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255B1 -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255B1
KR101748255B1 KR1020150179794A KR20150179794A KR101748255B1 KR 101748255 B1 KR101748255 B1 KR 101748255B1 KR 1020150179794 A KR1020150179794 A KR 1020150179794A KR 20150179794 A KR20150179794 A KR 20150179794A KR 101748255 B1 KR101748255 B1 KR 101748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actuator
light distribution
light source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4972A (ko
Inventor
손효열
최진섭
임종대
박상현
김택승
이명헌
Original Assignee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천진인지기차배건유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천진인지기차배건유한공사 filed Critical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64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F21S41/695Screens rotating around a vertical axis
    • F21S48/1742
    • F21S48/1789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4Resilient mountings, e.g. shock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V17/16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the parts being subjected to bending, e.g. snap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05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or switching of the light beam
    • B60Q2300/056Special anti-blinding beams, e.g. a standard beam is chopped or moved in order not to blind
    • F21W2101/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전조등의 광원 전방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피벗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피벗 회전에 의한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배광을 단속하여 배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하향등 모드를 형성하거나 배광의 전부를 통과시켜 상향등 모드를 형성하는 회동쉴드와, 상기 회동쉴드의 일단에 연결되어 작동 시 상기 회동쉴드를 피벗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배광의 전부가 조사되도록 하는 제1액츄에이터와, 상기 회동쉴드에 마련되어 상대편 차선으로 운행중인 차량의 운전석으로 배광을 차단하는 커버링 모드를 형성하는 배광차단부 및 상기 제1액츄에이터와 대향하는 상기 회동쉴드의 타단에 연결되어 작동 시 상기 배광차단부를 광원의 정면에 위치시키도록 회동쉴드를 피벗 회전시키는 제2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Back Light Direction Shifting Device for a Vehicle Head Lamp}
본 발명은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전조등의 광원에서 리플렉터로 반사된 배광을 단속하여 전조등의 조사모드를 하향등 또는 상향등으로 전환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고, 반대편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조등 즉, 헤드램프는 차량이 진행하는 전방을 비추는 조명등으로, 야간에는 전방 100m 거리 내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식별할 수 있는 밝기를 요구한다.
이러한 전조등은 평상시 야간에 점등하는 하향등과 야간 조명이나 차량이 없는 한적한 도로에서 점등하는 상향등으로 구분된다. 과거의 전조등은 상향등 및 하향등이 제각기 마련되어 각각의 반사체 및 렌즈를 통해 빛을 각각 조사하였으나 각각의 구성품이 두 개씩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도 1에 도면부호 10로 도시된 배광방향 전환장치를 구비한 전조등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 배광방향 전환장치(10)는 회동쉴드(11)의 작동에 따라 빛을 하향으로만 또는 상향과 하향으로 동시에 렌즈부로 공급한다.
부연하자면, 회동쉴드(11)는 평상 시 고정브라켓(12)에 중첩된 상태로 밀착되면서 상향의 배광을 차단하며,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전하여 개방된 때 상향의 배광까지 조사되도록 한다.
그리고, 회동쉴드(11)는 전조등이 하향등 모드로 되돌아온 때, 액츄에이터나 미도시된 비틀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브라켓(12)에 밀착되는 상태로 복귀하여 상향의 배광을 재차단한다. 이때, 회동쉴드(11)는 회전에 의해 고정브라켓(12)에 밀착되면서 충격 및 소음을 발생시키며, 더 나아가 광원부를 진동시켜서 배광의 빛떨림 현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고정브라켓(12)에 완충고무(13)를 장착하여 회동쉴드(11)의 충격을 완충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완충고무(13)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회동쉴드(11)와의 접촉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쉴드(11)에 면접촉 상태로 밀착되므로, 회동쉴드(11)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의 억제효과가 크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배광방향 전환장치(10)는 상향의 배광일 때 반대편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방지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반대편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의 피로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순간적인 시야 상실과 이로 인한 전방의 사물 인지능력을 감소시켜 교통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높이게 되는 문제가 있다.
