1
KR101899926B1 KR1020170067516A KR20170067516A KR101899926B1 KR 101899926 B1 KR101899926 B1 KR 101899926B1 KR 1020170067516 A KR1020170067516 A KR 1020170067516A KR 20170067516 A KR20170067516 A KR 20170067516A KR 101899926 B1 KR101899926 B1 KR 101899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housing
fitted
shaft memb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근
이혁민
한길원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7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926B1/ko
Priority to CN201721442873.3U priority patent/CN207471431U/zh
Priority to US15/801,678 priority patent/US1043493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38Actuating means for dimming masks or scre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7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F21S41/689Flaps, i.e. screens pivoting around one of their 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F21S41/692Shields, i.e. screens not creating an image meant to be projec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F21S41/698Shaft-shaped screens rotating along its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는: 헤드램프의 광원 전방에 설치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위치에 따라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이동을 조절하는 쉴드부와, 쉴드부에 장착되어 쉴드부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기어와, 회전기어에 맞물리는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탄성을 구비하며 쉴드부에 설치되고 구동부의 이동이 정지되면 쉴드부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복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DEVICE FOR CHANGING OF LIGHT DISTRIBUTION IN HEAD LAMP}
본 발명은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체형 쉴드 구조를 제공하여 제품의 외형을 소형화 시킬 수 있는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 주행방향의 사물이 잘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조명 용도로 등화장치를 사용하거나,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표시 용도로 등화장치를 사용한다.
차량용 등화장치 중에 전조등이라고도 하는 헤드램프는 차량의 전방 양측에 장착되어 야간 주행시 차량이 진행하는 전방의 진로를 조사하므로 운전자의 주행방향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헤드램프는 전방의 일정 거리에 있는 도로상의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는 밝기를 요구하며, 어느 정도는 빛이 확산되어 주위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동시에 헤드램프는 교행하는 대향차의 운전자에게 눈부심 등으로 인한 운전방해를 주지 않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 운전자 조작에 의해 헤드램프가 로우빔(Low beam) 또는 하이빔(High beam)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로우빔과 하이빔 모드의 전환을 위해 종래의 헤드램프에는 평상시 야간에 점등하는 하향등과, 도로의 야간 조명이나 차량이 없는 한적한 도로에서만 주로 점등하여 사용하는 상향등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향등과 하향등이 각각 구비된 경우, 상향등과 하향등을 위한 구성품이 제각기 설치되어야 하므로 부품과 설치공간이 많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회전형 쉴드(Shield)를 포함하는 배광방향 전환장치가 개발되었으며, 하나의 광원으로 상향등의 빛과 하향등의 빛을 선택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배광방향 전환장치는 액추에이터로 쉴드를 회전시켜 헤드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의 모드를 로우빔 모드나 하이빔 모드로 조절할 수 있다.
종래에는 쉴드와 액추에이터를 고정시키는 구조가 복잡하므로 제품의 외형이 증가하며, 부품수의 증가로 생산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체형 쉴드 구조를 제공하여 제품의 외형을 소형화시킬 수 있는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는: 헤드램프의 광원 전방에 설치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위치에 따라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이동을 조절하는 쉴드부와, 쉴드부에 장착되어 쉴드부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기어와, 회전기어에 맞물리는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탄성을 구비하며 쉴드부에 설치되고 구동부의 이동이 정지되면 쉴드부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복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부를 관통하여 쉴드부의 측면에 구비된 연결공에 강제 압입으로 삽입되는 홀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홀더부는, 하우징부의 외측에 걸리는 머리부재와, 머리부재에서 연장되어 연결공의 내측으로 압입되는 연장몸체 및 연장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연결공의 내측으로 강제 압입되는 