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384B1 - 자동차의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384B1
KR102330384B1 KR1020150101191A KR20150101191A KR102330384B1 KR 102330384 B1 KR102330384 B1 KR 102330384B1 KR 1020150101191 A KR1020150101191 A KR 1020150101191A KR 20150101191 A KR20150101191 A KR 20150101191A KR 102330384 B1 KR102330384 B1 KR 102330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hield
motor
driven gear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9334A (ko
Inventor
전영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1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384B1/ko
Publication of KR20170009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F21S41/695Screens rotating around a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10Protection of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7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모터의 발열로 인한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제1 탄성부재가 쉴드를 제1 위치에 유지시켜주고, 스토퍼가 상기 쉴드를 제2 위치에 유지시켜주기 때문에, 모터의 구동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방에 설치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에는 야간 주행시 앞을 환하게 비추어 운전자가 노면 및 장애물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램프가 구비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통상의 헤드램프는, 외부로 배광되는 빛이 노면을 향하도록 낮게 배광되는 로우빔 모드와, 외부로 배광되는 빛이 높게 배광되는 하이빔 모드로 작동된다.
상기 헤드램프는 주행중인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선행차 및 대향차(마주오는차)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면, 전방을 주행하는 자동차가 없을 때에는 상기 헤드램프를 상기 하이빔 모드로 하여 시인성을 확보하고, 전방을 주행하는 자동차가 있을 때에는 상기 로우빔 모드로 하여 선행차 및 대향차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도심지와 같이 밝은 지역에서는 상기 로우빔 모드로 하여 선행차 및 대향차의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도록 해야 하고, 어두운 지역에서는 상기 하이빔 모드로 하여 주행중인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최근에는, 카메라센서를 이용한 선행차 및 대향차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상기 선행차 및 대향차와의 거리 및 각도 정보를 획득하여, 헤드램프의 빔패턴이 자동으로 가변되는 어댑티브 헤드램프가 개발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선행차 및 대향차의 운전자에게는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기 어댑티브 헤드램프에는 쉴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쉴드가 회전되면서 리플렉터로부터 렌즈로 반사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함으로써,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패턴이 상기 하이빔 또는 상기 로우빔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어댑티브 헤드램프에는 상기 쉴드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쉴드가 상기 로우빔 모드 위치에 있을 때 전류가 공급되지 않아서 정지된 상태로 있다가, 상기 자동차의 외부 상황이 바뀌어서 상기 쉴드를 상기 하이빔 모드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 전류를 공급받아서 구동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모터는 상기 쉴드를 상기 하이빔 모드 위치로 회전시킨 후 상기 쉴드의 위치를 하이빔 모드 위치로 유지하기 위해 계속하여 전류를 공급받는 스톨(stall) 상태로 있어야 하므로, 상기 전류로 인해 발열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쉴드가 상기 하이빔 모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모터에 발생되는 열은 헤드램프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모터의 발열로 인한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와, 상기 쉴드를 제1 위치에 유지시키는 탄성력을 가지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쉴드가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된 위치에서, 상기 쉴드를 상기 제2 위치에 유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제1 탄성부재가 쉴드를 제1 위치에 유지시켜주고, 스토퍼가 상기 쉴드를 제2 위치에 유지시켜주기 때문에, 모터의 구동시간을 최소화 수 있으므로, 상기 모터의 발열로 인한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의 전방 하우징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의 로우빔 모드일 때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가 로우빔 모드에서 하이빔 모드로 변환되는 도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의 하이빔 모드일 때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의 전방 하우징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전방 하우징(12)과, 전방 하우징(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쉴드(20)와, 전방 하우징(12)에 결합되고 쉴드(20)를 회전시키는 모터(30)를 포함한다.
전방 하우징(12)의 후방에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후방 하우징(14)이 결합된다. 후방 하우징(14) 내에는 빛을 생성하는 광원(미도시)과, 상기 광원이 생성하는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전방 하우징(12)의 전방에는 상기 리플렉터가 반사하는 빛을 외부로 배광하는 렌즈(미도시)가 배치된다. 상기 렌즈는 전방 하우징(12)의 전방에 결합되는 렌즈홀더(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다.
전방 하우징(12) 및 후방 하우징(14)은 서로 결합되어 하우징(12,14)으로 모듈화된다. 모듈화된 하우징(12,14)의 내부에는 상기 광원, 상기 리플렉터, 쉴드(20) 및 모터(30)가 배치된다.