KR, B, 10-1460629(2014.11.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전조등의 광원에서 리플렉터로 반사된 배광을 단속하여 전조등의 조사모드를 하향등 또는 상향등으로 전환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고, 반대편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차량 전조등의 광원 전방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피벗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피벗 회전에 의한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배광을 단속하여 배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하향등 모드를 형성하거나 배광의 전부를 통과시켜 상향등 모드를 형성하는 회동쉴드와, 상기 회동쉴드의 일단에 연결되어 작동 시 상기 회동쉴드를 피벗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배광의 전부가 조사되도록 하는 제1액츄에이터와, 상기 회동쉴드에 마련되어 상대편 차선으로 운행중인 차량의 운전석으로 배광을 차단하는 커버링 모드를 형성하는 배광차단부 및 상기 제1액츄에이터와 대향하는 상기 회동쉴드의 타단에 연결되어 작동 시 상기 배광차단부를 광원의 정면에 위치시키도록 회동쉴드를 피벗 회전시키는 제2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쉴드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전방에 위치하고 양 끝단이 고정브라켓에 피벗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중앙 상부에 마련되어 하향등 모드일 때 광원에서 조사되는 배광의 일부를 반사시키는 광포켓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범위를 단속하도록 회전축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에 걸림되는 스토퍼 및 양 끝단이 상기 스토퍼와 고정브라켓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회전축의 양 끝단에 설치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스토퍼와 마주하는 부분에 댐퍼가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스토퍼가 고정브라켓과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포켓은 상기 광원과 마주하는 면에 배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액츄에이터 및 제2액츄에이터로부터 제공되는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회동쉴드를 피벗 회전시키는 링크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회전축에 마련된 스토퍼에 제각기 형성된 제1링크 암과 제2링크 암 및 상기 제1링크 암과 제2링크 암에 제각기 연결되며, 상기 제1액츄에이터와 제2액츄에이터의 작동 로드 선단에 제각기 마련되는 제1걸림 블록 및 제2걸림 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걸림 블록은 상기 제1링크 암을 향해 돌출되되 상기 제1링크 암의 전방에 위치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액츄에이터의 작동 로드가 후퇴하는 것에 따라 제1링크 암을 안내하여 상기 회전축을 피벗 회전시켜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배광의 전부를 통과시켜 상향등 모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액츄에이터의 작동 로드는 스페이서가 마련되어 제1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작동 로드가 후퇴하여 상기 제1걸림 블록이 고정브라켓과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걸림 블록은 상기 제2링크 암을 향해 돌출된 한 쌍의 걸림 바가 형성되어 상기 제2액츄에이터의 작동 로드가 전진 또는 후퇴하는 것에 따라 제2링크 암을 안내하여 상기 회전축을 피벗 회전시켜 상기 배광차단부에 의해 상대편 차선으로 운행중인 차량의 운전석으로 배광을 차단하는 커버링 모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광차단부는 상기 광원과 마주하는 면에 배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광차단부는 상기 광원과 마주하는 면에 배광의 일부를 투과시키는 반투과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투과면은 반투명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에 의하면, 차량 전조등의 광원에서 리플렉터로 반사된 배광을 단속하여 전조등의 조사모드를 하향등 또는 상향등으로 전환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고, 반대편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커버링 모드를 제공하게 되어 전조등의 눈부심에 의한 차량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중 하향등 모드일 때의 작동 상태 및 배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배광 이미지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중 상향등 모드일 때의 작동 상태 및 배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배광 이미지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중 커버링 모드일 때의 작동 상태 및 배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배광 이미지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는 차량 전조등의 광원 전방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100), 고정브라켓(100)에 설치되며 피벗 회전에 따라 광원에서 조사되는 배광을 단속하여 하향등 모드 또는 상향등 모드를 형성하는 회동쉴드(200), 회동쉴드(200)가 피벗 회전할 수 있게 동력을 제공하는 제1액츄에이터(300) 및 제2액츄에이터(500), 회동쉴드(200)에 마련되어 상대편 차선으로 운행중인 차량 운전석으로 배광을 차단하는 커버링 모드를 형성하는 배광차단부(400)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고정브라켓(100)은 배광방향 전환장치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차량의 전조등 광원에서 조사되는 배광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광원(미도시) 전방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이때, 광원은 리플렉터(미도시)에 의해 둘러싸여 짐으로써, 광원에서 발광된 빛은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되어 상하 두 방향의 배광으로 렌즈(미도시)에 조사된다. 한편, 고정브라켓(100)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광원을 둘러싸는 리플렉터와 렌즈를 연결하는 연결 하우징에 의해 차폐된다.
