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670B1 -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670B1
KR101386670B1 KR1020120099384A KR20120099384A KR101386670B1 KR 101386670 B1 KR101386670 B1 KR 101386670B1 KR 1020120099384 A KR1020120099384 A KR 1020120099384A KR 20120099384 A KR20120099384 A KR 20120099384A KR 101386670 B1 KR101386670 B1 KR 101386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plate
damping
shield
bracke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2729A (ko
Inventor
이진우
임종대
손효열
Original Assignee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9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670B1/ko
Publication of KR20140032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F21S41/698Shaft-shaped screens rotating along its longitudin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램프의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방향을 전환하는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광원의 전방에 설치되는 쉴드브래킷; 상기 쉴드브래킷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쉴드브래킷과 중첩상태로 밀착되면서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일부분을 차폐하는 쉴드판; 상기 쉴드판을 편축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 상기 쉴드판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쉴드판을 리턴시키는 토션스프링; 및 상기 쉴드브래킷에 마련되어 상기 토션스프링에 의해 리턴하는 상기 쉴드판에 밀착되면서 상기 쉴드판에 의한 충격을 댐핑하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상기 쉴드브래킷에 일측이 관통상태로 끼워져 걸리고, 타측면이 상기 쉴드판에 대면하면서 상기 쉴드판에 밀착되는 연질재의 댐핑고무; 및 상기 댐핑고무의 타측면에 동일체를 이루면서 돌출형성되고, 상기 쉴드판의 충격에 의해 탄성변형하면서 상기 쉴드판의 충격을 완충하는 댐핑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댐퍼를 구성하는 댐핑돌기가 탄성변형하면서 쉴드판의 충격을 1차로 완충하고, 댐핑고무가 쉴드판에 밀착되면서 충격을 2차로 완충하므로 쉴드판의 충격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원의 빛떨림이 감소되므로 야간운전의 시인성이 향상되어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HEADLAMP LIGHTING DERECTION CONTROLLER}
본 발명은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는 헤드램프의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일부분을 차단하거나 개방하여 빛을 상향등이나 하향등으로 전환하는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조등이고도 불리는 헤드램프는 차량이 진행하는 전방을 비추는 조명등으로써, 야간에는 전방 100m의 거리내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식별할 수 있는 밝기를 요구한다.
이러한 헤드램프는 평상시 야간에 점등하는 하향등과, 마주오는 차량이 없는 한적한 도로에서 점등하는 상향등으로 구분된다. 과거의 헤드램프는 상향등램프 및 하향등램프가 제각기 마련되어 각각의 반사체 및 렌즈를 통해 빛을 각각 조사하였으나 각각의 구성품이 두 개씩 설치되어야만 하는바 설치공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120715호에 게시된 헤드램프장치가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의 헤드램프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120)를 통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110)와, 광원부(110) 및 렌즈부(120)의 사이에 설치되는 브래킷부(130)와, 브래킷부(13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광원부(110)에서 렌즈부(120)로 공급되는 빛의 일부분을 차폐하는 쉴드부(140) 및 쉴드부(14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150)로 구성된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헤드램프는 광원부(110)를 구성하는 전구부재(120)에서 조사되는 빛이 반사부(114)를 통해 다양한 각도로 반사되어 렌즈부(120)로 공급되는 구성으로써, 쉴드부(140)의 작동에 따라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을 하향으로만 렌즈부(120)로 공급하거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을 상향과 하향으로 동시에 렌즈부(120)로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쉴드부(140)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부(130)에 중첩된 상태로 밀착되면서 상향의 빛을 차단하며,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50)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향의 빛을 개방한다. 그리고, 쉴드부(140)는 구동부(150)나 미도시된 리턴스프링에 의해 브래킷부(130)에 밀착상태로 리턴되면서 상향의 빛을 차단한다.