동작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변형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부는, 구동부의 양측이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제1장착홈부를 구비하는 제1몸체부 및 제1몸체부에서 연장되며 쉴드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며, 홀더부는 제1지지부를 관통하여 연결공에 강제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성을 구비하며 쉴드부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제1몸체부에 설치되고, 제1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댐퍼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쉴드부는, 제1지지부와 마주하는 일측에 연결공이 구비되는 쉴드몸체 및 쉴드몸체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제1지지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회전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부는, 구동부의 양측이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제2장착홈부를 구비하는 제2몸체부 및 제2몸체부에서 연장되며 쉴드부가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쉴드부는, 제2지지부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쉴드축부재와, 쉴드축부재에서 연장되어 회전기어와 결합되는 쉴드몸체 및 쉴드축부재에서 연장되어 쉴드축부재와 함께 회전되며 광원에서 이동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쉴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기어는, 쉴드몸체에 고정되며 구동기어에 맞물리는 기어가 설정된 각도 범위의 외주면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성복귀부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며, 쉴드축부재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는, 탄성복귀부와 회전기어가 장착된 일체형 쉴드부가 단일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제품의 외형을 소형화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부와 회전기어와 구동기어와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복귀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의 후면도이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부와 회전기어와 구동기어와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1)는, 헤드램프의 광원 전방에 설치되는 하우징부(10)와, 하우징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위치에 따라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이동을 조절하는 쉴드부(30)와, 쉴드부(30)에 장착되어 쉴드부(30)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기어(60)와, 회전기어(60)에 맞물리는 구동기어(7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80) 및 탄성을 구비하며 쉴드부(30)에 설치되고 구동부(80)의 이동이 정지되면 쉴드부(30)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복귀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부(10)는 헤드램프의 광원 전방에 설치된다. 광원의 전방 하부에 하우징부(10)가 설치되며, 쉴드부(30)의 양측은 하우징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는 제1몸체부(12)와 제1지지부(16)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0)의 하부(이하 도 1기준)를 형성하는 제1몸체부(12)에는 모터를 사용하는 구동부(80)가 설치된다. 제1몸체부(12)의 전방에는 구동부(80)의 양측이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제1장착홈부(14)가 구비된다. 모터를 사용하는 구동부(80)의 양측에는 돌기 형상의 돌출부가 구비되며, 이러한 구동부(80)의 양측은 제1장착홈부(14)에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구동부(80)의 설치와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제품 생산성이 향상되며,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1지지부(16)는 제1몸체부(12)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쉴드부(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1)에 구비된 홀더부(100)는 제1지지부(16)를 관통하여 연결공(33)에 강제 압입된다. 따라서 쉴드부(30)가 하우징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부(30)는 하우징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위치에 따라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쉴드부(30)는 쉴드몸체(32)와 회전지지돌기(35)와 차단패널(37)을 포함한다.
쉴드몸체(32)는 제1지지부(16)와 마주하는 일측(도 1기준 우측)에 연결공(33)이 구비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공(33)의 하측은 다각형의 홈을 형성하며, 상측은 원형의 홈을 형성한다. 따라서 홀더부(100)가 방향성을 가지며 연결공(33)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이 이루어진다. 쉴드몸체(32)의 일부는 회전기어(60)와 마주하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회전기어(60)와 고정이 이루어진다.
회전지지돌기(35)는 쉴드몸체(32)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제1지지부(16)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기 형상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지지돌기(35)와 쉴드몸체(32)는 일체로 형성된다.