쉴드(20)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좌측단 및 우측단이 전방 하우징(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쉴드(20)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는 각각 힌지부재(2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힌지부재(22)는 전방 하우징(12)에 결합되어 쉴드(20)의 좌측단 및 우측단을 전방 하우징(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쉴드(20)는 외부로 배광되는 빛인 상기 리플렉터가 상기 렌즈로 반사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하여서, 외부로 배광되는 빛이 소정의 패턴이 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패턴은 로우빔 패턴 및 하이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20)가 도 1과 같은 위치에 있게 되면, 쉴드(20)는 상기 리플렉터의 하부를 통해 상기 렌즈의 상부로 반사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렌즈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패턴은 로우빔이 된다. 또한, 쉴드(20)가 도 1과 같은 위치에 있다가 모터(3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동안에 쉴드(20)에 의해 차단되었던 빛은 점차적으로 상기 렌즈의 상부로 반사되기 때문에, 상기 렌즈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패턴은 점차적으로 하이빔으로 변하게 된다.
이하, 상기 렌즈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패턴이 상기 로우빔일 때의 쉴드(20)의 회전위치를 제1 위치라하고, 상기 렌즈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패턴이 상기 하이빔일 때의 쉴드(20)의 회전위치를 제2 위치라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쉴드(20)는 상기 렌즈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패턴을 상기 하이빔 및 상기 로우빔 2종으로만 변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쉴드(20)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렌즈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하는 패턴을 쉴드(20)의 둘레에 3개 이상으로 배치하는 경우, 쉴드(20)는 3개 이상의 빔 패턴을 자동차의 외부로 배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렌즈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패턴이 상기 로우빔일 때의 쉴드(20)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렌즈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패턴이 상기 하이빔일 때의 쉴드(20)의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터(30)는, 쉴드(20)를 상기 제1 위치로 회전시켜서 상기 렌즈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패턴이 로우빔이 되도록 하고, 쉴드(20)를 상기 제2 위치로 회전시켜서 상기 렌즈의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패턴이 하이빔이 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쉴드(20)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인 상기 로우빔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자동차의 외부의 상황이 변하여 상기 하이빔 모드로 변환하기 위해, 모터(30)의 회전축은 회전되어 쉴드(20)를 상기 제2 위치로 회전시키고, 다시 상기 자동차의 외부의 상황이 변하여 상기 로우빔 모드로 변환하기 위해, 모터(30)의 회전축은 역회전되어 쉴드(20)를 상기 제1 위치로 역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30)는 직류(DC)모터로 구비된다. 모터(30)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40)가 결합된다. 구동기어(40)는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된 원형으로 형성되어, 통상의 피니언의 형태를 가진다. 쉴드(20)의 일단에는 종동기어(50)가 결합된다. 종동기어(50)는 구동기어(40)에 형성된 기어치와 맞물리는 기어치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30)가 구동되는 경우, 모터(30)의 구동력에 구동기어(40)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종동기어(50)가 회전됨으로써, 쉴드(20)는 모터(3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쉴드(20)가 상기 로우빔 모드 위치인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모터(30)에는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쉴드(20)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쉴드(20)를 상기 하이빔 모드 위치인 상기 제2 위치로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모터(30)에 전류가 공급되어 모터(30)는 쉴드(20)를 상기 제2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전방 하우징(12)에는 제1 탄성부재(25)가 설치된다. 제1 탄성부재(25)는 쉴드(20)를 상기 로우빔 모드 위치인 상기 제1 위치에 유지시키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다. 제1 탄성부재(25)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쉴드(20)의 좌측단 및 우측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25)는 힌지부재(2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쉴드(20)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회전되어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상태이면, 모터(30)에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고, 이에 따라 모터(30)는 정지된다. 이와 같이 쉴드(20)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모터(30)가 정지되는 이유는, 모터(30)에 공급되는 전류로 인해 모터(30)가 발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쉴드(20)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모터(30)가 정지되게 되면, 쉴드(20)는 제1 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 유지되지 않고 상기 제1 위치로 회전될려는 힘을 받게 된다. 쉴드(20)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모터(30)가 정지되더라도, 쉴드(20)가 제1 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쉴드(20)를 상기 제2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구조에 대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의 로우빔 모드일 때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가 로우빔 모드에서 하이빔 모드로 변환되는 도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의 하이빔 모드일 때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후방 하우징(14)에는 스토퍼(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토퍼(60)는 쉴드(20)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회전된 위치에서, 쉴드(20)를 상기 제2 위치에 유지시켜서, 쉴드(20)가 제1 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로 역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스토퍼(60)는, 쉴드(20)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회전된 위치에서, 종동기어(50)로 삽입되어 쉴드(20)를 상기 제2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종동기어(50)에는 스토퍼(60)가 삽입되는 스토퍼홈(55)이 형성된다. 스토퍼홈(55)은 쉴드(20)가 상기 제2 위치로 회전된 위치에 있을 때 스토퍼(60)가 삽입될 수 있는 부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후방하우징(14)은, 스토퍼(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토퍼 결합부(14a)와, 스토퍼 결합부(14a)로부터 절곡되고, 쉴드(20)가 상기 제2 위치로 회전된 위치일 때 종동기어(50)가 접촉되어 종동기어(50)의 과회전을 방지하는 과회전 방지부(14b)를 포함한다.