이때, 쉴드부(140)는 회전에 의해 브래킷부(130)에 밀착되면서 충격 및 소음을 발생시키며, 나아가 광원부(130)를 진동시켜서 빛떨림 현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 개발된 헤드램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부(130)에 완충고무(200)가 마련되어 쉴드부(140)의 충격을 완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완충고무(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태로 형성되어 쉴드부(140)에 대면상태로 밀착되는 구성이어서 쉴드부(140)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완충고무(200)에 의한 최대진동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9.69m/s2 로 측정되었고, 진동횟수는 4회로 측정되었다.
또한, 종래의 완충고무(200)에 의한 최대소음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59.3dB로 측정되었다.
KR 10-2011-120715 A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일부분을 차폐하거나 개방하는 쉴드판의 회전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는, 헤드램프의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방향을 전환하는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전방에 설치되는 쉴드브래킷; 상기 쉴드브래킷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쉴드브래킷과 중첩상태로 밀착되면서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일부분을 차폐하는 쉴드판; 상기 쉴드브래킷에 결합되고, 상기 쉴드판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쉴드판을 편축회전시키면서 상기 쉴드판에 의해 차폐된 빛의 일부분을 상기 쉴드브래킷의 전방으로 공급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편축회전하는 상기 쉴드판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쉴드판을 상기 쉴드브래킷에 중첩상태로 리턴시키는 토션스프링; 및 상기 쉴드브래킷에 마련되어 상기 토션스프링에 의해 리턴하는 상기 쉴드판에 밀착되면서 상기 쉴드판에 의한 충격을 댐핑하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상기 쉴드브래킷에 일측이 관통상태로 끼워져 걸리고, 타측면이 상기 쉴드판에 대면하면서 상기 쉴드판에 밀착되는 댐핑고무; 및 상기 댐핑고무의 타측면에 동일체를 이루면서 돌출형성되고, 상기 쉴드판의 충격에 의해 탄성변형하면서 상기 쉴드판의 충격을 완충하는 댐핑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댐퍼는, 상기 댐핑고무의 일측면에 홈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댐핑돌기의 후방에 댐핑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쉴드판의 충격에 의한 상기 댐핑고무의 반력을 감쇠시켜서 상기 댐핑돌기의 탄성변형을 허용하는 댐핑포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댐퍼는, 상기 댐핑포켓과 대향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댐핑돌기의 둘레를 따라 상기 댐핑고무의 타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쉴드판에 의해 탄성변형하는 상기 댐핑돌기를 상기 댐핑고무의 내측으로 함몰시키면서 상기 쉴드판에 밀착되는 상기 댐핑고무의 밀착면적을 감소시키는 홈형태의 돌기트랩;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쉴드판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쉴드판과 함께 회전하고, 반사체로 형성되어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절곡시키거나 상기 쉴드판을 향해 조사되는 빛을 반사하는 경사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상기 댐핑고무의 일측에 상기 쉴드브래킷을 관통하여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댐핑고무가 상기 쉴드브래킷에 일측이 관통상태로 끼워져서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퍼는, 상기 댐핑고무의 타측면 테두리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상기 쉴드판에 대한 상기 댐핑고무의 타측면 밀착면적을 감소시키는 밀착돌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댐퍼는, 상기 댐핑돌기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댐핑돌기의 강성을 약화시켜서 상기 쉴드판에 의한 상기 댐핑돌기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댐핑홈이 형성되거나, 상기 댐핑돌기의 중앙에 상기 댐핑돌기의 지름 및 돌출길이 보다 작은 크기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댐핑돌기와 함께 상기 쉴드판과 충돌하면서 이중으로 충격을 완충하는 보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에 의하면, 댐퍼를 구성하는 댐핑돌기가 탄성변형하면서 쉴드판의 충격을 1차로 완충하고, 댐핑고무가 쉴드판에 밀착되면서 충격을 2차로 완충하므로 쉴드판의 충격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원의 빛떨림이 감소되므로 야간운전의 시인성이 향상되어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쉴드판의 충격에 의한 댐핑고무의 반력이 댐핑포켓에 의해 감쇠됨에 따라 댐핑돌기가 원활하게 탄성변형하면서 쉴드판의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더욱이, 댐핑돌기가 탄성변형하면서 돌기트랩에 의해 