차단패널(37)도 쉴드몸체(32)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쉴드몸체(32)와 함께 회전된다. 차단패널(37)은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광원에서 조사된 빛의 조사영역을 조절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일 광원으로 상향등과 하향등의 광조사를 구현할 경우, 차단패널(37)의 회전에 따라 광의 이동경로가 조절되어 상향등과 하향등의 조사를 조절할 수 있다. 쉴드부(30)의 회전에 따라 광의 조사영역을 조절하는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탄성복귀부(90)는 탄성을 구비하며 쉴드부(30)에 설치되며, 구동부(80)의 이동이 정지되면 쉴드부(30)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탄성을 구비한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복귀부(90)는 코일 스프링이 사용된다. 구동부(80)의 동작이 정지되면, 쉴드부(30)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복귀부(90)가 하우징부(10)에 설치되지 않고 쉴드부(30)에 직접 설치된다. 따라서 쉴드부(30)에 탄성복귀부(90)가 결합되어 모듈을 형성하므로 조립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쉴드부(30)에 구비된 회전지지돌기(35)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쉴드몸체(32)와 함께 사출 성형되므로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부(10)가 단일 부재로 이루어지며, 홀더부(100)가 하우징부(10)를 관통하여 쉴드부(30)에 고정되어 쉴드부(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므로, 쉴드부(30)의 동작성 저하 문제를 해결하며 빔의 흔들림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즉 쉴드부(30)와 하우징부(10)의 조립에 사용되는 부품의 수를 감소시키므로 사출 성형되는 부품의 수축으로 인한 동작성 저하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쉴드부(30)의 회전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서 빔 흔들림과 관련된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댐퍼부재(50)는 탄성을 구비하며 쉴드부(30)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하우징부(10)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부재(50)는 제1몸체부(12)에 설치된다. 고무나 실리콘 같은 탄성을 구비하는 댐퍼부재(50)는 제1몸체부(12)의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쉴드부(30)가 하우징부(10)에 접하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킨다. 즉 쉴드부(30)가 하우징부(10)에 접하기 전에 댐퍼부재(50)에 먼저 접하면서 이동속도와 충격이 감소되므로 소음 발생을 방지하거나 저감시킬 수 있다.
회전기어(60)는 쉴드부(30)에 장착되어 쉴드부(30)와 함께 회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60)는 부채꼴 형상이며, 쉴드부(30)가 회전되는 각도를 고려하여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60)는 쉴드몸체(32)에 고정되므로 쉴드몸체(32)와 함께 회전한다.
회전기어(60)에 맞물리는 구동기어(70)는 구동부(80)의 출력축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80)는 모터를 사용하며, 하우징부(10)의 내측에 장착된다.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부(100)는 하우징부(10)를 관통하여 쉴드부(30)의 측면에 구비된 연결공(33)에 강제 압입으로 삽입되므로 쉴드부(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100)는 머리부재(102)와 연장몸체(104)와 변형돌기부(106)를 포함한다.
홀더부(100)는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하며, 필요에 따라 유리섬유 등의 보강재를 추가하여 사출성형을 할 수 있다.
머리부재(102)는 연결공(33) 보다 큰 외경을 구비하며 하우징부(10)의 외측에 걸린다. 연장몸체(104)는 머리부재(102)에서 연장되어 연결공(33)의 내측으로 압입된다. 연장몸체(104)는 연결공(3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단면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몸체(104)의 하측은 다각형의 단면을 형성하며, 연장몸체(104)의 상측은 원형의 단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연장몸체(104)는 방향성을 가지며 쉴드몸체(32)의 연결공(33)에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몸체(104)는 서로 다른 2개의 직경을 구비하며 다단으로 이루어진다. 작은 직경을 구비한 연장몸체(104)는 연결공(33)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큰 직경을 구비한 연장몸체(104)는 하우징부(10)의 제2지지부(2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변형돌기부(106)는 연장몸체(104)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연결공(33)의 내측으로 강제 압입되는 동작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므로 연장몸체(104)가 연결공(33)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동작을 구속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돌기부(106)는 연장몸체(104)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다. 연장몸체(104)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복수로 설치된 변형돌기부(106)의 일측은 경사면이 구비된다. 따라서 변형돌기부(106)가 연결공(33)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홀더부(100)는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되며, 변형돌기부(106)의 외경은 연결공(33)의 외경보다 크므로, 변형돌기부(106)가 연결공(33)의 내측으로 진입되며 형상이 변형되므로, 홀더부(100)와 연결공(33)의 접하는 면적이 증가한다. 따라서 홀더부(100)의 결합력도 증가하므로, 홀더부(10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쉴드부(30)의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1)의 조립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우징부(10)에 소음 저감 및 타격 충격을 완화시키는 댐퍼부재(50)를 설치한다. 그리고, 회전기어(60)와 탄성복귀부(90)를 쉴드부(30)에 설치하여 하나의 모듈을 형성한 후, 하우징부(10)의 장착위치에 설치한다.