회동쉴드(200)는 광원에서 조사되는 배광을 단속하는 수단으로서, 통상 배광 중 상향하는 부분을 단속한다. 이를 위해, 회동쉴드(200)는 고정브라켓(100)에 피벗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고정브라켓(100)은 양 측단에 축받이 홀(120)이 형성되어 회동쉴드(200)의 양 끝단이 힌지 결합되며 회동쉴드(200)는 피벗 회전을 일으키는 제1액츄에이터(300) 및 제2액츄에이터(500)와 연결된다. 이때, 회동쉴드(200)와 제1액츄에이터(300) 및 제2액츄에이터(500)는 링크유닛(600)에 의해 연결되어 제1액츄에이터(300) 및 제2액츄에이터(500)에서 제공되는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회동쉴드(200)를 피벗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회동쉴드(200)는 회전축(210), 광포켓(220), 스토퍼(230), 토션 스프링(240)으로 구성되는데, 회전축(210)은 고정브라켓(100)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양 끝단이 고정브라켓(100)의 양 측단에 형성된 축받이 홀(120)에 힌지 결합된다.
또한, 광포켓(220)은 회전축(210)의 중앙 상부에 마련되어 회전축(210)과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축(210)이 피벗 회전하는 것에 따라 광포켓(220)도 회전축(210)과 동일하게 회전하여 광원에서 조사되는 배광의 일부를 반사시키거나 전부를 통과시켜 하향등 모드 또는 상향등 모드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광포켓(220)은 광원과 마주하는 면에 배광을 반사하는 반사면(221)이 형성되는데, 반사면(221)은 광원에서 조사되는 배광을 리플렉터로 광손실 없이 반사시킬 수 있도록 미러 또는 경면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토퍼(230)는 고정브라켓(100)의 축받이 홀(120)에 힌지 결합된 회전축(210)이 제1액츄에이터(300) 또는 제2액츄에이터(500)에 의해 피벗 회전할 때 회전축(210)의 회전범위를 단속하도록 회전축(210)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고정브라켓(100)에 걸림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고정브라켓(100)은 스토퍼(230)와 마주하는 부분에 댐퍼(110)가 마련되어 회전축(210)의 회전에 따라 스토퍼(230)가 고정브라켓(100)과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러한 댐퍼(110)는 우레탄, 고무와 같은 탄성 복원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스토퍼(230)와 고정브라켓(100)이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스토퍼(230)와 고정브라켓(100)의 파손을 방지하고 소음 발생을 방지한다.
그리고, 토션 스프링(240)은 회전축(210)의 양 끝단에 설치되되, 토션 스프링(240)의 양 끝단이 스토퍼(230)와 고정브라켓(100)에 고정되어 회전축(21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렇게 회전축(210)의 양 끝단에 토션 스프링(240)이 설치되면, 제1액츄에이터(300) 또는 제2액츄에이터(500)가 작동하지 않는 한 배광의 일부가 광 포켓에 의해 차단되는 하향등 모드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회동쉴드(200)의 양 측단에는 각각 제1액츄에이터(300) 및 제2액츄에이터(500)와 연결되어 작동 시 회동쉴드(200)를 피벗 회전시킴으로써 배광의 전부가 조사되도록 상향등 모드를 형성하거나 또는 배광차단부(400)에 의해 상대편 차선으로 운행중인 차량의 운전석으로 배광을 차단하는 커버링 모드가 형성된다.