댐핑고무의 내측으로 함몰됨에 따라 쉴드판에 밀착되는 댐핑고무가 밀착면적이 감소된 상태로 쉴드판에 밀착되므로 진동 및 소음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경사판이 쉴드판에 마련되어 쉴드판과 함께 회전하므로 하향등모드에서는 광원의 빛을 절곡상태로 반사함으로써 도로표지판 등을 식별할 수 있으며, 상향등모드에서는 쉴드판을 향해 조사되는 빛을 반사함으로써 차폭등이나 미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댐핑고무가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 쉴드브래킷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고, 댐핑고무의 타측면에 형성된 밀착돌기에 의해 쉴드판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아울러, 댐핑돌기의 중앙에 댐핑홈이 형성되거나 댐핑돌기가 형성될 경우 댐핑돌기에 작용하는 쉴드판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헤드램프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은 선행기술의 완충고무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완충고무에 의한 진동발생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완충고무에 의한 소음발생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댐퍼의 댐핑과정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댐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발생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소음발생을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브래킷(10), 쉴드판(20), 엑추에이터(30), 토션스프링(40) 및 댐퍼(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쉴드브래킷(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램프를 구성하는 광원(5)의 전방에 수직상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광원(5)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램프(5a) 및 리플렉터(5b)로 구성되며, 램프(5a)에서 조사된 빛을 리플렉터(5b)가 반사하여 상향 및 하향의 빛을 렌즈(6)로 공급한다.
한편, 쉴드브래킷(10)은 광원(5)의 리플렉터(5b) 및 렌즈(6)를 연결하는 미도시된 연결하우징에 의해 차폐된다.
쉴드판(20)은 광원(5)에서 렌즈(6)를 향해 조사되는 빛의 일부분을 차폐하거나 개방하는 부재로써,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브래킷(10)에 결합되는 회전축(20a)을 통해 결합되어 회전축(20a)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광원(5)의 빛 중 일부분을 차단하거나 렌즈(6)로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쉴드판(20)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브래킷(10)과 중첩된 상태로 쉴드브래킷(10)의 상단부로 돌출되어 상향의 빛을 차단하면서 하향등모드를 이루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엑추에이터(30)에 의해 회전축(20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향의 빛을 렌즈(6)로 공급하면서 상향등모드를 이룬다.
즉, 광원(5)의 빛은 쉴드판(20)의 회전에 의해 하향으로만 조사되거나 하향 및 상향으로 동시에 조사된다.
전술한 엑추에이터(30)는 쉴드판(20)의 일측을 가압하여 회전축(20a)을 중심으로 쉴드판(20)을 회전시키는 구성요소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브래킷(10)의 일측에 고정되고, 로드(30a)를 통해 쉴드판(20)의 일부분에 연결된다.
이러한 엑추에이터(30)는 통상의 솔레노이드가 내장되어 솔레노이드의 전자기력에 의해 로드(30a)가 이동하는 부재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30)를 통해 쉴드판(20)의 일측을 당기면서 작동한다. 이에 따라, 쉴드판(20)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추에이터(30)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20a)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광원(5)의 전방을 개방한다.
토션스프링(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0a)에 마련되어 쉴드판(20)의 회전에 따라 탄성압축되면서 쉴드판(2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쉴드판(20)을 리턴시킨다. 즉, 쉴드판(20)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추에이터(30)에 의해 회전한 후, 엑추에이터(30)의 전자기력이 소멸됨에 따라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쉴드브래킷(10)과 중첩상태로 복귀한다.
댐퍼(50)는 쉴드판(20)이 토션스프링(40)에 의해 원위치로 회전하면서 쉴드브래킷(10)과 중첩상태로 밀착됨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을 댐핑하는 구성요소로써,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고무(51) 및 댐핑돌기(5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댐핑고무(51)는 연질재의 고무로 형성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후크형태의 걸림턱(51a)이 마련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51a)을 통해 쉴드브래킷(10)에 끼워져 걸리고, 타측이 쉴드판(20)에 대면하면서 쉴드판(20)에 밀착된다.