쉴드부(30)의 연결공(33)과 하우징부(10)의 제1지지부(16)에 형성된 구멍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홀더부(100)가 제1지지부(16)를 관통하여 쉴드부(30)의 연결공(33)에 삽입된다. 홀더부(100)가 연결공(33)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강제 압입으로 홀더부(100)를 설치한다. 그리고, 작은 돌기 형상의 변형돌기부(106)가 연장몸체(104)와 함께 연결공(33)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형상이 변형되므로 접지력이 향상되어 홀더부(10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5)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의 후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복귀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5)는 하우징부(20)와 쉴드부와 회전기어(62)와 구동기어(70)와 구동부(80)와 탄성복귀부(9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20)는 제2몸체부(22)와 제2지지부(26)를 포함한다.
제2몸체부(22)는 구동부(80)의 양측이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제2장착홈부(24)를 구비한다. 따라서 구동부(80)가 제2장착홈부(24)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므로 구동부(80)의 조립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제2지지부(26)는 제2몸체부(22)에서 연장되며 쉴드부(40)가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부(26)에는 쉴드부(40)의 쉴드축부재(42)가 끼움식으로 삽입되기 위한 지지홈부(27)를 구비한다. 봉 형상의 쉴드축부재(42)가 삽입되기 위한 내측공간을 구비하는 지지홈부(27)는 탄성을 구비하며 쉴드축부재(42)를 향한 전방을 향하여 개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쉴드부(40)는 쉴드축부재(42)와 쉴드몸체(44)와 쉴드패널(46)을 포함한다. 쉴드축부재(42)는 제2지지부(26)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므로, 쉴드축부재(42)의 설치와 유지보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쉴드몸체(44)는 쉴드축부재(42)에서 연장되어 회전기어(62)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쉴드몸체(44)는 쉴드축부재(42)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회전기어(62)와 마주한다. 회전기어(62)는 쉴드축부재(42)에 고정되므로, 쉴드부(40)와 함께 회전기어(62)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쉴드패널(46)은 쉴드축부재(42)에서 연장되어 쉴드축부재(42)와 함께 회전되며, 광원에서 이동되는 빛의 양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퍼부재(미도시)는 하우징부(20)나 쉴드부(40)에 설치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된다. 또한 쉴드부(40)의 이동경로에 댐퍼부재가 설치되므로 댐퍼부재의 회전에 따른 충격이나 소음을 저감시킨다.
회전기어(62)는 쉴드몸체(44)에 고정되며 구동기어(70)에 맞물리는 기어가 설정된 각도 범위의 외주면에만 형성된다. 회전기어(62)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의 형상은 쉴드부(40)의 회전 각도를 고려하여 설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복귀부(92)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며, 쉴드축부재(42)의 외측에 설치된다. 탄성복귀부(92)의 일단은 쉴드부(40)에 걸리며 타단은 하우징부(20)에 걸리므로, 쉴드부(40)의 회전시 압축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쉴드부(40)를 다시 초기위치로 회전시킨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5)의 조립을 상세히 설명한다.
회전기어(62)와 탄성복귀부(92)를 쉴드부(40)에 설치하여 하나의 모듈을 형성한 후, 쉴드축부재(42)를 지지홈부(27)로 삽입시켜 쉴드부(40)를 하우징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구동부(80)를 제2장착홈부(24)에 끼움식으로 결합하며, 구동기어(70)도 회전기어(62)에 맞물리도록 세팅하므로 구동부(80)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복귀부(90,92)와 회전기어(60,62)가 장착된 일체형 쉴드부(30,40)가 단일 하우징부(10,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제품의 외형을 소형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5: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10: 하우징부 12: 제1몸체부 14: 제1장착홈부 16: 제1지지부
20: 하우징부 22: 제2몸체부 24: 제2장착홈부 26: 제2지지부 27: 지지홈부
30: 쉴드부 32: 쉴드몸체 33: 연결공 35: 회전지지돌기 37: 차단패널
40: 쉴드부 42: 쉴드축부재 44: 쉴드몸체 46: 쉴드패널
50: 댐퍼부재 60,62: 회전기어 70: 구동기어 80: 구동부 90,92: 탄성복귀부
100: 홀더부 102: 머리부재 104: 연장몸체 106: 변형돌기부

Claims (10)

  1. 헤드램프의 광원 전방에 설치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이동을 조절하는 쉴드부;
    상기 쉴드부에 장착되어 상기 쉴드부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기어;
    상기 회전기어에 맞물리는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탄성을 구비하며 상기 쉴드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의 이동이 정지되면 상기 쉴드부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복귀부; 및
    상기 하우징부를 관통하여 상기 쉴드부의 측면에 구비된 연결공에 강제 압입으로 삽입되는 홀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에 걸리는 머리부재;
    상기 머리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결공의 내측으로 압입되는 연장몸체; 및
    상기 연장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연결공의 내측으로 강제 압입되는 동작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변형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구동부의 양측이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제1장착홈부를 구비하는 제1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쉴드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부는 상기 제1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공에 강제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탄성을 구비하며 상기 쉴드부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상기 제1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댐퍼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마주하는 일측에 상기 연결공이 구비되는 쉴드몸체; 및