스토퍼 결합부(14a)에는 스토퍼(60)가 관통하는 스토퍼 관통홀(14c)이 형성된다. 스토퍼(60)는 스토퍼 결합부(14a)에 힌지축(61)에 의해 결합되는 몸체부(62)와, 몸체부(62)에서 절곡되어 스토퍼 관통홀(14c)을 관통하고, 종동기어(50)에 형성된 스토퍼홈(55)에 삽입되는 스토퍼부(64)를 포함한다. 몸체부(62)는 하단이 힌지축(61)에 의해 스토퍼 결합부(14a)에 결합되고, 스토퍼부(64)는 몸체부(62)의 상단에서 전방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된다.
힌지축(61)에는 스토퍼부(64)가 종동기어(50)에 형성된 스토퍼홈(55)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스토퍼(60)를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가지는 제2 탄성부재(65)가 설치된다. 제2 탄성부재(65)는 힌지축(61)이 관통하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스토퍼 결합부(14a)에는 몸체부(62)가 스토퍼 결합부(14a)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댐퍼(70)가 설치된다. 제1 댐퍼(70)는 몸체부(62)가 스토퍼 결합부(14a)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몸체부(62)가 제2 탄성부재(65)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어 스토퍼 결합부(14a)에 접촉되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댐퍼(70)는 고무일 수 있다.
종동기어(50)에는 종동기어(50)가 과회전 방지부(14b)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댐퍼(80)가 설치된다. 제2 댐퍼(80)는 종동기어(50)가 과회전 방지부(14b)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종동기어(50)가 모터(3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과회전 방지부(14b)에 접촉되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댐퍼(80)는 고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가 로우빔 모드인 상태에서 하이빔 모드로 전환하는 것은, 도 2 내지 도 5의 순서대로 이루어진다. 반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가 하이빔 모드인 상태에서 로우빔 모드로 전환하는 것은, 도 5 내지 도 2의 순서대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로, 쉴드(20)가 상기 로우빔 모드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하이빔 모드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쉴드(20)는 상기 로우빔 모드 위치인 상기 제1 위치에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모터(30)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모터(30)는 구동되지 않는다. 또한, 쉴드(20)는 제1 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쉴드(20)를 상기 하이빔 모드 위치인 상기 제2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30)에 전류가 공급되어 모터(30)의 회전축(35)이 회전됨으로써, 구동기어(40)는 모터(30)의 회전축(35)과 함께 동시에 같은 방향인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구동기어(40)와 맞물린 종동기어(50)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기어(40)에 결합된 쉴드(20)도 종동기어(50)와 함께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종동기어(50)는 회전되는 도중에 스토퍼(60)의 스토퍼부(64)와 접촉되어 스토퍼부(64)를 후방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탄성부재(65)는 몸체부(62)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쉴드(20)가 상기 하이빔 모드 위치인 상기 제2 위치에 도달하면, 종동기어(50)는 후방 하우징(14)의 과회전 방지부(14b)에 의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게 된다. 종동기어(50)에 결합된 제2 댐퍼(80)는 종동기어(50)가 회전되면서 과회전 방지부(14b)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쉴드(20)가 상기 제2 위치에 도달하면, 스토퍼(60)의 스토퍼부(64)는 제2 탄성부재(65)의 탄성력에 의해 종동기어(50)에 형성된 스토퍼홈(55)으로 삽입된다. 후방 하우징(14)의 스토퍼 결합부(14a)에 결합된 제1 댐퍼(70)는 스토퍼부(64)가 제2 탄성부재(65)의 탄성력에 의해 스토퍼홈(55)으로 삽입될 때 몸체부(62)가 스토퍼 결합부(14a)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쉴드(20)가 상기 제2 위치에 도달하면, 모터(30)에 전류 공급이 차단되어 모터(30)는 구동되지 않는다. 모터(30)가 구동되지 않으면 쉴드(20)는 제1 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회전될려고 하지만, 스토퍼(60)의 스토퍼부(64)가 스토퍼홈(55)에 삽입되어 종동기어(50)를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쉴드(20)는 상기 제2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터(30)가 정지되었을 때 제1 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해 스토퍼(60)의 스토퍼부(64)가 스토퍼홈(55)으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2 탄성부재(65)는 제1 탄성부재(25)보다 탄성력이 강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두 번째로, 쉴드(20)가 상기 하이빔 모드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로우빔 모드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모터(30)에 전류가 공급되어 모터(30)의 회전축(35)이 역회전되며, 이에 따라 쉴드(20)는 도 4와 같은 상태로 회전되었다가, 도 3과 같이 스토퍼(60)의 스토퍼부(64)가 종동기어(50)에 형성된 스토퍼홈(55)에서 빠져나오면, 모터(30)에 전류 공급이 차단되어 모터(30)가 정지된다. 이후, 쉴드(20)는 제1 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인 상기 제1 위치로 회전되어 도 2와 같은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제1 탄성부재(25)가 쉴드(20)를 상기 제1 위치에 유지시켜주고, 스토퍼(60)가 쉴드(20)를 상기 제2 위치에 유지시켜주기 때문에, 모터(30)의 구동시간을 최소화하여, 모터(30)의 발열로 인한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2: 전방 하우징 14: 후방 하우징
14a: 스토퍼 결합부 14b: 과회전 방지부
20: 스토퍼 25: 제1 탄성부재
30; 모터 35: 모터의 회전축
40: 구동기어 50: 종동기어
55: 스토퍼홈 60: 스토퍼
62: 몸체부 64: 스토퍼부
65: 제2 탄성부재 70: 제1 댐퍼
80: 제2 댐퍼

Claims (10)

  1.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와 결합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외부로 배광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