댐핑돌기(5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고무(51)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댐핑고무(51)의 타측면에 돌출형성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판(20)의 충격에 의해 탄성변형하면서 쉴드판(20)의 충격을 완충한다.
즉, 댐퍼(50)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판(20)의 리턴에 따라 댐핑돌기(53)를 통해 쉴드판(20)에 먼저 밀착되면서 쉴드판(20)의 충격을 1차로 완충하고,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돌기(53)의 탄성변형에 따라 댐핑고무(51)가 쉴드판(20)에 밀착되면서 충격을 2차로 완충한다.
이러한 댐핑돌기(5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포켓(57)에 의해 원활하게 탄성변형하면서 쉴드판(20)의 충격을 완충한다.
댐핑포켓(57)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고무(51)의 일측면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댐핑돌기(53)의 후방에 댐핑공간을 형성하며,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고무(51)의 반력을 감쇠시킴으로써 댐핑돌기(53)의 탄성변형을 허용한다. 즉, 댐핑돌기(53)는 댐핑포켓(57)에 의해 댐핑고무(51)의 강성이 약화됨에 따라 원활하게 탄셩변형하면서 쉴드판(20)을 1차로 완충한다.
한편, 댐퍼(5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트랩(55)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돌기트랩(5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포켓(57)과 대향상태를 이루면서 댐핑돌기(53)의 둘레를 따라 댐핑고무(51)의 타측면에 홈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돌기트랩(55)은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판(20)에 의해 탄성변형하는 댐핑돌기(53)를 댐핑고무(51)의 내측으로 함몰시키며, 댐핑돌기(53)의 함몰에 따라 쉴드판(20)에 밀착되는 댐핑고무(51)의 밀착면적을 감소시킨다. 즉, 돌기트랩(55)은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돌기(53)를 함몰시키면서 댐핑고무(51)를 쉴드판(20)에 선접촉상태로 밀착시킴으로써 쉴드판(20)의 충격을 2차로 완충한다.
따라서, 댐퍼(50)는 댐핑돌기(53)의 탄성변형 및 함몰을 통해 쉴드판(20)의 충격을 1차로 완충한 후, 댐핑고무(51)가 밀착면적을 최소화된 상태로 충격을 2차로 완충하므로 쉴드판(20)의 충격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돌기트랩(55)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리브(55a)가 마련되어 강성이 보강될 수도 있다.
한편, 댐핑고무(5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면의 테두리를 따라 엠보싱형태의 밀착돌기(51b)가 돌출되어 쉴드판(20)과 점접촉상태로 밀착되면서 쉴드판(20)의 충격을 완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댐핑고무(51)는 쉴드판(20)과의 밀착면적이 더욱 축소됨에 따라 쉴드판(20)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 전술한 댐핑돌기(5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돌기(53a)가 돌출되어 쉴드판(20)의 충격을 이중으로 완충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댐핑홈(53b)이 마련되어 강성이 약화됨에 따라 더욱 원활하게 탄성변형하면서 쉴드판(20)의 충격을 완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술한 보조돌기(53a) 및 댐핑홈(53b)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돌기(53)의 중앙에 돌기나 홈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보조돌기(53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돌기(53)의 지름 및 돌출길이 보다 작은 크기로 댐핑돌기(53)의 중앙에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쉴드판(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판(60)이 일체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경사판(60)은 반사체로 이루어지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판(20)의 일측에 경사상태로 마련되어 쉴드판(20)과 함께 회전하며,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등모드에서는 전술한 리플렉터(5b)를 통해 조사되는 빛을 절곡상태로 반사하여 렌즈(6)의 상부로 절곡시킨다. 이에 따라, 헤드램프는 하향등모드에서도 경사판(60)에 의해 도로표지판이나 신호등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경사판(60)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등모드에서는 쉴드판(20)을 향해 조사되는 외부의 빛을 반사함으로써 광원(5)의 점등이 없이도 미등이나 차폭등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쉴드판(20)은 평상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브래킷(10)에 중첩된 상태로 돌출되어 상향의 빛을 차폐함으로써 하향등모드를 수행하며, 마주오는 차량이 없는 한적한 도로에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의 빛을 개방하여 렌즈(60)로 공급함으로써 상향등모드를 수행한다.