즉, 제1액츄에이터(300)는 광원의 전방에 위치한 광포켓(220)을 눕혀 광원에서 조사되는 배광의 전부를 통과시키는 상향등 모드를 형성하도록 회동쉴드(200)를 회전시키는 작동을 수행하게 되며, 제2액츄에이터(500)는 상향등 모드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대편 차선으로 운행중인 차량의 운전석으로 배광을 차단하는 커버링 모드를 형성하도록 회동쉴드(200)를 회전시키는 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제1액츄에이터(300) 및 제2액츄에이터(500)는 케이스(320)(520), 보빈(330)(530), 코일(340)(540), 플랜저(350)(550), 작동 로드(310)(510)로 구성되는데, 케이스(320)(520)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며 고정브라켓(100)의 배면에 고정된다.
또한, 보빈(330)(530)은 케이스(320)(5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면으로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340)(540)이 권선된다. 그리고, 플랜저(350)(550)는 보빈(330)(53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 상에 설치되어 코일(340)(540)에 전류가 인가되는 것에 따라 고정브라켓(100)을 향해 전진하거나 후퇴하는 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플랜저(350)(550)는 작동 로드(310)(510)와 연결되어 제1액츄에이터(300) 및 제2액츄에이터(500)가 작동하는 것에 따라 회전축(210)을 고정브라켓(100)으로부터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제1액츄에이터(300)의 작동 로드(310)에는 스페이서(650)가 마련되어 제1액츄에이터(300)의 작동에 따라 작동 로드(310)가 후퇴하여 상기 제1걸림 블록(630)이 고정브라켓(100)과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러한 스페이서(650)는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액츄에이터(300) 및 제2액츄에이터(500)는 링크유닛(600)에 의해 회동쉴드(200)와 연결되는데, 링크유닛(600)은 제1링크 암(610), 제2링크 암(620), 제1걸림 블록(630), 제2걸림 블록(640)으로 구성되어 제1액츄에이터(300) 및 제2액츄에이터(500)로부터 제공되는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회동쉴드(200)를 고정브라켓(100)으로부터 회전시키게 된다.
부연하자면, 제1링크 암(610)과 제2링크 암(620)은 회전축(210)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된 스토퍼(230)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1걸림 블록(630)과 제2걸림 블록(640)은 제1액츄에이터(300) 및 제2액츄에이터(500)의 작동 로드(310)(510) 선단에 각각 마련되어 제1링크 암(610) 및 제2링크 암(620)과 제각기 연결된다.
제1걸림 블록(630)은 제1링크 암(610)을 향해 돌출되되, 제1링크 암(610)의 전방에 위치하는 돌출부(631)가 형성되어 제1액츄에이터(300)의 작동 로드(310)가 후퇴하는 것에 따라 제1링크 암(610)을 안내하여 회전축(210)을 회전시켜 광원에서 조사되는 배광의 전부를 통과시키는 상향등 모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2걸림 블록(640)은 제2링크 암(620)을 향해 돌출된 한 쌍의 걸림 바(641)가 형성되어 제2액츄에이터(500)의 작동 로드(510)가 전진 또는 후퇴하는 것에 따라 제2링크 암(620)을 안내하여 회전축(210)을 회전시켜 배광차단부(400)에 의해 상대편 차선으로 운행중인 차량의 운전석으로 배광을 차단하는 커버링 모드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배광차단부(400)는 회동쉴드(200)에 마련되어 상대편 차선으로 운행중인 차량의 운전석으로 배광을 차단하는 커버링 모드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배광차단부(400)는 회동쉴드(200)의 회전축(210)과 일체로 형성되되 광포켓(220)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배광차단부(4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00)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광포켓(220)과 제1액츄에이터(300) 사이의 회전축(210)에 형성되어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배광이 상대편 차선으로 운행중인 차량의 운전석으로 비추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배광차단부(400)의 위치는 해당 국가의 차량 진행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앞선 설명은 도로교통법 차량이 우측통행하도록 정해진 한국의 경우이며, 일본, 영국과 같은 차량이 좌측통행하도록 정해진 국가의 경우 배광차단부(400)의 위치는 광포켓(220)과 제2액츄에이터(500) 사이의 회전축(210)에 형성된다.