    상기 쉴드를 제1 위치에 유지시키는 탄성력을 가지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쉴드가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된 위치에서, 상기 종동기어로 삽입되어 상기 쉴드를 상기 제2 위치에 유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쉴드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회전되면 정지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에는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는 스토퍼홈이 형성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쉴드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회전되는 도중에,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스토퍼홈에서 빠져나오면 정지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쉴드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 하우징과,
    상기 전방 하우징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후방 하우징은,
    상기 스토퍼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토퍼 결합부와,
    상기 스토퍼 결합부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쉴드가 상기 제2 위치로 회전된 위치일 때 상기 종동기어가 접촉되어 상기 종동기어의 과회전을 방지하는 과회전 방지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결합부에는 상기 스토퍼가 관통하는 스토퍼 관통홀이 형성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토퍼 결합부에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스토퍼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종동기어에 삽입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종동기어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를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가지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결합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스토퍼 결합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댐퍼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에 설치되어, 상기 종동기어가 상기 과회전 방지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댐퍼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KR1020150101191A 2015-07-16 2015-07-16 자동차의 조명장치 KR102330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191A KR102330384B1 (ko) 2015-07-16 2015-07-16 자동차의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191A KR102330384B1 (ko) 2015-07-16 2015-07-16 자동차의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334A KR20170009334A (ko) 2017-01-25
KR102330384B1 true KR102330384B1 (ko) 2021-11-23

Family

ID=57991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191A KR102330384B1 (ko) 2015-07-16 2015-07-16 자동차의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3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5693A (ja) 2008-06-30 2010-01-21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2011134583A (ja) 2009-12-24 2011-07-07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装置
WO2015019592A1 (ja) 2013-08-09 2015-02-1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253A (ko) * 2008-08-27 2010-03-09 에스엘 주식회사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1386670B1 (ko) * 2012-09-07 2014-04-17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
KR102039891B1 (ko) * 2013-07-10 2019-11-0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5693A (ja) 2008-06-30 2010-01-21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2011134583A (ja) 2009-12-24 2011-07-07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装置
WO2015019592A1 (ja) 2013-08-09 2015-02-1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334A (ko)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545B1 (ko)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램프 어셈블리
CN101713513A (zh) 汽车用适应型前照灯
CN112303585B (zh) 用于车辆的照明设备
JP5119116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EP2301801A1 (fr) Procédé de commande d'un projecteur d'éclairage pour véhicule
JP2008027650A (ja) 車輌用灯具
KR20100025253A (ko)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1181485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US9434295B2 (en) Apparatus for driving headlight cover
CN106958781B (zh) 用于车前灯的护板驱动设备
US7036969B2 (en) Adverse weather headlamp system
KR102330384B1 (ko) 자동차의 조명장치
KR101704131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KR101557112B1 (ko) 차량용 램프
KR20160015904A (ko) 차량용 램프
KR20140083281A (ko) 듀얼 쉴드를 이용한 헤드 램프
KR101232294B1 (ko)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2453340B1 (ko) 자동차의 조명장치
KR100187812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KR101829008B1 (ko) 헤드램프 장치
KR102543458B1 (ko) 차량용 램프
CN110500558B (zh) 车辆用前照灯装置
JP2013145720A (ja) 車両用前照灯および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JP5938978B2 (ja) 車両用部品の取付構造
JP2010092754A (ja) 車両用前照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