이때, 쉴드판(20)은 액추에이터(30)에 내장된 솔레노이드의 전자기력에 의해 로드(30a)가 당겨짐에 따라 회전축(20a)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하여 상향등모드를 수행한다.
그리고, 엑추에이터(30)는 상향등모드가 종료됨에 따라 전자기력을 소멸시키고, 이에 따라 쉴드판(20)은 토션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브래킷(10)에 중첩상태로 밀착된다.
이때, 댐퍼(50)를 구성하는 댐핑돌기(53)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판(20)에 먼저 밀착되어 쉴드판(20)의 회전에 의해 탄성변형되면서 충격을 1차로 완충하고, 댐핑고무(51)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돌기(53)의 함몰에 따라 테두리를 통해 쉴드판(20)에 밀착되면서 충격을 2차로 완충한다.
여기서, 댐핑돌기(53)는 댐핑포켓(57)에 의해 원활하게 탄성변형하면서 돌기트랩(55)에 의해 댐핑고무(51)의 내측으로 함몰되며, 댐핑고무(51)는 돌기트랩(55)에 의해 쉴드판(20)과의 밀착면적이 감소된다.
이에 따라, 쉴드판(20)은 댐핑돌기(53) 및 댐핑고무(51)에 의해 충격이 2차로 완충되고, 돌기트랩(55)에 의해 밀착면적이 최소화된 댐핑고무(51)에 밀착되면서 완충되므로 진동 및 소음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댐퍼(50)에 의한 최대진동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7.76m/s2 로 측정되었고, 진동횟수는 2회로 측정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댐퍼(50)에 의한 최대소음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52.3dB 로 측정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댐퍼(50)는 쉴드판(20)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을 종래기술에 대하여 현저히 감소시켰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는, 댐퍼(50)를 구성하는 댐핑돌기(53)가 탄성변형하면서 쉴드판(20)의 충격을 1차로 완충하고, 댐핑고무(51)가 쉴드판(20)에 밀착되면서 충격을 2차로 완충하므로 쉴드판(20)의 충격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원의 빛떨림이 감소되므로 야간운전의 시인성이 향상되어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쉴드판(20)의 충격에 의한 댐핑고무(51)의 반력이 댐핑포켓(57)에 의해 감쇠됨에 따라 댐핑돌기(53)가 원활하게 탄성변형하면서 쉴드판(20)의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더욱이, 댐핑돌기(53)가 탄성변형하면서 돌기트랩(55)에 의해 댐핑고무(51)의 내측으로 함몰됨에 따라 쉴드판(20)에 밀착되는 댐핑고무(51)가 밀착면적이 감소된 상태로 쉴드판(20)에 밀착되므로 진동 및 소음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경사판(60)이 쉴드판(20)에 마련되어 쉴드판(20)과 함께 회전하므로 하향등모드에서는 광원(5)의 빛을 절곡상태로 반사함으로써 도로표지판 등을 식별할 수 있으며, 상향등모드에서는 쉴드판(20)을 향해 조사되는 빛을 반사함으로써 차폭등이나 미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5 : 광원 5a : 램프
5b : 리플렉터 6 : 렌즈
10 : 쉴드브래킷 20 : 쉴드판
20a : 회전축 30 : 엑추에이터
30a : 로드 40 : 토션스프링
50 : 댐퍼 51 : 댐핑고무
51a : 걸림턱 51b : 밀착돌기
53 : 댐핑돌기 53a : 보조돌기
55 : 돌기트랩 55a : 보강리브
57 : 댐핑포켓 60 : 경사판

Claims (4)

  1. 헤드램프의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방향을 전환하는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전방에 설치되는 쉴드브래킷;
    상기 쉴드브래킷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쉴드브래킷과 중첩상태로 밀착되면서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일부분을 차폐하는 쉴드판;
    상기 쉴드브래킷에 결합되고, 상기 쉴드판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쉴드판을 편축회전시키면서 상기 쉴드판에 의해 차폐된 빛의 일부분을 상기 쉴드브래킷의 전방으로 공급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편축회전하는 상기 쉴드판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쉴드판을 상기 쉴드브래킷에 중첩상태로 리턴시키는 토션스프링; 및
    상기 쉴드브래킷에 마련되어 상기 토션스프링에 의해 리턴하는 상기 쉴드판에 밀착되면서 상기 쉴드판에 의한 충격을 댐핑하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상기 쉴드브래킷에 일측이 관통상태로 끼워져 걸리고, 타측면이 상기 쉴드판에 대면하면서 상기 쉴드판에 밀착되는 연질재의 댐핑고무; 및