그리고, 광포켓(220)과 배광차단부(400)는 바람직하게 90~13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축(210)에 형성되어 광원의 정면에 위치하도록 광포켓(220)이 세워진 하향등 모드일 때 배광차단부(400)는 고정브라켓(100)의 배면을 향해 눕혀진 상태를 갖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광포켓(220)이 고정브라켓(100)의 전방을 향해 눕혀져 광원에서 조사되는 배광의 전부를 통과시키는 상향등 모드에서 회전축(210)의 회전이 더 진행되어 광포켓(220)이 고정브라켓(100)의 전방 하부를 향하게 되었을 때 배광차단부(400)가 광원의 정면에 세워진 상태를 갖게 되어 상대편 차선으로 운행중의 차량의 운전석으로 배광을 차단하는 커버링 모드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배광차단부(400)는 광원과 마주하는 면에 배광을 반사하는 반사면(41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배광차단부(400)에 형성되는 반사면(410)은 미러 또는 경면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광차단부(400)에 반사면(410)이 형성되면 광원에서 조사되는 배광을 리플렉터로 광손실 없이 반사시킬 수 있어 전조등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의 작동을 도 5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중 하향등 모드일 때의 작동 상태 및 배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배광 이미지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5a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써, 광원에서 조사되는 배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하향등 모드이다. 이러한 하향등 모드는 토션 스프링(240)에서 발휘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축(210)에 마련된 스토퍼(230)가 고정브라켓(100)과 맞닿은 상태이고, 광포켓(220)이 광원의 정면에 세워진 상태에 위치하게 되어 광원에서 조사되는 배광의 일부가 광포켓에 가로막혀 도 5b과 같은 배광을 형성하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중 상향등 모드일 때의 작동 상태 및 배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배광 이미지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6a는 도 3의 B-B선 단면도로써, 도 5a와 같은 하향등 모드에서 상향등 모드로 전환되기 위해 제1액츄에이터(300)가 작동하여 회동쉴드(2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하향등 모드에서 상향등 모드로 전환되기 위해 제1액츄에이터(300)가 작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액츄에이터(300)의 작동 로드(310)가 고정브라켓(100)의 후방을 향해 후퇴하는 직선운동을 하게 되며, 작동 로드(310)의 후퇴에 따라 제1걸림 블록(630)에 형성된 돌출부(631)가 스토퍼(230)에 형성된 제1링크 암(610)을 안내하여 회전축(210)을 회전시켜 광포켓(220)이 고정브라켓(100)의 전방을 향해 눕히게 되어 광원에서 조사되는 배광의 전부를 통과시켜 도 6b와 같은 배광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제2액츄에이터(500)는 하향등 모드에서 상향등 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회전축(210)의 회전에 따라 제2링크 암(620)과 연결된 제2걸림 블록(640)의 걸림 바(641)가 제2액츄에이터(500)의 작동 로드(510)를 제1액츄에이터(300)의 작동에 따른 작동 로드(310)의 직선이동 거리만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향등 모드에서 상향등 모드로 전환되기 위해 제1액츄에이터(300)가 작동하게 될 때 회동쉴드(200)의 회전범위를 단속하는 스토퍼(230)가 고정브라켓(100)에 부딪힐 때 발생하는 충격은 스토퍼(230)와 마주하는 고정브라켓(100)에 마련된 댐퍼(110)에 의해 흡수되어 부품의 파손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제1액츄에이터(300)의 작동 로드(310)에 마련된 스페이서(650)에 의해 제1걸림 블록(630)과 고정브라켓(100)이 부딪힐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충돌에 의한 파손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중 커버링 모드일 때의 작동 상태 및 배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배광 이미지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6a와 같은 상향등 모드에서 커버링 모드로 전환되기 위해 제2액츄에이터(500)가 작동하여 회동쉴드(2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제2액츄에이터(500)의 작동 로드(510)가 고정브라켓(100)의 후방을 향해 후퇴하는 직선운동을 하게 되며, 작동 로드(510)의 후퇴에 따라 제2걸림 블록(640)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 바(641)가 제2링크 암(620)을 안내하여 회전축(210)을 회전시켜 배광차단부(400)가 