    상기 쉴드몸체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지지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회전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구동부의 양측이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제2장착홈부를 구비하는 제2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쉴드부가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상기 제2지지부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쉴드축부재;
    상기 쉴드축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전기어와 결합되는 쉴드몸체; 및
    상기 쉴드축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쉴드축부재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광원에서 이동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쉴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는, 상기 쉴드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리는 기어가 설정된 각도 범위의 외주면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복귀부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며, 상기 쉴드축부재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KR1020170067516A 2017-05-31 2017-05-31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KR101899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516A KR101899926B1 (ko) 2017-05-31 2017-05-31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CN201721442873.3U CN207471431U (zh) 2017-05-31 2017-11-02 前照灯配光切换装置
US15/801,678 US10434931B2 (en) 2017-05-31 2017-11-02 Light distribution switching device of head la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516A KR101899926B1 (ko) 2017-05-31 2017-05-31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926B1 true KR101899926B1 (ko) 2018-09-19

Family

ID=62262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516A KR101899926B1 (ko) 2017-05-31 2017-05-31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34931B2 (ko)
KR (1) KR101899926B1 (ko)
CN (1) CN20747143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5268B2 (en) * 2018-08-20 2021-03-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active protection of peripheral sensors
CN113212295A (zh) * 2021-05-14 2021-08-06 江苏彤明汽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用可调节安全距离的警示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692B1 (ko) * 2015-11-17 2017-03-2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823B1 (ko) 2010-04-29 2016-11-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헤드램프장치
US9441806B2 (en) * 2012-12-13 2016-09-13 Koito Manufacturing Co., Ltd. Lamp unit
KR101817630B1 (ko) 2014-07-23 2018-01-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KR101611083B1 (ko) * 2014-10-10 2016-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램프의 쉴드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692B1 (ko) * 2015-11-17 2017-03-2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45849A1 (en) 2018-12-06
US10434931B2 (en) 2019-10-08
CN207471431U (zh)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8933B2 (en) Vehicle lamp
KR100401310B1 (ko) 차량용 전조등
US8007151B2 (en) Vehicle headlight
US8096687B2 (en) Vehicle headlight
EP2154426A2 (en) Vehicle headlamp apparatus
KR101899926B1 (ko) 헤드램프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CN103381771A (zh) 车辆用前照灯
EP2100771B1 (en) Vehicle headligh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181485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JP2010040483A (ja) 車輌用前照灯
JP4236178B2 (ja) 車輌用灯具
JP2004022324A (ja) 車輌用前照灯
KR101717692B1 (ko) 차량용 램프
KR20120003304A (ko) 차량용 헤드램프
KR20160015904A (ko) 차량용 램프
JP2011029121A (ja) 車輌用前照灯
KR20140121690A (ko) 차량용 헤드램프
CN104165316A (zh) 车辆用前照灯
KR20140083281A (ko) 듀얼 쉴드를 이용한 헤드 램프
JP4803166B2 (ja) 車両用灯具
JP7159668B2 (ja) 車両用前照灯の可動シェード機構および車両用前照灯
KR20160051992A (ko) 차량용 조명 장치
KR200171901Y1 (ko) 차량용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KR20150059353A (ko) 차량용 헤드램프
KR102330384B1 (ko) 자동차의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