    상기 댐핑고무의 타측면에 동일체를 이루면서 돌출형성되고, 상기 쉴드판의 충격에 의해 탄성변형하면서 상기 쉴드판의 충격을 완충하는 댐핑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댐핑고무의 일측면에 홈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댐핑돌기의 후방에 댐핑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쉴드판의 충격에 의한 상기 댐핑고무의 반력을 감쇠시켜서 상기 댐핑돌기의 탄성변형을 허용하는 댐핑포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상기 댐핑포켓과 대향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댐핑돌기의 둘레를 따라 상기 댐핑고무의 타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쉴드판에 의해 탄성변형하는 상기 댐핑돌기를 상기 댐핑고무의 내측으로 함몰시키면서 상기 쉴드판에 밀착되는 상기 댐핑고무의 밀착면적을 감소시키는 홈형태의 돌기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쉴드판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쉴드판과 함께 회전하고, 반사체로 형성되어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절곡시키거나 상기 쉴드판을 향해 조사되는 빛을 반사하는 경사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상기 댐핑고무의 일측에 상기 쉴드브래킷을 관통하여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댐핑고무가 상기 쉴드브래킷에 일측이 관통상태로 끼워져서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댐핑고무의 타측면 테두리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상기 쉴드판에 대한 상기 댐핑고무의 타측면 밀착면적을 감소시키는 밀착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상기 댐핑돌기의 중앙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댐핑돌기의 강성을 약화시켜서 상기 쉴드판에 의한 상기 댐핑돌기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댐핑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
  2. 헤드램프의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방향을 전환하는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전방에 설치되는 쉴드브래킷;
    상기 쉴드브래킷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쉴드브래킷과 중첩상태로 밀착되면서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일부분을 차폐하는 쉴드판;
    상기 쉴드브래킷에 결합되고, 상기 쉴드판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쉴드판을 편축회전시키면서 상기 쉴드판에 의해 차폐된 빛의 일부분을 상기 쉴드브래킷의 전방으로 공급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편축회전하는 상기 쉴드판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쉴드판을 상기 쉴드브래킷에 중첩상태로 리턴시키는 토션스프링; 및
    상기 쉴드브래킷에 마련되어 상기 토션스프링에 의해 리턴하는 상기 쉴드판에 밀착되면서 상기 쉴드판에 의한 충격을 댐핑하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상기 쉴드브래킷에 일측이 관통상태로 끼워져 걸리고, 타측면이 상기 쉴드판에 대면하면서 상기 쉴드판에 밀착되는 연질재의 댐핑고무; 및
    상기 댐핑고무의 타측면에 동일체를 이루면서 돌출형성되고, 상기 쉴드판의 충격에 의해 탄성변형하면서 상기 쉴드판의 충격을 완충하는 댐핑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댐핑고무의 일측면에 홈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댐핑돌기의 후방에 댐핑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쉴드판의 충격에 의한 상기 댐핑고무의 반력을 감쇠시켜서 상기 댐핑돌기의 탄성변형을 허용하는 댐핑포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상기 댐핑포켓과 대향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댐핑돌기의 둘레를 따라 상기 댐핑고무의 타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쉴드판에 의해 탄성변형하는 상기 댐핑돌기를 상기 댐핑고무의 내측으로 함몰시키면서 상기 쉴드판에 밀착되는 상기 댐핑고무의 밀착면적을 감소시키는 홈형태의 돌기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쉴드판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쉴드판과 함께 회전하고, 반사체로 형성되어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절곡시키거나 상기 쉴드판을 향해 조사되는 빛을 반사하는 경사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상기 댐핑고무의 일측에 상기 쉴드브래킷을 관통하여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댐핑고무가 상기 쉴드브래킷에 일측이 관통상태로 끼워져서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댐핑고무의 타측면 테두리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상기 쉴드판에 대한 상기 댐핑고무의 타측면 밀착면적을 감소시키는 밀착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상기 댐핑돌기의 중앙에 상기 댐핑돌기의 지름 및 돌출길이 보다 작은 크기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댐핑돌기와 함께 상기 쉴드판과 충돌하면서 이중으로 충격을 완충하는 보조돌기;를 더 포함하는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20099384A 2012-09-07 2012-09-07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 KR101386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384A KR101386670B1 (ko) 2012-09-07 2012-09-07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384A KR101386670B1 (ko) 2012-09-07 2012-09-07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729A KR20140032729A (ko) 2014-03-17