광원의 정면에 위치하도록 세우게 되어 광원에서 조사되는 배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도 7b와 같은 상대편 차선으로 운행중인 차량의 운전석으로 배광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는 차량 전조등의 광원에서 리플렉터로 반사된 배광을 단속하여 전조등의 조사모드를 하향등 또는 상향등으로 전환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고, 반대편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커버링 모드를 제공하게 되어 전조등의 눈부심에 의한 차량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배광차단부(400)는 광원과 마주하는 면에 배광을 반사하는 반사면(410)이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배광의 일부를 투과시키는 반투과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반투과면은 바람직하게 반투명 필름으로 이루어져 광원에서 조사되는 배광의 일부는 고정브라켓(100)의 전방으로 통과시키고 나머지는 리플렉터로 반사시키게 된다. 이때, 반투과면에 적용되는 반투명 필름은 투명한 수지에 검정색의 안료가 반투명하게 착색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반투과면에 반투명 필름이 적용되는 경우 반투명 필름을 통과하는 배광의 일부에 광손실이 발생하여 휘도가 낮아지게 됨으로써, 상대편 차선으로 운행하는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어 차량 사고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100 : 고정브라켓 110 : 댐퍼
120 : 축받이 홀 200 : 회동쉴드
210 : 회전축 220 : 광포켓
221,410 : 반사면 230 : 스토퍼
240 : 토션 스프링 300 : 제1액츄에이터
310,510 : 작동 로드 320,520 : 케이스
330,530 : 보빈 340,540 : 코일
350,550 : 플랜저 400 : 배광차단부
500 : 제2액츄에이터 600 : 링크유닛
610 : 제1링크 암 620 : 제2링크 암
630 : 제1걸림 블록 631 : 돌출부
640 : 제2걸림 블록 641 : 걸림 바
650 : 스페이서

Claims (10)

  1. 차량 전조등의 광원 전방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에 피벗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피벗 회전에 의한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배광을 단속하여 배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하향등 모드를 형성하거나 배광의 전부를 통과시켜 상향등 모드를 형성하는 회동쉴드;
    상기 회동쉴드의 일단에 연결되어 작동 시 상기 회동쉴드를 피벗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배광의 전부가 조사되도록 하는 제1액츄에이터;
    상기 회동쉴드에 마련되어 상대편 차선으로 운행중인 차량의 운전석으로 배광을 차단하는 커버링 모드를 형성하는 배광차단부; 및
    상기 제1액츄에이터와 대향하는 상기 회동쉴드의 타단에 연결되어 작동 시 상기 배광차단부를 광원의 정면에 위치시키도록 회동쉴드를 피벗 회전시키는 제2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쉴드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전방에 위치하고 양 끝단이 고정브라켓에 피벗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중앙 상부에 마련되어 하향등 모드일 때 광원에서 조사되는 배광의 일부를 반사시키는 광포켓;
    상기 회전축의 회전범위를 단속하도록 회전축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에 걸림되는 스토퍼; 및
    양 끝단이 상기 스토퍼와 고정브라켓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회전축의 양 끝단에 설치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스토퍼와 마주하는 부분에 댐퍼가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스토퍼가 고정브라켓과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포켓은
    상기 광원과 마주하는 면에 배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액츄에이터 및 제2액츄에이터로부터 제공되는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회동쉴드를 피벗 회전시키는 링크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회전축에 마련된 스토퍼에 제각기 형성된 제1링크 암과 제2링크 암; 및
    상기 제1링크 암과 제2링크 암에 제각기 연결되며, 상기 제1액츄에이터와 제2액츄에이터의 작동 로드 선단에 제각기 마련되는 제1걸림 블록 및 제2걸림 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 블록은
    상기 제1링크 암을 향해 돌출되되 상기 제1링크 암의 전방에 위치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액츄에이터의 작동 로드가 후퇴하는 것에 따라 제1링크 암을 안내하여 상기 회전축을 피벗 회전시켜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배광의 전부를 통과시켜 상향등 모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액츄에이터의 작동 로드는 스페이서가 마련되어 제1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작동 로드가 후퇴하여 상기 제1걸림 블록이 고정브라켓과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 블록은