KR101386670B1 true KR101386670B1 (ko) 2014-04-17

Family

ID=50644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384A KR101386670B1 (ko) 2012-09-07 2012-09-07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574B1 (ko) 2019-12-31 2020-09-23 (주)에이엠에스 안정적 광차단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677B1 (ko) * 2014-06-17 2016-06-14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차량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
KR102330384B1 (ko) * 2015-07-16 2021-1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조명장치
KR101959798B1 (ko) * 2016-02-11 2019-03-2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
CN115306245A (zh) * 2022-08-26 2022-11-08 浙江极氪智能科技有限公司 缓冲结构和车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7918A (ja) * 1999-01-13 2000-07-28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2008196651A (ja) * 2007-02-15 2008-08-28 Daiwa Kasei Ind Co Ltd クッションクリップ
KR20110120715A (ko) * 2010-04-29 2011-11-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헤드램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7918A (ja) * 1999-01-13 2000-07-28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2008196651A (ja) * 2007-02-15 2008-08-28 Daiwa Kasei Ind Co Ltd クッションクリップ
KR20110120715A (ko) * 2010-04-29 2011-11-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헤드램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574B1 (ko) 2019-12-31 2020-09-23 (주)에이엠에스 안정적 광차단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729A (ko) 201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670B1 (ko)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
US9086202B2 (en) Light module having an aperture with a resilient stop element
KR20030000251A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착 구조
JP2001118407A5 (ko)
JP2014203513A (ja) 車両用灯具
US9829171B2 (en) Motor vehicle lighting device component comprising a bearing element and a damper
JP4398319B2 (ja) 車両用灯具取り付け構造
KR101344429B1 (ko) 차량용 램프
US8092056B2 (en) Light module and lighting device
US9169986B2 (en) Head light module
CN106958781B (zh) 用于车前灯的护板驱动设备
KR101704131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KR101542967B1 (ko) 자동차의 헤드 램프
WO2013051581A1 (ja) 自動車用のヘッドランプ装置
KR101074915B1 (ko) 자동차용 전조등
KR101393833B1 (ko) 보행자 보호용 헤드램프 마운팅 장치
KR101959798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
KR101460629B1 (ko)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및 이 장치의 조립방법
JP3969624B2 (ja) プロジェクタ型車両用灯具
KR20160011936A (ko) 차량용 램프
US11325671B2 (en) Headlight and straddle type vehicle
KR101748255B1 (ko)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KR102158574B1 (ko) 안정적 광차단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
JP2000200510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2000200509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