    상기 제2링크 암을 향해 돌출된 한 쌍의 걸림 바가 형성되어 상기 제2액츄에이터의 작동 로드가 전진 또는 후퇴하는 것에 따라 제2링크 암을 안내하여 상기 회전축을 피벗 회전시켜 상기 배광차단부에 의해 상대편 차선으로 운행중인 차량의 운전석으로 배광을 차단하는 커버링 모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광차단부는
    상기 광원과 마주하는 면에 배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광차단부는
    상기 광원과 마주하는 면에 배광의 일부를 투과시키는 반투과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KR1020150179794A 2015-12-01 2015-12-16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KR101748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861419.0A CN106813181A (zh) 2015-12-01 2015-12-01 车辆前照灯的背光方向转换装置
CN201510861419.0 2015-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972A KR20170064972A (ko) 2017-06-12
KR101748255B1 true KR101748255B1 (ko) 2017-06-19

Family

ID=5910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794A KR101748255B1 (ko) 2015-12-01 2015-12-16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8255B1 (ko)
CN (1) CN106813181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3912B2 (ja) * 2005-10-05 2010-10-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ヘッドランプ構造
JP4983278B2 (ja) * 2007-01-31 2012-07-2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FR2979595B1 (fr) * 2011-09-07 2016-01-08 Valeo Vision Module optique pour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JP5673510B2 (ja) * 2011-11-29 2015-02-18 豊田合成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CN103528004B (zh) * 2012-07-02 2016-04-13 重庆稼砷光电科技有限公司 远近光一体的车灯
KR20140083281A (ko) * 2012-12-26 2014-07-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듀얼 쉴드를 이용한 헤드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813181A (zh) 2017-06-09
KR20170064972A (ko) 201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0819B2 (ja) ヘッドランプに太陽光線が集束することを防止する遮光可動要素
US7926992B2 (en) Lamp shield driving device and headlamp assembly including the same
JP5107821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5172732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KR101756012B1 (ko) 자동차의 바이펑션 헤드램프
CN114126921A (zh) 用于机动车辆的照明设备
KR101386670B1 (ko)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
EP2399776A2 (en) Vehicle headlamp system, control device, and vehicle headlamp
EP2246614A2 (en) Vehicle headlamp apparatus
CN106958781B (zh) 用于车前灯的护板驱动设备
KR101704131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KR101748255B1 (ko) 차량 전조등의 배광방향 전환장치
JP2000215717A (ja) 車両用前照灯
KR20160015904A (ko) 차량용 램프
CN106555983B (zh) 用于驱动前灯罩的设备
KR20160009377A (ko) 차량용 램프
KR101707983B1 (ko) 차량용 램프
KR20140083281A (ko) 듀얼 쉴드를 이용한 헤드 램프
KR101629677B1 (ko) 차량 헤드램프용 조사방향 전환장치
JP4341538B2 (ja) ヘッドランプ
JP2000200509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KR101553519B1 (ko) 차량용 램프
JP2010146985A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2000200510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KR100486337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